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박해 보라고 l 전한길 한양대 강연 中

Sdílet
Vložit
  • čas přidán 23. 10. 2023
  • *기사 및 커뮤니티 등의 재가공 및 영상 재배포를 금합니다.
    한길쌤 저서 bit.ly/3N2ae1H
    한길쌤 인강 url.kr/sxmprq
    한길쌤 카페 url.kr/smwqof
    메가공무원 url.kr/i2blp5
    #한국사전한길 #메가공무원 #전한길

Komentáře • 3,3K

  • @sopia1737
    @sopia1737 Před 3 měsíci +467

    맞네요.
    제나이65세.
    지금와서 생각해보면 엄마가 쌀이 없어서 다음날 아침끼니거리걱정하는 이야기를 아버지와 함께 이야기를 나누는 이야기를 들었어요. 다음날 주장집에가서 쌀 1말 꾸어오고...
    그러면 이웃집 아주머니가 저희집으로 쌀꾸러오고 엄마는 발려온쌀 조금씩 나눠주고 그마저도 없을땐 엄마가 우리집도 쌀이 없다고 하시며 안타까워하시던 모습이 떠오르네요. 그당시 전 그게 얼마나 힘든지 잘몰랐어요
    그나마 그동네서 우리집은 나은편에 속했어요.
    저희는 그래도 쌀을 꾸어올수 있는데가 있었지만 그마저도 못하는 사람들은 하루 두끼만 밥먹고 낮엔 고구마 감자같은 구황식품으로 때웠습니다.
    지금와서 생각해보면 그때 저희집엔 아침마다 집에와서 설겆이해주는 동네 아주머니가 생각나네요.
    엄마가 괜찮다고 하는데도 이 아주머니가 오셔서 뭐 도울것이 옶나하며 소성거릴때 엄마가 아침상을 차려주시던 모습..어느날 이상해서 엄마한테 물어봤어요. 왜 저아줌마는 아침에 자기집에 할일도 많고 그런데 우리집에와서 일도와주려고 하냐니까 그집은 아침에 밥을 먹기가힘드니 저기집일 일짝하고 우리집에서 설겆이도와주고 밥먹는거라고요..
    제친구집에도 가보면 점심때 밥을 못먹는집이 대부분이었어요.
    친구들은 학교에서 무상으로 빵과 우유를 받는 친구들이 있었어요. 어린마음에 그 빵과 우유가 얼마나 먹고싶었는지...
    나중에야 알게되었습니다 그것은 집안형편이 어려운 아이들에게 쥰다눈것울요...
    그래서 저는 지금의 풍족한 생활을 누리고있는 대한민국에 살고 있는것에 너무 감사하며 살고 있습니다.
    사람들이 박정희 대통령을 독재자라 욕하지만 그분은 오로지 국민들이 굶주림에 허덕이지않고 잘살수있게 되길 바라며 나라사랑하신 경제개발로 나라를 부강하게 하신 공로는 대한민국 역대 대통령 중에선 체곱니다.
    세계 6개 대륙에 았는 여러나라를 가보았지만 지금은 7~80년대의 대한민국과 비교해서 제일 살기좋은 나라란걸 느끼고 있습니다.
    다른나라를 가보면 더 느낄수가 있습니다 우리나라가 얼마나 살기좋은지를..
    다유대한민국에 살고 있는것에 감사하며 살아야 합니다.

    • @user-sh8ye8qb8k
      @user-sh8ye8qb8k Před 3 měsíci +83

      절대빈곤을 없애준 국부이신 이승만대통령님과 박정희대통령님이 제대로 된 대우 받는 날이 오기를 바랍니다.

    • @nocturna31
      @nocturna31 Před 3 měsíci +53

      이 글에 눈물이 날려고 하네요.
      예전에 우리 조상들이 다 저렇게 사셨을텐데요...

    • @sjy4935
      @sjy4935 Před 3 měsíci +47

      격하게 공감합니다 그시대는 정말 깡보리밥에 김치도시락 정말 많았죠

    • @user-no9oy4hs3r
      @user-no9oy4hs3r Před 3 měsíci +42

      오십둘 입니다.밥은 안굶었지만 학교에 쓸돈이 없어서 그때마다 마을에 돈빌리러 다니시던 어머니가 생각납니다.

    • @jinu991
      @jinu991 Před 3 měsíci +29

      맞아요 해외여행 가서 며칠씩 지내보면 한국의 경제 안보 위상을 가늠할수 있고 옥토라는 사실도 실감할수 있죠. 유럽은 낡고 우중충해서 싫었고 태국갔다가 다시는 동남아로 여행 안가기로 했네요 덥고 더럽고 에휴

  • @changgookang3040
    @changgookang3040 Před 4 měsíci +513

    올해 마흔아홉에 두 아이의 아빱니다. 책읽기를 좋아해서 여러책들 많이 읽습니다. 그중 역사책이 제일 재미있습니다. 저도 아들에게 역사이야기 재미있게 해주는걸 좋아합니다. 그중에서 하는 이야기가 전한길 선생님이 하셨던 이야기들입니다. 우리가 지금 누리는 혜택들이 얼마나 행복한 것들인지...태양왕이라 불렸던 루이14도 치질 수술을 하려고 마취도 없이 날카로운 가위로 그걸 잘라내버립니다. 그리고 기절을 하죠. 왕이 치통을 앓으면 안된다고 생이빨을 다 뽑아버리고 피를 멈추게 하려고 입천장을 지지다가 입과 코가 뚫려버렸죠... 왕이 저정도였는데 일반 백성은 어땠을까? 초등학교 고학연 아들에게 말합니다. 당연코 말하는데 니가 루이 14세 왕보다 나은 삶을 살고 있다고 ... 하이퍼 리얼리즘 드라마를 한번 보는게 소원입니다. 조선시대왕은 일년에 4번정도 씻었을까 말까 합니다. 더러운 손으로 긁고 만지고 해서 온몸이 욕창에 고름투성이었지요. 마마라고 하는 천연두로 아이들은 5살도 되기전에 수없이 죽었습니다. 정약용 9남매중 6남매가 천연두로 죽었습니다. 상대적으로 태평성대였다고 하는 영조 즉위때 제주도에서 천연두로 제주도민의 50% 가량이 죽었을때도 있습니다. 요즘 드라마로 조선시대를 보니.. 저때도 살기 좋았다 싶겠지만.. 사실 인구의 반이 죽어나가면 밖에 나오면 처리하지 못한 시체들이 즐비하고 하루에 한끼를 못먹는건 당연한거고 온몸에 이와 빈대 벼룩이 들끓었고 인구가 많이 모여사는 4대문안 서울에는 온천지가 똥투성이였습니다. 지금 대한민국은 인류역사상 가장 행복하고 안전하고 깨끗한곳 맞습니다.
    힘든세상은 강한 남자를 만들고 강한 남자는 편리한 세상을 만들고 편리한 세상은 약한 남자를 만들고 약한 남자는 다시 힘든 세상을 만드는 순환이 된다고 스포츠 선수가 멘트하는걸 들은적이 있습니다. 지금 세상이 힘드니 어쩌니 헬조선이니 하는 이야기를 하는 사람들은 자신에 대해서 객관적으로 반성해볼 필요가 있을듯 합니다. 전한길 선생님의 저 열띤 목소리 너무 좋습니다.

    • @user-tj2ik4vf8w
      @user-tj2ik4vf8w Před 3 měsíci +38

      와~저도 저희 아이들에게 한길 샘처럼 님처럼 가르칩니다~
      태평성대에 사는 것을 감사해라
      전래동화 읽히면서 되새겨 줍니다~
      "이런 시대에 살 수 있을까?"😅

    • @user-sj6kf2tr1m
      @user-sj6kf2tr1m Před 3 měsíci +44

      힘든 세상은 강한남자를 만들고, 강한남자는 편리한 세상을 만들고, 편리한 세상은 약한남자를 만들고, 약한남자는 다시 힘든 세상을 만드는 순환구조가 있다?
      상당히 뼈 있는 말입니다. 뭔가 정신이 번쩍 드는 말입니다. 세상으로부터 가스라이팅을 심각하게 당해왔다는 느낌입니다. 현세가 힘든게 아니라 우리가 약해졌다는 것이 진실로 느껴집니다.

    • @frida-cn6wr
      @frida-cn6wr Před 3 měsíci +31

      나이드니 매순간 현재가 태평성대 대한민국에 살고있음에 기적이고 행복임을, 조상님들께, 국군장병님들께. 부모현제에게 감사드립니다.

    • @user-sh8ye8qb8k
      @user-sh8ye8qb8k Před 3 měsíci +1

      이게 다 운동권출신들의 언론 선동 때문이죠..
      그들은 절대로 북한인권과 빈곤에 대해선 한마디고 안하죠..

