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설적인 물리학자의 몰입감 쩌는 인생 교훈... (과연 나는 어떨까?)

Sdílet
Vložit
  • čas přidán 21. 04. 2022
  • * 협업 제의는 이메일로 해주시기 바랍니다
    contact@keepmanydays.com
    [작심만일 오프라인 퍼포먼스 코칭모집]
    "단 30개 영상으로 5개월만에 유튜브 15만 구독자 만든 비결"
    "목표 성공의 본질을 체화하게 해드립니다"
    bit.ly/3xw6hdR
    [작심만일 클래스유 온라인 클래스]
    "성공 마인드셋 장착 클래스"
    me2.do/5HSuBHxP
    #리처드파인먼 #동기부여 #동기부여영상
    Source: @ChristopherSykesDocumentaries
    Music: Melody Of My Dreams - Whitesand

Komentáře • 840

  • @keepmanydays
    @keepmanydays  Před 2 lety +49

    [작심만일 오프라인 퍼포먼스 코칭모집]
    "단 30개 영상으로 5개월만에 유튜브 15만 구독자 만든 비결"
    "목표 성공의 본질을 체화하게 해드립니다"
    bit.ly/3xw6hdR

  • @user-pl2rz1qk4w
    @user-pl2rz1qk4w Před 2 lety +1426

    이아저씨의 말을 요약하면, 당신이 무엇을 알고싶은지 부터 설정한 상태에서 질문을 하라는 의미입니다.
    그런 설정이 없다면 추상적인 답을 할수밖에 없다는걸 굉장히 자세하게 이야기하고 계시네요

    • @kanadara0839
      @kanadara0839 Před 2 lety +9

      이 아저씨라....너무 친숙한 표현인걸요? 좀더 자세히 설명해주셨으면 합니다.

    • @user-pl2rz1qk4w
      @user-pl2rz1qk4w Před 2 lety +53

      @@kanadara0839 흠.. 어떤걸 자세히 설명해드릴까요? 질문하는법? 왜 추상적인 답을 하는지?
      현대 지식은 굉장히 방대하고 깊습니다. 모든 사람이 현자처럼 대답을 할 수 없죠. 우리가 사람의 마음을 읽지 못하는 이상, 이 사람이 알고 싶어하는 것이 무엇인지 몰라요.
      그렇기 때문에 어디서부터 어디까지 대답해줘야 하는지 모르니 가장 기초적인 것부터 답을 해줘야하고, 그렇게 되면 질의자나 응답자 모두 지치게 되죠. 바로 지금처럼요.
      그래서 구체적이고 명확한 질문을 해야 거기에 맞춰서 명쾌한 답을 할 수있고, 학습의 효과가 일어나게 되는거죠
      답변이 되셨는지??

    • @TONYBOTTLE
      @TONYBOTTLE Před 2 lety +74

      @@kanadara0839 저 아저씨가 한 말은 자석이 왜 서로를 끌어당기는지에 대한 질문은 아무것도 모르는 놈에게 알려줄만큼 간단한 게 아니니 왜? 라는 질문할거면 최소한 뭘 알고싶은지 정도는 알고 물어봐라 라는거인듯.

    • @sebin526
      @sebin526 Před 2 lety +66

      맞는듯 동영상 절반까지만 봤는데, 질문 수준이 어린애가 그냥 자연현상 보고 왜 저런거야? 하고 물어본거 같으니 어느 수준으로 알려줘야하는지도 모르겠고, 진짜 알고싶어서 물어본게 아닌거같아서 불쾌했을듯

    • @kante933
      @kante933 Před 2 lety +12

      우리나라 언어영역 수능출제자가 봐야할 영상인듯.

  • @user-qh4zn4wy9q
    @user-qh4zn4wy9q Před 2 lety +1010

    이런 교수님 수업에서 발표 하면 진짜 식은땀이 줄줄 흐를 듯 ㅋㅋㅋㅋ

    • @haminchoi6371
      @haminchoi6371 Před 2 lety +119

      저분 강의가 넘사벽이라 더더욱 그럴듯요 ㄷㄷㄷ.... 심지어 칼택(켈리포니어 공대)에서 이건 남겨야 하는 강의다 이래서 물리학 강의 자체를 박제했지요.... 여지껏 물리학 전공자들의 필독서 이기도 합니다... 반세기가 지났는데 아직도...

    • @kmj1324
      @kmj1324 Před 2 lety +59

      아니 그게 .. 예 알겠습니다 네네..

    • @user-nl3wf4vq8d
      @user-nl3wf4vq8d Před 2 lety +37

      ㅋㅋㅋ 질문 들어올 때 저절로 두손 모으게 될 듯

    • @cozy395
      @cozy395 Před 2 lety +47

      질문하면 강의 한 시간 연장일듯

    • @jwk5650
      @jwk5650 Před 2 lety +81

      교수님도 식은땀날듯 이 미물들이 내가 초등학교때 깨우친걸 아직도 모르니 이걸 어떻게 하나. ㅋㅋㅋ

  • @ililliiillili2970
    @ililliiillili2970 Před rokem +95

    저렇게 말을 오래하는데
    어떻게 주제에서 안 벗어나고 계속 말할 수 있지?
    진짜 대단하다

    • @ryoonkwanHong
      @ryoonkwanHong Před rokem

      이거 ㄹㅇ.... 저도 이 생각함
      제가 말하면서 삼천포로 빠지는 경우가 엄청많아서 ㅋㅋㅋ

    • @rcmarkel
      @rcmarkel Před rokem +1

      질문을 할 때 무엇을 알고 싶은지에 대해 확실히 설정하고 넓혀나가야 한다는 영상의 내용과 마찬가지일 것 같아요
      내가 말하고 싶은 것을 중심에 두고 그에 대한 설명으로써 내용을 확장해간다면 핵심에서 벗어나지 않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RainTherapy127
    @RainTherapy127 Před 2 lety +645

    지성과 성품의 조화는 언제봐도 존경심이 생긴다

    • @slavetocode
      @slavetocode Před 2 lety +23

      우리가 보는 표면적으로도 존경심이 생길정도인데 그 사람의 부피는 어느 정도일까요.. ㄷㄷㄷㄷ

    • @user-zd9cs7hn7g
      @user-zd9cs7hn7g Před 2 lety +3

      @@slavetocode 표현좋구만유

    • @wtf_is_this_handle_thing
      @wtf_is_this_handle_thing Před 2 lety +5

      이걸 보고 성품을 어떻게 알 수 있는거임?

