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남미는 스페인을 어떻게 생각할까? 증오 혹은 동경?

Sdílet
Vložit
  • čas přidán 13. 08. 2022
  • * 출간 도서 '삶이 허기질 때 나는 교양을 읽는다' 구매 링크 : bit.ly/3tnybpW
    중남미는 스페인의 지배를 300년 간이나 받았습니다. 스페인의 중남미 지배는 ‘검은 전설’이라고 할 정도로 정말 가혹하고 악랄했죠. 무엇보다 스페인은 중남미에서 메스티소라는 새로운 인종을 만들어냈습니다.
    지금 이 땅엔 스페인어를 쓰는 나라가 19개나 됩니다. 그리고 중남미의 6억5,000만 명 중 약 70%가 스페인의 혼혈인 메스티소입니다.
    콜럼버스가 이 대륙에 발을 들여놓은 지 500년이 넘었고, 독립한 지는 200년이 되었습니다. ‘조상으로서의 스페인과 정복자로서의 스페인’. 이 혼란스러운 정체성을 가진 중남미인들은 지금 스페인에 대해 어떻게 생각할까요?
    #중남미스페인갈등 #스페인을싫어하는나라 #중남미스페인영향력

Komentáře • 1,8K

  • @poihoi1241
    @poihoi1241 Před rokem +1999

    언어를 같이 쓴다는게 진짜 크네요. 한국도 식민기간이 100년 정도 되어 한국어 말살 됐으면 독립했더라도 유사일본이 됐을 것 같아요. 우리말 보존하기 위해 노력하신 독립유공자님들이 존경스럽습니다.

    • @jjangrymoomin762
      @jjangrymoomin762 Před rokem +93

      아일랜드가 대표적인 예죠.

    • @fiercehan6791
      @fiercehan6791 Před rokem +10

      @@jjangrymoomin762 아일랜드 영어인가보죠?

    • @JinMalJa
      @JinMalJa Před rokem +1

      현실은 미국이 일본에 핵날려서 독립.

    • @JaeHyunPark
      @JaeHyunPark Před rokem +123

      @@fiercehan6791 영어와 아일랜드 어 둘 다 사용함

    • @jjangrymoomin762
      @jjangrymoomin762 Před rokem +173

      @@fiercehan6791 원래 게일어 쓰는 민족이었고 현재도 게일어가 국어이긴 한데 사실상 거의 영어가 주류죠.

  • @jang-whanbae2742
    @jang-whanbae2742 Před rokem +868

    워낙 오랜시간 식민지로 살았고 이름도 이미 스페인식입니다. 교육도 스페인어로 받습니다. 적개심은 300년의 식민지 시간과 독립후 200년의 시간이 지나면서 희석되었습니다. 영어를 잘 못하니 근처의 미국이나 캐나다로 유학을 가는 것보다 말이 통하는 스페인으로 많이 가니 스페인을 자신들의 문화의 고향으로 여기는 의식이 다분합니다. 정말 현실적인 내용을 잘 만드셨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js4qu5ck4o
      @user-js4qu5ck4o Před rokem +12

      중남미에서는 영어 교육을 제대로 안 하는 듯.
      아니면 그냥 전체적으로 교육 수준이 애초에 낮거나

    • @jang-whanbae2742
      @jang-whanbae2742 Před rokem +197

      @@user-js4qu5ck4o 필요가 없는겁니다. 우리야 교역량이 목숨줄이라 영어 중국어 배우지만 남미는 자원도 풍부하고 mercosur 라고 남미 전체가 경제공동체 처럼되어있죠. 스페인어만 해도 먹고 사는데 지장이 없습니다. 플로리다나 캘리포니아 왠만한데는 영어 안쓰고 스페인어만으로도 살아가니까 필요성을 덜 느끼죠.

    • @sper1543
      @sper1543 Před rokem +26

      @@jang-whanbae2742 손익비를 생각해서 그나마 스페인이 편하게살고있는 듯 한국도 과거에 강해서 아시아를 정복했으면 나쁜말을 물론 들을지언정 지금은 그나마 편하게 살았을텐데

    • @alaskakim3172
      @alaskakim3172 Před rokem +86

      @@user-js4qu5ck4o 스페니쉬 사용인구가 거의 9억이라 영어의 필요성이 거의 없음
      미국 이민사회에서도 히스패닉 채널이 따로 있을 정도로 영어권에 대해서 무관심임.
      또한 본토 에스빠냐보다 오히려 식민지였던 메히꼬에서 스페니쉬 사용인구가 더 많음 ㅋ

    • @isabelakke
      @isabelakke Před rokem +34

      당장 미국도 스페니쉬 비율이 두자리수 넘어간지 꽤 돼서 배울 필요를 못느끼는 경우가 대부분인듯...

  • @laballena4059
    @laballena4059 Před rokem +311

    현지에서 살았었는데, 정말 잘 정리하셨다고 생각되네요.
    사실 지금도 중남미에선 인종 피라미드가 존재합니다. 일부 성공한 중동, 아시아계 이민자들도 있지만
    아직도 주류는 스페인을 위시한 백인들이고 이들이 권력 미디어 돈 전부 틀어쥐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거든요.

    • @user-lz7nl2sh9t
      @user-lz7nl2sh9t Před rokem +6

      @@user-ut7xi7wm4p 현대 사회를 경험하지도 못한채 노예로 부려먹히거나 사망했는데 생각 참 편하게 하시네요 ㅎㅎ

    • @user-yl7uj7tl1u
      @user-yl7uj7tl1u Před rokem +17

      @@user-ut7xi7wm4p ‘현대의 상식‘이라는 것도 주관적이고 흑인, 동양인을 동물원에 전시시키는게 ’현대 문화‘인가요?
      그럴거면 2살짜리 애기한테 어른처럼 행동하라고 하죠

    • @user-he7by3cy2w
      @user-he7by3cy2w Před rokem +5

      @@user-ut7xi7wm4p 인종 차이때문 이라고 쓰지 않았고, 어찌됐든 순혈 백인들이 힘을 쥐고있다 결과론을 이야기 한 것입니다. 오해하고 글을 쓰셨네요.

    • @user-lm9ms8pt9c
      @user-lm9ms8pt9c Před rokem +1

      @@user-ut7xi7wm4p 네 인종차별 맞죠

    • @uppercut4245
      @uppercut4245 Před rokem +9

      @@user-ut7xi7wm4p 댓글을 달기 전에 '제대로 읽고 이해하는' 과정을 거치는걸 추천합니다

  • @Daniel-un4ek
    @Daniel-un4ek Před rokem +108

    평소 궁금했지만 잘 알 수 없는 귀한 콘텐츠를 이렇게 편하게 알려주셔서 정말 고맙습니다. 이번 주제는 제가 정말 알고싶어하던 주제였습니다!!

  • @user-nv6qx3lw4h
    @user-nv6qx3lw4h Před rokem +150

    이정도 퀄리티의 내용을 집에서 누워서 볼수있는세상.. 너무 좋다

  • @wakawakakilo5164
    @wakawakakilo5164 Před rokem +37

    볼때마다 뭔가 시청자들이 보고싶어할만한걸 잘 집어내는 능력이 최고라고 생각합니다

  • @Appletree-db2gh
    @Appletree-db2gh Před rokem +35

    정말 생각지 못했지만 제목만 봐도 궁금한 주제네요! 항상 감사해요!

