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상욱 교수 | 지구 온난화의 주범은 '인간'일까 '태양'일까? 과학적 팩트로 알아보는 기후 위기의 핵심 [환경읽어드립니다]

Sdílet
Vložit
  • čas přidán 31. 05. 2024
  • 출연 : 김상욱 물리학자
    0:00 오프닝
    2:27 가장 드라마틱했던 지구의 온도 변화
    4:19 기후 위기가 오면 우리에게 어떤 일이 벌어질까?
    5:24 지구의 온도가 오르는 이유
    13:13 탄소 배출을 급속도로 줄이는 것은 공정한 일인가?
    18:52 이 세상에 공짜는 없다! 에너지 보존의 법칙
    24:48 우리가 지구를 위해 당장 할 수 있는 일
    사피엔스 스튜디오에서 준비한 새로운 지식형 인사이트 콘텐츠!
    인포테인먼트 컨퍼런스 '환경 읽어드립니다'
    TVING 테마관 방문하기✨
    : m.tving.com/app/theme.tving?p...
    #사피엔스 #환경읽어드립니다 #김상욱물리학자

Komentáře • 4,9K

  • @sapiens_studio
    @sapiens_studio  Před rokem +169

    우리의 지구를 아끼는 방법! 환경읽어드립니다 정주행하기😎
    👉 czcams.com/play/PLWFNKrYyaIP464QPIQEF0ttrpnB21keNa.html

    • @helenbringhurst767
      @helenbringhurst767 Před rokem +5

      Q10 z

    • @MrHhs006
      @MrHhs006 Před rokem +2

      온실가스를 재활용 에너지로 개발한다면 어떨까요 ?

    • @user-cj8xb5yu1s
      @user-cj8xb5yu1s Před rokem +11

      구라치지 마세요? 지구온난화? 이건 빙기에서 간빙기로 넘어가는 자연스러운 자연현상일 뿐입니다 ㅋ

    • @perising
      @perising Před rokem +2

      이 영상 물리학자의 이야기도 세상모든 주장중 극히 일부에 지나지 않는다

    • @perising
      @perising Před rokem +1

      @@user-cj8xb5yu1s 이러니 인간은 바이러스가 돼버리는 것이지

  • @Hi-un6gb
    @Hi-un6gb Před 2 lety +3236

    돈룩업 이라는 영화를 보고 절망에 빠졌습니다. 블랙코메디 라고 하기에는 너무 현실이 그대로 반영된 모습으로 보였습니다. 혜성이 지구와 충돌한다고 과학자가 아무리 떠들어도 지구가 멸망할때 까지 정치적 경제적 개인적으로 이용해 먹을 생각만 하고 편갈라서 싸우느라 정신없어서 아무도 대책도 세우지 않습니다. 현재 우리모습을 보는것 같았습니다.

    • @jiwonpark2844
      @jiwonpark2844 Před 2 lety +93

      저도요... 저는 kurzgesagt 라는 채널의 optimistic nihilism 이라는 동영상을 보면서 자주 위안을 얻어요. 추천추천

    • @pain9498
      @pain9498 Před 2 lety +75

      돈룩업 유튜브 영화 소개하는 체널에서 봤는데... 가벼운 둣 하면서 날카로운 영화더군요~ 연기도 좋고

    • @user-nv6rp7km5i
      @user-nv6rp7km5i Před rokem +85

      기우위기로 죽는 것
      코로나 질병으을 죽는 것
      폭망경제로 굶어 죽는 것
      요즘은~ 화병으로 오늘 당장 돌아~!

    • @user-nv4he5bx4t
      @user-nv4he5bx4t Před rokem +14

      @@filmsalang5870 인구 감축이 되면 지구로 곧 바로 날라오는 혜성이 빗겨가나요?

    • @filmsalang5870
      @filmsalang5870 Před rokem +46

      @@user-nv4he5bx4t 혜성이 날아와 지구를 때리는 엉터리 같은 일은 적어도 수천년이 지나도 일어나지 않습니다. 이 영화는 스토리가 아니라ㅡ디테일한 미장센으로 해석해야하는 영화입니다. 스토리는 원래 소설처럼 그럴버봔 꾸며진 이야기 입니다.

  • @manabob5714
    @manabob5714 Před 2 lety +252

    내 생각에는 절대 기후변화 못막을걸
    몇십년후의 생존보다는 오늘 내일의 패권이 더 중요한데 인간이 전체의 합의를 이룰가능성은 너무낮다

    • @sun2627
      @sun2627 Před 2 lety +15

      그쵸 망하기 직전까지는 멈추지 않을듯

    • @user-sd1mb2ql6m
      @user-sd1mb2ql6m Před 2 lety +36

      저는 가능성 있어보여요ㅋㅋ 정작 이것조차 패권으로 다루는 분위기라서요ㅎㅎ 유럽이 러시아로부터 오는 가스관에 유지하는게 좀 있는데 그거때문에 러시아에 휘둘리는게 좀 있었거든요. 기후변화에 대처한다는 명분으로 여기서부터 빠져나가고 심지어 미국도 동참한다 선언했어요. 앞으로 탄소세라는걸 부과하면서 중국과 다른 개발도상국에서 싼갚으로 파는 물건들에 돈을 더 부과할거에요. 겉으로는 환경을 위한다는 좋은 명분이 있지만 사실 세계에서 자기들 제품 가격경쟁 하려 하는거거든요 ㅡㅋㅋ 자기들은 미리 신재생에너지 인프라는 다 깔아둬서 탄소세 재대로 부과 시작하면 경제패권이 유럽으로 이동할수 있거든요. 미국입장에서도 중동지역이 석유 가격 가지고 쥐락펴락 하는 힘을 뺏을수 있는거구요. 심지어 아랍에미리트도 탄소중립 하겠다고 선언했어요. 좋던 싫던 이 흐름에 동참 안하면 탄소세나 다른 제약들 때문에 경쟁에서 도태될것이 뻔하니까요. 인류가 다같이 으쌰으쌰 하면서 해결하는게 아닌 패권싸움의 영역으로 끌어와서 해결하는것이 좀 씁쓸하긴하지만.. 별수있나요ㅎㅎ

    • @user-nc8ix4iz8z
      @user-nc8ix4iz8z Před 2 lety +8

      님 어차피 과학 기술 발전하면 다 해결됨 무슨 탄소 중립 지킨다고 규제하고 이런데 돈쓰지말고 탄소가 안나오면서도 제품을 생산해낼 수 있는 과학기술에 투자 하는게 생존율이 더 높아짐 무슨 전체 합의보다 돈 때려 박는게 더 좋을 가능성이 높음

    • @user-sd1mb2ql6m
      @user-sd1mb2ql6m Před 2 lety +9

      @@user-nc8ix4iz8z 그래도 규제없으면 발전의 원동력이 없어서요ㅠㅠ 어느 기업이 돈쓰면서 탄소배출 줄일수 있는 사업에 투자할까요? 줄이기만해서는 답없는건 매우동의합니다. 지금 산업이 석유석탄 위에 서있는것도 사실이구요!

