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랍의 봄’ 10년, 아랍에 민주화가 어려운 이유

Sdílet
Vložit
  • čas přidán 16. 11. 2021
  • * 출간 도서 '삶이 허기질 때 나는 교양을 읽는다' 구매 링크 : bit.ly/3tnybpW
    중동의 거센 민주화 운동이었던 ‘아랍의 봄’이 일어난 지 10년이 조금 더 지났습니다. 발단은 튀니지의 ‘재스민 혁명’입니다.
    그리고 이 민주화 운동은 마치 들불처럼 곧바로 튀니지 국경을 넘어 온 아랍으로 번져갔습니다.
    아무런 전조도 없이 일어난 이 거대한 물결에 수십 년 간 철권통치를 휘두르던 독재정권들이 차례대로 무너졌습니다. 드디어 아랍에도 민주화가 이루어지는 듯 보였습니다. 하지만 대부부분의 나라가 얼마 지나지 않아 다시 권위주의 정부로 회귀하고 말았습니다.
    도대체 무슨 이유로 아랍의 민주화는 이렇게 힘든 걸까요? 아랍엔 민주주의가 불가능하거나 적합하지 않다는 ‘아랍 예외주의’가 정말 맞는 걸까요? 이 영상에선 아랍에서 민주주의가 실패한 내적인 모순들을 알아봅니다.
    #아랍의봄실패 #아랍민주화운동 #재스민혁명결과

Komentáře • 1,2K

  • @hello15931
    @hello15931 Před 2 lety +1074

    '꽃 하나가 꺾였다고 봄이 꺾인 것은 아니다'
    오늘도 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

    • @hecantboilevenanegg5601
      @hecantboilevenanegg5601 Před 2 lety +23

      너무 좋은 말..

    • @luckymanjun
      @luckymanjun Před 2 lety +16

      감동입니다.

    • @moyamiya
      @moyamiya Před 2 lety +19

      아랍~ 중동..저 땅에도 행복한 날이 왔으면 좋겠어요.

    • @MrSignalcjy
      @MrSignalcjy Před 2 lety

      비록 지금 검찰과 이명박세력이 키운 쓰레기 언론이 선거에 이겼지만.
      반드시 우리나라에 진정한 민주화도 올 것이다.

    • @user-uk8sx5jp1o
      @user-uk8sx5jp1o Před 2 lety +6

      순간 울컥했습니다.

  • @user-dq6kw6lf1l
    @user-dq6kw6lf1l Před 2 lety +621

    대학교 수준의 교양강의
    그 구성은 이루 말할 수없을 정도로
    완.벽.

    • @삼색
      @삼색 Před 2 lety +82

      교양강의같은 구성을 취하고 있으면서 그 수준이 세계최고급 퀄리티임
      대부분의 대학 대부분의 교수가 50분에 걸쳐서 졸면서 듣게끔 강의를 하는데 같은 분량의 내용을 가르쳐도 이 채널은 10분 내외로 공부 열심히 안하는 뺀질이들 마저 열심히 듣게 만들 몰입도를 줌

    • @jk-tw5fv
      @jk-tw5fv Před 2 lety +9

      @@삼색 올려치기 너무 심하다

    • @Spring744
      @Spring744 Před 2 lety +9

      @@삼색 ㅇㅈ

    • @user-tp4pg5yu1b
      @user-tp4pg5yu1b Před 2 lety +16

      @@삼색 근데 왠지 현직교수님이시거나 은퇴하신 교수님일듯

    • @hhk294
      @hhk294 Před rokem

      @@jk-tw5fv 대학 안나왔냐? 그래도 갠찮은 대학교 나왔는데 이렇게 하는 교수들 거의 없다 ㅋㅋ 거의 시간떼우기 입에 풀칠또는 경력 한줄 채우기 할라고 대충하는새끼들 천지

  • @user-vv1gt8ev5d
    @user-vv1gt8ev5d Před 2 lety +184

    00:46
    너무 가슴 아픈 한 마디
    어떻게 살란 말이냐!! 정말 ㅠㅠㅠ
    저 순간 얼마나 절망적이었을까

    • @lynedenkim9528
      @lynedenkim9528 Před 2 lety +31

      한국에도 전태일이란 분이 있었음 지금 저 나라들은 한국이 걸어왔던 길을 걷고 있는거임

    • @user-fb7dk1vl6g
      @user-fb7dk1vl6g Před rokem +3

      맴찢

  • @user-77011
    @user-77011 Před 2 lety +607

    아랍쪽을 전공으로 하고 이집트에서 1년 살다온 사람으로서 매우 반갑고 유익한 영상입니다. 중동 문제는 정말 실타래처럼 경제, 정치, 문화, 외교 모든 것이 문제들로 뒤엉켜있죠... 제가 봤을 때 가장 먼저 시급한 것은 교육입니다. 국민의 절반 이상이 문맹이고 남녀 가리지 않고 제대로 된 교육을 받지 못했는데 민주적인 사회가 될리 만무합니다. 하지만 좋은 공대 나와도 일자리가 없어 우버 기사나 하고 있는 것이 그것의 현실이지요...

    • @ignisilluminati
      @ignisilluminati Před 2 lety +62

      공감!
      강력한 전제 권력을 가진 개혁가가 나와서 공교육 강화시킨 다음, 똑똑해진 국민들의 시위로 혁명 당해서 물러나는 게 가장 빠른 민주화 시나리오 아닐까 싶음. 우리나라처럼. 아니면 터키 아타튀르크처럼 그 개혁가가 좀 애국심이 투철한 사람이라 개인적인 권력의 남용과 세습은 안 하는 사람이던지.

    • @user-kr6ec3ne6m
      @user-kr6ec3ne6m Před 2 lety +25

      결국 경제가 가장 중요하군요

    • @user-jm8km6zl4d
      @user-jm8km6zl4d Před 2 lety +90

      종교와 정치의 분리가 먼저랍니다... 아직도 제정일치사회.. 즉.. 신석기 시대 시스템으로 살아가는 나라들이죠...

    • @user-jm8km6zl4d
      @user-jm8km6zl4d Před 2 lety +45

      종교와 정치의 분리가 안됨...아직도 관습법을 기반으로 사회를 굴리는 수준입니다...

    • @user-jm8km6zl4d
      @user-jm8km6zl4d Před 2 lety +19

      미적분도 모르는 놈에게 2차 3차 미적 방정식 풀이과정 백날 설명해봐야... 알턱이 없는겁니다..