    • @handle4040
      @handle4040 Před 2 lety +13

      @@wtf_is_this_handle_thing 질문 받는 사람 입장에선 병신 같은 질문이라 화가 날 법도 한디 꾹 참고 질문 자체가 어떻게 잘못됐는지 왜 잘못됐는지 뭐가 잘못됐는지를 정확하고 저 사람의 수준에 맞게 차분히 이해시키며 설명시키는 걸 보고 성품을 알 수 있는거지. 대다수의 사람들은 저런 질문은 받으면 이건 답변할 가치가 안되는거 같네요 등의 부정적인 반응을 보이기 때문에?

    • @user-cb4ke3km3t
      @user-cb4ke3km3t Před 2 lety +13

      @@handle4040 질문이 잘못됬다고 하지않습니다
      퍼펙트하다고하죠 다만 물리학자는 존재의이유를 의미를 설명하는사람이아니라 사실을 말하는사람입니다
      그래서 이유는 모른다하죠 사실만설명해줍니다
      사실 상당히 심오한 대화입니다 부처가말하듯 말해줍니다

  • @nidxhkkkyfc
    @nidxhkkkyfc Před 2 lety +730

    파인만 입장에서는 거짓말 하지 않는 선에서 일반인 질문자가 이해 할 수 있는 선에서 최선을 다해서 답변한 듯 하네요. 왜 이렇게 답변할 수 밖에 없는지 이유를 설명하는 과정이 정말 감탄이 나오네요.

    • @utt4832
      @utt4832 Před 2 lety +2

      ㅇㅈㅋㅋ

    • @Onepunman776
      @Onepunman776 Před rokem +1

      심오하게들어가면서 친숙하게이야기하면 거짓말하게되니깐..

    • @pirateemile9669
      @pirateemile9669 Před rokem +11

      그냥 쉽게 말하면 너의 지식 수준이 어느정도 인지 모르기때문에 내가 어떻게 설명해줘야될지 모르겠다. 이건데 뭔 소중한 가치가 있다는겨ㅋㅋㅋ 걍 유명한 사람이 말하니깐 모든 언행에 의미부여하는거지

    • @utt4832
      @utt4832 Před rokem +35

      @@pirateemile9669 아니지 ㅋㅋ 님같이 말하면 싸대기 ㅈㄴ마려운데 님이랑 같은의미로 기분나쁘지않게 만들엇으면 그게 정말 대단한거죠 정말 힘든거중에 하나가 거절을 기분나쁘게하지않는거랑 저분처럼 저렇게 기분나쁘지않게 설명하는거아님?. 님 말하는거보면 저 분이 더 대단하게느껴짐ㅋㅋ

    • @Onepunman776
      @Onepunman776 Před rokem +16

      @@pirateemile9669 밑댓글이 맞는말이네 ㅋㅋ 님처럼 싸대기마렵게 안쓰고 왜라는 질문이 얼마나 어려운지 친숙하고 재밋게말해주는데 ㅋㅋㅋ

  • @yozo97
    @yozo97 Před 2 lety +105

    ‘바른 답을 듣기 위해서는, 질문이 먼저 옳아야 한다’는 내용이었네요.
    ‘자석은 서로 왜 밀어냅니까’라는 굉장히 직관적인 질문에 상대방이 전공 지식이 전무하다면, 관련 물리법칙에 대해서 서술하는 것이 의미가 없고, 결국 상대방이 납득 할 수 있는 범주의 일반현상을 예시로 비유하여 설명하여야 하는데 이것은 한 분야의 권위자로서 거짓을 말하는 것임이기에 결국 ‘자석은 서로가 밀어낸다’는 철저하게 일관적인 답변 밖에는 할 수 없는 아이러니가 재밌네요.

    • @user-cj6em6xs9o
      @user-cj6em6xs9o Před rokem +4

      처음부터 걍 이렇게 말했으면 되는거 아님?

    • @emmu1932
      @emmu1932 Před rokem

      @@user-cj6em6xs9o 난이거로 자기력을이해하게 되서 좋은데요

    • @user-tr7ym1ho4j
      @user-tr7ym1ho4j Před rokem +2

      하고싶은말이 난잡하게 연상되는 와중에
      이렇게 잘 정리된 문장으로 달린 댓글을 보면 너무 즐겁습니다 정확하시네요

    • @natureundersea3615
      @natureundersea3615 Před rokem

      질문은 리처드 파인만이 이야기했듯 옳지 않은건 아닙니다.

    • @Wstrader_
      @Wstrader_ Před 11 měsíci

      @@emmu1932 저 영상에서 자기력을 이해헀다고요??????

  • @user-wj8uf2ss8r
    @user-wj8uf2ss8r Před 2 lety +115

    1.이해에는 끝이 없다. 왜?라는 질문의 답변에 왜가 올테니
    2. 원하는 답을 얻기 위한 질문에는 구체적인 질문이 필요하다

    • @03Gihem
      @03Gihem Před 2 lety +5

      질문자가 원하는 답 이라는게 있는지부터 생각해봐야겠네요 ㅋㅋㅋㅋ

  • @hjchoi6938
    @hjchoi6938 Před 2 lety +55

    한 분야에서 최고의 자리에 오르는 분들의 인터뷰는 흥미롭습니다.
    만일님이 제목을 잘 붙여서, 그리고 잘 적용해주어서 흥미있게 보았어요.

  • @user-us1zd2ow4l
    @user-us1zd2ow4l Před 2 lety +65

    질문에 저렇게 다양하게 생각하고 깊게 생각할수 있는것도 놀랍고 비유도 신기하고..
    사람의 생각이 저렇게 까지 깊고 멀리 할수 있다는것도 신기하고..

  • @aozo7872
    @aozo7872 Před 2 lety +69

    질문을 잘하라는 뜻으로 한 말이 아니고, 그냥 과학자로서 '과학은 How에 대해 답하는 거지, Why에 대해 답하는 학문이 아니다'라는 걸 알려주는 것 같은데요.

    • @aozo7872
      @aozo7872 Před 2 lety +9

      @@user-oq5fw6rd1y how는 대부분 '어떻게'로 번역하죠 ㅎㅎ;
      중력에 대해 과학적으로 다룬다면, F= G m1 m2 / r² 라는 식으로, 중력이 거리와 질량에 따라 '어떻게' 작용하는지 기술할 수 있을 겁니다.
      근데, '왜' 중력이 저렇게 작용하냐? '왜' 중력에는 거리와 질량이 주요 변수냐? 라고 물으면, 이건 우리가 경험으로 얘기할 수 없는 부분입니다. 그저 가설을 세워야 할 뿐이죠. '왜냐하면 중력은 시공간의 휨이다.' 라고요.
      근데 그러면 결국 '왜 시공간이 휘는 거야?'라고 물으면 또 어찌 설명하겠습니까?
      그래서 과학을 how에 답하는 거라고 합니다.
      다만 위에서 예를 들었듯, why가 무조건 과학의 영역 밖에 있는 건 아닙니다.
      정확히 말하면 why중에서, '왜 있는가' 같은 목적을 주로 다루진 않죠.
      '중력은 왜 있음?'
      물론 '중력은 어떻게 생긴 건가?'라는 식의 다른 관점으로 바라보기도 합니다.

