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설의 바이올린 켜보니…"상상으로만 그리던 그 소리" / SBS 8뉴스

Sdílet
Vložit
  • čas přidán 1. 03. 2024
  • 〈앵커〉
    제작된 지 200~300년이 훌쩍 넘은 이른바 '명품 바이올린'이 최근 다양한 연주회에서 관객들을 만나고 있습니다. 활로 한번 그었을 때부터 뭔가 달랐다는 게 연주자들의 이야기인데요. 직접 들어보시죠.
    심우섭 기자입니다.
    〈기자〉
    바이올리니스트 한수진은 명품 바이올린의 대명사인 1666년산 스트라디바리우스를 연주하는 것으로 유명합니다.
    따뜻하게 감싸는 듯한 소리는 큰 콘서트홀에서 위력이 나옵니다.
    [한수진/바이올리니스트 : 소리가 대포처럼 크다라고는 할 수 없지만 뚫고 나가는 바이브레이션(진동음)이 되게 강렬해요.]
    일반 악기와 소리에서 어떤 차이가 날까.
    영국에서 만난 후원자 덕분에 이 명기를 기한 없이 연주하게 됐습니다.
    [한수진 (1666년 스트라디바리우스 연주) : 늘 상상으로만 그리던 그 소리를 내주더라고요. 그래서 그 감동과 행복감은 이루 말할 수가 없고요.]
    차이콥스키 콩쿠르 한국인 최연소 수상자인 김동현은 1763년 파르마 산 과다니니와 8년째 함께하고 있습니다.
    [김동현/바이올리니스트 : 그냥 활로 이렇게 쓱 한 번 그었을 때부터 뭔가 다르다는 게 느껴졌습니다.]
    16살 때 금호문화재단 오디션을 통과하면서 함께 한 동행은 30살까지 계속됩니다.
    [김동현 (1763년 과다니니 연주) : (비행기에) 앉아서 이륙하기 전까지 계속 그쪽을 쳐다보고 있어야 돼요. 누가 혹시나 함부로 다루지는 않는가….]
    외국 경매에서 200억 원 안팎의 가격으로 낙찰된 사례들이 있는 전설의 바이올린들은 17세기부터 18세기 사이에 제작됐습니다.
    [김동인/현악기 마이스터 : 지금보다 추운 환경에서 오랜 기간 동안 그렇게 자란 나무를 산악 지형에서 밑으로 이동시키려면 수로를 통해서 내려왔는데 알 수 없는 광물질이라든지 그런 것들이 나무 안으로 흡수가 되면서….]
    명연주자 손이 거쳐 갈 때마다 더욱 깊은 소리를 갖게 된다는 명기들, 그 안에는 많은 연주자의 피, 땀, 눈물이 담겨 있습니다.
    [프레데릭 모로 (1749년 과다니니 소유) : 물론 부담감이 있습니다. 제가 특별한 악기를 가졌으니 더 특별한 연주를 관객들께 들려줘야 한다는 거죠.]
    (영상취재 : 김학모·윤 형, 영상편집 : 원형희)
    ☞더 자세한 정보
    news.sbs.co.kr/y/?id=N1007557113
    #SBS뉴스 #8뉴스 #바이올린 #연주회 #연주자 #명품바이올린 #소리
    ▶SBS 뉴스 채널 구독하기 : n.sbs.co.kr/youtube
    ♨지금 뜨거운 이슈, 함께 토론하기(스프 구독) : premium.sbs.co.kr
    ▶SBS 뉴스 라이브 : n.sbs.co.kr/youtubeLive , n.sbs.co.kr/live
    ▶SBS 뉴스 제보하기
    홈페이지: n.sbs.co.kr/inform
    애플리케이션: 'SBS뉴스' 앱 설치하고 제보 - n.sbs.co.kr/App
    카카오톡: 'SBS뉴스'와 친구 맺고 채팅 - pf.kakao.com/_ewsdq/chat
    페이스북: 'SBS뉴스' 메시지 전송 - / sbs8news
    이메일: sbs8news@sbs.co.kr
    문자 #누르고 6000
    전화: 02-2113-6000
    홈페이지: news.sbs.co.kr/
    페이스북: / sbs8news
    트위터: / sbs8news
    카카오톡: pf.kakao.com/_ewsdq
    인스타그램: / sbsnews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Komentáře • 418

  • @naiycnaiyc435
    @naiycnaiyc435 Před 3 měsíci +302

    300년전에 만들어진 악기가 지금도 현역이라니 대단하네요

    • @gazuaaaa4840
      @gazuaaaa4840 Před 3 měsíci +58

      바이올린, 첼로는 오히려 세월히 오래될수록 더 깊고 부드러운 소리가남....

