질문에 대한 답변 + 내면소통 ChatGPT 소개

Sdílet
Vložit
  • čas přidán 6. 05. 2024
  • 유튜브 게시판에 올려주신 질문 중에는 인간관계 고민에 관한 것들이 많았습니다.
    그 중에서 여러 분들께서 그동안 공통적으로 질문하신 내용들을 중심으로 답변을 구성해보았습니다.
    그리고 말미에는 인공지능 서비스인 ChatGPT에 제 유튜브 강의 내용을 학습시킨 "내면소통 챗GPT"에 관한 소개도 해드립니다.
    ChatGPT 서비스를 이미 사용하고 계신 분들이라면 시험 삼아 어떤 질문이든지 던져보시고, 제가 평소 하던 답변과 얼마나 유사한지 한번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다음 링크를 통해서 바로 "김주환의 내면소통 ChatGPT 서비스"로 연결하실 수 있습니다.
    hplab.com/chat

Komentáře • 160

  • @kilee2861
    @kilee2861 Před měsícem +152

    김주환교수님 전체강의를 우리 아동청소년 필수과목으로 나아가 수능과목으로 채택해야됩니다 세계최저출산율 자살율1위 나라가병들고있어요 이것이 진정한해법입니다 정말감사합니다 교수님

    • @user-ws6zy2to6e
      @user-ws6zy2to6e Před měsícem +11

      수능은 없어졌으면 😅

    • @nnni-oz5nh
      @nnni-oz5nh Před měsícem +8

      양육자도 들어야할듯

    • @dhltks
      @dhltks Před měsícem +6

      kilee님 댓글에 동의합니다!

    • @user-qz3ho7ii5w
      @user-qz3ho7ii5w Před měsícem +8

      대치동 학원 강사입니다.
      학생들 정말 힘들어합니다. 청소년들 필수과목이 되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 @user-rk3gj4ev7h
      @user-rk3gj4ev7h Před měsícem

      😊​@@nnni-oz5nh

  • @user-le2fl5pm7c
    @user-le2fl5pm7c Před měsícem +33

    저는 김주환 교수님의 강의를 듣고 행복해져요. 그래서 덕분에 항상 웃고 다니고, 남에게 친절하고, 또 행복해지고, 책도 많이 읽고, 애인과도 잘 지내고… 그러다 또 어느샌가 우울해지고 무기력해지고 삶의 의미를 찾게 되더라구요. 남에게 친절하기가 힘들어지고, 그런데 정말 신기한건 그럴때 또 한동안 안봤던 교수님 강의를 찾게 돼요. 그렇게 강의를 다시 보고 다시 한벙 마음을 다잡고 깨달음을 얻고 행복해져요.
    깨달음을 얻고 나서도 영원한것은 없는 것같아요. 매번 그 깨달음을 복기하며 교수님 강의를 다시 찾는다면 저는 평생 행복을 갈구하지 않고 잘 살 수 있을 것같아요😊

    • @kkk-lp1jj
      @kkk-lp1jj Před 3 dny

      저랑 똑같아요 ㅋㅋㅋ 어느순간 진리를 깨달은것 같다가도 또 무너지는 사람이라는 존재 그럴때마다 의지할 김주환교수님이 있어서 다행이에요

  • @user-fz1wv2sz2j
    @user-fz1wv2sz2j Před měsícem +107

    전 아버지가 무서워 신발을 방안에 숨겨 두고 잤어요 언제든 도망을 가야했으니까요. 시간이 흐르고 제가 어른이 되어서도 아버지의 그림자는 짙었지요. 제가 아버지의 그림자에서 벗어나는 방법은 아버지를 용서하는 거였어요. 대신 교수님께서 말씀하신 것처럼 용서했다고 말하진 않았습니다
    다만 제 자신은 알지요. 아버지를 용서했다는 것을. 그뒤론 아버지가 이해가 되는 부분이 보였습니다. 친절하라
    .누굴위해서?...나 자신을 위해서. 네..참 어렵지만 알 것 같습니다ㅎ

    • @sanmosan469
      @sanmosan469 Před měsícem +11

      훌륭합니다. 아버지를 용서하는 것 만큼 훌륭하고 위대한 행동이 없습니다.

    • @user-jh2lr6fs4h
      @user-jh2lr6fs4h Před měsícem +7

      아주 훌륭하고 멋지십니다.

    • @yamorange6379
      @yamorange6379 Před měsícem +4

      훌륭하십니다.

    • @user-cz4bs6gf9d
      @user-cz4bs6gf9d Před měsícem +3

      정말 어려운일을 하셨네요. 응원합니다.

    • @SelfCompassion1
      @SelfCompassion1 Před 14 dny

      돌이켜보니....제 아버지는 천사였는데...효도할 길이 없어요 흑흑

  • @user-pg1eo2jy8k
    @user-pg1eo2jy8k Před měsícem +69

    스쳐지나가고..
    그냥 주어진
    우리네 삶..
    옳고 그름보다
    따뜻하게..
    친절하게 살자.🙏
    머플러 하나
    툭! 걸치셨는데
    멋지십니다 👍

  • @user-is8if7or5b
    @user-is8if7or5b Před měsícem +45

    저는 우울증 회복후 재발방지용으로 매일 교수님 강의를 반복해서 듣고있습니다
    정말 감사드립니다
    교수님 덕분에 희망이 생깁니다

  • @wingit1072
    @wingit1072 Před měsícem +39

    이런 멋진 강의를 인터넷으로 들을 수 있다는건 정말 행운인것 같아요. 교수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 @sanmosan469
    @sanmosan469 Před měsícem +29

    아마 직장 생활하면서 기센 사람이 되는 방법론 같읕 걸 묻는 질문인거 같네요. 착하고 만만한 사람에게는 무례하고, 까칠한 사람에게는 눈치 보는 강약약강인 치졸한 사람을 어떻게 한방 먹일 수 있는지에 대한 질문 같습니다. 결국 그 사람을 이겨먹는 다는 생각 자체를 초월해야 관계에서 편해질 수 있는 것이라고 이해하겠습니다. 기 싸움에 의미를 두면 대화마다 스스로 스코어를 매기게 되고 집착하게 되니까요. 하지만 한편으로 친절함과 약함(물렁함)의 경계에 대해서도 고민하게 됩니다. 싫은 소리를 듣기 싫어서 친절한 척 하는 것인지 반성 해봐야겠습니다.

