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인문학 교수가 프랑스에서 느낀 인문학 교육의 중요성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교수 김헌

Sdílet
Vložit
  • čas přidán 10. 07. 2024
  • 인간보다 뛰어난 지능을 가진 AI, 인간의 일자리를 대체하는 로봇
    세상의 변화를 이끌고 있는 중심에는 과학과 기술이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텐데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인문학에 관심을 갖고
    인문학적인 관점으로 세상을 바라보아야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영상의 주인공 김헌 님은 10년 동안 고등학교에서 불어 교사 생활을 하다가
    서양 철학을 공부하기 위해 프랑스로 유학을 갔는데
    대입, 취업 중심의 한국 교육과 다르게
    사회의 일원을 길러내는 데에 초점을 맞춘 프랑스 교육 방식이 인상 깊었다고 해요.
    인문학을 중시하는 프랑스는 어떤 입시 제도와 교육 문화를 갖고 있는지
    기술 중심 사회에서 인문학이 여전히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지
    인간의 역사를 완성하는 교육은 어떤 식으로 이루어져야 할지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김헌 교수님의 생각을 들어보았습니다.
    ---
    이 영상은 교육부 미래교육위원회와 함께 만들었습니다.
    [주제별로 보기]
    00:00 인트로 : 인문학의 본질
    01:50 자기소개
    02:09 학창시절에 마주한 근본적 질문
    03:30 프랑스로 유학을 가게 된 계기
    04:08 한국과 프랑스의 교육 차이
    07:33 미래를 준비하는 교육이란?
    09:00 인문학의 중요성

Komentáře • 271

  • @eo_studio
    @eo_studio  Před 3 lety +5

    👇🏻영상의 주인공인 서울대 인문학연구원 김헌 교수님의 이야기를 아티클로도 만나보세요.
    eoeoeo.net/snu201907

  • @1g351
    @1g351 Před 5 lety +197

    선생님 이런고민을 가지고 주변에 이야기를 하면 외계인으로 보는 시선이 슬픕니다.

  • @bbolssal
    @bbolssal Před 5 lety +208

    이 영상을 교육부가 만들었다니 으미 아이러니한거

  • @sarahk1782
    @sarahk1782 Před 5 lety +147

    작년 교수님 그리스 비극 수업 들은 학생인데 교수님 얼굴 보고 놀라서 들어왔어요! 교수님 수업 정말 배울게 많고 생각할 것을 많이 던져주시는 수업이었어요. 질문을 받는 것을 환영하시고 본인이 생각하시는 답을 들려주시는 것, 동시에 다른 답의 가능성이 있음을 항상 시사해 주시는 것, 신화에 나타난 여신을 그저 '여'신이 아니라 '신' 으로 말씀해 주시는 것 등등 말씀 하나하나에 많은 생각을 하게 해주시는 수업이었습니다. 교수님께서 이 영상 댓글을 읽으실지는 모르겠지만 그냥 너무 인상 깊게 감사하게 들은 수업이라 저도 모르게 댓글을 남기게 되었네요. 그냥 수업을 위한 수업이 아니라 정말 교수님은 교육 철학을 가지고 가르침을 주시는구나 느껴지는 수업을 하십니다. 너무 존경스러워요

  • @knownun5030
    @knownun5030 Před 5 lety +248

    학문은 의심의 연속이다. 학문이 의심이 멈추면 그것은 종교다
    종교와 학문의 차이는 의심이다. 의심없는 맹목적인 믿음은 종교다.
    고3때 중국어 선생님이 해주셨던 말이에요

    • @반짝반짝7
      @반짝반짝7 Před 5 lety +23

      학교선생님의 이분법적 표현에 제의견 남깁니다. 종교(최소 고등종교)는 믿음에 근거하나 맹목적 믿음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목적이 없는 믿음. 진리에 근거하지 않는 믿음은 매우 위험하며 너무도 안타까운 사람일것입니다. 그러나 실재 그러한 사람들이 있지만 그건 오히려 지양해야할것이며, 신앙은 진리에 근거한 믿음을 추구합니다. 그러하기에 진리에대한 탐구는 중요하고, 진리탐구의 기본인 질문은 필수요소가 됩니다. 성경에도 말씀이 진짜 그런가하여 상고하는 뵈뢰아사람을 신사적이라 표현하였구요.
      (개인적으로 신앙을 가진 사람은 오히려 우주와 생명의 기원에 대해, 삶의 의미와 목적에 대해 진지한 사람이라고 생각합니다..저또한 이에대한 극심한 갈망가운데 신앙을 갖게되었구요) 신앙을 갖게되는 계기는 다양하겠지만, 진리를 추구하다가 확신이 올때 그것이 그 사람의 신앙이 될 수 도 있을것 이고(물론 신앙은 지식이 아닌 믿음으로 시작되지만요)
      중요한것은 신앙인은 신앙을 가진 후 그때부터 더깊은 진리를 탐구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이런 영상을 들으시는 분이라면 삶의 가치에대한 진지한 태도를 소유하고 있으리라 생각되는데~
      응원합니다~
      저 또한 진리를 발견해가는 이 기쁨이 더 깊어지길 바라구요^^

    • @gskwiwkwai00
      @gskwiwkwai00 Před 5 lety +10

      @@반짝반짝7 그 목적과 근거에 반증 가능성을 두지 않고 옳다라는 전제 아래에서만 탐구하는데 믿음만 있다면 그것이 종교고 반증 가능성 아래서 끊임없는 질문을 하는 것이 학문 맞죠

