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이연기는 중간(中)의 가르침이다ㅣ일묵스님ㅣ2019.3.13. 제따와나선원 정기법회

Sdílet
Vložit
  • čas přidán 11. 03. 2019
  • 모든 존재들이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기를 바랍니다.
    후원하기: www.ihappynanum.com/Nanum/B/FC...
    홈페이지: www.jetavana.net
    네이버카페: cafe.naver.com/jetavana

Komentáře • 24

  • @user-xf8xx3ln6s
    @user-xf8xx3ln6s Před 3 lety +5

    스님의 말씀에 동감합니다. 부처님 말씀이 훼손되어서는 절대로 안됩니다.

  • @user-su5tx2nk5h
    @user-su5tx2nk5h Před 4 lety +4

    훌륭하십니다,스님.

  • @Kim-jt6kr
    @Kim-jt6kr Před 2 lety +2

    마음을 보면 연기를 이해할수있어요

  • @user-cp1ov9fx5n
    @user-cp1ov9fx5n Před 5 lety +10

    스님 ! 부처님가르침 그진리 12연기 조건에 의해 생멸하는 이치 법문 진심 감사드림니다~~! 고맙습니다~~!덕분입니다~~!🙏

  • @user-xf8xx3ln6s
    @user-xf8xx3ln6s Před 3 lety +3

    좋은 법문 감사합니다.-()-

  • @user-eo5fe3gl4k
    @user-eo5fe3gl4k Před 4 lety +4

    스님 강의 잘 들었습니다.

  • @user-fr4xz1fr3m
    @user-fr4xz1fr3m Před 4 lety +3

    감사합니다

  • @user-wt8nb2vu3h
    @user-wt8nb2vu3h Před 2 lety +1

    스님 감사합니다

  • @user-fy9th2js1h
    @user-fy9th2js1h Před 5 lety +3

    나무석가모니불

  • @user-fr4xz1fr3m
    @user-fr4xz1fr3m Před 4 lety +4

    공부하는 법을 가르쳐 주셔서 감사합니다

  • @leesa2700
    @leesa2700 Před rokem

    2

  • @changsoodim3458
    @changsoodim3458 Před 5 lety +2

    오직불심만이...

  • @user-ve8dg7gm8n
    @user-ve8dg7gm8n Před 4 lety +5

    12 연기를 아비달마의 '삼세 양중 인과설'로 해석하기보다, '이중표' 교수님 말씀대로 현재 내 마음속의 작용( 오온의 작용 및 축적 )으로 인한 (우리 인식 속의 ) 존재 ( 有 ) (我相 乃至 諸煩惱...)의 생( 生 )주이멸( 생노병사) 로 해석 하면 어떨까요? _()_

    • @Hwanz4880
      @Hwanz4880 Před 10 měsíci

      12연기에 대한 올바른 이해
      12연기를 행위의 진리로(아리야 쌋짜) 올바르게 풀이해야 맞습니다.
      12연기를 올바르게 풀이하지 않으면 모든 사람들이 애매모호하고, 알쏭달쏭하여 그 올바른 뜻을 알지 못합니다.
      12연기를 행위의 진리인 아리야 쌋짜 입장에서 해석해야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12연기는 고따마 싯달타께서 태어나기 이전에 이미 흰두교나 자이나교에 있던 것을
      고따마 싯달타께서 행위의 진리로 풀어 쓴 것입니다.
      고로 고따마 싯달타께서는 보리수 아래에서 12연기를 깨달았다거나 12연기로 깨달음을 얻은 것이 아닙니다.
      고따마 싯달타께서는 사라나무 아래에서 행위의 진리(아리야 쌋짜)를 알아 내신 것입니다.
      12연기
      행위의 진리로 본 십이연기-아리야쌋짜
      1무명(無明), 2행(行), 3식(識), 4명색(名色), 5육입(六入), 6촉(觸), 7수(受), 8애(愛), 9취(取), 10유(有), 11생(生), 12노사(老死), 우(憂), 비(悲), 고(苦), 뇌(惱).
      4)멀쩡한 사람의 몸과 마음으로, 1)해서는 안 될 무도한, 2)행위를 저질러, 5)6곳에, 6)닿는, 7)느낌을, 8)애착하고, 9)집착한다면, 11)살아가는 내내, 12)늙어 죽을 때까지, 근심하게 하고, 슬퍼하게 하고, 아프게 하고, 괴롭게 할 수, 10)있음을(나나, 다른 사람한테), 3)알았다.
      명색, 무명, 행, 육입, 촉, 수, 애, 취, 생, 노사, 우비고뇌, 유, 식