  • @lavicgun
    @lavicgun Před měsícem +21

    평생 사회적인 성공이라는 것을 위해 달려왔습니다. 이제 성공하면 행복할거야 그런 생각은 안합니다. 교수님 말씀 처럼 unconditional hapipness를 추구합니다. 그럼에도 제가 성취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사람이라, 사회적 성취를 이루고 싶습니다. 이런 욕망은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요? 이것도 내면화 하는게 좋을까요?
    교수님 GPT 답변)
    사회적 성취와 무조건적인 행복(unconditional happiness)은 상호 배타적인 목표가 아닙니다. 오히려 조화를 이룰 수 있는 목표인데요, 그 욕망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는 동시에 내면화할 수 있습니다.
    1. 욕망에 대한 수용과 인정
    인정하기: 사회적 성취에 대한 욕망을 부정하거나 억누르지 말고 있는 그대로 인정하세요.
    수용하기: 욕망 자체는 부정적인 것이 아니며, 성취를 통해 발전하고자 하는 자신을 수용하세요.
    2. 사회적 성취와 행복의 조화
    성취의 의미 찾기: 사회적 성취가 나의 행복에 어떻게 기여하는지 고민해보세요. 성취 그 자체가 아닌 그 과정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의미를 생각하세요.
    내면의 성장과 연결: 사회적 성취를 자신의 내면적 성장과 연결하세요. 예를 들면, “나의 성취가 사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나 자신을 발전시킨다”고 생각해보세요.
    3. 무조건적인 행복과 연결
    현재에 집중하기: 사회적 성취의 과정에서 느낄 수 있는 작은 성취와 의미를 발견하세요.
    과정의 즐거움 찾기: 결과가 아닌 과정에서 오는 기쁨과 성취감을 찾아보세요.
    4. 내면화 전략
    내면의 목소리 인식: 자신의 욕망을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내면의 목소리가 있다면 인식하세요.
    긍정적 내면소통: “성취를 추구하는 것은 나의 성장과 행복을 위한 것이며, 그 과정에서 행복을 느낄 수 있다”고 스스로와 긍정적으로 소통하세요.
    5. 사회적 성취에 대한 새로운 접근
    지속가능한 성취: 무리한 경쟁이나 타인의 기대에 얽매이지 않고 지속 가능한 성취를 추구하세요.
    성취의 다양한 측면: 단순한 명예와 부뿐 아니라, 사회에 긍정적인 영향, 자기계발, 좋은 인간관계 등 다양한 측면에서 성취를 바라보세요.
    6. 내면소통 명상
    편안한 자세로 앉아 눈을 감습니다.
    호흡을 통해 자신에게 몰입하세요.
    “나는 성취를 통해 성장하고 행복을 찾는다”는 의도를 마음속에 새기세요.
    성취를 추구하는 과정에서 현재의 순간에 집중하고 무조건적인 행복을 누리는 자신을 상상하세요.
    결론
    사회적 성취와 무조건적인 행복은 함께 추구할 수 있습니다. 자신을 부정하지 말고 그 욕망을 인정하면서도, 과정을 즐기고 내면의 행복을 놓치지 마세요.
    더 궁금한 점이 있으면 언제든 말씀해 주세요!

    • @user-dh3xf9rm4r
      @user-dh3xf9rm4r Před měsícem +3

      제게도 너무 도움되는 내용이에요. 이곳에 공유해주셔서 진심으로 감사합니다

    • @user-sz1qk7hb9p
      @user-sz1qk7hb9p Před měsícem +1

      답변이
      너무 좋네여 😊

  • @joycekim6837
    @joycekim6837 Před 20 dny +3

    이 시대의 진정한 어른이세요 !!!
    교수님 강의가 대한민국을 살리고 계시네요~~

  • @0min916
    @0min916 Před měsícem +9

    교수님의 강의를 들을 수있는건 제 인간관계의 복인것같아요 부디 몸과마음 늘 건강하시길 기도합니다😊

  • @user-kg5ri8qp7f
    @user-kg5ri8qp7f Před měsícem +22

    나를 위해서 친절한사람이
    되겠습니다~~

  • @lavicgun
    @lavicgun Před měsícem +14

    교수님. 멋지십니다. 이런 멋지고 의미 있는 사업도 시작하셨다니....
    아래는 교수님 GPTs를 써본 내용이에요. 덕분에 앞으로 더 많이 상담하겠습니다. 교수님은 제 인생에서 처음 만난 진정한 멘토이십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아래는 교수님 GPTs 대화 내용. 공유합니다. )
    교수님. 교수님 강의 덕분에 최근 zone2 운동을 열심히 하고 싶습니다. 5년전에 사업을 실패 했어요. 그 후 항상 자신만만하고 도전적이던 제가 자신감을 많이 잃은 것 같아요. 5년 이 자났지만, 여러가지 일만 짧게 짧게 했을 뿐 아직 재기 하지 못했어요. 벌써 나이 50인데, 조언 부탁 드려요
    GPT
    5년 전 사업 실패 이후 자신감이 떨어지고 재기에 어려움을 겪고 계신 것 같네요. 나이가 50세인 지금, 어떻게 다시 자신감을 되찾고 앞으로 나아갈지 조언을 드리겠습니다.
    1. 자신감의 회복
    자신감의 본질: 자신감은 결과에 상관없이 스스로를 믿는 힘입니다. 다시 시작할 때 '작은 성공'을 통해 자신감을 조금씩 키워보세요.
    긍정적인 자기 대화: 스스로에게 부정적인 말을 하기보다, 긍정적인 대화를 시도해보세요. 예를 들면, “나는 아직 할 수 있다”라는 생각을 지속적으로 유지합니다.
    2. 내면의 부정적인 감정 다루기
    두려움과 분노 이해하기: 두려움과 분노는 서로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습니다. 편도체가 안정되지 않으면 부정적인 감정이 계속 반복됩니다​​.
    감정 다스리기: 감정은 몸의 문제라는 것을 기억하세요. 정서적으로 불안정한 상태라면, 몸의 상태도 불안정해집니다. 명상, 호흡 훈련, 운동 등을 통해 몸과 마음을 동시에 안정시키세요.
    3. 자기 조절력 향상
    내면소통 명상: 자신에 대한 부정적인 생각을 줄이고 자기 수용과 긍정적인 태도를 기르는 데 도움이 됩니다​​.
    호흡 명상: 호흡에 집중하면서 부정적인 생각과 감정을 떨쳐내고 몸과 마음을 안정시키세요.
    내부감각 훈련: 자신의 감정을 더 정확히 인지하는 능력을 키우세요. 이를 통해 감정조절 능력이 향상될 수 있습니다​​.
    4. 목표 설정과 도전
    작은 목표부터 시작: 큰 성공을 기대하기보다 작은 목표부터 달성해보세요.
    꾸준한 운동: Zone 2 운동처럼 꾸준한 운동은 신체 건강뿐 아니라 자신감 회복에도 큰 도움이 됩니다.
    마무리 조언
    자신을 긍정적으로 바라보면서 꾸준히 나아가세요. 작은 성공이 모여 자신감을 회복하고, 새로운 도전을 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될 겁니다. 질문이나 더 궁금한 것이 있나요?

  • @aria-fv6er
    @aria-fv6er Před měsícem +18

    목도리 예뻐요 교수님~♡
    잘듣고 배우고 있습니다

  • @user-bd2tf5nl6y
    @user-bd2tf5nl6y Před měsícem +7

    평생 고민하던 물음표가 정답을 찾은 느낌입니다. 굉장히 이해하기 쉽게..제가 받아 들일 수 있게 늘 설명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교수님 존경합니다.