  • @user-oi6fn1ry4j
    @user-oi6fn1ry4j Před rokem +21

    컨텐츠가 너무 좋아요
    평소 궁금했는데..
    찾아보기 힘든 내용이예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gtl4913
    @gtl4913 Před rokem +86

    주제 선정은 정말 많은 지식 채널 중에서도 돋보이시는거 같습니다! 늘 흥미진진하게 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orangeblue8493
    @orangeblue8493 Před rokem +26

    원주민들은 이제 거의 없고 정복자들의 후손이 다수라서 그렇죠.
    한일관계랑은 아주 큰 차이가 있음

    • @onlooker_chatty
      @onlooker_chatty Před rokem +1

      한국땅에 일본인들이 다수라고 생각하니 소름끼치네요

    • @mercy1459
      @mercy1459 Před 4 měsíci +1

      Mestizos( hijos de nativos americanos y españoles )
      Nativos ( los originales )
      Criollos( hijo de españoles europeos peninsulares nacidos en países Americanos)
      Castizos ( hijo de mestizos y criollos )
      Depende a qué raíz te refieres.

  • @user-iu5nk5ql3p
    @user-iu5nk5ql3p Před rokem +31

    중남미 축구선수들이 유럽의 빅리그에 와서 아시아계 축구 선수들을 향해 눈을 찢는 포즈를 하며 인종차별을 하는게
    이해도 안가고 쟤네들은 무슨 정신머리로 저러나 싶었는데
    자신들을 일종의 명예백인(?)으로 생각하는 거였군요

    • @jason020907
      @jason020907 Před rokem

      원래 근본 없는 놈들이 더해요 ㅋㅋ

  • @user-ri9mr1pv8y
    @user-ri9mr1pv8y Před rokem +8

    유튜브에서 이런 교육적인 영상은 처음같아요.. 넘 유익하네요..

  • @euphorim
    @euphorim Před rokem +220

    너무 유익하고 재밌어요 교수님!!
    단순 여행만으로는 캐치하기 힘든 그 문화권 사람들의 인식이나 세계사적 맥락 같은 것을 척척 짚어주시니까 제 시야가 트이는 기분입니다. 항상 감사합니다.

  • @user-bo6vk1qb3v
    @user-bo6vk1qb3v Před rokem +9

    평소 항상 궁금했던 내용인데 너무너무 유익했습니다 교수님!!

  • @leehan1091
    @leehan1091 Před rokem +52

    항상 궁금했던 주제인데 마침 영상으로 만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그럼 중남미 학교에서 국사를 배우면 스페인 역사도 같이 배우는 지 궁금하네요.

  • @user-zm7td1zo8v
    @user-zm7td1zo8v Před rokem +9

    이쪽 역사는 잘 몰?루는 부분이었는데
    이렇게 다뤄주셔서 고맙습니다♡
    흥미진진 하게 잘 봤습니다.

  • @deadpool113
    @deadpool113 Před rokem +186

    영상보고 많은 부분 공감합니다. 저도 멕시코 문화에 빠졌던 적이 있고 중남미 출신 친구들이 좀 있었습니다. 비슷한 바이브를 모두 갖고 있습니다. 의외로 인종은 다양한데 지역 별로 차이가 있으면 있지 한 동네 살면 크게 신경 안 쓰는거 같더라고요. 그리고 스페인에 대해서도 딱히 악감정을 갖는다던가 그런건 없어보이더라고요. 오히려 스페인 사람이라도 있으면 뭔가 같은 스페인어권 친구라고 동질감을 느낍니다. 스페인 사람도 멕시코나 푸에르토 리코 콜롬비아 페루 니카라과 이런 쪽에 들어가면 위화감 없이 두루 잘 지내고 반대도 그렇습니다. 굳이 역사 얘길 하면 씁쓸한 생각은 들겠지만 동시에 이미 라티노들은 스페인도 자기의 뿌리라는 생각을 합니다. 싫든 좋든요. 과거에는 전혀 다른 인종의 아메리카 원주민들이 살았으나 확실히 지금보는 중남미인들은 백인의 피가 많이 섞였습니다. 스페인도 굳이 따지면 식민지 수탈에 안타까움을 느끼지만 막 감정적으로 사죄해라 미화하자 이런것도 없고 그냥 오히려 옛날 이야기로 객관적으로 보는 편입니다. 애초에 그런 아픔을 느낄만한 세대는 이미 역사책으로 들어갔고 당장 스페인도 자기네 근현대사에 가난과 내전의 아픔이 있어서 오히려 스페인 사람들이 살고 싶어서 멕시코나 브라질이나 아르헨티나로 이민 가고 그랬습니다. 중남미는 지금 시점에는 오히려 그런 아픈 감정은 미국에게 갖고 있습니다. 미국 때문에 피 본 나라가 중남미에 너무 많거든요. 물론 미국이 그런 식으로 일부 라티노 국가를 파탄으로 이끈 것도 스페인이 만든 환경 때문이긴 합니다. 사실 멕시코부터 남쪽 끝 아르헨티나와 칠레까지 심지어 서쪽으론 스페인에게 300년 넘게 지배받은 필리핀도 모두 비슷한 사회문제 정치적 실패, 무능과 부패를 겪고 있습니다. 심지어 필리핀도요. 즉 스페인이 한 식민정책이 지금까지 부작용을 일으키는거죠. 그래도 어쨌든 그 정도까지의 악감정은 없습니다. 당장 본인 혈통에 스페인 혈통이 있거든요. 한반도보다 조금더 큰 나라 사람들이 넓게보면 캘리포니아와 텍사스부터 밑으로는 아르헨티나 구석구석까지 본인들 씨앗을 뿌리고 다녔거나 정착했다는 사실이 신기하기도 합니다. 그 정도까지 했으면 스페인이 텅텅 빌것 같기도 한데말이죠.

    • @io5438
      @io5438 Před rokem

      마지막 줄에 답하자면 혈기왕성한 군인들이 매일같이 여자들 갈아치우면서 강간 했으니 그럴만하다고 봄

    • @girun7455
      @girun7455 Před rokem +6

      히야 흥미롭네요

    • @user-iy8no2bs4x
      @user-iy8no2bs4x Před rokem +14

      스페인 식민정책 탓이라기엔 그 나라들 원래부터 좀 막장이긴 한거 같기도 함......
      인신공양, 식인에 어린아이 해골거탑, 해골휘파람 악기, 피과자
      진짜 소름이 덜덜 돋더군요....

    • @CommentAndDDabong
      @CommentAndDDabong Před rokem +52

      @@user-iy8no2bs4x 자꾸 아즈텍 얘기를 하는 사람이 많은데 아즈텍 제국 영토는 현재 멕시코에서도 극히 일부 지역이었습니다. 그런데 알다시피 스페인은 멕시코만 먹은게 아니라 콜롬비아, 베네주엘라, 페루 열거하기 힘들 정도로 많은 지역을 정복했죠

    • @gomymi637
      @gomymi637 Před rokem

      원래부터 원주민 문명이 빈한하여 스페인보다 우월감 느끼긴 힘들었을것. 그래서 당시 원한은 있었지만 스페인을 뒤엎어 자신 정체성을 다시 찾을 의지는 가질필오가 없었을듯. 우림 일제 침략후 민중들이 힘에 지배는 당하지만 문명.문화는 일본보다 훨 우월하다고 생각했다는 조사결과가 있음.
      일본문화에 패배감 느끼고 동경했다는건 토왜들 왜곡에의한 일베들의 못난 인식임.

  • @alejandrolee3401
    @alejandrolee3401 Před rokem +15

    와 스페인 살면서도 몰랐던 내용이네요...
    너무 유익하고 재미있는 콘텐츠 감사드립니다.!!

    • @Ju_Tube23
      @Ju_Tube23 Před rokem

      스페인에서 사는거 만족하세요?

