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망했어야 할 종교? 급감하는 종교 인구 속 종교의 미래는 | 종교문해력 총서 1 종교 성해영 서울대 종교학과 교수 '내 안의 엑스터시를 찾아서...종교 이후의 종교'

Sdílet
Vložit
  • čas přidán 5. 04. 2024
  • 과학 문명이 고도로 발달하고, 인공지능의 시대가 됐지만, 여전히 종교는 개인적으로도, 또 국제사회에서도 가장 중요한 이슈 중 하나입니다. 통상 종교를 가지고 있더라도 자기 종교 외엔 다른 종교에 대해서는 무지하기 마련인데요. 이렇게 세계가 돌아가는 것을 핸드폰 하나로 손바닥 안에서 다 보면서도, 지금 수십 억 사람들을 절대적으로 움직이는 다른 종교에 대해서 무지하다는 것은 스스로 맹인이 되기를 자처한 것과 다름없다고 봅니다.
    그래서 마인드랩 재단이 기획해서 이번에 불광출판사에서 종교문해력 총서 5권을 발간했는데요. 제가 10여 일 동안 두문불출하고 이 책을 꼼꼼하게 읽어보니, 저자들이 원래 실력파들이기도 하지만, 아주 역사적 사명을 갖고 성실하게 써서, 종교에 관한 필독서가 될만하다고 보여집니다.
    한자리에 모시기 어려운 필자들을 함께 모셨습니다. '내 안의 엑스터시를 찾아서'란 책을 낸 서울대 종교학과 교수인 성해영 교수님, 불교 편인 '인생의 괴로움과 깨달음'을 쓴 서울대 인문학연구원 교수인 강성용 교수님, 기독교 편인 '지금 우리에게 예수는 누구인가'을 쓴 성공회대 신학연구원 연구교수인 정경일 교수님, 이슬람교 편인 '이슬람교를 위한 변명'을 쓴 서강대 유로메나연구소 대우교수 박현도 교수님, 원불교 편인 '소태산이 밝힌 정신개벽의 길'을 쓴 원광대 마음인문학연구소 장진영 소장님입니다.
    #종교문해력 #성해영교수 #신비주의
    ----------------------------
    조현TV 휴심정
    조현 전 한겨레신문 종교전문기자
    iuhappyday@naver.com
    무엇을 갖기를 원하나요. 많은 돈, 높은 지위, 든든한 권력, 좋은 가족과 친구, 기쁨과 행복.
    열린 태도로 지혜로워질 때 많은 것이 덤으로 주어집니다.
    휴심정은 종교와 이데올로기, 고정 관념, 편견을 내려놓고, 마음을 열고 배워 지혜롭고 성숙해져서 자타가 함께 행복해지는 곳.
    바꿀 수 없는 것을 받아들이는 지혜를, 바꿀 수 있는 것을 바꿔낼 수 있는 용기를!
    *조현TV 휴심정은 유튜브에 광고신청을 하지않아 수익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인터뷰어, 인터뷰이, 촬영자, 편집자 모두의 재능 기부로 만들어집니다.
    (조현이 삼각대 위에 핸드폰을 장착 후 인터뷰하는게 대부분이니, 음향 등 미숙을 양해해주세요)
    **인터뷰 기사는 휴심정( well.hani.co.kr )에 있어요.
    네이버 뉴스에서 조현 기자를 구독( naver.me/F5uVPaKk )하면 조현 글이 배달됩니다.
    ***한겨레신문을 후원( support.hani.co.kr )해주시거나, 신문을 구독해 주시면 큰 힘이 됩니다.
    (후원해 주신 분은 이메일로 연락주세요. 한겨레신문 구독 신청하실 분도 이메일로 연락주세요. 조현 이메일 iuhappyday@naver.com)
    당신이 건강하고 행복하기를!
    당신이 사랑받고 존경받기를!
    당신이 아름다운 세상을 만드는 창조자이기를!

