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진 게 많으면 불행할까? | 소유의식과 목적의식을 덜어내면 삶이 편안해진다 | 과정을 즐기는 인생 | 강신주의 장자수업

Sdílet
Vložit
  • čas přidán 14. 01. 2024
  • 우리가 새 차를 사서 달리고 있는데 다른 차가 와서 부딪힌다면?
    아마 화가 많이 날 것이다. 그런데 우리는 왜 화를 낼까?
    '내 차' 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우리는 '나의 것'을 건드릴 때 화가 난다.
    더불어 우리가 배를 타고 빨리 강을 건너려는데 다른 배와 부딪힌다면 역시 화가 날 것이다.
    즉, 소유의식과 목적의식이 화를 부른다는 뜻이다.
    하지만 빈 배는 소요하고 있을 뿐. 그러니 빈 배와 같은 사람은 화날 일이 없다.
    "어떻게 살 것인가?"
    소유의식과 목적의식을 줄인 채 소요하라. 과정을 즐겨라.
    ▶️ 프로그램 : 강신주의 장자수업 3강 - 빈 배 이야기
    ▶️ 방송일자 : 2023.11.01
  • Věda a technologie

Komentáře • 26

  • @sobin1050
    @sobin1050 Před 4 měsíci +12

    배에 타고 있는 사람을 읽어라.
    부딪힌 배에 사람이 있으면 화를 내고, 빈배에는 화를 내지 않았던 그 사람.
    그 사람과 반대되는 존재가 빈 배임.
    "너의 지갑을 원하는 사람이 있으면, 괜히 다치지 말고 주거라.
    내가 가지고 있는 게 정당하지만 죽음 앞에서는 의미가 없다."
    - 나를 비웠다는 의미는, 갈등과 위험요소로부터 근본적으로 벗어나는 것임.
    " 너보다 소중한 게 없다 애야.
    어떤 도둑놈이 네 가방을 원하거든,
    네가 그걸 잃어버렸다고 뭐라고 하지 않는다.
    나는 네가 더 소중하다. 다 줘라.
    그건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지만,
    사랑하는 내 딸은, 아들은 없어지면 안된다."
    - 쓸데없이 돌아다니는 것이 곧 행복임.
    소유의식과 자의식, 나를 비울수록 고집은 약해짐.
    황화강을 건너가는 것이 삶의 여정이라면, 빨리 지나가야할 과정이 아니라, 드럽게 느리게, 속터지게, 재밌게.
    바람도 맞고, 물결도 맞고, 낚시도 하고, 잠도 자면서 시간을 보내야 함.
    황화는 우리의 삶일지 모름.

  • @hjj7605
    @hjj7605 Před 4 měsíci +8

    저는 선생님이 소개해주신 장자 책을 마음이 복잡하고 힘들때 한 꼭지씩 읽고 있습니다. 그러면 마음이 편안해지고 저를 괴롭힌 많은 일들이 별게 아니게 느껴지고 새로운 길을 모색하거나 포기도 하고 있습니다. 장자의 사상을 친절하게 알려주셔서 너무 감사합니다. 타인에게 평안과 위로를 주시는 선생님 감사드리고 건강을 기원합니다.

  • @sugoory
    @sugoory Před 4 měsíci +27

    회사에 주인의식 가지고 설정된 목적을 위해 고생고생 일하다보면.. 주인의식, 목적의식도 없이 유유자적 대충 일하는 행복한 동료로 맨붕에 빠질 때가 있다... 나도 이제 맘 편하게 적당히 살아야겠다.. 내 회사, 내 세상도 아닌데.... 세상발전이 뭐가 중헌가.. 대충살자

    • @kevinchae287
      @kevinchae287 Před 3 měsíci +4

      어떤 회사인지 모르지만
      사기업이라면
      주인이 아닌데 주인의식을 가지니까 문제가 생기는 거임.

    • @jogak_gamgak
      @jogak_gamgak Před 2 měsíci +3

      한 10년 넘으니까 가끔 그렇게 생각하고, 대충하자... 내 것도 아닌데, 라고 생각하지만... 이게 습관이라는게 그렇게 안되더라. 마음은 대충하자. 라고 하는데, 그동안 열정을 다 한 습관으로 몸이 알아서 열심히 하고 있음...; 승진에 떨어졌을 때도 마찬가지... 1~2주 정도 기운 떨어져있고 하다가도, 어느샌가 열심히 하고 있는 나를 발견. 존나 짜증남. 또, 대충 일하자 일하자 생각하면서도, 후배들이 대충 일 하는걸 볼 수가 없음. 일 안하고 못하는 애들은 점수를 안주게 되어있음. 어느샌가 진짜 빠져나갈 수 없는 굴레에 빠져든 것 같음....

