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저출생의 비밀. 아무도 말하지 않는,

Sdílet
Vložit
  • čas přidán 13. 05. 2024
  • [장대익의 하드커버 쟁점] Ep.1-1 초저출생 문제편
    #출산 #저출산 #초저출산 #저출생 #인구밀도 #경쟁 #동기 #복지

Komentáře • 112

  • @user-kc1wi9go6i
    @user-kc1wi9go6i Před měsícem +38

    칼 훈의 쥐 사회실험보면 지금 수도권이랑 상황이랑 똑같아서 소름돋아요. 서울에는 둥지가 없고 지방에는 먹이가없는 현실 해결 못하면 돈퍼부어도 소용없다는 평상시 제 생각과 일치해서 신기하네요ㅎㅎ

    • @eiliosice
      @eiliosice Před 29 dny +3

      칼 훈의 쥐 실험은 많은 영감을 줍니다만, 이론적으로는 신뢰하기 어려운 실험입니다.
      1. 비교군이 없습니다.
      2. 환경을 통제하기 어려웠습니다.
      다만 동물을 활용한 대규모 사회과학 실험이 어려운 점을 감안하면 시사하는 점이 있기는 합니다.

    • @user-rs4dt8io8j
      @user-rs4dt8io8j Před 25 dny +1

      그 영상 나도봤는데
      단순히 쥐랑 이성과 지혜를 가지고있는 사람과 똑같은 기전으로 작용할거라고 생각하는 당신은...와~ ㅋㅋ 그니까 쥐사회랑 인간사회랑 같을거라는거아녀?? 와;; 내가 그쥐실험영상이 한때 팍뜨면서 인기영상에 올라가는거보고 뭔가 물타기성이라 생각하긴했는데 정확히 속는 사람들이 있긴있네;; 쥐랑인간들이랑 똑같다는걸 믿네믿어;;
      그실험이 인간사회의 복잡한 모든것과 똑같다고 어떻게 의식흐름이 흘러갈수있을까;;

    • @user-cm1jc8lk8p
      @user-cm1jc8lk8p Před 23 dny +1

      이 영상에서도 보듯 학자들, 정치인, 재야지식인들 모두 하나같이 가장 중요한 전제조건을 간과하고 있어요.
      현재의 대한민국은 그 어느때보다 살기 좋아졌다는 사실!
      그래서 생존과 직접적으로 결부된 결혼이나 출산의 당위성을 크게 느끼지 못한다는 사실.(특히 여성들.)
      그래서 복지를 하면 할수록 희안하게 출산율이 더 떨어지는 마법이 연출.(분명히 힘들어서 못낳는다고 했는데? 거짓이었단 것.)
      왜 학자들, 정치인들조차 다들 "힘들어서 못 낳는다"는 관점에서 벗어나지 못할까요?
      주변에서 다들 힘들다 힘들다 하니까 진짜 힘들어졌다고 믿는 걸까요?

    • @user-qp8yb1bb6o
      @user-qp8yb1bb6o Před 20 dny

      ​@@user-cm1jc8lk8p
      예리한 통찰력

    • @minjaemang106
      @minjaemang106 Před 19 dny

      서울에 둥지많은데 이해안가네

  • @artority
    @artority Před 27 dny +8

    저출생이라는 단어부터가 기싸움할려는건데ㅋㅋㅋ

  • @stoonor
    @stoonor Před měsícem +17

    꼭 필요한, 필요했던 주제입니다. 문제는 정책 결정에 역할과 권한이 있는 인간들 중에 이런 합리적인 문제 제기를 들어하는 자들이 거의 대부분 너무 멍청하다는 거. 지금 특히. 제가 넘 부정적인가요? 암튼 힘드시겠지만 이런 얘기를 더 많이 해주시길!

