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이 많으면 행복할까? 빈부격차가 생기는 원인 | 책추천 | meritocracy trap | 조승연 작가

Sdílet
Vložit
  • čas přidán 3. 02. 2020
  • 오늘은 지금 읽고 있는 책의 내용 즉흥적으로 여러분과 나눠 봅니다.
    예일법대 교수(daniel markovits) 쓴 meritocracy trap이라는 책인데요!
    극심해지는 빈부격차의 원인과 중산층 몰락,
    여유없는 엘리트를 만드는 사회를
    전혀 새로운 방식으로 설명합니다.
    여러분 의견은?
    배우는 즐거움이 있는
    본격 취미 탐구 라이프 채널!
    조승연의 탐구생활 🕵🏻‍♂️
    #조승연 #조승연작가 #빈부격차 #meritocracy trap

Komentáře • 3,7K

  • @user-ov3us4dj5o
    @user-ov3us4dj5o Před 3 lety +587

    촌에 사는 고등학생이라 질 좋은 교육을 받을 기회가 많이 적습니다. 호기심과 질문은 끊임없이 생기는데, 이야기 나눌 사람과 새로운 이야기를 학습할 책들이 절대적으로 부족해서 많이 답답했습니다. 그런 저에게 이러한 채널은 정말이지 오아시스같은 존재입니다. 숨통이 트이는 느낌이예요. 지금은 이렇게 일방향적으로 이야기를 듣지만, 언젠가 조승연님, 다른 사람들과 모여 함께 이야기하고 토론하는 기회를 꿈꿔봅니다.

    • @user-ri5su4sv6u
      @user-ri5su4sv6u Před 2 lety +54

      60이 다 돼 가는 나이지만 마치 내 어릴적 학창시절을 얘기 하는것 같네요 그러나 요즘은 이런 유튭이라도 있는 세상이니 얼마나 좋아요
      항상 노력하면 언젠가 내가 그 자리에 간다는것,,,화이팅 하세요!~~^^

    • @toplmw7
      @toplmw7 Před 2 lety +46

      학생분이. 말씀을 참 예쁘게 하시네요! 늘 건강하세요!

    • @hanun114
      @hanun114 Před rokem +8

      화이팅!

    • @flysohigh3690
      @flysohigh3690 Před rokem +31

      서울이라고 질좋은 교육을 하지 않습니다. 혼자 공부하고자 하면 못할게 없는 세상입니다. 화이팅하세요~

    • @consilience0
      @consilience0 Před rokem +26

      ​@@flysohigh3690 요즘 세상에 지역에 따라서 교육의 질이 크게 다르진 않다는 말은 반은 맞고 반은 틀린 말 같습니다. 정규교육이야 크게 다르진 않겠지만 인프라적인 면에선 수도권이 압도적으로 좋은건 어쩔 수가 없어요 최근에 합스부르크 600년 전시회도 그렇고 지방에 살면 전시회 보려고 케이티엑스 타야하니까... 지방러들은 그런게 좀 힘든 점이 있죠 ㅖ

  • @Alice-nb9kg
    @Alice-nb9kg Před 4 lety +958

    이런 내용을 대학에서 배워도 등록금이 아깝지 않을텐데 심지어 유튜브에서 무료로 볼수있다니 너무나도 감사드려요.

    • @Umai952
      @Umai952 Před 3 lety +45

      저도 진짜.. 대학교에서 왜 이런걸 안가르쳐주는지 ㅋㅋㅋㅋㅋㅋ

    • @user-vy7ef7xj3k
      @user-vy7ef7xj3k Před 3 lety +38

      대학에서는 못배우는데 유튜브에서 배울 수 있어서...돈아깝ㅎㅎ

    • @sakoa4532
      @sakoa4532 Před 3 lety +20

      이거 반만 되도 좋으련ㅋ

    • @user-gq9oo1fx3v
      @user-gq9oo1fx3v Před 3 lety +18

      대힉에서 교육기관인 스스로를 부정하는데 왜 알려줍니까.

    • @yg9174
      @yg9174 Před 2 lety +3

      @@user-gq9oo1fx3v ㄹㅇㅋㅋ 대학이 학생들한테 너네 걍 부모 잘만나서 대학 들어온거고 앞으로 공부 열심히해서 돈은 많이 벌지만 행복하지는 않은, 너 자신을 착취하는 인생을 살게 될거다~ 이래버리면...

  • @pureboy1228
    @pureboy1228 Před 3 lety +1188

    "불행해지는 엘리트와, 가난해지는 중산층" 정말 무릎을 탁 치게 만드는 challenge네요, 좋은 강의 잘 들었습니다.

    • @user-qh7ee3rw6t
      @user-qh7ee3rw6t Před 3 lety +59

      난 울더라도 요트와 비행기에서 울고싶다

    • @JesusLovesYouAlso
      @JesusLovesYouAlso Před 2 lety +12

      @@yoosxn ㄹㅇ 대깨문만이 교양있는 지식인인데 국민의힘 뻑가 이런 친일일베 목록만 구독하고 자빠짐

    • @user-lk5qt2hd1c
      @user-lk5qt2hd1c Před 2 lety +3

      아니 이러캐ㅜ말을 잘하기는데 정리하지 않은 생각이라뇨 다음애 책 추천도 해주세요

    • @user-yd2ny1mb3m
      @user-yd2ny1mb3m Před 2 lety +23

      @@JesusLovesYouAlso 조국 옹호하는 채널정도는 구독해야지 지식인이라고 말할수 있지 ㄹㅇㅋㅋ 대깨문도 아니면서 교양있는척을 다하네ㅋㅋㅋㅋ 요즘 탈원전 정책 추진하는거 보면 국뽕이 막 차오르는데 정상 맞지?

    • @user-oe7hz4he3x
      @user-oe7hz4he3x Před 2 lety +9

      @@user-yd2ny1mb3m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너는 아군인거 알겠는데 쟤는 모르겠다

  • @yeojeongshin8738
    @yeojeongshin8738 Před 3 lety +790

    과거에 비해 사회는 나름 공정해졌는데, 왜이렇게 사는 것은 빡세지고 행복감은 요원한지를 알게해주셨네요- 지금 상황은 인생을 즐기기 위해서라기보단 도태되지 않기 위해 모두가 전력질주하고 있는 느낌이라 슬프네요.

    • @naandmi1761
      @naandmi1761 Před 2 lety +39

      공정해진거처럼 보일뿐이지 사실 공정하지않다는 말인데요...

    • @user-pq6ov6mf2n
      @user-pq6ov6mf2n Před rokem

      @우주 그나마 검찰이 있고 세습권려과 조폭이 적어서 타국에 비해 공정했던겁니다. 지난정권 줄줄이 있었던 사망사건부터 해결되면 좋겠습니다.

    • @user-yr6rc4hb4g
      @user-yr6rc4hb4g Před rokem +1

      공감합니다

    • @davidjacobs8558
      @davidjacobs8558 Před rokem +10

      과거엔 계층사회였고, 상위 계층 아닌 다수의 사람들 한테는, 원천적으로 기회 자체가 주어지지 않았으니까.
      그러니 하층민들은 경쟁에 끼어들 기회자체가 주어지지 않았고, 밑바닥 인생으로 살다가 갔으니까.
      지금은 하층민들 까지 다 고등 교육을 받고, 모두가 경쟁에 뛰어든거지.
      그 차이다.

    • @davidjacobs8558
      @davidjacobs8558 Před rokem

      한국 교육의 문제는, 머리나쁜 애들까지 죄다 대학에 진학 한다는데 있는것이다.
      옛날엔 중학입학 시험, 고등학교 입학시험, 대입시험 에서 다 떨어져 나갔을 둔재들이,
      지금은 지잡대, 지잡대학원, 해외 유학(이라고 쓰고 언어연수라고 읽는다) 까지 어거지로 가니까
      머리나쁜 애들이 어거지로 고등교육을 받으니까 문제가 벌어지는 것이다.

  • @paperbob
    @paperbob Před 4 lety +1780

    빈민층은 가난에서 벗어나기 위해계속 일해야하고
    중산층은 빈민층과 같은 취급을 받지않기위해 계속일해야하고
    최상위층은 본인이 곧 공장이라서 계속 일해야하는 상황이 돼버린 거군요

    • @user-ny8zx1bh7c
      @user-ny8zx1bh7c Před 4 lety +125

      빈민은 촤하층에서 죽어나가고 중산층은 그 빈민층을 채우고 최상위층은 열심히 일하는데 중요한게 뭔지도 모르고 토로할 사람이 없는 상황.

    • @user-tp8ns2cq8i
      @user-tp8ns2cq8i Před 3 lety +27

      @@user-ny8zx1bh7c 일은.. 무언가를 벗어나기 위해 하는 일이 되버리면 안되는 것 같아요..

    • @waterway2300
      @waterway2300 Před 3 lety +72

      빈민층도 두 부류로 나뉘어질 것입니다.
      바쁘게 일하면서 가난한 빈민, 바쁘게 움직이니
      가난을 인지하지 못하는 것이지요.
      또 하나는 일이 없거나 일을 할수없는
      전형적인 가난한 빈민.

    • @user-zo1fm2ft8h
      @user-zo1fm2ft8h Před 3 lety +17

      그런 생각 많이 해요 행복을 위해 일을 하지만 삶과 발란스를 맞출 수 없는 현실에 결과적으론 행복하지 않은 현재를 살아가고 있죠.

    • @bigzynzoogangB
      @bigzynzoogangB Před 3 lety +16

      분명 회사는 큰 돈을 벌며 변화를 가져왔지만 긍정적 변화를 받는 사람은 없는 아이러니한 경험이 있습니다. 추억도 없었으면 아무것도 아니었을뻔 했습니다

  • @JaegwangLee
    @JaegwangLee Před 4 lety +3194

    와...진짜 이렇게까지 깊은 수준의 리뷰를 돈 한푼 안 내고 볼 수 있다는게 너무너무 감사할 따름입니다ㅠㅠ
    앞으로도 좋은 영상 계속 기대하겠습니다!

