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론 머스크가 생각하는 '최고'의 학습 방법

Sdílet
Vložit
  • čas přidán 13. 09. 2024

Komentáře • 410

  • @최현석-l1v
    @최현석-l1v Před 15 dny +323

    공부하고 다 알고 난 후 해보기 X -> 속도 느림
    일단 해보고 모르는 것 공부하기 O -> 속도 정말 말도 안되게 빠름

    • @knownun5319
      @knownun5319 Před 14 dny +21

      대부분의 학창시절 공부를 기똥차게 잘했던 친구들이 다 이렇게 공부했더라구요
      심지어 공시에 붙은 친구들도 다 이 방법으로 공부했구요
      애초에 다 알고 100퍼로 시작하는게 말이 안된다 생각합니다
      AI도 인간의 학습방법을 모방해서 만든건데
      인간의 의도대로 돌아가게끔 설계한 AI마저 초기 학습시에는 틀린것과 헛점 투성이 입니다

    • @shk1704
      @shk1704 Před 14 dny +9

      정망 공감합니다^^ 처음부터 이론으로 모든걸 알고 할려면 지겹고 어렵죠. 하면서 모르는 것을 찾아가면 재밌고 효율적입니다^^

    • @jaek0201
      @jaek0201 Před 12 dny +12

      저도 공부는 오히려 취업하고 나서 공부의 필요성을 느꼈고 학습성과가 대학교 시절과는 비교가 안되게 증가한다고 느꼈습니다.
      IT엔지니어로 일하고 있는데 학교에서 배웠던 파이썬 네트워크 OS 시스템 DBMS등의 용어들과 각 분야별의 수업들이 학교때는 재미가 없고 왜 배워야 하는지도 몰랐는데
      되려 취업하고 해당 기술들을 진짜로 써먹으니 오히려 프로젝트 할때마다 무슨 기술들이 필요하고 공부를 해야할지 보이더라고요. 그리고 당장 적용해야 하니 강제로라도 열심히 배울수 밖에 없고요.
      이런거 볼때 '이걸 그냥 공부해.'라는 건 교육으로써 의미가 없고 '왜 공부를 해야하지?'를 먼저 체감시킨 다음 공부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끼게 해서 공부시키면 학습효율이 500%는 증가할 수 있다고 장담합니다.

    • @Retis1
      @Retis1 Před 10 dny +7

      ㄹㅇ 띄엄띄엄 알고 있던 지식들이 쓸모 없는게 아니고 학습 속도를 빠르게 해줌. 심지어 지식이 완성된게 아니라 "이건 왜 그런거지?" 를 생각하게 만들어서 학습 효과도 좋고 머리도 많이 쓰게 만듬

    • @user-yp4zc3mz6n
      @user-yp4zc3mz6n Před 3 dny +1

      이렇게 하면 단점 레벨이 오르고 뒤돌아보니 개판이라서 나중에 다시 뜯어고쳐야함

  • @bk4995
    @bk4995 Před 18 dny +500

    현직 고등학교 교사입니다. "학생은 교사를 섬기기 위해 있는 것이 아니다, 교사가 학생을 돕기 위해 있는 것이다"라는 말에 전적으로 공감합니다만, 국가교육과정이 학교에 강제되는 한 전통적 교육이 없어질 방법이 있을지 계속 고민됩니다. 학생들에게 최대한 자신의 호기심을 탐구해보라고 하고있습니다만, 그렇다고 해서 진도를 안 나가고 진도 내에서 시험을 안 보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에요. 지금의 교육정책은 교사를 주인의 명령을 기다리는 개로 만들어놓았다고 생각합니다(학생뿐만 아니라). 저도 이를 해결하고 싶은 마음에, 먹이를 쫓는 독수리처럼 어떻게 해야 진도를 나가는 과정에서도 학생에게 자기주도적인 성향을 발휘하게 할지를 계속 고민하고 있습니다..

    • @aclcoy
      @aclcoy Před 18 dny +41

      솔직히 공교육에서 전세계적인 혁명이 일어나지 않는 이상, 독수리같은 교육법은 불가능할거 같네요. 자녀에게 이런 영상같은 독수리 마인드를 부모가 접하게 해주는 게 최우선이라고 봅니다.
      공교육을 포기하고 홈스쿨링이나, 좀 특별한 사립학교에 보내는 것도 대안이 될 수 있을 것 같네요.

    • @medleyed
      @medleyed Před 18 dny +26

      훌륭한 선생이군요

    • @CoreeA84
      @CoreeA84 Před 18 dny +28

      유튜브가 학교를 대처할 겁니다. 홈스쿨이 더 선진적인 교육 시스템입니다. 다만, 같은 또래의 아이들과 어울릴 수 있는 기회가 없다는 것만 제외하고는요..그래서 뜻이 있는 재력가가 사립학원을 학교처럼 운영하는게 최고가 아닐까 싶습니다.

    • @user-xc2mp3bk8q
      @user-xc2mp3bk8q Před 18 dny +22

      학교를 없애고 홈스쿨 시스템으로 집에서 공부하면 됩니다. 진도도 본인이 스스로 나갈 수 있죠. 졸업을 위해서는 자기가 준비되었을 때 시험장에 가서 시험치고 통과하면 다음 학년으로 진학합니다. 검정고시 생각하면 되겠고요. 이러면 학교 폭력도 없어집니다. 다만 교사나 학원들이 직업을 잃겠네요...

    • @Dabea_dietdelivery
      @Dabea_dietdelivery Před 18 dny +6

      고등교사만큼 할일없이 빈둥빈둥하는 교사가 없지

  • @youmeatfive9702
    @youmeatfive9702 Před 19 dny +195

    교육업에 종사하면서 가장 나를 찌르는 고민이기도 했죠 나는 과연 주인을 기르는 것인가 노예를 기르는 것인가 국가가 노예를 양성할 것을 장려하면 망국으로 갈 것이고 주인을 양성할 것을 장려하면 강국으로 갈 것입니다 우리가 어디쯤 와있을지는 말을 안 해도 다들 알 것입니다😥

    • @allseeingeyesseanoon8121
      @allseeingeyesseanoon8121 Před 18 dny +14

      서구의 학교 교육이 시작된 근원을 찾아 보시면 쉽게 알 수 있습니다.

    • @user-xk4jk7jj6z
      @user-xk4jk7jj6z Před 18 dny

      한국 교육은 전형적인 노예 양성소죠

    • @ssasta2
      @ssasta2 Před 18 dny +7

      총기 합법화하고 수많은 희생을 거치고 지금의 감시 통제 갑질의 마인드에서 존중 명예 정의로 인식이 바뀌게 되면 선진 노예국에서 선진국으로 바뀌게 되겠지. 그럴일 없음. 모두가 화만 많고 개나 양아치화 되있지. 그래서 얘도 안 낳는거고.
      딱 하나 좋은점은 있다. 산다는건 인간보다 약한 생명의 희생으로 가능한건데 삶이 고통스러우면 현세에서 조금이나마 죄를 갚는 의미는 았겠지

    • @찐타
      @찐타 Před 18 dny +25

      ㅋㅋ 기득권들이 주인을 기르겠음?? 지들 밥그릇 뺏기는데 ㅋㅋ 사교육 , 부동산, 정치 전부 가스라이팅 제대로 해놨지 ㅋㅋ 지들끼리 싸우게하면서 개꿀빰

    • @DoneJinx
      @DoneJinx Před 18 dny

      한국은 국민 교육을 미국은 엘리트 교육을 추가 하기 때문에 미국은 그 교육 해야 할 엘리트에게 창의성과 주인성을 주입하려 하고 한국은 국민전체에게 창의성과 주인성을 주입 한다면 통제 하기 어려울 것이기 때문에 바보 같은 참아내는 노예 교육을 한다고 생각함

  • @park-k7l
    @park-k7l Před 17 dny +65

    절대적으로 맞는 말입니다
    교육 시스템의 문제는
    호기심많은 애들을 묶어두고
    호기심을 다양한 분야로 뻗지 못하게
    하는데 문제가 있지요
    본인이 흥미를 가지고 게임을 하듯이
    먹이를 노리는 독수리처럼 모르는것을 학습을 사냥하며 살면
    삶이 즐겁고 자연스레
    실력도 늘 수 밖에 없습니다
    그 과정이 즐거움만 있는 것은 아니겠지만 학교에서처럼 교육에대한
    회의감과 무력함 지루함만 있진 않을거라고 생각합니다
    내 인생에서
    친구들을 만나고 다양한 사람들과의
    인간관계를 형성했다는 좋은 점을 제외하면 학교 교육 시스템만큼 저를 죽고싶게
    만든게 없습니다

    • @G80G70
      @G80G70 Před 13 dny +1

      그러나 우리 교육 시스템이 그걸 할 역량이 될까요? 아니 우리가 그걸 받아즐일 역량이 있을까요? 우린 그걸 안받아들이는 선택을 한거 아닌가요? 현재는?

    • @jaek0201
      @jaek0201 Před 12 dny

      ​@@G80G70그건 굉장히 못된 생각인거 같은데요. '우리때는 이렇게 했으니깐 너희도 똑같이 해라.'
      이게 군대마인드랑 뭐가 다른지 모르겠습니다. 지금까지 해왔던 교육 시스템의 부작용이 계속해서 나오고 있고 그게 사회 전반적으로 영향을 끼치고 있는데다 저출산과 장기적 고령화로 인해 한국이라는 나라 자체의 미래가 문제이니.
      지금까지 해왔던게 잘못이면 바꿔야죠. 실패한걸 왜 끝까지 물고 갑니까

    • @G80G70
      @G80G70 Před 11 dny

      @@jaek0201 그게 우리 현재 수준이니까. 불편할런지 몰라도. 솔직히 불편함을 느낄 정도의 수준인 사람이 얼마나 될까? 우리 수준을 본다면..