    • @hewhojo4548
      @hewhojo4548 Před 3 měsíci +28

      현 세대는 태평성대는 맞습니다.
      다만, 제가 걱정되는 것은 미래 세대들에게 못할 짓을 하고 갈까 봐 불안한 것입니다.
      하나, 현실은 보지 않고 이념에 치우쳐서 검증되지 않은 정책을 펴서 국력을 갉아먹는 정책을 펴는 나쁜 사람들을 경멸합니다.
      둘째, 표퓰리즘으로 우선 나부터 잘 살자며 미래세대에세 부채를 몽땅 안겨주는 나쁜 정치인과 어른들은 사라져야 합니다.. (그래서 어른을 공경하지 못하는 사회가 되었다고 생각됩니다)
      셋째, 인간의 기본 심성, 윤리, 미풍양속을 거스르는 행위들로써 소위 PC(정치적 올바름)이라는 사고를 통해서 수천년간 이뤄왔던 인류의 보편적인 가치관들이 잘못된 것으로 치부하는 이상한 사조를 너무빨리 받아들이고 있는 것입니다.
      넷째, 자신의 목적을 위해서는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 사회로서, 온갖 거짓과 미혹 그리고 조작을 통한 선동이 너무 많아서, 정보의 홍수속에서 오히려 제대로된 정보를 찾기 힘들어져서 왜곡된 사상을 통하여 사회를 혼란시키는 무리들이 목소리를 키워가면서 돈벌이 하는 잘못된 방향으로 빠져들었기 때문입니다..

  • @user-uz1kj3fl9w
    @user-uz1kj3fl9w Před 5 měsíci +353

    맞습니다!!
    젊은이들은 이 풍요의 시대가 그냥 주어진게 아닙니다.
    여러분들의 조부모세대, 부모님 세대가 피땀흘려 만든 자유 대한민국입니다.
    잊지맙시다!!

    • @ZZABARI
      @ZZABARI Před měsícem +1

      원래 역사 발전과 사회 개혁의 원동력은 상대적 고통에 의한 거요... 전한길 같은 사람의 논리는 기득권들이 개돼지들 착취할 때 이용하는거요.. 비관적으로 사는 건 잘못된 거지만 비판적 사고를 가지고 살아야 하는거요...

    • @user-nq5oo2sg7i
      @user-nq5oo2sg7i Před měsícem +3

      ​@@ZZABARI이게 맞지 ㅋㅋㅋㅋㅋ그냥 다 라떼로 공격할 수 있음 ㅋㅋㅋㅋ과거와 비교해서 니들은 좋을때 태어난거야 이러는데 어쩌라는거임 이 말하는 사람들도 지금보다 더 나은 미래를 원하고 꿈꾸며 더 나은 세계를 후손들한테 물려줘놓곤 나이먹고 왜 젊은이들한테 니들은 좋을때 태어난거야 이러는지 지금 좋은거에 안주하지말고 더 나은 삶을 요구하고 투쟁하라고 가르쳐야지ㅋㅋ

    • @RANDYORTON-mc4yn
      @RANDYORTON-mc4yn Před měsícem

      작은 것에 감사하는 건 중요하지만 밑에만 바라보고 더 나아질 생각을 안하면 빠르게 변화하는 현대사회에서 도태되기 딱 좋음

  • @hofmanjj74
    @hofmanjj74 Před 5 měsíci +309

    50살입니다...시대의 이데올로기를 격었다면 격은 나이 입니다...태평성대...좋은 시대임은 틀림 없네요...비교하지말고 자신에게 떳떳하게 생활하시면 될것입니다

    • @ZZABARI
      @ZZABARI Před měsícem

      원래 역사 발전과 사회 개혁의 원동력은 상대적 고통에 의한 거요... 전한길 같은 사람의 논리는 기득권들이 개돼지들 착취할 때 이용하는거요.. 비관적으로 사는 건 잘못된 거지만 비판적 사고를 가지고 살아야 하는거요...

    • @user-zu5zj4lz4q
      @user-zu5zj4lz4q Před měsícem +2

      @@ZZABARI 그렇게 보면 그럴수도 있으나 우리조부모와 부모들 세대가 일제강점기와 6.25전쟁, 산업화를 거쳐오시는 동안 그리 고생하시면서 이만큼 좋은 세상을 물려주었다고 생각하면서 그분들께 감사와 긍정적 생각을 가지고 살자는 의미도 있다고 봅니다. 어른들에게 감사할 줄 모르며 늙은이라고 조롱하고 비하하며 낭비하는 세대가 될지 말자는 의미도 있지 않나 봅니다. 재앙으로 다가오는 기후환경을 보면서 인간의 욕심과 낭비들이 만들어낸 결과라는 점을 철저하게 반성할 필요도 있다고 보입니다.

    • @user-cg4pc6ol7i
      @user-cg4pc6ol7i Před měsícem +1

      기득권이 세력을 지키기 위해 안정감을 주려한다. 예 사회주의에 빠져 있으신 건 알겠으나 본인은 논리학 공부부터 하시길 바랍니다. 비판적 사고를 가지는 것은교육과 가치관의 문제인데 그것이 지금이 살기 좋은 시대임을 부정하는 명제와는 인과가 없습니다. 비판적 사고 매우 중요합니다. 입법기관에 범죄자들이 득실거리고, 경제학, 과학, 역사, 모든 인류 발전의 산물을 무시한체 자신의 경제학이 맞다는 포퓰리스트를 걸러낼 때 필요하죠. 본인 스스로의 발전을 도모할 때 본인 스스로에게도 필요한 것입니다. 물론 본인의 가치관을 짐작컨대 이 구조를 뒤집어 엎을 메시아를 기다리기에 들리지 않을 수도 있지만, 꿈 깨시기 바랍니다. 1퍼센트를 위한 모두의 희생? 구조를 직시하도록 계몽? 소비의 자유만 존재? 자유를 가장한 타자노동? 저도 공부해봤습니다. 학문적으로 말이죠. 그런데 치명적 오류가 있다는 건 아마 본인 눈에는 안 보일 겁니다. 그건 인간세상의 구조를 바꾸겠다고 민중들을 이끄는 자 또한 인간이며, 프롤레타리아의 해방을 외치며 부르주아를 타파하는게 결국엔 모두가 누리는 삶의 질을 극도로 저하시키는 시발점이라는 것을 우리는 역사적으로 경험했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당신은 스스로를 깨어있다고 하지만 당신 또한 인간이며 벗어날 수 없는 세상에서 기득권 기득권 거리며 인생을 허비하는 것으로 비치는 것은 왜일지 생각해보십시오.

    • @hofmanjj74
      @hofmanjj74 Před měsícem

      @@user-cg4pc6ol7i 뭔 말인지...??? 쩝!!!

    • @csj8943
      @csj8943 Před 20 dny

      그 50대가 북한 찬양하는 좌파성향이 가장 강하다는 아이러니

  • @user-mo3ci6fs7e
    @user-mo3ci6fs7e Před 3 měsíci +324

    아버지께서 74 이신데 30~ 35살 때까지도 배고프게 살았다고 하셨어요.
    밥먹을수 있으면 열심히 살으라고 하셔요 늘. 비교 하지말고 달려가라고

    • @user-ci9cl2jc8c
      @user-ci9cl2jc8c Před 3 měsíci +15

      저희 아버지랑 동갑. 노력, 성실, 열정 말씀하셨죠. 한양대 학사석사박사 나와서 그래도 부모님 말씀 되새기며 제 분야에서 잘살고 있습니다❤

    • @user-zl2kj2jn7i
      @user-zl2kj2jn7i Před 3 měsíci +13

      훌륭한 부모님을 모시고 있군요~😊

    • @akekskf
      @akekskf Před 3 měsíci +7

      제가 올해 환갑인데 굶주림 세대와 풍요 세대 둘 다 겪었습니다.
      초딩 때는 보릿쌀도 부족해 늘 배 고팠고 깜장 고무신 신고 호롱불로 공부를 했습니다.
      그러다가 80년대 초부터 피부로 느낄 정도로 삶이 풍요로와졌습니다.
      역설적이게도 경제는 박정희 시대에 씨앗을 심었고 전두환 시대에 꽃이 만개했습니다.
      고딩 때 Reader's Digest라는 책을 보면서 미국의 삶을 엄청 동경했는데 그 모든 것 몇
      배 이상을 지금 제가 소유하고 있습니다.
      나른한 풍요로움이라고 할까요?
      인생의 불행은 비교에서 비롯된다고 봅니다.

