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성용, 불교는 자이나교에서 무엇을 배울 것인가? [붓다빅퀘스천 33]

Sdílet
Vložit
  • čas přidán 8. 05. 2024
  • 강성용 교수는 현재 인도 사회에서 불교와 자이나교의 차이에 대해 설명합니다. 불교는 인도에서 거의 사라졌지만, 아직도 건재한 자이나교는 왜 생존할 수 있었는지를 중심으로 설명을 이어갑니다. 강성용 교수는 불교가 인도에서 사라진 이유, 사원의 관리와 소유권을 어떻게 가져왔느냐의 문제, 교리상의 원칙 등을 중심으로 현대 불교가 생각해봐야 할 점을 논의합니다.
    #강성용 #불교 #자이나교
    강성용, 불교는 자이나교에서 무엇을 배울 것인가? [붓다빅퀘스천 33]
    ◇ 불광 블로그(공식) :
    blog.naver.com/bulkwanger
    ◇ 불광 페이스북 페이지 :
    / bulkwang
    ◇ 불광 뉴스레터 구독하기
    page.stibee.com/subscriptions...
    ◇ 불광미디어 인스타그램 :
    / bkbooks79
    ◇ 불광미디어 홈페이지
    www.bulkwang.co.kr/

Komentáře • 100

  • @user-ir7dc9qt6v
    @user-ir7dc9qt6v Před 23 dny +36

    강성용 교수님의 강의가 올라오면 전부 봅니다. 정말 대단하신 분입니다. 내용,관점이 명확하고 간결하고 쉽게 정리되어 이해하기가 쉽습니다. 교수님, 고맙습니다.

  • @user-nk2ov4lq2b
    @user-nk2ov4lq2b Před 17 dny +45

    강성용 교수님 불교 싫어하시는 분아닙니다 이 강의만 보고 오해하실까봐 말씀드려요 주제가 주제인지라 쓴소리도 하시는겁니다 불교신자분들은 교수님 다른 강의도 봐보시길추천드립니다

  • @user-tb5hb1rl7i
    @user-tb5hb1rl7i Před 18 dny +27

    강성용 교수님 삼프로 티비에서는 서글서글하고 유쾌하신 이미지셨는데 강단 위에 섰을 때는 엄청 카리스마 넘치시고 당당하시네요!!

  • @user-dz9pk7mg9u
    @user-dz9pk7mg9u Před 24 dny +19

    조계종 한국불교의 모순을 제대로 까주시네ㅛ
    용기있는교수님...
    멋짐뿜뿜♡♡♡

  • @DonTtoTO
    @DonTtoTO Před 25 dny +24

    이 종교의 현실은 저 종교의 현실과 비교해야 하고, 이 종교의 문제점은 저 종교의 문제점과 비교해야 한다.
    교수님. 참으로 훌륭한 정리입니다.

    • @user-co8lk5dx7p
      @user-co8lk5dx7p Před 14 dny

      지금 조계종의 문제를 어떻게 인도의 현대 불교나 자이나교의 문제와 비교합니까? 조계종의 문제는 남한 사회의 일반적 법이나 도덕 의식 수준에서 생각해야지요. 한국의 부처님은 한국 농민의 쌀과 과일로 공양받고 있응께. 최소한 국가 세금 들어가는 부문은 철저히 하셔야죠. 불교 재산은 향교 재산처럼 국가가 소유하고 종단이나 재가 불자들이 민주적으로 운용하는게 맞다고 봅니다.

  • @kidragon7313
    @kidragon7313 Před 23 dny +17

    교수님 3프로 TV 다시 좀 나와 주세요 너무 말씀 듣고 싶어요

  • @browne7682
    @browne7682 Před dnem +1

    옛날에 모 대학에서 이 분에게 산스크리트어를 약 일년간 배운적이 있습니다. 일반인들과 스님들이 섞여 있었죠. 결론은 산스크리크어는 외계인이 만든 언어라 배울게 못 됩니다. 그 일 년 간 이 분에게 이런 식의 이야기들을 들었습니다. 흥미진진을 넘어 감동과 충격의 시간들이었습니다. 우리나라에 드물게 보는 지식인입니다. 이 분은 이런 말씀들을 더 많이 하도록 강요당하고 혹사당해야 합니다. 이 분을 다 배우면 우리나라 불교는 한층 성장해 있을 것입니다.