  • @user-rh4tm2el9j
    @user-rh4tm2el9j Před 13 dny +48

    위의 교육은 소수만이 가능한 교육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코로나 시절 온라인교육으로 인해 학생들의 문해력 및 기초기본교육이 많이 무너졌어요ㅠ
    자기주도적인 학습이 가능한 학생들은 생각보다 비율이 높지 않아요. 저도 학교보다 집에서 공부하는 것도 나쁘지 않다고 생각했는데요. 오히려 지금은 학교교육이 더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고리타분하게 생각할 지 모르나 기초, 기본교육을 충실히 한 학생들이 창의성이 높아요. 현재 초등학교에서 코로나로 인한 학생간의 학력차이가 심해져서 국가에서 예산이 엄청나게 내려오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 @user-bj8yl7zc6x
      @user-bj8yl7zc6x Před 7 dny +2

      말그대로 기초 기본만 하면되는데 아닌게 훨씬 많죠. 한가지더 말하자면 필요한 능력을 배우는 방법이 학교교육뿐만이 아니란게 영상 핵심입니다. 학교교육에 묶인상태에서 코로나로 학교교육마저 안되니 교육이 안된것이지 애초부터 다른방식의 교육을 받는다면 비약적인 자기주도성장을 이룰수있습니다

    • @overcome496
      @overcome496 Před 7 dny

      그렇기에 애초에 평등은 불가능한 사안인 것임.

    • @세이미아
      @세이미아 Před 4 dny

      자기주도학습 가능한 학생이 전체의 10프로나될까요 ㄷㄷ

    • @user-pq1bp8tu7v
      @user-pq1bp8tu7v Před 2 dny

      공교육 자체가 타겟이 엘리트 천재, 상위권에 맞춘게 아니기 때문에 그 부분 백날 지적해봐야 어쩔수가 없음 세상에 모두를 만족시킬만한 시스템은 없다..절충이 있을뿐

  • @user-sd1cz3gx3k
    @user-sd1cz3gx3k Před 9 dny +9

    현 공대생 아들을 둔 학부모입니다~공교육은 중1학년을 끝으로 고졸검정고시를 패스하고 스스로 독학을 해서 지금은 국립학교를 재학중이며 물론 장학금을2개나 받아 아주 만족해 하며 자기 주도적인 삶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학폭이며 이런건 전혀 없었구요~독서,글쓰기,악기,여행등..일반적인 아이들과는 좀 다른 방식으로 성장 했지만 본인 스스로 삶을 개척하며 부모로서 더이상 신경쓸일 없을 만큼 서로가 응원하며 격려하며 공생합니다~ 인문학적인 소양이 커다란 자양분이 된걸 본인도 인정합니다~^^

  • @_david6885
    @_david6885 Před 6 dny +11

    대학도 엄밀히 말하면 국가에서 허가받은 학원사업임..

  • @MrDouble91
    @MrDouble91 Před 7 dny +8

    얘기한 내용은 적용되는 분야마다 다를것 같습니다
    몸담고 계시는 분야는 이론을 완벽히할게 아니라 몸소 부딪히면 개발 시키는게 맞겠으나,
    이론분야 (예를 들어 자연과학) 같은경우에는 이론을 완벽히해야만 문제를 다루는것들이 완벽해집니다
    그건 변하지 않습니다

  • @user-gd2ed1xl4y
    @user-gd2ed1xl4y Před 19 dny +41

    오늘 인사이트도 강력했습니다.
    정말로 교육분야는
    특별히 교수법과 배움의 방법은
    정말 변하지 않은 고인물 같습니다.

    • @bk4995
      @bk4995 Před 18 dny

      연구는 정말 많이 됐는데, 모든 교육기관으로 일반화가 정말 안되는 분야라고 봄😢

    • @seokahwng
      @seokahwng Před 8 dny

      연구는 많이 되었죠. 하지만 우리 사회가 그걸 원하지 않습니다. 수능만 잘 풀고 공정하고 획일적인 점수를 받아서 좋은 등수 받는 게 목표이니까요. 일론 머스크가 말하는 교육이 아무리 좋아도 학교 교육에 적용이 될 것 같은가요. 적용하면 각종 반발에 부딪힐 것이고 지금껏 그래왔습니다.
      대입 서열화와 수도권 집중 해결 안되면 아무것도 안 바뀝니다.

    • @hyoyojung
      @hyoyojung Před dnem

      점수라는게 서열화를 벗어날수가 없는건데요???​@@seokahwng

  • @bewatar
    @bewatar Před 16 dny +12

    오늘날 격자교실에 궁댕이 앉혀놓고 아침부터 저녁까지하는 근대교육은, 산업화 시대를 맞아서 컨베이어벨트에 앉아서 문제 일으키지않고 시킨걸 묵묵히 하는 말잘듣는 노동인구를 대량생산하기위해 탄생한 교육이다.
    근대화 이전 귀족들만의 전유물이던 전인교육이 그나마 괜찮은 찐교육...인간을 부속품처럼 부릴려다보니 일괄적으로 자연계, 인문계, 예체능으로 분류하면서 좀 더 효율적인 노예를 생산하기위해~ 인간을 재단한거~~
    인간은 전인적 인간이다... 다 흥미있고 재미을 느끼고 이것저것 하고 놀고싶어한다.

  • @zyxwvutsrqpon_lk_ihgfedcba
    @zyxwvutsrqpon_lk_ihgfedcba Před 19 dny +118

    저도 이걸 30대 후반이 되어서야 알게 됐음. 그동안 자격증 같은 걸 따기 위해 들인 시간들이 얼마나 허망했는지 뒤늦게 알게 되었네요.

    • @lesoul700
      @lesoul700 Před 18 dny +1

      혹시 어떤 자격증인지여쭤봐도 될까요?

    • @Sunflower-qw3ww
      @Sunflower-qw3ww Před 18 dny +1

      기사자격증이겠지머

    • @찐타
      @찐타 Před 18 dny +2

      @@zyxwvutsrqpon_lk_ihgfedcba 그래도 노인네들은 자격증 자격증 타령을하죠 에휴 ㅋㅋ

    • @jeiw5705
      @jeiw5705 Před 15 dny +18

      ​​@@Dohunkim777저도 젊을 때는 자격증 따는 거 부질없는 짓이라 생각했는데 더 살아보니 아닙니다. 어딘가를 지원할 때 학력 외에 자신이 최소한의 다른 노력을 했음을 보여주는 의미와 가치가 있더라구요. 틀에 박힌 지식일지라도 그것을 얻기 위해 노력해 본 사람과 안 해본 사람의 자질은 다르긴 합니다. 고퀄 자격증은 말할 것도 없구요. 대단히 창의적이고 의지가 강한 사람이라면 굳이 따지않아도 되겠지만요.

    • @boson6546
      @boson6546 Před 15 dny +14

      자격증 자체로는 실무에 쓸모도 없고 왜 따나 싶은데, 그 자격증마져도 없는 사람도 많고 땃다는 것 자체로 최소한 관심이 있다는걸 증명할 수 있음.

  • @duddnd9968
    @duddnd9968 Před 18 dny +9

    정말 너무나도 공감되는 말입니다. 아무리 강의를들어도 지루하고 다못끝냇엇는데, 내가하고싶은 프로젝트에 제가 일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얻어, 그후로 그프로젝트에 필요한지식들만 배워나갔더니 집중이 너무나도 잘됩니다. 애드님에 말에 정말 많이 공감됬습니다. 또 한번 확신이 생기네요. 감사합니다.

  • @youngjunehong8037
    @youngjunehong8037 Před 18 dny +12

    인공지능 기술을 보면 내가 아무리 배워봤자 새로운 기술들이 쏟아짐. 인공지능 기술을 배울것이 아니라 나만의 데이터를 가져야함. 내가 직접 고유하게 만들수 있는 어떤 정보. 기업에서 접근하지 못하는 데이터를 가지고 시중에 나오는 인공지능에게 학습시키면 나만의 모델을 가질수있음. 결국 기술이 아니라 내가 좋아하는 유형 무형의 유니크한것을 가져야함. 인공지능 기술은 그저 도와주는 도구로 사용하는 것.

    • @hjkim8015
      @hjkim8015 Před 13 dny

      이거맞는말입니다.
      Ai도 결국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고있기때문에 아무리 성능이좋아도 질좋은데이터가 없다면 의미가없는거죠 앞으로의 시대는 내 분야에서 ai조차 접근하지못했던 질적으로 차원이다른 데이터를 만드는작업입니다. 전그리생각하네요..
      Ai는 철학적으로 감성적 창의성이 없기때문에 그부분에서는 창조적데이터가 어렵다고 판단됩니다...
      일부 종목들은 데이터가오픈되어있어 그분야들은 어려울수있겠지만요...

    • @youngjunehong8037
      @youngjunehong8037 Před 9 dny

      인공지능 기술책들 보면 이미 기업들이 함수화해서 만들어놨음. 각 함수 사용법 익히고 조합해서 실행만 할줄알면 됨. 복잡한 이론은 전부 명령어로 되어 있음. 결론은 양질의 입력데이터를 가지고 있으면 됨.

  • @lesoul700
    @lesoul700 Před 18 dny +24

    3:14 이거 진짜 맞는 말 같습니다

  • @shanetogukawa6890
    @shanetogukawa6890 Před 15 dny +28

    나이 40 먹고 보니 학교는 어쩌면 시간낭비같은 생각이 많이 들엇음 솔직히 초등학교땐 산수와 사회에서 더불어 살기때문에 에티켓 과 예절이 가장중요하다고 생각함 자기가 원하는 적성을 찾아서 알아서 골라서 공부하는 시스템을 만들어야지 그냥 애들 똑같은것만 주입식으로 하는건 미래를 죽이는것임 애들이 스스로 생각할수있는걸 가르쳐야지 주입식은 한계가 있음 그래서 한국만 노벨상 수상자가 안나오는것임 창의성을 죽이는 교육은 이젠 필요가 없음

  • @ninaontheway
    @ninaontheway Před 7 dny +4

    대다수는 일론머스크처럼 될 수 없고 그가 주장하는 교육법을 따라갈 수 없다는 것을 간과한 영상
    과반수는 가이드가 없으면 즐거움에 몰입하는 단계에 이르지 못함 중도포기해버리거나 자신이 만족할만한 결과물을 내놓지 못해 흥미를 잃음
    그리고 대다수는 일론머스크처럼 천재가 아니기에 인류가 오래도록 쌓아온 지식과 지혜를 받아들이는 게 효율적

  • @why9245
    @why9245 Před 15 dny +33

    교육은 단순히 데이타를 뇌에 넣는 작업이 아니라 사람됨됨이를 가르치는 작업도 포함합니다. 지루하고 따분한 과정도 견디며 인내라는 것을 배우고, 그럼에도 해내는 과정에서 성취감과 자아존중감이 높아지죠. 친구와의 관계에서 이타가 무엇인지 양보와 사회에 대해 알아갑니다. 모두 사람이 되는 과정입니다. 그것이 데이타를 집어넣는 것보다 훨씬 중요하기 때문에 그 지루하고 고리타분한 과정을 해낼 수 있도록 격려해가며 가르치는 것입니다.