    • @ymku-yu1im
      @ymku-yu1im Před měsícem +1

      글죠 대한민국 전국민이 끼니를 굶지않은게 불과 85년도 부터임
      40년도채 안됐읍니다 그리고저의 부모세데들은 한집안에 자녀가2~3명은 즉.저의 형제들이 그렇게 많이죽었죠
      저의어린시절은 미군만보면늘 원달러원기버민이라고했읍니다누가 갈쳐준것도아닌데
      위에형들이글케하니까
      저도따라
      배가고파 그랬죠

  • @park5999
    @park5999 Před 5 měsíci +825

    '북한가봐라' 이 한마디로 모든게 설명가능

    • @user-gq4or2lt5q
      @user-gq4or2lt5q Před 5 měsíci +17

      북한이야기 하는게 ㅈㄴ 멍청한거지

    • @user-tz5kh3qz9y
      @user-tz5kh3qz9y Před 4 měsíci

      ​@@user-gq4or2lt5q 몰 멍청해. 북한 가라고 그럼 ㅋㅋㅋㅋ

    • @B1UUUEEE
      @B1UUUEEE Před 4 měsíci +33

      @@user-gq4or2lt5q와 똑똑하시네여 ㄷㄷ

    • @bklee4637
      @bklee4637 Před 3 měsíci +94

      그럼에도 북한을 흠모하시는 분들도 많죠

    • @honeylee7022
      @honeylee7022 Před 3 měsíci +7

      @@B1UUUEEEㅋㅋㅋ

  • @user-wj2xx2xe1w
    @user-wj2xx2xe1w Před 3 měsíci +196

    난 애 낳았을때 골반에 걸려서 죽다 살아나서 감사해고 운전하고 집에올때마다 감사가 절로 나옵니다 기름 한방울 없는 한국에서 출퇴근 편히 할수 있는 이나라가 넘 감사합니다

  • @andontstop
    @andontstop Před 4 měsíci +176

    한국이 유독 사람들 욕심이 많아서 우울감을 느낀다고 봐요. 돈을 벌어도 많은 욕심 때문에 즐기지 못하고 우울해 하는거 같어요. 연말 크리스마스 분위기 없어진 이유는 매일 연말 분위기 내며 살았기 때문이에요. 인간의 욕심을 버려야 행복이 올겁니다

    • @user-zl2kj2jn7i
      @user-zl2kj2jn7i Před 3 měsíci +14

      맞아요 유럽 가보면
      우리나라보다 생활수준 낮아도 너무나 평화로워요
      자연을 즐기며
      비싼옷 명품백으로 치장하지 않아도
      멋스러워요

    • @jinu991
      @jinu991 Před 3 měsíci

      욕심이란것도 전선생이 강조하는 비교의식 때문인것 같은데, 조선 오백년간 80%였던 상놈과 노비의 DNA가 잠재해 있기 때문 아닐까요. 대를 이어 양반이 될수없는 신분제가 사람을 우울하고 비참하게 만들어 한이 되고 희망이 없다가 산업화 후로 기본적 삶은 유지되나 차상위 삶을 추구하기가 구조적으로 힘드니까 비교와 욕심이 앞서고 좌절과 반목이 팽배해지는 그래서 좌익적 사상에 쉽게 빠져드는것 아닌지요

    • @sjy4935
      @sjy4935 Před 3 měsíci +9

      없어도 가난해도우리나라가 난 너무 좋습니다 지금의 대한민국이 너무너무좋습니다

    • @user-dr1gt1uf5b
      @user-dr1gt1uf5b Před 27 dny +1

      우리나라 최고지 이땅에태난걸감사한다

    • @andontstop
      @andontstop Před 27 dny

      @@user-dr1gt1uf5b 긍정적인건 좋은데...태어난것 까지는 오버지요...

  • @user-od2xi2jn1g
    @user-od2xi2jn1g Před 7 měsíci +170

    진짜 대한민국 힘들다 해도 외국한번만 가보면 절실히느낌.....이게 현실팩트 ... 우리나라는 개쩌는 나라구나 ...

  • @user-fx8tu3fl4m
    @user-fx8tu3fl4m Před 4 měsíci +130

    제 마음속에 있는 모든 것을 강의 하심 감사합니다 젊은이들이 용기와. 폭 넓은 앞날이 있기를 응원합니다

  • @KccHO99
    @KccHO99 Před 5 měsíci +282

    "한국이 싫으면 중국이나 북한으로 가라"
    정작 이말듣는 당사자들은 대부분이 중국 북한발 사이버공작원일 확률 100퍼라 공감을 못함 ㅋㅋ

  • @cathymin8437
    @cathymin8437 Před 3 měsíci +98

    구구절절 맞는말씀에 감탄입니다.
    감사합니다.

  • @user-nl9vf1kw6x
    @user-nl9vf1kw6x Před 5 měsíci +132

    명강의
    울 아버지께서도 그러셨어요
    #우리나라가 이렇게 잘먹고 잘산지 얼마되지않았어#

    • @ZZABARI
      @ZZABARI Před měsícem

      원래 역사 발전과 사회 개혁의 원동력은 상대적 고통에 의한 거요... 전한길 같은 사람의 논리는 기득권들이 개돼지들 착취할 때 이용하는거요.. 비관적으로 사는 건 잘못된 거지만 비판적 사고를 가지고 살아야 하는거요...

  • @mls1123
    @mls1123 Před 3 měsíci +66

    50대인데 나 열몇살 중학생 까지도 퍼세식 화장실을 썼고 (주거형태가 아파트가 생기면서 수세식 화장실로 바뀌었다 그래서 한국인들이 아파트 아파트 하는거다 80년대에도 주택들은 거의 마당 구석에 퍼세식. 화장실 따로 있었다
    )빨래를 하러 동네 냇가로 갔고. 소금으로 양치하고 (치약이 귀해서) 목욕은 겨울엔 한번정도 큰 다라이에 물. 끓여서 힘들게 했다 누구나 할것 없이 다들 머리에 이가 많았다.
    두시간 거리 무거운 책가방 들고 걸어서 학교를 갔고 휴지가 없어 헌책으로 화장실 뒤처리를 했고, 겨울이면 형제자매 할것 없이 산에 땔감 나무 주우러 다녔다.
    부엌에 석유 곤로도 이쯤에서 등장 한것 같다. 동네에 2대 있는 티비가 우리 집에 있었는데 밤마다 동네 아줌마 아져씨 열명넘게 매일 오셔서 티비 보고 갔다 시내로 가는 도로도 흙길이었는데 내가 중학교 다닐때 아스팔트 공사를 하는걸 직접 봤다
    전화기. 동네에 한대 정도 있었다 중1때 사람이 전화기에 대고 말하는걸 처음 본 나는 웃으워서 죽을것 처럼 웃었다 혼자 뭐라고 중얼중얼 하는데 진짜 웃긴 장면이었다
    시대가 정말 많이 바뀌었다
    태평성대가 맞다

    • @ZZABARI
      @ZZABARI Před měsícem

      원래 역사 발전과 사회 개혁의 원동력은 상대적 고통에 의한 거요... 전한길 같은 사람의 논리는 기득권들이 개돼지들 착취할 때 이용하는거요.. 비관적으로 사는 건 잘못된 거지만 비판적 사고를 가지고 살아야 하는거요...

  • @user-qk1ec5xh6x
    @user-qk1ec5xh6x Před 5 měsíci +167

    한국의 욕은 참 맛깔난다 말이지
    거기에다 깨달음의 진리까지 덧붙이니
    이분은 진정 참 스승님

    • @user-po7vy4vm2v
      @user-po7vy4vm2v Před 2 měsíci +1

      전한길 뭇지다 강연 보고싶어요 부산은 언제 오시남요~

    • @ZZABARI
      @ZZABARI Před měsícem

      원래 역사 발전과 사회 개혁의 원동력은 상대적 고통에 의한 거요... 전한길 같은 사람의 논리는 기득권들이 개돼지들 착취할 때 이용하는거요.. 비관적으로 사는 건 잘못된 거지만 비판적 사고를 가지고 살아야 하는거요...

    • @user-qk1ec5xh6x
      @user-qk1ec5xh6x Před měsícem +1

      @@ZZABARI 네 비판적 사고를 해야 발전이 있지요 모든걸 만족하면 정체되다가 후퇴하겠지요 근데 선생님말의 요지는 요즘 젊은이들 다수가 비판적 사고에 빠져 비관하는 삶을 사니까 그걸 깨뜨리려 하는 말이요
      현실은 이렇다고...충분히 행복하게 살수 있는 조건이라고...

  • @user-qr8kd7gk8r
    @user-qr8kd7gk8r Před 5 měsíci +132

    하나같이 맞는 말씀이고
    내가 젊은이들에게 해주고 싶은 말^^

    • @ZZABARI
      @ZZABARI Před měsícem +1

      원래 역사 발전과 사회 개혁의 원동력은 상대적 고통에 의한 거요... 전한길 같은 사람의 논리는 기득권들이 개돼지들 착취할 때 이용하는거요.. 비관적으로 사는 건 잘못된 거지만 비판적 사고를 가지고 살아야 하는거요...

  • @user-xu5kf3ui3c
    @user-xu5kf3ui3c Před 5 měsíci +111

    전한길쌤 최고 들어도 너무멋짐 웃음도나오고 너무나좋은말씀 멋지고존경스럽네요

  • @user-vo4co8yg3y
    @user-vo4co8yg3y Před 3 měsíci +55

    전한길 선생님은
    대한민국 최고의 자존감을
    가지신 분이십니다.

  • @user-pe1le8tb1f
    @user-pe1le8tb1f Před 5 měsíci +100

    맞습니다. 지금 이시대가 세상이 생겨난 이후로 최고로 좋을때입니다. 아! 감사하다😊

  • @user-xq4tr1hk3b
    @user-xq4tr1hk3b Před 5 měsíci +142

    전한길 선생님 고맙습니다

  • @user-uz8ok9uc9e
    @user-uz8ok9uc9e Před 5 měsíci +42

    참 주 옥같은 말이다 . 행복은 가까이 있지만 그것을 모르고 또다른 행복을 위해 평생을 허비하다 그것을 알때되면 죽는다

  • @ghlee7979
    @ghlee7979 Před 5 měsíci +145

    전부 다 옳은 말씀이다!!!! 한반도 역사상 가장 찬란한 시대가 지금이다.

