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사가 철처히 감추는 PHEV의 치명적 단점 2가지

Sdílet
Vložit
  • čas přidán 29. 06. 2024
  • 0:00 제조사가 철처히 감추고 싶어하는 PHEV의 치명적 단점
    0:42 PHEV를 추천하지 않는 두 가지 이유는?
    3:18 공차 중량 증가는 많은 장점을 포기해야 하는 치명적 단점.
    4:43 중형 SUV 기반의 PHEV가 중량 증가 문제 심각
    6:28 탄소 배출 규제에 대응하기 위한 제조사 친화 모델
    8:00 PHEV를 추천하지 않는 두 번째 이유는 배터리 문제
    9:27 배터리 용량 대비 EV 주행거리가 짧은 이유가 있다!
    12:29 PHEV의 배터리 보증 기간이 8년 16만km인 이유
    13:22 PHEV가 급속 충전을 지원하지 않는 진짜 이유
    14:28 보증을 위해 배터리 수명 계산을 어떻게 했을까?
    17:14 보증기간 종료 이후 배터리 수명에 문제가 발생할 확률 높다
    20:19 그럼에도 불구하고 수입 PHEV를 구입하고 싶다면 BMW 530e 추천
    #PHEV #플러그인하이브리드 #하이브리드
  • Auta a dopravní prostředky

Komentáře • 445

  • @autogearr
    @autogearr  Před 2 lety +182

    내용 중에 애노드(양극) 캐쏘드(음극)인데 이걸 바꿔서 말한 부분을 지적하시는 분이 계십니다. 이 부분은 맞게 설명을 드렸고 커뮤니티에 자세히 내용을 올려드렸으니 참고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역시 회생제동 충전이 가능한 구조인 것은 여러 번 설명드렸으니 이부분 강조 안되었다고 수정 요청 하시는 분이 없으시길 바랍니다. 전기 모터가 들어가면 회생제동은 기본입니다. 1.5kwh면 되는걸 충전 안한 상태의 고용량 배터리를 싣고 다니는 비효율성을 설명하는 내용입니다. ^^
    0:00 제조사가 철처히 감추고 싶어하는 PHEV의 치명적 단점
    0:42 PHEV를 추천하지 않는 두 가지 이유는?
    3:18 공차 중량 증가는 많은 장점을 포기해야 하는 치명적 단점.
    4:43 중형 SUV 기반의 PHEV가 중량 증가 문제 심각
    6:28 탄소 배출 규제에 대응하기 위한 제조사 친화 모델
    8:00 PHEV를 추천하지 않는 두 번째 이유는 배터리 문제
    9:27 배터리 용량 대비 EV 주행거리가 짧은 이유가 있다!
    12:29 PHEV의 배터리 보증 기간이 8년 16만km인 이유
    13:22 PHEV가 급속 충전을 지원하지 않는 진짜 이유
    14:28 보증을 위해 배터리 수명 계산을 어떻게 했을까?
    17:14 보증기간 종료 이후 배터리 수명에 문제가 발생할 확률 높다
    20:19 그럼에도 불구하고 수입 PHEV를 구입하고 싶다면 BMW 530e 추천

    • @user-fb7pk1wx3k
      @user-fb7pk1wx3k Před rokem

      안녕하세요. 오래된 영상이지만, 우연히보게 되어 질문하나 드립니다.
      중간에 말씀하신 방전 말단에서 구리 포일의 용출 밎 단락을 말씀하셨는데요. 관련 문헌자료를 알수 있을까요??
      아니면, 전압대나 메카니즘을 설명이 가능하신지 문의드립니다^^

    • @user-fb7pk1wx3k
      @user-fb7pk1wx3k Před 7 měsíci

      @@rk91028 ㅋㅋ왜그러세요ㅋㅋㅋ 설랬습니다ㅎㅎ 8개월만에 댓글이 달려서ㅋㅋ

    • @brianchoi8888
      @brianchoi8888 Před 2 měsíci

      내연보다 무겁고 비싸다는 것은 결국 미리 연료비를 지급하고 연비를 상승시킨격인데, 잦은 충전이라눈 번거로움이 추가된 거로군요.

  • @user-cw2xg5ou7d
    @user-cw2xg5ou7d Před 2 lety +180

    PHEV가 내연차 + 전기차의 장점만 있는차로 알았는데.. 생각지도 못한 부분을 알게 되었습니다. 급속 충전을 왜 지원하지 않는지 EV 모드에서 왜 그렇게 밖에 조금 가는지 그 이유를 알게되었네요. 제조사 입장에서는 오토기어가 참 무서운 채널이겠습니다 ^^

  • @jhkim6210
    @jhkim6210 Před 2 lety +66

    늘 방송을 보고 있지만 다양한 분야에 정말 박학다식 하십니다. 게다가 자기가 아는 내용을 남들에게 쉽게 설명을 하기가 쉬운게 아닌대 , 타고난 머리와 재능이 뛰어나신거 같네요. 덕분에 많이 배우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skywalker5262
    @skywalker5262 Před 2 lety +17

    키햐~ 어떤 제조사에서도 명확하게 설명하지 않는 부분을 이렇게 쉽게 설명해주시니 너무 무릎을 탁 치고 갑니다.

  • @user-wz4dr3pt1j
    @user-wz4dr3pt1j Před 2 lety +23

    요즘 방송 너무 자주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시간이 너무 빨리 갑니다...언제 또 자동차이야기 올리실까...계속 기다리게 됩니다. ㅎㅎ

  • @amigoblast2095
    @amigoblast2095 Před 2 lety +30

    전문 전공지식까진 아니더라도 고등학교 기초과학 지식이 탄탄한게 중요하단걸 또 깨닫게 해주시네요. 최고의 내용 감사합니다

  • @user-dd1io6xm7s
    @user-dd1io6xm7s Před 2 lety +10

    하이브리드 시스템과 관련한 명쾌한 분석 감사합니다~^^

  • @hyunjoonseo1894
    @hyunjoonseo1894 Před 2 lety +26

    경량화의 중요성에 대해 다시한번 되짚어 보게되네요~감사히 잘봤습니다.