    • @Hn-ze3vc
      @Hn-ze3vc Před 2 lety +13

      @@user-nc8ix4iz8z 규제랑 시장확대랑 연구투자는 다 같이 가는겁니다

  • @user-de4bm8el9f
    @user-de4bm8el9f Před 9 měsíci +16

    온도가 오르고 빙하가 녹아내려도 인간에게 위기일지 몰라도 지구는 아무이상없습니다.
    정상 입니다.

  • @heesoomaeng7906
    @heesoomaeng7906 Před rokem +40

    논리적이며 이해하기 쉬운 강의 감사합니다.

  • @user-fi9ie5gx4l
    @user-fi9ie5gx4l Před 2 lety +42

    많은 사람들과 계층들이 넓게 인식하도록 교육과 실천 운동의 필요성이 느껴지네요

  • @jungin.y
    @jungin.y Před rokem +58

    요즘 많은 관심을 두고 있는 주제인데 편하게 좋은 강의를 들을 수 있어 너무 감사합니다.

  • @user-gq2rp1ig2m
    @user-gq2rp1ig2m Před rokem +202

    기후변화에 관심이 많아서 항상 책을 찾아 읽어보는데 이번에 이렇게 영상으로 볼 수 있는 기회가 생겨서 너무 좋아요. 너무 유익한 내용을 재미있고 명쾌하게 설명해주셔서 너무 감사합니다.좋은 영상을 많은 사람이 보았음 좋겠어요.

    • @JJ-xs3om
      @JJ-xs3om Před rokem +5

      환경에 관심이 많으시면 Pierre Charbonnier의 culture écologique 라는 책 번역본 찾아서 읽어보세요 교수님이 말씀해주신걸 조금더 디테일하게 설명해줍니다

    • @dontknowyet8358
      @dontknowyet8358 Před rokem

      관심은 많은데 책 읽긴 싫네요

    • @mr.fuckii
      @mr.fuckii Před rokem +3

      노벨 수상자및 1000명 이상의 과학자와 기후전문가들이 지구온난화는 거짓말이다라고 말하는데 이 사람은 자꾸 거짓말을 하고있네요. 지구온난화 상업화로 인한 돈이 어마어마 하다고 합니다

    • @harrybaek2453
      @harrybaek2453 Před rokem +8

      ​​@@mr.fuckii 지금까지 노벨상을 수상한 수상자 모두를 합쳐도 1000명이 안됩니다. 이상한 유튜브 보지 마시고 정상적인 자료를 찾아서 보세요.

    • @TheSubsistencePerspective
      @TheSubsistencePerspective Před rokem +4

      @성이름 에휴... 선생님.. 선생님이 보는 유튜브는 대부분 제대로 알지도 못하는 사람들이 하는 헛소리예요

  • @Hicoi
    @Hicoi Před rokem +12

    정말 좋은 강연이네요! 다시 한 번 지구에 대해 생각해보게 됐어요!!!

  • @anej4710
    @anej4710 Před 2 lety +72

    항상 귀를 기울이게 되는...
    믿음가는 교수님!

  • @user-yt9ht1ys4d
    @user-yt9ht1ys4d Před rokem +29

    김상욱.교수님
    강의 대단하시구요~
    많이 배우고 감사드립니다

  • @user-lk2yv4he5l
    @user-lk2yv4he5l Před 11 měsíci +9

    운전하면서 라디오로 들으면 딱입니다.
    교수님
    감사합니다

  • @borameagles
    @borameagles Před 11 měsíci +9

    기후학자뿐만 아니라 물리학자도 이런 이야기를 해야한다고 말씀하시는 부분에 감탄했어요. 전문가도 아니면서 지가 뭔데 떠드냐 이런 말 나올 수도 있는데..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 @user-ul7ng4fp8t
    @user-ul7ng4fp8t Před rokem +183

    정말 좋은 강연이네요. 쉽게 잘 풀어서 접할 수 있게 설명해주신 교수님과 후원처에 감사드립니다

  • @user-lb2qd3ll7i
    @user-lb2qd3ll7i Před 2 lety +25

    감사드립니다.교수님..
    존경합니다.

  • @user-bx2hm5sj5f
    @user-bx2hm5sj5f Před rokem +5

    유익한 이야기 잘 듣고 갑니다.

  • @user-pw1nx9rr1t
    @user-pw1nx9rr1t Před rokem +1

    간단명료 일목요연 간결해법 이네요 감사합니다.

  • @user-hq7im5up6v
    @user-hq7im5up6v Před 2 lety +17

    제 멘토이신 김상욱교수님의 훌륭한 강의 감사히 듣겠습니다:-)

  • @lhakasel
    @lhakasel Před 2 lety +216

    마지막 부분은 깊이 공감합니다. 일반 가정에서 플라스틱 소비 줄이고 전기 사용을 줄인다한들 환경에 주는 영향은 미비합니다. 사회구조가 기본적으로 과공급을 베이스로 하고있고, 그로 인해서 공장 가동률이 높으며, 전기를 계속 사용할 수 밖에 없는 구조적인 문제라봅니다.
    범국가적 차원에서 제대로된 솔선수범이 없다면 사실상 그대로 가지는 의미로 해석됩니다. 그 누구도 양보하지않고 이기적인체 후대에게 떠 넘기는거죠.
    우리가 쓰는 인터넷 또한 마찬가지로 사용 시 서버를 냉각 해야해서 이산화탄소 배출입니다. 의미가 없는거죠. 배출을 멈춘다는 것 자체가.
    과연 언제 누가 움직일까요? 참 궁금합니다. 아이들을 위해서라도 생각해볼 문제입니다.

