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당, 무속 세계에 대한 모든 것(신의 종류, 신병, 굿 등)

Sdílet
Vložit
  • čas přidán 11. 06. 2024
  • 한국의 무속·무교에 대한 오해와 진실🧙‍♀️🧙‍♂️
    (출연자 : 이동진 평론가, SK브로드밴드 이홍연 매니저)
    무교는 샤머니즘이다? 🤔 맥아더 장군, 관우 신을 섬긴다? 🤔
    한국의 무속과 무교에 대한 정의부터 신관까지
    무교에 대한 모든 것을 알려드립니다!
    00:00 인트로
    01:11 무당이 나오는 영화
    02:10 무속/무교의 정의
    05:58 무당의 종류
    10:02 강신무가 되는 과정
    12:04 약식 굿의 개념
    15:20 굿의 종류와 의의
    20:09 무당이 모시는 신의 종류
    26:59 오늘의 추천 영화
    27:26 오늘 콘텐츠의 의의
    인터넷, B tv 가입부터 A/S까지! 스스로 앱에서 간편하게!
    👉 B world 앱 다운 받기: bit.ly/3sFdGHY
    2030을 위한 온라인 전용 1년 약정 인터넷!
    👉 2030 다이렉트 프로모션 바로 알아보기: bit.ly/3EFNuj2
    끊김없는 인터넷을 원하신다면?
    👉 인터넷+B tv 신규가입 이벤트 더 알아보기: bit.ly/3lsXdmZ
    🎬오늘 영상에 나온 영화는 B tv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모바일 B tv로 보고싶다면? 👇
    [만신] - bit.ly/3wpTawz
    [불신지옥] - bit.ly/4bSnq3y
    #이동진 #무당 #무교
    ※ 욕설, 비방, 광고성 댓글은 삭제 조치될 수 있습니다.

Komentáře • 584

  • @btv_piarchia
    @btv_piarchia  Před 3 měsíci +40

    인터넷, B tv 가입부터 A/S까지! 스스로 앱에서 간편하게!
    👉 B world 앱 다운 받기: bit.ly/3sFdGHY
    2030을 위한 온라인 전용 1년 약정 인터넷!
    👉 2030 다이렉트 프로모션 바로 알아보기: bit.ly/3EFNuj2
    끊김없는 인터넷을 원하신다면?
    👉 인터넷+B tv 신규가입 이벤트 더 알아보기: bit.ly/3lsXdmZ
    🎬오늘 영상에 나온 영화는 B tv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모바일 B tv로 보고싶다면? 👇
    [만신] - bit.ly/3wpTawz
    [불신지옥] - bit.ly/4bSnq3y

  • @hjw5279
    @hjw5279 Před 3 měsíci +562

    딴소린데 웹툰 미래의 골동품 가게 추천합니다. 작가분이 거의 우리나라 무속신앙에 대해서 논문을 쓴 수준이더라고요. 웹툰이지만 너무나 수준높은 배경지식을 가지고 재미있게 그린 몇 안되는 작품 중 하나입니다. 보다가 무서우면 실눈뜨고 보면됩니다. 그럼 검은색(귀신 요괴)은 흐려지고 말풍선의 글을 읽을수 있어서 쫄보인 제가 무서움에도 볼 수 있었어요. 겁 많으신 분들도 시도해 볼만한 가치가 있어요. 강추👍

    • @windy777-
      @windy777- Před 3 měsíci +7

      오호 함 봐야겠네요 감사합니다.

    • @windy777-
      @windy777- Před 3 měsíci +5

      @x5wz9lx3m 아 소설도 있습니까? 찾아봐야겠네요. 웹툰 조금 봤는데 퀄리티 장난 아니네요.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복 많이 받으세요.고기가 없는 섬 무어도로 저는 가보겠습니다

    • @user-pl6lw3nb3r
      @user-pl6lw3nb3r Před 3 měsíci +5

      정말 강추 웹툰이에요~!

    • @user-pe3nt6cd8r
      @user-pe3nt6cd8r Před 3 měsíci +8

      와…..인정합니다 그 분 제 2의 퇴마록 작가에여ㅠㅠㅠㅠ

    • @user-dr8nz2do6h
      @user-dr8nz2do6h Před 3 měsíci +3

      맞아요..저도 귀신이런거 못보는데 미래의 골동품가게는 흠칫 놀라면서도 봅니다..

  • @arnshutain
    @arnshutain Před 3 měsíci +745

    불교는 무당에 대해서 그냥 놔두었는데, 조선 건국이후 유학자들이 그렇게 핍박을 했는데도 무당이 끝까지 살아남은게 대단함...

    • @rongrrong
      @rongrrong Před 3 měsíci +84

      왕실이 대놓고 부른 적만 몇번인데 핍박도 엉터리임

    • @user-tj9sl3zm7h
      @user-tj9sl3zm7h Před 3 měsíci +149

      ⁠@@rongrrong 허울만 유지하고 암암리적으로 다들 믿었을 뿐이지 제도적으로 집요하게 탄압했음. 도성 내 무당 출입 & 거주 및 굿 금지, 무당에게만 부과하는 세금인 무세 등 대놓고 탄압보다는 경제적으로 타격을 줘서 세력을 약화시켰음

    • @user-iw1cv3vm2e
      @user-iw1cv3vm2e Před 3 měsíci +33

      ​@@user-tj9sl3zm7h사실 조선의 억압책도 맞는게 그때의 사람들이 봐도
      이성적이지 않고
      (그때는 과학보다 이성쪽 옳음이 먼저니까)
      해괴한 미신을 계속 눌러서 힘을 떨어뜨려야 하는것도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 @azureluna7
      @azureluna7 Před 3 měsíci +28

      현대사회도 사실상의 핍박을 하고 있죠.

    • @sejinJ
      @sejinJ Před 3 měsíci +52

      신생종교가 아니라 수천년 된 종교라서 없애긴 힘들었을듯
      불교도 한반도에 뿌리내린지 천년이 넘었으니 마찬가지고

  • @btv_piarchia
    @btv_piarchia  Před 3 měsíci +94

    01:11 무당이 나오는 영화
    02:10 무속/무교의 정의
    05:58 무당의 종류
    10:02 강신무가 되는 과정
    12:04 약식 굿의 개념
    15:20 굿의 종류와 의의
    20:09 무당이 모시는 신의 종류
    26:59 오늘의 추천 영화
    27:26 오늘 콘텐츠의 의의

  • @user-sn5st7kp2l
    @user-sn5st7kp2l Před 3 měsíci +363

    신병을 앓다가 33살에 신을 받고 50살이 된 지금까지도 한 길만 가고 있는 박수무당입니다. 평소에도 이동진 씨 해박한 지식에 팬이 되어서 거의 모든 영상을 보고 있지만 무속에 관해서 이렇게 정확하게 말씀하시니 더 대단하시네요. 항상 건강하셔요.

