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날 노는데 일 잘하는 사람들의 공통점 | 20% 노력으로 80% 성과 내는 방법

Sdílet
Vložit
  • čas přidán 22. 01. 2024
  • *제작비를 지원 받은 콘텐츠입니다.
    “왜 2시간짜리 일에 8시간을 쓰는가?” 성실한 저성과자들을 위한 80/20 법칙 활용법,
    『20%만 쓰는 연습』을 소개합니다.
    ✔ 참고 도서: 『20%만 쓰는 연습』, 데이먼 자하리아데스
    ✔ 책 보러 가기: bit.ly/3RSezFU
    ✔ 제작: 책식주의(papervore@naver.com)
    ✔ 나레이션: 정소리(jerry4v@gmail.com)

Komentáře • 250

  • @bookvore
    @bookvore  Před 4 měsíci +30

    뭐든 열심히 하는데 성과가 나지 않는 사람들을 위한, 도서 『20%만 쓰는 연습』을 소개합니다.😳
    ✔ 책 보러 가기: bit.ly/3RSezFU

  • @PenganZi
    @PenganZi Před 26 dny +43

    게으른데 일 잘 하는 사람 특) 일단 나는 아님

  • @user-gj3mb3pd8g
    @user-gj3mb3pd8g Před 4 měsíci +439

    바쁘다와 생산적이라는 말은 다른 말이다👍

    • @Sam_mm_mm
      @Sam_mm_mm Před měsícem

      둘다 해야 성공하는게 현실

    • @user-ow2ie9jm2w
      @user-ow2ie9jm2w Před měsícem +7

      @@Sam_mm_mm 자동화와 효율이 비전인 현대에서는 그다지 들어맞지 않는 말이네요

  • @roslaahn607
    @roslaahn607 Před 3 měsíci +250

    * 모든 일을 처리하려 하지않기
    * 인간관계는 과감히 정리하고 절친의 특성 연구
    * 하루음식 중 20%는 군것질 허용

  • @gwakts
    @gwakts Před 3 měsíci +52

    게으르기 보다는 일의 본질과 핵심을 빨리 캐치해서 게임으로 말하자면 쓸데없는 렙업 노가다를 덜하고 빨리 보스를 때려잡고 던전 마무리 하는 거지, 일반인 또는 멍부들은 안해도될 렙업 노가다에 물욕템까지 잔뜩 하느라 플레잉 타임이 늘어지고 본인도 피곤한 거고

  • @user-oj2yo8pn7e
    @user-oj2yo8pn7e Před 3 měsíci +64

    일을 쉽게하면 고수라는 말이 왜 그런건지 이해가 가는 이유

  • @Mangchinagashinda
    @Mangchinagashinda Před 3 měsíci +7

    좋은 영상 만들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 @SeoEunTan
    @SeoEunTan Před 2 měsíci +54

    일을 잘한다 - 일감이 더 몰려온다 - 일을 더한다 - 번아웃 온다 - 가스라이팅 당한다 - 퇴사한다
    일을 못한다(안한다) - 일감이 줄어든다 - 논다 - 월급루팡 - 욕은 먹지만 일로 인한 스트레스는 적다 - 계속 직장 다닌다 - 새로운 희생자를 찾는다
    책이 뭘 말하려는지는 알겠으나, 한국조직문화를 너무 우습게 보네요.

    • @ppoppi_Kim
      @ppoppi_Kim Před 2 měsíci +6

      그래서 퇴사했슴다 ㅋㅋ
      전기 설빈데(일당 노가다 아님) 쉬바 나 들어가기전에 3명은 일 ㅈ도 못하고
      내가 일 가르치고 있더라고요 2달은 기존 인원 가르치면서 했는데
      사장이 신입 뽑았는데 그거(인간 아닌 수준) 보고 답도 없어서 바로 퇴사함

    • @SeoEunTan
      @SeoEunTan Před 2 měsíci +1

      @@ppoppi_Kim 고생하셨습니다. ㅜㅜ

    • @ppoppi_Kim
      @ppoppi_Kim Před 2 měsíci

      @@SeoEunTan 지방 현장 나가야 되는 일이니 마감 못치면
      퇴근도 늦어져서 논다가 안되더라고요 답답해서 혼자 계속 미친듯이 하게 됩니다 ㅜㅠ

    • @tonyjin4771
      @tonyjin4771 Před 2 měsíci +1

      일을 잘해서 빨리 처리하자가 아니라, 중요한 것에 집중하자란건데...

    • @ioioyoung
      @ioioyoung Před 2 měsíci

      @@tonyjin4771원래 뭔 말을 해도 내의견만 맞다 하는 사람이있습니다... 그러려니하고 무시하면..

  • @heyday_b
    @heyday_b Před 4 měsíci +80

    소중한 사람에게 더 많은 시간을 쓰는 것. 당연하지만 간과할 수 있겠어요.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 @user-st1hx8vj9r
    @user-st1hx8vj9r Před 2 měsíci +1

    너무 좋은 내용이네요. 책도 읽어 보겠습니다.

  • @habinna_
    @habinna_ Před 3 měsíci +157

    2시간 짜리 일에 8시간을 쓰는 이유는
    보통 제 시간 안에 일을 끝냈다면, 시간 안에 끝낼 정도의 업무능력이 있다는 것이죠.
    잘 한 겁니다.
    칭찬 받아야 하는 일이죠.
    하지만 한국은 달라요.
    제 시간 안에 주어진 일을 끝내면, 어? 노네? 하면서 일을 더 던져 줍니다.
    그것마저도 해낸다구요?
    그럼 일을 또 더 던져 줍니다.
    결국 한국의 최대임금인 최저 임금을 받으면서 일은 더 많이 하게 되는 거예요.
    그래서 근로자들은 그냥 제 시간에 딱 맞게 끝낼 수 있을 정도만 힘을 냅니다.
    그래서 한국이 일을 가장 많이 하는 나라중 하나면서도, 생산성이 가장 떨어지는 나라중 하나가 된 것이죠

