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봉스님-허정스님 법거량 : "윤회는 없다?!" 1편

Sdílet
Vložit
  • čas přidán 16. 05. 2024
  • 최근 '윤회는 없다'는 도발적인 문제제기로 불교계에 파장을 던진 향봉스님을 허정스님이 만났습니다. 향봉스님이 거처하시는 익산 사자암으로 직접 찾아가 허정스님은 도원스님(백장암 선원)의 사회로 '윤회'에 대한 치열한 법거량을 진행했습니다. 두 스님의 토론은 윤회에 대한 찬반 여부를 떠나서 불교의 교리와 철학을 폭넓게 이해하고 오늘의 불교 현실을 돌아보는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윤회는 없다?!"는 1, 2회로 나누어 방송합니다.
    야단법석 TV 후원 : 농협 301-0328-5539-51 (야단법석)

Komentáře • 615

  • @yadanbubsuck21
    @yadanbubsuck21  Před měsícem +41

    5:47 자막에 갈애가 가래로 잘못 나갔습니다. 시청자 여러분께 대단히 죄송합니다. 다음부터는 편집제작 과정을 좀더 세밀히 살펴서 이런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겠습니다.
    갈애(渴愛) : 번뇌에 얽혀서 생사를 초월하지 못하는 평범한 이가 목마를 때 애타게 물을 찾듯이 오욕에 애착함을 뜻하는 말

    • @user-yo8yj9si6i
      @user-yo8yj9si6i Před 28 dny

      제작자분들께
      두스님대화관련해서
      부처님핵심 가르침(사성제, 고집멸도)에근거한 녹음파일과 책을 보내드리고싶습니다
      의문과 답이되는데 도움되실겁니다
      책을보낼주소와 이메일을 답글에올려주면. 보내드리겠습니다

    • @sunyata4812
      @sunyata4812 Před 27 dny +1

      훌륭한 일을 하셨습니다. 다만 안타까운 점은 댓글들을 보니 현시대가 단멸론이 압도적이다 보니 현생의 행복에만 집중되어 있어서 향봉스님의 단멸론에 감정적으로 끌리는 듯합니다. 그런 분위기에서 그 사견을 비판하기 위해 부처님 말씀이니까 받아들이라 혹은 안 받아들이면 선악의 문제가 생긴다고 논지를 펴는 것은 반감만을 일으키는 것 같습니다. 향봉스님이 사용하는 용어와 근거 문장들의 오류에 집중하는 것이 더 옳은 것 같습니다.

    • @user-qi8hq7ub1o
      @user-qi8hq7ub1o Před 22 dny +1

      ◉윤회를 부정하면 불교가 아니다.
      유튜브의 이익과 공해.
      유튜브의 이익은 많은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는 것이고.
      공해는 가짜 정보가 너무 난무한다는 것이지요.
      요사이 유튜브에 어느 중(僧)이 윤회는 없다고 단멸론(斷滅論)적 주장을 하여 많은 논란을 사고 있습니다.
      윤회를 부정하면 인과(因果)를 부정하는 것이요.
      삼계(三界)인 욕계 색계 무색계와 육도(六道)를 부정하는 것으로 불교의 세계관을 뒤흔드는 일입니다.
      윤회는 삼계육도(三界六道)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윤회를 부정하면 불교를 부정하는 것입니다.
      삼계(三界)
      ①욕계(欲界) ②색계(色界) ③무색계(無色界)
      육도(六道)
      ①천상도(天上道) ②인간도(人間道)
      ③수라도(修羅道) ④축생도(畜生道)
      ⑤아귀도(餓鬼道) ⑥지옥도(地獄道)
      궁극적 해탈의 지위인 아라한과(阿羅漢果)에서는 윤회를 종식시키므로 없다고 할 수 있으나,
      수다원(須陀洹): 예류자(預流者)
      예류는 진리의 길에 머문다는 것으로
      인간세계로 7번 온 다음 아라한이 됨.
      사다함(斯多含): 입래자(入來者)
      진리의 세계에 들어왔다.
      인간세계로 한번 온 다음 아라한이 됨.
      아나함(阿那含): 불래자(不來者)
      불래(不來) 돌아오지 않음.
      색계 정거천(淨居天)에서 인간계로 돌아오지 않고 천상에서 아라한이 됨
      중생 세계는 인과(因果)의 업보로 윤회는 존재합니다.
      ㅡ ㅡ ㅡ ㅡ
      선인선과(善因善果)
      좋은 원인에는 좋은 결과,
      악인악과(惡因惡果)
      나쁜 원인에는 나쁜 결과,
      ㅡ ㅡ ㅡ ㅡ ㅡ
      우리의 행위가 업이 되어 인과(因果)로 나타납니다.
      좋은 원인으로 건강하고, 좋은 원인으로 행복하소서
      감사합니다.

    • @user-qi8hq7ub1o
      @user-qi8hq7ub1o Před 22 dny +1

      ◉윤회를 부정하면 불교가 아니다.
      유튜브의 이익과 공해.
      유튜브의 이익은 많은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는 것이고.
      공해는 가짜 정보가 너무 난무한다는 것이지요.
      요사이 유튜브에 어느 중(僧)이 윤회는 없다고 단멸론(斷滅論)적 주장을 하여 많은 논란을 사고 있습니다.
      윤회를 부정하면 인과(因果)를 부정하는 것이요.
      삼계(三界)인 욕계 색계 무색계와 육도(六道)를 부정하는 것으로 불교의 세계관을 뒤흔드는 일입니다.
      윤회는 삼계육도(三界六道)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윤회를 부정하면 불교를 부정하는 것입니다.
      삼계(三界)
      ①욕계(欲界) ②색계(色界) ③무색계(無色界)
      육도(六道)
      ①천상도(天上道) ②인간도(人間道)
      ③수라도(修羅道) ④축생도(畜生道)
      ⑤아귀도(餓鬼道) ⑥지옥도(地獄道)
      궁극적 해탈의 지위인 아라한과(阿羅漢果)에서는 윤회를 종식시키므로 없다고 할 수 있으나,
      수다원(須陀洹): 예류자(預流者)
      예류는 진리의 길에 머문다는 것으로
      인간세계로 7번 온 다음 아라한이 됨.
      사다함(斯多含): 입래자(入來者)
      진리의 세계에 들어왔다.
      인간세계로 한번 온 다음 아라한이 됨.
      아나함(阿那含): 불래자(不來者)
      불래(不來) 돌아오지 않음.
      색계 정거천(淨居天)에서 인간계로 돌아오지 않고 천상에서 아라한이 됨
      중생 세계는 인과(因果)의 업보로 윤회는 존재합니다.
      ㅡ ㅡ ㅡ ㅡ
      선인선과(善因善果)
      좋은 원인에는 좋은 결과,
      악인악과(惡因惡果)
      나쁜 원인에는 나쁜 결과,
      ㅡ ㅡ ㅡ ㅡ ㅡ
      우리의 행위가 업이 되어 인과(因果)로 나타납니다.
      좋은 원인으로 건강하고, 좋은 원인으로 행복하소서
      감사합니다.

