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실험] 할로겐 전구, 사용할 때 이것 주의하세요! [위기탈출 넘버원] | KBS 20061021 방송

Sdílet
Vložit
  • čas přidán 26. 06. 2024
  • 국내에서는 3세 어린이가 이것으로 인해 2도 화상을 입었으며,
    미국에서는 이것으로 인해 6년간 189건의 화재가 발생했고, 12명이 숨졌다.
    높은 온도로 인해 화상과 화재의 위험이 있는 이것은?
    - 헤어드라이어
    - 할로겐 전구
    - 휴대전화
    - 일회용 라이터
    - 전자모기향
    - 다리미
    2. 할로겐 조명의 위험성
    일반 백열구나 형광등에 비해 연색성이 좋은 할로겐 조명!
    하지만 높은 온도로 인해 화상과 화재의 위험성이 따르는데...
    국내에서 3세 아이가 할로겐 조명을 맨 손으로 만졌다가 2도 화상을 입기도 하였다고...
    할로겐 조명의 위험성을 집어본다.
    #안전상식 #안전사고 #안전 #생존 #긴급구조 #위기탈출넘버원 #위기상황 #위기탈출 #생활안전 [위기탈출 넘버원] | KBS 20061021 방송
    📺 세상 모든 호기심이 모이는 곳, KBS 실험실 📺

Komentáře • 22

  • @user-ze9pv1zc9q
    @user-ze9pv1zc9q Před 2 dny +6

    0:01 재등장한 손 그림 표지판
    0:06 코난 브금
    0:53 7:46 썸네일.
    1:18 정답.
    1:14 1:23 관련없는 보기
    1:28 가장 가능성 있어보였습니다.
    1:30 화재는 그럴듯 해보였지만 화상까진 거리가 멀죠.
    1:33 반대로 화상은 가능성 있었고 화재까진 해당 없죠.
    4:00 철수야, 아 뜨거 -> 4:03 Tom, Very Hot으로 번역하시는 조형기님만의 독특한 영어화법.
    7:31 진열대에 뜨끈뜨끈하게 느껴지는게 바로 이거였죠.
    8:05 식품 모형에도 쓰이고.
    8:53 자동차에 이어 또 나온 요리실험.
    9:03 구운 김. 참기름과 소금까지 뿌리지 ㅋㅋ
    9:24 맛있겠다… 9:46 한입 먹어도 될 정도로 노릇하게 구워진 고기.
    9:50 10:05 바로 뜯어먹어도 되겠군요.
    10:23 화상 손 사진들은 압력밥솥 때도 보여준 거로 기억합니다.
    11:56 자연발화…ㄷㄷ
    13:17 요즘 2020년대 되면서는 LED로 앵간하면 다 바꿨죠. LED도 빛이 밝은 편인데다 더 안전하니.
    7:52 14:36 수미상관.

    • @user-eh5yr8ec6x
      @user-eh5yr8ec6x Před 2 dny +3

      1:28 일회용 라이터는 43회 시뮬레이션 3 차량화재에도 나왔고 1:30 전자모기향은 46회 시뮬레이션 3 선풍기 화재사고 문제 보기에 나왔습니다

  • @user-mm6vm7jg1f
    @user-mm6vm7jg1f Před 2 dny +8

    1:16
    이 편은 큰 글씨체 자막 + 6개 보기가 깜빡거림 + 전문가가 설명할 때 바탕이 노란색인 버전의 에피소드인데, 예외적으로 1:16에 나오는 글씨체는 작은 글씨체 자막 + 전문가가 설명할 때 바탕이 회색인 버전의 에피소드 글씨체네요. 성우는 '헤어드라이기'라고 말하지만 자막은 '헤어드라이어'로 나오는 것으로 보아 제작 과정에서 자막을 수정하는 과정에서 글씨체를 다르게 넣었나 봅니다. + 느린 화면으로 자세히 보니 1:15~1:16에 글씨가 '띵' 하는 효과음과 함께 오른쪽에서 등장할 때는 '헤어드라이기'로 나오고 글씨체도 원래 버전으로 나오는데, 갑자기 글씨가 '헤어드라이어'로 바뀌고 글씨체도 바뀌어 나옵니다.

  • @user-eh5yr8ec6x
    @user-eh5yr8ec6x Před 2 dny +4

    제가 보고 싶은 할로겐전구가 올라왔네요

  • @frandre0321
    @frandre0321 Před 2 dny +5

    -드디어 내가 원하던 편이 나왔다-
    여담으로 이거 나온 이후로 후에 어느 편에서 할로겐 전구가 또 언급되기도 했죠

  • @user-ct3kr7zd3y
    @user-ct3kr7zd3y Před 2 dny +4

    문제 난이도가 앞에 환경호르몬보다는 어려웠지만 그래도 잘 맞혀주셨네요.

