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7년이면 엔진 소재 기술, 선진사 따라잡는다? 초고온 견디기 위해 단결정 소재까지 개발 중인 한화 엔진 소재 기술력! KF-21 국산엔진 장착 실현 가능할까ㅣ손인수센터장 1편

Sdílet
Vložit
  • čas přidán 24. 06. 2024
  • 본 영상은 한화에어로스페이스로부터 여러 차례 보안 검토를 받았습니다
    2년 전만 해도 아직 시작도 못했던
    국내 엔진 개발!
    이젠 시작했다고..?!
    2년 만에 돌아온 엔진 맛집 프로파일럿!
    이번에는 항공 엔진 개발의 핵심, ‘소재 기술’에 대해
    낱낱이 파헤치고 왔습니다!
    엔진 개발의 끝! ‘핫섹션’ 소재 개발이 어려운 이유부터
    초고온 견디기 위해선 000 소재 필요하다?
    한화에서 개발 중인 엔진 소재 ‘종류’에 대한 자세한 이야기까지!
    KF-21 보라매 국산 엔진 장착을 위해 달려가고 있는
    한화의 항공소재연구센터 이야기
    🥰오늘도 구독, 좋아요와 함께 많은 시청 부탁드려요🥰
    #국산엔진 #전투기엔진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엔진소재

Komentáře • 308

  • @hobbyholic_LoveLive
    @hobbyholic_LoveLive Před 3 dny +38

    엔진개발이 성공적으로 끝나면, 많은 국민들이 극한의 희열을 느끼리라 생각합니다. 연구진분들 모두 쉽지 않겠지만, 우리나라의 영광을 위해 계속 매진 부탁드립니다. 그리고, 완성후에는 그만큼의 보상이 주어지길 바랍니다. 한국 독자의 엔진개발은 교과서에 실릴만한 주제라고 생각합니다. 최대한 많은 국민이 알아야 합니다.

  • @user-fk4sc5vb3z
    @user-fk4sc5vb3z Před 4 dny +74

    대한민국 연구개발자님들 응원합니다. 엔진은 우주로 나아가기 위해서도 반드시 필요합니다.

    • @poa_
      @poa_ Před 3 dny

      우주 엔진이랑 조금 다르지 않나요? 공기 흡입구 유무에서 구조 차이가 날텐데

    • @user-fk4sc5vb3z
      @user-fk4sc5vb3z Před 3 dny +1

      @@poa_ 국산 엔진을 만들자는 의미지요..모든 분야에서...

    • @hee-dongryu6134
      @hee-dongryu6134 Před 3 dny

      ​@@poa_ 모든 엔진개발의 기초는 소재이죠.
      그걸말하는것 같네요. ^^

    • @poa_
      @poa_ Před 3 dny

      @@hee-dongryu6134 아 소재군요

    • @user-er3ib3dp1y
      @user-er3ib3dp1y Před dnem

      ​@@poa_똑같이 적용되는 소재 기초과학 이죠.

  • @user-mw4ni2df9d
    @user-mw4ni2df9d Před 4 dny +43

    여러븐의 노력이 대한민국의 번영을 지킵니다.
    응원하고 지지 합니다,그리고 반드시 만들어 주십시요.

  • @knature9807
    @knature9807 Před 3 dny +11

    엔진 독자개발이야말로 대한민국 최대의 관심사인데 과학자분들 반드시 해내리라 믿어의심치 않습니다.정말 지랑스럽고 100%우리 기술로 만든 국산 전투기가 우리 영공을 지킬수 있는날을 손꼽아 기대하고 기다리고 있습니다. 걸려있는 태극기가 자랑스럽고 과학자분들 노고에 감사드립니다. 조금만 더 힘내셔서 꼭 성공하리라 확신합니다.

  • @virtus63
    @virtus63 Před 4 dny +29

    응원합니다

  • @user-zb6eo9fd4q
    @user-zb6eo9fd4q Před 3 dny +23

    흥미진진 하내요 수고들이 많으시네요 엔진개발 관련자 여러분 모두를 응원학고 축복 합니다 안심 성공공학연구소

  • @user-yy5lp8yb9f
    @user-yy5lp8yb9f Před 3 dny +14

    진짜 멋지세요. 대한민국의 한 획을 긋고 계십니다. 감사합니다 😊

  • @user-jjg1999
    @user-jjg1999 Před 3 dny +8

    연구개발자분들이 우리나라의 영웅들입니다

  • @kang8657
    @kang8657 Před 4 dny +21

    어려운 질문이 많은데..
    그런데 무쟈게 잼 있네.. 🤗

  • @jujudaddypark9362
    @jujudaddypark9362 Před 4 dny +19

    다른 방송들 보다 한걸을 더 들어가 깊고 밀도 높은 영상 감사합니다^^
    오늘도 잘보고 잘 배우겠습니다

    • @SnowLeopard2121
      @SnowLeopard2121 Před 4 dny +1

      솔찍히 한걸음 더 들어간것도 없고 밀도도 없음. 이미 언론공개된것 되풀이 하는 수준임.
      첨 듣는 이야기가 있다면 님이 관심이 없었던것 뿐임. 저기 보안사항이라며 삐 처리 한것도 이미 다 공개되어 있는 내용임.

