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와 불교가 아닌 것을 구별하는 방법: 삼법인이란? [원영스님의 이제서야 이해되는 불교, 저자 강의] 3

Sdílet
Vložit
  • čas přidán 30. 07. 2023
  • 청룡암 주지 원영스님은 삼법인에 대해 말합니다. 제행무상, 일체개고, 제법무아, 열반적정 중 무상, 고, 무아를 삼법인이라고 하는데요. 증일아함경 23권에서 부처님은 "이 네 가지 근본진리를 사유하라"고 말합니다. 이처럼 삼법인은 불교의 인감증명서와 같은 부처님 말씀의 핵심이라고 합니다.
    보다 쉬운 불교 교리 이해를 위해 책을 교재로 저자 강의를 준비했습니다.
    '이제서야 이해되는 불교' 저자 원영스님과 함께 읽어보아요 ~
    #원영스님 #이제서야이해되는불교 #삼법인
    ◇ 불광 블로그(공식) :
    blog.naver.com/bulkwanger
    ◇ 불광 페이스북 페이지 :
    / bulkwang
    ◇ 불광 뉴스레터 구독하기
    page.stibee.com/subscriptions...
    ◇ 불광미디어 인스타그램 :
    / bkbooks79
    ◇ 불광미디어 홈페이지
    www.bulkwang.co.kr/

Komentáře • 230

  • @start555
    @start555 Před 10 měsíci +37

    스님 안녕하세요? 일요일에 만난 부산 서하네 할머니 입니다. 관세음 보살님같은 미소로 기쁘게 반겨주셔서 감사합니다. 너무 신난 나머지 모든 시름을 다 잊었습니다. 맛난것도 주시고 단주도 주시고.. 흥분과 기쁨이 가득차 스님과 사진찍는것을 잊어 너무 아쉬웠습니다. 다음에 시간내어서 다시 찿아뵙겠습니다. 마음공부도 열심히 하고 행복한 삶을 살겠습니다. 스님 감사합니다. 사랑합니다. 덕분입니다. ()()()

  • @user-id8qy6rs5j
    @user-id8qy6rs5j Před 10 měsíci +23

    불법승 삼보님께 귀의합니다 🙏🙏🙏
    좋은인연 감사합니다🙏🙏🙏

  • @user-so7ps7wf3c
    @user-so7ps7wf3c Před 10 měsíci +41

    듣고 돌아서서 잊어버리는 나이지만 이해하기쉽게 설명해주시는 스님께 감사드립니다. 듣고 또보고 하겠습니다.

  • @jhkim8696
    @jhkim8696 Před 19 dny

    감사합니다

  • @user-nu8ef1nb6q
    @user-nu8ef1nb6q Před 10 měsíci +8

    스님의법문 고맙습니다
    모든중생들이 스님법문듣고 부처님잘모시고
    공부들잘해서 부처님전에
    복많이짓길발원

  • @user-du6ny1fg1l
    @user-du6ny1fg1l Před 10 měsíci +7

    스님 최고 입니다
    초보 불자이지만 부처님법을 공부하는데
    스님의 가르침이 너무 큰 공부가 됩니다
    너무 감사합니다
    계속 보고 듣고 불법 공부하고 있으니 계속 영상 올려주십시요
    다시한번 감사드립니다

  • @user-jv7uf5yg7b
    @user-jv7uf5yg7b Před 9 měsíci +1

    원영스님 좋은법비내려주심에 감사드립니다 나무마하반야바라밀
    _((()))_

  • @user-hk1je5kk1r
    @user-hk1je5kk1r Před 10 měsíci +19

    원영스님께서 三(삼)法(법)印(인)에 대한
    자세한 설명.
    고맙습니다.감사드립니다~❤

  • @user-sj4gd2qh8r
    @user-sj4gd2qh8r Před 10 měsíci +15

    정법을 설법해주시는 분이야말로 부처님 제자입니다

  • @user-bq7sj7op6e
    @user-bq7sj7op6e Před 10 měsíci +17

    어떻게 이렇게 쉽게 이해할수 있게 보통말로 법문을 해주실까..참~ 진자 맘에 와닫고 무슨 까닥인지 알겠어요..스님 법문 들으니 너무 좋습니다.

  • @user-hm7zp2lm7b
    @user-hm7zp2lm7b Před 10 měsíci +16

    🙏🙏🙏 감사합니다

  • @user-sk3um1ul3z
    @user-sk3um1ul3z Před 10 měsíci +6

    거룩한 삼보님께 귀의합니다. 스님 법문 감사드립니다. 법문을 만들어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나무 아미타불 관세음보살_()_

  • @user-so2ox1bb5g
    @user-so2ox1bb5g Před 10 měsíci +12

    스님과인연의말씀을 잘새겨간직하겠읍니다

  • @user-on3ky1sd3e
    @user-on3ky1sd3e Před 10 měsíci +4

    원영스님과 좋은 인연맺어 스님 법문 열심히 듣고 부처님 닮아가는 불자되고싶어요 스님고맙습니다

  • @user-bu4om9gf7t
    @user-bu4om9gf7t Před 10 měsíci +18

    늘감사드립니다 속세에물든 일부승려분들도 비판해주셔요 가마솥찜통더위에 건강잘챙기시고요

    • @user-cq2yj4ye3s
      @user-cq2yj4ye3s Před 10 měsíci

      깡패.건달 .부모족도 모르는
      지목슴 저세상에서 끝나것지.

  • @user-dj5jk5td3y
    @user-dj5jk5td3y Před 10 měsíci +16

    감사합니다~♡

  • @user-ux1lo4yo3l
    @user-ux1lo4yo3l Před 10 měsíci +26

    원영스님의 강의 잘듣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gt7oe2ml6g
    @user-gt7oe2ml6g Před 5 měsíci +3

    원영스님 광폭 불법 설을 하여 주시니 너무 감사 합니다
    만남의 인연을 주신 부처님께 감사 드립니다

  • @NamuAmitabul6666
    @NamuAmitabul6666 Před 10 měsíci +14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 @user-tm8ev6ej7j
    @user-tm8ev6ej7j Před 10 měsíci +4

    불. 법. 승 삼보에 귀의합니다🙏🙏🙏

  • @user-mp9ng9jb1s
    @user-mp9ng9jb1s Před 10 měsíci +11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어려운 용어보다 알기 쉽게 쏙쏙 쉽습니다 ❤❤❤❤

  • @100redrose6
    @100redrose6 Před 10 měsíci +5

    이세상에서 인연 없는 것이 어디 있겠는가 또한 이런 도량도 없을것이고 시방삼세 부처님께 귀의하며 두손모아 절합니다

  • @user-ku5ko3xv1k
    @user-ku5ko3xv1k Před 29 dny

    스님과 같이 하는 공부가 정말 쉽게 다가와
    넘 기쁩니다 눈이 확 뜨이는 이 기분
    감사하고 감사드립니다 오늘 삼법인 통달한 느낌~ 조금 과장이긴 합니다만.