  • @user-il6ri7bq5h
    @user-il6ri7bq5h Před 25 dny +41

    참으로 귀한 강의 감사햐게 잘 들었습니다 저장해서 복습 해야겠습니다~

    • @user-ef3ph2vi9n
      @user-ef3ph2vi9n Před 25 dny

      참된 종교는 어떤 종교인가? 천지 만물과 인간의 생명을 창조하시고 영혼의 아버지가 되시고 주인이 되시는 여호와 하나님만이 참 신이시다. 그렇지 않은 신은 참신이 아니다. 인생의 생로병사 문제를 해결해 주고 인간의 죄문제 죽음문제 현실문제 해결해 주는 종교가 참종교이다. 자신의 죽음문제 하나 해결하지 못하고 죽어서 지금도 무덤에 묻혀있는 석가, 마호멧트, 공자, 이슬람, 강증산 교주들은 죽어서 지금도 그들의 시체는 무넘에 갇혀있다. 자신의 죽음 문제 하나 해결하지 못하고 죽어 자기 자신도 구원하지 못한 그들이 어떻게 다른 사람을 구원하고 복을 주고 문제를 해결해 줄 수 있을까? 이것은 상식적으로 누구에게 물어봐도 이치에 맞지않고 그런 종교는 참종교가 될 수 없다. 그래서 성경:잠언14장12절에 어떤 길은 사람이 보기애 바른 것 같으나 필경은 사망의 길이니라. 고 했다. 우리나라 불교계에 최고로 존경받던 성철 승은 죽기 직전에 자신이 일생동안 남녀의 무리를 속여서 하늘을 넘치는 죄업은 수미산을 지나친다. 산채로 무간지옥에 떨어지니 그 한이 만갈래나 되는도다. 이렇게 성철승은 죽을 때 지옥으로 떨어진다고 비명을 지르고 갔다.(조선일보1993년 11월 5일 톱 기사에 실린 내용을 인용함.) 참된 종교는 기독교 뿐인 것이다.

    • @user-gf6pp9co2t
      @user-gf6pp9co2t Před 22 dny +1

      나는 중동사막의 잡신 여호와다. 예수는 내 아들이다.

  • @user-ek6wy7cj7q
    @user-ek6wy7cj7q Před 25 dny +23

    와우! 강성용 교수님 강의를 계속 들어본 사람만이 알수 있는 맥락들. 감사합니다 😊

    • @user-mb1ii6rl8z
      @user-mb1ii6rl8z Před 24 dny

      맞아요 교수님의 말씀을 계속 들었다면 무슨 말씀이신지~~~

  • @seunghyunpark3196
    @seunghyunpark3196 Před 15 dny +7

    죽음의 자기결정권에 관해 경험을 한가지 이야기 드리면.. 저희 어머니는 올초에 돌아가셨습니다. 돌아가시기전 치매를 15년 이상, 요양원에 2년정도 계시다가 뇌경색으로 종합병원 응급실에 들어가셨습니다. 뇌경색전에는 걸음을 걸으시고 일상을 느끼며 생활하셨습니다. 그러나 뇌경색후 누워서 콧줄만 꼽고 생활하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반년이 좀 넘어 이번엔 폐혈증이 와서 다시 종합병원 응급실로 갔습니다. 그 후에는 요양원으로 못 가시고 요양병원 중환자실로 가셨고.. 그곳에서 다시 폐혈증도 오고, 지속된 항생제로 인한 온몸에 진물이 나고 부프는 증후군 같은게오고..
    이 글을 생각해서 사실 쓰기도 싫은데... 두번째 종합변원 응급실에 (폐혈증) 갔을때 치료가 의미가 있는지 의사에게 물었지만.. 의사는 들어올때 정도는 되어 나갈 수 있다는 말만 반복했습니다. 즉 의사도 치료의 선택의 권한이 없어보였습니다. 즉 지금의 의료시스템이 생의 마지막에 놓인 사람에게 극심한 고통을 줄 수 있습니다. 제가 다 적지 못했지만.. 콧줄식으로 부터 시작되는 연명적 의료가 환자가 겪을 수 있는 모든 병들을 겪으며 오랜시간 아주 고통스럽게 생을 마감하게 합니다.

