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류는 어떻게 게임 체인저가 됐을까?|인간의 놀라운 신체 능력!

Sdílet
Vložit
  • čas přidán 9. 03. 2023
  • 과학드림은 여러분의 소중한 후원으로 성장합니다.
    멤버십 가입!▶ bitly.kr/ZDqKr1WUG
    과학드림의 식구가 되어 주세요! :)
    다른 후원 방법!▶toon.at/donate/sciencegive
    =============================================
    불과 300만 년 전까지만 해도
    인류는 참으로 보잘것없는 존재였습니다.
    아프리카의 어느 한 숲에서 등장한 최초의 인류는
    뛰어난 뇌는커녕,
    피지컬로도 당시 생태계 포식자들에게 한참 밀리는,
    해서 숨어 지낼 수밖에 없는
    그저 그런 작은 유인원들 중 하나일 뿐이었죠.
    이들에겐 사냥에 적합한 이빨도,
    먹잇감을 위협할만한 날카로운 발톱도 없었습니다.
    하지만 258만 년 전 플라이스토세,
    쭈구리였던 인류는 주변 동물들을 압도하는
    강력한 신체 능력을 갖게 되고,
    생태계의 게임 체인저로 진화해 나갔으니…
    도대체 그 능력이 뭐였을까요?
    #인류 #진화 #달리기
    =============================================
    [참고 자료]
    - Dennis M. Bramble et al., (2004). "Endurance running and the evolution of Homo."
    - Neil T. Roach et al., (2013). "Elastic energy storage in the shoulder and the evolution of high-speed throwing in Homo."
    - 닐 로치 박사의 의견 링크: bit.ly/2KKTAng
    - 인류의 투척 능력에 관한 국내외 링크:
    bit.ly/3ZDnHAN
    bbc.in/3J7l4jA
    [사진 및 영상]
    - 셔터스톡 외
    [음악]
    (1)Country Hip-Hop
    (2)High Country
    (3)Days Pass
  • Věda a technologie

Komentáře • 1,1K

  • @ScienceDream
    @ScienceDream  Před 8 měsíci +8

    저의 2번째 책 이 출간되었습니다! 늘 잊지 않고 채널 찾아와 주셔서 감사합니다. 글과 만화가 잘 어우러져 있어 쉽게 읽힐 거예요. 그리고 아마 영상과는 또 다른 매력을 느끼실 거라 생각됩니다.😊 - 과드 올림
    - 교보문고: gilbut.co/c/23107681td
    - 예스24: gilbut.co/c/23106761WL
    - 알라딘: gilbut.co/c/23105727Lw

    • @JIN-tx7yf
      @JIN-tx7yf Před 5 měsíci

      2가지가 아니라 3가지겠지 바로 지능

  • @mandog415
    @mandog415 Před rokem +345

    던지기와 오래달리기 두가지라는 건 이전부터 여러 영상으로 봐서 예상했지만, 역시 퀄리티와 디테일이 남다르군요.

    • @user-vn3yy7os5k
      @user-vn3yy7os5k Před rokem +19

      찐특) 자기가 알았던거 어떻게든 티내려함

    • @kk.kk.
      @kk.kk. Před rokem +52

      ​@@user-vn3yy7os5k아 예 ㅋㅋ

    • @undine1013
      @undine1013 Před rokem +77

      @@user-vn3yy7os5k 찐특: 어떻게든 상대를 깎아내리려함

    • @Lingua-qv6ym
      @Lingua-qv6ym Před rokem +9

      @@user-vn3yy7os5k 키야아아 멋있다~!

    • @user-sz2bh8zy4d
      @user-sz2bh8zy4d Před rokem +6

      @@user-vn3yy7os5k 이미 많이 퍼져있던 이야긴데?

  • @user-eg3mt6ws7n
    @user-eg3mt6ws7n Před rokem +34

    1. 장거리 달리기 능력: 활동시간에 대한 선택압을 받으며 여타 다른 육식동물과 다르게 낮에 활동하게 되었음. 열에 견디기 위해 인류는 털을 벗고 땀샘이 발달하게 됨. 장거리 달리기에 필요한 엉덩이와 종아리 근육이 발달함. 이로인해 장거리 달리기에 유리한 체형으로 진화함.
    2. 투척 능력: 정교한 손의 기능과 더불어 어깨의 높이가 낮아짐. 윗 팔뼈가 짧아짐. 팔의 회전 반경이 넓어짐. 허리가 길어짐. 위와 같은 변화로 정교하면 빠른 투척능력을 지니게 됨.
    3. 뇌의 발달: 불을 사용하게 되면서 소화가 용이해짐. 저작근과 턱뼈가 작아지고 상대적으로 뇌가 자리할 공간이 넓어짐.

  • @user-no7nz4op3b
    @user-no7nz4op3b Před rokem +35

    던지기가 이렇게 중요한 능력이었다니! 오늘도 새로운 지식 감사합니다~

  • @pondicherry001
    @pondicherry001 Před rokem +1083

    여름만되면 육수 뿜뿜인 내가 사실은 진화의 산물...?😎😎

  • @user-lu2yr6qj6k
    @user-lu2yr6qj6k Před rokem +6

    진짜 최고야.. 보는 내내 소름 돋았어요 과학드림 짱,..