    • @alejandrolee3401
      @alejandrolee3401 Před rokem +1

      @@Ju_Tube23 네 남눈치 안보고 사는게 너무 좋아요~

  • @RyeedAglan
    @RyeedAglan Před rokem +74

    오... 너무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각 나라별로, 문화와 역사적 근거를 바탕으로 쉽고 친절하게 설명해주신 덕분에 이해가 잘 됐어요. 스페인어를 공부하고 있는 중인데, 정말 도움이 많이 되었습니다.

  • @user-ge8dm5or7w
    @user-ge8dm5or7w Před rokem +31

    지식브런치 많이 발전하심에 감격입니다ᆢ

  • @user-jf4hi2lt4m
    @user-jf4hi2lt4m Před rokem +3

    이거 관련해서 과제한 적 있는데!!! 지식브런치님 오늘도 흥미로운 영상 감사합니다 ㅎㅎ

  • @hiyong8259
    @hiyong8259 Před rokem +18

    원주민이 많이 죽은것도 큰 작용도 있다고 생각해요. 한번의 원주민의 대 멸종이후 사실상 혼혈들이 이끈 역사라 그런 의식이 큰것같아요

  • @user-uw9yf6ye6y
    @user-uw9yf6ye6y Před rokem

    와우......진짜 재밌어요 아메리카 역사쪽에 무지했는데 덕분에 시야를 조금씩 넓혀가고있어요 ㅎㅎ 이렇게 편하게 봐도되낭~~ㅎㅎ

  • @Rhosclsgdk
    @Rhosclsgdk Před rokem +388

    어쩜 이리 잘 파악하셨는지 놀랍네요. 스페인어 전공해서 맥시코 일년반 살다오면서 제가 느낀대로입니다. 멕시코에서는 스페인의 침탈을 아픈 자신의 탄생배경으로 보는건 있어도 스페인 자체를 이제 약탈자로 보지는 않는 것 같습니다. 악역은 미국이 다하고 있어서요.

    • @alaskakim3172
      @alaskakim3172 Před rokem +22

      그 정도가 아니라. 어떠한 문명의 정통성이 Spaniards라고 인식함. 스스로가 자신들 자랑스런 반도 출신이라며 자랑한다

    • @OhSoLiliana
      @OhSoLiliana Před rokem +69

      실제로 미국이 영토도 확장하고 그래서요...ㅋ 캘리포니아 뉴멕시코 텍사스의 일부등 전부 멕시코꺼였는데 빼았...ㅋ

    • @csaino6480
      @csaino6480 Před rokem

      대륙에서 흥망한 다른 나라들처럼 여러번 멸망하고 다시 세워진게 아니라 도시국가->멕시코로 바로 넘어간거라 원주민 때의 도시국가 시절을 우리가 고구려 신라 보듯이 보고 스페인 치하 탄생한 멕시코가 자신들의 정체성에 더 가깝다고 느끼는 그런 거임?
      멕시코인들에게 역사 속의 스페인이 현재와 동일한 스페인이라기보단 우리로 치면 고려를 정복한 원나라랑 비슷하게 느끼는거?

    • @blackdragonangrycat
      @blackdragonangrycat Před rokem +37

      미국-멕시코 전쟁으로 빼앗아 간 땅 크기 생각해보면 정말 이를 안 갈수가... 그마저도 히스패닉 유입 막는다고 (불법이민자 문제는 핑계입니다. 당장 타민족의 이민 승인 허들 대폭 높인거 보면 딱 답이 나오죠.) 국경 장벽까지 세울려 시도 했으니 더더욱 인식이 나빠졌죠.

    • @alaskakim3172
      @alaskakim3172 Před rokem

      @@blackdragonangrycat 그 잘난 아메리카를 흑인 + 히스패닉이 골라서 망치고 있는데 ㅋ

  • @banihayoga2979
    @banihayoga2979 Před rokem +4

    틈새의 소소한 궁금증을 어쩜 이렇게 잘 알려주실까요?^^ 지식브런치 선생님께 항상 감사합니다!

  • @hyoungyeolyoon3326
    @hyoungyeolyoon3326 Před rokem +7

    저도 졸업논문 쓸때 페루에 관해서 작성했었는데 페루가 독립한 이후에도 원주민들이 원주민 전통을 부활시키자면서 봉기를 여러번 일으켰는데 그 때마다 메스티소랑 백인들이 손잡고 원주민 반란을 진압했었고, 근대화도 백인들이 원주민을 강제로 메스티소화 시키면서(스페인어만 교육, 원주민어 쓰면 취업에 불이익, 빈곤해진 원주민들이 도시로 이주하고 후손들에게 원주민어를 가르치지 않도록 유도, 서류상 메스티소로 등록하기 등) 이루어졌다는 걸 보고 얘네는 표면적으로는 원주민을 내세우지만 실질적으로는 자신들을 콩키스타도르의 후손으로 여긴다는걸 알겠더라고요. 원주민이 많고 백인이 소수인 페루가 이정도인데 다른 남미 국가는 말 할 것도 없을겁니다.

  • @byUrim
    @byUrim Před 10 měsíci

    평소에 궁금했었는데 영상 잘 보고 갑니다.

  • @ryan_0410
    @ryan_0410 Před rokem

    ㄲ ㅑ 정말 재미있게 잘 봤습니다. :)

  • @1derfuldays
    @1derfuldays Před rokem +153

    저 지역 축구선수들이 자주 보여주는 동양인을 우습게 여기는 도발을 접할 때마다 도대체 저건 어디서 비롯된 자신감인가 했는데
    식민지들 중 가장 잔인한 대우를 받았음에도 혼혈과 언어, 종교 그리고 백인혈통에 가까울수록 대접받는 사회에 길들여져 온 결과였다는 생각이 드네요

    • @ebichu8126
      @ebichu8126 Před rokem +3

      피부 하얀것이 중요.

    • @hyukjaes
      @hyukjaes Před rokem +1

      네 그건 뇌피셜.

    • @user-mz9wt9lv2j
      @user-mz9wt9lv2j Před rokem +4

      본인들이 지배자 후손이라 그런거 아닐까요?

    • @ebichu8126
      @ebichu8126 Před rokem +7

      @@hyukjaes 네다흑

    • @scottlafarogood
      @scottlafarogood Před rokem

      정작 우월한 스페인 혈통은 별 신경안쓰는데 제일 시커멓고 열등하고 미개한 원주민 혈통놈들이 동양인을 무시하네ㅋㅋㅋ

  • @iam-yu8yo
    @iam-yu8yo Před rokem +7

    전부터 궁금했었는데 남미에 대한 인식에 큰 도움이 됐습니당!!

  • @user-tm7fl3zm1c
    @user-tm7fl3zm1c Před rokem +2

    지식브런치 책도 너무 좋아요! 내용을 모아서보니 쏙쏙들어오더라구요. 지식이 쑥쑥 자나라고있어요^^

  • @user-oo6nj7xr2m
    @user-oo6nj7xr2m Před rokem +1

    20대 초반입니다. 너무 재밋어용 쏙쏙들어와용

  • @hihih5h5
    @hihih5h5 Před rokem +101

    저도 아르헨티나 친구가 있는데 자국 문화와 스페인어에 대한 자부심이 대단하더라구요. 그 친구는 스페인계와 독일계 혼혈이라 그런지 유럽에 대한 증오보다는 자신들의 문화적 원류로서의 유럽을 생각하던게 인상깊더라구요. 그래도 원주민 학살이나 계급적 인종차별은 요즘 들어 많이 얘기가 되는 편이었는데, 과거엔 아르헨티나는 그냥 백인국가이고 다른 혼혈국가보다 위에 있다는 인식이 강했고 아직도 어느정도 남아있다고 말하더군요.

