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억명을 살린 희대의 빌런

Sdílet
Vložit
  • čas přidán 20. 08. 2024
  • 그는 하버-보슈법을 통한 비료 대량생산을 통해 인류의 식량난을 해결했고,
    제1차 세계대전에서 화학무기를 개발한 '화학전의 아버지' 라고도 불립니다.
    그는 인류 역사상 가장 많은 사람을 구원한 영웅 일까요?
    아니면 가장 끔찍한 무기를 개발한 빌런 일까요?
    "섞을까 말까. 그것이 문제로다!"
    ▀▀▀▀▀▀▀▀▀▀▀▀▀▀▀▀▀▀▀▀▀▀▀▀▀▀▀▀▀▀▀▀▀▀▀▀▀▀▀▀▀▀▀▀▀▀▀▀▀▀▀
    A huge thanks to Dan Charles for writing a fantastic biography of Fritz Haber, for taking the time to talk to us about it, and providing valuable feedback. This video would not be what it is without his contributions. site.danielchar... ve42.co/Charles
    Thanks to Tom de Prinse from Explosions and Fire for helping us with the chemistry of explosives. If you like explosions and/or fire, you will love his channel. / explosionsf. .
    Thanks to Michael Kuiper of CSIRO for the animation of the composition of air - www.youtube.co....
    Special thanks to Sonya Pemberton, Karl Kruszelnicki, Mary Dobbie, Olivia McRae, and the patreon supporters for giving us feedback on the earlier version of this video.
    ▀▀▀▀▀▀▀▀▀▀▀▀▀▀▀▀▀▀▀▀▀▀▀▀▀▀▀▀▀▀▀▀▀▀▀▀▀▀▀▀▀▀▀▀▀▀▀▀▀▀▀
    References:
    The primary reference used is Vaclav Smil’s excellent book, Enriching The Earth -
    Smil, V. (2004). Enriching the earth: Fritz Haber, Carl Bosch, and the transformation of world food production. MIT press. - ve42.co/Smil
    Mastermind: The Rise and Fall of Fritz Haber, the Nobel Laureate Who Launched the Age of Chemical Warfare, by Dan Charles - ve42.co/Charles
    Stoltzenberg, D. (2004). Fritz Haber: Chemist, Nobel Laureate, German, Jew. Chemical Heritage Foundation. - ve42.co/Stoltz...
    Postgate, J. R. (1982). The fundamentals of nitrogen fixation. CUP Archive. - ve42.co/postgate
    Miles, A. G. (1992). Biological nitrogen fixation. - ve42.co/Miles
    Friedrich, B., & Hoffmann, D. (2017). Clara Immerwahr: A life in the shadow of Fritz Haber. In One Hundred Years of Chemical Warfare: Research, Deployment, Consequences(pp. 45-67). Springer, Cham. - ve42.co/Friedr...
    Da Silva, G. (2020). What is ammonium nitrate, the chemical that exploded in Beirut. Sci Am, 5. - ve42.co/Silva
    Rodrigues, P., & Micael, J. (2021). The importance of guano birds to the Inca Empire and the first conservation measures implemented by humans. - ve42.co/rodrigues
    Allison, F. E. (1957). Nitrogen and soil fertility. Soil, the, 85-94. - ve42.co/Allison
    Crookes, W. (1898). Address of the President before the British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Bristol, 1898. Science, 8(200), 561-575. - ve42.co/Crookes
    ▀▀▀▀▀▀▀▀▀▀▀▀▀▀▀▀▀▀▀▀▀▀▀▀▀▀▀▀▀▀▀▀▀▀▀▀▀▀▀▀▀▀▀▀▀▀▀▀▀▀▀
    Special thanks to Patreon supporters: RayJ Johnson, Brian Busbee, Jerome Barakos M.D., Amadeo Bee, Julian Lee, Inconcision, TTST, Balkrishna Heroor, Chris LaClair, Avi Yashchin, John H. Austin, Jr., OnlineBookClub.org, Matthew Gonzalez, Eric Sexton, john kiehl, Diffbot, Gnare, Dave Kircher, Burt Humburg, Blake Byers, Dumky, Evgeny Skvortsov, Meekay, Bill Linder, Paul Peijzel, Josh Hibschman, Timothy O’Brien, Mac Malkawi, Michael Schneider, jim buckmaster, Juan Benet, Ruslan Khroma, Robert Blum, Richard Sundvall, Lee Redden, Vincent, Stephen Wilcox, Marinus Kuivenhoven, Michael Krugman, Cy 'kkm' K'Nelson, Sam Lutfi, Ron Neal
    ▀▀▀▀▀▀▀▀▀▀▀▀▀▀▀▀▀▀▀▀▀▀▀▀▀▀▀▀▀▀▀▀▀▀▀▀▀▀▀▀▀▀▀▀▀▀▀▀▀▀▀
    Written by Petr Lebedev, Derek Muller, Felicity Nelson and Kovi Rose
    Edited by Trenton Oliver
    Animation by Jakub Mistek, Fabio Albertelli, Ivy Tello, Alex Drakoulis, Nils Ramses Kullack, and Charlie Davies
    SFX by Shaun Clifford
    Filmed by Petr Lebedev, Derek Muller and Raquel Nuno
    Photo of nitrogen deficiency in rice from ve42.co/rice
    Additional video/photos supplied by Getty Images
    Music from Epidemic Sound: ve42.co/music
    Additional Edited by JH, Jung
    Dubbed by Mingi Kwon
    Supported by Yuna Lee
  • Věda a technologie

Komentáře • 845

  • @veritasium_kor
    @veritasium_kor  Před rokem +872

    프리츠 하버 수상연도는 1918년입니다... 급하게 만들다보니 눈치채지 못했네요ㅠㅠ

    • @wdewceo3383
      @wdewceo3383 Před rokem +100

      그니깐. 너무 이상하네 싶더라. 역사상 저 기술이 절대 그렇게 늦게 나오면 성립이 안되는데 말이지

    • @urh3463
      @urh3463 Před rokem +19

      암모니아 1mm가 아니고 1ml 아닐까요

    • @user-sy4jf3eo1k
      @user-sy4jf3eo1k Před rokem +2

      @@wdewceo3383 저때나온거면 진짜 말이안됌

    • @Neti2en
      @Neti2en Před rokem

      @@user-sy4jf3eo1k 됨

    • @kimjunsik540
      @kimjunsik540 Před rokem +7

      자막에 에를 다 의로 적어놨어요 ㅜㅜ

  • @WhiteTuxedo
    @WhiteTuxedo Před rokem +269

    인류의 생존을 위해 식량을 늘린다와 인구를 줄인다 두 해결책을 모두 제시한 천재 과학자 ㄷㄷ

  • @virinsensatus2001
    @virinsensatus2001 Před rokem +483

    하버의 암모니아 생산이 없었다면, 인류는 지금도 굶주림에 시달리고 인구도 10억이 넘지 못할 겁니다. 공기로 빵을 만들었다는 말은 정말로 거짓이 아닙니다. 농업에서 암모니아를 빼놓고는 할 수 있는 것이 없습니다. 지금 풍성한 논의 낱알들은 100년 전에 비해 3배 이상의 수확을 얻는데, 암모니아 없이는 불가능합니다.