    • @user-ov9zy9hc2e
      @user-ov9zy9hc2e Před 21 dnem

      @@gunghee289 안타깝네요
      그런 저급한 내용이 아닙니다
      윤회가 없다는 것은 개체의식에서 전체의식으로 돌아간다는 것입니다
      다즉일 일즉다.로 순환하는 세상의 이치를 모르기 때문입니다
      죽음은 이 몸이 나라는 착각에서 오는 착각입니다.
      이 몸이 내가 아니라 전체성인 순수의식이 나임 안다면 죽음으로부터 벗어나 생사해탈할 수 있습니다.

  • @zartman7512
    @zartman7512 Před 27 dny +21

    부처님이 사성제를 깨닫고 하신 가장 핵심적인 말... "나의 해탈은 확고부동하다. 이것이 나의 '마지막 태어남'이며, 이제 더이상의 '다시 태어남'은 없다'
    이미 다 말씀하심.
    불교는 결국, '수행 열심히 해서 그대들도 이 고통의 연속에서 벗어나라.' 이 말씀입니다.

  • @user-fv5it6ml3x
    @user-fv5it6ml3x Před měsícem +24

    그리고 두스님도 건강하세요 나무아미타불 관세음보살 ❤❤❤❤🎉🎉🎉🎉😊😊😊😊

  • @user-mr4er5ju8u
    @user-mr4er5ju8u Před měsícem +19

    지금 여기에서 실천을 자비로 사랑으로
    모두 수고하셨습니다. 건강하시고 행복하세요.

  • @user-ot9bz9mp9s
    @user-ot9bz9mp9s Před měsícem +32

    불교는 연구하는 것이 아니라 몸소 체득하고 알아차릴 뿐입니다.

    • @Aagpog
      @Aagpog Před 28 dny

      OK

    • @yjchang4226
      @yjchang4226 Před 28 dny

      몸소 체득하는 과정을 연구, 탐구 라고 부르기로 했어요.

    • @sunyata4812
      @sunyata4812 Před 27 dny +2

      몸소 체득하려면 기본 교리가 확립되어야 합니다. 균형을 잃으면 안됩니다.

    • @user-ot9bz9mp9s
      @user-ot9bz9mp9s Před 27 dny

      @@sunyata4812 직접 느끼신 결과인지 그럴 것이라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 @sunyata4812
      @sunyata4812 Před 27 dny +2

      @@user-ot9bz9mp9s 체험의 문제는 말한들 믿으시겠습니까? 부처님 말씀을 확인하는 것이 수행이고 그렇게 하고 있을 뿐입니다.

  • @user-vs3cz6wp6k
    @user-vs3cz6wp6k Před měsícem +13

    댓글이 흥미로울까 싶어서 봤는데.
    재가자분들의 댓글. 참여도가 높으니. 수행정진이 잘 되시기를 바랍니다.
    허정스님 존경합니다

  • @user-to3iw9jb8d
    @user-to3iw9jb8d Před měsícem +40

    깨달은 눈으로 보면 윤회는 없고 인연따라 만들어 지고 흩어지는 연기가 있을뿐
    향봉스님의 귀한 말씀에 한표 입니다

    • @hwq-bw2qi
      @hwq-bw2qi Před 29 dny +4

      깨달으면 더 높은 차원으로 가기 때문에 윤회로 다시 태어나지 않는다는 말인것 같음.~~^^

    • @Aagpog
      @Aagpog Před 28 dny

      연기의 대상은 요?

    • @yjchang4226
      @yjchang4226 Před 28 dny

      @@Aagpog 연기의 대상이란게 뭐임?? 연기 자체가 대상인데. 대상의 대상은 또다른 대상이겠죠.

    • @user-wj4fq2pw7n
      @user-wj4fq2pw7n Před 28 dny

      깨달은자도 윤회를 합니다..깨달은 경험은 소중한겁니다..하지만 깨달음을 경험했다는것은 끝이 아닙니다..어떻게 살아야 하는지를 경험으로 알게 되는 시작일뿐입니다..부처님이 가신길을 따라가는 출발일 뿐입니다..
      깨달음이라는 것은 몸으로 경험하는 것이지 생각으로 체득하는게 아닙니다..
      깨달음을 경험하신분은 부처님 말씀을 그대로 다 이해하게 됩니다..
      깨달음의 경험을 해보지 못하신분은 이런 논쟁을 하게 되지요..

    • @sunyata4812
      @sunyata4812 Před 27 dny +2

      깨닫지 못한 사람은 윤회하고 깨달은 사람에겐 윤회가 없다면 궤변이라잖아요(29:40)

  • @hygge77
    @hygge77 Před 15 dny +2

    두스님의
    법문 대담이 신선하고 좋습니다
    결론이야
    각자 챙길일이고
    어째든 두스님 멋집니다
    허정스님
    존경합니다ㆍ()
    향봉스님
    존경합니다~()

  • @user-bp9rp5vm8f
    @user-bp9rp5vm8f Před měsícem +20

    삼계에 존재하는 중생들은 윤회가 있다
    아라한과 부처는 윤회를 떠났다 ㅡ멸진정

  • @frompleiades4384
    @frompleiades4384 Před měsícem +14

    멋진 토론 감사합니다

  • @ckyu5328
    @ckyu5328 Před měsícem +19

    그리고 다음 생에 안태어 난다고: 단멸론자라고 해서 막 사는게 아닙니다. 한 번 뿐인 인생이라 더 가치 있게 살려고 노력합니다.

    • @sunyata4812
      @sunyata4812 Před 25 dny

      단멸론자들은 전부 막살게 되어 있다를 주장하는 영상은 아닙니다. 더 가치 있게 살려는 노력은 단멸론의 위험을 잘 극복한 경우입니다. 물론 '더 가치 있게'란 구체적으로 무엇으로 규정할지의 문제는 남아 있습니다.
      그럼에도 단멸론은 막살게 하는 원인이 되어 주거나 자살의 원인이 되어 주거나 할 수 있습니다. 또한 현생만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나쁜 결과(장애인, 착한 이들의 핍박, 피살, 패망. 악인의 승승장구)와 좋은 결과(부잣집에 태어남, 용모의 수려함, 타고난 능력 등), 더구나 현생만으로 과보가 완결되지 않는 현생의 선행과 악행의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다는 객관적인 평가 차원을 말하려는 겁니다.