    • @user-mz9wt9lv2j
      @user-mz9wt9lv2j Před rokem +1

      찐 백인인가요?

    • @hihih5h5
      @hihih5h5 Před rokem +14

      네 그냥 남유럽 백인같이 생긴 친구에요

    • @user-mz9wt9lv2j
      @user-mz9wt9lv2j Před rokem +2

      @@hihih5h5 그렇군요.

    • @user-lx9et1om8g
      @user-lx9et1om8g Před rokem +11

      아르헨티나는 국가적으로 원주민을 학살하는 정책을 펼쳐서 다른 남미국가보다 백인 비율이 높다던데 정말로 백인이 더 많나요?

    • @hihih5h5
      @hihih5h5 Před rokem +7

      안가봐서 모르겠는데 제가 아는 아르헨티나 사람들은 다 백인이었어요

  • @bsluis2786
    @bsluis2786 Před rokem +22

    마지막 문구, 정서적으로나 문화적으로 가장 가까운나라 이게 제일 인상적이였네요. 귀한 영상 담아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cm6ye7ht7v
    @user-cm6ye7ht7v Před rokem +1

    브라보!!!! 아름다운 주제, 심오한 분석, 완벽한 딕션 감동입니다~~~~ 그리고 이번 주제에서 중남미의 험준하고 광대한 지리적 요건도 한번쯤 생각케 하는군요.
    전세계에서 가장 밀집된 인구밀도로 이루어진 한반도, 일본열도와 구별되는 지리적 차이가
    저런 나비효과를 일으킨 요인 중 하나 아닐까 생각키워 봅니다.
    당시 험난한 대서양 항로 너머 경영해야할 식민지라니... 독자적 세력들이 자기들의 세계를 만들수밖에...

  • @user-nw5uc7ll3q
    @user-nw5uc7ll3q Před rokem +2

    오...유익함

  • @SH-uu7yl
    @SH-uu7yl Před rokem +295

    저도 스페인 세 달 여행하는 동안 가장 많이 와닿으면서 복잡한 얘기였어요! 서로 비난하고 차별하고... 그러면서도 또 한일관계랑은 다르고.... 이렇게 정리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fo4rm2by7b
      @user-fo4rm2by7b Před rokem +9

      한일은 100년도 안됐어요……

    • @user-ud5td4yo8k
      @user-ud5td4yo8k Před rokem +7

      한일은 뭐 다를지 아냐.

    • @Cokeflavorgummy
      @Cokeflavorgummy Před rokem +3

      피억압 부족으로 심장 뽑아 제믈 받쳐지던 남미인들이 코르테즈보다 더 잔혹하게 같은 남미문명을 멸망시켰습니다. 쉽게 말해 우리가 맥아더의 도움로 일본 본토를 점령했는데 30년간 싸우던 독립군들이 맥아더가 아무리 하지말라고 말려도 일본인 여자, 아기 할거 없이 싹다 씨를 말려버리는거죠. 그게 진짜 초기 모습입니다.

    • @skang4732
      @skang4732 Před rokem +10

      ​@@Cokeflavorgummy횡설수설하는 글은 둘째치고... 인신공양은 멕시코 일부 지역인 아즈텍에 국한된 이야기인데 왜 그걸 넓디넓은 중남미 대륙 전체에 일반화해 적용하는지요?

    • @Cokeflavorgummy
      @Cokeflavorgummy Před rokem +1

      @@skang4732 횡설수설없고 논리명확하단다. 그렇게 보이는건 니지식이 부족한거고.
      아즈텍이 남미 대표 문명이고 그런 아즈텍이 남미 다른 지방 작은 부족들 잡아다가 인신공양한거야.
      그리고 그 남미 대표 문명을 멸망시킨건 백인이 아니라 같은 남미 피억압부족이고.
      친절하게 일본패망으로 예까지 들어 줬는데 못알아 먹으면 희망이 없다 그냥.

  • @osaka_kon
    @osaka_kon Před rokem +40

    언어는 정말로 많은 것을 담고 있는 거 같습니다…!
    남미를 빗대어 우리의 이야기를 하신 것도 같고.^^
    좋은 영상 오늘도 이렇게 공짜로 잘 보았네요! 감사합니다!!

  • @user-do7tq7ku4r
    @user-do7tq7ku4r Před rokem +2

    정말 재미있어요

  • @user-vm1mq1hz9b
    @user-vm1mq1hz9b Před rokem +1

    잘보고있습니다

  • @bluebird5610
    @bluebird5610 Před rokem +3

    궁금했는데 너무 감사합니다
    지식채널답게 댓글수준도 높아서
    댓글읽는 재미도 쏠쏠 하다옹^^~

  • @inuhwang4278
    @inuhwang4278 Před rokem +128

    채널 주제들이 모두 흥미롭습니다. 이번에 아프리카 중 한 나라에 거주하게 되었는데 아프리카 대륙 관련 주제도 많이 올려주셨으면 좋겠어요! 나라가 54개나 있는데 우리나라에서는 아프리카 한 덩어리로만 인식되는 것 같아서 아쉽더라고요. 남미처럼 아프리카 또한 유럽에 대한 증오와 동경이 혼재해 있는 것 같아 슬프기도 하고 이해가 가기도 합니다.

    • @ptahoteff
      @ptahoteff Před rokem +14

      중남미 국가들 중 정치권이 깨인 나라들은 원주민 문화를 복원하고 거기서 사회 구심점을 찾으려고 애를 쓰고 있어요.
      이럴 때 중남미 국가들에게 한국을 장래의 파트너로 삼는 것이 현명한 일이라고 여기게 하는 것이 한국에게도 전혀 새로운 기회를 줄 겁니다.

    • @user-qm5dq6jn5i
      @user-qm5dq6jn5i Před rokem +1

      깨인 나라????베네수엘라 페루 볼리비아등등 거지같이 못사는 동네들 ㅋㅋㅋㅋㅋ그 깨였다라는 의미가 그저 정치적 술수에 놀아나는 바보 갬성 국민들의 자위 아니냐 그 무엇도 타파하지 못한 주제에 ...절대 친스페인 정서를 옹호 한건 아니다 다만 철저히 약육강식 시대인 과거를 냉철 하게 바라보는데에 거부감이 덜한 반 백인 국가가 그나마 잘 사는데에는 설명이 필요하다..옳고 그르고를 떠나 성공한자의 엘리트 의식을 반쯤이라도 공유하고 그 과거를 자유분방하게 해석하고 이로인해 이 트라우마에 조금이나마 해방 되었다면 좀 더 마래를 설계하는데 조금이나마 집중하지 않았을까.. 스페인이 별 볼일 없는 나라가 되었다고 그 크기가 남미 모든나라에 똑같이 적용 되지는 않는다..미친 경쟁의 글로벌 사회에 적응하기 위해 나아가야 할 한국을 보고 아직도 일본만 이기면 된다는식의 일본 반응이나 살피고 시야 좁고 옹졸한 반일 열등의식을 기반삼아 장사 하는 인간들이 있는 한 우리도 남미 촌구석 국가의 굴레에서 벗어나지 못할거다 산업 근대화 시기 박정희니 이병철이니 반쯤 일제에 덫에 반 쯤 빠졌던 사람들이 성공하여 국가를 도약하게 했던것이 폐괴적 선악관에 빠져 옴짝 달삭 못한 한국인들에게 새로운 사고의 틈을 벌려 준게 그나마 다행인듯 싶기도 하다 10대 경제대국은 뭐 아무나 하는건 아니니까

    • @123carth
      @123carth Před rokem +3

      과거에 서양에서 한국 일본 중국 덩어리로 인식한 거나 비슷 이건 우리 탓이 아니라 아프리카 애들이 잘해야죠

    • @GOVERNORofBRITISHschoolCOLONY
      @GOVERNORofBRITISHschoolCOLONY Před rokem +1

      난 아프리카를 나라로 알고 있는 사람도 봄...

