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교는 어떻게 우리를 망가뜨렸나? (쉬운ver)

Sdílet
Vložit
  • čas přidán 20. 06. 2024
  • 편집 : 장관 (김엽)
    디자인 : 차관 (박혜진)
    대본 보조 : 국장 (김민정)
    [참고 문헌]
    * 인용은 따로 본문에 각주로 표기합니다
    * 꺽쇠 괄호 표기X
    박지혜. (2015). 유교사상에 나타난 사회성 교육 고찰 -仁, 禮, 恕의 개념을 중심으로-. 열린교육연구, 23(2), 1-17.
    장승희. (2019). 유교 행복담론의 도덕교육적 함의. 윤리연구, 1(127), 1-28.
    유권종. (2000). 유교의 종교적 역할. 철학탐구, 12, 117-151.
    장동익. (2016). 덕 윤리, 유교 윤리 그리고 도덕 교육. 도덕윤리과교육,(51), 59-79.
    이일래. (2020). 의례문화의 변화와 공동체성: 유교적 관점에서. 한국학논집, 81, 29-60.
    민주식. (2016). 유교의 관점에서 본 한국미. 동양예술, 31, 129-156.
    이상호. (2022). 유교의 예악론(禮樂論)에 관한 연구. 윤리교육연구,(64), 1-32, dx.doi.org/10.18850/JEES.2022....
    김우진. (2018). 유교 상속의 공정성: 분재기를 중심으로. 퇴계학논집,(23), 491-512.
    이은선. (2015). 다른 유교, 다른 기독교. 양명학,(42), 235-276.
    임헌규. (2016). 유교에서 죽음의 의미 : 논어와 그와 연관된 栗谷의 해석을 중심으로. 온지논총,(47), 161-187.
    정미량. (2018). 한국 다문화 교육과 전통 유교 교육 문화의 접맥(接脈). 퇴계학논집, 23, 427-458.
    채석용. (2018). 유교 윤리의 성(聖)과 속(俗).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8(12), 477-491.
    김종만 and 김은기. (2020). 가치관을 통해 본 한국인의 문화적 정체성: 유교와 무교를 중심으로. 신학과 사회, 34(3), 193-235.
    김윤희. (2019). 근현대 유교담론 연구의 새로운 가능성 모색. 현대유럽철학연구, 53, 29-63.
    장복동. (2021). 유교윤리의 사회통합적 가능성과 한계. 공존의 인간학,(5), 7-46, 10.37524/HUCO.2021.02.5.7
    임영빈. (2023). 한국 종교 지형에서 유교 종교성이 미치는 영향. Asian Journal of Religion and Society, 11(1), 113-157.
    김도일. (2018). 유교 가족주의의 이중성. 철학, 135, 1-22, 10.18694/KJP.2018.05.135.1
    이권효. (2023). 매스미디어 뉴스에 나타난 유교의 인식과 이미지 연구. 양명학,(71), 245-279.
    양명수. (2024). 유교와 기독교 06 (마지막회) 유교와 기독교의 정치사상. 기독교사상, 782, 116-137.
    심도희. (2023). 유교 덕목을 통한 다문화사회의 통합윤리 연구. 동아인문학, 65, 473-495, 10.52639/JEAH.2023.12.65.473
    서욱수. (2023). AI 시대의 새로운 존재론과 교양교육의 텍스트 구성 - 한국 전통 사상과 유교 사상을 중심으로. 탐라문화,(73), 45-76.
    양명수. (2023). 유교와 기독교 01 유교, 고대 인문주의 철학. 기독교사상, 777, 173-191.
    이상민. (2023). 고려말 무위(無爲)의 이상정치 지향과 유교적 형정론. 한국사연구,(202), 121-155, 10.31791/JKH.2023.9.202.121
    조홍석. (2023). 조홍석의 ‘알아두면 쓸데 있는 유쾌한 상식 이야기’ : 조선 유교 사회…나이 서열? 오히려 없었다. 매경이코노미,, 80-80.
    우준호. (2016). 長幼有序의 意味에 대한 硏究. 중국학논총,(51), 207-233.
    김성실. (2022). 유교 고대 성왕론에 대한 재해석. 퇴계학논집,(31), 57-80.
    김순양. (2021). 유교적 가치관에 기초한 동양적 공공리더십에 관한 연구: 한고조(漢高祖) 유방(劉邦)을 중심으로. 한국공공관리학보, 35(4), 247-269.
    서욱수. (2022). 전환시대의 평민유교 Ⅱ - 박경리 『토지』 서희와 길상의 갈등과 화해의 메카니즘 -. 한국민족문화,(82), 187-214, 10.15299/jk.2022.7.82.187
    심도희. (2022).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유교의 ‘효’ 윤리 연구. 철학논총, 109, 281-294, 10.20433/jnkpa.2022.07.281
    김영미. (2022). 유교의 효제윤리와 경로사상, 그리고 노인복지. 동양문화연구, 37, 169-192.
    서정화. (2021). 유교의 禮學的 탐구를 통한 孝 사상 고찰. 민족문화연구,(93), 121-148.
    정동화. (2022). 조선시대 수묵회화의 유교적 이상세계 연구. 원불교사상과종교문화, 93, 259-296.
    신항수. (2022). 1970년대 유교 전통 인식과 충효 정책. 역사와 담론, 102, 51-87.
    문경득. (2022). ‘조선유학’과 ‘조선유교’ 표현의 개념사. 역사연구,(43), 13-53, 10.31552/jh.2022.01.43.13
    김경호. (2020). 한국사회의 ‘가족주의’ 담론과 ‘유교 가족주의’에 대한 성찰. 민족문화연구,(86), 391-413.
    김용흠. (2019). 유교 문화에 대한 오해와 이해. 내일을 여는 역사, 77, 163-173.
    김동일. (2019). 고전 유교 분배 정의관의 특징과 의미. 정치사상연구, 25(2), 142-161, 10.37248/krpt.2019.11.25.2.142
    채석용. (2020). 혈연중심의 유교 윤리와 진화심리학적 이타성. 초등도덕교육,(67), 347-387.
    전종윤. (2020). 유교문화에서의 주고받음의 문제 - 선물론으로 유교문화 재해석하기 -. 남도문화연구,(41), 7-50.
    신정근. (2020). 유교 경학의 전개와 현대적 방향 연구 『사고전서총목제요』의 ‘육변설’을 중심으로 . 동양철학연구,(103), 127-159.
    이상성. (2020). 한국고유사상과 유교(儒敎)의 습합(習合) Ⲻ 『삼국유사』와 『삼국사기』를 중심으로 Ⲻ. 한국철학논집,(64), 9-48.
    이용욱. (2020). 네트워크-공간의 탈유교이데올로기와 인문교육의 역할. 국어문학, 73, 113-141.
    이충한. (2020). 유교의 인간관과 사회정의 - 롤스의 정의의 원칙의 정당화 문제를 중심으로 -. 철학논총, 100, 163-184, 10.20433/jnkpa.2020.04.100.163
    이은봉. (2020). 일제에 의해 강압된 유교 문화 연구 - ‘교육칙어’, ‘호주제도’, ‘현모양처’를 중심으로. 인문학연구, 33, 205-231, 10.31323/SH.2020.06.33.08
    김충열. (2020). 정치적 필요와 윤리적 이상의 긴장 : 조선시대 유교정치사상사를 위한 분석틀의 모색. 한국정치학회보, 54(4), 167-191, 10.18854/kpsr.2020.54.4.007
    한재훈. (2020). 한국과 베트남의 유교 수용과 예교 시행 비교. 한국학(구 정신문화연구), 43(3), 193-234.
    차미란. (2020-10-23). 근대 개화기 서양 윤리학의 수용과 유교윤리의 변용: 1900년대 수신(修身) 교과서를 중심으로.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서울.
    서욱수. (2021). 전환시대의 평민유교. 철학연구,, 181-207, 10.20293/jokps.2021.158.181
    안승우. (2021). 노인고독사 문제에 대한 유교의 반성적 고찰 ― 유교경전 속 죽음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 동양철학연구,(108), 173-201, 10.17299/tsep..108.202111.173
    박기순. (1994). 유교에서 본 인간커뮤니케이션에 관한 일 고찰 : 모형정립적 접근. 한국언론학보,(31), 123-142.