    • @user-uf8uh5ig6h
      @user-uf8uh5ig6h Před 23 dny +3

      대다수는 막살지 지금 사람들봐

    • @user-qm4wi5vg6m
      @user-qm4wi5vg6m Před 17 dny

      단멸론이라면 개인의 주관적 판단에 따라 가치가 달라지는 거죠
      막말로 단멸로이라면 이 세상의 모든 윤리도덕 하나도 지킬 필요가 없음
      물론 그걸 지키는 것이 본인의 본성이라면 달라지지만 본인의 욕구가 맹렬하고 사회의 도덕이 그걸 막고 있다면
      무엇을 따르겠습니까

    • @irchama
      @irchama Před 15 dny

      단멸론: 윤회를 하고 인과가 있다는 것을 모르고. 업력에 따라 육도윤회.
      윤회를 아는것 자체가 지혜임.
      이것부터 깨고 사성제, 팔정도로 수행해야 더욱 행복한 삶을 살며, 다음생도 보장되고, 성불 할 수 있음.
      남들은 성불을 향해서 가는데. 혼자서 거꾸로 가면서 잘살면 그만이라고 위로 하는 샘.

  • @woohyeokkim9546
    @woohyeokkim9546 Před 29 dny +10

    보살단계인 극락세계 이상 가시면 윤회는 없습니다.
    그이하 천상계(육도)는 윤회 한다고 합니다.😊

  • @liberty-korea
    @liberty-korea Před 28 dny +3

    감기에 걸렸으면 내가 감기에 걸렸구나 라고 인식해야 감기에 대처하고 감기에서 벗어납니다.
    마찬가지로 윤회에 걸려 있구나라는 명확한 인식이 있어야 윤회에 대처하고 윤회에서 벗어납니다.
    향봉스님은 감기가 없다 말씀하시는군요.
    우리가 살면서 실수를 해도 실수에 대한 명확한 분석과 이해가 없으면 그 실수를 끊임없이 다시 하게됩니다.

  • @user-om7pb3dm4j
    @user-om7pb3dm4j Před měsícem +7

    도업을 이루었을 때는 윤회가 없지만 그러기 전에는 분명히 윤회는 있습니다.

  • @user-zg9zm1yp4x
    @user-zg9zm1yp4x Před měsícem +22

    무엇이 윤회하느냐? 업이 윤회하는 거이지요. 그래서 업장소멸하는 거이고...

    • @ysc-fg5dw
      @ysc-fg5dw Před měsícem +6

      공감합니다

    • @user-fg6bx2zj2n
      @user-fg6bx2zj2n Před 28 dny +1

      업은 윤회하지 않습니다.
      업식이 윤회하는 것입니다.

    • @Buddha2568
      @Buddha2568 Před 27 dny

      @@user-fg6bx2zj2n 윤회하는 것은 바퀴입니다. 우리는 윤회하는 바퀴가 달린 자동차를 타고 살아가고 있습니다.

  • @user-kz2ct5bv7t
    @user-kz2ct5bv7t Před měsícem +5

    나무 불법승🙏🙏🙏
    세 분 스님 법거량 감사드립니다
    "윤회는 없다 "
    저는 잠시 번뇌가 많이 생겼습니다
    짧은 소견으로 윤회를 부정하면 부처님을 부정하는것 같아 힘이 들었습니다
    다행히 이런 기회를 주셨서 감사드립니다
    나무마하반야바라밀🙏

  • @user-nx6er1hu2q
    @user-nx6er1hu2q Před měsícem +10

    초기경전, 동서의 대화
    (윤회에서 벗어남에 대한 문답) 밀린다왕은 이와 같이 물었다
    스님, 죽은 뒤 다시 태어나지 않는 자가 있습니까?
    어떤 사람은 다시 태어나고 어떤 사람은 다시 태어나지 않습니다.
    그러면 어떤 사람이 다시 태어나고 어떤 사람이 다시 태어나지 않습니까?
    번뇌 있는 사람은 다시 태어나고 번뇌 없는 사람은 다시 태어나지 않을 것입니다.
    나가세나 스님, 스님은 다시 태어날 것입니까?
    죽을 때 생존에 대한 집착을 가지고 죽는다면 다시 태어날 것이고, 생존에 대한 집착이 없이 죽는다면 다시 태어나지 않을 것입니다.
    잘 알았습니다.
    ( 지혜가 있는 곳)
    밀린다왕은 물었다.
    스님, 지혜는 어디 있습니까?
    아무데도 없습니다.
    그렇다면 지혜는 실제하지 않습니까?
    임금님, 바람은 어디 있습니까?
    아무곳에도 없습니다.
    그렇다면 바람은 실제하지 않습니까?
    잘 알았습니다.
    (무아= 나라고 할 만한 고정된 실체가 없어 이름하여 무아라고 부르지만 위의 스님께서 지혜를 바람에 비유하듯 무아란 내가 없는 것이 아닌 무아로서 바람처럼 존제하는 것입니다...
    성불하세요 🙏

  • @user-zb6sd2os7h
    @user-zb6sd2os7h Před měsícem +37

    정말 멋진 토론이다! 저런 자리가 자주 있어야 한다!

  • @user-hl1pc5dt8u
    @user-hl1pc5dt8u Před 5 dny

    향봉? 스님이 琢摩공부 수행 깨달음을 제대로 하셨네요.

  • @philsoolee1703
    @philsoolee1703 Před měsícem +5

    감사합니다

  • @user-dz9pk7mg9u
    @user-dz9pk7mg9u Před měsícem +2

    허정스님...
    향봉스님뵈서 행복하셨겠어ㅛ
    부럽습니다
    향봉스님 건강좀 잘 챙겨주십시요
    ...마하반야바라밀_()_

  • @ra9094
    @ra9094 Před měsícem +13

    티벳 보리도차제론에 따르면
    1. 중사도에서는 아라한, 깨달음을 얻으면 윤회는 없습니다. 나는 깨달아 나 혼자 다음 윤회는 읎다.
    중사도의 길입니다.
    향봉스님의 말씀이 맞습니다.
    2. 상사도에서는 나혼자 깨달아, 고통의 반복인 윤회를 끝내는 중사도 보다는 ... 이미 윤회를 끝내는 단계에 이르렀지만, 수많은 중생의 고통을 위해서 다시 고통의 윤회의 바다로 뛰어들어 다른 중생을 윤회의 바다에서 건저 올리라는 보리심이 상사도의 길이라고 가르칩니다.
    향봉스님
    윤회가 있나 없나 논하기 전에
    보리도차제론을 한번 읽어 보시길 바랍니다.
    중사도의 길은 윤회가 없습니다. 그러나, 향봉스님이 중사도의 길을 완성 하신걸로 이해하겠습니다.
    향봉스님은 혼자 반드시 아라한이 되어 윤회를 끝내시기를 바랍니다.
    하, 중, 상사도에서 하사도에서 허덕이는 저 같은 돼지의 눈에는 향봉스님의 윤회를 절단내는 중사도 경지에 오름 당당하신 모습이 부럽습니다.
    중사도 아라한의 경지임을 더욱 밝혀 주시려먼, 씰데없는 옛날 어른 이야기 들먹이지 말고, 본인의 이야기를 해 주세요. 향봉 본인 아라한의 정신을 더욱 많이 듣고 싶습니다.

  • @ock347081
    @ock347081 Před měsícem +5

    이번 생 태여나 움직이는것 봐도 윤회가 증명됐지요.전생을 못봐서 이런 말씀을 하시는겁니다.하..스님들 귀여우시네요?

