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이 알고 넘어가야 할 이슬람교 실체 | 종교문해력 총서 4 이슬람교 박현도 서강대 유로메나연구소 대우교수 '무함마드에 대한 우리의 오만과 편견에 대하여-이슬람교를 위한 변명'

Sdílet
Vložit
  • čas přidán 12. 04. 2024
  • 과학 문명이 고도로 발달하고, 인공지능의 시대가 됐지만, 여전히 종교는 개인적으로도, 또 국제사회에서도 가장 중요한 이슈 중 하나입니다. 통상 종교를 가지고 있더라도 자기 종교 외엔 다른 종교에 대해서는 무지하기 마련인데요. 이렇게 세계가 돌아가는 것을 핸드폰 하나로 손바닥 안에서 다 보면서도, 지금 수십 억 사람들을 절대적으로 움직이는 다른 종교에 대해서 무지하다는 것은 스스로 맹인이 되기를 자처한 것과 다름없다고 봅니다.
    그래서 마인드랩 재단이 기획해서 이번에 불광출판사에서 종교문해력 총서 5권을 발간했는데요. 제가 10여 일 동안 두문불출하고 이 책을 꼼꼼하게 읽어보니, 저자들이 원래 실력파들이기도 하지만, 아주 역사적 사명을 갖고 성실하게 써서, 종교에 관한 필독서가 될만하다고 보여집니다.
    한자리에 모시기 어려운 필자들을 함께 모셨습니다. '내 안의 엑스터시를 찾아서'란 책을 낸 서울대 종교학과 성해영 교수님, 불교 편인 '인생의 괴로움과 깨달음'을 쓴 서울대 인문학연구원 강성용 교수님, 기독교 편인 '지금 우리에게 예수는 누구인가'을 쓴 성공회대 신학연구원 정경일 교수님, 이슬람교 편인 '이슬람교를 위한 변명'을 쓴 서강대 유로메나연구소 대우교수 박현도 교수님, 원불교 편인 '소태산이 밝힌 정신개벽의 길'을 쓴 원광대 마음인문학연구소 장진영 소장님입니다.
    #박현도교수 #이슬람교실체 #종교문해력
    ----------------------------
    조현TV 휴심정
    조현 전 한겨레신문 종교전문기자
    iuhappyday@naver.com
    무엇을 갖기를 원하나요. 많은 돈, 높은 지위, 든든한 권력, 좋은 가족과 친구, 기쁨과 행복.
    열린 태도로 지혜로워질 때 많은 것이 덤으로 주어집니다.
    휴심정은 종교와 이데올로기, 고정 관념, 편견을 내려놓고, 마음을 열고 배워 지혜롭고 성숙해져서 자타가 함께 행복해지는 곳.
    바꿀 수 없는 것을 받아들이는 지혜를, 바꿀 수 있는 것을 바꿔낼 수 있는 용기를!
    *조현TV 휴심정은 유튜브에 광고신청을 하지않아 수익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인터뷰어, 인터뷰이, 촬영자, 편집자 모두의 재능 기부로 만들어집니다.
    (조현이 삼각대 위에 핸드폰을 장착 후 인터뷰하는게 대부분이니, 음향 등 미숙을 양해해주세요)
    **인터뷰 기사는 휴심정( well.hani.co.kr )에 있어요.
    네이버 뉴스에서 조현 기자를 구독( naver.me/F5uVPaKk )하면 조현 글이 배달됩니다.
    ***한겨레신문을 후원( support.hani.co.kr )해주시거나, 신문을 구독해 주시면 큰 힘이 됩니다.
    (후원해 주신 분은 이메일로 연락주세요. 한겨레신문 구독 신청하실 분도 이메일로 연락주세요. 조현 이메일 iuhappyday@naver.com)
    당신이 건강하고 행복하기를!
    당신이 사랑받고 존경받기를!
    당신이 아름다운 세상을 만드는 창조자이기를!

