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검술 vs 일본 검술의 소름돋는 차이점 ㅣ동양 검술 전문가 1부

Sdílet
Vložit
  • čas přidán 13. 06. 2021
  • #조선검술 #일본검술 #동재도법검도
    오늘은 동재도법검도 이승신님과
    일본검술과 조선검술의 차이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 BODA 영상이 유익하셨다면 좋아요와 구독버튼 눌러주세요♥
    ------
    BODA 출연, 제휴 문의 ☞ boooda.kr@gmail.com
    BODA 인스타 ☞ / boda_channel​
    이승신님이 궁금하다면?
    유튜브 ☞ / @a.k.a.1785
  • Zábava

Komentáře • 4,2K

  • @dzd2930
    @dzd2930 Před 3 lety +3743

    역시 졸린눈캐는 강하다

  • @leechanghyun
    @leechanghyun Před 3 lety +1370

    현실은 식칼도 겨우 다루는데 이 영상 보고나면 마음이 무림의 고수가 되어있음 ㅋㅋㅋㅋㅋ

    • @user-hx6zw7nv1i
      @user-hx6zw7nv1i Před 3 lety +20

      ㅋㅋㅋㅋㅋㅋㅋ

    • @user-sp4ou3sd7j
      @user-sp4ou3sd7j Před 3 lety +147

      그래서 오늘도 식칼을 들고 고수의 마음으로 고수를 열심히 다듬는중

    • @boumla8794
      @boumla8794 Před 3 lety +5

      ㅋㅋㅋㅋㅋ

    • @gerughigiulio9190
      @gerughigiulio9190 Před 3 lety +33

      진검으로 대나무 베기 보다 식칼 사용이 훨씬 어렵습니다. 직접 요리 재료를 썰때 그냥 듬성듬성 두껍게 썰어놓은게 더 맛있다고 정신승리 하면서 먹고 있을 정도... 요리 재료에 따라서 대나무 베기보다 팔힘이 더 많이 소모되기도 합니다.

    • @leechanghyun
      @leechanghyun Před 3 lety +4

      @@Hjfucjfkso 씁....사과는 심각한데....ㅋㅋㅋㅋㅋㅋㅋㅋㅋ

  • @user-mn5fi4zq2l
    @user-mn5fi4zq2l Před 3 lety +645

    무술을 익히는 이유 중 첫번째는 상대의 도발에 대해 참았을 때 생기는 자괴감을 상쇄 시켜줍니다.
    폭력을 행사하기 위함이 아니라 철저하게 자신의 내면에 대한 방어와 신체수련이 주목적임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

    • @user-ql2jz2up8g
      @user-ql2jz2up8g Před 2 lety +31

      무술 안배워도 이미 상상속에서 일진들 존나 패는 상상을 많이 하기 때문에 자괴감 없음

    • @user-sd8ni4sd1n
      @user-sd8ni4sd1n Před 2 lety +45

      저는 무술 배워도 참았을때 자괴감 생기더라고요 사람따라 다른가봐요 오히려전 무술보단 헬스하고 근육생기고 나서 저한테 도발하는 사람들이 전 아무것도 안했는데 쪼는거보고 참아도 자괴감 안들었어요 핵심은 내면을 닦으면 되는사람과 외면을 진짜로 닦아야 하는 사람이 따로 있다는 겁니다 저는 내면만 닦다가 조현병 분노장애 우울증 쓰리콤보로 10년이상 앓아왔어요 성인인 지금은 헬스로 몸이 단단해지고 튼튼해지면서 건강해졌지만요 외면이 필요한 사람한테 내면을 닦으라는 말같이 독이되는 말이 없는것 같아요 인터넷에서 말고 현실에서 조언해주는 사람들이요. 전 저한테 독이 되는지도 모르고 그런가보다 하고 받아들였네요 받아들이지 말았어야 했는데 내향적인 사람과 외향적인 사람은 달랐고 전 외향적인 사람이라 내향적인 사람들이 해주는 조언은 다 독인걸 저 병들 다 겪고 치유된뒤에 알았네요

    • @user-zb1203ndk
      @user-zb1203ndk Před 2 lety +7

      @@user-ql2jz2up8g ㅠ

    • @vibrant_park
      @vibrant_park Před 2 lety +76

      @@user-sd8ni4sd1n 무술 배우는게 뭔 도 닦는게 아니라 상대를 개패듯 팰수 있다는 자신감을 얻어서 상대가 뭘하든 제압할수 있다는 여유가 생김과 동시에 내가 한번 참아준다는 자신감도 생길수 있어서 무술이 자괴감 줄여준다는거 아님? ㅋㅋ 님 헬스가 이런 작용을 한거 같은데

    • @hdw-uv8yb
      @hdw-uv8yb Před 2 lety +2

      서양기사들 : ??

  • @user-uz1zr7ml1o
    @user-uz1zr7ml1o Před 3 lety +86

    7:54 이거 보면 무협지에서 발만봐도 상대가 어디를 벨지 알수 있다는 말을 깨달음 검만 보면 왼쪽에서 아래로 내려벨것 같엤는데 실제로는 반대로 내려벰 근데 발은 오른쪽에서 사선으로 베기 가장좋은 자세를 취함

  • @soolrae176
    @soolrae176 Před 3 lety +545

    헐....어렸을때 검심만화책을 교과서삼아 발도술을 주구장창 열심히 연습했는데....ㅎㅎㅎ 도봉구에 형제목공소 아저씨 그때 튼튼한 나무로 켄신목검 만들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건강하세요~ㅎㅎ 영상보고나니 추억이 떠오르네요.ㅎㅎㅎ

    • @user-wp5tp5kb4j
      @user-wp5tp5kb4j Před 3 lety +48

      목공소 아재 성함이 아라이 샤쿠?

    • @Lolimamangchar
      @Lolimamangchar Před 3 lety +14

      발도술? 카미나리노 코큐?

    • @user-wp5tp5kb4j
      @user-wp5tp5kb4j Před 3 lety +28

      @@Lolimamangchar 비천어검류 오의 천상용섬 (히텐미츠루기류 오기 아마카케루류노히라메키)

    • @user-lv6lg8mw3v
      @user-lv6lg8mw3v Před 3 lety +12

      우주류 미만잡 ㅋ

    • @user-nv4cu8pf5s
      @user-nv4cu8pf5s Před 3 lety +8

      @@user-wp5tp5kb4j 이거지 ㅋㅋㅋㅋㅋ

  • @Topaz753
    @Topaz753 Před 3 lety +558

    08:17 이 영상의 중요핵심.

    • @lesufablesugeometriquesu9483
      @lesufablesugeometriquesu9483 Před 3 lety +2

      ??? : 닥쳐라 사랑한 요괴야!

    • @METAL1Z3R
      @METAL1Z3R Před 3 lety +6

      저분이 검도를 하는 사람이고 검도 자체가 일제시대 잔제 전유물이라 일본 편향적인 생각을 하시는듯... 물론 본인은 그렇게 생각 안 하겠지만. 여려 역사적 기록을 찾아봐도 한국의 것이 더 훌륭하고 좋음. 일본은 그냥 형식화된 검술이 아니라 그냥 칼들고 패싸움 하는게 다고 현대에 와서 서양이나 여러나라들과 틍히 한국 검술 갖다가 베끼고 섞어서 뒤늦데 형식화 한거임. 맞다 틀리다 나누지 말라는데 한국게 무조건 더 좋은거고 그게 맞는거임.

    • @Ap-wg8bl
      @Ap-wg8bl Před 3 lety +2

      ㅇㅈ

    • @Ap-wg8bl
      @Ap-wg8bl Před 3 lety +45

      @@METAL1Z3R 그건 너무 앞 뒤 따져보고 않고 단순히 국뽕으로 말하는 듯 함 수정 바람

    • @jinkun376
      @jinkun376 Před 3 lety +36

      @@METAL1Z3R 한국게 무적권 좋은거고 그게 맞는거라니 ㅋㅋㅋㅋ 뭔개소린지 ㅋㅋㅋ
      여러역사적 사실은 도대체 어디에서 본건지 공유점요
      그쪽이야말로 반일국뽕에 의해 편향되있네요.
      한반도 무술은 활이 중점이었고 조선도 마찬가지였음 더군다나 조선은 무를 문보다 천시했고 당연히 무가 약했음
      현대의 우리나라무술중 검도랑 태권도도 일본무술영향을 많이받은건데 뭔소리하는건지 ㅋㅋㅋ
      서로의 장단점찾아서 발전해나가는게 맞지

  • @user-uj3ol6gy3w
    @user-uj3ol6gy3w Před rokem +24

    시범도 멋있으시고 설명도 이해하기 쉽게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 @jjshim1
    @jjshim1 Před 3 lety +818

    영상에서 설명을 잘 해줬네요.
    무술은 그 나라의 역사, 사회와 관련이 크죠.
    일본은 평시에도 수시로 싸우니까 발도술과 빠른 급습 같은 기술이 발전하는 것이고, 우리나라는 전시에 적군과 1:1 또는 1:다수와 싸우는 것을 가정하고 무술이 발전했죠.
    뭐가 좋니 나쁘니 하는 초딩적 싸움은 그만.

    • @user-cz1qx8bb4f
      @user-cz1qx8bb4f Před 2 lety +97

      전시에 1:1 또는 다수와 싸우는 것을 가정하고 발달한 게 아니라... 그냥 좋게 포장해준거죠.. 당장 영상에서도 일본이 실전성이 있고 우리나라는 퍼포먼스격의 성격이 있다라고 돌려말했잖아요. 물론 당시 조선검술이 실전성이 완전 제로라는 말은 아니지만 어쨌든 실정성이 떨어지니까 전쟁에서 사용되는 검술을 비교할때에는 당연히 뭐가 좋니 나쁘니 이야기할때는 비교할 수 밖에 없죠.