    • @habinna_
      @habinna_ Před 3 měsíci

      그렇게 만든건, 결국 월급 주는 사장이 아니라, 중간 간부들.
      즉 일제시대 때 앞잡이 dna를 가진,
      자신들도 월급쟁이면서 충성을 다하는 개처럼 근로 노예들에게 일을 더 시키고 쉬는 꼴, 노는 꼴을 못 봐 피가 거꾸로라도 솟는건지 거품을 물며 일을 시켜먹죠

    • @user-yy8xl4sd4f
      @user-yy8xl4sd4f Před 3 měsíci +26

      갸인정~~ 빨리 해봤자 어깨만 더 무거워짐ㅋ 인정하고 일한만큼 연봉을 올려주면 ㅇㅈ…

    • @chooooonsick
      @chooooonsick Před 3 měsíci +4

      그건 만국공통아닌지요 ㅋㅌ

    • @user-fc9gj9pw9j
      @user-fc9gj9pw9j Před 2 měsíci +2

      님이 ㅈ소다니셔서 그런듯

    • @bubabuba4550
      @bubabuba4550 Před 2 měsíci +2

      그러면서 시킨 사람은 놀 고 있음 ㅋㅋ

  • @user-Elisabeth524
    @user-Elisabeth524 Před 4 měsíci +13

    감사합니다 :)

  • @soospirit
    @soospirit Před 4 měsíci +123

    늘 바빴는데 이유를 알았네요. 완벽을 추구하는것이 때로는 과한것일지도요

  • @deanshamu
    @deanshamu Před 4 měsíci +61

    완벽주의에 거의 평생을 얽매여 있지만, 완벽주의는 자기만족이 맞는듯...!

    • @user-dj5jq3kh5h
      @user-dj5jq3kh5h Před 11 dny

      진짜 자기만족 ㅠ.. 심해요 또 그렇다고 내 기준에서 최대한 안 하면 만족이 안 되고 힘들어요

  • @user-ew2yi9pr3s
    @user-ew2yi9pr3s Před 3 měsíci +14

    나도 이런 사람되는걸 꿈꿔왔는데 셀프로 빠른 스피드로 메꾸고 잘 배우기 ㅋㅋㅋ 난 부지런히 일상을 굴려야 성과가 나오는 스타일😅 학습이나 일 방식을 놓쳐도 타격없이 지식을 빠르게 스스로 채우는 친구들이 많이 존경스러웠고 부럽기도 했고 비법이 궁금하드라고요🤩

    • @user-nz5vr6xp6u
      @user-nz5vr6xp6u Před 2 měsíci

      일단 짬이 좀 먹으면 가능하긴 한데 기본적인 여유로운 성향이 되야 해요~ 근본적으로 일을 만들어서 한다는 평을 받으시는 분들은
      보통 별거아닌거에 쫒기듯 여유가 없더군요.

  • @BKK4980
    @BKK4980 Před 4 měsíci +44

    저기에 일과 관련된게 나오는데 업무의 중요도를 잘 파악하고 우선순위를 잘 정해서 처리하면 일 잘하는 사람됨 이걸 잘 못하는 사람들이 노력은 하지만 성과가 잘 안나옴

    • @user-ps3bo8rm7p
      @user-ps3bo8rm7p Před 3 měsíci

      재사람들성과파악무감각무턱대고마스크큰일비국롤빈각시집맛없재

  • @user-cu7mn2sj2l
    @user-cu7mn2sj2l Před 3 měsíci +5

    80퍼가 불필요하다 라고 생각하기가 쉽지 않네요. 꾸준히 되새기겠습니다. 영상 감사합니다

  • @user-yw9ul4gi6r
    @user-yw9ul4gi6r Před měsícem +1

    감사합니다. 제가 그동안 찾던 내용입니다

  • @oramast
    @oramast Před 2 měsíci +5

    저는 일하는 양에 비해 주변에서 일 잘한단 소리 많이 듣는데.. 공감이 가네요. 저는 일할 때 쓸 데 없는 일에 집중 안 합니다. 해야 할 일이 뭔지 감각적으로 찾고 거기에만 집중합니다. 그리고 점진적 완벽화를 합니다. 일단 결과 전달하고 틀린 거 있으면 수정해서 전달하면 돼요. 요청한 사람도 완벽한 거 보다 빠른 응답을 대부분 원합니다.

  • @edengongbang
    @edengongbang Před 3 měsíci

    영상보고 책 바로 주문했답니다

  • @asj2023
    @asj2023 Před 3 měsíci +17

    실제로 일이 너무 많아서 그런건데, 슬프네요

  • @sheep_Heaven
    @sheep_Heaven Před měsícem

    와정말 맞는말이에요

  • @lovelyKARINA0411
    @lovelyKARINA0411 Před 3 měsíci +1

    재능인거죠..

  • @user-cj9fq5fm4b
    @user-cj9fq5fm4b Před 4 měsíci +30

    3:45 먼저 휴대폰의 연락처 목록을 열고...

  • @Ratatou2
    @Ratatou2 Před 3 měsíci +24

    80%의 부수적인 일들을 무시하는건 상급자 또는 관리자 이상 직급의 입장 같습니다. 사원-주임라인은 보통 일을 받아서 하는 단계고 대리부터 본격적으로 일을 하는 시기인데 대리-과장쯤부터 일을 관리하는거라 과장부턴 시간 많이 걸리는 단순일을 시키는게 좋다 생각합니다. 물론 대리는 좀 조직 분위기에 따라 밑사람에게 전달할 수 있을지 없을지 차이이고.
    특히 사장이라면 더욱 그럴거라 생각합니다. 사장인데 짜투리일만 하다보면 안되니 그걸 부하 직원들에게 나눠주고 본인은 더 생산성을 불러오는 일을 해야 하는거죠. 혼자 창업했다면 처음엔 주업무(업태에서 하는일 루틴 등), 클레임, 입고, 출고, 전표관리, 영업을 다 본인이 직접 해야하지만. 수익이 증가하면 사람을 뽑아서 일을 분담 시켜야죠. 그게 순조롭게 진행되면 더욱더 많은 일을 처리할 수 있게 된다 생각합니다.
    물론 종종 1인기업을 보곤 합니다. 사장님 혼자서 다 관리하는것 그렇게 15억 이상 매출올려 다 내가 가져가는 사람도 있습니다. 물론 업무 스타일은 본인 취향이라 생각합니다.
    그런 분들도 자신이 일하기 편안한 시스템을 만들어서 진행했을것입니다. 필요없는 일은 안하고 중심적인 일을 해서 수익을 극대화 한거죠.

