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무공 이순신은 과연 장군이 몇살에 되었을까?[이순신 장군의 역대 계급]

Sdílet
Vložit
  • čas přidán 25. 10. 2020
  • [1597년 10월 26일] 대한민국의 성웅
    충무공 이순신 장군께서 명량대첩으로 왜구를 격파한 날입니다.
    423년이 지난 오늘 이순신 장군의 계급의 변천사와
    그 계급이 지금 군으로 어떤 계급인지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Komentáře • 618

  • @Captain_kim
    @Captain_kim Před 3 lety +123

    하.. 디지게 어렵다 ^^ㅋㅋ요약하느라 힘쓰신 러셀님께 박수를.

    • @user-vh7wg4nj9j
      @user-vh7wg4nj9j Před 3 lety +3

      형이왜 거기서 나와?

    • @dr.lee1535
      @dr.lee1535 Před 3 lety

      ㅋㅋ 이거 너무 단편적으로만 알아보시고 요약한거같습니다

    • @dr.lee1535
      @dr.lee1535 Před 3 lety +6

      조선초기나 중기까지 무과에 합격하면 지금의 고급장교입니다 3년에 20~50명정도었기때문이지요
      무반의 총 관직수는 3000~3100개정도(문반은 220~260개정도) 였어요 녹봉이 나오는.(사실 녹봉은 최저시급 수준이였지요 당시는)
      조선 후기로 가면 인조시대에 무과로 2만명넘게 뽑고 숙종때도 1만명 넘게 뽑아 만과라 불리기도 하여 조선후기에는 적체가 심해서 한량한테는 선달(무과급제자인데 관직을 못받은 사람)이라 부르기도 했저 사실 조선후기로 가면 문과나 무과나 합격하고 관직 못받고 죽는일이 허다했습니다
      아무튼 이순신 시대까지는 하위관료나 하급장교는 취재라는 별도 시험으로 선발했습니다
      무과출신은 말그대로 엘리트 장교였어요
      그리고 파직되었다해서 그 명예까지 전부 리셋되는게 아녔습니다
      이른바 백의종군도 마찬가지
      일개 병으로 돌아가는게 아니라 그 지위가 유지되면서 군에 신분은 유지된채 참모로 참여하는 형식이였습니다
      그러니까 종4품에서 6품으로 강등당해도 신분이나 지위는 유지되었습니다
      단지 녹봉만 바뀌엇다 생각하시면됩니다
      그러나 당상관 3품이상에게 당하관으로 강등은 치명적이였습니다
      당상관이상은 양반중에서도 고급 양반(왕에게 직접 보고 할 수 있는 위치-청요직 언관이나 이조 병조 정랑 좌랑도 마찬가지)였습니다
      그 외를 제외하면 신분과 지위에 문제가 생긴건 아닙니다
      특히 현감 현령 군수는 사실 문반의 영역이라
      무과출신이 그 직을 맡으면 가문의 영광으로 여겼습니다
      또한 지금 공무원처럼 생각하면 안되는게
      당시 녹봉은 진짜 얼마안됫어요
      딱 직계가족의 생계 유지였어요
      다른 걸로 돈을 벌게 시스템이 되어있었습니다

  • @user-op1fh5js5l
    @user-op1fh5js5l Před 3 lety +1

    항상 잘 봅니다^^~

  • @jurolong
    @jurolong Před 3 lety +5

    이번 영상 기획은 최곱니다!!! 조회수 좋을거 같아요~~

  • @user-fm1zu8cw7y
    @user-fm1zu8cw7y Před 3 lety +136

    12척의 배가 이지스함 또는 핵잠수함이라는게 학계정설

    • @TokisakiKurumi93
      @TokisakiKurumi93 Před 3 lety +6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rokafspete6768
      @rokafspete6768 Před 3 lety +13

      항모 12척

    • @TokisakiKurumi93
      @TokisakiKurumi93 Před 3 lety +4

      @@rokafspete6768 그럼 화포가 전투기였노; ㄷㄷ

    • @user-yt1wu8fy6n
      @user-yt1wu8fy6n Před 3 lety

      @@seunghunlee3577 ㅄ 인가 현무미사일도 구축함에 쓰인단다. 모르면 가만히 있어. 그럼 반은 간단다.

    • @mana2224
      @mana2224 Před 3 lety +2

      1척은 항공모함이였구요
      나머지 7척은 구축함
      1척은 핵잠수함, 2척 이지스함이라던데요?

  • @Kor_Alvaro
    @Kor_Alvaro Před 3 lety +1

    좋은 영상이네요 👍

  • @aiof883
    @aiof883 Před 3 lety +2

    러셀님 컨텐츠에서 이순신제독을 보게될줄이야!! 감사합니다 러셀님!

  • @deepseadiver56
    @deepseadiver56 Před 3 lety +57

    이야 이건 진짜 획기적입니다 👍

  • @life_is_gift2023
    @life_is_gift2023 Před 3 lety +15

    '성웅' 이순신 제독께서는 계급을 떠나서 하늘이 내려준 분, '불패의 신화'를 알아보면 알아볼 수록 한 인간이 해낼 수 있는 것인가 싶을 정도로 위대한 전략들이 모여있어서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이렇게 완벽할 수 있나 생각해보게 됩니다.

  • @aspearandshield
    @aspearandshield Před 3 lety +1

    이순신 장군님 주가가 등락을 반복하다가 마지막에 떡상!! 감사합니다

  • @user-xz3in6uj7g
    @user-xz3in6uj7g Před 2 lety +2

    장군님 돌아가실때 눈물이나더라구요
    심정을 어떻케 이해할까요
    그리고 3백년뒤에 먹히는 참아타까운

  • @user-qd6rw6zb3p
    @user-qd6rw6zb3p Před 3 lety

    오 신박한 영상이네요 대박나겠어요

  • @hspark5179
    @hspark5179 Před 10 měsíci +5

    이순신 제독은 성웅이자 난세의 영웅이었습니다. 이하 외국에서도 이순신 제독은 세계 3대 제독에도 이름을 올릴만큼 위대한 분이었습니다.

  • @peu815
    @peu815 Před 3 lety +92

    8:46 그렇다 사실 임진왜란은 6.25전쟁보다 늦게 일어났다

  • @OURCKTV_1
    @OURCKTV_1 Před 3 lety +2

    허허 재밌고도 헷갈리네요^^

  • @kanghun0211
    @kanghun0211 Před 3 lety +2

    근데 진짜 알기쉽게 정리해주셨다

  • @user-zm8rj2zr8n
    @user-zm8rj2zr8n Před 3 lety +5

    일본군은1958년도가 아닌 1598년도에퇴각했어요!!

  • @Logan-bb1xv
    @Logan-bb1xv Před rokem +1

    감사합니다

  • @탱슈TV
    @탱슈TV Před 3 lety +11

    항상 영웅은 신념이 강해보이고 그 신념 때문에 힘들어지나 결국 이름을 남기고 단명하는듯..

