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재는 다섯 무더기의 결합이다ㅣ사성제 법회 14 ㅣ일묵스님ㅣ초기불교 제따와나선원

Sdílet
Vložit
  • čas přidán 30. 06. 2020
  • *** ‘사성제법회’는 불교의 핵심 가르침인 사성제를 주제로 진행되는 법회입니다. 법회의 교재인 [사성제] (일묵스님, 불광출판사)는 전국 오프라인, 온라인 서점에서 구입하실 수 있습니다.
    이 영상은 후원회비로 만들어집니다.
    시청 후 남겨주시는 댓글 한 줄이 부처님의 가르침을 널리 알리는 데에 큰 도움이 됩니다.
    제따와나선원 홈페이지: www.jetavana.net

Komentáře • 29

  • @user-hm4kj2ro8b
    @user-hm4kj2ro8b Před 7 měsíci +1

    스님 감사드립니다. 접촉이 일어나는 순간 멈춤을 수행합니다

  • @Dream-sm7me
    @Dream-sm7me Před 4 lety +14

    일묵스님, 설법 감사합니다.
    나라고 하는 존재는 무엇인가? 다섯가지 무더기로 이뤄져 있다.
    - 다섯 무더기 : 물질, 느낌, 인식, 형성들, 의식(마음)
    - 무더기 : 과거-현재-미래에 존재하는 모든 것을 다 총칭하기 때문임
    과거/현재/미래, 내 몸 안/밖, 미세/거친 것, 가까운 것/먼 것, 수승한 것/저열한 것 다 포함
    1. 물질 : 형체를 가지고 있고, 조건의 변화에 따라 변형되는 특징
    2. 느낌 : 정신적(괴로움/행복), 육체적(괴로움/행복), 괴롭지도 행복하지도 않은 느낌(평온)
    3. 인식 : 뭉뚱그려서 아는 것. 정교하지 않아서 착각하기 쉽다.
    그러한 잘못된 인식이 쌓여 고착화되면 (인식의 왜곡)
    예) 내가 없는데 내가 있다는 '아상', 무상한데 '영원하다'는 착각 등
    - 특히 윤회의 주된 조건이 되는 '갈애'는 느낌과 인식이 결합하여 매우 강하게 작용
    예) 어떤 대상에 대한 갈애/애착으로 강해짐
    4. 형성들: 무언가 함께하는 작용. 만들다의 의미. 심리현상으로 새로운 것을 만들어 내는 원동력
    - 선한법 or 해로운법
    - 의도 : 무언가를 행하려고 하는 것(몸/마음/말 행위의 근본. 의도=카르마)
    - 접촉: 감각과 대상이 만나서 의식이 일어나는 것(접촉을 조건으로 괴로움 생성)
    - 마음 기울이기 : 마음을 대상으로 선/불선에 기울이는 것
    - 의욕 (선법과 함께 좋은 의욕, 불선법과 함꼐 나쁜 의욕) 등
    5. 마음 : 마음 = 의식. 눈 의식/귀 의식/코 의식/혀 의식/몸 의식/ 마음 의식
    - 의식은 선한 의식/불선(악) 의식/무기 의식 있으며, 욕계/색계/무색계/출세간 의식 등으로 향함
    기타) 아라한은 사성제를 믿어 의심치 않는다. 항상 마음을 현명하게 기울인다.

  • @user-ps3ws9mm2n
    @user-ps3ws9mm2n Před měsícem

    감사합니다🙏🙏🙏

  • @user-rs2cs2fq4i
    @user-rs2cs2fq4i Před rokem

    나무아미타불 고맙습니다

  • @user-fy9th2js1h
    @user-fy9th2js1h Před rokem

    나무약사불 나무일광보살 나무월광보살
    옴기리나라 모나라 훔바탁~중생의 평안

  • @user-oc8rz6bh6z
    @user-oc8rz6bh6z Před rokem +2

    불교를 더욱 제대로 배워 가고 있습니다. 일묵스님, 감사합니다. 늘 건강하시기를 ♡♡

  • @leesday4776
    @leesday4776 Před 3 lety +6

    일묵스님, 고귀한법문 감사드립니다🙏🙏🙏

  • @user-zo3ur7bf9h
    @user-zo3ur7bf9h Před 9 měsíci +1

    불법을 제되로 알게해주시는 스님께 감사합니다❤

  • @user-gv1dp7jp6i
    @user-gv1dp7jp6i Před 4 lety +7

    스님 법문을 들으며 마음의 평온을 얻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xu4jm3zh6b
    @user-xu4jm3zh6b Před 3 lety +3

