탐욕이 소멸하면 괴로움이 소멸한다ㅣ사성제 법회 17ㅣ일묵스님ㅣ초기불교 제따와나선원

Sdílet
Vložit
  • čas přidán 21. 07. 2020
  • *** ‘사성제법회’는 불교의 핵심 가르침인 사성제를 주제로 진행되는 법회입니다. 법회의 교재인 [사성제] (일묵스님, 불광출판사)는 전국 오프라인, 온라인 서점에서 구입하실 수 있습니다.
    이 영상은 후원회비로 만들어집니다.
    시청 후 남겨주시는 댓글 한 줄이 부처님의 가르침을 널리 알리는 데에 큰 도움이 됩니다.
    제따와나선원 홈페이지: www.jetavana.net

Komentáře • 37

  • @user-rs2cs2fq4i
    @user-rs2cs2fq4i Před rokem

    나무아미타불 고맙습니다

  • @user-sv8zm8ro2q
    @user-sv8zm8ro2q Před 11 měsíci

    감사합니다.

  • @user-rl8fk2jo5g
    @user-rl8fk2jo5g Před 23 dny

    감사합니다
    더욱 정진하겠읍니다

  • @r22ggify
    @r22ggify Před 11 měsíci

    이런 중요한 법회 열어주셔서 감사합니다. _()()()_

  • @user-tg9pp8re3g
    @user-tg9pp8re3g Před 11 měsíci +2

    스님 대단하십니다
    명법문입니다

  • @user-tg9pp8re3g
    @user-tg9pp8re3g Před 11 měsíci +1

    저도 경전을 보면 윤회라는 말씀이 종종 나옵니다
    천수경에서도 결정코 극락세계에 태어나 아미타부처님을 친견하옵고
    금강경에서도 제16분에 세존께서 수보리에게 선남자 선여인이 경을 읽고 수지독송하는데도 만일 다른 사람에게 업신여김을 당한다면 그 이유는 응당히 악도에 떨어질 만한 전생의 죄업 때문일 것이다
    부처님 가르침에 의하면 분명 윤회는 있습니다
    🙏🙏🙏

  • @anaalaya
    @anaalaya Před 2 lety +3

    정말 감동입니다. 감사드립니다. 거룩하십니다.

  • @user-hi9pt2qn9u
    @user-hi9pt2qn9u Před 2 lety +1

    감사합니다~~

  • @user-oo3tx2jw4s
    @user-oo3tx2jw4s Před 3 lety +3

    고맙습니다

  • @user-gy6kq8uu7s
    @user-gy6kq8uu7s Před 3 lety +10

    워낙 세상에 거짓이 많다보니 의심을 가져야 속지 않지만, 오직 윤회의 여부에 대해서는 의심없이 부처님의 말씀을 믿고 있습니다.
    자신이 잘 모른다고 부정하는 우를 범하지 않으려고 합니다. 인간의 한계를 인정하는 겸손함이 필요한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 @user-vd3ms3sn9s
    @user-vd3ms3sn9s Před 2 lety +1

    감사합니다

  • @user-ys1sj5qh3c
    @user-ys1sj5qh3c Před 3 lety +12

    스님 법문 들으면서 수행을 열심히 하고 있어요 감사합니다 🙏

  • @user-cg6zq6te8w
    @user-cg6zq6te8w Před 3 lety +4

    오늘도 알아갑니다. 감사합니다.

  • @user-ko2cs6cj7s
    @user-ko2cs6cj7s Před 3 lety +2

    감사해요 스승님~!

  • @Lee-uv4jh
    @Lee-uv4jh Před 3 lety +3

    귀한 말씀 계속 듣게됩니다
    스님 감사합니다
    사~두 사~두 사~두_()_

  • @user-hs4uw6mm2v
    @user-hs4uw6mm2v Před 3 lety +13

    일묵스님 감사합니다.
    저는 개신교 목사이면서 중국선교사로 있지만 일묵스님의 법문을 통해서 마음공부를 하고 있습니다.
    제 마음에 평화가 넘치니,
    저와 함께하는 모든 분들이 다 행복해 합니다.
    귀한 가르침 감~~사 드립니다.

    • @user-yk4oo4in5v
      @user-yk4oo4in5v Před 3 lety +6

      목사님 존경스럽습니다

    • @user-cn7yk5vg3z
      @user-cn7yk5vg3z Před 3 lety +5

      목사님의 넓으신 공부에 찬사를 보냅니다. 어느 종교를 믿든 서로 이해할 필요가 있습니다.

  • @user-jk6gx8we8h
    @user-jk6gx8we8h Před rokem

    감사합니다.스님
    사두 사두 사두

  • @jswootheblackscreen
    @jswootheblackscreen Před 3 lety +6

    🙏🙏🙏

  • @user-tr4cb1bt3g
    @user-tr4cb1bt3g Před 3 lety +3

    법문 감사히 잘 들었습니다

  • @user-cn8wy6iz1x
    @user-cn8wy6iz1x Před 2 lety +1

    강사합니다

  • @YK-bf7yp
    @YK-bf7yp Před 3 lety +2

    마음의 수면은 찰라이다. 해로움이 있으면 괴롭다.집착하면서 집착한 줄 모르면 방치한다. 자기 마음에서 일어나는 해로움,괴로움을 알면 벗어날 수 있다. 마음은 복잡해 사람이 속기 쉽다. 마음통찰!
    나의 어리석음을 제대로 보게 됩니다.감사합니다.

