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울증에 걸린 나라는 부자가 될 수 없다? 나라가 부자가 되거나 가난해지는 결정적 이유 (ft.前 세계은행 김용 총재)

Sdílet
Vložit
  • čas přidán 2. 04. 2024
  • 한국 경제는 '한강의 기적'이라는 수식어가 붙을 정도로
    눈부시게 발전해 세상을 놀라게 했었죠.
    이번 영상에서는 세계은행 김용 총재님을 만나
    한국 경제의 성장과 미래에 대해 이야기 해보았습니다!
    www.mindsos.org
    배우는 즐거움이 있는
    본격 취미 탐구 라이프 채널!
    조승연의 탐구생활 🕵🏻‍♂️
    조승연 insta
    / totalintelli
    #우울증 #세계은행 #경제
    Copyright © 2024 Studio Episode - All Rights Reserved
  • Jak na to + styl

Komentáře • 747

  • @kingyong9484
    @kingyong9484 Před 2 měsíci +768

    남들하고 비교 그만하고 각자를 존중하는 사회가 됐으면 좋겠습니다

    • @user-kl7sh7nw4m
      @user-kl7sh7nw4m Před 2 měsíci +10

      ㄹㅇ

    • @bostonman645
      @bostonman645 Před 2 měsíci +41

      그렇죠. 이게 핵심. 자기만의 멋진 삶을 만들어가는

    • @joam5654
      @joam5654 Před měsícem +20

      정말로 공감합니다.
      한국은 타인의 행복에 참견을 너무 해요.
      그냥 상대방에게 자기 생각을 강요하지않고
      서로의 의견을 존중하면서 살면
      삶에 여유로움과 편안함을 느낄수있는데 말이죠.

    • @joam5654
      @joam5654 Před měsícem +14

      ​​​​​​​@@JasonPark-2023남들을 따라해서 발전하는건 한계가 있습니다.
      다른 국가를 모방해서 다 따라잡고 나면
      그 다음엔 누구를 모방할거죠?
      대한민국은 이제 더이상 모방을 해서 더 잘사는 나라로 발전할 수 없습니다.
      어느정도 수준이 다 올라왔어요.
      한국은 지금 여기서 더 강대국으로 갈 수 있는 그 문턱을 못넘고 있는겁니다.
      결국엔 스스로 한계를 뛰어넘고 발전시켜야합니다.
      그 한계를 뛰어넘을려면
      국민들이 서로의 행복을 존중하고 의견을 존중해주면서
      국민들 대부분이 자신이 진짜로 행복을 느끼는 일을 해야 합니다.
      그리고 국민들이 자신이 행복을 느끼는 일에 대해
      계속 파고파고 집중화하고 전문화해서
      모두가 해당 분야의 세계의 최고수준이 되면
      우리는 우리의 한계를 뛰어넘고
      더 크고 발전된 나라가 될 수 있을겁니다.
      결국엔 남들이 하라고 해서 그걸 따라가는게 아니라 자신이 하고싶은 일을 하는게 나라의 발전에 도움이 되는거죠.

    • @jyj.lee85
      @jyj.lee85 Před měsícem +1

      ❤ 한국은 필요한거같아요

  • @brandon5607
    @brandon5607 Před 2 měsíci +679

    이런 양질의 인터뷰를 무료로 볼 수 있다니... 감사합니다

  • @IUFantasy
    @IUFantasy Před 2 měsíci +900

    교육에 투자한다고 비웃었지만, 다른 나라들은 한국이 교육에 투자해서 부국의 반열에 오를수 있었다고 평가하는게 재미있는 역사네요

    • @user-kj3sn9uq8h
      @user-kj3sn9uq8h Před 2 měsíci +102

      오히려 자원이없어서 그런선택을 한거같네요

    • @DocHoman
      @DocHoman Před 2 měsíci +74

      되려 유교국가의 순기능중 하나가 아니었을까요
      꽤 자연스럽게 사람들에게 받아들여 졌던걸 보면

    • @user-sk1yf2jd8n
      @user-sk1yf2jd8n Před 2 měsíci +191

      그당시 상상해보면… 도시 인프라를 짓는것만해도 어렵고 막막한 상황이었을건데 그 와중에 학교를 짓겠다고 세계은행에 대출을 요청한 이나라의 어른들께 새삼 감사합니다..

    • @user-pk8pi2ym4l
      @user-pk8pi2ym4l Před 2 měsíci +57

      앞을 내다보는 능럭이 있었던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 @jeonghanbyul
      @jeonghanbyul Před 2 měsíci +12

      정말 흥미로운 부분이었어요

  • @user-dm9fo1ft3x
    @user-dm9fo1ft3x Před 2 měsíci +304

    대한민국 스스로를 구해야 할 타이밍이구나..

    • @youarehandsome
      @youarehandsome Před měsícem

      스스로 구하거나 스스로 발전한 역사가 없는 나라인 만큼, 박정희같은 역대급 천재 안나오면 그냥 망할듯

  • @JC-mn9yw
    @JC-mn9yw Před 2 měsíci +507

    두분의 대화를 스크립트로 저장하고 싶네요.
    우리 나라는 철학이 없는거 같아요. 그래서 불안한거 같아요. 기준이 없거든요.

    • @kim-wo4mk
      @kim-wo4mk Před 2 měsíci +34

      종교와 철학을 국가차원에서 다시 찾을때라 생각합니다... 옛날에 국교를 정했듯...

    • @MrJun771
      @MrJun771 Před měsícem +61

      맞습니다 자기만의 가치관 인생관이 없으니 벌떼처럼 우르르 몰려다니다 뒤쳐지면 괴로워하고 죽는거라 봅니다 😢

    • @user-vf8kv1fj9v
      @user-vf8kv1fj9v Před měsícem +63

      인문학이 죽어서 그래.. 책 좀 읽자

    • @jp5500
      @jp5500 Před měsícem +9

      나름 자기만의 기준 있는 서양권도 불안증 우울증 높죠…
      하지만 극단적인 선택 하는 빈도의 차이가 발생하는 이유중 하나는 한국의 정신과 의사가 너무 부족하죠 ㅜ 전 총재님도 예를 들었지만 우울증 약 처방도 너무 낮고요..

    • @snowcountry322
      @snowcountry322 Před měsícem

      @@user-vf8kv1fj9v 맞아요.. 인터넷 글들이 책인줄..

  • @sophiayjko4399
    @sophiayjko4399 Před měsícem +313

    제가 최근 10년간 희미하게 느끼고 생각했던 것들을 두 분이서 대화로 소통하시는 모습을 보고 소름이 돋았네요. 저는 최근 해외에서 5년간 살다가 한국에 돌아왔는데요, 한국에 돌아오고 참 우울하고 외로웠습니다. 해외에서 한국을 그리워하며 지냈는데 막상 이곳에 돌아오니 갑자기 난 이룬게 하나도 없는 것같고, 가진게 하나도 없는 초라한 사람처럼 느껴져요. 한국의 물질주의, 경쟁주의가 만드는 바이브때문일까요?
    두분의 대화가 미완성으로 끝난 기분이 들어서 제 나름의 해결방안을 적어보았어요.
    우울한 사회를 개선하기위해 하루 8시간 근무 보장(야근 금지), 육아 휴직 3년 의무(부부 모두), 자녀가 없는 경우에도 휴직 3년 의무(자기 계발, 유학 등), 유급 휴가 1년 30일 의무는 꼭 보장되어야 한다고 봅니다.
    그리고 저희 아이들도 한국에 돌아와 학원 뺑뺑이 돌면서 생기 가득한 미소와 지적 호기심을 잃어가고있어요. 대입 제도를 혁신적으로 변화시켜서 지속가능하고 즐거운 학문의 여정이 되도록 변화되어야 한다고 생각해요.
    또한 학교에서 행복 또는 인생이라는 과목을 가르쳤으면 좋겠어요. 어떻게 꿈을 찾는지, 좌절했을 때 어떻게 극복하는지, 왕따 당할 때 어떻게 해야하는지, 술은 어떻게 마셔야하는지, 배우자는 어떻게 고르는지, 자녀를 어떻게 키워야하는지, 사회적약자를 어떻게 보호해야하는지, 기후 위기를 어떻게 극복해야하는지.. 정말 중요한 문제가 많은데 아직도 국영수만 강조하는 한국의 교육현실이 답답합니다.
    자살률 1위의 우울한 나라가 되어버린 대한민국을 어쩌면 좋을까요? 😢