  • @jun____young
    @jun____young Před rokem +29

    지구력과 투척능력은 알고있어도 과학드림님이 설명해주니 더 재밌네요 ㅎ

  • @gijungkim2000
    @gijungkim2000 Před rokem +6

    과학드림 기다렸어요❤❤❤

  • @user-xd3qv9mh8d
    @user-xd3qv9mh8d Před rokem +184

    이렇게 흥미로울수가... 생각해보니 던지기는 거의 인간만이 할 수 있는 능력이었네요 생각지도 못한 거라 너무 놀라워요

    • @Levis502tpd
      @Levis502tpd Před rokem

      원숭이도 던지던데 ㅋㅋ

    • @user-nv7iy9kp3t
      @user-nv7iy9kp3t Před rokem +8

      + 정확하고 세게

    • @user-ds8cm7dv7o
      @user-ds8cm7dv7o Před rokem +2

      물총고기도 있긴 합니다 물을 쏴서 곤충을 잡죠

    • @hope_opportunity
      @hope_opportunity Před rokem +11

      @@user-ds8cm7dv7o 던지기...
      던지기...
      아시겠어요?

    • @djQjfkrh
      @djQjfkrh Před 11 měsíci +1

      @@user-ds8cm7dv7o그게 던지기냐고...ㅜㅡ

  • @JJ-pd8hk
    @JJ-pd8hk Před rokem +6

    과학드림님,전 집에 과학드림 책이 없어서 도서관에서 읽어보았는데 정말 우익하고 재미있는 내용이 많네요.ㅎㅎ 앞으로도 재미있는 영상 올려주세요.

  • @minbbang23
    @minbbang23 Před rokem +1

    이런 주제 너무좋아해용 잘보고갑니다!!

  • @caffein9953
    @caffein9953 Před rokem +1

    오늘도 잘 보고 갑니다! 과학드림 책도 사서 잘 보고 있어용*^^* 제 동생이 넘 좋아해요😊 항상 재밌고 유익한 정보 감사드려요❤

  • @user-dh2if4iu8o
    @user-dh2if4iu8o Před rokem +21

    오늘도 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오늘 수업하는 도중 토끼 관련 이야기가 나와서요.. 토끼의 진화에 대해 다뤄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inyo715
    @inyo715 Před rokem +28

    이런 거 보면 진짜 고대 인류가 존경스러움 아무것도 없는 곳에서 새로운 능력과 언어, 문화를 만들어냈으니까

    • @user-rc2fd7sb9x
      @user-rc2fd7sb9x Před rokem +5

      현대사람들이 소름돋게 존경스럽지 인류는근 200년동안 미친듯이 발전함 전기로 핸드폰 인터넷 상상조차힘듬 그속도는 점점 빨라질거임 200년만 늦게 태어났다면 인간은 늙지도 죽지도 않으며 핵융합기술로 달.화상 테라포밍 날라다니는 건물(스타 테란시대)

    • @pillseung1804
      @pillseung1804 Před rokem +17

      ​@@user-rc2fd7sb9x 넌 아무것도 안하고 현대인류 ㅇㅈㄹ

    • @user-og2pj5ik8b
      @user-og2pj5ik8b Před rokem +2

      @@pillseung1804 그럼 넌 뭐하는데

    • @taeinyi2123
      @taeinyi2123 Před 4 měsíci +1

      응 200년 가기도 전에 망해 ㅋㅋ 미친듯이 발전하는데 기후변화고 사회문제고 막지도 못하는데 ㅋㅋ 이미 멸망을 향해 달려가고 있는데 전자공학하고 무선통신 컴퓨터공학만 기술의 발전이냐? ㅋㅋ

  • @user-pi1vs8qg4x
    @user-pi1vs8qg4x Před rokem

    영상 하나하나 얘기해주는거 너무 집중 잘 되고 재미씀

  • @go2deung-eo
    @go2deung-eo Před rokem

    첫 영상 부터 꾸준히 본 시청자 입니다
    매번 좋은 영상 만들어 주셔서 진심으로 감사합니다

  • @user-gw7lo3jx8s
    @user-gw7lo3jx8s Před 9 měsíci +17

    투척능력과 오래달리기 능력의 시너지도 에너지 측면에서 효율이 너무 좋은듯 다른 맹수들은 온힘을다해 달리든지해서 사냥을하는데 투척이라는 기술자체가 에너지측면에서 실패하더라도 리스크가 없는수준이고 날카로운 투창을 한번만 이라도 명중시키면 그다음 오래 달릴수있는 체력을 바탕으로 지칠때까지 쫒아가면 되니까

  • @lunesargent
    @lunesargent Před 10 měsíci +3

    이번건 뇌만의 발전이 아닌 신체부위에 대한 진화도 볼 수 있어서 재밌네요 ㅋ

  • @user-pj8ko7vw7f
    @user-pj8ko7vw7f Před rokem +2

    곧있으면 백만 이네요! 축하해요!!!

  • @feline-logic
    @feline-logic Před rokem

    우와 오늘내용 대박!
    과학드림님 사랑합니다❤

  • @club0alice
    @club0alice Před rokem +40

    직립, 도구, 육식, 불, 농경, 문자 등이 기존의 변환점인 것 같아요.
    그런데 육체적 촛점의 지구력, 땀샘, 던지기 등도 재밌네요. 다양한 운동 능력은 정교함에 이르러, 더 구체적인 수렵, 채집, 발명, 창작 등에 영향을 준 것 같네요.