    • @user-wr6ei9zu9k
      @user-wr6ei9zu9k Před 28 dny +2

      젊은 사람들이 지방에 살게 만드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봅니다. 일자리 구한다고 서울로 올라가는데 지방도 일자리를 키우고 해야될것 같습니다

  • @Dragon_sun000
    @Dragon_sun000 Před měsícem +11

    진화생물 관점으로 보는 초저출산 문제를 바라보니 너무 유익했어요! 한정된 자원을 두고 벌이는 팽팽한 집단 심리를 완화할 수 있는 최소한의 방안이 새롭게 나올 것 같아 다음편이 기대가 됩니다!!

  • @user-pc8yn5cm9o
    @user-pc8yn5cm9o Před měsícem +10

    낳고싶은 사람한테 낳을수 있게하는게 맞다고봄. 안정적인 번식기가 짧으니까요. 생물다양성측면에서 물론 인구밀도 낮추는게 적절해보이지만, 장기적이고 품이 훨씬많이드는 정책임. 이미 생산클러스터도 수도권에 밀집시켜버린 상황에서 단기적으로 즉발적인 정책적 수단은 돈밖에 없다고봄.

  • @user-lb3tu4fl4b
    @user-lb3tu4fl4b Před 25 dny +2

    흥미로운 주제를 다뤄주셔서 잘 봤습니다. 위정자들이 잘 알아서 해결책을 내놓기를 기대합니다.

  • @user-vu8ui2qu2l
    @user-vu8ui2qu2l Před 23 dny +1

    이렇게 상관 없다고 느껴지는 실험이나 통계치들, 일상생활을 줄에 진주 꿰듯 연결해서 보면 문제를 발견하고 해당 문제를 풀 수 있는 실마리를 제공할 수 있는게 재밌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ok4zm8lw9s
    @user-ok4zm8lw9s Před 23 dny +1

    책소개와는 또 다른, 배우는 즐거움이네요~ 쟁점도 잘 챙겨보겠습니다.

  • @user-bm5db9wh5r
    @user-bm5db9wh5r Před měsícem +5

    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 @never-er
    @never-er Před měsícem +8

    초혼연령 낮추는 획기적인 요인이 생기지 않는이상 출산율 안늘음

  • @user-qx9ks8rm8m
    @user-qx9ks8rm8m Před měsícem +4

    잘보고갑니다. 😊

  • @clair7828
    @clair7828 Před 29 dny +7

    제일 정확한 분석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결혼생각없는 사람들한테 자꾸 돈 주며 출산하라는 건 너무 무의미한 정책입니다. 그건 출산을 더 하고 싶은데
    돈 없어서 못하는 사람한테나
    해당되죠.
    인구밀도를 낮춰 서로간의 경쟁이 낮아지고
    생활의 시간적, 공간적여유와 자기 근거지가 확보되면 그 뒤 짝짓기(결혼)이
    가능해지는 듯합니다.
    그런데 지금 출산율(출생율)높이기는 너무 늦지 않았나 싶어요.

  • @bobnbobnbob
    @bobnbobnbob Před měsícem +5

    어느 정도나 낮아져야지 체감할 수 있을 만큼일지 궁금하네요~.

    • @user-kg8kk6jj7g
      @user-kg8kk6jj7g Před 29 dny +1

      지금은 체감이 크게 안될겁니다. 최소 10년 후에는 체감이 될거에요

  • @_onionskin
    @_onionskin Před 28 dny +3

    사실 자꾸 계획하고 계산하다보면 아이를 절대 낳을 수 없다. 왜냐… 그런 완벽한 환경은 없거등. 다 감수하고도 낳고싶다는 개인의 욕구가 결국은 중요한거고.

