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의 윤회를 바라보는 견해 - [법상스님의 반야심경과 마음공부 38회]

Sdílet
Vložit
  • čas přidán 10. 11. 2022
  • 윤회를 둘러싼 갑론을박이 있죠. 공부를 많이 한 어떤 사람은 윤회가 존재한다고 말하고, 마찬가지로 공부를 많이 한 다른 사람은 윤회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말합니다. 그렇다면 불교는 윤회를 어떻게 바라보는 종교일까요? 불교에는 윤회 뿐만 아니라 그 어떤 것에도 견해가 없습니다.
    법상스님 말씀 들어봅니다.
    #불교 #법상스님 #법상스님의 반야심경과 마음공부
    ●BTN 유튜브를 후원해주세요.
    btn.co.kr/youtube/cms.html (링크 누르고 가입 신청)
    ●BTN불교TV 유튜브 구독하기
    bit.ly/3k5nt10 (링크 누르고 구독 버튼 클릭!)

Komentáře • 120

  • @user-xj6ju8vu6q
    @user-xj6ju8vu6q Před rokem +14

    모든 것이 실은 관념작용이고, 어느 것이 맞다 틀리다는 분별심, 그런 생각의 반복, 집착을 버려야 결국 괴로움에서 벗어남이 있겠죠.
    윤회란 것도 있다 없다는 생각을 반복하는 것은 결국 또 집착이고, 거기에는 괴로움 만이 있으니 그런 집착은 내려놔야겠습니다.
    상주론이나 단멸론이 그른게 아니라 그것에 대해 논하는 것은 의의가 없어 무기로 삼은 것임을 알겠습니다.
    번뇌 중에 법상스님의 설이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dw8bl6jj6c
    @user-dw8bl6jj6c Před rokem +13

    법상스님 많이 고맙고 감사합니다

  • @user-kr4fi9uz7d
    @user-kr4fi9uz7d Před rokem +13

    법상스님 💙
    항상 고맙고 감사합니다 🙏

  • @user-pz4pk1gw3i
    @user-pz4pk1gw3i Před rokem +8

    법상스님
    감사합니다~ 🙏
    감사합니다~ 🙏
    감사합니다~ 🙏

  • @user-vm4zn6pt6v
    @user-vm4zn6pt6v Před rokem +7

    법상쉼 귀한 법문 감사합니다 나마스테 _(())_

  • @user-hm7zp2lm7b
    @user-hm7zp2lm7b Před rokem +10

    🙏🙏🙏 감사합니다

  • @user-ys1sj5qh3c
    @user-ys1sj5qh3c Před rokem +12

    감사합니다 스님 최고입니다 👍 💕

  • @user-bz9bd1zi9u
    @user-bz9bd1zi9u Před rokem +8

    말씀들이 지적이고 담백하다. 균형이 서려 있다.

  • @user-fg3wx3yz6w
    @user-fg3wx3yz6w Před rokem +7

    스님 감사합니다.

  • @user-wf9no9pb1p
    @user-wf9no9pb1p Před rokem +7

    스님 감사히 듣겠습니다😊

  • @ewa6245
    @ewa6245 Před rokem +10

    불교는 모든 것에 대한 견해가 없다!

    불교는 주장하는게 없다 중도다

    불교는 진짜 뇌섹 매력 쩜🙏🙏🙏
    나무아미타불 관세음보살🙏

  • @user-br9km1yk8p
    @user-br9km1yk8p Před rokem +6

    감사합니다.