    • @user-qh1do7nk5c
      @user-qh1do7nk5c Před 2 měsíci +1

      대한민국이 군주제인가요?
      무슨 태평성대입니까ㅡㅡ

    • @ZZABARI
      @ZZABARI Před měsícem

      원래 역사 발전과 사회 개혁의 원동력은 상대적 고통에 의한 거요... 전한길 같은 사람의 논리는 기득권들이 개돼지들 착취할 때 이용하는거요.. 비관적으로 사는 건 잘못된 거지만 비판적 사고를 가지고 살아야 하는거요...

  • @user-ub8fn8xd2y
    @user-ub8fn8xd2y Před 3 měsíci +17

    국민학교 6학년 마지막 소풍에서
    다른친구들은 김밥에 삶은계란 병에든 칠성사이다 등 먹거리 가지고 오는데
    나는 도시락 열어보니 간장에 비벼놓은밥 ᆢ 계란이고 사이다고 아무것도 없이 간장비빔밥을 그대로 가지고 집에와서 엄마에게 화냇던일 ᆢ 가난해서 끼니 걱정을 해야 햇던 그시절 ᆢ
    지금 이시대를 누리고 살수 있었던건 70-80년대 아버지 어머니들의 피땀어린 노력 덕분이거늘 6-70대분들을 꼰대 노땅이라 칭하는 슬픈 현실 ᆢ
    걱정입니다
    우리 아버지 세대는 자신들은 가난하고 못먹고 못배워도 자식들은 지금처럼 살게 초석을 다져 주신분들인데 우리세대에 세금 잔치로 나라빚이 갈수록 많아지니 다음세대들이 얼마나 힘들까요 ᆢ 부디 현재 표몰이에 열중 말고 국가 백년을 내다보는 혜안으로 정치를 해주길 정치인들에게 바랍니다

    • @user-xj2qn5df4c
      @user-xj2qn5df4c Před měsícem

      1년에 한번있는 소풍때 김밥 못 싸온애들 놀림당하고 했죠... 씁씁하네요 아직도

    • @user-zk1cr8vc8f
      @user-zk1cr8vc8f Před měsícem

      저는 도시락 자체가 없었습니다 ,ㅠㅠ

  • @user-ej3wp5gj3t
    @user-ej3wp5gj3t Před 5 měsíci +63

    1000%공감합니다 ❤

  • @user-ut2ij7mq5d
    @user-ut2ij7mq5d Před 3 měsíci +12

    고맙습니다.
    새로운 정치가 필요한 때입니다.
    새로운가치와 패러다임으로
    더 좋은세대를 위한 행복한 세상을 열고 만들고 펼쳐 이끌겠습니다.
    올해도 강건하시고 역동적인 삶 이어가시길 기원하오며,
    소원하시는 일들 모두 이루는
    행복한 한 해가 되시길 기원합니다.
    대한국 국민행복당 수석대표 최영준
    대한국 국민행복당의 후신인 "국민 대통합당"에서 여러분을 기다리겠습니다.
    보수 대통합은 "국민 대통합"에 있습니다.
    국민의 힘, 우리공화당. 자유통일당, 자유민주당 등 모든 우파 정당들이여
    진정한 자유대한국의 "국민대통합"을 이루고져 한다면
    그대들은 아래의 정당에게 응답하라~!
    "국민대통합당"*
    여의도 "국민대통합당" - 중앙보훈회관 504호에서
    더 좋은 세대를 위하여 새롭고 신선한 자유대한의 [우파]정당으로서 가치를 들어보라~!
    여의도 "국민대통합당" - 중앙보훈회관 504호에서는
    진정한 자유대한을 사랑하는 우파만 받습니다.
    자유대한국 의 가치를 좀 먹거나 파괴나 테러를 자행하는 것을 추종하는 종북좌파 보안법폐지를 주장하는 세력 좌편향운동권 그리고 노동계 종교계 학계 법조계 언론계 좌편향 부정선거 획책 선관위세력 위법탄핵 부정선거 국회의원의 영속과 특권주장 세력, 종교 기타 등등으로 갈라치기 하면서 이 자유대한의 정통과 이념 가치체계를 파괴하려는 쓰레기 벌레 혹세무민하는 세력들을 배격합니다.
    진정한 자유대한을 위하여 참신한 분들과 함께 더 좋은 세대를 위하여 행복한 세상을 열어 갈 것입니다.
    대한국 국민행복당의 후신인 "국민 대통합당"에서 여러분을 기다리겠습니다.
    이의 뜻에 동의하시는 분들은 편안하게 아래로 공감의 메시지 바랍니다.
    010-6582-5707
    010-5807-8535
    010-8473-1009

    • @user-zk1cr8vc8f
      @user-zk1cr8vc8f Před měsícem

      정치에 이용하지 마세요

    • @inheekang297
      @inheekang297 Před měsícem

      새로운 당 이 절실히필요한건 사실입니다
      국민의힘은
      제대로 우파가 아닌 잡탕이니ㅠㅠ

  • @user-zj9du6nx8y
    @user-zj9du6nx8y Před 5 měsíci +41

    개씹인정
    좋은말씀 감사합니다
    긍정적 마음가짐으로 뜻깊게
    살아 나아가보겠습니다♡

  • @user-cf3ke5yp9s
    @user-cf3ke5yp9s Před 3 měsíci +31

    최고이시고 ~앞으로 계속 이나라 깨우쳐주세요

  • @user-kz4mj4lc2t
    @user-kz4mj4lc2t Před 3 měsíci +39

    즈음 사람들은 절대빈곤이 어떤 건지 체감은 두고 상상조차도 되지 않을 것 같습다. 전한길님의 역사강의에는 늘 객관적인 시대 상황을 반영시켜주셔서 60년대를 되돌아보게 됩니다. 전 선생님의 열강 들으면 속이 펑 뚫리는 느낌~ 감사드립니다

    • @ZZABARI
      @ZZABARI Před měsícem

      원래 역사 발전과 사회 개혁의 원동력은 상대적 고통에 의한 거요... 전한길 같은 사람의 논리는 기득권들이 개돼지들 착취할 때 이용하는거요.. 비관적으로 사는 건 잘못된 거지만 비판적 사고를 가지고 살아야 하는거요...

  • @user-gf8kg4wn1o
    @user-gf8kg4wn1o Před 3 měsíci +64

    70년대...국민학교 나닐때 어머님 쌀집에서 일용할 쌀을 사시는대 "봉지쌀"을 사시다 밥짖고 하셨다.일주일에 한두끼는 일주일간 모아둔 누룽지를 끓여 먹었고...나이 60이 넘었지만 아직도 싫어하는 음식은 "수제비"다...일주일에 두세끼 맛없는 멸치국물에 밀가루수제비 끓여먹어서다.
    그때 집에 쌀 한포만 있어도 굻지않는다는 행복감...
    누가 뭐래도 지금은 "밥은 굻지않아" 좋다...

    • @user-jo4yo7uz4v
      @user-jo4yo7uz4v Před 2 měsíci +3

      연탄을 양손에 한장씩 새끼꼬아 가운데로 넣어 고정시켜 사러다님 ㅋㅋㅋ 그래도 좋은시대였다생각함 한창 대한민국이 좋아지던시기

    • @ZZABARI
      @ZZABARI Před měsícem

      원래 역사 발전과 사회 개혁의 원동력은 상대적 고통에 의한 거요... 전한길 같은 사람의 논리는 기득권들이 개돼지들 착취할 때 이용하는거요.. 비관적으로 사는 건 잘못된 거지만 비판적 사고를 가지고 살아야 하는거요...

    • @user-ih1my2nd1l
      @user-ih1my2nd1l Před měsícem

      70년대 수제 지긋지긋하게 먹어지 올해 57세 수제비 처다보지도 않음

    • @FUTURE_RICH
      @FUTURE_RICH Před měsícem +1

      ​@@ZZABARI과거와 비교해서 지금 잘 살고 있는거니 너무 부정적으로 생각하지말라는데 트집잡을게 어디있어? 현실에 대해 만족할건하고 또 개선할 건 그거대로 하는거지. 완벽한게 어딨냐

  • @bsoo136
    @bsoo136 Před 6 měsíci +151

    하루하루 최선을 다해 일할수 있다는 것에 감사합니다우!

  • @ynsd5201
    @ynsd5201 Před 6 měsíci +216

    몇번을 다시 들어도 반박의 여지가 없는 말씀입니다. 나는 매 순간순간이 감사하고 소중하고 행복함을 느끼며 살고 있습니다.

    • @ZZABARI
      @ZZABARI Před 5 měsíci +6

      원래 역사 발전과 사회 개혁의 원동력은 상대적 고통에 의한 거요... 댁 같은 사람의 논리는 기득권들이 개돼지들 착취할 때 이용하는거요.. 비관적으로 사는 건 잘못된 거지만 비판적 사고를 가지고 살아야 하는거요...

    • @TheSmartJ
      @TheSmartJ Před 5 měsíci +6

      내가 보기엔 꼰대 강의임. 내용은 남과 비교하지 말고 불만 가질 시간에 열심히 살라는 말을 이상하게 포장하는데, 저 강사 말대로 살았다면 우린 아직 군부 독재시대에 살았고 더 나은 사회 진보는 이뤄내지도 못하고 그 상태에서 기득권의 밑바닥을 깔아주기 위해 열심히 노오력해서 행복감을 느끼게ㅛ죠!!! 영화 매트릭스 세계처럼!