    • @user-nd9hl5oo6g
      @user-nd9hl5oo6g Před 2 lety +47

      일단 기본적으로 그나마 인구 감소가 해답은 아닐지언정 조금 도움은 될수있는 부분이라 보네요 .. 애 낳으면 애국이니 뭐니 하고 있는데 한국 국력을 생각할게 아니라 인류 전체를 생각하면 안낳기를 권하는게 맞다고 봅니다.

    • @junslee8069
      @junslee8069 Před 2 lety

      그걸 바닷속에 지으니 바다의 수온이 상승하는 효과에 아주 작게나마 영향이....

    • @liling7496
      @liling7496 Před 2 lety +9

      @@user-nd9hl5oo6g 맞아요 지금 한국의 0.6출산률은 사실 별로 심각하지 않습니다. 동독이 망해갈때 0.8이었는데 0.2밖에 차이 안나는 걸 보니 별 문제 없다고 봅니다. 인류를 위한다는 말이 참 따뜻하네요. 모든 반박을 원천봉쇄하는 주장에 가슴이 벌써 따뜻해집니다ㅠㅠ 뭣들 하시나요 인류를 위해 눈물을 흘립시다! 그러나 한국을 위해 흘리지는 말고요.

    • @wonjinpark1052
      @wonjinpark1052 Před 2 lety +33

      기후는 늘 변합니다.
      비정상이 아닙니다. 기후변화 사기꾼이
      너무 많네요

    • @smithjohn1685
      @smithjohn1685 Před 2 lety +45

      @@wonjinpark1052 귀를 닫고 사시는듯, 기후는 늘 변하는것에 누구도 반박하지 않아요. 속도가 변하는 것이 문제라는거지.

  • @mingtube8470
    @mingtube8470 Před rokem +9

    단순 지식 수준이 아니라, 생각의 깊이까지 배워갑니다 감사합니다.

  • @johnathansmith-xg7cv
    @johnathansmith-xg7cv Před rokem +3

    감사합니다
    참 좋은 공부했습니다

  • @demimosafleur6003
    @demimosafleur6003 Před rokem +247

    좋은 강의를 집에서 접할 수 있다는 것에 감사합니다 김상욱 교수님 진짜 최고에요 기후위기에 대한 경각심을 다시 한번 얻고갑니다

  • @Maria-fi7ux
    @Maria-fi7ux Před 2 lety +10

    감사합니다 처음으로 수준높은 과학을 공부했습니다 ☺️👍❤️☺️👍❤️

  • @user-nm4iw8tn5c
    @user-nm4iw8tn5c Před 9 měsíci +6

    따뜻한 물리학자 김성욱교수님의 강연을 들으니 적게먹고,적게입고,적게 쓰는 생활이 가장 기본이 되어야 "지구의 위기"라고 착각한 "인간의 위기"를 극복할수 있다는것을 더욱 알게되었습니다. 강연 감사합니다🙏

  • @esj1368
    @esj1368 Před rokem +15

    막막하기만 하던 내용인데 좀더 현실감 있게 얘기해주셔서 좋았어요. 모두가 다음 세대를 위해서 정신차려야 하는거군요. 어려운 일이지만 최대한 에너지 적게 쓰도록.. 새겨 듣겠습니다.

  • @bioskim1822
    @bioskim1822 Před rokem +87

    지구온난화에 대한 문제를 본질적으로 이해하게 됐습니다. 강의와 영상 감사합니다

  • @user-me4id7rs1y
    @user-me4id7rs1y Před 2 lety +100

    뭐든지 적정한 것이 좋군요 이제는 우리 개인 한사람 한사람 이라도 지구 환경에 대한 관심과 자각이 필요 하다고 생각합니다
    교수님 강의 잘 들었습니다 쉽고 재미있었습니다

  • @user-wc3gw9fh6z
    @user-wc3gw9fh6z Před měsícem

    이런 좋은 강의를 들을수있어서 감사합니다

  • @NOplanet
    @NOplanet Před rokem +18

    오, 정말 좋은 강연이네요! 사람들이 정말 환경의 심각성에 많이 관심을 가지게 되기를… 😢

  • @soan_sam
    @soan_sam Před 2 lety +167

    어려운 것을 쉽게 설명해주시는 교수님. 존경합니다^^

    • @yesiapsa
      @yesiapsa Před 2 lety +3

      선생님!! 영상 너무 잘보고 있습니다

  • @jaylee979
    @jaylee979 Před 2 lety +15

    교수님. 최고 . 👍

  • @user-is1ve3jz9x
    @user-is1ve3jz9x Před 10 měsíci +3

    반대되면서 동질감 있는 내용 바랄때에 무척 반갑네요ㆍ
    감사합니다

  • @user-cv5pf7fd7f
    @user-cv5pf7fd7f Před rokem +3

    좋은 공부 했습니다.........감사합니다

  • @sehyunpark4769
    @sehyunpark4769 Před 2 lety +26

    25분동안 집중해서 들었고 또 많은것을 배웠습니다. 좋은 강연 감사드립니다.

  • @sung-sukhilaire7149
    @sung-sukhilaire7149 Před rokem +7

    최고 강의 공감!감사해요.

  • @retail3519
    @retail3519 Před 6 měsíci +6

    요즘엔 정말 날씨가 변덕스럽죠. 그러다보니 기후변화에 관심이 생길 수밖에 없는 것 같아요. 집에서 이런 명강의를 들을 수 있다는 게 얼마나 큰 행운인지 몰라요! 지구가 아프지 않은 날이 왔으면 좋겠어요.

  • @user-fj4zm8pf8b
    @user-fj4zm8pf8b Před 2 lety +13

    역시 김상욱 교수님! 쏙쏙들어옵니다

  • @user-pm9rg3hv2q
    @user-pm9rg3hv2q Před 2 lety +17

    각 분야에서 환경문제를 다뤄야한다는 내용이 핵심인듯 보입니다. 그래서 물리학적으로 봐라본것이구요. 아주 좋은 다룸이였습니다.

  • @user-er6sr1dq2g
    @user-er6sr1dq2g Před 9 měsíci

    잘 보고 듣고 있어요.