    • @user-ri2vp7qt7f
      @user-ri2vp7qt7f Před rokem +19

      인구는 10억이면 충분하다 생각됩니다. 이젠 돌이킬 수 없지만요.

    • @toby2e
      @toby2e Před rokem +18

      @@ppang-san 누군가가 죽을 수 없기 때문에, 언젠간 다같이 죽게 되겠죠.

    • @yoooooum
      @yoooooum Před rokem +116

      @@user-ri2vp7qt7f대다수 사람들이 지구에 사람이 너무 많다고 생각 하면서 정작 자기가 지구를 위해 죽어야겠다는 생각은 안 하더군요.

    • @KAKAO_
      @KAKAO_ Před rokem +37

      @@user-ri2vp7qt7f 철지난 인구조절론.. 인간의 가능성을 믿으셈. 기후위기도 결국 인간의 힘으로 이산화탄소 제거기술 나올거.. 안나와도 지구의 온도를 조절할수있는 기술이 지금도 있음. 몆천조가 들어가서 그렇지

    • @NB-xd4fj
      @NB-xd4fj Před rokem +3

      하버만이 만들 수 있었을까는 의문임. 수년 또는 수십년 늦었을 수도 있지만, 언젠가는 개발될 가능성이 매우 높은 기술이라 봄.

  • @user-cm7kf2lo9x
    @user-cm7kf2lo9x Před rokem +842

    질소고정법은 정말 인구 한계선을 돌파하게 만들어준 희대의 발명

    • @user-wr7ks7lv4l
      @user-wr7ks7lv4l Před rokem +52

      기적이자 재앙

    • @KAKAO_
      @KAKAO_ Před rokem +168

      인류의 가능성을 증명한 사람. 저사람 이후 인구조절론 개박살. 기후위기도 결국 인간의 과학의 힘으로 해결할거라고 믿어의심치않음

    • @HJKIM722
      @HJKIM722 Před rokem +8

      @@KAKAO_ 되면 대박인데

    • @user-qk1lq9ef2h
      @user-qk1lq9ef2h Před rokem +6

      @@KAKAO_ 해결하겠지만 지금인구가 다혜택볼거라는것도 힘든ㅜㅜ

    • @uranusangheljygalagg3103
      @uranusangheljygalagg3103 Před rokem +3

      다만 조금 빠르게 발명한게 아쉬웠죠..
      빠르게 상승하는 인구에 비해 과학기술력은 형편 없으니
      지구는 포화 직전인데 지금당장 달로 가는것도 힘듬...

  • @user-oy7xg9ne5y
    @user-oy7xg9ne5y Před rokem +300

    솔직히 냉정하게 말하면 하버가 살린 사람이 죽인 사람보다 디지게 많음. 심지어 1차대전에서 생화학무기는 그 공포감만큼 많은 사람의 사상자를 내지는 않았음. 노벨상위원회는 하버를 노벨상으로 추천한 뒤에 연합국 과학자들에게 반발이 들어오자 '하버가 아니면 그 누구도 노벨상을 받을 사람이 없다'라는 의견까지 냈을정도

    • @gyugyuland
      @gyugyuland Před 5 měsíci +19

      커버치는건아니지만 연합국도 화학무기를 개발했었는걸요

    • @user-lq6lm8fh6m
      @user-lq6lm8fh6m Před 4 měsíci +2

      하버가 아니면 그 누구도 노벨상을 받을 사람이 없어서 노벨상 위원회가 하버에게 노벨상을 줬을까요?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당시 스웨덴은 독일과 동맹국 관계였던건 아시죠?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sasasatatatata
      @sasasatatatata Před 4 měsíci +41

      ​@@user-lq6lm8fh6m핀트를 잘못잡고 계신거 같은데?

    • @user-lq6lm8fh6m
      @user-lq6lm8fh6m Před 4 měsíci +1

      @@sasasatatatata 핀트를 못잡는건 님 얼굴이죠 ㅠ

    • @ilsang_exp
      @ilsang_exp Před 4 měsíci +54

      본인이 알고있는 지식을 말하는건 좋은데 갑자기 인신공격을...?

  • @bluky350
    @bluky350 Před rokem +115

    명과 암이 매우 뚜렷해서 어딜 초점을 잡느냐에 따라 완전 극과극의 평가가 있는 사람입니다. 그래도 확실한 건 인류의 최고 천재 중의 1명이었고 모든 사람들이 덕을 본 것은 사실이죠.

    • @sonyador84
      @sonyador84 Před rokem +8

      그리고 또 확실한 건 인류 최고 천재 중의 1명으로 더 많은 사람을 효과적으로 죽이는데 자발적으로 전력을 다해 인생을 바쳤던 것도 사실이죠 ㅋ

    • @user-lq6lm8fh6m
      @user-lq6lm8fh6m Před 4 měsíci

      @@sonyador84 사람을 효과적으로 죽이기 위해 전력을 다했으니까 위대한 영웅이라고 하는거죠 ㅋㅋㅋㅋ 이순신 장군도 같은 논리로 위대한 영웅이고요 ㅎㅎㅎ

    • @user-lt9ex7db1q
      @user-lt9ex7db1q Před 3 měsíci

      그 사람 없었으면 닌 이미 기아로 뒤졌어 ㅋ ​@@sonyador84

    • @user-xh9cd3nb1i
      @user-xh9cd3nb1i Před 3 měsíci +5

      ​@@sonyador84 조국을 위한 일이라 어쩔수없긴함 만약 독일이 승전했다면 평은 달라졌겠지

    • @user-wb8zg4wv7b
      @user-wb8zg4wv7b Před 3 měsíci

      천?재 (바다에서 금추출 실패)

  • @12math
    @12math Před rokem +71

    많은 생각을 하게 하네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user-xi3il6xy6g
    @user-xi3il6xy6g Před rokem +2110

    맨하탄 프로젝트에 참여한 과학자들은 영웅 대접하면서 하버는 이렇게 취급한다는 것도 어이 없는 일임.

    • @user-td5tw2gs2t
      @user-td5tw2gs2t Před rokem +379

      정의라는건 없다는걸 느낌...ㅋㅋ

    • @rephoenix3375
      @rephoenix3375 Před rokem +706

      결국 역사는 승자가 만든다는 말이 와닿게 되네요

    • @Sigmar-guide-us
      @Sigmar-guide-us Před rokem +293

      ㄹㅇ 어이없는 일이네요.
      맨하뜽 프로젝트도 정작 오펜하이머는 차후에 반대성명을 냈는데..

    • @가니메데
      @가니메데 Před rokem +44

      글쎄요 미국에서도 영웅 대접받는 건 못봤는데

    • @user-bo7nw2dw6f
      @user-bo7nw2dw6f Před rokem +75

      한 사람을 영웅으로 칭송하는것도 좋지만 그사람의 여러면을 입체적으로 보고 판단하는게 중요하죠

  • @LEEkyouho
    @LEEkyouho Před rokem +79

    “새똥 - 비료 - 노벨상 - 하버 - 나치 - 전쟁무기 - 핵폭탄” 으로 이어지는 과학적 삼천포로 빠진 이야기는 연구윤리에 대해 고찰하는 가장 대표적인 예시죠. 누군가가 과학에 대해 호기심을 느끼고 공부하고 있거나 자료를 찾아보고 있다면 절대 빠질 수 없는 주제죠!