    • @knownun5030
      @knownun5030 Před 5 lety +14

      @@반짝반짝7 일리있는 말이에요 당시 선생님이 이분법 적으로 표현한건 아마도
      고등학생의 눈높이에 맞춰주기 위해서 였을 거에요

    • @반짝반짝7
      @반짝반짝7 Před 5 lety +4

      @@gskwiwkwai00 네~ 맞습니다. 탐구라는 고뇌의 시간 끝에 발견한 진리에 대한 확신. 그래서 더이상 그 개인에게는 반증이 필요없는 확신이 생겨버린것. 이때부터 신앙이 시작되는것 같습니다. (그럼에도 이 진리에 대한 발견 그리고 믿음은 한 개인의 탐구로 얻을수 있는 차원이 아니기에 이 진리를 얻게된것을 은혜라 표현할수밖에..)
      진리탐구 끝에 (은혜로) 신앙인이 된 후, 학문적 용어로 믿음을 설명하기가 힘든데, 학문과 신앙을 연결하는 다리가 되어주는 학문이 양자물리학인것 같습니다. 과학자들 사이에서 엄청난 반증을 거쳐 계속 발전해가는. 보이지않는 세계에 대한 학문적 검증이 이루어지고 있는 분야. 암튼 모든것의 근본이되는 진리를 알아가고자하는 모든 사람이 귀하고 저를 포함한 모두가 더 깊은 진리에 이르기를 바랍니다~^^

    • @playerunknown7043
      @playerunknown7043 Před 5 lety +15

      @@반짝반짝7 증명할 필요가 없는게 맹목적인 믿음이고 그게 종교로 연결되는거죠 특히 기독교주의적 사고관이 맹목적인 믿음을 강요하는 부분이 상당하구요.

  • @red2love
    @red2love Před 5 lety +201

    인문학 + 과학 = 우주
    한쪽만 아는 것은 세상을 잘 모르는 것
    인문학과 과학을 같이 공부해야 함.
    그리고 중요한 것은 아는 것과 실천하는 것은 전혀 다르다.

  • @user-gm1sb2os3u
    @user-gm1sb2os3u Před 5 lety +78

    나 자신이 무엇인지, 인간이란 무엇이길래 이렇게 살아가는지
    이런 질문들을 내가 어릴 때 누군가 계속해서 물어봐줬다면 지금과는 크게 다른 인생을 살고 있을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어요.
    가끔 주변 사람들한테 어떤 사람으로 살고싶냐고 물어보면 대부분의 사람들이 비슷한 대답을 하더라구요.
    적당히 돈을 벌고 결혼을 하고 나중에 어떤 특정지역에 집을 두고 살고..
    혹은 많은 돈을 벌고 남편도 아이도 없이 내가 사고싶은거 다 사고 하고싶은거 다 하는 인생..
    이런 대답들이 틀린것은 아니지만
    어떤 가치를 가지고 살아야하며 나는 어떤 인간으로 살아가고싶은지 고민하다가 던진 질문이었는데
    질문의 포커스 자체가 아예 달랐다는 것이 충격적이면서 마음이 아팠던 기억이 있네요.
    모두가 나만의 가치를 가지고 살아가기 힘든 세상이 된 것 같아요. 가장 중요한 문제인데 말이죠..
    그래서 태용님 채널을 볼때마다 이상하게 눈물이 나는가봐요
    항상 새로운 자극을 주셔서 감사합니다ㅎㅎ

    • @seunghwanjeong5348
      @seunghwanjeong5348 Před 5 lety

      혹시, 예원님은 삶을 살아가는 데 있어서 어떤 가치를 갖고 어떤 사람으로 살아가야겠다고 생각하셨나요?
      고민 끝에 내리신 결과 무엇인지 궁금하네요 :)
      답변해주시면 많은 분들이 예원님의 답변을 통해서 자기만의 가치를 찾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Asak_BAsak
    @Asak_BAsak Před 5 lety +47

    저런 깨어있는 분에게 배운 학생들이 부럽습니다. 제가 생각하는 인생의 세가지 복중에 하나죠.

  • @philous_official
    @philous_official Před 5 lety +62

    정말 많이 공감하고 갑니다. 질문하는 것이 결국 ‘나’라는 사람에게 집중하게 해주고 스스로 나만의 답을 찾아감으로써 행복해질 수 있는 것 같아요. 내가 뭘 좋아하는지, 어떤 가치를 추구하고, 어떻게 살아가고 싶은지 등등 정말 중요한 문제인 것 같습니다.

  • @staringbeyond9649
    @staringbeyond9649 Před 5 lety +36

    영상을 보고 여러가지 생각이 드네요. 먼저 프랑스에서는 학생들이 방학때 아프리카에 가서 의료봉사를 하거나 입시문제가 예술이 인간의 삶을 변화시키는가를 묻는 질문이라는 것이 인상적이네요. 스스로 생각하고 스스로 답을 찾아가는, 정형화된 답이 없는 교육을 하는 프랑스가 참 대단하고 부럽습니다. 한국에서는 소위 엘리트 집단에서 흔히 관찰 가능한 그들만의 게토화된 사고를 가지고 비상식적인 조직문화가 형성되어 있는 현상을 볼 때 결국 우리나라의 주입식/입시위주의 교육이 낳은 사회적 병폐가 후불제적으로 발생하는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더불어 공대쪽 전공으로 학사학위를 마치고 서른을 바라보는 나이가 다 되어가다 인문학에 대한 관심이 생겨 진로를 틀까 고민을 하고 있는 도중에 먹고살 문제가 막막하다는 두려움에 결단을 사실상 철회하는 방향으로 가고 있었습니다. 교수님의 말씀을 들어보니 참 용감하시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 용단에 고개가 숙여집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Jus_d_Orage
    @Jus_d_Orage Před 5 lety +71

    인문계열 진학을 목표로 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인문계열이 많이 어렵다는 곳곳의 상황을 듣거나 보고 많이 고민했었는데 이 영상을 보니 힘이 나네요. 비록 제가 가고자 하는 건 미술사학, 사학 쪽이지만 이 영상에서 중점적으로 다룬 철학과 크게 다르지는 않은 것 같아요. 이런 영상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

  • @woo0317
    @woo0317 Před 5 lety +39

    사회 생활 하다보면 인문학이 왜 필요한지 안다.. 기술은 대학에서 안 배워도 바깥에서 충분히 배울 수 있지..