  • @allodoeng-for.you.
    @allodoeng-for.you. Před 3 měsíci +13

    걍 한마디로 핵심만 파고들고 성과가 보이는 일을 성공적으로 하면되는거다

  • @user-ht2uz6yy8q
    @user-ht2uz6yy8q Před 2 měsíci +3

    현실은 빨리하면 더 빨리하길 원함... 어느날 하루 컨디션 안좋아서 느리게 하면 욕먹음

  • @HWK91
    @HWK91 Před 3 měsíci

    여태까지 교양이나 지식 관련한 책 소개 수도 없이 봤지만 오늘 본 책이 홀로 압도적으로 가치있었습니다 군주론이니 총균쇠니해도 정작 삶에 도움이 되냐고 하면 애매한데 이건 정말로 적용할 수 있는 사람의 폭이 넓고 비례 가치에 엄청난 잠재력을 지녔습니다 내가 시간이 부족하다고 생각되는 사람은 이 영상이라도 제발 보고 뭔가 얻어갔으면 하네요

  • @LastThunder
    @LastThunder Před 17 dny +2

    30대 초중반에 대기업 부장 까지 올라가본 경험으로 한마디 올리자면
    전 업무가 배정되면 그날 야근을 하던, 아니면 집에서 놀지 않고 미리미리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지 고민을 끝낸 다음
    아무리 늦어도 그 다음날 아침 내로 다 처리해서 끝내고, 낮에는 저 사람 논다고 뒷다마 까여도
    좀 널널하게 있다가 칼퇴 하는게 일상이었음.
    즉, 진짜 일에 쫒겨서 or 기한내에 일을 못끝낼까봐 야근한 적은 단 한 번도 없음
    (물론 리더급이 된 이후에는 일머리가 부족한 일부 팀원을 봐줘야 하니깐 관리 차원의 야근은 했지만)
    왜냐? 모든 일에는 돌발 상황이 발생하는데 평상시에 100%를 활용하고 있으면 여유가 없어서 대응을 못함
    남들이 놀때 미리 일을 끝내놓는 한이 있더라고 평상시에는 40~50% 정도로 유지하고 있어야 돌발 상황을 대처할 수 있고,
    대부분 그런 돌발 상황은 정말 중요한 일이기 때문에 그걸 해결하다보면, 인정받거나 실력이 급격하게 발전하는 계기가 됨.
    그리고 이 세상에 완벽이란 없고, 특히 상사 지시 사항은 결국, 상사의 방향성이 담겨야 하기 때문에
    늦어도 마감 2~3일 전에는 무조건 초안 보고를 끝내서, 이후 수정 사항을 반영할 시간을 항상 벌어놓는 습관을 가져야 됨
    결국, 자신은 완벽하지 않고, 항상 돌발 상황이 있다는걸 인정하고 고려해야 그게 진짜 완벽주의고
    그 진정한 완벽주의를 실행해야 그게 능력자 인겁니다. (이 영상해서 말하는 수준 낮은 완벽주의는 완벽주의가 아님)

  • @sjj924
    @sjj924 Před 3 měsíci

    머리가 좋아서

  • @hmizzang
    @hmizzang Před 3 měsíci +30

    와 영상의 20%만 봤는데도
    80%는 이해한 것 같네요

    • @hurr3441
      @hurr3441 Před 3 měsíci +1

      저는아직2%봤는데
      8%이해했어요

    • @hurr3441
      @hurr3441 Před 3 měsíci

      방금8%봤는데
      9%이해했습니다!화이팅!

  • @user-oo6cg6hi1q
    @user-oo6cg6hi1q Před 2 měsíci +1

    기억력이 좋고 멀티테스킹이빠르고 생각과 행동반응이 빠른사람 ㅎㅎ 부럽다…

  • @user-jh7of7cl8s
    @user-jh7of7cl8s Před 3 měsíci +36

    업무에 관해서는 대신 누군가 그 80%를 매꿔야 합니다.

    • @dolgum826
      @dolgum826 Před 3 měsíci

      메꿔야

    • @user-ml6wr4nx4p
      @user-ml6wr4nx4p Před 3 měsíci +1

      개발업무는 아님.

    • @user-xq1rp6dr4v
      @user-xq1rp6dr4v Před 3 měsíci +5

      직종이나 업무 특성에 따라 다름 공장 생산직은 80%를 매꿔야 하겠지만ㅇㅇ 어떤 일들은 일의 순서나 동선만 바꿔도 효율이 나옴

    • @nangdang3103
      @nangdang3103 Před 3 měsíci +5

      80퍼센트는 후임들한테 미루는 새끼들 꼭 있음 걔들은 이 영상보고 착각 ㅈㄴ 할듯

    • @user-ec6mc7rd4z
      @user-ec6mc7rd4z Před měsícem

      100프로를 효율적으로 하고 다른데 투자하라는말이지
      20프로만 일하라는게아니죠

  • @user-sn9qt9qk8j
    @user-sn9qt9qk8j Před 2 měsíci +1


    좋은 방송 고맙습니다

  • @cncdoli
    @cncdoli Před 3 měsíci +12

    이영상에 완전히 공감하고 가요. 20대때까지 이걸 몰라서 시행착오를 겪었는데, 스스로 깨닫고 바뀌고 나니 나의 시간, 에너지, 돈은 더이상 낭비하지 않게 되었고,
    오히려 진짜 친구들과 진정한 여유와 행복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전엔 사람과 일과 결과에 집착하고 완벽하려 애쓰는데도 늘 불만족했는데, 지금은 그런걸 내려놓았음에도 더 높은 효율로 많은 일을 해내고 불필요한 관계나 일을 끊어내는데 오히려 신뢰로 이어진 관계가 형성 되었네요.
    하지않아도 되는일 까지 '할 일'로 만들지 않는것. 그게 중요한 것같습니다.

