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가 이렇게 흐른다고? 대지정전용량, 대지충전전류의 비밀 대공개!

Sdílet
Vložit
  • čas přidán 16. 02. 2022
  • 전기구독자 여러분 많이 기다리셨습니다,
    구독자 일만명 특집을 앞두고 오늘은 학원에서도 안가르쳐주는
    대지정전용량이 만들어내는 신비한 전기현상에 대해서
    알려드리고 그 비밀을 공개해 드리겠습니다.
    5:18 대지정전용량이란?
    8:53 대지충전전류란?
    10:58 고압 비접지계통에서 1선지락이 발생하면?
    영상 아이디어는 구독자 minsu님께서 주셨습니다. :)
    항상 고맙습니다.
    #대지정전용량 #대지충전전류 #1선지락

Komentáře • 100

  • @user-fi9qt2fp4s
    @user-fi9qt2fp4s Před rokem +8

    진짜 이채널은 혁명이다

  • @user-ju9br4nl8m
    @user-ju9br4nl8m Před rokem +1

    정말 너무 유익한 전기 해설입니다. 짱!!!~~~

  • @Jamescjk
    @Jamescjk Před 2 lety +1

    정보제공에 감사드립니다..

  • @gyujeonglee5077
    @gyujeonglee5077 Před 4 měsíci

    늘 좋은 말씀, 좋은지식 감사합니다.

  • @minsukim2621
    @minsukim2621 Před 2 lety +2

    답변 감사드립니다ㅎㅎ 질문이 명쾌하게 해결됐습니다

    • @electric_revolution
      @electric_revolution  Před 2 lety +2

      고맙습니다, minsu님의 수준높은 탐구와 열정에 제가 더 감사합니다.

  • @sunghwanpark2396
    @sunghwanpark2396 Před 2 lety +1

    진짜 전기 혁명이네요 좋아요~~~

  • @haekimkim6712
    @haekimkim6712 Před 2 lety +2

    너무감사합니다.복받을겁니다.

  • @jyjeong4894
    @jyjeong4894 Před 2 lety +1

    쉽게 잘갈켜주네요

  • @user-gm3ij1nm8p
    @user-gm3ij1nm8p Před 6 měsíci +1

    대지정전용량의 개념 자체가 추상적이었는데 그림과 똑똑한 해설로 구체성이 그려지는 것 같습니다. 아낌없는 교육 영상 나눠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uw1ut2kz7c
    @user-uw1ut2kz7c Před 2 lety +2

    항상 감사드려요 전기 자격증 따신 주변 분들도 아무도 제대로 설명못해서 항상 뇌로만 생각했었는대 눈으로 보니까 너무 좋내요 ~

    • @electric_revolution
      @electric_revolution  Před 2 lety

      강민님 오늘도 방문해주셔서 고맙습니다 :) '눈으로 본다'는 표현을 해주셔서 기분이 너무 좋네요!

  • @peluche5485
    @peluche5485 Před 2 lety +1

    저도 굉장히 궁금햤던 내용인데 이렇게 설명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 @electric_revolution
      @electric_revolution  Před 2 lety

      도움이 되셨다니 다행입니다. 기타 궁금한 사항도 문의주세요!~

  • @user-bj4ol8cc7w
    @user-bj4ol8cc7w Před 2 lety +2

    와 선생님 최고입니디.
    정말 대단합니다.

  • @user-im7wg5rf1k
    @user-im7wg5rf1k Před 2 lety +3

    감사합니다 까막눈이가. 옛전에 전기과가 아닌데 공대 출신이라고 늘 주위에서 물어 봤었는데... 잘배웠읍니다

  • @user-ev5yz8vc8f
    @user-ev5yz8vc8f Před 2 lety +1

    감동..

  • @user-zo5dc4sm4x
    @user-zo5dc4sm4x Před 2 lety +1

    이 채널 너무 좋아요!!!

  • @메가와트
    @메가와트 Před rokem +1

    유투브 전기채널에 혁명을 일으키시겠다...ㅋㅋㅋ 좋아요! 구독!