  • @nzrealpk7629
    @nzrealpk7629 Před 5 lety +22

    오래 전에 출판된 철학소설, 소피의 세계,가 생각나요
    노르웨이 고교교사가 저자죠
    박사 따고 중고교 교사라 , 부러워요 프랑스, 이곳 오클랜드에도 고교생이 알바이트 해서 남미로 봉사활동을 가죠

  • @Diplomaker
    @Diplomaker Před 5 lety +43

    철학과 종교 사이를 전전하면서 나라는 존재는 무엇인가, 나는 어떻게 살아야하는가 질문했던 시기가 있었습니다. 답을 알고 있는 것 같은 사람을 리더이자 지도자라 믿고 그 사람(생각,판단,사상)을 따르려고 한 적도 있습니다. 하지만 결국 그 사람도 모순덩어리이며, 결핍있는 인간일뿐이라는 존재라는 것을 알았을 때 엄청난 실망감도 느꼈습니다. 비로소 주체적으로 산다는 것. 주체적인 삶을 산다는 것이 무엇인지 진지하게 고민하기 시작했고, 인간에 대한 이해, 인간에 대한 본질을 알게 하고, 눈을 떠준 것이 바로 인문학이 있었습니다.

    • @moonlee4877
      @moonlee4877 Před 4 lety

      왜. 인문학이 필요한지 절실히 깨달은 적이 았었다 . 미국에서 65-이상 의 노인들이 , 한사람을 끈임없이 저질 스럽게 공격 하는 실상 을보고 인간에 대한 실망( 천주교인 과 기독교인 이라는 그것도 노인들이...

  • @Young-ej3em
    @Young-ej3em Před 5 lety +32

    우리나라를 변하게 하는 힘 중 하나는 이런 태용님의 영상에 의해 정보를 받아 움직이게 해주기에 오늘도 감사를 전합니다 :)

  • @ernestoche4901
    @ernestoche4901 Před 5 lety +18

    왜 꼭 그 좋은시기를 지나고 나서야 깨닫는건지 모르겠습니다. 대학에 있을때 이런 교수님 한번이라도 찾아가 봤으면...어땠을까 생각해보게됩니다. 지금이라도 이런 좋은 교수님을 만나게 해주셔서 다시 한 번 시작할 수 있게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JC-sd1fw
    @JC-sd1fw Před 5 lety +28

    ㅠ ㅠ 태용님, 이번 영상도 정말 마음속으로 울며 보고 갑니다.
    교육이 변화해야한다고 절실하게 느끼고 교육을 바꿔가려는 사람으로서, 정말 큰 공감을 합니다.
    이런 콘텐츠들이 많아지는 것이 결국 우리나라 사람들의 사회적 공감대가 점점 커져가는 것이라고 보면 되겠죠? 저도 이 흐름에 사람들과 선구자가 되어 사람들과 함께 교육 문화를 바꾸고 싶습니다.
    교육부 미래교육위원회와 함께 만든 영상이라면 우리나라 정부 차원에서도 이러한 관점에서 눈이 뜨여 있다고 생각할 수 있겠죠?
    우리나라 교육부가
    단순히 정치적인 흐름, 즉 진보,보수들이 잡는 정권에 따라 교육의 지침이 마음대로 바뀌는 것이 아니라 인간을 위해, 대한민국 국민을 위해 우리나라 교육제도가 어떻게 바뀌어야 하는지 고민하고 또 고민하여 행동을 하고 결과물을 만들어 냈으면 좋겠습니다.
    (저는 정부가 바뀌지 않으면 제가 바꾸고 싶어하기에, 그러한 역량을 쌓아 가는 중인 사람입니다.)

  • @Sayy_What
    @Sayy_What Před 5 lety +56

    알찬 13분이었다...

  • @user-tq9rl6fr3e
    @user-tq9rl6fr3e Před 5 lety +27

    지금 대한민국 사회에 꼭 필요한 강연이네요 ....
    큰그림

  • @user-if7wo7og4t
    @user-if7wo7og4t Před 5 lety +26

    취업 고민에 정신없던 와중에 이 영상을 볼수 있게 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돈과 자본의 문제에서 벗어나서 저의 진로를 고민할 수 있는 시각을 얻게됬습니다.

  • @yainshidae
    @yainshidae Před 5 lety +11

    프랑스 바깔로레아도 어느정도 틀은 있어요. 우리나라 논술처럼 쟤네도 양식을 외워서 씀.. 물론 기본 인문학 교육이 탄탄한건 인정합니다. 주장이 옳고 그르고 간에 자기 주관과 주장도 뚜렷하고 그래서 그런지 자기 삶에 대한 확신이 확실하더라고요. 망설이지 않고 하고자 하는 일에 추진력이고요. 많은 프랑스 사람들에게 경제력이 삶의 절대적 기준이지도 않고요..

