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음식이 기름진 이유. 식용유를 많이 쓸 수밖에 없는 중국의 특성.

Sdílet
Vložit
  • čas přidán 14. 12. 2021
  • * 출간 도서 '삶이 허기질 때 나는 교양을 읽는다' 구매 링크 : bit.ly/3tnybpW
    음식은 그 나라의 역사와 환경과 문화의 총합입니다. 지위 고하, 남녀노소를 막론하고, 모든 사람의 일상이 녹아들어 만들어졌기 때문입니다.
    중국 요리는 총 몇 가지나 될까요? 그건 아무도 모릅니다. 누군 8천 가지라고 하고, 누군 10만 가지는 될 거라고 합니다. 조리법만 해도 볶고 굽고 삶고 찌고 끓이고 데치고 등 40여 종이 넘습니다.
    하지만 그 중에서도 압도적인 건 역시 기름에 볶는 방법입니다. 한 조사에 의하면 중국 요리의 80%가 기름에 볶거나 튀기는 조리법을 사용합니다.
    이 정도 수치면 중국인들에게 특별한 사정이 있다는 얘기입니다. 이 영상에선 그걸 알아봅니다. 중국에선 어쩌다가 이렇게 기름진 음식이 발달하고, 좋아하게 된 것일까요?
    #중국음식기름 #중국요리기름 #중국요리특징

Komentáře • 1,7K

  • @jaehyeoklee598
    @jaehyeoklee598 Před 2 lety +930

    4세기에 땅콩이 전래되었다고 하셨는데 남아메리카가 산지인 땅콩은 명나라 말기 정도에나 전래된 것으로 알고 있는데 혹시 4세기에 저희가 현재 아는 땅콩과 다른 땅콩이 있었던 걸까요?항상 감사하며 잘 듣고 있습니다 ㅎ

    • @user-ts5bs8ll3r
      @user-ts5bs8ll3r Před 2 lety +526

      이 둘은 다른 콩인게 맞습니다. 4세기에 전래된 콩은 유럽에서도 쓰이기도 했는데 남아메리카에서 쓰이는 땅콩이 전래되면서 질소고정 등의 부가적인 성능이 훨씬 뛰어난 땅콩이 기존의 콩을 밀어내고 지금처럼 널리 퍼진거죠. 물론 기존의 땅콩도 아직까지 많이 목긴 합니다

    • @user-hs2iq1jk1o
      @user-hs2iq1jk1o Před 2 lety +131

      좋은질문 좋은댓글 많이 배우네요 ㅎ

    • @jaehyeoklee598
      @jaehyeoklee598 Před 2 lety +28

      @@user-ts5bs8ll3r 감사합니다 ㅎ

    • @inxhun
      @inxhun Před 2 lety +39

      @@user-ts5bs8ll3r 당신이 진짜 지식인!
      이답변을 모두가 보지 못한다니 아쉽구나.

    • @user-ts5bs8ll3r
      @user-ts5bs8ll3r Před 2 lety +231

      질소고정은 다들 알고 계실거 같아 설명은 안했는데 혹시 모르니 덧붙이자면 우리가 농사를 지을 때 작물들이 영양분을 섭취하는건 기타 여러 박테리아들 덕분인데 이것들이 질소를 분해해서 영양을 흡수할 수 있게 해줍니다. 그런데 계속 작물을 키우게되면 영양분 자체가, 즉 질소가 소모되어 나중엔 그 땅에선 작물이 흡수할 수가 없게 되는데 이 때 남미에서는 비료 대신에 땅콩과 호박 등을 주식인 옥수수와 같이 심어 이 질소를 고정시켜주는겁니다. 옥수수라는 작물이 생산성은 다른 작물들을 씹어먹을 정도로 강하지만 그만큼 지력을 소모하기 때문에 발생한 재배법이죠. 우리가 비료를 쓰는 이유도 질소를 보충해주기 위한건데 땅콩은 거기에 열매를 추가적으로 얻을 수 있으니 인기가 많던거죠.

  • @maru2458
    @maru2458 Před 2 lety +319

    지식 브런치가 좋은점.
    1. 쉽게 설명해준다
    2. 내용 요약이 확실해서 기억하기 쉽다
    3. 영상 그림들이 좋다
    4. 자꾸 들으니 목소리가 구수해용

    • @TheLeedohuny
      @TheLeedohuny Před rokem +7

      5. 근거가 없는 내용을 끼워맞추거나 틀린내용이 많다

    • @shdhdhdhdj
      @shdhdhdhdj Před měsícem

      @@TheLeedohuny내가할랬는데

  • @CrushOn20
    @CrushOn20 Před 2 lety +894

    대학 강의 듣는 느낌이어서 좋아요.
    편안한톤 + 신박한 주제 선정 + 알기 쉬운 풀이 + 적절한 자료 인용 + 군더더기 없는 편집
    요즘 같이 1분 짜리 영상을 10분짜리로 늘여서 쓸데 없는 추임새와 편집 넣고 공갈빵 같은 영상들이 많아서
    이렇게 짧은 시간 안에 핵심만 알차게 구성해주시니 알아가는 즐거움이 늘어만 갑니다 ㅎㅎ
    이미 구독자수 상당하시지만 더 많이 늘어나실 겁니다

    • @user-up5wb4gw4k
      @user-up5wb4gw4k Před 2 lety +7

      대학 강의는 졸려요

    • @jung-hokim7920
      @jung-hokim7920 Před 2 lety +20

      왜 처음에 나오는 지도를
      동해가 아닌 일본해로 적힌걸 사용하죠?
      유용헌 지식창구 역할에 감사드리지만
      역사학도로서 심히 불만스럽네요

    • @user-dg8dv7pz2w
      @user-dg8dv7pz2w Před 2 lety +33

      @@jung-hokim7920 세계 표준은 일본해가 맞으니까...

    • @Oizman
      @Oizman Před 2 lety +9

      제 생각은 다른게 그렇다면 유럽쪽 석회가 더 심한데 중국처럼 요리 안하죠...
      중국은 잦은 전쟁이 많았는데 어디든 도망가기 쉽게 큰 중화 냄비 하나면 도망준비 끝이죠
      이거로 어디든 가서 냄비로 쓰기 좋고 목욕 세수 담고 또 방패등등 다양하게 쓰이고
      커다란 냄비라 여러명 식사준비가 간단하고 또 국자가 냄비에 잘 맞게 만들어져 편하고
      그래서 삶는 요리가 잘 발전되었죠. 왜 삶고 튀긴요리가 많은가 하면 전쟁통에 농사가 안되니
      뭐든 주위에 있는거 먹어야 하는데 독이 있을지 모르니 삶고 튀기어서 독제거 목적이 컸다고 봅니다.
      그래서 다양하게 모든 식재료를 먹은 탓이 있어 중국요리가 발전한거라 봅니다..
      전쟁과 중화냄비와 국자가 만들어낸 중국요리라고 생각됩니다..

    • @user-fr9cw4bu9c
      @user-fr9cw4bu9c Před 2 lety +3

      교수님은 이런 편한 강의 안해주던데

  • @user-pd9ct3jh7n
    @user-pd9ct3jh7n Před 2 lety +463

    우리나라땅이 산지때문에 좁고 자원도 별로없지만 화강암질기반 암반이라 물이 깨끗한건 장점이 맞다

    • @user-jjy1015
      @user-jjy1015 Před 2 lety +62

      확실히 선조들이 물좋은데로 많이 가셨어...

    • @Supergolem12345
      @Supergolem12345 Před 2 lety +29

      대신 화강암 지대는 토질이 꽝이라 농사나 목축에 부적합하죠

    • @ABC-kx5gy
      @ABC-kx5gy Před 2 lety +23

      @@Supergolem12345 중국은 영토는 넓지만 토지의 양과 질로 보면 별로 입니다(악플 아님)

    • @Supergolem12345
      @Supergolem12345 Před 2 lety +19

      @@ABC-kx5gy 그야 당연한 게 중국 영토의 변방은 몰라도 중심부는 산이랑 사막투성이기 때문이죠

    • @user-ri73bdis88h7
      @user-ri73bdis88h7 Před 2 lety +26

      @@ABC-kx5gy 로마 인도 중국이 세계인구의 90% 정도를 부양했을 정도로 비옥한 지역인데요 중국자체가 워낙 넓다보니 척박한 지역도 있는건 사실이지만 비옥한 핵심지역의 생산력으로 주변의 척박한 지역도 지배한거라고 보는게 맞을것 같습니다.