    • @aug119
      @aug119 Před 4 lety +24

      동감이고 감동입니다

    • @gojust9818
      @gojust9818 Před 4 lety +26

      공감합니다. 이해하기 매우 쉬우면서도 진짜 높은 수준의 영상이네요.

    • @user-ce5hy5hb5y
      @user-ce5hy5hb5y Před 3 lety +20

      그래서 유튜브가 윈윈인 플랫폼.

    • @sooyoungchun3201
      @sooyoungchun3201 Před 3 lety +2

      유튜브는 구글거..윈윈 플랫폼은 맞는데, 광고 수익(자본)은 구글로 갑니다...

    • @myeongm
      @myeongm Před 3 lety +4

      광고 보면 됨

  • @user-jh1kp5be9c
    @user-jh1kp5be9c Před 3 lety +779

    모든 계층 모든 계급이 사실 스스로를 착취하는 이유는 단 하나.
    돈으로 벌어들일 수 있는 행복의 크기보다 돈이없어서 뺏길 행복들에 대한 불안감이 더 커서 그럼

    • @Skssjdd-rm8rt
      @Skssjdd-rm8rt Před 3 lety +12

      크 맞네요

    • @user-zt3sb4zf7o
      @user-zt3sb4zf7o Před 3 lety +2

      @@Skssjdd-rm8rt 옳은 말씀입니다.

    • @hey__you
      @hey__you Před 3 lety +15

      어느 부분에선 또 아닌것같아요. 제 생각에 몇몇 경영자들은 자기가 결국 회사이기 때문에 자신이 망하면 직원들이 다 망하는 거니까... 회사라는건 마이너스 성장을 하면 안되니까... 더 착취를 하고 그러는 거라고도 생각이 들거든요.

    • @user-hr9pd6
      @user-hr9pd6 Před 3 lety +2

      크 공감

    • @simplecooking874
      @simplecooking874 Před 3 lety +2

      공감합니다

  • @ireney6137
    @ireney6137 Před 3 lety +102

    '공부를 통한 신분 입증'하는 '집착'이라는 말에 많은 공감을 하고갑니다. 저도 저 자신을 증명하기 위해 많은 집착을 했던 것같아요. 하기싫은데도 억지로 해왔던 공부들이 많죠.

  • @user-xl4td1vp7j
    @user-xl4td1vp7j Před 4 lety +288

    심리학 전공하는 친구랑 이야기 하다 보니 현대 사회는 사람을 극한의 효율로 착취하는 방향으로
    연구한다고 듣고 생각해보니 참 끔직하내요

    • @ismgroov4094
      @ismgroov4094 Před 3 lety +13

      ㄴㄴ 원래 그렇게 인적자본은 투입되었음. 별새로운거 아님.

    • @hlukhong
      @hlukhong Před 3 lety +3

      그게 왜 끔찍해요 ㅠ

    • @hlukhong
      @hlukhong Před 3 lety

      @@user-nx4cw3fw9d ㅠㅠ 글부터 제대로 쓰세요 ㅠㅠ

    • @user-nx4cw3fw9d
      @user-nx4cw3fw9d Před 3 lety

      @@hlukhong 어떻게 글도 이해못하나봐 ㅠㅠㅠ 멍청

    • @hlukhong
      @hlukhong Před 3 lety

      @@user-nx4cw3fw9d 과한 노동력으로 자살을 하는건 뭐야 시발 땀을 뻘뻘 흘리면서 죽냐

  • @her8835
    @her8835 Před 4 lety +1405

    와 저 진짜 댓글 안 다는데 너무 완벽한 영상이네요... 비정상회담 보다가 여기까지 왔는데 너무 재밌고 편집도 눈에 너무 잘들어와요.

    • @Jiddi81
      @Jiddi81 Před 4 lety +18

      저도 비정상회담 보다가 여기까지왔어요!!

    • @Seongsmallworld
      @Seongsmallworld Před 4 lety +7

      저도요ㅋㅋㅋㅋㅋㅋ

    • @Lhee-lc8pe
      @Lhee-lc8pe Před 4 lety +6

      저돜ㅋㅋ케

    • @ismgroov4094
      @ismgroov4094 Před 4 lety +3

      야 인정

    • @Rimester
      @Rimester Před 4 lety +8

      저 역시 비정상회담 조승연 작가편을 보다가 영상 추천으로 여기까지 왔습니다. 정말 유투브 영상 보면서 이렇게 집중에서 보는 영상은 처음이네요. ^^

  • @be2ji534
    @be2ji534 Před 2 lety +59

    부모가 나에게 투자를 해서 유산을 물려줌에 따라 나의 커리어가 발전되고, 연봉이 높아져 가야 하는건데, 불행해져버린 중산층 엘리트와 가난한 하층민과의 차이가 없어 더 불행해졌다는 것에 너무나도 공감합니다..ㅜㅜ 채널 너무 좋아요♡

  • @what-hp1by
    @what-hp1by Před 3 lety +61

    와우.. 한병철의 가 떠오르네요..
    두 책 모두 현대사회가 조장하는 무제한적 자기착취가 사람을 탈진시키고 나아가 불행하게 만드는 근원이라는 것을 지적한다는 점에서 상통하는 듯 하네요.. 잘 봤습니다🙏

    • @ghgh9735
      @ghgh9735 Před 2 lety +22

      무제한적 자기착취가 결국 출산율의 저하로도 이어지는 것 같아요. 정부에서 아이를 낳으면 얼마 지원해주겠다 이런 것은 해결 방안이 안될 것 같다는 생각이.. 뭔가 사회 전체가 바뀌어야 할 것 같은데 해결방안이 궁금하네요ㅠ

  • @musik989ful
    @musik989ful Před 4 lety +499

    이런 양질의 컨텐츠를 무료로 볼수있다는 현실에 감사하다는것을 깨달을때쯤, 이또한 엘리트층의 생산물이자 자양분이라는 사실이 더 놀랍네요

    • @user-jh8xx6cb9e
      @user-jh8xx6cb9e Před 4 lety +47

      Troika Kim 말씀하신 부분에 어느정도 동의하면서도 조승연 작가가 온전히 엘리트들이 가는 트랙과 같지 않다는 점에서 다르게 생각을 해요. 갑자기 힘들어진 유학 시절에 독서에 눈을 뜨고, 그곳으로부터 조승연 작가의 콘텐츠가 시작된 것이니까요. 뉴욕대라서 가능했던 것은 아니라고 볼 수 있을 것 같아서 댓글 남기고 갑니다.

    • @sunhwahur4310
      @sunhwahur4310 Před 4 lety +27

      서튜디오 안녕하세요~ 저는 Troika Kim님의 의견에 동의합니다. “엘리트”를 어떻게 정의하는데 따라 다르겠지만 어원 상 “elect”에서 본다면 엘리트란 특정 기준에 따라 선택 받은 자일텐데 명문대라는 기준을 통과한 그리고 거기서 수학한 자로 본다면 조 작가님도 엘리트층의 일부라고 봅니다. 다만 작가님은 말씀대로 보통 일반적인 엘리트층이 선택하는 길이 아닌 다른 길을 선택하신 것 같은데 왜 이런 선택을 하신지는 개인적으로 궁금하긴 합니다. 단지 경제적 이유나 책 때문은 아닌 것 같습니다만 어쨌든 이런 책을 읽고 분석하고 본인만의 생각을 공유해서 화두로 던진다는 것은 소위 엘리트 교육을 받았다고 볼 수 있는 작가님만이 할 수 있는 생산물이라고 생각합니다 ^^

    • @ghydn9261
      @ghydn9261 Před 4 lety +29

      이분말씀은 유투브라는 새로운 세계, 나아가 스마트폰이란걸 만든 엘리트들을 말하는것같은데요..

    • @sunhwahur4310
      @sunhwahur4310 Před 4 lety +4

      즈말티 아하~ 즈말티 님 말씀대로 일 수도 있겠네요 ^^ 댓글 주셔서 고맙습니다 :) 다른 분들 댓글 읽는 것도 재밌고 도움 되네요. 좋은 하루 보내세요~

    • @frankjung1993
      @frankjung1993 Před 4 lety +4

      그 핸드폰도 통신망도 엘리트가 만든거란다. 알아차렸으니 얼마나 속아왔는지 돌아보렴.

  • @dimmorashuvant3784
    @dimmorashuvant3784 Před 4 lety +217

    부처님이 말했지,,, 사람은 거지든 부자든 똑똑하든 멍청하든 누구든 결국 고통스러운 삶을 산다고 돈 없으면 가난해서 고통스럽고, 부자면 잃을까봐 두렵고, 똑똑하면 모르는것때문에 슬프고 멍청하면 몰라서 괴롭고,,, 오직 이 고통들을 뛰어넘는 자만이 부처가 될수 있지......

    • @user-wk6jh8bc8g
      @user-wk6jh8bc8g Před 3 lety +12

      그래서 복과 지혜를 함께 닦으라 하셨죠. 지혜는 누구나 바라지만 그냥 얻을 수 있는 것이 아니고 수행을 해야겠죠. 동감합니다

    • @user-yf9ze3oy3j
      @user-yf9ze3oy3j Před 3 lety +16

      그렇지만 똑똑한애가 몰라서 괴로운것이 멍청한애가 몰라서 괴로운것과 같을까? 돈이 없는 사람이 받는 고통이 돈이 있는 사람이 받는 고통보다 훨씬 심하다 이건 내가 장담한다

    • @user-ll8ch2ul3s
      @user-ll8ch2ul3s Před 3 lety

      @@user-kw1zf7lz4f 스트래스의 최고봉! 공항장애가 가난한자와 부자의 비율이 어느쪽이높을까 궁금하네요

    • @user-do6ef7fd9t
      @user-do6ef7fd9t Před 3 lety +1

      @댕댕이가세상을구한다 같은 식이면 아프리카에서 굶어죽는 애들은 님을 부자라고 생각함 님은 그럼 행복하심? 님도 더 위를 바라보고 밑을 보면서 행복해하진 않자나여

    • @loveasmuchasyoucan
      @loveasmuchasyoucan Před 3 lety

      🙏🏻🙏🏻🙏🏻

  • @user-ft3pc5bt4e
    @user-ft3pc5bt4e Před 2 lety +124

    강의 잘들었습니다. 공부잘하면 무조건 의대가 목표인 우리나라 학생들이 그냥 이해가 안됬는데 강의를 들으니 이해가 갔습니다.
    고능력자들이 적성에 맞게 다양한 직업을 선택할 수 없는 사회가 되어 버렸다는 관점이 매우 설득력 있네요.