  • @user-bg8qx8hk7c
    @user-bg8qx8hk7c Před 5 lety +16

    대한민국은 자연스러운 과정속에 있다고 생각합니다. 인문학이 재조명받고 다시 수면위로 올라오는데는 공교육이라는 산업화시대라는 용도의 교육, 이 사라져가고 새로운 무엇인가 필요하다는 사람들의 공감대가 모여서 나타나는것 같습니다. 사람들에게 있어서 더이상 교육은 먹고사는것을 당장 알려주는 것이 아닌 우리가 어디에서 와서 어디로 가는가에 대한 심오한 통찰인거죠. 지금까지 돈벌려고 막 먹고 살려고 달려온 사람들은 다시 제자리로 돌아온 기분이겠죠. 영문도 모른채 스스로에게 질문없이 달린것일테니까요. 지금의 청년이 돈만 많이 준다고 대기업에 목숨걸지 않는 이유, 입사후 3년이내 3분의1이 퇴사하는 이유는 그 징조겠죠. 스스로에게 질문을 던지는 타이밍이 이전세대보다 훨씬 더 빨라진것을 의미하는겁니다. 정보검색만 빨라진것이 아니라 고민과 질문을 공유하고 문제의식을 공유하는게 그만큼 더 빨라지고 실시간적이게 되었으니까요. 아무튼 교수님 같은 분이 대한민국에 계셔서 참 다행이라고 생각이 들면서, 그런분들이 지금까지 계셔 주셔서 우리가 이런 질문을 던질 수있는 바탕이 있다고 생각이 드네요.

    • @BlueSky-zu8oe
      @BlueSky-zu8oe Před 4 lety +1

      통찰력이 뛰어나시네요. 공감합니다!

    • @dkim8141
      @dkim8141 Před 4 lety

      깨어있는 청년들도 있지만.. 공무원시험에 정말 많은 청년들이 매달려 있죠..

  • @saem6486
    @saem6486 Před 3 lety +7

    생각을 하자고 해서 바로 생각을 할 수 있는 게 아니고 생각하는 것도 꾸준한 공부와 연습이 필요하더라구요. 우리 교육도 중고등학교든 대학교든 주입식 좀 줄이고 학생이 사람이 스스로 고민하고 생각할 수 있도록 여건을 마련해 주면 좋겠어요.

  • @mmmnnmmn2965
    @mmmnnmmn2965 Před 5 lety +6

    차이나는 클라스에 나오셨던 교수님이네요 ! 그리스 로마 신화와 관련한 수업 너무 재밌던 기억이 납니다.
    저또한 인문학, 그 중에서도 철학을 공부하는 학생입니다. 불안한 미래와 함께 현실에 타협한 삶을 살고 있는데 ... 정말 감사한 영상입니다. 비주류로 규정 지어진 인문학은 사실 우리에게 “어떠한 삶을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와 같은 많은 질문을 던지며 답을 찾도록 하는 감사한 학문인데, 단지 실용적이지 못하고 이윤을 창출할 수 없다는 이유만으로 평가절하가 되더라고요.
    결국 주체는 인간이라는 교수님의 말씀이 정말 와닿습니다. 인생이라는 궤도 속에서 자신을 잃어버리지 않도록 하는 인문학의 중요성을 많은 이들이 알아주었으면 해요.

  • @user-ui5cp9zv1j
    @user-ui5cp9zv1j Před 5 lety +7

    김헌교수님 강의 넘 좋습니다.인문학은 인간의 삶의 나침판인것 같아요.서로 어울려 지구공동체라는

  • @user-nl9hj1ps4v
    @user-nl9hj1ps4v Před 5 lety +1

    미래교육위원회에서 이렇게 좋은 영상을 함께 기획해주다니. 감동.
    진짜 좋은 영상이였고, 많은 물음표를 만들게 한 강의와 같았음.
    스스로에게 질문을 많이 만들게 만드는 감사한 영상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hb9dz5so3w
    @user-hb9dz5so3w Před 5 lety +3

    지금 사뵈가 교육이 학부모가
    각성하고 아이들에게
    스스로의 인격을 찾을 수 있게해주는
    넘 훌륭한 강의였습니다
    이 영상도 많이 퍼지고
    교수님도 다양한 매체서 많이
    뵈면 좋겠습니다
    태영 유트버님 구독 꼬옥 누르고
    갑니다
    좋은영상 계속 기대할게요~~♥

  • @yeol1424
    @yeol1424 Před 5 lety +42

    동감합니다. 선진국으로 불리는 독일 프랑스의 엘리트들은 엘리트 다운 가치관을 가지고 사는 사람들 이 많더라구요..

  • @isangcouple
    @isangcouple Před 5 lety +2

    와. 너무 좋아요. ㅎㅎ 교육에 대한 영상들이 많아졌네요:)!!! 감사합니다!!~~~~~~

  • @alloalohaallo
    @alloalohaallo Před 5 lety +1

    끝까지 보려고 했던게 아니었는데, 일상 언어로 쉽게 말씀해주시고 재밌게 말씀해주시니까 그냥 후루룩 다 봐버렸네요. 편집도 호흡이 저한테 딱 좋았던것 같아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user-xk5qs7or4j
    @user-xk5qs7or4j Před 5 lety +24

    저 교수님의 수업이 듣고싶어지는 순간이네요

  • @user-qn6sv3mc9e
    @user-qn6sv3mc9e Před 5 lety +1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철학에 대한 말씀도 좋고, 교육에 대한 말씀도 너무 좋네요 교사들이 본인의 학문을 발전시키면서 학생들과 함께 성장하는 모습을 보여준다면 그보다 좋은 교육경험은 없을거란 생각이 듭니다

  • @user-ox3xi6ft3b
    @user-ox3xi6ft3b Před 5 lety +2

    13분의 영상 안에서 많은 유익한 생각을 가질 수 있도록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저는 특히 마지막에 역사가 이어지기 위해서 필요한 조건들 중 교육에 대해서 말씀하셨던 것이 가장 인상 깊었습니다. 교육이 단순히 가르친다는 개념이 아니라 인생을 전달하는 과정을 아우르는 것이라는 알게 되었기 때문이에요.
    그 외에도 역사가 지속되는 이유를 들으면서 두 가지 조건 외에도 무엇이 있을까 고민해보았고, 지식의 기록화라는 제 나름대로의 답을 내려보기도 했습니다.
    짧은 영상이었지만 그 사이에 인문과 교육에 대한 많은 질문을 품을 수 있게 해주셔서 다시 한 번 감사드립니다.

