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에게 뇌가 존재하는 이유: 움직임

Sdílet
Vložit
  • čas přidán 13. 04. 2024
  • 현대 뇌과학자들은 인간에게 뇌가 존재하게된 근본적인 이유가 움직임에 대한 예측을 하기 위해서라고 봅니다.
    자기 움직임에 대한 결과를 예측하고 그에 따른 적절한 의도를 생성해내야 주어진 환경 속에서 적절한 움직임을 효율적으로 해낼 수 있기 때문입니다.
    움직임에 대한 이러한 예측과 예측 오류를 최소화 하는 능동적 추론을 담당하기 위한 기관이 뇌입니다.
    나아가 움직임을 위한 "의도"의 생성을 위해 뇌가 지니게 된 독특한 기능이 바로 의식(consciousness)입니다.
    환경 속에서 움직임을 통제하고 조율하며 결과를 예측하려면 일정한 '주체'(agency)가 떠오르게 되는데 그것이 곧 자의식(self-consciousness)입니다.
    뇌과학자들은 스스로의 움직임에 대한 '중앙화된 예측(centralized prediction)'이 곧 자아의 본질이라고 봅니다.
    '나'는 나의 움직임을 예측하고 조절하는 존재입니다.
    이것이 바로 마음근력 훈련의 핵심에 '움직임'이 있는 이유이고,
    마음근력을 강화하기 위한 내면소통 명상의 핵심에 움직임 명상이 있는 이유입니다.
    (출처: 내면소통 480 - 488)
    내면소통의 움직임 명상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움직인다는 것이 우리 의식과 뇌에 있어서 얼마나 근본적이고 본질적인 문제인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동물에 뇌가 있는 이유는 ‘움직임’ 때문이다.
    식물은 움직이지 않기 때문에 뇌가 필요하지 않다.
    지나스는 고착성 해양동물인 우렁쉥이류의 예를 든다.
    우렁쉥이류의 대표적인 것이 멍게다.
    멍게는 동물임에도 마치 식물처럼 평생 바위에 붙어서 살아간다.
    따라서 뇌가 없다. 그러나 멍게는 동물이다.
    알에서 깨어난 어린 시절에는 올챙이처럼 자유롭게 헤엄치며 다닌다.
    올챙이 시절의 멍게는 주변의 환경을 인지하는 감각신경도 있고, 빛을 감지하는 신경계도 있으며, 원시적인 척추도 있고, 당연히 뇌도 있다.
    움직이기 때문이다.
    성장한 후에 적당한 바위를 찾은 멍게는 자기 머리를 바위에 파묻고 고착된다.
    그러고는 평생 같은 자리에서 살아간다.
    따라서 움직일 필요가 없고 뇌도 더 이상 필요하지 않게 된다.
    바위에 고착된 멍게는 곧 자기 뇌와 척수를 소화해서 흡수해 버린다.
    스스로 자기 뇌를 먹어버리는 것이다.
    멍게의 성장 과정은 동물의 뇌와 신경계가 바로 ‘움직임’ 때문에 존재한다는 것을 분명히 보여준다.
    우리의 뇌에는 움직임과 관련된 예측을 계산하는 내적모델이 있다.
    특정한 움직임을 하기 전에 내적모델은 미리 움직임을 계획하고 마음속으로 흉내를 내어 움직임의 결과(가령 손의 위치와 속도 등)를 예측한다.
    이러한 내적모델 덕분에 우리 몸은 특정 상황에서 좀 더 빠르게 반응할 수 있다.
    만약 내적모델 없이 외부자극에 의한 피드백만으로 움직임을 조절한다면 반응하는 데 상당히 오랜 시간이 걸릴 것이다.
    내적모델은 또한 ‘예측과 결과의 차이’라는 피드백을 제공한다.
    이러한 예측오류를 수정하는 과정을 통해 인간은 움직임에 대한 지속적인 학습 기회를 얻는다.
    내적모델의 존재는 간지럼 실험을 통해서도 입증되었다.
    내가 내 손바닥을 건드리는 것은 별로 간지럽지 않으나 다른 사람이 같은 자극을 주면 간지럽게 느껴진다.
    그 이유도 바로 감각-운동 신경계와 관련된 예측 모델 때문이다.
    내가 내 손바닥에 어떤 자극을 줄 때 나는 나의 손가락을 스스로 움직이는 것이기 때문에 내 손가락의 움직임이 어떠하리라는 것을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다.
    따라서 간지럽게 느껴지지 않는다.
    반면에 다른 사람이 자극을 줄 때는 내가 그러한 움직임을 예측할 수 없으므로 간지럼을 느낀다.
    이를 입증하기 위해서 월퍼트 연구팀은 로봇팔을 통해서 피험자가 자신의 손바닥에 자극을 주는 일련의 실험을 진행했다.
    ...
    이 실험을 통해 알 수 있는 것은 내가 나를 간지럽히느냐 아니냐가 간지러운 정도를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능동적 추론 시스템이 주어진 자극을 어떻게 해석하느냐가 간지러운 정도를 결정한다는 점이다.
    자기가 자기 손바닥을 간지럽히는 상황에서도 그러한 자극이 시간 차이를 두고 전달되거나 방향을 바꿔 전달되면 그 자극은 뇌가 예측하는 것과는 다른 감각정보를 전달해주기 때문에 간지럽게 느끼는 것이다.
    손바닥 간지럽히기 실험을 통해 월퍼트 교수는 움직임과 자극에 관한 추론을 담당하는 내적모델이 분명히 존재한다는 것을 입증했다.
    움직임과 시공간 인식
    현대 철학자들은 인간의 본성을 몸에서 찾는 데서 한걸음 더 나아가 몸의 움직임 자체를 지각 및 인지와 통합해 인간 본성의 기반으로 보기 시작했다.