  • @ALBATROSS00
    @ALBATROSS00 Před 4 dny +16

    다른 항공엔진 개발관련 "광고"만 하는거 같아서 별로였는데
    이 영상은 굉장히 심도있게 말해주시는거 같아서 좋네요

  • @never-er
    @never-er Před 4 dny +32

    kf-21 볼때마다 흐뭇합니다

  • @ClusteredPlan
    @ClusteredPlan Před 3 dny +29

    제트 엔진은 소재만 가지고 되는 것이 아닙니다. 부품에 무리를 주지 않으면서 최대한의 성능을 뽑아내기 위해서는 적절한 소재와 뛰어난 설계가 필요하지만 엔진 제어 시스템 구축과 프로그래밍이 또한 중요합니다. 미국제 엔진 수명이 그렇게 긴 이유도 미국이 제어 시스템을 정교하게 만들기 때문입니다. 열전도 시뮬레이션 및 여러 컴퓨터 해석 기법들도 미국의 엔지니어들이 많이 개발했고 엄청난 실험을 통해 얻은 경험치가 있으니 열역학적, 기계공학적인 부분도 미국이 앞서나가겠지만...맥스웰 방정식이 완성된 이후 전기 공학이 유럽을 중심으로 발전했다면 2차 세계 대전 이후 전자 공학이란 학문을 미국의 벨 연구소와 GE가 만들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고...소프트웨어 산업 자체는 미국이 시작해서 미국이 거의 다 해먹는 분야이니까...뭐 그렇다고 치더라도.... 미국이 위대한 점은 열려 있는 사고를 하는 인재들을 키운다는 점입니다. 한국은 자기 분야 밖에 모르는 좁은 전문가들만 키웁니다. 전문가는 전문가인데...자기 분야 밖에 모르죠. 한국 전자공학회에 가보신 분들은 아실겁니다. 컨퍼런스 룸에 세션이 열리면 자기 발표할 것만 대충 떠들고 나가서 놉니다. 남들이 무슨 연구를 하는지는 아예 관심도 없습니다. 국산 엔진을 만들자는 말이 나오고 나서야 주섬 주섬 미국은 어떻게 하나 쳐다보면서 이런 이런 기술이 필요하니 우리도 한 번 해보자...이런 식입니다.
    한국은 아직 소프트웨어 산업에 대한 이해도가 낮은 편이라고 보는데....방산 업계에서도 무기라는 객체 하드웨어들이 결국은 소프트웨어로 구현되어야 하는 물건이란 것을 이제서야 어렴풋이 느끼고 있는 것 같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애플이 개발자 포럼 열면 레이시온, 록히드마틴, 노드롭그루만에서 근무하는 개발자들도 참여를 합니다. 예전에 WWDC 언제였는지 기억은 안 나는데....레이시온에서 온 프로그래머가 스티브 잡스에게 질문을 했던 기억이 나는군요. 한화나 LIG에서 근무하는 개발자가 WWDC 보내달라고 하면 미친놈 소리 들을겁니다. ㅎㅎ 그리고 한화가 AESA 레이다 만들면서 일반 C++ 프로그래머 많이 고용했는데...솔직히 레이다 공학, 신호처리를 모르는 일반 개발자가 레이다 엔지니어들과 얼마나 소통을 할 수 있을지는 모르겠습니다. 전파공학 분야 연구원들은 프로그래밍 실력이 대체로 형편없습니다. 컴퓨터가 어떻게 돌아가는지에 대한 이해도가 낮고 c언어의 메모리 접근 구조를 모르니 답이 안 나오는 코드나 만들어내죠.
    그런 사람들에게 유능한 프로그래머를 붙여놓는다고 일이 돌아가는 것이 아니라 그들 스스로가 컴퓨터를 이해하고 유능한 프로그래머가 되어야 합니다. 록히드마틴이나 레이시온에서 근무하는 엔지니어들이 그런 사람들입니다.
    암튼, c,c++은 금방 익힐 수 있는 언어가 아니고 오랜 기간 훈련을 해야 숙련도가 올라가는데...대학에서도 그런 걸 안 가르치니까 뭐.... 요즘 한국 대학에서는 컴공 전공생들에게도 c,c++을 잘 안 가르친다고 하니...갈수록 어려워지는 것 같습니다.
    그리고 발전용 개스 터빈도 어느 정도 만드니까 전투기용 제트 엔진도 쉬울 것이라 말하는 사람들이 있는데...ㅎㅎㅎ 전투기는 공중에서 수 G의 관성력을 받고 기동하면서 에어쇼 데모 기동이나 근접 전투 시에는 파일럿이 아예 왼손으로 쓰로틀 레버를 잡고 수시로 조작하고 애프터버너도 수시로 켰다 끕니다. 제트 엔진은 자동차 엔진 rpm 올렸다 내리듯이 간단히 동작하지 않습니다. 엔진 제어가 완벽하지 못하면 이 때 엔진 수명을 엄청나게 갉아 먹습니다. 1940년대 말에 미국의 GE가 개발한 6000파운드 추력 짜리 J-47 터보젯 정도야 정교한 컨트롤이 필요 없을지 몰라도 지금의 3~4만 파운드 짜리 군용 터보팬 엔진에 정교한 컨트롤 시스템이 없으면 수명이 수백 시간으로 줄어들 겁니다.
    @user-xp2rz2ji5m