  • @jimmyseung3060
    @jimmyseung3060 Před 2 lety +145

    저 때 바레인에 현장 파견 갔습니다.
    수니파 인도인 직원이 길 가다 칼 든 시아파 무리들에게 둘러싸여
    시아냐 수니냐는 질문을 받고 "아임 어메리칸"이라고 말해 빠져나왔다는 이야기를 들었죠.
    당시 소장님이 "아랍의 봄이란 건 명분일 뿐 각 파벌과 세력의 이전투구다"라고 하시더군요.
    그나마 바레인은 온건하게 끝난 편이었지만 아직도 길가에 나와 있던 전차들은 잊을 수 없습니다.

  • @yui2345
    @yui2345 Před 2 lety +208

    무료인데, 이런 양질의 교양수업이라니. 정말 좋군요.

  • @yimimluest2523
    @yimimluest2523 Před 2 lety +265

    넘 좋은 말씀입니다..꽃이 하나 꺾인다고 봄이 오지않는건 아니다...그들의 신이 아랍인들을 평화로운 시대로 데려다 주길 진심 바래봅니다..

    • @user-zq4py4wu8v
      @user-zq4py4wu8v Před 2 lety +5

      정말 좋은 말씀입니다.

    • @BummjunJoe
      @BummjunJoe Před 2 lety +21

      06:25 그들이 그들의 신을 계속 믿는다면 평화로운 시대가 오기 어려울 듯 싶습니다. 특히나 저 관성에 찌들어있는 지역의 사람들은 더더욱….

    • @IJARI_GOGUMA
      @IJARI_GOGUMA Před 2 lety +2

      저들의 신은 죽는게 명예로운 일본 제국같은 사이비 종교니 신도들도 미개해지고 신도가 곧 국민인 아랍 국가 정치계도 미개해 질 수밖에요
      아 정치계가 아니라 왕조, 군부인가? ㅋㅋ

    • @ryusaay_5637
      @ryusaay_5637 Před 2 lety +17

      종교 정치 분리가 안돼서 힘듦. 아무리 좋은 종교여도 종교 정치 분리 안되면 사이비행임

    • @user-ls9ru4jn8y
      @user-ls9ru4jn8y Před 2 lety +2

      @@ryusaay_5637 ㅇㅈ

  • @yefamily
    @yefamily Před 2 lety +538

    마지막 표현 - 꽃이 꺾였다고 봄이 꺾인 것은 아니다-를 들으니 눈물이 나려고 하네요. 선생님 영상 덕분에 세상을 보는 눈이 넓어졌습니다. 국가가 아닌 민족 단위의 세력집단이나, 준비되지 않은 혁명의 어려움, 교육의 중요성에 대해 깨달으면서, 우리나라가 더더욱 자랑스럽게 느껴지네요

    • @JuanGarcia-bz8zx
      @JuanGarcia-bz8zx Před 2 lety +31

      민주주의는 우리의 마음 한곳에 아픔과 이를 극복한 영광으로 남아있는 가장 소중한 한국인의 공동의 자산입니다.

    • @user-kt3zk9ly6p
      @user-kt3zk9ly6p Před 2 lety +4

      그러나 한국의 민주주의는 너무나 비효율적입니다 차라리 중국처럼 하는게 낫습니다

    • @ll8555
      @ll8555 Před 2 lety +51

      @@user-kt3zk9ly6p 중국처럼 하면 님 유튜브도 못보고 여기에 댓글도 못달았음

    • @candleproducer
      @candleproducer Před 2 lety +8

      자랑스럽다구요.옛날얘기입니다.
      바둑이와 문죄인이 대통직을 훔쳤구요.415부정선거로 국회를 장악했구요.
      반강제적으로 백신을 맞아야 합니다.
      군사정권때도 없었던 부정선거를 21세기에 대대적으로 자행했습니다.
      천인공노할 일입니다.

    • @chartistpark5897
      @chartistpark5897 Před 2 lety +4

      정신차려라..에혀..니네 나라로 가라 쫌

  • @ragerkwon6942
    @ragerkwon6942 Před 2 lety +116

    이분 채널 정독중인데 참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균형이 잘 잡힌 깊이있는 지식에 계속 감탄하고 있습니다.
    대단하시네요. 많이 배우고 있습니다^^

  • @user-fj5rw3gk3h
    @user-fj5rw3gk3h Před 2 lety +108

    오늘은 댓글 안달수가 없네요. 너무 멋진 강의 였습니다.
    어렴풋이 중동쪽은 종교나 그외 문화적인 요소가 우리와 다른 구석이 많이서 민주주의가 다소 힘들다는 느낌을 받기는 했는데
    이런 구체적인 설명을 듣기는 힘들어서 막연하게만 알고 있었는데 너무나 잘 정리된 강의 였습니다. 저의 지식이 또 +1 된것 같아요. 감사합니다. ^^

    • @YounChulShin
      @YounChulShin Před 6 měsíci

      핑계가 많으면, 이 세상에는 절대로 민주주의는 없고, 미래가 없지요.

    • @parkherenow
      @parkherenow Před 5 měsíci

      다 엉터리,,,,모든걸 남의탁으로 돌리는 논리,,,,,,,내부의 문제이지 이게 외부의 탓이라고하는건,,,독재자의 선동일뿐ㅡㅡ독재자의 논리을 그걸 따라 말하는건 그냥 앵무새일뿐,,,,

  • @user-ic6xr2hr4q
    @user-ic6xr2hr4q Před 2 lety +218

    마지막 말이 너무 감동적이었습니다. "꽃 하나 꺾인 것이 봄이 꺾인 것은 아니다" 부디 아랍의 봄이 속히 오길 기대합니다

    • @Kettlers
      @Kettlers Před 2 lety +3

      '꺽인'이 아니라 '꺾인'입니다

    • @Someone111ify
      @Someone111ify Před rokem +1

      아뇨. 쟤들은 안됨. 그냥 수준에 맞게 신정제에서 살아야.

  • @user-rm9vj8oz7o
    @user-rm9vj8oz7o Před 2 lety +199

    98년~06년까지 이집트 카이로에서 살다왔었는데...한국온뒤로 현지 지인 소식들어보니 꽤 힘들었다하더군요. 정말 안타깝습니다.
    가끔가다 다시 이집트를 들러볼까생각해보지만, 상황이 제가 있을때랑 지금이랑 너무 달라져서 선뜻 그러지도 못하네요.
    무슨일이 있었는지 자세히 알고싶어도, 국내 보도자료는 중동권을 잘 다루지 않았습니다.
    덕분에 잘 알고 갑니다

    • @user-er6io4wf8j
      @user-er6io4wf8j Před 2 lety +4

      갑을방적에 근무하셨나요?

