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허스님의 공부법 | 탄허스님이 화엄경을 우리 민족의 교전으로 삼아야 한다고 한 이유 | 탄허스님과 화엄경 | 문광스님 '탄허학 연구' 1

Sdílet
Vložit
  • čas přidán 28. 04. 2022
  • 문광스님이 유·불·도뿐 아니라 주역·정역·성경까지 통달했던 탄허(1913~1983) 스님을 사숙해 탄허학이라는 새로운 학문을 열었다. 그는 연세대 중어중문학과 학·석사, 동국대 선학과와 불교학과 석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박사를 거친 불교학자이자 국학자이다. 통광 스님으로부터 전강(傳講)을 받아 경허-한암-탄허-통광으로 이어지는 전통 강맥을 이었다. 조계종 종정이었던 혜암 스님이 열반하기 전 마지막 시봉자였던 그는 참선 수행에 매진한 수좌이기도 하다.
    경북 영천에서 태어나 퇴계학파인 유학자 부친에게서 어려서부터 한문을 익힌 그는 또래에서 드물게 일찍이 유(학)·불·도(학)의 경전들을 쉽게 섭렵할 수 있었다. 박람강기(博覽强記·동서고금의 책을 널리 읽고 그 내용을 잘 기억함)에서 20세기 누구도 따르기 어려웠던 탄허스님을 잇기위한 공부 과정으로 볼 수 있다. 탄허사상을 연구해 박사학위를 받은 탄허학 박사 1호인 그는 '탄허선사 사교회통사상'에 이어 최근에도 '탄허학'과 '탄허사상특강'을 동시에 출간했다. 탄허 스님은 한국전쟁 이후 강원도 산골 오대산의 월정사와 상원사를 이끌면서도 불교 역사상 전무한 역경과 저술 작업을 통해 초인적 성과를 이룬 인물이다. 탄허 스님은 새벽 1~2시쯤 일어나 신선법과 참선으로 하루를 열었다고 한다.
    문광 스님도 늘 아침에 통기법(通氣法)이라는 몸 푸는 체조 같은 것을 하고 바로 좌선을 한다. 그것이 바쁜 일상에 압도되지 않고 살아가는 건강 비결이다. 통기법과 좌선을 하루도 끊김 없이 이어온 지 6000일이 넘었다고 한다. 햇수로 16년이 넘은 셈이다. 그는 “운동이든 수행이든 한꺼번에 많이 하는 것보다 이처럼 끊기지 않게 습관을 들이는 게 가장 좋다”며 직접 지은 신조어인 ‘연공최귀’(連功最貴·끊기지 않고 단련하는 것이 가장 귀하다)를 강조한다.
    #문광스님 #탄허학연구 #화엄경
    ----------------------------
    조현TV 휴심정
    조현 한겨레신문 종교전문기자
    iuhappyday@naver.com
    무엇을 갖기를 원하나요. 많은 돈, 높은 지위, 든든한 권력, 좋은 가족과 친구, 기쁨과 행복.
    열린태도로 지혜로워질 때 많은 것이 덤으로 주어집니다.
    휴심정은 종교와 이데올로기, 고정관념, 편견을 내려놓고, 마음을 열고 배워 지혜롭고 성숙해져서 자타가 함께 행복해지는 곳.
    바꿀 수 없는 것을 받아들이는 지혜를, 바꿀 수 있는 것을 바꿔낼 수 있는 용기를!
    *조현TV휴심정은 유튜브에 광고신청을 하지않아 수익이 발생하지않습니다.
    따라서 인터뷰어, 인터뷰이, 촬영자, 편집자 모두의 재능 기부로 만들어집니다.
    (조현이 삼각대 위에 핸드폰을 장착후 인터뷰하는게 대부분이니, 음향 등 미숙을 양해해주세요)
    **인터뷰 기사는 휴심정( well.hani.co.kr )에 있어요.
    네이버 뉴스에서 조현기자를 구독( naver.me/F5uVPaKk )하면 조현 글이 배달됩니다.
    ***한겨레신문을 후원( support.hani.co.kr )해주시거나, 신문을 구독해주시면 큰 힘이 됩니다.
    (후원해주신분 메일로 연락주세요. 한겨레신문 구독 신청하실분도 메일로도 연락주세요. 조현 이메일 iuhappyday@naver.com)
    당신이 건강하고 행복하기를!
    당신이 사랑받고 존경받기를!
    당신이 아름다운 세상을 만드는 창조자이기를!