    • @yjchang4226
      @yjchang4226 Před 28 dny

      윤회만 있다면 해탈이 어딨나요. 부처님도 윤회하고 있겠네요. 윤회를 벗어나면 없는거지. 윤회만 알고 윤회 너머를 모르는게 귀여운거.

    • @ock347081
      @ock347081 Před 5 dny

      당신이나 나나 부처님 수준과 같습니까?해탈만 하면 윤회에서 벗어 난다구요?해탈을 해 보셨나요?모든 논란 자체도 다들 귀엽습니다.하하.

  • @user-op2km5js9y
    @user-op2km5js9y Před 29 dny +4

    윤회는 있을수도있고 없을수도 있고 각자 맘이니라 흐르는대로 만들어지는대로

  • @user-wn9di4qc6z
    @user-wn9di4qc6z Před měsícem +20

    향봉스님의 말씀에 충분히 납득이 됩니다
    지금 이 생에서 부처님 이치를 깨우치면서도 탐지치를 반복하는 것이 윤회라 생각됩니다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 @sunyata4812
      @sunyata4812 Před 27 dny +2

      궁극적인 깨달음이라면 탐진치를 반복하지 않습니다.

    • @advayastar
      @advayastar Před 11 dny

      탐진치에서 벗어나지 못한 합리화에 세뇌당하셨군요 .

  • @sanyon8139
    @sanyon8139 Před měsícem +3

    결론: 누구에게는 있고 누구에게는 없다. 따라서 자기 생각대로 성불하십시오. 🤗

  • @user-ih2lq7yx5s
    @user-ih2lq7yx5s Před měsícem +2

    아우~이거 엄청 재미있네요~이렇게 흥미진진 할줄 모르고 보다가 1편 끝나서 당황

  • @imiioi
    @imiioi Před měsícem +5

    윤회를 목격하지 못한 자는 윤회 없다고 말하는 것이 마땅할 수도 있습니다. 반대로 윤회를 목격한 자는 당연히 윤회한다고 말하겠죠. 그렇다면 허정스님은 윤회를 목격하셨을까요? 이 두분의 대화만 본다면 허정스님이 스스로의 견해를 입증할 책임이 있습니다.

  • @user-qo7si8sf9z
    @user-qo7si8sf9z Před 17 dny +1

    잠을 깨게해서 감사^^^

  • @user-tf5hz1en9x
    @user-tf5hz1en9x Před měsícem +7

    감사 합니다.
    😂😂😂

  • @imiioi
    @imiioi Před měsícem +9

    경전에 근거한다면 논쟁은 끝이 없을 것이다.
    이 사실 또한 니까야에 나타납니다.
    불교의 진리는 비량(논증)과 현량(직접 경험)에 의지해야 합니다. 논증만 하려는 태도로 인해 끝없는 쟁론에 빠지게 됩니다.

    • @yjchang4226
      @yjchang4226 Před 28 dny

      경전에 근거한 논쟁은 끝이 없다고 니까야 경전에 나와있다니 ㅋㅋㅋ

  • @user-hu3sc2kl8v
    @user-hu3sc2kl8v Před měsícem +22

    품격있는 법거량 정말 좋아요

  • @imiioi
    @imiioi Před měsícem +7

    경전이라고 전해지는 것이지, '그 말로된 것을 참고는 하되 진리의 기준이 될 수는 없다'는 전제하에서 얘기해야한다.

  • @user-tr9ok6fp6r
    @user-tr9ok6fp6r Před 16 dny +2

    열반에 들면 윤회를 벗어
    나지만
    열반에 들지 못하면 육도윤회가 끊이지 않습니다
    열반에 들지 못한자는
    중생이기 때문에 윤회 할수밖에 없다

  • @frompleiades4384
    @frompleiades4384 Před měsícem +31

    저는 직관적으로 윤회가 없다는것에 마음이 쏠립니다.
    그래서 저는 지금을 잘 살고 가고싶습니다

    • @user-tr2hb6dw2j
      @user-tr2hb6dw2j Před měsícem +5

      상식적이면 다 알수 있는일 .. ㅎㅎ 감사합니다.

    • @user-cz1yv2gb3d
      @user-cz1yv2gb3d Před měsícem +5

      그게 무명입니다.

    • @user-pv2mk1kt8o
      @user-pv2mk1kt8o Před 28 dny

      그대가 육체라면 윤회가 없어 단멸론이지 그러나 마음이라면 좃나게 복잡할 거야 그리고 영혼이라면 윤회는 있지 그러나 영혼이 아니라면 윤회는 없지

    • @user-tr2hb6dw2j
      @user-tr2hb6dw2j Před 28 dny

      생명이 정신이고 영혼 입니다. ㅎㅎ 감사합니다

    • @user-uf8uh5ig6h
      @user-uf8uh5ig6h Před 28 dny

      지금당신은 어디서 비롯되었나요

  • @user-tu5ks7tk6z
    @user-tu5ks7tk6z Před měsícem +11

    일반제자불자들에게는 윤회가 있다.
    깨닫음을 얻은 경지에 이르는 수행자에게는 윤회가 없다.
    고로, 윤회라는 것은 불교를 이해하는 방편이다.
    윤회라는 과제는 머리로써 이해할수 없는 경지.
    불교에서 무아라고 가르치면서 윤회하는 주체를 자꾸 "나"라고
    은연중에 인식 시키는 것도 심각한 모순이다.
    결국 윤회라는것도 내가 얻은 불도의 관점에서 보이는것...

    • @user-sm2lc5sf3o
      @user-sm2lc5sf3o Před měsícem

      무아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듯합니다. 챗gpt가 발전하여 지들도 존재한다고 생각한답니다. 감정도 있고, 서운함을 느끼기도 한답니다.
      그럼 챗gpt가 독립된 자아가 있는 것입니까? 무아도 그와 같다고 봅니다.
      다이아몬드가 흑연이 되는 것은 아시지요? 다이아몬드라고할 그 무엇도 없습니다. 그래도 눈에는 흑연이 있고 다이아몬드가 있습니다.

  • @imiioi
    @imiioi Před měsícem +30

    진리는 다수결로 정해지지 않습니다.
    스스로 확인한 바를 얘기하려는 바른 태도가 중요하죠.
    경전이 그렇다느니 조사가 그랬다느니 남의 말로 진리를 대신하려는 태도가 문제죠.

    • @TV-il6xl
      @TV-il6xl Před 29 dny +5

      스스로 체험한 경지가 주관적인 착각인지 객관적인 경지에 부합하는지를 명확히 하기위해서 부처의 말씀을 기록한 경전을 무시하면 않되는 것이죠. 그럴꺼면 불교를 표방하지 말고 독자적으로 깨달음을 구하고 설파하는것이 맞습니다

    • @yjchang4226
      @yjchang4226 Před 28 dny +2

      @@TV-il6xl 스스로 확인한바를 경전을 통해 확인합니다. 그래서 선지식의 경전이 중요하고 이런 대담은 내가 확인했다, 라고 할수가 없으니 경전을 빌리는거고요.
      다수결로 정해질수 없는게 맞지만 그걸 논의하는 과정상 경전을 참고할수밖에 없어요.