  • @Snowflake_tv
    @Snowflake_tv Před rokem

    와 공기를 넘나든다니 ㄷㄷ

  • @won-ig8qf
    @won-ig8qf Před 2 lety +5

    좋은 강의 너무 감사합니다!!
    보호접지와 비교하기위해서 계통접지라고 부른다고 해주셨는데.. 둘이 심플하게 어떤차이가 있는건가요?!!

    • @electric_revolution
      @electric_revolution  Před 2 lety +5

      접지에는 기기접지와 계통접지 두가지가 있습니다. 기기접지는 기기의 외함 등 금속부분에 접지하여 사람이 기기외부등을 만졌을때 감전에 대한 보호를 목적으로 하는 것이고, 계통접지는 중성점에 하는 직접접지같이 전원측 전로 자체에 시설하는 접지를 말합니다.

  • @user-vb6lf6pp4n
    @user-vb6lf6pp4n Před 2 lety +2

    설명하시는 중에 화살표 표시방향은 전자의 흐름이고,
    전류는 그 반대방향으로 표기하고 설명하셔야 맞네요..
    (교류에서 극성은 없긴하지만 일반적인 약속과는 달라서 드리는 말씀입니다)
    공부하는 사람들 헷갈려할고 갔습니다만

  • @jamespick5730
    @jamespick5730 Před 2 lety +1

    신기한 전기의 세계^^

  • @kim_dongryeong
    @kim_dongryeong Před rokem

    영상 감사합니다! 이런 계산 매우 좋습니다! 1:20 계통접지라는 것이 중성선을 직접적으로 접촉한 접지선으로 대지에 연결한 것인가요? 저는 가정에서 접지라는 것은 전자제품 플러그의 접지단자가 콘센트의 접지 단자와 접촉하고, 그 단자는 벽 속의 접지선으로 연결되어서 결국 땅으로 연결된다고 알고 있었거든요. 그래서 접지서는 전압선이나 중성선을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는 것으로 알고 있었거든요. 그런데 계통접지라는 것을 검색하고 찾아봐도 중성선이랑 직접적으로 연결되어있다는 것인지 아닌지 아직 잘 모르겠습니다.
    혹시 가정의 중성선은 배전함으로 연결 된 후에 땅으로만 연결되고 한전으로는 연결이 안 되어 있나요?
    만약 한전에서 가정의 배전함으로 전압선이 연결되어 있고, 배전함에서 한전으로 되돌아가는 중성선은 없거나 끊어져 있고 중성선이 대지와 직접적으로 접촉하여 접지만 되어 있어도 가정의 전기 사용에 전혀 문제가 없나요?
    감사합니다!

  • @ameg9056
    @ameg9056 Před 2 lety +1

    전기혁명님 궁금한점이 있습니다.
    6:20 그림에서 사실상 대지와 전선사이에 매우 작은 정전용량을 갖는 캐페시터가 연속적으로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이를 그대로 상상하면 무수히 많은 캐페시터가 전선에 달려있다고 생각할 수 있을 것이고 이에 대해 고민하다가 의문이 들게 된것입니다.
    키로히호프 전압법칙에 의해 폐경로의 전압의 합은 0이고 폐경로를 잡을때 6:20 그림상에서 전원을 포함하는 폐경로를 만들때 전선과 대지사이의 캐패시터들 중에서 수전단측까지 점차 가까이있는 캐패시터를 포함하는 폐경로를 잡는다고 했을 경우 수전단과 가까이 폐경로를 잡은 경우는 전선을 많이 포함하므로 즉 저항에 대한 전압강하가 크므로 이때 대지 정전용량에 걸리는 전압은 작을 것이고 반대로 수전단과 멀리 즉 전원측과 가까운쪽에 대지 정전용량을 포함한 폐경로에서는 전선의 량을 적게 잡았으므로 이부분의 정전용량에 걸리는 전압은 작게 걸리게 될 것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즉 어떻게 보면 전원측에 가까울 수록 대지와 전선사이에 흐르는 충전전류의 크기는 크게 작용할 것이라고 생각되는데 이게 맞을까요??

  • @digilogkim
    @digilogkim Před 2 lety +1

    피아노 천재, 미술 천재, 축구천재들 있듯이, 이분 "전기천재"!