  • @jchulkim2231
    @jchulkim2231 Před 5 lety +2

    또, 시심마와 12연기와의 관계는 어떻게 되는지요? 감사합니다 ( )

  • @leesa2700
    @leesa2700 Před rokem

    정자와난자가 만났을 때 정신과 물질이 생기는데 업은 어디서 생기나요?

  • @jchulkim2231
    @jchulkim2231 Před 5 lety +1

    스님, 시심마가 이뭣고 라고들 하는데 한자를 풀이하면 다른 뜻이 되지 않나요? 시심마 중에서도 마자의 정확한 뜻을 모르겠는데 네이버 옥편을 찾아보니 1. 잗다 2. 그런가 3, 의문어조사등이 있더군요. 그럼 이뭣고가 의문문이니 마자를 의문 어조사로 해석해야하는가요? 답변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_( )_

    • @manhau9360
      @manhau9360 Před 2 lety

      다른 뜻 없고 이뭣고 맞습니다

  • @user-cz1yv2gb3d
    @user-cz1yv2gb3d Před 5 lety +2

    12연기를 알려면 전생을 보는 능력이 있어야 할것 같네요.저는 없어요.ㅠ

    • @Hwanz4880
      @Hwanz4880 Před 10 měsíci

      12연기에 대한 올바른 이해
      12연기를 행위의 진리로(아리야 쌋짜) 올바르게 풀이해야 맞습니다.
      12연기를 올바르게 풀이하지 않으면 모든 사람들이 애매모호하고, 알쏭달쏭하여 그 올바른 뜻을 알지 못합니다.
      12연기를 행위의 진리인 아리야 쌋짜 입장에서 해석해야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12연기는 고따마 싯달타께서 태어나기 이전에 이미 흰두교나 자이나교에 있던 것을
      고따마 싯달타께서 행위의 진리로 풀어 쓴 것입니다.
      고로 고따마 싯달타께서는 보리수 아래에서 12연기를 깨달았다거나 12연기로 깨달음을 얻은 것이 아닙니다.
      고따마 싯달타께서는 사라나무 아래에서 행위의 진리(아리야 쌋짜)를 알아 내신 것입니다.
      12연기
      행위의 진리로 본 십이연기-아리야쌋짜
      1무명(無明), 2행(行), 3식(識), 4명색(名色), 5육입(六入), 6촉(觸), 7수(受), 8애(愛), 9취(取), 10유(有), 11생(生), 12노사(老死), 우(憂), 비(悲), 고(苦), 뇌(惱).
      4)멀쩡한 사람의 몸과 마음으로, 1)해서는 안 될 무도한, 2)행위를 저질러, 5)6곳에, 6)닿는, 7)느낌을, 8)애착하고, 9)집착한다면, 11)살아가는 내내, 12)늙어 죽을 때까지, 근심하게 하고, 슬퍼하게 하고, 아프게 하고, 괴롭게 할 수, 10)있음을(나나, 다른 사람한테), 3)알았다.
      명색, 무명, 행, 육입, 촉, 수, 애, 취, 생, 노사, 우비고뇌, 유, 식