    • @broj5370
      @broj5370 Před měsícem +17

      좁은 땅덩어리 사람이 너무 많아서 생기는 문제같습니다. 사람들이 좁은 지역 안에 집약되어있다보니, 눈치볼 것들이 저무나도 많고 그러다보니 조금이라도 뒤쳐지면 나만 뒤쳐지는 것 같고 행복보다는 불행하지 않고 싶어 남들 다 가는 길을 갔다가 낙오되는 수많은 사람들.. 한국 사회는 갈수록 폐쇄적으로 가고 있습니다..

    • @JulietteLee798
      @JulietteLee798 Před měsícem +30

      너무 좋은 말씀입니다. 현재 해외거주 중인데 다시 한국으로 돌아가면 우리 가족에게 어떤 삶이 펼쳐질까 우려가 많은 건 사실입니다. 이곳에서 삶이 윤택하다고 느끼는 건 자연과 벗삼는 것, 홀리스틱 교육, 비교하지 않는 삶입니다. 생각이 많아지네요.

    • @TheAbinable
      @TheAbinable Před měsícem +5

      공감합니다.

    • @user-qy1st6co8z
      @user-qy1st6co8z Před měsícem

      @@JulietteLee798,

    • @dokpark5547
      @dokpark5547 Před měsícem

      복합적 만성병입니다, 기독교 종교도 외형적 물질적 추구만 해서 해악이 되고 있어요
      어쩌면 K 한류도 음지양산의 일면도 있죠

  • @user-kk7qv7qg9z
    @user-kk7qv7qg9z Před 2 měsíci +380

    와 인터뷰 클라스..

    • @DG_Seo
      @DG_Seo Před měsícem +7

      진짜 인터뷰 퀄리티 정신나가버릴거 같네 도대체 조승연작가의 능력은 어디까지인가…

  • @jieunlee4061
    @jieunlee4061 Před měsícem +89

    약간 눈물 날 뻔 했어요. 우리는 이 역경을 헤쳐나갈 수 있다는 마지막 대목에서.

    • @tigermonkeyhead
      @tigermonkeyhead Před měsícem +2

      저두요ㅠ 한국인의 잠재력은 대단해요 우리 스스로를 믿어요

  • @yunsuckyeol
    @yunsuckyeol Před 2 měsíci +325

    한국이 자랑하던 교육이 이젠 행복을 저지하는 큰 원인이 되었고 신자유주의의 무한경쟁이 불행을 가속화시켰다고 생각합니다.
    이제는 성장보다 중요한 가치들에 대해 다시금 집중할 필요가 있지 않을까 싶네요.
    한강의 기적은 이제 철학과 의식의 균형 발전이란 새로운 기적으로 치환될 때가 되었습니다.
    지금 이대로 가면 대한민국의 미래는 불투명할 게 자명합니다.

    • @yelown
      @yelown Před 2 měsíci +29

      불투명이 아니라 어둡다고 감히 말하고 싶네요

    • @dlsrksguadhX
      @dlsrksguadhX Před 2 měsíci +8

      원래 역사를 보면 칼로 흥한자 칼로 망하는게 반복되는 사이클이라 그 자체를 어떻게 할 수 없는데...(장점이 나중에 단점이 되는거는 무한하게 반복 반복되는 역사)

    • @suchulpark8522
      @suchulpark8522 Před 2 měsíci +18

      우리나라가 뭔 신자유주의..; 우리나라만큼 규제많고 해고 못하게 하는 나라가 어디있어서 뭔 신자유주의입니까 ㅋㅋㅋㅋㅋㅋㅋ 정작 미국은 우리보다 근속연수도 높고 선택지도 많은데

    • @Anthony_Davis
      @Anthony_Davis Před měsícem +7

      ​@@suchulpark8522 이 말이 맞죠. 신자유주의와 사회주의를 국지적으로 도입했는데 일관적으로 아우르는 한국만의 철학이 없다보니 양쪽의 단점을 모두 감당하기 힘들어하는 것 같아요. 철학이 있다면 왜 우리가 체제의 단점을 감당하려고 하는지에 대한 합의점이 생기리라 생각합니다. 종교가 다양한 우리나라에는 사회를 통합할 공통된 철학이 절실합니다.

    • @suchulpark8522
      @suchulpark8522 Před měsícem +1

      @@Anthony_Davis 개인을 망각한 욕심만을 배설해온 인간들이 그게 무슨 대단한 유교랍시고 스스로에게 그리고 자식들에게 거짓말을 해온겁니다. 시장에 대한 이해도 없이 이렇게 왔죠. 맨날 뭐 망한다 망한다 하지만 그렇게 쉽게 망하지 않죠. 애초에 망겜에는 분노도 하지 않죠.

  • @ldh6230
    @ldh6230 Před 2 měsíci +400

    전 한국인들이 무의식적으로 왕조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모두가 신분 상승을 꿈꾸며 공부하는 선비가 되어 있는 것 같아요. 그저 더 높은 요직을 바라며 그 이하는 불행하다고 치부해버리죠. 하지만 명시된 명확한 신분마저 없다보니 맹목적이고 불확실한 상승만 바라보며 발버둥치고 있어요. 그 당시엔 행복하게 살던 상인과 심지어 행복한 노비들도 있었을텐데 말이죠.

    • @despina1022
      @despina1022 Před 2 měsíci +102

      철학의 부재죠. 급하게 성장에만 집중하느라…..