  • @user-ds3tp7ez1b
    @user-ds3tp7ez1b Před 18 dny

    동력선380v선과 30v저압선 1~2m근접시 유도되는현상을 없애는 방법 있으까요

  • @hcg0211
    @hcg0211 Před rokem

    선생님 이게 메거테스트 측정 원리 맞을까요?

  • @user-lv8sw5gf5j
    @user-lv8sw5gf5j Před rokem

    전기혁명님이 올려주신 내용 잘 보고 있습니다.
    궁금한 점이 있어서 댓글올립니다..
    직류송전의 해수귀로시 자기콤파스의 문제가 있다고 하는데 답글부탁드립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user-lb1bn2wn6g
    @user-lb1bn2wn6g Před 2 lety +3

    종전에는 "축전기"를 콘덴서와 커패시터를 혼용하였으나
    응축기(凝縮器: condenser)와 혼돈을 피하기 위하여
    한국산업표준(KS) 및 IEC에서는 커패시터(capacitor)로 명칭을 통일하였습니다.

    • @electric_revolution
      @electric_revolution  Před 2 lety

      와~~ 이것도 정말 좋은 정보!! 커패시터라!!! 발음도 북미권 영어발음 그대로 채용했나보네요!! 입에 쫙쫙 붙습니다. 앞으로는 커패시터를 즐겨 사용하겠습니다. 콘덴서 노노, 안그래도 보일러의 콘덴싱하고 헷갈렸는데 ㅋ!!!

    • @user-rj2mp5hs2e
      @user-rj2mp5hs2e Před 2 lety

      👍

  • @user-hj6kbf6g8y
    @user-hj6kbf6g8y Před 4 měsíci

    정전용량이 그럼 유도전압(유도기전력) 인건가요?

  • @user-ee6jn2hb1z
    @user-ee6jn2hb1z Před rokem

    만약에 대지로 전류가 흐르면요!! 각 전주나 건물의 접지끼리 작지만 전기적으로 상호작용이 항상 되고있는건가요~? 우리아파트에와 바로 앞 아파트가 있다면 둘다 한전에서 같은 회선으로 받는다고 가정하고 둘다 TN계통 접지일때요!! 어차피 모선은 한전라인에서 받는다고 가정하고 두 아파트가 TN접지니까 지락전류가 의도치않게 흐를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혹은 꼭 아파트끼리가 아니더라도 한 가정에 있는 TN계통 접지가 1개가 있다면 거기로 들어오는 전주나 철탑에 접지가 1개가 되어있으면 접지가 2개가 되어서 지락전류가 흐를 수 있는지 궁금해요!

  • @user-lb1bn2wn6g
    @user-lb1bn2wn6g Před 2 lety +3

    내선규정(대한전기협회 제정) 제1300절(용어) 1300-9("ㅈ"에 관한 용어)에 의하면,
    "핫선"의 공식명칭은 "전압측전선"이며
    접지한 중성선의 공식명칭은 "접지측전선"입니다.^^

    • @electric_revolution
      @electric_revolution  Před 2 lety

      와~~ 백두님, 정말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공식명칭은 저도 처음 듣네요! 새로 알게되어 기쁩니다.^^

  • @digicubekr
    @digicubekr Před 6 měsíci

    검색 타고 우연하게 보게 되었습니다. 혹시 그렇다면 접지 공사가 잘 되어 있지 않은 개인 주택인 경우 접지를 하기 위해 마당이나 흙이 들어난 곳마다 접지봉을 꼽게 되어 버리면 폐회로가 생기게 되고 오히려 장비들이 노이즈에 노출되는 일이 생기겠군요? 접지는 1점 접지 라고 배웠는데 접지를 여러 곳에 꼽게 되면 땅이 한 덩어리 라고 1점 인것이 아니라 접지와 접지 사이에 전선이 또 하나 추가 되는 것이니까요?

