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던 피터슨 | 내 적성에 맞는 일을 구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할까...?

Sdílet
Vložit
  • čas přidán 17. 03. 2021
  • "내 적성에 맞는 일을 구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할까...?
    이 강의는 조던 피터슨 교수가 어떻게 직업을 찾고 능력을 실현할 수 있는 지에 대해 말하는 ""성격"" 시리즈 강의 입니다.
    소셜미디어 계정 :
    / jordan.b.peterson_korea
    / jordan.b.peterson_korea
    / jordan-peterson-korea-...
    t.me/jordanpetersonkorea
    채널 기여자들 :
    / @team_youirknam
    / @user-mf7nw4qb5b
    예약 판매 링크
    교보: bit.ly/30vYATw
    예스: bit.ly/3qusyBX
    알라딘: bit.ly/3qxjL2e
    인터파크: bit.ly/3vbGd4A
    #심리학분파 #조던피터슨 #과학 #심리학 #임상심리학 #사회심리학 #철학 #교리학자 #임상심리학자 #조던피터슨 #심리학 #과학 #심리학자 #규칙 #사랑 #도서 #철학 #종교 #성경 #팟캐스트 #인터뷰 #연애 #기독교 #성격

Komentáře • 824

  • @1_pro
    @1_pro Před 2 lety +573

    자신의 능력 밖의 일을 해서는 안된다.
    자신의 능력에서 오를 수 있는 상위직업을 선택해라. 작은 연못에서 큰 물고기가 되는 것이다.

    • @user-yh3nj2nr6b
      @user-yh3nj2nr6b Před 2 lety +1

      20대 후반이전의 삶 = 존잘 존예 승리, 20중후반 ~ 130세 ㅋㅋ 지적능력 승리 ㅋㅋ 현실은 잔인하고 냉혹하다 그 누구도 35세까지 맥도날드에서 찌들다가 노화진행된 과거20세 존예녀를 취급해주진않는다 ㅋㅋ

    • @internetadventurer2943
      @internetadventurer2943 Před 2 lety +14

      @@user-yh3nj2nr6b 네 다음 퐁퐁

    • @user-yo9fl7np5v
      @user-yo9fl7np5v Před 19 dny

      @@user-yh3nj2nr6b 역설적이게도 님처럼 행동하는 인간은 지능이 좀 떨어지는 인간입니다
      피터슨이 이런 강의를 하는 이유는 님같은 인간이 우월감에 빠져서 떠들라고 얘기를 하는 게 아니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냉철하게 고민이 필요한 부분이란 걸 말하고 싶어서니까요

    • @solomin7814
      @solomin7814 Před 2 dny

      ​@@user-yh3nj2nr6bㅋㅋ 현실은 잘 태어난 형님 누님들이 외모도 잘 가꾸죠^^

  • @sunthing82
    @sunthing82 Před 2 lety +701

    요약 : 적성에 맞는 직업을 구하기 위해서는 자기의 지능, 성실성, 창의성, 사교성, 스트레스에 대한 내성을 고려해야 한다.

    • @user-ze4mu8cc1r
      @user-ze4mu8cc1r Před rokem +20

      어헣허허허헝.. .ㅠㅠ 내 지능성실 창의 사교 스트레스 ..ㅓㅇ허허허허허헝 ㅠㅠ

    • @ultimatemanspeech
      @ultimatemanspeech Před rokem +5

      @@user-ze4mu8cc1r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나도 이런 심정인데 마냥 웃을수만은 없네 하 ㅠㅠㅠㅠㅠㅠㅠ

    • @user-rg8qy7nt9c
      @user-rg8qy7nt9c Před rokem +8

      플러스 체력

    • @letsbe3894
      @letsbe3894 Před rokem +27

      7년이 지났지만 군대에서 2년 가까이 고민을 했지만 생각만으론 찾을 수 없었음. 뭐든간에 경험이 중요.

    • @jh-nl8yf
      @jh-nl8yf Před rokem +1

      + 1:01 - 2:03

  • @_Kimpossible
    @_Kimpossible Před 3 lety +1450

    피터슨 보면 그냥 무한긍정하고 그냥 뭐든지 넌 할 수 있어식의 동기부여를 안해서 더 좋음. 통계 가져와서 팩트로 후드려깐담에 네 그릇을 알고 그거에 맞는 최선을 향해가라고 얘기하네요.

  • @Formpanel
    @Formpanel Před 3 lety +1487

    모두가 다 높은 곳을 보는 게 아니라 본인에게 가장 적합하고 서로 존중할 수 있도록 가르치는 것이 중요하겠네.

    • @yonuj6811
      @yonuj6811 Před 3 lety +243

      레알로 이게 현대 사회가 지향해야할 방향성입니다. 모두가 높은 곳에 갈 수는 없습니다. 각자의 자리에서 서로룰 존중하는 사회 분위기가 형성되야 모든 사회 구성원이 행복할 수 있음

    • @jaewonkim3866
      @jaewonkim3866 Před 3 lety +4

      ㅇㄱㄹㅇ

    • @creshid0
      @creshid0 Před 3 lety +22

      ㅇㄱㄹㅇ...경쟁과열로 생긴 특권의식층들 보면 사상이 너무 노답임 뭐가잘못된줄도 모름

    • @user-xz3ys3eg3q
      @user-xz3ys3eg3q Před 3 lety +15

      똑똑한사람들은 모든 직군 정규직화 민주당 슬로건과. 모든직군 비정규직화. 국힘당 슬로건이 똑같은 내용이라는걸 알죠. 똑똑한 사람들이란 이념에 휩싸인게 아니라. 그자체의 현상을 구분해야 하는것. 좀더 냉정하게 사회를 보는건 그래도 국힘의 슬로건입니다. 같은내용이고 하양평준화 될것인지. 환전 경쟁화 될것인지. 또다시 말하지만 같은내용 상통합니다.

    • @ashlnn85
      @ashlnn85 Před 3 lety +11

      자기가 만족할만한 수준까지 다다를수 있다면 위에 누가 있어도 존중할수 있겠지만
      현실은 그러하지 않지
      바닥에는 더 깊은 바닥이 있는데
      예를들어
      희귀병 환자라던지 사지가 멀쩡하지 못한 사람이 과연 기초수급을 받으며 살며 사회의 존중을 받는다고 해도
      과연 본인은 만족하며 살아갈수 있을까?? 난 아니라고 장담함
      높은곳에 있지 않아도 된다 서로 존중하며 살며 된다라는 말은 조금만 변질시켜도
      개천에서 용이 될 필요가 없다, 가재 게 붕어가 되어서 살아가라 라는 모 정치인의 수준과 똑같아짐

  • @abibackground
    @abibackground Před 2 lety +208

    만약 일을 하고계시면서 이 영상을 보고 현타가 오신 분이라면. 지금 그 일이 만족스럽지 않다면. 나이에 상관없이 자신이 잘 할수있는 일을 '끊임없이' 찾으셔야 합니다. 저도 회계를 공부했지만 회계일이 너무 일이 안 맞아서 퇴사하고 힘들었던 적이 있는데, 지금은 저기서 말한 '반복적이고, 채용되어지는' 일을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계속해서 찾고 찾다가 지금은 시기상 상황이랑 맞는 것을 찾아 공부하는데 앞에서 언급한 꿈이라는 계획이 생기니 나머지 장애물들이 낮아보이면서 긍정적이 되더라구요. 영상의 내용보다 댓글에서 좋은 정보가 많다고 느꼈는데 한번 찬찬히 읽어보시고 현명한 결정 하시길 응원합니다.