    • @user-kr6ec3ne6m
      @user-kr6ec3ne6m Před 2 lety +3

      우리나라와 접점이 없으니까요

    • @user-no2cu7ti2t
      @user-no2cu7ti2t Před 2 lety +6

      근데 무바라크가 사실 4차중동전쟁서 이순신급 업적 쌓아서 나이 좀 있는분들중 대깨무 들 많음 ㅋㅋ
      솔직히 3차중동전 때 90프로 전력 사라진 이집트 공군을 2년반에 부활시켜 이스라엘 공군 상대로 떡쳤으니 +이스라엘이랑 우호관계 맺은건 물론이고

    • @KSST-111
      @KSST-111 Před rokem

      @@user-kr6ec3ne6m 유럽 북미도 접점 없는데 보도 많이 하죠

    • @user-kr6ec3ne6m
      @user-kr6ec3ne6m Před rokem

      @@KSST-111 아니요 안해요

  • @user-ve6ns6jc7x
    @user-ve6ns6jc7x Před 2 lety +85

    다양한 시선에서 여러관점으로 조곤조곤 이야기 해주는 유튜버임.. 너무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용~~ ^^

  • @woo-jinlee2252
    @woo-jinlee2252 Před 2 lety +244

    국민이 똑똑해지면 민주주의가 생겨납니다. 그래서 독재자들은 국민들의 교육수준을 낯추는데 공을 많이 들이죠.

    • @light849
      @light849 Před 2 lety +40

      이것은 반대로 한국에서 독재자라 비난받는 분들은 실상 독재자가 아니라는 뜻이네요.

    • @SangJun_in_Pangyo
      @SangJun_in_Pangyo Před 2 lety +26

      @@light849 자기 말 알아들을 정도까지만 원하는것 같으요

    • @user-yb1oi2uy8l
      @user-yb1oi2uy8l Před 2 lety +30

      @@light849 맞습니다..유일하게 독재아닌독재로 나라경제를 부강하게 만든 나라는 대한민국이 유일하죠

    • @user-gw6wl4im9d
      @user-gw6wl4im9d Před 2 lety +57

      @@light849 박정희, 전두환 때를 언급하시는 것 같은데
      국민교육은 문맹율을 줄이기 위함이지 국민이 똑똑 해지길 기대해서 시행한 시책이 아니에요.
      고등교육의 산실인 대학에서 얼마나 많은 투쟁, 진압, 그로인해 발생된 국가살인도 부정 하실건가요?
      마찬가지로 언론탄압도 민주주의 사회에서 발생 하나요 아니면 저기 윗동네 처럼 세습하는 독재국가에서 언론탄압이 발생 하나요..

    • @woo-jinlee2252
      @woo-jinlee2252 Před 2 lety +28

      @@light849 국민들이 똑똑해져서 그 독재가 무너졌다고 보는게 맞죠.

  • @progress999able
    @progress999able Před 2 lety +102

    우리나라도 항상 권력자들을 비판하고 감시해야합니다. 민주주의는 공짜로 얻어지는것이 아닙니다. 피로써 얻은 값진 결과물인것입니다.
    배고픔을 아는 자만이, 고통을 받아본 자만이 민주주의를 지킬수있습니다.
    배부른 돼지가 되어선 안되는 이유입니다.
    정치 무관심이야말로 과거로 회귀하는 지름길입니다.

    • @davidjacobs8558
      @davidjacobs8558 Před 2 lety

      웃기는 소립니다. 민주주의는 피로써 얻어진 값진 결과물이 아닙니다. 좌파 선동에 넘어가지 마세요.
      아랍은 피를 안흘렸답니까? 중국은 피를 안흘렸답니까? 한국보다 더 많이 흘렸죠.
      국부가 땅에서 나오는 나라는 민주주의가 불가능 합니다.
      러시아가 교육수준이 떨어져서 독재국가 일까요?

    • @Ycmjg37143
      @Ycmjg37143 Před 6 měsíci

      특히 우리나라는 민주당이나 국힘당이나 기본적으로 노선성향자체는 비슷해요. 둘다 뿌리가 한민당이라서에요.
      그런데다가 군사정권시절에 반대성향 사람들을 엄청 탄압해서 국힘당이나 민주당이나 둘다 반공성향이 매우 강합니다.
      그렇기에 양당이 진보세력을 계속 빨갱이라고 몰아가며 소외시켜와서 진보세력의 입지자체가 엄청 쫍아진 편이에요.
      그러니 이 상태면 한가지 문제가 생기게 되는데
      정당측에서는 민주주의가 존속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생기게 되는거에요. 그러면 국힘당이나 민주당 입장에서는
      어떻게 해야하냐면 비슷한 성향인 상대의 다른점을 부각시켜서 깍아내려야 민주주의가 돌아가게 되는거죠.
      그러니 국힘당도 그렇고 민주당도 그렇고 갈등을 조장할 수 밖에 없는 구조인거죠. 갈등을 조장해야 민주주의가 유지되니깐요.
      갈등을 조장하지 않으면 우리나라도 얼마 안가서 다시 권위주의 정부로 돌아가게 되기 때문이에요.
      그렇기에 우리나라 정부나 정당이나 갈등관리를 안 하죠. 민주주의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갈등을 조장해서 선과 악으로 나누는식으로 해야
      민주주의가 돌아가는 구조라서 그래요.

  • @beliveinyourself3617
    @beliveinyourself3617 Před 2 lety +62

    꽃이하나 꺾였다고 봄이 꺾인건 아니다 와닿는 말이네요..!

  • @toto-do1qh
    @toto-do1qh Před 2 lety +31

    재미도 감동도 유익도 다 있는 채널. 새영상 뜨면 무조건 보고있습니다

  • @user-td5bv8np7j
    @user-td5bv8np7j Před 2 lety +67

    학교다닐때 교수님이 우리나라 현대사는 다른 나라에서 같은 사례를 찾기 힘들 정도로 정말 특이할 정도로 잘나갈수 없을 조건으로 잘 발달했다는데 과연 진짜긴 한가보군요...

    • @user-fb3zv9be7x
      @user-fb3zv9be7x Před 2 lety +12

      천조국 도움이 컸지. 천조국 도움을 받지못한 부칸 보면 ..