    • @user-hz3lq1fh5o
      @user-hz3lq1fh5o Před 14 dny +9

      1. 쓰지 않는 지식을 주입시키며 억지로 견디는걸 인내하는 것이라 하는것은 매우 논리비약적이라고 봅니다
      40살 넘은 성인이 자신이 원치 않고 필요도 없는걸 누가 시킨다고 억지로 하루 2시간씩 이행한다고 해봅시다, 그걸보고 "인내"라는 것을 배운다고 할 수 있을까요?
      근대 어째서인지 청소년에게는 그걸 "인내"라고 칭하는데 , 사실 자신이 원하는걸 몸으로 느끼고 체험하고 이행하면서도 그 동안에도 얼마나 많은 인내의 시간이 필요한데
      일론 머스크 말대로 미래에 쓰이지도 않을 것들, 자신이 한 분야에 전문가가 되기위해 걷는 길에 불필요한 것들을 주입하는 불필요한 행위가
      그걸 감내해야 하는 대상이 청소년이라고 하여 이젠 더 이상 인내라는 이름으로 불려서는 안됩니다

    • @user-hz3lq1fh5o
      @user-hz3lq1fh5o Před 14 dny +8

      2. 학교에 가는 것과, 불필요한 것을 억지로 주입하는 것은 다릅니다
      학교에 가서도 자신이 원하는 것을 직접 몸으로 느끼고 경험하고 체험하고 그럼으로서 필요를 스스로 느껴서 알아서 찾아보고 공부하게끔 된다면야 가장 이상적인 교육이겠죠
      하지만 현재의 공교육이라는 것은 애초에 직접 독수리나, 사냥꾼이 되어 지식을 물어채가기 위한 포지셔닝이 안되서 대부분의 학생들은 시간을 헛으로 날리고 있죠
      그 공교육 교육 형국을 보고 일론 머스크가 지적한 것이지 학교에서 배울게 없다 라고 한 것이 아니죠 이 부분을 비약하여 학교가 필요없다 ㅡ> 양보 이타 관계에 대해 배우지 못한다
      이런 논리 프로세스를 거친것도 오류라고 봅니다
      학교가 사람이 모인 곳으로서 확실히 강제로 이 집단에 머물게 하면서 사회화 하고 , 사람 사이의 관계에 대해 체득시키게 되는 과정은 분명 있으나
      그러나 저는 사람 모인 곳이라면 어디에서나 그 기능을 하는거라고 봅니다
      그럴 것이면 자신이 추구하는 , 원하는 진정한 목표를 위해 스스로 학습하고 프로젝트를 진행해가는 집단을 보다 빨리 이루어서
      이 집단 내에서 공통의 목표를 추구하며 사람들과 교류하면 사람 모인 곳이고 , 또한 목적과 목표가 있는 집단이기 때문에 오히려 의자에 앉아있아 강연자의 말을 듣기만 해야하는 곳보다
      더 복잡하고 다양한 관계 역학이 발생함으로 더 관계 조율 능력이 성장하게 될 것 입니다

    • @leejason7946
      @leejason7946 Před 12 dny +2

      오히려그런과정은 가정내에서 부모통해배우는게 제일중요합니다.
      사회성은 학교에서배우는게아니라 가정에서 배우고 길러지는것이거든요.
      그럼의미에서 사실상 학교란 곳은 큰의미기없는곳입니다.
      가능하면 학교를 안보내는게 가장좋으며 보낸다면 가정에서 부모가 제대로 필로업을하며 교육시켜야합니다

  • @shk1704
    @shk1704 Před 14 dny +50

    맞는 말이긴 하지만 맹점이 있습니다. 우리 대부분은 독수리가 아니라 잘 길들여진 강이지에 가깝게 살아간다는거죠. 일론머스크야 뭐 독수리중에 독수리이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회사에서, 직장에서 상사 눈치를 보고 동료들과 잘 어울리며 평생을 살아가야합니다.
    만약 여러분이 스타트업을 할거라면 학교교육은 별 의미가 없습니다. 대학을 가기보다는 의무교육과정을 마치고 읽기 쓰기 셈하기 정도만 알아도 자신이 원하는 것을 직접 하면서 세상과 부딪히는것이 낫습니다.
    하지만 여러분이 독수리의 삶이 아닌 안정적인 삶을 원한다면 안정적인 교육이 필요할 것입니다. 좋은 대학 졸업장도 도움이 되지요. 중요한것은 자신이 독수리인지 강아지인지 알아야 한다는 것입니다. 20대가 되기전에 이를 안다면 크게 성공할 수 있을것이며 30이 되기전에 알기만해도 괜찮습니다.
    하지만 30이 넘도록 자신이 독수리인줄 알고 착각하는 강아지였다면 남은 인생은 정말 비참한 결과만 있을것입니다...

    • @shk1704
      @shk1704 Před 14 dny

      @@psychoanalysis-jiabaoyu 강아지와 독수리 비유는 제가 한게 아니라 머스크가 한겁니다만?? 그정도 상황판단도 없이 함부로 지껄이는 그 주둥아리가 공부를 안한 결과겠지 ㅋㅋ

    • @user-nc2hs4rp7l
      @user-nc2hs4rp7l Před 13 dny

      @@psychoanalysis-jiabaoyu 맥락맹

    • @nak771
      @nak771 Před 13 dny +18

      학습관을 20~30대에 결정해야 한다는 생각은 현실적이지 않아 보입니다. 30이 넘어 알게되면 비참한 결과라니 너무 과도한 일반화입니다. 이런 관점은 평생학습의 중요성과 다양한 인생 경험의 가치를 무시하는 것 같습니다. 현대 사회는 빠르게 변화하고 있어서 고정된 학습 방식으로는 적응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실제로 나이와 상관없이 기존의 길과 전혀 새로운 분야로 성공한 사례들이 많습니다. 학습과 성공에는 나이 제한이 없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특정 나이까지 학습관을 정립해야 한다는 생각은 오히려 불필요한 압박감을 줄 뿐입니다. 결국 중요한 건 평생에 걸쳐 자신의 학습 방식을 계속 발전시키고 개선해 나가는 유연한 태도라고 생각합니다. 이 영상이 그것을 생각해보게 되는 계기가 되길 바랍니다. 이런 접근이 현대 사회에서 더 성공적인 삶을 사는 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 @leejason7946
      @leejason7946 Před 12 dny +9

      애초에 자신을 강아지라 생각히는거자체가 잘못된전제죠.
      대부분이 그렇게살아간다고 강아기깉은 교육과가치관을 배워야한다는거 자체가 나는 노예로 살아가겠다라는 선언하는것과 다를바가없습니다 ㅎ
      누구든지 독수리처럼살아갈수있는데 말이죠.

    • @cast-awaken
      @cast-awaken Před 12 dny +1

      왜꼭 잘 길들여진 강아지처럼 살아가야하는지요

  • @yjs2382
    @yjs2382 Před 12 dny +10

    교육이라는건 몇 천년동안 쌓아온 인류의 지식을 전달 받는거고
    이후에 그 기반하에 자기의 능력을 발휘하는거지. 세상의 이치도 깨닫지 못하고 맛집이나 찾아다니다 인생을 마감할 사람들로 가득찰까봐 걱정이네.

  • @user-xc2mp3bk8q
    @user-xc2mp3bk8q Před 18 dny +11

    학교를 없애고 홈스쿨 시스템으로 집에서 공부하면 됩니다. 진도도 본인이 스스로 나갈 수 있죠. 졸업을 위해서는 자기가 준비되었을 때 시험장에 가서 시험치고 통과하면 다음 학년으로 진학합니다. 검정고시 생각하면 되겠고요. 이러면 학교 폭력도 없어집니다. 학교는 단지 사회성을 위한 장소로 하루 서너시간 또래 아이들과 대화하고 질서를 배우는 장소로 이용하면 됩니다. 물론 아이들이 모여있을 때는 보호나 통제 안전을 위한 감독관은 필요하고요. 학교는 단지 사람들과 어울리는 법을 배우고 놀고 대화하는 곳이면 됩니다. 그리고 집에 가고요. 다만 이러면 많은 교사들이 일자리를 잃습니다. 그래서 반대하겠죠. 학교 시스템은 개개인의 맞춤형 시스템이 아니기 때문에 문제가 되는 것입니다. 옷을 사서 입는데 사람이 옷에 맞춰야 하는 상황인 셈이죠.

    • @leejason7946
      @leejason7946 Před 12 dny

      더 웃긴건 그 사회성조차도 학교에서가아니라 가정에서 배운다는 사실이죠 ㅎ
      이걸 아는사람은 학교를 안보내지요^^
      학교가서 이득될게 사실 1도없어서 ㅎ

    • @Udong121
      @Udong121 Před 7 dny

      아니 그러면 누가 홈스쿨링을 해줘야 하나요 ㅠ 부모 아닌가요 그럼 부모는 일 안하나요.. 이런 이유로 학교가 생긴거겠지만요..

  • @user-gj3ro3rc1o
    @user-gj3ro3rc1o Před 19 dny +8

    자녀들 직업과 교육에 대한질문을
    최근인터뷰에서 질문받았을때 가장긴 퍼즈가 있었답니다. 나의일일때 내자녀일때 남의자녀일때 혹은 남일때...인간의 윤리가치는...

  • @user-qb6vj7pj9m
    @user-qb6vj7pj9m Před 7 dny +3

    정말 그렇다. 수학교육처럼 주입식으로 배우다가 결국은 수포자가 된다. 그런데 자신의 속도에 맞추어서 천천히 이해될 때까지 천천히 하나 하나씩 공부해나가다보면 정말 수학자가 될 수 있다. 그런데 한국의 중고등학생들에겐 정말 수포자를 양성하는 압도적인 내용을 주입식으로 가르친다. 이건 수학을 빨리 포기하세요. 당신은 수학을 배울 수 없는 바보예요. 그런 확신을 심어줄 뿐이다.

  • @MrSeungseung
    @MrSeungseung Před 8 dny +3

    1:37 공부는 일처럼 하는게 아니다. 비디오 게임처럼 하는 거다.
    성적에 닦달하지 않기. 게임처럼 문제에 자주 도전하고 실패해도 괜찮다는 마음갖기.
    머스크가 온라인 게임이 아닌 비디오 게임이라 언급한 걸 보면, 혼자서 하는 게임. 즉 경쟁을 제외한 공부를 강조한 것이 아닌가 함.

