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중성선 굵기가 선도체보다 커질 수 있습니다! KEC해설-중성선 단면적편!

Sdílet
Vložit
  • čas přidán 16. 07. 2024
  • 중성선 굵기가 선도체보다 작아질수도 커질수도 있다?!
    2022년부터 시행된 KEC 한국전기설비규정의 실제 내용입니다!
    영상 호응이 좋으면 시리즈로 계속 만들어드리겠습니다.
    좋아요! 구독!은 영상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00:00 중성선 굵기 이렇게 바뀝니다!
    00:33 KEC란?
    02:12 중성선이 선도체 굵기와 같아야 하는 경우
    04:19 중성선이 선도체 굵기보다 작아도 되는 경우
    04:53 중성선이 선도체 굵기보다 커야 하는 경우
    05:15 종합고조파왜형률(THD)를 쉽게 이해하는 방법
    #KEC #한국전기설비규정 #중성선

Komentáře • 116

  • @electric_revolution
    @electric_revolution  Před rokem +17

    KEC시공가이드북 링크주소입니다^^ : www.keca.or.kr/keca/bbs/NR_view.do?menuCd=84&bbsCd=32&bbsSeq=59968¤tPage=1&rowPerPage=10&searchKey=1000&searchVal;=

  • @digilogkim
    @digilogkim Před rokem +7

    이런 명강의를 무료로 볼 수 있다니? 선생님 강의들 너무도 감사히 잘 보고 있습니다.

  • @user-qi8ch4xf7p
    @user-qi8ch4xf7p Před rokem +7

    좋은 말씀이세요 문제는 설계나 시공시에 부하의 고조파 함유율이 얼마나 되는지를 알아야 하는데 막상 그걸 알기 어렵다는게 문제이고 시공을 하고 영상처럼 재보지 않으면 알기 어렵다는게 문제네요

  • @seungholee6509
    @seungholee6509 Před rokem +4

    그냥 고맙습니다. 앞서 가시네요.

  • @DSNetworkSE
    @DSNetworkSE Před rokem +10

    중요한 시기에 정말 명확하게 설명 주셔서 대단히 감사합니다.

  • @seasoundpark
    @seasoundpark Před rokem +4

    고급정보 감사드립니다

  • @user-ti3sn8wo2m
    @user-ti3sn8wo2m Před rokem +3

    정보감사 합니다

  • @user-ev4th6tn8d
    @user-ev4th6tn8d Před rokem +4

    항상 감사합니다!! 선생님

  • @user-2co
    @user-2co Před rokem +4

    현장에서 잘 써먹어겟어여 오늘도 알찬 내용 고마워요~~ 5만 축하드려요😊!

  • @picturebig5048
    @picturebig5048 Před rokem +6

    귀한 정보 공유 감사합니다~😊

  • @carpenter2264
    @carpenter2264 Před rokem +1

    고맙습니다.😍

  • @user-ql3dd9io2t
    @user-ql3dd9io2t Před rokem +5

    짧은시간에 많은걸 담으려고 하시니 핵심만 간단히 정말 좋은 영상 잘봤습니다.

  • @user-fr7je9ry1r
    @user-fr7je9ry1r Před 11 měsíci +2

    X-GIPAM 개발시험에 참여한 사람인데 여기서 보니 반갑네요. 좋은 내용 잘 보고갑니다.

  • @user-nw6xh4zv3s
    @user-nw6xh4zv3s Před rokem +5

    100만까지 떡상하세요! 넘 잘 듣고 있어요 ㅎㅎ

  • @cky7217
    @cky7217 Před rokem +10

    설명 쉽게 아주 잘 해주셨네요. 감사합니다

  • @vintorezvss3554
    @vintorezvss3554 Před rokem +1

    정말 좋은 영상 같습니다

  • @HYUNOO79
    @HYUNOO79 Před rokem +1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구독 합니다~

  • @babastudio2008
    @babastudio2008 Před rokem +2

    👍 👍 👍 👍 👍 👍
    진짜 설명은 최고 !!

  • @user-rx9ox7oi3o
    @user-rx9ox7oi3o Před rokem +3

    감사합니다^^~

  • @user-zi4gy4vo4n
    @user-zi4gy4vo4n Před rokem +4

    전기 노가다가 아닌 전기 엔지니어로 만들어주는 좋은 영상~ 중간 못알아먹는내용은 재시청하며 공부하면서 쫒아가야겟네요~고조파는 쭉~ 거론될 아이...