    --> 대학들 커리큘럼 보면 전자공학 전공의 경우 한 학기 정도 c++ 코스가 있습니다만...그래봐야 수박 겉핥기로 대충 학점 따고 끝납니다. c++을 제대로 쓰기 위해서는 c언어를 확실히 알아야 하고 메모리 구조와 포인터 개념과 활용에 대해서 아주 빠삭하게 알아야 합니다. 기본적으로 선형, 비선형 자료구조는 c언어로 스스로 다 짤 수 있어야 하고요. 그게 기본입니다. 그걸 못하면 c언어로 할 수 있는 건 없습니다. 그리고 c++의 객체 지향 개념, 템플릿 프로그래밍 등등에 대해서 훈련하는데에도 시간이 꽤 걸리죠. 대학에서 다 가르치지는 못하더라도 연관된 과제, 프로젝트를 자발적으로 즐길 수 있는 환경으로 학생들을 유도해야 한다고 보고요. 미국은 그냥 소프트웨어에 미친 나라라서 어릴 적부터 실력자들이 득실대는 곳이라 한국과는 그냥 다른 세상입니다. 한국의 교육 시스템으로는 그런 인재는 솔직히 기르기 힘듭니다. 맨 어린 학생들 명문대나 보내려고 하고 학벌을 조금이라도 높이려고 어릴적부터 경쟁이나 시키지 진짜 실력을 못 키우게 하죠. 한국 교육은 교육도 아니고 쇠고기 등급 나누기 식의 사육입니다.
    미국에서는 c언어가 아닌 다른 언어로 일하는 개발자라고 할지라도 실력자들이라면 c,c++ 모르는 사람이 없습니다. 어린 시절부터 스스로 성장해온 그런 아키텍트급 실력자들이 록히드마틴, 레이시온, 프랫앤휘트니, GE에비에이션 같은 방산업체에 가서 일을 하면 괴물 같은 물건이 안 나오는 게 이상한 겁니다. 한국 교육시스템에서는 그런 인재가 클 수도 없거니와 설령 있다고 하더라도 회사 꼰대들이 다 조져 놓습니다. 이것 또한 과도한 경쟁식 교육을 빙자한 사육의 폐해인데...실력이 좋은 사람이 보이면 내 자리가 위태로워질 수 있으니 일단 수단과 방법을 안 가리고 못 크게 밟는 겁니다. 한국 회사들이 다들 그렇습니다. 한국인들 마인드의 기저에 그러한 경쟁 의식과 피해 의식이 도사리고 있으니 한계가 뚜렷합니다. 겉으로는 수평적 문화 어쩌구 하면서 한국 문화의 폐단을 가리려고 하는데...다 쓸데 없는 짓입니다. 그게 어린 시절부터 마음에 각인된 사고 방식이라 안 바뀝니다. 미국의 경우는 수평적 문화라는 말을 쓰지도 않죠. 미국 기업들이 쉽게 레이 오프로 직원들 날려버리는 문제도 있지만 기본적으로 실력이 좋은 사람에게는 그 만큼의 대우를 해줍니다.
    ​ @lightandsalt7777
    --> 뭐...나름대로 열심히 하면 어렵긴 하겠지만 일본 수준은 어느 정도 따라 잡을 수 있을지도 모릅니다. 한국은 교육 제도부터가 망가져서 개성이 강하고 창의력이 강한 인간이 제대로 일을 할 수 있는 나라가 아닙니다. 그런 사람이 나오면 그냥 밟아 죽이는 곳이 한국입니다. 붕어빵 틀에 넣고 찍혀져 나오면 그냥 남들 사는 대로 그럭저럭 사는 것이고 안 맞으면 그냥 내다 버리는 곳이 한국인지라...돈을 아무리 많이 투자하고 쇄신을 해봐야 미국은 절대로 못 넘습니다. 미국은 아무도 안 가 본 길을 프론티어 정신으로 개척하는 나라인데 한국은 새로운 길은 절대로 못 갑니다. 새로운 길을 가다가 실패하면 나락으로 떨어지는 곳이 한국이고 한 번 나락으로 떨어지면 세컨드 챈스는 절대로 주어지지 않습니다. 그러니 한국인들이 무슨 일을 하든 안정적인 일만 찾는 겁니다.
    한국인들은 미국에서 태어나서 자라지 않는 이상 미국인의 프론티어 정신을 절대로 못 배웁니다. 무슨 일을 하든 사람이 가장 중요한 법인데...미국은 개개인이 가진 개성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는 제도와 사회적인 인식이 있는 나라이기 때문에 미국이 초강국이 된 것이 이상한 일도 아닙니다. 한국은 집단 문화, 조직 문화 덕분에 미국, 유럽, 일본 벤치마킹 해서 잠 못 자고 돈 못 받아가면서 gdp 수준 높여 놨는데...그러한 문화 때문에 여기 까지가 한계입니다. 심각한 저출산에 분열된 사회에서 과연 한국의 미래가 있을지 의심스럽습니다. 가난하고 어려운 사람들은 이제 결혼도 못 하고 애도 못 낳습니다. 사람이 안 태어나는데 무슨 희망이 있겠습니까? 사람이 일단 많이 태어나야 그 중에서 훌륭한 엔지니어도 나오는 것이지요. 지금 집이 가난해서 편의점 알바 하면서 힘들게 살아가는 젊은이들 중에 엄청난 잠재력을 지닌 사람들이 있을지 모르는데...이 사회가 바뀔 수 있을까 생각하면 사실상 노답입니다. 저도 나이가 그리 많은 편은 아니지만 요즘 20대 청년들 보면 미안한 생각만 듭니다.