  • @user-bc7wr1qd6l
    @user-bc7wr1qd6l Před 2 lety +25

    phev는 기본적으로 좋게 보면 내연기관과 전기차 양쪽을 모두 누리는 장점이 있으나 나쁘게 보면 양쪽의 유지관리비용이 다 들어가게 됩니다. 또한 필연적인 무게증가로 인해 조향, 서스, 효율의 손해를 감수해야하죠
    본인은 520d 후륜과 xdrive, a6 45tfsi 를 운용하던 중 기존 5시리즈를 530i 혹은 530e로 대체하는 과정에서 크나큰 고민을 하다가 530e 시승 후 바로 계약했습니다. 530e의 연료통은 기존 내연기관 69리터에서 33%감소한 46리터이고 트렁크용량도 줄어들었지만 세컨 혹은 서드카로 사용하기에는 남아도는 공간입니다.
    이런저런 단점이 분명하지만 가장 단점은 중고가 방어할 생각하면 절대 사면 안되는 차입니다. 현재 1,2세대 전기차도 5년 후 전용플랫폼에서 훨씬 효율적인 전기차량이 나오게 되면 구닥다리 전기차가 될것이 뻔한데 phev가 중고차시장에서 과연 얼마나 인정받을 수 있겠습니까 ㅎㅎ
    이렇게 포기해야 하는 부분들이 명확함에도 phev를 뽑은 이유는 전기차의 정숙한 주행질감을 충분히 느낄 수 있는 통근거리(45km)와 그걸 지원해주는 전기차 주행가능거리(스펙은 39km지만 실제 아무리 쏘고 다녀도 50km이상은 갑니다), 그리고 방전된 상태에서 하이브리드 모드로 연비 17이상은 나옵니다. 엔진개입시 이질감이 없다보니 전기차의 주행질감이 연장되는 느낌에서 오는 만족감이 앞선 단점에도 불구하고 선택하게 되었습니다
    당장 충전에는 지장이 없고 매일 충전하고 다니는 입장이지만 향후 충전소 공급과 수요가 어떻게 되느냐에따라 나의 충전 여건이 달라질수있는 상태에서 순수 전기차를 뽑기에는 그 스트레스를 계속해서 가져가야한다는게 더 부담스러웠고 phev는 당연히 충전하고 타야 좋은 차량, 뽑은 이유를 찾을 수 있는 차량이 분명하지만 설사 충전이 불가능한 경우에도 언제든 출발 가능한 차량이라는 점이 전기차보다 훨씬 좋았습니다.
    결론은 각 구매자의 전기차의 주행질감 선호에 따라 내연기관과 전기차를 선택하는게 맞아 보이고, 충전환경과 용도에 따라 전기차와 phev를 선택하면 됩니다.
    차량 1대만 운용하시거나 오래 탈 생각으로 본인 자금 올인해가며 phev를 구매하는건 절대 말리고싶고, 지금과 같은 과도기에 5년정도 향후 추이를 강 건너 불구경하면서 가장 재밌게 갖고 놀며 즐길 차량으로는 phev가 최고 아닌가싶네요.

    • @maccaryver6133
      @maccaryver6133 Před 2 lety

      진짜 공감합니다^^ 생각 같으시네요.

    • @monk635
      @monk635 Před rokem

      오 같은생각으로 구매대기중.

    • @user-mu9wl7dk4r
      @user-mu9wl7dk4r Před měsícem

      2년전 글인데.. 좋은 선택이셨던거 같습니다. 지금도 그때랑 큰 차이 없는거 같아서요 ㅎㅎㅎ….. Phev 보는 중인데 비슷한 걱정 보여서 보게되네요 ㅎ

  • @xwarp7
    @xwarp7 Před 2 lety +31

    캬 그래서 급속충전을 안넣어줬던 거군요. 그동안 이걸 해주면 대박인데 왜 안해주나에 대한 궁금증이 풀렸습니다.! ^^

  • @Sustainable_IN
    @Sustainable_IN Před 2 lety +13

    차에서 무게가 정말 중요하다고 보는데.. 너무 무거운 차들이 많아져 의아한 부분이 많았습니다. 정치적 제도적 배경이 강한 과도기적 시대군요. 전기적 설명은 단연 최고시네요! 도움 많이 받고 갑니다.

  • @user-xj3bq3zy7q
    @user-xj3bq3zy7q Před 2 lety +2

    대박 강의네요. 고맙습니다.

  • @cartmaneric887
    @cartmaneric887 Před 2 lety +61

    단순한 중량의 문제를 넘어서 두가지 동력계통이 일으킬 수 있는 고장의 확률도 더 높죠
    게다가 경정비로 끝나고도 남을 고장을 고전압계통때문에 전용 미케닉을 만나야 하는 것도 있으니....

  • @santafeo76
    @santafeo76 Před 2 lety +2

    와 정말 대단합니다. 좋은 정보를 넘어서 저희 생각의 패러다임을 바꿔주네요

  • @LuCA-KarL
    @LuCA-KarL Před 2 lety +1

    다른 채널과 다르게 현란한 동영상은 없지만, 정말 내용은 알차요. 전기차 관련 분야에서는 제일 믿을 수 있습니다. 🙏👍

  • @happyjoysung
    @happyjoysung Před 2 lety +62

    X5 45e 타고 있습니다. 2만정도 탔는데요. 배터리 열화에 대한 내용은 너무너무 궁금하던 내용이었습니다. 무게에 대해 말씀하시는 것도 많이 공감됩니다.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 @user-xe2ug6ln7e
    @user-xe2ug6ln7e Před 2 lety +16

    가장전문적인채널 👍

  • @na_aje
    @na_aje Před 2 lety +5

    좋은영상 감사합니다

  • @ghtjdrla0828
    @ghtjdrla0828 Před 2 lety +1

    좋은 정보 감사드립니다. 차량구매시 꼭 참고 하겠습니다.

  • @joojak57
    @joojak57 Před 2 lety +2

    말씀 잘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kjunsoo1999
    @kjunsoo1999 Před 2 lety +3

    오늘도 잘보겠습니다!

  • @user-eb3wd6em4n
    @user-eb3wd6em4n Před 2 lety +1

    귀에 쏙쏙들어 옵니다
    감사합니다

  • @user-iw2ln5pj3z
    @user-iw2ln5pj3z Před 2 lety +43

    맞아요 저도 530e 타는데 이런 점 다 감안하고, 얌전얌전 단거리 위주로 다니는 경우 아니면 효율적이지도 않고 무게 증가로 인해 둔함을 체험하게 됩니다. 충전이 원활치 않으면 오히려 연비는 좋지 않고요. 연료통도 작아서 밥을 자주 줘야할거 같아요. 다만 운행 환경이 대부분 40km 미만인 경우 아주 만족스럽게 탈 수 있습니다. 배터리 보증이 8년 20만이라 딱히 걱정 안하고 타고 있어요. ㅎㅎ

  • @DwarfSin
    @DwarfSin Před rokem +1

    아름다운 설명

  • @JH-xr7zr
    @JH-xr7zr Před 2 lety +77

    한미디로 비추
    풀어쓰면 플러그인 하이브리드는 제조사입장에서 내연기관 차를 유지하며 환경부담금을 안내기 위해서 만든 것이고 그것도 밧데리의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서 밧데리 효율을 극악으로 만들어 놓았다는 것이고 보증기간이라도 지나면 밧데리 교체 비용이 2천만원정도 들고 , 교체안하면 쓸모도 없는 밧데리 그냥 달고 다니면서 무겁고 연비 떨어진 차를 끌고 다니는 꼴.
    그냥 사지마세요

    • @hadongne
      @hadongne Před 2 lety +1

      배터리 몇백

    • @disopp
      @disopp Před rokem +2

      배터리 용량이 작은데 2천이라니....

