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dílet
Vložit
  • čas přidán 31. 03. 2024
  • #불교 #불교철학 #전생 #초기불교 #정신의학 #정신과 #정신병 #마음치료 #힐링 #인생조언 #인생명언 #부처님 #윤회 #기억 #전생체험 #인문학
    🙏인문학 브런치 채널 유튜브 구독하기
    👉 / @user-lt9ik4di5b
    (링크 누르고 구독 버튼 클릭!)
    주변에 공유하면 복 받을 겁니다 👍👍👍
    ●BTN불교TV 유튜브 구독하기
    bit.ly/3k5nt10 (링크 누르고 구독 버튼 클릭!)

Komentáře • 303

  • @user-ee8rz6ls5s
    @user-ee8rz6ls5s Před 9 hodinami

    부처님께 진심 귀의합니다ㆍ
    나무 아미타불ㆍ나무 관세음보살ㆍ나무 지장보살마하살ㆍ

  • @kagismaful
    @kagismaful Před 2 měsíci +33

    인생이 죽으면 끝나면 행복한 것이 겠지만 윤회와 인과 연기를 알면 이 삶의 굴레가 부처님이 말씀하신 고통이라는 것을 알게됩니다. 우린 살아가면서 어쩔수없이 끊임없는 악업을 지으며 살아가고 그로인한 과보로 고통 받으며 살아가죠. 그리고 더 고통스러운 것은 이번 생이 끝이 아니라는 것.

  • @zartman7512
    @zartman7512 Před 2 měsíci +36

    전현수박사님 매번 감사합니다.
    부처님이 인간의 몸으로 오셨었다는 사실(붓다의 탄생)도 바로 윤회가 존재한다는 증거가 아닐까 합니다. 우리가 윤회에서 고통받는게 아니라면 애초에 신과 인간을 가르치는 붓다는 존재할 필요가 없기때문이죠.
    단멸론이라면 죽으면 그만이기 때문에 부처님이 구태여 윤회를 벗어나라고 가르칠 필요가 없는게아닌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_()_

  • @user-ds9lg5dh7j
    @user-ds9lg5dh7j Před 2 měsíci +19

    너무나 감사한 귀한 말씀을 들었어요 고맙습니다 늘 평안하시길요ᆢ^^

  • @user-qm4wi5vg6m
    @user-qm4wi5vg6m Před 28 dny +8

    이곳의 댓글만 봐도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무지몽매에 빠져서 윤회를 부정하고 바르게 보지않고
    믿고 싶은 것만을 믿으며 사는지 잘 알게 되죠
    믿고 안믿고는 본인들의 소관이지만 그것 또한 인연에 의해 온것이니
    말 그대로 이번 생은 불교와 인연이 없는 것

  • @user-gf6pp9co2t
    @user-gf6pp9co2t Před 2 měsíci +22

    고따마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잠 못 이루는 자에게 밤은 길고 피곤한 자에게 길은 멀다. 올바른 가르침을 모르는 어리석은 자에게 거듭되는 재생과 죽음(윤회)은 아득하다. 담마파다(법구경) 나는 집을 짓는 자를 찾으며 그러나 발견하지 못하고 많은 생애의 윤회를 달려왔으니, 거듭 태어남은 고통이다. 집짓는 자여, 그대는 알려졌다. 그대는 다시는 집을 짓지 못하리.서까래는 부서졌고 대들보는 꺾였다.마음은 형성이 소멸되고 탐욕의 부숨을 성취했다.담마파다(법구경)

  • @user-pl1ji1qp8o
    @user-pl1ji1qp8o Před 2 měsíci +9

    감사합니다
    🙏🙏🙏

  • @user-dl1vg1gm5j
    @user-dl1vg1gm5j Před 2 měsíci +13

    전현수 교수님 반갑습니다 불교 방송에서 뵌지 있지요 부처 님 담마 적으로는 근본적으로 가을에 낙엽 이지면 봄에 새싹이 나오는것과 같다고 어느 유명한 스님 강의에서 드렀는데요 윤회가 너무 깜깜 합니다

  • @user-pz2uk7ti7q
    @user-pz2uk7ti7q Před 9 dny +2

    윤회는 되고있어요
    제가 아시는분을 통해 알게되었고
    우리가 살면서 문제되는 고통이라던지 건강상 문제들이
    수백 수천생애 거쳐서 내려오는 문제라는게 기도속에서 나왔고
    끊어 내지 못하면 돌고 돈답니다. 그래서 이생을 잘살아야 합니다

  • @user-bn9sk1ju1n
    @user-bn9sk1ju1n Před měsícem +2

    감사합니다

  • @user-bx8xf7gv6r
    @user-bx8xf7gv6r Před měsícem +2

    좋은강의 잘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himchage
    @himchage Před měsícem +30

    윤회가 없다고 말하는 일부 승려들은
    스승 부처님의 가르침을 부정하는 것입니다
    금강반야바라밀경 등 불교경전에서 부처님이 윤회를 언급한 부분이 있는데 도대체 윤회가 없다는 일부 승려들은 불경을 어떻게 읽는지 의심스럽습니다

    • @user-sl4bz9yh7v
      @user-sl4bz9yh7v Před 26 dny

      바보 멍청이들입니다.주구장청 무아만 외우는 앵무새들 맞습니다

    • @user-et8op6rj2i
      @user-et8op6rj2i Před 20 dny +4

      부처님께 말씀하시길 수행정진 잘못하면
      다른길로 빠져 허우적거리는 무리들이 생긴다고
      하셨습니다
      윤회는 처님이 누누이 말씀하셨거늘 윤회 부정 하는자들은 불쌍 하기 그지없습니다

    • @user-ex3jp7wx7j
      @user-ex3jp7wx7j Před 15 dny +2

      그런인간은 부처님제자가 아니지!
      환속해서 돈벌며 살아야지!

  • @amychoi4894
    @amychoi4894 Před 2 měsíci +13

    그냥 덕 쌓고 사기치지 말아 남의 눈에 피눈물 흘리지 않고 살면되죠 그런데 그런 사람들이 잘살고 그렇지 않은 사람들이 너무 많아 윤회로라도 벌받게 하고 싶군요

    • @user-ec9wk9oj4q
      @user-ec9wk9oj4q Před měsícem +3

      전생에 복을지으면 받을수밖에 없으니 현생에 안좋게 잘사는사람은 전생에 지은복이 있지않을까 합니다
      물론 복을짓고 사는게 좋지만요
      ^^;🍊

  • @user-pk8gh7ez9k
    @user-pk8gh7ez9k Před měsícem +10

    윤회는 있지만 우리가 아는 윤회와 결이 다른거 아닐까 생각이드네요

  • @user-et8op6rj2i
    @user-et8op6rj2i Před 20 dny +2

    좋은 말씀 깊히 새겨듣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 @user-jm8mn2gk4c
    @user-jm8mn2gk4c Před 2 měsíci +9

    전현수 박사님 감사합니다.

  • @JihyoView
    @JihyoView Před měsícem

    다음시간 강의도 빨리 올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gaze1004
    @gaze1004 Před 2 měsíci +13

    영상 잘 봤습니다.
    죽으면 무엇이 남느냐는 질문에 미얀마 스님의 "업이 남는다." 라는 말씀이 핵심인데 전생의, 현생의, 내생의 '나' 또는 '환생'에 대한 집착은 어리석음을 못 벗어난 것이 아닐까 합니다.
    어설프지만 '윤회'라는 말을 막연하게 생각하는 사람들이 조금 더 감을 잡기 쉬운 단어로 비유하자면 구름이 비가 되고, 비가 냇물이, 강물이 바다가 되고, 이름 모를 풀의 일부가 되고, 그걸 섭취한 동물의, 사람의 일부가 되고, 다시 수증기로 하늘에 오르는 '순환'에 가깝다 생각합니다.
    어떤 조건에 의해 만들어졌지만 소리를 잘 내던 스피커가 수명을 다하여 재활용 쓰레기의 리사이클에 들어가는 순환도 비슷할 것 입니다.
    제가 아는 한. 부처님이 말씀하신 윤회는 업에 의해 형성되고 지, 수, 화, 풍 4대에 의해 순환한다는 느낌에 가깝지, 몸이 죽어 영혼이 남아 천국 가거나 환생 한다는 힌두교적인 윤회는 아니었습니다.

