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신주의 무문관 - 45칙 타시아수(他是阿誰) : 석가모니와 미륵보다도 내가 중심에 있어야 한다? [주인공으로 살아가기 19회]

Sdílet
Vložit
  • čas přidán 7. 07. 2022
  • 강신주의 무문관 - 45칙 타시아수(他是阿誰) : 스스로 부처가 되기 위해 노력해라 [주인공으로 살아가기 19회]
    거리의 철학자 강신주 박사가 풀어내는 무문관 48칙 공안!
    오늘 강연의 주제는 45칙 타시아수(타시아수)입니다.
    #강신주 #무문관 #타시아수
    동산(東山)의 법연(法演) 스님이 말했다. “석가(釋迦)도 미륵(彌勒)도 오히려 그의 노예일 뿐이다. 자! 말해보라. 그는 누구인가?”
    우리가 항상 해왔던 말이 있습니다.
    바로 내가 주인공이라는 말이죠.
    오늘 화두 역시 이와 이어질 수 있습니다.
    과거의 부처라고 불리는 석가모니, 미래의 부처라고 불리는 미륵 모두
    현재의 내가 기준이 되어야 합니다.
    즉 그들의 노예가 되는 것이 아닌 우리 스스로가 부처가 돼야 합니다.
    자세한 이야기를 영상을 통해 들어보겠습니다.
    ●BTN불교TV 유튜브 구독하기
    bit.ly/3k5nt10 (링크 누르고 구독 버튼 클릭!)
    ●BTN 붓다회 가입
    btn.co.kr/youtube/cms.html (링크 누르고 가입 신청)
    1855-0108 (정기후원)
    불자여러분의 정기후원이 부처님법을 널리 홍포하는데 큰 힘이 됩니다
    ● BTN불교TV 채널번호 안내
    IPTV: KTolleh : 233번, SK B TV : 305번, LGU+TV : 275번(전국공통)
    SKYLIFE: 181번(전국공통)
    지역케이블: 케이블 가입자의 경우 BTN채널번호가 지역별로 달라서 아래 주소를 클릭하셔서 확인하시면 됩니다
    btn.co.kr/btnschedule/ch.asp?l...

Komentáře • 30

  • @user-tl7hh8he8g
    @user-tl7hh8he8g Před rokem +1

    고맙습니다

  • @user-zp9fq8sx3q
    @user-zp9fq8sx3q Před 2 měsíci

    감사합니다

  • @user-xf1ry2tb8y
    @user-xf1ry2tb8y Před 2 měsíci

    최고의 내용.

  • @user-jn8pv5sl9m
    @user-jn8pv5sl9m Před rokem +1

    👍

  • @haenk9846
    @haenk9846 Před rokem +7

    너무 감동입니다. 정말 큰 법문 말씀이네요. 강신주 박사님 건강하시고 오래오래 강의해주세요~~

  • @namupoem
    @namupoem Před rokem +3

    강신주를 만났으니
    강신주를 넘어갑니다

  • @bukug269
    @bukug269 Před 2 lety +7

    강신주 박사님 건강하세요

  • @user-ks5hu2ps1i
    @user-ks5hu2ps1i Před 2 lety +5

    너무 벅차고 감동적인 강의입니다
    감사하고 사랑합니다
    제겐 강신주님이 부처입니다

  • @user-rm2mo9qh3j
    @user-rm2mo9qh3j Před rokem +2

    눈물이 나려 하네요!!!

  • @mindsglee3320
    @mindsglee3320 Před 2 lety +5

    강박사님,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더위에 건강 조심하세요💗

  • @YK-bf7yp
    @YK-bf7yp Před 2 lety +5

    최고의 강의입니다 감사합니다 🙏

  • @user-ls4lv4mw2i
    @user-ls4lv4mw2i Před rokem +1

    항상 새로운것을 공부하고 가르침에 감사합니다

  • @user-uj7yh1yp3h
    @user-uj7yh1yp3h Před rokem +2

    강박사님 넘 멋져요! 이상이 아닌 현재, 이 시대 현실에 답해줄 수 있는 철학을 말씀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항상 힘들때 박사님 강의를 들으면 힘이나요

  • @user-rd5hu7nl7j
    @user-rd5hu7nl7j Před 2 lety +7

    어제의 악몽에 시달리고 내일의 불안과 공포에 휘둘려 오늘의 인형으로 살기를 포기하기^^! 주인공으로 산다는 것은 오늘 지금 이순간 나와 세상을 사랑하는것임을...