    • @d0s25
      @d0s25 Před 3 měsíci +26

      현역이라는게 문제가 아니라 현역이 결코 따라갈 수 없다는 것.

    • @realbiny9083
      @realbiny9083 Před 3 měsíci +11

      ​@@gazuaaaa4840 가야금도 그렇고 나무로 만든 악기들이 그럼

    • @SONODYNE_LAB
      @SONODYNE_LAB Před 3 měsíci

      국악기는 제작되기전 나무를 야외에서 비와 바람에 건조와 진을 빼내는 공정이 10년 정도 되므로 실제 악기제작후 10년이내로 제대로된 소리가 나온다고 생각하면 되겠습니다. ​@@realbiny9083

    • @user-ry3hc6mt5l
      @user-ry3hc6mt5l Před 2 měsíci +5

      ㄹㅇㅋㅋ만 치면 되지 꼭 아는 척들을 해요

  • @keukkeuk79
    @keukkeuk79 Před 3 měsíci +467

    작곡가로써 한말씀 드립니다
    50만원짜리랑 같이 비교할려면 또 같은 부분으로 연주를 해야지 다른부분 클라이막스를 하면 어떡하는지?
    당연히 클라이막스에 더 기교나 연주의 스킬.감정이 더 들어가는거죠
    비교를 하려면 똑같은 조건에서 하는게 당연합니다

    • @user-ov2tz4ss2y
      @user-ov2tz4ss2y Před 3 měsíci +41

      그러게요
      50만원짜리랑 똑같이 들리는데ㅋㅋㅋ

    • @cozy_snow
      @cozy_snow Před 3 měsíci +9

      선생님. 아직 경력이 안되신가 합니다.
      좋은 악기를 쓰면,
      사실 연주자보다 작곡가가 더 편합니다.
      믹스 한번 해보시면,
      정말 컴프레서도 안 걸 정도의 소리로,
      상상 이상으로 편하고,
      연주자가 레코드에서 듣던 소리를 들으며 하기 때문에
      기량이 잘 나온다는게 중론입니다.

    • @cozy_snow
      @cozy_snow Před 3 měsíci +5

      작곡가는, 당연히 10만원짜리 악기를
      1000억으로 만들 사람이지요.
      그러나 그것이 듣는 최종 믹스와
      마스터링을 거치면서 깍이는 부분이 있지요.
      사실 악기에 대해 저도 의문이 많지만,
      가장 익숙한 소리가 연주자에게 느껴지는
      그 큰 부분을 간과할 수 없습니다.
      직접 실연에 조금 더 적극적으로 참여해 보시길 바랍니다.

    • @jang11922
      @jang11922 Před 3 měsíci +15

      본인이 작곡가라는 말은 안해도 될거같음.ㅋㅋ

    • @bell2334
      @bell2334 Před 3 měsíci +18

      @@cozy_snow 기량이 잘 나온다는게 중론을 증거로 이해시켜주는 장면인데 서로 다른 부분으로 연주했다는 것을 지적하는 글에 뭔소리를 하고 있는거에요

  • @hamas.3749
    @hamas.3749 Před 3 měsíci +91

    같은 구간을 비교해주셔야죠

    • @paulk.7255
      @paulk.7255 Před 2 měsíci +3

      그러게요. (담아내는 방송용 캐쳐 장비 퀄리티 감안하더라도) 같은 음역대여야 직관적으로 다가오지...ㅋㅋ 기본이 안된 방송인들이, 현시대의 유명한 연주자들을 바보로 만들어버리는 뉴스네요. 에혀...스브스 왜그래?

    • @GaeEuiSaMang
      @GaeEuiSaMang Před měsícem +9

      기자가 문과라서 그런듯 , 대조군같은거 모름 ㅋㅋㅋ

    • @salut3719
      @salut3719 Před měsícem +1

      비교해 달라니까 한수진씨가 그냥 각 소절을 한번씩 연주한 듯요.

    • @lilili4438
      @lilili4438 Před měsícem +5

      @@GaeEuiSaMang비교대상에 있어 전제가 같아야 한다는 사실에 문과 이과가 어디있누 대조군을 포괄하는 사실인디

    • @y6557
      @y6557 Před 26 dny +1

      맞아요 구간이 다르니 차이를 잘 모르겠어요

  • @user-farniente
    @user-farniente Před 3 měsíci +82

    한수진 바이올리니스트 ❤

  • @sdryu6773
    @sdryu6773 Před 3 měsíci +20

    관련은 없지만 20년 전 일렉기타 배울 떄 강사가 했던 말이 생각나는군.
    나 : "썜, 68년산 팬더 스트라토캐스터로 치면 소리 죽이겠죠?"
    강사 : "기타가 팬더면 머하노? 손가락이 삼익인데."