Komentáře • 769

  • @NJT_BOOK
    @NJT_BOOK  Před měsícem +378

    불교 영상을 보고 오신 분은 아시겠지만 아가페와 공과 인은 분명히 다른 개념입니다. 다만, 그 본질이 추구하는 바가 같다는 의미에서 일치한다고 설명한 것이지요. 혹시라도 오해하실까봐 말씀 드립니다!
    ‘사랑’은 여러분이 아는 사랑이 맞지만, 늬앙스는 개개인에 따라 아주 쬐끔 다를 수도 있습니다. 에리히 프롬이 말하는 사랑과 유사한 개념인데요. ‘나에게도 열심히, 남에게도 열심히’ (충서) 정도로 이해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인과 예 또한 이해를 위해 딱 딱 칼 자르듯 정의 내렸는데요. 맥락에 따라 아주 미~묘한 차이가 있기에 다음 영상에서 조금 더 디테일하게 설명 드려볼까 합니다.
    사서 중에 가장 추천 드리는 책은 "논어"와 "중용"입니다. 사실 보통 세트로 묶어서 내놓기 때문에 편하게 읽으셔도 됩니다. 요번 영상에서도 시기에 맞게 공자의 가르침을 예로 구체화 시킨 "맹자"보다는, 공자에 초점을 맞추고 설명을 했습니다.
    참고로 유교는 아직 2편이나 남았습니다.. 이번 영상은 거대한 서막의 프롤로그랍니다!!

    • @user-rg6fd6zd8f
      @user-rg6fd6zd8f Před 9 dny +12

      이런 양질의 영상을 무료로 풀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tk2kn9bo5s
      @user-tk2kn9bo5s Před 9 dny +3

      에리히 프롬 책 읽고
      전권 사서 읽고있습니다..
      프롬을 알려주셔서 고맙습니다

    • @user-rj2tr8eu5i
      @user-rj2tr8eu5i Před 9 dny +2

      더있구나

    • @sw8331
      @sw8331 Před 9 dny +3

      근데 형 전에 언더테일 리뷰한 이후부터 캐릭터가 파란 후드를 입기 시작하네?

    • @user-mh7lm5jy8j
      @user-mh7lm5jy8j Před 8 dny +2

      사회공동체적 사랑이라 정의하면 근접하지 않을까요?

  • @user-ln2sg2ip2v
    @user-ln2sg2ip2v Před 9 dny +570

    사실 현대에서 욕먹는 꼰대기질은 유교와 공자에서 자기 입맛에 맞는것들만 발췌해서 좋을대로 써먹는것이라 깊게 파고들면 상당히 다르다는거 ㅋㅋㅋㅋ

    • @user-it1pk1lw9z
      @user-it1pk1lw9z Před 8 dny +2

      사랑해요♡

    • @qwerasdfpoiulkjh
      @qwerasdfpoiulkjh Před 7 dny +12

      그쵸 아마 중국이 명때 백성들을 좀 쉽게 다루려고 유교를 일부만 들여오거나 좀 바꿔서 들여왔던걸로 기억하네요

    • @kumarpandey216
      @kumarpandey216 Před 5 dny +37

      모든 종교가 똑같음.
      인용하는 사람 입맛에 맞는 부분만 확대 해석 인용해서 종교욕먹게 만듬.

    • @bitter_happy
      @bitter_happy Před 5 dny

      모든 종교 철학은 좀더 나은사람이 되자는 건데 윗대가리들이 아랫사람 부리려고 이용해 먹으려고 지들 맘대로 해석한거뿐임 ㅎㅎ

    • @dgi20907
      @dgi20907 Před 4 dny +2

      동의합니다. 그리고 기독교, 불교, 이슬람교, 힌두교 등 다른 종교들도 그런 면이 많다고 생각합니다.

  • @NoRaengs99
    @NoRaengs99 Před 9 dny +445

    “무례와 혐오와 경쟁과 분열과 비교와 나태와 허무의 달콤함에 길들지 말길, 의미와 무의미의 온갖 폭력을 이겨내고 하루하루를 온전히 경험하길, 그 끝에서 오래 기다리고 있는 낯선 나를 아무 아쉬움 없이 맞이하길 바랍니다.”
    “서로에게, 그리고 자신에게 친절하시길, 그리고 그 친절을 먼 미래의 우리에게 잘 전달해 주길 바랍니다“
    (허준이 교수의 서울대 졸업 축사)

    • @나루호도
      @나루호도 Před 9 dny +8

      올려드리자

    • @user-yc5es4mz3j
      @user-yc5es4mz3j Před 9 dny +8

      정말 명축사네요 😢😂😊

    • @MASTR_777
      @MASTR_777 Před 9 dny +4

      아름다운 말이네요

    • @user-mc9kh8qp2u
      @user-mc9kh8qp2u Před 9 dny +5

      레전드네요

    • @skim6650
      @skim6650 Před 8 dny +3

      ‘의미와 무의미의 온갖 폭력’ 은 어떤걸 의미하는걸까요 와닿지가 않네요 ㅜㅜ

  • @user-hi9td6le3b
    @user-hi9td6le3b Před 9 dny +553

    유교가 마음에 안들면, 공자를 혐오할 때가 아니라 공자를 다시 찾을 때야.