  • @user-rs4nb6nc5s
    @user-rs4nb6nc5s Před 2 lety +5

    왜이리마르셧어요?박사님...
    박사님책너무 잘읽고있어요

  • @pengggue
    @pengggue Před 2 lety +6

    올라갔다내려갔다를 반복한다. 현재를 잡아라. 화두는 참 매력적입니다. 박사님 감사합니다. 힘내야 겠습니다.

  • @namupoem
    @namupoem Před rokem

    화두를 받고 그걸 풀고 참 낭만적이다.인간이라면 그렇게 사는 맛이 있어야 할거 같다.화두 받아보고 싶다

  • @user-dc7fq4qo8l
    @user-dc7fq4qo8l Před 2 lety +2

    추억은 어디에 쓰는 물건인고?

  • @namupoem
    @namupoem Před rokem

    신주씨는 여자애인한테 두들겨 맞아보지 않았구나
    힘 없어서 두들겨 맞아보면 추억이 안 될걸요
    추억이 되려면 때린 그 새끼를 후려쳐야지 없어집니다.

  • @namupoem
    @namupoem Před rokem

    신주씨 이혼사유가 부인 때렸다는 말이 있던대
    설마 아니겠죠
    때린 전남편을 만나서 ‘왜 그때 나 때렸냐고’ 말한다고요 ㅋㅋㅋ
    철학자도 별수 없구나
    지가 강자 됐다고 함부로 말하네 ㅋㅋ웃겨

  • @lightbe.8555
    @lightbe.8555 Před 2 lety +2

    간화선의 화두
    장두백 회해흑
    지장의 머리는 희고,
    회해의 머리는 검다.
    "도, 진리가 무엇인지 불이법 등으로 조건붙여서 애매하게 말하지 말고 똑부러지게 설명해주세요."
    마조, "오늘은 생각이 없다."
    지장, "오늘은 머리가 아프다."
    회해, "나는 모른다."
    도, 진리란 생각이나, 머리로
    알고, 말로 해줄 수 있는게 아니다. 모른다는 것도 아니다. 시간, 공간, 언어, 문자가 끊어진 본성, 불성의 마음자리에서 무념, 무상의 마음상태에서 스스로 문득 깨치는 것이다.
    어떤 사람은 머리가 희고,
    어떤 사람은 머리가 검다.
    두두물물 세상은 각자의 개성을 갖고 전체를 구성해서 원융융합해서 살아가는 것이다. 각자가 그대로 부처이다..

  • @namupoem
    @namupoem Před rokem

    신주씨 누나들은 부모에 대한 트라우마 해결했나요? 신주씨는 남자고 공부해서 박사되고 책쓰고 강연해서 돈 벌고 그래서 부모에게 용돈 주는 /강자/가 돼서 트라우마 없는 거지요 ㅎㅎ

  • @mind-stay
    @mind-stay Před 2 lety +3

    선이란 무엇인가... 알음알이를 내지않고 의정에 몰입하는 것이다.... 알음알이 참선은 안하느니만 못하다...이것이 역대 선사들의 고구정녕한 가르침인데, 의리선을 불교방송에서 가르쳐? 방송관계자 이 인간들이 제정신이냐... 화두는 설사 답을 안다해도 그냥 아는 것이지 깨달음과는 아무 관계가 없다. 이런 의리선은 반야인연과 점점 멀어지게 할 뿐이다.

    • @user-xm8qw4fq3r
      @user-xm8qw4fq3r Před 2 lety

      선 또한 방편인것을… 주인된 살림살이의 모습이 보여질 뿐

    • @mind-stay
      @mind-stay Před 2 lety

      @@user-xm8qw4fq3r 같은 용어를 써도 정의가 서로 다른 경우가 많지요....님이 쓰신 방편이란 용어는 무슨 뜻인가요?

    • @jyd1954
      @jyd1954 Před rokem

      화두의 답을 찾아냈다면 간화선수행 방편으로서의 역할은 끝났다고 봅니다. 이 방송에서는 그저 글의 숨은 뜻을 나름대로 설명하는 것이라 고 보면 될 것 같습니다. 이 또한 쉽지는 않으니 귀한 시간이라고 보여집니다.

  • @user-hw1gi7gh2j
    @user-hw1gi7gh2j Před 2 lety +1

    소크라테스가 젊음이 미혹해 사약 드셨는데 아마 강신주 선생도 그럴 듯? 이슬람이 욱일승천 하는 건 공동체주의인데 주인공 내세우는 개인주의라니?

  • @user-vi6sc1up6z
    @user-vi6sc1up6z Před rokem +1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