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ohm speaker can connect to 4 ohm amp speak out?

Sdílet
Vložit
  • čas přidán 7. 01. 2021
  • how we can match impedance between speaker and amplifier?

Komentáře • 189

  • @dotonetone
    @dotonetone Před 2 lety +11

    공고 다닐 때 선생님 보다 더 설명이 명확 하십니다.

  • @chanhyungjung5483
    @chanhyungjung5483 Před 3 lety +2

    헤맬때마다 다시 와서 정리 하고 갑니다. 감사드립니다. 건강하세요 !!

  • @user-em6ge2hb7y
    @user-em6ge2hb7y Před 3 lety +1

    감사합니다 알기쉽게 강의해주셔서 귀에쏙 들어옵니다^^~

  • @sungkilcho7210
    @sungkilcho7210 Před 2 lety +3

    스피커를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을 주네요. 감사합니다.

  • @dwlee3924
    @dwlee3924 Před 3 lety +6

    귀에 쏙~~~~들어오는 설명 정말 명강입니다
    감사합니다

  • @markkim4702
    @markkim4702 Před 2 lety +6

    인도 주재원님 문과생이라고 하셨지만 설명은 공대 전자 공학과 교수 강의 수준 입니다. ^^ 잘들었습니다.

  • @ihsong6798
    @ihsong6798 Před 3 lety +3

    자세하게 설명해주셔서 너무 감사합니다

  • @user-ev6rz9qn8d
    @user-ev6rz9qn8d Před 3 lety +2

    영상잘보고 3종세트 선물 노코 감니다 수고하셨습니다 매일매일 행복 가득한 시간되십시요

  • @user-vp8zm4uv4i
    @user-vp8zm4uv4i Před 2 lety +5

    정리하시고 설명한것~
    전문가 수준을 능가 하시네요!
    대단 하십니다~
    절대 문과 수준이 아닙니다
    짝짝짝^^최고

    • @user-yu1co6ll2u
      @user-yu1co6ll2u Před 2 lety +2

      전자공학을 전공한 사람의 입장에서 보면
      간단한걸 굉장히 이상하게 설명을 하고 계신데요
      위의 어떤 분이 댓글에니 정확히 설명을 하시던데요

  • @look8234
    @look8234 Před rokem +2

    아~ 한번 더 들어 봐야겠네요.☺️고맙습니다.

  • @user-rn3rt3gr3r
    @user-rn3rt3gr3r Před 3 lety +2

    궁금한 부분이 였는데~
    상세한 설명 고맙습니다

  • @user-gm4yo6dq8n
    @user-gm4yo6dq8n Před 3 lety +5

    속시원 하게 설명해주셨습니다 고맙습니다.

  • @TV-js5zg
    @TV-js5zg Před 3 lety +2

    높은 수준 이십니다.. 잘 듣고 갑니다..

  • @dwlee3924
    @dwlee3924 Před 3 lety +13

    저도 문과생인데 취미로 음악과 진공관앰프 211을 공개되어있는 회로대로 2대 각기 다르게 만들어 한대는 선물하고 한대는 제가 듣고 있습니다.
    남은 빈티지 부품이 많아서 845/211을 스위칭타입으로 만들어 보고자 보유부품
    하는데 회로를 여기저기 카피해서 설계해봤는데 고전압이라 자신도 없고 검증도 어렵고 해서 선생님 강의를 몇번씩 반복해서 듣고 고쳐보고 또고쳐보고 그런데 안되네요 ㅎㅎ
    정말 많은 도움이 됩니다

    • @kent8956
      @kent8956 Před 3 lety +1

      고전압 정말조심하세요 400볼트하고 천볼트는 차원이 다르죠 ㅎ ㅎ ㅎ

  • @choonkikim6795
    @choonkikim6795 Před 3 lety +4

    상세 설명 감사 드립니다.

  • @user-wy4qp9bm5c
    @user-wy4qp9bm5c Před 3 měsíci +1

    6옴 스피커들이 비교적 저렴한데도 가격대비 음악성이 좋은 이유가 있었군요 . 감사합니다.

  • @user-yl6uf4ge4z
    @user-yl6uf4ge4z Před 2 lety +20

    8옴 스피커에 8옴 진공관 단자에 연결해서 쓰다가 스피커 스펙이 주파수에 따라 4옴까지 내려가는것을 보고 앰프 4옴 단자에 연결했더니 저음의 댐핑팩터가 어마어마하게 좋아졌습니다. 출력은 낮아지겠지만 댐핑팩터의 이득이 있으니 골라서 사용하면 될것 같습니다. 스피커의 임피던스 표기는 1khz 기준이거나 평균 정도 입니다 최소 표기가 있으면 거기 맞춰주는게 좋은것 같습니다.. 4옴에 연결하면 댐핑팩터가 좋은 단단한 소리 8옴에 연결하면 부드럽게 퍼지는 소리

  • @accuve
    @accuve Před 3 lety +41

    스피커는 고정된 임피던스를 갖고 있지 않습니다. 이 임피던스는 주파수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어떤 단자에 스피커를 연결하든 최적은 아닙니다. 스피커는 앰프에 연결된 가변소자로 볼 수 있으므로 앰프쪽 전류는 주파수에 따라 가변적입니다. 다이나믹 스피커의 소리 크기는 전류량에 따라 달라지므로 앰프는 스피커의 어느 한 시점의 주파수에 따른 임피던스에 맞게 전류가 흐르므로 그때의 볼륨에 따른 전류나 전압이 앰프의 능력치를 초과하지 않는 한 소리는 정상적으로 재생됩니다. 바꿔 말하면 앰프의 전압 전류 한계치 이내의 볼륨에서는 스피커의 단자와 관계없다는 것입니다. 다만 앰프의 최대 전압과 최대 전류까지 사용하고 싶다면 임피던스가 맞는 단자를 사용하는게 좋겠습니다. 이 임피던스 매칭은 최대 신호 전달을 위한 개념이지 이게 맞지 않다고 소리가 왜곡되는 것은 아닙니다.
    앰프가 8W 짜리라는 것은 최대치가 8V 1A 일수도 8A 1V 일수도 있습니다. 그러므로 앰프의 중요 스펙은 8W 가 아니고 최대 전압과 최대 전류이며 이 범위에 있는 스피커의 임피던스 변화에는 앰프가 능동적으로 클리핑없이 대응할 수 있다고 여기면 됩니다.
    스피커는 주파수에 따라 임피던스가 가변되는 기기이고 앰프는 이 가변되는 스피커 임피던스에 따라 자신의 최대 전류와 전압사이에서 능동 대응하는 기기이며 전류 전압 하나라도 그 최대치를 넘어가면 클리핑 발생합니다.
    추가적으로 자동차 스피커 임피던스가 낮은 것은 자동차 전원의 전압이 낮아서 그에 맞게 앰프를 만들기 때문입니다. 전기차에서는 전압이 높으니 그럴 필요 없겠지요.

    • @Edwdcho
      @Edwdcho Před 2 lety +1

      설명 감사합니다. 앰프에서 일방신호로 보내는 건데 매칭이 안될 경우 왜 앰프가 문제가 되나...??? 라는 생각을 했었는데... 주파수로 인해 그런 일이 발생하는 거면 그럴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주파수는 앰프와 스피커가 일치되어야 전류가 흐를 수 있는 건가요?
      서로 주파수가 다를 경우 이를 일치시키는 신호가 있는 건지 궁금합니다.

    • @cyruszaire6473
      @cyruszaire6473 Před 2 lety

      Sorry to be so offtopic but does someone know a tool to log back into an instagram account?
      I stupidly forgot my account password. I love any tricks you can offer me

    • @cruzkrew3057
      @cruzkrew3057 Před 2 lety

      @Cyrus Zaire instablaster ;)

    • @cyruszaire6473
      @cyruszaire6473 Před 2 lety

      @Cruz Krew I really appreciate your reply. I got to the site through google and im waiting for the hacking stuff now.
      Seems to take quite some time so I will reply here later with my results.

    • @cyruszaire6473
      @cyruszaire6473 Před 2 lety

      @Cruz Krew It worked and I actually got access to my account again. Im so happy!
      Thank you so much you really help me out!

  • @user-lm5cu5pv6v
    @user-lm5cu5pv6v Před 3 lety +1

    잘봤습니다
    하이파이에 맞게
    설명하시네요
    수고하셨습니다

  • @user-bu6sj9gb8n
    @user-bu6sj9gb8n Před 2 lety +2

    친절한 설명 항상 감사합니다.