  • @user-Neapolitan6
    @user-Neapolitan6 Před 3 měsíci +41

    한수진 연주자가 여기에 ㄷㄷ 반갑네요

  • @user-qb7uk5zw8z
    @user-qb7uk5zw8z Před 3 měsíci +67

    아니 비교를 할려면 같은노래 같은파트로 비교하는 영상을 올려야지? 그리고 왜 틀린지 과학적 근거로 접근해서 보여줘야 되는거 아님?

    • @kj3244
      @kj3244 Před 3 měsíci +1

      ㄹㅇ ㅋㅋ

    • @elee9056
      @elee9056 Před měsícem

      이미 과학 시험으로 지랄앰병으로 판정남. 출처: scishow 유투브 채널

  • @dghiufdxssfvg67tjc
    @dghiufdxssfvg67tjc Před 3 měsíci +42

    목질이 바뀝니다. 목재 구조가 붕괴되면서 수분 유분이 세월속에 빠져나가면서 소위 에이징 됩니다. 그리고 연주하면 소리의 공명이 이 목재구조에 영향을 끼치고 실제로 기들이는 기기까지 있습니다. 세월속에서 공기중 산화현상으로 탄화됩니다. 요즘은 강제로 탄화시켜 악기제작을 하기도 합니다. 일명 탄화목이죠. 음.. 경연대회에서는 자기악기들고 나오니깐 소리 좋으면 경쟁에서 실제로 유리하죠. 곡에 따라 요구하는 음역대를 잘 표현해 주는 악기를 찾기도 하고 추구하는 톤도 있겠네요.

    • @user-cn4hs9zl1r
      @user-cn4hs9zl1r Před 12 dny

      목재 구조가 붕괴되면 바이올린 부서지는거 아니에요?

  • @photodegarimto9827
    @photodegarimto9827 Před 3 měsíci +44

    콘서트 홀에서 직접 들어 보면 그 황홀한 사운드에 할 말을 잃게 된다!

  • @user-dj5lf3ny4p
    @user-dj5lf3ny4p Před 3 měsíci +7

    마지막 프레드 모로 라는 작가 섭외까지, 심우섭 기자님 늘 창의적인 기사 애써주셔서 감사드려요!!!

  • @memorycode9891
    @memorycode9891 Před 3 měsíci +113

    돈 있는 애들은 2, 3억 짜리 바이올린 들고 다니던데 적어도 몇천만원짜리랑은 비교를 해야지 음대생 아니 예술중 애들도 안들고 다니는 50만원짜리랑 비교를 합니까?

    • @kaiwrites4182
      @kaiwrites4182 Před 3 měsíci +10

      전공생들은 최소 몇천만원때 악기를 쓴다고 하는데..
      50만원 짜리??
      그럴거면 쿠팡에서 5만원에 파는걸로 비교하든지..
      어이가 없네요..

    • @ntmfv
      @ntmfv Před 3 měsíci +7

      우리 누나도 비올라 현만 700만 바디랑 다합치니까 3천5백짜리 들고다니던데 ㅋㅋ
      집에 하프도 있는데 이건 얼마려나..

    • @sniper-yt5hc
      @sniper-yt5hc Před 3 měsíci +6

      몇천만원짜리랑 비교하면 뭐가좋은지 알수 없으니...

    • @LeeFluteable
      @LeeFluteable Před 3 měsíci +3

      그러게요. 어이가 없네. 현대에 만들어진 최상급 악기가 억 가까이 된다는데, 그런거랑 비교해야지

    • @user-cq4hn2lc1p
      @user-cq4hn2lc1p Před 3 měsíci +8

      내가 쓰고 싶은글 딱 쓰셨네요. 최소 2~3천 짜리랑 비교해야지. 전공생 연습용도 안되는 50만원짜리로 비교를 하다니..

  • @user-op1ti3nx1b
    @user-op1ti3nx1b Před 2 měsíci +8

    한수진님의 트로이메라이라니..ㅜㅜ 아름답습니다

  • @Leni_Geschichte
    @Leni_Geschichte Před 2 měsíci +7

    한수진 바이올리니스트가 여기 나오시다니 반갑네요..

  • @user-lk9hp4bq6v
    @user-lk9hp4bq6v Před 3 měsíci +8

    수진님이다 🤩

  • @michaelkim6097
    @michaelkim6097 Před 3 měsíci +11

    바이올린 뿐만 아니라, 운동선수도 쓰는 라켓 운동화 그런거 하나하나가 다 중요하지. 육상선수가 짚신을 뛰고 달리면 얼마나 기록 안나오는데.