  • @ohmmanivanmehum7290
    @ohmmanivanmehum7290 Před rokem +385

    모내기 농사에 큰 혁신을 만들었지만 정작 자신은 모자람이 없던 머리마저 빛나는 그저 빛..

  • @Raccoonoodle
    @Raccoonoodle Před rokem +197

    전례없는 번영과 대량살상, 사실상 현대를 만든 사람이죠. 현대를 살아가는 모든 사람들이 알아야할 인물이라고 생각합니다.

  • @cosmo_09
    @cosmo_09 Před rokem +278

    과학 기술은 그것을 어떻게 사용하느냐에 따라 달린 것 같아요.
    특히 영상 주제인 하버가 그런 점을 잘 보여줬죠.
    비료로 식량 부족을 해결하여 많은 생명을 살린 동시에 독가스로 많은 생명을 앗아갔으니 말이죠.

    • @user-vn3mp7bl4f
      @user-vn3mp7bl4f Před rokem +13

      하이젠베르크와 오펜하이머의 과학기술윤리인가 골떄리네

    • @user-wr7ks7lv4l
      @user-wr7ks7lv4l Před rokem +7

      하지망 그가 화학비료를 개발해 '생명을 살린' 결과 인구는 걷잡을 수 없이 늘어나고 엄청난 환경적 재앙을 불러일으키며 모든 인류의 존속이 위태롭게 되었죠.

    • @DogBarkingAtMoon
      @DogBarkingAtMoon Před rokem +52

      @@user-wr7ks7lv4l그건 계획없는 번식과 인구수 조절 실패의 결과지 지속가능성이라는 컨셉도 없었을 시대 사람의 잘못은 아니지….

    • @user-mz3kk6fz9u
      @user-mz3kk6fz9u Před rokem +22

      늘린 인구수가 인류의 3배인데 죽인 인구수는 겨우 10만뿐(까놓고 말해 이것도 좀 과장이죠. 1차대전에 전체 사망자 숫자니.) 안되는걸 보면 그냥 많은 생명을 살린사람이에요.
      죽은건 그저 약의 부작용에 알르지가 있어서 죽은 사람이라고 생각하면 될 정도로 미비합니다.
      뭐 그리고 생명을 살린 결과가 재앙을 불러왔다고 생각하시는 분이 있으면 제 생각엔 스스로의 숫자를 줄여 환경적 재앙을 막는게 맞을듯 해요.

    • @user-wr7ks7lv4l
      @user-wr7ks7lv4l Před rokem

      @@user-mz3kk6fz9u 제가 안해도 피라미드 위의 분들이 정책적으로 인구감축을 진행중에 있습니다만

  • @taeoklee7346
    @taeoklee7346 Před rokem +101

    고등학교랑 대학교 과학철학에서 배웠던 과학/기술의 가치중립성이 떠오르네요
    과학은 가치중립적이어서 잘잘못을 따질 수 없고 그걸 사용하는 인간이 어떤 의도로 사용하는 지가 중요하다구요.
    이 내용을 다시 한 번 상기시켜주셔서 감사합니다.

    • @klse8776
      @klse8776 Před rokem +29

      하지만 기술철학자인 랭던 위너는 기술은 철저히 정치적이라고 보았죠. 가치중립성은 과학자들의 허울좋은 변명에 불과합니다. 그래야 죄책감없이 연구할 수 있거든요.

    • @taeoklee7346
      @taeoklee7346 Před rokem +11

      @@klse8776 그말도 맞네요 ㅎㅎㅎ

    • @user-xj5ex8dt5e
      @user-xj5ex8dt5e Před rokem +11

      가치중립이란 방패 아래 열정적으로 연구하되, 자신의 결과물에 책임감을 가질 것

    • @asdmkdofkdo5795
      @asdmkdofkdo5795 Před rokem +7

      ​​@@klse8776​​가치중립성 자체는 필연적 진실입니다. 과학만이 아닌 이 세상 모든 것이 그렇죠. 따질게 없다는게 아니라, 따질 부분이 다르다고 본다는겁니다. 요약하면 '직접성의 여부와 의도'로요. '결국 모든건 양면성을 띄나 적어도 눈앞에 직접적으로 드러나는 선한 영향력과 악한 영향력은 있고, 그런 측면에서 특정 연구의 결과물이 직접적으로 끼치는 영향은 명확히 인명이나 재난 등의 이유로 인해 사회에 악이라 할 수 있는 상황이며, 그것을 알거나 알 수 있었을 상황인가, 그럼에도 감행했는가'에 대한 여부요.
      설령 그게 직접적으로 해악일지라도 만들당시에는 알 도리가 없었다라고 볼 상황이라면? 그건 책임을 질 일이라기보단 사고로써 봐야할 일인것이라고 생각함.

  • @무지개앵무새
    @무지개앵무새 Před rokem +43

    과학의 산물에 대하여 단점만 보고 반대만 한다면 발전이 없을 것이고, 장점만 보고 모든 것을 밀어붙인다면 윤리적 문제를 간과합니다. 우리는 이 양날의 검을 분명히 알고 사용해야만 할 것입니다.

  • @42_cloud
    @42_cloud Před rokem +75

    저는 하버 보슈법이 비료랑 폭탄의 원리라는 관계가 핵분열이 원자력발전과 핵폭탄의 원리라는 관계랑 비슷해보이는데 현재 취급이 다른게 좀 미묘한 기분이 들게 하네요

    • @user-qw1vv2eo1e
      @user-qw1vv2eo1e Před rokem +7

      하버는 독가스도 개발했기 때문이죠 질소고정으로 까이진 않음 아인슈타인이 안 까이는 이유죠

    • @user-fn3do2us4z
      @user-fn3do2us4z Před rokem +6

      무기를 만들자고 생각한 것이 하버인 반면
      오펜하이머나 아인슈타인은 핵폭탄을 위협용이 아닌 실제로 쓰는 것은 반대했음
      오펜하이머도 오랫동안 우울증에 시달렸고

    • @user-wn5ct2ym8f
      @user-wn5ct2ym8f Před rokem +11

      ​@@user-fn3do2us4z 그건 정말 바보같은 말아님?
      만들지만 쓰지는 마라 ㅋㅋㅋ 그게 되겠음? 첨엔 쓸생각이었지만 만들고보니 이건좀 싶었겠지만 늦었지

    • @Solamon_Eula
      @Solamon_Eula Před rokem

      @@user-wn5ct2ym8f ㄴㄴ 실제로 둘 다 전쟁광이 아니었고 정말 쓰기 싫지만 경쟁적으로 핵폭탄을 만드는 상황이었고, 먼저 만들어서 상대를 굴복시킬 필요가 있었음. 그래서 만드는 것까진 불가피했는데, 상대가 포기를 안하니 위력시범에 나설 수밖에 없었음.