  • @diamondsutra88
    @diamondsutra88 Před 10 měsíci +19

    참 요새 유튜브에 이상한 스님들 많던데 이 스님은 외모 자체부터가 신뢰가 가네. 에너지가 참 맑으셔. 고로 계율을 잘 지키신다는거겠지! 존경합니다~^^

    • @user-li8kt6jr2c
      @user-li8kt6jr2c Před 10 měsíci +2

      원영스님께선 청룡암법당에 계십니다
      님은 어느불당에~?

    • @user-zg4vo9sc1m
      @user-zg4vo9sc1m Před 10 měsíci

      ​@@user-li8kt6jr2c불당은 무속인이 부처의 형상을 모신것 입니다
      절에서는 법당이라 부르지요

  • @user-jn7fi6bv6h
    @user-jn7fi6bv6h Před 10 měsíci +12

    원영스님께 삼배올립니다 🙏🙏🙏

  • @altair5957
    @altair5957 Před 10 měsíci +22

    ❤감사합니다 늘건강하시고 편안하시길 기원합니다 🙏

  • @user-sz7xq9op1k
    @user-sz7xq9op1k Před 10 měsíci +4

    원영스님 감사드리고 감사드립니다_()_()_()_

  • @user-zf3df8lw7c
    @user-zf3df8lw7c Před 10 měsíci +3

    좋은 가르침 입니다
    내가 없으면 고는 내것이 아니고
    내가 있으되 내가 아닌것이 내가있고 나라는 존재가 없기에 세상속에서 있지요

  • @user-ch4tm7vx1m
    @user-ch4tm7vx1m Před 10 měsíci +21

    정말 귀한 인연입니다 이제야 이해되는 불교 잘 읽었습니다 한문장 한문장 이해하기쉽게 부처님 가르침을 설명해 주시는 불교신앙 안내자이신 최고에 원영 스님 불자들에 스승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 @duk9517
    @duk9517 Před 10 měsíci +13

    감사합니다 스님 🙏

  • @sgnstoker
    @sgnstoker Před 10 měsíci +1

    스님 고맙습니다

  • @jihyunlee634
    @jihyunlee634 Před 10 měsíci +2

    명법문

  • @user-pj5vh4fr1j
    @user-pj5vh4fr1j Před 10 měsíci +3

    불법승 삼보의 귀의 합니다
    나무아미 관세음보살

  • @oecmplus
    @oecmplus Před 9 měsíci

    처음 뵈었는데..스님 말씀 잘 들었습니다..감사합니다

  • @user-vj9yn9ih3c
    @user-vj9yn9ih3c Před 10 měsíci

    덕분입니다. 감사합니다.

  • @user-og8ry9ox9t
    @user-og8ry9ox9t Před 10 měsíci +7

    가사가 화려합니다.

    • @user-ci1kw1wg4k
      @user-ci1kw1wg4k Před 10 měsíci

      가사가 아니라 장삼입니다 실크장삼 같은데 좀...가사를 수하셨으면 좀더 보기가 편했을것 같습니다

    • @user-og8ry9ox9t
      @user-og8ry9ox9t Před 10 měsíci +1

      @@user-ci1kw1wg4k
      ㅎㅎ
      그런가요
      난 또 ㅎㅎ
      '가사장삼'이라 하나 그냥 가사라 하지요.
      장삼이라 단독으로 입거나 부르지 않지요
      장삼이 가사의 덧 옷으로 이어져 오다가 사명대사때 소매와 허리 부분의 이음으로 옷의 형태가 달라져 이를 통틀어 가사장삼이라 부르지요.
      ㅎㅎ
      지금은 그냥 가사라 많이 부르는데 이 또한 사치의 극치를 보여주고 있기도 합니다.
      '다른 절 주지 이번에 천만원짜리 해드렸대
      그래도 우리 절이 좀 크니까 우리 주지 스님은 천오백짜리로 해드리자'
      ㅎㅎ
      완전히 미치고들 있습니다.
      저렇게 화려한 옷에 불똥이 하나 떨어져 구멍이 났다면?
      ㅎㅎ
      옛 성철, 법정 스님은 아궁이에 아무말 없이 넣었을 것이나 저 비구니는 글쎄요 ㅎㅎㅎ
      이런 것들이 중국 도교로부터 건너오고 문명이 발달되다 보니 화려하게 된 것이고 마치 구름위 도인 처럼 저 모습이 얼마나...
      탐진치에 벗어나는 수행자가 뭔 옷이 그리 중요하겠습니까
      다만 대중들에게 보여지는 모습에 정갈하고 다소 검소한 형상으로 다가가면 좋으련만
      제말이 다 옳을 수 없습니다.
      글이 길었습니다.

  • @user-xf2ue9uj7o
    @user-xf2ue9uj7o Před 6 měsíci

    원영 스님 감사드립니다 ()()()

  • @user-ny1fw7jy6s
    @user-ny1fw7jy6s Před 10 měsíci +3

    스님 감사합니다 성불하세요🙏

  • @user-dt8pc8co6r
    @user-dt8pc8co6r Před 10 měsíci

    스님 이제서아이해되는 불교의 책을 잘보고 있습니다

  • @user-co7jp4io7n
    @user-co7jp4io7n Před 5 měsíci

    감사합니다 !

  • @user-dt8pc8co6r
    @user-dt8pc8co6r Před 10 měsíci

    스님과 인연 맺어주신 부처님 감사합니다

  • @user-kt2lu3le6p
    @user-kt2lu3le6p Před 10 měsíci +9

    고등학교 다닐 때 배웠던 제생무상, 제법무아, 일체개고, 연기설등이 궁금해서 유투브를 검색하다가 원영스님의 " 원불대 " 를 듣게 되었습니다. 정말 좋은 시간이었습니다. 매일 스님이 하신 강연을 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관세음보살님의 목소리를 들었다면 아마 원영 스님의 목소리 같지 않을까 생각이 듭니다. " 어서 어서 모이세요 " 하는 소리가 자꾸 나를 부릅니다. 감사합니다.

  • @bakbak1023
    @bakbak1023 Před 10 měsíci +3

    스님께서 말하는것은 오온이 뭉처진 몸과 마음 모양이나 실상을 가지고 말씀하시는것이고.!
    불생불멸을 말씀하신 부처님의 말씀은 본래면목 깨달음은 실상을 말씀하신것이 아닙니다. 그것을 잃러 불생불멸의 참나를 말씀하신건데. 삼법인이란 모양에 집착하는 중생들에게 일러주는 말씀입니다.
    너는 영원히 변하지 않습니다. 모양없는 청정법신인 나를 알아차리세요. .