    움직임에 대한 이러한 접근은 철학뿐 아니라 생물학과 진화론의 관점에도 매우 중요한 분석의 틀을 제공하며 뇌과학에도 많은 시사점을 준다.
    특히 인간 의식에 경험의 조건으로서 선험적으로 주어진다고 여겨졌던 칸트식의 시간 개념 역시 움직임에서 비롯된 것이다.
    공간이 있기에 움직인다기보다는 움직임의 가능성이 공간이라는 개념 자체를 만들어낸다.
    시간이 흐른다기보다는 나의 움직임에 대한 의도와 움직임의 결과 사이의 인과관계를 시간의 흐름으로 느끼는 것이다.
    움직임은 물론 공간을 전제로 한다.
    그러나 뇌가 공간을 인지할 수 있는 것은 움직임을 통해서다.
    공간은 그 자체로는 인지되거나 경험되지 않는다.
    공간은 인식의 직접적 대상이 아니다.
    우리는 공간을 점유하는 사물과 그 사물의 움직임을 경험할 수 있을 뿐이다.
    이러한 움직임이 공간에 대한 감각을 생성해낸다.
    움직임의 가능성이 공간을 생성해낸다.
    의식이 움직임의 가능성을 공간으로 추론해내는 것이다.
    ...
    공간이 있기에 움직일 수 있다기보다는 움직일 수 있는 가능성을 공간이라고 추상화하는 것이다.
    즉 움직임과 움직임의 가능성이 공간을 만들어낸다.
    움직임이 전제되지 않는 공간이란 없다.
    마치 시각중추가 전제되지 않는 빛이란 없으며, 청각중추 없이는 소리가 없는 것과 마찬가지다.
    또 공간은 아무것도 없이 텅 비어 있는 것이 아니다.
    우주에 텅 빈 공간이란 없다.
    우주는 에너지로 가득 차 있다.
    물질과 반물질, 에너지와 암흑에너지(dark energy)로 가득 차 있다.
    우주에 ‘아무것도 없음’이란 없다.
    텅 빈 공간이라는 것은 움직임의 가능성에 의해 구성된 지극히 인간적인 개념에 불과하다.
    공간을 공간 자체로 이해하기란 어렵다.
    소리 없이 고요함을 고요함 자체로 이해하기 어려운 것과 마찬가지다.
    소리의 경험이 있어야 고요함을 알아차릴 수 있다.
    문득 소음이 멈췄을 때 비로소 고요함을 느낄 수 있다.
    소리의 부재만이 고요함을 탄생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사물의 부재에 대한 경험이 공간의 경험을 만들어낸다
    ...
    움직임 명상은 움직임의 고요함과 공간감에 대한 알아차림을 통해서 진짜 ‘나’를 찾아가는 훈련이다.
    움직임에 대한 자각은 항상 ‘지금 여기’에서 일어난다.
    움직임 명상의 핵심을 한마디로 요약하고 있는 시츠-존스톤(Maxine Sheets-Johnstone)의 말을 들어보자.
    “움직임은 정지되어 있음(stillness)이 없는 지속적인 고요함의 현존(continuing presence of silence)”이다.
    고요함은 그래서 다이내믹하다.
    역동적인 호흡이 그 고요함을 관통한다.
    살아 있는 전체로서의 몸의 역동성이 고요함을 관통한다.
    그 역동성은 살아 있는 의미이고 몸으로 느껴지는 공명이며 몸에 의해서 드러나는 공명이다.
    그렇기에 움직임의 고요함은 강력한 힘을 지닌다.
    움직임에 대한 예측과 결과에 대한 의미부여는 의식으로 하여금 과거와 미래라는 개념을 갖게 한다.
    시간의 축이 선험적으로 먼저 존재하고 그 맥락에서 움직임이 이뤄진다기보다 움직임에 대한 추론과 스토리텔링이 과거와 미래라는 개념을 만들어내는 것이다.
    의식이 없다면 시간도 없다.
    시간은 스토리텔링의 산물이다.
    시간이나 공간은 인간의 의식으로부터 독립적인 것도 아니고 문화적으로 보편적인 것도 아니다.
    지구상 언어의 절반가량에는 과거나 미래형 시제가 없다.
    예컨대 아마존 지역이나 호주 원주민 부족들은 사물이나 사건으로부터 독립된 시간의 개념이 없다.
    이들 문화에는 사건이나 사물의 순서와 관계만 있을 뿐 시간이라는 개념이 따로 없다.
    시간이나 공간이라는 개념은 인간의 경험에 대한 의식의 독특한 모델링 결과라고 보는 것이 옳다.
    물리학자 로버트 란자(Robert Lanza)가 간결하게 요약했듯이, 시간이나 공간은 물리적이고 객관적인 실체가 아니라 인간의 의식이 창출해낸 ‘생물학적 실체’다.
    란자에 따르면 우리가 경험하는 사물은 물론이고, 그러한 사물이나 사건이 존재하는 시간이나 공간마저도 우리의 의식에 의해서 생산된 하나의 틀(matrix)이다.
    하나의 생명체는 그 자신이 이 우주의 중심이다. 좀 더 정확히 말하자면, 각각의 생명체는 자신이 존재하는 우주를 구성해내며, 따라서 그 우주에서는 자신이 중심이다.
    인간이 세상을 지각하는 것은 항상 행위를 전제로 해서다.
    움직임은 본질적으로 지각에 선행한다.
    행위의 대상이 될 수 있느냐의 여부나 움직임의 가능성을 유발하느냐의 여부에 따라 지각하는 방식과 지각의 범위가 결정된다.
    이것이 폰 윅스퀼(Jakob von Uexkull)이 말하는 ‘움벨트(umwelt)’의 의미이며, 깁슨(James Gibson)이 말하는 ‘어포던스(affordance)’의 의미다.
    움직임의 기반인 의식이 어포던스를 통해 움벨트를 생산해내어 대상을 지각한다.
    -----
    #내면소통 #명상 #내면소통명상 #고유감각훈련 #의도 #의식 #움직임 #consciousness

