괴로움을 직면해야 괴로움에서 벗어난다ㅣ일묵스님ㅣ제따와나선원 2023.11.15

Sdílet
Vložit
  • čas přidán 14. 11. 2023
  • 불교는 괴로움에서 벗어나는 가르침입니다. 그런데 괴로움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괴로움을 알고, 그 괴로움을 직면해야 합니다.
    하지만 우리들은 어리석음과 갈애 때문에 괴로움이 괴로움인지도 모르고 괴로움을 직면하기는 커녕 회피하고 도망가거나 때로는 괴로움을 행복이라 착각하며 어리석게 움켜쥡니다.
    이 법문에서는 불교에서 말하는 '괴로움'에 대해 알아봅니다.
    ◆ Timeline
    0:00 Intro
    ◆ Tag
    #괴로움 #어리석음 #갈애
    ◆ 제따와나선원
    • 홈페이지: www.jetavana.net
    • 네이버카페 : cafe.naver.com/jetavana
    • 제따와나선원 뉴스레터 구독하기 page.stibee.com/subscriptions...
    • 제따와나선원 후원하기 www.jetavana.net/sub5_00.html
    모든 존재들이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기를 바랍니다.

Komentáře • 41

  • @user-yj2ws8gi6z
    @user-yj2ws8gi6z Před 7 měsíci +6

    괴로움을
    피하려 할수록
    괴로움에서
    벗어나지
    못합니다.
    일묵스님
    고맙습니다.❤❤❤

  • @user-nr8mx5uf6i
    @user-nr8mx5uf6i Před 7 měsíci +7

    지혜의 말씀 감사합니다~~🙏🙏🙏

  • @user-qp1kr3zd6f
    @user-qp1kr3zd6f Před 7 měsíci +6

    부처님의 가르침을 확실하게 알수있게되었습니다 고맙습니다 감사합니다

  • @hyunsunkim9893
    @hyunsunkim9893 Před 7 měsíci +5

    감사합니다.
    _()_()_()_

  • @5off439
    @5off439 Před 6 měsíci +2

    고맙습니다 🙏

  • @sati-sayousoo
    @sati-sayousoo Před 7 měsíci +4

    사두 사두 사두🙏

  • @user-cr8ds6tu9e
    @user-cr8ds6tu9e Před 6 měsíci +2

    🙏🙏🙏

  • @user-wr9br5mh5u
    @user-wr9br5mh5u Před 7 měsíci +2

    스님 감사드립니다

  • @user-xs6of6he6f
    @user-xs6of6he6f Před 7 měsíci +2

    사두 사두 사두~
    귀한 법문 잘 들었습니다
    스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추워지는 날씨 건강하시길 두손 모웁니다 _()()()_

  • @Sangnal
    @Sangnal Před 6 měsíci

    많이 배웁니다

  • @user-zg9yd3jg6c
    @user-zg9yd3jg6c Před 7 měsíci +5

    깊이 기억해야하겠습니다. 🎉

  • @user-dk9pf5kc2e
    @user-dk9pf5kc2e Před 7 měsíci +7

    거룩한 부처님께 귀의 합니다!
    거룩한 부처님의 가르침에 귀의 합니다!
    거룩한 부처님의 가르침의 승단에 귀의 합니다!
    사~두 사~두 사~두
    ❤_()()()_❤

  • @gonkim4724
    @gonkim4724 Před 7 měsíci

    해탈, 열반 = 윤회 × = 우주에서 영원히 소멸
    이것이 진정한 행복이고 우리가 추구할 것일까요?

    • @user-cz1yv2gb3d
      @user-cz1yv2gb3d Před 6 měsíci

      부처님은 존재로 태어남을 괴로움이라고 규정하셨고(고성제)
      태어나지 않음 즉 윤회에서 벗어남을 괴로움의 소멸이라고 규정하셨습니다.(멸성제)
      멸성제로 나아가는게 부처님 가르침의 목표입니다.
      행복이라는 표현보다는 괴로움의 소멸이라고 하는게 더 좋습니다.
      참고로 행복이라고 표현하는 경우는 두가지가 있는데
      감각적 욕망으로 인한 행복(오감을 통한 행복)과 (감각적 욕망으로부터)벗어남의 행복(예를들어 삼매로 인한 행복)이 있습니다.

    • @happy12351
      @happy12351 Před 3 měsíci

      그쵸 태어나서 자식 먼저 죽고 부모 죽고 대소변 못가리면서 비참하게 죽는 과정을 반복하는 게 좋으세요? 성폭행 강간 살인 전쟁 아직 안 겪고 살만하면 다시 태어나고 싶겠죠 아직 고생을 안해보면 윤회가 즐겁다 생각할 수 있어요.

  • @user-tc3kd3uy8c
    @user-tc3kd3uy8c Před 7 měsíci

    스님 말씀을 듣다보니 엉뚱한 생각이 드네요.
    제행무상이 진리라면 열반적정이란 것도 언젠가는 깨진다는 얘기가 되는데...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요.
    제행무상이라면 윤회를 멈췄다 할지라도 언젠가는 다시 윤회를 하게 된다는 건데...
    논리적으로는 그렇다는 겁니다.

    • @user-ef9np7dh5u
      @user-ef9np7dh5u Před 7 měsíci

      열반은 갈애의 소멸인데 어떻게 윤회를 하는지... 처음 듣는 논리네요.

    • @user-tc3kd3uy8c
      @user-tc3kd3uy8c Před 7 měsíci

      @@user-ef9np7dh5u 윤회를 멈췄다는 게 어떤 의미인가요.
      윤회를 멈췄다는 건 멈춘 주체가 있다는 거고 주체가 있으면 제행무상이 진리라면 그 멈춤도 변할수 있다는 게 성립이 되지요.
      논리적으로는 그렇다는 겁니다.

    • @user-ef9np7dh5u
      @user-ef9np7dh5u Před 7 měsíci

      @@user-tc3kd3uy8c 멈춘주체가 있다고 누가 그래요?
      본인의 사견을 일반화하지 마세요. 제법무아입니다.

    • @gfkfan
      @gfkfan Před 7 měsíci

      @@user-tc3kd3uy8c 연기와 제법무아를 좀 더 공부해 보시는게 도움이 될 듯 합니다.

    • @user-tc3kd3uy8c
      @user-tc3kd3uy8c Před 7 měsíci

      @@user-ef9np7dh5u
      그럼 윤회는 누가 합니까?
      윤회하는 주체는 누구고 깨닫는 주체는 그 누구며 이 댓글을 쓴 주체는 누구입니까.
      본인이 아니라고 할 겁니까.
      윤회하는 주체가 없는데 아무런 상관없는 사람들이 무엇 때문에 윤회를 멈추려고
      수행을 할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