    • @user-wu2lr8ic4l
      @user-wu2lr8ic4l Před 2 lety +214

      @@user-cz1qx8bb4f 조선과 일본의 상황을 고려해보셔야야 해요. 일본은 전국 시대와 여러 정치적 혼란기를 거치며 치안이 극도로 불안정했어요. 그러다보니 더 힘을 얻은것이 지방의 영주와 사무라이들인데 그러다보니 소규모 교전이나 급습과 같은 위기 상황을 대비해야했고 그 과정에서 검술이 발달했됴. 비슷한 맥락으로 일본은 아무 훈련받지 않은 농민들을 훈련시키기 위해 창을 중용되면서 창이 발달했고요. 하지만 조선은 고려말의 혼란기와 왕자난 시절 이후 150년동안 평화가 이어지며 내부적으로 매우 평화로운 상태가 발생했고 강력한 중앙집권화가 이루어졌어요. 그러다보니 지방의 군소 무사나 영주 세력이 없었고 자연히 섬같은 근접 무기는 발달이 미흡하고 대신 중국이나 만주 유목민족을 상대하기 위해 원거리 화기나 궁술이 발달하게 됩니다. 단순히 일본은 발달했는데 우리는 별로였네 생각하지 마시고 왜 그렇게 되었고 대신 우리는 어떤 발전이 있었는지 생각해주시면 좋을 것 같아요!

    • @user-li1id6oj7e
      @user-li1id6oj7e Před 2 lety +78

      @@user-cz1qx8bb4f 전쟁터에서 개개인의 무술 실력은 별로 안 중요함 진형을 유지하고 운용하는게 더 중요하지

    • @user-cz1qx8bb4f
      @user-cz1qx8bb4f Před 2 lety +62

      @@user-wu2lr8ic4l 그러니까 검술 비교하면 일본이 더 발달했다고요. 일본이 조선보다 발전한 이유 모르는 사람 있음? 역사 다큐에서 많이 나오는 이야긴데 굳이 그걸 이야기하고 있음. 어쨌든 당시 왜적과 조선의 검술비교하면 일본검술이 실전성이 좋다라고 이야기하는건데 뭔 이상한 소리들이 많아요...

    • @user-bx5vs4lc2p
      @user-bx5vs4lc2p Před 2 lety +55

      @@user-cz1qx8bb4f 그건 맞지 왜냐면 우린 화포쏘거나 활쐈거든 ㅋㅋㅋㅋ

  • @user-ux4sc4ce4f
    @user-ux4sc4ce4f Před 3 lety +439

    근데 검성들이 절대 검술 하나만 가지도 싸운게 아니고. 여러 검술 배워서 싸우는거 보면.
    각 검술마다 장단점이 있어서 서로 보완하며 싸운거 아닐까 싶고

    • @innhmusic
      @innhmusic Před 3 lety +45

      그런가 싶으면서도 진 쪽은 죽거나 불구가 되었을 거 같기에 보완하고 싶어도 할 수 없었을 거 같고, 이긴 쪽은 역시 내 검술이 짱이야 하면서 하던대로 했을수도 있을 거 같네요. 뭔가 진검승부는 러시안룰렛이나 서부영화의 총잡이처럼 패자는 뒤가 없는 그런 승부인거 같아요.

    • @gksldjgnekel
      @gksldjgnekel Před 3 lety

      보안->보완

    • @user-mu9wl7dk4r
      @user-mu9wl7dk4r Před 3 lety +40

      UFC 생각 하시면 될듯 합니다. 킥복싱이나 무에타이 주짓수 태권도 가라데 등등 많이 섞어서 쓰잖아요 ㅎ.. 무도와 무술.. 비슷하지만 보는 관점이 단련과 기술 습득으로 나뉘는 것 같은..

    • @user-dh7hi1tq8k
      @user-dh7hi1tq8k Před 3 lety +2

      무사시때만 해도 이겨도 이긴게 아니였음 서로 목숨걸고 싸워서

    • @user-ux4sc4ce4f
      @user-ux4sc4ce4f Před 3 lety

      @@user-dh7hi1tq8k 근데 무사시도 처음에는 배우면서 이것저것 써보지 않았을까요

  • @jjc2873
    @jjc2873 Před 3 lety +618

    검은 지금으로 치면 권총과 같아서 장교들의 무기,평소 경호,자신 방어에 적합한 무기이지만 대규모 전쟁에서는 창이 지금의 자동소총 처럼 주화기고 쪽수가 모이면 검하고는 넘사벽이지

    • @nameage576
      @nameage576 Před 3 lety +78

      맞습니다 :) 일본에선 나기나타라고 하는 창대 끝에 도를 붙여서 주로 사용했죠! 카타나는 휴대성이 매우 좋아서 주로 사용했지만 그렇다고 창을 이기긴 힘들죠 ㅎ..

    • @user-gu7jp7qe5w
      @user-gu7jp7qe5w Před 3 lety +77

      실전에서도 교육받은 사람이 아닌이상에야 창이 앞도 적으로 유리하죠
      가볍고 내구성 좋고 길고 찌르기만해도 되니 그리고 중요한 점이 싸고 나무만 있어도 깍아서 조달할 수 있는다는 점을 보면 전시에 가성비 쩌는 창 놔두고 검쓸 이유가 없음
      물론 현실은 활이 최강인게 함정

    • @user-jq8px9jk6l
      @user-jq8px9jk6l Před 3 lety +30

      무협지에 가장 흔히 나오는 말이 있죠
      백일창, 천일도, 만일검
      숙달까지는 아니더라도 손에 익을 정도의 기간을 적은것이라 친다면 창은 빠르게 배우고 써먹을 수 있는 무기였기에 일반병사들에게 가르치기 좋은 무기라고 보여지더군요

    • @mr6943
      @mr6943 Před 3 lety +52

      @@user-jq8px9jk6l 전혀 귀담아 들을 필요 없는 무협지속 이야기입니다 숙련이 되던 안되던 검은 창을 이길수가 없습니다 권총을 아무리 숙련해도 권총일 뿐입니다 m16을 이길순 없어요 유명한 사무라이들도 전쟁터엔 전부 창을 들고 나갔어요

    • @user-bc9ti6mx7c
      @user-bc9ti6mx7c Před 3 lety +12

      음.. 전쟁의 사무라이는 말을 탔을테니
      창을 들고 말을 탔겠지요
      창은 매우 부러지기 쉽고 거리를 내어주는 순간 아무것도 할수 없습니다
      전장의 보병은 창이 유리하지만
      보병처럼 싸우지 않는 간부들은
      어느 나라 어느 시대에도 검을 선호하는경향이 있지요

  • @Cogito_Sapientia
    @Cogito_Sapientia Před 2 lety +44

    검도는 그 특유의 기합 소리가 참 중독성 있는 것 같아요..ㅋㅋ 각 스포츠마다 기합소리가 다른데 검도는 특유의 기합소리라는 요소가 문외한에게 주는 매력이 꽤 큰 것 같습니다.

  • @donnyluther
    @donnyluther Před 2 lety +76

    2:43 이 얘기 하시는 분이 드디어 나타났네요.

  • @Jerry25youth
    @Jerry25youth Před 3 lety +62

    비천 이영식 선생님의 존함을 듣게 되어 고맙습니다! 도법에 대한 소개가 부족하여 안타깝습니다~

  • @user-gt2bh7cx9k
    @user-gt2bh7cx9k Před 3 lety +67

    이렇게 두 나라의 검술을 비교해서 쉽게 설명해 주니 이해가 빨라지네요! 😃😃

  • @kdsbsb
    @kdsbsb Před 3 lety +38

    냉정하고 객관적인 평가 좋네요 ㅋㅋㅋ 👍

  • @user-fy2yz3fk4b
    @user-fy2yz3fk4b Před rokem +2

    동제도법검도 구독과 알람설정 했습니다. 유일한 취미인 검도를 수술로인해 약 삼년 가까이 쉬고 있지만 이제 회복이 다되어 가는 중입니다. 제 가슴에 불을 집히시는 영상이였숩니다. 감사합니다.

  • @user-xl1kj8xy2t
    @user-xl1kj8xy2t Před 2 lety +18

    초고수의 포스가 느껴집니다 ㄷㄷ

  • @user-um8xb5iv4o
    @user-um8xb5iv4o Před 2 lety +31

    창은 시대와 문화를 막론하고 거의 대부분의 병력의 주력병기였고 1. 평지가 아닐경우 2. 정면에서 맞붙지않을 경우 3. 방진이 갖춰지기전 난전이 일어날 경우 3가지 경우에 창병의 전력이 감소하는 경우가 있었으며 이를 위해 대부분 부무장을 착용했다.
    반대로 말하면 평지에서 정면으로 전투가 일어날 것을 미리 인지 가능한 상태에서 싸우는 경우 창병의 적수는 없었다.
    즉 모든 무기는 상황에 따라 그 유용성이 다르다는 것이다.
    평원에서의 전투는 창 , 철제 갑옷이 발달한 유럽지역에서는 도끼나 메이스와 같은 중량무기, 삼면이 바다였으며 지형이 험준한 지역인 한반도에서 조선이 궁병을 가장 중요시하며 조직했던 이유도 다 무기들의 각기 다른 장점을 극대화한 결과이다.
    댓글 중 로마의 글라디우스에 관한 글을 보았는데 글라디우스를 이용한 검병이 로마의 제식병과 중 하나였던 것은 맞으나 이는 방패와 함께 사용되었으며 짧은 검 형태 였던 이유는 철제무기에서 벗어나 강철무기를 제작하던 초반 단계였기 때문에 길고 고르게 펴낼 기술이 없었다고 하며, 전투시에는 투창과 창을 적극적으로 먼저 사용하여 이득을 취하고 갑작스럽게 돌진하여 거리를 좁히고 방진을 무너뜨리는 방식으로 싸웠다고 한다.

  • @user-br5jv5cr3j
    @user-br5jv5cr3j Před 2 lety +27

    대한검도 5단입니다.물론 지금은 그만뒀지만 검도의 관한 장점을 몇 적어보려 합니다.
    1.배개싸움을 잘하게 됩니다.
    2.딸근이 좋아집니다.
    3.호구쓰고 맞고를 반복하다보니 인내심이 좋아집니다.
    ( 안아픈데 기분은 나쁨,그런데 손목은 항상 아픔)

    • @user-ly3zo2um6e
      @user-ly3zo2um6e Před 2 lety

      ㄹㅇ 호구 착용해도 손목은 너무 아픔

    • @heyuungnuna6029
      @heyuungnuna6029 Před 2 lety

      손목은 진짜 보완 더 됐으면 좋겠음

    • @ttbeatz8264
      @ttbeatz8264 Před 5 měsíci

      5단 검도 선배님... 딸근이라니요.....