  • @user-tesla
    @user-tesla Před rokem +4

    좋은정보 감사요

  • @gomdolri
    @gomdolri Před rokem +1

    오오오 신기방기😮

  • @user-fj3zk5dd1u
    @user-fj3zk5dd1u Před rokem +1

    정말 너무 대단하십니다. 전기 자격증을 따고 공사발주 및 감독업무를 하지만 이론적으로 아무것도 모르는 자신이 부끄러워 지네요.
    전기혁명님은 천재이신가요.? 아니면 박사? 기술사? 정체가 어떻게 되시나요?

  • @mckmc4916
    @mckmc4916 Před rokem +8

    최고에요 웬만한 기술사보다 나으시네요

  • @user-sp6lw5em3y
    @user-sp6lw5em3y Před rokem +3

    수업료 드리고 들어야 하는데..
    매번 감사합니다...

    • @electric_revolution
      @electric_revolution  Před rokem +2

      잔나비님의 댓글이 수업료입니다, 댓글에 큰 힘이 됩니다. ㅎ

  • @user-lb1bn2wn6g
    @user-lb1bn2wn6g Před rokem +2

    👍👏✌

  • @user-bj4ol8cc7w
    @user-bj4ol8cc7w Před rokem +3

    교수님 5만명 넘으신거 축하드립니다.
    집에 경사가 있어서
    당분간 공부 못했습니다.
    오랬만에 보니 머리아파서
    일단 인사만 드립니다.
    주옥같은 영상 감사합니다.
    교수님 책은 언제쯤 나올가여?

    • @electric_revolution
      @electric_revolution  Před rokem +2

      ㅎㅎㅎ 구독자 10만이 되면 본격적으로 집필을 시작할 예정입니다, 부족한 채널에 항상 응원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 @fpdhskem
      @fpdhskem Před 11 měsíci

      곧 10만 되실겁니다^^ 응원합니다~

  • @user-kh5gw2nl5u
    @user-kh5gw2nl5u Před rokem

    지금까지에 영상이라는게 없어지네요ㅎ

  • @GREED_68240
    @GREED_68240 Před rokem +1

  • @user-vm1qm3vl5t
    @user-vm1qm3vl5t Před rokem +1

    전기는 안전이 제일... N상 굵기 함부로 RST보다 가늘게 쓰다간 정담 안됨. N상 잘아시다시피 삼상평형부하에서는 0가 이론적으로 맞지만 만약 RST 중 한상이 단선이 되었을 때를 대비 해서 RST중 최대전류를 감당할 수있는 굵기를 선택해야 함

  • @user-vp7wd8oy9v
    @user-vp7wd8oy9v Před rokem +1

    이 내용을 기술사공부하면 다루는 내용이네요...
    전기설비를 설계시공후 부하변동이 거의 없이 사용하면 좋겠지만 대부분 부하용량변경이 있을수밖에 없는게 현장상황이지요..즉 고조파 발생부하는 증가할수밖에 없는 여건이다..
    결론적으로 설계시 고조파대비 도체선정에 적극적 배려할것이냐(물론 규정준수는 기본)또는 고조파 필터로 고조파를 억제할것인가 경제성비교도 필요해보이네요..

  • @Lkk4589
    @Lkk4589 Před rokem +1

    안전공사,엔,한전에서홍보및세부설명무부족한것좀해결,감사합니다

  • @user-xe6bi2vq9k
    @user-xe6bi2vq9k Před rokem +1

    일괄스위치 전자스위치, 푸쉬버튼스위치, 일괄스위치에서 단로스위치로 스위치공통선을 받을때는 스위치로 받는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제 생각이 맞는지 상세한 영상제작 부탁드립니다.