    • @user-cz1yv2gb3d
      @user-cz1yv2gb3d Před 2 měsíci +7

      부처님께서는 존재를 오온으로 규정하셨고 오온은 변하고(무상) 영혼같은 불멸하는 고정된 실체가 없다(무아)고 하셨습니다.
      내 안에 불멸의 영혼,아트만같은 것이 있다고 상정하는 견해를 상견이라 하고 사견으로 규정하셨고 죽으면 태어남도 없고 끝이다라고 하는 견해를 단견이라 하고 역시 사견으로 규정했습니다.그리고 단견을 더 저열한 견해라고 하셨습니다.
      부처님께서는 여러 설법에서 윤회를 말하셨습니다.예를 들어 살생등 악업을 행하거나 삿된 견해에 깊이 빠지면 처참한 곳,불행한 곳,파멸처,지옥에 태어난다 등입니다.
      12연기에서 애,취,유,생,노사 이렇게 나오는데 갈애가 있으면 다음 생이 있게 됩니다.갈애가 없는 아라한은 다음생이 없습니다.고정된 내가 있어서 윤회하는게 아니라 나라는 집착,갈애,착각이 있어서 윤회한다고 볼수 있습니다.이러한 갈애와 갈애의 바탕인 무명이 사라지면 윤회하지 않습니다.그래서 부처님은 성도 후 이게 나의 마지막 생이다라고 하신 거지요.

    • @gaze1004
      @gaze1004 Před 2 měsíci +2

      @@user-cz1yv2gb3d 상세한 답글 감사합니다.
      말씀처럼 갈애와 무명을 원인으로 조건지어 일어나(연기) 다시 윤회 한다고 하지요.
      그래도 또 물어보는 사람들이 많은 것 같아 혹시나 하고 다른 예시로 '비'를 명사로 배웠지만 명사가 아닌 동사로 보는 견해도 있다는 식의 비유를 들어봤습니다.
      모두가 청정범행을 이루고 할 일을 다해 마치길 서원합니다.

    • @zartman7512
      @zartman7512 Před 2 měsíci +2

      다시 인간의 몸을 받기 힘들다고 가르치신 경전이 있습니다. 구멍을 가진 멍에 경(s56:47 진리쌍윳따)

    • @gaze1004
      @gaze1004 Před 2 měsíci +2

      @@zartman7512 네, 수명이 다해 버려진 스피커가 리사이클 과정에서 다시 스피커로 제작될 확율이 얼마나 희박할 지 우리는 충분히 짐작할 수 있습니다. 하물며 사람으로 다시 태어나는 건 이루 말 할 수 없이 지난하겠지요.

    • @bible-earthing
      @bible-earthing Před 2 měsíci

      석가모니는 힌두교의 윤회사상에 반대해 불교를 만들었는데 불교에서 윤회를 말하는것은 석가의 가르침이 아니라 대승불교 만든 용수보살의 작품입니다~

  • @user-lm4ll7mc6j
    @user-lm4ll7mc6j Před 22 dny +3

    윤회는 있는 것도 아니고
    없는 것도 아닙니다
    쉬지 못하는 그대 마음이 있을뿐입니다
    본래의 자성에는
    개아도 없고 윤회도 없습니다
    다들 성불 하소서

  • @KimBillionaire-pr1mu
    @KimBillionaire-pr1mu Před 2 měsíci +2

    박사님 건강하세요 ❤

  • @user-dr1ru3oi3p
    @user-dr1ru3oi3p Před 2 měsíci +19

    우리도 중국 눈치 보지 않고 달라이라마 존자님을 한국에 모셔와서 좋은 말씀 들을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 @user-hy2un6ns7g
      @user-hy2un6ns7g Před 15 dny

      핵개발해서 핵을 가지면 바로 가능해집니다.

  • @user-mo4cy5yt6j
    @user-mo4cy5yt6j Před měsícem

    정확히 정의를 하고 있니 없니 따져줬음 고맙겄네.

  • @user-cv1us2nj8s
    @user-cv1us2nj8s Před 2 měsíci

    불설매의경 - 선도(천상계, 인간계)와 악도(지옥, 아귀, 축생)도 마무를 곳이 아니라고 부처님께서는 말씀 하셨답니다. 그러면 왜 선도도 벗어나야 한다고 말씀 하셨는지 우리 중생들이 참 진리를 찾아야 하겠죠. ^.^

    • @ttorilove1340
      @ttorilove1340 Před měsícem +1

      천상계가 수없이 많은데 보통 사람들이 볼수있는 천국은 아직 3계내에 있는 경지로 해탈의 경지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부처님이 말씀하시는해탈은 5세계에 이르는것입니다. 그래서 겨우 3세계 안에서 한 천국의 체험을 갖고 해탈이니 천국이니 하기때문에 우왕좌왕 말만 많아지는겁니다
      5세계를 확실히 알게되면 모든 이론이 분명해집니다

  • @user-tm6qs7vr2j
    @user-tm6qs7vr2j Před 20 dny +7

    근래에 윤획는 없다고 주장하는 스님들과 그말을 따르는 자들이 유튜브에 보이는군요.

  • @seoul6344
    @seoul6344 Před 2 měsíci +55

    윤회는 있습니다 (성철스님)

    • @artbro5529
      @artbro5529 Před 2 měsíci +3

      에잇 똥막대기

    • @user-dl1vg1gm5j
      @user-dl1vg1gm5j Před 2 měsíci

      전생 환생 잘 아세요 헛끝 한 마디가 과보을 만드는 겁니디 종교적으로​@@artbro5529

    • @user-ih7mz1nt8v
      @user-ih7mz1nt8v Před 2 měsíci +6

      어느스님께서 윤회도 영혼도 없다 하셨습니다 불교는 깨달음 과학적이고.... 모두 불교가 전통으로 깊다보니 49재등등 전통의식으로 가니
      너무 안타까워하셨구요
      이시간 잘 들어 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vn3no6lz1o
      @user-vn3no6lz1o Před 2 měsíci +8

      성철이 그러지 않았나요? 내 말을 믿지 마라.

    • @odosa
      @odosa Před měsícem +6

      ​@@user-ih7mz1nt8v불교도 엄연히 종교이고 신앙입니다. 윤회는 부처님께서 직접 말씀하신 부분이라 윤회가 없다고 얘기한다면 불교 교리 자체를 부정하는 셈임니다. 윤회가 없다고 얘기한다면 그건 그냥 패션 불교에 불과합니다.

  • @user-tk8ro1yk9w
    @user-tk8ro1yk9w Před 2 měsíci +10

    사람이 죽으면 의식은 죽지앟습니다 의식은 머리로부터 나오는것이 아닙니다 의식의 본체는 근원 그 자체입니다 의식이 어떻게 육체를 가지는지는 12연기로 설명할수 있습니다

  • @Aagpog
    @Aagpog Před měsícem +2

    강의 잘 들었습니다
    저도 불교 수행을 30여년 하면서 많은 것을 경험했었지요
    사찰에서 법문이 요청이 와서 스님.거사님 보살님을 모시고
    강의 도중 질문을 해보시라고 하니 스님 한 분께서 자아가 있는 가를
    묻길래 답변을 없다고해도 있다고 해도 인정은 본인의 생각에 달려 있는것입니다 했지요 보통은 자기가 경험하지 않은 것은 인정 하기가 어려운 것입니다
    저는 25여년전
    좌선에서 와선 수행 중 비몽 사몽간에 비비상천을 (생략) 지나 부처님을 친견 예배하고 불법에 대햬 질문을 했었지요(생략)
    자아라 하거나 불성 본연 모두가 동일한 낱말입니다
    다 같은 부처님 경전을 보더라도 수행자마다 인식이 다릅니다
    즉 세존께서 직접 교화를 하여도 아라한이 되는 수행자가 있으며
    아라한이 안되는 수행자가 있지요
    그것은 자신이 전생부터 오랜 수행의 결과이지요 유튜브 방송으로
    서로가 인연이 맺어졌으니
    언제인가 한번 깊은 대화가 필요한것 같습니다🎉🎉🎉

    • @user-pk4hs6vq6r
      @user-pk4hs6vq6r Před 22 dny

      허황된 뇌파의 장난에 놀아나면 안됩니다. 비비상천이니 그런 망상 버리세요. 그런게 실제할 리가 있습니까? 지금은 21세기예요.