  • @user-iq4zf1th6y
    @user-iq4zf1th6y Před 3 lety +97

    이렇게 고급진 강의를 진짜 무료로 봐도 되는지 미안할정도에요 ㅠㅠ 한편도 안빼놓고 다 봤어요 작가님 정말 감사합니다! 존경합니다!

  • @user-jh8xx6cb9e
    @user-jh8xx6cb9e Před 4 lety +632

    조승연 작가 채널이 참 좋은 건 조 작가님이 심도 있는 화두를 던지고 나면 그에 준하는 생각꺼리를 댓글로 주고 받을 수 있어서다. 너무도 많은 국내 지식셀럽(?)들 채널 댓글에서는 미처 볼 수 없는 모습이다. 그저 찬양하고 물고 빨아대는 더 얘기할 것이 없는 상황이 연출되는 것 말이다.
    여기서 조작가 콘텐츠의 힘을 본다. 불순한 의도는 거의 담기지 않고, 그 화두에 자신이 먼저 깊이 몰두하고 그에 대해 공유하고자 하는 태도. 그 모습에 사람들은 자연히 입을 열고 자기 생각을 꺼내어 대화를 나눈다. 지금의 한국을 살면서 너무도 목마른 선순환이고 해갈이다.
    소위 지식셀럽들 사이에도 너무 많은 팬덤 문화가 생겼는데 조 작가 채널은 늘 이렇게 청정구역으로 남아서 건강하고 생산적인 댓글들이 넘쳐나길 기대해본다. (이렇게 각잡고 댓글쓰는 것도 첨이다.)

    • @user-iy5bw4cr7l
      @user-iy5bw4cr7l Před 4 lety +13

      공감합니다 👍

    • @user-ye3ko9py5g
      @user-ye3ko9py5g Před 4 lety +5

      공감해요~

    • @user-cc8um2of6i
      @user-cc8um2of6i Před 4 lety +28

      맞는 말씀. 이렇게 한명이 생각해볼만한 주제를 던지면 여러명이서 자기 생각을 털어놓고 토론하고, 발전할 방법을 모색하는 게 앞으로 우리 사회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거라 믿습니다.

    • @timetotalk1413
      @timetotalk1413 Před 4 lety +5

      지당한 말씀입니다

    • @toreta4980
      @toreta4980 Před 4 lety +6

      진심?이라고 하면 뭔가 거창한 것 같은데, 진솔하게 풀어내는 이야기의 힘이 아닌가 싶어요. 공감합니다.

  • @user-sy9yo9zl6z
    @user-sy9yo9zl6z Před 4 lety +598

    상 - 창공은 높지만 공허하다.
    중 - 하늘은 높고 지하와 경계가 흐릿하다.
    하 - 지하는 익숙해져 맴돈다.
    흥미롭네요 이 영상과 채널
    정주행하겠습니다 :)

    • @user-hi9ch2mx8h
      @user-hi9ch2mx8h Před 3 lety

      1

    • @user-jr9kv8kc3w
      @user-jr9kv8kc3w Před 3 lety +2

      이 영상에 요약이 퍼펙트 ㅋㅋㅋ

    • @MaryM-zm9zw
      @MaryM-zm9zw Před 3 lety +1

      @fenom오 앚아요 현 시대는 그런 자구책이 더 절실. 최선일지 차선일지, 여튼 우선이겠죠

    • @MrSHIN335
      @MrSHIN335 Před 2 lety

      중요한것은 상= 고층건물 힐튼호텔에서 야경을보면서 식사도중 높지만 공허허다 아래 세계로 내려가 눈높이와 서비스와 문화를 즐겨볼까 생각하고 실천할수가있다
      하= 개고생하면서 오늘도 버텨냈다 하면서 높은곳을바라보며 맛난 식사와 소박한 술한잔 걸치며 높은곳으로 올라가보고싶다 그리고 생각하고 꿈꾸고
      그걸로 끝이다 해볼수가 없다 너가 성공하기전까지
      *요약 ...할수있는데 안하는거랑 못하는데 안하는거랑 다른것이다 차원이 다르다 거기에 중= 마음먹고 노력하면 중상이 되며 한치 힐수하면 중하로 추락한다
      중간이 없는것이다 내가 만약 중간에 있다 하면 무조건 선택의 시기다 살짝 판단미스면 추락 냉정한판단하면 중상으로 그 중이란 범위가 너무너무 크다
      결론 // 돈이많으면 행복할까? = 있는데 고민하는것과 , 없는데 고민하는것 간단히 정리하면 비슷한말같지만 위에 내용과 같다
      당연한걸로 어그로를 끄시는군요

  • @mapletree2812
    @mapletree2812 Před 3 lety +45

    정제해서 가다듬은 방송내용도 좋지만,
    이번처럼 공유하고 싶은 내용을 신속히 올리는
    날것의 방송이 더 신선해서 좋습니다.
    그리고, 떠오른 생각/정보를 빨리 전해주고
    공유하고자 하는 작가님의 배려가 더 돋보입니다.

  • @user-3jd6hek5h
    @user-3jd6hek5h Před 3 lety +38

    이 책을 이렇게 알기 쉽고 재밌게 설명해 주시다니.... 거의 쓴 사람 수준으로 이해하고 설명해주시네요. 👍 완전 뇌섹남

  • @user-us4py7gv2o
    @user-us4py7gv2o Před 4 lety +106

    정말로....
    직업이라는 것은 정말 자신이 즐길 줄 알고 앞으로도 즐길 수 있는 직업을 갖는게 좋을 것 같아요.
    우리나라는 아직까지 '좋은학벌=성공' 이라는 것이 강한 사회인데 이것이 '개인의 행복=성공'으로 바뀔 수 있으면 좋겠어요.

  • @user-tt2xn8fn4r
    @user-tt2xn8fn4r Před 3 lety +775

    번역은 완료 되었고 이라는 제목으로 10월 출간 예정이라고 합니다.

    • @jaemyungkim5226
      @jaemyungkim5226 Před 3 lety +24

      와. 번역자분들이. 이 리뷰영상을 점 봐야겠어요. 어그로 끌어서 독자를 모으려한걸려나. 제목이 너무 구린데요..

    • @user-lf7nz4hr7v
      @user-lf7nz4hr7v Před 3 lety +13

      @@jaemyungkim5226 제목 나쁘지 않은 것 같은데요 3번 포인트 인적 자본이라는 개념을 함축하고 있는 듯요?

    • @user-gb5jd3us1p
      @user-gb5jd3us1p Před 3 lety +10

      @@jaemyungkim5226 아주머니 제발 쉿..

    • @user-tt2xn8fn4r
      @user-tt2xn8fn4r Před 3 lety +6

      @@jaemyungkim5226 아무래도 출판사 입장에선 더 직관적으로 꽂히는 제목을 선호하긴 하죠. 아쉽긴 합니다.

    • @user-zs2ef5wq8c
      @user-zs2ef5wq8c Před 3 lety +1

      읽어봐야겠다!

  • @ddaemiri
    @ddaemiri Před 3 lety +19

    샌덜의 공정하다는 착각을 읽고 충격을 많이 받았어요... 그 계기로 이 동영상 까지 보았네요. 샌덜의 문제의식과 거의 비슷하네요. 자식 키우는 입장에서 참 많은 생각을 하게 하네요.

  • @iche0518
    @iche0518 Před 3 lety +95

    유튜브 한줄기의 빛. 매일 작가님 콘텐츠 조용히 보고가다가 이건 진짜 댓글을 안 달 수가 없어 남기고 갑니다! 조승연이라는 멘토를 유튜브를 통해 알게 된 것이 얼마나 다행인지.. 감사드립니다

  • @taewookrho9487
    @taewookrho9487 Před 4 lety +630

    조기유학을 보내주신 부모님께 너무 감사하지만 대학 졸업하고 와보니 집안은 휘청거리고 있고, 한국에서 공부한 중학교 동창들과 임금차이는 별로 없는 것을 보면서 제가 느끼던 것이 무엇인지 정말 잘 설명해 주셨네요. 감사합니다.

    • @jm-pi6cf
      @jm-pi6cf Před 4 lety +173

      넘쳐나는 자원으로 과한스펙 쌓는거랑 가족의 알게 모르게 희생으로 교육받은 거랑 차원이 달라요. 받는 입장에선 너무 부담스럽고 심해지면 죄책감이 들어서 평생 힘들어지는거 같애요. 제가 제 인생의 자녀교육관이 바뀌게 된 계기가 저와 제 주변에서 그런 경우를 많이 봐서 그런거 같애요. 자식을 어렵게 희생으로 키우면 자식이 압박감에 자기능력을 더 발휘 못하는거 같애요

    • @jm-pi6cf
      @jm-pi6cf Před 4 lety +123

      @@user-dk5qw1ze2u 성공의 기준으로는 과하든 말든 학벌높을수록 좋긴한데 행복의 기준은 정말 다릅니다~ 아직 30대중반이긴 한데 나이들수록 와~~~~ 행복한거 하고 물질적인거 하고 상관관계가 진~~~짜 없구나~~ 절대빈곤만 벗어나면 그 다음 행복은 다른차원같애요. 돈 있으면 행복할 확률이 높다!?? 그것도 신화같은 믿음은 아닐까 생각해봅니다

    • @janejoo2964
      @janejoo2964 Před 4 lety +25

      한국명문대에 졸업후에도 다시 수능쳐서 다시 한의대를 들어가는 (오늘정시발표)판국 미래 불확실성땜에
      있는것은 머리라서 승부 공부하는데
      큰돈들어갑니까
      해외 유학이 돈드는게 장난아니죠!
      다 각자 가정형편상 가는길이 다르죠

    • @pauline5089
      @pauline5089 Před 4 lety +23

      Tae Wook Rho 지금 유학중인데 이게 맞는지 고민하는 일인입니다

    • @taewookrho9487
      @taewookrho9487 Před 4 lety +6

      Pauline 영상에서 너무 잘 설명해 주셔서 부모님과 함께 보시고 상의 해 보시면 좋을 것 같아요! 하고 싶은 거 찾아서 꼭 해보세요!

