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중표, 종교와 죽음은 서로 땔 수 없는 관계입니다 (32회 붓다빅퀘스천-니까야를 다시보다)

Sdílet
Vložit
  • čas přidán 22. 05. 2024
  • #니까야 #근본불교 #초기불교
    니까야는 '부처님의 가르침을 모아 놓은 모음집‘이라는 뜻입니다. 니까야는 대체적으로 한문으로 기록된 아함과 상응하는 경전인데, 남방불교를 통해 팔리어로 전승되어온 경전입니다. 부처님의 초기 가르침은 구전으로 전승되다, 하나는 한역 아함경으로 하나는 남방불교의 니까야로 이어진 것입니다.
    하지만, 한동안 아함과 니까야는 대승불교의 그늘에 가려 제대로 조명되지 못했습니다. 중국의 천태지자대사는 한꺼번에 중국으로 쏟아져 들어온 불교경전을 다섯 단계로 분류했는데 아함부 경전을 근기가 낮은 대중들을 좀더 높은 곳으로 이끌기 위한 가르침 정도로 평가했습니다.
    이후 동아시아 불교에서는 아함부 경전이 주목을 받지 못한 채 대승경전 일변도의 사상사적 흐름을 이어왔습니다.
    하지만, 불교학이 발전하면서 일본과 남방불교를 중심으로 니까야에 대한 재조명이 이뤄지면서 국내에도 니까야 읽기 바람이 불기도 했습니다. 이번 붓다빅퀘스천은 니까야가 가진 이러한 역사적 맥락을 조명해보고 니까야를 신행의 지침으로 삼기 위해선 어떤 노력이 필요한지를 자세히 들여다 봅니다.
    ◇ 불광 블로그(공식) :
    blog.naver.com/bulkwanger
    ◇ 불광 페이스북 페이지 :
    / bulkwang
    ◇ 불광 뉴스레터 구독하기
    page.stibee.com/subscriptions...
    ◇ 불광미디어 인스타그램 :
    / bkbooks79
    ◇ 불광미디어 홈페이지
    www.bulkwang.co.kr/

Komentáře • 6

  • @user-un9jg8rz1p
    @user-un9jg8rz1p Před 22 dny

    도라는 말은 없다 해도 같은 뜻의 취라는 말은 부지기로 많이 나오지요.

  • @user-iv1hk9ey3u
    @user-iv1hk9ey3u Před 23 dny

    부처님 가르침을 따르는 수행자는 기쁨에 넘쳐 고요하며 생사윤회가 멎은 절대평화에 이른다 열반 해탈 깨달음

  • @user-qt1hd6kn1u
    @user-qt1hd6kn1u Před 19 dny

    윤회가 없다.
    라고 한다면 부처님의 전생록은 무엇이란 말가!
    교수님 말씀대로라면 알수없는 것, 가보지 못한것은 논하지말자면서
    윤회가 있다는 것역시
    알수없는 것 아닌가?

  • @user-iv1hk9ey3u
    @user-iv1hk9ey3u Před 23 dny

    남을 해칠 마음을 갖지 말고 원한을 품지 말고 성내는 마음을 두지 마라 화가 나더라도 함부로 말하지 말고 남의 흠을 애써 찾지도 말고 약점이나 단점을 들추지도 말고 항상 자기 자신을 잘 단속하여 정의로써 자신을 살펴 나가라 악은 스스로 망하고 용서해도 자신이 지은 업보는 받는다 사필귀정 인과응보 자업자득 만고불변의 진리다 부메랑이다 자신에게 돌아간다 피할수 없다 업보 윤회

  • @user-iv1hk9ey3u
    @user-iv1hk9ey3u Před 23 dny

    부처님 가르침 맹목 추종 아닌 정의 진리 인식 실천

  • @user-iv1hk9ey3u
    @user-iv1hk9ey3u Před 23 dny

    업보 윤회 콩심은데 콩나고 팥심은데 팥난다 심은대로 거둔다 죽음은 마지막이 아니고 새로운 삶의 시작이다 억겁이 지나도 업보는 남아있고 인연으로 만나면 되돌려 받는다 사필귀정 인과응보 자업자득 만고불변의 진리다 부메랑이다 자신에게 돌아간다 피할수 없다 업보 윤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