    • @joovali
      @joovali Před 2 měsíci +21

      돈에 미친나라
      -출처 슈카월드-

    • @rantinum
      @rantinum Před 2 měsíci +48

      급하게 성장한 나라다보니 아무래도.. 이젠 좀 전체적으로 성숙해질 필요가 있다고 봐요

    • @user-cj7tv5rw2k
      @user-cj7tv5rw2k Před 2 měsíci +19

      급격한 발전에 따른 부작용이기 때문에 누구의 잘못도 아니고 어쩔수없다고봄. 신분상승에 대한 욕구가 없었다면 여기까지 못왔을듯

    • @yadontthink
      @yadontthink Před 2 měsíci

      대학의 뿌리인 철학과가 취업 안된다고 폐과 시키는 나라에 무슨 철학적 사고와 의식의 육성이 가능하겠음 그냥 천박한거야 돈 많으면 형이라 그러는 행태나 젓가락질 테이블 매너 지적하면 꼰대라 그러고 밥만 잘먹으면 되는거 아니냐고 오히려 지적하는 사람을 ㅂ신만들고 코인 부동산 주식 등 한탕주의에 빠져있는건 덤이고 그 와중에 법과 제도도 삐꾸라서 특히 사기꾼에 대한 처벌이 솜방망이니 사기 수십억치고 몇년 들어갔다 나오면 연봉 몇억 아니냐는 진짜 기도 안찰 소리들이 나오는게 참 착잡하다

  • @user-rm7gi5yq1k
    @user-rm7gi5yq1k Před měsícem +134

    이 인터뷰를 보고 참으로 격세지감을 느낍니다.
    70년대 초반에 태어난 우리세대는 한국에 태어난 것을 불행이라 생각했었고 유럽이나 미국을 부러워 하며 열등감도 컸지요.
    일본을 이기고 싶으면서도 영원히 따라잡지 못할까봐 전전긍긍했고 우리도 선진국에 태어났더라면 얼마나 좋았을까 하는 말들을 고등학교때까지 했었던 것 같아요.
    초등 저학년 시절에는 우리나라를 후진국이라 했고 고학년이 되면서 개도국 혹은 중진국이라 말하지만 실은 여전히 후진국 끝부분에 있다는 걸 다 알았었지요.
    아시아의 네마리 용이니 뭐니 하면서 스스로를 위로했어도 늘 허기지고 부족한 마음이었지요.
    그렇게 살면서 대학시절에는 해외여행도 자유롭고 어학연수도 다니면서 우리도 언젠가는 잘 살겠지 했었던게 약 30년 전이었던 것 같습니다.
    어느 덧 사회생활도 20년 넘게 하고 아들도 대학을 보낸 지금에는 우리나라가 그때와는 비교도 못하게 잘 살게 되어 한국에 태어난 것이 자랑이란 말도 하게 되는군요.
    아들에게 물어봤어요. 한국에 태어나 내 국적이 부끄럽거나 약하게 느껴진 적이 있었느냐고요. 그런 생각은 해본적도 없다고 합니다.
    우리는 언제나 약자로 성장기를 보냈는데 참으로 격세지감을 느낍니다.
    우리세대는 가진 것이 많지 않아 항상 꿈을 꾸었고 갖고 싶은 것도 많았었는데, 아들과 아들 친구들에게 생일선물로 갖고 싶은 것이 뭐냐고 물으면 오랫동안 고민하면서도 딱히 필요한 것은 없다고 합니다. 그러면서도 아이들은 더 많은 돈으로 큰 부자가 될 꿈을 더 많이 꾸고, 정작에 우리가 어릴때 꾸었던 간절하고 소중한 미래에 대한 포부는 크지 않은 것 같습니다.
    성장의 시기에 내가 아이에서 어른이 되듯 우리나라도 해마다 달라져 왔고 내 키가 크는 것만큼 부자가 되어 가는 것을 체험하고 직접 느낀 세대였고 또한 그 성장에 나 또한 한몫을 했다는 기쁨도 있습니다.
    대학을 졸업할 무렵까지도 여학생은 외모가 좋으면 취업도 더 잘되었고 아이를 가지면 퇴사를 종용받던 사회 분위기도 없어져 50이 넘은 아줌마이면서 큰 기업에서 승진도 하면서 살고 있습니다.
    우리가 가졌던 열등감을 아들에게 넘겨주지 않게 열심히 살아온 시간들이 소중하게 느껴지네요.

    • @fireeggkimpaul4758
      @fireeggkimpaul4758 Před měsícem +11

      생각해 보니...80년대 국민학생 때 교실서 석탄 난로 때우던 시절이 생각나네요~ 특히 우리나라를 개발도상국이라고 늘 표현을 했죠!~!

    • @iremindongbudak4968
      @iremindongbudak4968 Před měsícem +10

      운 좋은 세대. 한국인 역사상 전무후무한 세대가 아닌가 싶음

    • @Elin-sw3jd
      @Elin-sw3jd Před měsícem +13

      지금 젊은이들은 힘들어서 저출산하고 있는데...본인 힘든것만 생색내네 본인들이 운좋은 세대였다는건 생각 안하나?

    • @user-gy5ep6bx8y
      @user-gy5ep6bx8y Před měsícem +7

      ​@@Elin-sw3jd그러게요 지금은 출산율 0.6 시대인데...어른들은 자기네들이 운좋은 시대였다는걸 모르고 자기네들이 힘든 시대를 살아서 좋은 시대를 만들었다고 믿고있죠. 실제로는 옛날이 기회가 넘치던 시대였고 지금은 희망 없는 시대가 됐죠.

    • @fjfjjjffjj2fffk
      @fjfjjjffjj2fffk Před měsícem +8

      관점의 차이인데 이전 세대가 열심히 산다고 다음 세대에 좋은 것을 주는 것 같진않네요. 무엇을 남겨줄 것인가를 생각하고 방향을 잘 정해 열심히 살았으면 어떠했을까~ 공존이죠.. 앞으로 별 도움 안되는 부동산, 교육에 미쳐 있는걸 보면 주입식 교육, 개도국의 한계인가 싶기도 하구요.

  • @BreakThing-yr6gp
    @BreakThing-yr6gp Před měsícem +101

    안녕하세요 조승연 작가님, 웬만하면 댓글 잘 안다는 샤이팬입니다... 이번 영상은 정말 많은 생각을 하게 되는 영상이었습니다. 전 세계은행 김용 총재님의 안목이 여러 방면에서 뛰어나다는 것을 느끼게 해주었지만, 무엇보다 카나리아 이야기 나올때 우리나라의 방향을 생각해볼 수 있던 기회가 되었던것 같습니다. 지금 대한민국 국민들이 세금 1원 하나에 집착하고, 집값이니 물가이니 신경 쓰게 하는 현 상황이 너무 안타깝고 거시적인 안목이 부족한 현 상황이 마음이 아프기만 했습니다. 모두에게 개인의 방향과 국가의 정치적 경제적 방향을 한번 더 관심가지게 되는 계기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네요.

    • @deo4800
      @deo4800 Před měsícem

      친구를 만나느라 샤샤샤

    • @LSW-qw7oi
      @LSW-qw7oi Před měsícem

      개혁신당 가자

  • @user-mw2gk5ly1p
    @user-mw2gk5ly1p Před měsícem +58

    한국에서 우울증 시달리다 이민결정을하고 유럽에 정착했는데 한국에서 살때보다 돈은 훨씬 없지만 정신적.마음적 여유를 찾게되서 개인적으로 이민결정을 제일 잘했다고 생각합니다.
    한국은 산후조리원, 키즈카페 처럼 출산/육아를 위한 시설이 구축이 잘 됐어요. 유럽,미국 어디에도 산후조리원이나 키즈카페는 들어본 적이 없거든요. 산후조리 개념은 있는데 보통 2-3일 입원하고 집에서 각자 몸조리합니다.
    다만 시설은 좋으나 사회적 인식/시선/배려가 훨씬 부족하다고 느끼는 지점에서 한국은 아직 선진국은 아니라고 느꼈습니다. 좀 더 배려해주고 남들과 비교하지말고 각자 존중해주고, 물질적인 욕심을 좀 놓을줄아는 사람들이 많아지면 좋겠습니다

    • @user-db2fu8gx1x
      @user-db2fu8gx1x Před měsícem +4

      역사적으로 제국주의 식민지 건설해서 다른 무고한 나라들 온갖 단물 쓴물 다 빨아들이면서 큰 나라들이라 진작에 유럽에 대한 환상이나 경외심 따윈 사라진지 오래고요~~ 더군다나 난민, 복지, 치안 등 여러 문제들이 산적해있는게 유럽이라 그럼에도 유럽생활에 이미 익숙해져있거나 더 좋아서 잘 정착하고 계신다면 다행이고요. 앞으로도 그렇게 무탈하게 잘 사시기만을 바랄뿐이에요~