    부처님 말씀 잘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oo3tx2jw4s
    @user-oo3tx2jw4s Před 3 lety +4

    고맙습니다

  • @user-jk6gx8we8h
    @user-jk6gx8we8h Před rokem +1

    감사합니다.스님
    사두 사두 사두

  • @krlee7098
    @krlee7098 Před 4 lety +3

    감사합니다. ()

  • @user-ll6kc3kz1u
    @user-ll6kc3kz1u Před 4 lety +7

    스님, 사성제는 좀 분량도 많고 어려운 것 같아 초기불교 윤회이야기 먼저 읽고 있습니다. 나름 모태불교신자라고 자부했는데 불교에 대해 완전히 새로이 인지하게 되는 계기가 됩니다. 감사합니다 스님 🙏

  • @user-fn5og8ff8f
    @user-fn5og8ff8f Před měsícem

    중간은. 연기를 뜻하고 중도는 팔정도를 뜻한다
    중도의 실천을 통해서 중간을 꿰뚫어 알게 된다고 말할 수 있다 (())

  • @user-yr9oj7dy1t
    @user-yr9oj7dy1t Před 2 lety

    저는 일묵스님을 본적은 었지만 불교 교리에 대한 궁금한 부분을 스님의 사성제 유투브 법문을 들으면서 궁금함을 해소되었습니다 진심으로 일묵스님께 감사드립니다 일체모든중생이 탐진치 삼독을 여의시고 성불하시길 발원합니다

  • @user-uj2bz7te4l
    @user-uj2bz7te4l Před 3 lety +2

    나라고 인식(아항산냐) 하고 있는 존재(삿따)의 실상은 다섯 무더기(빤짝칸다)의 결합이다.
    딴하를 일으키는 웨다나와 산냐의 중요성 / 상카락칸다 중에서 깜마의 조건인 쩨따나 / 팟사, 마나시까라, 찬다 등
    감사합니다.

  • @shanghaihuan
    @shanghaihuan Před 4 lety +6

    감사합니다

  • @ydw5116
    @ydw5116 Před 4 lety +3

    사두사두사두

  • @hyeeunmoon5097
    @hyeeunmoon5097 Před 4 lety +3

    사두 사두 사두

  • @user-dv6er3hc1c
    @user-dv6er3hc1c Před 3 lety +1

    스님 말씀대로면
    저는 수다원인데
    앞뒤 아래위 안팍을 두루 둘러봐도
    행색이 수다원은 영 아닌 듯 ㅋ

  • @user-cz1yv2gb3d
    @user-cz1yv2gb3d Před 4 lety +1

    제가 생각하기로는 부처님께서 말씀하시는 방식을 생각해보면 전체를 나타내는 말과 전체 중 다른 말로 특정지을 수 있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를 전체를 나타내는 말로 표현하시는 느낌이 듭니다.예를 들어 한 존재의 관점에서 볼때 상카라는 조건따라 형성된 모든 오온이라고 볼수 있지만 그중 다른 말로 구체적으로 표현할 수있는 색수상식을 제외한 나머지를 다시 상카라라고 표현하는 방식입니다.법도 마찬가지로 전체적 의미로는 모든 인식가능한 대상이라고 할 수있지만 그중에서 다른 구체적인 말로 할수있는 색성향미촉을 제외한 나머지를 다시 법이라고 표현하신게 아닌가 생각해 봅니다.이렇게 본다면 남방에서 마음이 열반을 대상으로 하는게 설명된다고 봅니다.열반도 무위법인 법이기 때문이죠.근거는 없습니다.개인적인 생각입니다.

  • @lmsali9041
    @lmsali9041 Před 4 lety +1

    Allah is great.☝️
    You worship something that he doesn't see and hea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