  • @user-wd3ol5bn3d
    @user-wd3ol5bn3d Před 3 lety +97

    선조는 진짜 왕답지못했다 이렇게 훌륭한군인을 강등을시키고 군복을벗기고 이런훌륭하신분 말을안듣고 원균같은 간웅말을 듣고 거기다가 조선을버리고 도망치기까지햇지 진짜 찌질한왕이다

    • @rare1816
      @rare1816 Před 3 lety +18

      멍청함의 극치였지요..왜놈들이 무서워한게 조선수군이아니라 이순신이였다는걸 모르고..존재 자체만으로 수비가 된다는 걸 생각도 못한 ㅉㅉ

    • @user-wd3ol5bn3d
      @user-wd3ol5bn3d Před 3 lety +11

      @@rare1816 이순신없었으면 조선이 먹혔을텐데 그것도모르고 자신의 인기보다 이순신이 높다는것에 시기하고 여러가지로 질투하고 간신들말만듣다가 오히려 역효과가 난것이지요 그때 충신이 유성룡밖에 없었고 정말 못난왕이지요

    • @user-tx2sj6vb4o
      @user-tx2sj6vb4o Před 3 lety +3

      을사오적 보다 나쁜놈?

    • @user-xl4uv2tx1i
      @user-xl4uv2tx1i Před 3 lety +1

      @@user-tx2sj6vb4o 조선사대 대왕둥한명이 선조대왕임. 이순신은 극일뽕에사로잡허 ㄴㅓ우 날조됨

    • @user-tx2sj6vb4o
      @user-tx2sj6vb4o Před 3 lety

      십만 양병설을 준비했다면?

  • @dhshssks658
    @dhshssks658 Před 3 lety +19

    충무공이 귀얇고 의심병 많은 선조임금 덕분에 고생이 많았죠.

    • @jydasdfg3688
      @jydasdfg3688 Před 3 lety +4

      아이러니한건 사간원이.너무 빠른 승진이라고 반대했는데 이순신장군을
      전라좌수사로 임명한게 선조

    • @user-wn5of4og8i
      @user-wn5of4og8i Před 3 lety +1

      윤두수도 문제임 그리고 원균

  • @Heart_Of_One
    @Heart_Of_One Před 3 lety +87

    해군의다짐
    우리는 영예로운 충무공의 후예이다!
    하나 명령에 죽고사는 해군이 되자!
    둘 책임을 완수하는 해군이 되자!
    셋 전기를 갈고닦는 해군이 되자!
    넷 전우애로 뭉쳐진 해군이 되자!
    다섯 싸우면 이기는 해군이 되자!
    이상!

    • @user-lf2gg3lq8w
      @user-lf2gg3lq8w Před 3 lety +2

      식당이름이 모였죠? 양병관이었나

    • @lion-mg6lp
      @lion-mg6lp Před 3 lety

      @@user-lf2gg3lq8w 양병관? 아이거맞나 아 개추억이네 진짜..

    • @Heart_Of_One
      @Heart_Of_One Před 3 lety +2

      @@user-lf2gg3lq8w 네 양병관 맞죠 09군번 기순데 아직도 기억남 ㅋㅋ

    • @Jonathan-hj9ds
      @Jonathan-hj9ds Před 3 lety +3

      91년도 군번입니다.. 완전 화석 ㅎ 저는 승파관 만 기억이 납니다.

    • @Jihotiger_sports
      @Jihotiger_sports Před 3 lety

      어후 물개ㅋㅋㅋㄱㅋㅋ

  • @user-sl4bm4rf3k
    @user-sl4bm4rf3k Před 3 lety +8

    이순신 장군님 존경합니다 대한민국을 지켜주셔서 위대한 이십니다

  • @user-JinSang2258
    @user-JinSang2258 Před 3 lety +4

    나였으면 저렇게
    강직할수 없었을것이다.
    위대하신분...

  • @user-ol1up8zn4d
    @user-ol1up8zn4d Před 3 lety +3

    이순신 장군은 철저하게 실전형 군인이시네
    풍부한 실전경험. 딴 길 안새고 오로지 군대에서 경험을 쌓은.
    역시 실전경험이 진짜 중요하네요.

  • @PepsiZeroSugarLime1012
    @PepsiZeroSugarLime1012 Před 3 lety +6

    이순신 장군께서는 사후에 영의정에 추증되셨습니다. 최종 직위는 영의정입니다. 그리고 명에서는 수군도독의 벼슬을 내렸구요. 둘다 정1품의 최고 관직입니다. 사후에 받은 충무공이 인정이면 사후에 받은 영의정도 인정해하는것 같습니다. 조선에서 무관이 영의정에 추증된 사례도 희귀한 사례로 알고 있는데 정확히는 모르겠습니다만 아무튼 조선에서 받은 이순신장군의 최종직위는 삼도수군통제사가 아니라 영의정입니다.

    • @user-ht4sg8vi9i
      @user-ht4sg8vi9i Před 3 lety

      생전 작위는 정헌대부 행 삼도수군통제사가맞지만 사후에는 증 의정부 영의정겸 영경연 홍문관 예문관 관상감사 덕풍부원군 시 충무공이죠

  • @user-ge3bj3ge1c
    @user-ge3bj3ge1c Před 3 lety +1

    8:46 1958년 수정해야될듯해요옹 듣다가 오잉 했네요 ㅎㅎ 좋은 정리 잘보고갑니다:)

  • @user-fl6ni6tw8i
    @user-fl6ni6tw8i Před 3 lety +12

    군 계급과 공무원 급수 매칭을 할 때 실제로는 자료 내 도표의 군 계급을 두계단 내려야 적절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군수가 소령보다도 못하다니ㅜㅜ

    • @PeterYi7
      @PeterYi7 Před 3 lety +1

      이건 군사정부시절에 군인들 급수를 말도안되게 올렸기때문이죠ㅎ 님말씀이 맞음

    • @user-eq1ll1ke2v
      @user-eq1ll1ke2v Před 3 lety

      그럼 부사관경우는 하사는 11급 중사는 10급 원사9급 준위는9급인가요?ㅋㅋㅋㅋㅋㅋㅋㅋ
      게다가 준위는 부사관에서되는 경으도 있지만 항공준위 통역준위는 일정스펙이상을 갖추고 응시하는건데 ㄷㄷ

    • @user-eq1ll1ke2v
      @user-eq1ll1ke2v Před 3 lety +1

      장교쪽도보면 사관학교&학사,학군,3사 와 경찰대&간부시험 대학나오는 조건은 7급시작인데 그럼 소위는9급 중위는8급 대위는7급 소령 6급이면 이건 말이되나요??
      장교의경우는 진급이 빠른건데 2계급씩 내려야한다니 ... ㅋㅋㅋㅋㅋㅋㅋ 진짜 재밌으신분이네요

    • @user-eq1ll1ke2v
      @user-eq1ll1ke2v Před 3 lety +1

      그리고 장군의경우도 저번에 모당에서 격하시켜서 그렇지 원래 대장이 장관급에서 차관급으로 내려갔어요
      경찰총장이 차관급인데
      경찰이랑 군대는 규모부터 다른데 같은급이라는 의전서열부터 매우 낮은겁니다

    • @bksong7034
      @bksong7034 Před 3 lety

      대위가 사무관과 대응된다는게 코메디죠. 저거대로라면 소령=경찰서장 ㅋㅋㅋ

  • @frisebichon1519
    @frisebichon1519 Před 3 lety +4

    러셀님...
    유신대위 사무관 특채때문에 대위-5급이라고 하지만
    실제론 대위정도면 7급도 힘든게 사실이지요.
    경간 시험 합격후 1년 연수후, 또는 경찰대학 졸업후 경위 임관하면 6급인데
    대위가 5급이라는것은 무리죠

  • @찬우정
    @찬우정 Před 3 lety +19

    조선시대 위국헌신 군인본분을 실천하신 참지휘관.