  • @jwc4684
    @jwc4684 Před měsícem +6

    논리 중 궁금한 사항이 하나 있습니다.
    이 논리라면 우리 나라 지방은 성장 가능성이 높은데, 실제 지방의 출산율 재고 사례가 있는지 문의 드립니다

    • @user-bm5db9wh5r
      @user-bm5db9wh5r Před měsícem +2

      지방은 먹이가 없어요. ㅜㅜ 안정적인 직장이 드뭅니다. 실제로 지방에 자리잡은(안정적인) 친구들은 결혼도 빠르고 출산도 빠른 경우들이 많아요

    • @dedododo9950
      @dedododo9950 Před měsícem +1

      지방 인구가 수도권으로 빨려들어가기 때문에 통계는 별 의미 없습니다.
      지방은 질적으로 좋은 일자리, 다양한 종류의 일자리, 결혼 적령기인 청년층의 전문 분야에 맞는 일자리... 이런 게 별로 없어 현 청년층에게 지방으로 내려갈 메리트가 많이 낮죠.
      오히려 얼마 없는 지방 청년 인구가 수도권으로 이동하는 상황도 계속되고 있고요.
      뿐만 아니라 의료 서비스 같은 인프라 역시 차이가 커 중장년, 노년층이라 해도 상경을 하게 되는 경우가 있죠.
      그로 인해 수도권 인구 밀도가 올라간 거고, 지방 인구가 소멸 수준으로 줄어든 겁니다.
      낮아진 인구 수, 무너진 인구 구조로 인해 합계출산율 1이 넘는 지방 도시도 절대적인 숫자로 보면 인구 구조에 영향을 줄 규모가 아니죠.
      사실상 가임기 여성 인구가 줄어 통계적 수치가 커진 수준에 불과하니까요.
      정리하자면 결국
      서울, 수도권이 지방 인구를 블랙홀처럼 빨아들여 지방 인구 소멸, 또는 미래가 없을 정도로 인구 구조 박살.
      서울, 수도권은 인구 밀도가 너무 높아 경쟁에서 밀려나는 사람이 많아져 출산율 바닥.
      (여기엔 사실 평균 올려치기나 획일적인 삶의 양식 같은 문화적인 문제도 있음)
      현재 수도권 거주 중인 청년층 상당수는 수도권 지역에서 나고 자라서(수도권 지역이 연고지라서) 지방까지 내려올 결정하기가 쉽지 않음.
      앞서 말했듯 경제적으로도 그럴 메리트가 부족함.
      그래서 수도권 지역에서 아등바등 버티는 것도 있음.
      종종 보도되는 지방 도시의 높은 출산율 뉴스는 가임기 여성 인구의 절대적 부족 상황에서 발생하는 통계의 착각.
      (출산율과 출생률을 구별해야 하는 이유)
      현 인구 구조에서 몇몇 지방 도시가 출산율 높아져도 인구 문제에 유의미한 영향 주기 힘듦.
      이런 것들이 서울 공화국 현상을 해결하기 어렵게 만드는 악순환입니다.

    • @user-gm2zf4ec5u
      @user-gm2zf4ec5u Před 29 dny +3

      저는 당신 논리에 근거가 궁금하네요. 우리 나라 지방이 성장 가능성이 높다는 근거는 뭐죠? 그나마 있는 제조기반 도시(울산, 창원, 포항) 도 몰락하는 판에 무슨 일자리, 산업군의 성장때문에 지방이 성장가능성이 높다는겁니까?

    • @dayk_hardcover
      @dayk_hardcover  Před 28 dny +3

      2편을 기대해주세요

  • @salon-de-sienna
    @salon-de-sienna Před měsícem +3

    여러가지 사회적인 문제에 직면한 사람들의 선택일수밖에 없던 저츨산문제에 제대로된 대안책이 필요합니다

  • @via_eunis
    @via_eunis Před měsícem +5

    비혼과 비출산을 계획한 저를 죽이려드는 부모님에게 생물학적 관점으로 설명할꺼임 ㅋㅋ 정책을 계획하고 수립할때 진화학자, 생물학자, 뇌과학자, 심리학자 등 다각도에서 입체적으로 고민해야 하는 이유. 역시 대익 👍

  • @user-co1lf5dl3d
    @user-co1lf5dl3d Před 24 dny +1

    초저출산시대라 하며 나오는 많은 정책,,,하지만 전혀 와닿지 않았던 이유를 이제야 알 것같아요!