  • @user-bg4yb6vh7z
    @user-bg4yb6vh7z Před měsícem +12

    인연에 ... 무한감사를 합니다~😊
    좋은말씀 잘 새기면서 생활하겠습니다

  • @choyeon10
    @choyeon10 Před měsícem +17

    무슨 말씀이신지 이제 알겠어요.
    자신을 위해서 친절하라는 거네요.
    미운마음 화 피해자마음 억울함 등등 스스로 스토리텔링한 것이고 이것들을 해봤자
    자신에게 하나 도움이 되는게 없다는 뜻이네요.
    다 스스로를 위한 거네요..
    깊은 깨달음을 이렇게
    공유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 @yesswf8ez
    @yesswf8ez Před měsícem +6

    나도 맞고 그들도 맞다. 그러나 옳은 게 중요한 게 아니다..
    다른 사람 고치기 어렵기 때문에,
    내 문제가 아니라 그들의 문제이기 띠문에.
    나와 당신을 위해 친절하자..
    편안하기 위해 평온하기 위해 진심으로 친절하게 대하자.
    진심으로 경청하고 둘러 쌓인 거친 말 안에 담겨 있는 사랑을 캐치하자.

  • @user-wo9pz6ro9g
    @user-wo9pz6ro9g Před měsícem +2

    교수님의 차분한 조곤조근한 말씀이
    바로 친절하게 다가와요. 너무 편안하게
    받아들여지니 이만한 좋은 강의가 있을까 매번 느낍니다.이 영상은 더욱
    깊이 와 닿는 따뜻한 말씀들에 하루의
    시작이 편안합니다. 고맙습니다.
    늘 잘 듣고 갑니다.건강하세요^^

  • @live_fully27
    @live_fully27 Před měsícem +3

    값을 매길 수 없는 김주환 교수님의 강의❤
    진심으로,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 @lavicgun
    @lavicgun Před měsícem +6

    (내면소통 GPT 피드백) 개선에 참고하세요.
    GPTs에게 RAG(교수님 강의 내용 저장)에 있는 내용을 우선으로 하라는 것과, RAG에 없는 내용을 일반적인 내용으로 설명하지 말라는 내용을 포함하여 프롬프트 수정이 필요 할 듯 보입니다.
    아래는 교수님이 말씀 하신 대인관계력을 GPT가 일반적인 대인관계로 해석해서 설명을 하고 있습니다. 저야 ChatGPT 작동방식을 알아서 다시 질문했지만, 다른 사용자 분들은 혼돈을 가질 수 있을 듯 합니다.
    아래 대화 내용 참고하세요.
    ----------------
    User
    대인관계력을 향상사키는 방법은 무엇입니까?
    GPT
    대인관계력을 향상시키는 것은 많은 이점을 가져다주며, 여러 방법을 통해 접근할 수 있습니다. 여기 몇 가지 실질적인 방법을 소개합니다:
    적극적인 경청: 대화에서 상대방의 말을 주의 깊게 듣고 이해하려고 노력하세요. 이는 상대방에게 존중과 관심을 보여주는 행동이며, 관계를 강화하는 데 중요합니다.
    공감 능력 개발: 타인의 감정이나 상황에 공감하려고 노력하세요. 상대방의 입장에서 생각해 보고, 그들의 감정을 이해하려고 하세요. 공감은 대인 관계에서 신뢰와 깊은 연결을 구축하는 데 핵심적입니다.
    명확한 의사소통: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분명하고 직접적으로 표현하세요. 명확한 의사소통은 오해를 줄이고, 서로의 기대를 명확하게 할 수 있습니다.
    비판 대신 피드백 제공: 비판적인 태도보다는 건설적인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식을 선택하세요. 피드백은 긍정적이고 구체적이며, 개선을 도울 수 있는 방향으로 제시되어야 합니다.
    갈등 해결 능력 향상: 갈등이 발생했을 때 이를 피하지 말고, 해결을 위해 노력하세요. 문제를 직면하고 협상을 통해 해결하는 방법을 배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자기 인식 향상: 자신의 강점과 약점을 이해하고, 어떻게 다른 사람들과 상호 작용하는지 자각하도록 노력하세요. 자기 인식은 자신의 행동을 조정하고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사회적 기술 연습: 다양한 사회적 상황에서 자신감을 높이기 위해 사회적 기술을 연습하세요. 사교적인 모임이나 네트워킹 이벤트에 참여하고, 새로운 사람들과의 대화를 시도해 보세요.
    긍정적인 태도 유지: 긍정적이고 낙관적인 태도는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매력적인 요소가 될 수 있습니다. 긍정적인 에너지는 다른 사람들을 끌어들이고, 좋은 인상을 남깁니다.
    이러한 방법들을 일상에서 적극적으로 실천해 보세요. 대인관계는 지속적인 노력과 연습이 필요하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연스럽게 향상될 것입니다. 더 궁금한 점이 있거나 특정 상황에 대한 조언이 필요하시면 언제든지 질문해 주세요.
    User
    제가 말씀드린 것은 일반적인 대인관계가 아니라, 교수님이 말씀하신 핵심성취역량 3가지 중의 대인관계력에 대한 부분입니다. 대인관계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해야 되는 부분을 교수님 강의 중에 말씀 하신 내용을 정리해서 알려주세요.
    GPT
    대인관계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에 대해 강의에서 언급된 주요 내용을 정리해드리겠습니다. 강의에서는 대인관계력 향상을 위해 자기 자신과 타인에 대한 정보 처리 능력을 개선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하셨습니다. 이는 대인관계 능력을 기르기 위한 핵심 요소로, 자신을 이해하고 타인의 의도와 감정을 파악하는 것을 포함합니다 .
    자기참조 과정: 자신이 현재 무엇을 하고 있는지를 알아차리고 자신의 감정, 생각, 행동을 인식하는 과정입니다. 이를 통해 자기 인식을 향상시키고 자기 자신을 더 잘 관리할 수 있습니다 .
    타인의 의도와 감정 파악: 상대방의 의도와 감정을 정확하게 이해하려는 노력을 포함합니다. 이는 갈등을 줄이고, 더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하며, 협업을 원활하게 만드는 데 기여합니다 .
    이러한 두 가지 요소는 대인관계력을 향상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뇌의 전전두피질 네트워크를 활성화시켜 마음근력을 키우는 데 도움을 줍니다. 이 네트워크는 자기조절력, 대인관계력, 자기동기력과 같은 마음근력의 세 가지 요소를 포괄하며, 이를 강화하는 것이 궁극적으로 대인관계능력을 높이는 데 기여합니다 .
    이러한 방법들을 통해 자신과 타인을 더 잘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보다 긍정적이고 효과적인 대인 관계를 발전시킬 수 있습니다. 혹시 더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추가로 질문해 주세요.
    User
    자기 참조 과정은 어떻게 연습합니까?
    GPT
    자기 참조 과정은 자신의 내면을 깊이 탐구하고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과정을 연습하기 위한 몇 가지 방법을 아래에 소개합니다:
    명상: 일상에서 명상을 통해 마음을 집중하고 현재 순간에 머무르는 연습을 합니다. 특히, 마음챙김 명상은 자신의 생각, 감정, 신체적 감각에 대해 인식하고 이를 판단하지 않고 받아들이는 연습을 돕습니다.
    일기 쓰기: 매일의 경험, 생각, 감정을 기록하는 일기를 쓰는 것은 자신을 더 잘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일기는 자신이 겪은 일들에 대해 성찰하고, 감정과 반응을 파악하는 데 유용한 도구입니다.
    자기반성: 정기적으로 자기 자신의 행동과 결정에 대해 반성하는 시간을 가집니다. 이 과정에서 자신의 강점과 약점을 평가하고,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합니다.
    피드백 요청: 가까운 사람들에게 자신의 행동에 대한 피드백을 요청합니다. 타인의 관점에서 본 자신의 모습을 이해하면 자기 인식을 넓힐 수 있습니다.
    감정 추적: 하루 동안 느낀 감정을 추적하고, 특정 상황에서 느낀 반응을 기록합니다. 이는 자신의 감정 패턴을 이해하고, 감정을 더 잘 관리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롤 플레이와 시뮬레이션: 다양한 사회적 상황을 시뮬레이션 하거나 롤 플레이를 통해 자신의 반응을 탐색합니다. 이는 자신의 행동을 다양한 각도에서 관찰하고 평가하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이러한 연습들은 자기 자신에 대한 깊은 이해와 자기 참조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됩니다. 자기 참조 과정은 자기 인식을 넓히고, 자신의 행동과 반응을 더 잘 조절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합니다. 추가적인 질문이나 도움이 필요하시면 언제든지 말씀해 주세요.
    User
    이 부분은 모두 교수님 강의에서 말씀하신 내용인가요?
    GPT
    제가 앞서 제공한 자기 참조 과정에 대한 연습 방법은 일반적인 권장 사항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는 교수님의 강의 내용과 일치하는 부분이 많으나, 교수님의 강의에서 직접 언급된 모든 내용은 아닙니다. 교수님의 강의에서는 자기 참조 과정을 통해 자기 인식을 향상시키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하셨으며, 이는 대인관계력 향상에 기여하는 중요한 요소로 설명되었습니다.
    만약 교수님의 강의 내용에 더 구체적으로 충실한 방법이나 추가적인 세부 사항을 원하신다면, 제공된 자료에서 더 자세히 찾아볼 수 있습니다. 필요한 경우, 강의 자료를 다시 확인하여 더 정확한 정보를 제공드릴 수 있습니다. 추가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해 주세요.
    User
    교수님이 강의에서 말씀하신 부분으로 다시 답변해 주십시요
    GPT
    교수님의 강의에서 자기 참조 과정 연습에 관해 다음과 같은 방법들을 소개하셨습니다:
    명상: 교수님은 명상을 통해 자기 참조 과정을 강화할 수 있다고 설명하셨습니다. 특히, 대상이 없는 인식을 경험하면서 자신의 의식을 관찰하고, 이러한 명상은 자기 인식과 자기 참조 능력을 증진시키는 데 매우 효과적입니다 .
    자기 참조의 실제 연습: 자신을 둘러싼 상황과 내부 감정에 대한 의식적인 관찰을 통해 자기 자신을 인식하고, 이러한 인식 과정에서 자신의 행동이나 반응을 분석하고 이해하는 연습을 포함합니다. 이 과정은 자기 참조 과정을 통해 자기 자신과의 관계를 강화하고,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더 잘 이해하도록 돕습니다 .
    통찰과 알아차림의 활용: 자기 참조 과정을 통해 얻은 통찰을 실제 생활에 적용하면서, 자신의 감정과 행동 패턴에 대해 더 깊이 이해하고, 이를 통해 자기 자신을 더욱 개발할 수 있습니다 .
    이 방법들은 자기 참조 과정을 실천하며 자신의 내면을 더욱 깊이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대인관계력을 포함한 다양한 인간관계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합니다. 추가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질문해 주세요.