  • @uysjiijs81514
    @uysjiijs81514 Před 2 lety +204

    지구온난화가 해결하기 어려운 이유는 전지구적 현상이기 때문입니다..
    이 난리통에도 자국의 이익을 지키키위해 협력하지 않고, 에너지를 협박용으로 사용하고있으니말이죠..
    교수님 말씀중에 가장 와닿는 말은 "지구온난화가 심해져도 남북극 근처 지역은 오히려 살기좋아질 수 있다"
    저는 결국 엄청난 신기술이 상용화되지 않는 한 살아남을 국가만 살아남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 @user-lx6qh4og8s
      @user-lx6qh4og8s Před rokem

      중궈 공산당 쓰레기들이 자유대한민국 환경단체 수장으로 있다는 것 자체가 모순이며 사기다.전세계 모든 공산당을 박멸하는 일이 온난화 위기보다전 인류의 안전을 위해 더 시급하다.

    • @user-do5gp4sn5e
      @user-do5gp4sn5e Před rokem +5

      마더 러시아, 미국 상부, 캐다나…

    • @user-lc2gr2xv6y
      @user-lc2gr2xv6y Před rokem +3

      에너지가 협박용으로 사용된적이 있나; 특히 러시아는:; 전혀 상황을 모르는듯

    • @user-ih4ty8pq2e
      @user-ih4ty8pq2e Před rokem +24

      @@user-lc2gr2xv6y 지금 러시아가 그러고 있죠

    • @a.i2258
      @a.i2258 Před rokem +33

      ​@@user-lc2gr2xv6y 본인들은 과거에 에너지 펑펑 써놓고 기술력도 없는 개발 도상국 석탄 많이 쓰면 무역 제제하는 것도 충분히 협박임

  • @user-rg8qx5hb5p
    @user-rg8qx5hb5p Před rokem +9

    에너지 절약만이 미래세대의 위험도를 낮출수있겠군요.
    명강의 잘 들었습니다.

  • @daehakgaja
    @daehakgaja Před rokem +58

    아주 좋은 강연 내용입니다. 인간에 의한 기후온난화라는 전제가 태양에서 유입되는 에너지의 양이 줄어든다고 했는데, 그것을 발표한 나사의 의견을 전적으로 믿을 수 있느냐는 것도 중요한 고민의 문제입니다. 또 다른 문제는 현재 탄소배출에 의한 기후온난화는 대체로 산업사회였던 서구자본이 원인인데, 나머지 국가까지 해당 문제에 책임을 같이 지어야 한다는 것이죠. 선진국은 탄소배출 감소할 기술이 있으나 개도국은 해당 기술이 부족하기 때문에 해당 문제 만으로도 국제적 공정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현재도 중국과 미국이 지구에서 배출하는 탄소배출비율이 압도적으로 높으나 해당 두 국가는 기후변화협약에 가입하고 있지 않아 국제협약을 지키지 않으려 한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해당 문제들이 선결되지 않으면 이러한 탄소배출감소를 위한 정책 또한 국제적으로 기울어진 운동장일 뿐입니다.

    • @chajaemyung
      @chajaemyung Před rokem

      지구 온난화를 주장하는 나라들이 유럽에 있는 국가들입니다 ㅎㅎㅎ

    • @Tyran-rex
      @Tyran-rex Před rokem +1

      @@chajaemyung 투발루, 나우루, 방글라데시는 유럽에 있는 국가가 아닙니다

    • @CaptainPark2.0
      @CaptainPark2.0 Před rokem

      @@Tyran-rex 걔들은 지네가 먹고살려면 줄을 서야 하니까 가입한거고

    • @user-id2mk3eq3j
      @user-id2mk3eq3j Před 10 měsíci

      @chajaemyung 말투 개찐내나네 칭챙총

    • @shhlee1914
      @shhlee1914 Před 6 měsíci

      @@chajaemyung방글라데쉬 기후난민들한테 그 얘기해보셈. 뺨맞으실꺼임 ㅋ

  • @himwadda
    @himwadda Před rokem

    우리 각자가 실천할 수 있는 가능한 선 안에서 에너지 절약을 하는 것은 아주 좋은 생각이다.
    무조건이 아닌 가능한 선 안에서~

  • @casarica5
    @casarica5 Před 2 lety +35

    교수님 항상 응원합니다

  • @user-gw4eg2sl5b
    @user-gw4eg2sl5b Před rokem +11

    교수님의 강의 참 잘들었읍니다. 감사 합니다.

    • @user-xk3nu3sd3q
      @user-xk3nu3sd3q Před rokem +1

      에어컨 끄세요. 휴지는 3장만. 음식은 남기지 마세요. 되도록 걸어다니시거나 자전거를 타세요.

  • @luckshim
    @luckshim Před rokem +114

    국민들이 할 수 있는 것은 그나마 전기를 적게 사용하는게 인간이 지구의 온도를 내릴 수 있다는 점 잘 듣고 실천해 보겠습니다.

    • @user-sf8vl8we2o
      @user-sf8vl8we2o Před rokem +10

      소고기를 덜 먹어야함 소가 내는 방귀양이 어마어마하다고 함

    • @user-xw5un1mx9o
      @user-xw5un1mx9o Před rokem +2

      @@filmsalang5870 과학적으로 증명된 자료를 반박할만한 자료를 들고 오시는게 더 합리적인 것 같습니다만..? 뭘 찾아보라는거죠? 산업화 시대 이전과 이후의 기후만 비교해 봐도 답은 바로 나오는데요.. 혹시 본인이 세뇌되었다고 생각하진 않으신가요??

    • @noonting999
      @noonting999 Před rokem +1

      @@filmsalang5870전 세뇌될게요~

    • @noonting999
      @noonting999 Před rokem

      @@filmsalang5870 방금 치과 가서 9차 접종 맞고 왔어요 ㅜ

    • @noonting999
      @noonting999 Před rokem

      @@filmsalang5870 넵. 님도 얼른 보톡스 맞으세요 ㅠㅠ

  • @wkj200246
    @wkj200246 Před 8 měsíci +3

    인간이나 지구나 스트레스를 받으면 자율신경이나 리듬이 무너진다고 생각해요 현재 지구는 스트레스를 많이 받은상태라 생각됨

  • @user-rj3kc5ui5h
    @user-rj3kc5ui5h Před 2 lety +14

    이런 논리를 펴시는 것, 무척 공감하고 감사합니다.
    다만,
    더 많은 희생이라기 보다는 '더 많은 부담'이라고 해야겠지요.
    희생은 내것을 갖지 않고 주는 것인데,
    유럽이나 미국 등은 이미 많은 것을 가지는 과정에서
    탄소배출을 엄청나게 해왔던 것이니까요.