  • @user-lkfsdhofwe86545jfwsde

    나 이 형 너무 좋아~ 이런 채널이 정말 좋은 채널이라고 생각해요. 충분히 미래에 대해 고민해 보고, 스스로 생각하게 만드는 동기부여가 되는 채널이라고 생각합니다. 고민은 단 한가지입니다. 형이 유튜브 채널로 사람들이 많이 알려져 구독자도 수십 수백만이 되고, 돈도 잘 벌어야 신이나서 채널을 계속 운영하고 양질의 컨텐츠를 만들어 줄텐데.....노력 대비 아웃풋이 생각보다 잘 안 나와서 채널이 중단 될까봐 그게 가장 걱정 됨. 유튜브 알고리즘아~ 이 채널을 널리널리 알려줘라. 이 채널 진짜 유익하고, 좋은 채널이다.~ 형 영상 항상 고마워~ 진심으로 응원해~ 화이팅^^

  • @yinissie9893
    @yinissie9893 Před 14 dny +15

    이건 개인교사를 고용할 수 있는 재력가든가 부모가 정말 관심으로 잘 가르치는 가정 이 둘만 가능한 방법

  • @DoctorShim
    @DoctorShim Před 10 dny +2

    그런 측면도 있지만, 일론머스크는 사실 어릴 때 백과사전들을 섭렵했고 물리학과를 나왔다고 합니다. 그 쓸데 없어보이는 90%의 지식이 사실 본인도 모르게 쓰이고 있는 거라 생각합니다. 독수리도 날아오르는 방법 정도는 배워야 , 이후에 먹이를 낚아 채는 겁니다.

  • @hjkim8015
    @hjkim8015 Před 13 dny +4

    맞는 말입니다...
    학창시절 공부가 지루하고 따분해서 놀기만하다 전문대졸업해서 운좋게 좋은회사 취업했는데 같은팀선배들은 모두 석사졸업생이였거든요 전문대졸업생인 제가 인정받는데 걸린시간이 1년이였습니다. 높은학려과 일과는 전부는아니겠지만 크게상관없음을 인지하고 바로 퇴사후 하고싶은일을 시작했는데 몰입도는 상상을 초월합니다. 관련자격증 및 라이센스가 없는데도 18년간 몰입하니 그분야의 선생님들이나 현역활동하니는 분들이 세미나해달라고 요청오네요 지금은 자녀들 취미로 뭐하고싶다고하면 배우게하는데 공부를 강요하고나 성적표조차도 확인안합디다.
    안전하게 잘놀게 냅두죠
    40대와서 학창시절때 친구들보면 당시 가정용게임기로 난이도어려운 게임같은거 잘클리어하고 했던친구들이 다잘살고있네요 머리는 똑똑했지만 그렇게 공부에 몰입하던친구들은 아니였습니다.
    단지 착하고 좋은태도를 가지고있던 바른청년들이였죠...
    영사보고 전적으로 깊은공감을 받았습니다...
    노는거도 잘놀고
    타인과 잘지내고 긍정적으로 정신이건강하면 세상먹고사는데는 지장이없는거같네요
    몰입은 누군가와의 경쟁이아닌 나와의 싸움입니다. 그걸 넘어서면 보지못한것들이 보이는거같아요 그건 학교에서 경험할수없는거죠..

  • @catsabba
    @catsabba Před 15 dny +50

    학교공부안하고 책만읽었는데 지금 그 누구보다 자존감높게살고있다 자신한다

    • @G80G70
      @G80G70 Před 13 dny +5

      성공했네. 큰 베이스를 획득한듯. 문제는 사회가 그걸 알아 주지 안는다는거. 특히 한국 사회는. 머 그래도 자존감 충만 하다면 알아주든 말든 그런건 별 신경 쓸 일이 아니겠지?

    • @루하-d6n
      @루하-d6n Před 9 dny +3

      "그래서 니가 누군데" 이벽에서 다 막힘

    • @user-jd3ks1kk8s
      @user-jd3ks1kk8s Před 8 dny

      똑똑한애들이 책을 많이 읽어요. 그리고 더 똑똑해지죠.

    • @user-xs9wp9xg6f
      @user-xs9wp9xg6f Před 7 dny +2

      책이 좋긴한데
      책에 매몰되면 답없음

    • @user-qb6vj7pj9m
      @user-qb6vj7pj9m Před 7 dny +2

      자신이 누구인지 뭘 잘 할 수 있는지, 인문학적인 소양을 책을 통해서 배울 수 있다. 그런데 막상 전문분야로 진출해서 도로를 설계해라, 건물을 설계해라, 전자제품을 설계해라. 등등 현실적인 과업을 하려고 하려면, 수학과 물리 등 전문분야를 모두 잘 알아야 가능. 그런 베이스가 없으면 문제를 해결할 수 없는게 또한 현실이기도 합니다.

  • @이화춘-w8g
    @이화춘-w8g Před 18 dny +19

    사회생활에 필요한 성실함 인내 끈기 등을 단련하는곳 사회성도 기르고..정보는 컴속에 많고 정보도 컴속에 많이 있지.지식을 기르는곳뿐아니라 오히려 사회화에 필요한 기타등등이 더 중요한 곳이 학교가 아닐까나

    • @2jinu
      @2jinu Před 18 dny +1

      인정, 옛날엔 [유교]처럼 집단이 가르치는 느낌이지만.
      이제는 [주인도덕]을 가르치고, [자신의 꿈]을 알기를 바랍니다.

    • @gifg-o7t
      @gifg-o7t Před 18 dny +5

      한국 학교에서 사회화를 기대하지 마세요. 집단 따돌림, 불법촬영, 강간하는 법 같은 거나 안배워오면 다행입니다.

    • @leejason7946
      @leejason7946 Před 12 dny

      ㅋㅋ 아직도 사회성을 학교에서배운다 착각하는 사람이있네요 ㅎㅎ
      저기요.. 사회성은 학교가아니라 가정에서 배우는겁니다^^
      공부를 더하셔야할듯요.

  • @shk3719
    @shk3719 Před 18 dny +14

    일반적인 교육은 bottom up인 경우가 많은데, 사실은 top down이 훨씬 효율적이지요. 해보고 살을 붙이고 해보고 살을 붙이고 그게 훨씬 머리에도 빨리 박힙니다.
    한국에서는 민사고가 top down방식이더군요.

    • @Sejin_English
      @Sejin_English Před 18 dny +3

      경험적 detail를 쌓아서 본인의 지식화 단계에 이르는 것은 bottom-up 방향성으로 이해하고 있습니다. 좋은 말씀이신것 같은데 내용확인이 되면 더 좋을것 같아 감히 의견 드립니다 :)

    • @vogel4418
      @vogel4418 Před 17 dny +2

      맞아요 교육에서 탑다운은 주입식 교육 방식을 뜻해요

    • @flyingpan2639
      @flyingpan2639 Před 16 dny +1

      개인 관점에서, 바텀업은 이론 습득 후 실전에 적용함을 의미함
      이런 방법은 이론 배울 때는 내가 왜 배우는 지 모름 대한민국 모든 교육이 이럼
      탑다운은 부딪혀 가며 부족한건 따로 시간 내서 보충하는거. 이게 사회에서 하는 공부

    • @vogel4418
      @vogel4418 Před 16 dny +1

      @@flyingpan2639 아니죠 혼동 시키지마세요
      이론적으로 교육학에서 탑다운은 위에서 아래로 내려가는 교육방식입니다

    • @user-he2mf5ey5h
      @user-he2mf5ey5h Před 16 dny

      조선인들은 왤캐 똑똑한척을 하냐ㅋㅋㅋ 내가 세상살면서 똑똑한사람을 거의못봤는데 심지어 대부분이 대졸자인 나라가 이지경인 나라에서 뭔 탑다운이야ㅋㅋ 학습을 못하니까 밑에서 부터 꾸역꾸역 집어 넣는건데ㅋㅋㅋㅋ 한국인 수준을 왤캐 고평가하는거 국뽕이들은ㅋㅋ

  • @user-pr5hg9yq8s
    @user-pr5hg9yq8s Před 16 dny +13

    여러지식이 쌓여야 통찰력이 생기고 능력이 생기는겁니다 자기가 좋아하는것만 하면 우물안 개구리 만년과장처럼 누군가의 노예처럼 이용만 당하죠

    • @wjjlee
      @wjjlee Před 7 dny

      그건.그냥 님생각인듯. 좋아하는것만하서 그분야의 전문가가된다면 노예처럼.이용당할일 없고 노예처럼.부리는사람도 없어요.

  • @namedmaster1842
    @namedmaster1842 Před 18 dny +44

    그걸 몰라서 학교 가는게 아님 사회에 어른들이 바보라서 어쩔 수 없이 애들이 가는 거지.

    • @silhouette___
      @silhouette___ Před 18 dny +8

      백문이 불여일견인거 다들 알지 해외에 교육과정을 나는 잘 모르겠지만 한국은 유독 강박적으로 1번 끝내고 2번하고 2번 끝내면 3번하고 그런듯

    • @G80G70
      @G80G70 Před 13 dny +1

      어른들이 바보라서 가는게 아니고 수능 점수따기 위해서 가는거지. 대부분의 분야는 어느 대학 출신인지를 보니까.

    • @user-pt7bb5io8z
      @user-pt7bb5io8z Před 10 dny +3

      아이들이 학교를 가기 때문에
      꿈이 없는것입니다

    • @Retis1
      @Retis1 Před 10 dny +1

      국가는 프로이센 교육으로 양질의 노동자(노예) 계층을 생산하는 것을 목표로 함. 그러기에 학교와 정규 교육 과정만큼 좋은게 없지

    • @Yuki-m4t
      @Yuki-m4t Před 10 dny

      국가는 아이들에게 꿈을주기위하거나 지도자를 만들어내려고 학교를 만들지않는다 교육은 말잘듣고 세금잘내는 종들 국민으로 거듭나는과정

  • @illumina2883
    @illumina2883 Před 14 dny +2

    최근에 매너리즘에 빠져서 잠시 잊고있었는데 덕분에 왜 지금 이 작업을 하고 있는지 다시 기억났어요 누가 시키지 않아도 몸이 자동으로 움직이고 하루종일 공부를 해도 전혀 지치지 않던 때를 떠올려보면 분명 어떤 커리큘럼을 따라가기 보다는 제가 원했던것을 스스로 만들기 위해 무작정 시도해보면서 모르는걸 하나하나 알아가는 과정에 있었죠

  • @Kimterang1
    @Kimterang1 Před 19 dny +6

    이 채널은 좋은 영상만 업로드 되어서 자주 찾게 됨 잘 봤습니다.