  • @sobiet18
    @sobiet18 Před 3 lety +24

    다들 복잡하게 생각 마시고요 정답은 상관없다 입니다 ..8옴 스피커라도 최저 임피던스가 4옴 이하로 떨어지는경우도 있고 일정치 않으므로 4옴단자에 꽂아서 더 소리가 좋다고 생각되면 그냥 4옴에 꽂고 들어도 전~혀 상관없으며 오히려 더 그게 바람직한거임 .

  • @user-ww6pb7rj5s
    @user-ww6pb7rj5s Před 2 lety +14

    우연히 보게되어 한말씀 거들어 봅니다~
    8옴 스피커를 사용해야 하는 앰프에 4옴스피커를 사용하는 경우 , 단편적으로생각하면 출력이 2배가 될 수도 있겠지만
    앰프의 설계가 어느 정도의 마진을 가졌느냐에 따라 결과는 매우 달라지게 됩니다.
    일반적인 오디오 앰프의 효율은 정격에서 60% 을 넘지는 못합니다~
    1. 즉 스피커출력이 100W 라면 이때 앰프 내부의 손실은 66W 정도가 됩니다.
    2. 출력에 4옴 스피커를 사용한다면 , 앰프의 효율은 약 43%로 떨어집니다.
    3. 2번의 떨어진 효율에서 앰프를 보호하면서 출력을 사용하려면 앰프의 출력을 50% 즉 50W 이하로 사용해야 안전 합니다.
    결과적으로 앰프의 출력을 더 쓰려고 스피커의 임피던스를 낮췄지만 앰프의 효율이 뚝 떨어지면서
    오히려 제 출력 100W를 사용하는 것이 앰프의 손실에 2배의 부담이 되어 출력을 반으로 줄여야 하는 상황입니다.
    4. 그러나 앰프의 설계가 여유가 있다면 위 이야기는 조금 달라지게 되는데, 그렇다고 앰프 손실을 2배의 마진을 갖게 설계한 앰프라도
    4옴 스피커에 100W 출력을 겨우 제공 할 수 밖에 없게 됩니다.
    5. 4옴스피커에 정격의 2배인 200W가 무리없이 나오려면 설계상 정격 손실에 대한 마진이 4배가 되어야 가능한 이야기 입니다.
    과연 사용하는 제품이 그런 사양을 허용하는 제품인지는 주의깊게 살펴서 사용하셔야 합니다~
    6. 앰프를 비롯한 모든 증폭기는 진공관이든 트랜지스터든 위에 거론한 손실과 방열에 대한 적정한 계산이 설계에서 필수입니다.
    진공관은 구조상 금속성 구조물로 만들어진 것이라 무리가 있어도 당장 망가지지는 않겠으나, 수명이 단축되게 됩니다~
    트랜지스터는 원 데이터에 표시된 허용치에 도달하면 바로 망가지는 특징이 있으므로 주의를 기울이셔야 합니다.
    큰 도움 되셨기 바랍니다~

  • @sungmojun9965
    @sungmojun9965 Před 2 lety +2

    동일 앰프에 4, 8, 16 ohm의 멀티 단자가 있는 경우에, 권선을 감아놓은 수가 달라지는 것 아닌가요? 그럴경우 8 ohm 스피커를 4 ohm단자에 연결하면 watt은 동일하고, 전압이 내리고 전류가 올라가게 되는거 맞나요? (영상 속 설명은 권선수를 동일하게 두고 하신것이라 전압의 변화 없이 전류만 늘어나는 경우라 스피커/앰프에 무리가 된다는 설명이셨는데요.. 아마 동일 앰프에 여러 단자가 있는 경우가 아닌 듯?) 왜냐면.. 제가 느끼기엔 멀티 단자중에 8옴보다는 4옴에 붙이면 오히려 다이내믹이 줄어든다는 느낌이 있었거든요..

  • @gn1gunu382
    @gn1gunu382 Před rokem +14

    전기 쪽에서 보는 출력 트랜스에 대하여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아래는 전력(P) = 전압(V)의 제곱 / 부하저항(R) = 전류(I)의 제곱 * 부하저항(R) = 전압(V) * 전류(I) 의 공식이 사용됩니다.)
    포통 앰프를(여기서 앰프는 오디오 앰프에 한전된것이 아닌 일반적인 전력 증폭기를 말합니다.) 설계할때 출력부 설계시 앰프의 부하가 고정되어 있으면 출력 트랜스가 필요 없습니다.
    1. 출력 트랜스 없는 앰프의 설계시(직결방식)
    1.1 앰프에 부하가 4오옴만 연결되고 앰프의 최대 출력이 4W이면 앰프를 설계할 때 최대 출력전압과 최대 출력전류는 위의 공식에 의하여 4V, 1A로 결정됩니다.
    그러면 설계자 입장에서는 출력단의 파워 트랜지스터의 내압을 4V의 2배, 전류용량은 1A의 2배 정도로 하여 내압 8V이고 전류용량이 2A 짜리를 선택하여 사용합니다.
    그리고 출력단 파워 트랜지스터의 출력용량은 충분하지만 열화등의 성능저하를 생각하여 앰프의 출력이 4W이상이되면 출력을 차단하는 회로도 추가 합니다.
    1.2 앰프에 부하가 8오옴만 연결되고 앰프의 최대 출력이 4W이면 앰프를 설계할 때 최대 출력전압과 최대 출력전류는 5.7V, 0.7A로 결정됩니다. 그러면 파워 트랜지스터 내압 12V, 전류용량 1.5A를
    선택하여 사용합니다. 그리고 "1.1"과 같이 차단회로도 추가합니다.
    1.3 "1.1"에서 설계한 앰프에 4오옴이 아닌 8오옴을 부착하였을 때는 앰프의 최대 출력전압이 4V이므로 8오옴 부하에 전달되는 최대 전력은 2W가 한계가 됩니다. 즉 앰프의 출력을 반밖에
    쓸수가 없습니다.
    1.4 "1.2"에서 설계한 앰프에 8오옴이 아닌 4오옴을 부착하였을 때는 앰프의 최대 출력전압이 5.7V이므로 4오옴의 부하에는 8W의 전력이 공급되어야 하고 이때의 전류는 1.4A가 되어 출력단
    트랜지스터의 전류용량 1.5A에 근접하게 되어 차단회로가 없으면 트랜지스터가 열폭주 현상으로 망실될수 있습니다.
    2. 출력 트랜스를 사용할때 앰프의 설계
    일단 연결되는 부하의 최대 값을 먼저 설정합니다. 여기서는 8오옴이라고 하겠습니다. 그러면 앰프의 최대 출력이 4W이기 때문에 최대 출력전압과 최대 출력전류는 "1.2"의 직결식 앰프와 같이
    5.7V, 0.7V로 결정됩니다. 이 출력을 출력 트랜스 1차측 권선에 연결합니다. 그리고 1차측 권선을 100회라고 하면 8오옴을 연결하기 위하여 2차측권선 100회에(1번 탭), 4오옴 연결을 위하여
    2차측 권선의 71회에(2번 탭) 탭을 내어 출력 트랜스를 제작 합니다. 다시 말해 8오옴을 위한 권선비 100:100 짜리와 4오옴을 위한 100:71짜리 출력 트랜스를 만들어 출력 트랜스의 각각의 탭에
    부하를 연결하면 4W 앰프의 최대 출력전압(5.7V)과 최대 출력전류(0.7A)가 항상 일정하게 됩니다.
    출력 트랜스의 목적은 부하가 변동하더라도 2차 측과 1차 측의 권선비를 조절하면 1차측에서의 부하값이 항상 일정하도록 할수 있기 때문에 앰프 설계시 "1.3", "1.4"항고 같은 문제를 해결할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래서 출력 트랜스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출력 트랜스를 사용하면 트랜스의 크기와 트랜스 자체의 동손(권선저항)과 철손(코어손실)이 있어, 앰프에서 출력되는 전력의 일부를 트랜스에서 소모되는 단점이 있습니다.
    3. 그리고 1차측과 2차측의 권선비는 100:100:71의 비율로 고정하면 되고, 1차측 권선 회수는 그냥 정하는 것이 아닌 위에서 말씀드린 동손 및 철손의 손실을 줄이기 위하여 1차 권선저항을
    허용하는 한 최대한 많이 합니다. 이 횟수를 정하는 수식이 있습니다.(1차권선 횟수 고려 대상은 출력트랜스의 전체 크기, 최대 자속밀도 등 ) 이 1차측 권선의 감는 횟수가 정해지면
    2차 측은 감는 횟수는 정해지고 2차 권선에 흐르는 전류의 량에 의하여 전선의 굻기 또한 정해지게 됩니다. 이렇게 2차측위 권선 횟수와 굻기가 정해지면 길이와 면적 비저항으로 부터 2차측
    권선의 권선저항이 결정됩니다. 님이 설명하신 2차측의 권선저항이 4오옴, 8오옴이 되도록 감을 수도 있으나 보통 그렇게 하지 않습니다. 보통 출력 트랜스 2차측에 적혀 있는 오옴은 2차측에
    부착할 부하저항의 값을 의미하지 2차측 권선의 권선 저항값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전기쪽에서는 출력 트랜스를 임피던스 변환기라고 말합니다. 위에서 8오옴:4오옴의 예를 들었는데, 보통의 경우(예 1000오옴:4오옴) 1차측에서 본 임피던스를 크게하여 앰프 출력전압을 높이고 출력전류는 작게하여 앰프 내부에서의 출력 전류에 의한 손실을 줄이게 설계 합니다.