Komentáře • 19

  • @user-ov6ry3gh4d
    @user-ov6ry3gh4d Před 2 měsíci +9

    같은 사람을(유태의 신)을
    한쪽은 자기 아버지 이름이 알라라고 부르고
    또 한 쪽은 자기 아버지 이름이 여호와라는 것
    (서울은 엄마 전라도 엄니 경상도 어메)
    같은 아버지 다른 엄마 (같은 씨앗에 밭이 다를 뿐)이복형제일뿐

  • @user-oq4em3wx2k
    @user-oq4em3wx2k Před 2 měsíci +15

    ''자연세계와 영적세계를 모두 만족시키고
    과학의 발전에 부합하는 종교가 미래종교(우주종교)가 되야하고, 그런 요청에 가장 부응하는 종교는 불교라고 생각한다.''
    아인슈타인의 생각입니다.
    좋은 대담 잘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South.Korean
      @South.Korean Před 2 měsíci

      불교는 주먹구구식 뇌과학이라고 생각합니다.

    • @user-jc6fe4tz6f
      @user-jc6fe4tz6f Před měsícem

      ​@South.Korean불교는 불이중도에요

  • @user-jc9zx5vk4l
    @user-jc9zx5vk4l Před 2 měsíci +19

    신의이름으로 전쟁을 일으키지 않는 종교는 불교뿐인듯

  • @user-kg4nj2rn5y
    @user-kg4nj2rn5y Před 2 měsíci +10

    종교는
    자비가 앞서야...

  • @user-xt4zs4ls5w
    @user-xt4zs4ls5w Před 2 měsíci +2

    뜨끔했네요 . 가난한 노동자 무슬림과
    부유한 왕족 무슬림을 전혀 다른 눈으로
    보고 있는것

  • @user-md2bp8th1i
    @user-md2bp8th1i Před 2 měsíci +2

    같은 유대의 신을 누구는 알라라고 부르고 누구는 여호와라고 부른다고
    말씀하시는 걸 충분히 공감합니다
    그런데 조금 더 생각해 보면
    유대교 최초의 신은 엘이었습니다
    이스라엘 가브리엘 에서의 그 엘 입니다
    그리고 엘은 이후 여호와로 바뀌었고
    예수 그리스도가 돌아가시고 부활하셔서 그들과 함깨 되셨습니다
    그렇다면
    알라는 여호와 일까요? 엘일까요?

  • @user-gg8xq9ks4t
    @user-gg8xq9ks4t Před měsícem +1

    저는 개신교 집안에서 태어나 대학시절에 종교를 떠났습니다 이로 인해 집안에서 많은 갈등을 감수하고 삽니다 기독교에 관해서는 많은 비판서를 보고 종교사를 공부하면서 말할 수 없는 실망과 충격을 받았습니다 러셀 경의 Why I am not a christian 을 읽고는 기독교를 종교로 보지않습니다 기독교의 역사적 폭력성을 낱낱이 알면 누구나 기독교를 사랑의 종교라고 인정하고 옹호할 수 있을지 ?

    • @_F_Y_
      @_F_Y_ Před měsícem

      고뇌와 얼마나 갈등이 심한 시간을 보내셨을지 공감합니다..

  • @catcherdream2276
    @catcherdream2276 Před 3 dny +1

    서북청년단을 결성하여 제주도민들을 학살한..
    제주4.3사건을 ..
    기독교가 사과한 적이 있나? ;;

  • @Live-to-die-vv2ng2zs4f
    @Live-to-die-vv2ng2zs4f Před 2 měsíci +1

    하나님이 원래부터 유일신이었던 것이 아니라 다른 신들을 전부 죽여버렸기 때문에 혼자 남아서 유일신이 된거다. 선함은 더 강한 놈의 취향과 성격일 뿐이다. 마피아나 야쿠쟈가 경찰과 군대보다 더 강하면 그들이 법을 정해 경찰과 검찰을 처벌한다. 히틀러의 잘못은 그의 군대가 연합군보다 더 약했던 것뿐이다. 우주는 wille zur macht(힘에의 의지, 프리드리히 빌헬름 니체)로만 설명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