  • @egm6711
    @egm6711 Před měsícem +10

    나도 상대방도 더 나은 사람 이었다면 그때 그렇게 행동하지 않았겠죠 지금도 마찬가지고, 서로의 모자람에 연민과 이해를 품고 살아야 겠습니다

  • @maen_rich
    @maen_rich Před měsícem +6

    교수님 알게 된 전후로 인생이 많이 달라졌습니다 ㅎㅎㅎ 내면소통으로 마음근력이 점점 강화되어 갑니다ㅎㅎ 정말 감사합니다!!

  • @user-pj9ph5xt9u
    @user-pj9ph5xt9u Před měsícem +7

    어버이날에 보기 너무 좋은 영상이네요. 감사합니다.

  • @jiyounglee3177
    @jiyounglee3177 Před měsícem +2

    교수님의 목소리만 들어도 행복 합니다. 마음이 평온해 지는것 같아요.
    저의 행복 버튼^^

  • @jhlee9221
    @jhlee9221 Před měsícem +3

    늘 방송 잘 보고있어요.
    감사드립니다.

  • @Whatisthis154
    @Whatisthis154 Před měsícem +3

    큰 지혜 나누어 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 @jangsunny5410
    @jangsunny5410 Před měsícem +3

    늘 고마운 맘으로 열심히 듣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js5dh8vv9u
    @user-js5dh8vv9u Před měsícem +1

    교수님 강연듵고 삶이 행복 해졌습니다.
    친절하게 살겠습니다
    존경합니다.

  • @user-ow1or4bs6s
    @user-ow1or4bs6s Před měsícem +31

    교수님강의를 2022년 말부터 알게되어 열심히 찾아들었는데 제 삶에 적용을 못시켰던거같아요
    최근에 배우자의 오랜 외도 사실을 알고 이혼소송중인데 두어달을 분노에 떨며 지냈습니다. 교수님의 용서강의와 명상을 반복해서 들었는데 그래서 그나마 버티긴한것같아요. 정신과 치료중인데 어제부터 교수님 내면소통책을 블로그에 필사하려고 시작했습니다. 짧은 삶을 정말 행복하게 살기위해 교수님 가르침을 체화시키고 싶습니다.감사합니다 교수님