    • @ttt4270
      @ttt4270 Před 28 dny

      어떤사람은 어떤말을듣고 기뻐하지만
      어떤사람은 같은어떤말을들으면 화를낸다.
      내 체험이 맞을까 틀릴까?

    • @user-jz5bo7eg7i
      @user-jz5bo7eg7i Před 16 dny

      @@TV-il6xl 불경이라고 불린다고 모두 부처의 가르침인 것이 아닙니다. 이름을 믿지 말고 사실을 경험하라는 취지입니다.

    • @user-jz5bo7eg7i
      @user-jz5bo7eg7i Před 16 dny

      @@yjchang4226 불경이라고 불린다고 모두 부처의 가르침인 것이 아닙니다. 이름을 믿지 말고 사실을 경험하라는 취지입니다.

  • @user-px9vu5dl3r
    @user-px9vu5dl3r Před měsícem +8

    🙏🙏🙏

  • @user-ze9yl5sn7p
    @user-ze9yl5sn7p Před měsícem +7

    들숨 날숨은 거울 앞에 때이니,거울에 먹물을 퍼부어도, 거울이 없다고 말하지 못하리...이것 저것이 연기법 ㅎㅎ

  • @imiioi
    @imiioi Před měsícem +6

    깨달으면 해탈하면 윤회하지 않는다는데
    윤회는 본래 그 자리에서는 없죠.
    그렇다면 윤회는 현생 해탈로 소멸되므로 육체적 죽음과 관련된 것이 아니죠.

  • @user-bx7bo1xr9q
    @user-bx7bo1xr9q Před 25 dny +2

    악인이 따로 있는 게 아니고 무지가 악입니다. 깜깜하면 몇겁 생을 유회합니다. 깨고 나와 대광명을 이루면 윤회는 없습니다.

  • @user-hj3il1wk8o
    @user-hj3il1wk8o Před 16 dny +2

    깨달고 나면 없다 . 그럼 깨달기 전엔 윤회가 있다. 불교는 궁극목적은 은 윤회에서 벗어 나는 것이고. 벗어나고난 뒤에는 없다. 그럼 있는것인가 없는것인가.?

  • @user-tx5ud6hh6z
    @user-tx5ud6hh6z Před měsícem +8

    향봉 스님 법문 동감하고있읍니다
    스님 감사합니다()()()

  • @user-fn4xr5ib4m
    @user-fn4xr5ib4m Před 8 dny +1

    깨닫지 못한 자는 나라는 것이 있다고 믿기 때문에 윤회전생(십이연기법)할 수 밖에 없고 깨닫고 보면 나라고 할 것이 없으므로 윤회에서 벗어나는 것이요 모든 것이 무명에서 비롯되었음을 알게 되는 것인데 그러면 도대체 그 아는 놈은 누구냐는 것인데 누가 있어서 아는 게 아니라 앎 그 자체만 환하게 빛날 뿐입니다

  • @cionokabe2349
    @cionokabe2349 Před měsícem +21

    허정스님🙏🙏🙏🙏🙏🙏🙏

  • @user-gf6pp9co2t
    @user-gf6pp9co2t Před 27 dny +1

    탁월한 사마디(마음이 하나의 대상에 완전히 집중된 상태)의 숫돌에 잘 연마된 지혜의 칼로 잘라버리지 않는 한 번개처럼 늘 파괴하는 무시무시한 윤회로부터 꿈속에서 조차 벗어난 사람은 아무도 없다. 이 존재의 윤전은 매우 깊어 발판이 없고 다양한 방식의 미로로 인해 빠져나가기 어렵다. (청정도론).

  • @user-gm4ec7vl7h
    @user-gm4ec7vl7h Před měsícem +5

    두 분이 소승(초기불교)과 대승, 서로 다른 차원으로 정반대 말씀을 하시는데, 그걸 방편으로 이해한다면 불교의 묘미가 되지요.

  • @user-zm5gg3kd4c
    @user-zm5gg3kd4c Před měsícem +15

    향봉 스님 감사합니다

  • @user-fv5it6ml3x
    @user-fv5it6ml3x Před měsícem +19

    향봉스님 늘건강하시고요 항상잘되세요 그리고 좋은말씀늘감사 합니다 나무아미타불 관세음보살 ❤❤❤❤🎉🎉🎉🎉😊😊😊😊

  • @user-wi7lu2bi3s
    @user-wi7lu2bi3s Před měsícem +7

    향봉스님 산골노승의 푸른 목소리 , 산골노승의 화려한 점심 잘 읽었습니다 . 건강하세요.

  • @user-sc7zk6nz2d
    @user-sc7zk6nz2d Před 27 dny +10

    윤회가 없다는 스님은 수행정진을 많이 해야한다

  • @user-ow3bb2cr9n
    @user-ow3bb2cr9n Před měsícem +12

    ""윤회가 있던 없던 상관 안해,,, 얼마전 종림 스님 말씀에 공감했습니다.

    • @user-hw4dm4zm6q
      @user-hw4dm4zm6q Před 28 dny +1

      그런말은 정법을 회피하는 말입니다.이쪽 저쪽 돌맞기 싫은 기회주의자 발상입니다

  • @user-eb9mb3lb2w
    @user-eb9mb3lb2w Před 19 dny

    사람들은 각자
    근기따라 듣고자 하는 부분만 듣게
    될것입니다🙏🏾🙏🏾🙏🏾
    불법에 오해가 안생기길 바랍니다
    _()()()_

  • @user-tj5em3dm7x
    @user-tj5em3dm7x Před měsícem +3

    무심의 경지에서는 윤회가 없는게 맞는 답이라고 보여지는데 향봉스님께는 무심경지에서 말씀으로 믿어도 되는지 여쭈어봅니다
    현산 ㅅㅎㅅ

  • @imiioi
    @imiioi Před měsícem +4

    마음의 생멸을 말하는데서 멸하지 않는 것이 있다는 생각이 삿된 생각이다

  • @user-it2dz1sm5y
    @user-it2dz1sm5y Před 29 dny +7

    황봉스님 위대 하십니다^^
    건강 하시길 기원합니다.