Komentáře • 40

  • @user-dp8en4vj3q
    @user-dp8en4vj3q Před 2 lety +24

    문광스님 조현님 두분의 조화로운 대담
    재밌게 잘 들었읍니다
    고맙습니다~~
    조현님 맑은 얼굴빛이 반갑습니다

    • @dltnsqns9010
      @dltnsqns9010 Před 2 lety +2

      문광스님.조현님.
      애쓰셨습니다.근념하셨습니다 🙏🙏🙏

  • @user-de6uo7zz8c
    @user-de6uo7zz8c Před 11 měsíci +2

    문광스님, 감사합니다 _()()()_

  • @user-lu9gu8tk4f
    @user-lu9gu8tk4f Před 2 lety +20

    문광스님.시절인연에 늘 ~감사드립니다🙏🙏🙏

  • @user-cz2yy7jj6x
    @user-cz2yy7jj6x Před 6 měsíci +1

    감사합니다 문광스님

  • @user-xt6vd5bj1j
    @user-xt6vd5bj1j Před 2 lety +3

    감사합니다

  • @jiahnjun34
    @jiahnjun34 Před rokem +2

    문광스님의 불교의 지식의 세계는. 대단하십니다 ㆍ

  • @banihayoga2979
    @banihayoga2979 Před rokem +3

    앞으로 불교가 나아갈 길.. 대한민국의 교육이 나아갈 길.. 혼란스럽고 염려되었지만 이렇게 큰 스승님들이 이끌어주고 계시는군요..^^ 이 시대에 몸받아 태어남에 감사합니다!

  • @user-ew7ex3sv3m
    @user-ew7ex3sv3m Před rokem +4

    불법승 삼보에 귀의합니다.
    부처님 고맙습니다.
    나무대방광불화엄경
    나무대방광불화엄경
    나무대방광불화엄경 _()()()_

  • @user-jg4xg9rw7b
    @user-jg4xg9rw7b Před rokem +4

    스님 감사합니다 건강하십시요 🙏🙏🙏

  • @user-ut3be5co5y
    @user-ut3be5co5y Před 2 lety +16

    문광스님 자주 뵈니 넘 좋습니다

  • @user-in5lz1hc4n
    @user-in5lz1hc4n Před 2 lety +16

    문광스님
    삼배올립니다🙏🙏🙏

  • @maharatha7522
    @maharatha7522 Před 2 lety +18

    문광스님 항상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zh5sy1zs8h
    @user-zh5sy1zs8h Před 2 lety +20

    불법을 이렇게 알아듣기 쉬운 말로
    설명해 주시는 두 분이 계시다는 것이
    지금 시대의 우리에게 있어서 얼마나
    큰 복인지 모르겠습니다.
    대한민국에 태어나서 살고 있다는 것,
    그것 하나 만으로도 엄청난 행운과 복임을
    여실히 느끼는 요즘입니다.
    염불이든, 관법수행이든, 참선이든..
    수행법 자체가 문제가 아니라,
    일념이 깊어져서 본성자리에 들어가면
    그 경지는 같은 자리라는 말씀이 너무
    와닿습니다.
    이렇게 좋은 분들과 함께 영상 만들어
    공부 할 수 있도록 자리를 펼쳐주신
    조현기자님과 기꺼이 법을 펼쳐주시는
    선지식 스승님들께 무한한 감사를 드립니다.
    💐 🙏 🙏 🙏 💐