    • @cecilan
      @cecilan Před 3 měsíci +68

      @@ForthePeaceoftheWorld무당 하는분들 요즘 유튜브로 활동도 많이 하는데요…?

    • @user-kv7kf8kq8y
      @user-kv7kf8kq8y Před 3 měsíci +88

      ​@@ForthePeaceoftheWorld
      무당은 사람 아닌가요.

    • @user-cy4hp4fr5x
      @user-cy4hp4fr5x Před 3 měsíci +70

      이동진 평론가님 검색해보니
      서울대학교 종교학과 졸업하신분이네요.
      종교관련해서 박학다식할듯.

    • @sptt8197
      @sptt8197 Před 3 měsíci +9

      맞춤법,띄어쓰기가 이리도 제대로 된 무속인은 처음 봅니다ㆍ
      분명 배우신 분이네요ㆍ
      건강하십시오ㆍ

    • @sptt8197
      @sptt8197 Před 3 měsíci +7

      ​@@ForthePeaceoftheWorld
      구석기 시대에서 오셨나 봄?

  • @AnTropY00
    @AnTropY00 Před 3 měsíci +666

    이동진 무당아님?
    존재자체가 '굿'이니까 👍

    • @maimv.2964
      @maimv.2964 Před 3 měsíci +113

      뿌이뿌이뿌이

    • @user-op2fj7ck2d
      @user-op2fj7ck2d Před 3 měsíci +78

      10점... 10점이요..

    • @linguistic6839
      @linguistic6839 Před 3 měsíci +15

    • @jay1wa
      @jay1wa Před 3 měsíci +77

      신들린 댓글이네요

    • @ati_808
      @ati_808 Před 3 měsíci +20

      ㅋㅋㅋㅋㅋㅋㅋㅋ센스 뭐야ㅋㅋㅋㅋㅋ

  • @seongsiklim1603
    @seongsiklim1603 Před 3 měsíci +66

    담겨진 컨텐트의 수준도 고급이지만, 두분 대화의 티키타카가 정말 맛깔스럽네요. 즐감했습니다. 추천 꾸욱~~

  • @anio8885
    @anio8885 Před 3 měsíci +86

    세습무의 맥이 끊어지지않앟으면 좋겠어요. 종이꽃만들기 춤 노래 등 체계적으로 학습하고 제자도가르치는 종합예술 이더라구요.

  • @user-bk6nk1gi2f
    @user-bk6nk1gi2f Před 8 dny

    귀한 영상 잘보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 @eunbalman
    @eunbalman Před 3 měsíci +48

    샤면의 핵심은.. 영매인데. 즉 신이 먼저가 아니라 죽은 뒤 편안한 곳으로 가지 못하고 떠도는 죽은 자를 불러내어 일종의 소원수리하고. 산자들과 못다한 이야기를 해서, 산자와 죽은자가 서로 마지막 인사를 하고 편안한 곳으로 돌려보내는 과정입니다. 죽은 자에 대한 마지막 예우를 하는 과정이며 지극히 휴머니즘적인 과정입니다. 이런 영매가.. 한국에서는 지속적으로 배출된다는 사실 자체가 경이로운 현상입니다. 선진국 그 어디서도 영매를 배출하는 과정이 이토록 정교하고 지속적으로 이어가는 국가나 민족은 없기 때문이죠.. 기독교에서 구약성경이 끝난 것도 이런 영매가 더 이상 배출되지 않아서 신의 예언을 말할자가 없기 때문이죠. 그게 무려 2500여년전이고요.. 한반도는 지금까지 영매가 지속 배출된다는 점이 한반도 역사의 매우 특이하고 중요한 역사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또 하나 중요한 것은 한반도가 유라시아 대륙 동쪽 끝.. 즉 해가 맨 먼저 떠오르는 지역이라는 것이죠. 태양숭배는 고대 종교의 공통인데, 그런 관점에서 한반도는 태양이 맨먼저 뜨는 지점이라, 고대 샤면들의 관점에서는 매우 중요한 지역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 @yj_jj
      @yj_jj Před 3 měsíci +13

      댓글이 너무 흥미롭고 좋네요. 배우고 갑니다.

    • @dlr6275
      @dlr6275 Před 2 měsíci +1

      @@yj_jj 학교다닐때 못배워서 그런지 이상한걸 배우시네요

    • @KinderZOE
      @KinderZOE Před měsícem

      태양숭배까지 알찬 내용의 좋은글입니당ㅎ 오컬트와 세계 미스테리 마니아로서 크게 공감하고갑니다 😊

  • @user-qu1xm5nm8s
    @user-qu1xm5nm8s Před 3 měsíci +35

    진짜 요즘 원하던 영상...

  • @user-ob7nw9qj5n
    @user-ob7nw9qj5n Před 3 měsíci +9

    꺄!!!! 수요일 업로드 파이아키아라뇨!!!!❤

  • @SeokbongKim
    @SeokbongKim Před 3 měsíci +26

    한쪽편에 서서 이야기로 풀기좋은 소재를 이렇게나 객관적이고 박식하게 풀어주시다니 감사합니다

  • @Bullko
    @Bullko Před 3 měsíci +51

    물론 지나치면 아니한 것만 못하지만 우리 문화인데도 무속에 대해서 이론적으로 다뤄주는 컨텐츠가 없어 스스로 좀 찾아볼까하고 답답했었는데 이렇게 만들어주셔서 잘 알고 갑니다~~

  • @Buddyischingu
    @Buddyischingu Před 3 měsíci +13

    감사히 보겠읍니다

  • @gimyo_story
    @gimyo_story Před 2 měsíci +7

    대한민국의 무속 채널을 오랬동안 운영했던 '기묘한이야기' 운영자 입니다.
    동진님께서 말씀하신 것 처럼 "무속"이라는 부분이 종교 이하로 음지에 음해 되어 있었던 점을
    "양지"로 "양질의 지식"으로 끌어올려주신 것 같아 감사하고 감동적입니다~
    다시 한번 감사드립니다(__)

  • @user-hx7cj6kd4d
    @user-hx7cj6kd4d Před 6 dny

    이동진씨 새롭게 보이네요!
    방송 유튜브 하시는분 중에 제일 정확하게 전달하고 계시네요!