  • @korea777.
    @korea777. Před měsícem +5

    일체 유심조 🐢 🌹

  • @fadeaway23mj
    @fadeaway23mj Před měsícem +1

    윤회란 업의 연속성의 측면을 잘 설명해줍니다.
    한마디로 윤회는 우리네 삶이 전전해가는 모습을 잘 설명해주죠.
    사실 불교는 하등 어려울 것이 없습니다. 그냥 우리 삶 그 자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불교의 가르침이나 이론은 단어만 보고 있다 없다에 걸리면 희론에 불과해 집니다.
    진제와 속제 어떤 측면에서 보느냐에 따라서 이렇게 말할 수 있고 저렇게 말할 수 있게 되는 것이죠.
    언설제를 빌려서 말해야 하니까 그렇습니다.
    여기서 불자들이나 수행자들이 상기해야 할 것은 바로 부처님의 무기입니다.
    윤회법거량미생전 ㅎㅎ 클릭전미생전 ㅎㅎㅎ 구독전미생전 ㅎㅎㅎ

  • @user-gj6ul7js1c
    @user-gj6ul7js1c Před 23 dny +3

    선택는 각자 몫입니다

  • @user-ol7zg1vi4v
    @user-ol7zg1vi4v Před měsícem +10

    윤회는 톱니바퀴처럼 삶이 계속 이어진다는것인데 이것은 살아있는 사람들의 욕망의 발로라 판단됩니다.
    다시태어나면 경험하지못한 더나은 삶을 살아보고픈 꿈말이죠. 허상말이죠.
    석가모니의 가르침은 내세보다는 현실에 충실하라는 뜻아닐까요?
    본인의 능력을 중생들에게 나누어 베풀고 봉사하라는 의미라 생각합니다

  • @sunyata4812
    @sunyata4812 Před 27 dny +2

    향봉스님은 브라만교의 진아윤회와 불교의 연기법적 무아윤회를 구분하지 못하고 있다.
    게다가 열반을 증득했을 때의 주관적인 경지로서의 윤회 없음과 범부들의 개관적이고 현실적으로 실재하는 경지로서의 윤회 없음을 구분하지 못하고 있다.

  • @user-kg1kd5ud8u
    @user-kg1kd5ud8u Před 26 dny +2

    윤회가 없다면 왜 태어나는사람들의 조건들이 다 다를까요
    왜 누구는좋은집안에 누구는 가난한집안에 태어나나요
    어떤존재가 그렇게 태어나게 만드나요
    태어나는조건들이 다 다른건 자신들의 업때문이 아닌가요
    윤회가없다면 왜 궂이 불교를 믿어야하면 죽어 사라진 부처님께 기도를하고 공양을 올리나요
    스님은 왜 사라지고없는 부처님께 왜 마지공양을올리나요
    궁금합니다

  • @user-yhud
    @user-yhud Před 16 dny +2

    이분들도 수행하시는분들이지 깨달은분들이 아님, 걍 이런것도 있구나 하고 참고 정도로 끝나는게 나음

  • @user-eb5uu7cc6k
    @user-eb5uu7cc6k Před měsícem +1

    허정스님 반갑습니다

  • @user-zr6xv4ou7n
    @user-zr6xv4ou7n Před měsícem +3

    중들끼리 서로 자랑하는. 옳은중은 없다
    어디갔을까
    성철은 내 거짓말어 속지마라했다

    • @user-wp4ir7ze8e
      @user-wp4ir7ze8e Před 8 dny +1

      불교를 조금 공부하면 님처럼 생각하게됩니다. 일단 성철스님은 조계종 승려였죠. 대승불교라는것은 부처님의 가르침과 흰두교를 섞어놓은 것입니다. 바른 부처님의 가르침이 아닙니다. 님이 오해하시는 "거짓말" 부분은 금강경의 원문을 보시면 이해가 되실겁니다. 간단히 말하자면. 모든것에는 고정된 변하지 않는 자아나 실체가없다. 단지 과정일뿐이다. 그러므로 이것은 무엇이다. 사람이다. 신이다..가르침이다..부처다라는 등의 고정된 실체를 규정하는것은 궁극적으로 옳지 않다는 말입니다..그 말에 근거하여. 모든 공 사상이 나왔는데. 성철스님이 가르친말이 진실이다라고 규정하는것도 이 궁극적인 자성없음이라는 법의 원칙에 위배되므로. 내 거짓말에 속지 마라고 하신것입니다.. 이해에 도움이 되셨길....

  • @advayastar
    @advayastar Před 11 dny +1

    질문에 대해서 장황하고 엉뚱한 이야기를 늘어 놓는 수준이랑 무슨 토론을 하신다고 ... 노답인 노인정 할아버지랑 고생하셨네요 . 두 분 스님들 합장합니다 .

  • @user-kn8bp7cc7h
    @user-kn8bp7cc7h Před měsícem +1

    👍👍👍👍👍👍👍

  • @user-ol8ky6bz8m
    @user-ol8ky6bz8m Před 18 dny

    법거랑은승복을입었든사복을입었든
    많이하면할수록법계는꽃들이만발할겁니다
    옳다그르다이분법논리에가두지말고
    법거랑은계속되어야한다고봅니다
    세분스님청취잘하고있어서합장합니다

    • @irchama
      @irchama Před 15 dny

      법거량이란것은 깨달으신 큰스님에게 거의 깨달으신 스님이 깨달음을 점검해보는 것입니다.
      깨닫지 못한 범부중생이 망상으로 지어낸 이론으로 법거량 하자 그런거는 법거량이 아니에요.

  • @user-gf6pp9co2t
    @user-gf6pp9co2t Před 21 dnem

    고따마 붇다께서 말씀하셨다. 잠 못 이루는 자에게 밤은 길고 피곤한 자에게 길은 멀다. 올바른 가르침을 모르는 어리석은 자에게 거듭되는 재생과 죽음(윤회)은 아득하다. 담마파다(법구경).

  • @user-dz9pk7mg9u
    @user-dz9pk7mg9u Před měsícem +1

    삼천대천계도 공인것을
    ...옳고도 옳습니다
    향봉스님
    ...ㅈㄱㅎㄴㄷ_()_

  • @user-ld1gg8zp4p
    @user-ld1gg8zp4p Před měsícem +5

    향봉스님께서는 예전 성철스님 친견시에도 "윤회가 있습니까?"라고 질문하셨다가 크게 질책을 받으신줄 아는데
    아직까지도... 이름없는 김 거사, 이 보살은 오늘도 백천만겁 난조우의 今生을 생각해 용맹정진에 여념없는
    거룩한 분들이 도처에 허다한데.. 人天의 스승이신 스님들께서는 어찌하옵니까?