  • @dhkdckd
    @dhkdckd Před 2 lety +50

    역시 강동원... 배우 중에 액션 제일 잘하고
    검을 제일 잘 다룬다던데 ㄷㄷㄷ
    이준기도 물론 잘하긴 하지만

  • @user-zq9mu3zp1g
    @user-zq9mu3zp1g Před 3 lety +331

    우리야 뭐 활의 나라니
    앞뒤로 침략 당하니 산지 활용
    활만큼 좋은 무기가 없지

    • @seunghoonyoo7803
      @seunghoonyoo7803 Před 3 lety +10

      고대 조상국가중 백제의 검을 빼고는 활이 우리 주력입니다.
      고주몽 모릅니까?
      부수적으로 창이었고..
      백제의 도검 기술과 싸울아비 전사집단이 열도로 넘어가 엄청난 검술과 도검을 발달시켜 일본도에는 안되요!
      몽골칼이나 페르시아 도검정도 외에는..

    • @alter5057
      @alter5057 Před 3 lety +15

      @@seunghoonyoo7803
      그쪽의 주장: "고대 조상국가중 백제의 검을 빼고는 활이 우리 주력입니다."
      제가 위에 띄운 근거 자료에 따르면, 이말은 틀렸습니다.
      고대부터 고려 까지 한국인들은 근접무기를 활만큼 많이 사용했고 잘 사용 했다가, 조선의 국방 정책에서 검술 시험을 배제 시키고 해서 활이 주요 무기가 됬습니다.
      백제의 검술과 칼 제조법이 일본으로 건너간건 사실입니다.
      역사에 보면 고대 부터 통일신라, 후삼국시대 그리고 고려 초기까지 보면 당시 일본은 사무라이가 있었어도 신라해적, 후백제 해적 그리고 여진 해적 한테 당했는데. 신라의 해적과 일본군의 싸움만 봐도 당시에는 한반도 사람들이 일본 사무라이들 보다 근접과 활로 더 잘 싸웠다는걸 알수 있어요. 당시 일본이 이긴 전투는 소수인데, 일본군은 가장 잘 싸웠을떄가 성벽 위에서 석궁으로 싸우는거였고 오히려 신라 해적들이 근접전으로 싸우려고 했었는데.
      어느 시점 부터는 일본검술이 한국의 검술을 따라잡고 추월한건 맞으나 그건 아마 고려 시대 도중쯤이였고 그전으로는 사무라이의 검술도 한국 검술에게 되지 않았죠.

    • @alter5057
      @alter5057 Před 3 lety +3

      @@seunghoonyoo7803 그리고 고대시대에 보면 광개토 대왕의 군대나 신라군 같은 삼국시대의 전술을 보면 근접무기는 중요한 혁할을 했고 근접무기를 한반도 사람들이 중국 또는 일본 보다 더 잘 사용했습니다.
      예를 들자면, 당시에 최강의 군대는 당나라였는데, 신라인들이 메소성 전투에서 장창과 도끼 그리고 검으로 당나라 기마병을 제압했었죠
      czcams.com/video/1ei7Psg1i98/video.html

    • @michaeljung4398
      @michaeljung4398 Před 3 lety +9

      @@alter5057
      활이 모두는 아니지만, 고구려는 산성 위주의 방어 전법을 썻으니 고대부터 활이 주무기인 것은 맞습니다.

    • @Gp0000
      @Gp0000 Před 3 lety +2

      그냥 강한사람이 쓰면 강한거 아닐까요 ㅎㅎㅎ

  • @lucasromi83
    @lucasromi83 Před 3 lety +191

    도검을 쓰는 조선의 백병전 부대는 팽배수로서 한손에는 환도, 다른손엔 방패를 들었죠.
    창수나 월도수, 편곤수는 방패없이 창이나 월도, 편곤을 들었고 쌍검병은 쌍검을 들었음.
    궁수와 조총수는 환도를 호신용 보조무기로 휴대했죠.

    • @rayor74
      @rayor74 Před 3 lety +13

      맞습니다. 그 중 팽배수는 조선 전기에서 정예병력으로 훈련방법 중 하나가 방패를 땅에 두고 상대방이 무기로 자신을 내리치기 전에 방패를 주워 막는 훈련이 있었죠.

    • @pablo-able
      @pablo-able Před 3 lety +5

      쌍검병의경우는 일반 보병인경우보다 기병인 경우가 많았습니다. 기병으로 도주하는 다수의적을 추적하며 양손에 든 월도로 적을 베면서 쫒아갈때 주로 투입된 병과였습니다.

    • @rkfjfjdnxnzjajk
      @rkfjfjdnxnzjajk Před 3 lety +2

      @@pablo-able 쌍검병이 월도를 듬?

    • @Kingpuream
      @Kingpuream Před 3 lety +2

      외국인프사로 그런말하니 인지부조화가...어엌ㅋㅋㅋ

    • @rkfjfjdnxnzjajk
      @rkfjfjdnxnzjajk Před 3 lety

      @@Kingpuream 프사 누구임?

  • @mitedang1215
    @mitedang1215 Před rokem +1

    선생님 기합소리 뭔가 되게 높지도 않고 저음도 아니고 뭐라해야하지 되게 깔끔하시네 ㅋㅋㅋ
    엇-!

  • @korea-trucker
    @korea-trucker Před 3 lety +1

    재밌게 잘 봤습니다.^^

  • @user-rt6sh2jf4l
    @user-rt6sh2jf4l Před 3 lety +19

    예전 우리 선조는
    현재 쿠쿠전기밥솥 7~10인분을
    그냥 먹었던거 같아요...힘면에선 좋음..
    근데 무능한 관리,사대부때문에 망조가 들은것.ㅋㅋㅋ
    나도 한때는 5인분 먹었던적있음....미쳤지....(한번.....
    10살정도에 그리 먹었던...이상함을 느낌..ㅋㅋㅋㅋ

    • @skymars2069
      @skymars2069 Před 3 lety +8

      어느정도 대식은 것은 맞지만.
      국가 시스템상 밖에 없는 시스템 이었습니다.
      정도전이라는 병신이 공상세 도입으로 상업의 세금이 제일 적은게 60% 이상 때림으로 사실상 상업을 금지 시킴과 동시에 무역은 개인은 금지 시킴과 동시에 국가가 중국과 조공이라는 형태로만 가능 했습니다.
      즉 물건을 만들어도 농사를 남게 지어도 팔곳이 없으니 만들거나 더 많이 하지도 않았고 자기가 쓸만큼만 햇습니다.
      당연히 교류가 없으니 도로도 필요 없었고..상업이 없으니 부가가치의 발생도 없고 그로인해 국가의 세금의 수익도 별로 없었습니다
      그러니 나라는 가난해지고 나라가 가난하니 직업적인 군인 1명 기를수도 없었습니다.
      결국엔 외세로 부터 군인이 없으니 국민은 도륙이 났고
      상업을 금지하니 공업도 없어 삼국시대에도 만들줄 알았던 바늘 벽돌하나 제대로 못 만드는 국가가 되었습니다.
      길이 없으니 수레도 필요없고 상업이 없으니 토지가의 상승도 없어 고려에도 즐비 했던 다층 건물도 거의 없었습니다.
      해상무역을 개발한 신라시대에도 있었던 상하수도는 그 개념 조차 몰랐고(개화이후에 앎)
      조선 초기의 장영실의 업적은(장영실 아버지가 원나라 상인 입니다)고려시대의 무역에 의한 산업 발달을 겨우 이어 받은 겁니다.
      조선 관리라고 해바야 할일은 농사 지은것 올려 보내는것과 마을의 송사 말고는 할일도 없었고
      사대부라고 해바야 국가의 미래의 개념을 가질수 없는 시스템이라 공자왈 맹자왈 읍는것 말고는 할일도 없었죠.
      시스템이 안되는데 관리와 사대부를 욕한다는것 자체가 말이 안됩니다..

    • @jaeokpark9696
      @jaeokpark9696 Před 3 lety

      @@skymars2069 아이구 아저씨 당시가 왕권통치국가 였다는걸 잊지마세요 지금시대처럼
      자본주의 민주주의 국가가 아니랍니다

    • @skymars2069
      @skymars2069 Před 3 lety

      @@jaeokpark9696 왕권과 공상세 도입과는 뭔 상관? 상업의 금지와 무역의 국가 독과점은 그 잘난 왕의 정통성을 유지하는것인데 ?
      무슨 말씀을 하시는지 ..
      그리고 자본주의라는 말은 마르크스가 공산주의를 설명하기위해 만든 말 입니다.
      엄밀히 따지면 인간이 정착생활 하면서
      신석기 시대부터 자본주의라고 할수 있는 경제 방식이 시작 입니다.

    • @jaeokpark9696
      @jaeokpark9696 Před 3 lety

      @@skymars2069 500년전의 일을 현시대의 생각으로 판단하려는 듯 해서 다름을 님에 말하는겁니다 그잘난 왕권이 엄청나게 필요한
      시기였으니 말입니다 조선건국이후 이것저것
      필요한 돈이 엄청 필요한 시기였으니까요

    • @rulrastar
      @rulrastar Před 2 lety

      관리와 사대부가 무능했으면 조선이 5백년이나 갈수없었죠. 세계 어느나라 어느시대나 탐관오리는 존재했으나 조선시대때 사대부 양반들은 합리적인 사고의 소유자들이었고 심지어 왕에게조차 불합리한것에는 목숨을 건 상소러시로 잘못을 지적한 유생들이 많았을만큼 건강한 정치관을 가진 분들이셨습니다. 세종대왕께서도 한글을 창제하신 이유가 백성을 가르쳐 교화시킬수있다는 유학의 사상에서 비롯된것이니 우리가 쓰는 한글이야말로 유교의 산물입니다. 조선시대 유학자들은 오늘날의 정치가들보다 훨씬 열려있었고 책임감도 훨씬 강했습니다.

  • @hisky5015
    @hisky5015 Před 3 lety +3

    재밌었어요~

  • @2NTiTy
    @2NTiTy Před 2 lety +9

    6:44 영화/애니식 발도술 실제로 보여주는거 처음 봐
    보통 다른 전문가들은 거합도는 다른 영상매체에서 나오는 연출보다는 실제로는 빠른 실전대응태세를 취하는 검법이라고만 하던데

  • @user-sy1jw1hc9n
    @user-sy1jw1hc9n Před 2 lety

    국뽕이 없는 영상이라 내용이 좋으네. 궁금했던 부분이 마니 해소되었다.