    • @user-xp2rz2ji5m
      @user-xp2rz2ji5m Před 3 dny +4

      대학에서 그걸 안가르치면 대학이라고 보기 힘든데 나는 2학년때부터 배웠는데 전공도 아닌데

    • @ClusteredPlan
      @ClusteredPlan Před 3 dny

      @@user-xp2rz2ji5m c언어는 그냥 배웠다고 다가 아닙니다. c언어의 메모리 구조를 완벽하게 이해하고 포인터를 자유자재로 쓸 수 있으며 선형, 비선형 자료구조들을 스스로 만들어 낼 수 없으면 c언어는 제대로 써먹을 수조차 없습니다. c++에는 STL(Standard Template Library)란 것이 있어서 자료구조를 어느 정도 구현해놓았는데 이것도 c언어를 제대로 이해하고 템플릿 프로그래밍을 제대로 할 줄 알아야 제대로 써먹을 수 있지만 자바니 파이썬이니 하는 언어에는 기본적으로 자료구조가 기본형으로 내장되어 있고 편하니까 그런 언어만 쓰다보면 그러한 것들이 저수준에서 어떻게 구현되어 있는지 조차 모르고 그냥 쓰는 경우가 많습니다.

    • @ac-we7mq
      @ac-we7mq Před 3 dny +5

      @@user-xp2rz2ji5m 저사람 아이디 바꾸가면서 KF-21 실패작이라고 떠들고 다니는 사람 그냥 무시하세요..

    • @lightandsalt7777
      @lightandsalt7777 Před 2 dny +2

      전적으로 동감합니다 이공계생들의 충원도 늘어나야되고 학사 과정도 과목별로 다양화되고 세분화되야 되는것도 포함해서 적어도 엔지니어라고 자기분야 말고도 연관이 되는 분야까지 폭넓은 지식까지 갗출수있도록 교육을 해야되고 엔지니어 스스로가 노력해서 폭넓은 전문성을 갖고 개방되고 수용적인 태도를 갖춰야된다는 말씀으로 이해합니다 현실의 문제점에 기반한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 @MichaelKim505
      @MichaelKim505 Před dnem +1

      미국의 소프트웨어 수준은 전세계 어느 나라와도 비교가 안되게 높죠.

  • @bada611
    @bada611 Před 4 dny +16

    응원합니다!!

  • @bumlee2891
    @bumlee2891 Před 3 dny +22

    두산에너지빌리티 발전용 가스터빈기술 응용하는게 가장 앞서 있다고 생각됩니다.

  • @Dpsenzk33
    @Dpsenzk33 Před 4 dny +17

    찐 출현

  • @dudragon
    @dudragon Před 4 dny +30

    한화에어로스페이스와 두산에너빌리티의 전투기엔진 개발을 응원합니다~🎉

    • @younghuh3642
      @younghuh3642 Před 3 dny +2

      두산 이 기술적 인 면 에서 훨 앞선 회사지요.한화 는 숫가락 올려서 슬그머니 들어온 상태고.

  • @tomen55
    @tomen55 Před 3 dny +7

    오늘 방송은 궁금했던 엔진개발에 대한 폭넓게 이해했습니다.

  • @user-lb2vk5xv9t
    @user-lb2vk5xv9t Před 4 dny +9

    국가급 과학자분들이 난제에 대한 접근과 솔루션을 찾아내갈것이고 한화에서는 이를 받아서 협력업체들과의 공동연구를 통해 최적화 생산기반을 구축해가면 될것입니다...
    비행체의 엔진은 극도로 가벼워야 한다는 기본적 특성이 있는것 같습니다... 항공엔진에 대한 국가급 접근과 도전이 시작됐습니다... 한화에서 담당하는 부분에서 성과들을 찾아가시기 바랍니다...

  • @seungholee5265
    @seungholee5265 Před 3 dny +5

    이공계 지원이 필수다.
    결국나라 살리는건 저런분들

  • @juyoungjung7387
    @juyoungjung7387 Před 4 dny +8

    항상 유익하고 한국 국방의 근본적인 주제들들 다뤄주셔서 재미있게 시청중입니다 ㅎㅎ 감사합니다

  • @user-zv1fc4cb6c
    @user-zv1fc4cb6c Před 4 dny +10

    정부에서 두산에너빌리티에도 연구과제를 주었는데 한화는 사기업에서 하는건가요?

  • @kalpha6988
    @kalpha6988 Před 4 dny +10

    개발해도 문제다. 보안이 엉망진창이라서 중국에 다털릴것 같아. kf21 도면도 판매한다고 올라왔다고 하던데 ? 어떻게 관리 하길레 이렇게 허술할수가 있나? 답답하다.

  • @signsys
    @signsys Před 4 dny +21

    소재 분야는 두산이 한화 보다 앞서있는 것 같습니다.
    한화는 이제 시작하는 것 같습니다.

    • @ashton01011
      @ashton01011 Před 3 dny +3

      산업용과 항공용은 근본이 다릅니다.