    • @cafe99days
      @cafe99days Před rokem

      @@123carth 님 주장대로라면 한국,일본, 중국 셋다 잘 못해서 서양에서 한 덩어리로 본거네요? 뭘 잘해야한는거죠? 각자 나라가 다른데? 한덩어리로 보는게 무지한건데 무지한건 뭐 부끄러워 하지는 않아도 뻔뻔하지는 말아야죠.

  • @user-footballgeniusJYP

    영상 잘 봤습니다. 아프리카가 프랑스 or 영국을 어떻게 생각하는지도 궁금하게 되네요

  • @user-ss4hf6pr4r
    @user-ss4hf6pr4r Před rokem +2

    중미 화폐에 스패인 정복자 사진이 크게 찍혀있기에 놀랐으며, 스패인 정치에 놀랐습니다.. 잘 봤어요 감사합니다.

  • @kimpost_264
    @kimpost_264 Před rokem +5

    그렇더라구요, 아르헨티나 친구가 스페인 사촌이 있다는데 웬지 모를 자부심을 느끼는 모습이 신기했어요.

  • @user-dh5pn3gn7r
    @user-dh5pn3gn7r Před rokem +5

    지식브런치는 내용도 내용이지만 KBS다큐에서 본 나레이션이 반박을 못하게 하고 몰입하게 함 ㅎㅎㅎ 쭉쭉 가즈아

  • @Jason-kq4lm
    @Jason-kq4lm Před rokem +1

    항상 궁금했던 주제인데 딱 찝어서 설명을 ㅎㅎ 재미있네요.

  • @Jin-ci2od
    @Jin-ci2od Před rokem +1

    제가 미국에서 궁금했던건데 !! 라틴아메리카에 대한 역사를 거의 몰랐어요. 같은나라 사람인데도 외모가 겡장히 달라서 왜그럴까 궁금했는데 딱 알려주시네요.

  • @xot2389
    @xot2389 Před rokem +37

    제가 예전에 만나던 친구가 멕시코사람이라 이거 관련해서 얘기나눈적이 있는데요 일단 그친구는 스페인에 대해 별 감정이 없었지만 멕시코 내에서는 스페인에 대해 아직 악감정이 남아있긴 하다고 합니다. 몇년전에 스페인 정부에 식민시절 통치를 사과하하는 시위를 하기도 했는데 스페인측에선 너무 오래전 일로 사과하는것은 어리석고 우리들 덕분에 너희들이 발전할수 있지 않았냐 라는 태도로 나와서 많은 멕시코인들이 분노했었다고 해요.
    그리고 스페인이 멕시코의 뿌리 (문화, 전통, 역사)등을 아예 없레버린 것에 대해서는 그친구도 조금 반감이 있긴 하더라구요. 스페인에 대해선 별 감정이 없지만 스페인을 멕시코의 영웅으로 묘사하는걸 보면 화가 조금 난다고는 합니다.
    우리도 젊은 10~20대 사이에선 일본에 반감이 별로 없듯이 멕시코도 어린 세대는 스페인에 큰 감정이 없지만 나이드신 분들중엔 스페인에 대한 악감정이 꽤 남아있다는게 현지사람의 시각이네요

    • @user-6626
      @user-6626 Před rokem +2

      뭐든 가해자 태도땜에 악감정을 갖는거지요
      역사를 잘 가르쳐야하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 @burritorico600
      @burritorico600 Před rokem +3

      실제로 스페인 젊은 사람들도 왜 굳이 사과? 옛날 일인데~ 라는 식의 태도가 강하죠 ㅋㅋ 우리가 뭔 죄냐고 오래전 역사의 일부다라는 식으로 반응하는데 그러려니 합니다

    • @mercy1459
      @mercy1459 Před 4 měsíci +2

      Lo que no dices que el Presidentes Mexicano es Hijo de Españoles.
      Simplemente porque se debería si a la final por algo existe México ,antes de eso eran diferentes etnias nativas en guerras

    • @remy0209
      @remy0209 Před 2 měsíci

      ​@@mercy1459esta mezclado como la mayoría de los latinoamericanos

  • @myung-jinkwon6899
    @myung-jinkwon6899 Před rokem +7

    인문학적 견지를 확장한다는게 무슨 말인지 확실히 알게 해준. 컨텐츠가 언제 올라오나..기다리는 채널.

  • @imim5932
    @imim5932 Před rokem +1

    이거 진짜 제대로 만든 영상이네요. 복잡한 내용을 쉽게 알 수 있어 좋았습니다

  • @oryzasativa7746
    @oryzasativa7746 Před rokem +2

    와 한 6만 때부터 봤던 것 같은데 교수님 벌써 50만이 지척이네요. 미리 축하드립니다!

  • @user-if9vb4gi3l
    @user-if9vb4gi3l Před rokem +9

    현재 스페인이 이 지역에 정치적 영향이 없다는 부분에서 큰 동감을 하는게 반대로 서아프리카 같은 경우 독립한 이후에도 프랑스 영향력이 강해서(대표적으로 이 나라들은 독립국이지만 화폐발행권은 아직도 프랑스가 가지고 있고 오죽하면 미국도 프랑스 눈치보여서 이 지역은 건들지 않을지경) 지금도 반프랑스 정서가 강한거 보면 현재 정치적 영향력이 없다는게 크긴 합니다

  • @hjchun846
    @hjchun846 Před rokem +4

    최근에 이 채널을 알게 돼서 보고 있는데 너무 유익하고 재미있네요. 감사합니다!

  • @nuguna_drum
    @nuguna_drum Před 8 měsíci +1

    너무 유익하고 재밌네요... 정말 이런지식을 가지신 분은 흥해야 합니다!!! 너무 감사드립니다~~

  • @JinMalJa
    @JinMalJa Před rokem +75

    이거는 가끔식 궁금할때가 있었는데 다뤄주셔서 감사합니다. 참고로 옆나라인 포르투갈과 브라질의 관계는 매우 좋았답니다.

    • @fiercehan6791
      @fiercehan6791 Před rokem +2

      어떤점에서 안좋죠???

    • @ocean.color.
      @ocean.color. Před rokem +6

      @@fiercehan6791 좋다고 써져 있는데요? 수정해서 그런가?

    • @JinMalJa
      @JinMalJa Před rokem +8

      @@ocean.color. 처음썼을때도 안좋다고 안썼습니다.

    • @vickimstar
      @vickimstar Před rokem +3

      저기는 아예 포르투갈 왕실이 브라질로도 가있던 적도 있을정도 아닌가 ㅋㅋ

    • @user-mz9wt9lv2j
      @user-mz9wt9lv2j Před rokem +1

      @@vickimstar 그렇죠.

  • @user-jx4mv3ex6j
    @user-jx4mv3ex6j Před rokem +3

    영국 식민지배를 받았던 동남아 국가들의 영국에 대한 장서에 대해서도 알려주세요!

  • @812gts
    @812gts Před rokem +4

    확실히 언어의 제약은 늘 통제의 수단으로 활용 된다는 것을 느끼게 합니다.
    그것이 꼭 식민지배가 아니더라도 말이죠.