  • @jaejin2003
    @jaejin2003 Před 2 lety +115

    화생유 즉 땅콩기름에 튀기면 어지간한 야채도 다 맛있더라고요. 살찌는건 그 다음 먹고나서의 문제. 포기하기 힘든 맛이죠

    • @user-uj1hy9xc2u
      @user-uj1hy9xc2u Před 2 lety +10

      당시에는 현대인들보다 하루 소비하는 칼로리가 많았을테니.
      구지 살찌거나 그러지는 않을거 같네요
      그 광활한 땅떵어리에 이동수단은 동물 가마 아니면 맨발이고
      농경생활이면 당시 농기계가 있던것도 아니니 사람이 전부 할것이고.
      먹는것에 비해 활동량이 많으니 살찔거 같지는 않아보임니다.

    • @user-pw2fh5mk3x
      @user-pw2fh5mk3x Před 4 měsíci +2

      현대 중국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기름은 카놀라유입니다
      중국에는 볶는 요리가 다양한 만큼 쓰는 기름의 종류도 다양한데 이중 유채기름은 발연점이 낮아 볶거나 튀기는 요리를 하는데 안성맞춤입니다

    • @sky-blue808
      @sky-blue808 Před 3 měsíci

      굳이​@@user-uj1hy9xc2u

  • @charlieshin9513
    @charlieshin9513 Před 2 lety +375

    북쪽으로는 튀긴 음식이 많은데 양자강 쪽으로 가니깐 의외로 삶고 찐 담백한 음식이 많아서 놀랐네요... 수질 때문에 지방에 따라 다른 음식문화가 발달한게 아닌가 싶네요...

    • @Supergolem12345
      @Supergolem12345 Před 2 lety +86

      반대로 남쪽은 튀기고 볶은 음식보다는 주로 찌는 음식들이 많습니다 특히 남쪽은 기후가 해산물이 잡히기에 좋아서 해산물 요리가 발달했죠

    • @laputau3816
      @laputau3816 Před 2 lety +60

      북쪽은 추워서 짜게 절인 저장음식
      내륙은 건조해서 기름진 음식
      남쪽은 습해서 매운음식.

    • @AppleMango.
      @AppleMango. Před 2 lety +8

      @@laputau3816 그래도 어딜가든 딤섬이 최고

    • @lecic9624
      @lecic9624 Před 2 lety +11

      @@AppleMango. ㅉㄲ들 음식이 ㅈㄴ게 많은 이유
      -> 길거리에 보이는건 다 먹는 놈들이라
      그러니 우흥 폐렴같은거나 만들어지는거 역겨운 것들
      난 중식은 짜장면 짬뽕 탕수육 말고 보이콧한다 , 그들의 문화성 정체성의 집합체인 말그대로 영혼이 느껴지는 그들의 음식을 먹자니 오우! 몸이 거부하노

    • @benjamin-erlangen
      @benjamin-erlangen Před 2 lety +22

      양자강 기준으로 주변지역과 남쪽은
      사실상 인종이나 문화적으로 동남아라서
      동남아음식이랑 비슷하죠

  • @treefs47
    @treefs47 Před 2 lety +36

    산좋고 물좋고 흙도 기후도 좋고 지진 태풍도 적은 살기좋은 한반도에 정착해주신 조상님께 감사해야겠군요. 창의적 주제선정과 훌륭한 분석기사입니다.

    • @user-ju3tm6lc9s
      @user-ju3tm6lc9s Před měsícem

      조쌍님:그 대가로 주변에 유사국가만 건국 되게하겠다

  • @user-sb6bs9gx6i
    @user-sb6bs9gx6i Před 2 lety +217

    요약.
    1. 수질 문제 - 흙냄새 및 미생물 제거.
    2. 기후 및 환경 문제 - 건조하고 추운 환경에서 살아남기 위해.
    3. 농경 사회 - 근면한 노동력을 위한 튀김의 고열량이 보탬이됨.
    4. 식용유 발달
    5. 맛이 좋음.

    • @Supergolem12345
      @Supergolem12345 Před 2 lety +25

      단점이라면 혈관이 명절길 고속도로같이 된다는 거지만

    • @dhlooky5235
      @dhlooky5235 Před 2 lety +6

      막줄핵심추

    • @user-om9hq5uf9p
      @user-om9hq5uf9p Před 2 lety +7

      @@Supergolem12345 인구수로 해결

    • @user-km1nh7hh6v
      @user-km1nh7hh6v Před rokem +3

      @@Supergolem12345 그래서 차를 물처럼 마신다고 하네요

  • @creamsoda571
    @creamsoda571 Před rokem +12

    그렇군요 우리 나라가 금수강산이라는 것에 감사해야겠어요. 유럽도 석회가 많은 물 때문에 청소를 해도 석회가 남는다는데. 참 좋은 우리나라입니다.

    • @user-zm3wv9tw6l
      @user-zm3wv9tw6l Před 9 měsíci +3

      정말 20년전만해도
      전국 어디로 가더라도 산야에 그대로 마실수 있는
      깨끗하고 맛있는 약수물들이 흔했읍니다 그맑고 깨끗하고 달면서 시원하고 맛있는 물은 표현할수 없읍니다
      지금은 그런물들이
      없어지고 귀한 편입니다
      90년도 초에 백담사 수렴동 대피소로 해서 봉정암으로 갔을때 계곡이나 개울의 물이 어찌나
      맑고 깨끗한지 등산객들이 산행 도중에 그대로 마시곤 했읍니다
      지금의 생수물과는
      비교를 할수가 없읍니다

  • @lkm
    @lkm Před 2 lety +176

    역시 문화란 자연환경에 의한 필요로 생기네요

    • @user-pw2fh5mk3x
      @user-pw2fh5mk3x Před 4 měsíci +2

      반면 우리나라 조선은 물이 깨끗하고 나물들이 널렸기에 중국처럼 볶는 조리법이 발달하지 않아도 됬었죠

  • @user-nh4ld8js2t
    @user-nh4ld8js2t Před 2 lety +687

    중국에 여행 갔을 때 지인들 말로는 현지에서 물 잘못 먹으면 죽을 수 있다고 할 정도로 중국쪽 물은 우리나라에 비해 동영상에 언급 된 석회 등의 문제로 수질이 정말 안 좋아서 차문화가 발달하게 되었다는 걸 알게 되었었는데, 기름을 이용한 튀긴음식 발전에도 영향을 미친 줄은 전혀 몰랐네요. 으늘도 유익한 정보 너무나 감사합니다.😁

    • @stms4331
      @stms4331 Před 2 lety +25

      살아서 돌아온게 기적이네요

    • @muscleman6750
      @muscleman6750 Před 2 lety +62

      @@user-4yjb2c5e7f9b 우리나라는 산간지대가 대부분이라 그렇습니다 물이 산에서 흘러 내려오면서 자연적으로 필터링 된다네요

    • @artimesser
      @artimesser Před 2 lety +61

      @@muscleman6750 화강암이 주를 이루기 때문에 그래용

    • @xero2250
      @xero2250 Před 2 lety +25

      유럽도 석회때문에 술문화가 발달했죠.

    • @Supergolem12345
      @Supergolem12345 Před 2 lety +10

      @@user-py6pz8du7l 그리고 당시엔 의학이나 야전 의료체계가 안 발달해서 간단한 상처가 악화되어 죽기 때문도 있었죠

  • @JaeTarot_TV
    @JaeTarot_TV Před 2 lety +30

    물이 중요한 김치를 저그네 음식이라고 우기는 게 말이 안되는 이유가 이번 영상을 통해 밝혀졌네요.

    • @StarShevron
      @StarShevron Před 2 lety +6

      그쵸. 한국이 발효가 발전한 이유가 오히려 미생물을 이용해내는 음식문화 덕인데, 튀긴 음식은 미생물은 싸그리 절멸시켜버리죠.

  • @yimimluest2523
    @yimimluest2523 Před 2 lety +32

    좋은영상 감사합니다...인간의 삶에서는 지리적인 환경의 영향이 참 중요함을 다시금 느끼네요..