  • @user-sh1eb7wl4o
    @user-sh1eb7wl4o Před 9 měsíci

    불.법.승 삼보에 귀의 합니다 🙏
    나무아미타불...()🙏🙏🙏
    고맙습니다 🙏
    덕분입니다 🙏
    감사합니다 🙏

  • @user-yb9gz8yw2x
    @user-yb9gz8yw2x Před 10 měsíci

    삼보의 귀의 합니다, 저는 보살수계자 월도 입니다 나이는 70이고요 부처님 경전과 만은 조사스님 경은 보물 아님이 없지만 스님의 맑고 아름다운 법음은 듣기가 넘 넘 행복해요 스님 감사합니다, 스님법문 많은 불자님들이 들으시고 좋은 인연 충만 하시길 기원해 봅니다,

  • @user-cd7vy6nu1q
    @user-cd7vy6nu1q Před 9 měsíci

    사랑합니다 ❤

  • @user-ew7ex3sv3m
    @user-ew7ex3sv3m Před 10 měsíci

    불법승 삼보에 귀의합니다.
    부처님 고맙습니다.
    나무대방광불화엄경
    나무대방광불화엄경
    나무대방광불화엄경 _()()()_

  • @user-jd8xx7wc6g
    @user-jd8xx7wc6g Před 10 měsíci +1

    마하반야바라밀~🙏🙏🙏

  • @IamTraveling
    @IamTraveling Před 10 měsíci +3

    우주( 순리)는 spiral 처럼 보이는
    매순간 변화하는 성질(무상)을
    추구하는 중이다
    그래서 매순간 변화해야 하나
    집착(고)은 멈추려는 error 같은
    시도이므로
    고통을 부여해서 정신차리라고 한다
    그런 우주는 조건이란 시트콤도 찰라생 .찰라멸을 거침없이 하이킥한다
    조건으로 잠시 형성된것을 나 라고 할 수도 있겠으나 이윽고 부셔져버린다
    그러므로 관찰한다
    나 라는 이름붙인 조건은
    생겼다가 이내 터트려지는 물방울(무아)환상 같았음을..
    바로 지금 변화하는 이순간에
    마음을 엽니다
    이것이 제겐 진리입니다^^

  • @user-oq9kx9kc2t
    @user-oq9kx9kc2t Před 10 měsíci +3

    나무 관세음보살

  • @user-vu9jd9jz5l
    @user-vu9jd9jz5l Před 6 měsíci

    굉장합니다!

  • @user-fy9th2js1h
    @user-fy9th2js1h Před 10 měsíci +4

    나무아미타불 나무관세음보살 나무대세지보살 나무인로왕보살 불보살님
    옴 제세제야 도미니 도제 삿다야 훔바탁 ~중생이 마군에 휘둘리지 않기를

    • @user-uz7dq5yt4q
      @user-uz7dq5yt4q Před 10 měsíci +1

      여러 불보살님들의 명호를 읇는건 좋으나 깊게 들어가려면 한분한테만 귀의하고 한분의 명호만 전념(专念) 하세요 .불가사의한 공덕을 얻게 될겁니다 .

    • @user-fy9th2js1h
      @user-fy9th2js1h Před 10 měsíci +1

      @@user-uz7dq5yt4q 제불보살님들 명호를 염송할때 각각의 다른 의미를 느끼고 각기 다른 믿음을 느낌니다

  • @deokyoungnam138
    @deokyoungnam138 Před 10 měsíci +9

    불교와 불교가 아닌 것을 구별하는 방법 => 15:09

  • @smkim-mf6do
    @smkim-mf6do Před 10 měsíci +7

    변하기때문에 무상이 아니고 생겨나서 소멸하는 것이기에 무상
    고,괴로움은 오온임
    오온은 실체없어 실재하지 않는 것이 무아

    • @deer0123
      @deer0123 Před 20 dny

      생겨나고 소멸하는 걸 변한다고 보통 말합니다. 쓸데없이 분별하지 마시오.

  • @user-dq4lz9vt5j
    @user-dq4lz9vt5j Před 10 měsíci +4

    정법 바른 법의 기준은 부처님과 그 법과 승가에 대한 신심과 팔정도가 있느냐 여부,,,

  • @user-vq4ew1cp5m
    @user-vq4ew1cp5m Před 10 měsíci

    무아.무상 열반적정. 모두 중생법입니다😂😂 우주는 하루도 쉬지 않고 연기을 하고 있지요 인위적으로 하는게 않이고 스스로. 자연스럽게하는것이 연기사상입니다🏵🏵 연기사상은. 같으것끼리하는것이지요⭕️⭕️. 연기을 하면 새로운것이 창조 되는걸 공사상이라합니다😇😇 영원스님 참 차분하게 설명을 잘 하시는 모습 보기 좋습니다 💞💞 앞으로 연기사상과 공사상 공부하셔서 평화로운 목소리로 올려주시면 감사 하겠습니다😊😊

  • @user-su7du9yj4l
    @user-su7du9yj4l Před 10 měsíci

    너무너무 어려워. 관세음보살 항상무탈하세요 .관세음보살 😊

  • @user-ng1vv8rq6d
    @user-ng1vv8rq6d Před 9 měsíci

    🙏🙏🙏

  • @user-tu6nv7eo8e
    @user-tu6nv7eo8e Před 10 měsíci +6

    스님 머리위에 전등좀
    높혀주세요
    잘 듣고 있습니다

  • @jslee1428
    @jslee1428 Před 10 měsíci +6

    그리고 무아를 쉽게 이해하는 것은 나를 오온의 구성으로 설명하지요 색 수 상 행 식 여기에 색은 나의 몸을 말하는데 이 색이 아라면 병으로 이끌리지 않아야 하고 나의몸은 이렇게 되어라 이렇게 되지마라 의도하는 대로 되지 않지요 그러니 나라고 할 수 없지요.그래서 무아 입니다 .그렇다고 내가 없는 말이 아니고 나라는 존재는 다양한 조건에 의해 형성된 불완전한 존재 라는 것이지요. 그것이 연기의 유 중생이라는 존재지요. 그러니 연기는 12 지분을 정등각이 정의해 주신대로 배워야 여기에 수반되는 고와 고멸의 실천인 사성제와 팔정도에 의해 37조도품의 수행을 하는 것입니다.