    • @user-mw2gk5ly1p
      @user-mw2gk5ly1p Před měsícem +14

      @@user-db2fu8gx1x 역사적인 부분에선 분명히 유럽전체적으로 잘못된 이념으로 비극이 생긴건 맞죠. 하지만 전 그걸 얘기한게 아닙니다. 환상을 말한것도 아니고요. 치안은 확실히 한국이 안전하다고 말할수있지만, 글쎄요, 개인적으론 유럽에선 여성을향한 몰카범죄가 없어서 그런쪽에서 한국보다 안전하다고 느꼈고요. 난민은, 한국이 좀 더 글로벌적으로 커져야 논할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조금씩 글로벌적으로 되어가고있지만요. 분명히 나쁜점/좋은점이 다 있고, 개인마다 맞는부분이 다른건데 어디서 발끈하신건지 모르겠네요😅
      저에겐 한국사회가 너무 우울했고, 눈치보고, 신경쓰는 삶에 지쳐 유럽에와서 평화를 찾았다고 말한것뿐입니다 :)

    • @ksjsdks
      @ksjsdks Před měsícem +1

      ​​​​​​​​​@@user-mw2gk5ly1p 몰카범죄 운운하는거보니까 페미성향인지 의심되지만 유럽은 대놓고 저지르는 직접적인 성범죄도 많을텐데요? 거기도 미국처럼 흑인난민인구비율도 높고 독일이 가장심하지만 아시안에 대한 인종차별은 말도 못하게 심할겁니다 당신은 아니라고 반박하겠죠 ㅋㅋㅋ 성매매도 합법화된 나라들이 몇몇 있는데 개낸 뭐가 아쉬워서 아시아 아줌마를 보려고 몰카를 하겠습니까. 반드시 죽을때까지 유럽에서 사세요.

    • @Poolib259
      @Poolib259 Před měsícem

      ​​​@@user-mw2gk5ly1p저런 댓글에 진지하게 반박해야 할 가치를 느끼시는걸 보니 몸만 외국으로 이동했을 뿐, 정신은 한국을 못벗어난것 같습니다.

    • @user-gk8vg6ph6b
      @user-gk8vg6ph6b Před měsícem +8

      얘들아 그냥 자신의 상황을 쓴것뿐인데 여기서도 남행복한 꼴 뵈기싫어서 온갖 전문적인척 하며 ~~~ 이러고 앉아있네.. 선민의식 뒤집어 씌우고 말하는 좁은시야로 남의 생각을 신랄하게 비꼬고 평가하는 모습이 우리나라는 아직 멀었다는 생각이 든다 ㅋㅋㅋㅋㅋㅋ

  • @soysauceywasabi
    @soysauceywasabi Před 2 měsíci +309

    승연님만의 멋진 방법으로 중요한 문제 제기를 하시는 군요. 전직장이 세계은행이었던지라 영상 흥미롭게 시청했습니다. 마침 오늘 마다가스카르 출신의 프랑스 친구와 점심 먹으면서 비슷한 대화를 나눴는데요. 우리가 잊고 살지만 정말 중요한 게 뭘까라는 주제였죠. 저희의 결론은 국적이었습니다. 어디서 태어나느냐가 엄청나게 많은 것들을 결정하니까요.
    총재님께서 언급하신 르완다 중산층 예시를 곱씹어보게 됩니다. 잘 못 사는 나라에 태어난다는 건 내가 나라로부터 받을 수 있는 혜택이 균질하지 못하다는 것을 뜻하는 것이겠지요, 교육의 기회가 있더라도 의료가 열악하면 말짱 도루묵인 것처럼요. (실제로 제 가나 친구는 외교관 집안 금수저지만 의료 사고로 인해 아이가 1살이 되기 전 하늘나라로 보내야했습니다ㅜ) 그렇기에 미국 하층민에 비교해 비등하다고 하신 거겠구요.
    이 영상을 보고 있는 우리는 일단 한국에 태어난 것만으로도 엄청난 행운임이 분명한데.. 우울증과 물질에 대한 집착과 비교는 어떻게 사회적으로 극복해나가야할지 참 어려운 문제네요.
    늘 깊게 생각할 만한 좋은 영상 만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승연님

    • @atlantisssssssss
      @atlantisssssssss Před měsícem +24

      학생시절 가나출신 장관아버지를 둔 부유층 친구와 중국 고위공직자 아버지를 둔 친구가 하나씩 있었는데 그 친구들과 문득 "이 학교에 다니는 세계 각지 출신들은 자국의 평범한 사람들과 더 동질감을 느낄까, 아니면 타국 출신 친구들과 더 동질감을 느낄까?" 라는 주제로 이야기를 나눈 기억이 납니다. 당시에 생각하기로 후진국일수록 엘리트계층이 평범한 자국민보다 선진국의 엘리트 계층과 더 동질감을 느끼는 경향이 있고 이것이 높은 부정부패와 낮은 시민의식에 영향을 끼치는것 같다는 결론에 도착했었습니다.

    • @user-wh4nr2ez5y
      @user-wh4nr2ez5y Před měsícem +1

      원글과 댓글 수준이 대단하네요^^

  • @yoonsiklevijoo9255
    @yoonsiklevijoo9255 Před měsícem +44

    한국이 탄광 속의 카나리아라는 말이 엄청 새로운 시각이네요 다른 나라들도 직면하고 있으니 우리나라를 관심있게 지켜보고 있는거군요...

  • @vinchoi-qi6mj
    @vinchoi-qi6mj Před 2 měsíci +208

    김총재님의 우울증이 하루 담배 15가치 피우는것과 같다라는 말씀은 정말 충격적이네요
    저출산율, 과소비, 과한 교육열 등 심각성을 적나라하게 일깨워주는
    귀한 승연님의 영상 감사드립니다

    • @TaeLi-lz8wz
      @TaeLi-lz8wz Před měsícem +7

      담배는 외로움 이야기지 우울증 자체에 대한 이야기는 아니었어요

  • @thomalsuon
    @thomalsuon Před měsícem +29

    우리나라가 남 눈치를 많이 보는 이유는 소매치기 감소 사례에서도 보듯이 어렸을 때부터 자기 주장을 갖도록 교육되지 않았기 때문인것 같다
    의무교육과 교육열은 크지만 당위성과 주도성이 없어서 사람들은 공허해지고 기계로 전락하는 듯한 상실감이 커지는 것일지도
    외국인들은 I think, 위주의 토론식 수업을 많이하고 대화에서도 많이 드러나는데
    우린 개인의 생각을 존중하지 않고 옳음을 주장하려고 한다. 수직적인 유교식 사상에 지친걱 같다 다들
    우울에서 벗어나려면 자신의 속도와 주장을 갖고 믿음을 가지도록 훈련받거나, 어릴때부터 교육을 받아야 한다
    이렇지 않은 부모에게선 비슷한 자식이 생길 확률이 크고 그런 방식으로 교육받을 가능성이 크기 때문

  • @Kokuma4885
    @Kokuma4885 Před 2 měsíci +72

    이야 세계은행 전 총재 분, 어휘 선택이나 문장구조가 교과서에 나올 법할 정도로 대단합니다. 다른 의미로 인상적인 인터뷰네요

    • @gganzinga
      @gganzinga Před měsícem +2

      영어 공부하기에도 좋은 컨텐츠네요😊

    • @minum6867
      @minum6867 Před 14 dny

      막상 월드뱅크에서 평가는 매우 별로였고, 사임할 당시도 문제가 있어서 FT에서 기사로도 다뤄졌습니다

  • @user-nh7xq8ho1r
    @user-nh7xq8ho1r Před 2 měsíci +148

    가장 물질적인 나라라는 것이 와닿네요 요즘 많은 사람들이 지적하는 바인 것 같습니다. 인스타그램 같은 SNS의 폐해가 사람들의 정신을 갉아먹고 있는 것 같아요. 물질을 소유하지 못하니 비교하고 좌절하고 정신이 피폐해지는 것 같아요 이 지독한 물질주의에서 어떻게 벗어날 수 있을까요?