  • @user-qe3fu9gj7t
    @user-qe3fu9gj7t Před 2 měsíci +1

    2편 꼭 부탁드립니다

  • @somotomo2472
    @somotomo2472 Před 3 měsíci +6

    너무 좋구만~~\

  • @user-qx5vo1wr1g
    @user-qx5vo1wr1g Před 3 měsíci +86

    세습무가 점점 약해지면서 노래재주로 살아가는데 그렇게 나온게 판소리입니다.
    그래서 판소리 계통을 따라가면 한반도 남부지방에서 시작해서 점점 한반도 위쪽으로 퍼져요:)

    • @user-zr6hc6wi3g
      @user-zr6hc6wi3g Před 3 měsíci +3

      판소리의 역사를 검색해보면 님의 주장은 억지가 있습니다.

    • @user-qx5vo1wr1g
      @user-qx5vo1wr1g Před 3 měsíci +13

      ​@@user-zr6hc6wi3g오ㅋㅋ 제가 논문들을 찾아서 정리한 주제였는데 다른 의견이 있다니 신기하네요. 어떤 점에서 억지라고 생각하시나요?:)

    • @user-rq2ye4yx8s
      @user-rq2ye4yx8s Před 3 měsíci

      세습무란게 신병은 대물림 되기에 할머니.어머니가 무당이면 살다가 어느순간 신병이 와서 무당이되면 세습이 된다할수있겠죠.

    • @user-rq2ye4yx8s
      @user-rq2ye4yx8s Před 3 měsíci

      ​@@user-qx5vo1wr1g님의 주장이 맞다면 판소리의 주제들이 고려,신라.백제,가야.등의 이야기들이 구전되어야 정상임.허나 현 판소리5마당.그외 어느것에도 판소리에도 없는걸암.소리꾼은 마당놀이처럼 대중에게 보여주는 극에서 양반,부자들이 독자적으로 즐기려고 부를때 고수,소리꾼 2인출동, 수입도 짭짤함

    • @user-lm4wq5bj7s
      @user-lm4wq5bj7s Před 3 měsíci +20

      ​@@user-rq2ye4yx8s 세습무는 신병이 없어요. 신병은 강신무의 특징이예요. 세습무 중에서 일부 신병을 앓는 케이스는 세습무이면서 강신무적 특징을 동시에 갖는 특수한 케이스인거고요.

  • @nokhyun
    @nokhyun Před 3 měsíci +82

    서울대학교 종교학 학사 이동진 평론가님 감사합니다^^ 문득 87과 88년의 평론가님의 시간은 어땠는지 궁금해집니다. "노란문"을 보면서 87학번, 88학번이 겪은 허무함이 와닿는 것 같았어요.

    • @rolexgoyard
      @rolexgoyard Před 3 měsíci +1

      오 서울대~~

    • @kkaburi
      @kkaburi Před 3 měsíci

      노란문이 먼가요? 영화인가요? 소설인가요?

    • @_jung_4784
      @_jung_4784 Před 3 měsíci +9

      시대의 혼란에 직접 참여하지는 않았고
      고민없이 조선일보 들어감
      태평성대 시기든 아니든 개인의 지적 유희가 제일 중요한 사람

    • @_jung_4784
      @_jung_4784 Před 3 měsíci +9

      개인의 후회와 반성여부는 별도로
      이런 사람들도 있어야함(배철수는 반성하는 쪽이고 이동진은 반성과 후회는 없는쪽)

  • @claire_js
    @claire_js Před 3 měsíci +155

    캬...오늘 파묘 보고 왔는데 타이밍 최고입니다❤

    • @o82j15
      @o82j15 Před 3 měsíci +13

      이동진은 파묘 혹평했습니다. 타이밍 최고는 아닐듯

    • @lalala7750
      @lalala7750 Před 3 měsíci +2

      저두요 ㅎㅎㅎ

    • @user-sh8bn6gi3g
      @user-sh8bn6gi3g Před 3 měsíci

      ​@@o82j15도대체 이동진 혹평과 뭔 상관?

    • @user-ot3xf5hq8f
      @user-ot3xf5hq8f Před 3 měsíci

      @@o82j15 2.5면 이동진이 혹평까진 아니라고 했음ㅋㅋ

    • @user-jj8ye8bt3m
      @user-jj8ye8bt3m Před 3 měsíci

      개인적으로 2.5 받을만 하다고 생각함​@@o82j15

  • @sinuremi
    @sinuremi Před 3 měsíci +27

    현재의 정신과의사 역할을 했다고 봐야지

  • @gangseongyoon
    @gangseongyoon Před 3 měsíci +12

    검은사제들은 엑소시즘 영화라 할수 있지만
    거기에 등장하는 무당(무녀)가 아주 인상깊었음
    등뒤에 소머리 같은걸 지고..

    • @ruddystylo2615
      @ruddystylo2615 Před 3 měsíci +2

      그로테스크한 장면이었죠. 가장 기억에 남는 장면이기도 하고.. 한국 오컬트 영화사에 남을 장면인듯 합니다..

  • @YangTotalNetwork
    @YangTotalNetwork Před 13 dny +4

    원래 여자무당을 다 “만신”이라고 하지 않고, 무당을 천직으로 오랜 시간 “신”을 싣고 신과 인간 사이의 징검다리, 신력을 쌓아온 분들을 높여서 부를 때 쓰는 말입니다.

  • @user-vn5dc4dk1p
    @user-vn5dc4dk1p Před 3 měsíci +3

    많이 배웁니다 감사합니다 😊

  • @katehuh6366
    @katehuh6366 Před 3 měsíci +1

    맞아요 어렸을때 점 봐주시는 할머니를 단골할머니라 부르더라고요.

  • @mieux4604
    @mieux4604 Před 3 měsíci +7

    감사합니다 잘봤습니다

  • @HappyHour930
    @HappyHour930 Před 3 měsíci +90

    2:03 파묘 언급 ㄷㄷ

    • @user-tg9hb9ql5b
      @user-tg9hb9ql5b Před 3 měsíci +3

      닌 병이다 진짜;;;;

    • @user-ot3xf5hq8f
      @user-ot3xf5hq8f Před 3 měsíci +19

      @@user-tg9hb9ql5b 언급한거 맞는데 왜 병이에요?