Komentáře • 82

  • @user-th6bw8ud6w
    @user-th6bw8ud6w Před měsícem +5

    옛날 생각납니다. 자녀들괘 사이가 안좋아진것이 결국 공부때문이죠. 지금 생각하면 저 또한 그렁필요가 없어지뭡니까? 이해가 되는 일인데 그땐 감정이 그러빌 못했죠. 지금은 예쁜 손녀에게는 진짜 건강하고 열심히 잘 움직이고 놀면 좋겠다 싶은 생각입니다. 교수님 강의 들으니 더더욱 움직임이 진짜 중요한걸 알게 되어 마음이 편안해집니다. 감사드립니다.

  • @haechungkim8952
    @haechungkim8952 Před měsícem +10

    멍게이야기 너무 신기해요.
    진짜 인간이 행복해지기 위해서는 지식공부보다 '움직임'에 대한 이해와 교육 훈련을 우선순위로 받아야겠습니다.
    후세들이 앞으로 학교에서 이것을 배워서 더 나은 인간이되기를 되기를 바라는 마음, 이것이 교수님의 내면소통 강의의 궁극적 목적이라고 느껴집니다. 너무 감동입니다.
    시간/공간에 대한 말씀은 알듯 모를듯.....아는것도 같고 모르는것도 같네요.😂
    음직임 명상!
    Intention 과 attention 의 균형, 둘을 동시에 알아차림.
    Stillness 보다 더 고요한 Silence!
    과학과 영성이 합쳐진 굉장한 말씀이에요!
    우리는 모두 Intention 에 너무 길들여졌지요.. 쩝... 아무것도 하지않고는 불안한 우리들.
    '고요함 속에서 늘 평안하시기를 바랍니다' 라는 교수님의 인사를 들으면서 오, 바로 이것이 행복! 하고 또 깨달아요.
    교수님의 하루도 stillness 보다 더 고요한 silence 로 무조건 행복하시길 바라며 축복합니다.
    너무나 감사합니다. ❤❤