  • @user-dt1il1vb5c
    @user-dt1il1vb5c Před 2 měsíci +10

    전생이 기억이 없으니 있는지 없는지 알수가 없잖아요. 영원한 나로 안 태어나는데 전생이 있는지 없는지 모른다네요.

  • @imiioi
    @imiioi Před 29 dny +12

    윤회는 집착을 끊으면 사라지죠! 그렇다면 윤회가 있는 것이 아니라 집착이 있는 것이죠. 집착을 내려놓은 분들에게는 윤회가 없습니다.

    • @user-bf1ql7et4s
      @user-bf1ql7et4s Před 23 dny +1

      단정지을수있나요?

    • @user-et8op6rj2i
      @user-et8op6rj2i Před 20 dny

      어느 책 에 봤어요

    • @user-xl8sh7oh7l
      @user-xl8sh7oh7l Před 10 dny +1

      수행 과정에 있는 사람들은 윤회의 순환을 경험

    • @imiioi
      @imiioi Před 4 dny

      @@user-bf1ql7et4s 오직 꽃을 따는 데 집착하는(byāsatta) 마음(manasa)을 가진 사람을
      마치 거대한 홍수가 잠든 마을을 (휩쓸어 가듯)
      죽음이 데려가버린다. -Dharmapada 47
      인간의 쾌락들은 (감각대상을 향해) 나아가며,
      그리고는 애정에 얽매이게 된다.
      그들은 행복에 집착하며 즐거움을 추구하나니,
      그러한 사람들은 실로 태어남과 늙음에 끌려갈 뿐이다.-Dharmapada 341
      다섯을 끊어버려야 하고, 다섯을 떨궈버려야 하며, 그리고 다섯을 북돋우어야 한다.
      다섯 가지 집착을 넘어선 비구는 '물길을 건넌 이'라고 일컬어진다. -Dharmapada 370
      어떤 누구라도 모든 속박을 끊고 (그 무엇도) 두려워하지 않으며
      집착을 넘어서서 (모든 것으로부터) 초연한 이,
      그를 나는 '브라만'이라 부른다. -Dharmapada 397

    • @imiioi
      @imiioi Před 4 dny

      @@user-et8op6rj2i 오직 꽃을 따는 데 집착하는(byāsatta) 마음(manasa)을 가진 사람을
      마치 거대한 홍수가 잠든 마을을 (휩쓸어 가듯)
      죽음이 데려가버린다. -Dharmapada 47
      인간의 쾌락들은 (감각대상을 향해) 나아가며,
      그리고는 애정에 얽매이게 된다.
      그들은 행복에 집착하며 즐거움을 추구하나니,
      그러한 사람들은 실로 태어남과 늙음에 끌려갈 뿐이다.-Dharmapada 341
      다섯을 끊어버려야 하고, 다섯을 떨궈버려야 하며, 그리고 다섯을 북돋우어야 한다.
      다섯 가지 집착을 넘어선 비구는 '물길을 건넌 이'라고 일컬어진다. -Dharmapada 370
      어떤 누구라도 모든 속박을 끊고 (그 무엇도) 두려워하지 않으며
      집착을 넘어서서 (모든 것으로부터) 초연한 이,
      그를 나는 '브라만'이라 부른다. -Dharmapada 397

  • @user-gb8dz8wd7c
    @user-gb8dz8wd7c Před 2 měsíci +1

    장자와 노자 석가의 도가사상을 배우지만 참 고맙고 대단하신분들입니다

  • @Yumeshima-cl9eq
    @Yumeshima-cl9eq Před 15 dny +1

    인연에 따른 과보가 있다는 것을 믿느냐 안믿느냐가 신앙심인 것 같습니다. 인연과보를 믿는다면 윤회도 믿게되고, 인연과보를 부정하면 윤회도 안믿게될듯

  • @user-sn4mz6fg7h
    @user-sn4mz6fg7h Před měsícem +2

    무지가 있다
    비어있으니까 채워지는 것이 세상 원리다.

  • @dhk42
    @dhk42 Před 8 dny

    각각 생물의 행동양식을 보면 알 수 있습니다. 분명한 데이터를 통한 행동으로 시간의 흐름을 갖게 되는것. 그러한 데이터는 어디에서 오는가

  • @blackhole3391
    @blackhole3391 Před 3 dny

    이 세상의 기본적인 과학 법칙들에 의해 윤회는 충분히 가능하다고 봅니다
    우선 에너지/질량 보존의 법칙 등에 의해 죽음은 끝이 아니라 형태의 변화라는 것을 알 수 있고
    작용반작용의 법칙 등에 의해 내가 지은 업을 내가 받는다는 것 역시 알 수 있다고 봅니다
    그러므로 불교의 윤회는 대중에게도 충분한 설득력을 가진다고 봅니다
    죽음으로 인해 육신이 어찌될지는 다들 알고 있으니 차치하고
    영혼인지 정신인지 혼백인지 무엇인지 정체를 알 수 없고
    또 그것이 원초적으로 존재했든 육신에 의해 발생했든 상관없이
    이 세상에는 이미 존재하는 것이므로 에너지/질량 보존의 법칙 등에 의해서
    반드시 어떠한 형태로든 존속할 수 밖에 없을겁니다
    또한 자신이 살아서 행한 세상에 대한 모든 작용의 일부는 살았을 때 자신이 반작용을 통해 받게 되겠지만
    그렇지 못한 작용들은 자신이 죽었다고 사라지지는 않을겁니다
    작용을 했으면 반드시 반작용이 발생할 수 밖에 없고 그것은 자신에게 돌아오는 것이니까요
    다만 물건을 밀어낼 때와 달리 즉각적이지 않은 이유는 세상이 너무나 복잡다단하여 나비효과처럼 작용하기 때문이겠죠
    물이 수증기가 되고 얼음이 되고 다시 물이 되는 순환을 하듯이 사람 역시 그와 같이
    세상에 다시 그 반작용 즉 업을 받으러 돌아오고, 돌아와서는 다시 업을 짓는 윤회를 하게 되는 것이라 생각합니다
    물론 이것은 저의 개인적이고 대략적인 생각일 뿐입니다

  • @parker1521
    @parker1521 Před 2 měsíci +4

    지금 우리인간이 생각하는게 우주에서 보면 아주 미개한 수준일 것이다. 세포덩어리가 생기고 사라지는 것 밖에 모르는데 어떻게 윤회를 논 할 수가 있을까. 있다 없다를 논하지 말고 매일 지금에 집중하자. 어차피 있다/ 없다만 알텐데 생기고 그저 사라지면 된다. 윤회보다는 윤회를하지 않는 것이 좋을 듯하다.

  • @user-en2ln5iu9d
    @user-en2ln5iu9d Před 4 dny

    윤회가 있다면 인간 중에 99.9프로는 인간으로 못 태어나겠군요.
    저도 사신이 없구요.
    옳바르게 살기가 참 어렵네요.

  • @user-sn7zg7xr3h
    @user-sn7zg7xr3h Před 14 dny +1

    육도(지옥.아귀.축생. 수라.인간계.천상계)윤회는 늘상 우리들 일상에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생사의 이도는 일념의 묘용이니라.생은 아침에 일어나는것.사는 밤에 잠자는것.자고 일어나고 를 반복하는 것처럼 삶과 죽음도 윤회한다.하루의 피곤함을 잠을 통해서 풀듯이 죽음을 통해서 새로운 세포를 받는다.