    • @shp6804
      @shp6804 Před 3 měsíci

      ​@@user-ot3xf5hq8f원댓글러 정치병 있음

    • @user-qu7vn1xj3e
      @user-qu7vn1xj3e Před 3 měsíci

      @@user-ot3xf5hq8f이동진이 파묘 평점 낮게준거 이동진구독자입장에서 공격적인 댓글이라 역배로 댓글쓴듯

    • @user-ou8je6ew9q
      @user-ou8je6ew9q Před 3 měsíci

      평론가가 영화 평점을 낮게 줄 수도 있고 높게 줄 수도 있는 건데; 왜 좌파들은 자기들 의견이랑 다르다는 이유로 맹비난을 하는 것임?

  • @ppwebber
    @ppwebber Před 3 měsíci +31

    최고의 교양채널

  • @user-vp2fh8uz3w
    @user-vp2fh8uz3w Před 3 měsíci +5

    양희은 선생님 감사합니다

  • @laliumetude
    @laliumetude Před 3 měsíci +24

    신이 오시면서 (내 몸이 감당이 안될때) 몸이 아프기도 하지만 대부분은 영가(귀신)때문에 힘들고 아픈경우가 많습니다
    선무당이라고 안하고 애동제자라고 하고 보통 무당을 통틀어 신제자라고 하며 만신은 이제 많은 공부를 쌓았을때, 주변이 성별 상관없이 만신이라고 존중해서 불러주는 것이 강합니다

  • @choulisten3927
    @choulisten3927 Před 3 měsíci +45

    동진님 패션 본 중 제일 멋져요!!! 너무 잘 어울림😮

    • @ati_808
      @ati_808 Před 3 měsíci +3

      영화당때부터 생각했는데 옷을 진짜 잘입으심ㅎㅎ

    • @fargo90
      @fargo90 Před 3 měsíci +7

      ​@@ati_808 얼마 전 QnA영상에서 말씀하시길 전속은 아니어도 한 전문가에게 오랫동안 스타일링을 맡기고? 있다고 하시더라구요 ㅋㅋㅋ

    • @user-ic3qb2kp8z
      @user-ic3qb2kp8z Před 3 měsíci +3

      뭔가 안경이랑도 톤이 잘 어울리는 ? ㅎㅎ

    • @_kkjg09
      @_kkjg09 Před 3 měsíci

      맥이냐?

  • @dasfdsadsafasdsdsaf
    @dasfdsadsafasdsdsaf Před 3 měsíci +81

    새삼스럽지만 진짜 박학다식 하시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therebe9063
    @therebe9063 Před 2 měsíci

    만신은 정말 재밌기도 하고 신기하기도 하고 멋지기도 한 영화였어요 수업때문에 봤었는데 보면서 아주 오랫동안 기억에 남은 좋은 영화였습니다

  • @user-dv2qh3xn2o
    @user-dv2qh3xn2o Před 3 měsíci +3

    너무 체계적으로 진지하게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ㅡ^

  • @minsomae
    @minsomae Před 3 měsíci

    감사합니다~ 내용이 너무 흥미롭습니다, 혹시 본론과 관련해 읽으셨던 책 정보 알수있을까요?

  • @jjnevermind3099
    @jjnevermind3099 Před 3 měsíci +8

    캬 너무 좋고 ~~~~~

  • @15-vi5eo
    @15-vi5eo Před 3 měsíci +22

    무속, 무당 이런 것도 한 국가와 대륙의 문화로서 받아들여야 하는게 아닐까요? 너무 부정적인 시선으로만 보시는 분들 있으신데 꼭 그럴 필요는 없다고 생각해요. 믿으면 믿고, 안그런 사람들은 그냥 전통문화로 보고 즐기면 되는거 아닌가요?

    • @user-nm8rw1df6g
      @user-nm8rw1df6g Před 3 měsíci +4

      사기치는 무당이 많으니까 부정적으로 보는 시선이 많은 거겠죠

    • @user-jk3oy7kr1x
      @user-jk3oy7kr1x Před 16 dny

      친인척중 한명이 무슨 일 할때마다 점 보고 일 안 풀릴 때 마다 무당 집가서 2~500씩 박고 와바라 좋은 시선으로 볼 수 가있나..
      와중에 진짜인지도 모르겠고.. 10가지중 한가지만 맞아도 용 하다고 손을 파들파들 떠는게 진짜 병이더라

  • @okhunlee9817
    @okhunlee9817 Před 3 měsíci +2

    딴소린데 대무가 보셨어요? 비급인데 너무 좋어하는 영화입니당 ㅎ

  • @cafe_romano
    @cafe_romano Před 3 měsíci +16

    이런 무속,무당 관련 얘기 좋아하는데 탄탄한 지식을 바탕으로 얘기해주시니까 몰랐던 사실도 많고 더 재밌어요ㅋㅋㅋ

  • @zzizi4107
    @zzizi4107 Před 3 měsíci +36

    이동진씨는 진짜 박학다식하시네요 무당이야기까지 나올줄이야

  • @SOLOMON1031
    @SOLOMON1031 Před 3 měsíci +3

    구독요.❤

  • @neonadeuri
    @neonadeuri Před 3 měsíci +6

    1등! 선댓글 남기고 시청합니다~

  • @user-gw1os8pg4z
    @user-gw1os8pg4z Před 3 měsíci +16

    하 진짜 개재밌겠다… 잘 보겠습니다

  • @barvivaa
    @barvivaa Před 3 měsíci +2

    두루뭉실 알던 무속에 관한 체계가 확 잡히네요. 대단! 아주 잘 보고 있습니다.