  • @kmsbook
    @kmsbook Před rokem +14

    지구력측면에서 인간이 다른 동물에 비해 남다른데,오죽하면 가축화 시키는데 있어서도 인간의 지구력에 따라와야하니까 동물중에서 지구력이 좋은 말, 소, 개 같은 동물들이 가축화 하는데 선택됐죠.
    그리고 말 vs 인간 마라톤이 거의 매년 이뤄지고 있는데 말이 압승할거라고 다들 생각하지만 생각보다 기록차이가 많이 나지 않는데다가 심지어 인간이 이긴 경우도 심심치 않게 있는걸 보면 정말 대단하다고 생각합니다. 거기다가 경주길이가 35km정도인데 실제 마라톤 처럼 40km가 넘어가거나 날씨가 덥고 습한 경우에는 인간이 더 유리해 진다고 하니 정말 놀랍죠.

    • @davidhan9979
      @davidhan9979 Před 10 měsíci

      말이랑 인간 마라톤 같은경우는 거리를 정해놓고 대결하는건가요? 그러면 제생각엔 지구력 시험하는데 거리 선택을 잘해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일반적인 40 키로미터는 제생각에는 인간과 말의 지구력 시험하는데는 적당한 거리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말과 인간들은 지구력이 좋으니 테스트 하려면 최소한 200 키로미터 이상은 해야된다고 봅니다. 제 생각엔 200 키로미터 이렇게 크게 가면 인간이 말도 이길수 있을거라고 생각합니다

    • @kmsbook
      @kmsbook Před 10 měsíci +2

      @@davidhan9979 위에 적어놨듯이 말vs인간 마라톤의 경주 길이는 대략 35km로 정해져 있습니다. 인간의 지구력을 최대한으로 보이기에는 그보다 더 긴 길이가 좋겠지만 그보다 짧은 길이에서도 날씨조건에 따라서는 포유류중 가장 지구력이 좋은 동물중 하나인 말도 이길수 있을정도로 인간의 신체능력이 생각보다 뛰어나다는 것이죠.

  • @bushwick4241
    @bushwick4241 Před 2 měsíci

    항상 잘보고갑니다. 설명은 물론 목소리도 좋아요 😊

  • @user-pz3rn6zj3u
    @user-pz3rn6zj3u Před rokem

    오늘도 영상 잘 봤습니다💕

  • @user-hj1jo5pv6v
    @user-hj1jo5pv6v Před rokem +7

    인간의 뛰어난 원거리 무기 사용 능력은 이 투척 능력 덕분이기도 하죠.

  • @hunz796
    @hunz796 Před rokem +9

    오래달리기와 던지기 능력에 더불어 다른 야생동물과 확연한 차이점은 수면 이라고 하더군요. 자연이나 포식동물의 위협 없이 숙면을 취할수 있게 되면서 뇌의 능력이 비약적으로 발달하게 되었다는 가설이 있습니다

  • @bristol583
    @bristol583 Před rokem

    오~ 아주 흥미로운 내용입니다~
    좋은 방송,,,고맙습니다~~~

  • @Purple_Doldom
    @Purple_Doldom Před rokem

    좋은 컨텐츠 잘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 @shellparing
    @shellparing Před rokem +13

    땀샘, 오래달리기, 고기요리, 불, 도구발명...
    현대사회 빗대어 보면 의식주 형태를 잘 이뤄야
    우리가 연구할수있고 공부할수있고 발견 발명 하여 발전 할수있단 얘기군요
    아주 참신한 내용입니다. ㅇㅂㅇ

  • @wind_of_change_
    @wind_of_change_ Před rokem +243

    음식을 불에 익혀 먹고 그로인한 지능의 발달이 제일 컸겠지만
    정확한 지점에 던지는 능력 덕분에 인류가 생태계 최정점에 올라 설 수 있었다고 하네요

    • @pineapplech.5749
      @pineapplech.5749 Před rokem +37

      직립보행이 개사기임..

    • @Just_painkiller
      @Just_painkiller Před rokem +9

      @@pineapplech.5749 직립보행이 도구도 쓰게 해주고 개사기임

    • @user-rc2fd7sb9x
      @user-rc2fd7sb9x Před rokem +25

      직립보행으로 나무막대기 휘두른게 신의한수였지 도구를 쓰게된것 그로인한 지능향상

    • @glory78245
      @glory78245 Před rokem +11

      @@pineapplech.5749 근데 펭귄도 척추가 곧게 선 직립보행 아님? 조류의 이족보행과는 다른... 음 펭귄이랑 인간말고는 직립보행 없는듯. 혹시 펭귄도 나중에 죧나 똑똑해지는거 아닐까

    • @Supergolem12345
      @Supergolem12345 Před rokem +10

      @@glory78245 근데 펭귄은 다리가 완전히 쭉 펴진 게 아니라 90° 구부러져 있기 때문에 걸음걸이가 조금 어정쩡하죠

  • @jslee5926
    @jslee5926 Před rokem +1

    오래달리기! 는 알고있었지만 던지기도 같이 발달했다는건 처음 알았네요 흥미롭습니다!!

  • @user-lm7nl1vz6r
    @user-lm7nl1vz6r Před rokem

    많이 기대렸습니다 행님 감사합니다 교수님

  • @user-oi4vb5oo7c
    @user-oi4vb5oo7c Před rokem +6

    마지막 멘트까지 인상적이네요. 진화는 정말 대단한 개념인것 같습니다. 우주에서 인간만큼 사고하며 진화한 다른 생명체가 있을지 궁금하네용

    • @ScienceDream
      @ScienceDream  Před 4 měsíci

      진화는 아주 간단하고 쉽습니다. 하지만 왜곡되기도 쉬운 과학 이론 같습니다. 우주에 우리밖에 없다면 너무 외로울 것 같습니다ㅠ

    • @88kiki73
      @88kiki73 Před 4 měsíci

      ​@@ScienceDream 우주탄생 이후 생물체가 나타날때까지의 기간을 고려하면 인류가 유일은 아니더라도 사실상 가장 빠른 고등생명체일 가능성도 있다곤 하더라고요..ㅠㅠ