  • @Vesperado0131
    @Vesperado0131 Před 28 dny +1

    인구 밀도는 서울보다 파리가 더 높습니다만 거긴 왜 출산율이 3배나 높을까요? 핀트 잘못 잡으셨습니다.

  • @AnOldOakbridge
    @AnOldOakbridge Před měsícem +3

    밀도의 문제를 진화학자의 관점에서 설명해줘서 너무 유익했습니다. 너무 “대익”했다고나 할까요!!

  • @flowlife3535
    @flowlife3535 Před 24 dny

    언론 에서는 정치,사회,경제 전문가 분들이 나와서 저출산 문제 심각성을 많이 이야기 하는데,결국에는 생존과 번식의 갈림길에서 생존을 선택할수 밖에 없는 상황이 심각한거고 어떻게 보면 아이를 안낳는 것이 오히려 더 현명한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 @kcastnet
    @kcastnet Před 27 dny

    상속세와 증여세를 폐지해 금은동 수저들이라도 아파트를 빨리 물려받아 결혼을 할 수 있는 동인을 제공하여 출산률을 올리겠다는 절박한 정책이 필요합니다. 특별한 예산이 필요한 것이 아니고 정치 쓰레기 모임인 국회에서 글자만 삭제하면 됩니다.

  • @user-kr6tz6yb1c
    @user-kr6tz6yb1c Před 29 dny +4

    청년지원이 많으면 많을수록 나한테 쓰는것이 많아져 더 싱글생활을 만족할뿐이지 바뀌는것은 없다.
    그리고 여자들이 싱글때 럭셔리 생활하다가 결혼하면 만족할까..? 이혼도 쉬운나라에서.. ㅋ

  • @via_eunis
    @via_eunis Před 28 dny +1

    그나저나 책장 위 무도사 귀엽🥹

  • @yschoi6620
    @yschoi6620 Před 27 dny +2

    서로 사는게 비슷하면 못살아도 아이를 많이 낳는다.
    7,80년대처럼...
    대학도 나오고 똑똑하지만 빈부격차가 심하면 상대적 빈곤감을 더 느끼고 아이 낳아 봐야 고생만 시킨다고 생각 하고 아이를 낳지 않는다.
    알겠냐.
    무식하면 아이를 용감하게 낳는데 전부 대학도 낭고 똑똑하니까 낳기를 주저하게 된다.
    특히 여자는 과거에 저학력일수로 살기 위해 아이를 낳았는데 요즈음은 밥은 먹고 살기에 힘든 출산을 하지 않는다.

  • @user-cx9wb5ht6j
    @user-cx9wb5ht6j Před 27 dny +2

    여성가족부에게 저출산문제 마끼면 망해요 ㅋㅋㅋㅋ

  • @beamlight8212
    @beamlight8212 Před 29 dny +1

    인구가 많이 줄면.. 반등하게 될거임...

  • @N_-o
    @N_-o Před 23 dny

    구독 좋아요 알림설정 완이요
    (청주mbc2024년5월22일)

  • @sdfsdedfg
    @sdfsdedfg Před měsícem +9

    저출산 아니고 저출생? 저출생같은 소리하네ㅋㅋㅋ

  • @Tangri_1234
    @Tangri_1234 Před 28 dny +5

    저출산 가지고
    많이 이용해 먹네요.. 이제는 밀도의 문제라고 ?
    가치관의 문제입니다.
    희생과 사랑의 가치관이 실종된거죠.