    • @kitehi8761
      @kitehi8761 Před rokem +10

      안녕하세요 혹시 찾으신 꿈이 뭔지 들을 수 있을까요

    • @user-rg5gy8oe4p
      @user-rg5gy8oe4p Před rokem +1

      멋지세요

    • @Yujaginger
      @Yujaginger Před rokem +2

      안녕하세요 회계 일을 얼마나 하시다가 퇴사하셨나요?? 지금은 어떤 일 하세요~?

    • @abibackground
      @abibackground Před rokem +10

      답변이 늦어져서 죄송합니다. 지금은 AI 인공지능 관련 일을 하고있어요. 계약직이라 오래할 것 같지 않지만 여러 책을 읽다보니 우주산업과 가상공간관련 일은 미래에 수요가 있을거라 판단되어서 저는 일단 3D관련 공부를 하고 있습니다

    • @dbkang2986
      @dbkang2986 Před 8 měsíci +2

      멋지세요 저도 회계일하다다른진로준비중

  • @user-ti9zy4xv7n
    @user-ti9zy4xv7n Před 2 lety +92

    내 적성에 맞는 것을 찾는 법,
    일단 끊임없이 내 과거의 행적을 되새김.
    내가 좋아했던 것,
    내가 잘했던 것,
    내가 좋아하나 남들에게 인정받지 못했던 것,
    남들이 나를 인정해주었던 것,
    그리고, 내가 즐겨 했던 것들
    수없이 흘러 간 시간이 결코 사소한 시간들이 아닌, 지금의 나를 만들어낸 각각의 퍼즐.
    그리고, 그 안에서 무언가 내가 자아를 발견하고 이루고자 한다면,
    먼저 자애감이 생성되어야 함. 나를 사랑하지 않는데 어떻게 나를 발전 시킬 수 있을까.
    그럼 더욱 더 수준있는 자기애와 자존감을 만들어내는 방법은? 내면을 갈고 닦으면서 외형을 갖춰야 함. 내가 살아보니까 외형을 가꾸는 것만큼 가성비 높은 투자는 없음. 허나, 카피형 이미지를 좇아선 안됨. 나의 색깔 즉, 나만이 드러낼 수 있는 무언가를 발산해야함. 대중성은 어우러지지만 눈에 띄진 않기에.
    그렇게 자존감과 내면 외형을 갖추었다면, 이제 자신의 과거를 돌아보고 찬찬히 자아를 발견하여 실현하면 됨.
    분명 당신은 탄탄한 퍼스널 컬러로부터 적성을 찾고 그것을 발현시킬 수 있을 거라 확신함

    • @user-ti9zy4xv7n
      @user-ti9zy4xv7n Před 2 lety +14

      내 적성이 지금 예술쪽이라 이쪽에 국한되어 이야기한 것 같지만, 결론을 말하자면 적성을 찾기 전에 찌질함을 벗어나 당당한 외적 자신감이 뒷받침 되어야 가능성이 높아짐

    • @swj990
      @swj990 Před 2 lety +1

      감사합니다 가슴이 뛰네요.

    • @yooojiji7029
      @yooojiji7029 Před rokem +1

      넘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 @Nangtt
      @Nangtt Před rokem

      감사합니다

  • @MedusaK666
    @MedusaK666 Před 3 lety +719

    마이클 샌델이 주장하는 능력주의의 한계가 생각나네요. 모두다 돈을 잘 벌순 없고 모두가 다 상류계층이 될 순 없습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자기보다 못벌고 못사는 사람을 무시하거나 업신여겨서는 안되죠. 존중이 필요합니다. 그런데 요즘 사회는 그게 없다는 겁니다. 각자 자기 자리에서 자기가 살수 있는 만큼 노력하면서 편하게 살면 어디 덧나나요? 그런데 비교하고 평가하고 서로를 공격하고 할퀴는 작금의 상황이 문제인 겁니다.

    • @user-fh2xt9nz5s
      @user-fh2xt9nz5s Před 2 lety +28

      대한민국에서 아이가 안태어나는 이유죠

    • @user-fh2xt9nz5s
      @user-fh2xt9nz5s Před 2 lety +36

      @@pok7266 능력을 키워도 성공하는 것은 결국 능력외의 것들과 함께 작용해서 옵니다. 이 말의 뜻을 잘 아셨으면...

    • @user-kx4qd5ti8e
      @user-kx4qd5ti8e Před 2 lety +12

      인류 그 어떤 시대도 사람들이 서로 존중하며 산 적은 없습니다

    • @karas3045
      @karas3045 Před 2 lety +6

      요즘사회라니 ㅋㅋ 위아래가 있는 인류역사에 항상 있었잖아요? 차라리 현대에 와서 덜한거지 ㅜㅜ

    • @user-fh2xt9nz5s
      @user-fh2xt9nz5s Před 2 lety +7

      @@pok7266 그럴싸한 이론과 현실의 괴리는 큽니다. 자본주의 빈부격차는 앞으로 더 벌어질겁니다. 능력보단 유산상속과 부유층의 권력으로

  • @user-fb5ok3tz1e
    @user-fb5ok3tz1e Před 3 lety +181

    나의 행복을 위해 나와 맞는 직업을 고르기 위해서는 그 직업에 필요한 것들과 나의 성실성과 지능을 고려해야 한다.
    아이큐가 높은 계층일수록 그들이 갖는 직업은 변동이 심하며, 큰 문제들에 대한 의사결정을 한다. 대부분의 돈은 아이큐가 높은 계층에서 가져간다.
    낮은 계층일수록 단순 반복적인 일을 한다. 하지만 아이큐가 (거의)83이하일 경우 거의 아무런 일을 하지 못 한다. 세계엔 10~15%의 인구가 83이하의 아이큐를 가짐에도 불구하고 말이다.

  • @2w2768
    @2w2768 Před 3 lety +211

    공식채널 왤케 구독자 잘알이야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편집스타일 너무 좋구요

  • @user-pd5qt2bq6w
    @user-pd5qt2bq6w Před rokem +57

    자신의 기질이나 특성을 좀 이해하고 직업선택을 하는 게 중요한듯. 이런거 따지지 않고 전공 선택해서 4년 배우고 실습까지 해서 취직했지만 현장에서 필요한 능력이 내 성향과는 정반대의 것이었음. 6개월이 되어가는데 아직까지도 적응을 못하고 있음. 4년 공부한게 아깝다는 생각보다 전직의 생각이 더 클 정도로 안맞음... 내 정신이 병들어가는걸 느끼고 퇴사를 결심함ㅠㅠ 직업 선택은 신중하게....

    • @user-hw8wk5qy5u
      @user-hw8wk5qy5u Před rokem +5

      무슨 직업이 그러셨나요...
      전 간호사가 그렇네요.