  • @user-me4ry7ly2c
    @user-me4ry7ly2c Před 3 měsíci +8

    인간관계도 계산하는 사람 딱 질색인데 ㅎㅎㅎㅎㅎ 어차피 자신도 자신 기준에 나한테 얼마나 잘하는가? 기준아님?? 타인도 똑같이 한다면 기분이 좋겠는지 생각을 하고 살았으면 좋겠음 요즘 인간관계는 인스턴트 관계라 차라리 취미나 관심을 공유할수 있는 인간관계가 훨씬 건강한 관계임

    • @user-jl2bh1lw6r
      @user-jl2bh1lw6r Před 3 měsíci +4

      전략은 중요한 것 같아요... 계산이라는 단어보다는, 사람은 현실입니다

    • @user-ru4rp7et2z
      @user-ru4rp7et2z Před měsícem

      현실에선 타산적인 사람이 잘살고 정과 의리,낭만으로 사는 사람은 거지꼴을 면하지 못합니다 ㅋㅋ 계산적인 건 필수에요

    • @user-me4ry7ly2c
      @user-me4ry7ly2c Před měsícem

      @@user-ru4rp7et2z 정의리 낭만보다 시작과 끝을 잘 맺는 인간관계를 하려면 나를 남에게 어떻게 어필하느냐 처음 시작이 중요한거라봐요. 돈을 쫓다보면 결국 남는건 없더라구요. 돈도 중요하지만 거기서 생기는 관계형성과 배경적인 공유, 감정공유 여러가지 공유가 더 단단한 인간관계를 맺는다 생각들어요

    • @younghyuncho8997
      @younghyuncho8997 Před 25 dny

      글쎄요. 취미나 관심을 공유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도 ‘계산’이라고 할 수 있을 것 같네요.

  • @Greatestintheuniverse
    @Greatestintheuniverse Před 22 dny +1

    일이 시작하기전에 머릿속에서 이미 끝나있어야지

  • @user-zw5sg1jx9j
    @user-zw5sg1jx9j Před 3 měsíci +54

    일을 잘한다 => 빨리 끝난다 =>시간이 남는다 => 논다

    • @giseong5779
      @giseong5779 Před 2 měsíci +9

      현실
      -> 일을 잘한다 --> 빨리끝난다 --> "어 김대기 시간좀 남아? 이것좀 부탁해" --> 야근

    • @Minseok_Ko
      @Minseok_Ko Před 2 měsíci +1

      @@giseong5779 진심 여기 덧글들을 보면 왜 20이 80을 먹게 되는지 알 수 있음. ㅋㅋㅋ
      일을 빨리 하면 일을 더 주니까 일부러 천천히 해야 한다고???
      그게 바로 전형적인 80이 하는 행동이란 소리를 지금 이 영상이 하고 있는거다. ㅋㅋㅋㅋㅋㅋ
      이래서 긍정적이고 핵심 따지고 해결위주로 생각하는 상위 20%가 다 먹는거야 ㅋㅋㅋ
      ---
      뭐 한국에서는 일 열심히 하면 돈 조금 주고 더 열심히 부려먹으려고 한다느니 어쩌니 하는데
      그딴소리 하는 놈들은 진짜 열심히 라는걸 해 본적이 없는거야.
      어 난 열심히 해 봤는데 그랬더니 더 힘들어 졌다?
      그럼 그건 그냥 대가리 안쓰고 비효율적인 일을 겁나게 열심히만 한거지.
      진짜 효율적으로 자기 머리 써가면서 자기 일을 개선해 본 사람은 그딴소리 절대 안해.
      일을 더 준다? 그러면 그것도 효율적으로 처리할 방법을 찾아 해결 하겠지.
      그리고 그만큼 역량이 올라갔는데 회사에서 인정을 안해준다?
      그럼 다른 회사가 얼른 연봉 높여서 모셔가.
      일 잘하는 사람은 누구나 그 사람이 일 잘하는지 알아.
      ---
      솔직히 난 여기 영상에 나오는 것 같은 퉁쳐서 이야기 하는 자기개발서 부류를 정말 극혐 하는데
      그것보다 더 극혐 하는게 여기 덧글들에 수두룩 하게 나오는 안되는 이유만 찾는 불편러들임.
      지들 대가리로 생각하기는 싫고 누가 정답을 알려줬으면 좋겠지만
      누군가 열심히 사는게 답이라고 현실을 이야기 하면 어떻게든 부정하려고 혈안이 된 인간들.
      그게 바로 80임.
      아주 그냥 불편이 직업인 것 같음.
      온갖 불평불만에 안되는 이유만 나불나불 ㅋㅋㅋ
      그따구로 살꺼면 차라리 그냥 주둥이라도 좀 닫던가.
      주둥이를 놀릴꺼면 일이라도 열심히 하던가.
      둘 중 하나만 해 좀...

    • @yongs3497
      @yongs3497 Před měsícem

      ​@@Minseok_Ko 한국에선 팩트인데 일을 빨리한다=일을 더 준다.

    • @yongs3497
      @yongs3497 Před měsícem

      ​@@Minseok_Ko 한국에선 팩트인데요.
      일을 빨리한다=일을 더 받는다.

    • @snkb0110
      @snkb0110 Před měsícem

      ​@@Minseok_Ko 저는 이분 이야기 상당히 공감되는데요. 크게 틀린말도 없는듯한데.