  • @lim_gun3206
    @lim_gun3206 Před 3 lety +63

    01:33 태통검도가 아니라 해동검도입니다. 태동이 따로 있나 해서 몇번 다시 들어봤는데 해동검도가 맞네요!

    • @user-ld8po7eh1t
      @user-ld8po7eh1t Před 3 lety

      네 저가 예전에 코로나 전에 학원에 다녀봤는데 해동검도 맞습니다!

    • @lim_gun3206
      @lim_gun3206 Před 3 lety

      @@user-ld8po7eh1t 넵 저도 해동검도 4단에 잠깐 사범생활했습니다

    • @user-il8qy7po9v
      @user-il8qy7po9v Před 3 lety

      저도 태동이 있나 싶었는데 해동이 맞나보군요

    • @user-vz2fj6tl1h
      @user-vz2fj6tl1h Před 3 lety

      발음은 해동으로 들리는데 자막실수인 것 같습니더

    • @2jaemyungE
      @2jaemyungE Před 3 lety

      냉동검법이랑 붙으면 어케 됨?

  • @Milkmaru
    @Milkmaru Před 3 lety +415

    설명을 치우침없이 잘해주셨네요. 아무래도 우리나라는 검법위주로 발전한 나라가 아닌데에 비해 일본은 검술실력이 힘이고 권력까지도 되던 시대를 겪은 나라여서 그런지 실전성이 강한것 같네요. 멋지십니다.

    • @Alice-cj3ne
      @Alice-cj3ne Před 3 lety +25

      각 나라마다 시대적 상황으로 그 상황에 맞게 검술도 자리잡은거 같음

    • @Milkmaru
      @Milkmaru Před 2 lety +18

      @@user-vj5du5en3z 킹직히 일본 검술이나 한국 검술이나 도장에서 가르쳐주는 그 자체로는 도토리 키재기고 실력은 사용하는 사람 차이...

    • @user-xz9pn1is1d
      @user-xz9pn1is1d Před 2 lety +18

      @@Milkmaru 검도만해도 엄청난차이나는데 일본이랑 한국이랑 격이다름. 애초에 무예로써 다가가는 마음과 그저 점수내기용으로 발전한터라 이래저래 많이다름. 세계선수권경기만봐도 차이가 확연함. 그래서 본토 있는구대로 받아들인 미국보면 확실히 다름

    • @Han_man.
      @Han_man. Před 2 lety +6

      도법.. 일본에서 검은 그냥 안썻다고 봐야함..

    • @user-fh5rg7ld7s
      @user-fh5rg7ld7s Před 2 lety +25

      일본의 무사들에게 검이 있었다면 우리의 조상들에게는 활이 있었죠. 각자의 상황에 맞는 무예를 단련했다고 생각해요.

  • @lacrimary716
    @lacrimary716 Před 3 lety +502

    일본 : 싸울거 같으면 칼집에서 칼 꺼내고 싸움 시작. 한국 : 활 다 떨어지고, 창 부러진 다음, 마지막으로 뽑는게 칼.

    • @gerughigiulio9190
      @gerughigiulio9190 Před 3 lety +310

      사실 일본도 활, 창 우선인데 전국 시대가 종식되고 에도 막부의 반란 방지 규제로 사무라이들이 평소에 가지고 다닐 수 있는게 짜리몽땅한 도검 밖에 없으니까 이걸 쓰는 호신술이 발달한게 일본의 검술이지요. 옆에 활 있고 창 있으면 미쳤다고 검 먼저 뽑을 일은 전 세계 어디에도 없습니다.

    • @moontiger1123
      @moontiger1123 Před 3 lety +33

      @@gerughigiulio9190 이거디

    • @user-zn9zx5xg1r
      @user-zn9zx5xg1r Před 3 lety +11

      @@gerughigiulio9190 ㄹㅇㅋㅋ

    • @user-xc6if9ec6h
      @user-xc6if9ec6h Před 3 lety +30

      뭘 알고 써라 국뽕아

    • @user-dc7xm3xn2l
      @user-dc7xm3xn2l Před 3 lety

      @@gerughigiulio9190 ㄹㅇ

  • @user-xc2sp1fg7s
    @user-xc2sp1fg7s Před 2 lety

    영화 검술 장면 중 가장 멋졌던 장면은 조선명탐장 흡혈괴마의 비밀 에서 이민기가 빈궁을 지키면서 싸우는 장면이었어요. 너무 멋지더라구요. 그 부분도 리뷰해주시면 재미있을 듯해요

  • @lonewolf1014
    @lonewolf1014 Před 3 lety +6

    어렸을적 집근처에 경당이 있어서 아버님 권유로 시작한게 벌써 47세인 지금까지도 하고있네요 ㅎㅎㅎ

    • @_demeojhons4840
      @_demeojhons4840 Před 2 lety

      와... 댓글에서 경당 아시는 분은 처음뵙니다. 반갑습니다 저도 한 때 수련생이였는데 요즘은 18기 무예로 많이 알려져 있더라구요.

  • @phj89327
    @phj89327 Před 3 lety +4

    바람의 검심은 실사화 하면서 최대한 현실에 가깝게 구현했지만 그럼에도 만화 원작이라 과장이 없을수는 없죠.

  • @user-wf5bs5dh1g
    @user-wf5bs5dh1g Před 3 lety

    재밌게 봤습니다!

  • @acaciaasmr
    @acaciaasmr Před 2 lety

    군도 강동원 메인보고 궁금해서 들어왔다가 좋은 정보 보고 갑니다 ㅎㅎ

  • @antihsj
    @antihsj Před 2 lety +3

    베기 시범이 나오는데 삼각도인지 육각도인지 얘기하시는 댓글이 없네요. 영상에 두 나라의 검술의 형의 차이를 더 알려주었으면 더 좋았을거 같습니다.

  • @captainavenger6627
    @captainavenger6627 Před 3 lety +348

    6:57 하긴 전쟁에서 싸우는데 납도한 상태로 있는게 병신이긴 하지

    • @oh_you
      @oh_you Před 3 lety +7

      호위용이라 그런듯

    • @user-ov5zm5rz3v
      @user-ov5zm5rz3v Před 3 lety +2

      댁을 칼타고 달릴때 칼빼드나?
      우선 고구려부터 조선까지 우리 군사무술의 대강을 알려주지!
      아주 간명해!
      말 타고 달리면서 활을 쏘는 거야!
      그렇기 때문에 힘은 말탈정도의 힘만 있으면 되고, 기술은 말 위에서 활을 당길 기술 정도면 돼!
      창은 기창騎槍이 있지만 웃기게도 말위에서 당위의 적을 찌르려면 일반 창보다 길어야 하는데도
      창이 더 짧아! 오히려 임란이후 원앙진에 사용되는 낭선창이나 장창이 더 길 지경이지!
      칼? 말타는데 방해가 안되도록 칼날 길이가 한자 여덟치를 넘는게 드물지!
      당시 일본에는 말탄 사무라이를 베겟다고 칼날길이만 6자가 넘는 참마도가 있었는데!
      게다가 말타는게 걸리적 거린다고 허리띠에 칼의 띠돈을 묶어서 사용하는 지라 칼날이 앞쪽에
      칼자루가 뒷쪽에 위치해! 이건 뭐.......
      즉, 조선은 칼쓸 대비가 거의 안되엇다는 사실. 화살로 못잡으면 칼로도 못잡는다는
      그야말로 1스텟 몰빵이라고!
      물론 일본은 창을 든 병사(아시가루)가 전쟁의 정역이긴 하지만 지휘관인 사무라이들도 맹색이
      쌈꾼들인데 전공을 세워야 밥값을 하니까 거의 전쟁터 한가운데서 결투나 다름없는 짓거리를 하지! 때문에 말 탄 무사였던 사무라이가 말에서 내려 서로 통성명하고 드잡이질 하려면
      무엇보다도 칼집에서 칼을 뽑는 발도가 곳 가장 유효한 일격이 되는게 중요해!
      왜?
      결투나 다름없다고 햇지 결투가 아니거든! 전장에 선 순간이 바로 이것저것 볼것 없는 순간이지!
      비겁하다 하려해도 이미 베여서 죽고 목까지 따였는데 알게뭐야!

    • @sejin9894
      @sejin9894 Před 3 lety +13

      @@user-ov5zm5rz3v 거합이나 발도가 발전한건 에도 시대고 전장에서 사무라이끼리 결투하던 것도 전국시대면 사라지는뎁쇼? 전장에서 사무라이가 결투하던 것도 나노리를 한뒤 마상에서 기사하는거나 창을 들고 싸우는 것이었습니다.

    • @user-sp7cw7xx5f
      @user-sp7cw7xx5f Před 3 lety +7

      @@user-ov5zm5rz3v 저기 뭐 애니검술 말함?
      그리고 전국시대때 무슨 말에서 내려서 서로 통성명 하고 내려서 싸움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마상 상태에서 싸우는 법을 장수가 모르는게 말이나 됨?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당시에 호퇴치 쓰던 가토 기요마사같은 장수도 있는데 발도 ㅇㅈㄹ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애초에 발도술이 생기고 발전한 때는 윗분처럼 에도때 거리에서 싸우는 일도 많고 칼 뽑은채로 어슬렁댈 수 없으니 당연지사 빨리 칼을 뽑아 싸우는, 서부시대로 따지면 건맨들 싸우는 거랑 똑같은 건데,
      전장터에선 당연 무기 안 뽑고 서 있으면 뒤지는 거지, 적장 온다고 가만 있음? 총쏘고 들고 있는 창으로 찌르고 하지.

    • @user-sp7cw7xx5f
      @user-sp7cw7xx5f Před 3 lety +13

      @@user-ov5zm5rz3v 그리고 척준경, 유금필 같은 장수들이랑 이의민, 정중부, 같은 무신들만 알아도 니가 얼마나 개소리 하는지는 아주 잘 알거고.
      이성계만 해도 원나라측 맹장 나하추랑 직접 붙을 정도로 무예가 출중했는데 뭔 칼 쓸 대비가 안되어있어 ㅋㅋㅋㅋㅋ
      일뽕도 어중간하게 빨아서 개소리만 나발나발 떠드네 ㅋㅋㅋㅋㅋ
      그리고 정신 차려, 검술을 게을리 했다면 애초에 항왜들 가지고 검술개량하는데 왜 써먹었겠니.