    • @miaou1136
      @miaou1136 Před 3 měsíci

      🤣🤣🤣 그래도 나막신보단 나을걸...

  • @user-cr2lf5fh7s
    @user-cr2lf5fh7s Před 3 měsíci +41

    스트라가 가격이 얼만데 50만원 준비한 건 너무 하지 않냐?

  • @Tube-sb6fi
    @Tube-sb6fi Před 3 měsíci +22

    사실 연주자들은 비싸고 좋은 악기 기가막히게 알아챕니다.
    근데 문제는 듣는 사람들이 잘 구분 못해요ㅎ

  • @user-yf9cd8hp4x
    @user-yf9cd8hp4x Před 3 měsíci +86

    50만원 짜리랑 비교는 좀 선 넘는거 아닌가 ㅋㅋㅋㅋㅋㅋㅋ

    • @bulbob100
      @bulbob100 Před 3 měsíci +14

      ㅋ ㅋ ㅋ ㅋ 진짜 천만원 짜리 독일 금키 클라랑 40만원짜리 플라스틱 클라랑 비교하는 수준임

    • @sinchon06
      @sinchon06 Před 2 měsíci +2

      솔직히 난 잘 모르겠음...물론 녹음 장비가 더 훌륭해야겠지만 ㅋㅋ

  • @jenvogue5005
    @jenvogue5005 Před 2 měsíci +1

    great content! love the violinists and the violins!

  • @MELDIJAY
    @MELDIJAY Před měsícem +1

    와...그 옛날영화에서 듣던 그 아른아른 거리는듯한 소리네요?
    바이올린 하나에서 느껴지는 음감이 굉장히 시네마틱하네요

  • @ernieball20
    @ernieball20 Před 2 měsíci +1

    Maestro 수진샘에 걸맞는 악기죠 ❤❤❤🤗🤗🤗

  • @user-yl7uu4mg9o
    @user-yl7uu4mg9o Před měsícem +1

    멋지다. 한수진님.

  • @user-fk6pe9yl4l
    @user-fk6pe9yl4l Před 3 měsíci +9

    기똥차게 좋은 소리를 내주는군요 나도 명기를 가지고 싶다

  • @jason_cha
    @jason_cha Před 3 měsíci +18

    현대 과학기술이 얼마나 발전했는데, 몇 백년 전에 만든 악기보다 더 좋은 악기를 못 만들어 낸다는 게 말이 되나? 내가 봤을 땐 저건 그냥 홍보용 악기이다. 과학하고는 거리가 멀고, 그냥 사람의 감성을 자극하는 물건인 거지.

    • @rogue2586
      @rogue2586 Před 3 měsíci +1

      연주자들이 기교가 정상에 올랐음에도 계속 연주하는 건 악기에 감정을 싣기가 힘들어서다.

    • @wjb643
      @wjb643 Před 3 měsíci +1

      중고차가 좋겠냐 신차가 좋겠냐 바이올리도 마찬가지다. 그냥 스토리 마케팅일 뿐

    • @jdp7151
      @jdp7151 Před 3 měsíci +1

      시대와 역사적인 의미가 있는거지 특히 명연주자들의 손을 거친 바이올린이라면

    • @satuoh4522
      @satuoh4522 Před 3 měsíci +5

      현악기는 오래될수록 소리가 좋고 비쌈 관악기는 아니지만..

    • @fpzkseh86
      @fpzkseh86 Před 2 měsíci +5

      네 못만들어 냅니다. 그 당시 기후 문제 때문에 현대의 나무하고 질적으로도 다르고 스트라디 만의 기술이 후대에 전해지지도 않아서 현대 제작자들이 재현 하려고 했는데 실패 했어요 거기에 역사적 가치와 희소성 까지 있으니 가격이 천정부지로 오르는거죠.. 현악기 연주자들의 꿈의 악기 입니다.

  • @daisyp7799
    @daisyp7799 Před 2 měsíci +2

    한수진님 흐엉 💝💝💝💝

  • @kokonara3497
    @kokonara3497 Před měsícem +1

    한수진 바이올리니스트 팬입니다.