  • @hyeeunmoon5097
    @hyeeunmoon5097 Před 3 lety +1

    사두 사두 사두😊🙏

  • @user-mf6zy8zw2v
    @user-mf6zy8zw2v Před 3 lety +6

    스님 감사합니다

  • @user-pu2rs6dc5s
    @user-pu2rs6dc5s Před 2 lety

    말씀 감사합니다.()

  • @user-sb1sg2jz2j
    @user-sb1sg2jz2j Před 3 lety +4

    옴마니반메훔
    옴마니 반메훔
    옴마니반메훔
    스님 감사합니다~()

    • @phillipkim9004
      @phillipkim9004 Před 3 lety +1

      옴마니 반메훔은 힌두교에서 외는 주문입니다,중국불교(대승불교,한국불교) 에 잘못전래 됐지요.그래서 한국 불교는 엉터리 입니다,그외에도 한두가지가 아닙니다.사두,사두,사두.

  • @Korea_Land_Dokdo
    @Korea_Land_Dokdo Před 2 lety +1

    제가 젊었을때 겨울산행하다 얼어죽을뻔 했었는데요.
    추워서 벌벌떨다가 어느순간인가 춥지도 덥지도 않은 상태가 되더니 세상이 아무것도 없는 암흑이 되더니 제가 잊고 있던 어린시절 부터 당시까지 모든 장면이 슬라이드로 지나가는데요.
    어떤 죄책감도 어떤 기쁨도 들지 않더라고요.
    그리고나서 찰라의 순간 알프스 초원같은 곳인데 생명체 라고는 풀한포기 없는(풀한포기없는데 초원?)
    곳에 실오라기 하나 걸치지 않고 있더라고요
    근데 그곳은 추위 더위 괴로움 기쁨 외로움 등 아무런 감정이나 고통이 없는 곳이더라고요
    깊은 골자기로 물이 흘렀는데 낭떨어지라 갈길이 없음에도 걸어서 그물있는곳 까지 갔는데 순간이었어요
    아마 시간도 없는 아니면 영원한 곳 같았어요..
    -중략-
    어느순간 맑은하늘인데 광명의 빛이 저를 비추더니 부처님인지 하나님인지 하늘을 다 가릴안한 손이 보이더니 인자한 목소리로 저를 부르는 거예요
    ---
    같이 같던 친구 말에 의하면 제가 춥다고 벌벌 떨다가 어느순간 조용해지더라는거예요.
    친구가 잠들면 안된다고 죽는다고 흔들어 깨웠다고 하더라고요.

    깨어나기전에 가시밭길과 평탄한 양갈래길이 있었는데~

  • @greentree01
    @greentree01 Před 3 lety +2

    부처님의 인과법이 곧 윤회를 설하신 거라고 저는 이해합니다. 이 우주의 끝이 바로 저의 뒤통수입니다.
    그렇다면 태어남의 시작 점이 반드시 있을 것이고, 그것을 일어나게 한 원인이 그 이전 자리에 분명히 있었을 것입니다.
    그 원인이 바로 윤회의 업일 것입니다. 윤회의 업 때문에, 그 인과로 인해 태어나는 것입니다. 스님께서 강조하신 말씀에 깊이 공감합니다. 고맙습니다! 나무 마하반야바라밀! 합장! ...♡

  • @user-gm6hp1ie8q
    @user-gm6hp1ie8q Před 3 lety +7

    무아이면서 윤회한다는 것을 이해못한다는 것은 스님 말씀대로 상견이나 단견에 빠져 연기중도를 이해하지 못한다는 뜻이고, 이를 반야중관적인 입장에서 설명하자면 진제인 무아, 공성과 속제인 연기, 윤회를 혼동한 소치라고 할 수 있습니다. 여기에 어설픈 과학만능주의나 유물론까지 더해지면 답이 없습니다..

  • @user-cz1yv2gb3d
    @user-cz1yv2gb3d Před 3 lety +6

    과학의 발전으로 단견이 팽배합니다.선정체험이나 전생을 보는 거 등도 단순히 뇌의 환각작용으로 치부해 버리는 경우도 많습니다.

  • @user-hr7lg9oy7s
    @user-hr7lg9oy7s Před 3 lety +3

    고맙습니다 수행에 장애가 많은 것도 인연 업보 일까요?

  • @user-ef9np7dh5u
    @user-ef9np7dh5u Před 2 lety +1

    요즘 인기있는 작가나 유명인들이
    "인생은 한번뿐이다. 한번뿐인 인생" 이라고 말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런 것이 단견형성에 영향을 주고 있어요.
    또 불교방송에서조차 기독교 용어를 말하는 경우가 많아요.
    예를들면, 어떤 법사가 "진리가 너희를 자유케 하리라"를 불교식으로 해석하는 경우에요.
    알다시피 기독교, 힌두교는 상견에 빠져 있는 릴리젼인데 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