붓다의 호흡법 - 일묵스님 대념처경 강의 07

Sdílet
Vložit
  • čas přidán 22. 05. 2020
  • 일묵스님의 대념처경 강의 7회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팔정도 수행을 기초로한 붓다의 호흡수행에 대해 강의합니다.
    부처님의 수행은 아나빠나사티 라고도 하고, 들숨날숨 호흡법이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대념처경은 초기불교경전중에서도 안반수의경과 함께 수행방법을 설한 대표적인 경전입니다. 사성제와 팔정도를 바탕으로 선정에 들어 알아차림하는 명상수행의 방법을 구체적으로 알아봅니다. 앞으로 18강에 걸쳐 계속될 일묵스님의 대념처경 강의에 많은 관심부탁드립니다.
    대념처경(大念處經 : Mahāsatipatthāna Sutta 알아차림의 확립에 대한 큰 경)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습니다.
    - 들어가는 말(uddeso)
    - 몸에 대한 관찰(Kāyānupassanā)
    A. 호흡(Ānāpāna)에 대한 장
    B. 몸의 자세(Iriyāpatha)에 대한 장
    C. 무상에 대한 지속적이며 철저한 앎(Sampajāna)에 대한 장
    D. 혐오감에 대한 반조(Paṭikūlamanasikāra)의 장
    E. 물질요소(四大)에 대한 관찰(Dhātumanasikāra)의 장
    F. 묘지에서의 아홉 가지(Navsivathika) 관찰에 대한 장
    - 감각(느낌)에 대한 관찰(Vedanānupassanā)
    - 마음에 대한 관찰(Cittāanupassanā)
    - 법에 대한 관찰(Dhammānupassanā)
    A. 덮개(五蓋 Nīvaraṇa)에 대한 장
    B. 무더기(五蘊 Khandha)에 대한 장
    C. 감각의 육처(六處 Āyatana)에 대한 장
    D. 깨달음의 요소(七覺支 Bojjhaṅga)에 대한 장
    E. 고귀한 진리(四聖諦 Catusacca)에 대한 장
    - 사띠빳타나 수행의 결실(Satipatthānabhāvananisaṃso)
    #일묵스님 #대념처경 #사띠빳다나수행 #알아차림 #명상 #
    ▶ BBS불교방송은?
    ▶ BBS 불교방송을 만나는 더 다양한 방법!
    앱: goo.gl/eP04GO
    홈페이지: www.bbsi.co.kr/
    유튜브: / bbskorea
    페이스북: bitly.kr/Xh2Wyu
    블로그: blog.naver.com/bbsfm1019
    트위터: / @bbs_tvnradio
    카카오스토리: story.kakao.com/bbsnews

Komentáře • 15

  • @jswootheblackscreen
    @jswootheblackscreen Před 3 lety +7

    타협없는 일묵스님이 너무 너무 좋을때가 있습니다 🙏🙏🙏

  • @philsoolee1703
    @philsoolee1703 Před 7 měsíci

    감사합니다

  • @chinttamani
    @chinttamani Před 4 lety +6

    🙏🙏🙏🙏🙏🙏🙏🙏🙏🙏🙏🙏🙏🙏🙏

  • @keepnormalmind
    @keepnormalmind Před 3 lety +4

    나무아미타불 관세음보살.. 감사합니다 ~♡

    • @user-ef9np7dh5u
      @user-ef9np7dh5u Před 2 lety +1

      죄송하지만 "나무아미타불 관세음보살"은 초기경전에 나오지 않아요.
      또 아미타불이나 관음보살에게 의지하는 수행이나 습관은 버리는 게 좋을것 같네요.
      "자등명 법등명"이란 석가모니부처님의 말씀처럼
      호흡수행이든 걷기수행이든 스스로(自) 하세요. 그냥 지나가는 바람소리라 여기세요 ~

    • @keepnormalmind
      @keepnormalmind Před 2 lety

      @@user-ef9np7dh5u 님은 소승불교를 따르시는군요. 저는 대승불교를 따릅니다. 나무아미타불 관세음보살은 10지 보살이라 인정받으신 원효대사께서 불교 대중화를 위해 널리 알리신 정근입니다.
      그리고 제가 따르는 조계종도 대승불교의 가르침을 따릅니다.
      조계종에서는 참나(불성)를 찾는 공부를 하는데 저는 참선과 호흡을 통해 공 공부도 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 @user-ef9np7dh5u
      @user-ef9np7dh5u Před 2 lety

      @@keepnormalmind 헐~ 자신은 대승이고, 남은 소승이라는 생각은 자만이고 아상입니다.
      어찌 북방불교는 부끄러움도 없나요?
      또 원효대사가 10지보살이라고 누가 인정했나요? 석가모니부처님께서 인정했나요?
      보살은 아직 깨닫지 못한 중생입니다. 깨달은 아라한보다 높지는 않다고 여겨집니다.
      그냥 지나가는 바람소리라 여기세요 ~

    • @keepnormalmind
      @keepnormalmind Před 2 lety +1

      ㅋㅋ 그만합시다. 당신과 언쟁하고 싶지 않습니다..

  • @user-gb6qo5ym3y
    @user-gb6qo5ym3y Před 4 lety +5

    7일간의 대념처경 집중수행 프로그램을 만들어 주세요!

  • @joseugun3771
    @joseugun3771 Před 5 měsíci

    사두 사두 사두~❤ _()_

  • @user-wz8oi4sr8t
    @user-wz8oi4sr8t Před 2 lety +1

    스님, 고맙습니다
    가려운 곳을 긁어 주셨어요
    정념, 정정진해서 정정하겠습니다
    사두 사두 사두

  • @user-bg4wp6tn3f
    @user-bg4wp6tn3f Před rokem

    감사합니다~

  • @KDragona
    @KDragona Před 3 lety +3

    자세는 그냥 편한게 가장 좋은듯 합니다. 소파에 앉든 양반 다리를 하던 수행이 잘 될려고 하면 몸이 스스로 움직이며 가장 편하고 오래 앉을수 있는 상태로 자동으로 움직여 집니다.

  • @user-yo9qu5hg2l
    @user-yo9qu5hg2l Před 2 lety

    우리나라 불교는 변질된건가요 들숨날숨 알아차림 이런 훌륭한 수행법이 있는데 왜 대중들에게 안전해지는걸까요

  • @user-mc1so5hk7y
    @user-mc1so5hk7y Před 3 lety +3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