  • @dinol5091
    @dinol5091 Před 4 lety +1228

    이런 새로운 관점의 얘기는 우리의 시각을 더 넓혀주는 것 같습니다! 그 주장이 맞든 틀리든간에 그것에 대해 논의하는 것 자체가 우리의 삶을 더 정확히 바라볼 수 있게 해주는 것 같아요! 오늘도 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ㅎㅎ 항상 잘 보고 있어요!

    • @pstarke1066
      @pstarke1066 Před 4 lety +54

      모든사람한테 성공을 강요하고 치열한 경쟁도 당연시함 그러니 경쟁자들에 의한 시기나 질투는 일상이고 낙오된 자들은 실패자란 딱지에 자포자기해서 자살률이 높고 멀쩡한 사람도 마음속에 정신병 울화병 하나씩은 갖고있는 사회
      경제력과 상관없이 행복지수는 늘상 하위권인 나라
      미국문화는 무조건 좋은거라고 떠받드니 안좋은점까지 그대로 흡수해서 그걸 고도화시켜버린 극단적인 천민자본주의 사회 ㅎ
      우리사회의 저런 문제점은 저도 늘 갖고있던 생각이지만 한국이란 나라에선 아직까진 급진적인 생각인듯요
      근데 더 큰 문제는 어릴때부터 인터넷을 해와서 저런 사회분위기에 빠르게 노출된 요즘 어린친구들은 저게 훨씬 더 심하다는것 예전엔 쉬쉬하면서 알면서도 모르는척하던게 요즘애들은 아예 대놓고 얘길하죠
      요즘애들 꿈이 건물주랍니다 기가차서 말도안나옴ㅎㅎ
      '정의' '가치' '개념' '기본'같은건 가식적인거라 무시해도 되는거고 오로지 '솔직함' '돈'이 최고의 가치가 되버린거죠
      그러니 부모직업에 집값 학벌까지 세분화시켜서 서열화시키고 그것도 모자라서 지역에 성별갈등까지 예전보다도 요즘이 훨씬 더 심한거같습니다

    • @user-bl6mq1rv4j
      @user-bl6mq1rv4j Před 4 lety +25

      G otha 저도 동의합니다. 성공과 실패를 너무 양극화 시키는것 같아요. 분명 노력하다가 안타깝게 안되는 사람도 있고 도전안하고 만족하며 사는 사람이 있는데 실패자들을 안좋은 시선으로 만드는것같아요. 그리고 요즘 어린친구들보면 sns를 통해서 명품브랜드나 사치행동들을 쉽게 접하니깐 어렸을때부터 명품들을 알고 쓰다보니 빈부격차를 일찍 느끼고 또한 영상에서 말씀하시는 것처럼 엘리트 자식에게 인적자본을 위해 교육을 일찍시키면서 편하게 못사는갓같아요. 이부분에서도 마찬가지로 빈부격차를느끼고요.

    • @user-qd2to4ol7m
      @user-qd2to4ol7m Před 4 lety +11

      그럼 왜 조선시대는 그렇게 지지부진했는지 다시한번 생각해봐야겠네요. 설마 세종이 계층사다리의 핵심 중 하나였던 한자를 두고 새로운 한글을 창제해서?🙊😂 최고존엄을 건드렸으니 악플 세례받겠네요. 근데 영국식 영어도 그렇고(posh) 프랑스식 그랑제꼴도 거진 세습과 비슷하고 그런데도 지금 보면 지지부진 하지 않나요. 오히려 아무것도 없던 한국이 미국식 자본주의 실력주의 받아들여서 이렇게까지 성장한거다 싶은데....하지만 좋든 싫든 다시 세습식으로 가게될겁니다. ai로봇이 활성화 된다면 많은 인간들이 단순직, 생산직, 심지어 서비스직 에서 물러나게될 것이고 사회는 잠시 혼란을 겪다가 인간보호 라는 명분으로 특정 직종을 인간만 할수 있도록 세습(이란 단어가 적절한진 모르겠네요 종 단위로 커졌으니 세습 2.0이랄까)화 하겠죠. 로봇이 활성화된다면 많은 것들의 비용이 획기적으로 낮아질 수 있을겁니다 그로인해 돈 놀이는 더 심화되겠죠. 아니 비용이 낮아지니 돈의 필요성도 낮아져서 일반생활엔 약간의 노동만으로도(혹은 기본소득듸 도입) 적자없이 생활할 수 있는 지경에 이르면 진짜 인문학적 식견과 안목 인간 개개인의 역량이 부를 결정짓는 사회가 될 수도 있습니다. 재밌는 미래네요

    • @miracle7days
      @miracle7days Před 4 lety +6

      @@pstarke1066 그런 맥락에서 북미에서 기생충이라는 한국 영화가 대박이 났다는 생각이 드네요. 이러한 면면을 너무나 강렬하게 보여주는 서사니까요.

    • @persu2099
      @persu2099 Před 4 lety +1

      ㅋㅋ좋은 댓글입니다 맞아요 우리가 평소생각하는 것 이외에 주제에 사고하는건 좋은 것 같슴다

  • @lisalee5391
    @lisalee5391 Před 3 lety +16

    돈이 많으면 행복할까라는 생각이 은연중에 자주 들곤 했었어요. 그런데 이렇게 책을 이용해서 빈부격차가 생기는 원인을 설명해주시고 정말 양질의 컨텐츠인 것 같습니다. '나 자신을 착취한다'라는 말은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공감할 것 같네요.

  • @paindoctorj
    @paindoctorj Před 3 lety +9

    상식에 대한 물음표를 가지고 자신의 관점에 근거를 제시한 책을 읽고 그 의미를 잘 전해주신 조승연님께 감사드립니다.

  • @soeul466
    @soeul466 Před 3 lety +88

    나 자신을 착취해야 한다.. 는 말이 너무 와닿았어요. 인적 자본과 상응하는 커리어를 가져야 한다는 말도 마찬가지구요. 세습보다 능력주의가 아이러니하게도 더 자유롭거나 행복할 수 없는 사회구조라니..

  • @queenkylie3439
    @queenkylie3439 Před 4 lety +140

    혼밥하면서 보기 제일 좋은 채널.. 밥먹는 시간조차 알차게 느껴진다

  • @Babyblue90
    @Babyblue90 Před 3 lety +42

    결국 현재에도 교육 유산으로 인해 엘리트는 세습되고 있고.. 과연 신분제도가 사라진 것인가.. 평소 하던 생각과 비슷한 부분이 있어 공감하고 갑니다. 많은 생각을 하게 하네요.. 앞으로도 좋은 책 소개 많이 부탁드립니다!

  • @hijonam
    @hijonam Před 3 lety +80

    명확하게 정의 할 수는 없었지만 아마 많은 사람들이 피부로 느껴지는 현재의 사회구조에 대한 공감대를 그토록 예리하게 연구 분석하여 출간한 책을 그토록 밀도감있고 일목요연하게 소개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번역본이 아직 안나왔다니 아쉽습니다. 다니엘 마코비치의 책을 원어로라도 하루 빨리 읽어보고 싶습니다.

    • @whshshssjs4053
      @whshshssjs4053 Před rokem +1

      원어로 읽으신다니 대단
      하십니다. 저의 인생철학?은
      부와 행복은 꼭 정비례 아닌듯
      해요. 살아보니 악착같은것도
      즐거움을 갉아먹는듯....적당
      주의 노인입니다.

  • @SmileAlyssa
    @SmileAlyssa Před 4 lety +668

    11:53 고학력자로서 깊은 동감을 하게 되네요
    "투자한 원금을 돌려받기 위해서 나 자신을 착취해야 하는 상황"

    • @hololo1452
      @hololo1452 Před 4 lety +29

      그래도 개돼지처럼 있으면 있는대로 없으면 없는대로 사는것보다는 나를 착취하면서 사는게 정신건강에 더 이로울것 같네요..저는요.. 물리자본 기준 흙수저의 비애임.

    • @persu2099
      @persu2099 Před 4 lety +4

      @@hololo1452 ㅋㅋ저도요~ 쯥 어쩌겠습니까 힘내야죠

    • @user-qy8lh7dd1c
      @user-qy8lh7dd1c Před 4 lety +49

      나 자신을 착취하지않으면 더 인생이 회의감으로 가득차서 고통스러워짐.
      덜 고통스럽게 하기위해서 나 자신을 어쩔 수 없이 착취해야되는 슬픈 현실인거 같아요.

    • @user-cb6mp4gz7w
      @user-cb6mp4gz7w Před 4 lety +22

      직업의 관점을 소득활동,커리어,소명 관점으로 볼때 소명을 가질 수 있는 직업을 가지년 셀프착취 라는 가슴아픈 관점에서 벗어날 수 있지 않을까용?!

    • @user-ok6em4nb3b
      @user-ok6em4nb3b Před 4 lety +28

      그래도 저는 직업인으로서 착취당할 노동시장이 있는게 낫다 생각합니다. 제 스스로는 일자리없는 중년이 무서워서 대학졸업 후 직장에 다니는 중이지만 재도전을 목표로 공부중이구요 착취당하더라도 좋아요. 일자리없어서 돈없이 놀게 되는게 더 무섭습니다

  • @hjc7894
    @hjc7894 Před 4 lety +307

    가난한 집보다 돈많은 집이 오히려 자식교육에 목숨거는 집 많죠... 결국은 능력위주의 사회에선 재산보다 그 재산활용하는 능력이 더 중요할터이니..

    • @seongjinkim9162
      @seongjinkim9162 Před 4 lety +16

      잘만가던데

    • @dmkim1796
      @dmkim1796 Před 4 lety +26

      되려 가난한 집이 자식교육에 눈돌아가있던데....
      돈많은 집은 그냥 어렸을때부터 돈순환을 그냥 몸으로 배우는듯

    • @ohsejun
      @ohsejun Před 4 lety +63

      어중간하게 사는 중상층이 교육 오짐...