  • @user-nr5kd9cr3z
    @user-nr5kd9cr3z Před rokem +1

    정말 궁금했었는데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 @SwichiUchi
    @SwichiUchi Před rokem +1

    생각해본 적은 없는데 듣고보니 궁금해지는 컨텐츠

  • @carlitotj28
    @carlitotj28 Před rokem +58

    남미에서 30년 넘게 거주 중입니다. 정말 재밌게 선생님 영상을 보고 많은것을 배우고 있습니다. 이영상을 보고 제 학창시절을 돌이켜 보면 역사 수업에서 스페인을 나쁜 이미지로 가르치지 않았던거 같아요 심지어 어떤 역사 선생님은 Tierra Madre(모국)라고 설명했던게 기억 나네요. 80년대 당시 대부분의 남미국가가 독재 정권이였는데 당시 스페인 독재자 프랑코에게 경제적으로나 군사적으로나 지원을 받은 영향도 있었을거 같아요.

    • @JamesLee-tu1ti
      @JamesLee-tu1ti Před rokem +1

      저는 라틴아메리카에 살지 않아서 잘 모르겠지만 거긴 스페인어 억양이 본토보다 많이 다른가요? 그곳에서 스페인어를 배우고 스페인을 가도 의사소통에는 별 지장 없는 수준인가요?

    • @carlitotj28
      @carlitotj28 Před rokem +6

      @@JamesLee-tu1ti 억양은 조금 다르지만 의사 소통이 안될 정도의 수준은 아닙니다...특히 아르헨티나는 이태리 이민자들의 영향을 받아서인지 이태리 악센트가 많이 섞인 독특한 스페인어를 구사하지만 본토사람들과 소통하는데는 전혀 문제 없습니다.

    • @Riton7738
      @Riton7738 Před 11 měsíci

      ​@@carlitotj28Basta che! Qué anda haciendo? Decime la posta eh?

    • @kakamel8744
      @kakamel8744 Před 10 měsíci +1

      남미에서는 스페인어라기보단 castellano 란 용어로 스페인어를 구사합니다. 일종의 방언이라할까요. 언어의 섬이란 불리는 브라질의 포르투갈어가 발음에서 상당한 차이가 있지만 그래도 좀 알아들을만 합니다.

    • @jajiteol
      @jajiteol Před 6 měsíci +1

      하도 치욕스러우서 그렇게 자기위로?정신승리?하는거아닐까....😢

  • @user-ck6zf7cw7h
    @user-ck6zf7cw7h Před rokem +46

    남미가 참 흥미로웠던게 지형탓에 기록문화가 잘 발달하지못해서 스페인이 오기전 역사가 거의 없다시피한다는거..

    • @inyeobseo9369
      @inyeobseo9369 Před rokem

      대만이 일본의 지배를 50년간 받았는데 친일 분위기 인 것도 남미와 비슷합니다. 일본에 대하여 선진문화국이라는 자부심이 강한 한국, 중국만 일본을 미워합니다. 청은 대만을 자기네 영토로 생각 안하였는데 이제 와서 통합하겠다니 아이러니하죠.

  • @allenjang4420
    @allenjang4420 Před 7 měsíci

    정리를 너무 잘 하심

  • @user-dv5gq1ic7k
    @user-dv5gq1ic7k Před rokem +2

    평소에 궁금해하던 내용이었는데 감사합니다

  • @user-he6po4wn5o
    @user-he6po4wn5o Před rokem +27

    가장 큰 이유는 원주민들이 천연두, 패스트같은 구대륙의 역병에 싹다 죽어버렸다는 거죠. 식민지배를 싫어하는 것도 싫어할 사람이 남아있어야지 이게 중남미보다 북미 카리브해가 반식민지감정이 더큰 이유이기도 한데 모자란 노동력을 대신해 데려온 흑인들은 주로 이쪽으로 보내져서임 섬의 원주민들은 조금도 안남고 멸족당해서

  • @idkw824
    @idkw824 Před rokem +26

    지식브런치가 좋은게 주제가 너무 신선함

  • @user-bf9gk8wn8q
    @user-bf9gk8wn8q Před rokem

    그렇군요.지식 브런치 맛있게 먹구 갑니다.

  • @sett9263
    @sett9263 Před rokem +1

    퀄리티 높다. 다른 허접 유튜버들에 비해

  • @user-cx8tb8yk8o
    @user-cx8tb8yk8o Před rokem +6

    오 엄청 흥미로운 주제네

  • @ksmb2333
    @ksmb2333 Před rokem +9

    귀한 이야기 감사합니다.
    중남미 정복사 그 자체가 인류가 얼마나 징글징글한 생물인지 보여주는 거 같기도 하네요.. ..
    인도도 어떻게 보면 정복자 아리안의 식민지배 - 카스트가 수천년을 이어온 거잖아용.
    그리고, 그걸 극복 못 한 나라들은 결국 차별과 폭력, 그것에 기인한 사회적 불안정, 치안 약화 등의 현시창도 못 벗어나네요.

  • @rey6196447
    @rey6196447 Před rokem +2

    스페인 관련 영상 감사합니다!

  • @seonge3346
    @seonge3346 Před rokem +2

    이채널 영상 퀄리티는 거의 ppt수준인데 내용은 압도적이네요. 잘보고 있어요

  • @user-lc4xh2em5g
    @user-lc4xh2em5g Před rokem +3

    잘 모를때는 중남미에 약간의 동질감같은게 있었는데. 좀 더 알고나니 그렇지도 않더라구요. 서구에 대한 반감있는 백인우월의 제3세계??

  • @saemsoong
    @saemsoong Před rokem +37

    어릴 때 역사적으로 유명한 사람들에 대해서 배울 때만 해도 위대한 선구자니 개척자니 그렇게만 배웠는데 크면서 깨닫게 된 건 추악한 민낯과 욕망에 굶주린 학살자 쓰레기 라는 거.

    • @Moresteponemore
      @Moresteponemore Před rokem +2

      대표적인게 나폴레옹이죠. 어린이 위인전에도 나오는 인물이지만, 히틀러 이전에 유럽을 전쟁으로 내몰고 혁명으로 일군 공화정 폐지 시키고 스스로 황제에 올랐죠. 스타워즈의 팰퍼틴 같은.. 이제는 프랑스 내에서도 의견이 갈리긴 합니다만.

    • @akremember9398
      @akremember9398 Před rokem +5

      제발 이런 멍청한 의견좀 내면 안되나. 그땐 동물의 왕국이었음 강하면 승자였다. 인권또한 전무했고 학살이 일상인 시대였는데 그래서 평화로운 조선은 왜이리 많이 맞고다니냐? 내가 감히 말하지만 도덕적감수성이 매우 뛰어났던 동양권 국가 중국 한국은 근대시기 당하기만함. 마냥 자랑스럽다곤 볼 수 없음 제국주의하던 국가들 봐라 다 지금 잘 살 잖아. 물론 지금은 정복 약탈전쟁 미친짓이겠지

    • @Moresteponemore
      @Moresteponemore Před rokem +1

      @@akremember9398 저는 제국주의 자체를 하나의 역사적 트렌드로 보는 사람이라 딱히 나쁘다거나 그렇게 생각 안합니다. 지금 G7도 다 시대적 흐름에 맞춰서 부강해진 나라고. 댓글 올리신 분 의견도 그냥 한 개인의 삶에 초점을 둔 게 아닐까 하네요!

    • @lillii1307
      @lillii1307 Před rokem +5

      @@akremember9398옛날이라고 저 야만적인 행위가 없어지는건 아님.