    • @skyL11
      @skyL11 Před rokem

      ​@@user-fb3zv9be7x미국 도움 받은 필리핀이나 남미 국가들은 그럼 왜 후진국으로 사냐?? 대한민국의 발전은 90%가 대한민국 국민들의 희생과 저력 때문이다!

    • @user-fb3zv9be7x
      @user-fb3zv9be7x Před rokem +3

      @@skyL11일본한테 독립한것도 미국때문이고, 625때도 북한한테 털리전 미국덕에 산거고, 각종 원조도 미국한테 받아 국가 부흥시킨것도 미국덕을 본건데 이게 니가 보기엔 미미 한거니. 덕을보고 잘살고 못사는건 수혜받은자가 하기 나름이고.

    • @skyL11
      @skyL11 Před rokem

      @@user-fb3zv9be7x 애초에 미국 아니었으면 일본의 식민지로 전락하지도 않았고 남북 분단도 없었다! 미국이 일본과 가쓰라태프트 밀약으로 자기들은 필리핀을 갖고 조선은 일본이 갖도록 협잡을 했고 2차대전의 전범국인 일본의 분할 대신 한반도를 분할 당하도록 했던 것도 미국 때문이다!!

    • @user-fb3zv9be7x
      @user-fb3zv9be7x Před rokem

      @@skyL11 ㅋㅋㅋ 애쓴다

  • @jacobj9907
    @jacobj9907 Před 2 lety +40

    지식브런치 덕에 요즘 이슬람학교라는 책을 보고 있습니다. 그동안 중동와 아랍, 이슬람에 대해 아는게 없었구나하고 부끄러운 마음이 드네요. 지식브런치 항상 응원합니다.

  • @user-hw3gp9ww3q
    @user-hw3gp9ww3q Před 2 lety +41

    그 어떠한것 좋차 빠지지 않는
    고품격 유튜버
    감사합니다 교수님 ♡♡♡♡♡

  • @kyuhyunghan8150
    @kyuhyunghan8150 Před 2 lety +33

    흔하게 있는 아랍관련 지식인 영상과는 비교도 안되는 퀄리티!!! 진짜 심도있게 파고든 브런치님에게 늘 감사를 전합니다

  • @user-pl6yt5fc2e
    @user-pl6yt5fc2e Před 2 lety +53

    마지막 자막이 너무 가슴에 와 닿네요~~ 그래서 우리나라 민주주의도 공짜는 아니었으니까요~~ 정말 많은 분들의 희생이 없었으면 이렇게 앉아서 유튜브도 제한적으로 볼 수밖에 없었겠죠~~

  • @tkew3831
    @tkew3831 Před 2 lety +30

    비슷한 유튜브 채널 많이 보는데 이분만큼 객관적이고 타당성 있는 채널이 없는거 같아요. 지식전달 한답시고 자기생각 주입시키려는 유튜버들 많은데 정말 유익하게 잘 보고 있습니다. 항상 좋은 내용 감사드려요~^^

  • @user-kp4sr2sg6s
    @user-kp4sr2sg6s Před 2 lety +7

    마지막 멘트가 멋집니다.
    "꽃이 하나 꺾였다고 봄이 꺾인 것은 아닐 테니 말입니다"

  • @jae-woongkwon893
    @jae-woongkwon893 Před rokem +7

    꽃이 하나 꺾였다고 봄이 꺾인 것은 아니라는 마지막 말씀이 맞습니다. 아랍에도 그 진심이 전해져 민주화가 완성이 될 때까지 진행되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 @user-yu5je5bn4z
    @user-yu5je5bn4z Před 2 lety +24

    교수님 강의 잘들었습니다

  • @jagdishsama4085
    @jagdishsama4085 Před 2 lety +54

    보편적 교육을 받은 세대가 많아져야
    나라가 되겠네

  • @rokieplayer7729
    @rokieplayer7729 Před 2 lety +66

    와 시간 순삭되었네 ㅋㅋㅋㅋ 무슨 강의가 이렇게 집중이 잘 되냐

  • @seonholee7557
    @seonholee7557 Před 2 lety +18

    꽃이 하나 꺾였다고 봄이 꺽인 것은 아닐 테니 말입니다.. 명언이네요

  • @bachirameguru2
    @bachirameguru2 Před 2 lety +11

    지식유튜브중에 젤 양질의 정보를 주는채널임. 늘 감사히 잘듣고있습니다.

  • @carlyounsh
    @carlyounsh Před 2 lety +42

    다른 어떤 말보다도 "우리 역시 4.19 혁명 이후 30년을 더 기다려야 했습니다." 라는 말에서 희망이 느껴지는군요. 앞으로 20년 후 아랍은 지금보다 더 살기좋은 나라가 될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 @jihunseo4699
    @jihunseo4699 Před 2 lety +112

    다른 문제보다도 교육문제가 가장 핵심 포인트인듯.
    교육이 바탕이 되지 않으면 절대 민주주의가 들어설지리가 없죠.

    • @light849
      @light849 Před 2 lety +7

      이것은 반대로 한국에서 독재자라 비난받는 분들은 실상 독재자가 아니라는 뜻이네요.

    • @kyzer8525
      @kyzer8525 Před 2 lety +28

      @@light849 독재하면 독재자지 무슨 면죄부를 주나요, 그들도 학교를 폐쇄한적이 있습니다. 우리국민이 똑똑했을뿐이죠

    • @KAKAO_
      @KAKAO_ Před 2 lety +13

      교육이 문제가아니라 먹고살만해야 민주주의도 있는거임

    • @KAKAO_
      @KAKAO_ Před 2 lety +9

      @@kyzer8525 데모를 하니까 폐쇄를 하죠

    • @jihunseo4699
      @jihunseo4699 Před 2 lety +3

      @@KAKAO_ 틀린말은 아니지만…
      중국은 아무리 먹고 살만해도 절대 민주주의를 회복 못할듯 ㅎㅎ

  • @user-ey7hy7hk8n
    @user-ey7hy7hk8n Před 2 lety +102

    지식 브런치님은 도대체 뭐 하시는 분이시길래, 하나의 주제에 관한 해박한 지식을 이렇게 논리 정연하고 쉽게 풀어가시는 궁금합니다.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 @JayLee-kp3om
    @JayLee-kp3om Před 2 lety +28

    이런거 보면 우리나라의 교육열이 민주주의로 가는 정말 큰 요인이었던듯.