  • @user-rq1jg9cq7y
    @user-rq1jg9cq7y Před rokem

    훌륭한설명이었습니다

  • @younglaebae9283
    @younglaebae9283 Před 2 lety +3

    plate 100V로 10W 용량의 앰프에 권선비 10으로 10V가 출력되면 전류 1A가 흘러 R = 10V / 1A = 10옴이 적정하므로 10옴 단자를 만들었다면, 5옴 단자는 14.2 정도의 권선비로 출력되는 단자인데 여기에 5옴 스피커를 연결하는건 적절한 연결이 아닐까요? 물론 10옴 단자에 5옴 스피커를 연결하면 과부하가 걸릴수 있다는 설명은 맞습니다.

  • @dongyulee2095
    @dongyulee2095 Před 6 měsíci

    전력공학 석사 졸업한 나도 모르고 있었던 내용임...배운 기본은 있어서
    이해는 잘 됨...
    나는 여테 큰 스피커가 마냥 더 좋은 줄 알았음...

  • @NorthVanphoto
    @NorthVanphoto Před 2 lety +3

    같은 와트수를 가지고 있는 진공관 앰프와 solid state 앰프는 일대일 비교가 불가하고, 진공관 앰프는 자신의 와트수에 1.5-2.0 을 곱한 수치의 트랜지스터 앰프와 출력이 비슷하다는 예기를 들었는데, 실제로 그런가요? 그럿다면 왜 그런걸까요?

  • @changhwanro8384
    @changhwanro8384 Před 3 lety +3

    DAC블루투스컨버터를 사서 수모프리앰프에 연결하고싶은데요... 수모앰프가 110V용(미국구입) 인데 국내 슬래시같은DAC컨버터 220V용으로 연결가능할까요?(소스기기-소니, 프리:수모,파워-수모, 스피커:B&W 공히 110V입니다 트랜스로 감압해서 쓰고있습니다)

  • @kissman0120
    @kissman0120 Před 2 lety +2

    문과생입니다. 공부가 되었습니다.

  • @seungwancho
    @seungwancho Před rokem +1

    알기쉽게 설명해 주셔서 고맙습니다.
    궁금한게 있습니다.
    1. 제가 가진 리시버가 피셔 290 인데 스피커 단자에 임피던스 표시가 없습니다. 확인방법이 없나요?
    2. 제가 가진 스피커가 필드코일 스피커인데 보이스 코일 저항이 4.3옴입니다. 제 앰프에 물려도 소리는 잘 나옵니다만 무리가 있을까요?

  • @vonjackson7674
    @vonjackson7674 Před 2 lety +4

    교류저항은 주파수에 따라 달라지므로(주파수가 올라갈수록 커짐) 직류저항으로 표기할수밖에 없습니다.

  • @user-ig4uu9yd5n
    @user-ig4uu9yd5n Před 2 lety +2

    주재원님께서 고등학교 때 물리나 수학선생님이셨으면 제가 서울대도 갈 수 있었을 것 같습니다. ^^

  • @acwyoun6639
    @acwyoun6639 Před 3 lety +2

    인도주재원님 행정학과 나오셨군요. 저도 행정학과출신입니다.

  • @user-ku6qw7gp8j
    @user-ku6qw7gp8j Před 5 měsíci +2

    잘 들었습니다. 늘 궁금했었는데요.
    한편으로는 문과 이과를 분리한 것은 산업사회의 변환기에 궁여지책으로 한 정책입니다. 다행히 근래 문이과 분별을 없앤다는 소식이 있군요.

  • @ylsong1200
    @ylsong1200 Před 3 lety +8

    안녕하세요 항상 많이 배우고 있습니다 제가 300b 진공관엠프 자작후 바로 본 시스템에 연결하기에는 좀 부담스러워서 시험용 소형스피커를 구입할려고 합니다 스피커 Impedance 가 6옴으로 표시되어있는스피커는 몇옴단자에 연결하는게 안전한가요?

  • @vhstv1511
    @vhstv1511 Před 7 měsíci

    임피던스 스피커 매칭 옴 등을 설명을 들어보니 전자공학 복수 전공을 하셨나보네요. 이해도가 높으십니다.

  • @seongjoonjeon3106
    @seongjoonjeon3106 Před 3 lety +5

    늘 좋은 설명 감사합니다
    제 생각은 이렇습니다 잘 만든 8오옴의 스피커는
    무리하지만 않는다면 4오옴으로 청취를 해도
    괜찮은듯 합니다 출력을 떠나서 다이나믹한 음악을 들으시는 분들에게는 유리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봅니다
    오옴을 떠나서 스피커 유닛이나 본체 자체가 갖는 성항을 벗어나는것이 오옴의 영역보다 실제로는
    더 않좋은 소리늘 주는것 같습니다

    • @278faaday
      @278faaday Před 2 lety

      그럼 다른 질문이 있는데요 스테레오 왼쪽은 8옴스픽 오늘쪽에 6옴스픽을 쓰면 전기적으로는 어떻게 설명할수 있을까요?
      음질상으로는 청감상 잡음도 안들리고 스테이징감도 좋고 두 스피커의 장점이 섞여서 소리는 훌륭하게 나오던데요

  • @chk5306
    @chk5306 Před rokem +2

    강의 감사합니다.
    쌤님,
    Soild state 앰프와 진공관
    앰프에 대하여 강의가 있는지요? 찾아도 안보여서요.

  • @thecolorlab7398
    @thecolorlab7398 Před rokem +2

    시간이 좀 지났지만 한 가지 여쭤보려고 합니다. 같은 내용인데 다른 케이스입니다. 1. 연식이 좀 된 20와트짜리 클래스A 진공관 앰프(EAR V20)를 구해 스피커를 두 조 함께 물려 넉 달쯤 사용했습니다. 하나는 탄노이 오토그래프 미니 다른 하나는 보스톤 어쿠스틱스 A26 북쉘프입니다. (둘 다 규격은 8옴이라고 합니다.) 앰프의 8옴 스피커 단자에 함께 물려 잘 사용했는데 몇 달이 지난 얼마 전에 앰프에서 연기가 스물스물 피어오르는 현상이 있어서 일단 앰프는 사용하지 않고 은퇴시켰습니다. 앰프와 스피커의 연결환경을 고려할 때 스피커를 두 조 함께 사용한 것이 무리가 됐을까요 아니면 그것과는 무관할까요. 2. 지금은 다른 앰프(데논 PMA-720AE)에 마찬가지로 위 스피커 두 조를 물려 듣고 있는데 이건 괜찮은 상황인가요? 물론 소리는 전혀 이상이 없습니다. 3. 스피커 임피던스는 단자에 직접 테스터로 특정하는 게 맞나요? 해보니 탄노이는 5.8옴, 보스톤은 4.0옴 정도로 나옵니다. 스펙과는 좀 다르네요. 감사합니다.