  • @smh3372
    @smh3372 Před 6 měsíci

    와 멋있습니다!! 설명 잘 보았습니다

  • @TV-gu3pz
    @TV-gu3pz Před 6 měsíci

    처음 듣는 내용인데 검술에 대해 많이 알수있었네요

  • @user-hj8lp1wf6p
    @user-hj8lp1wf6p Před 2 lety +96

    검술의 필요성과 발달 배경에 대한 설명이 있었으면 더 좋았을 듯 합니다.
    전략과 전술은 상대의 특성에 따라 변화 합니다.
    저 검술이 언제 만들어졌는지는 모르겠으나 조선의 주적이 북방 유목민이었다는 점을 감안하면
    돌면서 베기 등은 달려오는 기마병을 피하면서 공격을 가하기 위한 훈련이 아니었나 싶습니다
    따라서 어느 검술이 더 훌륭하냐고 비교하기 위해선 검술이 누구를 상대하는지 알아야 하며
    소수 전투인지 대규모 전투인지, 양성 과정에서 투입되는 비용이 어느 정도인지 따져봐야 합니다.

    • @AF-qk8ty
      @AF-qk8ty Před 2 lety +1

      전쟁에서 누가 칼을 쓰냐 창을 쓰지
      사무라이는 전쟁에서 궁기병이랑 창기병이 결합된 형태야. 칼은 최후의 무기야. 상식적으로 당연히 사무라이는 전쟁터에서는 기마병인데 칼을 사용할거라는 생각 자체가 어리석은거 아니야?
      사무라이는 5개를 할 줄 알고 연마해.
      1. 검술 2. 궁술 3. 창술 4. 기마술 5.유학
      고려부터 조선초기의 중요 병종은 기마궁병이야 그러니까 조선은 칼 꺼낼일 있으면 이미 전쟁은 ㅈ된거야.
      주요무기가 활이니까 활에 걸릴적 거리지 않게 칼 크기는 작아진거고 진짜 ㅈ된 상황에서만 사용하게 발전한거지.
      대부분의 문명국들은 철갑으로 병사를 둘둘 감싸기 때문에 칼로는 이빨도 안들어가.
      일본 검술은 기본적으로 두가지 종류로 나눠야해ㅡ
      1. 전국시대 2. 에도시대
      전국시대에는 진짜 전쟁을 끝도 없이해서 실전성을 가지고 있었는데
      에도시대부터는 도장검술로 전락해 그래서 화려하고 괴상한 기술들이 남은 현재의 영상매체에서 볼 수있는 검술이 탄생한거야.

    • @tntskanf
      @tntskanf Před rokem +4

      우리나라 검술이 중,일에 비해 발전하지 못한 이유
      1. 인접한 국가가 당시 초강대국이던 중국 / 점령 및 유지는 어렵고 침략은 잦던 유목민족
      창검을 들고 회전으로 맞서 싸우기보단 성벽을 이용한 수비전이 적합함
      2. 조선
      신라 - 고려 - 조선으로 이어진 통일왕조국가라는 이유로도 지속적으로 분쟁이 일어나던 일본보다 상황이 나은데 그것마저 조선의 사병철폐 이후 도검을 패용 및 수련하는 것 만으로도 역적모의로 몰리기 딱 좋아지며 맥이 끊김
      (중기의 유학자인 남명 조식이 칼을 패용하고 다닌 것 만으로도 따로 기록될 수준의 특징일만큼)
      영상에 나온 돌면서 베기는 뭐 전통이나 역사가 아니라 한국 검술이 나아가는 방향 중 하나로 보면 될듯
      애초에 띠돈차고 칼자루 뒤로 돌린 채 패용하던게 우리나라라 칼로 유목민을 상대한다는건 화살 다 쓰고 창대 부러진 뒤에야 일어날 일이라 돌면서 베기에 유목민까지 끌어들일 필요가 없음

    • @ashton1810
      @ashton1810 Před rokem +3

      우리나라는 검이아니고 도를 사용합니다 도술은 베기위주의초식이라 돌면서 베기같은 훈련이 당연히 나올수 밖에 없습니다

    • @tntskanf
      @tntskanf Před rokem

      @@ashton1810 아 예 앞으로는 검도가 아닌 도도라고 해야겠네요
      오용되지도 않은 단어를 꼬투리잡아 잘못된 이유를 어거지로 붙이지 마시고 인정할 건 좀 인정합시다
      검술이 발전하지 못했다고 우리나라가 뒤처지는 것도 아니고 국격이 떨어지는 것도 아닙니다
      무지는 죄가 아니지만 무지를 덮으려는 억지는 추하네요

    • @user-mc6rg1sp9h
      @user-mc6rg1sp9h Před rokem +2

      조선 병졸의 주무기가 검이 아니었으므로 실전성이 일본에 비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게 맞습니다. 임진왜란 당시 명, 조선 사료 모두에서 일본검의 강함을 여러차례 언급하였습니자

  • @gsreatone85
    @gsreatone85 Před 3 lety +10

    1:34 자막오타) 태동검도 ㄴㄴ 해동검도 ㅇㅇ

  • @haenahaesung
    @haenahaesung Před rokem

    움직임이 깔끔하네요... 오랜 수련한게 느껴지네요.

  • @Summer-e_Shibainu
    @Summer-e_Shibainu Před 2 lety

    좋은설명감사합니다
    우리는 군인들이 쓰는검법이었군요

  • @user-xw8bn4jf1u
    @user-xw8bn4jf1u Před 3 lety +137

    차이점은 잘 모르겠고 관장님이 엄청 고수시네요 ㄷㄷ

    • @user-ts5bs8ll3r
      @user-ts5bs8ll3r Před 3 lety +1

      @츄르츄릅 차이가 없을수밖에 없죠. 애초에 일본 검술을 우리것이라고 하는데. 심지어 해동검도(영상에선 태동검도라고 오타냈습니다.) 자체가 나카무라류를 계승한건데 이 검법의 창시자는 중일전쟁 때 포로들 베어가면서 정립한겁니다. 존심도 없는 ㅂㅅ들이 그것도 골수 제국주의자가 전쟁범죄를 통해서 만든 검법을 지들 것이라고 우기는 꼴을 보니 혐한들이 우리를 무시하는데는 다 이유가 있나 싶을 정도입니다

    • @김남기
      @김남기 Před 2 lety +1

      @츄르츄릅 카타나 납도 발도 하는것만봐도 고수로 느껴집니다. 실제로 납도하다가 손다치는경우 많습니다. 그만큼 연습도 많이해야하는데 영상속 관장님은 매우빠르고 부드럽게 카타나를 사용하시지요😊

    • @user-fx2fv6hm6k
      @user-fx2fv6hm6k Před 2 lety

      @츄르츄릅 그냥 딱 보니 절도있고 빨라서 그런거 아닐까요?

    • @hyun-jinhwanglisztferenc3787
      @hyun-jinhwanglisztferenc3787 Před 2 lety

      우리나라는 남을 살리는... 자신을 지키고, 수련하기 위한 검법이라면... 일본은 진짜~~ 실전, 살인 등을 위한... 검법이... 발달했다고... 볼 수가... 있겠네요~~^^ 어쨌든... 그렇습니다. 그럼... 즐거운 시간 되세요~~^^
      이상입니다. 감사합니다.

  • @gerughigiulio9190
    @gerughigiulio9190 Před 3 lety +185

    본국검은 개화기를 거치면서 군제가 개편되는 과정에서 사라져 무예도보통지의 내용만 남았을 뿐이고 현대에 나오는 본국검은 전부 무예도보통지를 보고 복원한 것입니다. 그러니 중간에 끊어진 만큼 옛 모습을 완전히 재현할 수 없고 심지어 대한검도회 같이 힘없이 휙휙거리기만 하는 황당한 모습도 나오기에 이런 현대에 복원된 모습만 보고 본국검을 실전성 없는 정신수양용이라고 단정할 수 없습니다. 그리고 쌍방간 대결이면 당연히 상대방도 적극적으로 공격과 방어를 해오기에 베기에 하던 동작을 할 기회를 얻는게 무척 힘들어 자신도 상대방의 검을 막거나 쳐내야 하지요.

    • @cha7337
      @cha7337 Před 3 lety +9

      그래서 검을 여러개 들고 다녔죠. 예비용으로

    • @heaven245
      @heaven245 Před 3 lety +1

      그마저도 본국검에 대한 자료가 없어 명나라에서 전수받아 무예도보통지에 넣었다고 함

    • @user-ss4ed3pd6k
      @user-ss4ed3pd6k Před 3 lety +8

      무예도보통지에 들어간 걸 보면 대규모 병력 대 병력의 전투에 쓰이는 검술인데, 이걸 실전성 떨어지는 수련용이라고 하기엔 확실히 무리가 있죠. 요즘 군에서 쓰는 자동소총과 사용법이 실전성 떨어지는 거라고 하는 것과 비슷해요.

    • @ISSBY2457
      @ISSBY2457 Před 3 lety

      @@cha7337 조로는 한 번에 3개씩 쓰던데 사치하네

    • @AA-pm1jb
      @AA-pm1jb Před 3 lety +2

      무술=한국이역사가깊고 검술=일본이역사가깊음 인정해줄거는 인정해줘야지 인정받지 어느게더 멋지다 강하다라고 딱잘라말은 못하겠지만 발도술이며 사무라이정신이며 검술에 기술역사는 일본이 훨씬 깊음 그거는 인정해줘야함

  • @user-qg2wj9vm8z
    @user-qg2wj9vm8z Před 3 lety

    오 멋있어요 👍

  • @psycoemperorj9959
    @psycoemperorj9959 Před 2 lety

    진검으로 베시는거 뭔가요?? 대나무는 처리하기 힘든데 저거 뒷처리하기 좋아보이네요ㅜㅜ

  • @Sogetsu0229
    @Sogetsu0229 Před 2 lety +56

    일본은 검술이 발달되었고 우리나라는 궁술이 발달되었죠.하카마 복장에는 검, 철릭 복장에는 활..정말 잘 어울리죠.

    • @user-ou3uc4pb6f
      @user-ou3uc4pb6f Před rokem +2

      사실 우리가 발달된건 기마술임. 일본은 말을 잘 안 탔음. 말을 구하기도 힘들고.굳이??? 우리는 아예 유목민족이 적이니까 마상기술이 많이 나온거고.