    • @user-ow1or4bs6s
      @user-ow1or4bs6s Před měsícem +5

      교수님 강의 말씀이 자극과 반응사이에 공간이 있다는 빅터 프랭클의 말과 일맥상통하다는걸 지금 깨닫습니다. 맞지요? 그동안 들었던건 교수님 목소리였나봐요..글을. 쓰다보니 갑자기 깨달아지는듯 해요
      제가 행복해지기로 결정하면 되는거였는데
      시간이 좀 지나 분노가 좀 사그라들어 저를 바라볼수 있게된걸까요? 저같은 외부적 큰 사건을 겪는 사람도 마음근력 훈련이 되어있으면 감정의 흔들림없이 대처할 수있을까요?
      하나님이나 부처님 아닌 이상 인간이 이런상황에 아무렇지 않을 수 있을까요? 배우자외도나 믿는 친구에게 배신당했을때 아니면 더 심한경우로 가족의 사망이나 이런경우에도 감정이 흔들려서는 안되는걸 지향하시는것일까요?
      깨달아지는듯하다가도 혼란스럽습니다

    • @user-zx7jm8kd6e
      @user-zx7jm8kd6e Před měsícem +4

      토닥토닥

    • @selrilee2146
      @selrilee2146 Před měsícem +4

      앞으로 남은 인생은 멋진 삶을 살게 되실거에요!
      김주환 교수님 통해 인생을 쉽고 멋지게 대하는 법을 배우셨으니까요.^^
      외도하면 대부분 오래 못간다고 하더라구요~
      남은 인생 화이팅 입니다!!!

    • @user-lf2ki2ho1f
      @user-lf2ki2ho1f Před měsícem +3

      저도 배우자의 외도를 여러번 경험하고 있어요
      그래서 저도 교수님 강의 들으면서 쉼호흡 하고있어요
      우리 이렇게 생각하자구요
      외도는 그사람 잘못이지 제잘못이 아니니까
      그가 괴로워할일이지 내괴로움이 아니다
      우리 힘내자구요
      이 경험으로 우리 더큰 사람으로 성장해보아요

    • @yamorange6379
      @yamorange6379 Před měsícem +1

      잘 되실 겁니다. 토닥토닥.

  • @TheJunrob
    @TheJunrob Před měsícem +2

    항상 감사드립니다
    바쁘신 스케줄에도 무식한 우리 중생들을 위해서 노력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hide8497
    @hide8497 Před měsícem +2

    김주환 교수님 사랑합니다❤

  • @lifewalker499
    @lifewalker499 Před měsícem +1

    주옥같은 말씀 넘남 감사드립니다🎉
    머플러 하시니 또 멋지십니다😊

  • @user-cherry1204
    @user-cherry1204 Před měsícem +1

    교수님 항상 사랑하고 존경합니다❤

  • @user-nd3mp7tl2g
    @user-nd3mp7tl2g Před měsícem +2

    교수님 너무~~ 좋아요 ❤

  • @yamorange6379
    @yamorange6379 Před měsícem +1

    정말 선한영향력 그 자체❤ 감사합니다 김주환 교수님~! 목도리 넘 잘 어울리셔요^^

  • @user-yf2zw8ge9k
    @user-yf2zw8ge9k Před měsícem +1

    늘 감사합니다.😄

  • @user-hl4he8io8r
    @user-hl4he8io8r Před měsícem +3

    감사합니다 교수님!!

  • @lingal4903
    @lingal4903 Před měsícem +1

    감사드립니다
    매일 교수님의 강의 되짚어가며
    같이하고 있습니다
    늘 감사와 존중을 바칩니다...()

  • @user-pz6su4ef1r
    @user-pz6su4ef1r Před měsícem +3

    멋진강의 감사합니다~^^♡

  • @user-lf2ki2ho1f
    @user-lf2ki2ho1f Před měsícem

    교수님
    강의를 몇번이나 돌려서 보고있습니다
    이렇게 좋은 강의를 해주셔서
    너무나도 감사합니다
    교수님의 건강과 행복을 기도합니다 ❤❤❤

  • @sh-il3dv
    @sh-il3dv Před měsícem +25

    우울증…극복위해 상담대학원다니고있어요… 지금아주총체적난국입니다… ㅜㅜ 너무어렵네요 너무착하거나 너무화나거나 둘중하나같아요 저는…

    • @IAM-og2ph
      @IAM-og2ph Před měsícem +6

      정말 괴로운 상황에서도 어떻게든 자신을 위해 열심히 노력하시는게 느껴져서 댓글을 달게 되었습니다.
      너무 착하게 대하는 중에도 그 안에는 분노가 있을거예요. 너무 화나는 중에 그 안에는 두려움과 수치심이 있을 수 있고요. 그런 자신의 마음들을 따뜻하고 다정하기 가만히 바라봐주세요.
      어쩌면 그런 마음들 덕분에 지금까지 버텨오고 살아낼 수 있었던 걸 수 있거든요. 그렇게 충분히 바라봐주고 인정해주고 너그럽게 대해주어야 꾹 억눌려있고 뭉쳐있던 그 에너지들이 자유롭게 흘러가기 시작할 겁니다.
      모든 감정들은 다 나를 보호하고 도우려고 내게 찾아왔던 걸 수 있어요.
      그걸 탓하거나 비난하거나 부정하기보단 선생님이 평소 다정하게 대하고 돕고싶어하는 다른 사람에게 하듯 그 감정들 그 마음들 그 소망들을 편안히 머물 수 있게 대해주세요. 그러면 어떤 일이 생길까요.
      궁금증을 가지고 내가 나에게 친절하게 대하는 걸 먼저 실천해보시길 바라요.

  • @pinkstar7
    @pinkstar7 Před měsícem +2

    교수님 감사합니다💕

  • @user-ws1qg4kw1z
    @user-ws1qg4kw1z Před měsícem +1

    무한 감사합니다 교수님

  • @user-lf2sf5rt9z
    @user-lf2sf5rt9z Před měsícem +1

    교수님 넘 감사드립니다.
    반복해서 들으면서 나의 내면을 좀 더 알아차리려하며....
    단 20분 명상으로
    꾸준하게 하니
    부정적인 습관들도 좋아지고.....
    나의 길들여진 행동들도 다시 한번 생각하게 되네요...

  • @user-lz4tf5mt1l
    @user-lz4tf5mt1l Před měsícem

    감사합니다... 이미 실천하고 있었네요.
    자상하고 다정한 강의입니다..

  • @jungason327
    @jungason327 Před měsícem +6

    어버이날 마음가짐에 도움이 됩니다. ❤

  • @user-sx1yt2rw1d
    @user-sx1yt2rw1d Před měsícem +2

    고맙습니다, 존경합니다🙏

  • @goyou2874
    @goyou2874 Před měsícem

    김주환 교수님 한번 뿐인 스쳐가는 인생에 상처받지 마세요~라는 말이 너무 따뜻하게 다가옵니다. 챗GPT가 제목에 써 있어서 뭔가 했는데 너무 좋은 방법이네요. 오늘도 감사합니다~!!!