  • @ootamanabu
    @ootamanabu Před 3 měsíci +1

    これは凄い❗感動しました、良いニュースです。

  • @pkbum-nj3ec
    @pkbum-nj3ec Před měsícem

    프랑스가서 프레데릭 모로, 저분 공연 보고왔는데 여기서 또 보네요 .... 마들렌느 대성당에서 공연했습니다

  • @user-es8wu2ul7j
    @user-es8wu2ul7j Před 3 měsíci +5

    난 통기타/베이스쟁이 인데도 딱 들으니까 다른데? 따듯하고 풍성하면서 소리가 울잖아 근데 50마넌 짜린 너무했다 못해도 500짜린 준비했어야지

  • @user-xp3sc9yp2y
    @user-xp3sc9yp2y Před 3 měsíci +19

    녹음되고 편집된 소리로는 잘 못느끼고 연주자가 느끼는게 큰 듯...
    그나마도 사실 어느정도 이상 급 되면 엄청 차이나진 않을거고

  • @user-te2hn7zn6t
    @user-te2hn7zn6t Před 3 měsíci +2

    아름답습니다

  • @user-ez5et6bj7f
    @user-ez5et6bj7f Před 2 měsíci +2

    예술의 세계는 정말 신기하네 ... 대단하다..

  • @Chris_99024
    @Chris_99024 Před 3 měsíci +8

    "이거.. 명기다!"

  • @user-bl8hj8xn3w
    @user-bl8hj8xn3w Před 3 měsíci +29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50만원 짜리와 비교하면 당연히 차이나지만 천만원 짜리와 비교하면 구분 못할 수도 있음 ㅋㅋㅋㅋㅋㅋㅋㅋ 과학적으로 보더라도 잘린 나무는 공기와 습기에 노출되면 변형이 생김 물론 개중에 좋은 소리를 내는 것도 있지만 그건 그냥 그렇게 만들어진 것일뿐 오래되서 소리가 좋아진 건 아님 나무 악기는 소모품임 통기타도 똑같음

    • @vjsl314
      @vjsl314 Před 2 měsíci +1

      몇천짜리랑 비교해봐도 실제로 들어보면 차이 엄청 나요

    • @user-bl8hj8xn3w
      @user-bl8hj8xn3w Před 2 měsíci

      @@vjsl314 차이가 난다는 건 좋고 나쁨의 차이가 아니라 다름의 차이일듯

    • @vjsl314
      @vjsl314 Před 2 měsíci

      @@user-bl8hj8xn3w 저도 몇억짜리 악기랑 천만원대 악기 여러번 들어봤는데 확실히 비싼 악기가 소리가 깊고 울림이 더 큰 느낌이 들었어요

    • @vancant1225
      @vancant1225 Před měsícem

      그걸 소모품이 아니게 만드는게 장인이다

  • @kyb8761
    @kyb8761 Před 3 měsíci +19

    내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수백년전 목공실력보다 현대의 초정밀 밀링기계로 더 훌륭한 악기를 만들 수 있을 것 같은데 그렇게 안하는 것 같음
    분명히 저 줄은 수백년전 만들어진 줄이 아니고 현재의 기술로 생산한 줄일 것일텐데 골동품끼고 한다는 감성적 영향이 큰 것 같음
    아니면 오래되서 나무가 말라 더 미세하게 얇아져서 공명이 잘 이뤄진다고 한다면 현대 밀링기계로 얇게 깍아 공명이 잘 이뤄지게 하면 그만일 뿐이란 생각을 해봄

    • @GaleRianes
      @GaleRianes Před 3 měsíci +2

      맞는말 일 듯.

    • @jhc3836
      @jhc3836 Před 3 měsíci

      ㄹㅇ 명품 골동품으로 가치가 큰거지 소리는 현대기술로 훨씬 좋게 만들수 있을거라고 생각함

    • @user-sm1kj5id3o
      @user-sm1kj5id3o Před 3 měsíci +2

      그래서 얄게 제작하는 제작자들이 있다고 들었는데 악기가 약하다고 하네요

    • @kyb8761
      @kyb8761 Před 3 měsíci +1

      @@user-sm1kj5id3o 옛날 악기는 말라서 얇아지는게 아니고 수세미처럼 수분이 빠져나간자리가 비어있는 형태일수도 있겠네요. 그러면 진공건조기에 넣고 6개월가량 돌리면 같은 효과를 내지 않을까요?

    • @user-sm1kj5id3o
      @user-sm1kj5id3o Před 3 měsíci +7

      @@kyb8761 그럴수도 있겠지만 중요한게 그 시대때의 나무와 요즘 나무는 환경변화로 인해 질이 좀 다르다고도 하고 이탈리아쪽에 자라는 나무의 재질이 소리가 다르다고 합니다. 300년전의나무와 현재 나무가 다르다는것도 있습니다

  • @user-iq8lq6dw2t
    @user-iq8lq6dw2t Před 3 měsíci +1

    내가 진짜 한수진바이올린 실력은 인정해도 악기는 인정 못하겠네..
    스트라디는 저런소리가 절대 안나요
    맑고 청아하고 깨끗한소리가 나야 되는데 ....유튭에 막심벤게로프가 시벨리우스연주한 악기가 진짜 스트라디지...