    • @user-me1ti3sg5c
      @user-me1ti3sg5c  Před rokem +2

      EAR V20 앰프를 찾아보니 회로가 상당히 특이합니다. 좌우 13개씩의 12ax7관을 병렬로 연결해서 출력관을 대신하는데 언뜻 OTL 방식 같지만 출력트랜스가 있어서 OTL은 아닙니다
      초단 증폭용 진공관을 여러개 연결해서 출력을 내겠다는 의도인데 마지막 출력관 경유를 없애어 소리를 정교하게 한다는 취지인거 같습니다
      설계 회로 자체만 보자면 음질과는 별개로 기계적 전기적으로 불안정한 면이 있습니다. 설계시 고려된 8옴 스피커 저항보다 낮은 옴으로 가동할 경우 작은 출력 용량의 12AX7 진공관들이 과부하로 열폭주할 가능성이 있고, 스피커를 8옴+8옴 2개를 병렬 연결하면 합산 스피커의 옴수는 4옴으로 내려갑니다. 이 경우 앰프가 2배 이상의 출력을 내는 상태가 되고 일반적인 앰프는 이런 상황을 견뎌내지만 이 앰프는 작은 capa의 진공관 병렬 설계로 무리가 갔을 거 같아요

    • @thecolorlab7398
      @thecolorlab7398 Před rokem +1

      @@user-me1ti3sg5c 네 답 주셔서 감사합니다.

  • @changhyunkim1494
    @changhyunkim1494 Před 3 lety +13

    8옴100w앰프에 4옴 스피커를 연결하면 200w가 나오는데 볼륨을 반으로 줄여 100w만 사용하면 어떻게 될까요? 엠프나 스피커에 무리가 가나요?

    • @user-ww6pb7rj5s
      @user-ww6pb7rj5s Před 2 lety

      질문에 대해 위의 뎃글로 설명을 해 드렸으니 참고하시면 도움이 되실 것입니다~

  • @blackstone1139
    @blackstone1139 Před 2 lety +2

    궁금하여 질문드림니다 .
    출럭단자에 0 , 4 , 8 옴이
    있을때 스피커 두개를 연결하면 어찌되나요?
    0과4옴 0과8옴 즉 한대의
    앰프에 4대의 스피커를 연결하면? 산수를 전혀못해요 ㅠ 😢

  • @user-qj8vg6tu5z
    @user-qj8vg6tu5z Před 2 lety +2

    제가 이번에 oldchen el34 x-1을 구입해서 휴대폰 블루투스 연결해서 2~3번 사용했는데 진공관 불이 들어오는데 소리도 작고 베이스가 많이 들어간 것 처럼 그런 음색이 나오는데 이유를 알 수 있을까요? 스피커는 모니터오디오6세대 브론즈 입니다. 캠브리지 오디오 AXR100을 연결하면 괜찬거든요

  • @user-su2zv3vw9q
    @user-su2zv3vw9q Před rokem +2

    행정학과 전공자라 믿을수 없는 수준입니다....ㅅㅅㅅ

  • @jungdanny7987
    @jungdanny7987 Před rokem +3

    전문적 지식 수준이 대단하시네요.
    열정을 넘어서는 것은 없습니다.
    문과수준이 이과수준을 넘어서는군요.

  • @musicandsky
    @musicandsky Před 2 lety +2

    좋은 설명 잘 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제가 가지고 있는 오디오는 필립스 미니컴퍼넌트 6옴이라고 되어 있습니다
    스피커를 교체해야 하는데 원하는 스피커가 4옴과 6옴이 있습니다
    어떤 것을 사야 좋을까요 저언 좀 부탁드립니다 ^^

    • @musicandsky
      @musicandsky Před 2 lety

      @@joinbolt8828
      정말 감사하다 👍
      죄송합니다만 좋은 에이징 방법을 간단히 좀 알려 주실수 있을까요^^

  • @mensa2030
    @mensa2030 Před 2 měsíci +1

    진공관 앰프의 경우.. 4옴 8옴 연결시.. 출력의 변화는 없는것인가요??
    8옴스피커에 4옴을 연결시 출력이 반으로 줄어들었습니다.
    TR앰프의 경우는 8옴스피커말고 4옴스피커에 연결시 출력이 늘어났구요.
    그리고 4옴스피커와 8옴스피커의 장단점은 무엇인가요??.. 8옴이 일반적인데.. 간혹 4옴스피커가 있어서요. 앰프의출력을 높이기 위함인가 싶었는데...
    또 그렇지도 않더라구요. 오히려 4옴스피커를 울리는게 더 어렵다는 느낌을 받습니다.
    시계의 벨런스휠 크기 같다는 생각이 들긴하는데... 시간되실때 정리좀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 @user-jd3wz5om1b
    @user-jd3wz5om1b Před rokem +1

    잘 들었습니다 그런데 설명하신것중에 앰프측 1,2차 권선은 고정인 상태에서, 스피커 임피던스가 앰프보다 낮거나 높을때를 설명해 주시는 게 아닌가요? 제가 이해를 못 하는건지 모르겠습니다만, 선생님은 2차 권선 임피던스를 변화 시키면서 설명을 해 주시는데, 그러면 고정된 앰프측 임피던스에
    다른(4옴,8옴) 스피커를 연결했을때의 변화 설명이 맞는지요. 저는 아주얕은 지식수준이라 궁금해서 문의 드렸습니다 실례가 되었다면 대단히 죄송 합니다.

  • @jaesulkim9334
    @jaesulkim9334 Před 3 lety +2

    오~ 유익한 정보였네요
    질문 한가지 드려도 괜찮겠죠?
    산스이 sp2000 스피커에 대해서
    잘 아시는지 궁굼합니다 제 지인분이
    저에게 강매 중이라서 정보도 없고 해서 이렇게 질문 드립니다 과연 구매할만한 가치의 스피커인지 알고싶습니다 지인분은 70년대 명기였다는데 ㅋㅋ 나름 엔틱한게
    보기는 괜찮아 보이더라구요
    크기도 크고 거실에서 듣기도 괜찮을거 같기도 하고 그래서 고민중입니다
    수고하세요~^^

    • @jaesulkim9334
      @jaesulkim9334 Před 3 lety +1

      하트만 주시고ㅠㅠ
      궁굼했던 질문의 답변은 안 주시네요
      수고하세요~^^

    • @erickyee4198
      @erickyee4198 Před 3 lety +2

      제가 대신 답을 드립니다.
      미국에서는 중고 스피커 부분에서 소비자 만족도로 별 4개 정도 받습니다. 그렇다면 가성비가 괜찮다는 것이겠죠?
      값은 70년대산이 한 쌍에 200- 400불에 팔립니다.
      외관과 케이스가 어떤 재질인가에 따라 가격차이가 있답니다.
      미국 이베이 싸이트에서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 @jaesulkim9334
      @jaesulkim9334 Před 3 lety +1

      @@erickyee4198
      친절하신 답변 감사합니다
      님 말씀대로 옥션 이베이에서
      검색 해보았더니 기본가가 60~120 정도 올라와 있네요 근데 난감하네요
      구매가가 생각했던 가격을 오바하니
      큰일임
      ㅋㅋㅋ 지인분은 아직 가격을 말씀
      안 하셨는데 음..가격이 좀 맥심엄 50정도 40정도 생각하고 있었는데
      예산가에 넘 오버가격이라서 ㅋㅋㅋ
      암튼 답변 감사드립니다 고민좀 해봐야 할 듯요 조은 하루 되세요~^^

    • @hongyeong
      @hongyeong Před 3 lety +2

      강매라! 혹시 그분이 음악선생입니까? ㅎ 성명이 *성*. 만약 그렇다면 거절하세요! ㅎ 제 경우 음악선생이라는 *성* 에게 당했습니다! 아내 주유소 카드 만들어 준다고 제 주민번호 알려달라 한다거나 제게도 싫다는데도 강매했어요. 동네 주민에게 들어보니 그가 바이올린 바꿔치기 했다고 하구요. 음향기기 관련 상점서 ''그 사람 사기꾼이다. 음악선생이 중고로 올리고 내리고. 그런거 안산다.'' 등등 우선 강매하면 의심하고 성품이 좋지 않다 판단하시고! 경계하시길! :)

  • @bluepia
    @bluepia Před rokem +3

    좋은 정보..감사 합니다..
    4옴 앰프를
    8옴으로 쉽게 개조 가능할까요?
    쉬우면 수리센터에
    가보려 합니다...

  • @jang-hwankim2728
    @jang-hwankim2728 Před 7 měsíci +1

    저는 한쪽엔 8옴, 다른 한쪽엔 4옴을 혼합해 사용하는데 음질이 더 좋아진 느낌입니다

  • @101abacus
    @101abacus Před rokem +2

    고수님 질문2개 있습니다. 1. 스피커를 4옴과 8옴을 섞어서 사용하면 안되는지 안되면 왜 안되는지요? 2.3웨이 스피커에서 일반 우퍼스피커 대신 서브우퍼 스피커를 사용하면 어떨지요?