  • @user-lg7ch5ic1t
    @user-lg7ch5ic1t Před 5 lety +2

    오늘 하루 참 마음에 힘겨운 일들이 많았는데, 이 영상 하나가 제게 위로를 주네요.
    사람을 중심에 두고 나니 오늘 힘겨웠던 일들이 조금 정리되는 느낌입니다.
    감사합니다.

  • @uuuhoo5942
    @uuuhoo5942 Před 5 lety +4

    태용님 매번 좋은 컨텐츠 감사하게 생각합니다🥳🥳

  • @user-md6wg8zj6o
    @user-md6wg8zj6o Před 5 lety +31

    우아. 내가 중고등학교때 바라던 교육이었음.

  • @user-qv9qv8ls4q
    @user-qv9qv8ls4q Před 5 lety +4

    졸업하고 요즘 다시 대학강의 듣고 싶었는데 김헌 교수님의 인문학 강연 짧지만 잘 봤습니다^^

  • @nameno-ds3oj
    @nameno-ds3oj Před 5 lety +4

    제목부터 좋아요 박고 시작합니다! 항상 좋은 컨텐츠 감사해요

  • @user-nl9hj1ps4v
    @user-nl9hj1ps4v Před 5 lety +1

    이렇게 좋은 강의를 뒤로 넘기며 다시 듣고 또 듣고 질문을 적을 수 있어서 행복합니다.

  • @user-po5um2ou8y
    @user-po5um2ou8y Před 5 lety +10

    이채널 요즘 내가 자주 보는 채널 쭉 정주행 하는중~

  • @jaypark3949
    @jaypark3949 Před 5 lety +2

    교수님, 그리스 철학 강의 아직도 인상적 이였어요 :)
    우연히 영상으로 다시 뵙게 되어 반갑습니다. :)

  • @onelee4404
    @onelee4404 Před 5 lety +3

    태용님 좋은 컨텐츠 올려주셔서 항상 감사합니다. 공부하는데 많은 힘이 되네용

  • @sunday0923
    @sunday0923 Před 5 lety +2

    좋은 방송 하나를 거저 얻은 느낌입니다, 고맙습니다

  • @user-iw2ud4qs7y
    @user-iw2ud4qs7y Před 5 lety +3

    차이나는 클라스에서 뵜는데 다시 보아 반갑습니다! 인문대학생으로서 공감하고 감사합니다.

  • @Hehe-q8c
    @Hehe-q8c Před 5 lety +5

    너무 좋은채널.. 감사합니다

  • @jang-jun805
    @jang-jun805 Před 5 lety +2

    정말 많은 것들을 생각해 주게 만드는 영상 항상 감사드립니다

  • @Raccoonoodle
    @Raccoonoodle Před 5 lety +14

    인문학은 놀이입니다. 지식인의 유희죠. 놀기만 해선 먹고 살수 없고, 일만 하면서 살수도 없는 노릇입니다. 저도 한때는 인문학도를 꿈꿨지만 지금은 경영학에 열정을 쏟는 중. 인문학과 다른 학문이 그다지 멀리 있는게 아니더군요.

    • @jin2556
      @jin2556 Před 5 lety

      신재민 인문학도 공부해보시고 현재는 경영학에 열정도 쏟아보 인문학과 그 밖의 다른 학문과의 차이가 생각보다 크지 않고 많은 공통점이 보인다는 뜻으로 말씀하신 것 같습니다.

  • @user-mk9rp8ef1z
    @user-mk9rp8ef1z Před rokem

    사회가 변하지 않으면 교육 자체는 정체가 되어 있다는 말씀을 인상 깊게 들었습니다. 인문 계열 진학을 고민하고 있는 학생들에게 큰 도움이 되었을 것 같네요. 어느 한 가지 지식만 필요한 경우는 없는 것 같아요. 과학이 발전을 하더라도 인문학 또한 함께 생각하고 발전해야 하는 것 같습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totus-tuus2
    @totus-tuus2 Před 5 lety +22

    교수님 생각에 공감 200프로... 강의 듣고 싶네요..서울대생이 아니어도 청강 가능하다면 좋겠어요..ㅠㅡㅠ

    • @user-zl3mu2wd1d
      @user-zl3mu2wd1d Před 5 lety +5

      Snuon이라는 사이트에 교수님 온라인 강의 그리스 비극 하나 올라온거 있습니다

    • @sunday0923
      @sunday0923 Před 5 lety

      단체이적님 감사합니다~

  • @luckyjune1294
    @luckyjune1294 Před 5 lety +1

    이렇게 좋은 영상을 무료로 볼 수 있게 해주셔서 고맙습니다... 영상 보면서 눈물 나왔어요.

  • @user-uv7eg8jd4l
    @user-uv7eg8jd4l Před 5 lety +4

    미래를 준비하는 교육이 무엇이어야 하는가? 잘 적응하려면 무엇을 공부해야 하는가? 저 기술은 인간에게 무엇이어야 하는가? 미술관에서 융합수업 진행하고 있는데 정말 공감가는 내용입니다. 그리고 고등학교때....불어선생님...이렇게 다시 볼 수 있다니...놀라움. ^-^

  • @jmw8189
    @jmw8189 Před 5 lety +2

    말씀을 참 잘하시네요.강의한번 들어보고싶네요

  • @yoon359
    @yoon359 Před 5 lety +3

    작년에 저희 학교에 오셔서 강연하셨던 거 생각나요 인상깊게 들었었고 인문학에 대한 인식이 많이.. 긍정적으로 바뀌었는데 영상으로 다시 뵙게 되어 반갑네요

  • @user-vc4qh5nm2g
    @user-vc4qh5nm2g Před 4 lety +2

    너무 인상깊은 말씀 좋네요!! ㅎㅎㅎㅎ 김헌 교수님 짱!!