    • @user-ps8ti5yc9m
      @user-ps8ti5yc9m Před rokem

      그럼 순수 전기차는 배터리 문제없나? 배터리 교환하다가 차값 나가겠네..

    • @cargm8949
      @cargm8949 Před měsícem

      미래를 니가 무슨수로 예측? 미래에 배터리 가격이 개싸질수도 있는거고 ㅋ 확신좀마

  • @ericjung02
    @ericjung02 Před 2 lety +34

    솔직히 공학을 모르는 사람도 상식적으로 생각해도 PHEV는 좋을수가 없습니다. 내연기관과 배터리를 둘다 사용한다는거 자체가 비효율적일 수 밖에 없고 두번째는 과도기적 제품이라는 거죠. 과도기적 제품은 시간지나면 결국 사라질수 밖에 없습니다.

  • @user-vo9nl4ji4x
    @user-vo9nl4ji4x Před 2 lety +12

    오토기어 덕분에 자동차에 대한 객관적 시야가 넓어져서 너무 감사함을 느낍니다.

  • @junesookim2698
    @junesookim2698 Před 2 lety +3

    오우 오늘 내용 신선하네요. 감사합니다.

  • @jstennisdiary5483
    @jstennisdiary5483 Před 2 lety +17

    고퀄리티 영상 너무나 감사합니다. 전 미국에서 쏘렌토 PHEV를 약 한달 전에 구매해서 아직까진 만족하며 잘 타고 있습니다. 살고 있는 곳에 매일같이 충전할 수 있는 개인 차고가 있고 출퇴근을 다 해도 20마일 (32키로미터) 인지라 풀 충전시 주행가능한 32마일 (계기판 표시) 에서 충전양을 많이 소비하지 않고 다시 충전이 가능해서 매우 만족하며 타고 있습니다.

    • @hyunhong4610
      @hyunhong4610 Před 6 měsíci

      저도 미국이고 중고 2022년 18,000mile 탄 소렌토 SX-PHEV를 $36,000 정도에 올라와 살까말까 고민중입니다. 이 금액이면 약 $2000 더 주고 2023년 신차 EX로 가야하는건가도 고민이고요. 미국이여서 집밥 가능합니다.

    • @jstennisdiary5483
      @jstennisdiary5483 Před 6 měsíci

      @@hyunhong4610 전 2022년 SX-Prestige 옵션이 마음에 들어서 최고급형으로 구매했습니다. 이후에는 기본 옵션이 조금 좋아졌다 하지만 그래도 풀옵션으로 사는것이 오래 보유할 것이면 메리트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특히 이 현대기아의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시스템의 안정성이 꽤나 괜찮다는 평이 많기도 해서 그정도의 마일리지가 있는 중고이더라도 괜찮은 선택일 것 같습니다.

  • @likeasbluesky
    @likeasbluesky Před 2 lety +3

    오랜만에 쇠교수님 팔뚝을 보니 반갑네요
    팔뚝만큼이나 굵직한 말씀 너무 감사합니다
    어디서 이런 말씀을 듣을 수 있을까요?
    것도 광고도 없이 ^^
    와우 ~~~

  • @user-gn2yt7re2c
    @user-gn2yt7re2c Před 2 lety

    언제나 감사합니다.

  • @qpalzmqaz
    @qpalzmqaz Před 2 lety +11

    교수님따라 아오5샀어요. 대만족입니다.
    예전에 Glc350e 사려는 걸 친구가 말렸었는데. 고마워서. 전화 한통 해봐야 겠습니다.

    • @bamboojelo3897
      @bamboojelo3897 Před 2 lety

      부럽습니다.. 가족용 suv 한대, 와이프랑 같이 쓰는 제 출퇴근용 차 한대, fun drive용 한대 운용중인데 제 펀카를 제외하곤 다 작년에 구입해서 아이오닉5을 사려면 제 펀카를 처분해야하기 때문에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고 있네요. 정말 심히 부럽네요. 안전 운전하세요!!

  • @user-cs2pp6rw8g
    @user-cs2pp6rw8g Před 2 lety +39

    PHEV 구매를 몇달 동안 고민하던중
    딱 원하는 해답을 얻은것 같아서 정말
    행복합니다.
    항상 좋은정보 감사 합니다^^

  • @boungGu
    @boungGu Před 2 lety +29

    플러그인에 급속충전을 안넣는 이유들 드디어 알게 되었내요....많이 배우고 갑니다

    • @TheCHKim
      @TheCHKim Před 2 lety

      그런데 c클 플하는 급속도 가능하게 나왔다하더라고요.

  • @4zingga
    @4zingga Před 2 lety +6

    자동차 이야기라면 몇날이라도 지식공유 가능하신 찐이신분..