  • @user-yp4cr6yf3p
    @user-yp4cr6yf3p Před 2 lety +7

    오늘도 유익한 강의 잘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br9xd1mf3v
    @user-br9xd1mf3v Před 2 lety +7

    저도 기다렸어요. 많이 배워갑니다

  • @peasaur75
    @peasaur75 Před 2 lety +3

    늘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20만 축하드립니다~

  • @jiyu5883
    @jiyu5883 Před 2 lety +8

    좋은 컨텐츠 고맙습니다~~

  • @user-dv2yu3jl8f
    @user-dv2yu3jl8f Před 2 lety +2

    아름다운 말이네요
    “꽃이 하나 꺾였다고 봄이 꺾인 것은 아니다”

  • @user-hw9mj2xt5t
    @user-hw9mj2xt5t Před 2 lety +4

    잘보겠습니다 항상 감사해요

  • @JWoo-hk3wo
    @JWoo-hk3wo Před 2 lety +40

    이렇게 보면 우리나라의 단일민족도 축복이라 할 수 있겠네요..
    우리나라 역시 크고작은 내부갈등들이 많이 있지만, 민족갈등만은 못한 것 같아요

    • @zinod7988
      @zinod7988 Před 2 lety +15

      인정합니다. 외국의 민족, 인종, 종교 갈등 대비 한국은 약과죠. 다만, 한국도 이제 다문화가정이 많아져서 사회의 포용력이 더 커져야할 것 같습니다.

    • @user-de6sr1tj3m
      @user-de6sr1tj3m Před 2 lety +10

      이민을 받아야지만 .. 우리문화에 위협될 정도로 많이 받으면 안되겠죠
      이기적이지만 그들이 우리문화에 순응하고 동화되어 '한국인' 정체성만이 존재했으면 합니다

    • @user-td5bv8np7j
      @user-td5bv8np7j Před 2 lety +3

      아....진짜..민족갈등..이거 진짜 답없긴 답없는듯...

    • @Kwisatz129
      @Kwisatz129 Před 2 lety +3

      분단 상태를 70년이나 지나도록 스스로 해결 못하는 국가가...... 단일민족이라고 ㅈㅏ기 위로하고 있을 상황인가는... 생각을 해봐야할듯 하네요.

    • @user-td5bv8np7j
      @user-td5bv8np7j Před 2 lety +6

      @@Kwisatz129 에헤이 아무렴 중동이나 아프리카만 할까요....

  • @user-ec8mg3rm8y
    @user-ec8mg3rm8y Před 2 lety +4

    꽃이 하나 꺾였다고 봄이 꺾인게 아니다..멋있습니다

  • @giglmanlee5904
    @giglmanlee5904 Před 2 lety +71

    민주주의의 어두운면입니다. 국민의 수준이 그래서 중요합니다..

    • @lynedenkim9528
      @lynedenkim9528 Před 2 lety +10

      떼쓰면 법 만들어주는 국민 수준

    • @user-kt3zk9ly6p
      @user-kt3zk9ly6p Před 2 lety +3

      우리나라는 중국처럼 해야함 ㅋㅋㅋ 중국의 정치체제가 제일 효율적입니다

    • @Warboy-mk1
      @Warboy-mk1 Před 2 lety +3

      @@user-kt3zk9ly6p 파시즘이 과연 최고일까?

    • @user-sb2lc4kc9z
      @user-sb2lc4kc9z Před 2 lety

      민주주의하자! 해서 하니 민주주의 조까는 이슬람근본주의 뽑는 수준

    • @Someone111ify
      @Someone111ify Před rokem +1

      @@Warboy-mk1 걔넨 사회주의국가임.

  • @user-cw2jk6hj5v
    @user-cw2jk6hj5v Před 2 lety +3

    언제나 잘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dongree5553
    @dongree5553 Před 2 lety +5

    매번 잘보고 있어요!

  • @SCB-0725
    @SCB-0725 Před 2 lety +27

    꽃이 하나 꺾였다고 봄이 꺾인건 아니다 와...마지막멘트 대박입니다

  • @JYLee-iv6dz
    @JYLee-iv6dz Před 2 lety +2

    늘 잘보고 있어요. 감사합니다

  • @user-um3zr7tq6z
    @user-um3zr7tq6z Před 2 lety +2

    잘 보고있습니다 늘 감사합니다.

  • @user-dk7ue8zq6v
    @user-dk7ue8zq6v Před 2 lety +4

    기다렸어요 😀

  • @Orang_Fantasy
    @Orang_Fantasy Před 2 lety +23

    와 대학 때 비슷한 수업을 많이 들었었는데 그 긴 수업을들 전부 아우르는 멋진 영상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dongwookim5970
    @dongwookim5970 Před 2 lety +1

    오늘도 잘 듣고 갑니다 교수님!

  • @user-ik2mc1rq9l
    @user-ik2mc1rq9l Před 2 lety +10

    유익한 지식 감사합니다.

  • @thdwodud1996
    @thdwodud1996 Před 2 lety +12

    오늘도 유익한 강의 감사합니다 교수님!

  • @jaykim8275
    @jaykim8275 Před 2 lety +4

    제가 구독한 채널중에 지식브런치가 가장 소중합니다~!

  • @user-cx2fx2iy3l
    @user-cx2fx2iy3l Před 2 lety +2

    아니 어떻게 항상 제가 궁금해하시던 걸 콕 집어서 콘텐츠로 만들어주시나요. 항상 감사드립니다.

  • @redfire-y4v
    @redfire-y4v Před 2 lety +1

    넓은 안목, 깊은 이해가 있는 영상에 늘 감사합니다. 오늘도 제 안목이 넓어집니다

  • @user-wj3ud7lv5n
    @user-wj3ud7lv5n Před 2 lety +6

    어째 브런치님이 전에 올려주셨던 미얀마 민주화 로힝야족 내용이 절로 떠오릅니다...
    영국의 칼 로완이라는 기자가 1966년에 우리나라 한국에 민주주의를 기대하는 것은 쓰레기통에서 장미꽃이 피기를 바라는 것과 같다라고 했다죠..
    아랍의 봄과 민주주의도 정말 브런치님 말마따나 예기치 못한 때에 갑작스럽게 찾아올지 그 누구도 장담할 수 없을 겁니다.
    6:49 저 일직선 국경이 오늘날 중동 이슬람을 테러 분쟁 독재의 장으로 만든 사이크스 피코 협정의 결과라던데 이것도 상세히 다뤄주시리라 기대하겠습니다.

  • @semyeongjang7089
    @semyeongjang7089 Před 2 lety +3

    최고의 강의!!!