  • @chaegpya9496
    @chaegpya9496 Před 2 lety +1

    평소에 휴대폰만 하면서 자신리 생산적인 활동을 하지 않는다는걸 깨닫고 최근에 인문학에 관련된 책을 읽어보면거 새로운 것을 배우고 또 영감을 얻었습니다.
    이 강의는 저한테 취미로라도 인문학을 해야 할 이유를 잘 설득시키는 것 같네요.

  • @Qwerqwerqwer1234
    @Qwerqwerqwer1234 Před 4 lety

    눈물 나도록 감동적인 말씀이네요
    감사합니다

  • @ahyoung5628
    @ahyoung5628 Před 5 lety +15

    너무 좋은 영상이네요. 어린아이를 사람되게 만들고, 사람을 사람답게 만든다는 것이 무엇인 지에 대한 고찰...
    사회가 변해야 한다는 것의 그 출발점은 개개인이 먼저 서로를 바라볼 때 같은 사람으로서 존중하며 성숙한 관점을 가지는 것부터 시작이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 @aug28th8
    @aug28th8 Před 4 lety +1

    오 마이 갓?!!! 이분 번역 너무 좋아서 이분이 번역한 책은 그냥 신뢰하고 봅니다

  • @onyoulee2181
    @onyoulee2181 Před 4 lety

    매번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교수님의 말씀 하나하나 공감이 가고, 또 저를 돌아보게 됩니다.

  • @kimlee2946
    @kimlee2946 Před 3 lety +2

    이런 주제를 다루는것 정말 감사드림. 일생내내 저의 큰 관심사인 인문학을 이해하는 (꼭 인문학을 공부한다고 이해를 하는건 아니드라고요) 사람들과 이공계만 공부한 사람들의 사고 능력에 있어서의 엄청난 차이를 질문해 왔고 결국은 대화둔절의 사람들 사이에서 피상적 수준 이상의 친구 내지 결혼상대 까지 포기한 그런상태를 받아 들인 삶에서도 제나름 대로의 만족한 삶,감사의 삶을 살고 있음. 인문학의 중요성을 누구보다 강조하고 싶슴니다. 미국서 유학하고 계속 살아오며 특히 이들과의 대화 불능이 근본적으로 가치관의 차이도 있지만 인문학 이해의 부재도 하나의 이유가 되겠슴.
    불행히도 유럽인은 드물게 보지만 그들의사고능력이 미국인 들의 것과 다름은 긴 역사와 고전에 대한지식, 인문학 에로, 보다 높은 문화에의 노출 등이 아닌가 싶습니다. 저는 한국의 교육에 인문학의 개입릐 절대성을 적극 추천 하고 싶습니다.

  • @user-ml5hi9le4k
    @user-ml5hi9le4k Před 5 lety +1

    이런 영상을 만들어 주셔서 감사해요 !

  • @myeongwonson9864
    @myeongwonson9864 Před 5 lety +1

    좋은 말씀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 @user-lw7vx1de7q
    @user-lw7vx1de7q Před 4 lety +1

    값진 13분이었습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 @factisaswan
    @factisaswan Před 5 lety

    정말 좋은 강의 한 편 들은거 같아요. 더 듣고 싶네요

  • @avocadopower7657
    @avocadopower7657 Před 5 lety +2

    저도 요즘 인문학에 빠져있어요. 제가 인문학을 좀 더 빨리 알았더라면
    세상을 더 다양한 시각으로 보고 더 많은걸 쉽게 흡수할 수 있었을거라고 생각해요
    그래서 좀 더 빨리 빠졌으면 좋았을걸~ 이라고 후회 하는데 ...
    뭐 그래도 지금이라도 빠져서 재미있고 즐거워요

  • @JumeoniArt
    @JumeoniArt Před rokem

    하나 하나 다 옳은 말씀이십니다

  • @joon0468
    @joon0468 Před 5 lety +2

    굳굳굳!!!!!~~~~~~^^
    감사합니다

  • @user-xy4zk3jl2f
    @user-xy4zk3jl2f Před 5 lety +1

    교수님 넘 멋있으세요^^👍👍👍

  • @sohyesong3145
    @sohyesong3145 Před 4 lety

    좋은 말씀, 진심으로 감사합니다

  • @idtututu
    @idtututu Před 5 lety +1

    영상 잘 보고갑니다,

  • @sarahveglover3329
    @sarahveglover3329 Před 5 lety +3

    이런 분들이 선생님 하셔야합니다ㅠㅠ

  • @sanahn9117
    @sanahn9117 Před 4 lety +5

    인문학 전공자가 취업이 힘드니까 인문학을 잘 안받아들이는거지
    인문학자체가 싫어서 사회적으로 인문계열을 천시하는 게아님.
    현재 전세계적으로 인문학은 취업이 힘들고 인문학이 자본과 협력해야만
    인문학이 살아남을 수있음. 결국 자본과 협력하지 못하는 인문학은 도태될 수 밖에 없음.
    인문학이 결국 얼마나 사회적으로 이득인가에 따라 선택되고 도태되기 때문에
    인문학을 전공하는 사람들은 인문학만을 전공해서는 취업이 안되고
    공학, 이학계열은 본인 전공 잘 살리면 취업이 얼마든지 가능하기에 인문학을 기피하지
    자기인생에 확실히 도움이 되는것과 도움이 될지 안될지 애매모호한 것의 차이에서 발생하는거임.
    특히 취업난이 심할수록 인문학적인 사고는 메마르게 되고 좀더 취업이 잘되는 학과에 편중되기 마련임.
    인문학도 결국 경제적 상황, 돈에 따라 좌우될 뿐임. 잘난 철학자,사상가들도 대부분 부자거나 서포터가 있었으니까

  • @behappyboy1495
    @behappyboy1495 Před 4 lety

    태용님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user-tm5te8wi1y
    @user-tm5te8wi1y Před 4 lety +2

    우린 질문하는 것, 늦는 것, 실패하는 것, 의견을 말하는 것, 그 의견을 받아들이는 것 그런 걸 너무 배우지 못했거나, 여전히 수용이 부족한 사회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스스로를 괴롭히는 게 쉬운 것 같습니다.