    • @Bignosekane391
      @Bignosekane391 Před 3 dny

      비교대상이 너무 다른데

    • @user-iq3ix4rg6k
      @user-iq3ix4rg6k Před 3 dny

      한화가 .기술이 좋죠

    • @user-fp1jx6xc6u
      @user-fp1jx6xc6u Před 3 dny +5

      한화가 TiT 1800K(섭씨1527도)급 2027년까지 개발 예정이고 두산은 이미 회사 자체 피셜로 섭씨 1680도 이미 도달한 걸로 알고 있고요. 항공기용 엔진 역사에서는 한화가 더 오랬동안 차지했을지도 모르지만 자체적인 모델을 개발한 적이 없이 해외 업체들 하청수준에 머무르는 반면에 두산은 독자모델 설계부터 생산에 성공했죠. 이거 기반으로 군함용 추진기관도 만들 예정입니다.

    • @pstarke1066
      @pstarke1066 Před 3 dny

      ​@@ashton01011위 영상에도 나오듯 경량화 수준과 오차허용범위등을 제외하면 본질은 같음
      발전기용 터빈 만드는 회사들이 항공기용 터빈도 같이 만들고 있는것만봐도 그렇고

  • @user-bj6jc6pv2f
    @user-bj6jc6pv2f Před 3 dny +4

    멋지다.라고 밖에 할수없는 경외감

  • @user-vu3dc7tb8r
    @user-vu3dc7tb8r Před 3 dny +8

    가스터빈을 이미 개발한 두산중공업이 소형화만 하면 되는 상황 아닌가?

    • @suicidequeen4697
      @suicidequeen4697 Před 2 dny

      요구되는 신뢰성이 완전 급이 달라요 , 발전기는 고장나면 멈추면 되지만 항공기는 고장나면 바로 추락입니다. 환경평가도 말도안되는 수준이고요. 터빈자체는 대형이 더만들기 어렵다고 하지만 냉각이 중요한 터빈엔진은 항공용 설계가 그 격을 달리합니다

  • @tthwang3169
    @tthwang3169 Před 3 dny +5

    개발후에도 엔진 내부 온도 1도 상승을 위해서 쉼없이 연구가 계속 되어야 하는데...
    수요가 제한적이라 참 어려운 길...

  • @user-hh9tz1uh9d
    @user-hh9tz1uh9d Před 3 dny +1

    대한민국의 빛나는 엔지니어들 화이팅! 👏👏👏👍👍

  • @user-bk2db3jk6t
    @user-bk2db3jk6t Před 3 dny

    너무 자랑스럽네요

  • @tsolidus1
    @tsolidus1 Před 4 dny +6

    연구만 하면 뭐하냐 밖으로 기밀이 줄줄이 새어 나가는데?보안의식,보안감시 강화와 주적,적성국,경쟁국들의 산업스파이들에 항상 신경 좀 써라!

  • @user-bp1yo1ox7n
    @user-bp1yo1ox7n Před 4 dny +15

    난 한화 보다는 두산을 더 기대 한다

  • @leecheolhoon
    @leecheolhoon Před 3 dny

    대한민국 공학 기술과 인력이면 못할것은 아무것도 없습니다! 응원합니다!!

  • @user-jg7hu3fi1z
    @user-jg7hu3fi1z Před 3 dny

    진짜 감사합니다. 😍

  • @user-pt9tv1ni2i
    @user-pt9tv1ni2i Před 3 dny

    개발자분들 응원합니다

  • @user-nm5wy1bf8j
    @user-nm5wy1bf8j Před 4 dny +5

    소재는 두산에서, 장비통합은 한화가 하는식으로 뭐 이렇게 나눠서 조별과제 하면 안되나?
    프렛엔휘트니 에다가 라이선스 목줄 잡혀서 끌려 다닐까봐 걱정된다.

  • @nightelca
    @nightelca Před 3 dny

    얘기만 들어도 멀고도 험한길이네요. 하지만 꼭 해낼거라고 믿습니다!!

  • @user-tn2pe1jd3d
    @user-tn2pe1jd3d Před 3 dny +1

    현기얘기인줄알고 욕할라했더니 항공엔진이였군요..
    한화 홧팅

  • @gongyun0721
    @gongyun0721 Před 4 dny +3

    엔진의 40%를 국산화 했다면 이제 시간이 흐르면 성공이 확실 해 진다는 느낌이 듭니다

  • @MrBangbe
    @MrBangbe Před 4 dny +4

    핵융합로 쪽에 가면 소재에 대한 답이 있지 않을까요?

  • @user-vr3uc7ox3v
    @user-vr3uc7ox3v Před 4 dny +4

    늘 응원합니다

  • @jesusforan
    @jesusforan Před 3 dny

    너무 힘든 작업일텐데 전투기 엔진 독자개발에 도전한 연구원들을 응원합니다. 축복합니다. 지혜와 힘을 모아 꼭 성공해주세요.^^

  • @user-rg5gd5ih6g
    @user-rg5gd5ih6g Před 2 dny

    ㅇ 고생이 많습니다

  • @user-et4bs6ht5q
    @user-et4bs6ht5q Před 2 dny +1

    연구 인력 많이 살길이다ㆍ 감사합니다ㆍ
    정부 지원 팍팍 해주시길 복지가 무기력을 만든다는것을 적절히 너무 무분별 여ㆍ야

  • @youngsiklee4836
    @youngsiklee4836 Před 3 dny +6

    텅스텐 녹는온도=3420도, 세라믹의 녹는 온도=2000도이상, 언진소재 인코넬718의 융점=1250~1340도라서 텅스텐 합금과 배기노즐의 세라믹 코팅으로 엔진 개발이 빠르면 2030년 늦어도 2035년이면 가능합니다.