    • @suchulpark8522
      @suchulpark8522 Před 26 dny

      무슨놈의 희생과 사랑의 가치관 ㅋㅋㅋㅋ 지금 젊은애들이 그리 자랐으면 애 어련히 낳겠죠. 우리세대가 아이들을 얼마나 괴롭혔나요? 정말 희생과 사랑이 맞나요? 그냥 내 욕망대로 실컷 팔다리 꺾은거지?

  • @user-er9wt7kb5w
    @user-er9wt7kb5w Před 29 dny +1

    이해할 수 없는 연쇄살인으로 인해 프로파일러가 생겨났듯이
    저출생도 감정이 아닌 이성적으로 판단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 @9ppla467
    @9ppla467 Před měsícem

    조선망한거나 수도이전 위헌사건 보면서 느낀거지만 나라망하는건 소수 몇백명만으로도 가능함 ㅋㅋㅋ

  • @sei75
    @sei75 Před 18 dny

    당신 주장은 인구가 감소하면 결국에는 출산율이 높아진다는 것이네요? 인구밀도가 문제이니 시간이 해결 해준다는 결론에 도달

    • @dayk_hardcover
      @dayk_hardcover  Před 17 dny

      인구 수가 문제가 아니라 밀도가 문제입니다. 인구의 반이 살고 있는 수도권의 인구 밀도가 낮아지지 않으면 저출산 문제가 해결되기 어렵다는 주장입니다. 지방의 청년들이 수도권으로 계속 몰려오면 수도권의 인구 밀도가 낮아질 수가 없겠지요.

  • @user-xg7lx2hb3k
    @user-xg7lx2hb3k Před měsícem +2

    1980년대 출근 버스에 비하면
    비지니스 클래스인데요? ㅎ

  • @SeouliteSoul
    @SeouliteSoul Před 26 dny

    좋은 내용이다. 결국은 인구 밀도가 중요한 요인이라는 지적에 주목하게 된다. 많은 사람의 경청하면 좋겠다. 특히 정책 결정자들은 필히 청취해야 할 것 같다.

  • @sehyunjang568
    @sehyunjang568 Před 29 dny

    캐나다, 러시아, 우크라이나.... 심지어 우크라이나는 전쟁 중 인데도 출산율 다 내려가고 있습니다. 뭔가 잘 못된거 같은데요?

  • @SA-og7lf
    @SA-og7lf Před 28 dny +4

    인구밀도는 2차 요인임. 인구밀도가 낮은 시골가서 사는 걸 못 견딜정도로 다들 눈이 올라간 게 1차 요인이고. 시골가봐라 여자 있나.
    즉, 진짜 원인은 여성권, 여성경제력, 여성정신 타락과 사치인 거지.
    결혼출산을 선택하는 남자는 상위 10%~20%의 남자일뿐... 대부분은 여자가 연애도 결혼도 출산도 선택하는 거임.
    예전에는 여성권이 눌려있어서 먹고살길 없어서 낳았음 + 애가 생산제라서 낳았음(개똥아 밭갈아라~) 이었던 것이고.

  • @cusco9417
    @cusco9417 Před měsícem +2

    지방 소도시 사람들은 빨리 결혼하고 대부분 아이를 둘이상 낳는데 과밀화된 도시일수록 사람들은 결혼 출산을 안함
    안정적인 느낌이 있어야 둥지를 틀고 자리를 잡고싶은게 동물적인 본능임

  • @user-rs4dt8io8j
    @user-rs4dt8io8j Před 25 dny +2

    하.... 웃기고있다.
    이런게 사회지식인이라고 한국사회에 또아리를틀고있으니. 아직도 찐1원인은 말도못꺼내는 이런지식인은 차라리입을다물고 있기를.오히려 진실을가리니까

  • @hjl5785
    @hjl5785 Před měsícem +2

    경제적 관점에서 손익분기점은?
    아기 한명당 월 150 아기 키우느라 필요한 시간에 빼앗기는 노후준비자금 생활비 월 150(직장에서 근무하며 받는 월급 150?은 여기서는 제외). 즉 월 300 정도가 손익 분기점. 아기 두 명이면 월 450 정도. 이 정도가 국가에서 인구 한 명 씩 늘리는데 필요한 돈이다. 선진국은 이 정도 지원하니 아기 2명 놓는 것이고 한국 중산층도 이 이상 월급을 가져가니 2명 놓는 것이다.
    돈으로 안되면 돈이 부족한 것이다.