  • @BlackRay-sw1vk
    @BlackRay-sw1vk Před rokem +4

    이 맛에 영상 업로드가 2주 걸려도 과학드림 구독한다

  • @songskjaer2752
    @songskjaer2752 Před rokem

    처음 댓글을 달아보는데 마지막 멘트가 생각을 관통하게 되네요 요근래 본 최고의 영상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djwodhej7725
    @djwodhej7725 Před rokem

    좋은 영상 유익한 영상 굿굿 👍

  • @Dolgari
    @Dolgari Před rokem +4

    본투런이란 책에서 사슴이 지칠때까지 쫓아가는 사냥방식이 나오던데... 그거랑 울트라마라톤이 생각났네요 ㅎ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jspenzer1004
    @jspenzer1004 Před rokem +39

    전체 생물 중에서
    유일하게 '무빙샷'이 가능하니... ... ...
    사기능력 맞네요 ㄷ ㄷ ㄷ ㄷ ㄷ

  • @ralphb6560
    @ralphb6560 Před 2 měsíci

    너무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anddo123
    @anddo123 Před rokem +33

    털을 없에고 땀샘으로 냉각시스템을만들고
    밤에는 가죽으로 리스크를 상쇄시키는
    진화는 정말 커스텀을 잘하는듯

    • @user-ei1pc3wb9z
      @user-ei1pc3wb9z Před rokem +1

      ㅇㅇ 온도에 따른 변화에 이렇게 적응 잘하는 동물이 없음~2

    • @jhshin9413
      @jhshin9413 Před rokem

      개는 더위가 심하면 축늘어지고 혀를
      내밀고 뻗어버림.

  • @user-rk9il7of9q
    @user-rk9il7of9q Před rokem +72

    와우... 이런 지식들 습득하느라 얼마나 많은 시간이 걸렸을까요 시청자들에게 짧은 시간에 알게 해줘서 감사합니다

    • @user-tb5zs7ii4d
      @user-tb5zs7ii4d Před rokem +2

      이미 수년전에 zattwo zvs 채널에 올라온 내용과 비슷하네요

    • @user-dt5pb5wk1n
      @user-dt5pb5wk1n Před rokem +2

      @@user-tb5zs7ii4d 정말 좋아하는 채널인데...잘 안올리시더라고요.

    • @user-ni5mq7nu2q
      @user-ni5mq7nu2q Před rokem +2

      ​유튜브에 같은 내용 차고 널렸는데

    • @user-em2ny5es3u
      @user-em2ny5es3u Před 9 měsíci

      이태원 변사체들도 복부 압박으로 토하고 똥 지렸던데 ㅋㅋ

  • @Prilry
    @Prilry Před rokem +6

    와우. 진짜 생각도 못했습니다ㅎㅎ 재미있게 봤어요ㅎㅎ
    순간 급 생각이 난건데 미래의 인류는 어떻게 변할지 예측 하는것도 재미있을거 같아요.
    요즘 아이들은 미세먼지 때문에 속눈썹이 유독 길게 태어난다는데 그런것처럼 어떻게 변해나갈지도 급 궁금해집니다.

    • @LEVI-mt5ve
      @LEVI-mt5ve Před rokem

      자연환경적으로 진화할 필요가없으니 유지를하거나 미적으로 추구하는 방향으로 진화하겠죠

    • @user-or1hr2ph2n
      @user-or1hr2ph2n Před rokem

      현재 기후 위기가 심각해서 더운 걸 잘 버틴느 사람들이 더 잘 생존하게 되지 않을까 싶네요.미세먼지 때문에 호흡기관에 털도 많아질 수도 있겠고요.

    • @user-hi2mf9qp6h
      @user-hi2mf9qp6h Před 11 měsíci

      외계인처럼 진화 할 것입니다

    • @taeinyi2123
      @taeinyi2123 Před 4 měsíci

      100년지니면 소수말고 다 멸종할듯 ㅋㅋ ai때문에 지능은 퇴화되고 기후변화때문에 한정된 곳에서만 살아갈 수 있으며 핵전쟁나서 돌연변이들도 많이 나올듯

  • @cheolseungkim4588
    @cheolseungkim4588 Před rokem

    대단합니다. 잘 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ㅎ~~~

  • @user-jz5uc1gt5n
    @user-jz5uc1gt5n Před rokem +1

    재밌네요 ㅋㅋ 좋은 무기가 없는 캐릭터이지만 패시브 능력이 좋아서 이렇게 최상위가 된 같은 느낌

  • @hoon_ki_love_
    @hoon_ki_love_ Před rokem +7

    영상에 나온 논문들은 어디서 구해오시는건가요? 정말 대단하시네요..ㄷㄷ

    • @user-ps2ih9st5l
      @user-ps2ih9st5l Před 3 měsíci

      전 이런거 관심 대충 70년 불과 70년 사이 계속 변해요,, 조금 지나면 또 다른 학설 나올꺼,,,

  • @user-zg8iq9gs7x
    @user-zg8iq9gs7x Před rokem +35

    던지기 때문에 궤도 시뮬레이션을 할 수 있는 뇌가 자연선택되었고 이는 상상 이라는 개념을 탄생시켰다는 말도 있습니다.

    • @user-y3y6y9
      @user-y3y6y9 Před rokem +3

      오우

    • @kcsj401
      @kcsj401 Před rokem

      와오 예지력 탑재 ㅋㅋㅋ

    • @locotiyaga
      @locotiyaga Před 11 měsíci

      일리가있는데요?