  • @user-lb1bn2wn6g
    @user-lb1bn2wn6g Před 2 lety +2

    국제표준(ISO) 및 한국산업표준(KS)에 의하면
    양기호는 경사체로 표기하여야 하지만
    단위기호는 직립체로 표기하여야 합니다

    • @electric_revolution
      @electric_revolution  Před 2 lety +1

      항상 교정해주셔서 고맙습니다, 도움 많이 받고있습니다 :)

  • @yischneider6681
    @yischneider6681 Před rokem

    감사합니다.. 전기 초짜라서...그럼 사람이 집안의 220v 핫선을 잡아도 인체로 통하는 전류가 작아서 별 영향이 없는가요..?

  • @gus3547
    @gus3547 Před 9 měsíci

    오래된 아파트 인데 . 중성점과 접지선의 전위차가 7볼트 정도 나옵니다.
    일반적으로 0v~1v 사이인것 같은데. 뭐가 문제일까요? 어딘가 누전이 있는걸까요?

  • @user-fj1se2kj7z
    @user-fj1se2kj7z Před 10 měsíci

    도체간 간격을 땅과 전선 사이 길이로 해야하는게아닌가요?

  • @Happiness_JJ
    @Happiness_JJ Před 2 lety

    02:37 선생님 여기 이해가 안가요 부하기 있는데 왜 더쉬운길(대지로)안가게 되는거죠? 그럼 폐회로면 대지로 간다는말인가요 으읭 , 사고전류는 그럼 어떻게 대지로 보내는걸까요

  • @rrrr-dc6bb
    @rrrr-dc6bb Před 2 lety +6

    와 정말 감사합니다. 공부할때도 대지충전용량이 그냥 존재한다고만 배웠지 선과 대지가 콘덴서와 같은 형상을 이루기 때문에 콘덴서처럼 보고 대지정전용량을 계산한다는걸 아무도 안알려줬었습니다... 결국 결론은 전선으로 이어진 폐회로가 구성되지는 않았지만 선과 선사이에 대지충전용량을 통해서 폐회로가 구성되어 저압에서는 미약하나마 전류가 흐른다는거군요. 사실 이같은 궁금증도 제가 일하는곳에서 비접지 델타결선으로 6600v를 다른지역까지 보내주다가 지락사고가 나면서 gpt가 실제로 동작해 차단되었지만 gpt가 없었다면 이 지락전류가 어디로 흘러가서 회귀할지 궁금했었거든요. 영상에 나오는식에 6600/루트3을 넣고 계산해보니 0.012A정도가 나오는데(물론 실제론 6600v 고압케이블이니 케이블굵기가 더 커서 계산이 좀 달라지겠지만) 사람이 고압케이블근처에 있었다면 대지충전용량에 의해 감전이 될수있는거겠지요? 그렇다면 지락사고시 보호계전기가 없다고 가정하고 중간에 사람이 감전되었을시에 다른 핫선과 대지정전용량으로 Xc = 1/2*π*f*대지정전용량 으로 계산해서 하나의 전선 폐회로처럼 생각하고 중간에 직렬로 사람 인체저항값을 넣으면 사람에게 흐르는 전류를 구할수있을까요?

    • @electric_revolution
      @electric_revolution  Před 2 lety +3

      물론입니다, 고압케이블을 만진 사람의 손 그리고 대지를 발딛은 그사람의 발이 곧 1선지락 그 자체입니다. 이 지락경로와 해당 지락(핫)선을 제외한 나머지 선들의 대지정전용량이 각각 폐회로가 되므로 손쉽게 감전전류를 구할수있습니다, 그리고 적어주신 내용들, 모두 정확하게 맑게 이해하셨습니다, 대단하시고 청출어람이십니다. 보람을 느낍니다 ^^

    • @rrrr-dc6bb
      @rrrr-dc6bb Před 2 lety +2

      @@electric_revolution 답글 감사합니다 평소에 궁금하던것들중 가장 고민을 많이하게하고 찾아보는데 시간을 날리게 만든 궁금증이 결국 해소되지않아 답답해있었는데 명쾌하게 답변을 해주셔서 정말이지 너무 큰 도움이 됬습니다.