    • @user-ws7yr7uz7u
      @user-ws7yr7uz7u Před 5 měsíci +5

      아니근데 그 어떤 태평성대가 출산율 0.7을찍나요?

    • @user-wj2xx2xe1w
      @user-wj2xx2xe1w Před 3 měsíci +4

      비판이 아니라 비난인데요. 그럼 계속 상대평가 하면서 살아가세요 틀린말 하나도 없구만​@@TheSmartJ

    • @thatisnatural
      @thatisnatural Před 3 měsíci +2

      좌파들 난리났네ㅋㅋㅋㅋㅋㅋ 북한 가보라고 했다고😂😂😂😂😂 안타까와~

  • @user-zr4yu8zn6j
    @user-zr4yu8zn6j Před 5 měsíci +40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정말 감사하면서 살겠습니다

  • @riamoto6971
    @riamoto6971 Před 5 měsíci +129

    진짜 한길쌤 가슴을 뻥 뚫어버림 😢

  • @user-jz1wq5wg3o
    @user-jz1wq5wg3o Před 3 měsíci +19

    전선생님 말씀에 100% 아니 200%, 아니 300%, 아니 600%, 아니 1,000% 공감 합니다‼️‼️

  • @MrLEEBYOUNGHEE
    @MrLEEBYOUNGHEE Před 5 měsíci +46

    비교안하면 될거 아니야!!!! 굿샷!!!!!

  • @user-rq3qc1us4p
    @user-rq3qc1us4p Před 3 měsíci +18

    감사합니다
    저를 다시 뒤돌아 보게
    됐습니다
    건강 하시고 좋은 말씀
    많이 들려 주세요~♡♡♡

  • @millionaire9709
    @millionaire9709 Před 4 měsíci +35

    선생님 정말 멋있어요 배우신 분은 역시 다르네👍👍👍 이 대한민국 에 선생님 같은 사람만 있었으면 좋겠네요 .

  • @user-nx1kb3px5y
    @user-nx1kb3px5y Před 3 měsíci +25

    전한길 선생님
    사회의 긍정변화에 최고의
    기여자시다

  • @rpn353
    @rpn353 Před 7 měsíci +47

    경제적 환경이 선진국 수준에 도달하니
    모두의 기준도 그에따라 올라가고 상대적인 잣대로 서로를 판단하고 자신을 비하하기만 하니 불행이 당연히 찾아오죠
    감사할것을 찾자면 주변에 넘쳐나는것 투성이입니다 당장 방에 누워서 스마트폰으로 이런 명강의를 보면서 댓글로 소통하는자체도 엄청난 문명의 혜택이죠
    분명 감사할것이 넘치는 세상입니다

  • @user-pr7wv7xo7z
    @user-pr7wv7xo7z Před 5 měsíci +269

    58세인 제가 들어도 틀린말이 하나도 없고 명언이다 명언

    • @ZZABARI
      @ZZABARI Před 5 měsíci +3

      원래 역사 발전과 사회 개혁의 원동력은 상대적 고통에 의한 거요... 댁 같은 사람의 논리는 기득권들이 개돼지들 착취할 때 이용하는거요.. 비관적으로 사는 건 잘못된 거지만 비판적 사고를 가지고 살아야 하는거요...

    • @user-gq4or2lt5q
      @user-gq4or2lt5q Před 5 měsíci +11

      ​@@ZZABARI 님이나 그리 사시면 되죠 입털지 마시고

    • @ZZABARI
      @ZZABARI Před 5 měsíci

      @@user-gq4or2lt5q 니는 그리 살던지 말던지 다만 젊은 선량한 청춘들이 현실에 안주하며 세상의 변화를 주도하지 않을까 해서 댓글 단 거다..

    • @cmd7957
      @cmd7957 Před 3 měsíci +4

      @@user-gq4or2lt5q 그런 마인드면 전한길 강사님도 혼자만 그렇게 살면되지 왜 저런말을 합니까?
      남의 말을 경청하고 비판적으로 검토하며 일부는 수용해볼줄 아는 태도도 중요한겁니다.

    • @jyikjh
      @jyikjh Před 3 měsíci +3

      @@ZZABARI 비판적사고? 가붕게 떠드는넘 있잔아?

  • @user-po1pj8nt4z
    @user-po1pj8nt4z Před 3 měsíci +16

    우와 정말 귀에 속속 들어오고 분명코 우리들 생각을 콕 찝어서 강연하시는데 정말 느끼게됩니다

  • @user-my7rs1so7r
    @user-my7rs1so7r Před 3 měsíci +12

    전한길 강사님 정말 시원하게 해주시네요 지금을 내가 감사 하지 않는다면 결코 내일도 미래도 감사가되지 않죠

  • @user-ur5ue2ye4l
    @user-ur5ue2ye4l Před 3 měsíci +26

    전한길쌤 젊은 학생들에게 옳바른 말씀감사드립니다 명 강의로 나라를 바로 세워주세요 영웅이십니다

  • @user-fs6hl7xu8l
    @user-fs6hl7xu8l Před 3 měsíci +82

    자유대한민국 화이팅 감사합니다

    • @user-hy7yt8yg3j
      @user-hy7yt8yg3j Před 20 dny

      맞습니다. 안락사도 합법되기를여 만세^^ 💉 + 💊 = 🛌

  • @chanyoungsong1942
    @chanyoungsong1942 Před 3 měsíci +14

    여느목사님설교보다 더 은혜스럽네요 ㅎㅎ 감사합니다!!!
    전한길쌤 화이팅!❤❤❤

  • @user-nx3lq4fh1f
    @user-nx3lq4fh1f Před 3 měsíci +24

    요즘시대의 강연 너무 좋았습니다. 속 시원한 강연이었습니다

  • @user-my5hm3pq3t
    @user-my5hm3pq3t Před 3 měsíci +20

    강의 최고입니다 귀에쏙들어 오네요 감사하며 살아야지

  • @user-xu4ep2cj1j
    @user-xu4ep2cj1j Před 5 měsíci +134

    멋있습니다. 21세기에 참 공감되는 말입니다.

    • @hwkim4454
      @hwkim4454 Před 5 měsíci +3

      ​​@@user-jl7nx4qm6n 잘못 혼 내면 학대가 되는 지금 세상이 정상이라고 보십니까? 이 험한 세상 소신과 주관을 더 견고하게 가지셔야 하지 싶습니다.

    • @user-xr2bq8jp7y
      @user-xr2bq8jp7y Před 5 měsíci +1

      ​@@user-jl7nx4qm6n 페미짓하고 다닐지도 모른다는 킹리적갓심이 드는데요

    • @hwkim4454
      @hwkim4454 Před 5 měsíci

      @@user-xu4ep2cj1j 전쟁은 인류에게 고통과 슬픔을 제공할 뿐이고 후회만 남기는 일이죠. 더이상 흑역사가 없어야 하지 않겠습니까?

    • @user-xu4ep2cj1j
      @user-xu4ep2cj1j Před 5 měsíci

      @@hwkim4454 맞는 말씀 입니다. 미래를 미리 예측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설민석 강사분이 통일한국이라고 있는데 듣다보면 솔직히 반반 입니다.

    • @user-qh7dv2bz8f
      @user-qh7dv2bz8f Před 4 měsíci

      ​@@user-jl7nx4qm6n네 꼰대죠. 시대가 변했지 않습니까 아재요. 지금 시대가 생식적으로 힘든 시대는 아니죠. 그저 상대적으로 남들 만큼만, 혹은 그 이상으로 살아가길 원합니다. 그게 안되니까 살기 힘든거죠

  • @user-me2dl9cs1x
    @user-me2dl9cs1x Před 7 měsíci +83

    어느센가 사소한 것에는 당연시 처럼 여겨 삼시세끼 뜨신밥먹고 저녁이되면 발뻗고 잘수있고 주말에 쉴수도 있는데 이런것에 대한 감사함을 잊고 산거같아요 한길쌤 ! 강연 잘봤습니다

  • @jathon8996
    @jathon8996 Před 5 měsíci +23

    역시 한길샘은 저와 같은 성향이십니다. 감사합니다.

  • @chebimus1061
    @chebimus1061 Před 7 měsíci +128

    한기리쌤 강의는 들어본적 없지만 진짜 하나 하나 주옥같은 말씀들

    • @ZZABARI
      @ZZABARI Před 5 měsíci +1

      원래 역사 발전과 사회 개혁의 원동력은 상대적 고통에 의한 거요... 댁 같은 사람의 논리는 기득권들이 개돼지들 착취할 때 이용하는거요.. 비관적으로 사는 건 잘못된 거지만 비판적 사고를 가지고 살아야 하는거요...