  • @mc_seimo
    @mc_seimo Před 2 lety +33

    알기 쉽게 설명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 @lovekim1004
    @lovekim1004 Před rokem +1

    안그래도 자꾸 환경문제를 엄한데 돌리고 있는 추세라 답답했는데 역시 물리학자시네요.

  • @aug28th8
    @aug28th8 Před 2 lety +142

    진정한 대가는 쉽게 설명한다, 의 좋은 예. 존경합니다

  • @user-mk2on8rz5f
    @user-mk2on8rz5f Před 2 lety +41

    천천히 정확하게 필요한 부분만 말 해주셔서 잘 이해 되었어요! 강의 잘 들었습니다~열심히 하세요!!

  • @user-jt9lw3hb1d
    @user-jt9lw3hb1d Před 4 měsíci +1

    개인이 에너지를 줄이고 안쓰는것보다 국가,기업이 에너지를 줄이고 안쓰려고 노력하는게 훨씬 더 영향이 크지... 산업용 에너지 양만 봐도 개인들이 쓰는거랑 비교자체가안되기때문에

  • @cooingly7041
    @cooingly7041 Před rokem +55

    뉴스에서 매일 보도 됐으면 좋겠네요 국민 한명한명 경각심을 가지면 좋겠어요.. 제가 아무리 떠들어도 오바한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아요ㅠㅠ

    • @user-zq9zw7ly1e
      @user-zq9zw7ly1e Před rokem +3

      너가 아무리 떠들어도 걍 앵무새잔아 그러니 오바한다고 생각하지 토론수준으로가면 어버버 할거잔아? 이거 다 봐바 통계의오류 만년에 4도니 이지랄하면서 결국 중세온난기이야긴 1도 안함

    • @cooingly7041
      @cooingly7041 Před rokem +9

      @@user-zq9zw7ly1e 어따대고 너래ㅡㅡ 저 아세요???

    • @user-zq9zw7ly1e
      @user-zq9zw7ly1e Před rokem +2

      @@cooingly7041 멍청한 인간한텐 존댓말 안함

    • @cooingly7041
      @cooingly7041 Před rokem

      @@user-zq9zw7ly1e 맞춤법도 수준이하로 틀리는 새끼가 ㅋㅋㅋ 기도 안차네 ㅋㅋㅋ

    • @user-zq9zw7ly1e
      @user-zq9zw7ly1e Před rokem

      @@cooingly7041 맞춤법드립 ㅋㅋㅋ 결국 니 최후의 반격이 그거냐 ㅋ 그래서 백신은 5차까지 맞았냐? 머가리 텅텅비어서 ㅉㅉ 니가 아무리 떠들어도 왜 사람들이 오바한다고 생각하는지 니 평소 행실보면 답나오지 ^오^

  • @cje5426
    @cje5426 Před rokem +9

    좋은강의 감사합니다😊

  • @chungsaeyoon
    @chungsaeyoon Před rokem +64

    이해하기 쉬운 설명과 강의 감사합니다~

  • @user-px6ox4mn5n
    @user-px6ox4mn5n Před rokem

    덕분입니다
    감사합니다
    덕분입니다 하면 덕볼일이생긴다네요^^ 덕되는일들이 많이있으시길 바랍니다 ~^^
    빛나는 인생되세요 ~"

  • @user-ty8ve3oz4b
    @user-ty8ve3oz4b Před rokem

    추천해 주신 에너지 적게 쓰기 실천 하겠습니다.
    되도록 걷고
    전기도 필요할 때만 켜고
    바로 끄기
    안 쓸땐 코드 뽑기
    가스도 필요 할 때만 잠깐 쓰겠습니다.
    도움 주셔서 감사합니다 ♡

  • @namgwangFortune
    @namgwangFortune Před 2 lety +3

    속이 시원하네 !!

  • @user-jf6op1di5l
    @user-jf6op1di5l Před rokem +3

    감사드립니다 교수님~😙

  • @user-vg6dm5ri3c
    @user-vg6dm5ri3c Před rokem +3

    인간인가 태양인가 뭐가 이유가되든 이미 지구의 자연재란은 시작 되었고 언제까지 어떻게 더 심해질지는 우리가 겪어야 하는 현재 시국인것을 논하기엔 이미 과정속에서 우리는 자연의 위대함앞에 무릎 꿇을수 밖에

  • @pain9498
    @pain9498 Před 2 lety +45

    개개인의 움직임은 의미 없는 것 처럼 보일지 모르겠지만, 음식 쓰레기 적게 만들기(제사 같은 거 포함해서 음식 먹을 만큼만 만들기, 식당에서 잔뜩 시켜 남기지 않기) 같은 경우 부터 대형 마트나 다이소 같은 곳에서 충동 구매 하지 않기(있는 물건을 또 사기도 하고. 옷이나 신발 사놓고 한번 쓰고 구석에 던져 뒀다가 버리기) 만으로도 탄소를 덜 만들고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겠죠. 기업 운영과 정책의 변화가 중요한 것도 분명하구요.

    • @user-uv8bk3th6r
      @user-uv8bk3th6r Před 2 lety +1

      기업 운영이 바뀌어도 결국 소비하는건 저희입니다

    • @hoggiekwon
      @hoggiekwon Před 2 lety +2

      미국같은 경우는 분리수거 안하죠… 미국에서 남겨지는 음식량이 전세계가 먹고 남을양이에요..인구작은나라에서 뭘해도 큰영향 없어요. 자본주의 사회에서 소비자들이 환경을 생각하는 기업을 서포트 하는게 먼저입니다

    • @jm-pi6cf
      @jm-pi6cf Před 2 lety +1

      완전 공감! 필요없는거 소확행이라는 명목으로 먹지도 않을 포켓몬빵 사듯이 뭐든 사는 습관이 있음! 하여간 스트레스를 소비로 푼다고 한번 쓰거나 쓰지도 않을 쓸데없는걸 자꾸 자꾸 소비함! 옷이나 신발도 살때는 예뻐서 사는건데 사실 안 입는 옷이 70%는 넘을껄요. 음식물쓰레기도 먹는것의 반에 육박하는 느낌! 아무리 사는게 어렵고 빚이 수억이래도ㅡ요즘 화장품 용기 끝까지 쓰는 사람 못 봤고, 볼펜 잉크 안 나와서 새거 사는 사람 못 봤구, 노트 끝페이지 까지 다 쓰는 경우 드물고, 파우치나 가방 구멍나서 버리는 사람 못 봤고, 옷 낡을 정도로 입는 사람 못 봤고, 신발 밑창 닳아서 바꾸는 사람도 거의 없어요.