    • @numerugon_daisuki
      @numerugon_daisuki Před 9 dny +153

      우리가 생각하는 유교가 사실 창시자인 공자가 봤을 때 개거품 물고 쓰러지는 거였다는게 충격적입니다.

    • @essence_54
      @essence_54 Před 9 dny +15

      우와.. 정말 멋진 말이에요!

    • @CBRN-115
      @CBRN-115 Před 8 dny +33

      ​@@numerugon_daisuki 우리가 아는 유교는 성리학이고, 성리학은 주자가 만든걸로 아는데

    • @user-ih7sf2if9h
      @user-ih7sf2if9h Před 7 dny +24

      @@CBRN-115 잘 아시는듯하오이다.우리나라에서 유학이라하면 송나라 주희의 성리학을 말하는 것인데 유학은 성리학처럼 그리 폐쇄적이지만은 않은 학문이지요.
      주자가 공자의 정명사상을 후벼파면서 윤리학적 관점의 귀천,명분에 관한 분수론에 집착하면서 사림들이 지들의 이익이 되는 것에 치중하여 이리된 것이지요.

    • @mobinjul
      @mobinjul Před 4 dny +8

      공자는 중국인들이 무덤파서 두번죽여서 만날수가 없습니다😂

  • @jungankwak-tx1jq
    @jungankwak-tx1jq Před 9 dny +973

    이렇게 좋은 영상 공짜로 보면 안될 것 같아서 데이터라도 키고 봤습니다

    • @OW_sunema
      @OW_sunema Před 9 dny +72

      1달전에 멤버쉽 선공개 올라왔는데 그때 유료로 보시지

    • @MrAswer543
      @MrAswer543 Před 9 dny +372

      재주는 너진똑이 부렸는데 왜 돈은 통신사가... ㅋㅋㅋ

    • @user-iq7jf8hg3r
      @user-iq7jf8hg3r Před 9 dny +7

      ㅋㅋㅋㅋㅋㅋㅋ

    • @user-mz1lk9sg1q
      @user-mz1lk9sg1q Před 9 dny +15

      이게 무슨ㅋㅋㅋㅋㅋ

    • @essence_54
      @essence_54 Před 9 dny +24

      그게 무슨 소리예요ㅋㅎㅋㅎㅋㅎㅋㅎㅋㅎㅋㅎ

  • @cjdixjdnjsn334
    @cjdixjdnjsn334 Před 9 dny +315

    제가 존경하는 공자
    1. 그는 클럽(잔치집) 뺀치먹은적 있다.
    2. 그는 사생아에 서얼이었지만
    3. 현실을 극복하려는 극복의 아이콘이었다.
    4. 그의 직업은 지금으로 치면 "장례지도사"
    5. 애제자들이 그렇게 좋은 말로를 보내지는 못했다.
    6. 아이러니하게 조선의 유학자들은 서얼들을 차별했다.
    7. 공자아카데미의 커리큘럼의 핵심은 "취업"(장례.글.시.활쏘기.말타기.마차몰기)
    8. 진작에 크게 성공하는 대부가 될 수 있었지만
    9. 현실과 타협할 수 있는 능력이 있었지만 이상을 위해
    10. 상징을 위해 살았다.

    • @kimxyi.
      @kimxyi. Před 4 dny +2

      전 공자의 과즉물탄개 :군자는 허물을 벗는것을 두려워 말아야함을 가장 좋아합니다

    • @user-rw3bk6wp4m
      @user-rw3bk6wp4m Před 2 dny +5

      공자가 키 180cm의 헬창이었다는 것도 호감요소임

    • @cjdixjdnjsn334
      @cjdixjdnjsn334 Před 2 dny +1

      @@user-rw3bk6wp4m ㅎㅎ 헬창은 몰라도 피지컬로 이겨서 "자로"라는
      제자를 받은 실화가 있죠 ㅋ

    • @user-zv1ok5od1b
      @user-zv1ok5od1b Před dnem

      사생활이 아무리 좋아봐야 현실은 유교 추종한 국가들 싹 다 망하게한 맑스 하위호환 실패한 범부따리일 뿐임 ㅋㅋ

  • @haraoratsho
    @haraoratsho Před 9 dny +219

    유교에 관한 편견도 다 실재는 아님.
    1. 여자만 집안일 하는거? 애초에 산업화 초기 때 생긴 환상임. 가전제품이 없는 전근대에 집안일을 여자 혼자서 하는건 물리적으로 불가능함. 게다가 농본사회는 여자에게 생산활동을 쉬게해줄 정도로 노동력이 널널하지 않음. 평민 여성은 집안에서 끊임없이 배를 짜는 등 수공업품을 만들고, 경우에 따라 장사도 함. 사대부가에서는 남자가 관직생활 하느라 돌보지 못 하는 재산관리를 여자가 맡는 경우가 많았음.
    2. 제사 지내는거? 동아시아의 전통적인 관념에서는 제사=상속 이기 때문임. (내가 a에게 제사를 지낼 권리를 가졌다 = 내가 a의 재산에 대한 상속권을 가지고 있다) 이기 때문에 유교에서도 지내라고 한 것이지 굳이 상속제도가 뿌리째 뒤바뀐 현대에는 지낼 이유가 사라짐. 지금 우리가 지내고 있는 제사의 양식들도 전부 70년대 때 창작해서 만든 "만들어진 전통"일 뿐이고.

    • @wj8671
      @wj8671 Před 8 dny +2

      아닌거같은데

    • @user-kv4zl5xf8h
      @user-kv4zl5xf8h Před 8 dny +11

      @@wj8671 그럼 뭐같음?

    • @hjk658
      @hjk658 Před 8 dny +7

      ​@@wj8671 난 니가 아닌거 같은데?