  • @user-js3gl2dn2s
    @user-js3gl2dn2s Před 3 lety +4

    충무공 이순신 '제독'
    전후무후한 구국 영웅이시자
    세계사에 남을 명장이십니다.

  • @lkmb4483
    @lkmb4483 Před 3 lety +4

    고흥의 발포에 가면 이순신 장군님 근무 당시 배를 제작하고 수리했던 영상과 똑같은 시설이 있습니다. 태풍이 와도 문제 없을듯한 위치에 있습니다. 지역적으로 생긴 조선 해군 기지속 조상님들의 모습을 볼 수 있는 오리지널 숨결을 느낄 수 있습니다.

  • @user-th7vw2if3e
    @user-th7vw2if3e Před 3 lety +19

    우리 위대한 장군님에게 계급은 사치인듯 합니다 온 우주에 있는 별을 다 드리기에도 부족하다고 생각합니다

    • @user-jm8km6zl4d
      @user-jm8km6zl4d Před 3 lety +1

      계급이 무슨 의미가 있습니다.. 과거 조선에서 받은 충무공이란 시호 조차... 수백년이 지나서 후대들이 붙여주는 성웅이라는 시호 앞에서는 초라할뿐입니다...

  • @user-ch8vl9xo3n
    @user-ch8vl9xo3n Před 3 lety +16

    이순신 장군님, 손원일 제독님 감사합니다

  • @In_mellowdream
    @In_mellowdream Před 3 lety

    잘만들었네요 황대위^^

  • @emiyamulzomdaojom
    @emiyamulzomdaojom Před 3 lety +23

    8:46 연도가 잘못됐네요

    • @hsick
      @hsick Před 3 lety +1

      1958년이면.. 울 아부지 생년인디 ㅋㅋㅋㅋㅋㅋ

    • @user-rs4ju4nj5d
      @user-rs4ju4nj5d Před 3 lety

      4:25여기도 1598년이라 쓰이고 1958년이라 말하고
      1588년인데..

  • @therevolver2564
    @therevolver2564 Před 3 lety +1

    5:20에 종6품에서 종4품이면 4품계 아닌가요? 덕분에 정보 잘 알아갑니다.

  • @user-yc8ck9im9l
    @user-yc8ck9im9l Před 3 lety +5

    그 당시 품계는 종9품도 오늘날 사무관 이상 or 국회의원 보좌관 개념임(당장 문과 급제자도 종 9품부터 시작). 조선시대 품계를 오늘날 직업공무원 계급과 일대일로 대응하기에는 무리가 있음. 조선시대 양반의 역할은 정치인 개념이고 오늘날 공먼의 역할은 조선시대로 치면 서리, 아전 즉 실무자 개념이기 때문임.
    황대위님께서 약간 실수하셨네요.

  • @jeonghoonlee2993
    @jeonghoonlee2993 Před 3 lety +2

    이번 영상 너무 대단한것 같습니다.

  • @ryuyonggeun
    @ryuyonggeun Před 3 lety

    👍👍👍👍👍

  • @okizuroman
    @okizuroman Před 3 lety +2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하나만 부탁드리자면...이순신 장군이 아니라 이순신 제독으로 부탁드립니다....ㅎㅎ

  • @user-yx5lp4sd7p
    @user-yx5lp4sd7p Před 3 lety +5

    아무리봐도 진짜 영웅이신게
    고문받고 백의종군 시켜놓고
    다시 복직시켜줄테니 싸워
    하면 솔직히 ㅈ까 라고 할텐데.....
    진짜 충신....
    그리고 당시 수군들도 완전 대우가 나빴다는데 그분들도 대단함...

    • @user-xk9dl5pb3r
      @user-xk9dl5pb3r Před 3 lety

      수군이 처우가 굉장히 나빠서 왠만하면 잘 안하려고 했더라구요 군내 보급사정이 좋은것도 아니고 배타고 기동훈련이라도 하면 훈련된 수군도 뱃멀미도 하고 등등해서 아버지가 수군이었으면 아들이 군역을 지면 자동으로 수군이 된다더라구요

  • @user-gn3hj2zm7c
    @user-gn3hj2zm7c Před 3 lety +5

    필사즉생 필생즉사...

  • @user-em2md4nm3f
    @user-em2md4nm3f Před 3 lety +18

    8:46 에서 1598년을 1958년으로 말하셨어요

    • @keuroe
      @keuroe Před 3 lety

      엥 1958년?!뭐야 왜 시간이 훌쩍 넘어온거지?!

    • @dubujorim
      @dubujorim Před 3 lety

      이승만시대;;

    • @user-yb1yf8pq1d
      @user-yb1yf8pq1d Před 3 lety

      사실 한국전쟁당시 인천상륙작전은 이순신장군이 있었음ㅋㅋㅋㅋ

  • @jeehun94
    @jeehun94 Před 3 lety +8

    정2품인 판서는 장관이며 대장은 차관급이므로 종2품은 중장이 아닌 대장이 되어야합니다. 6조판서중 병조판서는 국방부장관의 역할을 했습니다. 따라서 이순신장군의 최종급수인 종2품은 중장이 아닌 대장으로 표기해야할것같습니다.

    • @user-zr3dc7bw7b
      @user-zr3dc7bw7b Před 3 lety +2

      대장은 차관급이 아니라 장관급입니다. 예식령과 국무총리령으로 명시되어 있습니다. 이에 국방부차관은 국군의전서열 2위가 아니라 9위입니다.. 비슷하게 법무부장관의 지휘를 받는 검찰총장 또한 장관급이죠.

    • @jeehun94
      @jeehun94 Před 3 lety +1

      @@user-zr3dc7bw7b 대장 차관급 맞습니다 장관밑에 수장이 장관급인건 검찰총장밖에 없습니다. 대장 7명은 전부 차관급입니다. 중장은 준차관급이고요

    • @user-wh3gg2wp2n
      @user-wh3gg2wp2n Před 3 lety +3

      저도 이생각했는데 ㅋㅋㅋ
      그당시 수군총사령관급이었고
      해군중 가장 높다고 볼 수 있죠..
      실질적으로 봐도
      해군참모총장 4스타인 대장이 맞다고봐요.