  • @wushein
    @wushein Před 2 lety +2

    잘 보고 잇습니다 이번 영상도 재미있네요

  • @shoko2891
    @shoko2891 Před rokem +2

    정말 알기 쉽게 정리가 됐네요
    정말 유익한 지식이었어요 :)

  • @user-bc1sv2xn9b
    @user-bc1sv2xn9b Před 2 lety +5

    마지막 문장 너무 좋네요
    "꽃이 하나 꺾였다고 봄이 꺾인건 아니다"

  • @1will_24
    @1will_24 Před 2 lety +9

    '꽃이 하나 꺾였다고 봄이 꺾인 것은 아닐테니 말입니다'
    아랍의 민주주의가 언젠가 다시 찾아오길 바랍니다.

  • @bsk1409
    @bsk1409 Před 2 lety +2

    선생님 영상도 흥미롭고 마지막에 명언까지 어떻게 이렇게 영상을 잘만드시는지

  • @sangolbrunch
    @sangolbrunch Před 2 lety

    탁월한 채널 이네요
    참 좋읍니다

  • @huahua821
    @huahua821 Před 2 lety +18

    우리의 민주화가 얼마나 위대했고 성공적이었는지 다시한번 느끼고 갑니다. 감사하네요

  • @user-fw8mn4qo6e
    @user-fw8mn4qo6e Před 2 lety +30

    민주주의를 위해 시위하고 다양한 불복종운동이 전개될려고 해도 애초에 오랜 부족주의와 강력한 중앙집권이 없는 역사 속에서 하나로 뭉쳐 행동 할 수 있을지 모르겠네요

  • @user-yo5dy8ei8t
    @user-yo5dy8ei8t Před 2 lety +2

    마지막 멘트가 깊이 와 닿네요. 꽃이 꺾였다고 봄이 꺾인 것은 아닐테니 말입니다.. 한참 생각하며 곱씹어 보고 있었습니다.

  • @hoony797
    @hoony797 Před 2 lety +1

    재미나네요 흥미롭고
    준비 진짜 많이 하신듯합니다
    정말 대단합니다!

  • @questionmark.1266
    @questionmark.1266 Před 2 lety +4

    10:26 다만 그 꽃이 척박한 사막에 겨우겨우 피어난 꽃이었다는 겁니다. 다음에 또 언제 피어날지 아무도 알 수 없겠죠

  • @shinyyoung3736
    @shinyyoung3736 Před 2 lety +12

    교수님 강의 잘들었습니다.감사합니다~
    민주화운동도 대안이 있어야 유지된다.
    아랍의 봄이 언젠가 또다시 급작스럽게 다시오길 바랍니다.

  • @7080bykris
    @7080bykris Před 2 lety

    약 일주일 전 부터 계속 유튭홈에 인도영화에 대한 글이 올라와서 보게되었다가 많은 공감 그리고 재밌는 말씀에 쭈욱 여러개를 보다가
    구독 합니다. 길이도 좋고 내용도 너무 재밌어요. 고맙습니다!

  • @narykim2882
    @narykim2882 Před 2 lety

    감사합니다. 항상 양질의 컨텐츠 굿

  • @7mmalltheway
    @7mmalltheway Před 2 lety +42

    미국에선 초딩3-4학년 때 한 학기를 집중적으로 할애하여 어린 학생들에게 국가의 헌법과 해석에 대해 집중적으로 가르칩니다. 한국에서도 공공 교육에 이를 도입한다면 앞으로도 영원히 민주주의 포기나 독재 권력이 등장할 일은 없을것입니다.

    • @davidjacobs8558
      @davidjacobs8558 Před 2 lety

      국부가 땅에서 나오는 나라는 민주주의가 불가능 합니다.
      러시아가 교육수준이 떨어져서 독재국가 일까요?

    • @7mmalltheway
      @7mmalltheway Před 2 lety +6

      @@davidjacobs8558 미국은 지하 자원과 농업 생산량이 압도적인 1위 이지만 시민 민주주의가 가장 발달한 나라중 하나 입니다. 그리고 미국은 프랑스와 더불어 일반 시민(서민)이 나라의 주인임을 특별히 강조하는 헌법을 가진 민주 공화국이고 일개 시민 1인의 정치적 권리도 유달리 많이 보장하는 편입니다. 양 국가의 헌법은 하도 시민(인민)의 개인의 자유와 권리를 강조하여 어찌보면 ‘빨갱이’ 스럽기 까지 한 헌법들 이고요.
      한국도 귀족정에서 민주주의로 바로 전환한 케이스가 아니고 민주 공화주의 국가임을 뚜렷이 명시하는 나라이니 어려서 부터 시민이 국가의 주인임을 집중적으로 가르친다면 시민들의 민주 의식이 저 두나라 못지 않게 될것이라 봅니다. 제가 알기로는 과거의 한국에선 시민이 똑똑해 지는게 거시기 해서 그렇게 안했습니다. 한국인의 부패에 민감하고 남보다 못하거나 지고는 못사는 성격도 오히려 큰 도움이 될것입니다.
      무능한 제정 러시아를 극적으로 벗어났으나 그간 또다른 짜르들을 모시고 살아왔으며 이제 공산주의를 갓 졸업한 신생 무늬만 민주 국가인 독재국가 러시아에서 과연 어린 학생들에게 국민이 국가의 주인임을 집중적으로 가르칠까요? 제가 틀릴수도 있지만 저는 아니라고 봅니다. 만약 아이들 교과서에 푸틴 찬양 컨텐츠들이 없다면 그게 더 신기할 것 같습니다.

    • @davidjacobs8558
      @davidjacobs8558 Před 2 lety +1

      @@7mmalltheway 미국이 민주주의 주창하면서,왜 유럽의 왕조국가들 보다 더 늦게까지 노예제도가 존재했는지 생각해 봐야 하는거죠.
      왜 미국에선 민주타령 하면서도 법적으로 유색인종 차별정책을 했는지.
      인디언들을 학살하고 그들의 땅을 빼았아 나라를 세울때도 미국은 민주주의 였죠.
      국부를 두뇌에서 창출하지 못하는 인민은 시민이라고 인정하지 않았다는거죠.