  • @deadmanm3752
    @deadmanm3752 Před 2 lety

    이렇게 된 이상 공간을 초월한다.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 @electric_revolution
      @electric_revolution  Před 2 lety +1

      공간을 초월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생략은 없습니다, 앙페르-맥스웰법칙에 의해 변위전류(Displacement current)가 발생하고 이 변위전류에 의해 전기에너지가 공간을 이동해 전달됩니다. 최근에 올린 영상링크 걸어드립니다, czcams.com/video/FewPWOADyxs/video.html 영상의 7:3 부분부터 봐주세요.

  • @user-zi4gy4vo4n
    @user-zi4gy4vo4n Před 2 lety +1

    고압트레이 및 덕트접지의 중요성이라고 이해해도 될까요

    • @electric_revolution
      @electric_revolution  Před 2 lety +1

      네, 그렇습니다. 특히 고압트레이 위에 놓이 케이블들은 보통 긍장의 길이가 길기 때문에 대지정전용량값도 커지게 됩니다. 따라서 덕트와 마찬가지로 노출도전성 부분 즉 접지가 굉장히 중요합니다.

  • @user-wv6zj8ut6c
    @user-wv6zj8ut6c Před 2 lety +2

    이 내용의 마지막 부분 내용은 고압,특고압 부분의 전선은 피복이 되어있더라도 함부러 만지면 위험하다는 의미인가요 ? 예를들어 22.9->380/220 변압기에서 변압기 1차측 케이블을 만지면 감전위험이 있는건가요?

    • @electric_revolution
      @electric_revolution  Před 2 lety +3

      대표적인 예로는 22.9kV->380/220V 1차보다는 현장에서 가장 사고가 많이 나는 22.9kV->6600V 비접지계통(델타-델타(고압동력모터용)) 2차측을 만지는 경우가 되겠습니다. 또한 아시다시피 보통 특고 22.9kV수전은 3상3선식으로 받습니다. :)

    • @electric_revolution
      @electric_revolution  Před 2 lety +3

      고,특고 비접지 2차측 케이블을 (살아있는 상태를 예를 들게요) 피복이 되어있는 상태에서 만져도 현실에서는 도체와 외부간의 충분한 절연저항이 있기 때문에 감전은 없습니다, 다만 '조건(습, 노후, 트레이미접지, 수트리, 나도체를 테스터기로 찍거나 등)'에 따라 위험할 수 있으며 실제로 감전전류가 흐릅니다. 이러한 사고를 예방하고자, 원칙적으로는 고압케이블(델타용)을 최초로 설치한 시점 그리고 충분한 사용시간이 경과한 경우 안전공사의 도움을 받아 '케이블절연내력시험'을 반드시 시행해야 합니다. 이때 C성분에 의한 시험방해를 줄이고자 직류를 인가하게 되며 고압케이블 최대사용전압의 정해진 배수의 전압으로 시험하게 됩니다. :)

    • @user-wv6zj8ut6c
      @user-wv6zj8ut6c Před 2 lety +2

      감사합니다. 이 채널을 들어오니 공부하고싶어지네요

    • @user-vg9he5jo5s
      @user-vg9he5jo5s Před 2 lety +1

      전기를 조금만 배워도
      고압 근처 무서워서 못가요...

  • @user-kd9lm6kh5c
    @user-kd9lm6kh5c Před rokem

    백열전구는 빛이 꺼지기 전에 열이 남아있어서 꺼젓다 켜지는게 아님

  • @user-vf3lk8lj9y
    @user-vf3lk8lj9y Před 2 lety +3

    정전용량 계산할때 도체 간격을 왜 피복두께로 하나요? 얼핏 생각하기엔 전선과 땅사이 거리를 d로 둬야 할 것 같아서 질문드립니다.

    • @electric_revolution
      @electric_revolution  Před 2 lety +5

      아, 피복두께 아닙니다. 당연히 도체간 간격 즉 전선과 땅과의 간격맞습니다, C값을 크게 얻고자 전선이 땅에 놓여있는 상황으로 연출했습니다. 1mm는 핫선(도체)과 대지(도체) 사이 간격이(도체간 간격) 맞아요! :)

  • @mashilionell3176
    @mashilionell3176 Před rokem +1

    너무 초보라 질문드립니다 ..
    교류라서 전류의 흐름이 R>N, N>R이렇게 주파수에 따라 이동방향이 바뀐다고 알려주셨는데 전류가 흐르는것과 N상을 손으로 만지면 감전이 안되는것과 상관이 없나요? 너무 궁금합니다 ㅠㅠ

    • @electric_revolution
      @electric_revolution  Před rokem

      영상링크를 보내드립니다, czcams.com/video/IF04eBl8_mo/video.html 보시고 이해안되시는 부분이 있으면 더 말씀해주세요. :)

  • @user-zl7hu3mn2o
    @user-zl7hu3mn2o Před 2 lety +4

    발전소에서 전신주에 들어올때 델타결선이다가 주상변압기에서 와이결선인가요?