    • @user-iz4bx3yr6i
      @user-iz4bx3yr6i Před 3 lety +2

      사성장군은 대장급으로 예우하며 차관은 군의전서열9위가 맞고 차관급인 중장 계급의 의전서열1위는 해병대사령관입니다

    • @seil3486
      @seil3486 Před 3 lety +2

      @@jeehun94 대장은 장관급 장교입니다. 중장은 차관보 예우를 받습니다.

  • @sm-lb9dt
    @sm-lb9dt Před 3 lety +4

    이순신은 전쟁중에 부모를 잃고 초상도 제대로 못치르고 자식까지 잃으면서 귀양살이까지 하면서도 나라를 지켰고 그런 시험을 이겨낸 결과로 신이된다함

  • @user-ju5yc1rs4u
    @user-ju5yc1rs4u Před 3 lety +1

    장군님 만세

  • @user-qu8rc2qk3y
    @user-qu8rc2qk3y Před 3 lety +13

    대위를 사무관급으로 보는건 현재의 기준과는 맞지않는것 같습니다 그리고 장관급의 예우를 해주는거랑 장관인거랑은 아예 다릅니다 국방부장관의 통제를받는 군대인데 합창의장정도나 장관급의 예우고 나머지 대장들은 차관급으로 생각해야합니다

    • @frisebichon1519
      @frisebichon1519 Před 3 lety +2

      맞아요..
      국방부 장관의 지휘를 받는 부대의 최고참급인 합참의장을 제외하고 나머지는 장관아래 차관위라고 보는게 맞습니다.
      국방부 차관의전서열이 대장보다 낮고 차관보다 높다고 되어 있으니 해병대사령관 바로 위라고 보면 됩니다.
      근데 또 웃긴게 군범에 따르면 국방부 차관은 모든 군인들의 경례를 받으니 밑이라고 하기도 우습죠..
      대장이 경례하는데 의전서열은 뒤고...ㅎㅎㅎ

  • @bhchoi875
    @bhchoi875 Před 3 lety

    형 8분46초 오타ㅜㅜ 1598년퇴각인데 1958로 자막,스피크 다되어있네용ㅜㅜ

  • @user-uk7xv5it3z
    @user-uk7xv5it3z Před 5 měsíci

    난세의명장 민족의영웅 성웅이순신장군님 감사드립니다(단결)

  • @rnfu0074
    @rnfu0074 Před 3 lety +1

    삼도수군통제사는 해군 사령관으로 봐야겠죠 중장이면 사령관직이고 참모총장은 대장(별 4개)계급이니까요 그리고 백의종군은 사병계급이 아니라 고문직 또는 참모직이었고요 사병 계급으로 떨어지는 개념이 아니였어요 그래서 2차 백의종군 당시 권율장군 휘하에 있었던걸로 기억하고요

  • @dr.lee1535
    @dr.lee1535 Před 3 lety +17

    근데 이건 조선사회에 대해 현대 공무원 시각으로 넘 단편적으로 본거고요
    조선초기나 중기까지 무과에 합격하면 지금의 고급장교입니다 3년에 20~50명정도었기때문이지요
    무반의 총 관직수는 3000~3100개정도(문반은 220~260개정도) 였어요 녹봉이 나오는.(사실 녹봉은 최저시급 수준이였지요 당시는)
    조선 후기로 가면 인조시대에 무과로 2만명넘게 뽑고 숙종때도 1만명 넘게 뽑아 만과라 불리기도 하여 조선후기에는 적체가 심해서 한량한테는 선달(무과급제자인데 관직을 못받은 사람)이라 부르기도 했저 사실 조선후기로 가면 문과나 무과나 합격하고 관직 못받고 죽는일이 허다했습니다
    아무튼 이순신 시대까지는 하위관료나 하급장교는 취재라는 별도 시험으로 선발했습니다
    무과출신은 말그대로 엘리트 장교였어요
    그리고 파직되었다해서 그 명예까지 전부 리셋되는게 아녔습니다
    이른바 백의종군도 마찬가지
    일개 병으로 돌아가는게 아니라 그 지위가 유지되면서 군에 신분은 유지된채 참모로 참여하는 형식이였습니다
    그러니까 종4품에서 6품으로 강등당해도 신분이나 지위는 유지되었습니다
    단지 녹봉만 바뀌엇다 생각하시면됩니다
    그러나 당상관 3품이상에게 당하관으로 강등은 치명적이였습니다
    당상관이상은 양반중에서도 고급 양반(왕에게 직접 보고 할 수 있는 위치-청요직 언관이나 이조 병조 정랑 좌랑도 마찬가지)였습니다
    그 외를 제외하면 신분과 지위에 문제가 생긴건 아닙니다
    특히 현감 현령 군수는 사실 문반의 영역이라
    무과출신이 그 직을 맡으면 가문의 영광으로 여겼습니다
    또한 지금 공무원처럼 생각하면 안되는게
    당시 녹봉은 진짜 얼마안됫어요
    딱 직계가족의 생계 유지였어요
    다른 걸로 돈을 벌게 시스템이 되어있었습니다

  • @jesuslovesyou3228
    @jesuslovesyou3228 Před rokem +1

    임진왜란때, 한산도 해전의 승리 이후로,
    이순신 제독은 이미 정2품 상계에 해당하는 정헌대부의 품계를 받았습니다.
    종2품 가정대부로 말씀을 계속하시니...
    그러다, 백의종군으로 삭탈관직되고,
    복권되고 다시 정3품 절충장군이 되었습니다만.
    명나라의 요청으로 종2품 가정대부로 올랐습니다.

  • @user-tt4fk1ji1i
    @user-tt4fk1ji1i Před 3 lety +5

    온*겨레의 존경의 성웅
    이순신 장군☆
    김 동령 드림

  • @_REBORN_OF_GANG_GAM_CHAN

    8:45 오타 있습니다. "1958년"이 아니라 "1598년" 입니다.