    • @user-kq1un7un3u
      @user-kq1un7un3u Před 2 lety +1

      @@aozo7872 저도 똑똑해지고 싶어요

  • @user-qq7et2wj6q
    @user-qq7et2wj6q Před 2 lety +218

    리처드파인만의 인터뷰를 보고 이렇게까지 생각하고 피력할수 있다는게 대단하네요.
    덕분에 어떻게 질문하는 것이 내가 원하는 답을 얻을수 있을까에대한 생각을 깊이 하게되었어요. 좋은영상 감사합니다

  • @jaewoungshim4967
    @jaewoungshim4967 Před 2 lety +9

    이분의 말을 세상의 어떤 분야던지..마스터라면 이해할 것이다,,그런데 이분은 초보자도 이해가 가게끔 설명을 하신다는것.진정한 마에스트로!

  • @moningp3185
    @moningp3185 Před 2 lety +18

    얼마나 공부를 해야 저렇게 말을 할 수 있는걸까.. 너무 멋지다

  • @user-qy9cw1fp2v
    @user-qy9cw1fp2v Před 2 lety +26

    너무 설렌다 내가 앞으로 이 세상에서 알아갈 수 있는 게 이렇게 넓고 깊구나 영상 감사합니다

  • @WillnWay
    @WillnWay Před 2 lety +9

    오래전에 봤던 영상이었지만 추가적인 설명으로 새로운걸 깨닫게되었습니다. 전공이아닌 관심있던 분야에서 창업을 준비하면서 제 잠재력을 제한하고 현실에 너무 순응했던것같네요. 정보들을 잘 활용하며 성장할 수 있게 "왜 노트"를 만들어봐여겠네요. 감사합니다.

  • @sosogg875
    @sosogg875 Před 2 lety +85

    아는만큼 성장하고 궁금한만큼 가지게 된다고 하죠..어떤 사건에 대해서 정말 알고싶다면 질문 why라는 것에대해 조금 진지해질 필요성이 있다고 봅니다..감사합니다

  • @user-tj1tz9op6e
    @user-tj1tz9op6e Před 2 lety +41

    왜? 라는 질문에서 현실을 부정하는게 아니라 현실을 넘어서는 능력과 지식을 얻을 때가 많습니다. 동영상을 보다보면 정말 마인드가 바뀌고 있는걸 느낍니다. 제 주변에 왜? 라는 질문과 세상을 긍정적인 말로 채워주는 사람들이 많았으면 좋겠네요

  • @pillyahn1278
    @pillyahn1278 Před 2 lety +17

    저렇게 상대가 가진 배경지식의 수준에서 자기의 전문적 지식을 쉽게 이해가 가도록 설명하기 어려운 이유를 설명해주는 것도 참 어려운 일인대 참 대단하다..그 이유가 타당하고, 이해하기 쉬우니까 질문에 대한 답변을 안한 것에 대해 감정상할 일이 없을듯

  • @user-sw4im6zc7w
    @user-sw4im6zc7w Před 2 lety +89

    처음엔 언짢은듯이 보였는데 말씀을 이어나갈수록 설명하시는 모습이 즐거워보이네요. 내가 진정 무엇을 궁금해하는가를 정확히 인지하고 그걸 알아냈는데 또다른 왜가 나오는게 즐거워하시는것 같기도.... 학문을 진심으로 좋아하시는 분들에게는 끝나지 않으며 매번 새로운 컨텐츠가 등장하는 즐거운 게임이지 않을까 생각이 드네요

  • @comment.3020
    @comment.3020 Před rokem +4

    설명하기 진짜 어려운 질문이라고 하셨는데
    지식없는 사람도 흥미를 느끼고 이해하기쉽고 몰입되도록 설명하시네요.

  • @user-vi5lp2iw6p
    @user-vi5lp2iw6p Před 2 lety +3

    리처드 파인먼의 영상도 인상적이었지만
    마지막 영상을 요약해준 작심님의 나레이션도 영상을 정리하는데 도움이 많이되었습니다.

  • @user-tc9ql8vp5s
    @user-tc9ql8vp5s Před 2 lety +1

    영상도 배움을 얻어가는데 댓글에서도 많은걸 배우고 가네요. 똑똑하신분들 많당~~

  • @user-ec5hg1gm7f
    @user-ec5hg1gm7f Před 2 lety +379

    인터뷰 하는 사람은 이런 기초적 과학 질문을 파인만른 어떻게 설명하는지 보고 싶었건 것.
    파인만은 너무 기초적인 것에 기초덕으로 대답하여, 우스꽝스러운 인터뷰를 만들지 않기 위해, 기초적 현상의 원인을 심화적으로 분석할 수 있으나, 그 심화적 분석의 어느 정도까지여야 만족스러울지를 알 수 없으니, 질문에 불가능하다고 한것.

    • @bee-im8wv
      @bee-im8wv Před 2 lety +19

      이댓글 읽으면 동영상 볼필요없다

    • @Nrndkskd
      @Nrndkskd Před 2 lety +6

      캬 이거지 정리굿

    • @user-rt4mn9du7o
      @user-rt4mn9du7o Před rokem +2

      질문도 우문은 아닌거같은데 ㅋㅋ; 썸네일로 억까함

    • @lemonred7013
      @lemonred7013 Před rokem

      그냥 파인만이 질문자를 어리석게 다루지 않고 정중하고 성실하게 한 거일 뿐.. 세상의 모든 사람이 그렇게 이해심 많지 않음. 그냥 대충 던진 거에 불과하나 파인만은 대충 설명하고 싶지 않았던 거임

  • @user-mq7up5bg1j
    @user-mq7up5bg1j Před 2 lety +397

    갈수록 더 많은 사람들이 '당연한 것'을 '당연한 것'으로 생각하지 않을 수 있는 호기심과 여유가 생겼으면 좋겠습니다. 좋은 주제의 영상 감사합니다!

    • @user-pb6he3uk7k
      @user-pb6he3uk7k Před 2 lety +11

      솔직히 어렸을땐 뉴턴이 사과 떨어지는거 가지고 중력을 발견을 한게 뭐 대단한건가 싶었지만 커갈수록 정말정말 천재구나 싶어요...아래로 물체가 가는게 그냥 당연해보이는데

    • @user-mq7up5bg1j
      @user-mq7up5bg1j Před 2 lety +6

      @@user-pb6he3uk7k 그러게 말입니다. '당연하다'라는 대답 자체가 무지인거 아닐까요.