Komentáře • 24

  • @user-px1js7yu1t
    @user-px1js7yu1t Před 2 měsíci +22

    와~ 우리 조현쌤은 이런 강의(법문) 기획도 가능하시군요. 한 자리에서 각 종교영역의 권위자들을 모시고 법문을 듣다니....정말 행복하고 경이롭습니다. 말씀대로 한 자리에 계신 교수님들 면모와 말씀에 엑스터시를 느낍니다. 정말 고맙습니다.()()()

  • @simplehoolee
    @simplehoolee Před 2 měsíci +26

    전 무종교지만 제가 살아가는데 도움이 된다면 어떤 종교나 종교인의 가르침을 다 받아들일수 있다는 생각이에요. 법륜스님 김기석 목사님 홍성남신부님 향봉스님 말씀들 다 너무 좋고. 신부님 말씀대로 이분들은 삶의 짐을 가볍게 해주고 더 괜찮은 사람이 되도록 이끌어 주시는 분들이에요. 그런 점에서 특정 종교만 믿는것보다 휴심정 같은 곳에서 이렇게 다양한 종교의 이야기를 듣는게 최고아닐까요 ㅎ 이런 콘텐츠는 휴심정에서만 얻을수 있는 것 같아요~~

  • @damonoh1983
    @damonoh1983 Před 2 měsíci +16

    부처님은 직접 보라고 하셨죠
    깨어나는 이들이 많아져 종교라는 도구는 때를 다해가고 있는게 아닐까요
    물질문명은 정신문명을 가려왔지만 깨어나는 본능은 길을 찾으리라 생각합니다
    너무 멋진 자리라 뭉클합니다
    이렇게 시작되나봅니다

  • @user-vn5dc4dk1p
    @user-vn5dc4dk1p Před 2 měsíci +13

    교수님 기자님 감사합니다 😊

  • @user-vo5cn7yu3z
    @user-vo5cn7yu3z Před 2 měsíci +11

    이런 토론 ... 고맙습니다. 앞으로도 자주 부탁드립니다.

  • @hoseungjung1635
    @hoseungjung1635 Před 2 měsíci +16

    제가 깨달음에 집착하며 고통 받고 있어서 대담 내용이 저에게 크게 도움 됩니다. 삼매, 엑스터시를 체험한다고 해도 윤리적, 지적으로 성장하지 않으면 외롭고 괴롭습니다. 엑스터시의 민주화의 필요성에 정말 크게 공감합니다.

    • @user-ig2mh4bc5c
      @user-ig2mh4bc5c Před 23 dny

      🙏 ㆍ " 일상성 " 역시 굉장히 중요하다 ~ 전 확언 할 수 있읍니다 ~ ㆍ 원불교 마음연구소 장진영 소장님 ~ 말씀을 저는 실천에 옮기고 있는 ㆍ 1인 이고요 ~
      님도 ㆍㆍㆍ ( 이젠 ) 비로소 자유롭길 바랍니다 ^^ ㅎㅎ
      🎉

  • @rankim5436
    @rankim5436 Před 2 měsíci +6

    종교를 믿는 사람이 전세계적으로 줄고 있다 하니, 듣기 좋다.
    믿음의 종교는 문화라는 말을 들었는데, 이해된다.
    불교의 깨달음, 공, 연기등은 현대과학과 일치되는 것이 많은 것 같다.

  • @user-hv5qj9ee2s
    @user-hv5qj9ee2s Před 2 měsíci +4

    내 나이 60중반이지만 일상에서 감히 만나볼 수 도 없는 석학들의 이런 이야기를 듣고 깨우치는것이 너무 즐겁습니다.

  • @user-fx1hf7mz6v
    @user-fx1hf7mz6v Před 2 měsíci +10

    종교성은 유지될 것이나 종교단체는 무너지거나 사라질 것으로 본다. 종교를 빌미로 밥 빌어먹는 사람들은 없어져야하고 없어질 것이다. 틀을 깨야한다.

    • @user-ig2mh4bc5c
      @user-ig2mh4bc5c Před 23 dny

      🎉 🎉 🎉 ㆍ 이미 다 ~ 사 라 진
      ㆍㆍㆍ 새 세 상 ㆍㆍ 이 지 요 ~~ 🎉
      🎉

  • @user-hm7zp2lm7b
    @user-hm7zp2lm7b Před 2 měsíci +9

    ❤ 감사합니다

  • @user-jw4kx6sn6h
    @user-jw4kx6sn6h Před 2 měsíci +7

    종교에 대한 다양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 @hyejue
    @hyejue Před 2 měsíci +7