  • @user-ok5qp2qp4t
    @user-ok5qp2qp4t Před 10 měsíci +1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 @runz2
    @runz2 Před 10 měsíci

    무상, 고, 무아 , 열반적정
    나무아미타불 😊

  • @gaedongkim7322
    @gaedongkim7322 Před 10 měsíci +7

    부처님은 열반에 즈음하여 아난에게 세상에 변하지 않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고 설법하셨는데, 그점은 이해됩니다. 그러나 좀더 깊이 생각하면 논리의 모순에 부딪히지 아니할 수 없습니다. 변하지 않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는 설법 중, "세상에 변하지 않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는 것" 자체는 예외없이 변하는가요, 유일한 예외로서 변하지 않는가요... 오랫동안 품어온 의문입니다.

  • @user-qu3tx6zw6o
    @user-qu3tx6zw6o Před 10 měsíci +3

    듣기가 참으로 난감하네요 어려운말씀인지 부처님이 법문 하실 때 이렇게 하셨는지도 궁금합니다 재미지는 부처님 말씀 좀 부탁해봅니다

  • @user-ye1jf6zj8j
    @user-ye1jf6zj8j Před 10 měsíci +1

    삼보에귀의합니다 합장

  • @user-ux9bm4rk3u
    @user-ux9bm4rk3u Před 10 měsíci +2

    제법무아를 내가 풀어보면
    모든 법은 자성 즉 불성에서
    나온 것이라
    空이고 無相이어서
    당연히
    나라고 할게 없기에
    무아라고 한다
    제법을 잘 알린 것이고
    또한
    부처님의 法身을
    말한 것이다

  • @user-kh8nf1sz7t
    @user-kh8nf1sz7t Před měsícem

    원영스님의 법회 안내입니다. 🙂
    💕 매월 첫째 & 셋째 토요일
    오전 10시 30분 서울 청룡암
    💕 매월 음력 초하루
    오전 10시 대구 화성사
    인연있는 불자님들의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

  • @deer0123
    @deer0123 Před 20 dny

    11:05 나라고 할 것이 없어 제법무아인데, 왜 모두가 하나로 연결이 되지? 나라는 게 없으면 저 사람과 하나가 되나? 나 혼자 존재할 수가 없어서? 그럼 혼자 존재할 수 없음을 두려워해서 하나가 되어야 하나? 어차피 무상하잖아. 그게 내가 아니라며. 06:55 그리고 아트만을 부정하면 서로 공유하고 있는 것도 없잖아. 저 사람이 내 눈 앞에서 죽으면 왜 나는 슬픔을 느끼는 거지?
    어떤 사람이 길을 가다가 묻지마 칼부림을 받고 쓰러져 죽음에 이른다면 그에 대해 왜 우리는 분노를 느끼는가? 그 사람과 칼이 마침 인연이 되어 만났을 뿐인데. 그리고 무아인데 그 사람은 아픔을 느끼는 건가? 그것이 왜 나의 아픔이자 분노로 일어나는가?
    15:09 원영스님은 삼법인을 강조합니다. '참나'를 주장하는 스님은 삼법인에 어긋나는 가르침이라고 주장합니다.
    '참나'는 불생불멸의 자리로 곧 열반인데 이를 부정하는 것이지요.

  • @user-ik7dd3cw6b
    @user-ik7dd3cw6b Před 9 dny

    스님.고.무상.무아 순서가 맞습니다.
    한국불교.승이나 학자나..잘나가다가 무아윤회로 빠져 버리던데 큰일입니다.

  • @user-gw1sg3tu4r
    @user-gw1sg3tu4r Před 10 měsíci

    부처 님께서연기법을설하신거 윤회에걸리지안으시려고고행하시고
    천상천하유아독전의 깊은뜻을알고
    다른건다접어두고
    저단어들만 공부하면서 사람답게 살아가려고 무더이도자신과싸우면서 인생을평범하게사랑들과 잘운ㅇ화하면서 75세가되어가는예산의초로의여인업니다

  • @user-rt5mw6ox7i
    @user-rt5mw6ox7i Před 10 měsíci +8

    잘 들었습니다. 그런데 제가 항상 의문을 품고 있는 것이, 나무든 꽃이든 원래 씨앗이라는 종자가 있어야 하지 않나요?그 것이 흙과 물과 태양이라는 인연을 만나야 성장하는 것이므로 모든 것이 서로 얽혀 있는 건 맞습니다마는, 흙이나 물이나 태양빛은 절대로 나무가 될수 없지요. 즉 어디서 갑자기 뿅하고 나무가 나타나지 않는 한, 나무나 꽃의 원래 바탕 (근본)이 있어야 한다는 겁니다. 무아를 모든 것이 얽혀있어서 나라고 할만한 것은 없다라고 하시는데, 그럼 나라는 그 무엇(본성)이 없는데 어떻게 다른 것과 얽혀있을 수가 있나요? 요즘 본성이라는 그 무엇도 없고 윤회도 없다라고 말씀하시는 스님들이 있으신데 많이 헷갈립니다.

    • @kim-zw8sf
      @kim-zw8sf Před 10 měsíci +2

      무아는 나라는 그 무엇(본성)이 없다라는 뜻이 아니고 따로 떨어져서 독립적으로 분리적으로 존재할 수 있는 것은
      없다, 라는 뜻 아닐까요. 따로 떨어져 무의지적인 독립적인 존재가 없다, 라는 뜻일 겁니다. 없다, 라기보다는
      절대적이지 않고 상대적이고 줄곧 작용하고 있다, 라는 의미가 더 적확할 것입니다.
      실체가 없다느니 있다느니 하는 것은 그 또한
      있음 없음에 집착할 수 있고 무아라는 의미는 존재보다는 작용 절대보다 상대성을 의미한다고 해야 더 적확할 것 같습니다.
      본성이 없다라는 뜻이 아니고 무아란 상대성을 의미하는 것이며 석가부처님께서는 전생과 이생에 걸쳐 일관되게 지속되는
      요즘 쓰는 단어로는 영혼이라는 것이 있나요 없나요, 라는 물음에 함구하셨습니다. 아무런 말씀도 하지 않으셨습니다.
      침묵이 윤회가 없음을 뜻하는 것은 아닐 것입니다. 있다,라고 하면 있음에 집착할 것이고 없다라고 하시면 없음에 집착하겠지요.
      생사해탈이 더 중요한 목적이었기에 그렇게 대응하셨다고 보는 게 일반적인 해석인 것 같습니다. 그리고 묻는 사람의
      경지에 따라 그에 걸맞는 대답을 해주셨을 것 같네요. 그 또한 상대성이고요.

    • @deer0123
      @deer0123 Před 20 dny

      본성이 없는데 어떻게 마침 조합이 그렇게 이루어져서 한 대상을 형성할까. 탁월한 지적입니다.
      본래 텅빈 가운데 신령하게 아는 무엇이 있어서 그렇습니다. 그것은 '공적영지'입니다. 생겨남도 사라짐도 없는 자리이지요.
      아트만이라 할 수 있고 참나라 할 수 있고 불생불멸의 존재라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원영스님은 그것을 부정합니다.
      무상 고 무아의 논리라면 그저 바탕 없이 지극히 우연하게 조합된 것일 뿐입니다. 당신은 무상이고 무아입니다.
      원영스님을 만나니 쓸데없는 지적이 되어버렸군요. 고통만 가중될 뿐입니다.