    • @user-qn3bz9up4d
      @user-qn3bz9up4d Před 2 lety +5

      어릴적 바라보던 모든것이 궁금하던 아이의 눈이 커 갈수록 궁금하기 보다 그저 받아들야 하는 어른의 눈으로 바라봐야 하는 현실이 슬프다는 생각이 듭니다.
      개미를 보고 좋아하고 소리지르는 아이의 모습에 잊혀졋던 나를 되돌아 보게 됩니다.

    • @RALO.24
      @RALO.24 Před 2 lety

      왜 좋은 주제의 영상 감사한가요?

    • @user-ux8tm4kc8o
      @user-ux8tm4kc8o Před rokem +3

      @@user-pb6he3uk7k 근데 뉴턴도 중력이 왜 있는지는 설명 못할겁니다. 왜냐하면 정말 웃기게도 ‘당연하기’ 때문입니다. 우린 중력이 작용하는 우주에서 태어났기 때문입니다. 왜 중력이 우주에 있냐? 아무도 모릅니다. 뉴턴이 한 일은 How gravity works?이지 Why gravity exists?가 아닙니다

  • @user-pu1bo2ud5j
    @user-pu1bo2ud5j Před 2 lety +107

    1.파인만이 정말 대단하다고 느낀건 이런 류의 인터뷰? 다큐식 영상을 많이 봤는데 항상- 질문자의 눈높이에서 여러가지 타입을 설명을 해줌
    우리가 티비를 틀면 소위 과학자라 하는 사람들이 나와서 자기가 아는 걸 그냥 전달하려고 하는 경우가 많은데- 파인만은 질문자의 의도가 뭔지 그리고 어디까지 알고 있고
    얼마나 알고있는지- 그럼 내가 어떻게 도와줄 수있는지 등등을 짧은 시간안에 캐취해서 쉽게 설명해준다는게 정말 대단한 분이란걸 느꼈음... 암? 인가로 인류에 빛을 더 주지 못하시고 돌아가신게 아쉬움...
    2.그리고 요즘 부모중에 자식이 물어본다고 - 이제 그만 물어봐- 하는 부모는 잘 없습니다 ㅎㅎ;; 오히려 기특해하고 더 쉽게 알려줄 수있는게 없을까
    인터넷과 책을 뒤지기도 해요.

  • @whattff
    @whattff Před rokem +4

    "말해주면 이해할수는 있고?"를 10분동안 말하는 방법

  • @user-ks9hp7fq8n
    @user-ks9hp7fq8n Před 2 lety +155

    리차드파인먼이란 분을 여기서 처음뵙지만, 인자한 얼굴로 모든 말씀을 굉장히 논리적으로 하셔서 빠져들며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yanagi_tsuru
      @yanagi_tsuru Před 2 lety

      평소 행실은 진짜 광인...

    • @DaeGeunJang
      @DaeGeunJang Před 2 lety +3

      인류 역사상 5대 천재 중의 한분이시죠.
      ㅡㅡㅡㅡㅡㅡㅡ
      "학벌이 그 사람의 지혜를 대변하지는 않습니다.
      이곳 하버드에도 박사학위 받은 머저리들은 지천에 널려 있습니다."

    • @user-rj7qz2fp8c
      @user-rj7qz2fp8c Před rokem

      이 모습이 인자함으로 보이다니 혹시 할아버님이 스크루지나 가가멜급 정도 되세요?

  • @ekkim5091
    @ekkim5091 Před 2 lety +15

    와 리차드파인만은 제가 거의 유일하게(?) 아는 물리학자인데, 그냥 어릴적 재밌게 읽은 과학책 저자였거든요. 근데 이 영상을보니 정말 인상깊네요. 멋있네요 와... 멋있다...

    • @user-pe6iz1fz4f
      @user-pe6iz1fz4f Před 2 lety

      @@user-oq5fw6rd1y 무식은 본인소개하는거 같은데? 무식하기 짝이없는 댓글이군

    • @user-lu4rm7ie3d
      @user-lu4rm7ie3d Před 2 lety +1

      농담도 잘하시네요 였나요

  • @janeatgc9475
    @janeatgc9475 Před 2 lety +23

    호기심이 벽에 부딫혀서
    현실에 순응하는 시스템이 고착되고
    결국 어떤 질문에 답하기 위한
    범위를 넓히는 것도
    기존 시스템을 부수고 새로운
    시스템으로 걸어가고자 하는 용기가 필요하게 된 것 같아요:)

  • @pvmarmalade
    @pvmarmalade Před rokem

    이런 영상 심장 뛰게 함.. 너무 좋당

  • @ahstmxjahsahstmxjahs2702

    진짜 어떤 분야의 현재까지 발견된 시점까지 통달한 사람의 언어 구사력은 이런거구나 싶다..

  • @whatayoutubification
    @whatayoutubification Před 2 lety +1

    질문으로 거는 태클을 아주 심오하고 위트있게 받아치네요 한수 배우고 갑니다

  • @du3586
    @du3586 Před 2 lety +57

    이런 사람을 스승으로 모실 수 있으면 진짜 행운아다…

    • @user-oq1jw9km2f
      @user-oq1jw9km2f Před 2 lety +7

      응 반절이 f받아

    • @user-lj6kn9uy4c
      @user-lj6kn9uy4c Před 2 lety

      , 교수 입장에서는 어느 정도 깊이 까지 알아 들을수 있는지 알수가 없으니, 일단 쉬운거 부터 시작하시는군

    • @shiba5481
      @shiba5481 Před 2 lety +2

      점심먹고 도망갈듯

    • @user-kq1un7un3u
      @user-kq1un7un3u Před 2 lety

      @@user-oq1jw9km2f ㅋㅋㅋㅋㅋㅋ

    • @jingmu623
      @jingmu623 Před 2 lety

      물리학이라.... 음... 난 도망가고싶을듯...

  • @yogwangroh2770
    @yogwangroh2770 Před rokem

    어떤 영상과 관련되어 알고리즘이 날 여기로 인도한지는 모르겠지만 단 한편의 영상으로 이 채널을 구독하겠다 라는 생각이 들게만든 감사한 알고리즘 기술에 감사함을 표하고싶을정도. 질문을 많이받는 입장인데 영상 보는동안 대단히 많이 배워갑니다.