  • @user-xk9dl5pb3r
    @user-xk9dl5pb3r Před 3 lety +2

    썩어빠진 윗대가리 때문에 말도 안되게 강등도 당하신게 너무 안타깝다...사실 나름 이름있는 사람들 라인만 타도 불상사는 방지 하였을텐데

  • @jewanriou4424
    @jewanriou4424 Před 3 lety

    일목요연하게 충무공 이순신장군의 무과급제후 무관으로서의 행적을 알게 되었습니다.저의 직계선조께서 조선말기에 전라우수사를 역임하셨는데, 조선수군으로서 위치가 어떻게 되는지 궁금합니다.제가 호패(조선시대의 신분을 나타내는 신분증명서,)도 보관중입니다

  • @user-iz4bx3yr6i
    @user-iz4bx3yr6i Před 3 lety +3

    현 행정부 기준 정1품 총리급,종 1품 부총리급.국방장관에 해당하는 병조판서는 정2품.삼도수군통제사는 현 해군참모총장급 종 2품에 해당하고 대장급 사성장군에 해당합니다.그리고 현재 사성장군 서열은 존재하지만 대장계급은 장관급 예우합니다

    • @soridaizin79
      @soridaizin79 Před rokem +1

      정2품이면 판서와 동급이었습니다.
      (즉 장관급이라 요즘 계급체계로 보면
      포스타 보다 높습니다.) 포스타는 예우는 장관급이지만
      실제 서열은 차관급에 해당합니다.
      당시에도 삼도수군통제사는 종2품 관직으로
      참판급이었습니다.
      조선의 작위 체계는 관품+관직이었는데 관품이 높은 쪽이 일단 갑이었습니다.
      즉 관품이 관직보다 높으면 관직앞에 "행"을 붙였고 관품이 관직보다 낮으면 "수"를 붙였습니다.
      이순신의 경우는 정2품 정헌대부 '행" 삼도수군통제사 였습니다.

  • @user-wn6if4pg6x
    @user-wn6if4pg6x Před 3 lety +38

    이순이라는 '신'일수도....

    • @desert_fox173
      @desert_fox173 Před 3 lety +2

      러일전쟁시 쓰시마해전을 승리로 이끈 도고 도고헤이하치로 제독이
      기자들에게 "나의 영웅 전쟁의 신이자 바다의 신 이순신제독"
      이라는 말을 했다고 하죠.

  • @phantom7545
    @phantom7545 Před 3 lety +1

    3:42 제가 알기로는 유성룡이 3살 형인거로 아는데 잘못 알고 있었나 봐요!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 @user-lw7jp4ug3n
      @user-lw7jp4ug3n Před 3 lety

      3살형이지만 친구입니다

    • @son2637-v1
      @son2637-v1 Před 3 lety

      정확하게는 류성룡은 이순신의 둘째형인 이요신과 친구입니다

  • @6708Maverick
    @6708Maverick Před 3 lety +2

    이순신 장군께서 훌륭하신 것은 전쟁에서 승리한 것만이 아닙니다.
    수 많은 좌절과 2차례의 강등 등 많은 수모 속에서도 철저히 뼛속까지 군인이셨습니다.

  • @hollycam0228
    @hollycam0228 Před 3 lety

    8:47 1958년 오타가 있는거 같습니다

  • @user-fj1zd6uh6h
    @user-fj1zd6uh6h Před 3 lety

    이순신! 이순신!

  • @user-ht4sg8vi9i
    @user-ht4sg8vi9i Před 3 lety +4

    근데 어쨋든 이순신장군은 해전도 해전인데 육전도 치트키셨음 니탕개의난때도 적장사로잡았고 녹둔도전투에서도 100명으로 천명넘는적하고 싸우면서 최소 무승부를 이끄셨으니 육해전따질거없이 충무공은 조선의 치트키죠 +행정도

    • @user-ht4sg8vi9i
      @user-ht4sg8vi9i Před 3 lety

      이미 녹둔도전에 니탕개의난때 적장을 사로잡으신거만보면 능력검증하신거죠 그게 1583년에 건원보 권관으로 다시가셨을때인데 당시 6진이 쑥밭되고 경원도호부사 김수목날라가는와중에 적장잡았는데 상관이였던 김우서가 작전외의행동이다 억지부려서 공을 인정못받으셨죠

  • @user-zv7si1fw7f
    @user-zv7si1fw7f Před 3 lety +2

    2:24 앙금 → 앙심

  • @user-yw2wt9zu1t
    @user-yw2wt9zu1t Před 3 lety

    안녕하세요
    덕수이씨 충무공파 16대손 입니다
    저희조상님을 이렇게 소개해주셔서 감사합니다 ㅎㅎ

  • @user-urbxidgwls17
    @user-urbxidgwls17 Před 3 lety +10

    8:46 오타인가요

  • @user-mu3mc2bq5e
    @user-mu3mc2bq5e Před 3 lety

    성웅 이순신 ^^

  • @dexter0pg189
    @dexter0pg189 Před 3 lety

    능력은 천재로 라는 말로 설명이 되긴 한다만
    멘탈만큼은 진짜

  • @user-gs8wk6qy8d
    @user-gs8wk6qy8d Před rokem +1

    도마 안중근 중장님은 어디 계세요?
    슬퍼집니다!

  • @kthkorea1988
    @kthkorea1988 Před 2 lety

    학군 49기 입니다. 잘 보고있습니다.
    계급체계에 대해 말씀드릴게있습니다.
    조선시대는 정, 종 2개의 품계가있고,, 현재 1급 공무원위에 차관급 장관급 국무총리급이있기때문에 조선시대 숫자품계를 그대로 현재의 계급으로 적용하기는 무리가 있습니다

  • @-matthew4152
    @-matthew4152 Před 3 lety +7

    퇴각을 1958년이 아니고 1598년인데...
    수정부탁드려요 ㅠㅠ

    • @user-kf3ws4pc7n
      @user-kf3ws4pc7n Před 3 lety

      58년 개띠들이 모여 멍 멍 멍 멍 멍......
      다행이다 난 개띠를 면했다...

  • @user-ov5sg2wj5s
    @user-ov5sg2wj5s Před 3 lety +1

    참고 삼아 배설도 중장이었지요. 같은 계급의 중장을 중장이 지휘해라? 그것도 명량 해전 앞두고? 선조가 정말 얼마나 인간xx 였는지 드러나는 사례 였죠. 하아.

  • @redk213
    @redk213 Před 7 měsíci +1

    이순신장군이 아니라 이순신원수가 맞다!!
    그 당시에 나라를 살린 장군이라 5성급 원수로 임명해줘야 맞다.
    국방부야 일을 해라!!!

  • @user-si7qf1ew2v
    @user-si7qf1ew2v Před 3 lety +1

    명량 이후 12척이던 전함을 전란 종결전까지 100척까지 늘리며 나라 자체가 파탄지경이다 못해 쇠붙이 하나 구하기 어려운때에 다시 군대 재건 시키고 수군전력을 끌어올린 공은 엄청난건데..그 부분이 빠져서 아쉽네요

  • @user-cq7fm4vg1b
    @user-cq7fm4vg1b Před 3 lety +2

    이순신장군님의 멘토인 정걸장군에관해서도 알려주세요!!

    • @jydasdfg3688
      @jydasdfg3688 Před 3 lety

      정걸이 맨토?