  • @user-oh4zo9tt6e
    @user-oh4zo9tt6e Před 3 lety +258

    6:36 벽력일섬

  • @tlay0947
    @tlay0947 Před rokem

    디테일한 차이를 짚어주는게 신선햇던 것 같음

  • @user-ky4tv7gc3h
    @user-ky4tv7gc3h Před 2 lety

    잘 아시네여... 이러분이 사부님이 되면 진짜 대박....

  • @erikeriks8788
    @erikeriks8788 Před 2 lety +4

    4:28 자세히 보면 강동원이 칼을 살짝 비틀어서 날이 없는 넓직한 부위가 대나무에 접촉하게끔 해서 튕겨나가는 거 같은데

  • @blacktalker96
    @blacktalker96 Před 3 lety +67

    일본에 발도술 달인이 비비탄 베기 영상이 생각나네

  • @user-rj2hg2cw4l
    @user-rj2hg2cw4l Před 4 měsíci +1

    우와~ 얼굴은 완전히 순하게 생겼는데 엄청난 실력자시네요!!!
    너무 멋지십니당!!!! 😊😊😊😊

  • @DanielCKang30
    @DanielCKang30 Před 3 lety +1

    0:24 깜짝아.. 자기전에 누워서 보는데 이순신 관장님 이라고 하시는 줄...ㄷㄷ

  • @koltiradeathweaver1564
    @koltiradeathweaver1564 Před 3 lety +10

    전문가가 괜히 전문가가 아니다...

  • @user-rd6st4qx1g
    @user-rd6st4qx1g Před 3 lety +136

    6:36 진짜 멋지다. 얼마나 수련해야 저렇게 힘있고 빠를까

    • @oh_you
      @oh_you Před 3 lety +6

      한손으로 베는데 흐트러짐이없음 ㄷㄷ
      진검은 무겁지않나?

    • @user-dd4oy7zi7b
      @user-dd4oy7zi7b Před 2 lety +3

      저렇게 원래 뿌리부분이 날아가면 안됩니다 힘있고 빠르긴했는데 정확도가부족했다고 할 수 있어요

    • @mayak-aru
      @mayak-aru Před 2 lety

      @@user-dd4oy7zi7b 적어도 영상을 제대로 본 후에 입을 털도록 합시다 ^^
      이미 그 이전에 몇 번의 베기로 인해서 충격이 어느정도 가해져있던 상태였고
      애초부터 저 원통 기둥의 디테일만 봐도 대충 만든티가 팍팍나는 박스재질의 원통이고
      그마저도 제대로 고정이 되어있지 않아서 베기전에 손으로 꾹꾹 누르며 고정하는 장면이 나옵니다
      그때부터 이미 흔들거리는것도 분명하게 나오구요.
      무슨 베기의 정확도의 기준을 만화나 애니에서 나오는 검사들 수준으로 보시는거 같은데
      현실과 픽션은 구분해서 보도록 합시다 ^^

    • @user-dd4oy7zi7b
      @user-dd4oy7zi7b Před 2 lety +2

      @@mayak-aru 왜이리 급발진해서 화를 내시는지용 ㅇㅅㅇ..
      영상 제대로 봤구여 다른 베기술을 보일때 그렇게 흔들리지 않은걸 보니 고정에 큰 문제는 없는거같습니다. 그리고 오히려 제대로만든 짚이나 대나무가 아니라 대충만든 저런 종이(박스)재질이 더 잘베입니다.
      그리고 꾹꾹 누른건 앞서 말씀드렸지만
      고정 자체에는 큰 문제가 없었으나,
      선보일 발도술이 아래에서 위로 올려베는 동작이기때문에 큰 문제는 없었다고는 할지언정 걸레로 고정한것이기때문에 저렇게 되실걸 예상한거같긴합니다. 그렇기때문에 장비탓은 충분히 가능하지만 그럼에도 검선이 정확했다면 충분히 안날라가고 벨 수 있습니다. 전 테이프로 고정해놓은것도 한적 있으니 실수라고 생각하는게 맞는것같네요.
      근데 영상 편집으로 보나 댓글들의 반응으로 보나
      저렇게 원통이 날라가는게 정상이 아닌데
      강력해서 날라간것마냥 대단하게 편집이 됐고, 사람들도 대단하다고하는 분위기이기때문에 원래 저래서는 안된다고 말한겁니다. 발도술은 강력해서 유명한게 아니라
      그 존재와 발전의 이유와 의미, 실전성등등이 아우러져서
      높은 평가를 받는것기때문에 발도술을 강한 베기로 생각하고있다면 그건 착각이 맞죠 ^^;; 강한 베기는 위에서 아래로 내려베는게 제일 강한거고 ㅎㅎ
      그리고 애니메이션이나 만화에서 저런 베기의 정확도가 나오면 얼마나 나온다고 제가 그걸보고 아는척을 하겠습니까 ㅋㅋ

    • @mayak-aru
      @mayak-aru Před 2 lety

      @@user-dd4oy7zi7b 대나무 같이 딱딱한 것이 힘이 가해질 때 더 온전히 가해집니다.
      박스같이 비교적 무른 재질의 물체일수록
      충격이 가해졌을때 그 형태가 변질되기 쉽고
      그렇게 되면 충격이 가해지는 지점이 이동하게 되면서 그 힘이 온전히 전해지지 않아서 더 베기 힘듭니다. 상식이에요 ^^
      좀 더 극단적으로 말씀드리면 보통 비닐같은 것을 가위로 자를땐 그냥 자르면 잘 안잘립니다.
      다른 손으로 끝부분을 잡고 쭉 당겨서
      팽팽하게 만들어야 잘 잘리죠
      빳빳하게 만들어서 가위로 힘을 가할때 그 형태가 변하지 않도록 하는겁니다 아시겠어요?
      갑자기 또 발도술이 최곤줄 알면 착각이네 위에서 아래로 베는게 어쩌네 하시는데
      그냥 이따위로 못알아잡수실거면 대꾸를 하질 마세요.
      지금 말하고자 하는게 댁이 뭣도 아니면서
      정확도타령 하시는건데
      정확도 충분히 정확했고 베일 때 충격때문에
      고정이 제대로 안되어있던 기둥이 날아간 겁니다.
      보시면 날아갈 때 이미 두동강 난 상태로 날아가는거 보면 정확도타령 할 게 아니란걸 알텐데 뭘 자꾸 정확도 정확도 뭐 노이로제 있으세요?
      아무리 정확도가 훌륭해도 본체 자체가 가해지는 충격은 있을수밖에 없어요 ㅋㅋㅋㅋ
      님이 말하고자 하는 그정도의 정확도는 이미 사람의 기술 숙련도를 떠나서 칼의 예리함이 결정짓는 비중이 더 크죠;;;
      그냥 잘 하신다 하고 넘어가면 될 걸
      왜 거따가 훈수 못참는 꼰대마냥 정확도타령입니까 예?
      뭔 검선이 더 정확했다면 어쩌고저쩌고..
      만약 댁이 무슨 검술 가르치는 분이라 그렇게 주댕아리가 근질근질 하신거면
      아가ri 로 ㅈ문가질 하지 마시고 영상이라도 하나 올리세요

  • @user-tb8bd1kn6k
    @user-tb8bd1kn6k Před 2 lety

    와 끝까지 다 봐버렸댜

  • @user-zb5qv2np8c
    @user-zb5qv2np8c Před 2 lety

    항상 궁금했습니다. 칼끼리 부딪히면 부러지거나 칼날이 다 찍혀 나가지 않을까했거든요. 그래서 전쟁에서는 어느쪽 칼이 부러지고, 손에 잡히는데로 던지거나 휘두르는 난투전이 아니였을까 합니다.

  • @hollikan2126
    @hollikan2126 Před 3 lety +20

    활이 주무기였고 칼이 보조무기였으니..

  • @rollingmon
    @rollingmon Před 2 lety +8

    6:36 헤키레키 잇쎈!!

  • @hakgyunkim1509
    @hakgyunkim1509 Před rokem +1

    한국식 도법도관을 운영중이시라는데 수련복으로는 하카마를 착용하시네요? 한국식 검도관들도 다 하카마를 착용하는건가요?

  • @user-tf8hu6cj8g
    @user-tf8hu6cj8g Před 2 lety

    그냥 뜬금없는 궁금증이기는 한데...
    옛날 로봇만화중에 '볼테스 V(볼트화이브)'의 필살기가 'V자 베기'라고 있습니다.
    실제로 검으로 하게 되면 어떤 문제점이 생길까? 라는 궁금증이 있네요.

  • @christopherjung9226
    @christopherjung9226 Před 3 lety +64

    일본 : 생계형(일상에서도 칼부림하므로..)
    한국 : 병사 훈련용/ 신체 단련용 (평시에는 칼부림 안하므로)

    • @user-ce5ss8yo1j
      @user-ce5ss8yo1j Před 3 lety +18

      지금까지 지금 현시대에도 일상에서 칼부림하는
      중국은 대체...

    • @user-rf9zj3rk7v
      @user-rf9zj3rk7v Před 3 lety +18

      @@user-ce5ss8yo1j 아 거긴 나라 아니라고 ㅋㅋ

    • @user-gx9xn2ve1z
      @user-gx9xn2ve1z Před 3 lety +3

      해동검도 대한검도회 독립군 목잘라 일본검술 앞잡이했서 ㅋㅋ 지들은 진짜 독립군목자른 그건 나카무라류이임

    • @user-gx9xn2ve1z
      @user-gx9xn2ve1z Před 3 lety +1

      행동검도 실전 좃도없서 요 이바 야 ㅋㅋ 17세 일본 왜인검술 본국검법 같은소리 일본 검술이지 ㅋㅋㅋ노 조선 무슨검술있서 웃기지말라고 좃같은소리 왜곡 시키마리 좀역사 공부처하든가

    • @sj011119
      @sj011119 Před 2 lety +5

      @@user-gx9xn2ve1z 님은 국어공부좀 해주셈

  • @user-mt6hj3ti6w
    @user-mt6hj3ti6w Před 3 lety +12

    6:37 임창정이 "존나카리스마 있어" 이거나올줄 알았는뎀..

  • @David-xi3ke
    @David-xi3ke Před 3 lety

    정확하십니다

  • @rainbowlion
    @rainbowlion Před 2 lety

    말씀 감사합니다.