  • @JingTube
    @JingTube Před rokem +37

    무슨말인지 1도 이해가 안되지만 존냐 가만히 있어야겠다 ㅎㅎ

    • @hyokim4193
      @hyokim4193 Před rokem +1

      책봐라..선생님이 설명해주는거 날로 먹으려니. 이해가 안되지

    • @goldfish5595
      @goldfish5595 Před rokem +4

      이걸보기전에는 1도이해가 안되지만 존나
      가만히 있어야겠다라는 말이 공감되지
      안았는데 이영상을 본후 댓글 단 날로먹으려
      하지말고 책을 보란말에 공감이 더 안된다.
      시공하지 않는 사람은 가만히 있어도 됩니다.
      시공하는 사람은 이해하려면 책보던가
      날로먹는사람이란 댓글
      댓글이 예의가 없이 싸가지가 없네없어

    • @llluminati1017
      @llluminati1017 Před rokem +1

      아이 그냥 웃자고한 얘기같은데 뭘 그렇게 진지하게 말하시나..

  • @user-eq1vf2pe9s
    @user-eq1vf2pe9s Před rokem +1

    케이블 챙길때 신경써야되겠네..

  • @ssipark3656
    @ssipark3656 Před rokem

    고조파가 15퍼 미만인경우라도 최소굵기는 16sq가 되겠네요

  • @user-tk7lg9sg1c
    @user-tk7lg9sg1c Před rokem +1

    너무 어려워유, ㅠ

  • @user-ok5xx1ih5d
    @user-ok5xx1ih5d Před rokem +6

    궁금한것이 왜형률은 부하에 따라 달라질텐데 시공단계에서 THD를 판단하여 중성선굵기를 산정할수있나요?
    아님 시공단계가 아니라 나중에 보강하라는 의미일까요?
    궁금하네요~~^^

    • @electric_revolution
      @electric_revolution  Před rokem +8

      나중에 보강하라는 의미는 아니고 설계단계에서 계산 및 선정하여 시공하라는 의미입니다. 왠만한 전기제품에는 고조파 발생 수치가 적혀져 있습니다. (KS, UL등 인증제품군들은 말할것도 없구요) 이를 이용해 실제로 부하들의 발생가능한 고조파 총 왜형율을 설계단계에서 최대한 계산하여 추정할 수 있습니다. 또한 실무경험적으로 왠만한 사무용 전등,전열 전기에는 THD가 15% 미만으로 발생합니다. 사실 역설적이게도 15%를 넘어가는 수치를 만드는 것이 왠만한 전기부하로는 굉장히 어렵습니다. 하지만 서버용 부하나 전력변환장치, 공장용 비선형부하(용접기, 전기로 등) 를 많이 쓰는 부하군들에는 THD가 쉽게 발생합니다(즉, 이런 부하군들만 고려하면 됩니다). 또한 3고조파 뿐 아니라 5고조파 7고조파도 발생하는데 주로 3 그리고 5고조파가 발생하게 됩니다. 따라서 설계자는 건물전체를 THD를 추정하기보다는 각 부하군(피더군: 예/전등부하군, 전열부하군, 서버부하군, 동력부하군 etc)으로 나누어 쪼개어 해당 피더의 THD를 추정하여 설계하는 것이 용이하고 바람직합니다.
      가령 THD가 15%미만인(분명히 설계단계에서 추정가능합니다) 부하군의 중성선을 수백미터 F-CV 1C로 수십개 피더들에 걸쳐 포설한다고 했을 때, 한단계 낮게 전선을 선정할 수 있다면 금액차이가 많이 나기 때문에 경제적으로 공사를 할 수 있습니다. :)

    • @user-ok5xx1ih5d
      @user-ok5xx1ih5d Před rokem +3

      아 그렇군요 전원품질분석장비를 통해 수치만 확인했던터라 설계단계에서 THD를 산정한다는 생각을 못했었네요
      인버터같은 전력변환장치가 많이 가설될 경우 N상 전선의 굵기를 더 심도있게 고민해야겠군요 좋은답변 감사드립니다!!^^

    • @tesla6127
      @tesla6127 Před rokem +3

      왜형률이 부하에 따라 달라진다는 말에 너무나도 공감이 갑니다.
      UPS도 카달로그상에는 고조파 % 낮게 선정되어 있는데요.
      이중화 되어 있는곳에서는 사실 부하를 50%미만으로 사용하는 곳이 많아 고조파가 의외로 높게 발생하기 때문에 사실상 제품 사양만 가지고 설계하기에는 리스크가 존재 한다고 보여집니다.
      공조 부하도 마찬가지로 용량이 20RT 수준 이런 곳은 별 문제 안되겠지만,
      300RT 냉동기 수십대가 설치 된 곳 또한 이러한 제약이 많이 받을텐데요...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 무조건 설계 전류에 1.45배 크기로해야한다면 시공금액도 커지리라보여지구요...
      운영/설계 입장에서 안전이 최우선이라 해당 내용을 참 공감하지만, 설계 시 수치보다 높을 경우도 꽤 있을 것이라 보여져 보강해야 할 상황도 많이 질 것 으로 보여지네요...ㅠㅜ