  • @maxmax-yg7oc
    @maxmax-yg7oc Před 18 dny +4

    결국 학교의 목적은 이제 중요한 지식 전달과 사회화 밖에 안 남아야 할 것 같습니다. 줄세우기 식 경쟁 교육은 문제를 더 어렵게 만들기 위해 정말로 99% 이상의 상황에서 쓸데 없는 내용 까지 전부 다 배우게 만들죠.
    (물론 학교에서 배우는 '핵심'적인 개념 들은 대부분 어딘가엔 쓸모가 있습니다)
    하지만 정말 쓸모 있는 것에만 집중한다면 낭비되는 시간을 줄이고 훨씬 효율적으로 배울 수 있게 될 겁니다. 그렇게 되면 지금까지 못해 왔던 많은 것들을 할 수 있겠죠. 그런데 왜 아직도 공교육 제도를 바꾸지 않는지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물론 공교육이 싫다면 홈스쿨링 같은 방법도 있지만 학교의 목적 중 하나인 사회화를 잃게 되기 때문에 문제가 있어보이고)

  • @user-dg2kg4ht7n
    @user-dg2kg4ht7n Před 18 dny +6

    이게 미국 천재들은 다 IT기술로 드러나는데,
    전 피지컬 감각이라 외국에서 눈여겨보는거임ㅎㅎ.

  • @blue-pill
    @blue-pill Před 18 dny +10

    많은 부분에 공감합니다. 하지만 학교는 지식전달의 기관이면서 사회화 과정의 운동장이기도 하죠. 현재 한국의 교육기관에서 후자의 역할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심각하게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고 보지만 여기서 이야기할 필요는 없을 것 같네요.
    지식전달의 기관이라는 측면서는 일론의 의견에 전적으로 동의합니다. 나이에 맞게 학년별 학급을 편성보다는 수준별 과정이수 체계가 효율적이고 교육에서 소워되는 아이들이 적어진다고 생각합니다.
    한 명의 교사가 평준화된 기준으로 강의를 하는 시스템은 한 학급에 사이즈가 하나 뿐인 옷을 주고 입으라고 하는 것과 다를 것이 없습니다. 발육상태가 모두 달라서 딱 맞는 아이가 드물 정도죠.
    옷이야 입고만 있으면 된다지만 교육은 다릅니다. 이해를 해버린 아이는 지루해지고 이해를 못한 아이는 흥미를 잃어버리죠. 그리고 그 이후의시간은 오롯이 낭비됩니다. 이런 문제는 인공지능의 발전 덕분에 해결될 수 있는 시대를 맞았습니다.
    부디 이름만 인공지능을 달고 사업비를 착복하는 사업자들 때문에 교육이라는 백년지대계를 망치는 우를 범하지 않길 바랍니다. 교육예산을 통해 국내 대규모언어기술을 발전시킬 수 있는 기회로 삼아야 합니다.

  • @user-wu4ke2gh7k
    @user-wu4ke2gh7k Před 14 dny +3

    학교는 어른들 일하는데 방해
    안 되도록 애들로부터 어른을 격리시키는 곳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

  • @junghunlee9941
    @junghunlee9941 Před 12 dny

    1. 지식의 범위와 개요를 아는 건 중요함.
    철학, 윤리란 이런 거야, 화학이란 건 이런 거야. 수학이란, 언어란....
    그러한 분야가 왜 있는지, 어떤 것인지에 대한 기본 개념은 필수임.
    단, 학년 별로 짧고 굵게, 등수 매기지 말고 통과 불통과 정도로 점검하고 말아야 함.
    2. 그리고 중학교 정도 부터는 저런 기본 교양은 깔아주되 간단히 넘어가고
    더 전문적인 프로젝트 수업으로 넘어가야 함. 그 실질적 문제를 해결하는데
    어떤 지식들이 필요한지 알게 됨. 문제해결 능력 생김. 협동 필요성 알게 됨.
    지식이 왜 귀한지, 어떻게 그걸 습득하는지 느끼게 됨. 법률, 제도, 규제 등까지도
    알 수 있게 해야 함. 그 프로젝트는 개인의 의,식,주 돈 (재정), 환경, 인권, 예술, 체육 등
    무수할 수 있는데, 이게 진짜 공부임. 근미래엔 다 이렇게 바뀔 것임.

  • @neoeobz
    @neoeobz Před 17 dny +1

    너무 당연한 것인데요. 모두가 인증을 안하고 바꾸려고 안하죠. 현실, 통찰, 아는 것이 아니라 우리는 그들과 싸우고 있는거죠. 유식으로 포장된 무지와 말이죠.

  • @kocurea
    @kocurea Před 18 dny +3

    학습에 대해서 다시 한번 생각하게 해주는 영상이네요. 잘 봤습니다.

  • @혜안-n3v
    @혜안-n3v Před 18 dny +11

    일론이 말하는건 일론처럼 머리가 엄청 뛰어난 사람들만 해당되지. 저 사람은 본인 기준에 맞는 말을 할수 밖에 없음. 그런데 대부분의 사람들은 대학이라는 곳에 들어가서 본인을 증명하고 그에 맞는 직장에 들어가서 돈을 버는 방법 말고는 딱히 없음.

    • @KISCZZ
      @KISCZZ Před 15 dny

      지능의 차이가 아니고 가치관의 차이일듯 합니다

    • @hyoyojung
      @hyoyojung Před dnem

      공신력있는 증명서는 사실을 입증해줍니다. 본인이 본인의 능력을 백날 떠들어봤자 시끄럽고 거만한 놈이 되어버리기 때문이죠.
      한국사회가 바라는것은 증명서+알파입니다
      절대 대학이 필요가 없다는 말이 아닙니다.
      증명서가 없다면 그 이상을 뛰어넘는 특출함이 있어야 합니다. 일반적인 경우는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대학이 필요 없다는 말은 특출난 예외적 인간의 경우를 위한 추가적 설명일 뿐이죠. 그러나 특출나다고 해서 한국 사회가 그를 받아줄까요? 전혀 그렇지 않습니다. 오히려 집단적으로 짓밟히죠. 그래서 한국 사회는 여지없이 증명서가 꼭 필요합니다.

  • @emdicdong7874
    @emdicdong7874 Před 17 dny +17

    맞습니다 예를들어서 자동차 엔진에 대해서 알고싶다면 직접 엔진을 뜯어보면됩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학교에서는 기계공학과 관련된 책부터 공부해라고 가르치죠.
    애드님 항상 좋은영상 감사합니다^^

    • @atdt01410x
      @atdt01410x Před 15 dny

      맞습니다. 수학 안좋아하면서 엔진 좋아하는 사람이 공업수학책 펼쳐가면서 공부를 시작하면 시작도 하기전에 포기하게 됩니다.

  • @minseokoh49
    @minseokoh49 Před 17 dny +2

    사람은 무언가에 흥미가 생긴다면 그것에 대해 스스로 찾아다니면서 학습하고 더 나은 방법은 찾으려 하죠
    능동적인 것과 수동적인 것의 차이는 꽤 큽니다

  • @leesangbin
    @leesangbin Před 4 dny +1

    훌륭하십니다 ❤

  • @user-qs8dz2tr2d
    @user-qs8dz2tr2d Před 12 dny +1

    마음에서 우러나오는 호기심을 따라가는 것도 참 괜찮다고 생각해요

  • @dlsx-i1l
    @dlsx-i1l Před 18 dny +1

    4:19
    19살입니다. 일러스트레이터를 목표로하고잇습니다.
    4분19초쯤에 말씀하신 문구에서 깨닮음을 얻었습니다.
    그림의 기본기는 크게 볼때 빛 색 형태 등등이 있습니다. 이 목차들을 전부 학습하고 (개인작품) 그림을 그리기에는 그닥 효율이 좋지 않다고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기본기들의 정보량이 방대해서 전부 학습하고 그림을 그리기에는 시간적으로 무리가 잇고 , 무엇보다 결과값을 내고 그것을 피드백해서 내가 부족한것을 분석하는것이 나의 수준을 판단할때 직관성이 높고 , 시간적으로도 , 학습동기로도 효율적이라고 생각하게되었습니다.
    그래서 , 그림을 그린후 내 그림을 평가하고 수정해가면서 배움을 익히는게 가장 좋은 프로세스라고 생각하게되었습니다.
    반대로 , 내 그림에서 부족한것 , 어색한것을 인지햇음에도 불구하고 "귀찮음" 이라는 본능적인 감정에 학습을 도피한 제 자신을 반성합니다.
    앞으로 고통으로부터 배우고 단련해서 하나씩 채워나가도록 다짐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tb5eq9lx4b
      @user-tb5eq9lx4b Před 10 dny +1

      19살 같지 않는 내공이 있으시네요. 정말 대한민국에서도 일론머스크 같은 인물이 많이 배출되었으면 합니다. 지금까지는 모방으로 대한민국이 여기까지 왔지만 이제는 세상을 리드하는 인물들이 많이 나왔으면 합니다. 일본처럼 노벨상 수상자도 많이 배출되었으면 합니다.
      당신이 하고 있는 분야에서 일론머스크 같은 주인공이 될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박수를 보냅니다.

  • @TerritoriesOceansTV
    @TerritoriesOceansTV Před 12 dny +1

    유익한 영상이네요. 게임하듯이 공부를 즐겁게 하고, 독수리처럼.. 내게 필요한 지식을 찾아가는.. 그런 배움과 교육이 맞는 얘기지요. 우리의 미래새대는 기존의 형식적인 틀을 벗어나서 키울수 있길..

  • @Awesome-im1sf
    @Awesome-im1sf Před 6 dny +1

    초 과경쟁에 시달리는 한국의 중고딩 애들한테 꼭 보여줘야되는 영상이다 선생님들 꼭 보여주세요..