  • @lovephysicsi7379
    @lovephysicsi7379 Před 3 lety +439

    어느쪽도 사회 문제를 정말 진지하게 다루려고 하지 않는다는 데 상당히 동감합니다...

    • @penna2708
      @penna2708 Před 3 lety +27

      그래서 우리가 해야합니다
      라는말이 인상깊었어요.

    • @danielcrone9553
      @danielcrone9553 Před rokem +2

      그런 사람은 재선을 못함..

  • @nostress4479
    @nostress4479 Před 2 lety +19

    항상 본인 의견의 대해 거침이 없고 생각조차 안하고 말하는 것 같다. 얼마나 연구한지 돋보인다 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

  • @user-vk8kh3td1u
    @user-vk8kh3td1u Před 3 lety +125

    좋아하는 일보단 잘하는 일을 하는게 맞지만
    그 잘하는 이라는 정의를 잘 내리는게 타고난 지혜인 것 같습니다
    노예가 되지 않는 방법이요

  • @user-yz7gk2wc4e
    @user-yz7gk2wc4e Před 2 lety +157

    낮은 지능으로 커버되는 일을 할수록 금방 교체되거나 자본이 딸릴 때 잘리기 쉬운 인간 부품이 되기 쉬움. 그래서 페이도 낮은 거고.
    그 얘긴 지능이 낮을 수록 삶의 질이 떨어지는 상황이 쉽게 온다는 거고, 만족도고 행복이고 나발이고 다 낮은 삶이 되기 쉽다는 거.

    • @Grace-Elderflower
      @Grace-Elderflower Před 2 lety +5

      정리 땡큐 ㅠㅠㅠ

    • @tomokokobayashi1407
      @tomokokobayashi1407 Před 2 lety +21

      @@jeongh1206 지능은 노력한다고 높아지는것이 아니예요.잘못된 정보는 응원이 아니라 독이 됩니다.사람은 단순히 지능만 갖고 전체적인 능력을 평가 하기에는 복잡한 동물 입니다.의지 끈기 인성 여러가지가 복합적으로 어우러져야 성공적인 삶을 살수 있습니다.자기자신을 정확하게 알고 있어야 합니다.남은 파악하기 쉽지 않으나 자기는 연민을 버리면 알수 있습니다.

    • @SonHeung-min
      @SonHeung-min Před 2 lety +1

      9급: ???

    • @user-ru4nt2lt8b
      @user-ru4nt2lt8b Před 2 lety +10

      @@KorRyanS2 인생의 성공을 예측 할 수 있는 요인이 첫 번째가 지능이고 두 번째가 conscientiousness, 즉 성실성이라고 피터슨 교수가 항상 말하십니다.

  • @user-pv6wc5up6p
    @user-pv6wc5up6p Před rokem +29

    지금 내가 하고있던 고민과 너무 똑같네요.
    아예 다른 분야로 이직했는데 이 집단에서 내가 가장 무능한 사람이라는게 날 너무 괴롭게 함..
    1인분도 못해내니까 나도 스트레스고 주위사람도 스트레스일것이고..
    나에게 맞는 길을 다시 열심히 찾아야할듯

  • @user-fm3bx1nh7o
    @user-fm3bx1nh7o Před 2 lety +63

    솔직히 다른 동기부여 영상은 다 그러려니 하는데 피터슨 교수님만은 논리부터가 너무 명확해서 새겨듣게 된다
    배움과 탐구에서 나오는 진짜 논리정연함

  • @user-sl9ob2kb2j
    @user-sl9ob2kb2j Před 3 lety +32

    미래에 뭐할지 고민하고있었는데 좋은말씀많이해주셔서 감사합니다.피터슨 교수님 멋지십니다

  • @uxjxn
    @uxjxn Před 3 lety +191

    결국 자신의 적성에 맞는 직업을 갖기 위해선 자신의 성격과 지능을 알아야 하고, 열심히 노력해야 한다는 말인것 같네요.

  • @user-gl5bm7qh3x
    @user-gl5bm7qh3x Před 3 lety +197

    맹목적인 꿈을 높게 가져라라는 무책임한 조언보다 훨씬 도움이 되고 현실적인 조언입니다

  • @CustomerPark
    @CustomerPark Před 3 lety +248

    이 영상은 노오오오오오력을 해서 좋은 직업을 가져라 같은 내용이 아니라 볼때마다 심적 안정을 얻고 갑니다.

    • @user-td7jy4wi1x
      @user-td7jy4wi1x Před 2 lety +6

      성실함도 필요하다고나와요 너무 노력안한단 뜻으로보여 합리화로보여요

  • @user-yl8le1fh1k
    @user-yl8le1fh1k Před 3 lety +15

    일과 삶 그리고 성공을 얻으려면, 자신이 어떤 존재이고 현재 상황은 어떤지 객관적으로 봐서 유리한 쪽으로 행동을 해야 하구나. 그게 기반이 되고 개콘이 무너지고 유튜버로도 뜰 수 있는 그런 올라갈 수 있는 영역이어야 하구나.

  • @penna2708
    @penna2708 Před 3 lety +58

    6:05 부터 소름.

  • @user-pb9zp4gb4b
    @user-pb9zp4gb4b Před 2 lety +145

    이 강의 보면서 생각하게 됐어요. 성인이 된 장애인의 삶이 얼마나 힘든건지.. 폭발하는 지식과 첨단기술의 사회에서 주어질수 있는 직업자체가 없다는 것. 특수교사로 일하면서 늘 아이들의 미래를 생각할때 큰그림을 그리기 넘 힘들때가 있는데ㅡ 바로 이 좁은 문 때문이예요. 이 문을 넓히는 일을 잘 해낼수있을지 확신은 없지만 길을 찾아내기 위해 노력해야죠. 다만 사회 전체가 이 문제를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능동적으로 대처하길 바랍니다.

    • @andyjj4584
      @andyjj4584 Před rokem +10

      님 같은 분이 단 몇 명이라도 꾸준이 옆에서 팔로우업 해주시기만 해도 큰 일이죠.
      실패하는 사람들 옆에서 울고 땀 흘리며 희망을 놓치지 않는 것만으로 세상은 뿌리에서부터 변화되기 시작할 꺼라 믿습니다.
      그걸 우리가 죽기 전에 확인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만, 뭐 안되면,
      그 꿈 누군가에게 물려주는 것만으로도 세상은 나아지겠죠.
      우리 선배들이 물려준 꿈 덕분에 세상이 지금까지 바뀌어 온 것처럼요.

  • @user-mz7wf8yd3i
    @user-mz7wf8yd3i Před 3 lety +65

    빌어먹을 일침이지만 현실이지... 지겨운 천부적 재능에 의한 한계는 명확하다. 노력을 한들 그 효율이 압도적으로 달려... 사실상 절망을 느낄 수 밖에..

  • @choninr
    @choninr Před 2 lety +53

    자신의 기질과 성격을 알면 됨... 기질은 선천적이고 성격은 후천적인 거라서 기질 아는 게 매우 중요함

    • @wo4763
      @wo4763 Před 2 lety +5

      어떻게 알 수 있어요?