  • @user-dh8ot2sn5m
    @user-dh8ot2sn5m Před rokem +6

    무한감사합니다

  • @user-sj4lo6vi6v
    @user-sj4lo6vi6v Před rokem +8

    고맙습니다

  • @user-mr1un5zj9h
    @user-mr1un5zj9h Před rokem +6

    존경하는
    법상스님
    무한감사합니다 🙏

  • @user-zt1xx7kx7c
    @user-zt1xx7kx7c Před rokem +5

    스님🙏항상 감사드립니다🙏

  • @user-rs2cs2fq4i
    @user-rs2cs2fq4i Před rokem +4

    나무아미타불 고맙습니다

  • @user-kw8bu7gb6n
    @user-kw8bu7gb6n Před rokem +4

    🌸🌸🌸🌸🌸🧡🧡🧡🧡🧡
    감사합니다

  • @user-fc1jd3cd6d
    @user-fc1jd3cd6d Před rokem +4

    관세음보살()
    감사합니다()
    덕분입니다()
    🙏🙏🙏🙇‍♀️🙇‍♀️🙇‍♀️

  • @user-ty8sg5ct2o
    @user-ty8sg5ct2o Před rokem +4

    스님! 고맙습니다

  • @user-up8wz7bj1r
    @user-up8wz7bj1r Před rokem +5

    감사합니다 ♡♡♡

  • @user-ou1ff3he8k
    @user-ou1ff3he8k Před rokem +7

    법의 자리에서만 보면
    본래 청정하니 선과 악 은 없다
    이해 됩니다
    즉 죄는 미워하되 사람은 미워하지 마라
    와도 통하는것 같고 다 맞는 말인데
    현실 세간살이에서는 오해의 소지가
    너무 커 함부로 말하다가는 왕따되기
    딱 쉽상이죠 ㅠ
    참 이런게 어려운 부분인거 같습니다

  • @user-bm8ij2cc1z
    @user-bm8ij2cc1z Před rokem +4

    감사합니다

  • @Songjuk125
    @Songjuk125 Před rokem +5

    오늘도 감사합니다__((()))__

  • @user-yb6pn2yn5m
    @user-yb6pn2yn5m Před rokem +3

    법상스님 감사합니다

  • @yjm9693
    @yjm9693 Před rokem +4

    설명너무좋아요 독 . 약 비유 쨩🎉

  • @sunyata4812
    @sunyata4812 Před 27 dny +5

    열반의 경지에서의 견해 없음과 열반에 도달하기까지의 바른 견해를 구분할 줄 알아야 합니다.
    열반의 경지에 있는 것처럼 떠벌린다고 실제 탐진치를 소멸시키는 일과는 상관 없습니다.
    뗏목의 비유처럼 건넌 후에 뗏목이든 견해든 정법이든 버리는 것입니다. 건너지도 않았는데 이미 건넌 듯 버리라는 착각의 말을 하면 안 됩니다.
    독화살의 비유처럼 독화살을 제거하기도 전에 독화살을 제거한 이후 상황처럼 독도 없고 화살도 없다고 말하면 안 되는 겁니다.
    비불교인이라면 모르나 불자라면 부처님께서 8정도의 정견이 기본적으로 윤회인과가 있음을 아는 것이라고 한 것에서 견해를 확립하면 됩니다.
    요즘 착각도인들이 마치 열반의 경지에 있는 것처럼 이치적으로만 그럴듯한 말만 횡행하니 큰 문제입니다.
    이런 말을 해봤자 분별이 많군 하며 도인병 들어 겉넘은 소릴하겠지..

    • @sdf24234d
      @sdf24234d Před 19 dny

      고견 감사드립니다

  • @user-jm1mb1rg1o
    @user-jm1mb1rg1o Před rokem +3

    감사합니다 스님 ()()()

  • @kuyogi
    @kuyogi Před rokem +10

    윤회에 대한 정보가 너무 필요했었는데, 큰 깨달음 얻고 갑니다. 유튜브가 참 좋긴 좋네요. 감사합니다!

  • @user-es3gk2tn8c
    @user-es3gk2tn8c Před rokem +6

    깨달으면 윤회가 없고(내가 없기 때문에 .....온 우주가 나이기 때문에)
    중생에겐 윤회가 있다(세계를 분별로 보기때문에)

  • @user-tu2yk5bt2l
    @user-tu2yk5bt2l Před 2 měsíci +3

    개미는 어떻게 수행해서 사람이 될려나 윤회는 없다 한표!

    • @user-ig7nj1xb5r
      @user-ig7nj1xb5r Před 2 měsíci

      윤회는 베다중기까지도 없던 사상이었습니다. 제가 알기로는 브라만교가 드라비다족의 토속신앙과 융화되면서 베단타시대에 와서야 성립되기 시작했습니다. 석가모니 활동시절에는 아마도 일반사람들이 워낙 윤회론을 믿고 있었으니까 적당히 방편으로 사용하지 않았을까 생각합니다.