  • @user-kv7iu3gz7y
    @user-kv7iu3gz7y Před 6 měsíci +73

    👏👏👏
    맞습니다! 맞아요😊
    덕분에 감사 하고 즐겁습니다~^^

  • @user-tt3mo7bh1w
    @user-tt3mo7bh1w Před 3 měsíci +17

    잘하셨어요 속이씨원하네요❤❤❤❤❤❤❤❤

  • @Bach-wl9vg
    @Bach-wl9vg Před 5 měsíci +43

    역시 믿고 듣는 한길쌤 말씀^^

  • @JOjo-dj8kw
    @JOjo-dj8kw Před 5 měsíci +17

    대한민국에 꼭 필요한 인재 전한길

  • @user-wj1ck3ny7s
    @user-wj1ck3ny7s Před 5 měsíci +25

    명명명 강의다!!

  • @Elias_Park
    @Elias_Park Před 7 měsíci +49

    전쌤 얘기들은 이상하게 제가 얼마 전부터 해오던 생각들과 많이 겹칩니다.
    저도 나이가 이제 좀 들어서 그런지는 모르겠습니다만..
    얼마 전부터 상하수도 시스템이 있는 게 참 다행이고 문명의 혜택을 누리는 나는 참 감사해야겠다는 생각을 하곤 했습니다.
    심지어 비누의 발명으로 인류의 생명이 상당히 많이 연장 되었다는 것에도 감사하고 불고기를 먹으며 간장을 누가 발명했는지 모르겠지만 참 대단하다고 느끼며 살고 있습니다.
    정치는 그저 이런 시대이니 나는 이렇게 살아야겠네 정도의 관심만 가지는 게 건강에 좋은 것 같습니다.
    어떠한 정치도 제 마음에 들게 되는 경우는 잘 없는 것 같으니까요..

  • @user-lc3rn5pi1x
    @user-lc3rn5pi1x Před 3 měsíci +40

    강의에서 논하는 '현재에 감사하라'는 그다지 동의할 수 없지만 '비교하지 마라'는 건 정말 중요한 진리인 거 같네요
    행복은 상대적이라고 생각하니까요

  • @user-qd1wo4nw3g
    @user-qd1wo4nw3g Před měsícem +3

    가까운 동낭아만 기봐도 한국이 얼마나 좋은지 알게 되유 ~~~

  • @user-kq7ml2wl8f
    @user-kq7ml2wl8f Před 5 měsíci +16

    덕분입니다 감사합니다 고맙습니다 ❤❤❤

  • @user-sq1qp9bx8i
    @user-sq1qp9bx8i Před 5 měsíci +69

    명강의 잘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tx6xy8nx5c
    @user-tx6xy8nx5c Před 3 měsíci +6

    늘 있어주는 물과공기의 소중하고감사함을 선생님강의를 통해 깨우치고갑니다

  • @user-bk3er3je5i
    @user-bk3er3je5i Před 3 měsíci +5

    모처럼 속이 시원합니다
    당신은 멋진 사상을 가지고 정말로 진실을 전하고 있네요 공감100%

  • @TV-sh2iy
    @TV-sh2iy Před 7 měsíci +20

    감사하며 살겠습니다.

  • @here1818
    @here1818 Před 5 měsíci +14

    쎔!
    훌륭하고 감동적인강의!

  • @user-re1ys8zj6m
    @user-re1ys8zj6m Před 5 měsíci +17

    진심으로 존경하고. 감사합니다😂

  • @user-ju4nd5fr8y
    @user-ju4nd5fr8y Před 7 měsíci +22

    고맙습니다 🎉🎉🎉

  • @om_WHAT
    @om_WHAT Před 3 měsíci +7

    좋은 말씀입니다. 감사합니다^^

  • @user-kw9lf5ed9r
    @user-kw9lf5ed9r Před 3 měsíci +4

    맞는 말씀입니다… 정말 지혜로우시네요

  • @whysje
    @whysje Před 7 měsíci +28

    뭐든지 다 적당히가 있는 거임
    너무 비교하면 힘들어지고,비교함으로써 동기부여가 되는 사람도 있는 거고 발전하는 사람이 있는 거지
    항상 나보다 낮은 것만 바라보고 산다면 인류는 의식을 가지기 시작한 이래 항상 태평성대일테니
    이 메세지는 남과의 비교로 너무 힘든 사람들에게 해당돠는 말임.
    해당되지 않는 사람은 이게 뭔 소리야?하고 넘기면 될 일이고
    공감되는 사람은 참고하면 됨

  • @user-vw8xl4tl1y
    @user-vw8xl4tl1y Před 7 měsíci +19

    선생님 짱 짱입니다 맞아요 저때는 하루 하루 먹는거가 생존이었던 같아요

  • @user-tp3yy3oj2z
    @user-tp3yy3oj2z Před 3 měsíci +3

    온국민이 시청해야할 강의네요~~
    어제밤에 우연히 보게되어.꾸준히보게될것같아요~~
    너무너무 감사합니다❤❤

  • @user-tv5bq3hb5r
    @user-tv5bq3hb5r Před 3 měsíci +4

    바른말 잘해주시는. 선생님. 너무나 감사합니다..멋지십니다.;학생들을 제대로. 가르치시네요..

  • @x0x645
    @x0x645 Před 7 měsíci +25

    이 영상의 팩폭의 시간이였습니다. 갬사합니다.남들과의 비교가 이렇게 해롭다는걸 잘 설명해 주시는 분이네요

  • @user-yc8fl6md1n
    @user-yc8fl6md1n Před 7 měsíci +19

    캬..지린다 한길쌤.

  • @ellykim3030
    @ellykim3030 Před 23 dny +1

    고맙고 감사합니다
    덕분에 행복하고
    즐겁습니다

  • @user-kh5pl6tf9m
    @user-kh5pl6tf9m Před měsícem +2

    전한길 쌤
    존경합니다
    항상 응원합니다😊❤

  • @user-eu4mx3oh5w
    @user-eu4mx3oh5w Před 7 měsíci +27

    100% 옳은말씀
    감사합니다 선생님

  • @swakeswek
    @swakeswek Před 7 měsíci +81

    남과의 비교와 경쟁에서 우리가 더 높은 목표를 가지고 더 성장할 수 있다는 말도 맞긴 하지만, 그게 너무 과해서 불평불만을 내뱉고 남들의 성과를 본인이 가지지 못할 때 나오는 열패감과 그에 수반한 우울증 등은 없어져야 하는 게 맞죠
    고로 저는 이번 전한길 선생님의 영상에 동의합니다.

    • @user-hd5uc3du2l
      @user-hd5uc3du2l Před 7 měsíci +8

      반박해보겠습니다.지금은 태평성대임은 확실합니다.과거에 비해서. 우리나라가 소말리아나 , 아프리카빈곤국, 북한에 비해서 더욱잘사는것은 분명한 사실입니다.
      문명이 발전했고, 과거에 비해서
      우리나라가
      물질적으로 발전한것도 분명합니다.
      하지만, 그것이 어떻게 가능했을까요? 어떻게 이러한,
      역사적인 사회적 발전이 가능했을까요? 50년만에 어떻게 이러한 비약적인 발전이 가능했는가?
      그것은 우리 아버지,할아버지 할머니,어머니 세대의, 조상들이
      끊임없이 열심히 일하고, 우리도 잘먹고 잘살아보자는 야심.
      꿈. 국가적인 비젼이 있었기 때문이며, 이 심리는 거슬러올라가면, 일제강점기 나라가 약해서 먹히고, 남북으로 갈라져서 6.25를겪은 상처에서 나오는 생존의식과 살아남기 위한 투쟁, 다른 선진국들을 따라잡아야 한다는 매우 집착적인 충동과
      국가발전에 대한 집념이기도 합니다.우리나라가 현재 과거보다 잘사는것은 맞지만, 동시에 그것이 가능했던것은
      우리나라의 학구열과,경쟁의식, 열등감, 발전에 대한 열망이 있었기에 가능했던것입니다.
      나라가 잘사는데 왜남하고 비교하냐?가 문제가 되는데...
      남하고 비교하고, 경쟁했기에 나라가 잘살게 된겁니다.
      인간은 끊임없이 삶의 의미를 찾고,
      발전하고, 갈망하는 존재입니다.
      자신보다 못사는 사람이 있으니 난 괜찮아. 라는 심리는 다음질문으로 이어집니다.
      "왜 나는 나보다 못한사람을 보고 만족해야되지? 왜? "결국 인간은 자신의 꿈과 야망을 버릴순없습니다.
      한계효용체감의 법칙에 의해서,
      아무리 발전된기술도 풍요로운세상도 익숙해지게 되면,
      그게 크게 체감되지 않기 마련이지요.
      청년들이 지나치게 자신을 비관적으로 볼필요는 없고, 삶의 감사함을 가져야됨은 좋은 말씀이지만, 그이유가 절대로 자기보다 못사는 사람들을 보고 하는 위안이라면, 그 위안은 결국 가난한 남과 자기자신을 비교하는것이며,
      이 비교는 부자들과 자기자신을 비교하는 심리와 구조가 같습니다.
      인간의 삶은 비교가 아닌,
      그 존립자체에서 나오는 역동성과, 발전에 대한 갈망에서 존엄함을 가져야 합니다.
      따라서 단순히 물질적으로 풍요로운 전체국가가 아닌,
      개개인의 발전에서 우러나오는
      갈망은 막을수없는것입니다.
      그리고, 한인간이 비교해야할 대상은 남보다는, 본질적으로
      그 남은 한 개인의 인식속에 있는 남이기에, 결국 인간은 자기자신을 비교해야합니다.
      어제보다 더나은 나. 5분전보다 더나은 5분후의 나라면 괜찮지 않겠습니까?
      비교의 대상이 언뜻 남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그 남은 내 정신속의 남이으로, 내가 진정으로 비교해야하는것은 나자기자신이 되는것이다

    • @hiitsme169
      @hiitsme169 Před 7 měsíci +1

      ​@@user-hd5uc3du2l공감합니다

    • @makeitme
      @makeitme Před 7 měsíci

      @@user-hd5uc3du2l 좋은 말씀이십니다!