  • @user-vy8tw3dz2f
    @user-vy8tw3dz2f Před 25 dny +15

    교수님 감사합니다.

  • @user-xt4zs4ls5w
    @user-xt4zs4ls5w Před 25 dny +11

    관심분야가 아니지만
    강교수님 말씀이라 듣게 되었네요 ^^
    참 박식하사고 귀여우시고 순수하시고
    자장가같아서 ㅎㅎㅎ
    다시 듣겠습니다
    모르는거 아는 즐거움.
    감사합니다

  • @user-bk9vb1db2g
    @user-bk9vb1db2g Před 13 dny +2

    동남아시아 강의만 듣다가 이번 강의는 우연히 보게 되었는데 ... 입이 다물어지지 않네요. 감사합니다

  • @Tobeon2
    @Tobeon2 Před 20 dny +5

    이런 현실적인 종교 얘기는 처음 접합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 @user-vp8xj7je3l
    @user-vp8xj7je3l Před 24 dny +9

    부처가 남긴 가장 좋은것은 생노병사를 두렵게 보지 않아도 되는 이유를 남긴것

  • @Zechikyou
    @Zechikyou Před 15 dny +4

    바로 그 말씀~ 무소유는 물건도 내 몸도 내 마음까지도 내 것이 아니라는, '요지일체법 자성무소유' 인데 구호만 난무하고 행하기 어렵지요~ 이를 속세화~ 그러니 총무원장까지 하신 분이 분신하고 남긴 말이 A, B,.. 스님들에게 ~억원을 얼마씩 내라고 하는 얘기가 나오지요~ 참 어지럽지요~ 완전한 자유는 완전한 무소유! 법정스님이 왜 이 한 길을 가셨는지 알 수 있죠~ 그 후임들께서는 나눠 가지셨나 아님 자이나 수행자들 처럼 신도회가 운영하는지 모르겠네요~ 하기야 세습까지 하는 교회의 소유는 더 이상 할 얘기도 없지요~ 홀로 깨달음의 길을 가는 집단화가 없는 무종교의 시대가 열릴 듯 하네요~ 하나님 사랑 이웃사랑~ 참 깊고 오묘하지요~ 강교수님 감사합니다~

    • @peanutohara
      @peanutohara Před 13 dny +1

      집단화가 없는 무종교의 시대가 도래한다는 말씀에 많은 공감이 갑니다. 불교, 기독교, 카톨릭 모두 집단화되어 교리화와 교조화가 진행됨으로써 이제는 돌이킬 수 없는 상황이 된 것이 안타까울 따름입니다. 문제는 모두가 알고 공감하지만 해결방법이 안보이는 것 또한 문제점이 될 것입니다. 어느 정도까지 내 안에 내재한 신성을 스스로 찾아 가는 길이 이어지다가 모두가 같은 경험을 했다는 것을 이해한 뒤에야 한 점으로 모이겠지요

  • @user-sf5sz3qr4b
    @user-sf5sz3qr4b Před 15 dny +3

    교수님 큰 깨우침을 주시니
    항상 감사드립니다...

  • @joojak57
    @joojak57 Před 13 dny +4

    말씀 잘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noeldad1
    @noeldad1 Před 24 dny +11

    강성용 교수님 강의 스타일은 참 특이해요....듣다보면 매력에 빠집니다. 언뜻봐선 논점들을 흩뿌려놓고 jump around하는데 이해가 나아가면 이게 전체적으로 맞추어진다는 느낌입니다.

  • @user-ri9zo5lk3r
    @user-ri9zo5lk3r Před 24 dny +6

    좋은 강의 입니다~~

  • @Masanmann
    @Masanmann Před 25 dny +6

    교수님 감사합니다

  • @user-yn4fh1yt3b
    @user-yn4fh1yt3b Před 25 dny +7

    감사합니다

  • @user-mu2xj7xz5f
    @user-mu2xj7xz5f Před 22 dny +3

    감사하고 사랑합니다..!!