    • @jokim2758
      @jokim2758 Před 2 lety +3

      @@wo4763 심리상담소 가시면 지능 기질 심리등등 패키지로 20-40만원정도에 검사가능합니다

    • @user-xe3nk1ox8z
      @user-xe3nk1ox8z Před 2 lety +1

      지능말고 기질 심리검사만 할수있나요?

  • @InvasiveAlienPlants
    @InvasiveAlienPlants Před 3 lety +189

    심리학 전공 대학생들은 학부과정에서, 지능 자체에 대한 다양한 정의-> 그런 지능을 측정하는 다양한 검사들-> 그 중에서도 알맞은 조건에 사용되는 IQ테스트들-> 측정된 지능지수가 현실에 어떻게 적용되는지에 관해서 배웁니다. 강의를 듣고 있는 학생들도 대부분 이미 배웠을 겁니다. 그래서 IQ테스트의 신뢰성에 관해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것이구요. 혹시나 영상을 보시고, 저기 계신분들이 IQ테스트의 한계점을 모른다거나, 조던 피터슨 교수가 IQ테스트를 맹신한다거나하는 걱정은 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 @zoodasamilly3191
      @zoodasamilly3191 Před 3 lety +4

      이와같은 내용을 전체적으로 다뤄줬으면 좋았으련만 그러기엔 너무 방대해지니 편집본이라 아쉽네요 ㅜㅜ

    • @user-rm9vj8oz7o
      @user-rm9vj8oz7o Před 3 lety +5

      옳게 된 댓글

    • @adonaibasileia3985
      @adonaibasileia3985 Před 3 lety +31

      2017년 성격심리학 강의중 Biological traits: openness 에서 가져온 영상으로 보입니다. 사실 이 강의는 초반부에 IQ에 관련한 미신들과 선입견들에 대해서 충분히 설파하고 이 내용이 진행됩니다. 그래서 사실 이 학생들은 대부분 이미 배웠을 것이 아니라 이미 배웠죠.

    • @cxvcvxuoadsfjoqe9287
      @cxvcvxuoadsfjoqe9287 Před 3 lety +10

      그런 벌레들한테는 더 근본적인 인식론적 회의주의로 거꾸로 역공들어가서 조져주면됨. 병신깨시민들 어떻게든 교수보다 지가 잘낫다고 생각하고싶어가지고 그짓하는거라서 좀 밟아줄 필요가 있음

    • @dongle1718
      @dongle1718 Před 3 lety +5

      @@cxvcvxuoadsfjoqe9287 말을 들어라도 주면 감지덕지지 수틀리면 그냥 귓바퀴에서 회절하거나 그대로 소멸함 ㅋㅋㅋㅋㅋ

  • @user-hj1mq3ol9v
    @user-hj1mq3ol9v Před 2 lety +36

    A직업 B직업의 노동강도가 같고 같은 돈을 받는데 a는 견딜만하고 b는 못견디겠는게 적성이라고 김알파카님의 영상이 떠오르네요

  • @user-xg1cx1ob8y
    @user-xg1cx1ob8y Před rokem +6

    꾸준함도 재능이라는 말이 떠오르네요.
    끈기,성실함같은 습관적 꾸준함은 곱하기 0과 같은 존재라고 생각됩니다.
    머리만 믿고 일하는 사람은 결코 정점을 찍을 수 없음.

  • @JohnHMiler
    @JohnHMiler Před 2 lety +419

    지능이 좋지 않다고 자가진단 하는 나로써는 정말 공감되는 영상이다.
    그리고 이 분 강의가 현대사회에서 가장 현실적이고 실질적으로 많은 사람들에게 공감과 도움이 될 수 있는 강의라고 생각한다
    다른 강의들은 너무 이상적이거나 형이상학적이고 추상적인 미래의 일만 설명해서 부분적으로 이해가 안간다

    • @songdoj1653
      @songdoj1653 Před 2 lety +40

      스스로가 지능이 좋지 않다고 판단하는거는 똑똑한편인거죠..!

    • @user-tg4ul7uw9r
      @user-tg4ul7uw9r Před 2 lety +5

      저 초딩때 아이큐 117 현재 76??

    • @user-sw7zl2gj5t
      @user-sw7zl2gj5t Před 2 lety +34

      님의 댓글에선 충분한 수준의 어휘력과 문장구성능력이 보입니다 좀 더 자신감을 가지고 본인을 바라보시면 새로운 점을 보실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 @user-yt3kq9oz6q
      @user-yt3kq9oz6q Před 2 lety +11

      일단 님은 평균 이상은 되는 듯 ㅋㅋㅋ

    • @user-nr3rr7vd2t
      @user-nr3rr7vd2t Před 2 lety +7

      단어선택만 봐도 평균이상이신듯ㅋㅋ

  • @idranoutof1d
    @idranoutof1d Před rokem +75

    내가 피터슨 영상을 좋아하는 이유가, 물론 영상 내용도 너무 좋지만 댓글 수준도 그에 맞게 높기 때문임. 의견이 달라도, 서로 인신공격 없이 근거를 나열하며 이야기하는 모습을 보고 나도 같이 성장하는 기분이 듬

  • @user-dn5wl1zi7r
    @user-dn5wl1zi7r Před 7 měsíci +1

    그냥 이론적 설명이 아니아 직업을 찾는 사람에게 가장 현실적이고 실질강의여서 공격덕우로 도움이될거같아요 많이 보고싶네요

  • @user-pt8je6ob1g
    @user-pt8je6ob1g Před rokem +11

    정말 공감되는게 나는 이해력이 좋은편도 아니고 수동적인 사람인데 영업직하면서 매번 배워나가야 하는 입장이고 2년이 넘는 회사 생활 동안 배우고 배워도 또 배워야 할게 많고 영업직 특성상 지휘자 처럼 행동력 있게 일을 해야하는데 나를 숨기고 일하는 것 같아서 매번 극복은 하고 일은 완수 하지만 이게 나한테 맞는일인지 항상 의문이 들었음..저는 상부에 퇴사 고민중이라고 말씀 드리고 1년정도 회사 더 다니면서 퇴사 준비해야할 것 같네요ㅠㅠ

  • @user-xu8td9ng2t
    @user-xu8td9ng2t Před 3 lety +4

    9분 영상 너무 좋고!

  • @user-is9qg2fs6h
    @user-is9qg2fs6h Před 3 lety +3

    전 동영상 자막크기에 대한 피드백 바로 해주시네요 훨 좋습니다

  • @user-kf7pp1qh3x
    @user-kf7pp1qh3x Před 2 lety +3

    정말 좋은 영상이네요,,

  • @sayawaawa
    @sayawaawa Před 3 lety +380

    역시 조던피터슨은 이 폰트랑 편집 스타일이 제격이지~~~

    • @Saddoggo1
      @Saddoggo1 Před 3 lety +6

      ㄹㅇㅋㅋ

    • @WUS2718
      @WUS2718 Před 3 lety +7

      ㄹㅇ 이미 여기에 익숙해져 버렸잖어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imbrew
      @imbrew Před 3 lety +2

      유투브 읽ㅇ.......