  • @bloopers_make_me
    @bloopers_make_me Před 3 měsíci +15

    100명의 친구 중 20명만 자주 연락해서 80을 정리하고 나면 80대 20의 법칙으로 인해서 20명의 친구 중 4명의 친구만 연락하는 친구이고 16명을 정리했지만 80대 20의 법칙으로 1명의 친구만 남겠지

    • @Chris_Eva
      @Chris_Eva Před 3 měsíci

      그럼 그 한명은 가족과 다름없을 좋은 친구겟네요

    • @user-jl2bh1lw6r
      @user-jl2bh1lw6r Před 3 měsíci +1

      잘 되었네요

    • @user-qz7mf2hv4s
      @user-qz7mf2hv4s Před 2 měsíci

      그런데 그 1명이 뒤통수 치죠

    • @user-kdg3hsjab8n
      @user-kdg3hsjab8n Před měsícem +1

      맞는말이긴함 인간은 애초에 효율적이지 않음 ㅋ 인간성이란건 결국 불완전함

  • @gongdea
    @gongdea Před 2 měsíci +1

    바쁘다는 말은 시간에 쫒긴다는 말이다!!!

    • @user-nz5vr6xp6u
      @user-nz5vr6xp6u Před 2 měsíci

      개인적인 판단으로는 시간에 쫒긴다는 부분은 어떤식으로든 본인 업무 관리를 못했다는 뜻이라고 봅니다
      대부분 그런 분들 보면 일을 만들어서 하는 스타일들이고 생각 없이 까라면 까는 분들이 많더라구요.

  • @user-pr7vg5cr1b
    @user-pr7vg5cr1b Před 4 měsíci +5

    20% 사용하기!!

  • @Goyeonghul
    @Goyeonghul Před 3 měsíci +4

    나인가? 하고 들어오시는 분들 아닙니다 게으르고 일 못하시는 분들이에요^^

  • @user-hm9qz6iu7i
    @user-hm9qz6iu7i Před 3 měsíci +2

    일에 본질을 잘 이해 하는 사람들

  • @Joonfafa
    @Joonfafa Před 3 měsíci +4

    8:2 가르마가 예술인가

    • @d.levi.h
      @d.levi.h Před 2 měsíci +2

      거기서도 2에 집중해야 예술

  • @LeeYoo-it8yz
    @LeeYoo-it8yz Před 2 měsíci +7

    업종이나 직급에 따라 다르게 받아들어야할거 같네요. 설계쪽 일하고 있는데 단 하나의 실수도 있어선 안됩니다. 인간적인 이해는 하겠지만 그로인한 손실 감당 누가하겠습니까

  • @cis7853
    @cis7853 Před 4 měsíci +5

    55번째 like
    감사합니다요!

  • @ji-sunjeong547
    @ji-sunjeong547 Před 3 měsíci +10

    ㅋㅋ 직종마다 다르지만, 내 경우에는 평소에 필요한거 로직 잘 짜놓으면 대부분의 로테이센 업무는 오전 2시간으로 끝남..
    나머지는 다른일을 하기 위해 대기하고 연구 할뿐...
    이거 잘 이용 하면 남들 한달 걸릴거 하루면 되고.. 6개월 이상 걸리는 어느 정도 규모 있는 프로젝트도 한달안에 완벽하게 끝낼수도 있음..
    내가 그런식으로 일하고 평소엔 팅가팅가 놀고 있는 ㅋㅋㅋ

  • @user-wp3zd1he8u
    @user-wp3zd1he8u Před 3 měsíci +1

    시간을 효율적으로

  • @jangtoon
    @jangtoon Před měsícem

    정답이네 뭐든제일 중요한 핵심 목표만 집중하는게 답

  • @jhkim5388
    @jhkim5388 Před 4 měsíci +10

    파레토 법칙이 이런식으로도 적용되다니...!!

  • @erwqsdasq768
    @erwqsdasq768 Před 2 měsíci +2

    뭐야 파레토의 법칙 소프트웨어공학시간에 배워서 개발자가 발견한 법칙인줄 알았는데 충격이네

  • @user-cp3kh6ze7c
    @user-cp3kh6ze7c Před 3 měsíci +2

    같은 일인데..남이 3일 할 일을 하루만에 끝내는 사람을 옆에서 봤는데,
    남은 시간을 온전히 자기계발에 쏟더라. 근데 공황장애로 병원 다니고 있음.

  • @hh9514
    @hh9514 Před 3 měsíci

    완벽주의에 열광하는 사람이 아무것도 하지 않으려는 경우도 많죠.
    제가 그런 축이었고

  • @mensa2030
    @mensa2030 Před měsícem

    무엇을하느냐가 중요합니다... 노동집약적인지... 지식집약적인지...
    그리고 본인이 잘하는걸 하시면 됩니다.
    노동을 잘하신다면 노동을하는게 가장 큰 고부가가치 행위입니다.

  • @user-td5bv8np7j
    @user-td5bv8np7j Před měsícem

    순수하게 아이디어만 내는 직군이나..단순노동이면 그렇게 하면 되요.. 하지만 사람을 다루는 일은 아닙니다..