  • @user-zw8fw2ok1l
    @user-zw8fw2ok1l Před rokem +4

    기후변화란 심각한 문제를 깨우치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 @user-qb6jt9ye3w
    @user-qb6jt9ye3w Před 18 dny +1

    인간이 아닌 주기적인 변화일뿐이라고 생각합니당~

  • @user-jx5si3vo4n
    @user-jx5si3vo4n Před 10 měsíci +1

    모든사람들이 물리법칙에 관해서 좀더 관심을가졌으면합니다

  • @gomimmi
    @gomimmi Před 2 lety +13

    항상 지구 온난화 문제를 고민하고 걱정하면서도 어차피 변할 수 없겠지.. 인간의 욕심은 끝이 없을 것이고 그 위기를 감내해낼 수 없겠지.. 하는 마음에 포기하는 마음이 들 곤 합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국가와 국제적인 해결책이 필요하다는 것을 당연히 생각하지만 오히려 이런 생각이 개인의 책임을 회피하게끔 하기도 해서 도대체 어떻게 생각해야하는가 갈피를 잃고는 했습니다. 이런 복잡한 생각들을 김상욱 교수님의 강의를 보며 정리할 수 있었네요. 뻔하고 흔한 말 같지만 진부하지 않도록 말을 골라 사람들이 이 문제를 진지하게 생각하게끔 노력하시는 것 같아 인상깊습니다. 한편으론 조리있게 과학적 사실을 근거로 사람들을 설득할 수 있는 언변 능력도 존경스럽습니다. 더 열심히 공부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 @seonyoo1547
    @seonyoo1547 Před 2 lety +24

    고맙습니다 아주 알기 쉬운 강의!

  • @user-iw4it6we8g
    @user-iw4it6we8g Před 3 měsíci +1

    교수님 감사합니다!!

  • @user-ro7yr5kn7l
    @user-ro7yr5kn7l Před rokem +6

    9:48 지난 50년간 태양으로 받은 에너지양이 감소했다는 것으로 반박하시는데, 지구가 받은 태양에너지의 파장대별 스펙트럼에 따라서도 영향이 다를수 있습니다. 지구가 받은 총태양에너지가 감소하여도, 태양의 플레어 활동이 활발해지면 고에너지 파장이나 우주선 입자의 방출은 더 높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지구내부의 핵운동에 따른 지구자체적인 고에너지 발산도 염두해 두어야 합니다. 그리고 무분별한 석유시추로 지층간의 막대한 마찰력을 줄여주는 석유나 가스등의 윤활제 역할도 줄어들고 지진의 증가로 인한 마찰력으로 발산되는 열발산에 의한 온도 증가도 고려해 볼만합니다. 그리고 과거의 대기상태나 기후활동이 지금과 많이 다를수도 있습니다. 지구의 외 수많은 천체들을 보면 얼음막으로 둘러쌓여 온실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행성도 있습니다. 교수님의 의견은 좀 더 많은 정보에 의해 충분히 반박할 여지가 많아 보입니다.

  • @DG-ys1ol
    @DG-ys1ol Před 11 měsíci +11

    이산화탄소는 산업혁명 이후 꾸준히 증가했는데 50~70년대에는 오히려 기온이 낮아짐. 이 기록을 기후위기 주장하는 집단이 삭제 왜곡하고 발표함.
    이산화탄소는 바다에서 오히려 많은 양이 발생함. 이산화탄소는 온난화와 하등 관계가 없슴.
    지구의 공전에 따라서 태양과 멀어지는 궤도가 바뀌는데 2~3만년 주기로 빙하기와 간빙기가 옴.
    현재 지구의 온도가 꾸준히 상승하는것은 간빙기이기 때문.

    • @JungDam_0
      @JungDam_0 Před 6 dny

      집단이라고 폄훼해서 표현하셧습니다만 인류의 대다수인 국가단위에서 협의체를 만들었고 그들과 각계그리고 수많은 학자들이 결정을 내렸어요.
      뭔가 소수의견 인 것처럼 끌어내리려고 하시지만 그렇지가 않다는 것 입니다.
      교수님도 말씀하시지만 지구는 하나입니다.
      님이 말씀하시는 과거의 간빙기에 살아는 보셨는지요 지구의 요인들이 그시대에 가서 명확히 연구하고 인과를 밝힐 방법이 있는지요....
      님이 말씀하시는 이야기야말로 소수 의견입니다.
      그걸 떠나서 어떤 것도 확실한 답을 내릴수가 없을때 확률적으로 더 높은 답을 가지고 행동할 수밖에 없습니다.
      미리 대응하는 것이 중요한 것이지 뒷발이나 물면서 방해를 하는 행위는 최악의 상황이 왔을 때 어떻게 책임을 질 수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차라리 방해하지 말고 지켜보다가 최악의 상황이 오지 않았을 때 책임을 묻는게 맞는것아닐까요?
      이런 뒷발물기 논리를 계속 가져오는건 환경보호 활동을 위해 맞딱드릴 변화에 두려움을 느끼는 기존 석탄 에너지 자본가들이나 기존의 기득이 사라질까 두려워하는 사람들의 이간책이라 생각하지는 않는지요.

    • @user-bp3kw3rc9k
      @user-bp3kw3rc9k Před 5 dny

      이분처럼 이야기하는 과학자나 학자들이 약 20프로정도 있습니다.자연학자나 물리학자.기상학자.지구과학자 등등 평가 기준이 각자다름!!댓글처럼 간빙기라는 지구의 순차적인 역사라고 말하는 학자들도 많구요.다만 지구 온난화는 인간때문이라는 것도 각자 다르게 평가는 합니다.온난화와 지구평면설과 비교해서 사기라고 이야기 하지만~사실 평면설은 무지에서 나온 이야기지만...온난화는 아직도 밝혀내고 증명하고 있는 과정인거죠.이렇게 생활하는데 10년후에 갑자기 평균기온이 떨어지기 시작하면~모순이 나오기 때문이기도 하니깐요.영상처럼 우리도 변화는 필요한건 사실이지만..무자비한 바다에 쓰레기 투하라던지!!