    제가 요즘ㅈ관심있는 주제를 듣게되어 너무 감사합니다❤

  • @user-bo1bb1oe7r
    @user-bo1bb1oe7r Před měsícem +1

    훌륭하신 석학님들 말씀 모두 공감합니다.
    인간의 두려움과 괴로움ㆍ끝없는 욕망으로인해 종교에 더 집착하게 되고 결국엔 위로받고 욕심을 채우는 에너지를 찾고하는듯합니다.
    붓다의 가르침인 무상ㆍ고ㆍ무아의 이치데로 산다면 모든 생명체들은 평화롭게 공존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user-vi8ku5ee8h
    @user-vi8ku5ee8h Před 2 měsíci +5

    과학(사물의 원리를 탐구하는 학문)아니고,철학(목적과 본질을 찾아가는)도아니고 종교(주세요)도 아닌 수행修行은 과학 이상의과학, 철학 이상의 철학,종교 이상의 종교가 수행입니다.수행은 내가 나를 찾는것이다.자기가 자기를 깨닫는, 자기가 자기를 찾는것이 수행이다.이것이 道입니다.운재청천雲在靑天 수재병水在甁. 오늘날 종교는 교리에 너무 집착執着에 변화에 따라가지 못하는, 종교의 르네상스를 강력히 요구받고 있는데 井(우물안에) 안주하고 있으니 사이비종교가 기생하고 있는지 기성종교가 반성하고 성찰해야합니다.

  • @an-fx5bp
    @an-fx5bp Před 2 měsíci +3

    종교라는울타리를터가는현장이라봅니다.🫶

  • @Gam_kkaeda4444
    @Gam_kkaeda4444 Před 2 měsíci +10

    기복이란 집착을 끊어 내고 지금 옆에 잘 된 사람처럼 또는 어디 잘 된 교인처럼 (심지어 간증하러 오심) 살 수 있다 이런 비교를 없애고 ㅋㅋㅋㅋ 종말과 심판이 다가왔다고 협박하지말고 ㅋㅋ 에혀~~ 왕 짜증나요

  • @not_doing_but_being
    @not_doing_but_being Před 2 měsíci +2

    종교가 담당했던 정신적인 훈련이 앞으로는 뇌과학으로 입증이 된 내면소통 마음근력훈련으로 대체가 되겠지요. 아니면 미국에서 다시 연구중이라는 LSD 실로시빈 등 사이키델릭이 부상할 수도 있겠지요.

    • @user-ig2mh4bc5c
      @user-ig2mh4bc5c Před 23 dny

      🎉🎉🎉 위험 할 수도 있어요 ~
      모든 사람들과의 ㆍ - 각 분야 ~ 정통성을 자타공인 깊이 지니고 겸허하게 뿌리내리고 계신 분들을
      만나 ㆍ 배우고 익히려는 자세가 탄탄히 쌓이지 않으면서 ... ( 뇌과학 분야 만 ^^ ) 한 분야만 기형적으로 파고 들어간다면 ㆍㆍ
      또다른 대단히 위험한 ㆍ 한 뭉터기가
      ㆍㆍㆍ 되어 생겨버릴 수 있어요
      ( 함께 살아가야 하는 세상이므로 )
      ㆍㆍ 또 하나의 먹튀가 되어 남은 대중에게 ㆍ 설거지도 하고 밥도 하고 아이도 낳고 ㆍ 교육도 시키고 ㆍ 노동하여 ㆍ 세금도 내고 과학도 발전시켜라 ㆍㆍ !
      하는 공공의 적이 되면 나는 안 되겠기에 ㆍㆍ ( 최고와 만나서 보고 납득하고 ㆍ 배운 걸 실제 스스로 실천하여 체득화 하기 위해 더욱 이러한 연대가 중요해진 겁니다 ㆍㆍㆍ 🎉
      ~ ㆍ 이 게 언 제 나 겸 허 한 삶 입 니 다 ㆍ ㆍ ㆍ 🎉
      🎉 삶은 단순한 균형의 문제 ㆍ 이 거 든 여 ~ ~ ( 언제나 )

  • @user-nr3ti1yj5y
    @user-nr3ti1yj5y Před 2 měsíci +2

    믿음은 감성또는 감정에 따라 커지는건지 의문

  • @user-kf4ep8uj8z
    @user-kf4ep8uj8z Před měsícem

    석존은 신이 아니고 인간이 가질수있는 최고의경지인 부처라는 생명을 얻은것입니다.
    그 부처의 가장큰 바램은'여아등무이' 모든중생을 나와같게 하겠다는 것입니다.
    인간은 누구나 석존과같은 부처의 생명을 갖고 있고 그것을 믿는것에서 부터 불법을 시작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