    • @user-lx4kr9db4p
      @user-lx4kr9db4p Před 4 lety +26

      편견입니다. 가난한 부모들중에 학원? 공부? 그런거 생각 없이 애들 가르치는 사람이 태반이에요.

    • @ypark2733
      @ypark2733 Před 4 lety +4

      대한항공보면 그렇지도 않아요. 돈많아도 빡대가리도 많지요 ㅋ

  • @mogumogu321
    @mogumogu321 Před 3 lety +26

    감사합니다... ㅠㅠㅠ지적으로도 도움이 더ㅣ었지만 심적으로 엄청 큰 위로가 되어 주셨어요ㅠㅠ 발버둥치고 노력하고 잘해도 그 순간만 행복하고 늘 허하고 빈곤한 마음이었는데 논리적으로 제 감정을 타당화해주신 것 같아요...

  • @teddybear_7
    @teddybear_7 Před 3 lety +6

    이해하기 너무 쉽고 암튼 늘 이런 심도 깊은 이야기들을 많이 만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nayeongm
    @nayeongm Před 3 lety +353

    “나 자신을 착취해야 된다”는 말이 너무 이해되고 공감되구요~! 그동안 느껴왔던것을 정리를 잘 해서 설명해주셔서 너무너무 와닿습니다~!

  • @jessipink1812
    @jessipink1812 Před 4 lety +46

    평소 내가 왜 행복하지 않을까 많이 생각해봤는데 이동영상보고 알게됐어요 돈때문에 원하지 않는 일들을 인내하면서 계속 해왔고
    그런시간들이 쌓이고 쌓여서 지금은 나쁜일도 일어나지 않았는데 그냥 우울해요
    자기가 원하는일을 하면서 돈을 버는 사람들은 정말 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사람인것 같아요
    좋은 영상감사합니다

    • @user-yl2ss6ed2t
      @user-yl2ss6ed2t Před 2 lety +9

      자기가 원하는 일도 결국 일이라 스트레스 받음
      자기가 좋아하는 것일수록 일이 되어버리면 엄청 허무해짐
      예체능 종사자들 보면 감잡힘

    • @Chae_Doen
      @Chae_Doen Před 2 lety

      자신이 좋아하는일 하면서 돈많이 번다는사람은 소수인듯
      어찌됐던 자기자신의 환경에서 최선을 다하며 행복을 찾는게 가장 이상적이지 않을까합니다
      물론 이것도 엄청 힘든일이지요

    • @lizpark7604
      @lizpark7604 Před 2 lety +1

      어떤 일이든 스트레스 받겠지만 그래도 자기가 원하는 일을 할 수 있는 것만큼 행복한 건 없는 것 같아요. 돈이 내게 얼만큼 필요한가 내가 얼만큼 감당할수 있는가 생각하면 답이 나오지 않을까요 우린 지나치게 자본주의화 되어 있는 사회라 돈이 너무 힘이 세죠. 다른 가치를 깡그리 무시할 만큼. 지구에 100년도 못살다 가는데 너무 던지지 못하고 사는 것도 후회가 되죠.

  • @user-fe2kn2th3r
    @user-fe2kn2th3r Před 3 lety +3

    바로 구독 추천 알람 들어갔습니다.
    여기로 오게 만든 알고리듬에 고마움을 느낍니다.
    핵심을 집는 강의와 리뷰 대학에서도 배울 수 없는 귀한 내용을
    이렇게 쉽게 접할 수 있게 되다니 참 세상이 많이도 좋아졌습니다.

  • @iNakmj
    @iNakmj Před 3 lety +16

    고개를 끄덕이게 만드는 최고의 강의네요. 감사합니다. 책 한번 저도 읽어봐야겠어요. 앞으로의 추세나 해결해야하는 문제로 간주해야할지, 만약 그렇다면 해결할 방법은 무엇인지 궁금하네요.

  • @freedomlee3391
    @freedomlee3391 Před 4 lety +751

    돈이 많다고 꼭 행복한 건 아니지만, 그래도 편하게 살 순 있는 거 같아요. 가난은 생각보다 훨씬 더 잔인하고 힘들다고 생각합니다.

    • @MusicLuv80
      @MusicLuv80 Před 4 lety +197

      제가 예전에 했던 직업상 부자를 많이 만나 봣는데, 다들 책이나 방송에 나오는 부자 말 듣지 말레요. 그리고 진자 돈이 있으면 정말 행복 하다고 하더라구요. 남들 도와주지, 자기와 자기 가족을 위해 다 해줄수 있으니.

    • @user-dj9eu2tm4i
      @user-dj9eu2tm4i Před 4 lety +21

      @@MusicLuv80 맞아요

    • @makinax8836
      @makinax8836 Před 4 lety +124

      @@MusicLuv80 가난은 영혼을 파괴합니다. 어쩌다 가난한 사람들 틈바구니에서 좀 지내보았는데.... 이건 사람 사는게 아니에요...

    • @user-cj4qt1rz9n
      @user-cj4qt1rz9n Před 4 lety +15

      잇다보면 없음을 모르고 없다보면 잇다는게 부러운것이지요

    • @anbayo1
      @anbayo1 Před 4 lety +16

      편한건 아닌듯. 상위 리그에서 다시 등급나뉘고 피터지게 경쟁하는데.

  • @yuiblue3907
    @yuiblue3907 Před 4 lety +295

    이 형 영상은 과장되지도 않고 가볍지도 않으며 깊이 있는 여러 이야기들을 너무 담백하게 전달해주는게 최고임♡

    • @user-uy4ws3vw9e
      @user-uy4ws3vw9e Před 4 lety +3

      진짜 공감합니다.

    • @luckypark1427
      @luckypark1427 Před 4 lety +2

      맞아요:) ㅎㅎ

    • @springflowerdaddy
      @springflowerdaddy Před 4 lety

      언제 담백함을 느끼시는지요?

    • @yuiblue3907
      @yuiblue3907 Před 4 lety +5

      @@springflowerdaddy내용에 빈틈 없이 이해하기 쉽게 논리 정연함이 담백하게 느껴지는것 같아요

    • @hayangood
      @hayangood Před 4 lety +11

      @@springflowerdaddy잘란척도 안하고요 말투에 허세도 없고 본인이 느끼고 아는부분을 객관적으로 잘 설명해주는것같아요. 자신의 생각을 강요하지 않고 구독자들이 스스로 듣고 느낄수있도록요

  • @cappuccinolee7230
    @cappuccinolee7230 Před 3 lety +10

    공감 되는 내용이에요. 능력 위주도 좋지만 우리의 미래나 정의,안전에 필요한 직업에도 높은 임금을 주는 건전한 사회가 되면 좋겠어요. 소방관이나 어린이집교사같은..

    • @user-nd6tq7gy9t
      @user-nd6tq7gy9t Před 2 lety +2

      임금이 낮아도 인간답게 살수 있는 환경이 중요한게 아닐까요

  • @zzeunisyorizori5270
    @zzeunisyorizori5270 Před 2 lety +7

    정말 흥미있고, 삶에 대해 다시한번 생각해볼 수 있는 영상이었습니다. 객관적인 해석을 들었으니 이제 사회에서 어떻게 살아가면 좋을지 생각해봐야겠네요. 감사합니다😊

  • @user-pu9rs9mp1m
    @user-pu9rs9mp1m Před 4 lety +123

    진짜 스마트함이 그냥 느껴짐...

  • @user-nu7of4de1v
    @user-nu7of4de1v Před 3 lety +133

    조작가님이 금융이나 여타 고소득 직업을 선택하지 않으시고 이렇게 대중들과 삶의 본질적인 부분들을 쿡 찌르면서 소통해주시는게 참 감사한일입니다!

  • @user-bs4vy7yz3d
    @user-bs4vy7yz3d Před 2 lety +2

    와, 그 시선이 너무 가슴 속에 훅 들어온다.
    한 번쯤 모든 사람들이 곰곰이 느껴볼 만한 문제.
    특히 날 때부터 경쟁에 매몰된 한국 사람이라면 더더욱.

  • @user-jm4uy7yd1h
    @user-jm4uy7yd1h Před 2 lety +2

    지식과 지혜를 나누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 @user-tl2jq3fm3y
    @user-tl2jq3fm3y Před 4 lety +171

    정제되지 않은 생각을 그대로 전달하고싶었다고 하셨는데,,
    그럼에도 이렇게 논리정연하고 일목요연할 수 있다는 것이 놀랍다
    나두 책 많이읽어야징ㅎ

    • @hyeonuchoe6787
      @hyeonuchoe6787 Před 4 lety +6

      책 읽으시다가 두챕터 남겨놓고
      빨리 나누고싶은 마음에 비디오를
      찍으셨다고 하는데..
      대본을 읽고 말씀하시는 듯
      막 읽은 책의 논리구조, 컨텐츠를
      막힘없이 풀어내시네요
      정말 부러운 능력이고
      독서와 스피치를 더 열심히 해야겠습니다ㅎㅎ

  • @csjjin2010
    @csjjin2010 Před 4 lety +31

    근래에 한국말로 만들어진 모든 콘텐츠 중에 이게 제일 훌륭함

  • @deg9810
    @deg9810 Před 3 lety +8

    평소 머릿속에서 떠다니기만 하던 생각을 이렇게 정리된 내용으로 접하니까 머리를 한 대 맞은 느낌이네요. 영상 만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PumpkeenProject
    @PumpkeenProject Před 3 lety +6

    불행한 엘리트와 가난한 중산층.... 신선하고 명쾌한 해석이네요. 공유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ㅠㅠ

  • @sora7789
    @sora7789 Před 4 lety +35

    자신을 착취한다는 말이 너무 공감... 커리어에 목메는 사회...

  • @sangkumkim4218
    @sangkumkim4218 Před 4 lety +100

    어쩔수 없이 "직업 선택의 자율성"이 없어진다는 이야기에서 급 공감!!!
    새롭고 다양한 관점을 제시 해줌에 늘 감사드려요^^

    • @junghwalee1939
      @junghwalee1939 Před 3 lety +20

      고등학교 전교1등은 모두 의대를 지원하는 이유를 여기서 찾습니다.