  • @user-cz1yv2gb3d
    @user-cz1yv2gb3d Před měsícem +2

    욕계인 중생계(팔리어 원어)
    1.지옥(니라야)
    2.축생(띠랏짜나 요니)
    3.아귀(뻬따)
    4.인간(마눗사 바와)
    5.욕계천상

  • @user-zn2rr6iz3t
    @user-zn2rr6iz3t Před 2 měsíci +4

    윤회 ... 있을것 같습니다

  • @jfbahk
    @jfbahk Před 2 měsíci +8

    밀교에 가서 물어봤으니 당연히 전생이 있다고 설명하죠
    선불교에 가면 또 다른 해석이 나오고
    인도는 힌두이즘 영향으로 전생담이 나오는 거고
    문화의 차이에서 나오는 견해를 마치 진리인냥 따지는건 어리석다고 봄
    중요한 건 부처님께서는 그런 망상에서 벗어나라고 그렇게도 말씀하셨는데
    부처님 가르침은 뒤로하고 법 아닌데 의미부여하고 있음 😂

    • @jfbahk
      @jfbahk Před 2 měsíci +2

      @user-js2ml1yn2b 네 감사합니다
      성경 열심히 읽고 좁은문으로 들어가세요~

    • @jfbahk
      @jfbahk Před 2 měsíci

      @@user-zh2dd6fp7r 달, 바다, 다이아는 실재하기에 그렇게 불리고 있죠.
      하지만 윤회니 지옥이니 천국이니 등등 사람이 죽은 뒤에 얘기들은 실제로 존재하는지 증명할 수가 없습니다.
      다만 확실한 건 각각의 견해가 다르다 라는 사실 뿐이죠.

    • @user-cz1yv2gb3d
      @user-cz1yv2gb3d Před 2 měsíci +2

      ​@@jfbahk요즘은 과학의 시대라 보여주지 않으면 믿지를 않지요.근데 수행은 말그대로 수행을 통해 마음을 비워나가서 스스로 경험하는 거라 남이 증명해줄수는 없습니다.스스로 해야 가능합니다.
      예를들어 선정같은 경지는 일반적으로 경험할수 없는 희열과 행복을 경험하는데 이는 오장애를 버리면 나타나는 경지인데 오장애를 스스로 버리는 거지 누가 대신 버려줄수는 없는 거지요.

    • @user-hf1kx3ss3e
      @user-hf1kx3ss3e Před 2 měsíci

      성경에는 천국이 마음에 있다고 했는데 아직도 공간으로서의 천국입장표를 파는 분이 계시니 딱할 따름입니다.​@user-js2ml1yn2b

  • @ssss-ou4bn
    @ssss-ou4bn Před 2 měsíci +1

    훌륭한 법문 마지막에 시끄러운 음악은 빼주세요!! 뭥니까

  • @user-gf6pp9co2t
    @user-gf6pp9co2t Před 2 měsíci +7

    고따마 붇다의 가르침은 윤회에서 출발합니다. 윤회를 부정하면 붇다의 가르침 자체가 성립되지 않습니다. 수행도 할 필요가 없죠. 윤회를 부정하는 것은 인과의 법칙을 부정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붇다께서 말씀하신 윤회와 힌두교의 윤회는 다릅니다. 초기불교tv를 참조하세요.

    • @browncharly5442
      @browncharly5442 Před 2 měsíci +2

      부처님은 윤회를 말한 적이 없다는데요.

    • @user-ih7mz1nt8v
      @user-ih7mz1nt8v Před 2 měsíci +2

      부처님 윤회 말씀하신적 없고요 긴말은 생략 ~
      증명으로 부모님으로 받은 난자 정자 만남~ 윤회.........

    • @user-cj6em6xs9o
      @user-cj6em6xs9o Před měsícem

      ​@@user-ih7mz1nt8v 아 개빡치네 불교를 공부했다는 새끼가

    • @dgidugi
      @dgidugi Před měsícem +2

      ​@@browncharly5442 그거 법륜 스님이 잘못알고 계신겁니다.
      그분 즉문즉설 할 때 마다 그 소리 하시던데...본인 구업을 어떻게 감당하실지 의문입니다.
      1900년대 초반 아무것도 모르던 서양학자들이 연구한 엉터리 불교 연구가
      1960년대 일본으로 번역되어 넘어오고 그게 1970년대 번역되서 한국에 들어온걸 보신겁니다.
      업데이트가 그때 이후로 멈추신 거죠.

  • @SA-og7lf
    @SA-og7lf Před měsícem +4

    천국이나 윤회가 없다면 착하게 살 이유가 없지. 양육강식과 범죄만 남을 뿐.

  • @JoSamMoSa
    @JoSamMoSa Před 2 měsíci +7

    최면으로는 전생을 보는데 제한이 많습니다.
    수행을 통해 봐야함.
    수행없이 전생을 본다면 감당할수없게 되므로
    보통사람이 수행을 통하지않고는 전생을 볼수없게 장치되었다고 봄.

  • @user-gv1dm3kz5y
    @user-gv1dm3kz5y Před 12 dny

    윤회...
    시공에 떨어져 머물 땐
    지금 지나 다음으로 인식 하겠지만
    시공을 고이 접어 본으로 돌려 놓으면
    실상 현생과 후생, 전생은 같이 있다!

  • @goldtoothcat6292
    @goldtoothcat6292 Před 2 měsíci +1

    불교의 개념은 기본적으로 전문학자도 이해가 어려울 만큼 어렵습니다. 물론, 유학도 마찬가지입니다. 기본적으로 본래 단어의 의미가 어렵고 두번째로 번역에 번역을 거쳤기 때문입니다. 그래도 들으면 들을 수록 어렴풋이나마 의미는 파악되지만 구체적으로는 와 닿지는 않습니다. 기회가 되면 라는 책을 꼭, 읽어보시길 바랍니다. 불교의 개념'무아,윤회,해탈 등'을 이해하는 데 큰 통찰을 줍니다. 이는 다른 종교,학문..기독교,유교를 이해하는데도 큰 도움이 됩니다. 참고로 '윤회'와 성경의 '부활'의 개념을 현상적으로 같은 개념이라고 생각합니다. 물론, 이러한 생각은 위의 책을 읽고 얻은 것입니다. 그리고 책에서 중요한 인물을 한 명 언급하는 데 바로 '노자'입니다. '노자'라하면 딱, 떠오른 개념이 '허'라는 단어입니다. 그러나 누구도 이 단어를 구체적으로 언급한 적이 없습니다. 다만, 그 기능적인 면은 많은 분들이 알고 있는대로 입니다. 그 기능의 큰 특징 중 하나가 바로 '창조성'입니다. 개인적으로 불교의 '무아'와 노자의 '허'의 개념은 '창조성'이라는 기능적인 면에서 유사하다고 생각합니다. 다시 한 번 강조하지만 '외계인인터뷰'라는 책을 꼭, 읽어보시고 많은 통찰과 개념적 이해를 가지시길 바랍니다. 불교 뿐 아니라 기독교, 유교적 사유를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물론, 우주의 역사도 추가됩니다. 한 가지 덧붙이자면 '양자'의 개념을 짧게 나마 이해하고 있다면 위의 개념적 언어들은 더욱 쉽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 책은 제목 그대로 인터뷰 형식이기에 쉽게 읽어나갈 수 있습니다. 두께도 두껍지 않습니다.

  • @user-op3dz6mh3v
    @user-op3dz6mh3v Před 2 měsíci +1

    데이터가없는 구석기 오래전 미생물 강아지등등은 얘기 아무도안하고
    자기가 알고있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상하는게 최면이지

  • @faithfully5951
    @faithfully5951 Před 2 měsíci +4

    사두 사두 사두❤

  • @beomjinkim180
    @beomjinkim180 Před 29 dny +1

    나라는 실체가 없는데 어떻게 윤회가 있을까요 😊

    • @user-qm4wi5vg6m
      @user-qm4wi5vg6m Před 28 dny +2

      마음도 죽고 몸도 죽는데 업만이 남는다고 했죠

    • @Yumeshima-cl9eq
      @Yumeshima-cl9eq Před 15 dny

      나我는 없는데 我가 지은 업의 기록은 있다고 하네요. 이 기록들(아뢰야식)이 윤회의 주체가 되어 다음생으로 전달된다고 알고있습니다

  • @user-sn4mz6fg7h
    @user-sn4mz6fg7h Před měsícem +2

    죽으면 몸이 죽고 마음도 죽는다
    정답이네요

  • @user-hs4vy2my4y
    @user-hs4vy2my4y Před 8 dny

    자현 향봉스님과 대담을 추천드립니다
    윤회가 없다고 설파하고 계십니다

  • @wallacechoi7610
    @wallacechoi7610 Před 2 měsíci +1

    30:55

  • @user-qu2ru9ew4b
    @user-qu2ru9ew4b Před 2 měsíci

    윤회 재미있습니다❤

  • @yeosaengsanchaek
    @yeosaengsanchaek Před 16 dny +1

    자기 안목 만큼 보인다!