  • @HIRIT08
    @HIRIT08 Před 2 lety +13

    예로부터 무술 베이스가 없는 일반인들을 군대 훈련시킬 때는 창이 가장 좋은 무기입니다.

  • @wkomw5395
    @wkomw5395 Před 2 lety +14

    국가적 차이가 꽤 큽니다. 일본은 암습상태를 대비해야해서 앉은 상태나 납도 상태에서 바로 벨 수 있는 발도술이나 납도술이 발달하고 한국은 국경에서 벌어지는 싸움이 주가 되기 때문에 발도술은 크게 발달하진 못했습니다. 그리고 칼의 형태와 퀄리티, 무장상태가 다르기 때문에 그런점에서도 차이가 납니다. 우리나라의 연출과 달리 일본의 매체에서 다도(검)류가 발달한 이유도 과거 일본의 칼의 퀄리티가 몇몇 유명한 도장의 칼이 아닌이상 매우 떨어졌기 때문에 전쟁을 나가거나 할 때는 칼을 3개~9개까지도 들고 다니는 경우가 있습니다. 싸우다가 칼이 부러지거나 휘었을 때 바로 다른 칼로 교체해서 싸워야 하기 때문에 발달한 것으로 한국도 엄청난 차이는 없었겠지만 계속 전란의 시대를 이어왔던 일본에서 특히 그런것들이 발달했기 때문에 일도양단의 검술이나, 발도술이나, 납도술도 필요에 의해 발달했습니다.

    • @user-jt3qb4hk8y
      @user-jt3qb4hk8y Před rokem +2

      일본검이 내구성이 약했다고 하는 말은 낭설입니다..

    • @user-tm1fm5jg4j
      @user-tm1fm5jg4j Před rokem +3

      @@user-jt3qb4hk8y 일본은 남만 무역이 시작되기 전까지 제련 기술이 부족해서 한국, 중국, 유럽의 칼 보다 내구성이 떨어졌던 것은 팩트

    • @user-jt3qb4hk8y
      @user-jt3qb4hk8y Před rokem +1

      @@user-tm1fm5jg4j 제발 뭔 개소리를 하는건지 공부를 하고 말을 해주었으면 합니다

    • @user-tm1fm5jg4j
      @user-tm1fm5jg4j Před rokem +3

      @@user-jt3qb4hk8y 당시 일본 철은 사철이라 불순물이 많았고 일본 제련 기술은 높지 않았음. 그래서 현재에도 일본은 그 전통을 지키고자 법률로 전통 검에는 최신 철강 기술을 쓰지 못하도록 제한하고 있음

    • @user-jt3qb4hk8y
      @user-jt3qb4hk8y Před rokem +2

      @@user-tm1fm5jg4j 제발 그놈의 일본도 사철설...

  • @jsonastar3677
    @jsonastar3677 Před 3 měsíci

    멋있당...😮😮😮

  • @user-nr2fm2yr8y
    @user-nr2fm2yr8y Před rokem +2

    현대사회에서 검을들고 상대와 싸울일은 없거니와, 애초에 그런상황은 있어서도 안됩니다..
    실전성을 운운할거면 복싱이나 주싯수, 호신술 등을 배워야지 무기술을 수련할게 아니죠
    검도는 어떤 검도든간에 모두 좋은운동이고, 결국 수련을 통해 신체를 단련하고 마음을 다잡는것이 핵심이 아닐까 합니다.
    대한검도를 필두로 여러 무도의 수련생들이 서로 상호존중하지 않는 인터넷 문화가 퍼지는게 안타까울 따름이네요

  • @doan_alistar
    @doan_alistar Před 3 lety +3

    사운드왤케 울리고 먹어들어가는거같지
    인터뷰룸에 흡음제좀 붙여야될거겉은

  • @user-J-dragon
    @user-J-dragon Před 2 lety +37

    본국검법을 정말 잘 표현한 영화는 장혁 주연의 '검객'을 예로 들 수 있다.
    거기서 정만식 배우님이 연기했던 캐릭터가 진짜 여태 여느매체에서 본것 보다 더 본국검법에 가까운 검법을 펼쳤다.

    • @user-yc6pi8os3y
      @user-yc6pi8os3y Před 2 lety +1

      검객 그거 유사 바람의검심 아님? ㅋㅋ

    • @user-J-dragon
      @user-J-dragon Před měsícem

      @@user-yc6pi8os3y 나는 무협판 아저씨 생각했는데 ㅋㅋㅋㅋㅋ

  • @axlrose5206
    @axlrose5206 Před rokem

    우아 대박 멋지십니다! 확실히 발도가 파괴력은 넘사급이네요 ㄷㄷ 왜 켄신이 대단한지 납득이가는 ㅎㅎ

  • @user-dh9io4gb4n
    @user-dh9io4gb4n Před 2 lety

    실제 발도술이 만화의 자세와 정말 유사하네요 멋있어서 세번 돌려봤습니다 ㅋㅋ

  • @user-zx2gk6pt2y
    @user-zx2gk6pt2y Před 3 lety +8

    개인적으로 바람의 검심은 영화 잔짜 잘빠졌음~천안에서 상영안해서 당진까지가서
    봤는데 진심 유치하지않으면서 원작을 잘 옮겨왔음 그 말도안되는 검술을
    영화에 맞게 잘 표현함

    • @user-zx2gk6pt2y
      @user-zx2gk6pt2y Před 3 lety +1

      또 하나 중요한건 아오이 유우가 나온다는거 ㅋㅋㅋㅋ

    • @7mmalltheway
      @7mmalltheway Před 2 lety +1

      @@user-zx2gk6pt2y 아줌마 되서 슬펐습니다 ㅜㅜ

    • @leejiyong7100
      @leejiyong7100 Před 9 měsíci

      국내에서 개봉을 하긴 했군요

  • @heaven245
    @heaven245 Před 3 lety +11

    저랑 구력이 거의 비슷하시네요
    일본과 한국의 가장큰 차이는
    실전성입니다 일본은 지금까지 수많은 전쟁과 암살 경호를 바탕으로 발전해온 검술
    한국은 근대에 창작하여 만든 검술이란 거죠
    근대에 만들어졌다고 실전성이 아예없다는 아닙니다 창작하신분들중에 일본검도를 전문적으로 하셨던분들도 많이 계셨으니깐요
    다만 실전적인 부분은 일본것을 토대로 만들어졌다고 보면 됩니다

  • @user-or2lv4cm9j
    @user-or2lv4cm9j Před 3 lety

    멋있네요

  • @user-bt5kg2lt1v
    @user-bt5kg2lt1v Před 2 lety +3

    저 된다면 애니 은혼 내의 검술도 분석해주세요!

  • @ace8703
    @ace8703 Před 3 lety +36

    검도삼베단이라는 말을 들은적이 있는데 왠만한 무술 3단정도는 검도1단선에서 정리된다는.. 어찌보면 당연해 보이기도 한데, 김동현도 칼든사람 보면 도망가라 했음 ㅋㅋㅋ (시범보였는데 칼 다맞음)

    • @michaeljung4398
      @michaeljung4398 Před 3 lety +15

      당연히 무기를 든 사람이 유리하지요. 좋은 영어 구절이 있습니다:
      "Don't bring a knife to a gun fight".
      무기가 맨손보다 백번 낫지요. 그리고, 같은 무기라도 총이 칼보다 백번 낫지요.

    • @user-kr6xb9fs8g
      @user-kr6xb9fs8g Před 3 lety

      ㅡㅡ 칼 보다 총 🔫

    • @inx2853
      @inx2853 Před 3 lety +2

      국궁 3단이랑 검도1단
      멀리서 쏘는 화살에 검도패배...

    • @Milestone_____
      @Milestone_____ Před 3 lety +5

      검도1단이 아니라 그냥 미친 일반인이 식칼만 들고있어도 피해야 됨. 맨손무술 3단이 아니라 ufc챔피언이 와도 마찬가지임. 심지어 총들고있어도 미조준 상태 근접거리면 식칼 상대로 장담못해요.

    • @sohgyu
      @sohgyu Před 3 lety +1

      @@Milestone_____ 옛날 영상인데, 미국에서 한국 태권도 사범이 칼든 미국 깡패 제압하던데.. 그래서 달리 무도인이 아니란 생각이 들었던 적이 있던 사실이 떠오르네요. 살려고 하면 또 못할 것도 없는 듯.

  • @boyaknam
    @boyaknam Před 6 měsíci

    잘봤습니다

  • @user-iu1js6tv1z
    @user-iu1js6tv1z Před rokem

    치고밖는 검은 롱소드 장검이나 가능하지 일본도로는 불가능 하단걸 계속 말하고 싶었는데 😢 말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rj5si9cl2g
    @user-rj5si9cl2g Před 3 lety +6

    2:93 검의 내구성이 좋다하더라도 정신력으로견뎌야함

    • @j3rry343
      @j3rry343 Před 3 lety +1

      그나저나 2분 93초는 많이 귀하네요...

    • @user-bd2dh2dy7b
      @user-bd2dh2dy7b Před 3 lety +1

      정신력이 아니라 검술실력아님?

    • @stay_cool2
      @stay_cool2 Před 2 lety

      2:93초요?

  • @user-cm8xb4rm7g
    @user-cm8xb4rm7g Před 2 lety +10

    근데 우리나라 무술이 전통적인게 남아 있긴함? 대부분 사기꾼이거나 일본 방식이 어느정도 섞인 방식인데 순수 전통 무술이라고 알려진 수박조차 뭐 어찌 하는지 현대에 제데로 전승 안된거 보면 ' 있었는데 없었습니다 ' 이런 상황 아닌가

    • @user-fh4rj4hi2k
      @user-fh4rj4hi2k Před 2 lety +1

      택견인마

    • @user-oq6bv8zz6p
      @user-oq6bv8zz6p Před 2 lety

      무예도보통지 조선세법, 본국검 등 24반무예가 남아 있긴한데 해석하는 사람에 따라 다 다름 ㅋㅋ

  • @cutewolf1123
    @cutewolf1123 Před 2 lety

    멋지네요. 절도있는 베기!!

  • @user-uh3de9xx6t
    @user-uh3de9xx6t Před 2 lety

    멋져요

  • @user-bd1tn4bw3r
    @user-bd1tn4bw3r Před 3 lety +17

    6:36 하세기!