    • @7mmalltheway
      @7mmalltheway Před 2 lety +8

      @@davidjacobs8558 그 말씀 하실줄 알았습니다. ^^ 세상의 모든것에는 음과 양의 양면이 존재하니 반대를 위한 반대는 얼마든지 할 수 있지요. 그것은 세종대왕의 노비 양산론과 비슷한 아이디어 입니다. 역사를 미개했던 당대 기준에 맞게 상대 평가 하지 않고 현대 기준으로 절대 평가 한다면 위인전에 남아날 인물이 없듯이 미국의 정체성이나 민주주의도 현대 기준으로는 얼마든지 부정할 수 있지만 이는 과거의 일들을 반면교사로 삼을 좋은 기회를 상실하는 것이기도 하지요.
      님 같이 생각하는 미국의 젊은이들이 미국의 건국일을 미국에 첫 노예가 도착한 날로 제정하고 지폐의 인물을 링컨대신 한 여자 노예로 대체하자는 주장들을 하고 있지만 흑인들 포함 대다수의 국민들은 그저 웃고 맙니다. 그리고 그들에게 민주주의의 가치를 이해하는 보통의 미국민들이 그간 얼마나 노예제와 인종차별을 폐지하기 위해 투쟁하고 성공했는지를 예를 들어 설명해 주고, 유럽 사회에 아직도 뿌리깊게 남아있는 봉건제의 잔재를 예를 들어 미국의 시민 민주주의의 성숙도를 설명해 주면 데꿀멍이 되고 말지요.
      현대 민주주의의 시조인 영국 민주주의의 수준이란 것이 당대엔 어떠했으며 호주의 정착민들이 영국에서 어떤 유형의 죄인들이었는지 (눈물 납니다) ,시민 혁명을 성공한 프랑스는 시민 정부가 공포정으로 변질하고 제정으로 변했다가 어떻게 시민 공화정으로 다시 태어났는지를 공부하시면 당시 시대적 상황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듯 합니다. 노예제의 시작은 보통 이주민들이 아니라 유대계 영국인들이 주축이 되어 시작한 것도 왠만큼은 아실테고요, 미국의 독립 후에도 역시 영국식 귀족 민주주의를 고수하는 영국 세력이 (영국에 여전히 어느정도 충성하는) 주축인 남부에서 노예제를 옹호했다는 것도 아시는지 모르겠습니다.
      님이 말씀하신 내용 모두가 미국인들이 폐지를 위해 처절히 투쟁해온 일들이고 역설적으로 그만큼 일개 시민들이 기득권에 맞서 민주주의를 달성하기 위해 진심이었는지 잘 보여주는 예라고 말해볼수 있겠지요. 이는 소수의 흑인들과 인디언들만으로는 절대로 이루어 낼 수 없었던 정치적 승리입니다.
      또 흔히 알려진대로 북부의 신흥 공업 자본가들의 값싼 노동력을 위해서만 노예를 해방했다고 또 주장하실수도 있겠지만 그러기엔 남북 전쟁은 미국 역사상 가장 많은 시민이 사망한 전쟁이며 순수 의도를 갖고 목숨 바쳐 투쟁한 너무 많은 미국인들이 있기에 그것을 일반화 하기에도 큰 무리가 있습니다.
      또한 님이 열거한 미국 민주주의의 불완전성과 어두운 과거는 훌륭한 민주주의 헌법을 가진 나라조차 시민들이 그렇게 처절하게 피를 흘리며 투쟁했어야 간신히 손에 넣어볼수 있는게 민주주의라는 사실을 배워 볼 수 있기에, 그만큼 한국의 어린이들에게도 철저히 헌법을 가르치는 것이 얼마나 의미 있는 일인지 증명해주는 역사적 사실이기도 합니다.
      참고로 미국의 초딩들은 US Civil이란 클래스에서 건국의 의미와 헌법 말고도 미국인들이 자행해온 각종 인종차별의 부당성에 대해서도 배웁니다. 한국도 초딩들에게 다문화 교육은 시행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 @j.j.8436
      @j.j.8436 Před 2 lety +1

      @@davidjacobs8558 논리 개같이 털리고 버로우 ㅋㅋㅋㅋ

  • @gee7395
    @gee7395 Před 2 lety +3

    최고의 채널중 하나입니다 👍👍

  • @user-dp7er4fv6h
    @user-dp7er4fv6h Před 2 lety

    늘 잘 보고있습니다

  • @ggulddung
    @ggulddung Před 2 lety +3

    마지막 멘트 넘모 멋지네요 ㅎ

  • @pernix8099
    @pernix8099 Před 2 lety +4

    새글 알람이 가장 반가운 채널!

  • @jw_p4887
    @jw_p4887 Před 2 lety

    고급스런 내용과 영상 감사드립니다.

  • @user-zs1yd4hk9k
    @user-zs1yd4hk9k Před 2 lety +2

    당연하게 누리고 사는것들에 다시 감사하게 되는 영상이네요 ~ 영상 감사합니다~!

  • @tankman7699
    @tankman7699 Před 2 lety +9

    3:45 에서 지식브런지님의 목소리도 깊은 빡침이 느껴집니다...

  • @user-ng4no5ep8b
    @user-ng4no5ep8b Před 2 lety +47

    민주주의는 피를 먹고 성장하고, 그나라 지도자는 그나라 국민들의 수준에 맞는 사람이 선택됩니다.

    • @user-mz3kk6fz9u
      @user-mz3kk6fz9u Před 2 lety +14

      민주주의만 피를 먹고 성장하는게 아니죠.
      왕정도, 신정도 모두 피를 먹고 성장합니다.
      엄밀히 말하면 민주주의가 피를 먹고 성장하는게 아니라 국가는 피를 먹으며 성장합니다.

    • @user-ic6xr2hr4q
      @user-ic6xr2hr4q Před 2 lety +9

      @@user-mz3kk6fz9u 맞습니다. 하지만 민주주의는 지도층의 권력을 국민과 나누는 것이기 때문에 사회 지도층의 반대와 억압이 강합니다. 그리고 그 와중에서 흘리는 피가 유독 더 잔혹하고 많이 흘리기 때문에 민주주의 피를 먹고 성장한다는 말이 나온 것 같습니다.