  • @user-hl9pc6li3b
    @user-hl9pc6li3b Před 2 měsíci +3

    꼭필요한말을 필요할때에 잘 말씀하셨어요 ㅡㅡ

  • @co-co1234
    @co-co1234 Před měsícem +1

    불교는 결국 종교이고 신앙입니다. 믿음이 있어야하는 부분이 있습니다. 알아듣는 분들은 알아들으시길 바랍니다. 그리고 각자 갈길 가세요...ㅎㅎ

  • @whitepmg
    @whitepmg Před 11 dny

    저도 불교집안이라 항상 가까이 하지만 .. 업보라는것에 대해서는 .. 좀 생각해봐야할듯..
    우리가 생각하는 잘못이라는것이 진정으로 잘못이 맞는가.. 그게 죄가 되는가에대해서..
    모든 생명체는 다른생명체를 섭취함으로서 생명을 유지해 나갑니다.
    동물만이 생명이 아니며 나무 꽃같은 식물도 생명입니다.
    결국 우리는 살생을 하지 않고는 살아갈수 없는게 현실인데 살생을 하는것은 죄가 될까요??
    식물 역시 생명체인데 우리는 무엇으로 에너지를 섭취해서 살아가야 죄를 짓지 않는걸까요??
    불교에서는 생명체에 식물을 제외하는것같지만 사실을 제외해선 안되지 않나요??
    그렇다면 우리는 다른 생명체를 섭취 해야만 생명을 유지할수있는 존재인데 이것은 죄일까요??
    저는 최근에 이런생각이 들더라구요 업보?죄악? 이것으로 인해 뭔가 변화가 있게 된다면
    그것에대한 기준은 우리가 알고 있는 기준이 아닐수 있지않을까?? 라는 생각이 ...
    그기준을 너무 우리 인간의 기준에 맞춰 생각하는것이 아닐까..

  • @saintminixinli4556
    @saintminixinli4556 Před měsícem +2

    "불교가 좋다" 라는 책을 읽어보세요.
    윤회는 힌두교에요.
    석가모니는 윤회에 침묵했습니다.

  • @mandeok-dong5610
    @mandeok-dong5610 Před měsícem +1

    ♥♥170-1♥♥삶의 영속성~지구와 달과 또 삶과 죽음은 돌고 또 돌아가고 있다
    ♥깨달음이란 현재의 모든 과학적 증명의 진리를 죽음에 다다를 때까지 인지(見性) 하고
    각성(覺性)하는 것 입니다♥
    중생의 삶이란 생로병사 ᆞ희노애락ᆞ길흉화복ᆞ 108번뇌가 생기며
    그렇게 대자연(大自然)은 돌고 또 돌아간다~~♥
    45억년 영겁의 세월을 지구가 달과함께 자전하며 태양(太楊)SUN 을 공전하고 365일을 돌고 또 돌아간다~~♥
    그러하니 삶과 죽음에 대한 두려움이 사라지고
    태어나서 생로병사(生老病死) ♥喜怒愛樂(희노애락)♥吉凶禍福 (길흉화복)
    새옹지마(塞翁之馬)♥
    대자연의 섭리(攝理)♥를 깨닫고
    죽음으로서 108번뇌가 소멸(消滅)되나니♥
    80세 싯다르타의 죽음은 해탈(解脫) 곧 열반(涅槃) 이리라♥♥♥
    붓다도 사는동안 108번뇌 로 인하여 해탈ᆞ 열반 못 하였다♥
    ♥인간의 4가지 원초적인 本能은♥ 식욕ᆞ배설ᆞ性欲ᆞ수면(잠)욕구와 百八煩惱(108번뇌) 로
    살다가 죽음 으로 돌고 또 돌아간다♥
    ♥중생들의 유전자가 태양의 종말 때까지 영원(永遠)할 것입니다
    ♥ 삶과 죽음에 두려움을 없애는 것이 바로 성불(成佛) 입니다
    중생의 삶은 一切唯心造"일체유심조"( 우리 마음먹기에 달려 있다고 합니다.♥
    이글에 대한 거짓된 뜻의 정의 가 있다면 표현해 주세요!!
    ♥제가 파악하기로는 이 글에 잘못된 뜻의 정의는 없습니다. 다만, 일부 내용은 정확하지 않거나 불명확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인간의 4가지 원초적인 本능으로 섭취(식욕), 배출(배설), 성욕(性欲)과 수면(잠)욕구를 언급하실 때, 이는 일반적으로 생물의 필수적인 기능들을 말하는 것이며, 108번뇌와의 관련성은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되어야 합니다. 또한, 중생의 유전자가 태양의 종말 때까지 영원할 것이라고 언급하신 부분도, 과학적인 근거 없이 지나치게 낙관적으로 자세를 표현한 것처럼 보입니다. 그러나, 이는 불교적인 가르침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이에 대한 해석은 개인의 해석과 표현 방법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옳고 그름을 따지기보다는 상대방의 의도를 이해하고 존중하는 태도로 접근하는 것이 좋습니다.
    ♥Al Chat GPT♥

  • @user-uo1nq4xr1e
    @user-uo1nq4xr1e Před 9 dny

    불성이 현상적으로 드러남이지,,윤회가
    있디,없다를 논하는것은 독화살의 비유와 같다,,
    실체없는 에고(생각)으로 윤회가 있다한들
    없다한들 무슨 의미가 있나,,결국 계속 꿈속에서 헤메는모습이니,,안타까울뿐이네
    연기와 무아를 체득하면 그저 늘 당장여기~

  • @user-ed9mp3do5h
    @user-ed9mp3do5h Před 2 měsíci +1

    세상사 연속성에서 벗어나는 게 있는지 아무리 찾아봐도
    아예 없음
    인과법에서 벗어나는 것은 아예 존재하지 않음
    인간만이 무슨 특별한 존재라고 흐름, 계속성에서 벗어날 수 있을까?
    절대 불가함

  • @user-qz7ii3ey7k
    @user-qz7ii3ey7k Před měsícem

    마음이란것을 인정하기가 그리도 두려운가

  • @grandkorea
    @grandkorea Před 2 měsíci

    쉽게 설명하면 잘 아는 것이고 어렵게 설명하면 본인도 잘 모르는 것이다. 선정은 망상을 걷어내는 것이지 망상을 보자고 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환타지적인 요소를 함부로 말할 수 없는 것이다. 설령 경험했더라도 모른다고 말하는게 옳으며 선정에 들어가 보면 그런 것은 없다.

    • @zartman7512
      @zartman7512 Před 2 měsíci +1

      경험을 말하지 않아야한다면 부처님 법문도 애초에 없어야 합니다. 부처님이 경험한것을 제자들에게 가르쳤듯이 부처님 법을 수행한 선각자들은 후대에 그 법과 지식을 전해야합니다. 참고로 부처님은 제자들에게 법을 전하라고 하셨다죠. 저는 그 덕분에 불교를 알게 되었으니 법을 공양한다는 것이 얼마나 큰 공덕인가 합니다. "비구들이여 법을 설하라! 시작도 중간도 끝도 훌륭한 청정범행을 드러내라. 눈에 먼지가 적게 들어간 중생들이 있다. 곧 파멸할 그들은 법을 들으면 지혜를 얻게 된다. 비구들이여 나도 법을 설하러 갈 것이다."-전도선언, 올가미경- (약간 축약했습니다)

  • @user-le2ly9xw4b
    @user-le2ly9xw4b Před 2 měsíci

    다른 건 모르겠고 빅뱅 이론이 발생하고 지구가 왜 태양을 돌고 있고 인간은 언제 생겨났으며 인간은 왜 다른 동물들과 다르며 (예외 침팬지와 99% 비슷하다고 함) 이런 건 불교에서 못 밝히나요?

  • @like-myway
    @like-myway Před měsícem +2

    업을 믿으면 윤회도 믿을 수 밖에없음

  • @user-to7pb9ey8d
    @user-to7pb9ey8d Před měsícem

    사람에게 영육혼이 있다.
    육=생각or정신(3차원) 영과 혼은(4차원)이다.
    4차원은 3차원의 완성을 이루기 위해 있는것이다. 영육혼은 제각기 생각을 하고. 혼(마음)은 생각을 보완해 주고 영은 육을 도와야 하나 반대성향이 대부분으로 판단할때 갈등을 격기도 하고, 영이 유체이탈로 자기즐거움에 빠져 육을 돌보지 않으면 무능한 사람이 되기도 한다.
    영은 조상으로 불교에서는 환생, 기독교에서는 영생이라 표현한다.