  • @jjjjjjjjjjung
    @jjjjjjjjjjung Před 12 dny +1

    이건 지극히 개인차가 있는 방법입니다. 능력이 뛰어난 사람은 지식을 넣으며 그것을 내 지식으로 만들어가는 동시에 새로운 생각들이 떠오는 것이죠.
    그러나 보통사람들은 무수히 많은 데이터를 집어넣어야 정말 좋은 아이디어가 하나 떠오릅니다.
    지식을 배우는 것을 과소평가해서는 안됩니다. AI가 만들어지는 시작 또한 무수히 많은 데이터를 축적해놓는 일입니다.
    만약 자신이 해야될 것을 모른다면 많은 지식을 머리속에 익히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창의성이란 아무것도 없는 것에서 새로운 것을 만드는 것이 아닌 기존에 있는 것들을 융합해 나오는 것이 대부분입니다.
    이런 것을 봤을 때도 지식을 배우는 것은 중요한 행위입니다.
    머리가 뛰어나 운이 좋게 성공한 소수의 성공담을 일반화할 필요는 없습니다.
    능력이 뛰어난 일론머스크가 해온 과정을 평범한 우리가 몇일이면 모두 습득할 수 있는 것이 지식의 위대함입니다.

  • @박지현-g8d
    @박지현-g8d Před dnem

    그래도 잘생겼으니 얼마나 큰 복을 타고난겁니까. 가진것에 감사하고 사는게 중요한듯.

  • @Aaron.7772
    @Aaron.7772 Před 4 dny

    이 사실을 아주 어릴 때 부터 알았지만,
    아무도 말해주는 사람이 없었죠,
    다 포기하고 경함과 직관만으로 보낸
    20대 지금 나의 삶은 찬란합니다

  • @beele9396
    @beele9396 Před 15 dny +6

    정말 공감합니다. 개인적으로는 지식에 방향성이 있어야 나아갈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방향성이 없다면 사람의 머리는 두드리지만 가슴은 두드리지 못할 것 같습니다. 지식에 방향이 생긴다는 건 결국 자기에게 또는 타인에게 얼마나 어떤 의미가 있는지와 관련있는 것 같아요. 내가 왜 이 지식을 공부하는지 의미를 만들고, 지식을 주도적으로 삶에 적용할 줄 아는 역량을 학교에서 기를 수 있도록 도와주고 싶습니다. 선생님이 된다면요... 권위를 세우기보단 그저 아이들이 험난한 세상을 살아가는데 도움이 되기를 간절히 바라면서...그러고 싶네요.

  • @미친독서
    @미친독서 Před dnem +1

    창의성을 길러야합니다.
    창의성은 특별한 능력이 아닙니다.
    같은 수학문제를 풀어도 다각도로 고민해서 풀면 창의적으로 푼겁니다.
    빠르게 정답만 찾는, 단편적 지식만 외우는 공부는 지양해야합니다. AI가 만배는 더 잘하거든요

  • @taehyunhwang3431
    @taehyunhwang3431 Před 15 dny +1

    알고르즘에 뜬 유튜브보고 댓글 남깁니다. 고민 많은 저에게 시행착오를 겪은 진솔어린 마음이 담긴 유튜브 영상을 보고 감사의 말씀 드립니다.
    저에게 맞는 최고의 학습 방법을 꾸준히 만들어가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tf5zm4gr4q
    @user-tf5zm4gr4q Před 6 dny +1

    누군가와다르기.별나기가
    쉽지않음

  • @hl675
    @hl675 Před 17 dny +1

    공부하지 말고 머리에 칩 심고, 결국엔 배우고 싶은게 있음 칩을 통해 다운로드 받으면 된다는 주장을 하는 사람임...

  • @user-ip1og1js6z
    @user-ip1og1js6z Před 17 dny +5

    말씀하신 학습방법은 요즘 인기있는 MBTI 유형으로 설명하자면 P인거 같습니다.
    J와는 달리 독서를 할때 목차를 찬찬히 읽고 시작하지 않는 그런 성향을 P라고 저는 이해합니다. 각자 장단점이 있긴합니다
    다만 효율면에서는 특정 세부 목적 혹은 방법만을 학습하여 일진행에 바로 적용시키는 방식이 전체 일의 진척에 더 도움이 될때는 J보단 P가 더 탁월한거 같습니다.
    일을 할때 생기는 개별문제를 해결하기위해 선정된 툴을 전부 학습하지않고 일을 하면서 해결해야되는 개별 니즈에 맞춰 그때그때 필요한 부분을 구글에서 찿아 예제를 보고 적용한다든가 하는 식인거 같습니다.
    일의 효율면에서는 물론 J의 방법보단 훨씬 효율적일수 밖엔 없습니다. 원래 목적이 일의 완료지 그일에 필요한 툴에 대한 학습은 아니였으니까요.
    일론머스크의 기본적인 생각에 동의합니다. 그렇게 많은 시간을 쓰면서 배웠던 내용들중 살면서 써본적도 없는 지식들이 거의 대부분이였으니. 효율을 따지자면 엉망이라 할만합니다. 물론 학습의 방법을 가르치고 익숙해지게 훈련하는 것이라 볼순있습니다만 그렇다해도 너무 과합니다. 뭘 잘하게 될지 몰라서 죄다 가르쳐봤어가 되는것이죠 ㅋㅋ 그래도 시간적으로 보면 너무 과해서 획기적으로 줄여줄 필요는 있다고 봅니다.
    학습이 문제해결방법만을 배우는건 아니지만 어쨌든 중요한 부분인데
    정작 문제 해결방법을 찿는 방법을 잘 가르쳐주지않고 있지 않나 싶습니다.
    하지만 모든 사람들이 지적 호기심에 넘쳐나진 않는다는 점도 간과해선 안될거 같습니다.
    어쩌면 기본교육의 과정은 뭔가를 가르치는게 아니라 지적호기심을 충분히 가지고 있는 사람
    들을 골라내는 과정이 되어야 될지도 모르겠습니다.

  • @mindholic
    @mindholic Před 16 dny +2

    결국은 성공한 사람은 손에 꼽는데 실패한 사람은 고생하는거고 시간은 있으니까 또 늦게 자기 능력에 맞는 성공은 하겠지만... 원래 대학 자체가 자신이 원하는 전공을 살리려고 또 배우러 가는 곳 아닌가? 그건 대학교 자체가 썩었다라고 얘기해야지 갈 필요 없다고는 또 아니지..

  • @user-xk4jk7jj6z
    @user-xk4jk7jj6z Před 18 dny +14

    근데 영상에서 나온 학습 방법은 소수 천재들에게나 맞는 학습방법인거 같음..평범한 사람은 저런 학습법이 안 맞는다고 생각함.
    기존 교육 : 학습 -> 하고 싶은 일
    영상에서 말하는 교육 : 하고 싶은일 -> 학습
    애초에 하고 싶은 일이 있다는 건 영감이 있다는 거고 영감이라는 거는 아무에게나 없죠..

    • @nhn-b7c
      @nhn-b7c Před 18 dny +2

      맞아요. 보면 고지능자 친구들이 하고 싶은 일-> 학습으로 본인이 알아서 들어가지 ..( 어렸을적부터 이미 탐구적 마인드가 있어요.)
      일반인은 저런 학습 자체가 힘들어요. 애들 가르치고 키우다 보니 느끼는 바입니다.
      보통의 친구들은 보편적인 학습이 먼저라고 생각합니다. 일론 머스크야 뭐 워낙 천재니 .. 아마 보통 사람들은 저게 안된다는걸 모를거예요. 😢

    • @real-uy7vf
      @real-uy7vf Před 18 dny

      이분법적 사고방식을 가지고 있어요. 본질을 바라보는 방식이 중요하고 적어도 그에 근접할 수 있는 능력이 갖춰진다면 자신이 할 수 있는 능력 선에서 최대치를 뽑아낼 수 있습니다. 본인의 내적 동기에 의한 효율성 극대화가 핵심입니다. 현대의 교육방식은 수정이 많이 필요한 효율성이 굉장히 떨어지는 학습법임에 틀림이 없습니다. 전통적인 접근법으로는 한명의 스피커가 여러 청중들에게 한번에 많은 정보를 쏟아낼 수 있으니 그 당시는 효과적이었겠지만, 매체도 다양해지고, 발전한 지금의 상황에서는 다양한 아이디어와 인재들이 필요합니다. 베타적인 초중고 학습법은 절대 다수에게도 좋을 수 없어요.

  • @ROMO-bf3ek
    @ROMO-bf3ek Před 13 dny +1

    누군가 그랬는데 기억은 안나네요. 내용은....배움은 도둑질 하는것과 같이 훔쳐오는 것이다. 매우 갈망하는 것을 위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 것처럼. 그렇게 배워야 한다고......

  • @4min-health
    @4min-health Před 15 dny +2

    의무교육(학교)은 사회에 들어올 인간을 구별하기 위한 필터임. 똑똑 덜똑똑 전혀 안중요함. 서울대를 나와도 지잡대를 나와도 어치피 직장에서 새로 배움. 학교의 핵심은 생기부임. 사실상 평생 보관되는 필터. 시험과 성적은 십몇년동안 그냥 묶어둘 수 없고 교사들 월급도 그냥 줄 수 없으니 하는 일. 초딩은 시험도 없애 버림. 왜냐하면 그래도 되니까. 안중요하니까. 일론머스크는 돌려돌려 말하지만 사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함. 교육은 사교육임. 공교육은 단순필터 목적. 공교육으로 뭘한다는걸 가만히 생각해보면 말이 안됨. 아무것도 할 수 없는 구조.

  • @ppukderahoma
    @ppukderahoma Před 18 dny +6

    학교는 실제의 소셜라이징, 도덕적 가치에 대한 토대를 가르키는 기능 외엔 없다고 본다이제 고등교육은 그냥 없어져야 함

    • @MelodySorrow
      @MelodySorrow Před 9 dny

      한국은 중학교까지만 의무 교육아님? 자기확신이 강하면 고등학교건 대학교건 안가도 되지.