  • @user-sm6it2qv4r
    @user-sm6it2qv4r Před 3 lety +2

    좋은 영상 감사드립니다^^

  • @misopark2006
    @misopark2006 Před 2 lety +5

    지능이 아니라 능력으로 보는 게 더 맞겠네요. 지능이 낮아도 노력으로 커버할 수 있지만 결국 적성, NCS 라는 말 자체가 직업에 적당한 능력이 있느냐 없느냐를 따지는거니까요.

  • @user-pt7sj7ki8m
    @user-pt7sj7ki8m Před 11 měsíci +6

    지금의 지적능력으로 상위권에 오를수있는직업을 선택 하는것
    이거명언이다

  • @user-dl8fq4wv2q
    @user-dl8fq4wv2q Před 3 lety +2

    한국 공식채널이 있었군요 구독하고가요ㅎㅎ

  • @user-jj3vx2vi8u
    @user-jj3vx2vi8u Před 3 lety +709

    낯선 동영상에서 익숙한 편집의 향기가 난다........

  • @user-zc5yw8ef9u
    @user-zc5yw8ef9u Před rokem +5

    세상에 휘둘리지 않는 메타인지가 가장필요한거 같습니다
    나를 알고 적을 알면 백전백승

  • @NCTSWISH
    @NCTSWISH Před 3 lety +141

    처음 틀자마자 능지차이 시전 ㅜㅜ

  • @ssoniverse
    @ssoniverse Před 3 lety +20

    ‘맞는 일’이라고 검색하고 들어왔는데 너무 충격적인 강의... 아이큐부터 테스트하고 와야할 거 같아요...

  • @aldo33a
    @aldo33a Před 3 lety +2

    교수님 감사합니다

  • @frequency8229
    @frequency8229 Před 3 lety +14

    맞는말이지만 외면하고 싶은 사실이네요..

  • @user-mn9lp5jr9w
    @user-mn9lp5jr9w Před 3 lety +10

    미사여구 하나도 없고 너무나 현실적인 영상이라 정말 도움된다

  • @user-ps3bo8rm7p
    @user-ps3bo8rm7p Před 3 lety +15

    재남폰각크재 자기가하고싶고 잘할수있는일을 하고살수있다는건 복입니다

  • @user-gr7ok7pi9z
    @user-gr7ok7pi9z Před 3 lety +29

    아아... 익숙한 자막이다...

  • @syk3035
    @syk3035 Před 8 měsíci

    너무나 공감합니다. 어쩌면 제가 생각하고 있는 것들은 모조리 다 말씀하십니까. 물 좀 드시고 말씀하세요! 자신을 제일 잘 챙겨야한다고 하셨잖아요!

  • @tptkdakstk
    @tptkdakstk Před 7 měsíci +1

    조근조근 반박불가한 팩트로 조져버리니까 제 자신을 다시한번 되돌아보게되면서도 결국 세상만사의 어쩔수없는 흐름까지 되돌아보게만들어주는 명강

    • @eee-yo
      @eee-yo Před 5 měsíci

      ㅠㅠ 👍.....

  • @hjlee7914
    @hjlee7914 Před 3 lety +9

    내가 생각할때 이 영상을 보고 나름대로 정리를 하자면 본인이 스트레스 안받고 꾸준히 매진할수 있는 일을 하는것이 가장 좋은거 같다는 얘기 같네요.
    용미사두라는 사사성어가 떠오르는데 "용의 꼬리보다는 뱀의 머리가 낫다." 라는걸 이분이 얘기하고 있는거 같은 느낌이 들면서
    변호사도 좋고 의사도 좋겠지만 그런데 본인 능력으로 이 직업을 가기위해서 아랫단계에서 헥헥 될 거라면 차라리 이거보다 편한 직업을 고르되 그 직업의 베스트가 되기 위해서 노력하는것이 훨씬 삶의 품질과 그 직업으로 성공할수 있는 확률도 더 올라갈수 있겠구나 이런 결론 같네.
    그런데 이런 판단을 내릴려면 어릴때부터 본인에 대한 냉철한 분석을 할수 있어야 하고 다양한 직업에 대한 이해가 필요한데 우리나라 입시구조상 공부하기도 바빠서 헥헥되는 시절에 이런 생각 하면서 제일 바쁜 고3 시절에 대학 학과를 본인 적성에 맞게 선택이 가능할까? 성적 맞춰서 가는게 99% 아닌가... 10년전에 이런 내용을 봤어야 됐는데...
    그리고 대학교때 본인 적성과 안맞는 학과 골랐어도 리턴할수 있는 기회가 있어야 되는데 수능을 다시 보고 대학 들어가는것도 좀 에바잖아...늦은 나이라도 전문직종에 도전할수 있게 나라에서 지원을 해줬으면 좋겠네. 실패에 대한 두려움이 없어야 도전을 할수 있지...
    우리나라는 실패에 대한 두려움이 너무 커서 평범한 사람은 새로운걸 도전하기가 어려운거 같음. 미국도 비슷하려나... 독일이 그나마 좀 괜찮다는거 같긴 한데...

    • @dgreekim
      @dgreekim Před 3 lety +3

      스트레스를 안받고 꾸준히 할수있는 일을 하는게 최선이긴 한데 스트레스가 직업에서 오는것인지 아니면 직업이 아닌 직장과 그에 연관된 것들(직장내 업무 프로세스, 근무환경, 사내 인간관계, 불합리한 대우 등등) 인지 구분할 필요가 있다 생각합니다.
      직업 저 기준에 맞게 잘고른다해도 그보다 더 큰 스트레스를 받을수도 있는 요소들이 많다고 생각합니다 적어도 한국에서는요......(우물안 개구리들 끼리도 서열정리에 똥군기 갑질 오만 추잡한짓을 다 하는 사회라서....)
      이런것들 땜에 직업을 잘 고른다 해도 그 직업에서 커리어를 쌓아갈 기회를 잃어버려 성장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되고 반복될꺼 같네요

    • @ejch4940
      @ejch4940 Před 2 lety +5

      @@dgreekim 공감해요. 개인적 차원에서 내릴 수 있는 최선의 선택으로서 자신의 지능과 적성에 맞는 일을 찾았어도 막상 그 이후에 개인의 능력과는 상관없는 사회적 요인들(ex. 직장에서의 인간관계, 상사 운, 내 능력이 좋아도 사내정치가 승진에 더 중요한 경우 등) 이 말그대로 운에 따라 좌지우지 되는 경우가 한국은 압도적으로 많다 생각해요. (개인적으론 그 이유가 전반적인 노동 인권의 열악함과 회사에서의 중요한 결정이 시스템이 아닌 사람에 의지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아무리 자신을 객관적으로 잘 파악해서 직업을 선택해도 사실상 현실에선 사회적 환경이 직업적 만족도에 훨씬 더 지대한 영향력을 끼친다고 생각합니다.