  • @user-gb1kl3uk7r
    @user-gb1kl3uk7r Před 19 dny +2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 @hjkang8585
    @hjkang8585 Před 19 dny +1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 @mkfive1000
    @mkfive1000 Před 24 dny +7

    다른 견해에 "그럴수도 있지" 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그 다른견해의 필사본도 다 보관하고 있었다는게 놀랍네요.. 결국 자이나교의 그런 태도로 인해 당대사상의 많은 자료들이 보존되었다는게 참 신기합니다.

  • @jeahwalee5533
    @jeahwalee5533 Před 25 dny +7

    많은 메세지를 받았읍니다

  • @ALETHES
    @ALETHES Před 22 dny +3

    17:04 Optative 오랜만에 들어보네요 ㅋㅋㅋㅋㅋㅋ 그리스어의 경우 희구법이라고 번역합니다.

  • @user-gf6pp9co2t
    @user-gf6pp9co2t Před 25 dny +10

    고따마 붇다께서 말씀하셨다. 걸어서는 결코 세상의 끝에 도달하지 못하지만 세상의 끝에 도달하지 않고서는 괴로움에서 벗어남도없다네. 상윳따니까야 로이땃사의 경.

    • @mind-stay
      @mind-stay Před 22 dny +3

      적마여, 난 한길밖에 안되는 몸으로 세간과 세간의 발생과 세간의 소멸과 세간의 소멸로 이끄는 길을 설명하리라. 어떤것이 세간인가. 오온을 말하는 것이다 ᆢᆢ 나무불법승()()()

    • @user-gf6pp9co2t
      @user-gf6pp9co2t Před 22 dny

      한길은 미터로 얼마죠?

    • @mind-stay
      @mind-stay Před 22 dny +1

      @@user-gf6pp9co2t한길 尋ᆢ '尋은 고대의 길이의 단위ᆢ . 사람의 두 배를 헤아린 것이 '尋'이 되니 8 尺이다.

    • @user-gf6pp9co2t
      @user-gf6pp9co2t Před 22 dny

      ​@@mind-stay고맙습니다.

  • @joskancho6559
    @joskancho6559 Před 19 dny +1

    이시대 금같은 명강의입니다

  • @hyunsungphi3256
    @hyunsungphi3256 Před 11 dny

    교수님 항상 귀한말씀 감사합니다

  • @ALETHES
    @ALETHES Před 22 dny +4

    27:20 명쾌하네요. 힌두교 눈치보느라 대승불교라는 이상한 기형적 종교를 만들어 놓고 정작 초기불교와는 멀어진 채 힌두교와 별 구분도 안 됨

    • @user-nk2ov4lq2b
      @user-nk2ov4lq2b Před 17 dny +1

      사실 대승불교는 힌두교영향도 있지만 중앙아시아 조로아스터교 영향도 큽니다 보살사상 천국지옥이 조로아스터교에서 온거라는 설도 있거든요

    • @real9140
      @real9140 Před 17 dny +1

      근데 힌두교도 대승불교 영향받음

    • @ALETHES
      @ALETHES Před 17 dny +1

      @@user-nk2ov4lq2b 그게 맞을 겁니다. 하물며 기독교 천당 지옥 개념도 조로아스터가 원조니까요

    • @ALETHES
      @ALETHES Před 17 dny +1

      @@real9140 그렇죠 대표적으로 희생제의가 중요했던 브라만교에 비해 힌두는 굉장히 소를 신성시하는 방향으로 급선회 했으니까요

  • @user-nk2ov4lq2b
    @user-nk2ov4lq2b Před 17 dny +4

    인도는 별로 이미지가 안좋아서 불교가 인도에서 살아남지 않은게 오히려 더 좋은것같기도 하고??. 지금 인도에 있는 대부분 불교도들도 현대에와서 불가족천민들이 카스트에 반기들고 한꺼번에 개종한거라서...