    • @user-hd5uc3du2l
      @user-hd5uc3du2l Před 7 měsíci

      @@makeitme 네

    • @hwkim4454
      @hwkim4454 Před 5 měsíci +2

      지나친 경쟁사회에서 우울증을 갖게 된 사람들이 님 글을 보면 무슨 생각이 들까요? 그런 사람들이 꼭 좋은 성과나 뛰어난 자리를 원해서 그렇게 되었다고 생각하십니까?

  • @user-nh8vh6io8f
    @user-nh8vh6io8f Před 7 měsíci +7

    이래서 전한길은 국민스타다

  • @GOCPD
    @GOCPD Před 6 měsíci +10

    그들이 감사와 행복을 느낄 날이 올까요
    아이러니하게도 그 날이 돼서야 선생님의 뜻을 이해하겠죠
    긍정적인 마음을 그러모아 향상심을 얻고 스스로 깨달아야 합니다
    그래야 언제 어디서나 행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저도 선생님과 같은 조언들을 여기저기서 들어도 깨닫기 전에는 와닿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지금 들어보니 무슨 말씀이신지 백번 이해합니다
    제 삶은 그순간을 기점으로 많이 달라졌고 저는 훨씬 나은 사람이 됐습니다
    정신적, 육체적으로 건강하고 지금 내가 현실적으로 가질 수 있는 비전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감사를 느끼는 것, 이게 행복인데 자본주의세뇌와 자기중심적인 마음 때문에 이 진리에 다가가려고 시도조차 하지 않는게 안타깝습니다

  • @user-fe5om3ih6o
    @user-fe5om3ih6o Před 3 měsíci +1

    전한길 멋있다.뼈때리는 말 너무 와 닿네

  • @baeluv4451
    @baeluv4451 Před 2 měsíci +1

    저도 너무 감사하고 행복합니다! 불만 투성인 애들이 꼭 봐야할 영상이에요

  • @rabbit-snow
    @rabbit-snow Před 7 měsíci +74

    선생님! 반박할 수도 없지만 샘 표정이 무서워서 반박 못하겠어요 ㅋㅋㅋㅋㅋㅋㅋ

    • @howlizana
      @howlizana Před 7 měsíci +9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맞아요ㅠㅠㅠㅠㅠ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너나와!!!! 할거같아욬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jyp6594
      @jyp6594 Před 7 měsíci +6

      ㅋㅋㅋㅋㅋㅋㅋㅋㅋ반박해봐!!!!!!!! 이러시는데 죄성함다😅 라고 할거 같아요

    • @ICEBOY93
      @ICEBOY93 Před 7 měsíci +1

      반박하다 ㅊ맞을거 같음

  • @cck3176
    @cck3176 Před 5 měsíci +21

    시원하다 시원해 하나도 틀린 얘기가 없네!

  • @user-jo9kp4vw8s
    @user-jo9kp4vw8s Před 3 měsíci +4

    발성이 끝내주시네ᆢ😊

  • @user-wf6xh1uz1e
    @user-wf6xh1uz1e Před 3 měsíci +1

    멋지십니다❤❤❤

  • @wnqkrtm
    @wnqkrtm Před 5 měsíci +17

    좋은 말씀 잘 들었습니다
    저희 아이들에게 들려주려고 저장했습니다
    건강하시길 바랍니다

  • @charo1842
    @charo1842 Před 4 měsíci +7

    어렸을때 부터 비교 경쟁에서 살아남으려고 교육을 받아왔으니 어쩔수없는거같아요... 우리나라는 경쟁이 너무심해

    • @Blue_and-rego
      @Blue_and-rego Před 3 měsíci

      경쟁이 아니라 좀 더 잘하고 싶어서 열심히 한거라 생각합니다
      그래서 세계적 기업들도 탄생했죠

  • @user-ie9og2up1v
    @user-ie9og2up1v Před 3 měsíci +5

    진짜 올바른 강의 입니다
    저도 항상 아는 분들에게 이야기 합니다
    단군이래 최대의 행복을
    누리는 대한민국 국민들
    이라는 걸
    강원도 경북 산골에 사는
    사람은 평생 쌀한말 먹어
    보지도 못하고 죽어가는
    시대가 있었잖습니까?

  • @thatisnatural
    @thatisnatural Před 3 měsíci +8

    자유우파 전한길 화이팅!

  • @user-ol3ee8us8h
    @user-ol3ee8us8h Před 7 měsíci +241

    의료실력과 편리성은 정말 세계 최고입니다

    • @user-hv3ct7zk2t
      @user-hv3ct7zk2t Před 7 měsíci +13

      의료인들 다 죽게 생겼어요 지금 개판 5분전임

    • @user-yr6iq1gg6e
      @user-yr6iq1gg6e Před 7 měsíci +2

      개나소나 의대간다고 난리더만 과잉공급에 과잉 진료... 치료도 맔이하지만 휴유증도 만만찮음

    • @cloud-eu8ei
      @cloud-eu8ei Před 7 měsíci

      ​@@user-yr6iq1gg6e개나 소나 의대? 개 헛소리하고있네 ㅋㅋㅋ요즘 입시하는애들한테 물어봐라 1등급중에서도 표준점수 높은 애들만 대학을 가는데 개나소나 의대? ㅋㅋ의대 보내는게 sky보다 빡센대 아시고 쓰시나 모르겟네요~

    • @howiham_frigate
      @howiham_frigate Před 7 měsíci

      의료실력은 모르겠고 의료서비스는 좋음

    • @user-ki2yv4qh9g
      @user-ki2yv4qh9g Před 7 měsíci +11

      @@howiham_frigate실력 매우 좋은 편입니다.. 우리나라보다 서젼들 앞서나가는 나라 이제 미국정도밖에 없어요

  • @user-rl1iw2sv6d
    @user-rl1iw2sv6d Před měsícem

    웃으면서 생각을 바꿀수있게해주시는 능력 대단하십니다

  • @user-pp3rz4no2s
    @user-pp3rz4no2s Před 28 dny

    진심 공감가는 말씀입니다.

  • @Urattatt
    @Urattatt Před 7 měsíci +29

    " 지금이 젤 좋을때다, 니탓이다, 니가 열심히 안해서 그런거다. "
    이런말 수십년전부터 들었다.
    그런데 나아지긴 커녕 이젠 한국은 소멸위기란다.
    이쯤되면 어디가 잘못된걸까?

    • @user-cx3lg2pj2v
      @user-cx3lg2pj2v Před 7 měsíci +3

      전한길같은애들이 높은 사회적 위치잡고 나는 이정도면 살기 정말좋아진거같은데 니네는왜만족을 못하냐 하면서 현실을 외면한 결과물이지 ㅇㅇ

    • @user-zb1hd8np3b
      @user-zb1hd8np3b Před 7 měsíci

      ​@@user-cx3lg2pj2v니가 무능하고 부모 잘못만나서 못사는걸 무슨 ㅋㅋㅋㅋㅋ

    • @hwkim4454
      @hwkim4454 Před 5 měsíci

      ​@@user-cx3lg2pj2v 뭐가 사회적 높은 지위냐? ㅋㅋ 권력자는 일 안하고 뒤에서 시키는 인간들인데? 뭘 알긴 하냐?

    • @youngmanko3907
      @youngmanko3907 Před 5 měsíci +2

      선진국일수록 저출산인건 익히 다 알고 있는 사실.
      우리는 급격히 선진국이 되다 보니 부작용을 낳고 있다.
      인스타그램을 끊어라. 타인들이 맛있는 음식, 해외여행, 멋진 패션을 보고 늘 비교하다보면 자신은 상대적으로 빈곤해 보인다. 자신의 현실에 만족하면 발전이 없지만 또한 이만하면 괜찮다며 자신이 갖고 있는 것에 감사할 줄 알아야 행복해진다.
      자신이 갖고 있는 것에 감사할 줄 모르면 이재용회장이라고 행복할까?