    • @gyeongeummin6428
      @gyeongeummin6428 Před rokem

      @@user-fn3do2us4z 그러니까 같은 얘기 아닌가요? 하버든 아인슈타인이든 오펜하이머든 사람이 죽어나가는 전쟁을 끝내기 위해서 모순적으로 사람을 죽이는 무기를 개발한 거니까요. 하버 역시 자신의 무기를 통해 전쟁을 빨리 끝내야 결론적으로 사람의 희생을 줄일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하고 개발에 임했을 겁니다. 다만 화학무기가 핵폭탄 보다 위력이 덜해서 압도적인 격차를 만들지 못한 것 뿐이죠

  • @pty7777
    @pty7777 Před rokem +84

    영어로 봤을땐 이정도로 깊이 이해를 못했는데 번역본으로 보니 훨씬
    내용이 와닫네요 앞으로도 계속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sharkdream426
    @sharkdream426 Před rokem +68

    이렇게 삶이 공과 과가 극명하게 나눠지게 살았던 과학자가 존재했다는것도 정말 신기하네요.

  • @user-nl1me3uj1i
    @user-nl1me3uj1i Před rokem +25

    미국 과학자였다면 정말 영원히 기념될 분이었을텐데…
    질산암모늄이 가지는 이중적인 면모는 베이루트 대폭발 사건이 잘 보여줍니다.
    제때 잘 쓰면 비료지만, 제대로 관리 안하면 폭탄.

    • @yussi3026
      @yussi3026 Před rokem

      반대로 생각하면, 독일 과학자여서 너무 과하게 까이는 듯.
      미국 과학자들도 사람 많이 죽인 건 사실인데...

    • @psssysssp
      @psssysssp Před rokem

      딱 다이너마이트 느낌 ㅋㅋ

    • @dh3b581c
      @dh3b581c Před rokem

      아마 뉴턴과 노벨, 아인슈타인 그 이상의 명성을 가졌을 듯 하네요

  • @user-ku2nt1cv8s
    @user-ku2nt1cv8s Před rokem +23

    한명의 천재가 진짜 인류사 전체를 바꿔버렸구나..

  • @JackTube-traveltomyself
    @JackTube-traveltomyself Před rokem +5

    역사는 언제나 승리자들에 의해 바뀝니다
    역사는 언제나 '공동의 적'을 만들죠.
    승리를 위해서는 적이 필요 합니다.
    그로 인하여 때로는 억울하거나 애매한 적을 만들어 내기도 합니다.
    늘 반복되는 일이며 늘 우리에게 경고합니다.
    비난하기 전에 마지막 까지 생각하고 행동하기 전에 마지막 까지 확인하기를

  • @rayderray210
    @rayderray210 Před rokem +20

    쉽게 요약하면 공기 중에서 빵을 뽑아내는 기술을 만든 사람이자 기술 특이점 한 번을 넘어가는 것으로 문명이 어떻게 바뀌게 되는지 직접 증명한 인물이자 어떠한 사상이나 이념이 얼마나 인류에게 있어서 악인지 알 수 있는 존재
    존재 자체로 MCU 타노스의 인구 과잉 자원 불균형 이론을 깨는 사람이면서 또한 스스로를 파괴한다는 이치로는 타노스의 사상이 맞다는 걸 증명하는 아이러니한 존재

    • @gholbang
      @gholbang Před 4 měsíci +1

      공기중에 빵을 뽑아내는 기술은 잘못 요약한겁니다 ... 질소가 고작해야 비료로만 쓰인게 아니니까요 비료에 대한건 일부분일뿐입니다 사회전반을 발전시켰다고 봐야죠

    • @marchen7255
      @marchen7255 Před 4 měsíci

      나는 필연적인 존재다

  • @동결
    @동결 Před rokem +81

    대학원 다니시며 번역과 녹음을 ㄷ 얼마나 힘드실 지 중학생은 감도 안 잡히네요 ㅠ
    화이팅!!!

  • @user-jp6ic9hp9v
    @user-jp6ic9hp9v Před rokem +47

    하버가 국가에 충성했지만 그가 만든 화학 가스는 군부에게 외면 받았죠. 후에 군부가 전략에 실패하고 전선은 둔화되었으며 하버는 그에 반해 힘이 강해진 상태였기 때문에 군부는 결국 승인해야 하였습니다.

  • @yutao3203
    @yutao3203 Před rokem +13

    독일이 강한 이유가 있구나
    하버는 이해되면서 미묘하고 찝찝해
    사람의 여러면을 본 기분이야
    선의가 광기가 될수도 있구나

  • @anbayo1
    @anbayo1 Před rokem +106

    하버는 애국자였어요. 독일에서 태어나 저런길을 걷게된거.. 물론 화학연구도 독일이 아니었다면 저렇게 하지 않았겠죠

    • @user-jp6ic9hp9v
      @user-jp6ic9hp9v Před rokem +2

      애국은 개인윤리에서 중요한것중 하나죠. 개인윤리가 있어도 사회윤리로 인해서 그로인해서 그 사람이 학살을 하게 된다는걸 말한 사람은 베트남 전쟁후 니부어밖에 전 모릅니다. 즉 당시엔 도덕적인 사람이었던거죠.

    • @user-wn5ct2ym8f
      @user-wn5ct2ym8f Před rokem +61

      @@bkcho0215 전쟁에 참여한 모두는 살인자인게 팩트지

    • @resethard1277
      @resethard1277 Před rokem

      @@bkcho0215 살인자이지만 동시에 수십억을 먹여살린 위인이기도 함
      복합적인 인물

    • @resethard1277
      @resethard1277 Před rokem +9

      @@user-wn5ct2ym8f 살인과 전쟁은 그 궤가 다르다고 생각합니다.
      피도 눈물도 없는 살인엔 목적과 명분이 없습니다.
      다만 전쟁은 달라요 목적과 명분을 가지고 만들어지는 행위입니다.
      적과 아군을 불문하고 그들은 무언가를 지키기 위해 무언가를 희생시켰을 뿐입니다.

    • @vxsxxa6608
      @vxsxxa6608 Před rokem +62

      파스퇴르가 이런말을 했죠 과학에는 국경이 없지만 과학자는 조국이 있다고

  • @apepeblackcompany
    @apepeblackcompany Před rokem +12

    솔직히 하버가 직접 홀로코스트에 관여하면서 사람들 죽이러 다니고 그런게 아닌한 하버는 까서는 안될듯함.... 그 질소고정의 개발한 공이 너무 지나치게 크다.
    넘치는 식량자원덕분에 태어나게 된 지금의 현대인들이 어떻게 하버를 깔 수 있을까

    • @asasasasas929
      @asasasasas929 Před rokem +1

      그... 전쟁에 자기가 만든 독가스를 적극적으로 사용해야한다고 나대긴 했습니다...

    • @asasasasas929
      @asasasasas929 Před rokem +2

      공이 그렇게나 큰데도 괜히 까이는게 아니죠 노벨의 다이너마이트랑은 결이 다름...