  • @user-rq2kx2no3r
    @user-rq2kx2no3r Před 3 dny +2

    요즘 첨단기술 개발하는 대기업연구소 연구원들
    ....... 외국기업들에서 돈 몇푼 유혹에 넘어가서 ...... 거액을 들여 장기간 개발한 기술이 유출되는거 보면 ....... 참으로 기가막힙니다

  • @lsc2
    @lsc2 Před 2 dny

    감사합니다 꼭 세계 최고의 엔진 만들어 주세요

  • @user-wu9xl7um7i
    @user-wu9xl7um7i Před 4 dny +3

    중국은 동축 샤후도가 기술이 없어서 선진엔진 만큼 수준이 안나온다던데

  • @ck750105
    @ck750105 Před 3 dny

    한화는 사랑입니다. 그냥 무조건 사랑함.. 그리고 연구원님들 너~~~~무 사랑합니다. 밥 한끼라도 사드리고 싶습니다

  • @user-lu3nv3pj1m
    @user-lu3nv3pj1m Před 3 dny +2

    항공기 초대형 단조기술과 내열 합금 인코넬 질화붕소 질화갈륨 티타늄
    선진국의 한계를 뛰어 넘어야 합니다 수요가 때문에 실행치 못하는 어려움도 크겟지요?

  • @user-lg6ti3il9u
    @user-lg6ti3il9u Před 3 dny +1

    수천도의 온도.강력한 진동등 가혹한 조건을 견디고 부품 하나 전선 하나 이상 없어야 하는 전투기 엔진

  • @user-is7mx9ty6g
    @user-is7mx9ty6g Před 3 dny

    진정한 애국자 이십니다! 개발자 여러분들의 노고에 깊은 감사드립니다! 그래서, 대한민국은 웅비 합니다! 화이팅 입니다!

  • @shinswoong.youtube
    @shinswoong.youtube Před 3 dny +2

    고등학교 공업시간에 내열소재로 주로 텡스텐 얘기했는데 많이 발전했나봅니다 ... ㅎ

  • @con21082
    @con21082 Před 23 hodinami +1

    두산 가스터빈엔진이 국산화 되었는데 항공용 터빈엔진과 관련성이 궁금하네요

  • @sunnyyyoon8765
    @sunnyyyoon8765 Před 4 dny +2

    연구개발자님들 응원합니다 - 좀더 빨리 - 기수유출방지, 기술인력 유출방지, 해킹 방지, 해킹방지, 해킹방지, 국방비 빼먹기 방지

  • @user-ej3lb2fq3z
    @user-ej3lb2fq3z Před 3 dny +2

    텅스텐은 3,000도C까지 열을 견딘다고 배웠는데
    왜 엔진용 소재로는 이용하지 않는 건가요 ?
    무거워서 그런가 ?

  • @justinkwon9325
    @justinkwon9325 Před 3 dny +1

    GE 같은 경우는 세라믹 복합소재 CMC를 연구하고 있고 2000도까지 견딘다고 합니다. 냉각이 필요없으니 엔진구조도 단순해지고 효율 및 출력이 늘어난다는 설명인데 ...

  • @user-mh7tb8ur8i
    @user-mh7tb8ur8i Před 2 dny +2

    일본 자료를 보니.. 엔진개발에 중요한 하드웨어적인 요소는 소재와 냉각기술이더군요. 말이 철이 1400도 정도에서 녹는다이지.. 이 온도 가기 훨씬 전부터 소재가 흐물흐물 해지기 때문에 15,000파운드급 엔진 정도되려면 소재가 담당하는 온도는 1,000도 정도가 현실적인 온도이고.. 이 이상의 온도는 냉각기술로 커버쳐야 한다고 하더군요. 터빈입구온도가 1,800도 넘은 경우에는 소재보다 냉각기술이 더 중요하구요. 여기에 소프트웨어적인 기술도 필요해서 엔진개발이 쉽지는 않아 보이구요. 일단 하드웨어 요소 중에 소재도 더 열심히 개발하고, 냉각기술도 더 열심히 개발해서 10여년 후에는 15000파운드급 엔지개발 기대해 보겠습니다.

  • @coreaTop
    @coreaTop Před 4 dny +4

    소련과, 미국엔진중 내구성이 어느정도로 위치할지가 궁금하군요. 가능하면 미국엔진 능가했으면 좋겠어요

  • @user-wz6ho6ip8c
    @user-wz6ho6ip8c Před 2 dny +1

    공대생을 대우해야 하는 또다른 예시...의대, 법대도 중요하지. 상대적으로 그렇지 못했던 공대생에게도 엄청난 혜택을 주길...대한민국의 미래가 달라진다.

  • @user-jv3ws2xy9y
    @user-jv3ws2xy9y Před 3 dny

    과제가 잘 이루어 질수있도록~!! 보여주기가 아닌 실속있게!!

  • @springfield910
    @springfield910 Před 3 dny

    애국자들!!!

  • @chunsookim97
    @chunsookim97 Před 4 dny +5

    뭐든지 입금...후 개발

  • @kim-dd6fv
    @kim-dd6fv Před 11 hodinami

    나라가 더 늙기전에 기 탁월한 엔지니어와 과학자의 능력과 국가의 역량을 집중해 성공시켜야 헌다..국가의 명운이 걸린 사업이다..