  • @user-oc5nl6mu1m
    @user-oc5nl6mu1m Před rokem +1

    법상스님 오늘도스님법문들으며 행복함니다.

  • @kpark1026
    @kpark1026 Před 15 dny +1

    윤회는 법성인 연기의 반복적인 현상 이다.
    그러나 일체가 무자성 이므로 윤회 하는 어떤 주체도 있을 수가 없다.

  • @amarillo6174
    @amarillo6174 Před rokem +2

    무릎을 치고 갑니다. 법상 스님 큰 깨달음 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jw7tc7cw5q
    @user-jw7tc7cw5q Před rokem +1

    감사합니다.고맙습니다.🙏🙏♥️

  • @HAPPY-si6mq
    @HAPPY-si6mq Před 4 měsíci

    불법승삼보에귀의합니다🙏
    항상감사합니다🙏

  • @user-br9km1yk8p
    @user-br9km1yk8p Před rokem +4

    본래 청청 대 평등심 ᆢ
    감사합니다 스님^^_()_

  • @user-gt6tw8lg3v
    @user-gt6tw8lg3v Před 3 měsíci

    스님 고맙습니다

  • @mind-stay
    @mind-stay Před 10 měsíci +4

    정말 큰일이네 ᆢ 불교가 불가지론인가? 부처님께서 윤회를 말씀하신게 한쪽을 고집한 상견인가ᆢ도대체 답이 안나오네ᆢ

  • @user-lk5kl6ry6f
    @user-lk5kl6ry6f Před rokem +3

    ♥️🙏🙏🙏

  • @user-qz8uy1iz9g
    @user-qz8uy1iz9g Před rokem +1

    ♥ 단하 목불!

  • @user-jd7wi6gc7t
    @user-jd7wi6gc7t Před rokem +2

    고맙습니다_((()))_

  • @user-dd4hi6hf7s
    @user-dd4hi6hf7s Před 10 měsíci +2

    어느 위치에 보느냐에 따라, 부처의 위치에서는 깨달음도 없고 나도 없고 윤회도 없는것이고 중생의 위치에는 깨달음도 있고 나도 있고 윤회도 있은것인데 그래서 초기경전은 윤회를 말하다 수준에 이르면 공을 말하고 윤회 깨달음 나가 없다 하는데 선가 공부 잘못하여 한쪽에 치우처 윤회가 없다 씨부린다.전체를 보는 공부 더 해야한다. 불교가 윤회가 없다 하면 수행도 깨달음도 사기가 되는데 안타깝네.

  • @user-dn1gg9rr1q
    @user-dn1gg9rr1q Před 5 měsíci

    나도 유튜브가 너무나 매우 좋습니다

  • @On-if8rd
    @On-if8rd Před 10 měsíci

    부처님이 말씀하셨죠. 나는 세상과 논쟁하지 않는다. 세상이 나와 논쟁할뿐이다. 부처님이 말씀하시는건 견해가아니라 진리를 말씀하시는 겁니다. 어떠한 불교도 사성제에서 벗어날 수 없고 벗어난다면 불교일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 @user-tk8ro1yk9w
    @user-tk8ro1yk9w Před 11 měsíci +2

    항상청정강조하면서 윤회없다면 왜청정 추구하죠 윤회없다는것은죽으면곧정신적으로 무라는겁니다 불교는죽어도정신적으로 무가아니고 유를이야기합니다

  • @himchage
    @himchage Před 3 měsíci +3

    윤회가 없다고 말하는 일부 승려들은 스승 부처님의 가르침을 부정하는 것입니다
    금강반야바라밀경에서 부처님이 윤회를 언급했는데 도대체 윤회가 없다는 일부 승려들은 불경을 어떻게 읽는지 의심스럽습니다

    • @user-ig7nj1xb5r
      @user-ig7nj1xb5r Před 3 měsíci

      대승경전은 부처님 직설이 아니지 않나요?