  • @hyunkwansong488
    @hyunkwansong488 Před 2 lety +27

    유튭 글 처음 써봅니다 항상 궁금했던 주제로 영상 올려주셔서 넘 감사합니다 내용을 공유하고 싶어서 와이프랑 대화하는데 그게 왜 궁금했어 이럽니다 제가 볼때 최고의 컨텐츠인데요ㅎㅎ

    • @luca6618
      @luca6618 Před rokem +1

      동거 별탈없으시죠 ^^

  • @user-zh4tt7vs6v
    @user-zh4tt7vs6v Před 2 lety +282

    석회가 섞이고 흙이 섞인 물이라 볶거나
    튀기는요리가 발전했다라...
    사실 우리나라처럼 화강암지대가
    아닌이상 깨끗한물을 구하는게 쉬운일은
    아니었다함

    • @darylyu5602
      @darylyu5602 Před 2 lety +92

      보통의 경우
      수질이 좋지않다 - 차, 맥주, 와인등이 발달함 - 그에 맞는 음식이나 안주들이 발달 보통 이런식이라고 배웠습니다.
      중국은 수질이 좋지않아서 차를 끓여마시거나 하기때문에 기름진 음식을 먹어도 차를 마심으로써 입을 말끔하게 해주니 기름진 음식이 발전할수 있었던것이고
      독일이나 프랑스 같은경우도 수질이않조아 맥주나 와인을 많이 마심으로 맥주나 와인, 포도주등을 넣어서 요리를하는 요리법이 많아지고 안주와 식사를 겸할수잇는
      음식이 발전했고
      우리나라는 수질이 괜찮은 편이어서 국이나 찌개같은 국물요리가 발전했다
      라는 걸 예전에 책에서 본적이 있는데 이 영상과 궤를 같이하는듯 합니다.

    • @user-cf7nj1sr4h
      @user-cf7nj1sr4h Před 2 lety +58

      우리나라가 수질이 좋아서 국물문화가 발전했다고도 하죠.

    • @konair4948
      @konair4948 Před 2 lety +9

      대댓글에서 많이 배우고갑니다

    • @qamarpapa485
      @qamarpapa485 Před 2 lety +6

      @@user-4yjb2c5e7f9b 제길...

    • @user-ed9br1pr1l
      @user-ed9br1pr1l Před 2 lety +3

      화산암지대 일본물최고

  • @kimdoul9696
    @kimdoul9696 Před 2 lety +317

    기름을 쓴 요리가 오히려 경제적이었다는게 정말 놀랍네요.. 연료를 전혀 생각을 못했어요

    • @user-dc7sj4sj4p
      @user-dc7sj4sj4p Před 2 lety +1

      소현세자가 중국에서 유배생활 하다가,,돌아왓고 한탄했던 이유중1가지가,,
      중국 백성은 벽돌집이 있어서 100년이가고 200년이가도 그형체를 유지하는데, 한국백성은 흙으로 지은 초가집에서 산다며 한탄햇죠
      그런데 그게 1개만알고 2개는 몰랏던거에요
      조선은 신분제 국가여서 나무로만든 기와집을,양반이 아니면 소유 못했거든요,,,실제로 양반집 전통 한옥은 수백년 가잖아요
      집이문제가 아니라 신분제가 문제였는데 오판한거죠
      벽돌집은 수많은 황토와 그황토를 구워서 벽돌로 만들 나무가 너무많이 들어갔죠,,,주변의 나무들이 모두 사라져버려요,,,,
      뭐랄까? 이스터섬에서 모하이 석상을 만들려고 나부를 다 베어내버려,,지금은 나무1그루도 없는 것처럼
      실제로 한국 온돌 문화는 수천년이지만,,
      조선 후반까지는 온돌문화가 거의 없엇어요,,, 나무를 너무 많이 훼손햇고,,, 산에 나무를 국가가 관리햇으니까요,
      그러다가 소빙하기때 조선은 경신 대기근이 일어낫고,, 굶어죽고,얼어죽고 너무 많은 희생자들이 나와서,,그때부터 온돌 문화가 서민에게까지 전파된것임
      그에반해서 중국은 고조선,고구려,발해의 영향도 받앗기에,,,,추운지방은 온돌 문화가 발달했고,,,,
      벽돌집도 발달해서,,,주변의 나무를 모조리 베어버려서 황무지화 된 경우가 많죠,,,
      지금은 난방을 나무대신 석탄으로 쓰구요,,,,
      그렇다고 그게 미세먼지 주원인은 아님,,, 미세먼지의 주원인은 엄청난 규모의, 엄청난 갯수의 석탄발전소 때문이니까요
      중국 석탄 발전소 주변은,,자고 일어나면 석탄 가루가 눈처럼 쌓이니까요,,,
      그래서 국가차원으로 전기차,전기오토바이를 적극 지원해주고,,, 그 전기 소모량을 메꾸려고 황해 근처에 원자력을 엄청나게 짓는 것임,,문재인은 원전 폐기하고

    • @user-dr6qt4ig1d
      @user-dr6qt4ig1d Před 2 lety +19

      @@user-dc7sj4sj4p 재인이는판도라보고무서워서탈원전했다구~

    • @sunghyun2003
      @sunghyun2003 Před 2 lety +16

      @@user-dc7sj4sj4p 원전은 그렇게 단순하게 생각할 수 있는 주제가 아니요.

    • @user-ti9mn7im3i
      @user-ti9mn7im3i Před 2 lety +7

      원전 후 나오는 폐기물을 담을 저장소 만드는데..
      그 비용이 이젠 한계를 넘었네요
      자연원료로 감당할수 있는데
      굳이 원전할 이유가 없죠

    • @name-pu9go
      @name-pu9go Před 2 lety

      무식한 2번남 오셨네

  • @user-vj1ts8oe4h
    @user-vj1ts8oe4h Před 2 lety +40

    영상 매번 잘 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한가지 오해의 소지가 있어 글을 남겨봅니다. 저는 중국 사학을 연구하고 있는 사랍입니다. 현재 중국은 지역별로 큰차이가 있지만 생선회를 아주 즐겨먹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중국엔 언제나 회가 존재해 왔고 식탁에 올라왔습니다. 다만 대륙은 넓다보니 지역별로 아주큰 편차를 보일 뿐입니다. 우리가 흔히 아는 서유기 삼국지 홍루몽~ 시대를 막론하고 여러 소설에서는 생선회에 대한 내용이 나옵니다. 말씀 드리고 싶은건 중국 역사를 길게 놓고 보아도 논어에도 나오는 생선회를 시작으로 현재 인터넷에 오르기 까지 생선회는 중국인과 함께 해 왔다는 것 입니다. 생선회의 역사라는 책이 중국에 있습니다. 거기에 보면 시대별로 지역별로 생선회에 대한 내용이 나오더군요~ 물론 아주 자세히 읽어 보진 않았지만 이 글을 전달하기 위해 살짝 조사 정도는 해 보았습니다. 좋은 영상 잘 보고 있습니다. 원래 다양한 지식을 전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지요~주제와 크게 관계 있는 것은 아니지만 이러한 사실이 있다고 전해 드립니다. 실례가 되었다면 사과드립니다.

  • @Jangsahaja
    @Jangsahaja Před 2 lety +127

    그러고보니 요리왕 비룡 초반에 비룡이 대도시에 도착한 후 처음 요리했을때 사람들이 흙비린내가 난다며 음식을 죄다 버리는 에피소드가 있었어요. 비룡네 고향은 물이 맑아서 채소가 깨끗했기때문에, 황하강의 흙탕물로 재배한 채소에선 흙냄새가 난다는걸 몰랐다! 이런 내용이었죠ㅋㅋ

    • @user-cj8qq1vq2d
      @user-cj8qq1vq2d Před 2 lety +3

      재배한 -> 조리한

    • @qponlyou32
      @qponlyou32 Před 2 lety +24

      사천은 산이 많아서 좋은 물이 풍성하지만 광주는 황하강이 주 수로니 흙냄새가 나죠.ㅋㅋㅋ 청경재 볶음 아직도 기억합니다.

    • @segubeam
      @segubeam Před 2 lety

    • @kim-kn7ci
      @kim-kn7ci Před 2 lety

      @@user-cj8qq1vq2d 안봐서 모르겠는데 흘탕물로 재배해서 흙냄새가 더 난거 아님?

    • @user-cj8qq1vq2d
      @user-cj8qq1vq2d Před 2 lety +4

      @@kim-kn7ci 재배할때가 문제가아니라 조리할때 물이 문제죠

  • @dheo1177
    @dheo1177 Před 2 lety +536

    이 형님 주제 선정이 진짜 최고임ㅋㅋㅋㅋ어떻게 이렇게 평소에 내가 궁금해하고 있던지도 모르는걸 잘도 집어내는짘ㅋㅋ

    • @yoonseopchoi2501
      @yoonseopchoi2501 Před 2 lety +50

      형님이 아니라 교수님...