  • @san_lee0022
    @san_lee0022 Před 3 měsíci +15

    파묘 영화는 만족스럽지 못했지만 한국 민속사상, 무당에 관해 관심을 갖게 해줬어요

  • @lliilllllllliill
    @lliilllllllliill Před 3 měsíci +1

    신기하네여! 다 정리해주시니 좋네요

  • @user-jd8sj1lp7y
    @user-jd8sj1lp7y Před 3 měsíci +13

    우와 너무 재밌다!🎉❤ (아직 보기 전)

  • @xirasooni
    @xirasooni Před 10 dny

    자기 그릇에 따라서 다르다고 들었어요~

  • @_simkibo_
    @_simkibo_ Před 3 měsíci +13

    만신 검색 하니깐 만신 박태준, 만신 김성모가 먼저 나오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yune5597
    @yune5597 Před 3 měsíci +16

    ⚡️몸주와 교감할땐 빙의 말고 보통 접신이라 합니다

  • @Speedgun222
    @Speedgun222 Před 3 měsíci +3

    이사람 진짜 똑똑하네
    설명에 거침이 없다

  • @user-mv3no5jj9e
    @user-mv3no5jj9e Před 3 měsíci +9

    현직 무당인데 신에 대해 잘 아시네요~ 잘보고 갑니다😊

  • @null9636
    @null9636 Před 3 měsíci +7

    캬 헬스장에서 유산소하면서 봐야지

  • @kimkimi7
    @kimkimi7 Před 3 měsíci +32

    무당, 무속은 종교면서 동시에 우리네 전통 문화임. 오래오래 보존해야할…

    • @user-cr1kl6hj8m
      @user-cr1kl6hj8m Před 3 měsíci +7

      그냥 사람상대로 사기치는건데 전통문화라고 보존해야 한다고요....?

    • @user-cy4hp4fr5x
      @user-cy4hp4fr5x Před 3 měsíci

      중국은 불교도교유교가 있고
      일본또한 전통종교가 있는데
      한국은 중국의 불교와 유교가 들어오면서 한국전통종교 색이 옅여지고..
      그나마 있는게 천도교 계열인데 이것도 기독교와 맞서기 위해 만들어낸 조선말기 신흥종교라 전통종교라 말하기 좀 그럼.
      그나마 전통종교에서 벗어나서 명맥을 겨우 유지해온게 무당, 무속인데.. 천년이상 전통종교를 등한시 했기에 무속무당에서 내려오는 전통종교의 기록같은것도 확실하지않고 변화되어온게 많음..
      중국 일본은 또렷한데
      한국만 전통종교에 대한 기록이나 확실한 명맥이 없음.. 에매함.
      중국은 현대에와서 과거의 전통적인것들을 가꾸고 확립시키려 하고있고
      일본은 이미 오래전부터 확고하게 가꾸고 확립시키고 알려왔고
      한국만 이것도 아니고 저것도 아니고 에매하게 무속 무당 같은걸로만 남아있어서 너무 어설픔.
      그나마 신과함꼐 라는 웹툰과 영화가 나오긴 했지만.. 이것도 무속무당에게 물어물어 만든작품이라..
      여튼 한국은 중국 일본에 비해 전통종교라는게 거의 없다시피함..
      불교 유교 기독교 천주교 전부 남의나라 종교에만 지배당하는 현실이 안타까움.

    • @user-qo9jr5mi1f
      @user-qo9jr5mi1f Před 3 měsíci +2

      그럼 다른 종교는?

  • @DanielKingJ
    @DanielKingJ Před 3 měsíci +17

    생각해보니까 동진형님 전공이 종교학 ㅎㄷㄷ누구보다 전문가의 강의

  • @mmmijuo5407
    @mmmijuo5407 Před 3 měsíci +10

    세습무는 사실상 사멸
    성수청이 있을당시엔 체계적이였을텐데 아쉽

  • @ati_808
    @ati_808 Před 3 měsíci +6

    평론가님이 파묘 언급하시는거 듣고 싶었는데...아숩다ㅎㅎ

  • @DiceRun
    @DiceRun Před 3 měsíci +7

    파묘 무당 이야기도 좋은데 지금 시기에 어떻게 이동진님의 티모시와 젠데이아 또는 드니 뵐뇌브 감독 인터뷰가 없을 수 있죠? SK브로드밴드 일 안합니까?? 이동진님의 드니 뵐뇌브 감독 인터뷰 너무 보고 싶어요. 제발요~

  • @bora9122
    @bora9122 Před 3 měsíci +13

    이동진 평론가님이 만점준 곡성을 개봉 첫날 보고 충격받았던^^ 지금까지도 최고죠! 파묘도 평이 궁금했었는데ㅠㅠ 극장가기가 머뭇거려지네요…

    • @chaehakim7650
      @chaehakim7650 Před 3 měsíci +1

      곡성이랑 파묘는 비슷한 부분은 많은데 풀어가는 방식이 확실히 뭔가 좀ㅋㅋ이동진 평론가님이 점수 잘 줄것 같지는 않아요 보시면 알듯 좋게 말하면 파묘는 대중적 곡성은 마이너함 그래서 곡성 스타일 좋아하시면 파묘보고 유치할 수 있고 기대없이 보시면 재밌음 저는 파묘보다는 같은감독 작품인 사바하가 더 나은것 같아요 파묘는 뒷부분이 살짝 잉스럽

    • @user-kf4zj1jq1z
      @user-kf4zj1jq1z Před 3 měsíci +3

      대단한 작품성을 시대하긴 어렵고 오락 영화로 충분히 볼만은 하다라고 생각합니다

    • @user-emmajolie
      @user-emmajolie Před 3 měsíci +3

      전 좀 실망했어요. 전개내용이 전혀..몰입 안되더라고요. 중반부터내용은 허전할정도. 극장까지 갔는데..그냥 나중에 안방서 볼걸 그랬다 싶었던 1인 입니다.

    • @user-er4we8zm9v
      @user-er4we8zm9v Před měsícem +1

      그냥 별롭니다 초반에 재밌다 가면갈수록 개연성 그냥 곤두박질 치고 굳뽕으로 점칠된 영화

  • @wouldyoukim8345
    @wouldyoukim8345 Před 3 měsíci +7

    무속은 전혀 믿지 않지만, 일종의 전통문화로서의 무속은 상당한 가치가 있어서 보전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무당이 종합 예능인일수도 있다는 설명이 굉장히 와닿네요

  • @JK-qo1iy
    @JK-qo1iy Před 3 měsíci +13

    경상도는 억양이 달라서 구분이 됩니다. 무교(종교가 없음)는 미도, 무교(샤머니즘) (낮은)솔도입니다.