    • @user-mz3kk6fz9u
      @user-mz3kk6fz9u Před 2 lety +8

      @@user-ic6xr2hr4q 모든 사회 체계는 변화에 맞닥드리면 그에 반대되는 집단의 저항을 받습니다. 변화의 초창기에는 동료로 같이 싸우지만 중간에 이해관계가 바뀌면서 지지세력이였던 집단이 반대세력으로 돌아서서 서로 피를 흘리는 경우도 너무나 많죠.
      그리고 개인적인 생각에 피를 먹는걸로 치면 왕정이 훨씬 많이 먹었다고 봅니다.
      스스로 왕이 되기 위해 수십만을 한번에 갈아죽이는 짓도 많고, 왕의 자리를 지키기 위한 잔혹하고 끔찍한 행위는 너무나도 많았죠.
      왕권을 지키기 위한. 말로 형언하기도 어려운 끔찍한 형벌인 능지처참이라는 형벌을 아시나요?
      항우가 왕이 되기 위해 신안에서 20만명을 학살한걸 기억하시나요?
      민주주의 아니라 왕정 신정같은거랑은 전혀 상관없이, 인간의 사회가 성장(성장 이라고 말해야할까 변화라고 말해야할까 고민되긴 합니다.)하기 위해서는 그에 따라 희생되는 이들이 있고 그에 반대되는 의견을 가진 사람들의 피가 흐르는거고, 그게 인간 집단의 본성이라고 생각됩니다.

    • @sejinJ
      @sejinJ Před 2 lety +3

      @@user-mz3kk6fz9u 뭐가 더 피를 많이 먹냐가 문제가 아니구요..
      피를 먹고 성장한다는건 민주화나 개혁을 위해선 피를 보는게 불가피 하다는 뜻입니다
      다시 말해 누가 떠먹여주는 쉬운 민주화는 없다는 소리

    • @user-mz3kk6fz9u
      @user-mz3kk6fz9u Před 2 lety +3

      @@sejinJ 제 말의 뜻도 뭐가 더 피를 많이 먹느냐가 문제가 아니구요, 인간 사회를 개혁하고 변화하는데도 피를 보는건 불가피하고 인간 사회를 유지하는것. 현상유지만 해도 피를 보는게 불가피하다는 겁니다.
      다시 말해 피가 흐르지 않는 인간의 사회는 없다는 소리입니다. 지금의 한국 사회에서도 누군가는 지금의 사회 체계에 의해 피를 흘리며 죽어가고 있습니다. 이미 한참전에 민주회된 나라에서도 말이지요.
      민주화건 왕정복고건 신정이건 뭐건간 아무 상관 없이 인간 사회는 인간의 피를 먹는다는 이야기지요.
      민주주의는 피를 먹고 자란다는 이야기는 민주주의가 인간의 사회 체계인 이상 사람은 살아 움직이는데에 에너지를 필요로 한다. 라는 말과 완전 동일한 아무 의미없는 말 이라는 이야기지요.

  • @user-er8hu4ml1g
    @user-er8hu4ml1g Před rokem +1

    이분 영상은 참 깊다 깊어, 오늘도 감사드립니다

  • @Irene-mo9ro
    @Irene-mo9ro Před 2 lety

    좋은 강의 감동적입니다.

  • @hooksun646
    @hooksun646 Před rokem +3

    꽃이 하나 꺽였다고 봄이 오지 않는것은 아니지만... ...
    어떻게 하면 그 봄이 하루라도 빨리 오게 할수 있을까는 영원한 숙제일지도...

  • @shinesun9277
    @shinesun9277 Před 2 lety +17

    마지막 말씀 정말 가슴에 와 닿습니다.
    꽃이 하나 꺾였다고 봄이 꺾인 것은 아니다...

  • @kkamcc123
    @kkamcc123 Před 2 lety +1

    오~ 마지막 말씀 정말 크게 와닿네요 감동입니다~^^♡

  • @parkcurry8887
    @parkcurry8887 Před 2 lety

    이런 훌륭한 영상을 볼 수 있어서 참 행복합니다. 감사드려요. 역시 한국의 가장 강력한 콘텐츠는 민주화 과정이란 자부심이 확 드네요. 감사합니다.

  • @hureudipo
    @hureudipo Před 2 lety +22

    유익한 지식을 이렇게 들려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zs7eb5uc9r
    @user-zs7eb5uc9r Před 2 lety +7

    민주주의는 정말로 섬세함이 요구되는 뇌수술과도 같다. 그래서 많은 나라들이 실패한다. 하지만 근본적으로 민주주의가 가장 효율적인 대안이라는 아이러니....

  • @user-cv3er1qj8y
    @user-cv3er1qj8y Před rokem

    영상 정말 감사합니다~~

  • @glousor302
    @glousor302 Před 2 lety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joejoe6611
    @joejoe6611 Před 2 lety +12

    아랍은 "여성의 평등한 참정권과 교육의 기회"를 보장하는 사회가 되어야 합니다.하지만 정치,종교의 역학관계가 복잡하게 얽혀 있는 아랍 세계는 절대 이 문제를 전향적으로 풀 수 없을 거에요.그럴 필요도 못느끼고 있구요. 따라서 아랍의 민주화는 "불가능"하다고 단언할 수 있습니다.아랍은 앞으로도 계속 신정,왕정 정치를 하게 될 것입니다.

  • @lattecream3104
    @lattecream3104 Před 2 lety +12

    교수님의 마지막 말씀, "꽃이 하나 꺾였다고 봄이 꺾인 것은 아닐 테니.." 진짜 명언입니다.

  • @OO-zm4qm
    @OO-zm4qm Před 2 lety

    멋진 말씀 감사합니다

  • @Cyk_9831
    @Cyk_9831 Před 2 lety +1

    마지막 말에 여운이 길게 가네요……🤔
    감사합니다

  • @Alex.NT-1
    @Alex.NT-1 Před 2 lety +8

    자원의 저주.
    아랍의 봄이 다시 온다면 자원이 다 떨어져 스스로 먹고 살 수 밖에 없게 될 때가 아닐까 싶다.
    그러나 그 때 그 봄이 향기롭고 오색창연한 모습일 거라는 생각은 들지 않는다.

  • @nwkimnwkim
    @nwkimnwkim Před 2 lety +4

    새벽 아침이 오기 전이 가장 어둡고 추운 법. 그러나 피와 희생 없이 된 것도 없으니... 여전히 두고 볼 일 같네요

  • @tripchoe
    @tripchoe Před 6 měsíci

    아주 좋은 내용입니다

  • @wa-ri3xk
    @wa-ri3xk Před 2 lety +1

    정말 유익하다

  • @Kei-man
    @Kei-man Před 2 lety +17

    이래서 올바른 종교의식과 교육이 중요하다는 겁니다. 물론 서방세계들의 간섭에 의한 영향도 많지만 이슬람은 자치 세력들이 너무 많아요
    몇천명 씩 촌락 형태의 부족들이 타협이라는걸 거의 모릅니다. 사정이 좋다는 사우디, 쿠웨이트, 아랍 에미리트 같은 국가도 석유라는 막강한 자원이 없었다면 똑 같은 처지가 되었을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