    • @user-pq5qp5bi7t
      @user-pq5qp5bi7t Před 8 dny +40

      맞다고 생각함 논어 읽어보면 다 나오는데..
      제사를 하는 행위도 조상을 공경하는 마음만 강조하죠
      제사를 크게 치르는 것을 쓸데없는 낭비라고 말하고 귀신같은 것에 얽매이고 집착하지 말라고 강조합니다

    • @hy1913
      @hy1913 Před 8 dny

      지금이야 중화가 짱개의 상징이 되었지만, 그 당시에는 중화란 곧 세계의 중심이자 질서이자 정통이었음.
      그리고 명나라가 멸망한 후 조선이 숭정제의 제사를 지내면서, 소중화를 물려받았다고 주장했었고
      그만큼, 제사는 상속을 받을 수 있는 권리임. 근데, 구한말 여러모로 나라가 힘들어지면어 이것도 바뀐거고

  • @MASTR_777
    @MASTR_777 Před 9 dny +21

    결국 공자가 중요시한 건 진리를 향하는 마음이고, 본인도 명확한 진리를 제대로 설명하는 게 어렵다는 걸 아니까 그 뉘앙스라도 알 수 있게 상황에 맞춰 잘 설명해준 거 같은데... 후대 사람들이 통찰력을 빼먹고 제멋대로 해석하다 보니까 공자가 한 치 앞만 보는 사람으로만 그려졌나 보네요. 이렇게 보니 마음가짐만큼은 참으로 존경받기에 부족함이 없는 사상가로군요.

  • @user-nc4yy7bw3s
    @user-nc4yy7bw3s Před 9 dny +38

    본인에게 여유가 있다면 타인에게 여유를 베풀수도 있을거란 마음 그렇기에 더 많은 사람이 여유를 가질 사회와 세상을 만들어 주는것이 필요해보입니다

  • @user-xc3mf4bo6j
    @user-xc3mf4bo6j Před 9 dny +64

    유교도 그 시대에 필요한 이념이었던 것은 맞아요. 전 묵자가 그리 마음을 흔들더라구요. 2024년 기준으로도 촌스럽지 않은 이념들이 보여서요.

    • @user-xc3mf4bo6j
      @user-xc3mf4bo6j Před 9 dny +22

      그리고 모든 이념과 종교가 기득권의 권력강화의 필요에 의해 오염된 거 맞는 것도 동의합니다.

    • @user-gm4dq1yn7c
      @user-gm4dq1yn7c Před 9 dny +8

      ​@@user-xc3mf4bo6j 유교는 애초에 정권안정화 복고적 느낌이 있어서 기득권 강화논리가 좀 깔려있는듯

    • @user-eu7xh6xt5p
      @user-eu7xh6xt5p Před 9 dny +6

      전국시대 당시 백성들에게 사랑받던 진짜 스타는 "묵가"였습니다
      유가는 위아래 나누기좋아하는 기득권들이 좋아했죠

    • @user-gm4dq1yn7c
      @user-gm4dq1yn7c Před 9 dny +12

      @@user-eu7xh6xt5p 유교가 오염된거 보다는 유교의 태생이 신분질서 강화 황권강화와 관련이 있는듯함. 공자가 아마도 신분질서가 어지러워져서 난세가 생겼다고 생각한듯 자기가 황제되려고 전쟁한다 이리 생각하신듯

    • @user-eu7xh6xt5p
      @user-eu7xh6xt5p Před 9 dny +2

      @@user-gm4dq1yn7c 그냥 모순덩어리임
      물론 어느 철학자나 인간이기에 모순이 있을수밖에없지만 이 공자라는 양반은 그 모순의 강도가 좀 심함
      "삼년상"만 봐도 알수있음

  • @user-qn3zk1nq8r
    @user-qn3zk1nq8r Před 9 dny +16

    핵심은 유연함이지
    이럴수도 저럴수도 있고 한쪽에 치우쳐 괴물이 되기 보단 유연하고도 합리적인 마음으로 내 인생의 실리를 추구하는 것

  • @Qndcl
    @Qndcl Před 9 dny +6

    오늘도 좋은 영상 잘 봤습니다. 이런 좋은 내용이 2편이나 남았다니 행복합니다 고맙습니다.

  • @대한민국정부_뇌피셜

    퇴계 이황도 '시종' 이란 걸 말했습니다. 세상 사는 데로 시류에 따르라는 뜻입니다. 유교도 마찬가지죠. 하나하나 고집부릴 게 아니라 본질을 기억한 채 시류에 따라야 합니다.

  • @essence_54
    @essence_54 Před 9 dny +22

    너진똑님 채널은 영상 하나하나가 모여서 커다란 그림을 그리는 것 같아요. 말로 표현하기는 힘들지만 뭔가 서로 연결되어 있는 느낌이라 보면 볼 수록 감동이 진하게 느껴져요!

  • @user-hp1jv1db1t
    @user-hp1jv1db1t Před 9 dny +12

    한동안 뜸하다가 요세 영상 자주나오니 너무 좋습니다~~

  • @user-fo1wt9hq4p
    @user-fo1wt9hq4p Před měsícem +14

    항상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 @1D1R1NJT
    @1D1R1NJT Před měsícem +52

    너진똑이 말아주는 유교 넘 좋구요...포동포동 돼진똑 캐릭터도 너무 귀엽구요...

  • @user-tk6ei6yv9u
    @user-tk6ei6yv9u Před 9 dny +14

    세계에서 작동되고 있는 자연스러운 의식들을 항상 왜 그런지 그 이유를 대다수의 사람들이 고민하고 공부해서 깨닫는다면 얼마나 좋을까요.. 좋은 영상들을 통해 알기 어려운 지식들을 정제해서 그 본질을 쉽게 전달해준다는 역할을 해준다는게 항상 감사할 따름입니다! 앞으로도 좋은 영상 부탁드려요!

  • @UZin1010
    @UZin1010 Před 4 dny +1

    제작에 많은 노고가 드셨겠습니다. 훌륭한 콘텐츠 감사합니다. ❤❤❤

  • @cocophones
    @cocophones Před 3 dny

    제 의문을 한 번에 정리해주는 영상이네요
    영살 감사합니다❤
    다음 영상도 기대할게요🎉

  • @user-tz5np7hb1d
    @user-tz5np7hb1d Před měsícem +7

    언제나 잘 보고잇습니당!! 인생의 지침서 너진똑! 이번영상두 짱 ㅠ

  • @soap53007
    @soap53007 Před 2 dny +1

    설명을 위한 그림체며 설명을 하는 목소리며 설명의 주제이며 설명을 돕기 위한 유머까지 모든 것이 취향저격입니다. 너진똑 진짜 최고.

  • @Diagreen86
    @Diagreen86 Před měsícem +6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선댓후감 ^^7

  • @user-jh8pk2jk3b
    @user-jh8pk2jk3b Před 9 dny +3

    요즘 예가 부족한 시대인데 딱 좋은 시기에 이런 영상을 내다니!!역시 선생님!

  • @user-cx5jj3br2c
    @user-cx5jj3br2c Před měsícem +16

    유교를 마냥 배척할 때
    유교를 제대로 공부해서 해석해야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덮었던 사서삼경을 다시 펼쳐보아야겠어요...