  • @seungin292
    @seungin292 Před 3 lety +76

    전체영상을 보지 못해 편집된 부분만 보고 이야기 한다면, 강의에서는 단순히 'IQ높아야 성공하고 돈을 잘벌어'가 아니라 피터슨교수는 그 이면에 존재하는 사회 구조적 문제를 언급하면서 꼬집고 있다고 느껴지네요.
    그래서 영상 제목을 보고 영상을 보면 살짝 갸우뚱? 하게되는 부분도 생기네요;
    전체강의영상이 보고싶어 집니다~ 너무 좋아요 피터슨교수님

    • @mnh7813
      @mnh7813 Před 3 lety +12

      동의합니다 영상 제목이랑 내용이랑 무슨 상관인건지...

  • @deepPol
    @deepPol Před 3 lety +3

    역시 피터슨 선생님

  • @slims0402
    @slims0402 Před 3 lety +1

    아 찐이구나 무조건 구독이지

  • @imk8898
    @imk8898 Před 3 lety +22

    갠적으로, 인간은 시시로 변하고 성장하기 때문에... 단점을 극복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IQ는 변하지 않는다고들 하지만 그중에 결정성 지능은 후천적으로 높아질 수 있다고 하는 걸 보면, 지능이나 성실성 등으로 사람의 직업이나 잠재력을 단정하기 보다는, '내가 이런 일을 해보고 싶은데 내 현 상황은 이러니 다른 사람보다 험난할 가능성이 높겠구나. 하지만 내가 진정 하고 싶은 일이니 좀 더 철저하게 매진해서 나아가보자'고 하는 참고지표로 활용하는 게 옳지 않나 싶습니다. 인간은 약하지만 생각보다 독하고 강하데다가 생각보다 성공은 실력보다 운이 훨씬 더 크게 작용하더라구요. 개인적으로는 그렇게 생각하고 하루하루 어떻게든 해보려고 발버둥 쳐보는 중입니다.

    • @imk8898
      @imk8898 Před 3 lety +3

      물론 전제적인 맥락은 당연히 동의 합니다~~ 다만 너무 선을 긋지 말았으면 하는 말이었어요

    • @user-ij8uo8tx8f
      @user-ij8uo8tx8f Před 2 lety +1

      공감합니다

  • @mjk-krtr
    @mjk-krtr Před rokem +6

    스트레스에 대한 내성 진짜 맞말. 저게 너무 힘들었음ㅠ

  • @gjs1026
    @gjs1026 Před 2 lety +20

    사람이 대단한점 느리던 빠르던 발전한다.
    어릴때 부터 교육 열심히 받아야 하는 이유
    세상에 맞는말이 얼마나 될까?
    말하는 사람이 내가 아닌데
    하면된다는 말 진짜다 노력은 배신하지 않는다
    이 영상을 보고 주춤하지 마라 just do it ㅈㄴ 멋진말이고 비싼말이다

  • @stellina9336
    @stellina9336 Před 2 lety

    She’s so brave and intelligent!

  • @lala_book
    @lala_book Před 2 lety +33

    저런 건 중고등학교때 알려줘야해..ㅜㅜ

  • @user-bj3mz5yh7v
    @user-bj3mz5yh7v Před 3 lety +75

    지능 안에도 테스트 항목이 있더군요.
    언어, 논리, 지각, 공간
    아무래도 저는 조상이 사냥만 열심히 했나봅니다.
    공간능력만 올인해놓고 다른스텟을 안찍어놨습니다.

    • @user-vg1lg5we6g
      @user-vg1lg5we6g Před 2 lety +7

      하나 잘하는것도 쉽지않죠 대단합니다

    • @CrimsonWing67
      @CrimsonWing67 Před 2 lety +3

      전 공간만 상대적으로 바닥인데. 저희가 같이 일 하면 되겠군요.

    • @Report-02
      @Report-02 Před 2 lety +1

      언어이해, 지각추론, 작업기억, 처리속도

    • @user-co9xo9ri7b
      @user-co9xo9ri7b Před 2 lety

      재밌는글이라 웃고 갑니다 :)

    • @user-gt4mq7kb7t
      @user-gt4mq7kb7t Před 3 měsíci

      우리조상은
      평생 아가리질만
      했나봐요 언어영역
      빼고는

  • @user-vq2wn6nt9d
    @user-vq2wn6nt9d Před 2 lety +4

    돈 적게 벌어도 행복함을 느낄수 있는 직업을 가졌다면 얼마나 좋았을까?
    어릴때 꿈이나 목표가 있는게 좋은것 같아요
    내 그릇은 깨진 그릇이려나ㄷㄷ
    지능 두자리일까봐무섭

  • @yranowa6113
    @yranowa6113 Před 2 lety +10

    코로나 시대 이전엔 그래도 성실하게 부지런하게 직업의 귀천없이 열심히 하면 그래도 괜찮았다고 보는데 이제는 너무 폐쇄적이고 계층간 수직상향 이동이 거의 불가능해진거 같다..

  • @user-ko6en6xu2u
    @user-ko6en6xu2u Před 3 lety

    헉 공식채널이라니!!!

  • @user-bn8ut6nj6h
    @user-bn8ut6nj6h Před 3 lety +3

    자막에서 익숙한 향기가 난다.....

  • @GogginsMentality
    @GogginsMentality Před 3 lety +13

    이 글을 보는 모든 분들이 원하시는 바를 이루시길 기원합니다. 오늘도 소중한 영상 감사합니다!

  • @user-ns8lj8ix2k
    @user-ns8lj8ix2k Před 3 lety +10

    내가 원하지 않고 좋아하지 않는걸 위해 공부하고 있는건... 역시 잘못된걸까

  • @bradleysbullm1673
    @bradleysbullm1673 Před 2 lety +26

    이거 강의 요지는 시대가 지나고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최소한의 삶을 살기 위한 지능의 기준이 높아지고 있으며 따라서 기술 발전이 무조건 빠르다고 좋은 게 아니란 건데...

  • @jamesdonoby408
    @jamesdonoby408 Před 3 lety +9

    한국어 자막 위에 영어자막도 같이 있으면 완벽할 것 같아요. 감사합니다.

  • @lemonk9991
    @lemonk9991 Před 2 lety +31

    요즘같이 직업들이 없어지고 대부분 불안정한 사회에서 지능운운하면서 직업을 고르기엔 너무나 어려운 상황인것 같네요. 대부분의 안정적인 직업이라고 여겨지는 것들은 어려운 시험을 통과해서 또 어려운 것들을 수행해나가야만 하죠. 단순반복적인 일들은 기계나 컴퓨터가 알아서 하니까요 더 가속도화 되어가고 있고.. 그나마 하위 공무원이 시험통과만 하면 나름 반복적인 체계속에서 일하니 숙련도가 쌓이면 잘하게 될 수 있으니 약간 예외적인 느낌이고, 요즘 세대들은 정말 이래저래 어려울 것 같음.. 옛날엔 단순반복같은 일들도 많아서 지능이 조금 낮아도 성실하기만 하면 일할 수 있었는데..