    • @user-cy4hp4fr5x
      @user-cy4hp4fr5x Před měsícem +12

      마음을 비우면되지 않을까요? 어떤게 진정한 가치인지 생각해보고, 좋은가치만 남겨두고 불필요한 가치는 버리는 연습을 하면. 알맹이만 남지 ㅇ낳을까요?
      자존감이 높으면 물질에 큰 관심이 없대요.
      나르시즘이 있는 사람들 중 물질에 관심없는 사람이 많아요.
      자신의 성공이나 이상을 더 중요하기 생각하기 떄문..
      sns에 관심 없는 사람도 많이 봤어요.
      불필요하다고 느끼는거죠..
      즉 sns나 미디어에 지배당하지 않는 주체적인 삶을 사는 사람이 되어야 좋은거 같아요.

    • @joam5654
      @joam5654 Před měsícem +20

      무엇이 자신의 진정한 행복인지 몰라서 그러는거에요.
      내가 뭘할때 행복한지 모르니까
      그냥 남들이 해서 좋아보이는거 자꾸 따라하려고 해요.
      나도 남들 따라하면 행복해질 수 있을까봐.
      근데 아니거든요.
      사람은 각자의 행복이 모두 다른데
      자꾸 남의 행복을 따라하려고 하니까
      본인의 삶이 재미없고 인생에 회의감을 느끼는거라고 생각합니다.
      한국사람들은 남들의 행복이 돈, 물질에서 나온다라고 생각하니까 자기도 행복해지고 싶어서 계속 돈에 집착한다고 생각합니다.
      근데 돈이란건 어느정도 수준을 충족시키면
      더이상 돈에서 행복을 얻는건 한계가 있거든요.
      물질이라는 건 초반엔 새롭고 신선하지만 나중엔 익숙해지고 결국엔 싫증이 납니다.
      결국 중요한건 자아실현.
      내가 행복한 일을 하는게 가장 높은 삶의 만족도를 줍니다.
      외부의 물질이나 돈이 아니라 내 안에서 스스로 삶의 행복을 창출해낼 수 있게 되면 그건 무한히 가능합니다.
      인생을 행복하게 살고싶으면 남들 눈치보지 말고 내가 행복함을 느끼는 일을 하면서 즐겁게 살아가면 됩니다.

  • @seonardoalacarte8091
    @seonardoalacarte8091 Před měsícem +103

    어쩌면 내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유튜브 영상을 본 것일지도 모른다

  • @jihojio2118
    @jihojio2118 Před 2 měsíci +36

    전국민이 봤으면 하는 인터뷰네요

  • @gracelee4432
    @gracelee4432 Před měsícem +18

    김용 총재님의 훌륭한 고견에 감사드립니다. 교육이 한국의 성장과 발전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는 총재님의 발언에 전적으로 동의합니다. 필리핀이나 아프리카, 남미의 예를 봐도 정권이 부패한 국가에서는 정부가 독재 정권을 확립하기 위해 정책적으로 국민들이 제대로 된 교육을 받지 못하도록 합니다. 문맹률을 높여서 지식과 정보를 차단함으로서 그런 나라와 국민은 가난해 질 수 밖에 없죠. 대한민국은 부모들이 자녀 교육을 최우선으로 해서 훌륭한 인적 자원을 확보하게 되었습니다. 행복하고 건강하고 번창하는 나라가 된다는 건 모두가 기회를 가진다는 것. 지속 가능한 성장과 발전은 건강한 사회가 기초라는 결론이 맞습니다. 이제는 대한민국이 근본적인 의식 개선으로 세계1위의 물질 만능주의에서 벗어나 돈과 명품 플렉스로 SNS에 자랑하기 보다는 한 단계 더 높은 수준의 우리 스스로의 내면적 가치에 관심을 두고 인류와 사회를 위해 얼마나 더 의미 있고 가치 있는 공헌을 하면서 사는 지로 선의의 경쟁을 하는 긍정적 성장을 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 @user-xy1so2jd3r
    @user-xy1so2jd3r Před měsícem +8

    정말 좋은 영상입니다. 런던에서 얼마전 귀국한 40대 주부로서 유튜브에 댓글은 처음 써보네요. 그동안 알게 모르게 개인의 행복에 가치를 두고 자녀들을 가르치고 있었고 이 가치관에 한치의 흔들림이 없었어요. 처음으로 개인적 희생을 치르더라도 한번쯤 세계의 안녕에 이바지 하는 삶에 동참하는 자녀로 성장하는것도 가치있겠다 느끼는 영상이었 습니다. 선진 문화와 좋은 환경이지만 이방인의 삶을 살았던 저희 가족에게 한국인으로서 자부심을 느끼고 혜택을 누릴 수 있게 피땀으로 일궈주신 선조들께 감사합니다. 총재님과 승연님의 대화에서 얼마나 많은 경험과 생각 그리고 고민을 하셨는지 통찰력이 느껴집니다. 자기 반성과 많은 생각을 던져 준 영상이라 3번을 돌려보고 국제기구에 근무 했던 남편과 첫째 아이에게도 보여주었네요. 앞으로도 이런 인사이트를 주는 영상 자주 부탁드려요, 항상 지켜보고 응원합니다 👍

  • @jeonghanbyul
    @jeonghanbyul Před 2 měsíci +78

    여러 분야에서 한국은 세계의 롤 모델이 될 숙명을 가지고 있군요. 빠른 발전 속도만큼 사회 문제 또한 빠르게 발전하고 있으니 말이죠... 같이 노를 저어서 배가 가라앉지 않도록 함께 노력할지, 배가 가라앉기 전에 떠나갈지 많은 분들처럼 저 또한 고민하고 있습니다.

  • @leno9329
    @leno9329 Před 2 měsíci +90

    너무 좋은 컨텐츠네요
    자랑스러운 대한민국의 국민이지만 반면에 다들 안에서 곪아가고 있을 걸 생각하면 안타까운 마음이 듭니다.
    다들 행복하세요. 스스로에게 행복한 아주 사소한 것들을 해서라도요.
    그리고 저는 언제나 그랬듯 한국인은 위기를 헤쳐나갈 거라는 믿음이 생기네요.

  • @user-gh4ov7kj9d
    @user-gh4ov7kj9d Před měsícem +35

    사랑하는 사람과 결혼을 하고도 늘 외롭다는 생각을 했네요. 그런데 아이들이 태어나면서 외로움이 사라지는걸 경험했습니다. 나를 닮아 나처럼 행동하고 나처럼 생각하는 아이를 보면서 나의 심리적 불안함이 치유되는걸 경험했습니다. 내 자신을 드디어 이해할수 있었던것 같아요. 그러면서 다른 사람의 시선에 크게 신경쓰지 않게 됐어요. 자식이란 위대한것 같습니다.