  • @user-je7qp4di2x
    @user-je7qp4di2x Před 2 měsíci

    제주도 무속이 많이 남아있어 이야기가 안나와서 아쉬웠습니다

  • @user-vi3rt7uu4u
    @user-vi3rt7uu4u Před 3 měsíci +8

    최민식 배우님 보고퍄요

  • @RelaxingMusicH
    @RelaxingMusicH Před 12 dny +5

    무당도 아니시고 무속학자나 민속학자도 뭐도 아닌분이 왜 오류도 이렇게 많은 정보를 마치 바른 지식 설파하듯이 방송에서 얘기하고 계신가요? 저같으면 무속학회 논문이라도 읽고 방송하겠는데 도대체 누가 쓴 무슨 책을 썼길래 말씀하시는 것 중에 옳은 정보가 극소수인지요?
    1. 시베리아 샤머니즘 얘기부터 오류가 시작되는데 시베리아가 영상 초입인데 이때부터 오류투성이면 문제있는거죠..
    시베리아 샤머니즘 뿌리도 아니구요 구분해서 보는 학자가 많은거도 아닙니다.
    무의 시초를 찾을때 무의 특성 중 하나인 샤머니즘 관점으로 바라볼때 시베리아 퉁구스 족의 목각인형을 샤먼의 집에 걸어둔 걸 샤머니즘 자체 관점으로의 무의 시초로 볼 뿐이구요 한국 무속신앙의 시초도 아니에요.
    2. 단골 당골도 잘못 설명하셨어요 남부지방 무당을 당골이라하구요 손님과는 관련이 없어요. 세습무를 자주 찾아오는 손님..? 이건 누가 어디에 쓴 정보를 보고오신건지요? 만신도 무슨 여자무당?? 만신이야 많은 사람이 잘못알고있어서 그럴 순 있는데 방송에서 지식설파할거면 잘 알고 얘기하셔야죠..
    3. 만신은 만가지 신령님과 함께한다해서 만신이라해요..;; 여자랑 전혀 관련없어요...
    4. 그리고 몸주신은 무당도 자주 틀리는 말이긴하지만 몸의 주인인 신이 아니라 제자를 이끄는 신이고 몸의 주인인 신이 아니에요 몸의 주인인 '나'에게 직접 들어오기에 몸주신이라 하는거구요.
    5. 작두가 몸주로 와야 작두를탄다? 몸주는 하나구요 몸주 이외에 여러신이 다 옵니다. 주장신으로 오든 그냥 신내림때 오시든, 별상이든 용궁줄이든 작두장군 안오는 만신이 어딨나요? 작두장군 원력이 약하거나 주장력이 약해서 작두 탈일이 거의 없을 뿐이고요.. 작두장군이 안오는 무당? 자기가 모를 뿐이죠 오건데 신내림과정에서 호명이 안되니까.. 몸주신 주장신 신단좌정해계신 원신 천신 등등 이런 개념도 없이 신 얘기도 하시네요
    공부라도 제대로 하고 왔으면 뭐라안하겠는데 뭐가 틀렸는지 다 정리해서 올리기도 힘드네요
    댓글보니까 댓글엔 사람들이 잘 모르고 이동진이라는 사람이야 잘 아니까 믿는 모양인데 이런 잘못된 정보가 많이 내포된 얘기들을 말하는게 맞나요? 여기서 다 옳은 지식인줄 알고 믿고 댓글 다는 시청자분들께 미안한 감정이라도 있으시긴할지..

  • @beebeebeem
    @beebeebeem Před 3 měsíci +1

    자막 깔아주시면 안 될까요?

  • @user-wv8rc6ej8n
    @user-wv8rc6ej8n Před 8 dny

    종교학을 전공해서 그런가 깊이가 다르다...

  • @user-io5ox6rx1j
    @user-io5ox6rx1j Před 3 dny

    무는 하늘과 땅. 산자와 죽은자를 연결해주는 영매의 역활을 한다하여 양쪽에 사람인이라는 두글자가 있는겁니다~~

  • @qqea
    @qqea Před 3 měsíci +4

    이동진님 굿~~❤

  • @THEhj66
    @THEhj66 Před 3 měsíci +4

    너무 잘 아셔서 오랜만에 이동진님을 나무위키로 검색했더니... 종교학과 셨구나...

  • @user-dw5fh3pc9w
    @user-dw5fh3pc9w Před měsícem

    상승 영혼은 여러 생을. 윤회하면서 영혼이 진화하기 위해 누구나
    2~3회의 무당 체험을 반드시 하게됩니다

  • @user-lk2lc5ww4f
    @user-lk2lc5ww4f Před 3 měsíci +5

    동진이형이 나세 영화를 보시는데 갑자기 뒤를 보시더니 한숨을 푹쉬시곤
    그거 명작 아니라고 너 지금 홀린거라고

  • @user-cs8bf7mi7u
    @user-cs8bf7mi7u Před dnem

    몽골의 셔먼도. 한국처럼 행사를
    치르는데 좋은일 않좋은일때
    초청해서 행사를 치르던데요

  • @ugwangho02
    @ugwangho02 Před 2 měsíci

    이동진! 이동진! 이동진!

  • @200xq3
    @200xq3 Před 3 měsíci

    무교와 도교는 어떤 차이가 있나요?

  • @user-jf7uc7dw7o
    @user-jf7uc7dw7o Před 11 dny

    이 나라를 살리신 제네럴 맥아더.

  • @user-fe8hj6qx5m
    @user-fe8hj6qx5m Před 2 měsíci +6

    어려서부터 신병을 앓으며 무당이 되어야 하는 걸 알았지만, 어머니의 반대로 몸이며 금전이며 인간으로도 내려치심을 겪다가, 기어코 그렇게 반대하시던 어머니까지 돌아가신 이후에 무당이 되어 9년째 이 길을 가고 있는 강신무 입니다.
    굉장히 흥미롭게 봤습니다.
    갓 내린 무당은 애동제자라고 합니다. 선무당은 설은 무당, 내림이 잘못된 무당, 일찍 혼자 떨어져 제대로 신명을 모시지 못해서 바른 방법으로 신을 부리지 못하는 사람을 그렇게 부르기도 하는 명칭입니다^^;;

    • @user-is5qx5ss4e
      @user-is5qx5ss4e Před 2 měsíci +1

      홍화만신쌤 안녕하세용😊😊 영상보다가 댓글 달려다 봤어요.