    • @user-tu2yk5bt2l
      @user-tu2yk5bt2l Před 2 měsíci

      개구리는 어떻게 수행하여 사람이 될수 있나여

    • @irchama
      @irchama Před 7 dny

      @@user-tu2yk5bt2l 말씀잘하셨네요. 축생이 어떻게 사람이 되는가. 개구리는 좀더 오래 살아야 하고. 개로 설명 드리죠. 사람이 살다가 죄가 많거나 지혜가 없으면 축생으로 떨어지는데 가장 먼저 개로 나옵니다. (여기서 일단 윤회가 있는겁니다) 개로 태어나면 수십에서 수백생을 개로 살아야 그다음에 사람으로 나올 수가 있습니다. 돼지 같은 짐승도 사람에게 육보시를 하죠. 그렇게 남들에게 자기 몸을 보시함으로서 업장소멸이 되고. 업장소멸이 충분히 되면 그다음에 사람으로 나오는 것이죠. 이 모든것이 윤회가 없다면 설명이 안되죠. 그리고 사람으로 나온다고 해도 북한이나 아프리카 같은 복 없는 곳에 태어납니다. 그런데서 개고생하면서 몇생~ 수십생 살고나면 조금더 잘사는 데로 태어납니다. 그리고. 복 많은 사람들이 우리나라 같이 도인이 그나마 있는 곳에 태어나서 부처님 법 만나서 수행 하면. 천상에도 나오고 극락으로도 가고 성불도 하는겁니다. 그런데 윤회가 없다고 하면 이 모든것이 설명이 안되죠. 개구리로 한생 살다가 그냥 끝나는 걸까요? 절대 아닙니다.

  • @irchama
    @irchama Před 13 dny +1

    불교는 체험이고.
    관념으로 만든 종교가 아닙니다.
    그리고 현재 일어나고 있는 현상을 정확하게 알아야 합니다.
    사람이 죽으면 육도에 다시 태어납니다.
    그렇게 끊임없이 육도에 태어나는 중에 업력으로 인해서 지금 사람몸으로 한번 나온것이죠.
    그러므로 전생은 존재합니다.
    그리고. 육도윤회를 벗어나기 전까지는
    계속 윤회를 하는 것입니다.
    그러니 성불 하기 전에는 내생도 있는 겁니다.
    이거는 종교와는 상관이 없습니다. 그리고 생각과도 상관 없습니다.
    업력에 의한 자연 현상이죠.
    마치 지구가 둥글면서 태양의 주위를 돌듯이.
    부처님의 깨달음은 위없는 깨달음 아뇩다라삼먁삼보리 일불승을 말하십니다.
    500제자들이 아라한을 이루었는데 그들은 이제 수행은 끝인가?
    그렇게 생각했지만.
    그렇게 생각하고 있을때 설하신것이 묘법연화경 입니다.
    성문, 연각은 일불승으로 가기 위해서 이끌기 위한 방편이었다는 것이죠.
    요즘 윤회를 부정하는 이들은 자신들이
    아직 아라한도 이루지 못했으면서
    일불승 성불을 했다는 착각을 합니다.
    위에 나오는 500나한 조차도 수백생, 수겁 이후에 성불한다는 수기를 받는데 말이죠.
    불교를 제대로 알려면 대통지승여래 를 알아야 합니다.
    대통지승여래께서 성불하시고 16명의 자식을 세상에 내려 보냅니다.
    그중에 아미타불도 계시고, 석가모니불도 계십니다.
    그리고. 성불하면 어떻게 되느냐.
    법신으로 공 인 상태로 존재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성불하기 전의 혼들이 남아 계세요.
    그 혼들은 부처님의 화신입니다.
    이 수많은 화신들이 세상에서 다 활동 하고 계십니다.
    그리고. 부처님, 보살님들 께서 중생 구제를 하기위해
    우리 옆에 사람으로 나와 계십니다.
    가끔은 큰스님으로 (경허스님, 수월선사님)