  • @sunghoonkwon6960
    @sunghoonkwon6960 Před 20 dny

    천주 8:43 교인이 강성용 교수를 찾아 불교 방송에 들렸습니다😊

  • @user-gf6pp9co2t
    @user-gf6pp9co2t Před 25 dny +4

    고따마 붇다께서 말씀하셨다. 너의 마음을 지배하지 않으면 그것이 너를 지배 할 것이다.

  • @bahkbahksa8339
    @bahkbahksa8339 Před 11 dny +2

    불교의 문제점을 객관적 증거를 통해 제시합니다.
    별볼일없는 자이나 보다도 불교는 못하지 않느냐 ? 이겁니다.

  • @thelibrary5972
    @thelibrary5972 Před 17 dny +2

    거의 모든 종교들은 이름만 다른뿐 영혼 불멸의 사상이 있다. 이것이 없는 것이 진짜라는 말을 하고 싶다.

  • @Pastime
    @Pastime Před 25 dny +5

    불교의 진리를 알지 못하고 겉으로 보이는 것으로 비교하고 판단해서는 안됩니다.
    부처님 당시에도 사견을 가진 제자도 있었고, 외도들이 자신들과 다른게 무엇이냐고 수많은 질문이 있었지만
    그들의 수준에서는 절대 생각해 낼 수 없는 명쾌한 답을 하셨습니다.(사성제 팔정도, 12연기)
    부처님은 새로운 세상을 만든게 아니고 그 이전부터 그리고 부처님 이후에도 계속 존재하는 것들에 대한 깊은 통찰을 통한 깨달음을
    가르쳐 주신 것입니다. 이 세상 그 누구도 어떤 철학자도 감히 범접할 수 없는 수준이지요~
    즉 초월적 통찰로 꿰뚫어 본 진리를 말씀하시는 것이니 부디 바른 견해와 바른 정진을 통하여 체험적으로 느껴 보시기 바랍니다

    • @user-vp8xj7je3l
      @user-vp8xj7je3l Před 24 dny +5

      초월도 미망인데
      가보지 못한자들이 미지의 세계를 만들어 추종하네

    • @selfsacrifice1726
      @selfsacrifice1726 Před 22 dny

      ​@@user-vp8xj7je3lㅠㅠㅠㅠㅠ

    • @user-nk2ov4lq2b
      @user-nk2ov4lq2b Před 17 dny

      이 영상에서는 불교에게 쓴소리 많이하시지만 이 교수님 다른영상 찾아보면 불교공부하는데 도움되는 강의 많이해주셨어요

    • @selfsacrifice1726
      @selfsacrifice1726 Před 16 dny

      @@user-nk2ov4lq2b 한국불교에게

  • @harenochikoo
    @harenochikoo Před 19 dny +1

    레벨이 다름

  • @user-qx3ey3so6b
    @user-qx3ey3so6b Před 19 dny

    어렵다.

  • @user-ik7dd3cw6b
    @user-ik7dd3cw6b Před 11 dny

    자이나교 배울점도 있지요.허나 벌거벗고 다니는건
    부끄러움 수치심을 상대가 느끼는줄 모른다는거죠.
    시베리아 벌판에 데려다놔도 벌거벗고 있을까요?
    또하나..개미한마리 죽을까봐 빗자루로 쓸고 다니고 물도 걸러 먹는다는데..그렇게 생명체를 애민히 여긴다해도 모르게 죽게돼있죠? 그정도면...자신이 굶어 죽어 버리면 생명체 해칠일이 없는데 왜 사는지?
    우리나라 불교도 자이나교 영향이 있긴 있어요

  • @dokpark5547
    @dokpark5547 Před 22 dny +1

    조계종은 밋밋하고, 답답하죠 견성 만능주의
    차라리 ,뜰앞에 잣나무, 대신에 모래정원을 만들라, 한국식 석정원으로 마음공부, 힐링을 위하여, 현대는 시각적 비주얼 시대
    오클랜드에서

  • @user-zs7qm3uf1q
    @user-zs7qm3uf1q Před 22 dny +2

    자살은 자기가 자신을 살해하는것인데 그것도 자신이 주체적으로 선택한 것이어서 허용해야 하는죽음입니까?.....