  • @user-sung3281
    @user-sung3281 Před 2 měsíci

    12 마디면 황도12 궁 천문과 연관되어 있게네요

    • @user-si3uc2cj3f
      @user-si3uc2cj3f Před 24 dny

      12마디가아니구
      12마당
      옛날무당들은모든것을암기해서굿하고.아무나하는것은아님.배워서하는것
      점보는만신은
      카운셀러라고보면
      겁주는것은사기꾼

  • @Sibasinu
    @Sibasinu Před 3 měsíci +1

    예전에 장군신을 모시는 무당중에 맥아더 장군신을 모시는 사람도 봤고 장개석 장군을 모신다는 무당도 봤었는데 외국신을 모신다는 무당의 말이 사실인걸까

  • @dipb3322
    @dipb3322 Před 3 měsíci +9

    (저도보기전 )동진님인상쓰기 압권ㅋㅋㅋ

  • @bonlals6823
    @bonlals6823 Před 3 měsíci +4

    세습무는 어떻게보면 가문으로 이어지는 일본 신사랑 비슷한거 같기도 하네요.

  • @caesar_m_d9863
    @caesar_m_d9863 Před 3 měsíci +6

    파이아키아 특히, 동진님이 설명해주시는 인문학 지식에 관심이 많은 1인 입니다. 저는 이런 인문학적인 지식을 설명해줄때 레퍼런스를 댓글에 남겨주시면 어떤가 해서 이렇게 댓글을 달아봤습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파이아키아의 확장성
    2. 위 채널의 공신성
    저는 그동안 동진님이 진행했던 인문학 컨텐츠를 봐왔지만, 꽤나 자세하고 재밌게 알려주신다고 생각하는데, 이런 컨텐츠를 주로 해서 이동진 = 영화 를 넘어 이동진 = 영화 그이상 으로 확장하는 것도 좋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이러한 확장성을 위해서는 레퍼런스가 꼭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에이 영화나 보는 사람이 뭘 안다고' 이런 시각이 분명히 있을겁니다. 책 권수를 언급하는 데도 말이죠. 그래서 다음에는 꼭 레퍼런스를 언급해주시면 구독자로 하여금 그 책을 더 읽게 되는 계기도 되고 동진님에게도 도움이 되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 @user-ks1zd3gl9r
    @user-ks1zd3gl9r Před 3 měsíci +1

    북쪽에서는 무당들이 그 장군님 받으려나

  • @helenchoi8407
    @helenchoi8407 Před 3 měsíci +6

    크게 보면 신부나 목사도 신을 따르는 무속인이지. 무당에 비하면 조금 세련화 되었을 뿐.

    • @user-it3bd9nl5l
      @user-it3bd9nl5l Před měsícem

      창조주를 따르는거니까요. 다를 수 밖에.

    • @user-dn3if6zi7k
      @user-dn3if6zi7k Před měsícem +1

      솔직히 신부 수녀를 목사와 비교하는건 선 넘은거지
      수녀 신부는 성욕, 금전욕을 배제하고 사는데
      비교 자체가 안되요
      불교의 고기 안먹고 결혼 안하는 종파와 같은 급입니다

  • @1530videolab
    @1530videolab Před 3 měsíci +4

    영상이 배속되서 집중이 안되네...

  • @jhcduck01
    @jhcduck01 Před 3 měsíci +6

    23:16 요런 기준을 살짝 적용하자면, 존 F 케네디 대통령도 인신으로 모실 수 있지 않을까 싶어요 ㅎㅎ;;;

    • @user-qm6lo9bf7w
      @user-qm6lo9bf7w Před 3 měsíci

      신내리면 영어가 자연장착 되는 건가요ㅎ

    • @user-jo5mn1kf7w
      @user-jo5mn1kf7w Před 3 měsíci +1

      그 사람이 뭐하러 개고생 하러 올까요?
      ㅋㅋㅋ

  • @user-km2kh6cw2w
    @user-km2kh6cw2w Před 2 měsíci

    테스트 사용? 😅😅😅

  • @GeanceVen
    @GeanceVen Před 3 měsíci +8

    신자는 있고, 교리가 있다 할 수 있지만 경전이 없는 걸 이유로 무속을 무교라고 할 수는 없을 것 같고, 또 무교를 무속이라고 해도 낮춰 부르는 것 같지는 않다는 생각이 듭니다. 종교와는 다른 차원? 아니면 체계 같아요.

    • @snsixfaces
      @snsixfaces Před 3 měsíci +6

      여성의 입만을 통해 전해져 이어온 종교라 잘 정리된 서적이 없지요. 왜 그런가 생각해봤더니 예전에 여성은 글을 몰랐기 때문에 그랬던거 같더군요.

  • @yune5597
    @yune5597 Před 3 měsíci +6

    ⚡️강신무 신빨이 더 좋다고 하죠
    근데 세습무 역시 어떤신을 모시냐에 따라 신빨이 차이납니다. 세습무 역시 신을 받아야 점사를 볼수 있고요.

  • @puddingstapler
    @puddingstapler Před 3 měsíci

    8:58 옛날 아버지께서 말씀하시길 어촌에서는 해마다 굿을 크게 했다고 하더라구요

  • @user-kp3eu3bz7n
    @user-kp3eu3bz7n Před 3 měsíci +1

    파묘 리뷰 기다립니다~~~

  • @---wo9yj
    @---wo9yj Před 3 měsíci

    풍수가 그래서 안좋은것 같기도 합니다.

  • @Taetae0330
    @Taetae0330 Před 3 měsíci +7

    4:10 시베리아 샤머니즘과 한국의 무당 설명하실 때, 성별의 차이가 상징적으로 반영된 것은 아닐까하는 생각도 해봅니다. 시베리아 샤먼들은 자신의 영혼이 몸밖으로 나간다는 점에서 남성과 관련지을 수 있고, 한국의 무당은 신을 자기몸에 받아들이니 여성성과 관련 있는 것이 아닐까 생각해봅니다.