    • @SolLaTico
      @SolLaTico Před 9 měsíci

      구슬치기, 비석치기 같은 놀이가 괜히 생긴게 아니네요 ㅋ

    • @USink
      @USink Před 3 měsíci

      아 그래서 우리가 스타를 해도 테란하고 fps게임 좋아하고 롤을 해도 멀리서 떼리는 캐리챔들 좋아하는구나 ㄷㄷ

  • @vetym02
    @vetym02 Před rokem +2

    직립보행이 생각보다 큰 차이를 가져왔군요.. 잘 보고 갑니다.

  • @user-rj3rj4bu8p
    @user-rj3rj4bu8p Před rokem

    인류가 살아남앗던 필요조건들이 재밋군연 ㅎㅎ

  • @user-lm7ri1xb6t
    @user-lm7ri1xb6t Před rokem +65

    인류의 진화란 알면 알수록 참 신기하네요~

  • @user-iu5be7kg4e
    @user-iu5be7kg4e Před rokem +28

    오래달리기와 투척능력
    세계 스포츠 주류인 축구과 야구로 연결이 되네요..
    이런거 보면 신기방기

    • @Super_Jimmy22
      @Super_Jimmy22 Před rokem +6

      야구가 세계적인 주류라고 하기에는...

    • @user-lb4mc1qk5e
      @user-lb4mc1qk5e Před rokem +1

      오래잘리기는 축구라기보단 마라톤...

    • @spiralheelshot8343
      @spiralheelshot8343 Před rokem +16

      @@user-lb4mc1qk5e 단순히 일정한 페이스를 유지하면서 오래 달리는 걸 목표로 하는 마라톤보단 90분이라는 동물들 기준으론 긴 시간 동안 가속,감속,방향전환을 하며 체력을 관리하는 축구가 '시간을 들이는 사냥' 이라는 키워드에 더 가깝지 않을까요?

    • @user-wv9zh3yn6g
      @user-wv9zh3yn6g Před rokem

      ​@@user-lb4mc1qk5e 오래 잘릴려면 둥근 야구방망이로 자르면 될까?

    • @American-drone
      @American-drone Před rokem

      축구 같은 필드에서 하는 구기종목은 오래달리기를 지나 집단간의 대결에서 기인한것 같으네요 서로 공을 뺏고 뺏기고 점수를 약탈해서 이기는

  • @DD-su8zm
    @DD-su8zm Před rokem

    오늘 영상 퀄리티가 미쳤네요..

  • @bauya12
    @bauya12 Před rokem

    오 놀라운 내용이네요 처음 들어 봅니다

  • @ggh4679
    @ggh4679 Před rokem +11

    인류가 생사의 갈림길에서 보수적인 방향이 아니라 대낮의 지옥같은 더위를 오히려 생존전략으로 선택하는 급진적 진화방향이 신의 한수가 되었다는것은,
    철학적으로 매우 의미가 큽니다.

    • @kcsj401
      @kcsj401 Před rokem +1

      222 약점을 극복할 전략적 사고가 더위라는 피해를 감수하면서 까지 당시에 판단되었던 건데 이런 소실대탐의 케이스가 다른 종에도 있었을까요

    • @user-by4eh7bl4s
      @user-by4eh7bl4s Před 9 měsíci

      ​@@kcsj401현생 생명체중에 이런 애들이 거의 없는거 보면 초기 인류한테 밀려서 다 사라진거 같은디...?

    • @sjsjs31513
      @sjsjs31513 Před 7 měsíci

      ​@@kcsj401뭐 인간과 종간 동맹을 맺었던 늑대-개 공통조상이나 유일하게 날라다니는 포유류인 박쥐 같은 거려나요

  • @pigdestroyer3132
    @pigdestroyer3132 Před rokem +6

    그리고 인간만이 가진 상상력이 있었습니다. 대부분의 동물은 사냥감이 시야에서 사라지면 사냥을 포기하지만 인간은 먹이가 눈앞에 보이지 않아도 희망을 품고 흔적을 쫓으며 끝까지 추적하죠. 그런 기질이 거대한 산맥을 넘고 바다를 건너게 하는 원동력이 되었고 종으로서의 번영도 이루었죠.

    • @locotiyaga
      @locotiyaga Před 11 měsíci +2

      무빙샷을 도모하던 인간이 신대륙을 희망하는 인간이 되는 원동력이 되었다는 게 참..

  • @user-ly9ty7cu4n
    @user-ly9ty7cu4n Před rokem

    정말 재밌다

  • @kdyu178
    @kdyu178 Před rokem +5

    상완이 흉곽을 방해하지 않는 점도 오래달리기에 도움이 된다고 들었습니다.

  • @freetbet
    @freetbet Před rokem +158

    정확하고 강한 투척력은 지구상 어떤 생물체도 인류를 따라올 수 없는 독보적 능력이고, 더 멀리 투사체를 보내기 위한 노력은 창, 활, 총, 포, 로켓으로 발전해서 인류를 우주로 이끌게 됐네요.