  • @user-ug2xl8mz8v
    @user-ug2xl8mz8v Před 10 měsíci +1

    나무아미타불

  • @user-pe5os8hn9z
    @user-pe5os8hn9z Před 10 měsíci +4

    스님법문이 띠가묻지않은 진정한법륜입니다 감사합니다

  • @user-gt3ud1yo1v
    @user-gt3ud1yo1v Před 10 měsíci +2

    좋은절에서 때꺼리 걱정없는 스님들이야 불법만공부히며
    부처님가르침대로
    사시겟지만. 하루하루 먹을것 걱정해야하는 스님들이 너무
    많이 있슴니다. 과연 그런스님들이 무엇을 먼저 고민하고
    생각하겟슴니까
    부처님말씀이먼저냐 먹고사는게먼저냐 이것이 문제아닌가?

  • @user-ug2xl8mz8v
    @user-ug2xl8mz8v Před 10 měsíci

    기도를 부치면서 스님께 칠성당은 건들지말고 올려주세요 했는데 스님이 건드렸는지 꿈에 칠성당 부처님들의 상다리가 부러지는 꿈을 꿨어요 스님께 애길했는데요 과연 스님 이라 할수있는지 넘 원망스럽습니다 경남 보현사 주지가 ~~

  • @user-ud4zp8pv9x
    @user-ud4zp8pv9x Před 10 měsíci +6

    원영스님 음성 이쁘세요^^ 박사학위따신 원영스님

  • @user-jd5oi5yu9v
    @user-jd5oi5yu9v Před 10 měsíci +9

    이제서야 이해되는 佛敎!
    성불하세요 ❤😅

  • @user-hv9xv8yi4c
    @user-hv9xv8yi4c Před 9 měsíci

    스님 저는 불교 공부 를 많이하고싶은데 책도 사서 볼기회도 없거니와 그냥 절에다니면서 열심히 염불하고 선을하고 기도하고 사는보살입니다 수많은 공부를 하신 역대조사님도 공부하는것을보앟읍니다 그러나 기도 에서는 끝없는 기도에들어갛지만 그래도 한문과 법 으로 된 책을 보고싶은데 어디서 어떻케 구해서 보아야 할찌 고민입니다

  • @user-ex4lb3zh7i
    @user-ex4lb3zh7i Před 10 měsíci +5

    좋은 법문 감사합니다 그런데 모든게 무상이고 무아이며 空이라면 자성하여 열반에 드는 주체는 무엇입니까?

    • @user-zw8nm4tf3o
      @user-zw8nm4tf3o Před 10 měsíci +1

      불교 핵심 교리
      것의 허점, 맹점 을 정확히 꽤뚫어 서
      지적 비판하였소.
      나도 이화여대 철학과 한자경' 교수 의 유튜브 불교 학 강연에서, 바로 그 점을 지적 비판한 바 있소.
      아마 석가모니 부처님도 그 점은 미처 깨닫지 못했을거요.
      불교' 라는 것이
      '변화무쌍한 ,''현상계''만 보고
      현상계'만 집착해서
      제행무상'
      제법무아'...만
      보고 사유하기 때문이오.
      궁극적 존재의 기반 [ 신 ] 이나
      우주의
      '시초 ㅡ 종국'
      같은 근본적 물음에는 눈감고 아웅ㅡ 하는 종교이오.
      그 때문에
      불교' 는
      종교가 아니라,
      [ 현상학 ]
      현상철학 < ㅡ 서양 철학의 훗설 '현상학' 과는 다른 >
      이라고 할 수 있어요.
      😢

    • @user-ex4lb3zh7i
      @user-ex4lb3zh7i Před 10 měsíci

      @@user-nb9dm6kq2k 그러면 아트만이라는게 있다는 예기인가요? 그건 힌두교에 있지 불교에는 없다고 들었는데요

    • @user-ex4lb3zh7i
      @user-ex4lb3zh7i Před 10 měsíci

      @@user-nb9dm6kq2k 결국 참나를 잘 다스려야 한다는 말씀이신가요?

  • @seungdongkim7202
    @seungdongkim7202 Před 10 měsíci +4

    공부할 때 어떻게 해야하는가? 라는 질문에 답하기를 '잘' 이라고 한다.
    삼법인의 제행무상이란, 이와 같다. '잘' 하면 된다와 같이 그 외에 다른 뜻이 없다. 말 그대로 해석하면 된다. 그리고 모든 상황에따라 그 답은 달라진다. 의미를 둘 수록 멍멍이 소리와 같아진다. 하는 말이 '잘' 과 다름이 없는데. 마치 다른 것처럼 말하지 말라. 제행무상은 그 답이 없다. 말 그대로 모든 것은 변한다는 것은 그냥 모든 것은 잘 하려고 하면 된다는 것과 다르지 않다.. 그게 무슨 답인가? 그냥 그렇다는 것이다. 대단한 것처럼 여기지 말라. 공부할 때 '열심히 해라.' 에 무슨 그렇게 큰 의미를 두는가? 의미를 둘 수록 불교는 세상은 망친다. ( 혹시 뭔 말인지 몰를까봐 덧붙인다. 공부하는 사람이 공부는 안하고 '잘' '잘' '잘' 만 생각하고 있다면 그 사람 공부와 인생은 망가진다. )

  • @user-pj5vh4fr1j
    @user-pj5vh4fr1j Před 10 měsíci +3

    스님
    삼법인 설명 감사합니다ㅡ

  • @user-pb5os1ye6p
    @user-pb5os1ye6p Před 10 měsíci +4

    궁금한것이있습니다. 스님들이 책을 쓰셔서 얻게되시는게 있나요?

  • @jslee1428
    @jslee1428 Před 10 měsíci +8

    삼법인을 그렇게 정의하면 부처님 가르침에 어긋납니다. 우선 일체개고는 제행개고로 알아야 합니다. 제행무상과 제행개고에 여기에 행은 유위로 형성된 것을 말하며 유위는 탐진치의 영항하에 형성된 것이지요.12연기의 행은 신행 구행 심행인데 신행은 몸을 형성하는 들숨날숨 구행은 말을 하기위한 말의구성 심행은 상과 수에의해 마음이 형성된 것이며 오온의 행은 신행 구행 의행 이지요 즉 오온의 행의 작용은 업입니다 .몸과 마음의로 선업을 지어야 하며 업에는 과와 보의 법칙성 이지요.삼법인은 존재 일반의 조건 관게를 설명 하지요. 그래서 조건에 이해 일어나고 조건이 변하면 사라 지는 원리인데 여기에 나라고 하는 상락아정의 특성이 부여된 나라는 고정된 존재가 있을까요 . 스님들이 찿는 진아나 참나는 허구이고 불성이라는 말도 부처님 법에는 없지요. 이제 인감도장 애기는 버리시지요.저는 부처님 연기법만 공부하고 살아갑니다.