    • @user-yl8fr9iw1n
      @user-yl8fr9iw1n Před 3 měsíci +9

      아마도 그 시대 시베리아 벌판에선 기본적으로 많은 자연령을 사람들이 당연하게 인식하면서 좀 더 원시적인 형태로 자유롭게 살고, 인구밀도가 낮고 조상이니 집안, 사회지배체계가 그리 강하지 않으며 당대 사람들이 주로 추구하는 문제는 사냥, 유목사업에 관련된 거였으니 다음으로 이동할 지역을 찾는다든지 동물들 상태를 살핀다든지 아직 안 가본 지역 기후를 (새의 눈으로?) 미리 본다든지…해야 해서 담당자의 영혼이 동물로 들어가 이동을 해야했던 반면,
      이제 한반도에 죽 살아온 지 오래인 상황에선 인구밀도가 높아졌고 한자리에 붙박혀 왕/ 양반/ 유교/남성등 확실한 지배자와 피지배자로 나뉘고, 매년 똑같은 하늘 아래 똑같이 농사지으며 살다보니 사람간의 문제, 즉 내력을 잘 알고 있는 양가친척과 조상들과의 연결성이며, 그전과 달리 억압받고 신분이 격하된 존재들-무당 본인을 포함해 해소안된 ‘ 한’ 의 문제가 커져 결국 ‘사람’ 을 다뤄야 하니 담당자가 죽은 사람을 불러내는 방향이 된 게 아닌가 싶네요.
      또 하나 그 시베리아남성샤먼들은 마치 여성처럼? 화려한 장식을 하고 여자목소리를 낸다든지 여자옷같은 디자인을 입기도 했다고 알고 있습니다. 말하자면 온전한 남성으로 여기지 않은 걸로 알고 있어요. ( 실제로 동북아 샤먼의 성정체성 특징과 동성애 전통 다룬 논문도 봄)
      특히 의식을 치를 땐 평범한 남자의 모습이어선 안되었던 걸로.
      요건 어쩜 시베리아에서 이주했다는 아메리카원주민 부족문화에서도 자주 보이는 전통인데, 고대인들이 보기에 상대적으로 면역이 강하고 수명도 보다 길고 때가 되면 생리도 달의 주기에 맞춰 저절로 정기적으로 하고, 무엇보다 아이를 직접 꿈꾸어 잉태해 (생사의 고비를 마주하며)낳고 기르는 여성은 따로 정신적 비전을 얻는 통과의례가 필요없는, 말하자면 당시인들로선 이미 태생부터 신비한, 대자연과 소통이 더 잘되는 존재랄까요. 부족의 제일 현자는 늘 가장 오래 살아온 할머니들이었다고 해요.
      반면 남성은 성인으로 인정받으려면 남성성의 입증, 자연의 힘에 의해 평가와 인정을 받는 어떤 의식이 필요한, 상대적으로 미완성의 인위적인? 존재로서 성인이 되기위해선 동굴로 가 며칠 굶으며 홀로 생존한다든지 어느 산에 있는 뭘 찾아오라든지 남자청소년들 단체로 사냥여행을 떠난다든지 하는 통과의례를 치뤄 성공해야 했고 부족에서 어엿한 한 사람 구실을 하려면 특정 직능을 가져야 했습니다.
      그 과정에서 남성이지만 뭔가 예술성이 뛰어나고, 육체의힘을앞세워 노동하는 직능보단(=남성의 역할수행보단) 뭔가 결이 다르면서 영적인 비전을 얻어온, 즉 여성에 근접한 존재로 판명이 난 특정남성에게 양성과 자연과 인류간 소통을 담당하는 중간자 역할을 맡긴 게 아닌가.
      ( 그리고 이들의 후손인 현대 한국남성은 저 통과의례 전통을 군대로 대체하지 않았나…‘ 군대 다녀와야 사람된다’ 등ㅎ)
      이 관점은 우리말 중 남성이면서 무당인 자를 칭하는 ‘박수’ 라는 추가적 호칭에서도 좀 볼 수 있는데 여성이 무당인 건 자연스러운(?) 현상인 반면 남성이 무당이 된다? 헐…그만치 특이하니 그냥 무당 아닌 박수무당, 이 되는 거고
      또 지역방언 중에 박수외에 화랭이( 아마 화랑에서 나온 듯?)라는 호칭도 남자무당 및 광대, 사당패에서 화려하고 여성적인 역할 하는 무용수나 악사, 떠돌며 그림그리는 이들, 동성애자나 묘한 분위기의 미소년 등등 뭔가 유교교범바깥의 정체성을 띈, 비남성적 남성들을 칭하는 의미로 마구 섞어써온 흔적이 있음.
      하니 빙의의 방향성과 육체말단적(?) 성별특징을 연결짓는 건 좀 ㅎㅎ 지금도 현업중인 (몸안에 신이 실리는)박수무당들 비롯 애초부터 중성성 내지 여성성을 입었던 시베리아샤먼, 양쪽 모두와 관련이 별로 없지 싶네요
      그리고 그쪽 샤먼과 우리나라 무당의 제일 먼저 꼽히는 공통성으로 하늘과 지상의 중간자인 새가 많이 등장하고요. 새타니, 새소리를 내며 점을 치고 영혼이 다녀간 흔적으로 새발자국이 찍히고 꿈에 새가 메신져로 나온다든지…또한 하늘과 이어지는 상징인 머리장식으로 사슴뿔-꽃가지와 깃털등 수직적 장식이 달린 모자 이런 식으로 이어졌다고 알고 있네요.

  • @user-hk2yk2zs8v
    @user-hk2yk2zs8v Před 3 měsíci +22

    전라도 해남에서 80년대 살았다.
    동네에 ’당골네‘ 무당집이 있었고 마을에 여러 굿에 항상 계셨다. 당골네 주변에는 귀신 많다고 하여 밤에는 지나 다니지 말라고도 했었다.

  • @user-fu3ih6zg8l
    @user-fu3ih6zg8l Před 6 dny

    기자도 싫어하고, 평론가도 싫어하는데, 이동진님은 이상하게 호감이라서 편견이 벗겨져 찾아왔습니다.

  • @user-qn8wj6vs8l
    @user-qn8wj6vs8l Před 3 měsíci

    똑똑하셔 책을 많이보셔서인가봐요

  • @PTA-hj7yb
    @PTA-hj7yb Před 3 měsíci +9

    듄2 리뷰 존버중

  • @lmn555
    @lmn555 Před 3 měsíci +4

    한국인 자체가 신기가 다른나라보다 많은건 확실한거 같다. 고대부터 신의 선택을 받은 종족은 한민족이 아닐까 미신이나 망상으로 치부하기엔 그역사와 뿌리가 너무나 길고 깊다. 우리가 언제부터 기독교고 천주교였나 생각해보면 중동에서 퍼진 종교를 독실하니 어쩌니하며 떠받드는것도 우스운일이다

  • @user-hh6kr2sm3o
    @user-hh6kr2sm3o Před 2 měsíci

    죽기전에
    보고싶다
    한영화에 대하여
    이동진과 라이너의
    1 대 1. 토론을
    누가 이길것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