  • @user-to1qq3nk5u
    @user-to1qq3nk5u Před 4 lety +1

    어정쩡합니다... 아는것 같기도 하고 모르는 것 같기도 하고... 좀더 단순화 시키면 될 듯한데요

    • @Hwanz4880
      @Hwanz4880 Před 10 měsíci

      12연기에 대한 올바른 이해
      12연기를 행위의 진리로(아리야 쌋짜) 올바르게 풀이해야 맞습니다.
      12연기를 올바르게 풀이하지 않으면 모든 사람들이 애매모호하고, 알쏭달쏭하여 그 올바른 뜻을 알지 못합니다.
      12연기를 행위의 진리인 아리야 쌋짜 입장에서 해석해야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12연기는 고따마 싯달타께서 태어나기 이전에 이미 흰두교나 자이나교에 있던 것을
      고따마 싯달타께서 행위의 진리로 풀어 쓴 것입니다.
      고로 고따마 싯달타께서는 보리수 아래에서 12연기를 깨달았다거나 12연기로 깨달음을 얻은 것이 아닙니다.
      고따마 싯달타께서는 사라나무 아래에서 행위의 진리(아리야 쌋짜)를 알아 내신 것입니다.
      12연기
      행위의 진리로 본 십이연기-아리야쌋짜
      1무명(無明), 2행(行), 3식(識), 4명색(名色), 5육입(六入), 6촉(觸), 7수(受), 8애(愛), 9취(取), 10유(有), 11생(生), 12노사(老死), 우(憂), 비(悲), 고(苦), 뇌(惱).
      4)멀쩡한 사람의 몸과 마음으로, 1)해서는 안 될 무도한, 2)행위를 저질러, 5)6곳에, 6)닿는, 7)느낌을, 8)애착하고, 9)집착한다면, 11)살아가는 내내, 12)늙어 죽을 때까지, 근심하게 하고, 슬퍼하게 하고, 아프게 하고, 괴롭게 할 수, 10)있음을(나나, 다른 사람한테), 3)알았다.
      명색, 무명, 행, 육입, 촉, 수, 애, 취, 생, 노사, 우비고뇌, 유, 식

  • @Hwanz4880
    @Hwanz4880 Před 10 měsíci

    12연기에 대한 올바른 이해
    12연기를 행위의 진리로(아리야 쌋짜) 올바르게 풀이해야 맞습니다. 정신 차리세요.
    12연기를 올바르게 풀이하지 않으면 모든 사람들이 애매모호하고, 알쏭달쏭하여 그 올바른 뜻을 알지 못합니다.
    12연기를 행위의 진리인 아리야 쌋짜 입장에서 해석해야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12연기는 고따마 싯달타께서 태어나기 이전에 이미 흰두교나, 자이나교, 6사 외도에 있던 것을
    고따마 싯달타께서 행위의 진리로 풀어 쓴 것입니다.
    고로 고따마 싯달타께서는 보리수 아래에서 12연기를 깨달았다거나 12연기로 깨달음을 얻은 것이 아닙니다.
    고따마 싯달타께서는 사라나무 아래에서 행위의 진리(아리야 쌋짜)를 알아 내신 것입니다.
    12연기
    행위의 진리로 본 십이연기-아리야쌋짜
    1무명(無明), 2행(行), 3식(識), 4명색(名色), 5육입(六入), 6촉(觸), 7수(受), 8애(愛), 9취(取), 10유(有), 11생(生), 12노사(老死), 우(憂), 비(悲), 고(苦), 뇌(惱).
    4)멀쩡한 사람의 몸과 마음으로, 1)해서는 안 될 무도한, 2)행위를 저질러, 5)6곳에, 6)닿는, 7)느낌을, 8)애착하고, 9)집착한다면, 11)살아가는 내내, 12)늙어 죽을 때까지, 근심하게 하고, 슬퍼하게 하고, 아프게 하고, 괴롭게 할 수, 10)있음을(나나, 다른 사람한테), 3)알았다.
    명색, 무명, 행, 육입, 촉, 수, 애, 취, 생, 노사, 우비고뇌, 유, 식

  • @user-vu5zj5mz9t
    @user-vu5zj5mz9t Před rokem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