  • @hrj1881
    @hrj1881 Před 2 lety +21

    경향과 방향성을 이야기하는데에 자꾸 그걸 진리로 답정너하고 이야기하지들 마셔요 조던 피터슨은 항상 세상이 이런 식으로 돌아가니까 어떻게 헤쳐나갈지 잘 생각해보라고 주제를 던져주는 겁니다 좌절하는 것도 자유고 자연스런 반응이기는 합니다만, 너무 비관적인 분들은 주변 청소나 운동 등 일어나서 몸 쓰는 일로 머리를 비우시는 것부터 추천드립니다

  • @Smokeuout
    @Smokeuout Před 2 lety +2

    100% 프로 맞다곤 생각 안하지만 어느정도 합리적인 말이네요

  • @JohnHMiler
    @JohnHMiler Před 2 lety +10

    맥도날드 알바 스타벅스 알바 어떻게 보면 단순해 보이지만 실제로는 이 분 말씀처럼 간단하지 않다
    기계가 하는 것이 아니라 사람이 하는 것이다 보니
    어느 정도의 지능이 필요할 정도오 복잡하다
    그리고 시대 발전하면서 배달앱이 생기면서 홀과 배달 전반적인 부분을 신경쓰면서 음식을 만들어야 한다
    일머리가 좋은 사람은 힘든 일이지만 쉽다고 느끼겠지만
    나같은 사람은 어렵게 느껴지고 그런 사람들이 생각보다 이 사회에 많다
    사회가 발전하면 할 수록 똑같은 일이더라도 지능의 요구는 점차 커지는 것 같다

  • @ui_jjeong
    @ui_jjeong Před 2 lety +2

    울면서 보게되었........ ㅠㅠ 아.

  • @user-en5qe3jg8k
    @user-en5qe3jg8k Před 3 lety +128

    또 한가지 한국만의 특수성이라면 '영어'를 잘하면 경쟁에서 월등히 앞서던 시기가 있었음.
    이건 지능이나 성향하곤 상관없이 조기교육이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거고 지금 와서는 영어수준이 상향평준화 되었기에 교포수준이 아니면 크게 메리트가 없는 시대가 되어버림

    • @user-yz7gk2wc4e
      @user-yz7gk2wc4e Před 2 lety +56

      영어만 잘하는 건 메리트가 크지 않지만 전공 + 영어 가 되면 지금도 어디든 인정받고 기회가 많은 건 사실임. 어릴 때 영어를 깔아놓고 나중에 대학교 때 직업을 위한 전공을 찾고 영어가 되면 내가 잡을 수 있는 직장의 레벨이 달라짐.....

    • @user-yz7gk2wc4e
      @user-yz7gk2wc4e Před 2 lety +25

      가수, 배우같은 연예인만 봐도 영어 잘하면 넓은 시장에 접근하는게 더 용이한 게 보이니까.....

    • @user-yy5iq9rn7u
      @user-yy5iq9rn7u Před 2 lety +26

      @@user-yz7gk2wc4e 맞는 말씀입니다.
      개발자도 영어 중요하고 하다못해 도,소매 같은 판매업도 영어,중국어,일본어 잘하면 판매처 확장에 큰 도움이 되거든요

    • @juwonseong0312
      @juwonseong0312 Před 2 lety +45

      아직도 좀 그렇지 않나요?? 영어 점수 높은 사람은 많아도 실제로 회화가 가능한 사람은 아직 많이 없는 것 같아요.

    • @user-fp5nc4gz3q
      @user-fp5nc4gz3q Před 2 lety +6

      영어로 인해 영어권에 취업 할수 있는 카드가 늘어나서 영어만 잡기 보다는 영어를 보조수단으로 무조건 확보하는게 좋쵸

  • @The_Light_Man
    @The_Light_Man Před 2 lety +7

    제 아이큐는 전문검사로 평균 108이 나왔는데, 지각추론이 123이 나왔습니다.
    지각추론이 좋은 사람이 하는 일들을 찾아봐야겠어요.

  • @serenityry
    @serenityry Před 3 lety +23

    분명 지능,머리가 타고난 사람은 있고 그런 사람들이 같은 환경에선 복잡하고 어려운, 머리를 쓰는 일을 더 빠르게 배우고 잘할 가능성이 높은 건 사실이죠. (그래도 모두에게 다양한 일을 배우고 공부할 수 있는 기회는 주어져야한다고 생각하지만.. ) 어쨋든 사회에선 현재 하등시되는 일이라고해도 분명 누군가는 해야할것이고.. 여튼 피터슨의 말은 어느정도 설득력있게 들리는데. 현재와같이 빈부격차 불평등이 커지는 상황에선, 현재 블루칼라나 사회적으로 하등시되는 직업을 가진 사람들도 각자의 자리에서 박탈감을 가지지않고 본인의 삶을 행복하게 살 수 있게 하는게 중요한 문제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이상적인 얘기지만요.. 그런데 자본주의 자체가 더 가지라며 욕망을 부추기고 사치를 부르다보니 경제적 상대적 박탈감이 생길 수 밖에 없고. 흠 어려운 문제네요

  • @katelee443
    @katelee443 Před 2 lety +11

    매우 재밋네요 높은 지능을 가지고 낮은 레벨의 일을 하는게 나쁘지
    않거든요
    많은 이들이 기술적으로나 지능적으로 높은 수준의 일을 원할지는 모르겟으나
    삶은 돈으로 판단할 수 없는 가치와 의미가 잇고 그것이 사람마다 다르니까요
    낮은 봉급의 사람이 행복할 확률이 낮다 이것도 맞지 않아요 돈적으로 곤란한 일이 많을수 잇다 이지 이것이 행복과 직결되는것은 아니니까요
    이런저런일을 많이 해보고 가장 즐거운 일 하는게 좋은거 같아요~ 모두에게
    평화~~~

  • @user-bc6ez2ni9d
    @user-bc6ez2ni9d Před 2 lety +26

    기본적으로 조던피터슨은 IQ에 대한 신뢰가 엄청난 사람이라.. 씽크어게인의 저자 애덤그랜트가 책에 적었듯 조던피턴슨은 기본적으로 IQ를 신봉하지만 EQ로 사람의 능력을 나누는 것에는 완전 반대파라.
    하지만 애덤그랜트의 말이 더 맞다고 생각합니다. IQ가 중요한 직업이 있고 EQ가 중요한 직업이 있고 그 둘이 적절히 필요한 직업이 있죠..

    • @user-gz1xb5so2s
      @user-gz1xb5so2s Před rokem

      조직에서의 성공은 Iq, eq 모두가 어느 정도 뒷받침되어야하는 것 같아요. 심지어 교수사회도요. 어딜가든 다 필요합니다.

    • @user-gz1xb5so2s
      @user-gz1xb5so2s Před rokem

      @@user-bc6ez2ni9d 저는 무슨 말씀하시는 건지 잘 모르겠습니다

    • @user-gz1xb5so2s
      @user-gz1xb5so2s Před rokem

      @@user-bc6ez2ni9d IQ뿐만 아니라 EQ도 끌어올리는 노력이 필요해보이시네요...

  • @user-do2fq4jb6p
    @user-do2fq4jb6p Před 2 lety +4

    워라밸 10:00~15:00 아침에 고양이와 낚시놀이 하고 출근. 오후 3시에 퇴근해서 집안일 등등 합니다. 물론 남은 시간엔 우리 냥님이와 놀아요, 정말 편하고 행복합니다. 이십, 삼십대엔 내 시간이 없었어요. 밤샘의 나날들, 새벽에 퇴근...그래서 회사를 차렸습니다. 패터슨님도 광고 필요하시면 메모주세요, 최고의 프로젝트 만들겠습니다. 광고쟁이들의 힙

  • @ashleykim8214
    @ashleykim8214 Před 3 lety +1

    아 jinjja 피터슨 교수님 saranghae🧡🧡💚💜

  • @corea0407
    @corea0407 Před 2 lety +8

    IQ에 따라 추천직업이 다르다는게 충격이다…
    두 진영에 해당하지않는 중립은 좋다!