    • @user-us1qe3lu1l
      @user-us1qe3lu1l Před rokem

      ​@@asasasasas929 죽인사람보다 살린사람이 많기에 공리주의적으로 보자면 맞는말임 ㅇㅇ

    • @user-bx1xl7gl5b
      @user-bx1xl7gl5b Před rokem

      홀로코스트는 2차대전 아닌가요

    • @apepeblackcompany
      @apepeblackcompany Před rokem +1

      @@user-bx1xl7gl5b 그러니까 하버가 2차대전때까지 살아서 그렇게 천륜 저버린 악행까지 저지른게 아니면 까기 좀 그렇다는거임.
      물론 하버도 유대인이라 그런 일은 있을수 없다는게 아이러니지만

  • @minno2dog119
    @minno2dog119 Před rokem +166

    진짜 베리타시움은 제 유튜브 보물 중 하나에요..
    비록 과학, 수학은 잘 모르지만, 알기 쉽게 설명해주며, 동시에 좋은 메세지도 전달해줘서 너무 유익합니다!
    항상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일정에 차질 없으시도록, 편안히 영상 제작해주세요! 감사합니다 :)

    • @Akaps3321
      @Akaps3321 Před rokem +2

      화이팅

    • @grandeuryoon4256
      @grandeuryoon4256 Před rokem +2

      지식은날리지 보셈 꿀잼

    • @victorialeigh2726
      @victorialeigh2726 Před rokem +1

      지금 보물처럼 여기며 열심히 보시니까 머지않아 과학 수학 잘 하시게 될거에요 화이팅

  • @WL-ui7of
    @WL-ui7of Před rokem +14

    좋은 시선인거 같습니다 결국 그 기술을 사용한 거는 사람들 인거고 그거에 다 같이 생각해봐야 하는건데 한명의 책임으로만 몰기엔 힘든 문제이라고 생각합니다
    그가 독일인이 아니라 영국인 이었다면 좋게 평가 되었겠죠

  • @user-oo8fx2qr7u
    @user-oo8fx2qr7u Před rokem +10

    스웨덴 출신 락 밴드인 사바톤 이라는 밴드가 'Father'라는 노래를 얼마전에 발표했죠. 이 노래가 프리츠 하버와 연관된 내용이져. 한번쯤 들어보길 추천합니다

    • @user-oo8fx2qr7u
      @user-oo8fx2qr7u Před rokem

      오리지널 밴드 채널은 아닌데, 팬메이드 뮤비가 더 직관적 이해가 가능할것갗아 링크 남겨봅니다.
      czcams.com/video/2NaTxTPpQHs/video.html

  • @unsak9021
    @unsak9021 Před rokem +10

    인간은 그냥 인간이지 선악잣대 계속 들이대는것도 웃김 인간이란존재에 얼마나 의미부여하는거임

    • @Someone111ify
      @Someone111ify Před rokem

      그러게여

    • @user-ee1kp3zh4n
      @user-ee1kp3zh4n Před 2 měsíci

      행동에 대한 비판은 필요하지만
      인간 자체를 악으로 구분하거나 욕하는 건 정말 부질없는 짓인듯

  • @hawk8873
    @hawk8873 Před rokem +47

    하버 보쉬법의 창시자, 프리츠 하버,,, 인류를 구원한 질소 고정법을 만든 위대한 화학자이지만 1차대전때 독가스로 전쟁에 기여한 것이 논란이 되었죠. 2차대전때는 공기중 이산화탄소를 중합하여 디젤유를 생산하는 기술까지 개발했었는데 대량의 전력에 비해 수율이 낮아서 실용화에는 실패했다고 합니다.

  • @human_ingan
    @human_ingan Před rokem +39

    과학이란 무엇인가에 대해 깊게 생각할 수 있는 영상이었네요 감사드립니다

  • @mentalcoocoodas
    @mentalcoocoodas Před rokem +24

    참 많은 생각을 해주게 하는 동영상이네요..

  • @yblee40
    @yblee40 Před rokem +182

    미국이 전쟁에서 졌다면 아인슈타인이 "하버" 당했을듯

    • @user-hl4ls5sp4p
      @user-hl4ls5sp4p Před rokem

      어차피 독일 일본이 지는건 뻔 했음 전세계를 적으로 돌렸으니 ㅋㅋ

    • @tag4208
      @tag4208 Před rokem +13

      이게맞지

    • @yanagi_tsuru
      @yanagi_tsuru Před rokem +1

      아인슈타인도 독일인 아님?

    • @La_mer_des03
      @La_mer_des03 Před rokem +2

      @@yanagi_tsuru 유대인이었기에 가스실로 갔을 겁니다

    • @songfive319
      @songfive319 Před rokem +7

      @@yanagi_tsuru 영상 초반부에 부연설명이 나왔는데
      아인슈타인은 전쟁을 비난하는 평화주의
      하버는 전쟁을 지지하는 애국자 였다
      라고 나오네요

  • @ChemLibrary
    @ChemLibrary Před rokem +19

    항상 사람들은 인간의 업적에 잣대를 들이대며 영웅, 악당이라 규정짓지만 누구나 결과론적으로 선이자 악이 될 수 있기 때문에, 그 사례를 가장 극단적으로 보여준 사람이 하버라고 생각되네요. 저사람은 선한 사람도 악한 사람도 아닙니다 그저 신념에 따라 행동했을 뿐...

  • @Hell_Dust-Buhnerman
    @Hell_Dust-Buhnerman Před rokem +7

    과학의 장점과 단점을 그만큼이나 보여주는 사람도 적지않나 하는 느낌도 듭니다. 태어난 만큼. 더 죽게 했다. 혹은 죽은 만큼 태어나게 했다. 라는 말이 동시에 성립 될 정도니(...말장난이지만, 이런 모순이 실제로 통하니 말이죠...)

  • @18ngmbc
    @18ngmbc Před rokem +7

    당연히 인류의 대영웅이지 저거 죽여 봤자 몇이나 죽였겠어
    살린 인구수가 더 어마어마한것을

  • @Neo-yc7vf
    @Neo-yc7vf Před rokem +8

    이래서 무언가를 바라볼 때 OX 나 선악으로만 바라보면 안되는 것

  • @GFD0116
    @GFD0116 Před rokem +5

    인류의 영웅이지, 대량살상 무기는 그가 아니더라도 수많은 사람들이 만들어냈지만 질소비료는 아니니까

  • @user-wp6vy3qx4h
    @user-wp6vy3qx4h Před rokem +24

    지식은 우리를 풍족하게 만들지만 그와 동시에 모든걸 앗아간다... 지금의 핵융합원자로 연구가 똑같은 원리로 수소폭탄이 될 수 있듯이 역시 지식을 가지는 것만이 다가 아닌 그것을 어찌 쓰는가에 대해 고민할 필요가 있음을 다시 상기시켜주는 좋은 사례네요...

    • @user-yv5kc9wt9b
      @user-yv5kc9wt9b Před rokem +12

      핵융합발전과 수소폭탄이 같은 핵융합이긴 하지만, 같은 원리라고 하기에는 너무 멉니다. 원전과 원자폭탄으로 비유했으면 더 좋았을 것 같네요.

    • @cconaq123
      @cconaq123 Před rokem

      위에 아나스님 말대로 안정된 핵융합토카막이 나와있지도 않은데 수소폭탄은 훨씬 전부터 있었자늠, 궤가 다른 기술임 원리자체는 동일하나

  • @user-xp5sb5ng8o
    @user-xp5sb5ng8o Před rokem +82

    진짜 역사속에 묻힌 인물
    칭찬하기엔 애매하고 객관적서술로만 읽혀져야 하는 사람

    • @pjw9247
      @pjw9247 Před rokem +9

      ​@@stan2611 화학책 1단원부터 나오는 사람

    • @zvezdah2362
      @zvezdah2362 Před rokem

      틀렸소
      그는 인간의 탈을 쓴 악마요

    • @user-wc7dr4my6t
      @user-wc7dr4my6t Před rokem +2

      하버가 얼마나 유명한데요..