  • @user-hm7vz2me3h
    @user-hm7vz2me3h Před 2 lety +15

    phev가 장점만 모아놓은지 알았는데 단점도 같이 모았네요

  • @ykikikikiki
    @ykikikikiki Před 2 lety +9

    530e 몰고 있습니다. 전문적인 지식은 없어서 그냥 그간 느껴본대로 끄적거리자면,
    일단 성향에 안 맞으면 절대 사면 안 됩니다. 충전하는 거 귀찮으면 그냥 하이브리드나 내연기관 가세요.
    이 차를 단순히 생각하면 생각보다 효율을 못뽑아냅니다. 은근 공부해야 하는 게 있어요. 어떤 모드가 어떤 성능을 내는지 알아야 비로소 100% 효율을 낼 수 있습니다.
    전비는 시내주행 기준 4-5kw/kWh 나옵니다. 배터리용량 13kwh, 기름통 42l 정돕니다. 합산주행거리 580-600정도고 전기로 40km은 보통 간다고 보면 됩니다. 그 이상도 가능하구요.
    이 차를 산 이유가 아직 전기차 과도기라 방전돼도 충전에 대한 스트레스 받기 싫어서 샀습니다. 시내주행이 많은 것도 한몫했구요. 확신을 준건 북미에서 초창기에 산 분이 배터리 문제도 없이 잘타고 있다는 글이였습니다.
    솔직히 리튬이온 배터리의 장기사용 리스크는 현재의 전기차들도 다 가지고 있다고 봅니다. 미래에 어떻게 될지는 아무도 모를거구요. 리튬이온이 더 저렴해져 생각보다 싼 가격에 교체할 수 있을 수도 있고, 새로운 배터리가 나와 리튬이온 단종으로 최악의 상황이 될 수도 있구요.
    phev는 장단점이 극명한 차라고 봅니다. 딜러말 무조건 믿지 말고, 딜러들도 이 차 잘모릅니다. 자세히 알아보시고 실사용자들의 경험담과 본인의 운전스타일을 비교해보고 구매하세요. 모든게 부합하다면 엄청난 만족도를 보여줍니다. 8년뒤의 일은 그때가서 생각해야죠 ㅎㅎ
    너무 단점만 말하시길래 조금 끄적여 봤습니다.

    • @sangkwonhyun9254
      @sangkwonhyun9254 Před 2 měsíci +1

      Bmw x5 45e 이년동안 잘타고 있습니다. 단점만 얘기하지 마시고
      잘 사용할때의 장점도 얘기해 주시죠. 집밥만 먹여줄수 있으면 장점이 큽니다. 참 배터리 완충하면 제원보다 더 길게 80km이상 갑니다.

  • @nanro482
    @nanro482 Před 2 lety +18

    결론 부분에서 내연 SUV라면 X5가 가장 낫다 X5가 가장 낫다!!! 여러분 쇠교수님은 내연차 분야에서는 독일차의 가치를 누구보다 확실하게 아시는 분입니다. 이런 분이 전기차에서 독일차의 단점을 냉정하게 평가한다? 그건 독일 전기차의 품질에 문제가 크기 때문입니다!

    • @tonykim6794
      @tonykim6794 Před 2 lety +5

      저도 그부분에서 역시 쇠교수님은 독일차 마니아! 라고 생각했습니다ㅎㅎ

  • @alexkim6638
    @alexkim6638 Před 2 lety

    플러그 하이브리드에 관심이 많았는데 이제 정확한 답안을 찾았네요,정말 감사합니다

  • @be_bacin
    @be_bacin Před 2 lety +60

    실제PHEV 판매량도 저조한 이유가 ...설명 감사 합니다.믿고 보는 오토기어. 오늘도 잘 보고 갑니다

    • @fornobu
      @fornobu Před 2 lety

      북미같은 경우 풀 보조금 받을수 있어서 아직 잘팔림 그리고 집밥가능하니 도심운행때는 유용하죠 장거리때는 기름넣고.. 한국같은 좁은 나라에서는 필요없는 차량임

    • @joona86
      @joona86 Před 2 lety +5

      초기 니로 phev, 아이오닉 같은경우에는 보조금이 그래도 잘나와서 메리트 있었지만, 이제는 안해주죠. 영상 설명처럼 오히려 비추천 하는 이유들로 가득하죠.

    • @user-dt3io3xv8e
      @user-dt3io3xv8e Před 2 lety +2

      전세계적으로는 phev판매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있습니다 특히 유럽에서 많이 증가하고있습니다

    • @tae-hokim247
      @tae-hokim247 Před 9 měsíci +1

      글쎄요. 우리나라 제조사들이 국내에서는 안팔고 있는 PHEV를 해외에서는 만들어 파는 이유는 뭘까요? 일반 하이드리드도 무게 증가 문제는 동일한데..

  • @user-li3mr8tg2n
    @user-li3mr8tg2n Před 2 lety +11

    이렇게 좋은 영상을 더 많이 볼수있게 좀더 짧은 요약본 영상도있으면 좋겠어요~~

    • @tonykim6794
      @tonykim6794 Před 2 lety

      5분 요약 영상도 올리시면 딱일듯 합니다. ^^

  • @jackpark79
    @jackpark79 Před 2 lety +16

    330e 오너입니다.
    저는 만족을 하고있습니다.
    저도 주변에서 어떠냐고 많이 물어보셔서 그럴때마다 말씀드리면서 나름의 기준이 정리되더라고요.
    PHEV는 (전기차도 그렇지만) 무조건 라이프스타일을 따져봐야 한다는 겁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이라면 PHEV 사시면 만족하실겁니다.
    1. 집밥가능
    이거 정말 중요합니다. 이거 없으면 그냥 안사야 합니다.
    2. 출퇴근거리가 40Km 내외
    즉 전기모드로만 출퇴근이 가능하다면 최고입니다. 만약에 회사밥이 가능하시다면 편도 40Km도 괜찮습니다.
    3. 스포츠드라이빙보다 안락한 승차감을 원한다
    3시리즈가 스포츠 드라이빙으로 유명하지만 330e의 경우 배터리때문에 200Kg이 증가합니다. 다행히 배터리 위치가 뒷자석 밑이라
    무게 밸런스는 크게 문제가 없지만 무게로 인해 경쾌하다기 보다는 묵직한 안락함이 느껴집니다.
    4. 혼자타고다닌다
    이게 웃긴게 베터리때문에 무게뿐만 아니라 공간도 포기해야 합니다. 실내공간이 많이 협소해지고 특히 트렁크공간이 쥐약입니다.
    뭐 대충 이정도입니다.
    장거리는 어떠냐고 하시는데, 베터리 다 소진해도 일반 하이브리드모드로 주행이 가능해서 최소 리터당 16Km정도는 나와줍니다.
    나쁘지 않습니다. 다만, 요즘 기름값도 오르고 330e의 경우 고급유를 넣어야해서 이부분은 많이 상쇄되는듯 합니다.

  • @user-cg4oo1zu6f
    @user-cg4oo1zu6f Před 2 lety +22

    제조사가 숨기고 싶어 하는 비밀을 알려주셔서, 현명자 구매자가 될 수 있었습니다. 쇠교수님, 오늘도 감사합니다.