  • @user-rd1np8ms4w
    @user-rd1np8ms4w Před rokem +11

    모두가 같은 맘을 가지고 다같이 실천했으면..😢

  • @firecreast1
    @firecreast1 Před 2 lety +32

    공정함에 대한 말씀이 공감이 갑니다. 먼저 개발하고, 다른 나라 신나게 식민지 만들어놓고, 여러가지 패악질을 다 해놓은 유럽 국가들이 이제와서 모두를 위해... 를 운운하고 있습니다. 정말 정의로움, 인간다움을 이야기한다면 이 나라들은 자신들이 뽑아 먹은(?) 나라들에 그에 상응한 경제적 지원을 해야겠죠. 그런데 그런 거 없이 줄이라는 말만 하는 건 그냥 협박과 다를 바 없습니다. 나는 강한 나리니까 그래도 되고, 너는 약하니까 하면 안 돼... 라는 말과 똑같습니다. 현재 가장 추악한 깡패 국가로 느껴지는 행동을 보이는 나라는 중국입니다. 많은 서구 국가들이 이를 비판하죠. 하지만 중국 입장에선 '니들은 옛날에 딱 그랬잖아.' 라고 말할 겁니다. 그리고 그것은 사실입니다. 물론 중국이 잘했다 이런 이야기하는 건 당연히 아니고요(의존도가 높아서 말을 못하는 거지 저도 중국 극혐입니다.) 다만 제국주의 시절의 패악이 지금도 이어져오고 있는 지금(수많은 중동 국가들의 영토 분쟁, 미얀마 사태 등) 많은 서구 열강들이 말하는 환경, 지구를 위해서... 라는 슬로건은 토악질이 나는 거죠.

  • @user-qw4qz4wn7n
    @user-qw4qz4wn7n Před rokem +2

    누군가 쉽사리 말하지 못하지만 진정 지구를 살리는길은 지구의적정한 인구수 입니다.

  • @kgubbgdhhi-ev1im
    @kgubbgdhhi-ev1im Před rokem +1

    사실 앞으로의 날이 좋을까? 나쁠까? 하는것보다 중요한것이
    얼마나 변화할까? 입니다
    우리는 언제나 지금의 상태를 편하고 안전하다고 생각하고있습니다
    그러나 변화가 빠르게 일어나면 대부분의 사람들이 고통을 받을거예요
    지구온도가 1도씨 올라서 빙하가 녹아 해수면이올라가서 일류의 거주지의 대부분이 잠겨버려도
    지금 해안가의 200미터 위에있는곳에는 좋을수있지만
    그것은 아주 일부분이고 지금 거주중인곳과 지금의 지형이 바뀐다면
    대부분의 사람은 불편을 느낄수밖에 없습니다

  • @syc137
    @syc137 Před 2 lety +54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 @user-zo3ug1gw9g
    @user-zo3ug1gw9g Před rokem +6

    감사합니다!! 정말 잘 봤습니다.^^

  • @bcj1273
    @bcj1273 Před rokem

    대기중에 있는 온실가스를 포집하는데 에너지를 쓰면 안될지
    생각해 봤네요. 배출을 하지말자고
    하는것 보다 분담금을 이용해서
    문제 해결을 위해 돈을 쓰는게
    현재의 시장경제체제에서
    더 납득이 될거 같아요

  • @user-ik3zl1re2f
    @user-ik3zl1re2f Před rokem

    유용한정보감사합니다
    저의견해지구의공해가자기권에갖춰서
    지구상공에떠있을까요공해물질은어디에있을까요난자연으로돌아갔다고생각합니다비유하자면동물도음식을섭취하면지방근육골조세포를만들듯공해가상공에떠있으면방사성낙진을맞을수있겠
    지요디젤엔진의문제만은아닌것같아요

  • @sangkim3809
    @sangkim3809 Před měsícem +2

    지구 온난화는 예전에도 있었습니다. 노르웨이에 가보셔요. 고대 농장들이 북쪽 얼음 믿에 있어요.

  • @shk4998
    @shk4998 Před 2 lety +7

    교수님 안녕하세요. 팬입니다. 교수님 항상 화이팅입니다

  • @paull77ful
    @paull77ful Před 2 lety +27

    간결하고 명확한 설명 감사합니다

  • @user-jt3ek1hb7y
    @user-jt3ek1hb7y Před rokem +2

    우리가 에너지를 아껴써야 할 의무는 없어요 ㅇㅇ.

  • @user-vx9sf1sz7f
    @user-vx9sf1sz7f Před rokem

    이런 저런 안좋은 현상들 사회가 좋아다면 자연 모두가 더 좋아짐니다 !!!

  • @kangja123
    @kangja123 Před 2 lety +30

    정말로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절약에 핵심 인것을 명심 하겠습니다

  • @Kelly-pq7dp
    @Kelly-pq7dp Před 2 lety +52

    많은걸 배웠습니다. 항상 유튜브로 강의 많이 찾아보는데 이번엔 너무 중요한걸 깨달은 기분이네요..

  • @user-qx3lh9gy3v
    @user-qx3lh9gy3v Před rokem

    이문제는 어쩔수 없는 부분이죠 문명이 발전을 할수록 그림자는 커질테니. 그치만 그 그림자 까지도 결국 과학으로 극복할수 있을런지..?? 생각할수록 무섭고도 재밌는 부분입니다.

  • @horim80
    @horim80 Před měsícem +11

    주목할점은. 유럽 특히 영국과 미국이 예전부터 발생시킨 누적 이산화탄소 배출량이다. 지들은 예전에 엄청나게 배출했으면서 지금와서 개발도상국들에게는 배출하지말라고 한다? 웃기는소리죠.. 유럽과 미국이 먼저 큰 책임을 져야죠.

    • @user-zv5yo9vt5t
      @user-zv5yo9vt5t Před měsícem

      그니깐요 ㅋㅋㅋ 방귀는 지들이 먼저뀌어놓고

  • @Sunny71473
    @Sunny71473 Před 2 lety +21

    알쓸신잡에 나오실때부터
    팬 됐어요
    어려운 물리학을 넘 쉽게 설명해주시네요

  • @user-tx9lm4mn7d
    @user-tx9lm4mn7d Před 2 lety +54

    지구의 위기가 아니라 인류의 위기다.. 제가 옛날부터 들었던 의문이였습니다. 하지만 이말을 하면 주변에서 욕먹어서 그이후론 생각을 접고살았었는데 역시 그렇게 생각하시는분들도 계시는군요..