    • @user-me1ti3sg5c
      @user-me1ti3sg5c  Před rokem +1

      좌우 옴이 다르면 발란스가 안 맞습니다. 소리 크기가 달라요. 서브우퍼를 대신 사용하는 것도 가능합니다만 고음, 중음, 저음의 전체적인 발란스는 맞추기가 어려울 것입니다.

    • @101abacus
      @101abacus Před rokem

      3웨이에서 하나의 스피커에서 미드와 우퍼는 8옴 트윗은 4옴 이러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또 어떻게 되는지?
      혹 전위차계로 조정가능 한지요?

    • @user-me1ti3sg5c
      @user-me1ti3sg5c  Před rokem +1

      저의 다른 영상에 스피커 crossover 교체가 있습니다. 보시면 도움이 되실거 같습니다

    • @101abacus
      @101abacus Před rokem

      @@user-me1ti3sg5c 감사합니다

  • @kyukim6358
    @kyukim6358 Před 3 lety +3

    혹시 selector 추천해주실수 있나요?

  • @user-mv5rq6mm5o
    @user-mv5rq6mm5o Před 2 lety +2

    출력 트랜스의 임피턴스가 8오옴이면 8옴짜리 스프커를 사용해야 최대 파워를 얻을수 있습니다 그반대로 출력트랜스 임피던스가 8옴짜리 인데 4옴이나 16옴 스피커를 사용하면 임피단스 틀려 출력을 최대한 얻을수가 없씁니다

  • @JSKang-pt8io
    @JSKang-pt8io Před 3 lety +2

    6옴 스피커는 앰프 출력단자가
    4옴,8옴 밖에 없을 때 어디에
    연결하는 것이 좋은가요?
    현재 6옴스피커를 8옴 단자와 연결했는데 볼륨을 높여도 소리가 크지 않아서...
    4옴단자에 연결하면 무리가 많이 가는지요

    • @chicken8520
      @chicken8520 Před 3 lety +1

      영상설명으로는 4옴단자에 연결해야됩니다

    • @vonjackson7674
      @vonjackson7674 Před 2 lety +1

      들어서 소리가 맘에 드는 쪽으로 연결하세요.

  • @wolyoungchoe7072
    @wolyoungchoe7072 Před rokem +2

    14:50 전후로 내용이 다른 것 아닌가요?
    즉, 위 시점 전후의 설명 내용이 정반대로 되어 있는 것 같네요.

  • @imugilee1137
    @imugilee1137 Před 2 lety +2

    진공관 AMP의 경우 출력에 스피커를 연결하지 않고 동작시키면 진공관이 나가는 이유는 뭔가요????
    반도체 AMP에도 출력에 스피커를 연결하지 않으면 AMP에 손상을 주나요??

    • @user-ww6pb7rj5s
      @user-ww6pb7rj5s Před 2 lety +2

      진공관 AMP에서 출력에 스피커를 연결하지 않고 동작시키면
      - 부궤환이 있는 amp라면 플레이트 전압이 통제가 되므로 비교적 안전합니다.
      그러나 부궤환이 없거나 있어도 너무 가볍게 걸린경우는 무부하시 플레이트 전압 상승으로 진공관 내부가 아킹으로 절연불량이 되어 관이 손상되는 경우가 생기게 됩니다.
      반도체 AMP는 내부 회로에 부궤환이 강력하게 걸려 있어서 오디오 출력 전압이 통제가 강하게 걸려 전압이 거의 초과하지 않으므로 스피커를 연결하지 않아도 AMP에 손상을 줄 가능성이 현저히 줄어들게 됩니다.

  • @chicken8520
    @chicken8520 Před 3 lety +4

    궁금했던 내용인데 정리해주셔서 감사합니다
    6옴스피커는 4옴단자에 연결해야 안전하겠네요
    또 8옴 스피커를 8옴에연결했을때 출력이 약하면 4옴단자에 연결해도 되는거겠죠? ..

    • @chicken8520
      @chicken8520 Před 3 lety +3

      10분34초 내용엔 낮은 임피던스단자 가아니라 낮은 임피던스 스피커 아닌가요? ?
      뒷내용(15분)은 낮은 임피던스단자,즉 높은 임피던스 스피커를 사용시 출력저하(사용가능)라고 반대내용이라 질문드려봅니다

    • @kailash2857
      @kailash2857 Před 3 lety +2

      4옴 단자에 8옴 스피커를 연결하면 출력이 약해집니다.

    • @chicken8520
      @chicken8520 Před 3 lety +1

      @@kailash2857 제대로 이해한부분이맞네요
      오히려 앰프대비 스피커임피던스가 낮으면 과부하가 걸린다는 내용이죠?

    • @kailash2857
      @kailash2857 Před 3 lety +2

      @@chicken8520 네. 맞습니다. 그래서 앰프 임피던스보다 낮은 스피커에 연결하면 안되고
      반대로 앰프 임피던스보다 높은 스피커에 연결할수는 있는데 대신 출력이 약해집니다.

    • @chicken8520
      @chicken8520 Před 3 lety +1

      @@kailash2857 감사합니다

  • @dk9031
    @dk9031 Před 3 lety +3

    스피커 1조에 여러 앰프를 연결하는 법도 알려주세요... 다이렉트 병렬연결 하지 말래서 셀렉터를 찾아보는 중인데...100w 한계와 음의 손실이 클까요?

    • @user-me1ti3sg5c
      @user-me1ti3sg5c  Před 3 lety +1

      바이앰핑을 말씀하시는건지 아니면 한대씩 물려서 노래별로 앰프를 바꾸어서 사용하시겠다는 건지요...
      후자이면 셀렉터를 통해 하는 것이 가장 안전합니다 여러대를 동시에 물려두고 있기보다는...
      셀렉터에 의한 음질열화, 와트 손실은 거의 없는 거 같아요

    • @dk9031
      @dk9031 Před 3 lety +2

      @@user-me1ti3sg5c 감사합니다 진공관앰프등 여러대가 되다보니 매번 스피커선 교체하는것에 피로감이... 근데 스피커 출력단자는 여러개인데 앰프 입력은 2개 이상의 셀렉터가 없네요 바꿔서 사용해도 된다는데 나중에 셀렉터 소개영상도 부탁합니다

  • @jaysonlee8532
    @jaysonlee8532 Před rokem +2

    중국제 올드첸 el34의 출력단을 보면 8옴과 4옴의 출력단이 각각 있습니다. 8옴 , 4옴의 스피커를 각각 연결하면, 2조의 스피커를 연결해도
    각각 8옴, 4옴 스피커로 작동하는 것인지, 아니면 합쳐져 6옴으로 각각 작동하는 것인지 의문입니다. 각각의 트랜스에서 출력이 나오는 것이면,
    서로 다른 옴수를 가진 두 스피커 모두 음향적인 문제 말고는, 전기적으로는 아무 문제가 없을 것 같은데, 4옴 스피커의 손상의 원인이 되나요?

    • @user-me1ti3sg5c
      @user-me1ti3sg5c  Před rokem +2

      출력트랜스는 옴수별로 있는게 아니고 채널당(L/R) 한나 뿐입니다. 트랜스 내부에서 옴수는 저항과 같아서 코일 회전수에 따라 뽑아내는 부분이 다를 뿐입니다(예 4옴 10바뀌 지점에서 출력, 8올 20바퀴 지점, 16옴 40바뀌 지점)

    • @jaysonlee8532
      @jaysonlee8532 Před rokem +1

      @@user-me1ti3sg5c 답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1주전에 판매처에 문의하여 오늘 답변을 받기를, "각각의 트랜스에서 50W 씩 출력이 나오는 것이다. " 라는데 , 각각의 트랜스에서 출력단이 나온다해도, 2조의 스피커를 병렬해 동시에 안전하게 쓸 수 있다는 것은 아니다라는 것이 맞는 것이겠지요?

    • @user-me1ti3sg5c
      @user-me1ti3sg5c  Před rokem +2

      네 출력트랜스도 용량이 정해져 있어서 스피커를 2개로 연결하나 한개로 연결하나 출력은 동일합니다.
      굳이 스피커 2조를 붙일 필요는 없구요 다만 카페나 이런 넓은 공간에서는 여러곳에 스피커를 두기위해 병렬 연결을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소리는 당연히 안좋아 지겠죠..