  • @user-zs8su5lr7e
    @user-zs8su5lr7e Před měsícem +6

    어제 듣다가 잠이 들어서 비가 내리는 데 듣습니다.
    산봉우리와 빗방울과 교수님 음성이 하모니를 이루네요. 오늘의 강의를 들으니 모르고 살아온 시간들이 대견하기도 하고 책을 보면서 강의를 들으니 더 좋습니다. 편안한 강의속에 많은 지혜를 듬뿍 담으셔서 아낌없이 베푸시는 은혜에 저절로 고개가 숙여집니다.
    교수님 감사합니다. 🙏

  • @prolator5683
    @prolator5683 Před měsícem +4

    오늘도 감사합니다.

  • @ryeoson990
    @ryeoson990 Před měsícem +1

    좋은 강의에 늘 감사드립니다.

  • @Peacemakerrrr
    @Peacemakerrrr Před měsícem +1

    오늘도 매우 배웁니당😊

  • @user-ti4yi3gg7z
    @user-ti4yi3gg7z Před měsícem +1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잘 봤습니다

  • @user-ls1qz3rv1d
    @user-ls1qz3rv1d Před měsícem +13

    교수님 강의를 듣고 있으면
    인체가 얼마나 신비하고 소중한지를 알게 되어서 늘 몸에 감사함을 느끼며 살게 되었습니다.
    교수님 존경합니다^^

  • @jrzjintheuk2519
    @jrzjintheuk2519 Před měsícem +2

    교수님, 오늘도 정말 많이 배우고 깨닫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

  • @youngki7884
    @youngki7884 Před měsícem +1

    좋은 강의 정말 감사합니다❤❤

  • @jisoochoi8270
    @jisoochoi8270 Před měsícem +1

    좋은 영상 감사드립니다

  • @lingal4903
    @lingal4903 Před měsícem +1

    모쉐 펠덴크라이스의 움직임을 통한 알아차림도 삶이 곧 움직임이다는 것을
    자신의 고통을 통해 관철했다는 것도 정말 대단한 통찰력인 것같습니다
    교수님의 책속에서 그리고 강의에서 우리 몸 자체에 내재한 자연을 느끼게 되는 것같습니다 이 자리를 지키며 강의에 참여하는 분들이라도 교수님의 책을 완독 뿐아니라 재독 삼독하여 체화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이 귀한 가르침을 자신을 거쳐 보다 많은 사람들이 공유할 날이 오기를 간절함으로 두손 모웁니다
    늘 깊은 감사와 존중을 바칩니다.....()()()

  • @ksl1944
    @ksl1944 Před měsícem

    항상 감사드려요 ❤

  • @TomatofromKOR
    @TomatofromKOR Před měsícem +1

    정말 감사합니다❤

  • @blaubeer1000
    @blaubeer1000 Před měsícem +1

    교수님, 새로운 것을 알게 된 강의였어요! 항상 감사드립니다. ❤

  • @amycskim
    @amycskim Před měsícem +3

    오늘도 너무 감사합니다❤
    모든 사람들이 들어야 할 최고의 명강의입니다👍

  • @user-ty6gb4ji1h
    @user-ty6gb4ji1h Před měsícem +2

    매일 반복해서 듣고 매일 실천하려고 노력하고 늘 지인들에게 전달하고 있습니다.
    모든 사람의 평안과 행복위한 사랑과 열정에
    늘 감동하고 있습니다.
    교수님 고맙습니다.

  • @user-dm9fo9nh4n
    @user-dm9fo9nh4n Před měsícem +3

    내면소통 책을 읽기 시작했습니다. 좋은 영상들 덕분에 글을 이해하는 것이 좀 수월하네요.너무 좋은 강의 정말 감사합니다.

  • @jungmeeyoon6552
    @jungmeeyoon6552 Před měsícem +13

    오늘 강의도 너무 감사했습니다. 저는 환자들 언어인지 치료 하는데요, 매우 느린 행동/움직임 속도 (slow processing speed)를 빠르게 향상 시키는 방법이 있는지, 그럴 필요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좋은 밤 되세요.

