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념처 수행과 알아차림 - 일묵스님 대념처경 강의 02

Sdílet
Vložit
  • čas přidán 13. 04. 2020
  • 일묵스님의 대념처 강의 2
    부처님께서 열반에 드실 무렵 제자인 아난(阿難) 존자가 “부처님께서 열반에 드신 뒤에는 무엇에 의지해야 합니까?” 하고 물었을 때 부처님께서는 “사념처에 의지하라”고 대답합니다.
    사념처(四念處)는 ‘사념주(四念住)’ 라고도 하는데, 몸과 감각과 마음과 법에 있어 마음을 모아 관하는 방법으로써, ‘신념처(身念處) ․ 수념처(受念處) ․ 심념처(心念處) ․ 법념처(法念處)’의 네 가지를 말합니다.
    사념처 수행은 초기불교를 대표하는 명상법의 하나로서 몸(身)·느낌(受)·마음(心)·법(法)에 대해 지속적으로 알아차리는 것을 내용으로 합니다.
    사념처(cattāro satipaṭṭhānā)라는 명칭을 풀이하자면 ‘네 가지에 대한 마음지킴의 확립’이 된다. 몸이나 느낌 따위의 4가지를 놓치지 않고 주시함으로써 경험하는 현상들의 본질을 깨닫는 수행을 일컬어 사념처라고 하는데요. 이것은 팔정도의 일곱 번째 항목인 바른 마음지킴(正念)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또 이것은 사성제(四聖諦)의 실현을 최종 목적으로 하며 거기에 이르는 여러 절차를 망라하고 있습니다.
    #일묵스님 #사념처수행 #알아차림 #대념처경강의 #대념처경 #마음챙김 #초기불교수행 #불교 #불교방송
    ▶ BBS불교방송은?
    (재)BBS불교방송[Buddhist Broadcasting System(BBS), 佛敎放送 ]은 1990년 5월 1일, 2천만 불자님들의 원력과 보시로 태어난 불교계 유일의 공익방송 재단입니다.
    ▶ BBS 불교방송을 만나는 더 다양한 방법!
    앱: goo.gl/eP04GO
    홈페이지: www.bbsi.co.kr/
    유튜브: / bbskorea
    페이스북: bitly.kr/Xh2Wyu
    블로그: blog.naver.com/bbsfm1019
    트위터: / @bbs_tvnradio
    카카오스토리: story.kakao.com/bbsnews

Komentáře • 25

  • @user-ry5xx8ei9y
    @user-ry5xx8ei9y Před 5 měsíci

    대념처경의 서문에 대해 자세히 알 수 있어서 감사합니다. 참 빛나는 서언입니다 😊

  • @user-ph3kv3mm2k
    @user-ph3kv3mm2k Před 4 lety +11

    잘들었습니다 스님! 감사합니다

  • @user-mc3ei1lb6d
    @user-mc3ei1lb6d Před 4 lety +18

    스님의 법문 지속적으로 듣고 많이 도움이 되고 있어요 막연한 좋은 법문보다 자세히 짚어줘셔서 이해가 잘되어 너무너무 감사합니다 제따선원에 가보고싶어요

  • @user-do4rq6cu8k
    @user-do4rq6cu8k Před 5 měsíci

    스님
    자세한 설명 감사합니다.
    단순히 글로 읽었을때 이해 어려운 부분이 편하게 이해됩니다

  • @philsoolee1703
    @philsoolee1703 Před 7 měsíci

    감사합니다

  • @user-ob8ib3yb9f
    @user-ob8ib3yb9f Před rokem

    감사합니다.

  • @user-bz4mb7dd4m
    @user-bz4mb7dd4m Před 4 lety +7

    부처님법은 깨달음의 경계를 추구하는것(예를 관세음보살을 친견한다든가했을때 그것에 집착하는것)이 아니라 알아차림을 통해 번뇌를 버리고 열반을 실현하는것이다

  • @user-ot6uh3wm8k
    @user-ot6uh3wm8k Před 2 lety

    나의 몸과마음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알아차림으로 하루를 사는것이
    모르고 백년을 사는것 보다
    낫다.

  • @user-bz4mb7dd4m
    @user-bz4mb7dd4m Před 4 lety +6

    알아차림을 실천하는 도 ! 이 도 !가 유일한 길이다

    • @user-bz4mb7dd4m
      @user-bz4mb7dd4m Před 4 lety +3

      여래만이 설하신 (열반으로 가는)유일한 길이다 여기서 유일한이라는 개념은 알아차림이라는 것없이는 불교의 어떤류의 수행도 열반에 이를 수없다는 뜻이다

  • @sherrishin4616
    @sherrishin4616 Před 4 lety +6

    스님 감사합니다

  • @user-bz4mb7dd4m
    @user-bz4mb7dd4m Před 4 lety +8

    와 정말 법문이 속이 후련해집니다

  • @user-ri5zu4tr7f
    @user-ri5zu4tr7f Před 4 lety +7

    스님() 감사합니다. 몇달 전 책을 사 혼자 공부하다 막히는 부분이 많아 한번 읽기만하고 책꽂이에 있었는데 이렇듯 다시 꺼내어 스님의 가르침을 듣게되어 너무 감사합니다. 열심히 배우며 따라가겠습니다. 더불어 사성제 강의도 너무 잘 듣고 있습니다. 항상 건강 유념하시고 많은 기르침 부탁드립니다.

  • @user-kv9hu2ik4r
    @user-kv9hu2ik4r Před 4 lety +6

    잘 들었어요 감사합니다

  • @sumidiary
    @sumidiary Před 4 lety +10

    좋은 법문 감사합니다()()() 사념처에 대한 알아차림이 될때 불교공부가 정말 익어가는 것 같아요^^

  • @user-yo7hk4vl1s
    @user-yo7hk4vl1s Před 3 lety +3

    스님법문 들을수록 빠져들게 합니다
    스님께 감사드립니다

  • @user-bz4mb7dd4m
    @user-bz4mb7dd4m Před 4 lety +7

    부처님이 하신 법문 : 오온을 관찰하고 백년을 사는것보다 오온을 관찰하고 단 하루를 사는것이 낫다

    • @user-bz4mb7dd4m
      @user-bz4mb7dd4m Před 4 lety +1

      부처님 제자중 지계제일존자는 우바리존자이고 지계제일비구니는 빠따짜라

    • @user-ef9np7dh5u
      @user-ef9np7dh5u Před 2 lety +2

      오온을 관찰하고 백년을 사는것보다 ---> 오온을 관찰하지 않고 백년을 사는것보다

  • @user-bz4mb7dd4m
    @user-bz4mb7dd4m Před 4 lety +8

    (고정된)몸은 사마타를 계발하는 주제가 되고 (변하는)느낌이나 정신은 위빠사나수행의 주제가 된다

  • @user-xf8xx3ln6s
    @user-xf8xx3ln6s Před 3 lety +3

    귀한 강의 감사합니다-()-

  • @user-bz4mb7dd4m
    @user-bz4mb7dd4m Před 4 lety +6

    ' 개념과 실상 ,, 법 ' 사마타(삼매)를 계발할땐 개념을 대상으로하고 위빠사나(지혜)를 계발할땐 변하는 실상을 대상으로 한다 실상은 법이다

  • @user-je1ig2le5c
    @user-je1ig2le5c Před 2 lety +3

    사두 사두 사두

  • @user-bg4wp6tn3f
    @user-bg4wp6tn3f Před rokem

    감사합니다._()_

  • @user-bz4mb7dd4m
    @user-bz4mb7dd4m Před 4 lety +6

    사념처는 37조도품 = 37보리분법중에 하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