    • @user-zv1ok5od1b
      @user-zv1ok5od1b Před 3 dny

      유교는 공산주의랑 비슷함. 이론상 맞는거 같은 내용도 있긴 한데 이상하게 현실에 적용해서 유교/공산주의 추종한 국가는 싹 다 망했거든 ㅋㅋㅋ

  • @knkh2349
    @knkh2349 Před 9 dny +2

    뭔일이야 요즘 다시 영상 올리는 거 너무 행복하다

  • @user-jh8pk2jk3b
    @user-jh8pk2jk3b Před 9 dny +4

    오늘도 잘보고갑니다~~

  • @leechanghyun
    @leechanghyun Před 7 dny +6

    영상 보면서 그리고 평소에 일상 중에 느끼는 것들이었는데 사회가 자기 입맛대로 고르고 그걸 오해하게 만들고 또 확대해석하거나 오해석하는데 도가 튼 느낌이네요...... 요즘같은 사회일수록 정말 인문학을 제대로 알아야할 때 같습니다...ㅎㅎㅎ 그러니 난 오늘도 책을 읽고 또 너진똑을 보지요 ㅎㅎㅎㅎㅎㅎㅎ

  • @user-kv3xy4ho9i
    @user-kv3xy4ho9i Před měsícem +2

    오늘 뭔가 영상 주기 상 나올거 같아서 존버 중이었는데 예측 성공!ㅋㅋ

  • @user-pg1wx4hf9f
    @user-pg1wx4hf9f Před 9 dny +13

    항상 잘보고 있습니다

  • @BigKokane
    @BigKokane Před 9 dny +8

    항상 좋은 영상 고마워용❤❤

  • @user-gy2dx5wr7d
    @user-gy2dx5wr7d Před 9 dny +14

    고등학교 윤리와사상 교육과정에서는 실질적인 문제풀이와 개념이해를 위해
    인을 내면적인 도덕성(을 포함한 4가지 특성)
    예를 인의 확장인 외면적인 사회 규범으로 서술하는데 공부하기 전에 이 영상을 보고 시작한다면 도움이 되겠네요. 악에 대한 내용도 생활과 윤리에 충분히 나오는 이야기고...
    고등학교 2,3학년 윤리선택자들이 들을 인강 내용을 재미있게 설명해주셔서 학생들이 공부할 때 도움이 될 것 같아요!

  • @hseomm
    @hseomm Před 8 dny +3

    오늘도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유교든 기독교든 불교든 어떤 사건이나 사고든 항상 그 본질보다 그걸가지고 본인 이득에 맞게 사용해서 문제가 되는 것 같네요
    저도 가끔 어떤 일을 정확히 보지못하고 누가 얘기하는 '그렇다더라'로 판단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번 영상보면서 반성하고 항상 본질을 보려고 노력해야겠습니다.

  • @dhfna
    @dhfna Před 9 dny +1

    오 매번 그랬지만 이번 주제는 특히 더 흥미롭습니다

  • @gradmonkey_kim
    @gradmonkey_kim Před měsícem +8

    갈 ㅋㅋㅋㅋ너무웃겨요 ㅋㅋ역시 유머를 곁들인 정보전달력..연출력과 기획력이 함께하는 너진똑님 ㅠ
    초창기보다 더 발전하시는거같아 많이 배웁니다. 꼭 현재의 위치가 높아서가 아니라요!! 늘 보면서 감탄하고 있어요
    오늘도 감사합니다ㅎㅎ본질!

  • @soorma00
    @soorma00 Před 9 dny +14

    서양에 트라시마코스 라는 소피스트가 있었는데 이분은 정의는 강자의 이익이다라고 주장하셨습니다. 이처럼 어떤 법이나 사상이든 지배층이 그것을 어떻게 이용하냐가 중요한 것 같습니다. 고려까지만 해도 남녀나 나이의 차별이 비교적 작았던 반면 조선에 들어오면서 부터 성리학적 세계관을 강하게 주장하며 차별이 심해진 것 처럼요.

    • @user-lt7zg7hh1c
      @user-lt7zg7hh1c Před 9 dny

      윤사러세요??

    • @soorma00
      @soorma00 Před 9 dny +1

      @@user-lt7zg7hh1c 윤사 솔직히 재밌잖아요.

    • @user-lt7zg7hh1c
      @user-lt7zg7hh1c Před 9 dny

      @@soorma00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user-xl5uf5ki2s
      @user-xl5uf5ki2s Před 8 dny +1

      보자마자 윤사 생각남 ㅋㅋㅋㅋㅋ 윤사 생윤같은 윤리부분은 호불호 심하더라

    • @soorma00
      @soorma00 Před 8 dny

      @@user-xl5uf5ki2s 극한의 암기과목인 만큼 호불호가 심한 것 같네요..

  • @jjhj2234
    @jjhj2234 Před 8 dny

    이번 영상도 넘 좋네요

  • @Hamster_Roar
    @Hamster_Roar Před měsícem +2

    좋은 영상 잘봤습니다

  • @user-jz1fo2hl8f
    @user-jz1fo2hl8f Před 7 dny

    잘보고있어요🔥🔥

  • @5분책방
    @5분책방 Před 2 dny

    영상 너무 잘 봤습니다 구독하고가요 !!

  • @chumeal
    @chumeal Před 3 dny

    영상 진짜 고퀄리티네요 ㄷㄷ

  • @lineY
    @lineY Před 9 dny

    오래 기다렸습니다!

  • @apfhs2013
    @apfhs2013 Před 9 dny +3

    이틀 연속 너진똑?!? 너무조아 선댓후감상

  • @CSWIM
    @CSWIM Před 5 dny

    맥락없이 문장만을 본다 거나 어떤 상황에서 과정없이 도출된 현상만을 보았을때 그 진정한 의미를 알 수 없음에도 우리들은 보고 느낀것이 전부라 생각하고 짧은 생각에 확신을 가지게 되는것 같습니다.. 불교 기독교등 종교를 막론하고 성인들의 말씀들의 그뜻을 이해하기 위해선 그때의 역사적 사실을 아는것도 중요한것 같다고 생각되네요... 또한 짧은 식견을 보강하고 건강한 사고를 위해서는 맥락을 이해하고 더 넓게 상황을 인지하게 도와줄 수 있는 독서도 참 중요할것 같습니다. 좋은 영상 잘 봤습니다! 다음편도 어서 나오길!