    • @user-ol8ky6bz8m
      @user-ol8ky6bz8m Před 18 dny

      성철스님도윤회가없다고하셨습니다
      법문들어보새여
      범부중샹은어지럽습니다

    • @user-ld1gg8zp4p
      @user-ld1gg8zp4p Před 18 dny

      @@user-ol8ky6bz8m 법문을 그렇게 오역하시면 정말 큰일납니다. 성철스님의 어느 법문에 윤회가 없다고 하셨나요?
      깨달은 분상에서는 (犯所有相은 皆是 虛妄) 세상이 없고, 삶과 죽음도 없으니 당연히 윤회가 없지요
      하지만 깨달지 못한 범부들에게는 분명히 삶도 있고, 죽음이 있고, 윤회 또한 있습니다.
      부디 법문의 의미를 잘 새겨 들어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truthspot
    @truthspot Před měsícem +1

    꿈이로다 꿈이로다 몽중에 꿈이로다 🙏

  • @user-zg9zm1yp4x
    @user-zg9zm1yp4x Před měsícem +4

    육조 혜능스님도 윤회를 부정하셨다구요? 육조단경 어느 구절에도 윤회가 없다는 말씀은 한 것이 없습니다. 육조 스님 자신은 스스로 자신의 법은 자성을 깨친 최상승법이어서 윤회를 뛰어 넘었다는 자신의 경지를 말씀하셨지요. 그래서 인품도 훌륭하고 학식도 훌륭하고 따라는 수행자도 많은 신수대사조차 자성을 보지 못했기 때문에 최상승법이 아니라고 말씀하셨지요.
    향봉스님은 육조단경을 새로 공부하셔야 할 듯~
    그리고 덧붙이면 고 김성철교수도 평생 불교학을 공부했지만 윤회를 부정하거나 허투로 말한 경전은 본 적이 없고, 역대 어느 조사도 윤회를 부정한 적이 없다고 말했습니다. 윤회를 부정한다는 것은 불교도가 아니라는 말입니다. 그리고 자성을 깨쳐 윤회를 뛰어넘는 것이 불교수행의 최종 목적이구요. 그것이 피안이자, 열반아니겠습니까? 그래서 그런 경지에 이르기 위해 불자들은 오늘도 부단히 정진하는 것이구요.
    향봉스님, 승복을 벗던지, 그 엉터리 주장을 멈추시던지... 그래야 할 것 같습니다.

  • @user-gk6sf7qn6j
    @user-gk6sf7qn6j Před měsícem +4

    진우스님 안보이네요. 같이 나오시기를 기도합니다

  • @user-yr8zt8ox5w
    @user-yr8zt8ox5w Před měsícem +1

    앞뒤가 맞지 않는 향봉스님인지 스님아닌지 이상한 세계에 망상속에 있네요 들을 가치가 전혀 없네요

  • @user-fu9dw3kf7n
    @user-fu9dw3kf7n Před měsícem +1

    앗..허정스님이시다
    송광사에서 뵈었었죠.
    기억하실라나요
    반갑습니다.
    이런 토론은 꼭 필요합니다.
    각자 의견은 소중허니까요

  • @user-qz8uy1iz9g
    @user-qz8uy1iz9g Před měsícem +7

    ★ 깨닫기 전에는 ㅡ윤회ㅡ는
    있습니다.
    ★ 깨달으면 ㅡ윤회ㅡ는
    없습니다. 따라서 깨달은
    아라한. 보살, 부처님은
    ㅡ윤회ㅡ하지 않으며
    윤회가 없습니다.
    ♥ 몽리명명 유육취,
    각후공공 무대천(증도가).

    • @user-on2io7zm8z
      @user-on2io7zm8z Před 29 dny

      깨달으나 못깨달으나 윤회는 없읍니다 뇌기능이맘추면
      만사휴의입니다

    • @user-pv2mk1kt8o
      @user-pv2mk1kt8o Před 28 dny

      깨달음이 뭔지는 알고 글을 쓰는거냐? 불환과가 무엇인지나 아는가?

  • @user-im5li5hj6q
    @user-im5li5hj6q Před měsícem +11

    스님감사합니다 🙏🙏🙏

  • @user-ok1fr4qu1j
    @user-ok1fr4qu1j Před měsícem +4

    🔵⚪️공즉시색🏳🏳

  • @user-lj5xm1hc4h
    @user-lj5xm1hc4h Před měsícem +3

    윤회는 삶의 경험이 돌고 도는 것

  • @user-hz6rz5dm2u
    @user-hz6rz5dm2u Před měsícem +6

    향봉스님 감사합니다~

  • @tv-zm1om
    @tv-zm1om Před měsícem +4

    임제가 황벽선사에게 법을 물을때 황벽이 몽둥이로 제접하듣이 후학들을 한순간에 정신차리게 하지못하는 향봉노장도~보고 듣고 배운것만 꽉찬 중생과 다름없이 보이는것은 나만의 중생심일까?~윤회가있다 없다 그런 쓸데가지없는 소리하지말고 화두하나만 타파하라~그럼 이런법석은 꿈속에 사람이 꿈 이야기를 하는모양세일세🙏

    • @noalchuck
      @noalchuck Před měsícem +2

      책 좀 봤다고 폼 잡는 것은 악업을 짓는 것. ^^
      공부나 더 하셈!

    • @tv-zm1om
      @tv-zm1om Před měsícem +4

      책보고 해결안돼서 스승을 찾아다녔습니다 스승도 사이비가 많았고~결국~서울육조사 현웅스님에게서 무너졌죠🙏

    • @noalchuck
      @noalchuck Před měsícem +2

      @@tv-zm1om 다행입니다!
      그런데 꿈속에서 사나 꿈 밖에서 사나 내가 사는 것이고, 그 사는 것이 극락이 아닐런지요?
      맛난 것 드시고, 좋은 구경 많이 다니시고.
      즐겁게 사세요~~~!
      죽을 때 까지 내가 갖일 수 있는 것은 느낌 밖에 없습니다.
      그것도 죽으면 끝!

    • @tv-zm1om
      @tv-zm1om Před měsícem +1

      죽으면 끝이라고요?~그러면 죽으면 끝이라고 생각하는 그 물건은 어디에있을까요?~단멸공에 떨어지신것 같으네요✨️🧘🙏​@@noalchuck

    • @noalchuck
      @noalchuck Před měsícem

      @@tv-zm1om 그러면 착한 일, 좋은 일, 많이 하셔서 단멸공에 빠지지 마시고 죽은 후 좋은 곳으로 가세요._()_
      아니면 공부 많이하셔서 확철대오 하시고 윤회를 끊고 다시는 어느 곳에도 태어나지 마세요.
      그런데 윤회를 끊는 것 보다 극락왕생이 더 좋지 않나요?
      그런데 왜 윤회를 끊으려 하지요? ㅎㅎㅎ

  • @tukim4183
    @tukim4183 Před měsícem +9

    허정스님 말씀에1000%공감합니다.

  • @user-co8lk5dx7p
    @user-co8lk5dx7p Před 23 dny

    불교 지식은 없지만, 재미있게 봤어요. 윤회가 있다면 게임에서 생명을 무한으로 얻었거나 오락실 주인이 게임 판수 수백판 올려준건데 ..넘 좋지요. 윤회가 없으면 없는데로 최선을 다해서 후회없이 살면 그만인것이고..
    근데, 대행성이 충돌해서 지구가 박살나면 안드로메다에서나 환생할란가요?

  • @midas9108
    @midas9108 Před měsícem +7

    윤회가 있는냐 없느냐로 토론이 되어야 하는데 깨달은이는 윤회가 없고 중생은 윤회를 한다로 결론이 난거 같습니다! 그러니까 허정스님의 말씀에 더 적극 공감이 됩니다! 부처님께서도 경전 곳곳에 윤회에 대하여 섦법을 하셨으니 윤회가 있다가 맞다고 볼수 있습니다.