    • @-msg
      @-msg Před 2 lety +15

      별로 궁금하지 않은것도 궁금해짐ㅋㅋㅋㅋ

    • @user-px9kd5er9s
      @user-px9kd5er9s Před 2 lety +18

      @@yoonseopchoi2501 그러면 교수형님?

    • @user-ub6kn1vq8o
      @user-ub6kn1vq8o Před 2 lety +9

      @@user-px9kd5er9s 교수형?

    • @user-wz9zc5ej7t
      @user-wz9zc5ej7t Před 2 lety +4

      @@user-px9kd5er9s 무친련ㅋㅋ

  • @user-lg5ut7om7t
    @user-lg5ut7om7t Před 2 lety +30

    당송시대에도 음식을 조리하는데에 식용유 쓰였지만 궁중이나 귀족, 부자들이 주로 사용했음. 식용유를 만들어내는 기술이 덜 발달되었고 식물성 식용유를 만드는데 비용이 많이 들어서 가격이 비쌌기 때문임. 식용유가 본격적으로 민간에서 사용되기 시작한건 명나라때 부터임. 콩이나 옥수수둥의 농작물 생산량이 비약적으로 늘어나고 식용유의 압착기술이 발달해서 기름으로 조리하는 조리법이 다양하게 발전하기 시작했음. 중국인에게 기름으로 조리한 음식을 못 먹는다는건 곧 세상을 하직한다는 의미나 마찬가지임.

  • @Chacha-lj8ly
    @Chacha-lj8ly Před 2 lety +591

    중국인들이 한국에 여행 오면 가이드들이 꼭 하는 썰이 “한국인들은 1리터 식용유를 6개월 동안 먹는다.” 라고 합니다 ㅋㅋㅋㅋㅋ 중국인들은 아무도 그 말을 안 믿다가 한국 식당에 가서 튀긴 요리가 거의 없는 걸 보고 그 때서야 진짜구나 한대요 ㅋㅋㅋㅋㅋㅋ

    • @Na_raola
      @Na_raola Před rokem +25

      걔네들은 한 달만에 다 쓰나

    • @sysoo5134
      @sysoo5134 Před rokem +94

      @@Na_raola 한달안걸립니다.

    • @user-gy2vn6vu2m
      @user-gy2vn6vu2m Před rokem +115

      중식당에서 일하는데 하루에 18리터 한통은 물론이고 다섯통까지 쓰는 날도 있음

    • @Kimtiger0
      @Kimtiger0 Před rokem +42

      허... 중국의 엄청난 기름사용양이 한번에 와닿네요

    • @ppark61
      @ppark61 Před rokem +58

      우리 으르신들 튀긴거 드리면 인상부터 쓰시죠. 느끼하고 소화가 안되서 싫어 하시지만, 유치한 맛탓에 애들이나 먹는 음식이라고 생각하거든요. ㅎㅎ

  • @user-go4rq2tx3v
    @user-go4rq2tx3v Před 2 lety +10

    채널영상 정주행하고 교수님 영상 올라오기만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 @poihoi1241
    @poihoi1241 Před 2 lety +18

    기름 많이 먹으니 신기하게 비만율도 높아야 할거 같은데 차문화 때문에 비만율도 낮다고 하니..조합 하나는 기가 막힌 셈..

    • @user-ri73bdis88h7
      @user-ri73bdis88h7 Před 2 lety +3

      기름을 많이먹어도 야채를 기름에 볶아먹는게 주라서 서양식으로 보면 샐러드에 올리브 뿌려먹는 건강식이나 다름없을듯
      그래도 점점 육류섭취가 늘어나서 앞으로는 달라질수도 있지만.

    • @candykrith1232
      @candykrith1232 Před 2 lety

      많이 움직여서 그런데요

    • @dri13829
      @dri13829 Před 2 lety +1

      @@user-ri73bdis88h7
      한국으로 따지면 그냥 나물 기름에 볶아 밥 조금에 먹는 거.

  • @user-du2tk3hq1e
    @user-du2tk3hq1e Před rokem +163

    여긴 댓글들도 너무 정상적이고, 각자의 지식에 포용성을 두면서 조곤조곤 토론하듯 인정하며 얘기해서 너무 좋습니다^^
    몰랐던 사실을 많이 알아가고요, 십분 내외의 동영상 한편을 취하면서 우리 아이에게 일주일에 한번, 이야기 소재를 만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msy6709
      @msy6709 Před rokem

      중궈 너무 티난다?! 이런 댓글 달라고 시진핑이 시키디? ㅉㅉㅉ, 예들은 공산주의 독재국가의 노예인 걸 몰라요...ㅉㅉ

    • @user-ds8cm7dv7o
      @user-ds8cm7dv7o Před rokem +1

      ​@@msy6709 포용성을 가지고 타인을 수용하라는건 무슨 사상을 가지고 누가 시키든 일단 좋은 말 아니에요?

    • @user-vl8em4mv9s
      @user-vl8em4mv9s Před rokem

      ​@@user-ds8cm7dv7o 그거보단 일단 남의 의견을 인정하는거아님? 유튜브댓글보면 남의 얘기를 인정안하잖음

    • @qwerfjdisj-qf4oo
      @qwerfjdisj-qf4oo Před 9 měsíci +2

      그쵸 수용소 만들어서 교육하는 거도 하나의 포용이죠ㅎㅎ

    • @rsenalism
      @rsenalism Před 9 měsíci +2

      ㅋㅋㅋㅋㅋㅋㅋㅋ예전에 디시인사이드 식물갤인가 분재갤인가 느낌

  • @nj463
    @nj463 Před 2 lety +6

    들을 때마다 느끼는데 정말 피곤하고 째고 싶은데 막상 들으면 재미있는 교수님 수업같아요

  • @user-xs8us6sn9x
    @user-xs8us6sn9x Před 2 lety +13

    재밌는 대학강의인데 거기에 발표도 과제도 안시키는 교수님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

  • @shunya118
    @shunya118 Před 2 lety +53

    중국 산동성 오지에 약 3년간 체류했던 적이 있는데, 수도물을 통에 받아서 놔두면 아래에 하얀 가루가 가라앉아요.
    비가 많이 오는 계절에는 그나마 좀 나은데 갈수기에는 눈으로 봐도 탁하고, 그 정도로 들어있으면 당연히 먹을 수는 없고 양치도 안했어요.
    처음에는 모르고 설거지한 스테인리스 냄비를 그냥 뒤집어 건조시켰는데 1년여만에 바닥에 하얗게 석회질이 들러붙더라구요. 설거지한 후에 행주로 닦아서 건조시키라고하는데, 남자 혼자 살면서 그게 되나요? 그냥 버리고 다시 사서 쓰다가 들러붙으면 또 버리는거지.
    회사에서 직원들에게 뜨거운 물(开水)을 제공하기위해 계속 물을 끓이는 화학공장의 증류탑처럼 생긴걸 교체한다고해서 내부를 들여다봤는데, 깜놀했음. 스테인리스 몸체 안쪽에 하얀 석회가 종유동굴처럼 덕지덕지 붙어있어서 저 물 안먹기 천만다행이다. 회사에서는 차를 갖다줘도 절대 안마시고 내가 커피타서 마셨음.
    음식은 뭐든 일단 기름에 집어넣고 무슨 요리를 할까 생각하는 듯한, 그리고 왜 그렇게 짠지? 정말 미치는줄 알았음.
    양저우 초판을 시키면 넓은 접시에 담아주는데, 접시 바닥에는 기름이 흥건해서 유면 위의 약 30~40%만 살살 떠먹고 나머지는 그냥 남겼죠. 계란 프라이 하는걸 보면 기름이 끓는 웍에 계란을 깨뜨려 넣어요. 계란이 끓는 기름 위에 둥둥 떠서 튀겨지면 건져올리기때문에 계란 프라이가 얇고 평평하지 않습니다. (물론 북경이나 상해, 청도, 위해, 연태 같은 도시의 호텔에서는 전기 프라이팬에 기름을 살짝 두르고 계란 프라이를 합니다.) 우리나라 중국집 볶음밥은 아주 담백한 음식이예요.

  • @j.w7805
    @j.w7805 Před 2 lety +15

    항상 잘 보고있습니다. '휘발유값이 오르는건 참아도 식용유값이 오르는건 참을수없다'는 말이 있다는게 재밌네요

  • @user-gu9cf4th5j
    @user-gu9cf4th5j Před 2 lety +4

    대학 교수님 강의듣는거같아서 좋음...asmr로도 최고인것 같고
    그러나 집중이 잘돼서 끝까지 보게되는 매력

  • @user-hn5dv9ef7k
    @user-hn5dv9ef7k Před 2 lety +31

    한국은 물이 깨끗해서 국문화가 잘 발달되었군요.....