  • @junnnnn144
    @junnnnn144 Před 2 lety +22

    어린와 같은 호기심에서 생긴 질문이나쁜것만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결국 우리가 어떤 현상에 과학적 답을 찾는 행위 자체가 그 호기심으로 부터 시작된 것이라 생각됩니다.
    파인만 교수는 왜라는 질문에 그 분야를 오래 연구하거나 오래 배운사람이 그걸 대충 얼버무리거나 사기치듯 답하지 않으려면 정말 많은 노력과 시간이 걸리며 왜라는 질문이 반복되서 깊이 깊이 들어가면 결국"안알려 져있다. 모른다" 라고 얘기하시는것이 정직하다고 느껴지네요.

  • @Xdjf
    @Xdjf Před 2 lety +119

    초보들에게 설명해줄 방법이 있었는대 분명 언짢아하긴 했음 이전의 컨텍스트가 있었을듯. 재밌다. 유식하면 이렇게 넓은 세계를 갖게되고 자기가 원하는 만큼 한도내에서 얘기할 수 있는 선택권을 갖게되니 좋고.

    • @Hazelaaaa
      @Hazelaaaa Před 2 lety +8

      넓은 세계를 갖게 된다는 말이 좋네요.

    • @silverchairdont9409
      @silverchairdont9409 Před 2 lety +9

      미국에서 물리학 수업을 들으면서 가장 능력있는 인간이라고 할 수 있는 건 물리학자가 아닐까? 싶었어요. 지구를 포함해서 우주의 현상까지도 이론, 이성적으로 설명이 가능하다는게 경이롭게 느껴지더라구요.

    • @DaeGeunJang
      @DaeGeunJang Před 2 lety +15

      원래 저 인터뷰 영상 원본에서는
      리포터가,
      식으로 너무나도 사람을 시험하듯 덤볐습니다.
      파인만 교수가 그걸 눈치채고 저런 겁니다.

    • @gunkim7086
      @gunkim7086 Před rokem

      마지막 구절이 참 와닿네요 멋진 말입니다.

  • @user-zf1zk7nz2e
    @user-zf1zk7nz2e Před 2 lety +4

    진짜 인터뷰는 도움 되는데 마지막 풀이인가 생각 이신가는 조금 리차드 파인 교수님은 상대방 기분 안상하게 잘풀이하고 답변을 찾아주신것 같습니다. 왜 라는 질문은 참 어려운것 이란

  • @user-mu7fi7zo3w
    @user-mu7fi7zo3w Před 2 lety +2

    이야………받아들이는 것도 재능이라는 거!!!! 몇번 멈칫할 때 대답 못하실 까봐 ㄱ두근거렸는데 와우 ~~~~

  • @user-kf2dv6dl8b
    @user-kf2dv6dl8b Před 2 lety +1

    ❤좋은영상 이네요

  • @jeewise
    @jeewise Před 2 lety

    정말 좋은 컨텐츠 봤습니다

  • @user-gg2xh2vc1d
    @user-gg2xh2vc1d Před 2 lety +3

    파인만씨 말도 참 잘하셔

    • @tonic114
      @tonic114 Před 2 lety +1

      농담도 잘하시죠

  • @user-kh4yq6bh6w
    @user-kh4yq6bh6w Před 2 lety +3

    답변할 사람의 수준에 맞지 않는 질문은 무례함이다고 느껴지는 영상이네요.

  • @music.and.bluesky
    @music.and.bluesky Před 2 lety

    왜 라는 의문과 질문은 넘쳐나는 지식과 정보. 그리고 세상의 많은 사건과 이슈들을 대하는 자세에 있어서도 정말 중요한 것 같습니다. 특히 요즘같이 정확하지 않은 정보와 뉴스. 사견이 넘쳐나는 시대에 왜 라는 질문과 의구심은 진실된 정보와 사실에 좀 더 가깝게 다가가는 기본이 되는 것 같거든요.
    또한 그것이 가짜 뉴스와 정보에 휘둘리지 않는 강력한 힘이 점점 될테구요. 휴일 아침 한 번 더 생각하게 하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wook1557
    @wook1557 Před 2 lety

    저 질문자가 너무 고맙내..덕분에 이런 영상이 나오내..

  • @FutureInsight_J
    @FutureInsight_J Před rokem

    너무 감동입니다.

  • @maximumjuju
    @maximumjuju Před 2 lety

    흥미롭게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

  • @user-cf5zx5sp4i
    @user-cf5zx5sp4i Před rokem

    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 @joeunyegam
    @joeunyegam Před 2 lety +2

    저 어렸을때 고모네 집에 가면 백과사전 전집? 그런게 있어서 너무 좋았어요. 지금은 궁금한걸 여기저기서 찾을수 있어서 좋은거 같아요. 왜? 라는 궁금증을 해결할 수 있는게 참 좋아요.

  • @hju1935
    @hju1935 Před 2 lety +2

    진짜 심금을 울렸다. 앞으로 논문 읽을 때도 저 자세로 임해야겟다

  • @user-pt2hv2vs5p
    @user-pt2hv2vs5p Před 2 lety

    밥먹으면서 씹는것도 멈추고 봤어요 좋은 영상 감사드립니다

  • @dngur7055
    @dngur7055 Před rokem +1

    저렇게 설명하면서 웃을수있는게 진정한 학자가 아닌가 싶네요.

  • @horro76
    @horro76 Před rokem +3

    물리학을 1도 모르는 문과 입장에서 이분의 차원 강의를 한 번 본 적이 있는데, 정말 충격을 받았습니다.
    그동안 천재는 범재에게 설명하는 방법을 모른다고 생각했었는데, 이분은 정말 초등학생도 알아듣게 설명을 해주더라고요. 특히 불규칙 물체인 사과를 잘라 그 단면을 찍은 모양으로 2차원과 3차원의 차이를 설명할 땐 진짜 속이 뻥 뚫렸지요.