  • @free-tysax2570
    @free-tysax2570 Před měsícem +2

    감사합니다. 교수님~~매일 꾸준히 운동하고 도전하는 삶을 살도록 하겠습니다.

  • @itdago
    @itdago Před měsícem +2

    내가 누군지를 알려주는 강의. 살아있는것이 무엇인지 알려주는 강의. 교수님 감사합니다. 오래오래 건강하셔서 오랫동안 이런 엄청난 강의 많이 해주세요!

  • @user-gi7nc6kj5j
    @user-gi7nc6kj5j Před měsícem +1

    그간 강의 + 내면소통 책의 본질을 얘기해주는 명강의입니다 감사합니다 ^^

  • @sunshine-tz2cm
    @sunshine-tz2cm Před měsícem

    교수님 좋은 강의 늘 감사합니다~

  • @hshan1952
    @hshan1952 Před měsícem +1

    와우~ 수준 높은 강의 너무 좋네요~b b

  • @user-sx1yt2rw1d
    @user-sx1yt2rw1d Před měsícem +2

    상공에서 맴돌던 의문 조각들이 오늘 강의로 인해 은은히 정체를 들어내네요, 결론으로만 알고있었던 움직임이론 몸으로 와닿네요, 기존 관련 없던 뉴런들이 새로운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그림을 떠오르게 되네요, 너무 좋은 경험이었습니다, 오늘도 감사합니다~

  • @monojin8794
    @monojin8794 Před měsícem

    교수님 사랑과 감사를 드립니다.❤️

  • @user-gp6rl9po4p
    @user-gp6rl9po4p Před měsícem +1

    교수님😊😊감사합니다

  • @dokyounglee4625
    @dokyounglee4625 Před měsícem +2

    감사합니다

  • @Lulu-dx6xy
    @Lulu-dx6xy Před měsícem +6

    움직임과 의식의 관계를 명쾌하게 설명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wm5cj5jr9l
    @user-wm5cj5jr9l Před měsícem +1

    듣다가 눈물이 흐르네요 감동입니다

  • @mkATOMBOY
    @mkATOMBOY Před měsícem

    반평생 살았는데 처음으로 오묘하고 재미있어서 이렇게 공부하는건 처음입니다! 김주환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 @user-dv4dv6ix5b
    @user-dv4dv6ix5b Před měsícem +1

    감사합니다❤

  • @joies573
    @joies573 Před měsícem

    움직임 명상 넘 기다려져요 ㅎㅎ

  • @user-rc9cq2lx5z
    @user-rc9cq2lx5z Před měsícem +1

    명강의 그 자체.

  • @user-ie9qm9od1y
    @user-ie9qm9od1y Před měsícem

    교수님 감사합니다 ❤

  • @user-ws1qg4kw1z
    @user-ws1qg4kw1z Před měsícem

    존경합니다 교수님

  • @user-uu1sm7us6i
    @user-uu1sm7us6i Před měsícem +1

    분노조절장애가 있는 저에게 많은 도움이 되리라 생각합니다.감사합니다^^

  • @user-lh7bi9nq6z
    @user-lh7bi9nq6z Před měsícem

    데카르트 미워요😂😂😂
    인간다움은 무엇인가, 몸의 움직임에 기반한 인간에 대한 고찰. 항상 지적 깨달음을 주시는 교수님, 최고의 강의!!!!!

  • @janetmoon833
    @janetmoon833 Před měsícem +5

    In-tention(의도) /at-tention( 의도에따른결과)를 동시에 알아차리며 나의움직임을 바라본다. '움직임'은 정체되어있지않은 지속적인 고요함의 '현존' 이다. ❇

  • @YvnK-8890
    @YvnK-8890 Před měsícem

    제 삶의 방향성과 의미를 일깨워 주신 교수님께 항상 감사드립니다. 방금 교수님 귀한 강의 다듣고 나서 보니 Rupert Spira의 이런 말이 유튭에 떠서 공유합니다.
    Awareness never changes;
    experience always changes.
    You Are the Happiness You Seek.

  • @paindrjung
    @paindrjung Před měsícem

    깊이 공감합니다. 51:13

  • @user-sl4zg4tp6n
    @user-sl4zg4tp6n Před měsícem +3

    교수님 가르침 따라가며
    노력하고 살아갑니다.