    • @laputau3816
      @laputau3816 Před 2 lety +3

      물이 깨끗하니 끓이지 않은 우물물(냉수)을 그냥 마시는게 습관되었지요.
      중국인들이 한국인들 찬물 마시는거 이해못합니다. ㅎㅎ

    • @Supergolem12345
      @Supergolem12345 Před 2 lety

      화강암질 지대라서 그렇죠 그 대가로 산성 토양이기 때문에(농사는 중성~약염기성의 토양이 적합함) 농사에는 마이너스 요소라는 거지만

    • @churu_addicted
      @churu_addicted Před 2 lety +1

      @@laputau3816 거기다 한국음식은 펄펄끓고 매운 음식이 많아서 더운물을 마시기가 쉽지 않죠. 동남아 중국 화교들도 본토중국인들과 마찬가지로 찬음료 거의 안마시고 따뜻한음료를 마시는데 한식당에서 펄펄끓고 매운 감자탕을 먹고어보고 나니 한국인들이 왜 찬물을 마시는지 이해가 된다고 하더라구요.

    • @laputau3816
      @laputau3816 Před 2 lety +1

      @@churu_addicted 네 그것도 맞는 말씀입니다만 우리가 맵고 얼큰한 움식을 먹게 된건 오래되지 않았어요.
      예전 우리 음식은 담백한 채식 위주였음. 국도 대부분 된장국.
      그리고 참고로 중국인은 맥주도 우리처럼 시원하게 해서 마시는게 아니고 미지근하게 마십니다.
      갸들은 마시는게 차거우면 건강에 안좋다고 생각함.

    • @Supergolem12345
      @Supergolem12345 Před 2 lety

      @@laputau3816 아마 물을 그냥 마셨다가 탈 나는 경험이 많았다 보니 그런 것 같습니다

  • @hanswoody19xx
    @hanswoody19xx Před rokem +5

    저는 식용유 도매상을 합니다
    새 기름을 배달하고 폐기름 수거도 같이 할때도 있지요 이렇게 수거한 폐기름 대부분 중국으로 갑니다 이걸 중국에서는 규조토 규사 실리카겔 활성탄 등을 섞고 170도 이상으로 올려 여과를 해서 다시 식용으로 쓴다고 합니다 물론 일부이겠지만 이런걸로 만든음식 저라면 못먹을듯

  • @minsukim7523
    @minsukim7523 Před 2 lety +1

    지식브런치채널 항상 무한한 발전을 기원합니다. 잘때마다 보고 자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lybio
    @lybio Před 2 lety +18

    유럽도 대부분 석회수 위주라고 하던데… 물론, 그쪽은 차(잉글랜드)/맥주(독일)/포도주(지중해)/보드카(동유럽)로 갈증을 해소했던 데다가 고대에 로마인들이 납 배수관으로 석회 퇴적과 납 중독을 최소화했던지라…

    • @user-vo3jy1bn4l
      @user-vo3jy1bn4l Před 2 lety +4

      일본에서 쉐어하우스 산적 있는데 전 설거지하고 그대로 식기놓는곳에 놔뒀는데 외국으들은 마른행주로 그릇 컵을 다 닦길래 외그러나 했더니 석회가 많은 나라들이라 습관에 베어있던 거군요

  • @gatesyeon6992
    @gatesyeon6992 Před 2 lety +9

    정말이지 잼있는 방송입니다. 항상 즐겨 보고 있습니다.

  • @tumokmin
    @tumokmin Před 2 lety +30

    지식 브런치님 같은 분이 나 대학 생활때 인문학이나 역사 강의 하셨으면 교양과목으로 인기 많으셨을 듯 합니다 ㅎㅎ.
    분명 목소리는 교수님이나 다큐멘터리 나레이터 톤인데 지루한 구석이 전혀 없이 유익하고 재밌어요!

  • @user-ip7sg9eo4n
    @user-ip7sg9eo4n Před 2 lety +6

    특히 식수의 문제는 철 구조물을 이용하여 서랍식으로 정수기를 만들고 깔깔이를 이용하여 양쪽으로 당기는 방법을 사용하면 수십톤도 당기고 밀어넣는 모델을 만들 수 있으니 이를 이용하여 정수기를 만들고 매달 세척하면 깨끗한 물을 사용할수 있음.

  • @Happy_umami
    @Happy_umami Před 2 lety +26

    예전 중국분에 건너 들은 이야기중에
    "볶지 않으면" 위생상 문제가 있을수 있다는 생각이 있다고 합니다.
    물이 문제가 많키도, 하지만 어디는 물이 없어서
    상태가 안좋은 야채들을 볶아야 먹기 안전하다 라며..

  • @user-ct3ki1lm6w
    @user-ct3ki1lm6w Před 2 lety +11

    중국에서 장기 출장하고있지만, 기름 없는 음식 찾기가 너무 힘듬. 거의 모든 음식이 기름에 절여 있음. 소화력 약한 사람은 설사를 생각해야 됨.

    • @user-uj1hy9xc2u
      @user-uj1hy9xc2u Před 2 lety +1

      양파 많이 먹어야 겠군요.....

    • @corporatedemocrat
      @corporatedemocrat Před 2 lety +1

      중국은 너무 거대한 평야라서 물을 구하기 힘들어서 화장실똥물도 공장폐수도 다 끌어모아서 그걸 정화해서 식수로 쓴다고 하던데 알고 계시나요?

  • @churu_addicted
    @churu_addicted Před 2 lety +21

    말레이시아의 경우에도 원래 말레이인들이 먹던 음식도 기름진편인데, 광동성, 복건성 출신의 중국이민자들의 중화요리도 기름지고 인도계 이민자들이 먹던 인도음식도 다 기름을 많이 사용해서 이 모든민족들의 식문화가 다 섞인 말레이시아 음식들 역시 기름진 음식들이 많아요. 심지어 국물있는 국수도 기름이 있음.
    게다가 말레이인들은 단맛까지 좋아해서 비만율이 상당히 높은 나라지요.

    • @ong8921
      @ong8921 Před rokem +2

      말레이인들은 기본적으로 체지방률이 높다고 하더라구요 신생아들 인바디 찍어보면 체지방률이 일반 다른인종들에 비하면 2배가 넘게 높습니다
      아마도 그들조상들이 바다에서 살아서 그렇지 싶네요

  • @seedongmin-rw7vo
    @seedongmin-rw7vo Před 9 měsíci +1

    목소리 너무 듣기 편안합니다 저희 할머니도 라디오식으로 주무시면서 항상 들으시는데 너무 듣기 편안해요

  • @user-yk5fj2cj4o
    @user-yk5fj2cj4o Před 2 lety +1

    퀄리티있는 영상 감사합니다.조금 아쉬운점은 영상 시작부분 지도에 동해표기로 해주셨음 좋았을겄같습니다.

  • @user-wd2jw9ks7h
    @user-wd2jw9ks7h Před 2 lety +11

    화면 속 지도에 동해를 sea of japan이라 표기된 거 수정해주시먼 더 좋을 거 같아요!!!

  • @user-gu9cf4th5j
    @user-gu9cf4th5j Před 2 lety +4

    학교에서 배울때도 중국은 수질문제 때문에 다 볶는 기름요리가 발달했고 그 기름진요리를 먹어도 살이안찌는 이유가 차 문화 때문이라고 배웠는데.이렇게 보니 새롭네요.
    기름섭취때문에 소화장애도 올것같은데 차 때문에 괜찮으려나요?

  • @user-bf4qd8yn8t
    @user-bf4qd8yn8t Před rokem +2

    항생 재미있게 시청하고 있습니다. 목소리에서 무한 신뢰와 지성이 느껴지세요~~

  • @Dawn._
    @Dawn._ Před 7 měsíci +1

    채널이 품격 있으니 구독자도 대체로 온건하고 품격있네요... 지식을 나누는 장이 참 편안하고 좋아요

  • @high-scoreboard
    @high-scoreboard Před 2 lety +6

    다른 이유들보다 마지막 이유에서 큰 공감을 얻은 오늘의 주제...