    • @electric_revolution
      @electric_revolution  Před 2 lety +14

      아닙니다, 발전소에서 출발한 송전선로는 송전효율이 가장 좋다는 3상 3선식 Y방식이며(구리를 아끼는 등 여러가지 경제적 이유로 FM방식인 4선식에서 일부로 1선을 뺍니다, 그래서 송전은 3상3선식입니다) 그리고 배전선로는 보호계전기 동작이 확실한 3상 4선식 다중접지 방식의 Y시스템입니다, 그리고 배전선로에서 수용가에 이르러 단독주택은 Y에서 주상변압기를 거쳐 380/220V이 들어오고, 아파트나 공장은 Y에서 바로 아파트나 공장의 지하 전기실에 들어와서 주변압기를(이때 변압기 1차가 보통 델타로 수전받습니다, 즉 주변압기는 델타(1차)-와이(2차)가 되죠) 거쳐 380/220V로 공급됩니다. 다양한 배전방식이 존재했던 과거와는 달리 오늘날에 이르러 길거리에 보이는 수많은 배전선로의 전선들이 거의 다 특고압인 22.9kV-Y 다중접지로 통일되었는데 이를 두고 전기인들은 그 유명한 '투투라인'이라고 표현합니다. 따라서 투투라인의 선간전압은 22.9kV, 상전압은 13.2kV입니다.

    • @bearje75
      @bearje75 Před 2 lety +1

      와이 결선과 델타 결선의 장단점을 비교해 보시면 아시게 될 겁니다

    • @user-zo5dc4sm4x
      @user-zo5dc4sm4x Před 2 lety

      @@electric_revolution 수용가로 N상을 줄 때 주상변압기에서 N상을 만드는게 아니라 배전변전소에서 만드는 N상이 주상변압기까지 와서 수용가로 들어간다는 말씀인가요? 만일 그렇다면 전선낭비 아닌가요? 궁금합니다...

    • @user-hj6kbf6g8y
      @user-hj6kbf6g8y Před 5 měsíci

      ​@@electric_revolution 3상 3선식은 델타결선 아닌가요?

  • @rrrr-dc6bb
    @rrrr-dc6bb Před 2 lety +1

    혹시 변압기에서 만들어진 전기에서 누설전류나 지락전류는 중성점 계통접지든 대지정전용량이든 전부 회귀하는 폐회로를 구성하기에 누설전류나 지락전류는 대지로 방전되지않고 또 방전된다고 표현하지 않는데, 번개가 쳐서 피뢰기를 통해 땅으로 방전하는건 폐회로가 구성되지도 않지만 단순히 전위가 높은쪽에서 낮은쪽으로 흐르기만 한다고 보면되는건가요? 또 정전기의 경우에도 전위가 높은쪽에서 낮은쪽으로 이동할뿐 폐회로를 구성하지않는건가요? 폐회로를 구성하지않으면 전류는 흐르지않는다고 하는데 번개나 정전기는 어떻게 전기가 흐르는건지 궁금합니다.