  • @user-lx5he8ri4e
    @user-lx5he8ri4e Před 2 lety +17

    행복한금요일 저녁 힐링영상 너무 감사해요 ♡

  • @dltnsqns9010
    @dltnsqns9010 Před 2 lety +10

    감사합니다 스님

  • @user-sk4cr9kk1g
    @user-sk4cr9kk1g Před 2 lety +6

    잘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 @user-vt2lq1ym6d
    @user-vt2lq1ym6d Před 2 lety +19

    조현님 문광스님 반갑습니다
    탄허록에서 여기에서 누구라도 부처님의 법문을 듣고 한 생각을 돌이켜 다시 돌이킬 것이 없는 데로 돌아간다면 2500년 전 석가가 먼저 성불한 것이 아니요 3천 년 후 중생이 뒤에 성불한 것이 아니다 이 것이 참으로 자신을 회복하는 길이다
    얼마나 아느냐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어떻게 발심하느냐가 마음공부에서는 관건이 된다 발심하여 한 생각 거두어서 생각이 일어난 자리가 없다는 것을 깨우친다면 누구나 3대 성인과 어깨를 나란히 할 수 있다
    문광스님 조현님 마음의 본체 감사합니다 고맙습니다 귀하신 말씀 감사합니다 건강하시고 행복하세요 🙏🙏🙏🌷🌷🌷

  • @user-ds5lg3dk1y
    @user-ds5lg3dk1y Před 2 lety +5

    문광스님
    존경 합니다
    오래오래 건강하세요
    좋은법문 감사합니다~^

  • @soyeon208
    @soyeon208 Před 2 lety +10

    감사합니다 🙏

  • @soyeon208
    @soyeon208 Před 2 lety +10


    좋아좋아

  • @user-pz2ez6vb2k
    @user-pz2ez6vb2k Před 2 lety +10

    조현 TV
    언제나 고맙습니다

  • @user-ku1ih3jk8f
    @user-ku1ih3jk8f Před 2 lety +11

    일년전 문광스님 휴심정 동영상 재밌게 보았는데 이번 동영상도 재미 있네요. 지식과 지혜가 늘어나는 즐거움 😂 감사합니다

  • @user-er9uy9dt7k
    @user-er9uy9dt7k Před 2 lety +3

    탄허스님큰스님감사합니다

  • @user-kc1ty1sw3w
    @user-kc1ty1sw3w Před 2 lety +10

    조현 기자님 문광스님 반갑습니다🙏🙏🙏

  • @user-em7ow5ly7k
    @user-em7ow5ly7k Před rokem +3

    늘감사드립니다.
    ()()()

  • @user-er9uy9dt7k
    @user-er9uy9dt7k Před 2 lety +3

    방가와요스님

  • @JK-iu1ln
    @JK-iu1ln Před 2 lety +9

    불교와 과학은 세부적 요소를 보면 일부 닮은 점도 있지만, 실제로 닮지 않은 점이 훨씬 더 많기 때문에 총체적으로 유사성을 주장하면 안 된다. 불교가 과학을 이용하여 불교의 뛰어남을 주장하는 것은 잘못하면 유사과학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주의하여야 한다. 예를 들면 아비달마나 아비담마의 분석철학과 입자물리학을 비교하는 경우나, 유식과 뇌과학, 만다라와 양자우주와 같은 것이다. 특히 화엄의 세계는 구조적으로 인터넷망과 유사한 주장하기 때문에 메타버스와 같은 가상 세계와 비교하기 쉽다. 결론적으로 과학이 향해 나가는 방향과 본래 불교가 목표로 하는 것은 다르다는 점을 먼저 인식해야 하고 그 위에서 불교 공부를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 @beingbeingbeing2978
      @beingbeingbeing2978 Před rokem +1

      아주 중요한 포인트를 집어주셨습니다 화엄의 세계는 정신의 깨달음이 육신의경험으로 일치되어야 하는데
      메타버스의 가상세계는 오직 멘탈의 착시현상으로 오히려 진정한 화엄의 깨달음에서 더욱 멀어집니다

  • @user-em9sf3gw5d
    @user-em9sf3gw5d Před 2 lety +17

    법정스님이 출가하실 때,가져 가셨던 몇권의 책중에 화엄경이 있었다고 하셨는데요.
    부처님 말씀은 천년을 공부해도 한 가지를 깨닫기 어렵다고 하던데 정말이지 학문을 길은 험하고 갈 길은 먼 거 같습니다.