  • @user-mx3sp5xu8t
    @user-mx3sp5xu8t Před 2 měsíci

    바이브레션할때 소리 자연스럽네요

  • @em-a
    @em-a Před 2 měsíci

    영상으로만 듣는데도 뚜꺼운 정도가 확 차이나네 말고도 음넓이랑 폭 바운더리도 품을 수있는 그릇이 다른게 느껴진다

  • @DavidHongMD
    @DavidHongMD Před měsícem

    과학적 분석으로는 최상급 바이올린을 비교했을때 Strad와 똑같은 활과 줄을 사용했을 때 큰 차이가 없다고 합니다. 단지 진품의 경우 머리의 조각과 바이올린 몸체의 나무 결과 이음새 등이 제작자의 섬세함이 드러나는게 특징적이며 빼어나다가 하더군요. 특히 나무결이나 그 당시 마감은 현재에도 재현이 어려워 더 귀해졌다고 합니다.

  • @user-tt8wo4qi7g
    @user-tt8wo4qi7g Před 3 měsíci +2

    나는 모르겠지만, 오래 연주한 사람이나 제대로 클래식에 파고든 사람들은 눈치챌만한 소리가 명기에는 들리는거겠죠. 뭐.. 그나마 공감 될 수 있게 비유하자면 돌아가신 어머니가 해주는 김치찌개, 된장찌개 이런 느낌이 난다 라고 말하면 맛을 떠나서 수십억의 가치를 매겨도 부족하죠.

  • @haengbokcheon9191
    @haengbokcheon9191 Před měsícem +1

    핑크색 드레스 입고서 한수진씨가 연주하는 곡의 제목은 무엇일까요..?

    • @solojx78
      @solojx78 Před měsícem

      차이코프스키 바이올린 협주곡 1번 입니다

  • @jungsupyun5625
    @jungsupyun5625 Před 3 měsíci +6

    학생들도 안쓰는 50만원짜리랑 비교하고 어쩌라고?

  • @user-vr4um7wi7r
    @user-vr4um7wi7r Před 10 dny

    1:25 이분은 악기가 자체탑재되어계신듯

  • @hyunhochoi8705
    @hyunhochoi8705 Před měsícem

    소리가 더 울리고 깊은 느낌이 있어요
    뉴스 영상만으로는 잘 모르겠는 분들도 다른 비교 영상 보시면 바로 눈치채실거에요

  • @user-pi8oz8of2q
    @user-pi8oz8of2q Před měsícem

    피...땀...눈물...

  • @WJKIM-zw7qo
    @WJKIM-zw7qo Před měsícem +1

    올드악기는 가장 싼 것이 1억이 넘는다니
    꿈을 키우는 연주자들에게는 벽이나 다름없지 않느냐...?
    정말 올드악기가 같은 연주자가 연주해도 탁월한 소리를 낸다면
    공정경쟁을 위해서라도 올드악기는 전부 박물관으로 보내든지 해서
    연주할 수 없게 만들어야 되는 것 아니냐...?

  • @core083
    @core083 Před 3 měsíci

    현재 많은것들이 과학으로 기술의 극복이 되었는데, 예를 들면 강철제조기술 같은거.. 아마 바이올린도 그게 가능할 것이겠지만 과학이 넘을수 없는것은 감성의 영역이겠지. 그게 아직까지 가치를 인정받으니 가격이 엄청날테고..

  • @BruceLee-rt4bz
    @BruceLee-rt4bz Před 3 měsíci +6

    타이스의 명상곡이네요. 소리가 정말 다르긴 하네요.

  • @user-uv7qw4yn7c
    @user-uv7qw4yn7c Před 2 měsíci +1

    지나가는 일반인입니다
    큰 차이 없는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007run
    @007run Před 2 měsíci

    캬 차이코프스키 바이올린 협주곡으로 들으니까 바로 편해지네

  • @uzer.daiee6547
    @uzer.daiee6547 Před 3 měsíci +5

    다른곡 연주하고. 다르다고하면
    왜 다른지 다른놈들은 다른걸
    어찌 아늬?

  • @user-cz2md6kp3c
    @user-cz2md6kp3c Před měsícem

    50만원이면 중급자용 수준임
    비교 대상 아닌게 맞긴하죠
    물론 가격을 얘기 안하면 50만원 짜릴 택하는 사람도 나오겠지만
    가격얘길 듣고도 그대로라면 문제가 있지 않을까용
    악기가 오래됐는데도 비싼데에는 다 이유가 있는거고
    싼 악기에도 취향 차이가 있는거죠
    다만 무슨 악기던 정가기준 20만원 이하로는사지마세요

    • @user3320alspo
      @user3320alspo Před měsícem

      현악기 50만원이면 입문용이라고 봐야해요. 쿠팡 십몇만원....이런 제품은 그냥 바이올린 장난감.