    • @saemsoong
      @saemsoong Před rokem +11

      @@akremember9398 콜럼버스가 활동했던 15세기. 600년 전에 인권이 전무했으니 동물의 왕국이었고 강하면 승자였다는 당신 말이 콜럼버스의 추악한 민낯을 위대한 개척가라고 포장하고 '미화' 하는 것에 대한 합리화가 될 순 없으니까요.

  • @Jay..o_o
    @Jay..o_o Před rokem +2

    아.. 혼혈 정도에 따라 계급을 나눴다니 진짜 사람은 계속 스스로를 돌아보지 않으면 어디까지 떨어질 수 있을까요. 캐나다에 몇 년 나와 살면서.. 꽤 많은 멕시칸이나 남아메리칸과 지냈거든요. 근데 언어 관련 이야기를 할 때마다 그네들 언어를 계속 스페니쉬라 하니 저도 모르게 위화감이 들더라고요. 그런 걸 어떻게 생각하는지 궁금은 한데 민감한 부분일 수 있을 것 같아서 차마 물어보기는 그랬는데.. 이렇게 알게 되네요.ㅋ 감사합니다.
    그리고 콜럼버스가 서쪽으로 항해를 시작할 때의 스페인에 대한 제 안의 인식 자체가 잘못 돼 있었네요. 얕게 알면 얼마나 자의대로 짜맞춰 생각해 버리게 되는지 다시금 생각해보게 됩니다.

    • @koreanerd
      @koreanerd Před rokem

      캐나다 미국도 잉글리쉬 쓰는데 이상할건 없죠

  • @fabianfabfab
    @fabianfabfab Před rokem +4

    남미 사람들이랑 대화해보면 스페인이나 포르투갈에 대해서 약간의 경쟁심 같은게 있더라고요. 스페인 사람한테 사기 친걸 자랑하거나 포르투갈 후지다고 험담하거나 뭐 그런 거요. 대학 입시 학원 선생님이 FAP가 뭔지 아냐고 학생들한테 물어보고 포르투갈 공군이라고 알려주니까 학생들이 낄낄대며 비웃던 기억이 나네요.

  • @quizplus00
    @quizplus00 Před rokem +48

    우리나라에서도 몽골, 여진, 거란 등 북방 유목민족의 침략을 많이 받았지만 오늘날 그들에게 적개심을 가지는 사람은 거의 없죠. (오히려 낭만을 느끼는 사람들도 많은 것 같습니다.) 아주 먼 옛날 일이기도 하고 이제 사라졌거나 우리에게 별 영향을 주지 못하니까요.

    • @user-mr6mc4ov4o
      @user-mr6mc4ov4o Před rokem +10

      이렇게 비유하니 어떤 느낌인지 확 와닿네요.

    • @user-nn4rc6ul6g
      @user-nn4rc6ul6g Před rokem +10

      그 비유도 비슷하긴한데, 만약 피부색이 다른 몽골사람들이 여전히 한반도에 남아서 정치하고 사업하고 잘 살고, 한국인들은 가난하고 하층계급 취급받고 산다면.. 🤔?

    • @dongari
      @dongari Před rokem +4

      몽골은 그나마 남아있지만 여진도 거란도 이미 사라진 것도 있겠지요.

    • @JinMalJa
      @JinMalJa Před rokem

      한국 몽골 얀슐류스 기원

    • @myrmoi
      @myrmoi Před rokem

      우리나라가 몽골 여진 거란에 침략을 받은 적은 거의 없습니다. 무슨 소리인지 역사책을 다시 보시기 바랍니다. 전통적으로 몽골 여진 거란은 한국의 형제국이라 생각했고 지속적으로 우리나라가 어려움을 겪을 때 도움을 주려 했습니다. 심지어 임진왜란 당시에도 여진을 조선에 파병을 하겠다고 제의 했었습니다. 이들 나라가 침공한 이유는 몽골은 형제국이라 우호적인 제스쳐를 주었지만, 고려가 이를 거절했고 여진 역시 조선이 2만 군을 일으켜 명군과 같이 전쟁에 참여하는등 친중국 행보로 자신들을 무시했기 때문에 화가 나서 침공을 했습니다. 실제로 이들은 우리나라를 쳐들어왔지만, 거의 완전한 자치권을 주었고 때문에 몽골 여진 거란 군이 고려와 조선에서 무슨 약탈이나 행패를 부렸다는 이야기는 별로 없습니다. 거의 정부가 항복하면 바로 철군했습니다. 오히려 역사책을 보면 명군이나 당군등 중국인들이 계속 우리나라에 주둔하려고 하면서 약탈과 행패를 부렸다는 기록들이 많습니다.

  • @Minerva908
    @Minerva908 Před rokem

    스페인어를 배우려면 스페인으로 가면 되나요, 아니면 중남미식 스페인어를 배워도 똑같나요? 이런것도 궁금하네요.

  • @hocent
    @hocent Před rokem +1

    생각하지 못했던 지점이 있네요~~

  • @myung-jinkwon6899
    @myung-jinkwon6899 Před rokem +4

    브라질 음악인 보사노바 기원 찾다가 여기까지 ㅋ 역사적 맥락에서 음악장르를 알아가는 것도 흥미로워요!🙂

  • @minuro0603
    @minuro0603 Před rokem +4

    같은 스페인어를 쓰는 남미국가들 사이에서도 사투리처럼 쓰이는 단어차이가 있어서 서로 까기도 하는데, 이베리아 본토 스페인어는 그중에서 매우 이질적이라 다른 남미 나라 출신이라도 본토 스페인어 쓰는 사람들은 웃기다고 다같이 모여서 놀려대는 그런 상황들이 있긴 합니다

  • @jinseokim1035
    @jinseokim1035 Před rokem +1

    역시 최고입니다. 영상 뜨자마자 집중해서 보았습니다.

  • @wincup
    @wincup Před rokem +1

    항상 궁금했던 점중 하나였는데, 역시 그 부분을 긁어주시는 지식브런치님.

  • @chinyun5293
    @chinyun5293 Před rokem +5

    아주 정확하게 보셨네요...박수드립니다.분석력 인정합니다 선생님

  • @dingdong_jola
    @dingdong_jola Před rokem +80

    스페인에 살고 있는 사람으로서 이번 편은 스페인인 남편과 특히 더 흥미롭게 봤어요! 새로운 것을 많이 알게되었네요. 어쩔수없이 일본이 생각나서 한국어의 소중함도 크게 느꼈습니다. 선생님 오늘도 너무 감사합니다☺️

    • @clariongraviton81
      @clariongraviton81 Před rokem

      스페인인들이 일본보다 훨씬 더 악질이고 사악한 자들이죠.. 거의 악마나 다름없을 정도...

    • @lim6538
      @lim6538 Před rokem +1

      인스타툰 잘보고있어요!

    • @user-zn5dc7jd4r
      @user-zn5dc7jd4r Před rokem +1

      ㅎㅎㅎㅎ제 남편도 스페인 갈리시아 사람인데 반갑네용 ㅎㅎㅎ

    • @ericsohn5084
      @ericsohn5084 Před 10 měsíci

      이걸 보고도 남편이 스페인 사람인여서 반가운가요? ㅋㅋㅋㅋ

    • @user-fr4or1ut1j
      @user-fr4or1ut1j Před 10 měsíci +2

      영상을 보고도 스페인남편 운운하며 천연덕스럽게 이런 댓글이 나오나... 아휴...