  • @user-bc2mm4db3x
    @user-bc2mm4db3x Před rokem +1

    저 연세이기까지 어린아이와같은 순수한 호기심을 유지하고있다는게 너무 흥미롭네요 존경합니다

  • @user-py6wd5hx3x
    @user-py6wd5hx3x Před 2 lety +49

    '당연한 건 당연하게 받아들이고 가자' 구성원 사이에 당연한 것을 당연하게 받아들이지 않으면 대화가 어렵죠.. 대부분이 합의한 기본 전제하에 대화나 질문을 해야 순탄하게 흘러갑니다

    • @noloyre-k
      @noloyre-k Před 2 lety +20

      "이렇게 기본적인 건 좀 당연하게 받아들여!" 이런 식의 호기심, 자유롭게 질문하는 것을 억누르는 자세는 오히려 과학자의 발전을 저해합니다ㅠㅠ 대과학자 그리고 뛰어난 교육자 파인만씨께서 대중에게 그 정도 설명만 하려고 이렇게 장황하게 말을 했을리가 없죠. 이 영상은 약간의 번역의 오류와 파인만씨 설명이 요구하는 깊은 수준의 해석에 도달하지 못해 파인만씨에게 억울한 프레임을 씌운 것 같아 제가 쓴 댓글을 여기도 남겨봅니다ㅠ
      이 인터뷰의 교훈은 "질문을 잘 해라"가 아니라 "어떤 현상을 설명한다는 것은 듣는 이가 이미 알고 있고 친숙한 개념들과 연관짓는 것"이라는 것입니다. 제가 보기엔 조금 핀트가 어긋난 해석을 하시는 듯합니다. 인터뷰어가 우문을 했을까요? 빈말이 아니고 실제로 적절한 질문이었다고 봅니다. "정확한" 질문을 할 수 있으려면 사실상 그 원리를, 즉 정답을 알고 있어야 하는데, 오히려 그런 식의 사고방식이 질문하기를 주저하게 만들죠. 그것만 빼면, 이런 훌륭한 영상을 번역해 사람들이 볼 수 있게 하신 건 감사하게 생각합니다.

    • @user-py6wd5hx3x
      @user-py6wd5hx3x Před 2 lety +2

      @@noloyre-k 저는 번역만 보고 영상을 받아들였는데 번역이 완벽한 것은 아니였군요! 저도 원본을 다시보고 제대로 생각해봐야겠습니다!

    • @ljhfskjfhefas
      @ljhfskjfhefas Před 2 lety +5

      합의에 대한 기대치가 심해지면 전체주의.폭력

    • @noloyre-k
      @noloyre-k Před 2 lety

      @@user-py6wd5hx3x 이 영상에서 오번역이 몇군데 있는데 "당연한 건 넘어가라"는 식의 해석을 하게 만드는 부분이 3:54 에서 8초 가량 부분인 것 같습니다. 마치 "...what it is. You're permitted..." 을 번역해놓은 것처럼 보이는데 실제론 "...what it is that you're permitted..."로 이어지는 문장입니다. 그거 하나 차이로 이 영상 전체의 핵심 메시지 하나가 날아가고 그냥 받아들이라는 식의 메세지를 담은 자막이 깔렸네요... 그 부분을 제대로 이해해보시길 바랍니다

    • @user-py6wd5hx3x
      @user-py6wd5hx3x Před 2 lety +1

      @@noloyre-k 앗 감사합니다! 번역의 중요성을 알게되네요 ㅠ

  • @tarot70780
    @tarot70780 Před 2 lety

    오늘도 성공하기위해 노력하고 있는 1인 입니다. 매일 매일 도전하고 블로그 유튜브 ... 언젠가는 빛을 보겠죠? ㅎ

  • @keatonjeon5665
    @keatonjeon5665 Před 2 lety

    파인만씨 농담도 잘하시네~!

  • @HJ-en3hw
    @HJ-en3hw Před rokem +2

    질문자의 지식의 깊이에 따라, 질문 의도에 따라 답변자는 질문자의 지식 수준에 맞춰 답해야 질문자가 이해할 수 있음을 수십년을 연구한 연구자의 입장에서 셀 수 없이 많은 1차원적인 질문을 받지 않았을까.. 인터뷰 내용처럼 자석은 왜 서로 밀고 당기는가 같은 무수한 질문을..
    자석 이라는 단어에서 뿌리처럼 뻗어 나갈 많은 연구와 자료들을 하나하나 설명할 수 없기에 질문자에게 수 많은 뿌리 중에 하나의 뿌리를 선택해 질문하는게 옳다고 혼내주시는거 같네요

  • @k.gregory4446
    @k.gregory4446 Před rokem +3

    딱 이런 상황이 우리에겐 익숙하져. 특정 분야에 대한 지식이 전혀 없거나 미숙한 사람이 ‘이건 왜 이런가요?’ 라고 물어봤을때 ‘흠… 어캐 설명해줘야 적당하려나…’ 싶을때가 종종 생기곤 하짆아여 ㅋㅋ

  • @ljhfskjfhefas
    @ljhfskjfhefas Před 2 lety +5

    파인만의 답변을 제대로 이해하는 수준의 정도역시 이 답변이 이야기하는 답과 같다

  • @user-pm8ql3oh7m
    @user-pm8ql3oh7m Před 2 lety

    너무 좋다 내용

  • @user-lr4cw4ct3v
    @user-lr4cw4ct3v Před 2 lety +1

    이 영상하나만으로 구독 안할수 없게 되는군요.

  • @inif9446
    @inif9446 Před rokem +1

    와......................................와.....ㅜㅜ진짜 귀한 영상 감사합니다.

  • @hanmokryu9901
    @hanmokryu9901 Před 2 lety +12

    고급진 영상이네요 🙂👍🏻 해석하신분도 최고인듯 저같은 일반인도 이해할수 있도록 어려운 물리학원리를 잘 해설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kz2yc2mj2j
    @user-kz2yc2mj2j Před 2 lety +17

    아는 만큼 보인다는게 뭔지 바로 이해할 수 있는 영상

  • @user-id5gm6ce1e
    @user-id5gm6ce1e Před 2 lety +1

    세상의 모든 과학자들은 호기심이 많은 것 같아요

  • @user-sn7yu4vk4w
    @user-sn7yu4vk4w Před 2 lety +1

    최고네요

  • @tnhy1748
    @tnhy1748 Před rokem

    질문을 잘 디자인하는 것 또한 질문자의 품격

  • @oklu_
    @oklu_ Před 2 lety

    웃는 상이셔 교수님 헿

  • @vladimirjeon
    @vladimirjeon Před 2 lety

    너무멋짐 반하네 역시

  • @user-ml9bj8jh4c
    @user-ml9bj8jh4c Před rokem +1

    👍 최고

  • @user-er6mo6no9l
    @user-er6mo6no9l Před rokem

    대단하시다

  • @user-et5sp8op5s
    @user-et5sp8op5s Před 2 lety +40

    초중고 교육과정에서
    이런 사고방식들이 고려돼야 합니다.

  • @0.original563
    @0.original563 Před 2 lety +1

    파인만 할아버지 짱!

  • @gunlee2527
    @gunlee2527 Před 2 lety +2

    파인만은 아인쉬타인 이후 그에 버금가는 물리학자로 명성을 날렸죠. 학회같은 곳에서 많은 유수의 물리학자들이 젊은 그와 토론하기 위해 줄을 섰다는 일화가 있습니다.
    동시에 여러 저서를 통해 대중과도 친숙한 이미지...
    일찍 요절한 것이 너무 아까운 부분입니다.