    • @jaysonlee8532
      @jaysonlee8532 Před rokem +1

      @@user-me1ti3sg5c 잘 알았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zp2tm8xl7x
    @user-zp2tm8xl7x Před 2 lety +3

    교류 일때 14v .. 직류 측정하면 7v .. 4옴 일때 100w ..8옴 일때 50W .. 저항이 커질수록 .. 소리 작어 저더군요.. 16옴 걸리면 20w ..

  • @haccam977
    @haccam977 Před 2 lety +2

    앞에서 극찬하신 진공관앰프를 알리에서 2달만에 받아서 설치를 했습니다.
    사실 저는 이 앰프를 헤드폰용으로 구입했습니다만....놀고있는 홈시어터용 리어 스피커가 있어서 연결하려고 보니 6오옴입니다.
    그래서 이 영상을 정독해 보았지만...제 짧은 수준으론 한계가 있네요...ㅎ....
    현재 스피커가 6오옴이고....앰프단자는 4오옴과 8오옴으로 되어있습니다.
    현재 8오옴에 물려서 사용하고 있는데....말씀대로라면 앰프와 스피커 모두 무리가 있을 수 있는데....걱정입니다....
    환경에 맞게 앰프나 스피커를 맞추거나 개조하는 방법은 없을까요?

    • @user-me1ti3sg5c
      @user-me1ti3sg5c  Před 2 lety +1

      2옴 차이로 장비에 무리가 가지는 않겠습니다.

    • @haccam977
      @haccam977 Před 2 lety +1

      @@user-me1ti3sg5c 앗....감사합니다....^^

  • @vonjackson7674
    @vonjackson7674 Před 2 lety +3

    대부분 정상적인 앰프는 8옴 출력이라도 4옴 스피커에 버틸수있게 설계되어 있어요. 마음대로 연결해도 되요. 아! 하지만 싸구려 중국산 앰프는 보장 못합니다.

  • @user-ww6pb7rj5s
    @user-ww6pb7rj5s Před 2 lety +11

    한 말씀 더 드릴께요~
    스피커는 코일로 구성된 인덕터 같은 형상이라서, 이런 것을 아무 고려없이 만든다면 음원의 주파수에 따라 전류량이 달라져 음색이 이상해져 버립니다,
    스피커는 일반적인 상식보다는 매우 효율이 떨어지는 물건입니다~
    그래서 일찌감치 이런 부분을 고려하여 보이스코일의 순수 저항값으로 임피던스에 맞춰서 만들게 됩니다.
    인덕턴스는 생기지만 코일의 저항에 비해 큰 값을 취하므로서 저항값과 병렬의 인덕턴스를 상쇄시키는 역할을 하여 작용을 합니다.
    그러므로 주파수 영벽별 임피던스는 일반 수요자가 걱정하지 않으셔도 될 만큼 편차가 적은 편입니다.
    앰프에서 출력한 음성 출력을 스피커의 저항으로 대부분 소비해서 사운드의 전압 왜율도 적어지게 됩니다. ~
    진공관 앰프같이 출력에 매우 큰 임피던스 비율의 저결합도 트랜스를 사용하고, 부궤환이 적을 경우는 스피커와의 결합에서 하모닉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그런데 적절한 하모닉은 리스너가 더 좋다고 느낄 수도 있는 것이라 호불호가 있어, 리스너가 좋다고 하면 좋은 것이기도 합니다~
    간단한 회로라도 멀티의 파라메터가 작용하는 결과는 복잡하게 나타나므로 소우주라고 까지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짧은 지식으로 억지 해석을 하다 보면 앞뒤가 않맞는 모순도 일어나게 됩니다~

  • @the-same-lines-with-you
    @the-same-lines-with-you Před 2 lety +4

    빈티지 스피커의 경우 앰프ㅡ진공관ㅡ와 서로 다른 오옴에 연결하면 스피커 고장!
    경험자!

  • @forrestkim3718
    @forrestkim3718 Před 4 měsíci

    중요한 이슈 !!!

  • @imugilee1137
    @imugilee1137 Před 3 lety +1

    8옴 앰프출력단자에
    4옴 스피커 2개를 직렬로 연결하면
    8옴 스피커 1개를 연결한것과 동일한것인가요?
    이경우 4옴 스피커는 극성을 건전지 직렬 연결같이
    극성을 맞춰야 하나요?

    • @user-me1ti3sg5c
      @user-me1ti3sg5c  Před 3 lety

      이론적으로 그렇습니다 그리고 스피커코일은 극성은없지만 반대로 연결하면 콘지가 하나는 나오고 하나는 들어가고 해서 문제가 될거 같아요

    • @imugilee1137
      @imugilee1137 Před 3 lety

      @@user-me1ti3sg5c 옙 감사합니다 꾸뻑

    • @vonjackson7674
      @vonjackson7674 Před 2 lety +1

      건전지 연결하듯이 해야합니다. 아니면 출력파형이 상쇄되어 듣는 위치에 따라 소리가 감쇄하는 현상이 생깁니다.

  • @user-yt9yy3ng9t
    @user-yt9yy3ng9t Před 3 lety +1

    정보 감사합니다
    다음은 4옴8옴16옴의
    음질 소리차이 변화를
    방송해주세요

  • @ycs7108
    @ycs7108 Před 3 lety +14

    회로 저항은 일반 저항(레지스턴스Xr, 0도), 콘덴서에 의한 저항(커패시턴스Xc, -90도), 유도코일에 의한 저항(리액턴스Xl,+90도) 이 세가지 저항을 합친 종합 저항이 임피던스 입니다. 위상이 각각 90도 차이가 있어서 벡터합성 하여 구합니다. Xi= 루트{ Xr제곱 + (Xc-Xl)제곱} 이걸 맞춰줘야 한다는 거죠. 저도 문과생 입니다.

    • @jungdanny7987
      @jungdanny7987 Před rokem +1

      대단하십니다.
      한수 배우고 갑니다.

    • @user-qj8cg8cj9y
      @user-qj8cg8cj9y Před rokem

      😅😅😅

    • @user-yu1co6ll2u
      @user-yu1co6ll2u Před 7 měsíci +2

      저는 전자공학 전공자 입니다 말씀하신게 맞습니다 그런데 보통은 벡터 스페이스를 사용하지 않고 복소수 평면을 사용하지요

  • @jeongcheolshim1041
    @jeongcheolshim1041 Před 2 lety +2

    인도주재원 님의 설명이 대강은 맞는데요 음
    보충 설명을 드리자면 임피던스매칭을 해주는게 좋다 왜 최대전력 전달을 하기위해서입니다 출력이 100% 스피커로 전달이될려면 같은 임피던스 일때 가장많은 전력이전달 됩니다
    SWR (정재파비) 라는 게 있는데 출력이 스피커로 전달 되는 비율인데 1:1 일때가 이상적인걸로 알고있습니다 전달 안된거는 앰프 스피커에 부하(열이나 잡음 또는 왜곡) 로 남게 됩니다 이러면 스피커나 나 앰프에 고장을 유발 하거나 특성을 나쁘게 만들수있습니다
    결론은 같은 임피던스로 매칭 해주는게 제일 좋다 라고 할수있습니다
    유유상종 이죠
    채널 잘보고있습니다

    • @cookiemonster4967
      @cookiemonster4967 Před 2 lety

      통신공학 학부생인데 통신이랑 음향이랑 이론적인거는 비슷하네요. 저희는 안테나가 여기서는 스피커랑 비슷한 의미로 배웁니다.ㅎㅎ

  • @user-dj1vb5vm3k
    @user-dj1vb5vm3k Před rokem +1

    인도주재원님께 질문이 있습니다
    현재 올드첸 el34 진공관 앰프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8옴짜리 스피커 2조, 즉 스피커 4개를 앰프 하나로 울리고자 합니다.
    8옴짜리 스피커 2조면 앰프의 4옴 단자에 모두 끼워도 되는지요
    이론적으로는 이해를 하였는데 음질적인 차원에서의 질문입니다
    항상 감사드립니다 ^^

  • @techsinc
    @techsinc Před 6 měsíci

    Reactance is frequency dependent (in complex phasor space, jwL for inductance, 1/(jwC) for capcitance, w = angular frequency) . Alternating current (교류) is not different from direct current (직류). Direct current can be considered as alternating current at zero frequency. Thus, resistance ("저항") is impedance at zero frequency. In general, only impedance should be discussed because of the frequency-dependent nature of reactance.