    • @user-dd8oq1pb6u
      @user-dd8oq1pb6u Před 10 měsíci +6

      어휴~~ 님,,, 잘 들으세요. 삼법인 뿐만 아니라 모든 것에서 토를 달면 끝도없이 달라집니다. 이러니 너무 경솔하게 토다는 경솔함은 자제해 주기를 바랍니다. 문제제기를 할려면 새로운 근본 진리를 가지고 문제제기를 해야 합니다.

    • @user-mr8bd2ro6r
      @user-mr8bd2ro6r Před 10 měsíci +4

      오온의 행으로 업이되는건 아닙니다.
      의도가 업이 되는것이지요.
      들으신게 많으신듯 합니다.
      듣는것보다 몸소 수행해서 체득하는것이 연기법보다 중요합니다. 연기법만 공부한다고 했는데 그 연기에 대해 정확히 깨달아야 이치가 맞지요.

    • @user-dd8oq1pb6u
      @user-dd8oq1pb6u Před 10 měsíci

      @@user-mr8bd2ro6r 님,,, 님의 댓글만 놓고보면 공부수준이 아주 낮습니다. 앞으로 깊이 있는 공부을 많이 하시기 바랍니다. 참고로 아무리 행의 수행이 중요하다 하지만 수행승으로서 기본교육을 제대로 받고서 수행의 행을 해야 합니다. 만약에 이러지 않고서 주먹구구식 공부를 해서 수행을 열심히 하면 반드시 온갖 잡동사니 귀신이나 마장에 빙의가 됩니다. 빙의가 되면 마음의 문이 열리고 신통이 일어납니다. 대부분의 수행자들이 이것을 가지고 큰깨달음을 얻었다 하며 이 신통으로 신도를 모으고 신도들의 온갖 세속에 어려움을 해결해 주고 거액을 챙겨서 이것으로 또 초화려한 왕궁같은 절간짓고 해서 무슨 선사, 대사노릇 하는데 이게 모두 죕니다. 중지옥 이상으로 떨어집니다. 누구든 절대로 신통으로 세속사람들의 소원성취를 이루어 주면 아니 됩니다. 이는 완벽히 범죄행이 됩니다. 불교는 신통으로 세속사람들의 소원성취를 이루어 주는 것이 불교가 아닙니다. 즉 불교는 기복불교가 절대로 아닙니다. 이렇게 뭘 똑바로 제대로 알아야 합니다. 엿차하면 그대로 온갖 잡동사니 귀신과 마장에 끌려가 인생 망칩니다. 대단히 신중을 기해야 합니다. 어설푸게 하면 100% 이런데 끌려가서 처음에는 대단히 성공성취 하는것 같지만 인생 마지막에는 인생 망치는 길로 떨어집니다.

    • @jslee1428
      @jslee1428 Před 10 měsíci +1

      충고의 말씀 감사합니다.오온의 行과 思는 같은 말 이며 思는 의도 즉 업이지요. 갈애를 조건으로 의도 기대 지향 을 거쳐 사유하고 신업과 구업으로 행위를 하면 결실을 맺지요. 어떠 한 업을 짓느냐에 따라 10불선업과 10악업이 라고하며 여기에 의업은 불선업으로 간탐과 진에 사견으로 그리고 선업은 불간탐 부진에 정견으로 남에게 전달되지 않는 업인데 의도 기대 지향을 거처 사유의 과정에 신업과 구업으로 표출되는 것입니다. 그리고 연기는 깨달음이 아니고 나 즉 중생의 삶에 오취온의 괴로움의 발생과정을 12지분의 조건관계를 나타낸 것이며 이과정을 꿰뚫어 알때 고멸을 실현하는 팔정도가 제시되는 것이지요, 수행이라 ..이런 과정이 수행이며 별도의 깨달음이 필요 한것인지요 .수행은 소유하고져 하는 소유의 사유를 넘어서야 시작됨니다. 그래야 존재가 오롯이 드러날때 제대로 향상된 삶으로 전환됩니다.
      @@user-mr8bd2ro6r

    • @user-dd8oq1pb6u
      @user-dd8oq1pb6u Před 10 měsíci +2

      @@user-nj9mq7md4q 님,,, 의문의 글을 올려 주셔서 감사합니다. 불교에 여러 가르침중에서 연기법이란 것은 세상만사가 흘러가는 기본현상을 관념론적으로 설명한 겁니다. 신학론에서는 이를 신의 섭리로 설명 하겠지요. 서양의 이성론 철학에서는 이를 이성론으로 설명 하겠지요. 또 중국의 도가 쪽에서는 태극과 음양오행으로 설명 하지요. 그러나 오늘날 같이 과학이 발달한 시대에서는 역학으로(에너지학으로) 설명 하지요. 사실 과학의 역학으로 설명하는 것이 가장 바릅니다. 바로 설명합니다. 그리고 금강경에 보면 제법이 모두 이름 뿐이라고 매우 강조하여 나옵니다. 사실 깊이 정밀히 보면 제법이란 것은 없습니다. 그래서 깊이 정밀히 보면 제법이란 것은 이름 뿐입니다. 그런데 사람을 비롯한 모든 생물은 태어나면 열심히 살아야 됩니다. 이것이 태어난 의무 이기도 합니다. 왜 이런지는 현대 과학적으로 설명해야 하는데 너무 길어서 여기서는 약하겠습니다. 아뭏은 사람외에 모든 생물은 특히 동물은 태어니면 열심히 살아야 되는데 어디까지 열심히 살아야 되느냐 하면 천적에게 잡혀 먹힐때 까지 열심히 살아야 합니다. 그래서 사람외에 모든 생물은 늙기전에 천적에게 잡혀 먹혀야 합니다. 이래서 집안에 개를 묵어놓치 않고 키우면 스스로 알아서 늙을때가 되면 산속으로 들어가 천적에게 잡혀 먹힙니다. 그리고 사람은 이와 좀 다릅니다. 금강경에 제3 정종분에도 나와 있드시 모든 생물과 환경을 잘 보살피며 살아야 합니다. 쉽게 설명하면 이 지구상 전체에 생태계를 잘 보살피고 보존하며 살아야 한다 이 뜻입니다. 이러자면 자연히 전세계에 모든 사람과 협력할수 있는 법과 질서 및 협약을 만들어야지요. 또 모든 생물의 생리학도 환히 다 알아야 되고 환경보호보존 원리도 연구해서 알아야지요. 그야말로 온갖 모든 것을 알아야 하고 여기에 따른 법과 질서도 세워야 합니다. 이것도 46억년이라는 이 지구역사에서 이시대에만 말입니다. 과거 100만년전에는 이런 것이 필요 없었고 앞으로 100만년 후에도 이런 것이 필요 없을 겁니다. 이 어마어마한 지구역사에서 이시대에 사람이 이 지표에서 살때만 입니다. 이래서 온갖 제법이란 원래 없는 것이지만 사람이 사는 이시대에는 잠시 필요하다는 의미 입니다. 모두 한시적으로 있다 이 뜻입니다. 그렇다고 이시대에 함부로 버릴수도 없습니다. 꼭 필요합니다. 이래서 이름 뿐이라고 하고 있습니다. 금경에는 이런 내용도 있습니다. 중생이란 것도 수행을 잘하면 즉 사구게에 맞게 잘 살면 중생이 아니란 말씀도 있습니다. 이래서 중생이란 것도 이름 뿐이라 했습니다. 결국 이런 내용입니다. 제법이란 것도 원래부터 이 우주상에 영원히 있는 것이 아니고 사람이 살아가는 동안 잠시 필요하다는 의미 입니다. 그러니 여기에 너무 과도히 집착하지 말라 이 뜻입니다. 이러다가 늙어 죽어서 사후세계에 가면 사후세계에 맞는 그 세계에 질서대로 살아야 하니 이 지상에 온갖 제법은 임시로 있다 이 뜻입니다.