    • @jydasdfg3688
      @jydasdfg3688 Před 3 lety

      정걸장군이 이순신장군보다는 선배이긴
      해도 멘토라는 말을 처음 들어봄

    • @user-ly1nd5rs2v
      @user-ly1nd5rs2v Před rokem

      @@jydasdfg3688 아마 정걸장군이 이순신제독께서 전라좌수사로 부임했을때 조방장으로 부른기억때문인듯요

  • @user-yv4fw9ti7q
    @user-yv4fw9ti7q Před 3 lety +1

    당시 무과는 해군ㆍ즉 수군무과는
    없었어요
    즉 육ㆍ해군 구분이 없었답니다

  • @user-ff9vn6kv9t
    @user-ff9vn6kv9t Před 9 měsíci

    8:46초에 년도 표기가 잘못되어있는거 같네요 1958년이라고 되어있습니다 1598년으로 바껴야 하겠네용

  • @dr.lee1535
    @dr.lee1535 Před 3 lety +8

    마지막으로
    사람들이 이순신이 32세의 늦은 나이로 무과에 합격했다고 하는데
    당시 무과 평균 급제 나이가 34세 였습니다
    평균적으로 합격했다보심됩니다
    그리고 29명중 12등이였습니다.
    근데 이게 높은 등수인 이유는요
    무과 급제자 29인 중에서 이순신 등 4인을 제외한 '25인'이 현직 군관(하급 장교 등 현역 신분)이었습니다. 음직(음서제도), 천거, 자원, 징집, 취재 등의 형식으로 이미 군문에 들어선 사람들였습니다.
    조선시대의 문과와 무과 과거 시험에는 정3품 당하관 이하의 전현직 관리도 응시할 수 있었는데, 급제하면 정식 관직에 임명하거나 품계를 승진시켜 주는 특혜를 주었기 때문에 많은 사람이 '이미' 관직에 있었음에도 과거에 응시했습니다. 아무리 개인적인 능력이 뛰어나도 문과 또는 무과에 급제해야 선망받는 관직이나 고위 관직에 오를 수 있었기 때문에 특히 그러했습니다.
    독학으로 (혹은 장인 방진의 조력이 있었다고 해도) 무예를 연마한 이순신이 전현직 군관들 속에서 상위 42% 12등을 차지한 것은 출중한 성적이였지요.

  • @user-tt5hf1cj1w
    @user-tt5hf1cj1w Před 3 lety +4

    사후 최종적으로 영의정으로 추서...

    • @user-mf8by8uf1j
      @user-mf8by8uf1j Před 3 lety +1

      그것도 임진왜란 바로 끝난 뒤에 추서된게 아니라 정조가 이순신 장군의 업적을 보고 다시 추서된게 맞죠. 첨엔 종2급이었음

  • @user-dm7lq5kf7h
    @user-dm7lq5kf7h Před 2 lety

    8:46 부분에 1958년이라고 나오네요.. 수정 부탁드립니다

  • @phantom7545
    @phantom7545 Před 3 lety

    8:46에는 1958년이라고 되어있는데 1598년 아닌가요?

  • @user-ix8ue2lx2y
    @user-ix8ue2lx2y Před 3 lety

    진짜 멘탈 ㄹㅇ 아다만티움 급이셨구나... 고난은 확실히 사람을 강하게 만드나봐요... ㄹㅇ 한평생 고생만하시다 돌아가셨네 ㅜㅜ

    • @dr.lee1535
      @dr.lee1535 Před 3 lety

      이순신이 고문으로 몸이 망가진 것은 사실이지만, 몸을 가누지 못할 만큼 만신창이가 되는 것은 아닙니다. 난중일기에 따르면 백의종군 직후 앓아누운 횟수가 늘어나긴 하지만 조선시대에 50살은 결코 적지 않은 나이였으며 주당에 장기간 스트레스에 시달려 온 상태였습니다.
      이순신에게 어떤 고문이 가해졌는지는 자세한 기록이 없지만 정탁의 신구차에 한 차례의 형신이 있었다고 기록이 남아있습니다. 형신은 정강이를 때리는 고문으로, 고통스러웠겠지만 주리틀기가 기본 옵션인 사극과 비교하면 강한 고문은 아닙니다.
      난중일기에 의하면 출옥한 4월 1일에 몸을 가누지 못할 만큼 술을 마셨고, 이틀 뒤인 4월 3일에 말을 타고 출발해 다음 날인 4일에 수원, 다다음 날인 5일 아침에 아산에 도착합니다. 도성에서 아산까지는 직선 거리로도 90km 가까이 되고 길을 따라갔다면 못해도 이틀간은 110km는 말타고 달렸다는 말인데 몸이 상할 만큼 심한 고문을 받았다면 술을 퍼마시고 저 거리를 말 타고 달리는 것은 절대로 불가능합니다.

  • @user-uj6tk9hq1v
    @user-uj6tk9hq1v Před 3 lety +1

    백의종군 같은경우 보직이 해임되지만 고문역활을 맡게됩니다 보직해임되;었다고 병사들이나 아래 계급들이 함부로 하면 처벌받을수있습니다.

  • @seil3486
    @seil3486 Před 3 lety +2

    삼도수군 통제사는 종2품이었고, 도원수 권율이 정2품 정헌대부 였습니다. 후에 이순신 장군이 정2품 자헌대부, 를 거치고 올라와 정헌대부를 하사 받으면서 권율과 동일품계가 되지요. 종2품 중장 정2품 대장으로 이순신장군의 최종계급은 해군대장이었습니다.

    • @ddnzeus725
      @ddnzeus725 Před 3 lety

      정헌대부와 자헌대부는 같은 정2품입니다. 종2품직은 가선대부였죠.

    • @seil3486
      @seil3486 Před 3 lety +1

      @@ddnzeus725 자헌대부는 지금으로따짐 지상군사령관,2작전사령관같은 대장1차보직이고 정헌대부는 참모총장같은 대장2차보직입니다. 도원수 권율이 참모총장격이었죠, 정헌대부를 하사받으면서 권율과 동급이 되었고요

    • @dr.lee1535
      @dr.lee1535 Před 3 lety +1

      @@ddnzeus725 정헌대부는 정 2품 상계 자헌대부는 정 2품 하계입니다
      사실 큰 격차입니다

    • @dr.lee1535
      @dr.lee1535 Před 3 lety +1

      조선의 군사체계는 도원수와 체찰사밑에 모든 군이 배속되는 체계였저
      말씀주신대로
      권율과 이순신이 품계가 같앗을지라도 분명 권율이 상급자였습니다
      이순신의 난중일기에도 상급자 권율에 대한 불만이 자주나옵니다
      번외로 삼도수군통제사 원균은 도원수권율에게 곤장을 맞기도 했습니다

    • @soridaizin79
      @soridaizin79 Před rokem +1

      @@dr.lee1535 이순신은 그나마 품계상 권율과 동급이었기 때문에 권율이 함부로 하기 힘든 존재였습니다.
      원균은 품계 계급 다 밑이어서 마음놓고 곤장때렸죠

  • @user-no6rs7xb1e
    @user-no6rs7xb1e Před 3 lety +2

    이순신 장군의 품계는 종2품 현 계급은 중장으로 해군작전사령관으로 보면 될것 같습니다. 그때는 병조판서(국방장관), 도원수(합참의장), 도총관 이란 정2품 관직(현재 4성장군은 장관급인 정2품에 해당됨)이 있었고 그 밑의 수군통제사 및 각도 병마절도사는 종2품인 차관급 입니다.