    • @hkhkhkhkhk
      @hkhkhkhkhk Před 3 lety +1

      대학교 4학년인데 저도 그 부분에서 많이 공감했습니다.

  • @dreamlanguageschool3494
    @dreamlanguageschool3494 Před 2 lety +29

    정말 좋은 컨텐츠 항상 감사드립니다. 대학에서 연구해서 이러한 사회적인 이슈가 되는 책을 쓰시는 분들은 정말 얼마나 공부를 많이 하신 걸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교수님들이 혼자 집필하시는 건지 박사과정 학생들이나 다른 박사님들과 같이 쓰는 건지 그런 것도 궁금하고요. 아무튼 존경스럽습니다 작가님도 저자 교수님도요. 같은 24시간을 사는데 누구는 사회를 이끌고 누구는 그냥 변화에 따라가기 급급하고 또 어떤 이들은 세상의 변화에 별 상관 없이도 잘 사는 것 같고요. 꼭 읽어보고 싶네요.

  • @petersgolfacademy4140
    @petersgolfacademy4140 Před rokem +2

    모르던 세상에 눈을 돌려서 보고, 알던것들도 생각하게 만들어서 더 좋은 시선, 혜안이 생긴듯 깨우침을 줍니다. 오래도록 기억하고 또 새로운 것을 마주할 준비가 됩니다. 감사합니다.

  • @asdu11
    @asdu11 Před 4 lety +448

    작가가 가장 경계하는 게 한국이란 말에 속으로 소름돋을 뻔...

    • @ddkim8237
      @ddkim8237 Před 4 lety +29

      소름이 돋으면 돋는거고 안돋으면 안돋는거지 돋을 뻔은 뭐야..

    • @user-ch4lq8hw1t
      @user-ch4lq8hw1t Před 4 lety +146

      dd kim 세상에 불편한분들이 많으시네 ㅋ

    • @sseefeppee5931
      @sseefeppee5931 Před 4 lety +34

      돋을뻔 했는데 안돋았다고 난독불편러야ㅋㅋㅋ

    • @kyoseong
      @kyoseong Před 4 lety +83

      진짜...한국 애들 불쌍하죠. 영어유치원부터 쌓는 그 놈의 스펙. 요즘 초등은 고등 수학 선행 하느라 난리고요. 20년 전 보다 지금 우리나라 능력주의 경향은 몇 배 더 심해졌어요. 아무래도 좋은 학벌이 가져다주는 메리트를 제일 강하게 몸으로 느낀게 우리 40대라, 자녀 교육에 몰빵하면 내 아이는 나보다 더 잘 살 수 있을거라는 믿음이 강합니다. 정말 큰 문제죠. 공부가 다가 아닌 세상이 왔는데!

    • @user-nv5ms9dz2z
      @user-nv5ms9dz2z Před 4 lety +13

      dd kim ㅋㅋㅋㅋㅋㅋ쓸데없이 유식한척 예민

  • @user-ot4ct6jp8n
    @user-ot4ct6jp8n Před 4 lety +119

    조승연 작가님 보면 진짜 우리나라는 인적자원이 소중하다는걸 다시금 되세김질하게 만듬

  • @luciakim2006
    @luciakim2006 Před 3 lety +8

    흥미로운 책이기도 하고 책소개를 핵심만 일목요연하게 소개하는 조승연님도 대단하다 생각드네요

  • @user-xb9qe7bb6n
    @user-xb9qe7bb6n Před 3 lety +23

    죽은 시인의사회에 보면 부자들 아버지가 정해준 대학 가야하든데 맞군요 ☆좋은 책인거 같네요 기회가 되서 한번 봐야 겠어요!

  • @gameofthronesss
    @gameofthronesss Před 4 lety +689

    작가曰: 능력위주 사회가 어떤 사회 구조를 만드는가?
    자살률 1위, 노인 빈곤률 1위, 노동생산성 최하위, 출산율 1미만 서울만 놓고 보면 0.69명 세계 최하위.
    작가가 콕 찝어서 한국을 경계 대상으로 삼은 이유

    • @hokmayoffi586
      @hokmayoffi586 Před 4 lety +74

      GameOf THRONES 슬프다ㅠㅠ 우리나라에서 이 책이 이슈가 많이 되고 정부차원에서 논의가 많이 됐으면 좋겠네요. 우리는 늦었더라도 다음 세대라도 숨쉬고 살 수 있게 됐으면✨

    • @GGolfemiKimchiboGDetector
      @GGolfemiKimchiboGDetector Před 4 lety +55

      와 작가가 자신의 저서의 모델지에 딱 들어맞는 사회가 한국사회라는 거잖아!

    • @frodop7472
      @frodop7472 Před 4 lety +7

      맞습니다 맞고요
      그러면 재화를 어떻게 분배햐야합니까?

    • @user-bm8ux2ht8k
      @user-bm8ux2ht8k Před 4 lety +50

      그냥 현대사회의 단점임
      능력위주 사회가 진짜 능력위주 사회가 아니란게 아이러니 하고
      능력위주 사회로 만들지 않으면 그거보다 더 좋은 대안책이 없다는 점에서 능력사회위주의 단점을 아무리 말해도 그게 무슨 의미인가 ㅋㅋㅋ

    • @user-lq9re7ie6q
      @user-lq9re7ie6q Před 4 lety +31

      @@frodop7472 자유거래로요.그렇게 해왔고 그것이 정답입니다.노래잘한 가수보다 인기있는 가수가 더 앨범을 많이 팔고 실력좋은 요리사보단 장사잘하는 식당주인이 더 요리를 많이 팔죠.이건 누군가의 음모가 아니라 우리 모두의 자유로운 선택의 결과일 뿐 입니다.

  • @lavieenrose7240
    @lavieenrose7240 Před 3 lety +881

    16:02 마지막말 충격 이였습니다.
    한번 읽어보라. 하지만 번역은 안되어있다 ㅋㅋ

    • @user-hy8hn3fk6h
      @user-hy8hn3fk6h Před 3 lety +29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진짴ㅋㅋ ㅠㅠ

    • @JNAtest
      @JNAtest Před 3 lety +195

      이런거 보면 프랑스어권이나 영어권 사람이라는 것 자체가 하나의 특권인듯. 한국어 화자는 웁니다

    • @billionairekim2825
      @billionairekim2825 Před 3 lety +5

      원문이지만 읽고나서 아무생각이 안나네요...ㅋㅋㅋㅋㅋㅋㅋㅋㅋ

    • @user-ic1uk7fh4s
      @user-ic1uk7fh4s Před 3 lety +6

      정말 충격이었어요

    • @helenseon
      @helenseon Před 3 lety +19

      @@Rabongasaranghae 나중에 우리나라도 그렇게 뜰거에요~ 전세계인이 한국어를 배우는시대를 꿈꿉니다 ㅎㅎㅎ

  • @justintigerkim9831
    @justintigerkim9831 Před 3 lety +3

    리스펙~! 고마워요. 덕분에 정제된 좋은 정보를 쉽게 접하고 즐겁게 받아들이고 있어요~

  • @pys0116
    @pys0116 Před 2 lety +6

    대한민국에서 자라고 세계여러나라에서 경험하다 최근 그 경쟁사회에서 벗어나 방관자적 입장에서 이 방송을 듣다가 갑자기 너무 와닿고 울컥하네요. 너무나도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

  • @phytochromea7395
    @phytochromea7395 Před 4 lety +101

    편집 너무 깔끔하다 ㄷㄷ
    말씀도 너무 잘하시고 딜리버리가 정확하지만 시각적으로 너무 깔끔하게 정리 잘되는듯

  • @mickelimbo
    @mickelimbo Před 4 lety +93

    “나 자신을 착취” 공감 😂

  • @luvu9509
    @luvu9509 Před 3 lety +1

    늘 보고있습니다 항상 감사드려요!

  • @utubesakai89
    @utubesakai89 Před 3 lety +2

    동의되는 부분들이 많네요. 좋은 책 소개 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vi7te8vz3x
    @user-vi7te8vz3x Před 4 lety +109

    빈부격차 부분, 피케티도 21세기 자본에서 미국은 유럽과 다른 이유라고 설명합니다. 영상 너무 좋은 내용입니다. 좋은책 소개 감사합니다.

  • @relandnew6313
    @relandnew6313 Před 4 lety +75

    이 채널이 계속되면 좋겠다 너무 똑똑하고 말을 잘함

  • @lessisfine888
    @lessisfine888 Před 2 lety +9

    이 이론에 진짜 공감하는 부분이 큽니다. 그렇게 오래 공부하고 지치도록 일하고 돈을 벌다 보면, 지금 내가 왜 이러고 있나... 이게 맞는건가? 나를 쥐어짜고 착취해야 살아지는 것 같은 느낌이 들 때가 많았어요. 능력이 많으나 적으나 끝없는 노동의 굴레에서 벗어나려고 요즘 사람들이 조기은퇴에 관심이 큰지도 모르겠어요.

  • @user-sn3pg5yx3c
    @user-sn3pg5yx3c Před 3 lety +3

    새로운 논점 제시 감사합니다.
    생각이 넓어지는 느낌이네요.
    이래서 독서를 해야되나싶기도하고.
    작가님 덕분에 많이 알아갑니다.

  • @beginofsquare
    @beginofsquare Před 4 lety +188

    와 진짜 세상에는 절대적인 정의도 정답도 없다는걸 느끼고 갑니다

    • @user-qv7mg2ku3i
      @user-qv7mg2ku3i Před 2 lety +4

      이 영상과는 크게 관련없지만 저는 사주를 공부하면서 그걸 깨달았어요
      어떤 단점으로 보이는 것들이 장점으로 승화되기도 하고, 좋은 걸로만 생각했던 것들이 되려 나의 약점으로 돌아오는 걸 보고 세상사 이런 원리구나 싶었어요 해봐야 쪼그만 지구에서 사는, 지구에서''극악무도한 인간"이라고 취급되는 사람이 우주에 어떤 다른 행성으로 가면 천사같은 사람으로 불릴지도 모르는일. 그래서 요즘 연예인 인성 운운하며 뭐라도 된듯이 조롱하고 비난하는 사람들이 다 그냥 조그맣게 느껴집니다.
      그래서 '집착하지 말자'가 제 좌우명중 하나에요.