    • @user-ij7vj7bb4q
      @user-ij7vj7bb4q Před 19 dny +4

      연명치료를 스스로 종료할 결정을 하는것과 자살을 같은선상에 놓고 말씀하시는가요?

  • @fackyoo
    @fackyoo Před 24 dny +7

    불교가 인도에서 사라진게 아니라 힌두교로 스스로 녹아든 것이다

    • @user-hw4dm4zm6q
      @user-hw4dm4zm6q Před 24 dny

      흰두교는 중도가 없는데...인도의 사람들이 수준이 낮은 것에서 비롯된것임

  • @haruka7249
    @haruka7249 Před 23 dny +1

    일본에 불교 사찰은 개인소유인데요
    세계적으로 일본불교가 젤 보존잘된거 같은데요

    • @user-mb1ii6rl8z
      @user-mb1ii6rl8z Před 21 dnem

      일본의 불교는 탄압에의한 멸절의 시기가 있지않았지요.교수님의 결과론적 으로 해석 하면 그 중의 한가지 원인중에...

    • @user-zx7ws6ig1y
      @user-zx7ws6ig1y Před 20 dny

      일본불교는 불교라고 할수 없을 정도로 망가진 불교인데요...

    • @ALETHES
      @ALETHES Před 19 dny +1

      그걸 반론이라고 얘기하는 겁니까? 2차 세계대전 전까지 일본 열도에 외세가 들어온 적이 없는데 그거 보존 못하는 게 이상한 거 아님? 그나마도 변형 많이 된 거구만 무슨 이슬람 침공 당한 중세 인도랑 비교를 하고 앉았어 ㅉㅉㅉ

    • @user-nk2ov4lq2b
      @user-nk2ov4lq2b Před 17 dny

      일본불교는 많이 세속화되었지만 학문수준은 높다는데 이미지도 멋지게 포장해서 서양에 불교(젠불교)전파한것도 일본이니까 마냥 폄하할수는 없음

    • @user-zx7ws6ig1y
      @user-zx7ws6ig1y Před 16 dny +1

      동국대에서 하는 국제학회행사에 티벳스님스리랑카스님 일본스님이 왔다는데 일본스님은 기른머리에 기름까지 바르고 양복에 넥타이매고서 식사자리에서 소주시켜서 먹더라 당연 결혼해서 처자식있고

  • @user-gf6pp9co2t
    @user-gf6pp9co2t Před 25 dny +4

    예수의 가르침은 신학자들의 의해 파괴되었고 끄리슈나는 역사가들의 의해 파괴되었고 자이나교의 교주 마하비라는 하나의 지역적인 현상에 불과하다. 하지만 고따마 붇다의 가르침은 어떤 존재도 파괴시킬 수 없을 정도로 견고한 체계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의 제자들이 가장 창조적이다.

    • @user-ny9yn7zx5q
      @user-ny9yn7zx5q Před 24 dny +2

      틀린 말은 아닌데요
      교수님 말씀은 그 가르침을 현재
      제대로 실천하는지 돌아봐야
      한다는 말씀으로 들리네요

    • @user-gf6pp9co2t
      @user-gf6pp9co2t Před 24 dny

      라즈니쉬가 한 말입니다.

    • @user-gi6mz7ot6j
      @user-gi6mz7ot6j Před 13 dny

      어려워요!

  • @kwangee194
    @kwangee194 Před 20 dny

    뭘 말하려는 것인지? 정리가 안되네요..

  • @user-gf6pp9co2t
    @user-gf6pp9co2t Před 25 dny

    Kamma:빠알리어.Karmma:산스끄리뜨어

  • @user-dm3zh2mv1i
    @user-dm3zh2mv1i Před 7 dny

    백수 지식인

  • @user-ig8wl2hs8r
    @user-ig8wl2hs8r Před 23 dny +1

    솔직히 불교에서 자이나교에서 무얼 배워야는지 모르겠어요...사회적 역기능이야 다른 종교에도 있는건데? 그런 의미에서도 자이나교는 불교에서 배울 것 없나요?