  • @user-ry1ef7oo4j
    @user-ry1ef7oo4j Před 2 lety +14

    교수님 너무좋아요

  • @tonya9697
    @tonya9697 Před 2 lety +18

    영상에 사용된 지도에 see of Japan이라고 되어 있네요.. 많은 구독자+유튜브 시청자들이 보는만큼 동해 또는 east sea 로 표기되어 있는 지도를 써주셨으면 좋았을텐데 아쉽습니다.

    • @dkckzm12
      @dkckzm12 Před 2 lety +1

      어쩔수가없어요 우리나라빼곤 전부 일본해로 알고있습니다 게다가 동해라는 말은 우리나라의 순전히 입장에서지, 고유명사로서의 east는 효력을 갖기 어렵죠 명칭을 바꾸는게 아닌이상 내주는게 맞다고 생각합니다

    • @ssdpaul5210
      @ssdpaul5210 Před 2 lety

      @@dkckzm12 맞는 말씀이지만 내주는 것보다는 제3의 이름을 고안해서 일본측과 합의를 하는 게 나을 것 같아요!

    • @dkckzm12
      @dkckzm12 Před 2 lety +1

      @@ssdpaul5210 그 사안은 이미 예전에 양국이 서로 동의하지않아 불발된걸로 알고있어요 걍 이름바꿀생각도 없고 어차피 공해래 불리는 명칭에 따라 이익이 달라지는것도 아닌데 일본해라 적는다하면 왜이리 문제의식을 갖는지 모르겠음 예컨데 발트해라는 정식명칭이 있지만 독일쪽은 동해, 에스토니아는 서해라고 부르면서 잘만 사용해왔습니다 어차피 영유권을 주장할수있는 땅도 아닌데 명칭으로 사시건건 시비를 따진다면, 아랍 사람들이 알라의 명을 받든다며 페르시안 만을 전부 아라비아 만으로 바꿔넣는 행위와 다를게뭔가요
      한국이 합리적인 사회라면 허울뿐인 명분에 죽고사는 아랍사람들을 따라갈게 아니라, 지정학적 위치로 실익을 따지는 발트해 주변 유럽 국가들을 따라가야 맞지않을까라는 생각을 해봅니다

    • @user-dg8dv7pz2w
      @user-dg8dv7pz2w Před 2 lety

      @@ssdpaul5210 제 3의 이름 정하자는건 우리나라 입장만 생각한 의견임
      애초에 세계 표준은 그냥 일본해가 맞음 동해는 우리나라만 쓰는거고 그냥 처음 이름 붙이면 그걸로 평생 가는거임 다른 동남아 국가 영해도 중국이나 인도가 붙은 이름이 많은데 아무도 태클 안 검 이름에 나라이름 들어간다고 그 나라 소유라는게 아니거든

  • @richardyu4276
    @richardyu4276 Před 2 lety +108

    선생님, 교수님?? ㅎㅎ!! 알고 싶었던 매우 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선생님 중국음식에 대해 알려주신 덕분에 왜 일본에선 생선회와 초밥 문화가 발달했는지, 왜 우리나라에선 이런저런 요리들 중에 국과 찌개 요리가 많은지도 알려주시길 부탁드립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 @blageyanee
      @blageyanee Před 2 lety +29

      일본은 전통적으로 육식을 금지했기 때문에 단백질은 생선밖에 없었고, 생선만으로 배를 채우기엔 매우 비쌌기에 밥을 얹어 양을 늘리려고 초밥이 유행했다고 알고 있습니다.

    • @user-co5up7dk6r
      @user-co5up7dk6r Před 2 lety +2

      @@blageyanee 👏👏👏👏

    • @qqq2891
      @qqq2891 Před 2 lety

      아마두 기름이 귀해서 아니까요..?

    • @user-vl4kq1uw2g
      @user-vl4kq1uw2g Před 2 lety +9

      @@mingyushin4581 먹을게 없어 양을 늘려 식구들과 나눠 먹을려고 국물 음식이 발달한것같은데요 고기 한덩어리에 물 잔뜩넣어 소금간만 하면 몇사람도 먹으니

    • @TheSpeflo
      @TheSpeflo Před 2 lety +1

      초밥 먹고싶다… 그 설탕덩어리 밥위에 생선 올린 음식이 왜이리 맛있을까…

  • @NeoGuRi-RTA
    @NeoGuRi-RTA Před 2 lety +8

    교수님 출석체크 안늦었죠?

  • @jongmin4812
    @jongmin4812 Před 2 lety

    2만때구독했는데 벌써 20만ㅎㅎㅎ 축하드립니다

  • @user-qb9hs2bs3i
    @user-qb9hs2bs3i Před 2 lety +4

    형님 항상 좋은 영상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 최고!!

  • @user-fj2pr7sk7n
    @user-fj2pr7sk7n Před 2 lety +5

    영상 항상 감사합니다

  • @user_8949
    @user_8949 Před 2 lety +49

    공중파 교양프로그램 수준보다 훨씬 높은 채널

  • @tridish7383
    @tridish7383 Před 2 lety +22

    동진시대에 전파되었다는 땅콩에 대해 좀 더 알고싶네요. 우리가 아는 아라키스속의 땅콩이 맞나요? 아니면 생태와 쓰임새가 비슷한 다른 콩과시물인가요? 4세기에 전래된 것이 사실이라면 구대륙 어디에 자생하나요?

  • @user-vn5dr2bq2j
    @user-vn5dr2bq2j Před 2 lety

    지식 브런치님. 참고문헌도 부탁드립니다. 더 공부하고 싶어서요

  • @bana3903
    @bana3903 Před 2 lety +4

    나무 위키 긁어오는 다른 지식유투버랑 차별화된게 좋아서 구독했습니다

  • @jang-iseo
    @jang-iseo Před 2 lety +203

    그냥 교수님인걸로 기정사실화됬어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aakkaakkak
      @aakkaakkak Před 2 lety +8

      진짜로 부업하시는거같음ㅋㅋ

    • @joellee6735
      @joellee6735 Před 2 lety +18

      예전에 중앙아시아의 이해라는 교양과목을 e-learning 으로 들었는데 그 교수님과 목소리가 똑같네요

    • @hyoungkeunlee125
      @hyoungkeunlee125 Před 2 lety +8

      @@joellee6735 어 저도 그분 생각했어요 안경에 좀 마르고 약간 단발느낌이셨는데..목소리 똑같아요

    • @user-ht9nk2bv9z
      @user-ht9nk2bv9z Před rokem +1

      @@joellee6735 어느 대학인가요?

    • @TOEICKlNG
      @TOEICKlNG Před rokem

      @@user-ht9nk2bv9z 서울대 입니다.

  • @kbketchup
    @kbketchup Před 2 lety +5

    나레이션이 정말 발음이 귀에 쏙쏙 박히고 톤도 듣기 편해서 오디오북 듣는 기분이에요. 자료화면이나 영상도 적절히 바뀌어 지루하지 않아 참 유익하고 잘 만든 영상 채널^^

    • @kbketchup
      @kbketchup Před rokem

      또 들으러 왔어요. 본 거 두 번 씩은 다시 보게 되는 것 같아요 ㅋㅋㅋ

  • @alef1st
    @alef1st Před rokem +1

    감사합니다. 컨텐츠만 해도 완전 교수님 수준이네요. 정말 많이 배우고 있습니다

  • @user-de6sr1tj3m
    @user-de6sr1tj3m Před 2 lety +49

    좋은 생선을 주면 일본인은 회를뜨고
    중국인은 튀기고 , 한국인은 국물을 낸다는 소릴 들은거 같네요

    • @saki7998
      @saki7998 Před 2 lety +1

      그러고 보니 한국은 육수 우려내는 경우가 많던데

    • @user-qe2ox5qj5c
      @user-qe2ox5qj5c Před 2 lety

      일본은 무조건 사시미
      중국은 생선볶음요리
      한국은 매운탕

    • @going_well4577
      @going_well4577 Před 2 lety

      한국은 굽는다.

    • @user-ri73bdis88h7
      @user-ri73bdis88h7 Před 2 lety

      요즘 한국은 회뜨고 남은부위로 매운탕 끓어서 먹는편인데 중국보다는 일본과 좀더 가깝군요.

    • @veryvery2988
      @veryvery2988 Před 2 lety

      @@user-ri73bdis88h7 솔직히 한국인이 생각해도 일본식 회가 맛있음

  • @scarlett3469
    @scarlett3469 Před 2 lety +6

    영상 정말 재밌게 시청했습니다!! 다만… 0:02초에 나온 세계지도에 동해가 일본해로 표기되어있어서 혹시 영상 편집 중에 실수가 있었는지 추측하면서 댓글 남겨요!