  • @user-xt6jm3zr6g
    @user-xt6jm3zr6g Před 23 dny

    1. 안정된 직장 >> 많이 없음
    2. 집? >> ㅋㅋㅋ
    이거가 되면 낳지 말라고 해도 낳을 것 같은데요.

  • @khp3300
    @khp3300 Před 22 dny

    저출생?ㅋㅋㅋㅋ 긴ㄱ소리 잘들었습니다ㅋㅋ

  • @loyalninja
    @loyalninja Před měsícem +9

    이 아저씨도 핀트를 아예 잘못 잡고 있네....
    아예 엉뚱한 결론을 내고 있어요 아저씨....
    이러니까 초저출산 문제를 해결 못하지

    • @robertpattinson9150
      @robertpattinson9150 Před měsícem +1

      넌 뭘아냐 ㅋㅋㅋㅋㅋ

    • @loyalninja
      @loyalninja Před měsícem

      @@robertpattinson9150 여기 다른댓글에 써놓음

    • @chaosmos15
      @chaosmos15 Před měsícem +2

      무지의 지

    • @loyalninja
      @loyalninja Před měsícem +4

      결혼할 세대가 당사자들이 그게 아니라고 하는데 뭘 아냐니 ㅋㅋㅋㅋ 무지라니 ㅋㅋㅋㅋ 어처구니가 없네 이런말이 있습니다. 빠는 까를 만든다.

    • @chaosmos15
      @chaosmos15 Před 29 dny

      너 자신을 알라

  • @easeafe4re581
    @easeafe4re581 Před 27 dny +1

    헛소리 좀 하지 마

  • @loyalninja
    @loyalninja Před měsícem +11

    우리나라 초저출산 문제는 다른 이유가 없습니다.
    매우 단순합니다.
    늦은나이결혼->연애기간길어짐->다양한남자경험->낙태->결혼은현실(사랑X)->색으리스->항정자항체->노산->기형아28%->낙태->초저출산
    이 흐름을 이해 못하면 초저출산문제 해결 못합니다.

    • @loyalninja
      @loyalninja Před měsícem +5

      풀어서 쓰면
      늦은나이에 결혼하기 시작하면서
      여성들의 연애기간이 10대 부터 30대 초까지 길어지게 되어
      많은 남자를 만나게 되었고 그 과정에서
      혼전순결을 하게 되는 경우는 없으니 항정자항체가
      지속적으로 몸에 누적되게 되었습니다.
      또 피임약 누적사용으로 인한 부작용도 몸에 지속 쌓이게 되었고
      일부는 피임을 하지 않아 낙태를 하는경우도 있었겠지요.
      최근 한국여성의 트렌드는 연애따로 결혼따로 결혼은 현실이기 때문에
      사랑없는 결혼을 하게 되어 섹스리스인 부부가 많으며
      친자확인결과 불일치인경우가 세계1위가 되버린 불명예가 되었습니다.
      또한 30대 중후반 결혼으로 인하여 노산으로인한 기형아 출산확률이 높아짐에 따라
      임신이후 기형아확인으로 낙태를 하는경우가 많아졌고
      결국 최종 출산률이 0.7로 낮아지게 되었습니다.
      정확한 통계가 나와있는데 무슨 엉뚱한 곳에서 데이터를 찾으려고 하는건가요?
      그냥 여성들이 늦은나이에 결혼해서 생긴문제들입니다.
      일찍 결혼하면 전부다 해결됨.
      한국남성분들은 고생하기 싫으시면 국결하세요.
      그것말고는 답이 없습니다.