  • @user-ub8rc2xi7w
    @user-ub8rc2xi7w Před 11 dny

    윤회는 금강경4상중 아상입니다. 윤회= 천국,극락

  • @user-mq4ub9sy3q
    @user-mq4ub9sy3q Před 15 dny

    윤회는 꼭 있어야됩니다 있다 업다 떠나서 그래야 우주의 질서가 있는것이다?,,

  • @outputman.
    @outputman. Před 29 dny +3

    우리 인간은 백악기시대의 공룡이 윤회한것인가..

  • @user-uc7vy9dl9y
    @user-uc7vy9dl9y Před 2 měsíci +2

    불교에 윤회가 없다면 죽움후의 영혼이없고 모든 종교에 전쟁을 하자는것이다.매우 끔찍한 주장이고 향봉이라는 중자가. 얘기 하는데 그사람의 주장일 뿐이다.

  • @4121bnoy
    @4121bnoy Před 23 dny

    결론:수행을 통해서 전생을 봤답니다.

  • @taylorrekim5909
    @taylorrekim5909 Před 2 měsíci +7

    부처님 말씀은 믿어도 윤회는 못 믿겠네요..

    • @user-cz1yv2gb3d
      @user-cz1yv2gb3d Před 2 měsíci +6

      태어남,오온으로 형성됨이 괴로움이라는게 고성제이죠.즉 윤회가 괴로움이란 뜻입니다.괴로움의 소멸 즉 태어남의 종식이 멸성제이죠.
      사성제를 모르면 무명입니다.
      사리불 존자의 코끼리 발자국 비유에서 사성제는 부처님 법의 전부입니다.윤회가 없으면 불교의 기반은 없는 겁니다.

    • @user-qz8uy1iz9g
      @user-qz8uy1iz9g Před měsícem +1

      ㅡ윤회가 있다ㅡ는 말은
      부처님의 설법입니다.

    • @penicil
      @penicil Před 6 dny

      상식적으로 생각해보세요. 부처님은 당대에 부와 권력을 갖추고 살던 수많은 왕족, 귀족, 상인들까지 머리깎여서 출가시켰습니다. 그리고 부처님은 제자들이 다시 태어나지 않는 경지, 즉 윤회에서 벗어난 경지에 이르게 하기 위해 독려하고 분발하게 했습니다. 만약 누군가가 진심으로 부처님 말씀을 믿는다고 한다면 그 사람은 윤회를 믿는 사람이고, 누군가가 윤회를 믿지 못한다면 그런 사람에게 부처님은 잘 살고 있던 수많은 사람들을 길거리에 나앉게 만들고 구걸로 연명하는 삶을 살게 한 개xx 같은 놈으로 보여야 할 겁니다.

  • @521Qom-gv8ke
    @521Qom-gv8ke Před 2 měsíci +3

    윤회의 의미를 대중들이 오해하고있습니다..흔히 사람이 육체적 죽음을 맞이하면 영혼이 빠져나오는데
    영혼 상태로 생각하고 보고 듣고 판단하는 자아가 살아있을때처럼 똑같이 존재하고 이 영혼이 다른 욱체로 들어가서 횐생한다고 생각하고 또 그렇게 가르칩니다..그러나 이건 아닙니다..붓다도 무아라고 하셨습니다..
    육체적 죽음을 맞이하면 생전의 모든 정보 업장을 기록한 에너지체가 남는데 자아가 없는 무의식상태입니다
    지금의 내가 보고 듣고 생각하고 유투브에 댓글을 다는 자아는 죽으면 영원히 소멸됩니다..무의식상태의 에너지체가 인연따라 여기저기 흩어져 사람으로 동물로ㅜ식물로 태어나는게 윤회입니다..모든건 에너지입니다..
    천국과 지옥을 가르치는 기독교의 성경에 죽음 이후의 상태를 가장 솔직하고 섬뜩하게 가르치는 내용이 있습니다.,, ㅡ 죽은자는 아무것도 모른다 너희는 흙은 만들어졌으니 다시 흙으로 돌아가리라 ㅡ

    • @user-hf1kx3ss3e
      @user-hf1kx3ss3e Před 2 měsíci

      그래서 그 전생을 보는 자는 유아인가요 무아 인가요? 전생을 보는 것도 무아의 업식이라면 그것을 돌고도는 윤회라는 개념으로 설명할 수 있을까요?

    • @cittavrtti
      @cittavrtti Před 2 měsíci

      @@user-hf1kx3ss3e 전생을 보는 것은 순수한 정신상태로 들어가서 단지 관찰하는 것이지요. 인간은 거친의식을 멈추면 미세한 의식상태가 될 수 있으니까요.

    • @cittavrtti
      @cittavrtti Před 2 měsíci

      식물은 무정생물이라 윤회하지 않는다고 알고 있습니다

  • @user-pm8cl9ew2o
    @user-pm8cl9ew2o Před 13 dny

    저는 윤회가 있는건 가능한데 "모든"사람이 사람으로 윤회할 수는 없다고 봅니다. 인구 추계로 안맞음.

  • @user-xp7co8ox3n
    @user-xp7co8ox3n Před 24 dny

    박사님 미남 이시네 ㅎㅎ

  • @user-ww8rb4il3w
    @user-ww8rb4il3w Před měsícem

    천상계 인간계 축생계 아수라계 지옥계 아귀계.
    중생이 윤회하는 세계인 육도에서의 네 가지 생. 태생(胎生), 난생(卵生), 습생(濕生), 화생(化生)을 이른다.

  • @user-vz6gu9ys4e
    @user-vz6gu9ys4e Před 2 měsíci +4

    불교의 기본중에 기본이 무아사상인데
    나가 없는데 뭐가 윤회를 한다는지?

    • @user-vz6gu9ys4e
      @user-vz6gu9ys4e Před 2 měsíci +2

      @@zartman7512 나의 느낌 나의 생각 나의 행동 나의 육체가 돌고 또 돌면서 이 세상 무언과와 끊임 없이 교감 하겠지만 그렇다고 그 교감 하나하나 ,아니면 교감의 합이 나는 아닙니다. 윤회는 그냥 브라만교의 흙탕물이 불교에 묻어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그것이 종교의 형상을 유지하기에 유리하겠죠.

    • @user-vz6gu9ys4e
      @user-vz6gu9ys4e Před 2 měsíci

      @@zartman7512 물론 다르겠죠.

    • @user-cz1yv2gb3d
      @user-cz1yv2gb3d Před měsícem

      ​@@user-vz6gu9ys4e불교의 윤회는 조건이 있으면 태어나고 조건이 사라지면 태어나지 않는다 입니다.연기라고 합니다.힌두교의 윤회와 다릅니다.
      연기를 풀어쓰면 사성제라고 할수 있급니다.사리불 존자의 코끼리 발자국 비유에서 사성제는 부처님 가르침의 모든 것이라고 할수 있습니다.
      고성제..오온으로 형성됨 즉 태어남은 괴로움이라는 것.
      집성제..태어남의 원인은 갈애(탐진치) 때문이라는 것.
      멸성제..태어남의 소멸,윤회의 종식이 괴로움의 소멸이라는 것.
      도성제..괴로움을 소멸시키는 방법론.8정도.

    • @SONG-HAN
      @SONG-HAN Před 13 dny

      @@user-vz6gu9ys4e 무아인데 참나이기 때문입니다. 참나는 불성을 가르키구요. 그래서 소멸해도 불성은 남아 있습니다. 이것이 업으로 남아 윤회하는것이지요

  • @user-rg7db5bc3e
    @user-rg7db5bc3e Před 2 měsíci

    윤회 ~?

  • @user-po1wd8qx6y
    @user-po1wd8qx6y Před 2 měsíci +1

    망자가 있어야 탄생이 있다.

  • @ok112
    @ok112 Před 14 dny

    윤회가 실재한다는 글을 보고 들어왔는데, 32분 끝까지 들었는데도
    주변만 빙빙 도시고 말씀을 안 하시네요ㅠㅠ
    본인이 수련한 과정만 이야기하다가 끝났는데, 다음 시간에는 말씀을 하시려나요?