  • @fooiff
    @fooiff Před 19 dny +1

    나를위한 정리..
    상대가 내 기분을 나쁘게 한다면, 동의하는 부분이 있기 때문.
    상대에게 실망을 한다는 것은 내가 집착을 하고 있는 부분이 있고, 그것을 알아차리자.
    사람은 바꾸기 어렵다. 상대가 아닌, 나의 받아들이는 방식을 바꾸자.
    상대가 한 일, 받아들이는 방식, 그 결과로써의 내 반응. 각각 구분하고 받아들이는 방식을 알아차리자.
    경험자아(깔대기, 습관)는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옳고 그름이 아닌, 친절한 것만이 중요.
    바운더리를 만들지 말고, 모두에게 친절히 대하는게 가장 쉽다. ↔ 짜증내는 버릇으로 손해보기
    상대에게 친절히 대하기 어렵다면, 나무·구름 등에 연습해보자.

  • @terminus624
    @terminus624 Před měsícem +4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화가 나도 친절하고 따뜻하게 대하기 어렵지만 실천해보려 합니다

  • @rosemeows
    @rosemeows Před měsícem

    교수님 최고의 명강의

  • @user-of1iu7tp2k
    @user-of1iu7tp2k Před měsícem +3

    감사합니다 ❤

  • @user-cx1us9yq8n
    @user-cx1us9yq8n Před měsícem +1

    최근에 마음근력 키우는 훈련을 해오며 제 삶이 조금씩 변화함을 느꼈는데 오늘 컨디션이 좋지않고 조급해서 힘들었는데
    교수님 영상보고나니 다시 또 존재에 감사하게 됩니다 감사해요😢 챗지피티도 만들어주셔서 급할때! 질문답변 들을 수 있어서 좋은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늘

  • @user-gp6rl9po4p
    @user-gp6rl9po4p Před měsícem +1

    교수님😊😊감사합니다

  • @sl9954
    @sl9954 Před 22 dny

    친절하시게도 챗지피티 답변까지 준비해주신 교수님, 정말 감사합니다. 인간관계에서 늘 저의 부적절함을 느끼며 다운되는 날이었는데 교수님 강의를 만나며, 하늘의 인도하심을 느낍니다.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 @hyunkima
    @hyunkima Před měsícem

    인간관계에 대한 영상을 많이 봤지만, 통찰력이 남다르시고 전하는 방식 또한 다르십니다. 그래서 얼마 듣지도 않았는데 깨달음에 이른다는 것을 깨닫습니다. 먼저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나도 옳고, 상대방도 옳다. 하지만 옳은 것이 중요한 것은 아니다. 잠시 머물다가는 지구에서 다정할 것'

  • @user-tg9is7nh5x
    @user-tg9is7nh5x Před měsícem +3

    감사합니다고맙습니다

  • @user-np6ni3lg2p
    @user-np6ni3lg2p Před 11 dny

    천재다 교수님❤짱>< 힘들어하는친구들에게도 잘 설명해줘야겠어요

  • @user-is1it3hu9o
    @user-is1it3hu9o Před měsícem +3

    어제 뉴스서 수능만점자 의대생이 여친을 살해했다는 뉴스를 듣고 자녀를 키우는 부모로 마음이 착잡합니다.
    교수님의 강의는 보화입니다.

  • @user-jv5zb9qn7l
    @user-jv5zb9qn7l Před měsícem

    being kind
    명심하겠습니다😊

  • @user-lg5ww1qh5p
    @user-lg5ww1qh5p Před měsícem +1

    고맙습니다 ~♡♡♡

  • @makeu7exotic
    @makeu7exotic Před měsícem +1

    아..역시 교수님! 반갑고 따뜻한 영상입니다! 그냥 본인 기분대로 막?무례하게 행동하는 사람들 때문에 저만 힘들면 안되겠어요..감사합니다..제 마음건강 위해 그들에게 친절하려고 노력하겠습니다~포근한 깔때기 그림❤감사합니다..저도 머플러 덕붓에 따뜻해졌어요ㅜㅜ그리고 챗GPT에 교수님 음성이 같이 나오는건지.. 편안해지고 좋은데 그 기능도 있는 건지 궁금하네용~

  • @100wisdom6
    @100wisdom6 Před měsícem

    무료로 이렇게 훌륭한 교수님의 강의를 들을 수 있어서 감사합니다 ❤

  • @user-hj4np4ii7n
    @user-hj4np4ii7n Před měsícem

    부모님과 대화가 안되고 관계가 어려워 단절을 고민하고 있었는데 교수님 영상을 보고 친절하게 말하려고 노력했더니 마음이 편해졌습니다.
    늘 좋은말씀 주셔서 감사합니다.^^

  • @myway9012
    @myway9012 Před měsícem

    드디어 벽돌책 "내면소통" 깨기 시작했습니다. 그 동안 선생님의 영상 강의를 많이 들어서 그런지 제3장까지 무탈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읽으면서 또 깨닫는 것이 많습니다. 영상강의와 벽돌책 감사합니다.

  • @user-di3sp8hd8v
    @user-di3sp8hd8v Před 6 dny

    감사합니다❤

  • @user-ml5fo6rb4g
    @user-ml5fo6rb4g Před měsícem +1

    고맙습니다

  • @davidlee094
    @davidlee094 Před měsícem +9

    소리가 먹먹하게 들려요

  • @Dldlsksk
    @Dldlsksk Před 7 dny

    챗지피티까지.... 신이십니다 정말

  • @user-rv9zt2np6m
    @user-rv9zt2np6m Před 2 dny

    교수님..
    모처럼 머플러로 멋내셨네요~~

  • @user-hb5ll9cq8l
    @user-hb5ll9cq8l Před měsícem

    감사합니다^^

  • @user-cz4bs6gf9d
    @user-cz4bs6gf9d Před měsícem

    친절함을 연습해야 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깔때기로 뽑아내는 과정을 생각하며..

  • @user-fr1vl9gi7h
    @user-fr1vl9gi7h Před 23 dny

    친절하라.감사합니다

  • @candlejo1513
    @candlejo1513 Před měsícem +1

    IB교육(국제바칼로레아)에 관심이 많은 교사입니다.
    교수님의 내면소통, 편안전활에 깊이깊이 공감했고 이런것을 초등교육에 접목시킬 방법을 찾다가 IB를 알게되었습니다
    특히 IB의 고등과정인 DP의 지식론과목이 교수님이 항상 강조하시는
    인식하는자, 자아, 구성주의등과 관련하여 굉장히 비슷합니다.
    우리나라에 IB교육이 확대되기를 간절히바랍니다…

  • @jjj5613
    @jjj5613 Před 25 dny

    교수님 너무 존중하고 감사합니다
    일터에서 누가 악의적으로 안 좋게 저의 결과물에 대해 들으라는식으로 말하는데 그거 진짜 무시하는거 같은데, 기분 나빠하지 않게 스토리텡링해도 다시 올라오고 다시 올라오고 하네요....그것도 가능하려면 자존감이 일단 높아야 하는걸까요

  • @Viper-rk1ww
    @Viper-rk1ww Před měsícem

    슬픔은 어떻게 이겨내야 하나요?
    혹시 김주환 교수님이 이 주제에 대해 말씀하신게 있나요?