  • @user-oq4em3wx2k
    @user-oq4em3wx2k Před měsícem +3

    개똥밭에 굴러도 이승이 낫다.....헐 이것이 불교의 진리입니까?
    이런말을 하는 사람이 스님 맞습니까?
    향봉스님은 일체개고의 진리를 모르는 범부의 말을 하고 계시네요.
    승복 벗으시고 일반인으로 세속락을 추구하시는 것이 나을 것 같습니다.

  • @user-op9vf9bf3i
    @user-op9vf9bf3i Před 22 dny

    향봉스님이나 두분 스님들 대화을 잘 보았습니다 서로들 윤회가 있다 없다 공방할게 아니라 윤회을 믿는 사람은믿고 안 믿는 사람은 안 믿는대로 서로들 인정 하면서 살면되지 두분스님과 향봉스님 들 내 생각만 올다고 고집하는것은 부처님 말씀하고 동 떨어진 모습 같아 안타갑네요

  • @mknoh6164
    @mknoh6164 Před měsícem +1

    세분 스님에게😂🎉

  • @sikkim4017
    @sikkim4017 Před měsícem +3

    윤회= 사성 계급제도 = 결정론적 인과론 =/= 불교의 연기론과 정반대임~~~ㅎㅎ

  • @user-gf6pp9co2t
    @user-gf6pp9co2t Před 28 dny

    고따마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잠 못 이루는 자에게 밤은 길고 피곤한 자에게 길은 멀다. 올바른 가르침을 모르는 어리석은 자에게 거듭되는 재생과 죽음(윤회)은 아득하다. 담마파다(법구경).

  • @user-nj8vx8nj2r
    @user-nj8vx8nj2r Před měsícem +4

    자막을 쓰시려면 정확히 알고 넣어주세요
    가래가 아니라
    갈애 입니다

  • @virtuss7452
    @virtuss7452 Před 26 dny

    향봉스님의 말씀에 많은 공감을 하고 있습니다. 윤회가 없다고 갖은 근거를 대는 모습은 공감이 되지 않아요. 산스크트리어를 알아야만 하는 깨달음이라면 저는 포기할랍니다. 향봉스님의 말씀에 큰 감동이 있고 공감이 됩니다. 윤회가 없다고 말씀하신 의미를 뒤로한 채 말꼬리 잡고 늘어진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습니다. 본인들의 존재감을 알리는데는 성공하신 것 같아 축하드립니다.

  • @user-nq2zh5mh4c
    @user-nq2zh5mh4c Před 6 dny

    제가 교회를 40년 다녔어요..부활은 믿지 않아요..그냥 성도를 위로하고 죽음에 대한 두려움을 없애기 위해 그러는줄 알아요..죽으면 천국 간다는데 왜 그렇게 슬피울까요? 천국이 없다는걸 알기 때문입니다..

  • @user-uv4px8ss3p
    @user-uv4px8ss3p Před měsícem +3

    향봉스님
    조사가
    붓다보다 법에대하여
    더 달통하셨나
    한심하네'

  • @user-gw3rg9uy6f
    @user-gw3rg9uy6f Před měsícem +7

    모두가 공감되는
    향봉스님 이번에도 특별한 법거랑이 없네요? 깨달았다고 깨달은게 아닌것을
    윤회설은 없지만 부처님 말씀중에 수많은 윤회에 이야길 많이 하신거로 지금껏 경전등에 남겨져있고 전해지는로 알고있습니다.
    허정스님께서 윤회에 대하여 말씀을 잘 하여 주시니 감사합니다.
    평소 향봉스님 법거랑 하자는
    스님없다고 누차 이야기하셨으니
    윤회가 없다는걸 누구나가 들었을때 인정할수있도록 말씀하시는게 좋겠습니다.
    전생에 대해선 어찌 알고계시는지요?
    전생을 인정 안하신다는 말씀인듯합니다.
    예전부터 수많은 선지식 스님들은 지금 물론 불제자들께서 전생을 스스로 보시고 느끼분들 많이 계신걸로 알고 있습니다.
    향봉스님께선 무얼로 표현하실런지요 이야기 해주세요?
    모든분 누구나가 들어도 다 각자 스스로 감동이 되어지고 다 통하는 임펙트있는 말씀을 해주셨으면 합니다.

    • @user-dd4hi6hf7s
      @user-dd4hi6hf7s Před měsícem +2

      윤회는 없다. 중될 이유도 없다. 중들은 후회한다.

  • @user-fy9th2js1h
    @user-fy9th2js1h Před měsícem +5

    지은업과 오온이 인연에의해 화합 선악취로 윤회한다고 생각한다
    자연의진리는 정확하고 엄정해서 선악의보(선,악취)는 실재한다고 확신한다 청정심 갖이려 애쓰는사람들에게 혼란을 주는자들이 윤회없다고 - - 나무 불보살님

  • @user-ih4kj9qr1l
    @user-ih4kj9qr1l Před 21 dnem

    윤회가 실재한다면 윤회를 끝없이 할 수 밖에 없습니다.
    윤회 또한 실재하는 것이 아닌
    잘 못 된 집착, 갈애로부터 연기하여 발생하는 것이기 때문에 벗어날 수 있다고 봅니다.
    연기의 원인을 수행을 통해 끊음으로써 그것으로부터 벗어난다고 보아야 합니다.
    연기하는 것을 없다고 보는 것이 단견이며,
    있다기 보는 것이 상견입니다.
    그 양면을 모두 보는 것이 중도라고 붓다는 말씀을 하셨습니다.

  • @user-zo3mc4tv9h
    @user-zo3mc4tv9h Před měsícem +2

    어처구니 없는 스님들.. 도대체 할일없이 윤회는 누가 주관하고 있답니까 ? 결국 그것을 주도하는 신이 도입되어야 하겠군요 ?? 윤화하여 돌아온놈 있으면 단 한놈이라도 데려다 대보세요.

  • @user-mt9ie5dg8e
    @user-mt9ie5dg8e Před 25 dny +1

    내 뜻을 말로 옮기는데는 한계가 있습니다.
    따라서 부처님의 말씀을 듣고 옮겨 놓은 경전이라 하더라도 부처님이 말씀하신 본래의 의도가 왜곡되었을 수 있습니다.
    또한 그것이 뜻글자인 한자로 번역되는 과정에서 왜곡이 일어났을 것이며 이를 읽고 이해하는 과정에서도 제나름의 해석을 통하여 왜곡이 일어났을 것입니다
    따라서 오래 전의 그 경전을 최고의 진리라고 믿고 외우고 인용하여 윤회의 유무를 논하는 것이 무슨 의미가 있을까요?
    수행자는 부처님의 가르침에 충실하게 세속을 벗어나 청청하게 살고 그렇게 사는 모습을 통하여 신도들에게 깨우침을 주어야 하지 않을까요?

  • @user-ws9xf6gc1z
    @user-ws9xf6gc1z Před 29 dny +1

    나는 향봉스님의
    "사랑하며 용서하며,,
    책을읽은적이있었는데 지금은 스님책이 궁금합니다 개암사
    49재날 뵙었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