    • @electric_revolution
      @electric_revolution  Před 2 lety

      매우 흥미로운 질문입니다, 핵심열쇠는 '물체는 시도 때도 없이 전자를 잃거나 얻는다'에 있습니다.즉, 원자가 전자를 잃거나 얻어 물체가 양전하와 음전하를 띄게 되는데요, 주로 마찰이라는 물리적인 '일'에 의해서 발생됩니다. 이렇게 들뜬 전자들의 특징은 무조건 '한방에 방전된다'입니다. 마치 번개처럼, 또는 겨울에 금속으로 된 문 손잡이를 만질 때 따끔한 것처럼 또는 오로라처럼 무조건 '한방'입니다. 반면, 일반적으로 우리가 취급하고 있는 즉, 우리집의 불을 켜는 것은 모두 연속적으로 운동(일)하고 있는 발전소의 발전기에 의해 만들어지는 '전기력퍼텐셜에너지'에 의한 연속적인 전기의 흐름입니다. 답글보다 영상이 중요합니다, 너무 중요한 질문을 해주셔서 제가 다음주에 '방전시 전자의 이동과 폐회로내 전자의 이동'의 차이에 대해서 한번 만들어드리겠습니다. :)

    • @electric_revolution
      @electric_revolution  Před 2 lety

      동시에 '전기력퍼텐셜에너지'를 어떻게 하면 수학없이 쉽게 설명할 수 있을까 고민해서 영상 만들어드릴게요 :)

    • @rrrr-dc6bb
      @rrrr-dc6bb Před 2 lety

      @@electric_revolution 거짓없이 솔직하게 답변만으로는 제가 가진 기반지식이 부족하여 100% 이해를 하진못하였으나 중요한건 발전기(or변압기)가 만들어내는 기전력과 전자의 방전은 에너지가 흐르는 원리자체가 다르다는 얘기신거같습니다. 다음 영상 꼭 기대하고있겠습니다. 항상 감사합니다.

  • @user-ek2mw5yr8z
    @user-ek2mw5yr8z Před rokem +1

    케이블 전선을 송전선로로 사용한다면 케이블이 절연되어 있는데... 공기중의 전하가 충전 된다는게 좀 이해가 안되네요~~~

  • @mgh9014
    @mgh9014 Před 2 lety +3

    정전용량 C공식에서 d는 도체간 간격 왜 1mm인가요? d는 전선과 땅 사이의 거리로 큰 값이 들어가야 할 것 같은데요... 의견 부탁드립니다.

    • @electric_revolution
      @electric_revolution  Před 2 lety +2

      좋은 의견 감사합니다, 케이블(또는 전선)이 대지 위에 떠있는 상황이 아니라 케이블(또는 전선)이 대지 바로 위에 얹어 있는 즉, 없는 C값을 조금이라도 더 구하기 위해 극한의 상황을 연출하였습니다. 안그러면 C값이 더 작아져서요ㅎㅎ.(영상에서 설명하고 있는 계통 모델은 저압 단상 220V 입니다)

    • @user-vg3yc5xj9v
      @user-vg3yc5xj9v Před 5 měsíci

      저도 바로 이생각부터 나서 궁금했는데, 감사합니다 ^^

  • @keumkanglee8856
    @keumkanglee8856 Před rokem +1

    일반가정집 분전번에서 콘샌트에 멀티탭을 사용하여 전등을 서용하면 전기는 실제로 어떻게 흐르나요
    그 전류흐름은 어디까지 LooP되나요?

    • @electric_revolution
      @electric_revolution  Před rokem

      흥미롭게도 변압기가 있는 전기실까지 Loop합니다, 콘센트에서 루프하는 것이 아닙니다. :)

  • @user-kd9lm6kh5c
    @user-kd9lm6kh5c Před rokem

    콘덴서에 감전되는건 직류 일건데 도대체 몇 볼트를 만들어 내길래 충전 상태일때 잔류 전류에 감전되면 뻐근 한건지 순간 저항이 파괴 되며 몸으로 흐르게 되는 현상인건지 그래도 이해가 안가는게 건전지에 마이너스 부분만 땅에다가 꼽는다고 전류가 흐르지는 않는것 같은데 콘덴서는 왜 그런건지 모르겠음

  • @twins1225t
    @twins1225t Před 2 lety

    공기의 저항이랑 도선 저항을 무시했으니 ㅎㅎ

  • @user-ct5wr8ir3o
    @user-ct5wr8ir3o Před rokem

    `썸네일에서 공기 넘는중이라는 말을 보고 태클 걸러 `왔습니다. ////// 썸네일에 속았네요 제가 적은 내용이 있네요 ㅎㅎㅎ;
    위 회로와 등가 회로를 그리자면 저항 아래도 대지로 또 하나의 선을 그려도 동일한 회로가 됩니다. 그러면 전기는 공기를 넘는 것이 아닌 전선을 타고 흐르는 것이 됩니다.
    대지로 접지 시킨 선을 삭제 하셔야 공기 넘는 중이라는 글이 맞는 말이 되는것 같습니다.(이 이야기를 하시려다 실수 하신것으로 보입니다. 또는 접지 시키는 것이 아니라 공기를 아주 큰 저항이나 콘덴서로 바꿔서 회로를 구성하셨으면 좋을 듯 합니다.)