  • @user-qq2qj3mx1w
    @user-qq2qj3mx1w Před rokem

    명확한 판단기준이 있어서 좋았습니다

  • @pw11kyw
    @pw11kyw Před 2 lety +17

    530e 1년 넘게 주행하고 있습니다. 주행거리는 30,000km를 이미 넘었고, 이중 50%이상은 전기만 사용하였네요.
    제 경우 출퇴근 거리가 왕복 100km 이고, 매일 충전하며 타고 있습니다. 제조사 제원상 전기주행거리가 34km라고 하였으나, 실제로 주행하며 느낀 점은 제조사수치가 너무 보수적이지 않나 싶네요.
    특히, 요즘같이 에어컨, 히터가 필요없는 시기에는 90%충전량으로도 퇴근하는 편도 50km를 전기로만 주행가능하네요.
    고로, 연비부분은 상당히 도움이 많이 되고 있습니다. 전차(캐딜락 ATS 2.0)로 한달 주유비 35~45만원선(고급유기준)이던게 530e로는 한달 충전비 약 3,5000원을 더하여 약 20만원선으로 끊고 있네요. 또 탱크용량이 44리터로 풀주유시 부담이 크게 느껴지지 않습니다. 그리고 풀주유시 제 환경에서는 약 1,100km 넘게 주행하고 있네요.
    1년 넘는 기간 동안 차를 운행해보며 느낀점은, 플러그인하이브리드는 자신의 주행거리, 충전환경등을 충분히 따져보고 선택해야 후회가 없습니다.
    하루 주행거리가 50km이내에서 가능하신분들이라면, 가장 좋은 선택지가 될 수도 있지만, 저처럼, 하루 주행거리가 100km정도 되시는 분들도 연비적으로 많은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물론 이는 매일 충전이 가능할때에 국한된 이야기입니다.
    그리고 플러그인하이브리드는 주행중에도 전기효율, 엔진효율등을 계속 고려해주며 부지런히 전기모드, 엔진모드를 바꿔가면서 타줘야 최적의 연비효율을 보장받을 수 있습니다.
    이게 참 쫌스러 보이지만, 어느새 저도 모르게 이 구간에서는 전기가 나을지 엔진이 나을지 계속 생각하게 되네요. 고로, 탈때마다 나만의 챌린지가 시작됩니다. 이게 참, 번거로우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또 하나의 재미가 되네요.
    그리고 운동성능, 물론 늘어난 무게때문에 어느정도 손해는 있겠지만, 와인딩을 빡세게 탈 거 아닌 이상, 흔히들 다니는 고속도로내지 고속화도로에서는 크게 느끼기 어려운 부분인 것 같습니다. 어느부분에서는 높아진 무게가 오히려 안정감을 주는 부분도 있습니다. 출력부분은 전기모터의 합산출력으로 인해 530i보다 이점이 크게 다가오네요.
    배터리의 안정성 부분은 1년에 300회 정도는 0%~100% 충전을 하였기에 앞으로 더 두고 볼 일 일것 같습니다. 물론 표시상 0%라 해도 제조사 마진이 고려된 수치일테니, 배터리 수명에 얼마나 영향을 미칠지는 모르지만, 몇 년간 더 운행하다보면 답이 나오지 않을까 싶네요.
    마지막에 쇠교수님이 그래도 선택하려면 530e를 언급하셔서 오너로서 주행하며 느낀 점을 짧게 정리해 보았습니다.
    차의 성격이 어중간한 만큼, 지금처럼 전기차로 넘어가는 과도기적인 시기에는 플러그인하이브리드도 자신의 주행거리, 환경등을 고려해 볼 때, 하이브리드 못지 않은 충분한 대안이 되지 않을까 싶네요.

  • @spadiana74
    @spadiana74 Před rokem +1

    교수님 얘기듣으면서 기본적인것을 놓치고 있었네요..
    다들 출력만 논하다보니 공학적 기본개념을 잊고 생각했네요..영상 잘 보았습니다

  • @gyro0912
    @gyro0912 Před 2 lety +16

    X3 PHEV 타고 있는데 완속 충전만 해야되도 보니 확실히 충전을 잘 안하게 되긴해요.

  • @gJ-qc8tm
    @gJ-qc8tm Před 2 lety +3

    일반 풀하이브리드는 말씀하신 문제에서 비교적 자유로울까요?
    BMS 관리가 있긴하지만 용량자체는 더 작아서 훨씬 취약하지 않을까 궁금하네요

  • @user-bb3up4br7i
    @user-bb3up4br7i Před rokem +6

    렉서스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시스템에 대해서도 설명 한번 부탁드립니다.현존하는 자동차 업계중에서는 도요타 하이브리드 시스템이 최고인거 같은데,,플러그인 시스템은 이번에 nx450h에서 처음 시도하는건데,,어떻게 보시나요..? 시승차 필요하시면 지원하겠습니다.

  • @hoonifying
    @hoonifying Před 2 lety +4

    진짜 궁금했던 부분들 가려운데 확실히 빡빡 긁어주셧네요 ~~~ 감사합니다

  • @gksdidrn
    @gksdidrn Před 23 dny +1

    오토기어 잘 시청하고 있습니다. 다른 채널과는 조금 차별화 된 그런 전문정보를 쉽게 전달해주셔서 항상 감사드립니다. 좋은 영상 많이 부탁드립니다.

  • @HK-wd7qj
    @HK-wd7qj Před 2 lety +2

    좋은건줄 알았는데.. 또하나 배우고 갑니다

  • @nanro482
    @nanro482 Před 2 lety +145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타시는 분들은 이미 아시겠지만 8년 즉 보증 기간 내에 꼭 배터리를 교환 받으셔야 한다는 것을 영상에서 강하게 힌트로 주고 계십니다. ㅎㅎㅎㅎ

    • @user-lt1rl7pw5r
      @user-lt1rl7pw5r Před 2 lety +3

      제조사에서 자연적인 배터리성능저하다라면 어떻게 교환받나요??

    • @user-iw2ln5pj3z
      @user-iw2ln5pj3z Před 2 lety +5

      @@user-lt1rl7pw5r 성능이 일정 이하가 되면 군말없이 바꿔줍니다 ㅎㅎ

    • @scnnny_1943
      @scnnny_1943 Před 2 lety +8

      @@user-lt1rl7pw5r 그 자연적인 성능저하를 새걸로 바꿔주는게 배터리보증입니다! 성능이 일정 수치 아래로 떨어지면 기간내에 교환해줘요

    • @bewith141
      @bewith141 Před 2 lety +2

      오 감사합니다ㅜㅜ

    • @user-ud6lt9cm1i
      @user-ud6lt9cm1i Před 2 lety +30

      대부분은 노멀하다는 가정하에 배터리 교환이 어렵게 만들었겠지요.
      제조사가 바보인가요?