  • @lumen-x4q
    @lumen-x4q Před 10 měsíci +1

    37:05 인연따라 오염된 자아가 아니라, 참나는 절대청정 그 자체라는 법문에 너무 감탄하고 제가 여러 다른 스님의 법문에서 이해할 수 없었던 이치를 탁치고 깨닫습니다. 결국에 마음에서 생기고 사라짐이고 과거나 미래도 내가 마음에서 만들어 낸 것이라는 것에 깨닫습니다.
    38:06 "인연 따라 돌아가는 것에서는 선과 악이 없다." 임진왜란이나 십자군 전쟁의 사례에 너무 이해가 갑니가.
    39:52 모든 것이 평등하다. 질적으로 차별이 없다. 더럽고 깨끗한 것이 없고 높고 낮음이 없다. 존재근원의 본래적인 절대 청정성 - 내가ㅣ 부처이다.
    누구에게 의존하지 마라 너가 곧 부처이다.

  • @user-fy9th2js1h
    @user-fy9th2js1h Před 9 měsíci +1

    나무아미타불 나무관세음보살 나무대세지보살 나무인로왕보살 불보살님
    옴 제세제야 도미니 도제 삿다야 훔바탁 ~중생이 마군에 휘둘리지 않기를

  • @user-tk8ro1yk9w
    @user-tk8ro1yk9w Před 11 měsíci +1

    윤회가 없다면 정자와 난자가 자기인가 윤회는진실 무아이면서윤회

  • @user-dn1gg9rr1q
    @user-dn1gg9rr1q Před 5 měsíci

    나는 친구 사귀기를 반드시 다음생에 ♡♡♡♡♡♡

  • @user-dn1gg9rr1q
    @user-dn1gg9rr1q Před 5 měsíci

    00:17:45

  • @user-go1jq3qr3d
    @user-go1jq3qr3d Před rokem

    5월 6일 토요일 😊

  • @user-dn1gg9rr1q
    @user-dn1gg9rr1q Před 5 měsíci +1

    윤회는 무조건 208 %% 존재한다 ....

  • @user-zu3kt1vd1k
    @user-zu3kt1vd1k Před 2 měsíci

    독자인 저도 얼굴에 아무것도 않바르나 피부색갈 좋다는 말, 듣습니다

  • @user-sw3tx1ft7k
    @user-sw3tx1ft7k Před rokem +4

    앙굴리말라는 성자의마음을얻어 고통과두려움없이살인의과보를받을까요 아니면 모든 윤회의속박에서벗어난걸까요.그것이 궁금합니다.

    • @nomja8789
      @nomja8789 Před 10 měsíci

      조달(調達:데바닷타)이 부처님을 비방한 죄로 산 채로 지옥에 빠졌는데, 세존께서 아난을 보내 '그대는 지옥에서 견딜만 하느냐?' 하였더니, 그가 대답하되 '내가 지옥에 있는 것은 마치 삼선천(三禪天)의 쾌락 같습니다' 하였다. 부처님이 다시 아난을 시켜 묻되 '그대는 벗어나기를 바라는가?' 하였더니 그가 대답하되 '세존이 여기 오셔야 나가리라' 하였다. 이에 아난이 '부처님은 三界의 大師이거늘 어찌 지옥에 들 까닭이 있겠는가?' 하매, 조달이 말하되 '부처님이 이미 지옥에 올 까닭이 없다면 내가 어찌 지옥에서 나갈 까닭이 있겠는가' 하였다.
      취암진(翠岩眞)이 염하되 '친절한 말이 친절한 입에서 나왔구나' 하였다.
      운문고(雲門杲)가 이 이야기를 듣고는 말하되 '나올 까닭이 없고 들어 갈 까닭도 없다하니 누구를 석가노자라 부르며 누구를 제바달다라 하며, 무엇을 지옥이라 부르겠는가? 알겠는가? 손에 병을 들고 술을 사러 가더니 한삼(衫)을 입고 와서 주인노릇을 하는구나' 하였다.
      출처: 선문염송