  • @yeonshilllee2239
    @yeonshilllee2239 Před 5 lety +1

    교수님께서 말씀하시는 인문'이란 사람으로서 사람답게 살아가는 길의 문'이라고 생각합니다^^

  • @meaunmat__9161
    @meaunmat__9161 Před 5 lety +1

    와이런영상을 다만드시는거세요? 대단하세요 그리고 고맙습니다

  • @user-jx3xo7zu7h
    @user-jx3xo7zu7h Před 5 lety

    매우 공감합니다 .

  • @braveh7042
    @braveh7042 Před 5 lety +2

    미국도 같아요. 저의 영어 선생님도 박사학위 선생님이셨어요 물론 한국분이셔서 더 멋지셨죠.

  • @eternalmoonlight4957
    @eternalmoonlight4957 Před 5 lety +4

    이제 본격적 입시의 마무리 단계로 들어서고 있는 현 고3학생입니다철학과 예술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고 본질적인 것에 대해 탐구하는 것을 좋아하는데요학교 시험을 칠때마다 어쩔 수 없지만 주입식 암기 위주의 교육현실이 너무나 안타깝고 1학년때부터 3년동안 변하지 않는, 형식의 교육에 가끔은 내가 시간을 버리고 있는 것은 아닌가 싶기도 했습니다. 그나마 이러한 현실 속에서 작은 의미라도 얻어갈수 있도록 혼자서 한발자국 더 나아가서 학교 교육 이외의 공부를 하려고 노력해왔는데요. 우리나라의 이러한 교육방식이 언제바뀔지 궁금하기도 하고 회의감이 듭니다. 협동과 탐구 중심의 공부보다는 철저한 개인주의와 이기주의, 옆에 있는 친구를 나의 경쟁대상으로 만들며 남들보다 몇점 더 문제를 맞추지 못하는 나 자신에 대한 깊은 자괴감. 이런 것들은 대한민국의 학생이라면 모두 안고 있는 것이리라 생각합니다. 이 영상을 보고 다시한번 느끼는 것은 기회가 된다면 정말 외국에 나가서 공부를 하고 싶다는 것입니다. 대학교에 가서도 취업을 하기위해 영상에 나온것처럼 경제학과나 취업이 잘되는 과로 전과를 하는 사례를 제 친구들의 언니오빠에게서도 흔히 찾아볼 수 있었습니다. 저는 이제 그만 공부를 위한 공부를 하고 싶습니다. 맹목적으로 무언가를 준비하기 위한, 대학에 가기위한, 취업을 하기위한 공부는 이번년도로 졸업하고 싶네요..또한 현재 한국에서는 인문학 붐이 불고 있어서 교양으로써의 인문학은 키워드로서 많이 등장하고 있지만 실질적으로 진짜 학문을 하고자하는 학생들을 위한 지원이 있는지는 모르겠네요..

  • @yja1034
    @yja1034 Před 3 lety

    말씀이 아름답습니다.

  • @user-pn2lv9dq5x
    @user-pn2lv9dq5x Před 4 lety +3

    교육 정치 과학 등 모든 분야는 인간이 어떻게 살아갈까? 어떻게하면 집단이 유지될까 등 인문적인 문제에서 파생된 분야여서 여러 분야를 깊이 있게 이해하려면 그 뿌리인 인문에 대한 탐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 @Philosopher-World
    @Philosopher-World Před 4 lety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 @user-ji4mi1gi3z
    @user-ji4mi1gi3z Před 5 lety +11

    인문학이 필요하다는 것에는 동의합니다, 하지만 일단 책에서 좀 벗어났으면 좋겠어요..
    저포함 젊은 사람들은 오래살아남아야 되서 내가 활용하거나 영향받을 수 있는 정보를 받아들이는게 생존하고 직결이 되어 버렸죠
    그래서 모든 학문이 세상의 정보를 기반으로 일어나는 일의 관계정보를 설명하려고 하는데, 인문학도 그렇게 가르친다면 인기가 있어질거라고 생각합니다

  • @sangjunkim9078
    @sangjunkim9078 Před 5 lety +3

    현재 우리나라의 교육 체계, 많은 문제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학생들의 잠재력과 역량을 죽이고 몇 문제 더 맞추기 위해 암기하고 에너지와 정력을 쏟아 붓습니다. 프랑스처럼 서로 토론하고 생각을 말하는 능력이 되어야지 사회의 큰 일원이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맹목적으로 어른들의 말을 따라서 취업취업만 하는게 아니라 스스로 주체성을 가지고 생각하는 능력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우리나라 교육 체계 다 뜯어 고쳐야 합니다. 세계올림피아드 수학상받은 학생들이 의대가는 판인데.... 오늘도 저희 학교는 수학 문제를 풉니다.

  • @egg_sunnn
    @egg_sunnn Před 5 lety +1

    무슨 교육 프로그램인 줄 알고 영상을 봤는데 개인 분이 인터뷰 하시는 거였다니 놀랍네요...

  • @cjyoun4292
    @cjyoun4292 Před 5 lety

    태용님! 이번주 목요일날 대전창업포럼에 참석하신다고 들었습니다! 목요일에 꼭 뵙고싶어요!