  • @user-kc7lr2ep7y
    @user-kc7lr2ep7y Před měsícem

    교수님 감사합니다. 머리로는 이해를 하면서도 감정이 앞설 때가 있어서 힘들 때도 있습니다. 그래도 교수님 강의를 들으면 그 마음이 객관화 되고 가라 앉아서 많은 도움을 받고 있습니다. 오늘은 마이크 소리가 약간은 답답하게 들리는 것도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mindgoodplace
    @mindgoodplace Před 23 dny

    정말 깨달음의 정수가 아닐까 합니다.
    참선하시는 분들, 도닦는 분들,
    마음공부하시는 분들,
    참나찾고, 무아발견하고 등등의
    목표를 가지고 사시는 분들은
    교수님이 설명하시는 내용을 바탕으로
    좀더 현실세계의 본질에 가까운 인식을 가지고,
    삶을 살아가는 것이
    바람직할 듯 합니다.

  • @user-qz3ho7ii5w
    @user-qz3ho7ii5w Před měsícem

    교수님 정말 감사합니다.
    저는 학원 원장인데 학생들을 위한 10분 명상이 있으면 좋겠습니다. 길면 학생들이 지루해할까봐 제가 편집해서 틀어주고 있는데 학생버전이 있으면 좋겠습니다 😂

  • @user-fs3tr9hd5n
    @user-fs3tr9hd5n Před měsícem

    선생님이 댓글을 보시는지 모르겠지만 영상을 찾아보고 '알아차림에 대한 알아차림'도 사서 읽고 있습니다.
    그런데 다른 영상이나 책에서 말씀하신것과 23:00 분경에 '내가 누군지 알어? 내 이름은 뭐고.. 나는 뭐하는 사람이야' 이런것이 나다 셀프다 라는게 배치되는데요.
    "내 이름, 내 휴대폰, 내 옷 이런건 내것이지 내가 아니다"라고 한 얘기는 원작자가 한 얘기이지 선생님(번역가)의 말씀은 아니라서 배치되는건 아닌가요?

  • @user-ek2qo9ww6m
    @user-ek2qo9ww6m Před 26 dny

    0:59 첫번째 Q 3:08
    3:42 옳은 구석 4:54 티끌. 주어진 조건대로.
    6:27 옳은것보다 친절함
    7:30 8:41 친절하게 따뜻하게 옳고그름을 떠나서. 7:42 나를 위해서.
    13:08 그런기보다. 14:38 짜증내는 버릇
    16:24 세번째 Q
    22:24 경험자아, 기억자아/일화기억-스토리/에고
    32:18 쳇봇 33:07
    240520 🙏

  • @ungae9529
    @ungae9529 Před měsícem

    편집하시는 분 다음 영상제작때는 손그림(경험자아랑 일화기억)도 그래픽화 해서 영상 만드시는게 더 깔끔하고 통일성도 있을것 같습니다.

  • @gyu2684
    @gyu2684 Před 20 dny

    요즘 저를 제일 괴롭히는 것중에 지금 전세살고 있는집 관리사무소가 관리비를 1달치 더 부과하고 이미 낸 금액도 환불해주지 않아서 싸우고 있습니다. 아빠 엄마 뻘 사람들이랑 이건 부당하지않냐고 따지고 4달이나 됐는데 도대체 언제 해결해주는거냐 화를 내고 그래봐도 천하태평하게 기다려봐라 어쩔수 없다라고 해서 스트레스를 많이 받아요. 말싸움을 할때 억울한 마음에 나만 옳다라고 생각했었던게 있었던것도 같습니다.. 왠만하면 저도 좀 내려놓고 큰돈도 아닌데.. 하고 마음속 여유도 되찾아야하지않을까 싶어요.. 항상 감사합니다 교수님

  • @hatsalbom
    @hatsalbom Před měsícem +1

    친절과 오지랖은 어떻게 구별하나요. 상대방의 기분 좋음과 나쁨에 따라 구분될까요? 비슷한데 안비슷하기도하고ㅎㅎ 궁금해요~

    • @joohankim
      @joohankim  Před měsícem +2

      친절과 오지랖의 차이는 사랑과 스토킹의 차이와 비슷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 @beekiddaon8433
    @beekiddaon8433 Před měsícem +1

    ❤❤❤❤❤

  • @jaeypark8712
    @jaeypark8712 Před měsícem +1

    자식의(초6 중1) 경우 늘
    친절해야하기가 참 어렵네요
    미디어 노출빈도 줄이기를
    원하는데 쉽지가 않습니다

  • @user-lm2kz8eq8g
    @user-lm2kz8eq8g Před měsícem

    챗지피티 플러스 결제해야 이용가능한가요? ❤

  • @Lulu-dk8qk
    @Lulu-dk8qk Před měsícem

    🙏

  • @warm-hearted_toall
    @warm-hearted_toall Před měsícem

    나름 직장생활도 잘해오고 주변에 좋은 사람도 많다 생각했는데, 대학원이라는곳을 들어와보니 이 모든게 무너지는 것을 경험중입니다. 지도교수와 학생의 관계는 극심한 갑을관계에 일방적이고 비합리적인 비난과 공격도 모두 감당해야하고 이러한 관계가 평생간다 생각하니 매우 고통스럽습니다. 학교를 졸업하고 다시 사회로 나가도 이러한 관계는 영원히 이어질텐데 늘 조아리며 살아야하는것인지 참 괴롭네요.

  • @aria-fv6er
    @aria-fv6er Před měsícem +3

    내가 싫다고 느끼는 외부자극에
    내면과 소통없이 즉각반응 해온거군요 쌓여진 부정적읻음제계가
    좀더 나은 스토리형성을 하지못하게 굳어버렸네요

  • @jangmin1607
    @jangmin1607 Před měsícem

    교수님 직장에서 매순간 기분 나빠지는 일들이 생겨납니다. 스트레스도 많고 어떻게 이겨내야 할까요?

  • @user-vt8jf7np8q
    @user-vt8jf7np8q Před 28 dny

    자신이 경험하는 것에 대한 긍정적인 스토리텔링을 하는 매일을 지내라는 말씀 오늘 하루 되새기고 되새기겠습니다

  • @ahs3276
    @ahs3276 Před měsícem

    교수님 감사함니나, chatgtp 유료사용 (chatgtp4) 만 가능한건가요?

  • @user-og3xo1nv1p
    @user-og3xo1nv1p Před měsícem +1

    교수님 고유정이나 엄인숙같은인간 만나시면 교수님은 이 세상 사람이 될수없습니다

  • @user-zp2xk6od8c
    @user-zp2xk6od8c Před 29 dny

    공짜로 듣는ㅜㅜ 명강의ㅜㅜ
    근데 내가 행복하고자 싫은 사람과 대화를해야할까요...
    그 사람이 자기가 승이라는 듯이 너무 좋아해서 다시 조종해요.. 말 안하고 사는게 편하거든요..