  • @user-dn1gg9rr1q
    @user-dn1gg9rr1q Před 5 měsíci

    00:38:01

  • @user-dn1gg9rr1q
    @user-dn1gg9rr1q Před 5 měsíci

    약 17분 이상

  • @user-dn1gg9rr1q
    @user-dn1gg9rr1q Před 5 měsíci

    32:49

  • @user-dn1gg9rr1q
    @user-dn1gg9rr1q Před 5 měsíci

    17:45

  • @user-dn1gg9rr1q
    @user-dn1gg9rr1q Před 5 měsíci

    내 생각에 다음생은 무조건 180 % 존재한다

  • @hcd7183
    @hcd7183 Před 11 měsíci +3

    삼세양중인과, 등의 윤회는 견해가 아닉고 사실이 뭔가를 얘기하지 못하면 모른다하고 말어.... 부처님의 가르침은 부처님의 견해가 아니고 사실이 무엇인가에 대한 가르침이다.
    범망경에서 여러사람들이 선정에서 수백 수천 전생을 보고 나름 자신의 전생은 이러하였다고 얘가하는데 18가지이다... 이것은 모두 이제 까지 자신이 보거나 듣거나, 즉 경험한 것에
    욕삼과 두려움 바람에 의한 사견일 뿐이다라 하셨다...
    부처님도 선정에서
    수많은 전생를 보았지만 부처님이 보신 것도 예외없이 사실이 아니다....
    먾은 사람들이 경에 부처님이 전생을 보았다 하는 내용을 보고 전샹이 있다고 얘기하는데
    선정에서 본 내용은 부처님이던 누구든 사실이 아니다.... 분명한 것은 생명이 다하면 즉 6근이 기능이 상실되면 수상향식은 더 이상 연기하지 않는다...
    연기는 계속되지만 수상행식은 연기되지 않는다...
    그럼 윤회는?

    • @user-tk8ro1yk9w
      @user-tk8ro1yk9w Před 11 měsíci

      답답아 식은사라지지 않아요

    • @hcd7183
      @hcd7183 Před 11 měsíci

      @@user-tk8ro1yk9w
      니까야 38번 어부의
      아들 사띠가 식이 윤회한다고 떠들고 다니다가 호도게 꾸자람 듣는
      경을 보세요...
      식(앎) 도 연기합니다.
      생명이 있고 육근이 정상이면 안식 이식 비식
      설식 신식 의식이 연가하지만 생명이 다하면
      육근이 가능이 없어 식이 일어나지 않습니다...
      식이 없는 다른 연기가
      계속됩니다

    • @hcd7183
      @hcd7183 Před 11 měsíci

      @@user-tk8ro1yk9w
      식이 영원하다는 것이
      힌두교 가르침이고
      수상행식이 6근과 6경이 부딫혀 안식 이식등이 연기하고 이어 수상사가 알어난다
      부처님이 말씀하신
      연기의 내용입니다

    • @hcd7183
      @hcd7183 Před 11 měsíci

      @@user-tk8ro1yk9w
      연기에 대해 문외한 이시네요..
      색수상행식이 연기합니다...

  • @user-fi3dc9tt5u
    @user-fi3dc9tt5u Před rokem +2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에게 천도제를 권해서 생활의 어려움을 겪게까지 하는 친구가 있어서 이 영상을 보게됐습니다. 저는 수타니파타를 읽고 싯다르타가 윤회는 없다고 한 것을 알게 되었구요.
    그 친구는 그친구대로 나는 내가 깨달은대로 걍~~ 살면 되는거군요. ^^

    • @Siddhartha_Buddha
      @Siddhartha_Buddha Před rokem +1

      숫타니파타 말고도 초기의 대승경전과 팔만대장경 까지 다 윤회 얘기 아닌가요???

    • @user-fi3dc9tt5u
      @user-fi3dc9tt5u Před rokem +1

      @@Siddhartha_Buddha 붓다는 윤회를 묻는 사람에게 무기하셨다고 알고있습니다.

    • @Siddhartha_Buddha
      @Siddhartha_Buddha Před rokem

      @@user-fi3dc9tt5u 부처님께선 윤회설을 수용하여 전생과 내생을 설명하기도 하였으니, 중생들이 예쁘고 추하거나 부유하고 가난한 것 등은 무슨 까닭인지를 묻는 한 브라만의 질문에 전생에 지은 업 때문이라 대답하셨다는 것이 그 예다. 그렇지만 부처님은 윤회 자체에 대해선 긍정도 부정도 아닌 무기(無記)로 답하셨다.