  • @park6312
    @park6312 Před 2 lety +5

    볼보 xc90t8사고싶었는데 xc90b6로구매한게 설명듣고나니 잘선택했다는 생각이듭니다^^
    차량무게가 정말 중요한거였네요^^

  • @tk1691
    @tk1691 Před 2 lety +14

    교수님 설명이 더 기가 막힙니다 ㅎㅎ
    역시 회사에서 월급주는 이유가 다 있네요 저런거만 연구하는 사람들이니 이유없이 만들진 않겠죠.
    모든 배터리 제품의 딜레마가 배터리인데 ev모드 되는 차들은 배터리 가격이 넘 비싸서 이게 젤 걸리네요.

  • @crizark
    @crizark Před 2 lety +10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좋다고 생각했는데 생각 못한 단점이 있었네요 ㄷㄷ

  • @renopark
    @renopark Před 2 lety +5

    자동차 리뷰도 보고, 2차 전지 충방전 원리도 배우고, 유익하네요!!

  • @hopjo6356
    @hopjo6356 Před 2 lety +8

    한국사람들 벤츠 너무좋아 하는듯 내가 독일에서 건설업쪽에 몇년 일했는데 독일사람들도 비싸서 못 타는데 독일보다 한국에서 벤즈차가 더많이 보임 독일은철저히 실용적인차 내차는 버스랑 지하철인데 지방에 갈때는 렌트 차있는분들 부러워

    • @enozder9987
      @enozder9987 Před 2 lety

      독일차 현지보다 우리나라에서 더 쌉니다.

  • @quaizeria
    @quaizeria Před 2 lety +3

    제가 기변하고 싶어도 참았던 결정적인 이유들이 역시 헛생각이 아니였군요. 감사합니다^^; 제 말하브로 계속 존버해야겠어요

  • @ddingwangsung
    @ddingwangsung Před 2 lety +44

    내연기관의 오일류등 각종 소모품 교체필요, 전기차의 충전필요.
    두개의 단점을 모두 합해놓은차 = 플러그인 하브
    심지어 충전을 회사,집 매일 두번씩 해야함

  • @HuntJung
    @HuntJung Před 2 lety +5

    오토기어가 철저히 감추는 단점은................ ....................................................................................................누군가는 갈아 넣겠네요..편집없이 영상을 올리느라 수고 하시는 분과, 출연하시는분 모두에게 감사함을 전합니다.

  • @youngjaecheon2917
    @youngjaecheon2917 Před rokem +1

    참된 지식!!! 유용 했습니다

  • @june5003
    @june5003 Před 2 lety +22

    쇠형님 모터 RPM만 역산해내시는줄 알았더니 배터리 AS 기간까지 역산을 해내시네요ㄷㄷㄷ 선수는 선수의 생각을 훤히 들어다 본다더니 그말이 딱이로군요~

  • @minsookim6622
    @minsookim6622 Před 2 lety +14

    교수님말씀 틀린부분 없습니다. 모두 동의합니다. 기술적인 부분은 모두 맞는 말씀입니다. 근데, 집밥 회사밥 모두 가능하다면 플하는 좋은 대안입니다. 가끔 장거리 뛸때도 필요하다면요,,, 530e 1만동안 8,200km 전기 1,800km 엔진이었습니다 만족합니다. 연비는 고속 20km/l 나오고 시내는 전기로만 다니는 수준이라 잘 모르겠습니다

    • @TV-xf1qj
      @TV-xf1qj Před 2 lety +2

      문제는 이젠 단거리환경 집밥 회사밥이면 도시형 싼 전기차도 해당된다는거 아닐까요

    • @minsookim6622
      @minsookim6622 Před 2 lety +1

      @@TV-xf1qj 그건 각자 주머니사정따라 가는것아닐까요..?

  • @user-fb7pk1wx3k
    @user-fb7pk1wx3k Před rokem

    안녕하세요. 오래된 영상이지만, 우연히보게 되어 질문하나 드립니다.
    중간에 말씀하신 방전 말단에서 구리 포일의 용출 밎 단락을 말씀하셨는데요. 관련 문헌자료를 알수 있을까요??
    아니면, 전압대나 메카니즘을 설명이 가능하신지 문의드립니다^^

  • @umt8025
    @umt8025 Před 2 lety +4

    쇠교수님의 스탠스가 정말 좋습니다. 객관적 팩트만 전달하되 어떤 차량을 사고 안사고는 각자 개인의 선택일 뿐이다! 이런 이유로 이런 저런 차를 살까요? 말까요? 같은 질문에는 웬만해선 답글조차 달지 않고 계시죠. 굳이 제가 대신 답을 하자면 니 마음대로 하세요! 이 것이라 봅니다

    • @autogearr
      @autogearr  Před 2 lety +3

      네 맞습니다. 잘 보셨습니다. 선택은 개인의 몫이라서 의식적으로 답변을 드리지 않고 있습니다. 행복한 주말 되십시오. (_ _)

  • @user-em3rk3lg6r
    @user-em3rk3lg6r Před 10 měsíci

    항상 응원합니다

  • @hansamsky
    @hansamsky Před 2 lety +5

    안녕하세요 교수님 저 질문이 있습니다. 최근 I4 차량을 예약을 해놓고 교수님의 영상을 매번 챙겨보고있는데요. 좋은 내용을 통해 차를 구매하는 소비자 입장에서 많은 도움이 되는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ㅎㅎ 제가 지금 고민이 되는 건, i4 비슷한 가격대에 내연기관차량을 보고있는데요. C300 차량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공차중량은 1710kg이고..(마일드하이브리드) D세그먼트 기준으로 괜찮을까요..? 제가 외제차는 처음으로 고민하고있는데 교수님 말씀을 들어보면 독일차는 중량을 더 줄이기 위해 노력하다가 전기차에와서는 줄이지 못하니..다른 장점으로 어필한다라는 생각을 많이 하거든요.. 그러면 이번에 나온 c300차량은 어떤지..가격을 떠나서..ㅠㅠ

  • @usbayamerica2542
    @usbayamerica2542 Před 2 lety

    미국 에서 잘보고 있습니다 전기차 기다리다, 2030년 까지 디젤차를 찾는데 BMW,MB,Audi 승용차 중 몇년식 디젤엔진이 좋을까요?

  • @user-fg3hm4dc5i
    @user-fg3hm4dc5i Před 2 lety +1

    16:42 아니요!! 교수님이 더 기가막혀요!! 시원하게!! 강의하시니...

  • @user-vk9wl6nv1o
    @user-vk9wl6nv1o Před 2 lety

    영상속 내용과는 다른 질문입니다.
    하이브리드 차량(일반하브 / 플러그인 하브) 다 포함해서 알피엠게이지가 존재유무에 대해서 의견을 듣고 싶습니다.
    현행 기아MQ4 하이브리드 기준으로 일반 하브는 알피엠게이지가 없고 유럽에 판매되는 플러그인하브에는 알피엠게이지가 달려있는데요...
    엔진이 달려있는 4천만원짜리 차량인데.... 알피엠게이지가 없이 운행을 해되 괜찮은것일까요???