    • @ppukderahoma
      @ppukderahoma Před 9 dny

      @@MelodySorrow 그런가? 지금 확신이 안드는 만큼 만큼 사회적으로도 고등학교까지가 의무교육이라는 무언의 느낌이 있는게 사실임

    • @MelodySorrow
      @MelodySorrow Před 8 dny

      @@ppukderahoma 그거야 다들 가니까 그런거 ㅇㅇ 근데 솔직히 일론 머스크 본인도 대학을 두번이나 갔으면서 저런 말 하는건 일단 모순임 ㅇㅇ.
      대학 안가도 된다는 사람들 보면 죄다 명문대 출신들임 ㅋㅋㅋㅋ 이 사람들은 자기가 잘난게 자기 출신이나 배경이 아니라 오로지 자신만의 힘인줄 암 ㅋ
      알게 모르게 대학을 다니면서 보고 배우는게 많음. 강의 뿐만이 아니라 이런 저런 기회도 많고 거기서 인맥도 생기고. 그리고 공부도 나름 체계적으로 가르치기 떄문에 여러모로 시간 절약이 됨.
      내가 확실하게 뭘 공부해야 할 지 모르고 두리뭉실하게만 생각한다면 대학이 나쁜 선택지는 아님.

    • @ppukderahoma
      @ppukderahoma Před 8 dny

      @@MelodySorrow 뭐 너말이 맞는게 중요하다면 그렇다고 하고 넘어갈게 😉 아미안 너가 나중에 쓴글은 더보기로 해야 볼수있어서 나중에 확인했네 맞는말임. 근데 앞으로도 꼭 대학을 다녀야 그런 인맥이랑이 생길까? 소속감과 그 사람에 대한 퀄에 대한 무언의 인증, 그런 길드가 생기는건 사실이지만 꼭 그렇게 고전적 방식만 있을거란 생각은 들지 않네. 아마도 그 길드에 이미 속해 있는 사람은 반감이 생기겠지. 열심히 노력해서 얻은 결관데 하지만 그건 어찌됬든 한시기의 노력에 대한 결과고 결과적으로 인생 중기 후기 등등에 여러 방면으로 성공한 사람끼리의 길드가 더 큰면에서 생길거라고 봐. 고로 앞으로 더욱 고전적 방식은 깨지리라고 봐

    • @MelodySorrow
      @MelodySorrow Před 8 dny

      @@ppukderahoma 다양한 방식이 생기고 있는건 맞지만 결국 고전적 방식을 이기기 어렵다고 생각함. 물론 대학을 아예 갈 필요가 없는 사람들도 존재하긴 하는데 그건 극소수만 해당된다고 생각함.
      이게 뭐랑 같냐면 온라인에서 사람들이랑 소통해도 되는데 굳이 직접적으로 만나야 하냐랑 같은 맥락임.
      나도 고등학생 때랑 대학 1학년 때까진 님처럼 생각했는데 대학 2학년 때 생각이 바뀜. 명문대를 괜히 가는게 아니구나 싶었던게 거기서 만나는 사람들의 수준과 대학에서 제공해주는 리소스가 차원이 다름.
      한국은 모르겠는데 미국 캐나다의 경우 대학 다니면서 인턴쉽을 많이 하는데 명문대의 경우 좋은 인턴쉽을 할 기회가 많음. 특정 회사들은 명문대 아니면 인턴을 뽑지도 않는 경우도 있고. 그 이외에도 연구를 한다던지 클럽 활동을 한다던지 비용도 대학에서 대주고 정보도 물어주기 때문에 가능하면 명문대 가는게 대다수의 사람들에겐 이득임.

  • @user-uk7wp7wc6p
    @user-uk7wp7wc6p Před 10 dny

    큰틀에서는 일론의 말에 공감합니다만 초등생 아이둘을 가진 부모입장에서 아이들을 볼때 어느정도 머리가 커서 내가 정말 하고 싶은게 뭔지 잘하는게 뭔지 깨닫기 전까지는 주입식 교육도 필요하다고 느껴요. 아는게 있어야 보이는 시야도 확장되듯 억지로라도 어느정도 지식을 갖추고 좀 더 넓은 시야에서 자신이 원하는걸 찾아야 방황의 실수를 줄일수 있는것 같아요. 적절히 머리가 크기전에 잘못해서 길을 잃으면 스스로의 힘으로 다시 되돌리기는 너무 힘든것 같습니다.
    기본교육+가정교육+인성 -> 하고싶은것을 찾아나서기가 맞지 않을까요.

  • @user-zs8su5lr7e
    @user-zs8su5lr7e Před 18 dny

    오늘따라 더더욱 가슴에 박힙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

  • @Adam_Lilith
    @Adam_Lilith Před 14 dny

    좋은 영상 제작하시는군요 배울점도 많아서
    한편씩 보고 있습니다.

  • @junok1574
    @junok1574 Před 18 dny

    요즘 고민하고 있던 부분인데 영상 보고 상당부분 해결된 느낌이네요.
    항상 감사합니다😊

  • @user-tb5eq9lx4b
    @user-tb5eq9lx4b Před 10 dny

    정말 수업을 잘 가르치는 교사가 있습니다.
    그만큼 자기분야에 열심히 연구한 선생님이겠죠.
    초~중~고는 사회나왔을때 기본적으로 배워두면 필요한 과목을 가르칩니다.
    이 기본이 안되면 사회나왔을때 시행착오도 많이 격을 수 있습니다.
    기본교육을 흥미있게 가르치는 선생님이 제대로된 선생님이 아닐까요?
    일론머스크 같은 특출한 사람은 정말 선생님이 왠만히 뛰어나지 않으면 가르치기가 힘든 특수한 부류의 사람입니다.
    우리나라에서도 저런 사람이 많이 배출될려면 정말 남들과 다른 생각...생각을 많이 하는 사람이 되어야 할듯합니다.
    너무 많은 정보의 홍수속에 생각을 하지 않는 사회구조가 가장 큰 문제가 아닐까요?

  • @user-yu7ny5he5u
    @user-yu7ny5he5u Před 18 dny +8

    학습에 게으른 보통의 인간들에게는 해당사항이 없는 얘기.

  • @eunheekim1854
    @eunheekim1854 Před 14 dny +4

    구독바로했습니다!!
    학교에서 국영수비중줄이고 ,사회 도덕 예체능 늘려서 건강하게 사회성기르면서 나를 찾아가는곳이어야하는데... 이십년 삼십년전보다 더 후퇴해가는 학교의 모습에 안타깝네요.

  • @aclcoy
    @aclcoy Před 18 dny +3

    제가 제일 크게 공감하는 것 중 하나입니다. 처음부터 지식을 때려 박으려고 하면 안되고, 바로 시작하면서 흥미를 끌어올리기. 하다가 막히는거 무조건 생김. 그럼 그때마다 검색해서 필요한 지식 습득하면 됨.
    저도 쌩문과에서 개발자가 되기위해 공부시작할 때 이런식으로 했죠. 지금은 이런방법이 어느정도 보편화 되어있지만, 아직도 한국에서는 관료적 학습방법이 최고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더군요..
    지금은 개발자 일을 접고 쌩판 다른 분야를 도전중인데, 이번에도 당연히 같은 방법으로 혼자 고군분투 중입니다ㅎㅎ

  • @user-ry3by6qj2t
    @user-ry3by6qj2t Před 15 dny +4

    착각하지 마세요. 공교육은 최저기준이지 최고기준이 아닙니다. 현재 공교육 시스템은 잘못되지 않았습니다. 본인이 탁월하여 별도의 교육과정이 필요하다면 홈스쿨링이나 특별교육을 받으면 됩니다.

    • @user-ry3by6qj2t
      @user-ry3by6qj2t Před 14 dny

      @@psychoanalysis-jiabaoyu 교사 한 명이 25명을 지도하는 교실에서 뭘바라는거에요? 교실에는 영재, 특수아동, 경계선지능, 심리불안장애를 가진 다수의 학생이 혼재하고 있습니다. 공교육 교육과정은 제한된 자원으로 사회화라는 목적을 달성하기에 효과적으로 구성되어있어요. 재미있는 수업? 플라톤이 아카데미아를 만들었을때 재미가 목적이었나요? 진리탐구의 재미는 과정이 아니라 결과에서 얻어지는겁니다. 보아하니 공교육에 적응못한 성적낮은 학생같은데 환경에 불만갖지 말고 책 한권 더 읽으시길 바랍니다.

  • @kaiwrites4182
    @kaiwrites4182 Před 8 dny

    학원에서 영어를 가르쳤었는데
    초등학생 아이들의 영어 성적이 높다는 뜻은
    그만큼 숙제와 테스트가 많다는 뜻이고,
    그만큼 영어를 싫어하게 된다는 뜻이.. 되더라고요.
    반면, 영어유치원처럼 자연스럽게 영어를 익힌 아이들의 경우 최소한 영어 자체를 싫어하지는 않은 것 같습니다. 내성적이어서 말을 안하는 경우는 있어도.
    (영어유치원을 장려하는 것은 아닙니다)
    학원을 오래 다닌 학생들을 보면 어디선가 영어가 들릴 때 듣기 싫어서 경기를 일으킵니다.
    왜냐하면 을 뜻하기 때문입니다ㅜㅜ
    뭐 학원마다 커리큘럼이 조금씩 다르겠지만..
    작은 교실 안에서 엄청난 양의 숙제와 시험을 거의 매일같이 보는건 비슷하니깐요.

  • @user-dkw2840
    @user-dkw2840 Před 3 dny

    일론 머스크 그건 당신이 기독교 나라 미국에서 태어나서 니생각 니 망상이고
    열심히 생각하는건 좋음

  • @user-jk8ff4yx7o
    @user-jk8ff4yx7o Před 5 dny

    영어 Lv68, 수학 Lv38, 국어 Lv99 이렇게 여러가지 퀴즈와 미션으로 흥미와 동기부여를 이끌어내는 교육시스템이 필요함.

  • @선진온-v2y
    @선진온-v2y Před 13 dny

    지금 머스크 형아가 펼치려는 세상이 무엇인지 아는 시점에서 저런 발언은 그의 사업의 흐름성을 알게하고 확신을 가지게하는 영상입니다.
    원하면 하는 확실한 형이니까.
    그에 관련된 주식을 사 모으는게 좋겠네요

  • @lee-ni5rg
    @lee-ni5rg Před 7 dny

    대한민국에서 태어난 국민이라면 한국의 교육의 틀안에서 성공이나 경제적 자유를 얻고 난 다음에 리스크를 앉고 도전해 볼수 있습니다. 물론 본인이 독수리 라는 것을 알아채고 영리하게 시대의 흐름을 잘 타서 머스크, 잡스 처럼 성공할 수도 있습니다. 영상내용 전적으로 공감 합니다.
    결론적으로, 실제 대한민국 교육과 성공의 틀에서 독수리 처럼 영리하게 남들보다 빠르게 성공하고 머스크 처럼 큰 일을 이어 나가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 @mirosey
    @mirosey Před 7 dny

    정규교육은 의무과정
    학습은 자기가 원하는 것을 스스로 배우는 것.
    초중고는 정규과정
    대학 이후 학습은 스스로 공부하는 것...
    천재는
    어려서부터 두가지 다 잘 하는 것.