  • @user-lg9vg3vq3r
    @user-lg9vg3vq3r Před 4 měsíci +6

    철학은 참 신기한것 같아요. 장자는 그런사람들이 생각하고 행동하고 하는것을 관찰하고 통찰했다라고 생각합니다. 저는 사회에서 배우고 경쟁하는것도 좋지만 우리사회가 어떤점이 잘못됐는지 그걸 파악하고 통찰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이점에서 장자에게서 배울게 너무 많다라고 생각했습니다. 좋은 강의 잘 보고 갑니다.~^^

  • @NJ-ze1pg
    @NJ-ze1pg Před 3 měsíci +7

    강신주 철학자님의 강의는 늘 감동입니다. 어쩌다 어른에서 선생님을 첨 뵙는데 그때부터 늘 팬입니다. 근데 전보다 많이 헬쓱해지셨네요~~늘 건강하시고 앞으로 좋은강의 더 자주 부탁드립니다 🙏. 감사합니다.

  • @user-dj9sn4rc1j
    @user-dj9sn4rc1j Před 4 měsíci +5

    감사합니다
    화두를 깨치도록
    수행과 실천으로
    노력하겠습니다
    선생님 감사합니다 ♡

  • @user-cj3ko4ns4f
    @user-cj3ko4ns4f Před 2 měsíci +1

    감사합니다.

  • @user-fg7hg1dc5b
    @user-fg7hg1dc5b Před 4 měsíci +3

    공감

  • @hee2782
    @hee2782 Před měsícem +1

    소유하지 말라는게 아니라
    소유하되 매몰되지 말라는거 아닐까요

  • @user-nn8bx2sp7n
    @user-nn8bx2sp7n Před 4 měsíci +2

    도적을 만드는 위정자들
    작은 마을에서조차 내동네 네동네
    자연이 준 것을
    원래대로 욕심내는것에 매달려 살아봐야 😊

  • @lonely-cosmos
    @lonely-cosmos Před 4 měsíci +7

    철학은 간단하고 가벼운 것이 아닙니다.

    • @lonely-cosmos
      @lonely-cosmos Před 4 měsíci

      @@user-buckbuck 관심가져줘서 고맙다
      ㅉㅉ

    • @yanpaper7657
      @yanpaper7657 Před 4 měsíci +4

      간단하지 않고 가볍지 않지만 모두가 각자만의 철학이 있습니다
      다른 사람의 철학도 받아들일수 있음이 자신의 철학을 더 좋은 방향으로 나아갈수 있는 원동력이 되지 않을까요

    • @user-hz2nd3db2z
      @user-hz2nd3db2z Před 4 měsíci

      그라믄
      복잡하고 무거운 것인가???
      😢😢😢

    • @user-mj8kq6in8c
      @user-mj8kq6in8c Před 4 měsíci

      ​@@user-buckbuck 말장난하는 철학자 되서 아쉽다 예전에는 철학자였는데

  • @woolfkim1792
    @woolfkim1792 Před 2 měsíci +1

    법정스님의 무소유가 생각나네요

  • @user-gz1gg9ot2r
    @user-gz1gg9ot2r Před měsícem +1

    😊😊😊😊😊😊😊😊😊😅😊😊😅😅😅😊😊😊😊😊😊😊

  • @BLA1NE
    @BLA1NE Před 3 měsíci +1

    가진 게 많아질수록 관리가 힘듭니다. 그러니 구매 시 실물말고 다운로드 하세요.

  • @user-xw1th5jc6e
    @user-xw1th5jc6e Před 4 měsíci +2

    해킹이랑 몰카랑 이내용이

  • @ss-xq3hb
    @ss-xq3hb Před 4 měsíci +6

    청와대 국민에 돌려준다니까 반대하던 인간들이 생각나네요. 😂 이런 내용도 사람들 의식 수준이 높아야 이해합니다.

  • @user-oe7on3fd9x
    @user-oe7on3fd9x Před 3 měsíci

    가진게 많으면 불행하다?
    그럼 가지고 있는 공구와 자본과 기술과 기술자가 많은
    공장들은 다 불행하겠네?
    에라이~ ㅉㅉ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