    • @anbayo1
      @anbayo1 Před rokem +37

      역사상 최초의 원딜러 생물일지도 ㅋㅋㅋ

    • @Jihoon933
      @Jihoon933 Před rokem +3

      ​@@anbayo1 호저도 원딜러임

    • @yutk267
      @yutk267 Před rokem +5

      지금은 극초음속 순항미사일도 만들어버림. 인류 투척력의 끝판왕

    • @ax1061
      @ax1061 Před rokem +1

      ​@@Jihoon933가시딜러

    • @user-sn7pz9dn9b
      @user-sn7pz9dn9b Před 10 měsíci

      최종 가상현실 시뮬레이션

  • @user-iu9hw8gh4k
    @user-iu9hw8gh4k Před rokem +1

    아주 일상적이고 평범한 무엇! 멋진 마무리 입니다. 이런 걸 학교에서 배우면 좋겠다는
    생각. 야구팬인데 새삼 오타니(일본 야구선수)
    가 대단하다는 생각까지. 잘 배웠습니다.
    공유합니다~

  • @seung717
    @seung717 Před rokem

    드림님이 영상 올린것을 확인했을때 기분이 너무 좋아요

  • @user-nw1be9yj2j
    @user-nw1be9yj2j Před rokem +3

    달리기는 모르겠지만 던지기는 정말 특별하네 ㄷㄷ

  • @Polypterusdelhezii
    @Polypterusdelhezii Před rokem

    새영상이다야호

  • @aIwayswithme
    @aIwayswithme Před 6 měsíci

    진짜 신기하고 흥미롭네 이런 일상에 감사해야겠구만

  • @NADOYAGANDA
    @NADOYAGANDA Před rokem +6

    지능 이외에는 신체적 경쟁력은 없다고 생각했는 데...인간이란 볼수록 쓸만한 생물이군요.

    • @Afgpotiss
      @Afgpotiss Před 8 měsíci

      체급 대비 펀치력도 엄청 강합니다.

  • @user-km4dk6yl6t
    @user-km4dk6yl6t Před rokem +12

    인간보다 빨리 달리는 동물은 넘쳐나지만 오래 달릴수 있는 동물은 얼마 안되지 가장 뛰어난 무기는 땀 상처입힌 동물을 놓치지 않고 추적할수 있는 지구력

  • @1004-RIDER
    @1004-RIDER Před 2 měsíci

    잘보았습니다 ❤❤❤

  • @Xer_sai
    @Xer_sai Před rokem

    과학드림님 자료 조사, 더빙, 편집 전부 다 혼자 하시나요? 아니면 크루가 있나요?

  • @user-ju4wi9zv2l
    @user-ju4wi9zv2l Před rokem +12

    인류가 진화에 온 모습을 살펴보면 지금의 다른 동물들은 어떤 진화를 거치고 있는지 관찰해보게 되는 것 같습니다^^

    • @danidaniels3227
      @danidaniels3227 Před rokem

      本当に楽しい(⑉• •⑉)❤︎
      youtubeei.com/watch?v=CJVP43Px4mf
      さとみくんが考えたマイクラ1マス生活めっちゃ面白い😂

  • @user-fe8ef4kn1l
    @user-fe8ef4kn1l Před rokem +3

    동물 입장에서는 따돌렸나 하면 뒤에서 돌던지면서 쫓아오는게 가히 공포였겠네요.

  • @Nose_Head
    @Nose_Head Před rokem +2

    인간은 어쩌면 최고의 운동신경을 지닌 게 아닐까 여러 스포츠가 존재하는 거 보면은 다른 동물들은 할 수 없지

  • @user-gs9bn5iu5g
    @user-gs9bn5iu5g Před rokem

    5:58 불의 발명이 아니라 발견 아닌가용?? 영상 잘 보고 있습니다!!

  • @gaon1405
    @gaon1405 Před rokem +14

    각종 옛날 이야기 및 신화 등에서 뱀과 늑대를 사악하게 그리는 이유는
    독을 가진 뱀은 숲에서 수많은 사상자를 낸 동물이고, 늑대는 육식 동물중에
    지구력이 가장 뛰어나서 인류와 오랜 기간 경쟁을 하고 목축업을 하게 된 뒤에는
    가장 많은 재산 피해를 내는 동물이 되었기 때문이죠.

  • @Hell_Dust-Buhnerman
    @Hell_Dust-Buhnerman Před rokem +8

    인류의 무기가 되어준 것은 상상력도 무기가 되지 않았을까 하는 상상도 떠오르네요. 결국 인간들이 직립 보행을 하면서 동시에 투척능력과 지구력을 얻은 이후 어느 시점에서 더 발달되지 않았을까 하는데 사냥을 하다보면 별의 별 일이 다 발생할 수 있고 그런 것을 먼저 생각하고 조금이라도 대비를 하는 것과 아무런 생각도 하지 않고 그저 반응. 본능. 그러한 것에만 의존해서 싸우는 것은 차이를 부를테고 피지컬이 뛰어난 개체만이 전부는 아니었을테니
    피지컬 하나만으로 사냥을 쉽게 성공시키는 건 누구나 가능하지는 않았을거라 생각합니다. 반대로 보다 머리를 써가며 다치는 일을 최소화 하고 창을 깎아 다듬어 쓰는 법을 깨우친 인류도 있었을텐데 그런 걸 가능하게 해준 것이 상상력이 아니었을까 생각합니다. 그 상상을 실현 시키는 능력이 인류가 정점을 차지한 또 하나의 무기가 아니었을까 하네요.
    말고도 다른 능력이 있었다면 어땠을까 하는 생각도 듭니다.