  • @JR-dn5cn
    @JR-dn5cn Před 3 měsíci +2

    소리가 다르긴 한데 값의 차이 만큼은 솔직히 아니다.......

  • @dy5hxf7yw3
    @dy5hxf7yw3 Před měsícem

    어떤 것이 차이를 만들어냈는지 과학적인 설명이 없으면 신뢰할 수 없지만.
    연주자가 느끼기에 소리가 다르다는 것 자체는 맞을거예요. 같은 악기로 1년만 연주해도 소리에 질려버리고 미묘하게 다른 진동 다른 음색 찾는것에 흥미가 생기기 마련

  • @sbfrank3035
    @sbfrank3035 Před 3 měsíci +3

    걍 똑같다

  • @Aiden-bj6zd
    @Aiden-bj6zd Před měsícem

    디지털악기도 빨리 저정도로 구현되서 가난한 여러 예비음악가들도 저렴한가격에 좋은 소리로 연주할수있게 되길바랍니다.

  • @neyoker3211
    @neyoker3211 Před 3 měsíci +4

    나는 음악문외한인데 50만원짜리랑 비교하는게 맞냐?보통 연주자용 악기는 보통 몇백에서 몇천한다는데 그런걸로 비교를 해야지 그리고 상식적으로 과학이 더발달한지금 요즘만드는게 더좋것지 다만 요새애기들 말로 갬성이도좋은거지 그리고윗분말처럼 가튼부분으로 해야 비교가되지

  • @user-vc2ge1go2f
    @user-vc2ge1go2f Před 2 měsíci +2

    300년전 악기면 뭐합니까? 몸통만 옛것이고 턱받침대 붙혀놓고 지판, 브릿지, 줄걸이틀, 현까지 싹다 현대것으로 개조해서 갈아놓은건데

  • @user-nt7ww6yp6n
    @user-nt7ww6yp6n Před 2 měsíci

    모니터 스피커로 듣는데 연주가 다름 50만원짜리 연주 겁나짧게 하고 연주도 달라요...구별불가
    진짜 콘서트 장가서 들어야 확연히 느낄듯

  • @yazasoo3519
    @yazasoo3519 Před měsícem +1

    엄청난 악기이지만 비교영상에서 연주자체를 너무 차이나게 하는거 아닌가요? ㅎㅎ

  • @om-bb2sg
    @om-bb2sg Před 3 měsíci +3

    과르네리도 들어보고 싶다

  • @honeystein
    @honeystein Před měsícem

    듣는사람은 큰 차이 없을 수 있어도 연주자가 느끼는 체감차이가 엄청나요. 그것이 연주자의 감정이입과 자신감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요

  • @user-mr9ed7nb7p
    @user-mr9ed7nb7p Před 3 měsíci +2

    저도 명기가 좋읍니다.

  • @tiho-nge60r-rttj
    @tiho-nge60r-rttj Před 3 měsíci +3

    요즘에는 소리보다는 상징적인 의미가 크겠지요 하지만
    한가지 명확히 말할수 있는거는 관객들은 저 악기의 소리를 찾는다는겁니다
    당장 나같아도 일반악기랑 스트라디 둘다 같이 공연하고 있으면
    스트라디 소리 들으러 스트라디 보러가겠음

  • @AlexKim-hc6ul
    @AlexKim-hc6ul Před 3 měsíci +1

    제작된지 2~300년이 훌쩍 넘은.. 중고 바이올린.^^:

  • @user-ei1ul9oy4w
    @user-ei1ul9oy4w Před měsícem +3

    플라시보 효과입니다.
    예전 미국에서 시험한거있는데 명품이라고하니 전문가가 다 저런소리했고 나중에 대충 만든거라고하니 아무말도 못하고 음향 측정하는거로 음색도 좋지 않다고함.