  • @sunyata0730
    @sunyata0730 Před 10 měsíci +7

    처음 시작부분에 삼법인이 불교의 고유 특징임을 설명하시면서 사성제와 연기 등의 개념과는 다른(?)듯한 뉘앙스로 말씀 하시는 것 같네요…
    삼법인이 곧 사성제이고 사성제가 연기라는 모두 같은 헤아림이라는 통찰까지는 설명을 안해주셔서(못하신것인지) 아쉽네요.
    물론 원영스님이 이 도리를 모르실리가 없지만 듣기에 따라서는 이게 다른 거라고 알게되는 분들이 있을까 아쉬운 마음이 듭니다.

    • @user-zw8nm4tf3o
      @user-zw8nm4tf3o Před 10 měsíci +1

      올바로 지적했어요.😅

    • @user-zg4vo9sc1m
      @user-zg4vo9sc1m Před 10 měsíci

      불교는 이래서 함부로 안다고 하면 안된다
      삼십방은 맞아야한다

  • @user-cc8bw4dh7e
    @user-cc8bw4dh7e Před 9 měsíci

    스님 자막을 넣어 주세요

  • @user-uj7hu9vm2u
    @user-uj7hu9vm2u Před 9 měsíci

    ㅎㅎㅎㅎㅎ.
    무아를 이렇게 이야기 하다니,
    한숨이 심해를 돌아다니네......
    그리고 한 마디 더하면 옷참 고급지다 고급져

  • @user-rl2mc9xz6r
    @user-rl2mc9xz6r Před 10 měsíci +5

    인연이란 대자연의 법칙에서 오는것이지 부처님이 만든것은 아니오

    • @user-li8kt6jr2c
      @user-li8kt6jr2c Před 10 měsíci +1

      그것을 부처님께서
      만든것이 아니고요
      이미 부처님께선
      다 아신답디다

    • @gucheonlee1655
      @gucheonlee1655 Před 10 měsíci +4

      부처님이 만들었다고 누가 말하던가요? 부처는 그 법칙을 깨닫고 설한 것 뿐입니다

    • @kim-zw8sf
      @kim-zw8sf Před 10 měsíci

      그래서 저명하신 종교학자 길희성님은 불교도 유신론이라고 해석하시더군요.

  • @user-cz1yv2gb3d
    @user-cz1yv2gb3d Před 10 měsíci

    삼법인이란 용어는 화면에서도 나오지만 틸 락카나의 번역으로 나옵니다.틸 락카나는 존재 ,상카라의 특성이면서 고성제의 내용인 것이죠.이는 삼상,삼특상이란 용어가 있습니다.틸락카나에는 법,담마의 의미도 없고 도장이란 뜻도 없어보이네요.지나친 확대해석이죠.
    범본에는 사법인(카트바리 다르모단 아니)라는 용어가 따로 있다고 합니다.삼법인이란 말은 한역 경전에만 나오는 말이라고 합니다.이는 부처님의 용어가 아닌 후대에 만들어진 용어 같습니다.
    삼상을 제일 중요시한다고 하셨는데 이는 고성제로서 사성제에 포함됩니다.연기는 사성제 중 고,집,멸성제가 내포되어 있죠.수행방법인 도성제만 빠져 있습니다.
    삼상, 사성제나 연기가 따로 있는게 아닙니다.사성제 내에 다 포함되는 것입니다.