    • @user-wh4nr2ez5y
      @user-wh4nr2ez5y Před měsícem +2

      실제로 내 아이를 돌보면서 돌봄 받지 못했던 내면아이가 치료 받죠^^

  • @oguogu5959
    @oguogu5959 Před měsícem +14

    진짜 너무 공감되는 내용들이네요…우리나라는 정말 잘사는 나라지만, 저를 포함해서 주변에 정신적으로 힘들어하는 사람들이 너무 많아요. 비교하는 문화, 중간을 가지못하면 실패한 인생이 되는 삶, 개성을 존중하지 않고 조금이라도 튀면 틀리다고 생각해버리는 것 등등…때문에 항상 불안해하고 초조해하며 살고 이런것들로 인해 우울해지는거같아요. 조금 마음을 내려놓고 너그러운 마음으로 상대와 나의 다른점을 인정하고 나만의 생각과 개성을 드러낼 수 있는 사회가 되었으면 좋겠네요…

  • @user-yl9gu6dq3k
    @user-yl9gu6dq3k Před 2 měsíci +137

    인터뷰 내용이 너무 좋네요. 그냥 평범한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서 체감하고 주변과 의논을 나누긴 했지만 통찰적으로 생각하지 못하서나, 확신을 가지기 어려웠던 문제를 김용 총재님 같은 분의 언어로 정리하여 확신을 가질 수 있게된 것 같아요. 감사합니다 두분!

  • @user-ih4cl6uy2q
    @user-ih4cl6uy2q Před měsícem +15

    올해 본 유튜브 영상중 가장 유익한 영상인거 같아요. 총재님의 말씀대로 우리 나라가 근본적인 변화를 통해 아픈 곳은 치유하고 더 나은 국가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다들 한국과 같은 문제를 겪고 있지만 한국이 이걸 극복해 나간다면 맨날 뉴스에서 주입하는 국뽕컨텐츠보다 더욱 더 강력한 한류가 될 수 있지 않을까요

  • @user-pw4ds1bl1m
    @user-pw4ds1bl1m Před měsícem +32

    정말 좋은 영상입니다. 영어로 진행되어서 영어 공부하기에도 좋고 승연씨의 질문 퀄리티와 총재님의 답변이 조화로운 것 같아요. 어디에서도 쉽게 볼 수 없는 인터뷰를 기획해주셔서 감사합니다. 한국에서 살아가는 20대 젊은이로써 나와 내 주변, 행복한 삶에대해 생각하게되네요.

  • @user-kd8js3qq5l
    @user-kd8js3qq5l Před měsícem +4

    기성 세대 분들을 흉볼 수 없는 이유 중 하나가 그 분들은 확실히 우리와는 세대차이가 나고 꽉 막힌 부분이 없지 않지만 가난해서 세계대출조차 못 받는 우리 나라를 이렇게 성장시킨 분들이라는 것이 너무 감사할 따름. 한국이 첫 세계대출을 "교육"을 위해 받았다는 게 너무 멋있게 느껴지는 부분임. ㅎㅎ 조승연 씨 이런 양질의 인터뷰를 무료로 볼 수 있게 해 주신다는 것에 너무 감사드려요.

  • @leesetsprosperity
    @leesetsprosperity Před 2 měsíci +17

    요즘 너무 우울해서 미치겠는데, 영상보니 다들 같은 마음인 것 같아 위안이 되네요. 모두 건강해집시다!

  • @blackswan6881
    @blackswan6881 Před 2 měsíci +66

    클라스 지린다..

  • @pahkk
    @pahkk Před 2 měsíci +17

    1990년대를 동경하고 또 이시절 출산율 저하가 뚜렷해지는 현상, 저는 이렇게 봅니다.
    기존 교육방식으로 자라난 세대는 무지개 세상이 올줄 알았죠. 정보화시대에 들어서며 다양성이 지극히 강조되는 세상에서 기존의 교육방식과 가치관으로 살아온 사람들에게 세상이 이해되지 않기 시작한 시점 또한 90년대 초중반이라고 봅니다. 따라서 학교와 가정에서 교육혁명이 일단 필요하다고 봅니다. 개인의 자아를 사회의 요구에 따라 틀에 부어 주조하고 쓰임이 끝나면 버림받고 이게 두려워 또 재교육 받고... 이와중에 개인의 타고난 자아는 말살되어 우울해지고 그것을 해결하려 물질적 욕망에 빠져들고.. stigma때문에 정신병원은 가지않고... 일단 죽여버린 개인의 자아를 살려놓고 시작해야 한다고 봅니다. 물론 시간이 걸리겠지만. 긴급처방 그런거 없습니다.

  • @user-lx5nr7lh1x
    @user-lx5nr7lh1x Před 2 měsíci +42

    무작정 돈을 쫒을 필요가 없다는 걸 다시 한 번 깨닫고 갑니다. 너무 좋은 영상이었어요!

  • @erickyee4198
    @erickyee4198 Před 2 měsíci +19

    장말 조승연님은 특별한 콘텐츠를 만듭니다.
    세계적인 거물과 영어로 인터뷰를 해서 우리의 미래를 위해 중요한 요소들을 집어내는 내용이 놀랍습니다.
    높은 역사와 교양적 지적 수요에 적절한 내용을 담아내는 조승연작가의 기획에 감탄도 하고 응원도 합니다!

  • @user-sq9eu5li4l
    @user-sq9eu5li4l Před měsícem +7

    우리나라가 먹고 살만하니까 이런 소리가 나오는 거지... 50~70년대 까지 정말 많은 사람들이 밥도 제대로 못 먹었을 때는 밥만 먹어도 세상 모든 것을 다 가진 느낌이었을 때지... 우리나라가 선진국하고 비교하니까 지금이 불행 한 것 처럼 보이지만 동남아 남미만 가봐도 우리는 정말 행복한 나라에 살고 있다는 걸 알게 된다.

  • @swj4721
    @swj4721 Před 2 měsíci +19

    얼마전 연세대 오셨다 가셨는데 정말 인상 깊었습니다 :)
    항상 통찰력있으셔서 감명 깊었어요.

  • @user-of9lp1gp3g
    @user-of9lp1gp3g Před 2 měsíci +98

    한국이 스스로를 구할 수 있다면 이라는 말을 들으니 지구에 소행성이 부딪히는것만큼의 위기 같은 느낌이네요.
    우리 모두 남과 비교말고 우리 스스로를 돌보며 우리의 모두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단계로 넘어갈 수 있길 기도합니다.