    • @user-gj3yj3ok5z
      @user-gj3yj3ok5z Před 2 lety +8

      이해합니다 모두가 오른손을 들면 똑같이 오른손을 들어야만하는...이의제기나 의문을 품거나 개인적인 생각을 하면 이상한 취급받고 비난하는...세상 어디에나 그런경향이 있지만
      유독 심한 한국....왜?는 모든것의 시작임에도 불구하고 왜요? 라는말을 극도로 싫어하고 꺼려하는 어른들...
      이해나 납득을 시킬수 없다면 차라리 혼자서라도 고민하게 놔두어야 하는데 그 시작점마저 용납하지않죠 그리고 침묵하게 되고 침묵이 가지는 가치 따위나 배워버리고말죠

  • @user-hh8wj2wf3v
    @user-hh8wj2wf3v Před rokem +3

    인류는 지구온난화를 절대 막을수없다. 막연한 해결책을 늘 제시하는데 지금부터라도 이를 막으려면 인류 전체를 통솔할수있는 강력한 범지구적 조직이 필요한데...
    이게 개인주의,국가주의,민족주의,종교주의 등과 같은 문제로 인해 저지당할게 뻔하므로 현재로써 정말 불가능하다본다. 인간은 위기란걸 몸소 닥쳐봐야 정신차리거든 그 때가 이미 늦은 시기일지 어쩔지는 모르겠지만...

    • @anjgka4276
      @anjgka4276 Před rokem

      지구온난화에 속지마라에 지구의온도는 주기적으로 높아졌다 낮아졌다한다고 했음. 근데 지구온난화라고 주장하는 근거가 온도가 점점 올라간다고만 얘기함.지구의 온도가 주기적으로 올라갔다 낮아졌다란 사실은 안나오고. 올라가는거는 자연스러운 현상인데 그 사실은 숨기고 인간이 이산화탄소 배출하고 매연 배출하고 오염시켯서 그런거라면서 인간의 행동을 통제시키고 탄소세, 탄소발자국, 그린시티, 이젠 15분도시라는 것을 다보스포럼에서 얘기함. 지구온난화는 인간을 통제하기위한 의도로 만든 어젠다임. 점점더 미디어의 15분도시 찾아보면 나옴.

  • @user-gu6mf2rp1n
    @user-gu6mf2rp1n Před rokem +3

    교수님감사해요
    과학공부는했지만
    과학은너무변화하는과목입니다
    너무감사합니다

  • @user-ix2zj7bb5r
    @user-ix2zj7bb5r Před 2 lety +41

    유익한정보 감사드립니다!

  • @user-nm7ib6fr9v
    @user-nm7ib6fr9v Před 4 dny

    지구속 멘틀이 뜨거워져서
    지구의 온도가 올라가 북 극이 녹는다는 탄허스님의 얘기가 맞는듯..

  • @user-ch2gs6cq6g
    @user-ch2gs6cq6g Před 8 měsíci +1

    에너지 소모를 줄여야 하기도 하지만, 열 발생을 줄여야 할 것 같아요.
    연료를 태우거나 전열기를 써서 열을 내는 것보다는, 열펌프 같은 것을 써서, 지구상에 있는 열기를 이용해 열을 얻는 방법으로 열 발생을 줄이면 좋을 것 같아요. 그게 결국 에너지 소모를 줄이는 것이지요.

  • @user-vt7rd7hx4v
    @user-vt7rd7hx4v Před 2 lety +169

    교수님 정말 팬이에요!!
    늘 조곤조곤 알아듣기 쉽게 말씀해주시는게 수업이 즐거워요! ㅎㅎ 오래 자주 뵙고 싶어요~

  • @1222_W
    @1222_W Před 2 lety +9

    뭐 하나만 맞다! 하는 식의 편파적인 내용이 아니라서 너무 좋았어요.
    결국 이 문제는 전세계 공동으로 방법을 찾아야하고 사람들이 지속적으로 해결방안제시를 요구해야 한다는걸 느꼈어요

  • @user-cg8fb8bk7e
    @user-cg8fb8bk7e Před rokem +1

    무동력 에너지 최대한 실청하겠습니다 자전거만이 살길입니다

  • @user-bx9tz2vd9r
    @user-bx9tz2vd9r Před 3 měsíci

    지구는 자전하기 때문에 어딘가 아프면 스스로 치유한다고 생각합니다

  • @imdoobin3170
    @imdoobin3170 Před rokem +66

    태양광은 친환경이 아닐수도 있습니다. 태양광판넬을 생산하는데 많은 에너지를 사용하기도 하고 만들어서 오래 사용하지 못하면 에너지손실이 큰 것이고, 배터리등의 에너지 축적시설이 없으면 상당히 비효율 적이기도 합니다. 그리고 자동차 배터리를 포함한 현재의 배터리는 많은 환경문제를 야기하기도 합니다. 여러가지 고려가 필요할 것 같습니다.

    • @happyu0308
      @happyu0308 Před rokem

      ㅛㅎ

    • @happyu0308
      @happyu0308 Před rokem

      ㅕ ㅗㅕ

    • @happyu0308
      @happyu0308 Před rokem

    • @happyu0308
      @happyu0308 Před rokem

    • @kkk-bf2ju
      @kkk-bf2ju Před rokem +5

      그걸 계산 안하고 UN 에서 친환경 에너지로 지정을 했을까요? 단순히 프레임이라고 봐야죠. 적어도 그런 말을 하고 부정적인 인식을 퍼트려 나가려면 최소한 팩트는 체크 해보고 댓글 다시는게. 판넬을 생산하는데 많은 에너지가 사용되기도 하고.. 이게 단순히 선입견이 아닌 팩트 인가요? 비교를 해보셨나요? 탄소배출량 관련해서는요? 제발 그냥 무책임하게 본인 선입견으로 배척 하지 마세요 그러니까 계속 지구온난화가 사기라는 선동이 통하는 겁니다. 사람들 편한데로 생각하게 부추 기는 거죠

  • @user-iq6el7je8r
    @user-iq6el7je8r Před 2 lety +6

    항상 공신력있는 분의 강의라 집중해서 듣고 새삼 새로운 야기가 아니지만 경각심을 줍니다. 감사합니다.
    만은 이걸 듣고 실천 할 수 있는 者, 영향력이 있는 者들은 누구인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