  • @tv-uu6sv
    @tv-uu6sv Před 9 dny

    영상 2일 간격으로 올리다니.. 감동 ㅜ

  • @enoziw8503
    @enoziw8503 Před 9 dny

    유교로 철학에 관심을 가지게 됐는데 너진똑 님이 유교 시리즈 만들어주셔서 너무 좋아요🥰

  • @dksshddl
    @dksshddl Před měsícem +1

    감사합니다!😊

  • @MagnetQ1
    @MagnetQ1 Před 8 dny +1

    좋은영상 감사합니다

  • @somrong210
    @somrong210 Před 8 dny +1

    항상 너무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user-zo1ut6nm6j
    @user-zo1ut6nm6j Před 8 dny +3

    전공이 유학쪽인데 재밌게 잘 보고 정리도 진짜 잘 되어있네요!!
    여담으로 왜곡된 이유를 하나 더 얹자면 유학!=성리학 이라는 점... 😂

  • @kim_milkuma
    @kim_milkuma Před 9 dny +1

    캬... 너진똑 업로드 ㅎㅎ 짱...!

  • @익명의-댓글러
    @익명의-댓글러 Před 9 dny +36

    오늘 올라올지 진짜 상상치도 못했다

  • @sinryuuisanagi3445
    @sinryuuisanagi3445 Před 8 dny +4

    지나가던 한문학도로서 정말 감명깊게 봤습니다.
    사실 논어 번역본 한편만 정독해봐도 우리 사회에서 흔히 '유교의 폐해'라고 여겨지는 것들 대부분이 공자가 제시한 이념과는 상당히 동떨어져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거든요. 시대적 상황과 맥락을 고려하면서 읽으면 더더욱 그렇구요.
    우리 사회에서 '유교의 폐해'란 유교가 수천년간 이어져 내려오는 과정에서 점점 왜곡되며 생겨난 문제점들입니다.
    악의적으로 왜곡하기도 하고, TPO를 고려하지 않고 일괄적으로 적용하기도 하고, 상황과 맥락을 고려하지 않고 문자 그대로의 의미로만 받아들이기도 했죠.
    주자가 말했듯 시대적 상황을 고려하고 그에 맞춰 알잘딱하게 적용할 수 있었으면 참 좋았겠지만 아쉽게도 지금의 우리사회는 전혀 그렇게 하지 못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공자가 현대에 있었으면 분명 예의범절을 들먹이는 이들에게 '갈!'했을 것이라는게 너무나 공감이 갑니다ㅋㅋㅋ

    • @user-zv1ok5od1b
      @user-zv1ok5od1b Před dnem

      이론상 그랬다고 아무리 우겨봐야 현실에서는 그렇게 적용됐는데 사실은 이랬다! 해봐야 실제 공산주의는 다르다~ 옘병떠는 21세기 빨갱이랑 다를게 뭐임? ㅋ 유교 국가들중에 그 폐혜대로 행동 안한 나라가 없는데 ㅋㅋ

  • @user-ed1vd1nb3b
    @user-ed1vd1nb3b Před 9 dny

    윤사를 공부하고 있는 사람으로써 너무너무너무너무너무 좋은 영상이네요😊😊

  • @high-seeker
    @high-seeker Před 7 dny

    잘쓰여진 서평을 영상으로 보는듯 하군요. 너진똑 님을 볼때마다 텍스트 만이 모든 정보를 담는 툴(tool)은 아니라는걸 깨닫습니다

  • @idealist_87
    @idealist_87 Před dnem +3

    시대를 따라가지 못한
    한국의 비틀어진 유교정신의 강요가
    유교탈레반이 되었죠 ㅎㅎㅎ
    언제나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user-rj5vi8pd1u
    @user-rj5vi8pd1u Před měsícem +2

    어떤 사상이나 종교도 정답이 될 수는 없군요. 상황에 맞춰 인에 어긋나지 않게 변화하는 게 중요한 것 같습니다. 정답은 없지만 정답에 가까운 본질은 있으니 거기에 맞춰 행동하는 것이 옳은 것일 수도 있고..아닐 수도 있고..그런데 이 상황에서는 이게 맞을 수도..아닐 수도...가 정답일수도...아닐수도...겠죠?
    개개인이 처한 상황에 맞춰 본인만의 인으로 나아가는 게 중요한 것 같습니다

  • @SELFTHINK88
    @SELFTHINK88 Před 5 dny

    도가도비상도 말로는 설명이 어려운 개념을 잘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gichae
    @gichae Před 9 dny

    이틀만에 영상이 하나 더..?
    오늘도 일용할 양식을 주셔서 대단히 감사드리옵니다...

  • @user-ol9kh8xp5o
    @user-ol9kh8xp5o Před 9 dny

    진짜 좋아요를 누를수 밖에 없다

  • @user-wh6yj6zo7s
    @user-wh6yj6zo7s Před 9 dny

    이건 못참지~

  • @campsite97
    @campsite97 Před 7 dny +2

    사담으로 인을 가장 강조했던 공자가 딱 한 번 인보다 상위의 개념이 있다고 말한 적이 있습니다. 그것은 성(聖)인데, 인은 개인적 차원의 것이라면, 성은 인을 사회적 차원으로 확대시킨 개념입니다.
    공자 스스로도 "난 성(聖) 같은 건 하지도 못 하고, 그런 건 요순시대 임금님들도 항상 고민하던 고인물의 경지다"하고 넘어감. - 논어 옹야 6-29

  • @user-kt1ob3hw8p
    @user-kt1ob3hw8p Před 8 dny +7

    지금같은 시대에 오히려 원시유학의 정신과 가르침이 재조명 되어야한다고 개인적으로 생각하는데 사람들은 이런얘길 꺼내면 부정적 혹은 꼰대 뉘앙스로 받아들이더라구요 제가 아직 공부하는 중이기도 한데다 말주변도 별로없고 말씀하신 것처럼 인이란 개념 자체가 딱 잡히게 설명하기 어렵기도 하다보니 그 사람들이 오해하는 걸 바로 잡아주는 게 뭔가 되게 답답했는데 이 영상이 도움이 될 것 같네요.^^

  • @Happu_guitarists
    @Happu_guitarists Před 9 dny +1

    형 목소리 너무 좋다❤

  • @user-hc2mh5lt5p
    @user-hc2mh5lt5p Před 5 dny

    나도 사람없이 예의만 있는 가식적인 세상이라 생각했는데.... 감사합니다 공자님 이제부터 반존대 츤데레 메타로 갈게용~

  • @jhong6043
    @jhong6043 Před 9 dny +3

    확실히 종교들은 일맥 상통하는 부분들이 있네요.
    유교의 인, 불교의 자비, 기독교의 사랑, 도교의 도, 원불교의 은혜 등등...