    • @user-nk2ov4lq2b
      @user-nk2ov4lq2b Před 17 dny +1

      강성용 교수님 다른 강의에서 슈라마나(자이나교포함) 수행교단에서 붓다 철학탄생이 혁명적이었다고 말씀해주셨음 유튜브에 이 교수님 강의 많더라구요

  • @maceve859
    @maceve859 Před 25 dny +4

    무슨말을하려는건지 이해가 잘안가네요.. 누가좀 요약좀부탁드려요

    • @moisture5840
      @moisture5840 Před 25 dny +4

      학생들 교과목 공부하듯이 답이 정해져 있지 않아서 요약이 불가능합니다. 여러번 듣고 정보를 찾아보고 하셔요.

    • @user-ny9yn7zx5q
      @user-ny9yn7zx5q Před 24 dny +5

      저도 어렵지만
      자이나교가 살아남은 이유가 뭔지
      말씀하셨고
      불교에서 하는 의식이 불교교리와
      일치하느냐를 질문하셨고
      대승불교가 소승보다 더 낫다고
      하는 우월의식이 있는데
      현재 과연 그런 생각이 맞다고
      할 정도로 불교계가 잘 하고 있는지
      돌아봐야 한다는 말씀 아닐까요!

    • @haruka7249
      @haruka7249 Před 23 dny +1

      정답은 없어요
      불교에 대한 이해의 깊이와 폭아 다 다르니까요

    • @ALETHES
      @ALETHES Před 22 dny +3

      - 질문을 계속 던지는 강의를 하겠다.
      - 자이나교라고 무소유는 아니다. 비리 포함 할 거 다 한다.
      - 장님 코끼리 만진다고 손가락질 하는 우리는 코끼리를 제대로 보고 있는가
      - 대승불교가 잘난 게 아니다, 그렇다고 틀렸다고 하기도 뭐하다. 하지만 어떻게 보면 모순적이라고 볼 수 있는 부분은 분명히 존재한다.
      - 인도에서 자이나교가 불교와 달리 살아남은 이유는 출가자들의 사유재산을 인정하지 않아 사찰이 온 신도의 것이었고 이슬람 침공 시 승려들만 죽인다고 사찰이 무주공산이 되는 게 아니었기 때문이다.
      - 자이나교는 정체성이든 본인들의 인식이든 힌두교와 구분도 모호하다,
      - 즉 앞서 주장한 자이나교는 사원경제가 사유화되지 않아서 인도에서 살아남았다는 게 맞다는 것이다.
      - 그렇다고 자이나교 신도들이 무작정 타 종교와 잘 섞이는 것도 뭐하다, 즉 딱 잘라서 말할 수가 없다.
      - 오늘 얘기한 3가지 주제 35:50
      - 추가적으로 인도에서의 죽음을 맞이하는 전통적인 사고관과 한국에서의 죽음과의 비교. 주체적인 죽음에 대해 한국 사회가 자이나교를 보고 고찰해봐야 한다 (깨알같은 기독교 디스)

  • @user-pk9if6tt3r
    @user-pk9if6tt3r Před 25 dny +3

    사성제와 팔정도로 완성된 부처님의 가르침이 모자라서 다른 종교에서 뭘 또 배워야 된다고? 뭐에 대해 얘기를 할려면 먼저 그에 대해 이해부터하고 해라!

    • @dokpark5547
      @dokpark5547 Před 22 dny

      그래서 불교는 인도에서 사라지고요..

    • @user-gf6pp9co2t
      @user-gf6pp9co2t Před 22 dny

      자이나교는 결국 세계종교로 발전하지 못하고 특정지역의 종교가 되었습니다.