    • @user-ss1hy1pc5w
      @user-ss1hy1pc5w Před 2 lety

      @@user-qv7mg2ku3i 좋은말씀이네요

  • @yoobyeongcheol3024
    @yoobyeongcheol3024 Před 4 lety +324

    이번에 봉준호 감독의 영화 기생충이 오스카 4개 부문을 휩쓸며 전 세계적인 돌풍을 일으키고 있는 시점에서 이번 영상의 컨텐츠는 참으로 시의적절하다고 생각합니다. 역시 조승연 작가님은 안목이 대단하시네요.

    • @user-ui4lx7rw2s
      @user-ui4lx7rw2s Před 4 lety +18

      참으로 시의적절한 댓글

    • @user-os1zq1rf5t
      @user-os1zq1rf5t Před 4 lety +15

      @@kwonjungmin1826 인정.

    • @borahan2083
      @borahan2083 Před 4 lety +10

      @@kwonjungmin1826진짜 혼자 왜 화가난건지;

    • @jisammoon
      @jisammoon Před 4 lety +14

      사실 봉준호의 기생충이 오스카 상을 받은 이유 중 하나가 현재 미국의 헐리우드를 중심으로 불고 있는 PC 문화의 수혜라는 점도 분명히 있는 것 같습니다.

    • @youngpyojo
      @youngpyojo Před 4 lety +10

      @이름성 국뽕이라기보단 기생충이 빈부격차를 다뤄서 남긴 댓글이겠구나 라는 생각을 했어요 조승연님이 만드신 영상을 보고 굉장히 배울것도 많고 재밌게 말씀을 잘하신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렇다고 이 영상을 본다고해서 제 수준이 높다는 생각은 하지않았습니다. 그사람은 수준은 본인의 판단이 아닌 주위의 평가에 의해서 결정된다고 생각해요

  • @LetItBe250
    @LetItBe250 Před 2 lety +3

    빈부의 격차는 자연스러운거에요. 능력의 격차는 인간이 가지는 고유성입니다. 남탓으로 해결되는게 아니에요.

  • @user-fn4ku4qc6h
    @user-fn4ku4qc6h Před 2 lety

    항상 인생에 도움되는 궁금한 내용을 재밋고 간단하게 설명하시는 조승연씨 너무 좋아요~^^ 감사드려요. 인생에 많은 도움이 되네요.

  • @user-os1zq1rf5t
    @user-os1zq1rf5t Před 4 lety +119

    진짜 유익하네요... 유튜브의 진정한 순기능 ㅠㅠㅠ 감사해오

  • @ChristineNae
    @ChristineNae Před 4 lety +60

    시간이 지나는대로 물 흘러가듯 멍때리며 살아가는 와중에 늘 저에게 이런 좋은 영상으로 재미와 전환을 주시네요.
    늘 감사히 보고 있습니다.

  • @user-hm4ym6lq1b
    @user-hm4ym6lq1b Před 3 lety

    구독 100만 축하드려요.
    항상 즐겨 듣고 있어요.
    빠르고 날카로운 지혜에 경의를 드립니다.👍👍👍

  • @GraceSwifty
    @GraceSwifty Před 3 lety +4

    정말 좋은 해석이라고 생각합니다. 이상적인 체계를 만들기 위해서 반드시 생각해봐야 하는 항목이 아닌가 싶습니다.

  • @kkomookim2535
    @kkomookim2535 Před 4 lety +59

    우와... 엘리트의 게으름. 너무 재밌는 개념이네요.
    정말 세상에 장점만 있고, 단점만 있는 그런 제도나 시스템은 없나 봅니다. 물론, 장단점 비교 해서 더 나은 제도를 가릴 수야 있지만.

    • @kkomookim2535
      @kkomookim2535 Před 4 lety +3

      @ᄂᄀ 그것도 그렇지만 이 경우를 볼 때는 특히나 신분이 아닌 능력에 따른 대우라고 하는 올바르다 여겨지는 당위가 오히려 전체적으로 비효율이나 불평등을 가져온다고 하니까요

  • @XERXES23
    @XERXES23 Před 4 lety +94

    진짜 이분은 쓰신 책도 그렇고 영상도 그래요..한장 한장 넘어가는거..영상의 시간이 가는게 아까울 정도로 너무나 흥미롭게 설명을 잘한다는 점..
    새롭게 책을 내실 계획이 있으신지 모르겠지만 정말 재미있는 인문학책좀 또 내주세요~ㅎㅎ

  • @user-yu1dm7ib1p
    @user-yu1dm7ib1p Před 3 lety +3

    탐구생활 시리즈 중 최고. 그 책 쓰신 교수님 대박. 조승연님 정말 잘 봤습니다.

  • @KJ-bd2ku
    @KJ-bd2ku Před 3 lety +7

    상당히 생각을 자극시켜주는 내용이네요. 진짜 그냥 그게 맞겠네 생각했던 현상들인데 한번 생각해보게 되요. 신선했던 소재라 좀더 연구해볼만한 가치가 있을거같아요

  • @user-nn1hf4sb3b
    @user-nn1hf4sb3b Před 4 lety +291

    과거에 들은 얘기로 '미래에는 한명의 천재가 다수를 먹여 살릴 것이다' 라고 했는데 실상은 천재가 세운 회사의 천재직원들만 먹여살리고 그 외 사람들의 빈부격차는 커져만 가네요...

    • @bunningshouse
      @bunningshouse Před 4 lety +66

      한명의 천재가 천명의 일반인을 굶기는게 현실임...

    • @zy_choi
      @zy_choi Před 4 lety +3

      bunnings house 어떤 이유때문에죠?

    • @user-ei9vc3xi1i
      @user-ei9vc3xi1i Před 4 lety +11

      ᄏᄏᄏ
      집단주의 개쩌네.
      국가사회주의임?
      개인의 ‘자유’를 중시하는 자유우파로서 님말에 동의 못함
      그렇게 집단주의적 사상이 좋다면 빨리 국가를 위해 목숨이라도 내놓으세요
      물론 보상따위는 바라지 마시고

    • @user-bn2um1sr3l
      @user-bn2um1sr3l Před 4 lety +21

      @ᄏᄏᄏ 뭔위치가 되는것처럼 말하네 1억차 탄다고 자랑하는 사람을 1000억 부자가보면 얼마나 어이가 없을까 뭔위치가 되니까 그런얘기 하는거겠지

    • @user-bn2um1sr3l
      @user-bn2um1sr3l Před 4 lety +13

      @@user-ei9vc3xi1i 개인주의랑 우파랑 뭔상관임

  • @user-oe2pq5yl7l
    @user-oe2pq5yl7l Před 4 lety +27

    좋은 콘텐츠에 따라오는 통찰력을 가진 시청자들... 조승연 작가의 강연도 멋지고 댓글들도 깊이있네요. 모두들 감사합니다^^

  • @daniel-ry2pl
    @daniel-ry2pl Před 3 lety +2

    이런 이야기를 들으면 시원하면서도 뒷 맛이 씁쓸하다. 조승연 작가님의 명쾌하고 날카로운 분석에 머리가 띵했지만 내일 우리는 출근하고 등교하는 루틴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라는 무기력함이 그 이유일 것이다. 무언가 조금 잘못되었다는 것을 알지만 당장에 내가 바꿀 수 있는 것은 없다는 기분이 들기도 한다. 나를 포함한 대부분의 2030세대들은 조작가님 말처럼 스스로가 땅이자 공장이다. 그래서 다양한 주제에 대해 토론하고 싶고 다른 사람들의 의견을 듣고 싶지만 결국 눈앞에 있는 가족의 기대에 부흥하기 위해, 당장은 먹고살 걱정 때문에 이러한 일들을 미루게 된다. 우리 세대는 현재 무력감에 시달리고 있다. 하지만 위같은 주제로 많은 사람이 이야기하고 생각을 나누다보면 조금이나마 더 나은 세상이 있을 것이라 믿고 싶다.
    또한, 이러한 우리네 상황을 누구보다 잘 이해하고 계심에도 불구하고, 작은 도움이라도 될까하여 영상을 만들어주신 조작가님께 감사인사를 드린다.

  • @user-pz9uy3su3w
    @user-pz9uy3su3w Před 2 lety +1

    말씀을 정말 잘하세요. 어떻게 그렇게 논리정연하게 이야기를 술술 풀어서 말씀하시는지…정말 영상볼때마다 감동하고 있어요. 오늘 영상도 정말 유익했습니다. 감사합니다.

  • @thdgo456
    @thdgo456 Před 4 lety +87

    - 능력주의 사회
    - 개인의 능력이 자산
    - 뛰어난 개인 1명이 일반인 다수 보다 효율적
    - 유산이 재산이 아닌 능력
    - 그 능력을 갖기 위한 막대한 재투자
    - 능력의 독점화

  • @user_525mqwfgxbkxz
    @user_525mqwfgxbkxz Před 4 lety +174

    불행하다라고 이야기하는 엘리트와 그 불행함조차 사치가 되는 빈곤층... 참... 아이러니 하네요.

    • @jss2445
      @jss2445 Před 4 lety +39

      돈 많으면 위안이라도 되는데 없으면 위안도 안됨 ㅋㅋㅋ 하늘만 보고 살아갈뿐

    • @beewing9566
      @beewing9566 Před 4 lety +3

      와....이 댓글 공감가네요

  • @poemja3477
    @poemja3477 Před rokem +4

    언뜻 들으면 그럴듯하지만
    기발한 아이디어와 능력을 가진
    사람이 수백수천명의 보통사람의 할일을 하는게 아니라
    대단한 창의성으로 없던 상품을 개발해서 창업을 일으키고
    많은 일자리를 만드는겁니다
    아무리 똑똑해도 한명이 여러명의 일을 해낼수는 없습니다
    그건 하위계급의 일이고 가치가 있는 능력을 발휘할때
    사람들이 인정하는 댓가를 지불하게 하는겁니다
    어느분야나 경쟁자가 있어서 좋은 집단일수록
    촘촘한 단계마다 본포되어있겟지요
    후반부에 언급한 최상위 엘리트의 초상위소득은
    능력주의 쉽게 연상되는 열심히 공부한 공부잘하는 모범생을 말하는게 아니라
    그중에 아주 성공한 극소수입니다. 과학기술의 발달로
    아이템을 잘 선택하면 돈을 잘벌수있는있는게 상상이상이기때문이지
    보통명사로서의 공부잘하는 능력의 의미가 아니지요
    괜히 불만한 보통사람들이 다른사람때문에 내가 못산다고
    성실히 공부하는 사람을 증오하는게 성급한 생각을 가질까 우려됩니다

  • @rachaelnam8869
    @rachaelnam8869 Před 3 lety

    책리뷰를 이렇게 맛깔나게 해주시다니... 쵝오네요!