  • @soheekim4694
    @soheekim4694 Před měsícem +3

    건강한 뇌를 갖고 싶은데요, 열심히 움직여야 겠습니다. 😊

  • @user-pt4yx8jk4c
    @user-pt4yx8jk4c Před měsícem

    교수님과 함께 이 시대를 살아감이 여러가지 의미로 큰 위로가 되고 있습니다. 인류애로 열정을 다하신 가르침은 직접적인 도움이 됨은 물론 감동까지 받고 있습니다. 저는 무슨 일이 있더라도 일요일 밤 9시 라이브는 꼭 교수님과 함께 하고 있으며. 그 시간이 기다려지고 행복하고 즐겁습니다.
    별로 즐겁지 않은 세상 일곱빛깔 무지개를 활짝 펼쳐 보여 주시는 우리들의 교수님 존경하고 또 존경합니다.
    항상 건강하시어 최대한 길게 우리들과 함께 하셨으면 하는 욕심을 내비쳐봅니다.

  • @ond5958r5
    @ond5958r5 Před měsícem +1

    39:25 믿습니다. 강의 감사합니다. 👍👍👍

  • @user-rn8ej3ep2w
    @user-rn8ej3ep2w Před měsícem

    덕분에 나에 대한 이해를 높여 삶을 풍요롭게 누릴 수 있겠다는 기대를 가집니다.
    감사를 몽땅 끌어다 드립니다~~

  • @user-fl3ln2mr4m
    @user-fl3ln2mr4m Před měsícem +2

    움직이는 나 에 대하여 진지하게 생각해 보는 좋은 시간이였습니다. 교수님의 강의로 행복합니다 🎉 감사합니다 🎉

  • @user-nn9nz8tk4s
    @user-nn9nz8tk4s Před měsícem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큰 도움이 되고 있어요 배경이 온통 검정이라 좀 답답한 느낌이에요 서재 배경 자연스럽고 좋았는데......
    바꾸신 이유가 있겠죠...

  • @mirobee5684
    @mirobee5684 Před měsícem

    교수님 덕분에 매일 큰 도움 받고 있습니다. 주5회 이상 햇빛쬐며 걷기 달리기 계단오르기 등 존2운동 30, 40분씩 하고 있고, 경추 위에 바르게 머리를 올려놓는 자세가 되도록 의식적으로 계속 노력 중입니다. 이렇게만 꾸준히 해도 감정조절과 자기조절력이 크게 좋아지는 걸 느낍니다. 몸=움직임이 바로 되면 삶이 바로 된다는 말씀을 핵심으로 받아들이고 그대로 실천하려고 합니다. 마음 깊이 존경하고 정말 감사합니다.

  • @janetmoon833
    @janetmoon833 Před měsícem +1

    오늘은 강의를 들으며 자꾸 음/양 이 떠올랐습니다. 잊고있었던 책들을 살펴보고 공부좀 더해보렵니다.

  • @IVO-ds7hy
    @IVO-ds7hy Před měsícem +32

    발목부상 손목부상 때문에 운동을 못하게된 상황이라 너무나 우울합니다ㅠ 이게 2년째 지속되니까 저 자신을 어떻게 긍정적으로 변화시켜야할지 그 방법이 다 막힌 것만 같습니다ㅠ

    • @user-ee6bb4su9t
      @user-ee6bb4su9t Před měsícem +26

      요가에서 재활때문에 배운 동작이 있는데요. 엉덩이로 걷기, 등롤링하기 같은 단순하지만 신체 순환에 도움이 되는 동작들이 많아요. 요가 아니더라도 많을거예요. 앞에 놓인 것이 벽이 아니라 열고나갈 문이기를 응원합니다.

    • @Mini-yl6iy
      @Mini-yl6iy Před měsícem +1

      작년에 손목, 발목때문에 엄청 고생했는데 손목, 발목 쓰는 운동을 1년 정도 쉬었더니 좀 나아졌구요. 거의 나은 지금도 오래 걷거나 무거운 것 들때는 손목 보호대와 발보호대 꼭 합니다. 보호대없이는 약간만 무리해도 금방 다시 아프더라구요.

    • @user-gh7xp5lz1x
      @user-gh7xp5lz1x Před měsícem +2

      저도 엘보와서
      운동 전혀 못하고 있습니다.
      침을 맞고 있는데
      좋아지고 있습니다.
      파이팅~

    • @bin38onlyone
      @bin38onlyone Před měsícem +2

      매일매일 더 나아지시길 희망합니다!!!
      고맙습니다!!!
      힘든 세상 함께 살아주셔서!!!