  • @dksy6514
    @dksy6514 Před měsícem

    화나는 감정이 자연스럽게 올라오는데 머리로 자꾸 이해하려고 하면 감정을 억압시키는거 아닌가요? 나를 위해서 다른사람을 이해하고 사랑하는게 좋은건 잘 알죠.. 근데 마음이란게 마음대로 안되는거잖아요 자연스럽게 올라오는 감정을 머리로 자꾸만 상대방도 그럴만해서 그렇지 하면 무의식에는 점점 홧병이 쌓일것 같아요..

  • @user-qq2dl1xl5v
    @user-qq2dl1xl5v Před měsícem +2

    저는 엄마의 우울증의 분풀이 상대로 거의 매일 맞았는데 반항하면 더 맞았고 6살인가 7살때 집을 나갔다가 배고파서 다시 집으로 들어갔거든요 어느날 제 동생 두명이서 싸우는데 그만 싸우라고 말려도 계속 싸우는 겁니다. 그래서 난생처음 으로 제가 동생 두명을 때려서 반 죽여놓고 둘다 입을 다물고 놀라서 엄마에게 일뤄줳는데 그 이후로 엄마가 저를 거의 때리지 않았습니다.

    • @user-pq3dz1tw8j
      @user-pq3dz1tw8j Před měsícem +1

      내리갈굼인가요

    • @user-qq2dl1xl5v
      @user-qq2dl1xl5v Před měsícem +4

      @@user-pq3dz1tw8j 제가 양심에 손을 얹고 생각해 볼때 동생 둘은 맞을 짓을 했다고 생각합니다. 왜냐면 만약 자기들이 맞을 짓이 아닌데 맞았다면 끝까지 억울해 했겠지만 엄마도 상황을 듣고나서 나에게 왜 그랬냐 묻지도 않았고 저도 마음속으로 이렇게 사람이 폭팔해야 인간들이 사람을 안 괴롭히는 거구나 느꼈습니다. 사실 제 경우는 특이한 집구석이라 완전 6.25시절 난민촌 같은 쪽방에 5식구가 연탄까스로 죽을뻔했구요. 발을 다펴고 눕지도 못하는 곰팡이 핀 벽은 시멘트가 손으로 긁으면 가루가 부셔졌는데 집이 무너질까봐 걱정할 정도로 가난했고 어머니는 고도비만에 제가 성인이 되어서 보면 살짝 발달장애인 왔다갔다 하는 분 같거든요. 아무튼 최악의 상황에 독일 나치 수용소 같은 공간에 인간을 모아 놓고 아버지는 야간하고 코골고 자는데 엄마는 방에 퍼져 앉아서 먹기만 하고 우리는 산동네로 나가 놀아라 내쫒고 공부도 안 가르치고 그러다 해떨어져 자러 들어왔는데 동생들이 둘이서 티격태격 시끄럽게 계속 싸웁니다. 저는 숙제라도 하려고 하는데 엄마는 그당시 자기 능력도 안되는 보험회사를 다녀보겠다고 나갔던 상황같습니다 당연히 교육받고 몇달 못다니고 사돈에 팔촌까지 다 보험에 가입시키고 주변사람들 피해란 피해는 다 주고 다시 집에서 히키코모리 모드 길버트 그레이프 영화속 그 엄마처럼 ...제가 집에 불을 지르지 않은게 기적같아요...저는 늘 생각했죠 왜 우리를 낳았을까...도저히 이해할 수 없다. 지금은 이해합니다. 엄마와 아빠는 무식해서 계산이 없이 본능대로 싸지른거 였습니다. 그리고는 나를 쥐잡듯 잡았죠 공부 잘하라고요...자기들은 돌대가리면서 한글도 안 가르쳐놓고 시험문제 틀린만큼 때리고

    • @user-pq3dz1tw8j
      @user-pq3dz1tw8j Před měsícem +2

      그랬군요.. 이해됩니다. 항상 건강하시고 아름다운
      5월 되세요!

  • @amid-vo8sb
    @amid-vo8sb Před měsícem

    자유 _ Aeare
    나로서(써) 내가 나를 바라본다.

  • @user-ls7uv9be7f
    @user-ls7uv9be7f Před měsícem +12

    정신질환(의처증.스토킹.도파민중독)도 자기가 정확히 인지한다면. 조절가능 할까요?
    정신과 의사도 모른다고 일단 약먹어보라고 합니다.
    인생이 무조건 긍정만으로 살수 있도록 만만치 않네요.
    뉴스에 나오는 끔찍한 일들이 사실 대부분의 가정에 내재되어있는 보편적인 문제가 아닐까요?
    단 운이 좋아 사고가 안 났을뿐. 각가정마다 시한폭탄을 안고 사는거같아요. 고통을 피하는 방법을 가르쳐 주시는것 같지만 현실이 피할수 있을만큼 만만치 않다는거죠.

    • @user-eg9tl2mc6y
      @user-eg9tl2mc6y Před měsícem +2

      의처증의 경우 상대방이 의심할 여지를 주지 않으면 당사자 스스로 고쳐질 수 있다고 봅니다
      댓글을 단 본인의 경험으론 그렇습니다

    • @user-xv6nz2mi8x
      @user-xv6nz2mi8x Před měsícem +2

      뉴스 끊으시고 정신과 치료 잘받으시길 바랍니다~

    • @user-ls7uv9be7f
      @user-ls7uv9be7f Před měsícem +1

      @@user-eg9tl2mc6y
      심하지 않은경우는 그런데요
      제가 아니라 아들이 심각해요
      시어머니가 몇십년간 의부증으로 고통받고 있고 똑같은 행동을 아들이 하고 있어요
      시어머니의 남동생이 20대에 같은질환으로 자살했구요
      이건 명백한 뇌질환이예요
      의지.환경.이 아닌 뇌질환이요

    • @user-ls7uv9be7f
      @user-ls7uv9be7f Před měsícem +2

      @@user-xv6nz2mi8x
      정신과 치료는 한계가 있어요
      그리고 뉴스 거의 안봅니다
      아무도 도와줄수 없다는거 알아요
      혼자 견디는. 중입니다

    • @schwarzlegna339
      @schwarzlegna339 Před měsícem

      지금 다니시는 병원이 상담보다 약에 집중하는 곳이라면 상담도 병행해주는 곳으로 바꿔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아요
      다른 과도 그렇지만 정신과는 특히 더 환자와 의사 간 소통이 중요한 걸로 알고 있어요
      "의사도 모르겠다고 일단 약 먹어보라고 했다"는 말이 마음에 걸려서 글 남겨봅니다.

  • @jena9002
    @jena9002 Před 18 dny

    챗 GPT 유료인가요? 해보고 싶은데 플러스 가입이 필요한 서비스고 나오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