  • @hyd_jack
    @hyd_jack Před 9 dny +2

    이번 영상에서 공자의 인을 보고 생각을 해보니 아들러의 안전형, 사랑형 인간 중 사랑형 인간이 떠올랐습니다.
    그리고 꼬마비 작가님의 데우스 엑스 마키나도 같이요.
    사랑형 인간은 인과 말하는 것이 같은 결이라 느껴졌기 그랬지만 (8:44)
    데우스 엑스 마키나의 경우 "신의 행동일지라도 받아들이는 사람에 따라 여러가지 해석으로 나뉠 수 있기에 쉽게 설명하지 못하는 것" 때문에 그랬습니다.
    그렇기에 인을 정확히 이것이다 정의를 못한 이유도 이런 맥락이라 생각하니까 쉽게 이해가 되었습니다. (9:16)
    이렇게 동서양과 과거와 현재를 오가며 서로가 서로의 철학을 보완하고 연결되는 연결고리가 있으니 파고 들수록 더 재미있는 분야라고 생각합니다.
    그러니 독서... 해야겠지?
    (그리고 꼬마비님의 데우스 엑스 마키나도 추천 드리지만 시간되시면 전부 정주행해보세요.
    오만과 편견, 몬테크리스토 백작처럼 재미를 위해 작품성을 희생하지 않은 작가입니다.)

  • @user-gb7gv8su7g
    @user-gb7gv8su7g Před 9 dny +3

    공자의 유교에 대해 너무 많은 오해와 왜곡이 있는 것 같아요. 조금이라도 관심 가지고 알아보면 지금 시각으로 봐도 합리적이더라구요. 왜 이렇게 변질되었는지.

  • @yodalim5555
    @yodalim5555 Před 7 dny +1

    재밌고 유익한 영상 항상 감사합니다

  • @user-gq5mf8pv1f
    @user-gq5mf8pv1f Před 8 dny

    말은 고정되어 있다. 이 말 덕분에 이해되는 게 많아졌습니다.

  • @shlee3766
    @shlee3766 Před 4 dny

    항상고맙습니다

  • @SCLee-sh4sy
    @SCLee-sh4sy Před 9 dny +2

    그냥 인은 인간성이라 생각됩니다. 문학이던 철학이던 뭐든간에 인간성을 가지고 있는 누군가에게 해당되는 말이지 인간성을 상실하거나 포기한 그들에게는 아무리 얘기해봐야 소용없습니다. 모든 지식이던 뭐던 모른다는걸 앎에서 부터 시작되는거라는게 세상의
    진리라 생각합니다. 근데 그 앎이라는걸 포기하고 본성에 의해서만 살면 그게 인간이겠습니까. 지금 시대에 앎에 대해서 포기한 사람들이 과반을 넘어가면 점점 인간성에 대해서 다시 논해야되는 시점이 오는게 아닌가 두렵습니다.

  • @seungalpha
    @seungalpha Před 8 dny

    감사합니다!

  • @dnsqhd1217
    @dnsqhd1217 Před 9 dny +3

    좋다 🤩🤩

  • @user-hb5vm8en4k
    @user-hb5vm8en4k Před 9 dny +2

    와아아아아아앙😊

  • @user-rq1qd3oe3b
    @user-rq1qd3oe3b Před 8 dny +1

    공자는 인의 시작, 도덕성의 시작이 남의 고통에 공감하는 마음을 갖는 것이라고 했죠
    하지만 거기에서 멈추면 도덕성을 가졌다고 할 수 없습니다
    타인의 고통에 공감하는 마음을 느끼고 그 고통을 경감해 주기 위해 노력하는 행동을 하는 데까지 나아갔을 때 비로소 도덕성이 출발하였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공자는 인의 정확한 정의를 설명했다기보다, 인을 물어보는 제자 등의 성향과 환경, 맥락에 맞추어 대답한 겁니다.
    그 사람이 이해하기 더 쉽도록 말이에요..

  • @cjdixjdnjsn334
    @cjdixjdnjsn334 Před 9 dny +10

    공자와 제자들이 천하를 떠돌아다닐때 제자들이 공자를 믿지 못하고 수근거리는것 같아서 자신의 뜻을 알고 확인하고자 했던 일화
    제자들: 야 스승님이 뭐래?
    자로: 선생님이 "내가 무슨 잘못을 했길래 우리가 왜 이렇게 고생하는 것 같냐?"라고 해서
    "선생님 우리가 아직 부족해서 고생하는 것 같아요." 라고 하니깐 화내시던데.... 근데 백이? 숙제?가 누군데? 숙제 내신적있나?
    자공: ㅇㅋ 야 나와봐 ㅋㅋㅋ
    ...몇분뒤...
    자공: 아씨....
    제자들: 왜????왜???
    자공: 자로가 부족하다고 해서 ... 나는
    "세상사람들이 선생님의 내공이 너무 넘치시니까 조금 작게 가져가시는게 어떨까요?" 라고 했더니 현실과 타협할 놈, 게으른 놈이라고 하네 아놔....
    안회: ㅋㅋㅋㅋㅋ 바보들 이미 질문에 답이 다 있는데 뭘 그렇게 어렵게 생각해~
    ...몇분뒤...
    안회: ㅋㅋㅋ 바보들 선생님이 말하고 싶은건 "니들이 뭔데 나를 평가해?"이거야 선생님이 생각하는데로 답드렸더니 좋아하시더라
    제자들: 뭐라고 했는데?
    안회: 현실을 극복하는 것이 우리(군자)의 몫이지
    선생님의 가치를 인정받으려고 했다면 멍청한군주한테 진작에 받으셨을겁니다.
    그러니깐 "선생님은 세상의 가치로써 보다 선생님이 설정한 진정한 군자(리더)로서 시대를 초월하는 상징이 되어주세요." 라고 했지~ ㅋㅋㅋㅋㅋ
    #답정너 #편애 #선생님 화남 #우등생 안회
    이렇게 적어 놓고 보니깐
    자로는 과거, 자공은 현재, 안회는 미래로 상징되는 것 같습니다.