  • @user-bt6iv1ct3u
    @user-bt6iv1ct3u Před 2 lety +3

    플러그인하이브리드는 폭탄돌리기..ㅋㅋ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Shin13823
    @Shin13823 Před rokem

    X1 새로나온 phev출시되면 바꿀라고 검토중인데 정말 도움이 많이 돼네요. 그런데 최신모델들에는 성능이 더 좋아지고 그러진않을까요. 그리고 집에 충전기가 달려있어서 매일 충전할텐데 그러면 수명이 짧아질텐데 8년보증으로 8년돼기전에 교환되면 좋을텐데요. 잘 알아봐야겠네요.

  • @user-mh8eg2zg2i
    @user-mh8eg2zg2i Před 2 lety +63

    정말 여러 자동차 유튜버들의 영상을 보고는 하지만 그 중에서도 오토기어가 전문성은 가장 으뜸이네요
    차량 리뷰도 좋지만 차주들이 일상 주행을 하는데 있어서 도움이 될만한 정보도 가끔 한번씩 올려주시면 좋을 것 같아요!

  • @hyunterks
    @hyunterks Před 2 lety +4

    요즘 매운 맛 영상들 너무 좋습니다. 😁😁😁

  • @user-ci5yd7ig1k
    @user-ci5yd7ig1k Před 2 lety +3

    이른 오후에 영등포에 있었는데..
    오전에 영상 안올라와서 사무실 문두드리러
    가야하나 싶었습니다...ㅎㅎㅎ

  • @wy8816
    @wy8816 Před 2 lety +1

    분명 자동차 채널이긴 한데 다른 유투버들 처럼 자동차를 보여주지도 않는데 매번 챙겨 보게 되네..............

  • @user-vincent76
    @user-vincent76 Před 2 lety +2

    제가 예전에 ix40을 시승하면서 생겼던 궁금증이 하나 있었는데, 전기차의 제로백과 주행거리만 강조하는데 배터리의 보증에 대해서 이야기 하는 회사는 없다. 내가 정보를 잘 모르는건지 아니면 문제가 없는것인가요?
    그분 답변이 이문제에 대해서 기술진들이 가혹실험을 했고, 20만키로 운행을 했을때도 90%이상 유지가 되었다. 그리고 배터리가 문제가 생겨도 전체 교환이 아니고 고장난 부분만 교환하면 된다. 이렇게 이야기 해주셨는데 이부분에 대해서 알려주실분 있나요?

  • @user-sf7jz3wq4v
    @user-sf7jz3wq4v Před 2 lety +5

    다른걸 다 떠나서 고장나면 수리비가 ㅎㄷㄷㄷ 하겠네요..

  • @sungminkwak6913
    @sungminkwak6913 Před 2 lety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영상 다섯번 정도 보는것 같습니다.
    그런데 마음은 X5 45e에 맘이 갑니다. 가족, 짧은 출퇴근 거리, 아파트/직장 충전 환경 다 만족하는 차라는 생각이...
    만약 사게된다면 매일매일 열심히 충전해 다녀야겠네요

  • @nowmad7926
    @nowmad7926 Před 2 lety +53

    평소에 쇠교수님 쇠교수님 불렀지만 오늘은 진짜 더 교수님같은 지식을 뽐내시네요!
    저도 전에는 가장 이상적인 구동계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라고 생각했지만 배터리를 충전시켜야 장점이 나오고 충전이 되어있지 않은 상황에서는 역으로 매연이 더 많아질 수 있고 공차중량이 엄청나게 늘어난다는 단점을 전혀 파악을 하지 못하다가 쇠교수님 말씀 듣고나서 생각이 바뀌었습니다
    거기다가 내연차의 단점+전기차의 단점을 모두 갖고 있으니 트러블 생기면 정말 총체적 난국이 되는 것도 감당해야 하구요
    차잘알+과학 지식이 풍부한 리뷰어가 나오면 세상 그 어떤 브랜드도 숨을 곳이 없어지는군요!

  • @user-jv9hy2nt8q
    @user-jv9hy2nt8q Před 2 lety +4

    오토기어 첫 댓이라니!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 @taekyujeong1984
    @taekyujeong1984 Před 2 lety

    감사합니다

  • @kjkim3427
    @kjkim3427 Před 2 lety +2

    BEV용과 PHEV용은 다른 설계로서, PHEV가 고속 충전에 유리한 구조일 겁니다. 하지만 보증을 수명(cycle)로 하는데 용량과 사용환경으로 동일 기간에서 PHEV의 사이클이 많아질 수 있어서 결과적으로 수명에 불리한 것으로 예상됩니다.

  • @harrydooryunchung1051
    @harrydooryunchung1051 Před 2 lety

    쇠교수님,
    오늘도 High Quality 영상 감사합니다!
    해외에서 PHEV 니로 작년에 사서 이제 5000KM 뛰고, 돈 주고 집 앞에 충전소도 설치했는데 이 영상 보고 좀 충격이네요…
    왜 보증기간이 저렇게 애매한가 싶더니 다 이유가 있었군요!!
    그냥 하이브리드 니로 살껄 조금 후회중이네요 ㅠㅠ 탄소 배출량 낮고 연비 더 좋게 쓸려고 PHEV 샀는데… ㅋㅋㅋㅋㅋ

  • @Ystar_wolf
    @Ystar_wolf Před 2 lety +2

    영상감사합니다.. 다만 질문이 생겼습니다. 차세대 2024 m5 를 구입예정입니다, V8 PHEV 차량입니다. 현행 모델이 2톤이 조금 안되는데 다음모델의 공차중량이 예상이 되더군요.. 연비도잡고 성능도 끌어 올릴까 싶은데 배터리 리스크를 안고 기다려볼지, 현재 동급차종을 생각해볼지 고민이 됩니다.

    • @user-ju7ei7st8b
      @user-ju7ei7st8b Před 2 lety

      안녕하세요. 저도 비슷한 고민중입니다. 최근, m5 구매하려다 차세대 소식에 보류를 했습니다. 저도 공차중량이 가장 염려되었는데 선택의 포커스를 어디에 두어야 될지 판단이 서지를 않네요.

  • @evol2905
    @evol2905 Před rokem

    이번에 렉서스에서 나온 PHEV에 대한 건 어떤가요? 기존 하이브리드에 PHEV 결합해놓은 거던데 더 경제적이지 않을까요?