  • @sooyoungchun3201
    @sooyoungchun3201 Před 3 lety +101

    그래서 30, 40대의 준 엘리트 층에 있는 사람들이 early retirement를 생각하는거 같아요. 벌수 있을때 고연봉 받으면서 24/7 일하고 stock option, 부동산 등으로 재산을 확보한후 50대부터 내가 하고 싶은거 하면서 제 2의 인생을 희망하는 사람들. 현재 하는 일을 은퇴 연령 65세까지 한다는 사람은 거의 못 봤고, 적어도 지금 하는 일 관두고 start up하는 것이 제 2의 인생 계획인 사람들도 있고, 돈 안되는 일하면서 만족을 추구하는 다른 삶을 살고 싶어하는 사람들도 있고... 물론 이 희망사항도 10-20년 지나봐야 현실적으로 가능한지 알겠지요. 참고로 저는 미국에 삽니다.

    • @joon769
      @joon769 Před 3 lety +1

      @@User_s590조기은퇴, 스톡옵션, 스타트업이라 하면 되는데?

    • @useeeeeeee
      @useeeeeeee Před 3 lety +1

      마지막 문장이 뭔 뜻으로 말한건지 참...
      어쩌라고요 아저씨

    • @Matildalovelee
      @Matildalovelee Před 3 lety +13

      @fenom 아이고 얼마나 무식하면 그렇게 말할까

    • @coolasom8970
      @coolasom8970 Před 3 lety

      중딩영어 수준도안되는 알파벳썻다고 열폭질하고있네 ㅋㅋ 초딩들인가?

    • @user-qd6tc2lr5e
      @user-qd6tc2lr5e Před 3 lety +8

      @fenom 영어권 국가에 살다보면 어떤 단어가 한국어로보다 영어로 먼저 생각날때가 있어요 그리고 저분이 저런 심화단어를 쓸 수 있는 나이 이전에 영어권국가에서 살기 시작할 수 도있구요..,,

  • @user-qc5ox4lp7y
    @user-qc5ox4lp7y Před 4 lety +95

    공감 100%!!
    전 미국에서 30년째 살고 있고 연봉이 기본 10만불 넘게 벌고있지만.. 월세 내며 한달벌어 한달 먹고사는 내가 정말 중산층 인가? 하는 생각을 하기도 하고..
    더 높이 올라가는건 불가능 해서 아에 생각조차 못하죠. 난 천재가 아니니까...
    차라리 예전세상이 더 살기가 좋았을것 같네요.
    우리집주인 할아버지는 평생 지붕고치는 일 하면서도 4명 자식들 다 키우고 집도 여러채 사서 지금 이렇게 월세 받으며 살고 있다는데..

    • @user-fq8vp3ss5s
      @user-fq8vp3ss5s Před 3 lety +1

      십만불 중산층 아니여요.

    • @user-zb7mu3kd7m
      @user-zb7mu3kd7m Před 3 lety +1

      @@user-fq8vp3ss5s 20년 기준으론 상위 중산층 정도임. 10만 중반은 달해야지 어퍼클래스 기준 최저치 정도임.

    • @korean6706
      @korean6706 Před 3 lety

      10만 벌어서 하루먹고 하루사시는 정도면.. 뉴욕이나 캘리 사세요?

    • @user-qc5ox4lp7y
      @user-qc5ox4lp7y Před 3 lety +22

      아래댓글 올려주신 분들 말씀 맞습니다.
      미국은 어디에 사냐에 따라 차이가 크죠.
      하지만 기본만 계산해봅시다
      연 10만불 이면 대략 한달에 $8,300 정도.. tax 랑 건강보험 제하면 대략 6,500.
      집세 $2000+차보험+차 페이먼트+ 유틸리티 등등 제하고 나면.. $3,300 정도 남아요. 거기서 ira 로 $500 제하고 나면 2,800 남아요. 3,000 이 채 안되는 돈이 생활비 입니다. 생활비 안에는 식료품비 와 아이들 학원비 gas 등이 포함이고요.
      아이들 커가니까 옷, 신발값도 만만챦아요
      게다가 저는 추운곳에 살고 있어서 겨울용품 가격이 상당합니다.
      돈 야금야금 모아도 일년에 한번 여행가는것도 버겁습니다. 만약 부모님중 한분이 아프셔서 단돈 $1000-2000 정도 보내드려야하면 그나마 일년에 한번 휴가는 물건너가는 거죠.

    • @jamess1481
      @jamess1481 Před 3 lety +2

      @@user-qc5ox4lp7y 빙고

  • @qkapzri4384
    @qkapzri4384 Před 3 lety +1

    정말 설명 잘하시네요.. 무심코 봤다가 정말 흥미롭게 들었습니다!

  • @user-wg5zg2tm9u
    @user-wg5zg2tm9u Před 2 lety

    스트레스 심해졌을 때 조승연작가님 영상 한편씩 보고 있어요 너무 시원하고 뭔가 억압되있던 것이 해소되는 이상한 기분이 드네요
    조작가님 정말 감사해요

  • @user-ix3hb2pd1m
    @user-ix3hb2pd1m Před 4 lety +42

    이게 조승연의 컨텐츠죠 이런 거 계속 해줘요! 너무 좋아ㅋㅋ

  • @user-ru2zd1wm4s
    @user-ru2zd1wm4s Před 4 lety +325

    15:36 공부를 통한 신분 입증하는 집착이라는 말에, 이번 경찰대 3학년 학생이 떠오르네요. 술 먹고 경찰관을 폭행하며 5 년뒤에 내가 너 보다 위에 있을거라는 말을해서 퇴학을 당했죠. 공부를 통한 신분상승하는 이 사회가 사람들에게 자만심과, 난 평범한 사람들과는 다르다는 망상을 더욱 만들어서 사회가 더욱더 빈부격차와 신분에 관한 증오가 더 커질거같습니다.

    • @jasonmoon2650
      @jasonmoon2650 Před 4 lety +3

      무슨논리인지..

    • @BrickCreator
      @BrickCreator Před 4 lety +1

      무슨말인지....0

    • @yoobyeongcheol3024
      @yoobyeongcheol3024 Před 4 lety +52

      @@jasonmoon2650 이 분이 말하는 것은 공부와 같은 '능력'을 통해 실질적으로 신분과 계급이 나뉘어지는 우리 사회에서 이번 경찰대 학생과 같은 사건을 보면서 그런 엘리트 계층이 자신만의 가상의 선을 긋고 자신은 대다수 평범한 사람들과는 다른 더 높은 '신분'이라는 것을 입증하려고 집착하는 모습이 이미 빈부격차나 계급격차에 대해 불만을 갖고 있는 많은 사람들의 분노를 키운다는 것이죠.
      이번 봉준호 감독의 영화 '기생충'이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미국 및 전 세계에서도 큰 파장을 일으켰다는 것이 이러한 사람들의 생각을 반증하는 결과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 @CrabTastingMan
      @CrabTastingMan Před 4 lety +9

      개굴몬 아닌데요? 공부를 통해 신분 상승하든, 부자 집안에서 몇억씩 교육비 써서 신분을 유지하든
      땅 투기 대박으로 신분 상승하든, 물려받은 부동산으로 신분을 유지하든,
      높은 신분을 유지하거나 쟁취하든 거만해지는 인간은 거만해지게 되어 있을뿐
      이런 건 동서고금 어디에도 있었습니다. 과거 일은 잘 기록되지 않아서 그렇지 신분으로 갑질하는 건 새로운 게 아닙니다. (더욱이 과거에는 이게 매우 당연해서 신분의 갑질은 일상이라 기록할 가치도 못 느꼈죠)

    • @jasonmoon2650
      @jasonmoon2650 Před 4 lety +3

      @@yoobyeongcheol3024 엘리트계층이 가상의 선을 긋는다? 신분입증에 집착한다? 선을 긋는게 아니라 상하구조가 사회적으로 존재하는거고, 더 높은 신분임을 입증하려는게 아니라 더 사회적으로 높은 자리에 올라가려는 개인적인 노력인거죠. 뼈빠지게 노동하면서 사는것보다, 공부해서 기술, 자격으로 먹고사는게 낫지 않겠습니까? 뭐 사람 나름입니다만, 사람들이 교육에 신경쓰는 이유에서 답이 나오네여.( 뭐, 이 영상에서 나오듯이 그렇게 자기 자신을 인적자본으로 만들어버린다는 사실이 그리 행복하진 않을수도 있지만 그건 지금 다루고자 하는 내용이 아니구요. )
      하여간, 더 높은 사회적 지위를 갖기 위해 노력한다는 사실이(=더 높는 신분임을 입증하려 집착하는 사실), 그리고 그것을 누구나 공부로서 이룰 수 있다는 기회의 가능성은 열려있다는 사실이 왜 계급격차에 불만가지는 사람들의 분노를 키우는지 모르겠네요. 구조의 문제라면 구조의 문제고(숙련편향적 기술진보), 제도라면 제도의 문제지(교육 투자), 오늘날에 선을 긋고 신분 입증하려는 개인의 경향이 더 두드러지는건 아닙니다. 오히려 그런건 줄었죠. 열듬감 쩌는 경찰대생 한명이 난동부린거가지고 자의적으로 확대해석하시네요.

  • @vega5366
    @vega5366 Před 3 lety

    귀한 지식을 공유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zm2yy6mm8r
    @user-zm2yy6mm8r Před 4 lety +47

    정말 신선한 시각이네요!!
    좋은 책 설명 너무 감사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