    • @SolLaTico
      @SolLaTico Před 9 měsíci

      상상력을 이용한 트랩, 함정을 이용한 사냥법 발명😮

  • @user-yh1et5oo7h
    @user-yh1et5oo7h Před rokem

    재밌다 ㅋㅋㅋ

  • @user-qf6zw4lh6h
    @user-qf6zw4lh6h Před rokem

    고대 육지 악어나 독특한 생김새에 고대 상어 다뤄주실 생각 없으신가요

  • @BroMoon97
    @BroMoon97 Před rokem +4

    수업시간에 이렇게 알려줬다면
    ㅈㄴ 재밌어서 공부 열심히 했을듯...

  • @yo452316
    @yo452316 Před rokem +24

    이걸 보면 인류가 탄생한 건 우연이지만 언젠가는 인류와도 같은 생물이 탄생할 수 밖에 없는 필연처럼 보이네요.

    • @user-si7lx4xw8x
      @user-si7lx4xw8x Před rokem +3

      하지만 10만년전에 멸종할뻔한거 보면 하이리스크 하이리턴임
      인간이란 종이 기후변화에 지극히 취약해서

    • @smithcho4618
      @smithcho4618 Před rokem +11

      생태 지위에 빈공간이 생겨야 폭발적인 진화가 가능함. 백악기 대멸종으로 고등? 파충류가 싸그리 정리되니 공룡의 시대 내내 조그만 생쥐격? 그런 지위였던 포유류가 여러 가지로 분화해서 그 빈공간을 순식간에 메꾼것과 같은거임

    • @smithcho4618
      @smithcho4618 Před rokem +2

      결론은 인간이 멸종하면 생태계 최고 상위자라는 인간지위는 곧 메꿔진다. But 그 진화 방향이 지능을 올리는 쪽일지 거대한몸에 칼날어금니와 손발톱 일지는 아무도 모른다?

    • @jh46386hdgs
      @jh46386hdgs Před rokem

      ​@@smithcho4618 공감합니다. 공룡은 수억년간 지구를 지배했지만 결국 지능을 발전시키지 못하고 무식하게 덩치를 키우는 방향으로 진화했죠. 어쩜 우연히 지능을 진화의방향으로 택한 인류와 이 지구라는 행성이 상당히 드믄 케이스란 생각이 드네요. 주기적인 대멸종으로 덩치만 키우던 진화방향을 리셋했던게 인류에겐 행운인듯요

    • @Uy-zv2sb
      @Uy-zv2sb Před rokem

      @@jh46386hdgs 근데 또 생각해보면 고작 수백만년의 인간에 비해 무려 수억년동안 존재했었던 공룡이야말로 진정한 유전적 승자가 아닐까 생각도 해 봅니다. 큰 돌멩이가 지구에 충돌하지 않았다면 아직까지도 생존해 있을수 있다는...그에 비해 인류는 그 비상한 지능에 의해 전쟁을 하고 멸종해 짧은 기억만을 간직한채 사라질지도 ㅎ

  • @user-wx7ge8fm5q
    @user-wx7ge8fm5q Před rokem +2

    역시 과학은 창이었네요.

  • @user-qu9nk9gr9y
    @user-qu9nk9gr9y Před rokem +1

    아름다운 가설입니다~~~

  • @호랑좌
    @호랑좌 Před rokem +4

    1:04 Opening
    6:42 Endcard

  • @kaaai496
    @kaaai496 Před rokem +8

    쇼핑에서의 남녀의 성격차이도 사냥방법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하네요
    남성은 목표물을 하나 정하고 그 목표물만을 바라보며 끝까지 달려가 사냥을 했죠
    그런 습관떄문에 쇼핑할떄 목표하나 정하고 마트가서 딱 그것만 사고 오는거죠
    반면 여성 채집을 담당했기 떄문에 이것저것 만저보고 느껴보는 습관이 지금까지 남아 있는거래요

  • @user-rk5pu9mm9y
    @user-rk5pu9mm9y Před rokem

    ㅜㅜㅜ그래서 꼭 뛰고 걷고 해야 정신건강이 좋다는데..흑흑
    ㅋㅋㅋ좀 뜬금없는 댓글이넹...형 오늘도 좋은 내용 고마워용♡

  • @88bb43
    @88bb43 Před 3 měsíci

    과학 유튜브 중에서 제일 잼있는 과학드림.

  • @ltk108
    @ltk108 Před rokem +5

    다른 동물들처럼 강력한 근육이나 강력한 턱, 날카로운 이빨과 발톱 같은 것들이 아예 없는, 백지 같은 상태였기에 가능했던
    것이였을까요??

    • @user-ff5dr1xt6t
      @user-ff5dr1xt6t Před rokem

      약한 녀석들은 다 잡아먹혓기 때문 아닐까요?지금 당장 사바나 초원에 맨몸으로 떨어진다면 나를 보호하고 사냥하기 위한 수단을 찾지 못한다면 금방 도태되었겟죠

  • @Ima184mm
    @Ima184mm Před 10 měsíci +12

    원거리 무기
    이게 진짜 개사기임
    인간은 원거리 무기로 경쟁자들을 하나씩 제껴버렸음 그리고 창도 개사기임

  • @user-zi7sk5yp8z
    @user-zi7sk5yp8z Před rokem

    인류 진화과정에 관심 많은데 관련 내용 책 추천 가능 할까요? 유발 하라리 책은 다 읽었습니다.

  • @milchholstein884
    @milchholstein884 Před rokem +1

    장거리 달리기는 알고 있었는데 던지기는 생각도 못해봤네요

  • @sugarfree97
    @sugarfree97 Před rokem +3

    단순히 달리기로 따지면 인간은 대부분의 동물을 사냥하지 못합니다. 인간이 사냥감을 지칠 때까지 추적할 수 있는 이유는 2족 보행을 하게 발달한 특유의 신체 구조와 연비에 있습니다. 2족 보행 특유의 연비가 개씹사기거든요. 나머지는 여기에 덧붙어서 능력을 극대화하는 것이지. 연비를 설명하지 않으면 지식이 완성 되지 않아요.