  • @user-bv7ku8jr3y
    @user-bv7ku8jr3y Před rokem +1

    연비관련해서
    매연전처리장치 리뷰부탁합니다
    와류기 윤활유정유기 등
    연료절감기 분석부탁합니다

  • @parkedable
    @parkedable Před 2 lety +5

    쇠교수님 덕분에 자동차의 무게에 대한 중요성을 알고갑니다.

  • @bbjlee2851
    @bbjlee2851 Před rokem +1

    뉴라이즈 플리그인 오너 입니다.
    현재 현기 플러그인 배터리 문제 발견하고 새로운 설계로 배터리 생산 한다고 합니다.
    6월에 2번째 배터리 교환 판정 받았는데 올해 교체 불가라고 하네요 -_-ㅋ
    고장전 매일 충전 했고 1년 평균 연비 55 나왔습니다. 고장 이후 충전 없이 3개월 타보니 평균 14 나옵니다.
    고속도로 20, 시내 10 정도 나오고 고속, 시내 거의 5:5 입니다
    배터리 용량 9.8kw 인데 실제로 재한이 걸리는 10%에서 완충하면 8kw 살짝 넘게 충전 됩니다.
    8kw로 50km/s ~ 65km/s 주행 가능 합니다

  • @user-sg2jv3gd7g
    @user-sg2jv3gd7g Před 2 lety +6

    저는 530e 1년째 매우 만족하면서 타고 있지만, 카페에 보면 딜러들의 입발림에 속아서 그냥 무턱대고 530e 출고하신 분들도 많더라구요.
    이런 좋은 영상을 많은 분들이 봐서 딜러들에게 속아서 phev 출고하고 후회하시는 분들이 줄어들었으면 좋겠습니다!

  • @justinpark1155
    @justinpark1155 Před 2 lety

    와 항상좋은정보 좋아요^^ 플러그인하이브리드 보고있었고 고민중이였는데 정답이나오네요ㅋ
    현 suv 구매예정인데 6기통 보고있는데 어떨까요? 현시점에서 나중을봤을때도 괜찮을까요?
    GV80 디젤,3.5T모델 비교중인데 취등록,자동차세 면제라 문제없고 그러는데
    유류비에서 차이가날거갔아서요
    서울에서만 운행하고 1년에4번정도 고속도로타구여 연주행거리 1만정도 예상합니다 그러면 어느쪽을 선택하는게 좋을까요?

    • @user-ze2rs3dl9w
      @user-ze2rs3dl9w Před 2 lety

      휘발유 사세요
      디젤도 연료비 아껴서 DPF나 EGR 나가면 아낀 연료비보다 더 토해내야 합니다
      디젤은 영업용 아니면 이제는 경제성 거의 없습니다 2만 정도 타신다면 생각해 볼만 하겠지만요

    • @justinpark1155
      @justinpark1155 Před 2 lety

      @@DancingPartyTime 6기통에 맞들려서 4기통은 못타겠어서요

    • @justinpark1155
      @justinpark1155 Před 2 lety

      @@user-ze2rs3dl9w 그게 걱정이긴했네요 가솔린이 정답이네요

  • @user-il1ch6gv3x
    @user-il1ch6gv3x Před 7 měsíci +1

    PhEV는 하이브리드 모드도 써야 하므로 말씀하신 BEV 처럼 쓰지 않습니다. 그래서 수명이 훨씬 좋습니다. 그리고 급속 충전은 시스템 전압의 문제입니다. 급속충전을 할려면 고전압으로 설계해야되는데 금액이 증가됩니다.

  • @ottertubetv9356
    @ottertubetv9356 Před rokem

    Rav4 Prime 은 어떤가요? 400HP 로 올려버려서 토요타 수프라 다음으로 가장 빠른 차로 만들어버렸는데요, 미국에서는 없어서 못 파는 차가 되었네요.

  • @simbatta81
    @simbatta81 Před 2 lety

    그렇다면 기본 하이브리드 차량은 어떤가요? k5, 쏘나타 하이브리드요

  • @betterthanyesterday4469
    @betterthanyesterday4469 Před 2 lety +3

    안녕하세요. 쇠교수님! 최근에 전기차에 대한 분석에 관심을 가지면서 구독하게된 독자입니다. 궁금한 점이 생겨서 한번 다뤄주시면 좋지않을까 싶어 여쭤봅니다. 현재 휘발유,경유,LPG,하이브리드,48V하이브리드,플러그인하이브리드,전기차,수소연료전지차들중 용도와 목적에 따라 어떤 차량들을 추천하시는지 알려주시면 좋을것같습니다. 개인적인 견해로는 휘발유,전기차,하이브리드차가 기술적인것과 유지보수시 유리하지않을까 싶은데 견해를 들어보고 싶습니다. 항상 좋은 이야기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Do-Joon
    @Do-Joon Před 3 měsíci +2

    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그럼 앞으로 나올 ev모드 주행거리 100km 가능한 싼타페 PHEV 는 괜찮을까요? 백수라 완속충전도 매일 가능하고 100km정도로만 여행한다고 가정할 때.

  • @charliechoi8760
    @charliechoi8760 Před rokem +1

    자동차구입에 생각의 전환을 주셔서 감사합니다 볼보xc90도 phev는 선택안해야겠네요

  • @kmk6599
    @kmk6599 Před 2 měsíci +1

    250kg 증가면 쉽게 80kg성인 3명을 추가로 태우고 다니는 건데 얼마나 차가 무거워 지는지 알겠네요.
    16만키로 탔거나 8년가까이 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는 수리비 폭탄을 안고 사는거네요.
    만약 배터리 교체 안 할 거라면 250~350kg(성인남자 3~4명)을 항상 차에 태우고 다니는 짓이구요.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안 사는 게 답인 것 같습니다.

  • @emil2272
    @emil2272 Před 2 lety

    산타페 플러그인 하이브리드를 3개월전에 구입했어요. 여긴 미국. 오토기어를 구독하고 있는데. 이걸 먼저 알았다면 다시 생각 했을듯. 스펙을 보니 일반차보다 300kg이 더 나가네요. ㅜㅜ. 다행인지 불행인지 차가 문제가 있어서 캘리포니아 레몬법 대상이 될지도 모른다는 상황인데. 적극적으로 차를 리턴해 보려 합니다. 성공하면 어떤차로 가야 할지 오토기어 보고 또 잘 판단해 볼려고요. 자. 리턴이 잘 될지 함 진행해 볼랍니다. 저한테는 이 채널이 알쓸신잡이지요. 재미있게 보고 있어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