  • @zmfreeroo
    @zmfreeroo Před 7 dny

    우연히 뜬 영상에 너무 공감돼서 구독 박고 갑니다. 공교육은 대다수의 동물 단계에 머물러 있던 인간을 저렴한 비용으로 사회화하는 과정입니다. 옛날 옛적엔 부유한 소수만 이런 과정을 거쳤죠. 국가단위에서 소수가 대다수의 동물을 컨트롤한다는건 폭력을 사용하지 않고는 감당이 안됩니다. 아직도 그런 국가들이 있다는걸 잘 아실겁니다. 하지만 이미 그 과정을 거쳐서 가정내에서도 충분히 사회화가 가능한 국가에서는 공교육을 이렇게 길게 가져가는건 오히려 인간의 발전을 저해하는 요소가 됩니다. 한국 정도의 문명사회에서 개인화되어가는 아이들을 감옥에 12년이나 가둬 두는 것은 이미 여러 부작용을 낳고 있죠. 이후 추가로 4년 내외로 더 가두기 위해 무진장 애를 쓰고 있는게 교육 현실입니다. 12년을 갇혀서 모두가 같은 교육을 받으니 다양성이란게 있을수가 없습니다. 그러니 뭔가 튀는 사람은 극과 극으로 반응이 나뉩니다. 와 예쁘다 개성있다 혹은 쟤 왜저리 나대냐. 이런식이죠. 교육계 기득권들은 이런 소리 들으면 엄청 욕하겠지만 정작 본인들 자식들은 유학 보내고 더 넓은 세상을 경험하길 바라죠.

  • @user-le2bl7xx1h
    @user-le2bl7xx1h Před 14 dny

    학교든 공부든 배움이 중요한건데 안맞으면 때려치우고 자기가 맞는것을 찾아 모험을 떠나세요.
    어차피 학교가 인생은 대신 못해주니 각자 가진 호기심과 재능을 키울수있게 현 제도를 벗고 새로운길로 배움을 찾아나간다면
    언젠가 개인이 원하는 삶을 살게될거고 그런 국민이 많아지면 학교 교육은 바뀝니다.
    남이 한다고 같은길 굳이 갈필요 없어요.
    각자길 우리 아이들 빨리 찾아가면 좋겠어요.
    현교육제도에 얽애이지말고요.
    졸업장 시대는 끝났습니다.
    재능을 개발해야해요.

  • @user-darkdoor
    @user-darkdoor Před 18 dny +5

    1:14 와 나랑 생각이 똑같네

  • @user-up9pu1fc1w
    @user-up9pu1fc1w Před 12 dny

    우리 교육은 대기업에 필요한 지식과 순응적 인간을 양성하는데 목표를 두었지 개인의 다양한 재능과 계발에 중점을 두지 않았습니다. 우리 사회 자체도 개인의 다양성보다는 획일화된 만능형 인간만 받아들이는 사회죠. 기술이 개발되는 것에 맞춰 이제 획일화된 인간을 만드는 시대를 끝내고 개인에 집중된 교육과 다양성이 존중되고 공존이 상식인 시대로 나아가야 할 때라 생각합니다.

  • @Udong121
    @Udong121 Před 7 dny

    공교육의 질을 높이고 방식을 달리 해야 할거 같네요. 유럽 선진국들의 사례를 살펴보고 장점을 최대한 많이 받아 들이면 좋겠어요. 특히 우리나라의 서열 따지는 행태가 아이들의 세계에선 없어 졌으면 합니다.
    각자 모두 고유한 특성을 지닌 존재들입니다. 다 똑같으면 뭐가 좋겠습니까.
    앞으로 우리나라를 이끌어 나갈 하나같이 소중한 아이들에게 이런 잣대 들이대지 좀 맙시다. 제발

  • @rubymom4950
    @rubymom4950 Před 18 dny

    목소리가 귀에 쏙쏙 들어와서 좋네요. 응원하겠습니다. 좋아요, 구독하고 갑니다.

  • @user-zq7tf8ib4f
    @user-zq7tf8ib4f Před 14 dny +4

    와 일론머스크 내가 직접 경험한 이야기를 전달하는구나
    난 분명 외국계에서 수준높은 기술일을 하고있는데 그리거 나서 그 어려운 기술문서를 영어로든 한국어로든 읽으면 완전히 나의 지식으로 넘어오는걸 느꼈다
    물론 난 평범한 지능을 가진사람이었고 이런 사람에게는 이 방법이 천재들보다 더 빨리 머리속에 기술력을 구겨넣고 책을 보게되면 거북이가 토끼를 이기는 상황이 온다
    하지만 일론이 말한것처럼의 방법은 천재들이 경험할 필요는 없다. 그들은 어짜피 스펀지 처럼 뭐든 흡수하기때문이다.
    일론의 방법은 평범한 사람에게 최고의 방법이다. 내 자식에게도 이 방법으로 아이의 미래를 펼칠것이다. 그는 평범한 두뇌를 가졌거든^.^ 💗👍

  • @bini0603
    @bini0603 Před 19 dny +1

    저도 일단 들이박고봅니다
    영상에. 공감해요

  • @duk6046
    @duk6046 Před 7 dny +1

    아무리 좋은 교육도 경쟁 과열이면 어떤식으로든 줄세우기가 될듯 당장 돈벌어야되는 사람들도 있고 미국에서나 다양성 인정받고 스폰도 받고 천재가 천재답게 성장할 수 있지 국내는 안될듯

  • @user-vx1er2jo4e
    @user-vx1er2jo4e Před 15 dny

    정말 영상을 볼땜마다 영감을 얻습니다. 좋는 영상 항상 감사합니다

  • @MartinSon-hr8zf
    @MartinSon-hr8zf Před 18 dny +4

    문제는,테슬라도 대학나온 사람을 뽑는다는거

  • @gigprid
    @gigprid Před 6 dny +1

    AI PJ 하면서 독수리처럼 낚아 채고 있습니다.
    이번 영상
    강력하게 추천합니다.

  • @user-yz1mi6ml3p
    @user-yz1mi6ml3p Před 16 dny +2

    아들에게 제가 한 말이 있습니다.
    평생을 더하기(+)만 하는 인생과
    곱하기(x)인생을 사는 것중 어느 쪽이 더 성공하는지.
    대부분의 사람들이 더하기 인생을 삽니다. 저 역시 여태껏의 삶은 더하기 삶이였죠. 하지만 제 아들은 진리를 알려주고 싶었습니다.
    자기가 원하는 학습을 스스로 하기 시작할때 뇌는 집중과 몰입의 단계로
    들어갑니다.
    이 집중과 몰입의 상태야 말로 평범하게 공부하는 상태보다 2배 이상의 효율이 나온다고 전 생각해요.
    전 아들에게 놀때에도 전력으로 놀고
    공부할때에는 집중을 하라고 말합니다. 공부가 하기 싫다?? 그럼 하지 않으면 되요. 아들의 인생은 아들 것이니깐요. 공부에 대한 스트레스 자체가 아이의 뇌를 망가뜨리는거죠.
    최고의 학습 방법은 자기가 원할때
    입니다.

  • @Forevermydream2024
    @Forevermydream2024 Před 18 dny

    1. 진짜로 하고픈 것.
    2. 진짜로 연관된 것.
    3. 진짜로 몰입과 실천.
    **알고는 있었지만 또 달리 들어오는군요.

  • @xxxyyyzzz612
    @xxxyyyzzz612 Před 15 dny

    지극히 당연한 얘기를 한 것 같애! 그렇다고, 오늘날의 교육시스템이 문제라고 100% 물아붙이는 것은 무리지!

  • @jungapurple
    @jungapurple Před 18 dny +1

    좋은 인사이트 감사합니다!!!

  • @세이미아
    @세이미아 Před 4 dny

    계속 반복해서 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강이레-m3k
    @강이레-m3k Před 10 dny

    지식의 역사는 생각보다 짧죠. 김용규 작가가 쓴 '신'이라는 책이 깨우침을 주더라구요.

  • @p익
    @p익 Před 12 dny

    학교는 인맥이죠, 그리고 그런 인맥을 쌓아야 무엇을 도전하고 경험해볼 기회가 생기기 때문에 한국사회에서 학벌 빼곤 기회를 말하기 쉽지 않다.
    지연, 학연 사회라 애쵸 경력이라는 것 자체가 쌓는게 불가능

  • @dnas7659
    @dnas7659 Před dnem +1

    도덕성과 양심과 예의, 생명의 값어치 인간만 생명의 값아치가 높다고 생각하는 오만함, 그리고 종교는 인간이 만들었고 종교는 인간이 만든 돈으로 돌아가고 인간이 만든 건물에서 인간이 만든 계급직위가 있고 내가 가는 종교 건물안엔 신은없고 오직 돈받으려는 직원만 있다는걸 인지 시켜야함, 그리고 내가 세상에 존재이유 난 어디에있고 인간은 누가창조했고 우주밖은 뭐가있을지 이런 기본 근본적인 생각을 고민해보는게 먼저인듯 , 다들 개미처럼 내앞에 글과 숫자만 보고 살아서 이런걸보면 짐승이랑 다를게 없다고봄, 맹자 공자 처럼 정신적으로 트이는 연습부터 시켜야함

  • @cosmosenternity
    @cosmosenternity Před 13 dny

    매우 유익한 영상이었습니다. 고맙습니다.

  • @user-bm6bl1is6b
    @user-bm6bl1is6b Před 5 dny

    많은 언어학자들이 말하는 메커니즘과 같다
    언어를 학습하는데 있어서 즐거움을 느끼는것은 중요하다 강압적인 느낌이 든다면 언어 습득의 효율이 떨어진다
    가까운 예시로 우리는 롤의 130개의 챔피언 이름을 모두 기억하고 있고 100가지가 넘는 아이템 이름을 모두 기억하고 있으며 130개의 챔피언의 스킬 구성과 설명을 대부분 기억하고 있고 텍스트로만 따져도 1만글자가 넘을거다
    하지만 다 기억한다
    교과서의 경우는 어떨까 특출난 기억력이 아닌이상 한페이지를 제대로 기억하기도 힘들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