    • @ShallSetmefree
      @ShallSetmefree Před měsícem +1

      😱😱 예수어머니 마리아 약 16세 출산

    • @ShallSetmefree
      @ShallSetmefree Před měsícem +3

      이거 말하는 사람 없을겁니다.
      그리고 대답은 이거죠 그럼 여자는 연애를 하지 말라는거냐 지금이 조선시대냐 무슨 자유가 없냐
      웃긴게 20세기 페미니즘은 학업의 자유 직업의 자유를 얘기했는데 21세기는 성관계밖에 얘기안함 ㅋㅋㅋ

    • @Zionational
      @Zionational Před měsícem +3

      단순하진 않지만 제일 큰 이유로 저도 이거 동의함.
      젊은 나이에 뭣도 모르고 사랑 하나로 만나서 덮어놓고 일단 낳고 부성애 모성애로 어떻게든 키워보겠다고 개같이 구르면서 산업발전에도 큰 기여를 하면서 부모도 노력하고 기존 사회였음.
      요즘? 결혼은 미친짓이라고 최대한 늦게하라함.
      그리고 홀몸이니 책임감도 없으니 직장이 좀만 ㅈ같아도 때려쳐서 30대 무직들도 널렸음.
      그리고 그나마도 늦게 결혼하니 머리가 냉철해져서 내 삶의 욜로를 생각하며 계산기 두들기기 바쁨.

    • @user-wr2mz4ls8z
      @user-wr2mz4ls8z Před měsícem

      필자님의 주장이 옳다고 하더라도, 그렇다면 왜 결혼을 늦게 하는가에 대한 추가적인 설명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본 영상이 얘기하고 있는 게 바로 그 부분입니다.

  • @user-vo8us7nq3s
    @user-vo8us7nq3s Před měsícem +7

    진짜 멍멍이 소리만 하고 있네 ㅋ 답답하다 ㅋ 저런 핀트 못 잡는 아재들 때문에 평생 해결 못 할듯 ㅋ

  • @happy06147
    @happy06147 Před měsícem +7

    애낳는 기계아니고 애낳는 생명체 맞음. 낳지도 않으면서 기계타령 하고 있네... 남자도 돈버는 기계 아니고, 돈벌어오시는 가장님임
    30살 이상 애안낳는 여자는 다 군대 보내버려야됨.
    30년 동안 튼튼하게 운동하고 헬스하고 샐러드먹고 필라테스로 다져진 애는 못낳지만 암벽등반은 잘하는 튼튼한 몸으로 국방의 의무를 다해라.

  • @gungray79
    @gungray79 Před měsícem +8

    암닭이 울면 집안이 망한다 란 말이 그냥 나온말이 아님

  • @user-sy4tw1fx6c
    @user-sy4tw1fx6c Před měsícem +5

    참~말 길게하시네 일찍 20세이후부터 시집가면 애일찍낳고 잘삽니다 30~35세쯤 넘어결혼 해서 뭘하자는건지 장난해요? 남자들 일자리 없고 소득적어지면 여자들이 개무시하는건 사실인데 젊은 남자위주의 소득재분배하면 되고 단순하게생각해도 답이딱나와요

  • @Akiterara
    @Akiterara Před 24 dny

    답답한 꼰대들 헛소리할거면 그냥 포기하세요

  • @user-bb2hv8vm5j
    @user-bb2hv8vm5j Před měsícem +2

    집값 10억
    독박 육아
    초등 의대반

  • @user-hd3sx4pp7n
    @user-hd3sx4pp7n Před 27 dny

    음~~
    별로 동조하기가 그렇네요

  • @user-fv7ip5ut8f
    @user-fv7ip5ut8f Před měsícem +5

    한국여자 눈높아서 출산율 낮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