  • @user-ie6fw7sn1u
    @user-ie6fw7sn1u Před rokem +1

    아무튼 이제 전력간선 설계할때 추가해야할 첨부서류들이 더 늘어난건 사실이네요 에휴

  • @user-jq9zw4ou6z
    @user-jq9zw4ou6z Před rokem

    전기공부에 도움을 많이 받고 있어서 감사합니다. 평소 궁금 했던것 질문 좀 드려보겠습니다.
    1. 엔진 발전기를 무부하 상태로 가동하면 전기는 어디로 가는지요? 거의 부도체인 공기를 통해 움직이는지 각상별로 상쇄 되는지요?
    2.부하 상태로 엔진 발전기를 돌리면 연료가 더 소모 된다는데 왜 그런지요?
    전기혁명님은 명확히 설명 해 주실것 같아 요청드려 봅니다.

    • @user-jq9zw4ou6z
      @user-jq9zw4ou6z Před rokem

      이왕 질문하느거... 얼마전 제주도 신재생에너지(풍력) 일시 생산을 black out 염려 때문에 일시 중단시켰다는데 , 왜 그런 현상이 나오는지도 묶어서 설명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user-ie6fw7sn1u
    @user-ie6fw7sn1u Před rokem +1

    현장에서 각상이 평형부하인곳이 몇군데나 있을까 싶은데용ㅠ

  • @hjwwinner
    @hjwwinner Před rokem +1

    고조파, 고려해서 중선선굵기
    선정한들, 현장에선 케이블 포설시,이론대로 할수없으니,
    큰의미없어요~
    캐치상과 동일한 굵기로 가면됩니다

  • @macguyber
    @macguyber Před rokem +1

    2023년 현재 흔한 주택 220V 공사는 HFIX 전선을 사용해야 한다고 규정이 바뀌었는지요?

  • @kmp4364
    @kmp4364 Před rokem

    아파트의 경우... 설계시 중성선 굵기 산정 가능한가요?

  • @jiktong
    @jiktong Před rokem +1

    9차 고조파는 왜 0으로 뜨는건가요?

  • @user-lv8sw5gf5j
    @user-lv8sw5gf5j Před rokem +2

    궁금한 것이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왜 직류에서는 등전위본딩이 필요없는 것일까요?
    직류전기철도 급전시스템의 레일전위 접촉전압감소방법이 아닌것이 등전위본딩이 답으로 나왔네요...유도장해가 적기 때문일까요?
    답변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electric_revolution
      @electric_revolution  Před rokem +2

      KEC를 적용한 내용으로 설명드려야하는데 접지내용도 기획하고 있습니다, 영상으로 만들어드릴예정입니다.^^

    • @user-lv8sw5gf5j
      @user-lv8sw5gf5j Před rokem +1

      @@electric_revolution 예...고맙습니다..
      가끔 댓글에 질문을 올려도 되겠는지요?

  • @user-ie6fw7sn1u
    @user-ie6fw7sn1u Před rokem

    이제 부하용량도 다 계산해서 전류구하고 왜형률 관련자료까지 다 첨부 해야되네ㅜㅠ
    이래놓고 일주일 내로 설계내역서 만들어오라고 할께 뻔한데 좀 살려주십셔

  • @elfyuna
    @elfyuna Před rokem +5

    많이 배워갑니다 접지선 굵기는 현재 적용중인가요?

  • @user-ki5tp7yy8t
    @user-ki5tp7yy8t Před rokem

    저는 단상입니다!

  • @user-ww5wk7yx1v
    @user-ww5wk7yx1v Před rokem +2

    전기혁명님 어떤 단독주택에 갔는데 가스관이나 콘크리트벽에 검전기를 갔다대면 울리는데 이건 누전이 있는건가요? 접지공사가 잘못된건가요? 뭐부터 확인해야할지 모르겠습니다.