  • @crgrredargdx615
    @crgrredargdx615 Před 5 lety +2

    지리

  • @fincoke77
    @fincoke77 Před 5 lety +1

    윤리와 신에 대해 궁금해 미술과
    철학을 전공 하고 싶은 고등학생입니다
    제가 처음 이 학문들을 배우고 싶은
    이유가 단순히 알고 싶기보다는
    스스로 삶의 질문에 대한 것을 채우고
    싶은 욕구 때문이라는 것을 다시금
    되새기고 갑니다. 물질적인 것을
    추구할수도 있지만 정신적인 만족감을
    느끼게 해주는 학문을 배우고 또
    그것이 또 하나의 경쟁력이고
    어떻게 활용하는 것에 따라서
    금전적으로도 앞가림을 할수
    있으리라는 생각이 듭니다.

  • @user-jt6pn5mq9l
    @user-jt6pn5mq9l Před 3 lety

    정말 이 문구가 제 가슴을 흔들었네요..
    가끔씩 귀찮아서 질문하지 말라는 어른들 보면 화가 납니다ㅠㅠ 감사합니다 배우고 갑니다

  • @user-zl5do9vv1e
    @user-zl5do9vv1e Před 5 lety +2

    좋은 사회에서는 각자가 하고 싶은 일을 자유롭게 할 수 있어야합니다. 인간은 각자 주목하는 것이 다릅니다. 그런데 그런 인간들을 사회가 한 분야에만 집중하게 만들면 힘들어집니다. 그게 가능한 사회는 그런 시스템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선진국들이 이런 시스템을 가지고 있는 것은 그만큼 오랜 시간동안 시행착오를 겪은 후에 얻은 결과물입니다.

  • @reading_book_
    @reading_book_ Před 2 lety

    저도 김헌선생님 책 사봐야겠네요. 스트라스부르에서 공부하셨다니...만나뵙고 싶습니다.

  • @warmhands88
    @warmhands88 Před 2 lety

    불어교육 전공자로서 더욱 반갑습니다.
    강의 잘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gk7cb7ie4m
    @user-gk7cb7ie4m Před 5 lety +81

    이분 자녀들부럽다..

    • @park5178
      @park5178 Před 4 lety +7

      쏭 쏭 자녀를 부러워할게 아니라 본인이 저런 부모가 되야지 하는 마음을 가지는게 더 좋지 않을란지

    • @user-fg6yy8po2m
      @user-fg6yy8po2m Před 4 lety +9

      @@park5178 그거랑 별개로 부러운건 부러운거죠.

  • @qwqqqq376
    @qwqqqq376 Před 5 lety +2

    내용 너무 좋다.. 근데 이거 보면서도 저 분은 직업 있어서 좋겠다고 생각했다...ㅠ

  • @user-hz3lq1fh5o
    @user-hz3lq1fh5o Před 5 lety +1

    프랑스에서는 대학 인문학 박사 과정을 거친 사람들이 중,고등학교 교사로 간다라는 대목에서 소름이 쫙 돋았습니다
    정말 단 한번도 생각치 못했던 상황인데... 한국의 인문학 불모지가 제도에서 비롯되고 있다라니 너무 슬프고 동시에 좋은 해결방법을 알려주네요

  • @hannachoilee844
    @hannachoilee844 Před 4 lety +1

    한국에서 살다가 유토피아는 없다고 생각했지만 그래도 좀 더 나은 방향을 가진 곳으로 와 배워보자고 부모님잘만나 고마운마음으로 해외에 나와서 공부하고있는데 내가 아직 이 선진된 교육에 낯설어서 적응 못하는 걸 보면 마음이 답답해져만갑니다..내 이야기 내 생각하는 걸 표현하는 게 이렇게 무섭고 두려운 지 몰랐어요...수동적인 내 모습이 참 씁쓸하고 깨지못해 너무 힘든 시기입니다. 여기서 주저앉지말고 노력해서 입을 열어야하는데..
    틀렸다고 생각한 체제에 내가 굉장히 잘 적응해있을 때의 모습..너무 슬퍼요

  • @runner2345
    @runner2345 Před 5 lety +1

    한국의 교육시스템에 의해 체계화된 한국인들의 인생관과 가치관에서 정말 자신의 인생을 감사히여기며 세계로 나아가는 인재가 나타나기는 힘들다는건 큰 문제인것 같습니다.
    자기 자신을 주체로 생각하며 삶에대한 질문을 지속적으로 만들어가며 자기만의 가치관을 확립하는 사람이 행복해질 수 있고 또 그 질문이 다른 학문과 인생의 봉변에 닥쳤을때 헤쳐나가는 문제해결 능력을 길러줄 수 있고 자신의 삶에 더 성공적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
    살면서 정말 어려운 질문은 인생에 대한 질문이지 양자역학같은 수학 문제가 아니라는게 제 신념....

  • @moonriverh
    @moonriverh Před 3 lety +2

    우리나라교육의 문제점을 정확하게 지적하고 계시네요. 기술직에 대한 대우가 개선되지 않는 한 우리나라의 교육문제는 해결될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입시제도 백날 바꿔봐야 근본적으로 바뀌는 건 하나도 없어요.

  • @user-jg6sg2fu3z
    @user-jg6sg2fu3z Před 5 lety +1

    감사합니다

  • @tartini2000
    @tartini2000 Před 5 lety +1

    저는 미국에서 살면서 처음 느꼈던 문화적 충격 중 하나가 질문을 하면 "그거 정말 좋은 질문이에요" 라고 하면서 문제를 풀어나가는거에요. 벌써 문제를 대하는 관점이 한국과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죠. 질문을 하면 "너 그것도 몰랐어?" 라는 반문이 오는 곳에서 있다가 오히려 질문이 똑똑하다는 말이 한참 낮설게 느껴졌던 기억이 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