  • @user-mu2cb6ng9i
    @user-mu2cb6ng9i Před 3 lety +3

    스피케에도 나오고 무슨으로 들을수있는 방법 있나요?

  • @user-kk3iw1lw9y
    @user-kk3iw1lw9y Před 3 lety +3

    한가지만 질문드릴께요. 그럼 스피커가 6옴 이라면 앰프에 4옴단자에 연결하는게 좋을까요 8옴단자에 연결하는게 좋을까요? 이론적으론 4옴단자에 연결하면 안전하나 소리가 충분하지 않고 8옴 단자에 연결시는 과전류 위험이 있다는 거지요?

    • @sobiet18
      @sobiet18 Před 3 lety +3

      전~~혀 상관없이 4옴이나 8옴에 꽂아서 들어보시고 더 좋은 소리 난다고 생각 되는 곳에 꽂으면 되요 .

    • @justicekim352
      @justicekim352 Před 2 lety

      강의내용은 낮은 옴에 연결시 과전류가 흐르게 된다는 요지 같은데 아닌가요?

    • @user-of7dt7cz1v
      @user-of7dt7cz1v Před 2 lety

      @@sobiet18 앰프에 8옴단자랑 4옴닷자가 따로 있나요?

    • @sobiet18
      @sobiet18 Před 2 lety

      @@user-of7dt7cz1v 앰프에 따라 나눠논 앰프도 있고 아닌경우도 있죠

  • @myj22000
    @myj22000 Před 6 měsíci

    댓글들이 아무말 대잔치 하시는듯 하여
    저도 추가합니다.
    전 전자과 아닌 컴퓨터공학과이며
    오디오회사 17년 근무했고,
    전자회로는 기본 조금만 알아서 상세한 설명은 못드립니다.
    1) 어떤 제품이든 설계 스펙이 있습니다.
    아무렇게나 사용해도 스펙 안에서는 별 문제 없으나,
    스펙을 벗어나면 문제가 생깁니다.
    스펙은 범위가 좁을 수도, 넓을 수도 있습니다.
    모든 제품에 대해 "그렇다"고 말하는건 좋은 생각이 아닙니다.
    2) 바쁘신 분들을 위해
    8옴, 16옴 변경시, 더 좋아지는 부분도 있고, 나빠지는 부분도 있습니다.
    말씀하신것처럼 "소리가 더 좋아졌다"는 쉽게 말해, 아반떼차에 스포츠카 엔진을 단 경우일 수 있습니다.
    엔진 입장에서는 하챦은 차체가 내가(엔진) 내뿜는 출력을 감당할리가 있을까?
    (이해를 돕기위한 표현입니다.)
    스펙에서도 말씀드렸듯이 아무이상 없는 제품들도 있습니다.
    ("하챦은"은 실제로는 다른 목적, 스펙으로 설계된 제품들이며, "하챦다"고 표현하는건 맞지 않습니다)
    3) 스펙을벗어나는 경우의 문제점들
    스피커에 불나는것 보셨나요?
    앰프에 불나는것 보셨나요?
    아마 곧 보시게 될지도 모릅니다.
    물론 아무 이상 없을 수 도 있습니다.
    소화기 준비해놓고 실험하시기 바랍니다.

  • @nslyers4018
    @nslyers4018 Před 2 lety +3

    집구석 대궐도 아니고 100W 출력시킬 수 있음? 아파트 구석 사시는 분들이 많은 걱정을 하시는 듯 ㅋㅋㅋㅋㅋㅋ 천정 3~4미터 되는 커다란 개인주택 사시면 인정합니다.

  • @steeleye7150
    @steeleye7150 Před 3 lety +4

    자동차 스피커가 싸다는 말은 틀린말입니다 한정적인 공간 전압때문에 높은 효율을 만들어야 하기때문에 더 높은 기술과 재료가 들어갑니다

    • @vonjackson7674
      @vonjackson7674 Před 2 lety +1

      싼차에는 싼 스피커 비싼차에는 비싼 스피커

  • @user-hl2yj6xi6i
    @user-hl2yj6xi6i Před 3 lety +4

    잘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앰프 8옴단자에 8옴스피커 2조를 연결할 수는 없는지요?

    • @user-bq2jn3up2h
      @user-bq2jn3up2h Před 3 lety +2

      (8옴+8옴)=16옴, (8옴+8옴)=16옴 ,16옴스피커병렬=8옴

    • @Realbard485
      @Realbard485 Před 3 lety +1

      스피커 여러개를 한 단자에 물리려면, 합성저항으로 생각하셔야 합니다.
      8옴 스피커 2개를 병렬로 연결하면 4옴단자에, 직렬로 연결하면 16옴 단자에 연결하시면 됩니다.
      보통 병렬로 많이 하시죠.

  • @kangnt1
    @kangnt1 Před 3 lety +4

    테스터기로 스피커 저항을 측정해보니 6옴이 나옵니다.
    6옴 스피커의 경우에는 4옴 또는 8옴 단자중 어디에 연결하는것이 좋을까요?

    • @user-bq2jn3up2h
      @user-bq2jn3up2h Před 3 lety +2

      저항에서임피던저항(교류,코일)과일반적인직류저항과 혼동의 오류를하네요
      테스터기같은 직류저항기론 임의으 정확한저항값이 아니고 젤수도 없음
      임피턴스측정기로의 측정저항값을~(후략)

    • @user-me1ti3sg5c
      @user-me1ti3sg5c  Před 3 lety +4

      8옴에 연결하시면될거같아요
      6옴은 직류저항이고 임피던스는 실제로 8옴쪽에 더 가깝게 나옵니다

    • @user-qm9ol7ct7i
      @user-qm9ol7ct7i Před 3 lety +1

      @@user-me1ti3sg5c
      엄밀히 따지면 교류임피던스 (직류에는 임피던스란 말 자체가 없죠. 영상에서 설명하셨듯이 임피던스는 교류전류의 흐름을 방해하는 것이므로 직류의 저항과 같은 것으로 취급하는 것이죠) 는 주파수에 따라 달라집니다. 주파수가 높아지면 커집니다. 일반적으로 스피커를 설계할 때 직류 저항을 기준으로 잡는 것 아닌가요?

    • @vonjackson7674
      @vonjackson7674 Před 2 lety

      @@user-qm9ol7ct7i 맞아요. 코일의 임피던스는 직류저항을 기준으로 표기합니다.

  • @user-su2zv3vw9q
    @user-su2zv3vw9q Před rokem +2

    인도 주재원이라함은 인도에서 살고 계시나요?

  • @user-hd1po8oy4o
    @user-hd1po8oy4o Před 2 lety +4

    결론이 뭔가요?

  • @Kiki99008
    @Kiki99008 Před rokem +1

    헤드폰 앰프 rca output 에
    Rca to 바나나 케이블로
    패시브 스피커 연결 해도 되나요?

    • @user-me1ti3sg5c
      @user-me1ti3sg5c  Před rokem +1

      해드폰 앰프 RCA output은 음악 신호가 나오는 부분이고 증폭된 소리가 나오는 것이 아니라서 스피커를 울리지 못할 것입니다

    • @Kiki99008
      @Kiki99008 Před rokem

      @@user-me1ti3sg5c 아 고맙습니다 그러면 그 신호를 증폭하려몀 무슨 앰프가 필요한가요?
      오디오는 정말 어렵네요

  • @user-gs1uk8ie8o
    @user-gs1uk8ie8o Před 3 lety +3

    앰프에 8옴 이던 4옴 이던
    진공관84L엠프에 스피커 아웃 연결 단자가 좌.우 1개씩 뿐 인 데요
    스피커선은 좌.우 각각 2 줄 이라
    좌 스피커 두줄을 한줄로 합쳐서 한줄로 바나나젠드로 정리 하고
    우 스피커도 한 줄로 정리 해서
    두개의 단자로 연결 해야 하나요.?
    아니면
    앰프에 Y자 단자로 두 스피커선을 각각 연결 해서 좌 측. ..옴 단자에 정리하고
    우 측 ...옴 연결 방법도 Y타입 단자로 각각 두줄 의 스피커 선을 정리 해서
    각각 좌 두줄 ,우 두줄의 스피커선을
    Y타입 단자 로 정리해서 좌.우 1개씩 만 있는. ..엠프의 옴 단자에
    연결 해야 하는 건 가요?