  • @user-ro2ev9ig8z
    @user-ro2ev9ig8z Před 2 měsíci +17

    김용 총재님 완전 미국인인줄 알았는데, 한국에 관심많아서 놀랐네요. 좋은 인터뷰 감사합니다

  • @user-he9nk2ys4r
    @user-he9nk2ys4r Před 2 měsíci +31

    김용 총재님 코난 오브라이언 다트머스대학 연설에서처럼 유쾌하게 잘 웃어주시네요ㅋㅋ

  • @user-jm5pr9yr3n
    @user-jm5pr9yr3n Před 2 měsíci +14

    와.. 너무 감사드려요 두분의 대담을 집에서 시청할 수 있음에요.. 제 살아 생전 유튜브가 없었다면 어디서 이런 이야기를 들을 수 있을까요 대한민국 국민임에 이시대에 같이 공존함에 그리고 승연님께 너무나도 감사드립니다🙏♥️

  • @jinayoung
    @jinayoung Před 2 měsíci +41

    승연님 이런 귀한 인터뷰를 또 흥미롭고 집중되게 진행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이제는 우리가 극도로 높은 우울감과 자살률, 세계 최저 출산률 같은, 국가 존립과 경제성장에 근본적인 위협이 되는 문제들을 해결하는데 다함께 집중해야 될때라고 강조해 주시는 김총재님 감사합니다!
    특히 정신건강 위기를 인식하고 혁신적인 방법으로 해결하는데 다함께 마음을 모은다면,
    우리 사회가 분명히 나아져서 다른 국가들의 롤모델에 될 수 있다고 믿어요💚

    • @jl_0725
      @jl_0725 Před měsícem

      앗 지나영 교수님! 한국의 정신건강을 위해 돌아와주셔서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Rise Together!

  • @no_mle
    @no_mle Před 2 měsíci +12

    성공경험이 있는 우리나라가 다시 위기를 딛고 일어날 수 있다고 믿고 싶습니다

  • @user-yw7gl3ji4t
    @user-yw7gl3ji4t Před 2 měsíci +35

    현재 제기되고 있는 문제들보다 더 근본적인 부분을 긁어주셔서 시원합니다. 나은 미래를 그릴 수 있도록 나 자신의 건강부터 돌아보는 시간이 된 것 같아요.

  • @jeunehomme_jun
    @jeunehomme_jun Před 2 měsíci +26

    최근에 본 영상들 중 가장 집중해서 본 것 같아요. 김용 총재님 부드러운 톤에서도 냉철한 철학과 통찰이 느껴져서 조금도 긴장을 늦출 수 없었어요. 여러모로 많은 생각을 하게 하는 좋은 대담이었어요! 감사해요 ㅎㅎ

    • @gganzinga
      @gganzinga Před měsícem

      진짜 좋은 대담이었습니다👍

  • @user_quhdxr16hf43
    @user_quhdxr16hf43 Před 2 měsíci +23

    유투브에서 이렇게 수준높은 인터뷰를 볼수있다니 정말 놀랍네요~ 승연님의 진면목은 인터뷰할때 나오는 것 같아요. 질문도 대답도 너무 흥미롭고 재미있었습니다. 평소 개발경제학에 관심이 많았고 Why Nations Fail은 인생책 중에 한권인데 인터뷰를 보고나서 새로운 관점을 얻게되었어요!! 정말 감사합니다~😊

  • @therichestmom
    @therichestmom Před měsícem +6

    인터뷰를 보면서 자랑스럽기도 웃프기도 걱정스럽기도 했지만..국민의 문제 해결력도 수치로 나타낼수 있다면 단언컨데 한국이 상위권에 들어갈꺼란 생각이 들어서 긍정적으로 마음을 바꾸고 희망을 가져봅니다. 세아이의 엄마로서 한줄로 줄세우는 교육을 어떻게든 혁신할 방법만 찾아낸다면 모든 엉크러진 실타래의 첫매듭이 풀어지지 않을까 하는생각도 해봅니다.
    많은 생각을 하게 해주신 양질의 인터뷰 감사합니다!

  • @coami6691
    @coami6691 Před 2 měsíci +5

    최고의 자료입니다! 감사해요.

  • @homecat8562
    @homecat8562 Před měsícem +1

    너무 유익한 내용입니다!!

  • @jooeunna
    @jooeunna Před měsícem +4

    좋은 콘텐츠 감사합니다!

  • @hyunmokim3366
    @hyunmokim3366 Před 2 měsíci +8

    잘 봤습니다~!

  • @solitude9362
    @solitude9362 Před 2 měsíci +6

    매우 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 @april5310
    @april5310 Před 2 měsíci +4

    늘 너무 좋은 컨텐츠 준비해주셔서 감사해요 오늘도 너무 유익했습니다!

  • @traderkim260
    @traderkim260 Před 2 měsíci +8

    재미있게 잘 봤습니다. 흥미롭네요 ㅎ

  • @sejinpark4201
    @sejinpark4201 Před 2 měsíci +7

    인터뷰 너무 잘봤습니다. 많은 걸 느끼게 되네요. 감사합니다.

  • @user-uk9td4tw9r
    @user-uk9td4tw9r Před měsícem +2

    굿 영상 내용도 대화 퀄도 넘 좋네여 다 너무 공감가는 이야기였어요

  • @user-rv1dj8zf4y
    @user-rv1dj8zf4y Před 2 měsíci +6

    감사합니다~정말 유익하고 위로되고 열심히 살아야지 라고 느끼게됩니다!!! 모두 힘차게 화이팅!

  • @user-xz9ug6ul6n
    @user-xz9ug6ul6n Před měsícem +3

    아주 흥미롭고 배운 점이 많은 영상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kirbyiskute
    @kirbyiskute Před 2 měsíci +4

    너무 좋은 영상입니다.

  • @minakim6272
    @minakim6272 Před měsícem +1

    오늘 탐구 정말 좋았습니다!

  • @GoogleGoogle-yu9ob
    @GoogleGoogle-yu9ob Před měsícem +3

    흥미롭고도 꼭 필요한 메시지를 주는 컨텐츠! 감사합니다

  • @user-hk8ib3np3i
    @user-hk8ib3np3i Před měsícem +4

    의미가 많은 영상이었네요. 잘 봤습니다.

  • @oh1169
    @oh1169 Před měsícem +1

    고맙습니다♡♡요런 양질의 인터뷰 응원합니다~~❤❤

  • @JaneB
    @JaneB Před měsícem +4

    감사합니다. 너무 재밌고 유익했어요!!❤

  • @user-ml2ov8vo3g
    @user-ml2ov8vo3g Před měsícem +4

    정말 소중하고 값진 영상 입니다.

  • @minsoolee7540
    @minsoolee7540 Před 2 měsíci +9

    오늘의 영상은 특히 더 여러 번 돌려봐야 할 것 같은 영상이네요! 감사합니다!

  • @user-dq6do3ri4o
    @user-dq6do3ri4o Před 2 měsíci +4

    너무너무 좋았던 시간이고 바로 리플레이 하고 있는 중!!!

  • @jeeyounglee1811
    @jeeyounglee1811 Před měsícem +4

    너무 유익합니다! 열씨미 메모하면서 봤습니다.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 @soohyunkim6594
    @soohyunkim6594 Před 2 měsíci +3

    많은거 얻고 갑니다..

  • @chu9928
    @chu9928 Před 2 měsíci +7

    와... 오늘 영상 정말 흥미로웠어요!!! 오랜만에 집중해서 본 영상인 것 같아요, 감사합니다!

  • @silvert7954
    @silvert7954 Před 2 měsíci +17

    너무 맘에 와닿는 인터뷰네요~

  • @petitesirah
    @petitesirah Před měsícem +4

    상당히 감명깊은 인터뷰였습니다!!

  • @user-bm4tj4yf5w
    @user-bm4tj4yf5w Před měsícem +2

    매번 흥미롭고 재미있는 주제들이 늘 기다리게 합니다! 오늘도 재미있게 시청했어요!!

  • @giraffe199
    @giraffe199 Před měsícem +4

    너무좋은말씀 감사합니다 마지막 멘트는 뭔가 감동적이네요

  • @JB-ue9tr
    @JB-ue9tr Před 2 měsíci +4

    오늘 주제 역시 참 의미있고 흥미로운 부분들이 많았던 것 같아요. 감사합니다😊

  • @davidcha1187
    @davidcha1187 Před 2 měsíci +5

    Amazing interview. Thank you !