    • @chb5633
      @chb5633 Před 3 lety +2

      수군통제사가 종2품급직이였지만 충무공의 품계는 정2품 정헌대부였습니다.정2품중에서도 상계품계입니다. 당시 도원수 권율도 정헌대부였습니다.

    • @chb5633
      @chb5633 Před 3 lety +1

      정2품인 이순신대감이 종2품직에 임명된 것입니다

    • @Joshua-ih8fy
      @Joshua-ih8fy Před rokem +2

      경상우수사, 전라좌수사, 전라우수사, 충청수사 등 각 수사들이 현 제독입니다. 중장급. 해병대사령관이 중장인데 조선수군도 사도, 첨사군등 유사한 직급을 운영했습니다. 이러한 첨사도 통솔하는 권한을 지닌게 삼도수군통제사이므로, 삼도수군통제사는 현 해군대장, 해군참모총장입니다.

    • @mister5776
      @mister5776 Před 11 měsíci +2

      해군참모총장인데 왜 중장느낌이 나냐면 당시 조선시대 천한 직업 중 하나가 해군이었음 그래서 뼈대있는 양반들은 해군으로 가도 가볍게만 돌다 돌아갔는데 이는 조선이 유교사회라 신체가 훼손되는 것을 두려워한 것에 직인되는데 육군은 죽어도 그 신체가 자상은 있어도 장례를 치룰 수 있지만 수군은 여차하면 육신이 물에 빠져 아예 찾을 수 없을 수도 있기 때문에 그런거임 그래서 삼도수군통제사가 조선 수군의 총 책임자이자 인사, 명령권을 다 가지고 있지만 육군 정2품인 도원수보다 품계가 한단계 낮은 종2품직을 가짐

    • @user-tg4cx6zi2u
      @user-tg4cx6zi2u Před 5 měsíci +1

      @@mister5776그건 도원수나 통제사나 모두 대장인거고 단지 지위와 직급에 차이가 있는거지요..
      합참의장이나 해군총사령관이나 둘다 대장인데 의전서열이나 직급은 합참의장이 위니까요

  • @kmjhbg
    @kmjhbg Před 7 měsíci

    참고하신 표가 잘못된게
    현 국방부장관급인 병조판서가
    당시 정2품이었습니다.
    군,경 뿐만 아니라
    문관계를 포함하여
    조선의 계급은 현 공무원 급제보다 2단 정도 높다고 봐야 합니다.
    그러니 무과에 급제하야 권지훈련원봉사가 된 이순신은
    현재로 치면 경간부 또는 학사장교로 임관되어
    중앙경찰학교 or 학생군사학교에서 교육받는 교육생 느낌인거고
    종9품 동구비보권관은 소위, 경위로 보아야 합니다..
    현재 각기 대한민국의 부사관 계급과 사법경찰리에 해당하는
    원사ㅡ하사 / 경사ㅡ순경의 경우
    조선시대에는 무품직으로..
    품계에 오르지 못한 말단 관리였습니다.
    조선에는 아래와 같이 종9품 이하의 개별 직위가 있었습니다..
    가령, 무품에 해당하는 진무(鎭撫, 무품으로 군영에서 군관을 보좌하여 군사와 관련된 실무를 담당하던 최하위 관직으로서 현대의 중사 / 상사 정도의 부사관 계급)나 군교(軍校, 아전으로 지방 군영 관청에서 군졸들 위에서 지휘하는 현대의 하사 계급에 대응)가 그러합니다..
    사실 현대 대한민국의 공무원 계급이 1ㅡ9급으로 나뉘기에
    현대인들이 많이들 착각하는데 현재의 7ㅡ9급에 해당하는 직위는
    대체로 무품인 아전이나 군교에 가깝습니다..
    좀 더 정확히 말하면
    6급 을 정도 되어야 정9품
    7급은 종9품 정도 되겠군요..
    쉽게 생각해서
    7급 공채, 사관학교-경찰대 및 기타 경로로 임관한
    대한민국 7급 공무원과 군경이 종9품이고
    그 이하 직급은 조선의 무품관인 아전ㅡ군교라 보시면 됩니다..

  • @Snorlax1
    @Snorlax1 Před 3 lety +15

    당시 과거제도는 지금으로 치면 고시 통과보다 힘들건데, 그렇게 치면 이미 5급(소령)부터 시작으로 보는게 맞지않을까요..? 소령맞나?

    • @powerrangers874
      @powerrangers874 Před 3 lety

      근데 무반은 문반보다 쉽다고 했어요

    • @dr.lee1535
      @dr.lee1535 Před 3 lety +5

      네 그렇습니다 조선후기로 가면 소위 만과라 불리는 무과였지만 (실재로 1만명 이상 뽑아서)
      이순신 시대때는 3년에 20~50명 뽑는ㅈ시대였어요
      무반 관직은 3000~3100개 문반은 220~260개정도 였어요
      문무반 엄청난 엘리트들이였습니다
      하위장교 및 하위무과직렬(역참이나 특수병과, 부사관등)
      은 취재라는 시험으로 선발했습니다

    • @user-hy2kr8bc9f
      @user-hy2kr8bc9f Před 3 lety

      그리 따진다면 과거급제후 소령급에 해당되는 벼슬부터 시작해야 하는데 실제는 그렇지 않습니다.

    • @dr.lee1535
      @dr.lee1535 Před 3 lety +1

      @@user-hy2kr8bc9f 아닙니다 조선시대에는 지방관 수령이 사법 행정까지 모든 권한을 다가지고 있었고요 그 지방의 주요사업권 지방 명예직에 대한 권한등 지금과는 다르게 큰 권한을 가지고
      있었고 지휘권 또한 조정의 지휘관(도체찰사등 )이 올때까지 모든 권한을 가지고 있습니다.
      동구비보 권관이 하사의 권한을 가진건 아니고 마을의 총 지휘관였습니다
      그러니까 권관 종9품도 지금의 최소 중대장 (취재 출신 부사관 그리고 초급장교를 지휘하는)이상 였습니다

    • @user-jw2ir6uw3z
      @user-jw2ir6uw3z Před 3 lety +1

      5급은 중령입니다. 6급이 소령입니다.

  • @ddnzeus725
    @ddnzeus725 Před 3 lety +1

    장군의 품계는 정2품입니다. 정3품 전라좌수사에서 종2품 가선대부, 한산도대첩 이후 정2품 정헌대부를 제수받았죠.