    • @user-uq7wv8cx2y
      @user-uq7wv8cx2y Před měsícem +1

      저는 양쪽 발목 복숭아뼈 골절과 왼쪽 어깨ㆍ오른쪽 팔꿈치 골절로 고생하고 있는데요ㆍ생각보다 재활이 오래 걸리네요ㆍ힘내시기 바랍니다

  • @user-eq9nw8fg8b
    @user-eq9nw8fg8b Před měsícem

    현재 듣고있으면서 댓글달아요
    mma 나 복싱에서도 눈으로 못본 또는 예측못한 타격을 맞았을때 기절이되고 ko가 난다고 하더라고요 비슷한 개념인거같네요

  • @user-ky2hg6xi1j
    @user-ky2hg6xi1j Před měsícem

    갱년기의 증상, 열이 나고 손발이 뜨거운 것은 어땋게 조절할 수 있을까요? 호르몬의 변화로 알고 있는데 몸의 움직임의 패턴 바꾸는걸로 가능할까요?

  • @Stephania7612
    @Stephania7612 Před 29 dny

    굿 ❤

  • @yudankanenaka3688
    @yudankanenaka3688 Před měsícem

    전적으로 동의하지만, 모든 사람에게 기본소득이 보장되어야 가능할 듯.

  • @user-pi7ke2ct9t
    @user-pi7ke2ct9t Před měsícem +1

    실내자전거타면서 움직임명상을 할수있겠죠

  • @kimsookyeon4478
    @kimsookyeon4478 Před měsícem +1

    움직임 명상 중 가장 효과작인 것이 안나할프린의 춤명상이 아닐까요?

  • @ss-js9tm
    @ss-js9tm Před měsícem +2

    발바닥을 손가락으로 세게 긁으면 너무 간지러워요

  • @Lulu-dk8qk
    @Lulu-dk8qk Před 10 dny

    🙏

  • @fooiff
    @fooiff Před 27 dny

    나를위한정리
    뇌의 존재 이유 : 움직임
    - 적응&예측&예측오류 수정(보통 눈으로 확인)
    - 증거: 예측 가능한 움직임은 간지럽지 않음. 딜레이&각도가 다르면 간지러움.
    데카르트 비판 (정신 우선)
    - 정신이 아닌 몸이 우선이고, 인간의 본성은 몸에 있음.
    - 삶은 움직임에 있음 ↔ 죽음
    칸트 비판(선험적 시공간)
    - 시공간은 선험적으로 주어지는게 아님
    - 현대 뇌과학
    - 시간 : 움직임 의도-결과 사이의 인과관계를 시간의 흐름으로 인식
    - 과거&미래: 인과관계적 스토리텔링이 만들어낸 독특한 모델링 개념
    - 공간 : 움직일 수 있는 가능성이 공간으로 추상화.
    - 사물의 부재가 공간으로 추론, 공간을 직접 경험하는 대상이 아님.
    - 로버트 란자 : 시공간은 객관적 실체가 아닌 우리 의식이 만든 생물학적 실체
    - 바넬라 : 하나의 생명체는 그 자신이 그 우주의 중심
    움직임 관련 개념
    - 감정 : 움직임의 한 종류.
    - 분노 : 정형화된 움직임.
    - 인지 : 화가 났으니 참자 → 다른 패턴을 해서 완화하자
    - 완화 : 몸(뇌신경계쪽)을 이완 혹은 달리기&제자리 뛰기 등
    - 의식 : 움직임 통제&예측&오류수정 위함. 의도 생성 주체.
    - 의도 : 움직이기 위한 스토리
    - 뇌 : 여러 정보를 통합하고 잘 움직이기 위함.
    - 증거 : 멍게는 움직일 필요가 없을때 뇌&신경망을 먹어치움.
    ≒ 정년보장 교수 등, 움직일 필요가 없을때 우리는..?
    - 자의식 : 내부와 외부를 구분, 제대로 움직이기 위해
    - 자각(회상x) : 항상 '지금 여기'서 일어남.
    교육에 대한 의견
    - 20세기부터 진행된 지>덕>체에서, 체>덕>지가 되어야 함.
    - 임금노동자를 만들기 위한 시스템, 이제 끝남. (우리는 희생자)
    - 지능은 인공지능이 대체 가능하고, 사회가 발달하는데 불행한 이유.
    명상
    - 편안전활 : 제대로, 잘 움직이는 상태를 만들어주는 훈련
    - (심화) 움직임 명상 : 나의 본질 찾기 등을 하는 심화 훈련, 어렵고 직관적이지 않음.
    - ex) Sheetz Johnstone) 나의 본질은 명경지수보다 고요하고, stillness가 없는 지속적임이다.
    - 나의 움직임을 지속적으로 바라보기 = 핵심
    - 걸을 때, 나의 움직임에 대한 의도와 의도에 따른 결과(intension, attention)를 알아차리면서 걷기
    - (혼자) 밥을 먹으면서도 가능
    - 고요함(본질) 속에서 평안하기를.