  • @againstrapewomen4493
    @againstrapewomen4493 Před 3 měsíci +3

    이거 사실임. 실적제 일해보면 확실함. 똑같이 고객DB를 300개씩 줬는데, 20퍼센트의 사람들만 더 적은 고객으로 남들보다 2배높은 성과를 냄.
    이거 진짜 일하는거 보면 똑같은거같은데 다름. 처음엔 똑같이 고객에게 전화를걸거나 접촉함. 성과 20퍼센트의 사람들은 3시쯤되면 오전에 전화했던 고객중 실패한 고객한테 다시 전화하거나 접촉함.
    고객은 "지금 바빠서 나중에요" 이랬는데, 누군 다시 전화드리고 누군 안함.
    누군 이걸 "지연""의향있음"으로 생각하고, 누군 이걸 "거절"이라 생각함.
    10시~3시까지 실적이 6개라고 하면, 20퍼센트의 실적자들은 3시부터 5시까지 2시간동안 총14개정도 실적으로 만들어버림.
    실적자들은 10시부터 그냥 놀면서 100콜~150콜정도 인사정도 한다 생각하면서 3시까지 편하게 놀면서 일함.
    3시까지는 성향 좋고, 지금당장 필요를 결심한 고객을 접수받는다~생각함.
    그리고 3시부터가 진짜 일하는거임.
    나머지 사람들은 그냥 계속 남은 DB에서 새고객 접촉하느라 바쁨. 관리자는 DB빨리 쳐서 고객의향이라도 빨리 알아내라고만 하기 때문. 그래서 250개~300개 소비하느라 바쁨.
    근데 실적자들은 200콜 밖에 안되고, 5시부터는 그냥 정리함^^;; 실적 남들보다 2배넘게 채웠으니 5시조기퇴근하기도함^^;;
    그니까 일하는 시간을 100으로 두면 80은 남들보다 힘빼고 일하고, 20퍼만 힘줘야는데에 힘쓰는거임.
    나랑 똑같이 입사했는데, 한달은 두사람 다 실적이 비슷했음. 나쁘진않았고 중간?
    근데, 두번째 달부터 한명은 300건씩 치고 6시에 7~9개고, 한명은 10~15건씩하고 5시퇴근함.
    이 차이는 한달동안 80퍼는 둘다 위에서 시키는대로 계속 전화를 드리고 DB치는거에 집중했음. 한명은 한달 다 되기 전에 상위 20퍼센트 콜을 어쩌다 한번씩 듣고 먼가 이상한걸 알아챔.
    7~9개씩하는 사람들 콜은 "정석"대로의 콜만 올라오는데, 상위20퍼센트사람들 콜은 "정석"이 아닌 일부멘트 콜이 있단거였고 이렇게 쳐도 되나? 근데 왜 관리자들이 지적하지않는거지?생각함,
    좀 더 보니 내가 이상하다 생각했던 콜은 두~세번째 전화드린 콜이었음.
    그니까 안내해야는 필수고지멘트를 나눠서 하다보니까 콜이 정석이 아닌것같은게 많았단거임.
    그리고 멘트도 짧음.
    주워진 멘트를 다 읽는게 아니라 짧게 안내함. 하긴하는건데 듣는 사람입장에서 맞춰서 하는거임.
    3줄멘트를 한줄정도로 말함.
    바꿔말하면 자기만의 스트립트가 있는거임.
    고대로 따라하기 시작함>2주는 똑같이 하면서 열심히함>실적이 쌓이기시작하고 맞단게 확신이 들면서>3주차에는 오전에는 건성건성 짧게 인사+인사드린 이유만 말하고 고객 반응만보고 끊음.
    간단하게 메모하고 계속 넘어감.
    3시부터 메모보고 전화드렸던 고객 중 단호하게 싫다거나 필요없는 고객 빼고 전화 다시 드림>80퍼정도는 한다하심.
    고객이 진짜 바쁘거나, 필요하다 생각해왔지만 단순히 급하게 결정하기 싫었거나 그런 고객인거임.
    처음 일할 땐, 그 고객들 전부 착하게 "거절"한 고객인거라 생각함^^;;;
    "지연""의향있음" 이렇게 생각하고 전화드리면 80퍼는 해주심. 20퍼의 지연고객 분류가 실적의 반이상인거임.
    근데 영상이나 댓글에서 완벽주의가 안되는거처럼 말하는데...
    내가 완벽주의자임;;;; 완벽의 기준이 다르단걸 모름.
    남들보다 완벽하게 실수가 없으면서, 할거다하고, 그러면서 실적도 챙기고, 그러면서 누릴 복지(조기퇴근/성과금) 다 챙김. 완벽주의니까 고성과자들 콜도 듣고 쪼개서 연구도 하는거임.
    나랑 동기 빼고 한달간 8명입사했는데 우리 뒤로 한명도 안빼고 일주일도 안되서 다 퇴사함. 나랑 같이 들어온 동기도 나름 완벽주의 성향같음. 근데 어디에 중점을 두냐의 문제임. 일머리는 그냥 생기는게 아니고... 번아웃도 경험하고 깨지고 그래봐야... 엌ㅋㅋ내가 잘못하는구나를 인정해야함. 진짜 남들보다 3배4배 열심히 해도 남들보다 조금 앞서있는 정도라면 100퍼 일머리가 없는거임.
    열심히 일하고 인정은 받는데 보상은 적고 그럼 억울함만 쌓기고 회의감만 남음.
    내가 조금 일하고 대충 힘분배하면서 성과 높이고 효율높여서 보상은 가져갈 수 있는 만큼 가져가는게 최고인거임.
    성과제 아닌데서는 게으르다고, 일은 자기가 더 많이하는데 왜 왜 거리는 경우 많은데...
    나도 20대엔 그랬음.
    근데 지금 와서 보면, 실제로 일은 내가 더 잘해놨음. 굵직한건 더 많이 했음.
    그래서 난 실적제인데서 일하는게 편함.
    실적제 아닌데서는 더 길게 근무하고 일은 내가 더 잘했는데 괜히 동료들 미움만 받고 정치질만 당함.
    실적제인데서는 깔끔함. 실적이 모든걸 말함. 누가 일 더 잘하는지 회사에 도움이 되는지 다 정리됨. 근무시간도 짧고 돈은 더 많이 벌고 쓸데없는 정치질에 인간관계도 안 생기니까 마음도 편하고 출근 싫어지고 고통받는 일도 없음.^^;;

  • @user-ow6km1qy9m
    @user-ow6km1qy9m Před 3 měsíci +2

    그냥 갑을 친구로 두고 동급 안에서도 갑을 친구로 두란 가잖아...

  • @user-wj9cs7zb2n
    @user-wj9cs7zb2n Před 3 měsíci +1

    게으른게 아니고 불필요한걸 안하는것뿐..