  • @user-kt8uu8wr5o
    @user-kt8uu8wr5o Před rokem +3

    지구 지배 종족(중생대의 공룡, 신생대의 인류)의 공통점: 대기만성. 사두용미.
    쭈구리로 시작해 지구를 뒤덮을 정도로 전세역전.

  • @user-zb3hi6fc4e
    @user-zb3hi6fc4e Před rokem

    게임 던지는 것도 생존전략일까요? 궁금해!

  • @whe_e_geol_seol_geong_he_ya_he

    오래달리기, 양손의 자유, 뇌발달 등은 알고 있었지만 그 시작이 털 없어짐과 땀샘의 발달인지는 처음 알았네요.

  • @jackkim976
    @jackkim976 Před rokem +11

    진짜 오래달리기 능력이 각인되어있가고 느낀게 훈련소에서 처음에는 진짜 못뛰던 약골이나 비만들도 퇴소쯤에는 3키로는 걍 뛰게됨 ㅋㅋ

    • @steampunk329
      @steampunk329 Před rokem

      우와

    • @anbayo1
      @anbayo1 Před rokem +4

      저희도 축구 하기 싫어하고 운동 진짜 못하는 애들끼리 모여서 마라톤 연습했는데. 첨에는 그냥 축구 못해서 욕먹기 싫어서 다른거 한다고 핑계댄거였음.
      근데 몇달하니까 다 10키로 걍 뜀 ㅋㅋㅋㅋ 부대에서 젤 운동못하고 축구때 수비만 하던 운동찐따 애들끼리 모여서 한건데 ㅋㅋㅋ

  • @user-hk2ko5rf6f
    @user-hk2ko5rf6f Před rokem +5

    우리팀이 틈만 나면 미드 달리고 던지는 이유....

  • @icecreamth
    @icecreamth Před rokem

    과학은 즐겁다

  • @owendavid7201
    @owendavid7201 Před rokem +2

    수냉식 엔진, 원딜 무기 장착

  • @pu_uq
    @pu_uq Před rokem +3

    몇가지 치명적인게 있긴 하지만 압도적으로 뛰어난 부분이 제법 많은걸 봤을떼 인간은 생태게 파게괴급 생물인듯 하네요

    • @KUHUHU
      @KUHUHU Před rokem

      와 에바

    • @user-nv2rg1ey8n
      @user-nv2rg1ey8n Před rokem

      모든 동물들의 천적은 인간임

    • @pu_uq
      @pu_uq Před rokem +1

      모기를 제외하고 인간이 인간을 가장 많이 죽일테니 맞는듯하군요

    • @pu_uq
      @pu_uq Před rokem

      이마저도 최대한 전쟁을 억재하는 상태이니
      인간의 천적또한 인간이겠군요

  • @user-gd3hq8qh6v
    @user-gd3hq8qh6v Před rokem +12

    인간이 괜히 42.195km을 뛸수 있는게 아니군아 ㄷㄷㄷ

  • @hyunsookim6096
    @hyunsookim6096 Před rokem +1

    던지기전에는 돌같은걸로 내려찍는것도 강력한 생존수단이었을듯.

  • @user-di3hu4bo1v
    @user-di3hu4bo1v Před rokem

    내가 친구들한테도 추천하는 채널...늘 감사합니다

  • @amatking8198
    @amatking8198 Před rokem +16

    과학드림님 자이언트 판다의 진화에 대해서도 한번 다뤄주실수있을까요? 어쩌다 대나무만 먹게됬고 새끼는 뭐그리 쪼그맣게 태어나는지 궁금합니다!

    • @gdg1326
      @gdg1326 Před rokem +1

      어디서 주어 들은 얘기로는 고기맛을 느끼게 해주는 유전자가 변이 되어서 고기맛을 못 느껴서 걍 달달한 대나무 먹는다고 들은 거 같아요 ㅋㅋㅋㅋ 대나무가 뜯고 씹는 것도 재밌고. 고기 먹고 생존 가능하긴 한데 그냥 유전자 변형으로 걍 대나무 먹는 걸로 어디서 걍 주어들은 신빙성 0에 가까운 이야기입니다 😅

    • @amatking8198
      @amatking8198 Před rokem

      @@gdg1326 얼추 저도 알고는 있는데 어떤 선택압을 받고 진화했는지 인과관계를 좀 알고싶고 궁금해서 영상으로 궁금증을 제대로 풀어보고싶은 마음이에여. 과학드림님은 설명을 차곡차곡 쌓아올리는 탑같이 설명해주셔서 이해가 빠르거든요

    • @user-ud9so7ld6m
      @user-ud9so7ld6m Před 8 měsíci

      @@amatking8198 덩치가 점점 커지다보니 점점 둔해져서 사냥을 하기 힘들어지는 지경에 온게 대나무를 선택하게 된 이유입니다.
      왜 하필 대나무냐 하면 대나무는 경쟁자가 극히 적었거든요.
      대나무를 주식으로 삼는 몇몇종들이 세계에 분포하는데.
      이들의 서식지가 겹치는 경우는 단 한곳도 없습니다.

  • @dak9144
    @dak9144 Před rokem +4

    실제로 유툽에 있는 원시부족들 사냥영상 보면 투창 이라는 행위가 얼마나 강력한지 알수있음, 코끼리고 하마고 대응할 수단 자체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