    • @Siddhartha_Buddha
      @Siddhartha_Buddha Před rokem +4

      @@user-fi3dc9tt5u (법구경 153-154)는 게송도 윤회와 윤회의 종식을 명쾌하게 밝히고 있습니다.이처럼 부처님께서는 분명히 윤회를 설하셨고, 갈애와 무명이 윤회의 원인이라고 밝히셨습니다. 그래서 부처님께서는 갈애(渴愛)를 ‘재생을 하게 하는 것(ponobhaavikaa)’이라고 정의하셨습니다. 갈애와 무명이 있는 한 윤회의 흐름은 계속됩니다. 이것을 우리는 생사윤회라 합니다. 물론 갈애로 대표되는 번뇌들이 다한 아라한에게는 더 이상 윤회는 없습니다. 그러나 그 외에는 불환과(아나함)까지도 다시 태어남 즉 윤회는 있습니다.윤회는 결코 방편설이 아닙니다. 갈애와 무명에 휩싸여 치달리고 흘러가는 중생들의 가장 생생한 모습입니다. 그러므로 윤회는 힌두교 개념이고 불교는 윤회를 인정하지 않는다는 잘못된 주장에 현혹되면 안 됩니다. 부처님께서는 윤회(苦)를 설하셨고, 윤회의 원인(集, 갈애)을 설하셨고, 윤회가 다한 경지(滅, 열반)를 설하셨고, 윤회가 다한 경지를 실현하는 방법(道, 팔정도)을 설하셨습니다. 그러므로 어설프게 ‘윤회는 없다, 부처님은 윤회를 설하지 않으셨다’고 주장해서는 곤란합니다.

    • @Siddhartha_Buddha
      @Siddhartha_Buddha Před rokem

      어제 지장경을 읽었는데요 역시 지장경에도 윤회 얘기는 여러번 나오네요

  • @user-dn1gg9rr1q
    @user-dn1gg9rr1q Před 5 měsíci +1

    육도윤회

  • @user-tk8ro1yk9w
    @user-tk8ro1yk9w Před 11 měsíci +1

    무명상태이면계속 윤회함 무아상태임 그대로개별성은 지속됨 어제오늘이 무아이듯이 개별성은남음 무아라는것을
    개별성을 부정하는것으로 보면 안되요

  • @user-dn1gg9rr1q
    @user-dn1gg9rr1q Před 5 měsíci

    17분 이상 짜리

  • @user-jm2mh7rw9p
    @user-jm2mh7rw9p Před rokem +5

    참으로 희한한 일입니다. 스님이 노자의 도덕경을 강의하다니...... 스님 말씀대로면 모든 게 공인데, 계는 왜 지켜야 하며, 팔정도는 왜 있는 것인지, 선정수행은 왜 하는 것인지,,,,, 스님은 불교가 아니라 도가 사상을 말하고 있는데, 정작 본인은 알고나 설하시는지..... 안타깝습니다. 중국 선종에 세뇌당한 불교인들이 언제쯤이나 정신을 차릴런지......

  • @user-co8hj9yk8h
    @user-co8hj9yk8h Před 5 měsíci

    윤회가
    정말있는가요???
    스님 법문 잘 듣고갑니다
    감사합니다 ㅎㅎ

  • @user-ig7nj1xb5r
    @user-ig7nj1xb5r Před rokem +1

    당장 팔다리, 위장이 아픈데 이게 허상일까요? ㅠㅠ

    • @user-ev8iw9sq6j
      @user-ev8iw9sq6j Před 11 měsíci

      네 아프다는것도 가짜느낌일뿐입니다..

    • @user-vc8rf2li4n
      @user-vc8rf2li4n Před 3 měsíci

      꿈 속에서도 아픈 작용은 있지요

    • @user-tu2yk5bt2l
      @user-tu2yk5bt2l Před 2 měsíci +1

      아이고 웃긴다 사람이 아파 죽는데 허상이래

  • @user-jj5os3cu7s
    @user-jj5os3cu7s Před 11 měsíci

    진짜 자기? 침나? 진아?주인공?아트만?