  • @user-yo1fv1uw6l
    @user-yo1fv1uw6l Před 3 měsíci

    2:45 반드시 그렇다고볼수는없습니다 ㅋㅋㅋ

  • @freesia4597
    @freesia4597 Před 3 měsíci

    일이든 공부든 뭐든 선택과 집중임!! 그리고 효율극대화..!! 이것만 구분해도 본전이상은 함...!! 꼭 일 못하는 사람들이 온갖 쓰잘때기 없는 신념이 어쩌고 저쩌고 헛소리하면서 삽질함

  • @user-rf9mv7du5s
    @user-rf9mv7du5s Před 2 měsíci

    노력의 양이 아니라 효율이다

  • @paperbox2545
    @paperbox2545 Před 3 měsíci +8

    생명과 직결된 부분은 백프로로 하세요

    • @user-be4fw5ni4t
      @user-be4fw5ni4t Před 3 měsíci +4

      저도 메디컬 분야 근무합니다!ㅋ 완벽하게 만들지 않으면 사람이 사망해요.... 사람이 사망하면 회사가 큰일나요

  • @nyx3439
    @nyx3439 Před 4 měsíci +21

    무늬만 친구일뿐 상대도 나를 친구로 여기지 않는것 같아 삭제해버린 사람들 꽤 있음...자기들이 뭐라도 되는 줄 앎

    • @cchocopie
      @cchocopie Před 3 měsíci +4

      그렇게 싸잡아서 생각하는것도 문제인데요
      20년 후에 어느 길가에서 반갑게 마주하면 이 댓글 어떻게 주워담으려고
      반은 맞고 반은 틀립니다

  • @BenjaminWSong
    @BenjaminWSong Před 3 měsíci

    열심히 하는 80% 보다 제대로 하는 20%가 되라..

  • @user-ou2xy4cg5x
    @user-ou2xy4cg5x Před 3 měsíci +2

    이 유투브도 8:2 법칙으로
    1분 13초만 보자

  • @whale_and_oceon
    @whale_and_oceon Před 3 měsíci

    요약 : 중요한 일에 집중하자

  • @gandaganda544
    @gandaganda544 Před 2 měsíci

    당연하긴 하지 효율..

  • @meansix8157
    @meansix8157 Před 3 měsíci +1

    주: 전형적인 ENTJ 형이다

  • @user-ox3gi4rc3l
    @user-ox3gi4rc3l Před 3 měsíci +33

    문제는 나머지 80퍼센트를 누군가는 대신 해줘야한다는거

    • @dolgum826
      @dolgum826 Před 3 měsíci +1

      20%가 되세요.

    • @user-dd1jz1hs9n
      @user-dd1jz1hs9n Před 3 měsíci +1

      ㅈㄹ ㅋㅋ그 80은 안해도 되는건데 꼴깝은

    • @kkangidang
      @kkangidang Před 3 měsíci

      알바를 쓰세요 모든일을 자기가 하려는거 자체가 망하는 지름길

    • @user-ep8ev2ww4n
      @user-ep8ev2ww4n Před měsícem

      바닥들이 해야지.
      항상 현실이고 댓글이고 징징징징거리는 징징이들

  • @gtoe473
    @gtoe473 Před 2 měsíci

    고인하는시간이 남들이 볼때 노는 것처럼 보일수 있음

  • @user-dh8tx5po5x
    @user-dh8tx5po5x Před 3 měsíci +2

    그래서 이 영상도 80% 센트만 보ㅇ

  • @gilee8947
    @gilee8947 Před 3 měsíci +1

    20퍼센트의 노력으로 80퍼의 성과를 내는법은 사실 20퍼센트라도 일을 하는게 아닐까..

  • @user-qz7mf2hv4s
    @user-qz7mf2hv4s Před 2 měsíci +1

    대부분 사람들은 20%의 중요한 일이 뭔지 모른다는게 문제

  • @user-ve4fq6bu7o
    @user-ve4fq6bu7o Před 3 měsíci +1

    80%의 세후 금액과 20%의 세금과
    비슷한 느낌이군
    젠장

  • @intaechoi6996
    @intaechoi6996 Před měsícem

    식단관리에서 공감하는게
    1년전에 93kg이었는데 일주일에 운동 3-4회, 야식 안먹고 치킨 족발 한두번 먹어도 유지됨 그러니깐 뭐 끊고 뭐 안먹고는 개인자유겠지만 요요현상에 주범임

  • @abc-xp1to
    @abc-xp1to Před 3 měsíci

    내가버린 나머지 20%를 해결해줄 무언가가 마련되어있어야 가능한말이지

  • @keunteacher
    @keunteacher Před 3 měsíci +1

    20%가 되어 일을 잘하는 티를 내면 80%치 일을 추가로 받는 것이 현실. 그냥 직원이라면 빨리 끝냈으면 뭐라도 하는 척 해야지 부당한 일 당하지 않음.

  • @user-rn8kc3wl4v
    @user-rn8kc3wl4v Před 3 měsíci +2

    여기는 미국이 아니라 한국이라서 자신의
    능률성등 재능 쉽게 노출시 주변 질시물론
    국가한 테 과세 등 견제 받을 수 있음 조심.
    그것을 발휘못하면 돈 못번다면 이민모색.

  • @user-fg3tt2mc7r
    @user-fg3tt2mc7r Před 25 dny

    내가 어렸을때 이 영상을 봤다면 얼마나 좋았을까
    완벽에 집착하는게 얼마나 불필요한 일인지 말이 아니라 감각으로 깨달은게 35살이 넘어서인데...

  • @vanilla_tte
    @vanilla_tte Před 3 měsíci

    대충살아도 좋아하는거에 손떼긴 힘들거든요

  • @user-df3cz9pc2u
    @user-df3cz9pc2u Před 3 měsíci

    오래전 인간다큐 방송에서 부모에 의해 태생적으로 저 법칙을 갖추고 어머니가 사고로 돌아가신 초등 6년부터 효율적으로 살아온 여고생을 봤는데 익숙하지 않은 걸 스트레스 받으며 쓰는 것과 차이가 있을지도

  • @user-to7hs3yi4s
    @user-to7hs3yi4s Před 17 dny

    난 내가 뭘 좋아하고 뭘 싫어하는지도 모르겠다. 좋아하는게 있나?