  • @user-up5xy8em6d
    @user-up5xy8em6d Před 3 lety

    영상 잘 보았네요~
    단지 서애대감과는 친구가 아닙니다.
    서애대감이 3살 위이며 항상 도움을 준 후원자이죠~

  • @0ho333
    @0ho333 Před 3 lety +1

    명량해전 전에 해임당하지 않고 300척으로 상대할 수 있었으면 얼마나 좋았을까

    • @therevolver2564
      @therevolver2564 Před 3 lety +2

      그랬으면 진짜 일본군 뼈도 못 추렸음.

  • @jryu4019
    @jryu4019 Před 3 lety

    사시면서 고생을 엄청 하셨군요...

  • @user-tn9jz3ob7t
    @user-tn9jz3ob7t Před 3 lety

    8:46 1598년 아닌가여..?

  • @yi01471
    @yi01471 Před 3 lety +1

    이순신 장군에 대해 죽을 정도의 고문은 안했던거로 나옵니다. 흔히 아는 백의종군도 실제로는 보직해임이고 절대 사병신분으로 참전한게 아니라 특별보좌관 같은 고문관 형식이었음

  • @user-qs6ph6qr7c
    @user-qs6ph6qr7c Před 3 lety +1

    약간 번외로 명에서 준 관직을 오늘날로 풀이하면 미국 대통령이 미합중국 해군 원수 작위를 내린것도...

  • @2sdle112
    @2sdle112 Před měsícem

    참고자료로 가져오신 비교표에 오류가 있습니다. 종4품 만호는 선략장군,정략장군으로 지금 1스타에 해당되는 관직입니다.(종4품부터 장군) 따라서 정3품이 무관직 최고 품계로 절충장군, 어모장군으로 불리는 4스타 입니다. 조선의 편제가 지금이랑 딱 들어 맞지 않다보니 지금 공무원직급과 조선시대 품계를 억지로 끼워 맞췄네요. 지금 4스타가 장관급이라고 무관 최고직을 정2품에 두면서 생긴 일 같네요. 무관 최고직은 엄연히 정3품이 최고직이고 종2품부터는(동반서반 구분 짓지 않음) 지금의 정무직공무원으로 보시면 됩니다. 이순신장군도 살아서는 정2품이 최고 품계였습니다. 그리고 정확히 얘기드리면 정3품이 무관 최고직이라고 하더라도 지금의 4스타로 보기는 힘들어요. 수군절제사는 3스타 군단장이고 평시에는 군단으로 쪼개 놨다가 전시가 되면 지금의 4스타 역할을 하는 도원수를 임명해서 지휘하게 하는 체계였습니다.

  • @dr.lee1535
    @dr.lee1535 Před 3 lety +18

    이순신이 고문으로 몸이 망가진 것은 사실이지만, 몸을 가누지 못할 만큼 만신창이가 되는 것은 아닙니다. 난중일기에 따르면 백의종군 직후 앓아누운 횟수가 늘어나긴 하지만 조선시대에 50살은 결코 적지 않은 나이였으며 주당에 장기간 스트레스에 시달려 온 상태였습니다.
    이순신에게 어떤 고문이 가해졌는지는 자세한 기록이 없지만 정탁의 신구차에 한 차례의 형신이 있었다고 기록이 남아있습니다. 형신은 정강이를 때리는 고문으로, 고통스러웠겠지만 주리틀기가 기본 옵션인 사극과 비교하면 강한 고문은 아닙니다.
    난중일기에 의하면 출옥한 4월 1일에 몸을 가누지 못할 만큼 술을 마셨고, 이틀 뒤인 4월 3일에 말을 타고 출발해 다음 날인 4일에 수원, 다다음 날인 5일 아침에 아산에 도착합니다. 도성에서 아산까지는 직선 거리로도 90km 가까이 되고 길을 따라갔다면 못해도 이틀간은 110km는 말타고 달렸다는 말인데 몸이 상할 만큼 심한 고문을 받았다면 술을 퍼마시고 저 거리를 말 타고 달리는 것은 절대로 불가능합니다.

    • @user-nh5uy6nb4s
      @user-nh5uy6nb4s Před 3 lety +2

      대리라도 부르셧어야..

    • @user-eu4uj8ew8d
      @user-eu4uj8ew8d Před 3 lety +1

      불가능을 가능하게 하는 충무공 이순신 장군이잖아요

    • @jk3934
      @jk3934 Před rokem

      믿고싶네요.불로 지젓다고들해서 고문장면은 건너뛰었어요.눈뜨고 볼수없어서요.죽일놈의 관료들…

    • @jk3934
      @jk3934 Před rokem

      @@user-nh5uy6nb4s ㅋㅋㅋ

    • @soridaizin79
      @soridaizin79 Před rokem +1

      이순신은 정 2품 고위급 대신이라 심한 고문은 안받았습니다.
      역모같은 죄도 아니었고 단지 통제사로서 적을 막지 못했다는 것이 주된 죄였기 때문에
      형신이 있었다고 해도 회초리로 발바닥 치는 정도로 끝났습니다.
      사극에서 보는 피투성이가 되도록 고문받는 장면은 일제시대때 친일파 소설가들이
      충무공 소설을 쓰면서 조선 깔려고 의도적으로 넣은 그야말로 소설이었고 이게 지금까지
      사실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겁니다.
      실제 이순신이 고생했던
      부분은 국문에서의 고문이 아니라 통제사 해임 후
      거제에서 한양을 왕복하는 엄청난 여정때문이었습니다.
      음력 2월이라 추운시기였고 전란으로
      국내 인프라도 완전히 망가졌기 때문에 한양까지 오가는 길에 엄청난 고생을 했고
      가뜩이나 평소 가지고 있던 이런 저런 질환도 심해졌습니다.
      (요즘처럼 차타고 KTX타고 다니던 시기가 아니고
      도보가 대부분에 가끔 말 타고 , 때론 배타고 산넘고 물건너 완전 생으로 한양가야 하던 시절입니다.)
      이외에는 의금부에서도 고관들 면회나 접견 다 받고 때론 감방 안에서 술도 마시고 일기도 쓰면서
      그래도 VIP대접 받았고
      석방 당일에도 류성룡과 밤새 술마시며 파티하고 말타고 귀가했을 정도로 컨디션은 괜찮았습니다.

  • @user-xm3yz1zf3g
    @user-xm3yz1zf3g Před 3 lety

    허허..ㅋㅎ

  • @rhkdvhraos
    @rhkdvhraos Před 3 lety

    8:45 연도 오류있네요

  • @Kikiiiiki
    @Kikiiiiki Před 3 lety +5

    군사정권시절 군인계급을 타 공무원과 비교해 높여놓은 표를... 대위는 사무관(5급) 급이아닌 7급정도라보시면됩니다. 소령 6급 중령5급 대령4급 서기관(과거 군수 구청장) 준장3급 소장2급 중장1급or차관급이 적당하다는게 전문가들 의견입니다

  • @user-bi9zi6tw2o
    @user-bi9zi6tw2o Před 2 lety +2

    삼도 수군통제사면 사실상 해군참모총장이니까 4스타 줘도 되지 않을까 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