  • @user-zc8nb2qt3x
    @user-zc8nb2qt3x Před 4 dny +9

    백날 미국에서 제공하는 설계도로 미국산 제트엔진을 단순히 라이센스 부품조립생산 하는것은 희망이 없고 독자브랜드 독자설계한 제트엔진을 개발해야 미국의 군수산업 종속에서 벗어날수가 있는것이다.

    • @user-yh6db7qk4d
      @user-yh6db7qk4d Před 3 dny

      미국 군사장비 기술력 인정을 해야지요 그러나 대한민국 은 도전을 해야지요

  • @user-jf1ux5fu6i
    @user-jf1ux5fu6i Před 3 dny +6

    중국을 봐도 아무리 항공기, 엔진을 똑같이(?) 복제해도 원본을 따라가지 못합니다. 바로 철강소재때문이지요. 기초부터 하나하나 해서 제대로 된 항공기 엔진 만듭시다. 기술자 여러분 화이팅이고 국가적으로 투자 잘 합시다. 미래의 먹거리 입니다.^^

  • @sstayil32
    @sstayil32 Před 4 dny +5

    AI를 이용해서 소재를 찾아내거나 조합하는 것을 연구하는 것도 좋을 듯함....(요즘엔 신약물질을 AI로 연구하는 시대인데...)

  • @user-km4qt8hb9v
    @user-km4qt8hb9v Před 19 hodinami +1

    기술유출과 보안에 치밀하게 계획하고 실행하길 한화에 바래봅니다.

  • @kd4301
    @kd4301 Před 3 dny

    원자력 발전소에 쓰이는 금속 소재 한개 개발하는데 3~5년 걸렸던걸로 알고있는데 첨단 엔진소재 중에 개발되어야할 소재가 몇개나 될까???? 50여개라구?

  • @user-tu3hv9xg3h
    @user-tu3hv9xg3h Před 3 dny

    국가 핵심 인재들... 중요한 사람들입니다. 현대는 이런사람 한명이 문과나온사람 백만명보다 더 중요한 시대입니다.

  • @MichaelKim505
    @MichaelKim505 Před dnem

    도전한다는게 참 대단하네요.
    뇌피셜로, 다른 나라가 엔진을 안만드는 이유가 개발비용 대비 충분한 수요가 없기 때문이라고 생각했고, 이미 몇몇 유명 엔진회사가 누적된 기술력으로 그 시장을 장악했다고 생각했는데..
    한화는 가능성을 보고 투자를 하나 보네요.

  • @oregonaje4827
    @oregonaje4827 Před 3 dny

    엔진 개발은 국력이네요.👍

  • @hsl526
    @hsl526 Před 3 dny

    ❤❤❤

  • @user-jo3gj6gp7v
    @user-jo3gj6gp7v Před 3 dny +5

    제 나이 53인데 국민학교 ㅋㅋ 초등학교때 우리나라는 비행기 만들수 있을까 고민했던때가 있었습니다 미국 영국 이런나라만 할줄 알았는데...이 시대를 살면서 격세지감을 느낍니다 정말 잘 사는 나라의 국민이란걸 느낍니다 아버지 사온 한달에 한번 먹을까 말까하던 비싼 통닭 ...세월 참 ...빠르네요

    • @mamk6694
      @mamk6694 Před 3 dny +2

      지금 남아 있는 것은 무인기 개발과 엔진 개발 밖에는 없다고 생각 합니다.
      이미 전차 파워팩 엔진 개발은 완료 되었고 자주포 엔진도 개발 되어 있습니다.
      저도 50이 코 앞인데 격세지감을 느낍니다.

    • @srvno
      @srvno Před 3 dny

      제공호 세대.. 힘냅시다

    • @Bignosekane391
      @Bignosekane391 Před 3 dny

      @@mamk6694 핵잠도 남았습니다

    • @mamk6694
      @mamk6694 Před 3 dny

      @@Bignosekane391 핵잠은 우리가 소형 원자로 기술이 이미 있어서 가능합니다.
      단 정치적인 문제가 남아 있는 것 뿐 입니다. 미국이 허락 해야 합니다.

    • @Bignosekane391
      @Bignosekane391 Před 3 dny

      @@mamk6694 소형 원자로를 잠수함에 최적화 시켜 설계하는 것은 다른 이야기입니다.

  • @user-yw8ns2ww2u
    @user-yw8ns2ww2u Před 4 dny +3

    삼성이 얼마나 체계적으로 기업을 만들엇으면 지금의 성과가날까?

    • @davidjacobs8558
      @davidjacobs8558 Před 3 dny

      그런데, 그런 삼성을 공중분해 하지 못해 안달이난 좌파들.

  • @user-qj5yb6wc4q
    @user-qj5yb6wc4q Před 3 dny +5

    당장 만들 능력도 없으면서 왜이리 홍보만 하는거야? 연구개발에 매진해라 댓글에 연구비만 받아 먹을 속셈이라는 내용이 많은 이유가 과거 전력이 너무 많기 때문이다.

  • @user-jt5je5uw5z
    @user-jt5je5uw5z Před 3 dny

    오늘 KF-21 블록1 20대 계약 축하드립니다. 앞으로도 힘써주시길 바랍니다.

