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현수 박사 : 화내고 부정적이고, 혐오하고 거부하는 마음을 어떻게 할까? [불교정신치료 24강]

Sdílet
Vložit
  • čas přidán 21. 04. 2024
  • 우리 마음중에서 가장 위협적인 마음이 바로 화내는 마음일 것입니다. 화라는 것은 기본적으로 부정적이고, 대상을 싫어하고 혐오하는 마음, 거부하는 마음이 모두 포함된 개념입니다. 마음속에서 화가 일어나면 세상 모두를 불태워버리는 것과 같이 끔찍한 결과를 초래할 수 도 있습니다. 이른바 홧김에 무엇이든 저지를 수 있는 상태가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화는 잘 이해하고 대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화라는 감정을 치유하기 위한 여러가지 지혜를 전현수 박사에게 들어봅니다.
    질문 1 불교정신치료에서는 화를 어떻게 바라보는게 좋을까요?
    질문 2 분노조절장애를 가진 분들은 어떻게 도울 수 있을까요?
    질문 3 사회적 약자에게 가해지는 분노표출은 어떻게 바로잡는 것이 좋을 까요?
    질문 4 이른 바 홧병은 불교정신치료에서 어떻게 보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전현수 박사 : 화내고 부정적이고, 혐오하고 거부하는 마음을 어떻게 할까? [불교정신치료 24강]
    ◇ 불광 블로그(공식) :
    blog.naver.com/bulkwanger
    ◇ 불광 페이스북 페이지 :
    / bulkwang
    ◇ 불광 뉴스레터 구독하기
    page.stibee.com/subscriptions...
    ◇ 불광미디어 인스타그램 :
    / bkbooks79
    ◇ 불광미디어 홈페이지
    www.bulkwang.co.kr/

Komentáře • 9

  • @user-tu8lq9pi4y
    @user-tu8lq9pi4y Před 21 dnem

    전현수박사님
    감사합니다
    화를내지않고살수있는방법일러주심감사드립니다♡♡♡♡♡

  • @user-zg2pd3uu4x
    @user-zg2pd3uu4x Před měsícem +3

    감사합니다, 박사님.

  • @user-hr7lg9oy7s
    @user-hr7lg9oy7s Před měsícem +3

    오늘도 고맙습니다 🙏🏻 주변과 나누고 싶습니다

  • @ugwangho02
    @ugwangho02 Před měsícem +5

    화내고 부정적이고, 혐오하고 거부하는 마음을 어떻게 할까?

  • @user-tj7hf9mm5q
    @user-tj7hf9mm5q Před měsícem

    교통사고ㅡ로 아들간지 2달됩니다ㅡ눈이있어도볼수없어니 ㅡ하나님이 ㅡ윈망스럽습니다

  • @DHLee-lf4hm
    @DHLee-lf4hm Před měsícem +3

    질문 2 분노조절장애를 가진 분들은 어떻게 도울 수 있을까요?
    저의 답변 : 분노조절장애는 없다고 봅니다. 이들(분노자)은 자기보다 약한자한테 분노를 표출하지 조폭이나 국가조직(경찰 등)에는 분노를 표출하지 않아요. 노인, 여자, 어린아이 한테만 분노조절장애가 생긴다? 이건 병이 아닙니다.

    • @user-zb2ru2dq6n
      @user-zb2ru2dq6n Před měsícem

      분노조절장애는 분노가 일어나지 않아야 할 곳에 분노가 일어나고, 그것을 부적절하게 외부로 표출하는 두 단계로 이뤄진다고 봅니다..
      두 번째 단계의 설명은 옳지만, 첫 번째 단계에 대한 설명은 조금 부족한 게 아닌가 싶습니다.
      전선생님은 욕구를 없애면 첫번째 단계에서 해결된다는 말씀인 거 같습니다..(추측)

  • @ty7255
    @ty7255 Před měsícem +1

    어머님이 얼마전 돌아가셔습니다 그로인해 죄책감에 사로잡혀 하루하루 힘들어요 ㅠㅠ

    • @alswjd4406
      @alswjd4406 Před měsícem +2

      눈을 감고 고요히 마음 속 깊이 살아계신 어머니를 느껴보세요. 어머님은 늘 우리와 연결되어 있어요. 저도 돌아가신 할머니오ㅏ 대화 나누고 싶을 땐 못다한 이야기를 꺼내보일 때 눈을 감고 깊은 마음안을 들여다 봅니다. 우리의 사랑하는 사람들은 언제나 우리 안에 있어요. 마음을 전달해보세요. 그런데 선생님이 엄마라면, 아빠리면 나의 아들이 또는 딸이 죄책감에 눈물 흘리는 삶을 살고 있는 모습을 보고 싶으신가요? 부모의 맘은 다 똑같죠. 자식이 웃고 행복한 모습을 보고 싶습니더. 죽어서나 살아서나 자식이 잘 살았으면 좋겠어요. 내 인생은 그 나름대로 의미가 있었고 자식 낳아서 행복했습니다. 행복하세요, 선생님. 자신을 용서하시고 이제 그만 슬퍼하세요. 🙏🏻 미안합니다. 고맙습니다. 용서를 빕니다. 용서합니다. 사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