  • @hotgod4284
    @hotgod4284 Před 3 lety +147

    조선검술은 역사가 오래 되었지만 명맥이 끊어 지면서 상당히 어려운 상황에 놓여 있다. 일본 검술은 매우 보존이 잘되어있어 500년전 검술이 지금도 잘 전해져 오고 있다.

    • @yong-gilchoi8614
      @yong-gilchoi8614 Před 3 lety +12

      이 영상에서도 언급되지만 본국검은 왕실과 조선 군대에서 널리 사용된 검법이고 지금도 면면이 계승되고 있습니다.

    • @gerughigiulio9190
      @gerughigiulio9190 Před 3 lety +62

      @@yong-gilchoi8614 지금 나도는 본국검은 무예도보통지의 내용과 그림을 참고해 상상해서 만들어낸 복원물입니다. 심지어 찌르기 전에 좌우전을 문자 그대로만 해석해 쓸데없이 8자 돌리기를 하질 않나 무예도보통지 그림에는 분명히 아래로 찍어 내리며 찌르는 동작인 표두압정세를 검도의 목 찌름 동작으로 만들어놓지 않나 아주 가관 그자체에 동작 하나하나 힘없이 경직된 자세로 하는 등 공방원리가 제대로 설명도 안될 정도입니다. 이건 뭐 차라리 무당들 검무가 더 실전적으로 보일 정도이지요.

    • @skymars2069
      @skymars2069 Před 3 lety +27

      솔직히 말씀 드리면 조선이라는 나라가 직업적인 군인, 무사집단을 가져 본적이 없는 나라 입니다.
      냉병기 시대라 사용법은 있겠지만 명맥이라고 할만한 품세나 투로가 존재했다면 그게 이상한 겁니다.

    • @user-gw5cv7br5k
      @user-gw5cv7br5k Před 3 lety +2

      @@user-willson20024 아...예...

    • @user-lc5uk9lq6y
      @user-lc5uk9lq6y Před 3 lety +15

      @@skymars2069 조선 전기 갑사(경갑사, 착호갑사, 양계갑사, 기갑사) 가 상비군이 었고 조선초기준으론 15000명 가량이 정원. 임란때에는 수가 매우 줄어버렸지만. 임란시부터 고종시기 별기군이 나오기전까지는 훈련도감이 상비군임.

  • @user-cn3cf8iu3p
    @user-cn3cf8iu3p Před 2 lety

    검도 배울때 생각나네요

  • @urrrr44
    @urrrr44 Před 2 lety +1

    해동검도 기본검뽑는방법이죠 뽑는동시에 베기후 견착

  • @user-jg2ie6yn2j
    @user-jg2ie6yn2j Před 3 lety +10

    그냥 관장님 뭔가 들고있으멵걍 다 조질수있을듯ㄷㄷㄷ

  • @JR-ko6xy
    @JR-ko6xy Před 2 lety +9

    해동검도는 한국의 현대 창작무술로, 1980년대에 김정호와 배우 겸 무술인 나한일이 만들었다라고 조선 검술은 아닙니다!

  • @user-br3cy5mx7h
    @user-br3cy5mx7h Před 2 měsíci

    관장님~
    잘생긴 외모가 헤어스타일때문에 많이 가려지는듯하니 깔끔한 컷& 염색&펌을 추천드립니다.

  • @jmhero0101
    @jmhero0101 Před 2 lety

    해동검도와 대한검도의 차이점은 뭔가요?!

    • @maple4801
      @maple4801 Před rokem

      해동검도는 우리나라에서 만든 창작무술 대한검도는 일본식 검도

  • @JY-bv7ve
    @JY-bv7ve Před 3 lety +50

    그 시절엔 쎈거면 걍 도입해 썼는데 무술에 경계가 있을까

    • @JY-bv7ve
      @JY-bv7ve Před 3 lety +2

      @@rlfntls8550 마냥 평화롭진 않았죠. 임란 전의 평화는 명나라가 안정적이어서 북방민족 침입을 조선과 같이 지속적으로 견제할 수 있던게 컸어요.
      실제로 임란 이후에 조선과 명나라 국력이 동시에 약해지자마자 세력을 불린 만주족이 청나라를 세우고 호란이 발생했죠. 이때도 임란 이후에 일본검술을 도입하고 양성한 조총부대에 큰 피해를 입은 청나라가 나선정벌에서 조총부대를 요구하기도 합니다.
      효종 이후 정조 시절엔 무예도보통지에 일본검술이 기록되기도 했구요. 해방직후와 한국전쟁 직후 국민의 민족주의를 고취시키려고 태권도 같은 고유 무술을 창작하기도 했지만, 검술이 진짜 전쟁 기술이었던 시대엔 왜나라 검술이라고 무시한게 아니라 쓸만하니까 도입한 만큼 강해진다는 공통의 목표가 있는 이상 무술에 경계가 있을까 하는 생각에 쓴 댓글입니다.ㅎㅎ 현대 종합격투기의 사강과도 같구요.
      전 태권도랑 무에타이 주짓수를 하는데, 태권도는 그냥 손발을 쓰는 무술이란 의미고 무에타이는 타이격투기란 뜻인데 무에타이는 특히 복싱, 가라데, 그레코로만 레슬링 등 다른 무술을 받아들이면서 강해졌죠. 주짓수는 지금 순간에도 활발하게 기술 개발이 이뤄지구요. 종합에선 쓸만한건 모든 허용됩니다ㅎㅎ

    • @JY-bv7ve
      @JY-bv7ve Před 3 lety +1

      @@rlfntls8550 우리나라가 전투민족이 아닐수 있다는건...그렇게 볼 수도 있고 저도 옛날엔 그렇게 생각했는데요. 최근에 한능검 준비하면서 생각해보니 지리적으로 강국에 둘러쌓이고 일본은 물론이고 미국 프랑스 러시아 등 수많은 외세 침략을 당하고 민족말살 정책을 당하면서도 언어나 문자 등의 고유성을 지킨 결과는 특유의 호전성에서 나온 것이 아닐까 싶습니다.

    • @reward4389
      @reward4389 Před 3 lety +1

      @@rlfntls8550 몇몇 말에 동의를 함. 우리나라가 외침이 많았다기엔... 영국, 프랑스, 스페인쪽 열강들 보면.. 한국은 상대적으로 외침 및 내전이 덜한 평화적 국가였쥬. 장미전쟁에 백년전쟁, 병인/신미양요 때 전투 내용보면 처참한 수준의 국방력이었고... 임진년도 비슷했고. 그냥 감정 빼고 보면 중국에 사대를 잘해 살아남았다라 느껴지는 국가..

    • @progamer137
      @progamer137 Před 2 lety

      @@reward4389 ??? 조선후기만으로 우리나라가
      외침이 적고 국방력이 약한 나라라고 판정 짓는것
      자체가 이상하네요.
      고구려 발해 치청 같이 중국 영토 일부분을
      차지할 정도로 강대한 역사를 쏙 빼놓고
      일방적으로 판단 하는것은 무지성 국까 밖에 되지
      않습니다.

  • @user-ef9zw9kz3g
    @user-ef9zw9kz3g Před 3 lety +10

    무예도보통지에 나온 검술말고 역사적가치가 있는 자료가 또 있나요? 최근에 나온 창작 검술말고는 우리나라 검술이라고 할 수 있는건 사실상 없는게 아닌지

    • @beomyongkim475
      @beomyongkim475 Před 3 lety +2

      내 생각도 그럼... 어짜피 총때문에 실전성은 없다시피 하기 때문에 현대화 이전의 검술을 잘 복원할 수 록 가치가 높음 현대 창작무술은 배우는 사람들 사이에서만 가치가 있는거지.

  • @tjyoo
    @tjyoo Před 9 měsíci

    양날이 있는 '검'은 얇고 잘 부러져서 찌르기에 장점이 있는데 '창'이 검보다는 거리가 길어 전쟁에서 찌르기에 더 적합하죠. 실제 전쟁 백병전에서는 창이나 한쪽만 날이 있는 '도'가 더 많이 쓰였던 것 같습니다. 전쟁에서 계속 베어나가는데 일본도는 길고 얇아 잘 부러져서 여러개를 가지고 다녔다고 들었습니다. 실제 보병들은 창을 쓰거나 방패와 함께 짧 '박도'를 많이 썼던 걸로 알고 있습니다. 로마군이 쓰던 글라디우스도 방패와 함께 쓰는 짧은 칼이죠.

    • @user-bx5oh8bk9w
      @user-bx5oh8bk9w Před 6 měsíci

      일본도가 얇아 잘 부러진다는 소리는 개소리임다. 우리집에 오래전 일본에서 사용했던 일본도가 있는데 생각보다 무겁고 두꺼워요. 칼날에 이빨이 수십군데가 나간 것을 보면 실전에서 사용했던 것 같아여. 일본 장수들이 일본도를 서너자루 가지고 다녔던 것은 몇 번 부딪치고 베면 칼의 이빨들이 나가 톱처럼 되어 버리기 때문이라 함다.

  • @kayaji8499
    @kayaji8499 Před 2 lety

    조선시대 검은 허리에 벨트? 고리로 연결 해서 검을 매달고? 다녔고 일본은 위 영상처럼 허리띠 사이에 검을 꽂고 다닌 걸로 알고 있는데 제가 잘못 알고 있는 건가요? 그리고 일본검은 일본철을 모래에서 채취 한 철로 제련 하기에 불순물이 많아 단조를 많이 했고 또 잘 부러지기에 두자루 이상 꽂고 다닌 걸로 알고 있는데..

  • @hh1538
    @hh1538 Před 3 lety +94

    싸우면 누가 이기냐의 결론:대가릿수 많으면 이김

    • @rkfjfjdnxnzjajk
      @rkfjfjdnxnzjajk Před 3 lety +8

      더 센 놈이 이김

    • @Kingpuream
      @Kingpuream Před 3 lety +19

      총든놈이 이기겠죠..?

    • @user-pd6yk3ix8r
      @user-pd6yk3ix8r Před 3 lety +1

      대가리수가 많다고 이기는게 허접들 이야기고 머리가 좋고 용맹하면 상대가 개많아도 개바를수 있어

    • @fuck1you6934
      @fuck1you6934 Před 3 lety +2

      현실은 돌림빵 못 이기지

    • @alter5057
      @alter5057 Před 3 lety

      현무4 전술핵 또는 핵무장 하면 아무도 건들지 못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