  • @sinsg32
    @sinsg32 Před 4 měsíci +1

    윤회의 증거들에서는 동물에서 사람으로 윤회하는 경우는 없었던 것으로 압니다. 사람이 윤회하며 영원히 사는 것을 교육과정에 포함시켜야 합니다. 천무부(하늘부)를 만들어 천지행정을 해야 합니다. 전생의 인연을 찾을 수 있어야 합니다.

  • @user-dn1gg9rr1q
    @user-dn1gg9rr1q Před 5 měsíci

    윤회

  • @user-xh9cq3xn8c
    @user-xh9cq3xn8c Před 11 měsíci +2

    불생불멸은 극락세계의 왕생을 뜻한다.부처님의 가르침은 깨달음을 얻어 육도윤회를 벗어나라는 것인데, 깨닫지도 못한자가 윤회없다고 하면,마구니의 자식이고 삼악도에 떨어진다..불교에는 견해가 없다고? 완전 마설이군.

  • @sdf24234d
    @sdf24234d Před 2 dny

    방편하고 임시방편하고 다른 건데 또 장난치네....
    팔만 대장경이 임시방편같은 소리하네
    팔만 대장경은 진제가 있고 속제가 있습니다.
    진제와 속제에 대한 바른 분별이 있고 난 후에야
    경을 읽을 자격이 주어집니다.
    '부처님께서는 한 법도 설한 바가 없다'
    이건 진제인데 이걸 또 낄데 안낄데 구별못하고 들이댄다면
    기초적인 수준이 부족하다고 생각합니다.
    대한민국에서 진제속제 구별안하고 쓰는 인간 딱 두 사람 봤는데
    법상하고 법륜인데요
    혹시 두분의 관계를 아시는 분 계신가요?
    비슷한 시기에 튀어나와서 장난을 치네요.
    둘이서 같은 스승을 공유하지 않고는 이럴수가 없는데...
    부처님하고 똑같이 말해도 증득이 없으면 마구니라는 소리를 듣는데
    부처님하고 다른 소리를 한다면 말할 것도 없지요.

  • @user-ev9fd9hq9b
    @user-ev9fd9hq9b Před 3 měsíci

    창조주가 사람을 태어나게 할 때 뇌 속에 여러가지 패턴을 주입 시켜서 내보내 는 거 같다 그 종류가 어마어마하게 많고 정밀 하기에 인간의 상상을 초월하기 때문에 인간은 신의 경지에 도달할 수 없는 거 아닌가

  • @user-mb8mu9yg1n
    @user-mb8mu9yg1n Před rokem +5

    불교는 주장하는 게 없다?
    불교를 어디서 배우셨나?
    불교 다시 배우시길~
    위험한 설법을 하고
    있네...ㅠ

    • @user-ev8iw9sq6j
      @user-ev8iw9sq6j Před 11 měsíci

      주장한바도 없고 안한바도없으니 주장했다할수없다는 말이죠~!

  • @user-ds8wj7hn1e
    @user-ds8wj7hn1e Před 2 měsíci

    광고좀 없애주세요

  • @user-eo2xi2xr3b
    @user-eo2xi2xr3b Před 11 měsíci +2

    윤회는 없습다 , 불생불멸=공, 이 사바 세계가 성철스님이 극락이요 지옥이라 했습니다, 나무시아 본사 석가모니불.

  • @user-yy4iv4ko6f
    @user-yy4iv4ko6f Před rokem +4

    감사합니다.

  • @buddaholic913
    @buddaholic913 Před rokem +4

    감사드립니다❤❤❤

  • @user-dn1gg9rr1q
    @user-dn1gg9rr1q Před 5 měsíci

    00:17:45

  • @user-dn1gg9rr1q
    @user-dn1gg9rr1q Před 5 měsíci

    32:29

  • @user-dn1gg9rr1q
    @user-dn1gg9rr1q Před 5 měsíci

    30:46

  • @user-or7hl5rm3g
    @user-or7hl5rm3g Před rokem +2

    감사합니다.

  • @user-dn1gg9rr1q
    @user-dn1gg9rr1q Před 5 měsíci

    38: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