    • @user-gs1uk8ie8o
      @user-gs1uk8ie8o Před 3 lety +1

      아니면 앰프가 두 대가 필요해서
      좌.우 스피커에 따로 물렸야 하나요?

    • @user-me1ti3sg5c
      @user-me1ti3sg5c  Před 3 lety +2

      지금가지고 계신것이 프리앰프일 수 있고 아니면 모노블락 앰프일수 있습니다. 정상적인 앰프는 단자가 최소 4개는 되야합니다. 좌우 출력단자와 마이너스 단자(검정)

    • @user-gs1uk8ie8o
      @user-gs1uk8ie8o Před 3 lety +1

      @@user-me1ti3sg5c 출력단자가
      0옴 +.-
      4옴
      8옴
      16옴
      +.-
      빨강 .검정
      두개씩 있네요
      진공관 84el 입니다.

    • @user-gs1uk8ie8o
      @user-gs1uk8ie8o Před 3 lety +1

      각 옴 당 두개의 스피커 아우트 뿐입니다

    • @user-gs1uk8ie8o
      @user-gs1uk8ie8o Před 3 lety +1

      각 옴 당 두개 단자 만 있다는 건
      모노블록엠프로 두개의 앰프로 좌우 두개 스피커에 연결 해야 된다는 거군요?

  • @user-yu1co6ll2u
    @user-yu1co6ll2u Před 7 měsíci

    임피던스 라는 말이 나올 때 문과생은 DC 테스터를 생각하고
    이과생은 기준주파수에서 복소평면 임피던스의 메그니튜드와 페이즈를 생각합니다
    이 impedance 의 magnitude 와 phase가 또 주파수에 따라 변하지. 즉 소리의 주파수가 올라가면 인덕티브 임피던스의 메그니튜드 자체가 커지면도 동시어 페이즈도 변하고 ...
    이런게 문과생과 전공자의 생각의 차이라 할까요

  • @shawnpark5940
    @shawnpark5940 Před 3 lety +1

    6오음 스피커는 앰프에 4오음과 8오음중 어디에 연결하는게 좋을까요?

    • @user-me1ti3sg5c
      @user-me1ti3sg5c  Před 3 lety

      2옴 편차는 소리에 크게 나타나진 않습니다

    • @shawnpark5940
      @shawnpark5940 Před 3 lety

      엠프는 550와트 튜브 모노 불락인데요
      어디에 연결하는게 소리나 앰프에 무리않주고 좋을까요?

    • @user-me1ti3sg5c
      @user-me1ti3sg5c  Před 3 lety +1

      4옴 연결은 출력이 더 나오고, 저음이 풀어지는 현상이 있습니다. 이 부분을 배음이 더 많이 나와서 소리가 좋아진다고 하는 분도 있습니다.
      8옴 연결은 출력이 줄어들고, 저음이 풀어지지 않으므로 단단한 소리가 나옵니다.
      하지만 2옴 편차로 크게 느끼기는 어렵습니다. 8옴, 16옴 단자라면 확실히 느낄수가 있습니다.

    • @shawnpark5940
      @shawnpark5940 Před 3 lety

      감사합니다

  • @user-ho2ln3bn7h
    @user-ho2ln3bn7h Před 3 lety +2

    산숭7070엠프에 어떤 스피커가 잘 맞는지 좋은 말씀 부탁 합니다

    • @user-ho2ln3bn7h
      @user-ho2ln3bn7h Před 3 lety +1

      산수이

    • @user-me1ti3sg5c
      @user-me1ti3sg5c  Před 3 lety +1

      저도 전에 7070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따스하고 독특한 느낌이 있는 산수이 제품들입니다.
      파워위주의 엠프가 아니므로 용량이 크지 않는 섬세한 소리의 빈티지 스피커들이 잘 어울리는 거 같습니다

  • @user-ty8rb6hc4i
    @user-ty8rb6hc4i Před 7 měsíci

    아니 그래서 16옴 스피커를 8옴 앰프에 끼면 어떻다냐고요 권선비까지 다 알아야해요!

  • @user-ww6pb7rj5s
    @user-ww6pb7rj5s Před 5 měsíci

    오디오를 포함한 증폭기의 설계는 전력 손실에 기초해서 설계합니다.
    증폭기의 손실은 방식에 따라 비율이 달라지므로 방식에 따르는 증폭기의 한계 출력도 달라지게 되는 건 물론입니다.
    그리고 전압과 전류는 전력을 나타내는 단위에 불과하며 전력은 아닙니다~
    100V 15A, PD 150W 급 트랜지스터를 70V 10A 상황에 노출 시킨다면
    효율이 60% 일 경우 70V*10=700W 에 손실은 280W이고 이때 420W 가 나오겠습니까?
    그 반절이면 손실이 140W이고 출력이 210W인데 이것마저도 어림없는 예기입니다~
    그러니 최대 전압의 70% 전류값 70%는 도저히 운용할 수 없는 크기이며 손실이 이미 한계에 도달해서 쓸 수 없게 됩니다.
    전력 손실에 대한 마진은 설계자가 설정하는 하는 것이며, 마진이 클수록 고장율이 내려갑니다.
    그래서 충분한 마진이 없는 앰프를 출력 임피던스 1/2인 4옴 스피커에 노출 시킨다면 견딜 수 없게 됩니다.
    실 설계에서는 소자의 내압이나 전류는 고려 대상에 불과하며 실 한계를 결정하는 요소는 허용 손실입니다.

  • @harrychoi1918
    @harrychoi1918 Před 2 lety +2

    제 자동차에는 2옴 스피커를 사용하는 앰프가 달렸는데요... 4옴 스피커를 사버렸습니다...
    혹시 4옴 스피커에 4옴 시멘트저항을 병렬로 연결하면 2옴 스피커가 되나요??

    • @user-me1ti3sg5c
      @user-me1ti3sg5c  Před 2 lety +1

      스피커 유닛 저항은 보이스 코일 저항값입니다 외부에서 조정을 할 수는 없구요 2옴 차이라 사용하셔도 크게 앰프가 힘들어하진 않을거같습니다

  • @akiusami7969
    @akiusami7969 Před 3 lety +5

    전부8오음에 연결

  • @skylllz11
    @skylllz11 Před 3 lety +2

    안될건 없는데 소리가 좀 작게 나오는것뿐임!!

  • @ronaldha4464
    @ronaldha4464 Před 2 lety +2

    V= IR

  • @forrestkim3718
    @forrestkim3718 Před 4 měsíci

    아 ! 자동차 ignition primary circuit 과 secondary circuit coil concept과 같지만 꺼꾸로 전압 winding이 되는군요. 8 ohom의 뜻을 알게 됐읍니다. 그게 무슨 저항인가 했읍니다. 왜 전축이 망가졌는지 알게 됐읍니다.70년대에 7.8천불하던 마란즈 모르고 망가트린 이유를 아제야 알았읍니다.

  • @jungjinwook6367
    @jungjinwook6367 Před 5 měsíci

    으악!!!!!

  • @greenahn6060
    @greenahn6060 Před 2 lety +2

    괜찮치요.. 소리만 크게 안하면..

  • @user-nj9mg1pf2f
    @user-nj9mg1pf2f Před rokem +3

    대학교수보다 더 낫네요.

  • @yuseongyong88
    @yuseongyong88 Před 3 lety +2

    I=R/U

  • @user-ny7tq4ep5v
    @user-ny7tq4ep5v Před 2 lety +4

    너무어려워요. 전문가적인 강의 !! 우린 알아먹을수가없어요.
    된다.안된다.어느정도까지 가능하다 이정도만 설명해주시면되는데 정말 설명이해하기 어렵네요.
    우린 문과생이 아니고 그냥 오디오를 좋아하는 늙은이라서요.

  • @hjkim9246
    @hjkim9246 Před 3 lety +1

    잘 보고 갑니다. 이과인데 왜 이해가 안 갈까요? ㅠㅠ

  • @myungheungchoi5301
    @myungheungchoi5301 Před 8 měsíci

    무빙코일저항을 테스터로 쟀을때 직류저항 4,8,16 옴이라는것은 완전 엉터리 입니다. 무빙코일의 임피던스라함은 1KHz 교류신호를 인가했을때의 저항값입니다. 임피던스라는 고급진 용어를 사용하고 있지만...정작 그 의미는 알고있지 못하네요....확실히 모를때는 그냥통과~하면 됩니다. 공연한 말로 스스로 무지함을 알려주고 계시네요.....ㅡ..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