  • @yeowool423
    @yeowool423 Před měsícem +15

    오늘부로 너진똑지지를 철회한다
    오늘부터 지지관계에서 벗어나
    너진똑과 나는 한몸으로 일체가 된다
    너진똑에 대한 공격은 나에 대한 공격으로 간주한다
    세상에 70억 명의 너진똑 팬이 있다면, 나는 그들 중 한 명일 것이다.
    세상에 1억 명의 너진똑팬이 있다면, 나 또한 그들 중 한 명일 것이다.
    세상에 천만 명의 너진똑팬이 있다면, 나는 여전히 그들 중 한 명일 것이다.
    세상에 백 명의 너진똑팬이 있다면, 나는 아직도 그들 중 한 명일 것이다.
    세상에 한 명의 너진똑팬이 있다면, 그 사람은 아마도 나일 것이다.
    세상에 단 한 명의 너진똑팬도 없다면, 나는 그제서야 이 세상에 없는 것이다.
    너진똑, 나의 사랑.
    너진똑, 나의 빛.
    너진똑, 나의 어둠.
    너진똑, 나의 삶.
    너진똑, 나의 기쁨.
    너진똑, 나의 슬픔.
    너진똑, 나의 안식.
    너진똑, 나의 영혼.
    너진똑, 나.

  • @do0ee
    @do0ee Před měsícem +1

    아니..? 예상치 못한 타이밍에 치고들어오는 영상이라니?!?

  • @my_info
    @my_info Před 8 dny

    너진똑스러운 영상이네요 그렇죠 본질이 항상 중요하죠ㅎ

  • @GyuGyuSaeng
    @GyuGyuSaeng Před 8 dny +1

    상대방을 상식적으로만 대해도 인을 실천하는 것인데 상식이 무너진 대한민국, 멸망하는 것이 옳다. 인류는 옳은 방향으로 간다.

  • @user-ge9fj5kh6u
    @user-ge9fj5kh6u Před měsícem +2

    믿고보는 너진똑!!!

  • @user-oq2sw2xf2h
    @user-oq2sw2xf2h Před 7 dny

    진리를 깨달은것 같아요 인생을 행복하게 살려면 나를 너를 우리를 세상을 사랑해야 하는군요

  • @IJAEHO
    @IJAEHO Před 9 dny +2

    가톨릭에서 개신교로 넘어가면서 서양사회도 양심을 되게 중요시하는 사회풍조로 변해갔는데
    사실 유교의 그것도 양심을 중요시하는 통치체제라고 생각이 됩니다.
    각 사상의 개조(기독교는 예수, 유교는 공자)가 말씀하시고자 한 내용은 각자 맡은바 자기자리에서 최선을 다하는 자로써의 양심을 말한건 아닐까 싶기도 합니다.

  • @레비XD
    @레비XD Před 9 dny +2

    갈!@ 서로 사랑하라 정말 좋은 말이네요

  • @겸둥
    @겸둥 Před 8 dny

    볼진 모르겠지만 잘못눌러서 나감 나 구독 진짜 했따 추천감사 -_ㅜ;;

  • @manzzin20
    @manzzin20 Před měsícem +1

    갈 하는데 뭔가 스트레스가 내려가는 느낌❤

  • @jkh7712
    @jkh7712 Před 4 dny

    초반영상만 봤을때는 반론할 생각이었는데 중후반을 보면서 수그러들었네요.
    쉽게 생각해서 인은 마음이고 예는 행동이죠. 반복적인 행동은 곧 습관이 되고 마음이란 무의식에 각인되니까요.

  • @kgb8h5
    @kgb8h5 Před 9 dny +2

    석가모니 : 자신을 등불로 삼고 타인에개 의지해 나가지말라
    오로지 수행에 전념해라
    ???: 내가 미륵이다 관심법으로 보아히니 마구니가 끼었구나 마구니를 때려 즉여라
    예수: 타인을 사랑해라
    목사 : 나는 하느님의 선택을 받았디 내가 너를 사랑하니 너를 천국에 데려갈수 있다
    이래서 멍청한 인간들 권력자들에게 올바른 종교와 철학은 독임 그걸로 남을 죽이는 살인 도구로 이용함

  • @nogi5134
    @nogi5134 Před 4 dny

    외국 작가분이 했던 말이 더 공감되는 내용이네요. 자본주의의 전민사상과 유교의 안좋은 점만 남아있는 대한민국의 사회라는 말이 촌철살인으로 느껴졌는데 공감하시는 분들이 역시나 많네요. 우리가 몰랐다면 여전했을 시대지만 누군가 통렬히 비판했고 우리가 깨달았다면 점점 변해가는 시대를 맞이할 수도 있겠죠. 누군가는 힘들다고 헬조선이라고 말은 하겠지만 이상을 꿈꾸고 나아짐을 바라는 건 희망이니까요.

  • @user-ky3ol5qd4h
    @user-ky3ol5qd4h Před 9 dny +2

  • @user-qv6uq1jj3i
    @user-qv6uq1jj3i Před 9 dny

    항상 즐겨보고 있습니다.
    혹시 수레바퀴 아래서 는 영상제작 계획 있으신가요??

  • @jhrhew
    @jhrhew Před 9 hodinami

    측은지심이 인의 시작이듯이 성경에 하나님의 사랑은 엄마가 자식을 불쌍하게 여긴다는 뜻인 라캄 (출애굽기 34:6 - 자비, 긍휼)에서 시작하고 신약에 와서 주기도의 핵심인 "우리가 우리에게 죄지은 사람을 용서해준 것 같이"로 사랑할만한 사람 뿐 아니라 나에게 죄를 지은 사람을 불쌍하게 여겨 용서하는 사랑으로 이어집니다. 주기도와 짝을 이루는 일만 달란트 빚진 사람의 비유의 핵심은 "내가 너를 불쌍히 여긴 것 같이 너도 네 동료를 불쌍히 여기는 것이 마땅하지 아니하냐?"입니다 (마태복음 18:33)

  • @KT_WBWS
    @KT_WBWS Před 9 dny +2

    오오!

  • @user-HamyeonDoenda
    @user-HamyeonDoenda Před 8 dny

    성인들이 강조한 삶의 방식은 결국 표현이 달랐지만 본질은 같은것 같아요 기독교의 본질도 하나님을 사랑하고 네 이웃을 사랑하라 이고, 유교의 본질도 주변을 사랑하는 마음, 불교의 마음도 작은 것도 사랑하는 마음. 결국 우리가 지켜나가야 할 가치는 같네요!! ❤

  • @strokefrost7516
    @strokefrost7516 Před 9 dny

    설명 잘해주셨네

  • @rainj9807
    @rainj9807 Před 8 dny

    인에 대해서는 제갈건님의 관점에서 정리한 내용있죠. 살아있는 모든 것에 대한 존중하는 마음

  • @dasniel22
    @dasniel22 Před měsícem +1

    재밌당

  • @user-qq9km1vq4q
    @user-qq9km1vq4q Před 8 dny

    진짜 제 생각이랑 너무 비슷해서 놀랐어요...

  • @doyazi2301
    @doyazi2301 Před 8 dny

    영상 잘 봤습니다. stay 알잘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