  • @user-wl5le5rp9k
    @user-wl5le5rp9k Před 2 lety +4

    나는 스승님으로부터 이렇게 들었네요.
    설명할수 없으면 아는것이 아니다..
    언어문자가 끈어진자리만
    찾기보다도ㅡ

  • @user-mk8le8pg5f
    @user-mk8le8pg5f Před 2 lety +16

    시대에 따라 큰스님들께서 대중들 곁을 왔다 가셨습니다. 지금저는 다행히도 법륜스님,문광스님,자현스님을 비롯한 많은 선지식, 스님들의 말씀을 듣고 있습니다. 부처님의 은혜고맙습니다_(())_

  • @soulface215
    @soulface215 Před 2 lety +11

    근본 = 전체 ? 그것일까요 ??

  • @user-ut3be5co5y
    @user-ut3be5co5y Před 2 lety +8

    문광스님이 지은책 제목이
    무엇인가요

    • @koreainsight
      @koreainsight  Před 2 lety +4

      탄허학연구. 입니다.

    • @user-ku1ih3jk8f
      @user-ku1ih3jk8f Před 2 lety +4

      탄허학연구 외에도 여러권 있으니 인터넷 검색 해보시는것도 도움이 되실듯 합니다

  • @hyunsoojin7100
    @hyunsoojin7100 Před rokem +2

    사사무애법계는 양자역학에서 나오는 양자얽힘의 관계가 아닐까요? 대립되는 spin을 가진 두입자를 아무리 우주 멀리 떨어뜨려도 서로 얽힘의 관계에 있다고 합니다.
    이사무애법계가 0,1이라는 코드로 짜여진 소프트웨어(영혼)가 CPU라는 반도체 하드웨어라는 물질속에서 돌아가는 거라면. 사사무애 세계는 소프트웨어가 필요없단 거지요.
    지금 AI업계에서는 아무런 기초지식을 입력치 않은 알파고 zero가 가장 강하다고 합니다. CPU역시 도시건축설계도 같던 방식에서. 그저 바둑판 같은 D-ram이 계산을 한다합니다.
    이사무애의 세계에서는 설계자(아키텍트)의 의지가 중심이었습니다. 프로그램을 짜고, 국가라면 국회가 만든 법률에 의해, 도시라면 도로/다리를 설계에 따라 희비가 엇갈리는데...
    사사무애의 세계는 설계자가 없고 설계자의 의지를 적용시킬수 없는 곳이죠. 현재의 소프트웨어는 MS/iOS라는 설계자의 의지안에서 돌고. CPU역시 인텔/amd가 있지만.
    딥러닝에 의해서 코드 없이 프로그램이 짜여지고 시간이 갈수록 스스로 발전해가며. 프로세서 역시 그저 격자가 많은 cell만 제공하면 특정브랜드에 연연하지 않고 돌아갈꺼고.
    a.i 딥러닝의 기초이론을 제공했다는 neural network연구자들은 그저 아무것도 없이 랜선케이블만 산더미처럼 쌓여있는게 인간 뇌의 구조였다고 했죠. 전선더미가 생각을 한다?

  • @higher3070
    @higher3070 Před 2 lety +9

    감사합니다

  • @user-gv4de5sc4s
    @user-gv4de5sc4s Před 2 lety +8

    감사합니다

  • @user-hu3zp7gv9m
    @user-hu3zp7gv9m Před 2 lety +10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