    • @user-om1qu2sd4w
      @user-om1qu2sd4w Před rokem

      ​@@zvezdah2362너를 태어나게 할 수 있게 한 위인일까?
      아니면 수백만 명을 죽인 살인자일까?

    • @user-rs7ni2md1h
      @user-rs7ni2md1h Před rokem

      @jeenyus0821 고1 통합과학때 나오지 않나요?? 제 기억으론 있던거 같던데..

  • @SHKim-uv4wo
    @SHKim-uv4wo Před rokem +5

    과학자가 반드시 알아야 하는 것은 과학의 빛과 그림자입니다. 우리가 보는 것은 빈티지한 그 빛에는 항상 그림자가 있다는 것을....

    • @yussi3026
      @yussi3026 Před rokem +2

      과학자 뿐만 아니라 모든 사람이 알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모든 것엔 장단점이 항상 존재하니까요. 그리고 보는 것이 다가 아니라는 것도.

  • @kniferepair3481
    @kniferepair3481 Před 3 měsíci +1

    비료가 저렇게 위험한데 그냥 막 구입할수있다는게 놀랍다. 솔직히 군대갔다온사람 이라면 간단한 지식으로 비료를 이용해 C4에 버금가는 폭탄을 만들수 있다는걸 알것이다. 특히 전차에서 장약탄이 없을때 비료를 이용해서 임시로 장약탄을 만들어본 경험이 있는 전차장이라면 더더욱 그럴것이다.

  • @PlXNIN
    @PlXNIN Před rokem +3

    인류 역사상 가장 위대한 과학자. 현재 지구에 살고있는 모든 인간은 프리츠 하버의 덕을 보며 살고있다.

  • @user-ti4gl6lh3v
    @user-ti4gl6lh3v Před rokem +11

    아무리 생각해도 공이 더 큰것같다

  • @대충잘지은이름
    @대충잘지은이름 Před rokem +8

    공기에서 빵을 만들어낸 그는 결국 공기에서 빵! 까지 만들어냈군요...

  • @user-bb1xf2rr1c
    @user-bb1xf2rr1c Před rokem +3

    진짜 그렇다...과학의 발전, 그리고 기술들은 정말 좋지만 다른 한면으로는 그게 어떻게 사용될지 모르니까...

  • @박성빈333
    @박성빈333 Před rokem +2

    5:36 왼쪽에 수증기 돌면서 날아가는게 뭔가 웃기네요 ㅋㅋㅋㅋ

  • @sjch7899
    @sjch7899 Před 4 měsíci +1

    전쟁이 나면... 나라고 저런 마음이 아닐까 싶다... 가족 친구 뭐 하다못해 일면식없더라도 우리나라 사람들이 죽어간다면 기꺼이 머스타드던 사린이던 국군을 위해 만들어 줄 수있다.

  • @user-bo4ku6vv4n
    @user-bo4ku6vv4n Před rokem +4

    이게 하버를 독일입장에서 생각해보면 애국자 인것같긴함
    대량학살무기 개발자체가 문제라면 아인슈타인도 천하의 대역죄인이어야하는데 세간의 인식은 안그렇잖아
    결과가 전부 독일 패배로 끝나다보니 연합국입장에선 죽일놈이라 악당취급인거지

  • @umbleh6318
    @umbleh6318 Před rokem +9

    오랜만에 흥미로운영상 감사합니다. 늘 재밋게 보고있어요 감사합니다.

  • @sungyunpark6268
    @sungyunpark6268 Před rokem +5

    미친 컨텐츠....과학과 공학과 역사를 모두 다루네요

    • @hsh_hsh234
      @hsh_hsh234 Před 2 měsíci

      심지어 철학적 논제까지...

  • @user-td6zs6nc8d
    @user-td6zs6nc8d Před rokem +4

    글쎄 이 사람이 비판받아야할 이유가? 그럼 핵무기 만드는데 앞장선 과학자들도 욕 먹어 마땅함

  • @jyune_
    @jyune_ Před rokem +6

    오늘 모고에서 비료 문제 나왔었는데 이런 우연이..

  • @perfect3719
    @perfect3719 Před rokem +3

    하버는 화학으로 피해입은사람보다 이익본 사람이 훨씬 많으니 전 하버편

  • @texver8887
    @texver8887 Před rokem

    반갑습니다^^
    감사드립니다^^
    좋은 저녁 행복한 저녁 되시기 바랍니다^^
    Veritasium님^^♡

  • @user-bv4gd7lk8j
    @user-bv4gd7lk8j Před 3 měsíci

    고등학교때 하버 이야기는 정말 어리석은 과학자라고 생각했다. 옆에서 누구보다 따뜻한 마음을 가자 부인이 옆에 있는데 화학무기를 만드는 어리석은 자라고 생각했고 화학비료는 하버가 아니더라도 누군가는 개발하였겠지. 라고 생각했다. 그런데 지금 댓글을 보고 하버에 운이따라준 당시 상황을 보고 하버가 가지고 있던 마음을 다시보고 세상에서 바른인간으로 살아남는게 얼마나 힘든가를 다시보고 세계전쟁이 얼마나 끝내기 어려운지를 다시보고 가장사랑하는 사람이 죽는것이 얼마나 슬픈지를 다시보고 맨허튼 프로젝트에 도움이 될수 있었던 선행사례로 과학자들에게 어떤다짐을 불어넣어 주었을지를 다시 생각하고 40억명을 살려주신 아버지 임을 다시 생각하면
    결과가 어떠했는지는 잘몰라도 그의 마음만큼 인류영웅이 이신거 같다. 예전에 하버를 미치광이 살인자라고 생각했던 날반성하게된다.

  • @user-ov5vc9ou6i
    @user-ov5vc9ou6i Před rokem +28

    하버 프리츠, 가장 많은 사람을 살린 과학자...

    • @psssysssp
      @psssysssp Před rokem +2

      독가스로 세상을 파괴하고 비료로 세상을 재창조한 ㄷㄷ

    • @user-wn5ct2ym8f
      @user-wn5ct2ym8f Před rokem +5

      @@psssysssp 근데 독가스로 죽은사람은 생각보다 많이 없음 공포심이 큰거지..

    • @psssysssp
      @psssysssp Před rokem +1

      @@user-wn5ct2ym8f ㄹㅇ 백린탄,핵무기보다 네이팜탄이 사망자가 많듯이..