  • @junkpotion2160
    @junkpotion2160 Před rokem +2

    도체간 간격이 왜 1mm인가요? 그림은 전선과 땅 사이의 간격이 d 라고 나오는데 계산식이 다른 소리를 하니까 이해가 안가요

    • @GOAT-mn7ec
      @GOAT-mn7ec Před 5 měsíci

      음 주로 케이블공사는 지중매설이나 지중관로로 많이 쓰입니다 그래서 케이블이 땅에 묻혔다고 생각하시면 편할거에요 그렇게 되면 케이블
      도체와 땅사이에는 피복밖에 없겠죠?? 더 정확히 말하면 피복과 차폐시스 절연물이 있겠지만 그 두께를 아마 1mm로 적어놓으신걸거에요

  • @user-wg6vz6sx1y
    @user-wg6vz6sx1y Před 2 lety +2

    도체간격이...?

    • @electric_revolution
      @electric_revolution  Před 2 lety +3

      C값을 크게 하려고 H선이 바닥에 떨어져 있는 상황으로 연출하였습니다, 즉, 1mm로 잡았습니다. 안그러면 C값이 너무 작아져셔요. :)

  • @fenderelec
    @fenderelec Před 9 měsíci

    나 전기기사 어뜩해 붙은거여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user-lb1bn2wn6g
    @user-lb1bn2wn6g Před 2 lety +2

    종전에는 전압선을 R, S, T 또는 U, V, W로 표기하였으나
    2021.01.01부터 시행되고 있는 한국전기설비규정(KEC) 및 IEC에 의하면
    L1, L2, L3 로 표기하도록 되어있습니다.
    또한,
    전선의 색갈구분도
    L1: 갈색, L2: 흑색, L3: 회색, N: 청색, 보호도체(접지선): 황색바탕에 녹색띠
    로 개정되었습니다.

    • @electric_revolution
      @electric_revolution  Před 2 lety

      백두님 말씀이 맞습니다, 좋은 교정에 감사드립니다. 현장에서는 아직도 R, S, T를 계속 쓰더라구요ㅎㅎ 엔지니어분들이 한번 입에 습관이 되면 계속 쓰더라구요, 핫상 이런것도 대표적인 예.

    • @user-rj2mp5hs2e
      @user-rj2mp5hs2e Před 2 lety

      감사합니다~

  • @snowflakeperv
    @snowflakeperv Před 2 lety

    ...... 모르겠담. 3일째 추천영상으로 보여주길래.. 봤는데 머지.

  • @googoojs
    @googoojs Před 2 lety

    뻥 쫌 고만,,,, 그리 될려면 대지에 적어도 수천 수만볼트에 무한대의 전하량이 있어야 하는데 땅에 뭔 전하가 있어서?

    • @electric_revolution
      @electric_revolution  Před 2 lety +1

      썸네일과 제목만 읽으시고 영상의 내용을 끝까지 안보셨나 봅니다, 영상을 처음부터 끝까지 봐주세요. :)

    • @forsythiabeagle8946
      @forsythiabeagle8946 Před rokem +1

      @@electric_revolution 고생이 많으십니다 전기기사 선로정수 파트와 송배전시간에 배우는 내용을 쉽게 설명해주시는데 뻥 취급을 받다니 눈물이 앞을 가리네요

    • @user-yz3jd9wc8f
      @user-yz3jd9wc8f Před 9 měsíci

      영상이라도 전부 시청하고 이런댓글 남기는건가? 빈수레가 요란하다라는 말을 이럴 때 써야 딱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