    • @electric_revolution
      @electric_revolution  Před rokem

      해당 가스관이나 콘크리트 내부 금속자재에 전위가 발생하여 검전기가 동작하는 것입니다, 여기서 누설전류가 흐를 수 있으며 자세한 설명은 해당 링크영상을 참조해 주세요. :) czcams.com/video/U3loJiJNDMc/video.html

    • @user-ww5wk7yx1v
      @user-ww5wk7yx1v Před rokem

      감사합니다 도움이 많이 되었습니다

  • @user-pt9lc9bn4p
    @user-pt9lc9bn4p Před rokem +2

    이걸 ㅌㅎ산업 기관장님이
    필독으로 보셔야 하는데(..)
    220V 단상전원 올릴 때 마다 24DCV
    계측기기에 상용주파수 외란 심해서
    혹시나 분전함 측정해보니
    ABC상 순서대로 15~5A인데
    중성선 전류가 16A 나온 상황이라
    직관적으로 봐도 부하에 비해
    영상전류가 심한 편이고,
    사진찍어 놓은 측정치 기준으로
    중성선에 원래 흘렀어야 할 전류를
    계산해보니 5A이상 초과했었네요..
    (이마저도 3상의 위상각 차이가
    120으로 일정하다는 전제)
    이동형 발전기 까지 끌고와서
    단상전원으로 전원인가 시험 해보니
    상용주파수 외란은 깔끔히 사라졌는데
    인가 전/후 고조파 함유량 변화도 없네요.
    그쪽이 워낙 지저분한 거미집 마냥
    배선을 이리저리 보냈다 하는 바람에
    (중성선도 ABC상 전선과 같은 분전함 말고
    다른 분전함에서 따온거랑 컴멍시켰으니..)
    그때 봤던 5A 초과분이 꼭 영상전류도
    아닌가, 어디서 순환전류가 타고들어온건가
    온갖 상상력을 총동원 해도 아직은
    잘 모르겠습니다.
    그쪽에 설치해놓은 계장설비 문제로
    이런 고민을 그 수용가에서만 자그마치
    3년 가까이 끌고있는데요.
    이런 고민은 제가 할게 아니라,
    정작 ㅌㅎ산업 기관장님 본인이
    고민해보실 문제인데..
    요즘은 발주처랑 뒤에서
    무슨 트러블이 더 있었는지
    발주처 지시로 다른 배관쪽에 볼 일
    있어서 점검하러 갔더니 노발 대발
    쿠사리 주시는 바람에
    (원래 계약이 우리설비에 문제 생기면
    제가 수용가 소유설비 점검해도 된다는데..)
    그쪽은 피해(?;)다니는데요.. 꼭 그
    원인이 3고조파 아닌 다른 이유라도
    언젠가 꼭 이해 해보고
    싶은 현장이고 현상입니다.
    한 수용가에서 같은 문제로 3년을
    고민해보니 오기도 생기네요.
    ㅌㅎ산업 기관장님이 쿠사리만 안 주시면
    다시 또 가서 예정했던 테스트도 해보고요..

  • @user-vx6xc4ze8f
    @user-vx6xc4ze8f Před rokem +5

    처음 시공 시 고조파 함유량을 어떻게 알고 Cable 을 선정할 수 있을까요?

    • @lifeis1shot
      @lifeis1shot Před rokem +1

      궁금

    • @kyl937
      @kyl937 Před rokem +3

      그러니까요...
      설계할 때 고조파가 많이 발생할것으로 예상되는곳에는 애초에 사용중 교체할수도 있다는걸 감안해서 1C케이블로 시공하거나, 아니면 다심케이블로 시공하려면 설계 도체 단면적의 1.45배를 처음부터 시공해 버리는 수 밖에 없겠죠

    • @-realkorea9603
      @-realkorea9603 Před rokem +2

      아쉽게도 사용전검사나 점검에서는 적용을 못하조 전기를 받고 설비를 돌려야 고조파함유량을 측정할수 있으니 하지만 이런게 있다 알고있으면 좋을듯 한데요 오히려 비트코인체굴장이나 피씨방 같은곳은 한두단계 높여서 시공해야할듯 합니다

    • @user-vx6xc4ze8f
      @user-vx6xc4ze8f Před rokem +1

      저희는 그냥 Cable 을 용량보다 2배정도 높은 사양의 Cable을 포설해서 상관은 없을 것 같습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electric_revolution
      @electric_revolution  Před rokem +3