  • @user-vi5bx6sk9f
    @user-vi5bx6sk9f Před 3 měsíci +2

    비료 제조의 아버지. 하버 아니었으면 지금 인류의 절반은 여전히 굶고 있었을것임.
    북한도 제대로 된 비료공장 없어서 생산량이 그 모양임

  • @Total_Syntheses
    @Total_Syntheses Před 3 měsíci

    12:40 물론 저 말도 일리가 있습니다만, 사실 공장이 폭발하는 가장 큰 원인은 안정한 물질이 만들어지면서 내는 열에너지보다도 기체가 만들어지면서 갖는 거대한 부피에 있습니다.
    현재도 공장이 폭발했다고 하면 대개 기체가 생성되는 양을 조절하지 못 했거나 압력 조절에 실수가 발생했기 때문입니다. 타이어공장이 터지거나 불산가스 누출이 발생하거나 하는 게 다 기체가 갖는 막대한 부피 때문임. 이걸 잘못 조절하면 탱크 터지면서 폭발하는 거임.
    실제로 NH4NO3가 N2로 만들어지면서 내는 에너지 자체는 그리 크지 않음. 230kJ/mol 정도고, 이건 N2 자체가 안정한 물질인 건 맞지만 그 안정성이 실제 chemical potential 상의 안정성이라기보단 삼중결합을 깨기가 어려워서(=활성화에너지가 커서) 생기는 metastable 상태에 있는 것일 뿐이기 때문. 암모니아가 N2를 만들어내는 반응 자체가 N2를 NH3로 바꾸는 반응보다도 uphill 반응이고, 들이는 에너지가 나오는 애너지보다도 큼.
    실제로 폭발하는 과정을 보자면 N2와 함께 부산물로 발생하는 N2O 따위의 것들이 연속적인 반응을 유도하기 때문으로 봐야함. 그러면서 에너지 발산과 함께 기체가 부피를 거대하게 얻어가면서 터지는 거고.

  • @user-io1ox1io7f
    @user-io1ox1io7f Před 15 dny

    세끼 챙기는게 당연하고 밥굶을 걱정안하고 편식할 수 있는건 이유가 있었네 고맙습니다

  • @user-il9fq3cs8c
    @user-il9fq3cs8c Před rokem +2

    1918년에 노벨상을 수상했었네요. 꼭 수정 부탁드립니다

  • @GoB_Lin
    @GoB_Lin Před rokem +4

    9:31 선생님... 단위... 단위를 고쳐주세요

  • @teyangaze
    @teyangaze Před 4 měsíci

    제가 가장 좋아하는 말중하나가 있습니다
    잘못된곳에 태어난것은 죄가 될수 없다 허나 잘못된곳을 택하는것 그것은 죄다
    하버는 딱 이말이 알맞는 사람인거같습니다
    그나라에 태어난것은 죄가 될수 없으나 사람을 죽이기 위해 행한 행동은 죄가 되는것처럼요

    • @epdlqlem1234
      @epdlqlem1234 Před 4 měsíci +1

      누가 그런 개소리를 했는지는 모르겠지만,,,,
      2차 세계대전 끝나고 베를린에 거주하는 아녀자들은 모두 겁탈당해서 처녀가 없었다고 합니다
      하버 입장에서는 자신의 지식과 부를 가져다준 조국에 보답하고 사랑하는 가족들을 지키기 위해서 당연히 해야 할 일을 했을 뿐입니다. 윤리 허무주의를 말하자는 게 아니라 미국에서 강도 죽여도 무죄 판결 나오는 거랑 같아요

  • @user-pz1ju4eh8x
    @user-pz1ju4eh8x Před rokem +4

    사기와 사업은 종이 한 장 차이라고 하죠. 학자도 마찬가지로 지식을 재산삼아 열심히 한 연구가 무기에 사용될 지 인류 번영에 활용될 지, 당사자의 양심과 도덕에 의지할 수 밖에 없어 보입니다. 노벨상을 제정한 알프레드 노벨의 뜻을 기려보면 노벨상을 받을 자격이 될지 의문이네요. 수상 시기를 감안하더라도요

  • @user-ei2nu9ev2d
    @user-ei2nu9ev2d Před rokem +5

    근데 이런 논리로 하버가 나쁘면 핵 개발자들은 사형이겠네

  • @penblack9526
    @penblack9526 Před rokem +1

    I think the first reason why the whole world was able to develop is the hunger problem
    I didn't know nitrogen was such an important factor
    Thank you.

  • @user-mi2to4tx3b
    @user-mi2to4tx3b Před rokem +16

    하버는 좋은 의미로든 나쁜 의미로든 그 시대 그 자체였음

  • @유x8메그내릭
    @유x8메그내릭 Před rokem +3

    6:12 되게 비장하게 공개했는데 쉽게 뽀개시넹 ㅋㅋㅋㅋㅋㅋㅋㅋㅋ

  • @ryanbaik9217
    @ryanbaik9217 Před rokem +2

    하나하나 에피소드들이 주옥같네요

  • @asasasasas929
    @asasasasas929 Před rokem +3

    여기에 하버가 무슨 억지로 독가스 만들었거나 전쟁에 쓸 생각이 없었던것처럼 아는 사람들이 많은것같은데 애초에 전쟁용으로 앞장서서 개발을 한거고 적극적으로 사용하라고 선전하며 다닌게 하버입니다... 마냥 전쟁의 희생양인게 아님... 공은 공이고 과는 과인것인데 왜 그걸 무시하고 독가스개발마저도 숭고한 희생인냥 만들어버리는 사람들이 많은건지 이해가 가지 않네...

    • @user-wd9pm2rz6r
      @user-wd9pm2rz6r Před rokem

      그런 애들이 칸예 웨스트,일론 머스크, 트럼프 맹목적으로 지지하면서 조금이라도 반대되는 의견 제시하면 거품무는 겁니다. 설득하려 들지 마세요.

  • @janiatan5161
    @janiatan5161 Před 24 dny

    정말 좋은 영상입니다 감사합니다

  • @DPRK24
    @DPRK24 Před rokem +3

    Haber is a hero who has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mankind. no matter what anyone says

  • @위즈WisdomIT
    @위즈WisdomIT Před 4 měsíci

    알프레드 노벨은 인류를 위해 다이너마이트를 만들었으나 그 다이너마이트가 군사적으로 이용되는 것에 회의감을 느껴 노벨상을 만들었죠.
    프리츠 하버는 인류를 위해 비료를 대량 생산할 수 있는 기술을 만들고 노벨상을 받았으나 오히려 자의로 대량 살상용 화학무기를 만들었네요.
    참 아이러니한 일입니다.

  • @user-nb3vy8fd8n
    @user-nb3vy8fd8n Před rokem +2

    10:19 사직구장!

  • @실명전사신동빈
    @실명전사신동빈 Před rokem +1

    사람은 이분법적으로 나눌 수 없기에 그의 공정은 칭찬하지만 전범행위를 저질렀다는 건 비판을 할 수 밖에 없다. 하버를 나쁜 사람이다 좋은 사람이다라고 나누고 싶지 않다.

  • @user-eb2hu2lk7c
    @user-eb2hu2lk7c Před rokem +3

    과학의 빛과 그림자를 동시에 보여준 인물.....

  • @user-ae5pa
    @user-ae5pa Před rokem +1

    7:40 Karlsruhe대학교 아닐까요? 칼스루에가 독일에 유명한 대학교라 순간 어라? 했어요 ㅋㅋㅋ

  • @HGORANI
    @HGORANI Před rokem +2

    왔구나..!! 기다렸습니다.

  • @SHK1008YOUTUBE
    @SHK1008YOUTUBE Před rokem +1

    *“전쟁이 무조건 나쁜것은 아니다.“* - Gitler

  • @user-me5qt9es5s
    @user-me5qt9es5s Před rokem +24

    질소고정법은 누가 뭐래도 인류 최고의 기술 중 하나

  • @yulianhankim
    @yulianhankim Před rokem +7

    메탈 밴드 Sabaton의 최근곡인 Father가 이 사람과 그의 발명품인 독가스에 대한 노래입니다. 인물에 대한 평은 둘째 치더라도 노래 자체는 엄청 좋아요.