  • @bigdaddy7468
    @bigdaddy7468 Před rokem

    잘 봤습니다 end

  • @user-le3pf6we5b
    @user-le3pf6we5b Před rokem +1

    무언가를 알고 이해한다는 것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하게 되는 영상입니다. 자석이 서로 끌어당기거나 밀쳐내는 성질이 있다는 것은 초등학생도 아는 사실이고 이들이 대강 어떠한 형태로 행동하는지는 고등학생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나 자석과 전자기력에 관한 일반적인 법칙들은 대학 과정에서나 배우는 수준이고 더 근본적인 지식은 대학원에서 해당 분야를 전공한 사람이나 알 수 있죠. 결국은 '자석은 왜 서로 끌어당기는가'에 대한 답변은 자기력에 대한 설명 한 줄로 가능할 수도, 인류가 쌓아온 물리학 지식 전체가 필요할 수도 있겠네요.

  • @fayean3984
    @fayean3984 Před rokem

    참으로 연구자답게
    생각에 생각을 계속하게 되는 인터뷰네요' '
    계속집중해야하는.' 난성격급한데.' ㅎ

  • @zzipkim1
    @zzipkim1 Před 2 lety +17

    이래서 전문적인 지식은 없는데 자존심과 고집은 있는 상사와 일하는것이 굉장히 힘듭니다.. 현직 작곡가 인데 군생활시절 군악대 간부들이 아무런 전문지식 없이 요구와 지적질을 하는것에 굉장히 스트레스를 받았던 기억이 있네요

    • @user-ci7kk4ty6d
      @user-ci7kk4ty6d Před rokem

      정해진틀안에서 요구하고 지시하는것에 따르는것도 중요하죠 그때 님의 위치에서는요

    • @user-yr3rq2vx1k
      @user-yr3rq2vx1k Před rokem

      @@user-ci7kk4ty6d 앞으로는 아무리 부당하고 억울해도 내위치에 맞게 행동해야 겠네요. 감히 일게 병따위가 임무수행하다 팔다리 날라가도 아무도 책임 안져도 어쩌겠습니까?
      그냥 수긍하고 살아야지요 ?

    • @user-ci7kk4ty6d
      @user-ci7kk4ty6d Před rokem

      @@user-yr3rq2vx1k 그렇게사세요 오타쿠씨

    • @user-yr3rq2vx1k
      @user-yr3rq2vx1k Před rokem

      @@user-ci7kk4ty6d 앞으로 꼭꼭 부당한일 당하셔도 자기 주제 아시고 반론하지 말고 열심히 사시길 바랍니다^^

    • @user-ci7kk4ty6d
      @user-ci7kk4ty6d Před rokem

      @@user-yr3rq2vx1k 님도요 ㅋ 꼭 팔다리 날라갓 길

  • @yaio2500
    @yaio2500 Před rokem +1

    처음 질문 듣고 상당히 이상한 질문이라 생각하긴 했는데 이 사람은 지금 조물주도 아닌 같은 사람이신 분에게 세상의 본질적인 힘에 대해서 질문하고 있는데 그렇게 물어보면 누가 답해줄 수 있냐고 ㅋㅋㅋ
    넌 왜 사냐?랑 같은 질문이지 이게 ㅋㅋㅋ
    질문이 진짜 어이가 없었을텐데도 그 질문에 대해서 저리 친절하게 알려주시다니..
    대단하십니다

  • @user-tf9pt7pn9n
    @user-tf9pt7pn9n Před 2 lety +2

    자석하나 물어봣다가 인생자체를 대하는자세까지 답변해주시네...

  • @user-eb5ub6jg7p
    @user-eb5ub6jg7p Před 2 lety +120

    파인만씨 말 진짜 잘한다..

    • @box_crab
      @box_crab Před 2 lety +2

      똑똑하고 인생 주관 확고하셔서

    • @user-dy6jn2rp4w
      @user-dy6jn2rp4w Před 2 lety

      감사합니다.

    • @hmmteresting
      @hmmteresting Před 2 lety +6

      파인만씨 말도 참 잘하시네요!

    • @user-zv9et4op6f
      @user-zv9et4op6f Před 2 lety +2

      님도 자기분야와 관련된 질문에
      아마도
      눈은 반짝이고 말도 술술 나올지도요^^

    • @user-wl6gh5fd4j
      @user-wl6gh5fd4j Před 2 lety

      주댕이로 노벨상탔나

  • @pvmarmalade
    @pvmarmalade Před rokem +1

    이런 스승이 있다면 얼마나 배움이 재밌을까

  • @dennishyunwookim4352
    @dennishyunwookim4352 Před 2 lety +4

    중학생때 수학선생님한테 이공식 왜 이런거냐고 물었더니, 원래 이렇다고 하셔서 이해가 안됬는데, 모든걸 따져보면 정말 그공식은 그렇게 될수밖에 없었음.

  • @user-zy9tt4ts7i
    @user-zy9tt4ts7i Před 2 lety +1

    농담도 잘하시네

  • @metro2274
    @metro2274 Před 2 lety +1

    어릴때 파인만씨 농담도 잘하시네라는 책 읽고 굉장히 매력적인 사람이라고 생각했었는데

  • @user-uc1fz5ov4j
    @user-uc1fz5ov4j Před 2 lety +2

    와.. .. .. 👍

  • @InsertedFreewill
    @InsertedFreewill Před 2 lety +47

    이게 바로 과학적 사고의 핵심입니다. 너무나 중요한 정신적 가치인데 한가지 안타까운건 우리나라의 과학교육에는 이러한 과학적 사고가 전혀 기반하고 있지 않다는 점입니다. 과학적 사고가 없는 과학은 종교나 다름없는데 말이죠.

    • @junjuniverse6961
      @junjuniverse6961 Před rokem +2

      어느 시기의 과학교육을 생각하며 댓글 쓰셨는지 모르겠으나. 현 시행 중인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목표랑 역량 파트 봐보셈.
      교육의 방향 설정은 과학적 사고력과 태도 함양을 최우선으로 하고 있음. 교과서들도 그렇게 써지고. 다만 현장 선생님들의 역량과 관심도에 따라 수업이 천차만별일 수 있음. 교사 역량 차이 극복하기 위해 연수도 많이 하고 있고.
      '전혀 안된다' 라고 단정짓는 텍스트가 불편해 댓글 달음. 자신이 겪었던 옛날 교육 상상하며 현 상황도 모르고 무지성 비판하는 인터넷 댓글이 많아서 혹시나 하는 맘에 댓글 씁니다.