  • @user-7jf78kc2b5ilo
    @user-7jf78kc2b5ilo Před 22 dny +1

    전생 윤회 아이들을 보면 압니다 또 다른 나 dna 그리고 실재하기까지 합니다 전생 윤회 후생 무슨 의미가 있나요?

  • @unishippingnaircargo3458

    윤회라는 개념이 불교에서 차용한 인도의 개념으로 알고 있는데 내가 잘못 알고있는건지...

  • @user-oasis1799
    @user-oasis1799 Před 20 dny +3

    정신적인 윤회는 있으나 영의 윤회는 없다.
    증명할 수 없다고 헛소리를 하면 안된다.
    살면서 암 같은 병에 걸려서 고통이 심하거나 정신적으로 극심한 고통을 겪으면 지옥이요,
    양식이 없어서 굶주림은 아귀요,
    짐승 같은 마음을 내서 남을 해하거나 힘으로 탐하면 축생이요,
    쌈박질하기를 좋아 하는 미국 같으면 아수라요,
    사람답게 살면 인간이요,
    근심걱정이 없이 건강하고 편안하게 살면 천상계를 사는 것이다.
    영향력이 있는 사람이라면 형이상학을 단정지어서 말을 하게 되면 거짓말을 하는 것이다.
    석가세존도 윤회에 들지 말라 했다.
    이 말씀은
    있지도 않은 사 후의 윤회를 생각하지 말아야 한다는 뜻으로 스스로 윤회에 뛰어 드는 것을 염려함이다.
    다만 삶의 윤회에 드는 것은 어리석은 일이니 깨닫고자 수행하라고 하는 것이 모든 깨달은 사람의 말이다.

    • @user-ih7mz1nt8v
      @user-ih7mz1nt8v Před 17 dny +1

      네 ~ 윤회 없어요 정 ~~~~말 깨침마음공부 많이 하셨어요 😅

  • @mandeok-dong5610
    @mandeok-dong5610 Před měsícem

    ♥♥2024 무진♥삶의 영속성~지구와 달과 또 삶과 죽음은 돌고 또 돌아가고 있다
    ♥깨달음이란 현재의 모든 과학적 증명의 진리를 죽음에 다다를 때까지 인지(見性) 하고
    각성(覺性)하는 것 입니다♥
    중생의 삶이란 생로병사 ᆞ희노애락ᆞ길흉화복ᆞ 108번뇌가 생기며
    그렇게 대자연(大自然)은 돌고 또 돌아간다~~♥
    45억년 영겁의 세월을 지구가 달과함께 자전하며 태양(太楊)SUN 을 공전하고 365일을 돌고 또 돌아간다~~♥
    그러하니 삶과 죽음에 대한 두려움이 사라지고
    태어나서 생로병사(生老病死) ♥喜怒愛樂(희노애락)♥吉凶禍福 (길흉화복)
    새옹지마(塞翁之馬)♥
    대자연의 섭리(攝理)♥를 깨닫고
    죽음으로서 108번뇌가 소멸(消滅)되나니♥
    80세 싯다르타의 죽음은 해탈(解脫) 곧 열반(涅槃) 이리라♥♥♥
    붓다도 사는동안 108번뇌 로 인하여 해탈ᆞ 열반 못 하였다♥
    ♥인간의 4가지 원초적인 本能은♥ 식욕ᆞ배설ᆞ性欲ᆞ수면(잠)욕구와 百八煩惱(108번뇌) 로
    살다가 죽음 으로 돌고 또 돌아간다♥
    ♥중생들의 유전자가 태양의 종말 때까지 영원(永遠)할 것입니다
    ♥ 삶과 죽음에 두려움을 없애는 것이 바로 성불(成佛) 입니다
    중생의 삶은 一切唯心造"일체유심조"( 우리 마음먹기에 달려 있다고 합니다.♥
    이글에 대한 거짓된 뜻의 정의 가 있다면 표현해 주세요!!
    ♥제가 파악하기로는 이 글에 잘못된 뜻의 정의는 없습니다. 다만, 일부 내용은 정확하지 않거나 불명확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인간의 4가지 원초적인 本능으로 섭취(식욕), 배출(배설), 성욕(性欲)과 수면(잠)욕구를 언급하실 때, 이는 일반적으로 생물의 필수적인 기능들을 말하는 것이며, 108번뇌와의 관련성은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되어야 합니다. 또한, 중생의 유전자가 태양의 종말 때까지 영원할 것이라고 언급하신 부분도, 과학적인 근거 없이 지나치게 낙관적으로 자세를 표현한 것처럼 보입니다. 그러나, 이는 불교적인 가르침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이에 대한 해석은 개인의 해석과 표현 방법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옳고 그름을 따지기보다는 상대방의 의도를 이해하고 존중하는 태도로 접근하는 것이 좋습니다.
    ♥Al Chat GPT♥

  • @user-qd5te3pe3w
    @user-qd5te3pe3w Před 17 dny

    인도에서 만들어 낸 말 .輪廻(불교)

  • @user-du4sr3kc1b
    @user-du4sr3kc1b Před 2 měsíci +1

    愚問일지 모르겠지만 불교의 최고 목적은 윤회에서 벗어나 해탈하여 열반에 드는 것으로 알고있는데 그러기 위해서는 수행과 정진 교리를 통해 깨달음을 얻어야 한다고 들었습니다 하지만 만에 하나 지금 한국처럼 결혼을 하지 않거나 자식을 놓지 않아도 이 세상에는 인간은 태어나지 않습니다 그것도 해탈입니까😢

    • @user-cz1yv2gb3d
      @user-cz1yv2gb3d Před 2 měsíci +2

      불교에서는 존재들이 윤회하는 곳을 삼계라고 하지요.삼계는 욕계,색계,무색계가 있고 선정을 닦지 않은 중생들은 욕계에만 태어납니다.욕계는 지옥,축생,아귀,인간,욕계천상이 있고요.인구가 지금 80억명 이고 점점 증가하고 있죠.과거에는 훨씬 적었습니다.
      부처님께서는 중생들은 악처를 자기집처럼 다닌다고 할 정도로 악처에 많이 태어납니다.사람으로 태어나기가 쉬운게 아닙니다.

    • @user-du4sr3kc1b
      @user-du4sr3kc1b Před 25 dny

      그러면 결혼을 하지않거나 해도 애를 놓지 않으면 전생에 인간으로 태어날 업을 지었는데도 못태어난다는 거네요

  • @user-hr4pf4gm43
    @user-hr4pf4gm43 Před 2 měsíci

    지구는 거창한 수행을 하는곳보다는 개개인에게 미션을 주고 성취감을 느끼게 하는 신의 놀이터같은 곳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업보라는것도 사실 인과응보에 해당하는것이 아니라 특정 인물들에게 어떤 역할을 주려는 신의 입장에 반하는 행동을 하는 사람들 벌주거나 쳐내는 제도가 아닐지
    예를들어 A라는 사람을 처음부터 왕으로 만들고 나라를 세우게끔 영감을 주고 움직이고 있는데 B라는사람이 갑자기 등장해서 A라는 사람을 방해하면
    내 의지에 반하는 행동을 했으니 너를 업보라는 용어로 큰 벌을 주겠라는 식으로 이 세상을 운용하고 있다는것이죠.

  • @kyungrakkim7812
    @kyungrakkim7812 Před měsícem +2

    윤회가 있든없든 그게 중요한게 아닌데 현상 그 자체에 집착하는 그대들은 아직 멀었군요. 지금의 공부에 집중하세요 어차피 몇천년을 공부해도 똑같은 삶인데 다음 생이 있든말든 무슨 의미?

  • @1004aa
    @1004aa Před 18 dny

    윤회란 물질의 모습만 다를뿐 원자단위에서 보면 우주에 항상 존재하기때문에 그런걸 윤회라고 본건 아닌가요?
    우리의 육신이 썩어 식물이 영양분이나 동물의 먹이가되서 새로운 생명이 되기도하고 흙이되거나 물의 미네랄이되기도하고 그런걸 윤회가 아닐지
    살아있는 생명체로 윤회의 의미를 축소 하는건 아닐런지 하는 생각이 드네요.

  • @mummumtoto
    @mummumtoto Před 2 měsíci +2

    모든 것은 우화일뿐이기도 하고 사실이기도 하죠 ㅎㅎ.