    • @user-nk2ov4lq2b
      @user-nk2ov4lq2b Před 17 dny

      주제가 배워야할점을 찾으라고 해서 강연해주신거고 다른강의보시면 자이나교보다 불교에 더 우호적이심 고행을 통해 수행하는 종교들(자이나교 포함)사이에서 붓다사상은 혁신적이라고 해주셨던 기억이... 유튜브에 검색하시면 교수님 강의 많이나옵니다

  • @odysseylee6881
    @odysseylee6881 Před 20 dny

    이친구는 머리에 들은 것도 있고 하니, 윤석열이 대통령되면 어케 되는지 정도는 감을 잠을 지성인 인디,?? 침묵 /방임/ 무임승차 당신께서는 박종철 이한열 같은 분에게 빚이 있습니다. 지성인 답게.. 그리고 클릭수는 약간만 멀리하시고 용감하게 이끌어 주세염
    답글

    • @ALETHES
      @ALETHES Před 19 dny

      한국말을 좀 똑바로 해라. 윤석열이 술 처마셔도 너보단 IQ가 높겠네 ㅉㅉㅉ

  • @seungdongkim7202
    @seungdongkim7202 Před 25 dny

    푸하하하하......, 붓다를 정한 자이나교의 말이 재미 있네요. 완전 틀리다 할 수는 없어요. 장성용 교수님은 비관용적이라고 했지만, 사실 2600년을 지나온 불교의 문제점을 보며는 그러한 면이 전혀 없다고 할 수는 없으니까요. 물론 붓다는 진실만을 추구했고, 진실한 삶 만을 살려고 했던 성인이라는 것은 맞습니다. 단지 인류의 역사를 보면 그의 가르침이 미친 영향은 과연 신으로 추천받을 만한 것이였나는 아니라는 것이죠. 물론 예수도 마찬가지고 노자로부터 출발한 유교도 마찬가지 입니다. 이런 엉터리 것들을 하나 더 만들 필요가 있는가? 하는 것이 나의 화두였습니다. 부처나 예수도 그리고 노자도 훗날 자신의 가르침이 참 별것 없었다. 그 당시에는 정말 하늘이 열리고 세상이 확 바뀌는 시작이라는 것을 확신하고 또 확신했겠지만, 그것이 지나온 역사를 보면 아마 차마 고개를 못 들고 다닐 것입니다. / 물론 모두가 현재 현실에서 최선을 다할 뿐이라고 말할 수 있지만, 최소 깨달았다고 한다면 그 정도는 집어볼 능력이 있거나 그럴려고 노력은 끊임없이 해야 했습니다. 그랬다면 자신들이 남긴 유산들이 얼마나 하찮은 것들이였는지 알게 되었을 텐데... 헛된 노력이였다는 것을...

    • @gss9572
      @gss9572 Před 25 dny +1

      유교가 노자로 부터 시작?ㅋ

    • @user-vp8xj7je3l
      @user-vp8xj7je3l Před 24 dny +2

      유산을 남기라고 부처가 말한적 없는데
      고통을 벗어나라고 했을뿐인데
      ㅋㅋㅋㅋㅋㅋ

    • @seungdongkim7202
      @seungdongkim7202 Před 24 dny

      @@gss9572 한국인. 아는 것은 없는 자들.

    • @seungdongkim7202
      @seungdongkim7202 Před 24 dny

      @@user-vp8xj7je3l 글을 읽어라. 부처 자체가 인류에게 유산이라는 것이다.

  • @John-vg6yg
    @John-vg6yg Před 21 dnem +1

    역사는 어떤 질문에 대하여 답에 관한 합의에 의하여 역사가 바뀐 것이 아니라.
    '이 질문이 진짜 중요해 '라고 사람들이 모두 생각하면 세상이 바뀐다.

  • @subuticho5014
    @subuticho5014 Před 13 dny

    항상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대승이랍시고 소승이라 멸시할 필요도 없고 다 없어져 버린 빨리어 니까야를 1700년대 중반이 넘어서 태국에서 빌어와서 복구한 뒤에 마치 붓다의 직접말씀처럼 구라치는 테라와다 상좌부의 전통 거짓말도 맹목적으로 믿지 말고 고타마 싯탈타 그 분의 말씀처럼 내 안에 섬처럼 4선정에서 찾아낸 그곳을 중심으로 정진하라는 말씀 감사합니다.

  • @user-kk7yv3rg8f
    @user-kk7yv3rg8f Před 11 dny

    종교
    그렇게도
    많고 많은데
    과연 인간들은?
    내꺼 니꺼
    가보니
    도루묵이나 먹고 소주한잔이
    참 인생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