  • @user-fi1yl8ts3c
    @user-fi1yl8ts3c Před 10 měsíci +4

    어랏 ᆢ끝나버렿네. ㅠ

  • @Hwanz4880
    @Hwanz4880 Před 10 měsíci

    제가 불교를 포함한 모든 것들을 올바르게 구별하는 방법을 알려 드릴께요
    이것은 고따마싯달타께서 말씀 하셨는데 승려들이 숨기고 알려 주지를 않습니다.
    승려들이 왜 를 숨기고 알려주지 않을까요?
    자신들이 보고 듣고 배우고 가르친 것들이 6가지 잣대로 재어보면 가짜로 들통나기 때문에
    6가지 잣대를 숨기고 알려주지 않는 것이죠.
    1,잘 설 해졌다(상식적이고 보편적이고 올바르고 뚜렷하고 특정인만이 알 수 있는 것이 아니라야 하고 어느 경지에 이르러 알 수 있는 것이 아니여야 하고, 누구나 실천하면 이익이 있는 것이여야 함.)
    2,누구든지 듣거나 본 즉시에 알 수 있고 이해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곧바로 알아 들을 수 있어야 하고 애매모호한 자신들의 교리나 수행 방법들을 배우고 익혀야 알 수 있고 이해할 수 있다고 하는 것들은 거짓입니다)
    3,시간에 관계없이 늘 올바른 이치여야 함.(과거, 현재, 미래에 관계없이 늘 올바른 이치라야 하고 뒤바뀌지 않는 것이어야 함)
    4,생활 속에서 늘 실천 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함(보고 듣고 생활 속에서 누구나 실천하면 곧바로 이익이 되는 것이라야 하고, 누구나 실천하는 즉시에 이익이 되는 것이기에, 비밀이 없는 것이기에, 각자의 자유의사에 맡기고 강요, 강압적인 세뇌나 중독되는 것이 아닌 올바른 것이기에, 불법, 편법, 반칙, 사기가 아닌 것이기에)
    5,권장할 만한 것이라야 한다(실천한 즉시에 이익이 있는 것이기에)
    6,보통사람들의 지혜로 이해할 수 있는 것이라야 한다(자신들만이 아는 수행이나 기도 등으로 어느 경지에 이르러야 알 수 있다는 것들은 올바른 가르침이 아니다)
    이 6가지 모두가 해당 되는 것은 훌륭하고 올바른 것으로서 배우고 실천하면 이익이 많고 이 6가지에서 한 가지라도 빠지는 것은 이익이 별로입니다.
    세뇌되거나 중독된 삶은 이 될 수 없습니다.
    종교, 사상, 이념, 철학, 신앙, 문화, 기적, 신통 등에 세뇌 되거나 중독된 삶은 이 될 수 없습니다.
    로 재보아 진짜와 가짜를 지혜롭게 잘 구별하여
    자신의 삶에 알게 모르게 끼어드는 나쁜 바이러스들을 물리쳐야 자기 자신이 주인공인 행복한 삶에 책임과 의무를 다하는 것입니다.
    삼법인은 붓다의 가르침이 아닙니다. 흰두니즘 자이나니즘입니다. 고따마싯달타께서는 3법인을 말하지 않았습니다.
    후대에 시간이 지나면서 슬며시 붓다의 가르침인양 집어 넣어 붓다의 가르침을 흐리멍텅하게 만든 것이죠
    모든 종교들은 4가지로 사람들을 세뇌 시키고 중독 시킵니다.
    1,교리로 -그럴싸한, 솔깃한, 달콤한, 간접 협박(천당, 지옥,11조 등) 경, 율, 론 등으로
    2,의식으로- 세례의식 계의식 기도의식 등으로
    3,도구로- 십자가, 만자, 묵주, 염주, 종, 목탁 등으로
    4,모양새로- 흰 카라 미사보, 복장, 가사, 승복, 백호머리 등으로

  • @user-br9tx6el1n
    @user-br9tx6el1n Před 10 měsíci

    참나 참생명 그것은 영원한 것이고 불생불멸한 것이며 이 진실한 생명성을 용출한다
    법화경 종지용출품

  • @user-wd6gm4hx8y
    @user-wd6gm4hx8y Před 10 měsíci +12

    나는 향봉스님을 좋아한다. 그는 왠만하면 좋은 두루마기를 걸치지 않지만
    정확하고 참된 석가의 모습이 아닌가 한다. 이 분은 부자인지 옷이 항상 좋아보임...

    • @user-by5hs6oz3m
      @user-by5hs6oz3m Před 10 měsíci +6

      시청자에 대한 예의입니다.

    • @davidlee2649
      @davidlee2649 Před 10 měsíci +4

      미디어에 보이는 입장에서 깔끔한 모습으로 불자와 대중들에게 다가가는게 잘못된 걸까요? 좋은 두루마기 안 좋은 두루마기를 나누며 그것으로 참된 스님인가 아닌가는 도대체 누가 정한 잣대 일까요? 불교의 현대화라고 생각합니다. 언제까지나 산중에서 현대문명도 모르는 스님의 이미지는 탈피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 @muzin7937
    @muzin7937 Před 10 měsíci +5

    '무아'가 삼법인의 주요 개념인데, 그러면 '참나'라는 건 무엇이죠?

    • @muzin7937
      @muzin7937 Před 10 měsíci +2

      @@user-nb9dm6kq2k 그러면 본인의 참나를 보셨어요?

    • @muzin7937
      @muzin7937 Před 10 měsíci +2

      @@user-nb9dm6kq2k 제 질문은 그래서 그쪽은 참나를 자각하셨는나요 입니다.

    • @muzin7937
      @muzin7937 Před 10 měsíci +1

      @@user-nb9dm6kq2k 그리고 제 질문에 답변해주셔서 고마운데요 ... 답변해 주시는 분은 누구입니까? 저로 말하면, 나라고 할 게 없는 사람입니다.

    • @muzin7937
      @muzin7937 Před 10 měsíci +1

      그러니까 참나를 몸소 체험하셨는지 제가 세 번째 묻고 있습니다. 이런 하나마나한 답변 말고요. 설마 원영스님 본인은 아니시겠죠?

    • @muzin7937
      @muzin7937 Před 10 měsíci

      제 질문에는 답하지 않으시니 저도 스님 질문에는 답하지 않습니다. 뜻풀이는 스님 본인이나 책에서 찾아 보세요. 이 질문 하면 저 대답 하고 저 질문 하면 이 대답 하는 걸 보니 조선 불교계의 제일 껌 한동훈 같습니다. 혹시 서울대 출신의 가짜 모범생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끝.

  • @durisem
    @durisem Před 10 měsíci +6

    분별하지 말라고 했는데 구별하는 방법 을 알켜주면 분별하라는 소리 아닌가?

  • @muzin7937
    @muzin7937 Před 10 měsíci +3

    '일체개고' 이후에 '아당안지'는 왜 말씀을 하지 않으시죠?

  • @user-cz1yv2gb3d
    @user-cz1yv2gb3d Před 10 měsíci

    물질만 무상한 것처럼 설명하셨는데 그게 다가 아니죠.오온이 다 무상한 것입니다.즉 오온으로 구성된 존재가 무상한 것입니다.변하는 것에는 아트만,영혼과 같은 고정된 실체가 있을수 없겠죠.따라서 무아인 것입니다.
    고는 약간 결이 다르다고 개인적으로 생각하는데 사성제에 대한 무지로 태어나는 것 즉 오온으로 형성되는거 자체가 괴로움이란 뜻입니다.태어남부터 괴로움이니 삶은 괴로움이란 뜻이 됩니다.즉 윤회는 괴로움입니다.그래서 태어남의 종식,윤회의 종식이 괴로움의 소멸이 됩니다.이것을 열반,멸성제라고 합니다.
    이것을 삼법인이 아니라 삼특상 즉 존재의 세가지 특징이라고 합니다.

  • @user-mb4im9wo5p
    @user-mb4im9wo5p Před 10 měsíci

    네-((합장))

  • @limeair53
    @limeair53 Před 9 měsíci

    경전대로 하면 된다 부처님께서는 3살 아이도 알아들을수 있도록 말하라 했다

  • @user-um8xl4vi1e
    @user-um8xl4vi1e Před 10 měsíci +2

    DKDLRH스님아

  • @user-lg3hm2bw8z
    @user-lg3hm2bw8z Před 10 měsíci

    거르세요? 분별하세요? 분별 하지 마세요 사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