  • @jaewukkwon7338
    @jaewukkwon7338 Před 3 dny

    2:20 자부심 { 시작했다 == 완성했다 }

  • @user-cj3ci7xn4t
    @user-cj3ci7xn4t Před 3 dny

    과학자 기술연구원들은 보호존중해야한다

  • @user-vg4js3zh5w
    @user-vg4js3zh5w Před 3 dny +3

    국과연 국책과제 겠지요
    두산.한화에게 각기 어떤 연구과제
    주어졌는지 모르기 때문에 응원하고
    비용듵더라도 독점 안됨니다
    폐해가 너무 큼니다 SNT만 봐도~

  • @user-wq2zd3vx2z
    @user-wq2zd3vx2z Před 3 dny +3

    두산보다 늦네. 두산은 2030 기대하는데....

  • @user-hf5wh3ll6w
    @user-hf5wh3ll6w Před 3 dny +1

    TIT 1500은 거의 완성된것 아닌가요?
    검증중이신가?

  • @sssy950
    @sssy950 Před 3 dny

    단결정은 진짜 만들기 쉽지 않은데
    조건 잡기가 어려움

  • @user-ce4lz4jj1d
    @user-ce4lz4jj1d Před 3 dny +1

    저 큰 부품을 단결정으로 만든다니ㄷㄷ

  • @jamisont1
    @jamisont1 Před 3 dny +1

    인코넬718 국산화는 국내 수요가 많기에 경제성이 있겠지만... 제트엔진 소재 국산화할려면 rene 3세대까지 따라잡아야하는데.. 무슨돈으로 할건진 의문임..

  • @mmmijuo5407
    @mmmijuo5407 Před 3 dny

    연구개발자님들 대단하십니다. 이렇게 만들어놓고 또 20기가 사건처럼 홀라당 인도네시아나 중국에 팔아재끼는넘 없이 보안 철저히 부탁드립니다.

  • @user-lp1jx2gf5p
    @user-lp1jx2gf5p Před 4 dny +9

    한화가 개발 하는한 순수 국산화는 힘들다 봅니다,, 미국의 하청업을 포기 하지 않을 테니까요,, 두산이 개발 하는것이 순수 국산화가 더 쉽다고 생각하며. 두산 관개자 분도 인터뷰 해주시면 좋겠읍니다,, 한화의 무인기40%엔진이 국신화는 않이지요

    • @jamisont1
      @jamisont1 Před 3 dny

      내기억에 제공호 엔진도 국산화 35%인가 그랬었슴 ㅋㅋㅋㅋㅋ

  • @bear8158
    @bear8158 Před 3 dny

    인코렐 718 과연 성공 할까?

  • @Matlar-yu4vc
    @Matlar-yu4vc Před 3 dny

    무인기 엔진부터 개발적용해서 차근차근.

  • @loose7lazy
    @loose7lazy Před 3 dny +1

    야.. 이거 국가 기밀급 내용 아니냐. 너무 재미있는데.

  • @user-ec3sl6ib9l
    @user-ec3sl6ib9l Před 3 dny +2

    두산도 강자

  • @user-wo5xv3jm9v
    @user-wo5xv3jm9v Před 3 dny +1

    보라메 불럭 2 양산부터는 우리 엔진이 들어갈수도.... 그 이유가 1차도입엔진 외에 아직 주문이 없는걸로 아는대???

  • @user-yn5zq3yf4b
    @user-yn5zq3yf4b Před 2 dny

    세라믹합금?

  • @lavaav822
    @lavaav822 Před 4 hodinami +1

    이 영상 보니 두산이 빠를거 같다 k2 변속기 처음부터 싫다고해도 현대를 줬어야 했던것처럼

  • @Cest.La.Vie..
    @Cest.La.Vie.. Před 3 dny +2

    중국은 기다렸다 개발이 완성되면 또 몇 백억 쥐어주고 기술 탈취하겠지. 법이 법같지 않아서 계속 문제임. 중국 전투기가 엔진문제를 해결하고 나면 여러가지로 안보에 문제

  • @hansomelee3482
    @hansomelee3482 Před 3 dny +1

    얼굴도 잘생기셨네요

  • @user-wj3lp6jc6h
    @user-wj3lp6jc6h Před 4 dny +7

    두산에너빌러티는1680도 성공 했다더만 한화는 로비기업이라

  • @G80G70
    @G80G70 Před 3 dny +1

    기업이 투자를 한다는건 돈냄새를 맡았다는 거지. 하긴 국산 엔진 없으면 미국 허락 없이 kf21 수출은 절대 불가능 할테니.

  • @Progress-qb8oc
    @Progress-qb8oc Před 3 dny

    APU 엔진이 뭔지 설명해줘야지~

    • @user-hj6nt1ws1r
      @user-hj6nt1ws1r Před 3 dny

      보조 동력 엔진이라고 보면 됩니다
      전투기는 전기를 만들어 내야 하는거 니까요
      앞으로는 5.6세대기는 더욱더 전기가 많이 쓰이겠죠

  • @user-hj4ve7rm3j
    @user-hj4ve7rm3j Před 4 dny +3

    국내 소재쪽 연구소에 일하는 인원 대부분이 외국인이라고 들었습니다. 아울러 개발하더라도 워낙 도둑놈들이 많아서 솔직히 크게 기대는 안되네요.

  • @uunsword
    @uunsword Před 4 dny +13

    안그래도 거대방산공룡인 한화가 전투기엔진까지 담당하게되면 독과점이 너무 심하게 됩니다. 방산분야에서 경제력집중을 막기위해서 두산에게 맡겨야됩니다. 두산은 이미 독자적으로 대형가스터빈엔진을 개발한 기술력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