    • @BayernMunichOfficial
      @BayernMunichOfficial Před rokem +2

      "왜"라는 질문이 과학의 시작인데 "왜"라는 질문을 한 기자를 비난하는 댓글만봐도 한국과학수준 보임. 파인만을 칭찬하면 칭찬했지 기자를 까내리면서 칭찬하는 모습

    • @user-wr4bj4pp7z
      @user-wr4bj4pp7z Před rokem

      @@BayernMunichOfficial 이거 너무 맞는 말ㅋㅋㅋ 경직과 분노가 깔려있는 사회

  • @SeongminHan
    @SeongminHan Před rokem +1

    질문을 하는 것도 많이 알아야 잘 질문할 수 있듯이.. 아는 만큼 질문도 깊게 할 수 있다..

  • @kim_jaemin_bbeacemaker

    저는 22살 현역인데 외우는 걸 못하겠어욤 그냥 외우라고 해도 개념이 나와있어도 적어도 그에 대한 문제를 풀 정도나 따로 생긴 의문점을 해소해야 드디어 외울 수가 있어욤...
    그래서 그런진 모르겠는데 왠지 리처드 파이먼의 감정을 알것같아요

  • @HEe-xl7gg
    @HEe-xl7gg Před 2 lety

    질문을 올바로해야 올바른 답도 얻을수있다. 누군가에게 답을 원한다면 무조건 묻기보다는 구체적인 내생각 필터링을 걸친다음에 물어야되겠네요? 무턱되고 묻는것이 무식한 느낌을 주는것은 왜일까 ㅎ 아주 저에게는 흥미롭고 난해하고 재밌는영상 이였습니다.

  • @john-hardy
    @john-hardy Před 2 lety +75

    처음 질문을 받았을때 언짢아 보인다기 보다 어떤 대답을 해줄지 생각하는 것처럼 보이네요. 개인적으로 느끼는 바로는요:)

    • @chann214
      @chann214 Před 2 lety +1

      밥먹어야되는데 질문해서 짜증난듯

    • @user-iu3rp6uo4g
      @user-iu3rp6uo4g Před 2 lety

      저도 그렇네요ㅎㅎ

  • @user-gb2ln5xg9e
    @user-gb2ln5xg9e Před 2 lety

    진짜 깐깐하네

  • @user-jq6je9fg3z
    @user-jq6je9fg3z Před 2 lety +1

    까불지말고 능지갖추고오라는걸 상냥하게 전달해주는 설명ㅋ

  • @user-sh9cc9pu5k
    @user-sh9cc9pu5k Před 2 lety +105

    아ㅎㅎ나 순살됨. 그래서 우리 교수님이 학생은 일단 교과서부터 몇번 정독하고 오랬구나... 설명에 쓰이는 용어와 기본 개념도 모르는 상태에서 하는 질문은 무의미하거나 무례한것이군

    • @remielsong1791
      @remielsong1791 Před 2 lety +5

      파인만의 답변을 실질적 행동에 가장 잘 적용하고 계시군요

    • @SJKim-jx9rr
      @SJKim-jx9rr Před 2 lety +5

      질문 좀 했다고 무례하다고 말하는 경우가 훨씬 더 무례해 보일거 같은데....

    • @jihyeonchoi3671
      @jihyeonchoi3671 Před 2 lety +2

      파인만은 저 질문이 전혀의미가없거나 굉장히무례하다고도생각 1도안한것같은디..

    • @hongl6309
      @hongl6309 Před 2 lety +6

      @@SJKim-jx9rr 이미 강의와 참고서적으로써 알려준 내용을 숙지하지 않고 동일한 내용을 질문한다는 행위는 가르치는 교수에겐 무례한 게 맞지 않습니까? 질문 하기 전 스스로 한번 찾아보는 행위를 하세요. 당신의 시간 이전에 상대방의 시간도 귀합니다.

    • @whektiwlsnmg6053
      @whektiwlsnmg6053 Před 2 lety +1

      @@SJKim-jx9rr 일단 질문에 대답을 해주는건 호의를 베푸는 일임. 대답해주는 사람의 시간과 지식과 에너지를 쓰는 일이니까.
      질문 하는 사람이 공을 들여서 물어보는 만큼 대답하는 사람이 답하기 편해짐. 질문하는 사람이 대충 질문하는 만큼 대답하는 사람이 답하기 어려워짐.
      교수님은 시간이 한정적이고 그 학생 말고도 봐줘야할 학생도 많고 자기 연구도 하셔야하는 분임. 학생이 당연히 교수님이 답을 주기 편하시도록 간편하게 질문을 준비해 가야하는게 맞음. 교과서 보면 나오는건데 교수님께 굳이굳이 물어보는건 자기가 편하자고 교수님 시간과 학우들의 시간을 빼앗는 일임.
      굳이 교수와 학생 사이가 아니라 친구나 직장동료 사이에서도 상대방이 자신의 부탁을 들어주는건데 당연히 배려야하는거임. 당당하게 자기 편의만 내세우는건 무례한게 맞지.

  • @mtree5985
    @mtree5985 Před 2 lety +11

    허접한 질문엔 허접하게 답할 수 밖에 없다. 하지만 그럴 경우 질문자보다 대답자가 우습게 보이기 십상이다. 파인만은 질문이 명확하지 않았음을 매우 논리적으로 설명했다. '왜' 라는 추상적이고 불친절한 질문에 이렇게 논리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사람은 많지 않다. 과학 현상 뿐 아니라, 그 어떤 사회현상에도 적용될 수 있는 설명이다.

  • @user-kq8ey2um7w
    @user-kq8ey2um7w Před rokem

    이분 얼마나 스스로에게 왜라는 질문을 했을까?
    왜라는 질문에 스스로 답하는 모습이 행복해 보이네요
    나도 많이 하긴 했다
    왜 이번달 카드값이..

  • @genee7980
    @genee7980 Před 2 lety

    이런 교수님 앞에서는 숨도 못쉬겠네요ㅎㅎ 한편 교수님 입장에선 이렇게 설명을 해야만 하는 이유를 설명하는데 점심때 먹은 모든 칼로리를 써야한다는 상황이 평생 반복되어 왔다는데 짜증이 날것도 같고요

  • @user-wr4mj7pe8e
    @user-wr4mj7pe8e Před 2 lety +2

    왜라는 질문을 자꾸하라는게 아니라 자기가 알고싶은 것이 무엇인지 정확히 질문해야 질문자의 수준에 맞는 답을 얻을 수 있으며 그 문답이 의미있다는 뜻인듯
    바로 저런 과학적인 사고가 노벨상을 이끈듯

  • @goldhuman3
    @goldhuman3 Před 2 lety +1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