  • @Quidam12
    @Quidam12 Před rokem +1

    평소에 궁금하던 건데 감사합니다

  • @rain-kp6cf
    @rain-kp6cf Před rokem

    가끔 궁금했었는데 감사합니다

  • @darylyu5602
    @darylyu5602 Před rokem +45

    할아버지가 예전에 그런말을 하신말이 기억납니다.
    우리나라가 광복이 되었는데 아직 어린 학생들이 왜 기뻐하는지 몰라서 하나하나 가르쳐준적이 있다고..일년이년 지나갈때마다 사람들이 일본에 동화되어갔었다고 합니다.
    우리나라도 식민지배가 길어졌으면 저렇게 중남미처럼 되었겠죠??

    • @space27
      @space27 Před rokem +6

      그러지는 않았을겁니다.
      한국 고유의 문화가 있어서 식민지가 길어진다 해도 일본식화 한다해도 일본문화 한계가 명확해서 계속적인 항쟁이 있었을겁니다.
      예로 다락방이 과거에는 집마다 있었는데 바닥은 온돌 남방이였죠. 한국의 혹독한 겨울을 이기는 방법은 그것 뿐이였죠.
      창씨개명하고 여자 이름은 일본식 ~자로 끝나는데 그렇게 해도 족보문화가 없어지지는 않았죠.
      일본은 미국의 석유금수로 인해 전쟁 아니였어요 붕괴되었거나 일본본토가 다른식의 함락이 되었을겁니다.

    • @sia.T
      @sia.T Před rokem +4

      우리가 비록 이스라엘보다 잘 살지만 이스라엘의 역사의식을 따라가려면 아직 한참 멀었습니다.

    • @user-ip2wo6ch2g
      @user-ip2wo6ch2g Před 7 měsíci +1

      ​@@sia.T우리나라가 이스라엘보다 잘살지는 않죠

    • @user-pkhuubnw0192
      @user-pkhuubnw0192 Před 6 měsíci

      식민지배의 기간도 있지만, 그 이후 한국이 이제 선진국 대열에 낄만큼 발전한 덕도 큽니다.
      현재 중남미 국가에서 스페인보다 더 빌런 역을 차지하고 있는 나라는 미국이죠. 독립이후 미국이 자신들의 뒷마당인 중남미를 철저히 짓밟았기에 사실상 한일관계에서 일본의 포지션은 미국이 차지하고 있다고 봐야죠. 그치만 중남미 사람들은 중남미를 탄압한 미국을 욕하지만, 한편으로는 미국으로 가장많은 이민을 가는 사람들도 중남미 사람들이고, 아메리칸 드림을 가장 많이 꾸는 사람들도 중남미 인들입니다. 능력만 된다면 모두 미국으로가서 공부하고, 일하고, 미국인이 되고자 합니다. 이런 까닭으로는 미국이 초강대국인것도 있지만, 자신들의 나라들이 워낙 망가진 탓이 크죠. 물론 시대가 바뀌며 민족주의가 많이 약해졌고요. 만약 한국이 독립이후에 발전하지못했다면, 한국도 지금의 중남미와 다르지 않았을지도 모르죠

    • @user-jd7wl9ns6l
      @user-jd7wl9ns6l Před 5 měsíci

      일본이 한국에 동화됐을 수도 그냥 유대인보면 종교지만 2000년 동안 자기들 것을 교육한 거 보면 과연 한국인이 그렇게 쉽게 동화됐을까 싶음

  • @pepefrog9756
    @pepefrog9756 Před rokem +5

    교수님 오늘도 수업 잘 들었습니다.
    나무위키 긁어와서 씨부리는 질 낮은 역사, 교양, 문화 컨텐츠 유튜버들과는 차원을 달리하는 교수님의 깊은 내공에 부랄을 탁 치고 갑니다.

  • @ezitoto
    @ezitoto Před rokem

    언제나 훌룡한 컨텐츠 감사합니다~~

  • @eyedee8966
    @eyedee8966 Před rokem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니카라구아를 백인 비중이 높은 나라로 분류하고 곧이어 메스티소 비중이 높은 나라라고 분류하셨네요. 정정해주세요.

  • @tjrl124
    @tjrl124 Před rokem +21

    비교적 적대감이 크다고 하신 페루에서조차도 한국인 입장에선 스페인에 엄청 호의적이라고 느꼈었죠..

  • @forzainter0910
    @forzainter0910 Před rokem +3

    남미나 멕시코나 오히려 조상이 유럽인이라 자랑스러워 하고 우월감을 느끼는거 같음 실제로 인종차별이 심한 이유가 명예유럽인 행세해서 그렇고
    실제로 조상중에 이탈리아인이 있거나 스페인 식민지국가 출신이 스페인 2년 거주하면 시민권 주기도 하고

  • @user-ij5me6xm4b
    @user-ij5me6xm4b Před rokem

    오 이런 재밌군요

  • @user-cj8vz7rs8y
    @user-cj8vz7rs8y Před rokem

    놀랍습니다~~

  • @user-yw3sw4qw2b
    @user-yw3sw4qw2b Před rokem +4

    언어도 언어지만 국가적 경험이라는게 큰 듯합니다. 아즈텍, 마야, 잉카와 같은 국가다운 국가 체계를 경험한 경우 침략자에 불과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 식민정부를 근대적 민족 집단 및 국가의 시작으로 인식하는 경우가 더 큰 듯합니다. 한국, 대만 모두 구일본의 지배를 받았음에도 독립이후 대일본 감정이 완전히 다르듯 말입니다.

    • @jisungpark8952
      @jisungpark8952 Před rokem +2

      그렇죠, 대만은 걍 원시 단계 였으니, 자기네를 근대화 시켜준 일본이 고맙기만 했던거죠.

  • @user-mi3hv1sx5p
    @user-mi3hv1sx5p Před rokem +8

    예전에 교환학생으로 미국에 갔을 때, 스페인 출신 학생들이 했던 이야기가 떠오르네요. 각종 설문에서 인종에 대한 질문을 받을 때 유럽인이라고 하는 것 보다 라틴이라고 하는게 언어적으로나 문화적으로나 더 가깝고 편한데(다른 인종과는 다르게, 라티노라고 하면 심지어 스페인어로 적힌 문서를 주는 경우도 많으니...), 사실 자기들은 엄연히 유럽인이라는... 각종 신분증에는 유럽연합 표시가 선명히 찍혀있으나 애초에 이름부터 미들네임이 있는 북유럽식 이름이 아니라 미들네임 없이 그냥 이름 뒤에 아버지 성과 어머니 성이 번갈아 나오는 스페인식 이름이라 '유럽인'보다는 '라틴'에 가깝다고 하더라고요.

    • @user-zn5dc7jd4r
      @user-zn5dc7jd4r Před rokem

      스페인본토는 미들네임 있어요 ㅋㅋㅋ 퍼스트 미들 아빠성 엄마성 그래서 이름 엄청 깁니다..

    • @burritorico600
      @burritorico600 Před rokem

      @@user-zn5dc7jd4r 미국처럼 모든 사람이 있는건 아니에요. 젊은층에 없는 사람도 은근 꽤 있어요 그리고 요즘은 점점 안주는 추세입니다.

  • @user-go6il2tm4b
    @user-go6il2tm4b Před rokem +2

    이 채널은 재밌는 주제가 많네요 this channel has many interested topic

  • @user-bn5fx8cq8o
    @user-bn5fx8cq8o Před rokem

    옛날부터 궁금하던 내용이었어요 정말 감사합니다

  • @user-cy4hp4fr5x
    @user-cy4hp4fr5x Před rokem +6

    독립한지 200년이나 지났고 대부분의 국민이 혼혈로 짬뽕되었으니
    욕을 할 생각이 덜할듯.
    그리고 지배국가가 워낙 멀리 떨어져있고 거의 참견도 안하는데.. 악감정은 생기기 어려울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