뱀의 꼬리를 잡지 말고 머리를 잡아라ㅣ일묵스님ㅣ제따와나선원

Sdílet
Vložit
  • čas přidán 6. 06. 2024
  • 불교에서는 '아상'을 버리라는 이야기를 많이 합니다. 니까야에서는 '이것은 내 것이 아니오, 내가 아니며, 나의 자아가 아니다'라는 무아의 가르침이 반복해서 강조되고 있지요.
    이번 법문에서는 맛지마 니까야 뱀의 비유 경 (M22)을 주제로 이에 대해 법문해주십니다.
    뱀의 비유 경에 보면 뱀의 꼬리를 잡으면 위험하고 뱀의 머리를 잡아야 한다는 비유가 나옵니다.
    부처님의 가르침을 배운 이라도, 불법을 자기 식으로 자기 스타일로 잘못 이해하거나, 바른 견해를 지녔다 하더라도 그것을 즐기고 집착하면서 재산으로 여기게 되면, 해로움이 있을 것이며, 이것이 뱀의 꼬리를 잡은 것과 같다고 부처님께서는 비유하십니다.
    반대로 뱀의 머리를 잡는 것은, 부처님의 가르침을 바르게 이해하고 그 바른 견해에 집착하지도 않는 것입니다. 이렇게 법을 제대로 이해하는 이, 뱀의 머리를 제대로 잡은 이는 나는 있다는 상견이나 나는 단멸한다는 단견에도 빠지지 않으며, 오온을 내 것이라고 나라고 내 자아라고 여기는 유신견에 빠지지도 않습니다. 이런 이에게는 오랜 세월 이익과 행복이 있을 것이라고 하셨습니다.
    ◆ Timeline
    0:00 뱀의 비유 경 (M22)
    3:33 감각적 욕망의 해악
    ◆ Tag
    #오온 #무아 #유신견
    ◆ 제따와나선원
    • 홈페이지: jetavana.modoo.at
    • 네이버카페 : cafe.naver.com/jetavana
    • 제따와나선원 후원하기 jetavana.modoo.at/?link=e3yspm8i
    모든 존재들이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기를 바랍니다.

Komentáře • 16

  • @user-hk2te1nv4i
    @user-hk2te1nv4i Před 2 měsíci +1

    일묵스님 감사합니다 부처님 가르침 깊이 새기겠습니다 🙏🙏🙏🪷🪷🪷

  • @byounghwa6771
    @byounghwa6771 Před 2 měsíci +5

    뱀의 꼬리를 잡지 않고 머리를잡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사두 사두 사두 _()_()_()_

  • @user-nr8mx5uf6i
    @user-nr8mx5uf6i Před 2 měsíci +4

    지혜의 말씀 감사합니다~~🙏🙏🙏

  • @user-dh4eq2ek4l
    @user-dh4eq2ek4l Před 2 měsíci +4

    스님 감사합니다🙏🙏🙏

  • @hyunsunkim9893
    @hyunsunkim9893 Před 2 měsíci +2

    감사합니다.
    _()_()_()_

  • @user-dk9pf5kc2e
    @user-dk9pf5kc2e Před 2 měsíci +3

    사~두 사~두 사~두
    ❤_🙏🙏🙏_❤

  • @chanss4583
    @chanss4583 Před 2 měsíci +1

    감사합니다

  • @user-rz5rj3mx9r
    @user-rz5rj3mx9r Před 2 měsíci +1

    행해야할 수행의 방법을 잘 가르쳐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5off439
    @5off439 Před 2 měsíci

    감사합니다 🙏

  • @user-zg9yd3jg6c
    @user-zg9yd3jg6c Před 2 měsíci +2

    🙏🏻🙏🏻🙏🏻

  • @user-cz1yv2gb3d
    @user-cz1yv2gb3d Před 2 měsíci +1

    견해가 중요한거 같습니다.과학의 발전으로 단견이 팽배하죠.단견을 가지면 이생 뿐이므로 최대한 감각적 욕망을 누리는게 목표가 되기 쉽겠죠.
    정견을 가지면 욕계 중생으로서 어쩔수 없이 감각적 욕망을 누리더라도 절제할려는 노력을 할수밖에 없을 겁니다.

  • @user-kh4bj3ct3p
    @user-kh4bj3ct3p Před 2 měsíci +1

    사두사두사두!!

  • @user-hl8ln3ic5e
    @user-hl8ln3ic5e Před 2 měsíci +2

    사두사두사두

  • @user-ef9np7dh5u
    @user-ef9np7dh5u Před 2 měsíci +2

    [정견]에 대한 확신도 점차적으로 늘어가는 것 같습니다.
    첫번째 단계: 4성제에 대한 지혜가 늘수록, 다른 가르침(기독교,힌두교,대승불교,성리학등)에 대한 깔봄과 분노가 일어납니다( 저의 경우).
    두번째 단계: 다른 가르침에 대한 깔봄과 분노가 줄어듭니다.
    세번째 단계: 깔봄과 분노가 완전히 사라집니다.
    다른 분들은 어떤가요? 처음부터 깔봄과 분노가 없던가요? 그렇다면 존경합니다. ㅋㅋ

    • @user-cz1yv2gb3d
      @user-cz1yv2gb3d Před 2 měsíci

      깔봄 분노은 성냄으로서 불선법이고 집성제로서 괴로움의 원인이 되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