  • @illdpkorbcnciq7066
    @illdpkorbcnciq7066 Před 2 lety

    상식도 쌓을겸 자기전에 asmr처럼 들으려고 구독했는데 너무 재밌어서 잠이 안와요.....

  • @nightgood5026
    @nightgood5026 Před 2 lety

    자막이 잘안보여여 어두운 밑바탕에 자막이 좋아여
    소리가 안될때는 자막만
    보니 문구잘보이게 부탁해여

  • @user-nh3tv7ck6e
    @user-nh3tv7ck6e Před rokem +4

    쉽게 설명해주시네요. 감사합니다~

  • @mseiksby4541
    @mseiksby4541 Před 2 lety +6

    땅콩기름에 오메가6가 오메가3보다 압도적으로 많네요.... 맛은 좋을지 몰라도 건강에는 좋지 않군요

  • @Replica-fd7kx
    @Replica-fd7kx Před 2 lety

    선생님 목소리가 차분한게 영상 보는 내내
    편안 하네요

  • @tpsy76
    @tpsy76 Před 2 lety +5

    물에 석회질이 많아서 기름에 튀긴 요리가 많다고 하는데 유럽은 왜 다른 방향으로 요리법이 발전했을까요?? 그 동네도 석회질 장난 아닌데

    • @user-pw2fh5mk3x
      @user-pw2fh5mk3x Před 4 měsíci

      자연환경이나 기후가 크게 다릅니다
      중국은 전통적으로 예부터 공기가 좋지 않고 수질도 석회질 뿐만 아니라 여러방면으로 안좋아서 향신료를 많이 치고 기름에 볶고 튀기는 조리법이 필수였습니다
      반면 유럽은 석회질이 있다 해도 중국의 그것보다 깨끗하고 중국보다 사람이 살기에 훨씬 좋았기에 소금과 후추만으로 간단하게 염장조리만 해도 음식을 수월하게 먹기가 가능했습니다 그리고 유럽은 목축문화지만 중국은 농경문화인 것도 차이죠

  • @JHtakeshi
    @JHtakeshi Před 2 lety +235

    중국이 워낙 지형이 다양하고 커서 확실히 지역마다 다르게 발전한건 맞습니다. 저는 주로 복건이랑 광동에서 살았는데, 볶음요리는 장강 이북의 영향을 받아서 그런거고 대부분 찜을 건강요리라고 하더군요. 민이나 월의 문화지역에서는 재료가 좋으면 굳이 기름에 볶거나 튀기지 않는다 가 기본적인 상식으로 여겨집니다. 찜기에 낳어서 찌는 경우도 있지만 토기에 야채를 잔뜩넣고 그 위를 막고 가마에 넣어서 끓이듯이 조리하는 하까 요리도 유명합니다. 월 지역에서는 회를 먹는 곳이 있지만 보통 회를 장에 찍어 싸먹는데 마늘,라임, 생강, 식초, 고수,간장을 섞어서 장을 만듭니다. 물론 쉽게 먹을 수 있는 요리는 아닙니다.

    • @wheewhoo2
      @wheewhoo2 Před 2 lety

      낳어서는 설마 놓고 인가 ㅋㅋㅋㅋㅋㅋㅋㅋㅋ 신박한 맞춤법이네. 낳어서

    • @rocomoco9518
      @rocomoco9518 Před 2 lety +6

      @@wheewhoo2 그냥 넣어서의 오타 아닐까요?

    • @user-kw4zm3cd4u
      @user-kw4zm3cd4u Před 2 lety

      @@wheewhoo2 놓고도 아예 틀린 말은 아닌데 더 적절한 표현은 넣고가 맞는 것 같은데요.
      놓고는 위상이나 자리에 일시든 장시간이든 그대로 두는 고정하는 의미가 있으니까요.

    • @kiwibird7952
      @kiwibird7952 Před 2 lety +3

      @@wheewhoo2 혹시 초딩이니

    • @user-6626
      @user-6626 Před rokem +3

      @@wheewhoo2 오타겠지 무슨 맞춤법 타령하냐 ㅋ

  • @theSubtheSub
    @theSubtheSub Před 2 lety +3

    중국인이 살던 집에 가봤는데 온 집안에 기름이 떡칠되어 있었다.
    방바닥을 걸을때 미끄러질까봐 조심해야되는 것은 기본 패시브.
    주방뿐만이 아니라 정말 온 집안 구석구석.티비나 에어컨 같은
    가전제품도 모두 기름범벅이었고,냉장고의 경우 냉장고 내부까지
    가구가 있으면 가구내부까지도 기름에 쩔어 있었고,책상서랍이든
    옷장서랍이든 서랍을 한칸 한칸 열때마다 바퀴벌레가 득실거렸다.
    워낙 기름요리가 일상적이다보니 요리할때 환기를 안 한것 같고,
    청소를 하지 않고 사는것 같다.중국인 태국인 둘다 비슷하다.

  • @user-ky3nj7jk7r
    @user-ky3nj7jk7r Před rokem

    영상 잘 봤습니다. 그런데 처음 화면 지도에서 동해가 '씨 오브 재팬'으로 표기 돼 있네요. 지도 수정해주시면 좋겠습니다.

  • @user-cj5yw1in3s
    @user-cj5yw1in3s Před 7 měsíci

    목소리가 너무 듣기 좋습니다...성우일까요??

  • @user-xe1ip6or7z
    @user-xe1ip6or7z Před 2 lety +4

    비슷한 이유로 유럽의 물도 좋지않아 맥주나 와인등 주류가 발달한 원인이죠.
    한국은 수자원의 특혜를 입었다고 봐도 좋을정도,

  • @hyunjunyoo9436
    @hyunjunyoo9436 Před 2 lety +19

    내 알바 경험에서 나온 중국과 일본 식당 설거지 차이
    중국식당: 기름기가 미쳐서 뜨거운물을 사용이 강제 된다.
    일본식당: 조그마한 그릇이 많아 일일이 딱기 귀찮다.

    • @user-vh3dt6bu2x
      @user-vh3dt6bu2x Před 2 lety +4

      한식당: 뚝배기가 무거워서 싫다

    • @Supergolem12345
      @Supergolem12345 Před 2 lety +1

      중국 식당이면 최소한 겨울에는 설거지 할 때 손은 안 시리겠네요 대신 여름엔 죽을 맛

  • @chefkim82
    @chefkim82 Před 2 lety

    영상 잘봤어요! 심플하게 잘 정리되었네요!!
    (그런데 첫장면에 나오는 지도는 동해가 일본해로 표기된 지도네요)

  • @user-ne4ck6bz6w
    @user-ne4ck6bz6w Před 2 lety

    기름에 볶는 요리법은 석탄을 활용하고요. 나무땔감하고는 별 상관이 없어요.
    기름에 볶으면 석회질과 떨어지나요?

  • @user-ul3tq9pb8j
    @user-ul3tq9pb8j Před 2 lety +3

    교수님의 은밀한 취미(?) 덕분에 오늘도 또 ㅎㅎ

  • @luca6618
    @luca6618 Před rokem +3

    좋은 영상 올려주신는 지식브런치님께 감사드립니다. 댓글도 좋은 말씀, 잼나는 말씀 많아서 끝까지 읽는데 시간 오래걸렸습니다. 모두들 맛난거 많이 드시고 건강하세요.

  • @pisik_like
    @pisik_like Před 2 lety

    교수님 구독자 애칭 뮤턴트 어떤가요?

  • @user-hk4eg8wj3c
    @user-hk4eg8wj3c Před 2 lety

    교수님 교양강의 듣는 너낌...🤣🤣 전문적인 정보 감사합니다!

  • @sangjinkim6380
    @sangjinkim6380 Před 2 lety +6

    물이 더러우니 물을 대신하여 음식에 접촉할 매개체를 찾을수밖에 없었겠지요
    이미 알고있었고 배운 내용이지만 잘 정리해서 영상으로 보여주시니 한결 낫네요🤔
    지금의 중국인들이 잘못되어가고 있는건 물보단 심성의 변화때문인것 같습니다.
    콩사탕 통치가 73년째인뎅 마음에서 그리고 양심에서 나오는 소리가 자신과 가족에게 해를 줄수있다는 두려움, 그리고 그에따른 보복으로 점철진 역사로 인해 한명한명이 우주를 담아낸다는 이성적이며 도덕적이고 지성적인 인간이 아닌, 복종과 감시, 지시와 이행만으로 사는 삶을 사는 중국인들이 정상적인 행동을 할거라는 기대는 버려야겠지요
    영상 감사합니다 고생하셨습니다 👍 🙏

  • @aapark9109
    @aapark9109 Před 2 lety +3

    볶음밥에 탕수육이 땡기는 영상입니다.삼시세끼 먹기에는 기름지지만 한번씩 먹고싶을 때가 있네용

  • @WorldWideWook.
    @WorldWideWook. Před rokem

    영상 초반 sea of japan 이 써있는건 조금 고쳐주셨으면 하네요..