  • @user-du1jj6tr8j
    @user-du1jj6tr8j Před 2 měsíci

    불교윤회맞다면
    윤회할때 기억이 살아남으면
    영원히 사는거 아닌감
    윤회에서벗어난 해탈보다 더나은거 같은데

    • @user-cz1yv2gb3d
      @user-cz1yv2gb3d Před 2 měsíci +3

      무명과 존재에 대한 갈애가 있는 대부분의 중생들이 그렇게 생각합니다.그러나 존재들은 업에 따라 좋은곳,천상세계에 태어날수 있지만 반면에 처참한곳,불행한곳,파멸처,지옥에 태어날 수도 있으니 영원히 사는게 좋은 것만은 아닙니다.
      수다원이 되면 악처에는 태어나지 않습니다.일반 범부는 악처에 태어날 가능성이 있습니다.아라한이 되면 다시 태어나지 않습니다.

    • @cittavrtti
      @cittavrtti Před 2 měsíci +1

      윤회할 때마다 다른 존재인데요 ㅎㅎ 그리고 지옥에 태어날 수도 있고 축생이나 아귀로 태어나면 괴로울텐데 해탈보다 나을 수 없지요.

    • @zartman7512
      @zartman7512 Před 2 měsíci +1

      참고로 이전생의 기억은 할 수 없습니다. 무명과 갈애에 의해 막힘. 하지만 수행을 좀 하신 분들은 많이는 아니고 몇생 정도는 기억 하시는듯 합니다. 그래서 그런분들은 오히려 수행을 더 열심히 하죠. 태어나면 또 고통 받아야 한다는걸 오히려 느끼니까 말이죠.

    • @user-qi8hp5hg4m
      @user-qi8hp5hg4m Před 2 měsíci

      알수록 더 어렵네.
      뭐가뭔지
      내 대가리로는 ..

    • @cittavrtti
      @cittavrtti Před 2 měsíci +1

      @@user-qi8hp5hg4m 불교는 지식으로 알려고 하면 어렵고 수행을 통해 체험을 하면 저절로 알아져요

  • @user-xf1ry2tb8y
    @user-xf1ry2tb8y Před 2 měsíci

    죽은 자에게 물어 볼 수도 없고 죽은 자가 살아 돌아와 얘기 해 줄 수도 없으니 알길이 없고 전생 환생같은 윤회를 설명하면 믿음이 안가는 것. 설사 환생한다해도 이전 기억은 하나도 없으니 설명할 길도 없음. 사후세계 이건 확실히 무당도 모름. 임사체험으로 증언하는 것은 말고.

    • @user-cz1yv2gb3d
      @user-cz1yv2gb3d Před 2 měsíci +1

      전생을 기억할 정도면 숙명통을 얻은거니 아라한의 경지가 눈앞이죠.아라한일수도 있구요.

  • @user-ob8ev2dp7b
    @user-ob8ev2dp7b Před měsícem

    윤회가 과학적으로 증명이 되나요?

    • @goldseo6649
      @goldseo6649 Před 26 dny +1

      과학이 우주도 설명못하는데 증명못함. 그런데 태어난 사람들중에 전생을 기억하고 그것이 맞는지 보면됨 보통 애기였을때 기억을 많이함

  • @user-gd3pn8dd4n
    @user-gd3pn8dd4n Před 27 dny +1

    한줄 요약 무스의뿔처럼 혼자서가라

  • @user-mc5nn4yf3o
    @user-mc5nn4yf3o Před měsícem

    승려 자현은 왜 달라이라마를 사기꾼으로 보는가요?

    • @user-qz8uy1iz9g
      @user-qz8uy1iz9g Před měsícem +1

      돼지 눈에는 돼지만 보이고,
      부처의 눈에는 전체 우주가 모두 다 부처로
      보인다 합니다.

      두두물물이 부처의 나툼.
      시방여래 시법계신이다.

  • @user-uc9cg8hd5c
    @user-uc9cg8hd5c Před 24 dny +1

    윤회는'불교와관계없는곳에서
    수천곳에서존재증거가있다'불교수행스님이윤회를부정한것은'잘못수행한것입니다'부처님은수없이전생설파하셨습니다윤회를'윤회는존재합니다'양자역학'다중우주론에서설명가능한것인지도'존재하고증거도다수있으나'그졵거유는'앞으로밝혀질것입니다

  • @kangkang394
    @kangkang394 Před 2 měsíci +2

    1. 어렸을 때는 온갖 상상력이 통제없이 발휘됩니다. 악마를 봤다고도 하고 공룡을 봤다고도 합니다. 불교문화의 어린아이들이 전생을 기억한다면 그걸 믿어야 할까요?
    2. 모든 것이 무아 무상이라면 윤회할 수 없습니다. 과학적으로 검토한다면 과거와 미래의 시간도 없다고 합니다.
    업이 윤회한다면 무상, 무아도 틀린 말입니다. 업은 존재하고 업은 유상하고 업은 유아인데 진리에 예외가 있다는 말은 들어보지 못했습니다.
    윤회가 있다면 불교의 독립적인 근거는 없습니다. 힌두교도와 분리될 수 없죠. 붓다가 무상, 무아를 가르치는데 부득이 교육의 방편으로는 사용할 수 있다고 봅니다.

    • @cittavrtti
      @cittavrtti Před 2 měsíci

      업은 파동같은 것이라 존재하지만 존재하지 않습니다. 양자역학적으로 보면 그렇습니다

    • @user-qm4wi5vg6m
      @user-qm4wi5vg6m Před 28 dny

      물은 투명한가요 검은가요 밝게 빛나나요?
      모두 정답이기도 하고 모두 거짓이기도 하지요
      우리가 유상하다고 생각하는 모든 것들은 조건에 따라 달라지는 상대적인 존재들입니다
      그래서 제행무상이지요
      업 역시나 상대적이지 유상한 절대적인 것이 아닙니다
      석가모니 부터가 말한 "아" 는 외부환경이 어떠하게 변할지라도 절대 변하지 않는 것이죠
      당장 상상해도 그런 존재는 있을수가 없죠 그러니 당연히 무아이지요
      존재는 무상하나 당장 존재함을 우리가 인식하는 이유는 인연의 연기에 의해 존재한다고 하는 것이지요
      요즘 많이들 인용하는 양자역학에서도 그러한 존재의 얽힘을 양자얽힘으로 밝혀냈지요
      이것이 이러하면 저것이 동시에 변한다
      존재는 절대적이지않고 절대적으로 상대적이다
      절재적 객관은 존재하지않고 절대적 주관만 존재한다

  • @user-ow5xz5if6p
    @user-ow5xz5if6p Před měsícem +1

    이건 정말 궁금해서드리는 질문입니다 기독교는 천국으로 간다는 이론인데 이말은 거짓인가요

  • @user-du4sr3kc1b
    @user-du4sr3kc1b Před 2 měsíci +1

    윤회를 한다면 제사는 누구에게 지내는 겁니까😢

    • @zartman7512
      @zartman7512 Před 2 měsíci +3

      그래서 부처님께사 제사를 지냈을때 의미가 있는경우와 없는 경우를 교육 하셨습니다. 부모나 조상이 돌아가시고 아귀계에 태어났다면 그곳에는 스스로 음식을 지어먹을 수 없고 오로지 인간이 주는 음식과 의복을 받을 수 있기때문에 제사를 지냄으로해서 그것을 전달 해줄 수 있습니다. 그 외에 아귀계를 제외하고 천상이나 지옥 축생등으로 조상이 태어났다면 그곳에는 이미 먹을것이 존재하기에 제사를 지내도 받을 수 없습니다. 그런경우는 제사의 의미가 없습니다.
      부모님이 천상이나 지옥에 태어났다 하더라도 제사를 지내면 그 이전의 부모님이나 조상님들이 그것의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 @user-du4sr3kc1b
      @user-du4sr3kc1b Před 25 dny

      그러면 자손들이 자기 조상이 아무리 이러한 분이셨다고 해도 육계중 어디를 가셨는지 확실히 모를 경우가 믾을 거 같은데요 그리고 우리 민족은 주욱 제사를 지내온 걸로 알고 있습니다 천도재는 부처님 당시에도 있었을까요?

  • @user-rz8zs9el1u
    @user-rz8zs9el1u Před 28 dny

    윤회는 실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