      왠만한 전기제품에는 고조파 발생 수치가 적혀져 있습니다. 이를 이용해 실제로 부하들의 발생가능한 고조파 총 왜형율을 설계단계에서 최대한 추정할 수 있습니다. 또한 실무경험적으로 왠만한 사무용 전등,전열 전기에는 THD가 15% 미만으로 발생합니다. 사실 15%를 넘어가는 수치를 만드는 것이 왠만한 전기부하로는 어렵습니다. 하지만 서버용 부하나 전력변환장치를 많이 쓰는 부하군들에는 THD가 쉽게 발생합니다(즉, 이런 부하군들만 고려하면 됩니다). 또한 3고조파 뿐 아니라 5고조파 7고조파도 발생하는데 주로 3 그리고 5고조파가 발생하게 됩니다. 따라서 설계자는 건물전체를 THD를 추정하기보다는 각 부하군(피더군: 예/전등부하군, 전열부하군, 서버부하군, 동력부하군 etc)으로 나누어 쪼개어 해당 피더의 THD를 추정하여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가령 THD가 15%미만인(분명히 설계단계에서 추정가능합니다) 부하군의 중성선을 수백미터 F-CV 1C로 수십개 피더들에 걸쳐 포설한다고 했을 때, 한단계 낮게 전선을 선정할 수 있다면 금액차이가 많이 나기 때문에 경제적으로 공사를 할 수 있습니다. :)

  • @user-gw6zt7ni3j
    @user-gw6zt7ni3j Před rokem +1

    공사비 엄청 오르겠네 지금도 비싸다 말하는데

  • @user-ei9lu7wc7h
    @user-ei9lu7wc7h Před 6 měsíci

    3상4선 380/220
    실제 현장에선 단상220v 여러개 쓰면 중선선 훨씬 더높게 쓸수도 있는데
    제대로 사양 설계한거 맞음??????

  • @user-ie6fw7sn1u
    @user-ie6fw7sn1u Před rokem

    근데 이렇게 설계하면 설계내역서가 가시성이 떨어지고 재료도 여러개 늘어나서 업자도 실수할 확률이 크다고 봅니다
    설계를 아무리 잘해봤자 들어오는 공사업체실력이 안받쳐주면 말짱 꽝인게 현실이고 우리나라 공사업체들 실력또한 대부분 산업기사 수준인데 위에 있는 사람들은 현실이 어떤지 알고는 있는지 궁금하네요

  • @user-cd9ki2or4b
    @user-cd9ki2or4b Před 6 měsíci +1

    3고조파, 5고조파 이런것이 파형이 바뀌는 것인데, 부하 특성에 따라 크기가 바뀌는 것은 이해할수 있지만 파형이 바뀌는 것은 선뜻 이해가 가지 않네요.
    부하에 따라 THD 크기가 나와있다고 하는데 장비가 여러대 있으면 단순 합산하면 되는지, 그것을 어떻게 예측을 하는지 방법도 알려주면 좋겠습니다.
    시공후라면 측정하면 되겠지만 포설은 그 전에 이루어질것이니 검토단계에서 어떻게 검토를 한다는 것인지 감이 안오네요. 그냥 규정을 위한 설명이 아닌가 싶은 아쉬움이 있습니다.

  • @dongwookkim6194
    @dongwookkim6194 Před rokem +1

    알아두면좋지만 향후 10년은 걸릴거라생각되어지네요.
    증설공사나 신축공사할때 한전이나 안전공사에서 이런걸보지않아요.

    • @electric_revolution
      @electric_revolution  Před rokem

      누가 보든 안보든, 엔지니어링적인 논리적 사고방식에 의한 설계는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가령 THD가 15%미만인(분명히 설계단계에서 추정가능합니다) 부하군의 중성선을 수백미터 F-CV 1C로 수십개 피더들에 걸쳐 포설한다고 했을 때, 한단계 낮게 전선을 선정할 수 있다면 금액차이가 많이 나기 때문에 경제적으로 공사를 할 수 있습니다. :)

    • @dongwookkim6194
      @dongwookkim6194 Před rokem

      @@electric_revolution 혁명님이말씀은 one sing 일때 적용된는거용..
      보통은 일반적인 내선공사에서는 4p를 사용합니다. 금액차이가 안나요.