    • @hwkim4454
      @hwkim4454 Před 5 měsíci

      @@youngmanko3907 어 그래 수고해

  • @user-wr9ll1fn6z
    @user-wr9ll1fn6z Před 7 měsíci +81

    문명의 혜택에 대해 감사할 시간도 못느끼고 급속도로 발전한 부분도 있다고 본다
    그래서 지금 한길샘이 역사적, 현실적으로 문명의 혜택이 다른 나라와 비교해 볼 때도 얼마나 감사한 일인지를 알려주고 있는 중이지
    결론은 감사함을 모르니까 불행해지고
    우울증이 오는 것이다

    • @user-hd5uc3du2l
      @user-hd5uc3du2l Před 7 měsíci

      그냥 방법론적으로 쓸게요. 이건 내가 예전에 우울했을때 썼던 방법입니다.
      1.컴퓨터 메모장에다가 부정적인 생각의 논리를 글로 쓰고. 그것을 스스로 비판해서 깨트려보세요.그 생각의 논리.
      안깨진다고 그걸 믿지말고, 계속 의심해보십쇼. 인간의 감각과 판단은 그다지 믿을게 못되니까요.
      2. 눈을 감고 음악을 들으며 명상을 해보세요. 그리고 자기자신의 감각, 느낌에 집중해보세요.유튜브에 meditation music검색해보세요.
      3. 운동을 해보세요. 음식도 골고루섭취하시고.
      4. 공부를 합니다. 독서도 포함
      5. 자기자신에게 최대한 솔직해집니다.
      6. 자기자신의 주체성확립을 목표로 1에서 5를 무한반복합시다.
      아 마지막으로. 제가 쓴글에서 벗어나세요. 자신의 주체성이 확립되면.
      그모든 타자로부터 벗어날때, 그의존성이 깨질때, 주체성이 비로소 확립됩니다.
      주체성이 있는 인간은 세상의 풍파속에서 쉽게 우울이나, 절망의 늪에 빠지지 않을수있습니다.

    • @hwkim4454
      @hwkim4454 Před 5 měsíci +1

      누군가에게는 감사하라는 말이 강요와 폭력으로 느껴질수도 있는 시대입니다. 선을 넘은거죠. 문명을 과하게 누리는 대신 몸과 마음을 다 사로잡히고 빼앗기고 사는 시대죠. 아니라고 생각하십니까? 수많은 법들과 통제력들이 왜 필요할까요? 빚이 재산이라 외치고. 노인 공경을 외치며 자식 키우는 것이 낙이라 외치며 어떻게 살고들 있습니까? 부모는 실버타운에 자식들은 밤낮으로 유치원 학교 학원. 사회를 이끄는 주축들은 집 차 값 할부 내야죠. 세금 내야죠. 행복이요? 행복해야 되니까 행복해야죠. 감사도 감사해야 하니까 하는 거고. 삶도 대부분 이렇게 사는게 맞으니까 식으로 살고 있죠. 스스로 옳고 그름을 잘 판단해서 사는 사람들이 얼마나 된다고 생각합니까? 저 강사요? 사회에 불만있는 애들 윽박 질러서 기 죽이고 말 잘 들어라 하고 싶은 그저그런 사람 같은데요.

    • @user-rt5gc7wj4i
      @user-rt5gc7wj4i Před 5 měsíci +2

      ​@@hwkim4454그러면 님이 생각하는 행복은 도대체 뭔데요? 모두가 평등하게 사는 삶? 나라에서 먹여살려주는 삶? 모든게 공짜인 삶? 현재 대한민국에서 살면서도 불행하게 느끼신다면 이 세상 어느나라, 아니 우주 통틀어 어디를 가시든 님이 행복하다고 느끼실곳은 결단코 없을것임을 제 손목을 걸고 100%장담하지요

    • @hwkim4454
      @hwkim4454 Před 5 měsíci

      @@user-rt5gc7wj4i 일단 제가 님 손목에 관심이 없어서요. 제가 뭐라고 적었길래 님 한테 그런 말을 들어야 합니까? 행복이 정해져 있습니까? 행복할 때도 있고 아닐 때도 있겠죠. 안 그렇습니까? 무슨 말을 하고 싶으신거죠? 대한민국 사람들 수준이 그렇게 우습나요? 감사한 줄 몰라서 우울증이 오는거라고 생각하세요? 의식주가 모두 해결되고 모두가 시간적 정신적 여유가 생기면 모두가 무조건 행복하다고 생각 하십니까? 사람은요. 내가 좋은 상황이어도 불행을 찾아서 느끼기도 하고요 (불우이웃 돕기 이런거 있잖습니까?) 아무리 상황이 안 좋아도 그냥 웃어 넘기고 살아가기도 하거든요. 이렇게 모두가 불안감을 느끼고 있는 시대에 저런 말과 행동으로 나서는 것을 모두가 좋게 보아야 합니까? 손목 함부로 걸지 마시고 님도 진지하게 생각을 한번 해보세요. 저 강사 말도 다시 한번 들어보시고 유튜브는 전세계 누구나 다 볼수 있는 것임을 안다면 조심할 부분은 조심해야죠. 오프라인에서만 하는 것보다 더 신중해야 할수도 있고요. 안 그렇겠습니까? 이런 말이 싫거나 무섭다면 오프라인에서만 활동해야죠. 아닙니까? 공인이 왜 공인 인데요.

    • @user-rt5gc7wj4i
      @user-rt5gc7wj4i Před 5 měsíci +2

      @@hwkim4454 그니까요 의식주가 해결되고 정신적 여유가 생겨서 우울이 찾아오는거라고요. 쉽게 말해 배가 너무 불러터져서 죽는거예요. 네 물론 우울은 호르몬 변화로 병처럼 찾아오는거도 맞긴하죠. 하지만 조선시대에 태어나서 20살 남짓에 치아가 다 썩어서 마취도 없이 생이빨 뽑는 고통, 집이 가난하여 자진해서 거세하고 환관이 되는 고통을 겪는 삶이 나을지. 현재 주어진 상황에서 행복함을 느낄지 불행함을 느낄지는 본인의 선택입니다. 스스로 우울을 선택하고 있는거지요. 뜨거운 난로에 손을 대면서 뜨겁다고 발광하는거예요. 뭐 어차피 님은 님스스로 본인은 우울하고 불행한 사람이 되길 선택하셔서 제말은 1도 안통하고 저 강사가 목청터지게 외쳐도 먹히지 않겠지만요

  • @user-me1yg5bg7s
    @user-me1yg5bg7s Před 3 měsíci +1

    홧팅!
    멋지다!

  • @ahfksmsrjdi
    @ahfksmsrjdi Před 7 měsíci +1

    두길쌤..... 사랑해요❤❤❤

  • @user-zl3qv2zd9h
    @user-zl3qv2zd9h Před 5 měsíci +8

    꽃보다 전한길님 한마디 한마디 맞는말씀 입니다
    존경합니다

  • @9f86d
    @9f86d Před 7 měsíci +6

    감사합니다. 전한길 선생님 말씀처럼 다른 분들이 남들과 비교하지 않고 지금에 만족하며 살아갈때, 저는 남들과 비교하며 발전하겠습니다.

    • @user-hd5uc3du2l
      @user-hd5uc3du2l Před 7 měsíci +1

      남과 비교하지말라?
      그건 아닌거 같은데?
      왜냐하면
      그건 일상적으로 맘만먹으면,
      굳이 맘먹지 않더라도 무의식적으로라도 일어날수있는 정신현상 아니던가?
      그것보다는
      자기자신의 주체성과, 대상에 대한 매몰된 생각에서 벗어나는게 더 정확한표현이다
      대상을 볼때, 그 대상은 자기자신의 주관이 만들어낸, 형성한 대상이므로,
      자기자신 스스로를 들여다봐야하는데.
      우리나라사람들은 그 대상이 물질이든 타인이든. 그 대상의 단편적 직관에 의존하기 때문에 공허함, 혼란스러움에 빠지는거임.
      자기자신을 들여다봐야한다.
      유튜브를 볼때도. 이 유튜브를 보고있는 나를 인식하기보다는 그 유튜브안의 내용만이 머릿속에 있잖아?
      대상은 있는데, "나"는 없잖아?
      남과 비교하는건 얼마든지 하고도 남을, 정신현상이지만
      진짜 문제는 왜서 그것이 나 자신의 존립에 대한 공격으로 이어지는가?
      이다. 그리고 이것은 분명 어려서부터. 지금까지살면서. 남보다 잘나지않았을 경우,타인에게,대상에게 공격당하고 조롱당하는것에 대한 강한 공포가 있는것이다.
      이런걸 두고, 대상에게 먹힌 주관이자, 주체성을 잃은 자신이라고 볼수있다.
      내 마음속에 "나"가 살아있어야한다.
      주체성과 자기자신의 주도성이 살아있어야한다.
      그것을 살리기 위해서는 타인에 대한 의존이나, 물질에 대한 만족은 일시적 위안이지. 진정으로 그것을 살려내기 위해서는
      자기자신의 내면을 스스로 들여다보아, 자기자신의 생명과, 그변화 자체에서 자기자신의 주체성을 찾아내야한다.
      이세상에선 무슨일이든 벌어지겠지만, 이세상을 나는 나의 정신과 육체로서 살아갈수밖에 없다. 이세상은 내정신과 감각안의 세상이다. 오로지 나에게 있어서.
      당신이 내댓글을 본다면... 또는 자기계발서를 본다면...
      또는 강연을 듣는다면...
      그안에는 여러이야기나 도움될만한 도구가 있긴 하지만... 진정으로 자기자신의 주체성을 살리기 위해선. 그것들은 자신의 감각적 시각안의 도구일뿐. 결국 마지막에는 그것들로부터 벗어나야합니다.
      그리고 자기자신을 스스로 보아야합니다.
      그것들은 "나"를 위한 도구이지.
      "나"가 될수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