  • @user-gu7kn3np4y
    @user-gu7kn3np4y Před 2 dny +6

    이거 본 적 있다.
    아름다운 조명 속에 숨겨진 위험한 칼날(?)의 할로겐 전구.

  • @user-qx2hx2ij7m
    @user-qx2hx2ij7m Před 2 dny +6

    할로겐 전구 남기고 다 지웠네요

  • @user-ct3kr7zd3y
    @user-ct3kr7zd3y Před 2 dny +4

    오구동성 공공의 답 코너에 대해 궁금한 게 있는데 혹시 여기서 얘기해도 괜찮을까요?
    현재 나무위키에 오구동성 공공의 답 문제와 답이 적혀있지 않은 회차(37회는 제외): 20, 21, 24, 26~29, 33~36, 40~42, 44회
    몇 회차에 나온 주의사항인가요?
    손이나 손잡이가 미끄러운 상태에서 사용하지 마십시오 ---> 칼
    2개 이상 사용 시 20cm 이상의 간격을 두고 사용하십시오 ---> 양초
    안쪽 깊숙히 넣지 마십시오 ---> 면봉
    붙이거나 떼어낸 후에는 반드시 손을 깨끗이 씻어주십시오 ---> 붙이는 멀미약
    만약 많은 양을 먹었을 경우 의사와 상담하십시오 ---> 치약
    구체적인 멘트가 뭐였죠?
    '떡'을 기름에 튀기면 매우 멀리까지 날아가서 화상을 입을 수 있다는 주의사항 ---> 20회
    알루미늄 호일(쿠킹호일)의 주의사항의 멘트와 회차가 어떻게 되었나요?
    33회 '노트북'의 주의사항 멘트
    이거 33회 맞죠?
    주변에 지켜보는 사람이 있는지 확인하십시오 ---> 현금인출기
    구체적으로 기억이 나시는 매니아분 답변 부탁드립니다.

    • @user-um9up8uq4y
      @user-um9up8uq4y Před dnem

      노트북이 정확한 워딩은 기억이 안나지만 '무릎 위에 올려놓고 사용하지 말라'는 주의사항 으로 기억함

  • @user-hm1hp3gu5c
    @user-hm1hp3gu5c Před 2 dny +4

    감사합니다

  • @user-eh5yr8ec6x
    @user-eh5yr8ec6x Před 2 dny +3

    59회 시뮬레이션 2 어린이 증기화상 보다 더 뜨겁네요

  • @user-dj9cn2wy2q
    @user-dj9cn2wy2q Před 2 dny +4

    감사합니다 구독자님

  • @apeachsmile
    @apeachsmile Před 2 dny +4

    나는 당시 할로겐이 뭔지 몰랐음 ㅋㅋㅋㅋ
    다음주에 올릴 야간 식별 장치에서 화려한 피날레를 장식합니다 ㅋㅋㅋ
    지난주방송에 아깝게 만점에 실패한 것을 이 편에서 피날레를 장식합니다 ㅋㅋㅋ

    • @frandre0321
      @frandre0321 Před 2 dny +2

      할로겐이란 주기율표 17족 원소로 플루오린, 염소 , 브롬, 요오드, 얘내가 있습니다
      그리고 물과 이온화 하면 강산성(최대 초강산)을 띕니다

  • @1-pj6yf
    @1-pj6yf Před dnem +1

    00:33 창개구리 진호는 재현된게아니다 장난이아니다!
    장난이아니라구우우우우우우우우우우우구우우우우우!!
    !!!---!!!

  • @MuZinJangHappyFullGorilla3414

    뭐 요즘은 led할로겐도 있으니 조금이나마 다행이지만 그래도 열은 좀 있지요

  • @user-tj6ew2wp3x
    @user-tj6ew2wp3x Před dnem +1

    참고로 옛날에는 전동차 전조등을 할로겐으로 썼다고 합니다.(요즘은 LED 전조등이 대세)

  • @user-ow8wk5tz8t
    @user-ow8wk5tz8t Před dnem +2

    할로겐 전구는 금지되어야 합니다.

  • @1-pj6yf
    @1-pj6yf Před dnem +1

    할로겐전두 잔구사용금지야야야양!!!---!!!

  • @gavicj3584
    @gavicj3584 Před dnem +2

    요즘은 LED형으로 거의 많이 바꿉니다. 제가 시설관리를 하면서 할로겐 전구를 가는데 일반 할로겐 전구가 열로 인해서 보호막이 펑 터져나오는 일도 있었습니다

  • @user-um9up8uq4y
    @user-um9up8uq4y Před 2 dny +4

    지워야 산다 현재 기준 성공 55 실패 62
    정답보기
    1번 16
    2번 20
    3번 25
    4번 23
    5번 20
    6번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