  • @itwasjustbored
    @itwasjustbored Před rokem +17

    멜서스 트랩을 으깨고 수 많은 병사의 폐도 으깬 하버

  • @javaxerjack
    @javaxerjack Před rokem +4

    자신의 연구를 누군가 악용한 것 조차 아니고, 자기 자신이 적극적으로 악용하는 연구를 진행했는데 억울하다 할게 없다고 봅니다.
    그리고 하버법이 없었다면 독가스의 개발은 가능했겠지만 양산은 불가능 했죠. 본인이 한 이상 오명도 전부 본인이 책임져야 할 사항이라 봅니다.

    • @user-ml7sk2oo6m
      @user-ml7sk2oo6m Před rokem +1

      누군가 악용했으면, 애초에 양면성의 사례로 이런 영상이 만들어지지도 않았겠지만

  • @jhkjhkjhkjhkjhk6873
    @jhkjhkjhkjhkjhk6873 Před rokem +2

    정말 복합적인 인물이네요

  • @gunsmith113
    @gunsmith113 Před měsícem

    훌륭하고 유익한 동영상 잘봤습니다!!
    프리츠하버와 같은 위대한 과학자들이 인류를 살려냈군요!!
    하버를 비난한다면 오펜하이머도 비난받아야죠^^

  • @장일준
    @장일준 Před rokem +1

    이 채널 넘무 좋다

  • @user-kt6vp3bk8q
    @user-kt6vp3bk8q Před rokem +1

    그래도 질소고정법에 의한 인류증가의 기여도가 너무나도 큼. 그렇게 따지면 원자탄 개발에 대한 이론을 만든 사람과 맨하탄 프로젝트 참여자 모두 학살자라고 불러야하나?

  • @user-mg2qy4se9s
    @user-mg2qy4se9s Před 15 dny

    우리나라 기아 해방의 결정적 역할을 한게 바로 질소비료죠. 현재 고교 화학 교과서에서도 화학 역사 파트로 중요하게 다룹니다.

  • @aka501z
    @aka501z Před měsícem

    과학의 발전은 그렇게 그 한 사람이 없었다면 불가능했다! 식으로 전개되지는 않아요. 미적분도 몇명이 거의 동시에 발표했고, 전화기와 전구도 거의 동시에 발표하고, 방사선 분열, 블루 LED, 반도체 다 그랬습니다. 암모니아의 발견은 시대를 앞서간 발견이긴 했지만 하버가 없어다면 "지금도" 없었을것이다!식으로 비약하는 것은 옳지 않아요. 학문은 선임자의 연구를 업그레이드 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하버 없다고 세상에 못 나왔을것이다는 것은 의미 도약이라고 보입니다. 뉴턴, 에디슨, 오펜하이어 모두 훌륭한 과학자들인것 확실하지만 그렇다고 상대측인 라이프니츠, 테슬라, 페인만, 로렌스가 결코 뒤떨어지거나 하지는 않았어요. 따라서 과학적 업적으로 다른 비윤리적 행위를 덮자는 것은 사실 상당한 위험한 발상이고 다른 노벨상 수상대상자들이 수상 거부한 이유가 일반인은 이해가 안 되겠지만 저는 충분히 이해가 됩니다.

  • @liliiililii
    @liliiililii Před rokem +4

    프리츠 하버 수상연도는 1918년입니다 원고에 오타가 나신거 같아요

    • @ratulee
      @ratulee Před rokem

      어쩐지.. 노벨상은 사망한 사람한테는 수여 안 하죠

  • @단무짘선생
    @단무짘선생 Před rokem +13

    우리 학교에서도 하버 순환 가르칠따 화학 쌤이 하버에 대한 TMI를 늘어놓으면서 굉장히 하버를 싫어하셨음. 이렇게 보니 과학자가 머리만 똑똑한게 아니라 마음이 얼마나 중요하고 자신의 손과 머리에 달린 과학이 얼마나 지대한 영향을 주는지 알게됬음. 그 이후로 난 “라이너스 칼 폴링” 이라는 과학자를 진심으로 존경하면서 여태까지 살고 있음.

    • @Sigmar-guide-us
      @Sigmar-guide-us Před rokem +2

      난 페러데이

    • @anton503hvt
      @anton503hvt Před rokem +2

      @@Sigmar-guide-us ???: 아 아이들을 위한 크리스마스 강연은 못참지 ㅋㅋ

  • @jayshin5071
    @jayshin5071 Před rokem +1

    40억명을 살린 게 아니고 인구가 40억명 늘게 한 것. 어차피 인구가 늘 것이 아니었고 비료 발명으로 식량 생산이 늘어 인구가 증가한 것.

  • @user-pq1ix5or1j
    @user-pq1ix5or1j Před rokem +4

    사실상 현대 인류의 아버지 아닐까

  • @dlfmatjd9940
    @dlfmatjd9940 Před rokem +2

    전쟁의 원인에 대해서 역사 책에 명확히 기록된 것은 저로선 본 적이 없습니다.
    보통은 경제적인 이유에서 싸우는 것이겠지만, 돈을 벌기 위해서는 사람을 죽여도 된다는 걸 명확하게 알려 주고 싶지 않은 거겠죠.
    하층민에게 교육적으로 안 좋으니까요.
    그런 얘기를 하는 대신에 살인 명령을 잘 수행하는 것을 애국적 행위라고 얘기합니다.
    그렇게 되면 사랑을 위해서는 살인을 해도 되는 게 되는데도.

  • @m2cheki1
    @m2cheki1 Před rokem

    모든전쟁은 이해관계입니다.
    선악의 관점에서 접근하면 전쟁범죄가 합법적으로 성립하게됩니다.
    나치가 악이고 영국이 선이라면 러시아가 악이고 우크라이나가 선이라면 악을 처단하고 없애는것이 죄가될수 없으니 독일군을 러시아군을 학살해도 면죄부를 주는것이 됩니다.

  • @user-hs1gv3yx1q
    @user-hs1gv3yx1q Před 3 měsíci

    인간의 모습을 아주 잘 보여준 과학자라
    생각 되네요 어느 면은 천사처럼
    어느 면은 악마 처럼 보이는 인간

  • @WasabiMintChoco
    @WasabiMintChoco Před 2 měsíci

    오쒰;; ㅋㅋㅋㅋㅋ 채널 재밌네 과학적으로도 유익하고

  • @user-gs6nf7hr6w
    @user-gs6nf7hr6w Před rokem +5

    하버를 욕하려면..... 맨하튼 프로젝트에 참여해 ... 수많은 일본인을 빨리 죽여야 전쟁을 빨리 끝낼수 있다면서.. 일본인의 살육에 미쳐 있었던 파인만을 똑같이 욕해야 하겠죠.... 그런데, 미국놈들은 결코 그러하지 아니하며, 미국의 노예 국가 한국도 이를 안하죠.... 하버의 독가스나, 파인만의 원자탄이나... 같습니다요..

    • @user-bx1xl7gl5b
      @user-bx1xl7gl5b Před rokem

      핵은 독일이랑 일본도 개발 시도 중이었는데요ㅇㅅㅇ 그냥 돈 없어서 못 해낸거임

  • @user-ht2bd3gq8y
    @user-ht2bd3gq8y Před rokem +5

    독일이 이겼으면 영웅으로 기억됐을텐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