  • @user-bz5pe2qb2k
    @user-bz5pe2qb2k Před rokem +1

    설계시에는 고조파 함유량을 알 수 있나요,

    • @electric_revolution
      @electric_revolution  Před rokem +2

      왠만한 전기제품에는 고조파 발생 수치가 적혀져 있습니다. 이를 이용해 실제로 부하들의 발생가능한 고조파 총 왜형율을 설계단계에서 추정할 수 있습니다. 왠만한 사무용 전등,전열 전기에는 THD가 15% 미만으로 발생합니다. 15%를 넘어가는 수치를 만드는 것이 왠만한 전기부하로는 어렵습니다. 하지만 서버용 부하나 전력변환장치를 많이 쓰는 부하군들에는 THD가 쉽게 발생합니다. 3고조파 뿐 아니라 5고조파 7고조파도 발생하는데 주로 3 그리고 5고조파가 발생하게 됩니다. 건물전체를 THD를 추정하기보다는 각 부하군(피더군: 예/전등부하군, 전열부하군, 서버부하군, 동력부하군 etc)으로 나누어 해당 피더의 THD를 추정하여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 @user-rb5ng8rt9d
    @user-rb5ng8rt9d Před 4 měsíci

    대한민국 전기 현장에서 공사1급 자격증에 경력있어도
    대한민국에선 노가다인식에서 벗어날수 없다
    일도 힘들고 대접도 못받는데 공부에 육채노동에
    정말 답이 없다 남들은 일주일에 두번도 쉬는데
    어쩌다 일요일도 근무해야 하고 그것에 대한 수당단가도
    없음 미친듯이 일만 해야하는 실정
    좋은 대한민국 회사에 들어가면 좋지만 그렇지 못한
    전기회사에 대한 평가다 이렇게 해서 얼마 벌것 같나요
    그냥 전기기사 자격증 따서 건물 관리직 이나 하세요

  • @user-gd9wh6yc5g
    @user-gd9wh6yc5g Před rokem +1

    *은* 전선 대신 구리 전선 쓰는 이유가 있나요?

    • @user-xk9no7us7j
      @user-xk9no7us7j Před rokem +1

      경제적인 이유때문입니다.

    • @um.-
      @um.- Před rokem +1

      은보다 구리가 더 싸기 때문입니다

  • @user-si7fw5qd3p
    @user-si7fw5qd3p Před rokem

    선생님 콘센트 중성선 핫라인 두군데 다 검전기를대면 소리가나는데
    검전기가 고장이라서 그런지,분전반에서도 양쪽선을 분리해서 하는데도 소리가나네요
    왜그런지 궁금합니다.

    • @electric_revolution
      @electric_revolution  Před rokem

      동영상으로 찍어서 제 메일주소로 보내주실수있나요? man4figaro@gmail.com

    • @user-si7fw5qd3p
      @user-si7fw5qd3p Před rokem +1

      @@electric_revolution 네.감사합니다 선생님^^

    • @electric_revolution
      @electric_revolution  Před rokem

      보내주신 영상 잘봤습니다. 해당 콘센트는 무접지임을 확인할수있었습니다, 흥미롭게도, 해당 건물은 단상3선식일 가능성이 있어보입니다, 극하나가 110, 다른 극하나가 -110이면 두 극의 전위차가 110-(-110)=220V가 뜹니다. 테스터기로 콘센트의 각 극을 건축물접지와의 전압을 찍어보시겠어요?

  • @lubwiz
    @lubwiz Před rokem +3

    상선보다 중성선의 전류가 높을수도 있나요? 삼상 백터합과 관련있어서 중성선이 넘지않는것으로 알고있는데... 적어도 중성선이 가늘어지면 문제될것 같습니다.

  • @Dragon92e
    @Dragon92e Před rokem

    일반 시민, 전기 제품의 사용에 관한 부분이 궁금하네요.
    소비전력 와트(W)라는 게 1초동안 소비하는 전력에너지를 말하는 걸 최근에 알았네요.
    그럼 W가 높으면 에너지 사용 용량이 높아지고 전기 또한 많이 쓰니 전기세도 많이 나오겠네요. 전기세에 kwh라고 표기가 되던디....
    예로 100W짜리 전기제품을 몇시간 쓰면 1kWH가 되는지도 궁금한 부분이 많구요. 예전부터 전기용량이랑 이런거 궁금한게 많았는데 검색해도 제대로된 자료가 없네요.
    그런 영상 하나 만드시면 영상 많이 볼듯요

  • @user-vz8wb8zr7c
    @user-vz8wb8zr7c Před rokem

    아니 참 진짜 지금까지 잘써왔는데.. 시공자만 조지는거지 에휴...