  • @junorhee8772
    @junorhee8772 Před 2 lety +1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구독 좋아요 누르고 갑니다 항상 건강 하세요

  • @Richard-jc3ut
    @Richard-jc3ut Před 2 lety +4

    참 유익한 채널!

  • @gihun3645
    @gihun3645 Před 2 lety +4

    ㅋㅋ 방금 점심으로 중국집 볶음밥 먹었는데, 이게 뜨네요. 구글은 제가 뭐를 하는지 잘 알고 있는거 같네요. 공부를 열심히 한 날은 공부관련 컨텐츠를 띄워주고 참 무섭습니다~

  • @user_gehcijjehfjejncj
    @user_gehcijjehfjejncj Před 2 lety

    탁월합니다
    영상 볼때마다 항상 고맙습니다
    구독 좋아요 눌렀어요
    늘 건강하세요

  • @user-iz3uo3su8r
    @user-iz3uo3su8r Před 2 lety

    해설자님의 찰진 목소리가 강의를 맛깔나게 합니다

  • @user-bg9td5pg9j
    @user-bg9td5pg9j Před 2 lety +3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나중에 기회가 된다면 중국술도 한번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greenbean0940
    @greenbean0940 Před 2 lety +4

    언제나 사람들은 어떻게든 맛있는 음식을 먹기위해 노력해왔다

  • @HOON883
    @HOON883 Před 2 lety

    ..아....이번편은 이 시간에 보는 것이 아니었어... ㅠㅜ 곳통스럽다 ㅠ. 오늘도 알찬 수업 잘 듣고 갑니다 ~!

  • @user-dj5zp7fq5o
    @user-dj5zp7fq5o Před 6 měsíci

    궁금한게 있는데 중식의 기본이 되는 쎈불은 간택기가 나오기 이전에는 어떻게 대처를 했나요 ?

  • @user-bj3mf5rj6v
    @user-bj3mf5rj6v Před 2 lety +7

    논어에 나오는 회는 생선회가 아닙니다
    지금 우리가 쓰는 회라는 글자와 같은 글자를 쓰니까 생선회인줄 착각 하는겁니다
    공자 당시의 회는 그냥 육고기를 얋게 썬것을 지칭하거나, 육고기를 썰고 절여서 삭힌 음식을 지칭합니다
    그런 의미이던 회라는 글자가
    후대에 동아시아에서 생선회에서 많이 사용함으로써
    생선회라는 의미로 변화된 거지요

  • @user-um6bz9pz7w
    @user-um6bz9pz7w Před 2 lety +26

    식용유라는게 굽거나 튀긴 후 남는 양이 상당한데 중국인들은 오래전부터 써왔으니 분명 처리하는 방법도 있을거라 보는데 과연 다쓴 식용유를 어떻게 처리할지 궁금하네요.

    • @laputau3816
      @laputau3816 Před 2 lety +13

      아주 예전에 tv에서 봤는데요. 외국에서 온 태권도 선수들이
      국기원 심사때문에 하숙집 비슷한 민간인 숙소에서 며칠씩 묵는 일이 있었대요. 한번은 대만에서 온 선수들을 환영한다고 삼겹살 파티를 해줬답니다.
      우린 삼겹살 구울면 기름을 따로 모아서 나중에 버리잖아요.
      근데 대만 선수들은 종이컵에 모아진 기름을 물마시듯 마셔버리는 걸 보고 경악했다는 그 하숙집 딸내미의 일화가 있었습니다.

    • @byungyonglee4818
      @byungyonglee4818 Před 2 lety +15

      현재 중국에 거주중인데요. 4인 가정집에서 5L 식용유가 한달을 못버티고 튀김에 사용한 기름은 몇번 사용 후 그냥 버립니다. 수도관이 하수구 냄새가 올라오는데도 U자형보다 I자 형이 많은 이유가 기름이나 기타 이물질때문에 막힐 수 있기때문이라고 하더군요.

    • @user-rf6og8xd5u
      @user-rf6og8xd5u Před 2 lety +9

      대한민국은 수거 하는데 회수유 라고 하면 재처리 가공 하여 가축 사료나 비료로 사용 합니다.

    • @user-tt9xo4gw9x
      @user-tt9xo4gw9x Před 2 lety +5

      일반가정집에서는 그냥 버리고요 십년전인가 어떤 이공계석사생이 그걸 정제하는기술을 만들어서 하수도에서 페유를 모아다가 정제해서 새기름으로 둔갑시켜 판매한게 뉴스에 대서 특필되고 그석사생 총살당함ㅋㅋ

    • @user-jp9wf1tw8n
      @user-jp9wf1tw8n Před 2 lety +1

      @@user-rf6og8xd5u ㅁ

  • @suabsusjsbv
    @suabsusjsbv Před 2 lety

    이런거 수업시간에 보면 개꿀잼이죠 ㅋㅋ 목소리가 너무 포근해서 잠이 올라 하네요

  • @goldenbuglab
    @goldenbuglab Před 2 lety

    궁금합니다.
    기름도 기름에 튀기면 맛있나요? ^-^

  • @junnn314
    @junnn314 Před 2 lety +6

    첫 장면에 쓰인 지도에 Sea of Japan이라 표기되어있습니다.
    수정 바랍니다.

    • @kgp3786
      @kgp3786 Před 2 lety +1

      국제레벨에선 Sea of Japan이 맞음

    • @junnn314
      @junnn314 Před 2 lety

      @@kgp3786 국제 기준으로 그렇다해도 굳이 한국인이 만드는 유튜브 자료로 Sea of Japan 표기를 사용해야 하나? 한국인 스스로 동해가 아닌 일본해라는 것을 인정하는 꼴

    • @kgp3786
      @kgp3786 Před 2 lety +2

      @@junnn314 국제적으론 일본해가 맞는걸 어떡함 (사상검증-독도는 한국땅)

    • @junnn314
      @junnn314 Před 2 lety

      @@kgp3786 그니까,,, 누가 그게 아니랬냐구,,,

  • @king8a_egg915
    @king8a_egg915 Před 2 lety +3

    기름을 잘 다루는 듯. 유일한 단점은 아무리 맛있는 음식도 식으면 끝이라 아쉽 ㅠㅠ
    그리고 요즘은 중국도 기름 많이 안 넣어요 대도시 위주이지만.

  • @user-shipsakke
    @user-shipsakke Před 2 lety

    목소리는 지식 브런치가 아니라 지식새참 느낌인데 편집은 또래분들 중에 젤 깔끔하신듯

  • @user-ql4gz2bm9c
    @user-ql4gz2bm9c Před 2 lety +2

    물에 석회가 많은건 유럽도 마찬가지입니다. 물이 안좋은게 튀김류가 많은 이유라면 유럽도 그래야하는데 그렇지않죠.
    식물성 기름인 참기름, 들기름, 땅콩기름도 비싸긴 마찬가지입니다. 동남아 팜유가 대량생산되기 전에는 튀김은 비싼 요리였습니다.
    튀김요리가 대중화된 역사가 중국도 오래되지않았습니다. 생활수준이 올라간 근래의 일이라고 합니다. (북경사는 산시성 출신 중국인의 썰) 그리고 볶음이 고급요리에 적용되는 경우가 많아서 좋은 음식=볶음 이라는 인식이 있다고 합니다. 예전에는 기름 자체가 고급식 재료이니 ㅎ
    "외식문화의 발달"이 이유가 될 수 있습니다. 중국은 송나라 때부터 외식문화가 발달했습니다. 홍콩, 대만, 북경 모두 집에서 잘 안 해먹습니다. 다 사먹어요. 한국같은 집밥문화가 거의 없습니다. 집에서 요리 거의 안 한데요.
    외식 음식으로 팔기엔 볶음이 최고입니다. 위생, 안전, 맛, 속도, 고급감 모두 얻을 수 있죠. 저와 중국친구의 가설인데 꽤 그럴듯해보입니다. 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