  • @user-xj4nw6yj7c
    @user-xj4nw6yj7c Před 3 lety +7

    어떻게 영어 자동 자막이 거의 다 맞을 수 있지? 영어 공부 잘 하고 갑니다.

  • @moonsooim393
    @moonsooim393 Před 17 dny +1

    요약 :
    적성에 맞는 직업을 찾기 위해 어떤 요소를 신중하게 고려해야 하는가?
    -) 스트레스 내성
    -) 지능(지적능력)
    -) 친화성
    -) 성실성
    -) 창의성
    직업을 통해 직장에서 성공과 행복을 동시에 얻으려면 지금의 지능으로 상위권(상위권을 목표로 할 수 있는)으로 올라갈 수 있는 직업을 선택해야 함 = '작은 연못에서 큰 물고기' 전략
    높은 직위는 변동이 심하고 짧은 기간내에 어려운 결정들을 많이 내려야 하기 때문에 높은 성실함, 높은 지능, 높은 스트레스 내성이 요구된다.
    절대 직장안에서 가장 무능한 사람이 되어선 안 된다.

  • @tototoday7609
    @tototoday7609 Před 6 měsíci +1

    결국 허세치우고 본인판단을 잘해야하고, 본인을 개발하기에 따라 판단이 달라질 수 있음. 너 자신을 알라.. 라는건데, 시야가 넓어질수록 더 잘 알게되니, 끊임없이 노력해야겠죠.
    요즘같은 과잉보호 시대의 아이들은 판단미스가 더 심해지고, 그게 사회의 발전을 막는 방향으로 가겠네요.

  • @sheep7187
    @sheep7187 Před 2 lety +15

    지금 입사한 회사와는 정말 맞지않는데 울며겨자먹기로 버티고있습니다. 돈은 벌어야 하니가요.. 적성에 맞는, 내가 힘들어도 웃으며 할 수 있는 일을 하고싶은데 도저히 찾기가 어려워서 막막하네요.. 대체 인생은 어떻게 살아야할까요ㅠㅠ 힘드네요

  • @jonghopark8185
    @jonghopark8185 Před 8 měsíci

    나에게 맞는 일을 찾기 위해서 여러 측면을 다양하게 검토해봐야겠지요. 그런데 그 테스트를 여러번 시도하고 검증할 수 있는 성격 또한 따로 있는 것 같습니다.

  • @user-mg2ge2re7z
    @user-mg2ge2re7z Před rokem +8

    지능도 낮고 성실성도 낮고 창의적이지도않으며 사람들과 사교하는것도 좋아하지않고 스트레스도많이 받으며 회복하기까지 꽤 시간이 걸리는 나는....흠 어쩐지 나한테는 일이 그냥하는게 아니라 버티고 계속해서 고통스러운 이유가 있구나싶음

    • @James_McAvoy
      @James_McAvoy Před 8 měsíci +1

      나도..... 사는게 너무 힘들다

    • @user-bk4qm5vn9l
      @user-bk4qm5vn9l Před 5 měsíci

      미투... 그래서 로또돼서 사회생활 안하는 상상을 계속한다 ㅜ

    • @cap5714
      @cap5714 Před 5 měsíci

      와 내 소개 적은줄

  • @mjun-gu7ub
    @mjun-gu7ub Před 3 lety +3

    이건 못 참지 ㅋㅋ

  • @user-er9xc5sg1e
    @user-er9xc5sg1e Před 2 lety +2

    와 진짜 뜬구름잡는얘기가아니라 앞부분부터 너무 내 얘기라 공감하면서 봄 ㅠㅠㅠ

  • @user-ci9pk5yz8k
    @user-ci9pk5yz8k Před rokem

    정중하게! 해쥬세영!

  • @themaskedfighter-4041
    @themaskedfighter-4041 Před 3 lety +5

    존나 팩트임...
    노오력 만으로 된다고 하는 사람고 잇겠지만.

  • @wing-yu4kf
    @wing-yu4kf Před 3 lety +59

    언제나 다른사람을 넘어설려하고 언제나 1등이 되야하는 사람은 얼마나 피곤할까요

    • @RT-xv3js
      @RT-xv3js Před 3 lety +4

      지루하고 진부한것 보다 나은 것 아닐까요

    • @presentroastery7810
      @presentroastery7810 Před 2 lety +2

      ㄱㄷ러나 사회에서 1등이되야
      잘먹고잘살수있지않나요

    • @user-yo9fl7np5v
      @user-yo9fl7np5v Před 19 dny

      @@presentroastery7810 1등하면 보상을 주는 시스템이니까 그런거지
      실제론 가치창출을 해야하고 트레이드를 잘해야합니다.

  • @smalleyesjack
    @smalleyesjack Před 2 lety +6

    결국 재능이 중요하다가 팩트라는거군

  • @user-mg4oj2lt2l
    @user-mg4oj2lt2l Před 3 lety +19

    "피터슨 읽어주는 남자......."

  • @user-dk3ch5dk3z
    @user-dk3ch5dk3z Před 3 lety +14

    지능이 스피드란 말 너무 공감된다.

  • @user-yh1gg9ht4s
    @user-yh1gg9ht4s Před 2 lety +7

    학생때는 누구나 노력하면 된다고 한다 그거도 초딩까지고....

  • @user-fh4mi1zm8b
    @user-fh4mi1zm8b Před 3 lety +2

    한국채널 생겨서 너무 좋습니다ㅜㅜ

  • @BP-ct1cg
    @BP-ct1cg Před 3 lety +157

    이 영상보고 구글에 아이큐테스트 검색하고 40분동안 열심히 풀었는데 마지막에 결제창떠서 빡침

    • @user-lf4mv7jb9q
      @user-lf4mv7jb9q Před 3 lety +9

      오 나돜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user-gw1us6zp2k
      @user-gw1us6zp2k Před 3 lety +45

      그런 검사는 의미없고 대학병원가서 20만원정도 내고 웩슬러 지능검사 하는게 제일 정확하고 표준적임 인터넷에서 하는건 검증되지 않은거라

    • @KittyChacha
      @KittyChacha Před 3 lety +180

      결제 안했으면 아이큐가 평균 이상이라는 의미니 안심하세요

    • @lovep1474
      @lovep1474 Před 3 lety

      ㅋㅋㅋㅋㅋㅋㅋㅋㅋ

    • @user-nj9wj2ho2m
      @user-nj9wj2ho2m Před 3 lety +2

      @@KittyChacha 40분 동안 검사한 수고는요?ㅋㅋㅋ

  • @user-xz7hx2hb9d
    @user-xz7hx2hb9d Před 3 lety +2

    이 채널에서까지 제목 뒤에 ...을 잊지 않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