  • @user-xn1kd2pe2w
    @user-xn1kd2pe2w Před 4 měsíci

    👍👍👍👍👍

  • @Hohye0n
    @Hohye0n Před měsícem

    20%시간에 열심히 일하면 나머지 80%시간을 편하게 보낼 수 있다.

  • @ForUGoodNight-fh2ru
    @ForUGoodNight-fh2ru Před 2 měsíci

    일을 더 받는 건 호9 인증이기도 합니다.ㅎ

  • @CanCerKim
    @CanCerKim Před měsícem

    성실한 멍청이를 위한 책

  • @davidshin1508
    @davidshin1508 Před 3 měsíci

    완벽주의 버리자

  • @xyzan4220
    @xyzan4220 Před 3 měsíci

    문제는 일을 못하는사람들 공통특징은 1+1이 뭐냐는 질문에도 스트레스받고 너무하니 완벽주의니 남발한다는것

  • @jypaik2000
    @jypaik2000 Před měsícem

    일을 잘한다 -> 더많은 일을 부여 받는다 ~~> 성과는 많지만 경제가 안좋아서 임금은 동결된다

  • @user-id8yo3cg8v
    @user-id8yo3cg8v Před 2 měsíci

    근데 이러면 어느정도 까지는 빠르게 성과를 볼 수 있겠지만 언젠가는 벽에 부딪히고… 최고는 될 수 없음

  • @user-me9ec3bq3l
    @user-me9ec3bq3l Před 3 měsíci +1

    나도 이걸알기때문에 불량품와서 반품할때 안따짐ㅇㅇ

    • @dolgum826
      @dolgum826 Před 3 měsíci +1

      님도 그걸 아시는 군요. ㅎㅎ 저도 안 따지고 바꿔줌.

  • @lsmap86
    @lsmap86 Před 2 měsíci +1

    그래서 재생도 1.25배로 했드아

  • @gong-_-
    @gong-_- Před měsícem

    오…

  • @user-bm3zr6ws1o
    @user-bm3zr6ws1o Před 2 měsíci +1

    굳이... 저걸 무슨 다 적용하고 있냐 각각 상황과 관계 특징들에 따라 다 다른거지...

  • @user-wr3cw9sc7v
    @user-wr3cw9sc7v Před 3 měsíci +3

    중간에낀상태라 ㅈ같음 어느하나 중요하지않은게 없고 아몰랑하면 지장생기는것뿐이고 시간은 부족한데 일은 뭔가가 갑자기 계속생기니 반쯤 케세라세라중 완벽히한다고 돈더주는것도아니고 모티베이션 안생김

  • @user-os3tg7td4w
    @user-os3tg7td4w Před 3 měsíci +10

    완벽주의특징은 행동력이 상당히 약함

    • @superduke1290RR
      @superduke1290RR Před 3 měsíci +3

      그건 완벽주의가 아닙니다.. 그냥 게으른거지요

    • @user-jd9bv4qj5f
      @user-jd9bv4qj5f Před 3 měsíci +7

      댓글분 말이 맞습니다. 완벽주의는 실행전에 이것저것 다 따집니다. 그 따지는 시간에 행동하면 그게 더 효율적인데도 성격상 그렇게 안 되죠..대표적인 예가 인터넷 쇼핑할 때 최저가 찾기, 다이소 같은데 가면 저렴한 거 있는지 매장 전체를 뒤지기 등등...그거 할 시간에 생산적인 일을 하면 더 좋은 걸 살 수 있는데 말이지요...

    • @skpark-fn7rl
      @skpark-fn7rl Před 3 měsíci

      @@superduke1290RR 완벽주의의 한 형태가 맞습니다. 완벽주의를 긍정적으로 활용했을 때는 역사에 남을만한 뛰어난 모습을 보일수도 있지만, 대부분 완벽주의는 강박증의 한 형태로 작용하면서 자기가 원하는 완벽한 환경이나 조건이 아닐 시에는 일을 포기하거나 더 나은 선택이 없는지 갈등하면서 행동력이 떨어지죠. 완벽주의란 말은 모든일을 완벽하게 해낸다는 말이 아닙니다. 모든상황에서 완벽한 상태가 있다고 생각하면서 사소한것도 그냥 지나치지 못하고 더 나은 선택이 있다고 생각하는 겁니다. 근데 그런 완벽한 인간이나 환경은 절대로 없고 그런 인지부조화로 스트레스를 받으며, 이 스트레스를 피하기 위해서 애초에 아무것도 선택하지 않는 모습도 자주 보입니다. 납기나 마감등 기한이 정해져 있는 일을 진행하다가 중간에 발견한 사소한 결점 하나를 못참아서 프로젝트나 결과물을 뒤엎고, 결국 기한내에 제대로 마무리를 못하면서 참혹한 결과를 내기도 합니다. 즉 선택과 집중을 잘 못하는 겁니다. 이러한점을 긍정적으로 활용해서 철저한 계획과 능력으로 뛰어난 결과물을 내는 사람은 사실 극소수입니다. 완벽주의라고 하면 뭔가 좋고 긍정적인거 같이 들리지만, 사실 강박증의 일종이고 정신적인 질환에 가깝습니다.

  • @user-ce6bb9sz1v
    @user-ce6bb9sz1v Před měsícem

    회사에서 이런거 흉내낸다고 일만저지르고 부수적인 문제는 남한테 넘기는 사람이 꽤많음
    같이 일하기 진짜 별로임

  • @user-vr3vc8xx8b
    @user-vr3vc8xx8b Před 3 měsíci +1

    5:12 ??? : 내가 먹은 음식의 20%는 살찌는 음식이고 난 돼지다

  • @SHChoi-qr8lt
    @SHChoi-qr8lt Před 24 dny

    그럼 100% 노력하면 400% 성과를 내는군. 세상을 바꿀 수 있는 인재가 되겠어 ㅋㅋ

  • @user-oe3gn8jp9i
    @user-oe3gn8jp9i Před 3 měsíci +1

    파레토의법칙 파레토가 농부였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