  • @user-cc1ix6wv9x
    @user-cc1ix6wv9x Před 2 měsíci +16

    못참지

  • @user-xk3mm7ld5t
    @user-xk3mm7ld5t Před měsícem +2

    와 역시 조승연님의 탐구생활💘👍🏻 너무 좋습니다!!!!!!!❤

  • @rickp4812
    @rickp4812 Před 2 měsíci +32

    유산소 타면서 들었는데 너무 듣기 편하고 내용도 좋네요
    그리고 이제껏 한국의 저출산과 여러 사회문제들에 대해서만 생각해봤는데 그것을 극복해 낸다면 세계 여러나라의 롤모델이 될 것이라는 단계까지 생각해보니 마냥 부정적인 상황은 아니라는 생각도 드네요
    사실 속도의 차이지 한국의 문제는 여러 선진국들과 전세계에서 공통적으로 보여지는 현상이니까요
    부디 나라의 지도자들과 여러 기관들이 미래에 대한 청사진을 그리고 해결책을 제시해서 한국이 가라앉는 배가 아닌 더 나아가는 미래가 그려졌으면 좋겠네요

    • @peachfurfect2735
      @peachfurfect2735 Před měsícem +1

      그럴리가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 이미 극복 불가 수준이죠. 루피가 웁니다

  • @jaemyeongchoi4421
    @jaemyeongchoi4421 Před měsícem +8

    정망 좋은 영상 제공해주셔서 감사합니다. 김용총재님이 언급하신 국가 발전에 있어서 교육투자의 중요성을 보면 생각한 점이, 우리나라는 유교적 사상을 모든 국민이 베이스로 갖고 있었고 그렇기 때문에 당시 독재를 하던 지도층도 국가 교육수준 향상에 당연한 심리적 의무를 가졌건 거라 생각합니다. 아프리카나 남미의 많은 빈곤 국가들이 경제발전에 실패한 이유는 아마 해당국가들은 지도층의 현상 권력유지가 국가의 보편적 교육수준 향상보다 우선하였기 때문이라고 생각이 드네요. 보편적 교육 수준의 상승은 자연스럽게 높은 확률로 민주화로 이루어지고 지도층에 대한 견제로 연결되지만, 당시 우리나라 지배층은 수백년에 걸쳐서 내재된 유교적 교육최우선주의 문화 그리고 그에 대한 심리적 의무에 영향을 받아 국가 정책적으로도 교육발전에 최우선을 든 것 같습니다. 또한 해당 문화는 국가의 정책적 노력뿐아니라 개인의 교육추구에도 큰 영향을 끼치며 보편적 교육수준 향상을 이끌었고요.
    이러한 유교적 선비주의 가치관은 최빈국의 국가를 선진국의 반열에 올려놓는데 성공을 했습니다. 하지만 해당 반열에 오르고 보편적 교육수준의 큰 향상 이후, 현재 우리를 발전시켰던 유교적 가치관은 유교의 다른 특징은 체면우선주의와 결합하여 우울증 및 저출산, 과도경쟁주의를 야기하며 국가 생산성 및 미래 발전 가능성을 저해하고 있는 점이 흥미롭습니다.
    퀄리티 높은 영상을 매번 제공해주시며 사유의 시간을 갖게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앞으로도 계속 좋은 영상 기대하겠습니다.

  • @user-tf9tz7og2x
    @user-tf9tz7og2x Před měsícem +4

    너무 좋은 컨텐츠 였습니다❤

  • @ddalki11
    @ddalki11 Před měsícem +3

    정말 유익한 에피소드였습니다!!
    한국이 직면하고 있는 모든 문제들을 얘기해주셨어요👏👏

  • @gganzinga
    @gganzinga Před měsícem +3

    두고두고봐야할 인터뷰입니다. 양질의 컨텐츠 정말 감사합니다🙂👏🏻

  • @user-uf4hf8cp7o
    @user-uf4hf8cp7o Před měsícem +2

    항상 재밌는 컨텐츠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 실물도 너무 멋있으신거 같아요!

  • @alohaaloha2384
    @alohaaloha2384 Před 2 měsíci +10

    와 오늘 인터뷰 정말 좋았습니다 ㅠㅠ 역시

  • @ianlian7
    @ianlian7 Před měsícem +14

    한국인의 37%가 우울증이라니, 한국 사회가 그만큼 병들었다는 증거겠죠. 오늘 대담처럼 교육에 쏟았던 창의력+집중력을 국민 정신건강을 위해 투자하기를! 그래서 "질적"으로 성장하고 진정 행복한 미래가 있는 나라되길 간절히 바랍니다. 후진적인 정치분야에도 새바람과 개혁이 일어나길! 귀한 인터뷰 감사합니다❤ 국민모두의 평화로운 삶을 위해 성실하고 책임감있게 일할 일군들이 선출되길!

    • @walkwithme4245
      @walkwithme4245 Před 6 dny

      37%보다 더 많겠죠..OECD 자살율 1위 잖아요..
      정신과 병원 가봤자 어차피 그 세대가
      약 처방 병원비 받을뿐, 전혀 도움될 거 없습니다.

  • @hs-rg4pi
    @hs-rg4pi Před měsícem +1

    데이터 기반 정확한 판단과 전망에 감사드립니다.
    유사한 기획으로 더 발전되면 좋겠다는 희망입니다

  • @jkkang4276
    @jkkang4276 Před měsícem +3

    이 시점에 이런 컨텐츠! 역시! 라며 감탄하면서 봤습니다! 현명한 조승연님의 선택에 감사드립니다^^

  • @eva4eva466
    @eva4eva466 Před 26 dny

    영상 잘봤습니다^^ 감사합니다!! 마음과 정신까지 건강한 대한민국의
    미래를
    기대합니다🙏

  • @user-tp3jw2rl6q
    @user-tp3jw2rl6q Před měsícem +1

    많은 영감을 얻은 영상이었습니다!!

  • @user-ht2qj4gv9q
    @user-ht2qj4gv9q Před měsícem +7

    인터뷰 내용 너무 좋았습니다. 이런 유튜브 내용은 떡상하면 참 좋을것 같습니다~~

  • @victoriarunnow2028
    @victoriarunnow2028 Před měsícem +1

    great and absolutely needed interview!

  • @jiheyikang2582
    @jiheyikang2582 Před měsícem +1

    와우!! 너무 좋은 내용이었고 조승연씨의
    기획력그리고 영향력에 대해 다시
    인정한 인터뷰였어요

  • @natekim6694
    @natekim6694 Před 20 dny

    와우 좋은 인터뷰 감사합니다.

  • @joe-kim9514
    @joe-kim9514 Před měsícem +1

    탐구생활덕에 김용 총재님 말씀을 다 듣네요 감사합니다

  • @0-0a.
    @0-0a. Před měsícem

    아주 유익하게 잘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hl5mh1or2y
    @user-hl5mh1or2y Před měsícem

    정말 이번편은 배울점이 너무나도 많네요. 이 영상으로 영어공부를 해야겠어요. 몇번이고 돌려돌려 봐여하는 영상이에요.

  • @sinko0202
    @sinko0202 Před měsícem +1

    이번 주제 너무 좋네요. 많은 영감을 받았습니다

  • @amaruvet4698
    @amaruvet4698 Před měsícem

    너무 좋은 인터뷰 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