  • @briteJK
    @briteJK Před měsícem +1

    다는 아니더라도 대부분(90% 이상의 확률로)의 헬창분들이 행복 할지 궁금증이....ㅎㅎ

  • @user-fx7yr9xt1g
    @user-fx7yr9xt1g Před měsícem

    34:50~

  • @goyou2874
    @goyou2874 Před měsícem +2

    언제나 감사드립니다, 교수님. 궁금한 점이 생겨 질문 드려요.
    1. 예를 들어 몸이 불편한 경우, 하반신 마비가 왔다던가 아니면 다리를 다쳤다든가 해서 운동이 어려운 경우의 마음건강, 즉 편안전활은 어떻게 확보해야 할까요? 움직임이 핵심이라고 하셨는데 그럴 경우 움직이지 못하고 종아리 펌프를 가동시키지 못하는 경우에요. 예를 들어 제가 팬인 어떤 하반신 마비 유튜버님은 운동을 거의 못하시는데 아주 밝은 성격에 회복탄력성을 가지고 계시다는 느낌을 많이 받았거든요. 이런 경우는 움직이지도 않았는데 어떻게 마음의 안정과 행복이 가능한걸까요? 뇌는 움직이기 위해서 존재한다는 명제의 오늘 강의를 듣다보니 갑자기 그렇다면 움직이지 못하면 뇌 건강과 정신적 행복은 어떻게 지킬수 있는걸까?라는 순수한 질문이 올라옵니다.
    2. 교대근무 직업을 가졌거나 낮과 밤이 바뀐 근무 형태를 가진 사람들의 경우 수면의 질을 높이기 위한 교수님의 팁이나 조언이 혹시 있으실까요?
    내용이 너무 좋아서 사실 저는 최근 김주환 교수님 명상과 강의로만 마음공부를 하는 것으로 바꾼 상태라서 더 알고 싶은 맘이 큰거 같아요.
    이렇게 강의와 명상을 유튜브에 올려주셔서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정말 큰 도움이 되고 있습니다❤

  • @user-ls7uv9be7f
    @user-ls7uv9be7f Před měsícem

    사실이 아닌것을 믿고 사는것이 너무 많네요. 늘 충격입니다

  • @enhye9759l
    @enhye9759l Před měsícem

    그러고보니 그렇군요.

  • @user-rc9cq2lx5z
    @user-rc9cq2lx5z Před měsícem

    정말 21세기 석가모니의 법문과 같습니다.

  • @user-rc9cq2lx5z
    @user-rc9cq2lx5z Před měsícem

    김주환을 국회로!!!!!

  • @user-yf3fs9ce9o
    @user-yf3fs9ce9o Před měsícem

    전신마비되신 분은 살아있는 게 아닐까요?

  • @elasticgirlj5870
    @elasticgirlj5870 Před měsícem

    버지니아 울프 책 읽으며 "의식의 흐름(stream of consciousness)" 기법으로 글을 썼다고 할 때 , 몹씨 지적이라고 생각했어요.
    의식의 본질이 이렇게나 단순하다니!
    FAP
    그래서 시골에서 농사 짓는 분들이 건강하게 장수하는구나! 싶네요
    데카르트와 칸트의 선험적 세상.....
    지금,여기에 발 붙이고
    Intention
    Attention
    균형 맞추고.,
    살아가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skyj3780
    @skyj3780 Před měsícem +1

    ❤❤❤❤❤❤❤❤

  • @user-nd6vd5fe3d
    @user-nd6vd5fe3d Před měsícem

    1:20:20

  • @user-of1iu7tp2k
    @user-of1iu7tp2k Před měsícem

    감사합니다 ❤

  • @user-hz5xf1ec9j
    @user-hz5xf1ec9j Před měsícem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