  • @Gurumi99
    @Gurumi99 Před rokem

    중성선이 접지선?

    • @Gurumi99
      @Gurumi99 Před rokem

      @@user-kq2ky8gh2t 안그래도 찾아봤는데
      어려웟는데 잘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그럼 중성선 있으면
      접지는 필요 없을수도 있나요?
      380v 3상에서 중성선 있어도 접지하는 경우가 있긴하던데

    • @Gurumi99
      @Gurumi99 Před rokem

      @@user-kq2ky8gh2t 3상은 전압이 높아 중성선이 필요한가요?
      접지로 누설전류를 흘러보내더라도 위험해서인가요?

  • @user-np9uh8eu6r
    @user-np9uh8eu6r Před rokem +1

    왬병 cv 4c 케이블 다써먹었내

  • @goldring-kp8pq
    @goldring-kp8pq Před 3 měsíci +1

  • @dub1835
    @dub1835 Před rokem

    그냥 IEC쓰지

  • @user-ws1zq6dk2z
    @user-ws1zq6dk2z Před rokem

    Kec 고나발이고. 안전공사. 새끼들고. 우왕좌왕. 하고. 있는대. 각지역마다. 기준도없음

  • @user-oc2nt4og7u
    @user-oc2nt4og7u Před rokem +1

    규정이 바뀐다는 것은 이전 설치된 것까지 포함 시켜야 하자나요.
    규정은 바뀌면서 이전 설치된 것에는 현실적으로 바꿀 수가 없으니. 그대로 놔둔다?
    kec규정은 오래된 건물에선 적용 안되여? 오래된 건물은 전기적 과학성이 없나요?
    다 바꿔야죠.
    kec규정이 과학성을 가지고 있다면?

  • @user-oc2nt4og7u
    @user-oc2nt4og7u Před rokem +2

    현장에서 일하는 데는.. 그다지...
    그냥 설계 차원의 문제겠네요.
    최근. 안전을 너무 강조해서. 기존에 비해 한단계 큰 전선을 사용하는데..
    그러면 과거의 건물들에게서 문제가 발생했냐는 거죠.
    이론상. 과거 건물들은 다 뽀사 버려야 하자나요.
    kec규정 자체가 문제가..... 저는 이런 이론을 잘 몰라요. 하지만. 현재를 변경하는 것은 과거에 문제성이 있다는 의미에요.
    과거에 아무 문제 없던 것이 kec라는 곳에서 규정을 바꾸는 것이..... 규정이 문제일까요? 과거 kec 사람들이...... 무식했던 걸까요?
    과학이라기보다 안전으로 보여져요. 과학이라면? 과거 전기관련 사람들과 이론이 개판이었다는 것이죠.
    규정을 바꾸는 것을 너무나도 쉽게 생각하고 있는 듯 해요.
    안전 때문에. 고위층의 압력 때문인지. 전선 용량을 한 수치 더 올리고.
    미친 인간들이 전선 색깔도 바꾸고..
    현장에서 회색 갈색 까만색이 구분되는 줄 아나요? 졸라 구분 안되요.
    최근 현장에서는 전선 조인을 하면서... 엉뚱한 선끼리 조인하는 경우가 가끔 발생해요. 그것도 20년 경력의 전기 기술자가......
    현장을 조또 모르는 놈들이 규정을 바꾸고 헛지꺼리해서...... 계속해서 작업상 오류가 발생하는 것이에요.

  • @user-oc2nt4og7u
    @user-oc2nt4og7u Před rokem

    안전을 위해..... kec규정을 한단계 올리는 듯 해요.
    25스퀘어 4선식에서. 어떤 인간이 3c에 16스퀘어로 작업하려고 할까요? 그냥 25로 가는 거죠.
    그런 미친 놈이 있을 수도 있죠
    근대 그게 안전해질까요? 장담하나요?
    전기혁명님의 설명에서 참말로 배울게 많아요. 하지만
    안전을 이유로 정치적으로......... 한치수 올리고 조정하는 과학을 믿어야 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