  • @user-vf4jf8cg6h
    @user-vf4jf8cg6h Před 3 měsíci +3

    저거 눈가리고 들어보면 뭐가 더 좋은지 모름 오래되었다고 다 좋은거 아님 포도주가 아니라고

  • @user-hw6ub8rh1x
    @user-hw6ub8rh1x Před 3 měsíci +1

    전현 다른곡 이잖슴
    그냥 그들만의 갬성같은데

  • @bluenite1669
    @bluenite1669 Před 2 měsíci

    명기 보다는 누가 연주하느냐가...😊

  • @ssj-wh7tn
    @ssj-wh7tn Před měsícem

    눈을 감고 아무리 들어봐도 차이를 못느끼겠다

  • @user-sc8rt6xb5b
    @user-sc8rt6xb5b Před 3 měsíci +1

    대충 그런가 하고 넘겨라 아차피 우리들은 평생살아도 만져도 못보자나

  • @stanleydan9159
    @stanleydan9159 Před 2 měsíci

    금전적 가치를 자꾸 가져다 대니 이해를 못하는거.. 차이는 확실히 있음. 다만 그 차이를 사용하기 위해 몇십억 이상이 필요하다는것 뿐이지만. 직접 구매하는 사람들이 아닌이상 왈가왈부 할 필요는 없음. 애초에 기계적으로 소리를 등급으로 매기는게 아니니깐 ㅋㅋ

  • @user-jc9rv4sb1x
    @user-jc9rv4sb1x Před 2 měsíci

    스트라디바리우스도 명품이지만 이 다음으로 좋은게 마테오 고프릴러죠

  • @isu-ilgi
    @isu-ilgi Před měsícem

    동묘가면 있을거 같은데...

  • @parkthoven
    @parkthoven Před 3 měsíci +13

    사라 장의 과르네리도 유명하죠~~

  • @MsBigmuscler
    @MsBigmuscler Před 3 měsíci

    진공관... 반도체가 괜히 만들어진것이 아니겠지요 저런 악기소리를 영원히 듣기 위한 인간들의 욕망에서 비롯되었지요.

  • @sundamlee5218
    @sundamlee5218 Před 2 měsíci

    국악은 저런 지원이 있을까요?우리의 소리가 나이 먹으니 더 귀하게 여겨집니다ᆢ

  • @xianwu5363
    @xianwu5363 Před 3 měsíci +1

    악기 소개를 빙자한 연주자 홍보인가...?

  • @james961121
    @james961121 Před 2 měsíci

    아니 조은 거 쓸 때는 뭔가 더 정성스러운 거 같은데 ㅋㅋㅋ

  • @user-cc3ev2tr2q
    @user-cc3ev2tr2q Před 3 měsíci

    피, 땀 ×
    세월, 노력 O

  • @user-bk2rf4mf7z
    @user-bk2rf4mf7z Před 3 měsíci +1

    한수지님.

  • @user-kv3iw9jb3h
    @user-kv3iw9jb3h Před 3 měsíci +7

    50 만원짜리 랑 비교하는건 아니라고 봅니다

  • @user-tw8dt8sc4u
    @user-tw8dt8sc4u Před 2 měsíci +1

    1:14 한수진옆에 1666년은 뭐냐 진짜 ㅋㅋㅋㅋ

    • @user-ix3mp3kg1g
      @user-ix3mp3kg1g Před měsícem

      1666년산 바이올린 연주한다고 병신아

  • @jaylah2022
    @jaylah2022 Před 3 měsíci +2

    ㅎㅎㅎ 진짜 다른 사람들 말처럼 50만원짜리가 아니라 몇억짜리 바이올린이랑 비교해봐야지....한수진?? 저 사람이라면 가지고 있을것 같은데 50만원짜리랑 비교는 너무했다.

  • @user-wg8vo3sr2o
    @user-wg8vo3sr2o Před 3 měsíci +1

    명필은 붓을 고르지 않는다, 장인은 도구 탓을 하지 않는다... 일반인 제가 듣기엔 50만원 짜리도 너무 멋있게 들립니다

    • @jdp7151
      @jdp7151 Před 3 měsíci +1

      악기좀 해보다가 어느수준 이상 가보면 압니다. 도구가 장인을 탓하지 않는다는걸

  • @ghshin8026
    @ghshin8026 Před 3 měsíci +1

    일반 중상급자용을 연주할땐 성의없이 대충대충하는거 눈에 보이는데? 저렇게 하지말고 눈가리고 악기 안알려주고 블라인드 연주해야 진실을 알수있음..

  • @soso12344
    @soso12344 Před 2 měsíci

    일단 핸드폰이나 컴퓨터 스피커로 듣는 분들은 그냥 똑같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저 악기들 차이를 느끼려면 직접 듣는게 가장 좋고, 아니면 녹음하는 장비를 엄청 신경써서 제대로 녹음한 다음
    좋은 음향설비가 갖춰진 상태에서 들어야 좀 알 수 있을겁니다.
    그냥 저렇게 방송용 카메라 혹은 붐마이크로 녹음해서는 그 차이를 느끼기 힘들죠.
    근데 그걸 핸드폰이나 이어폰, 컴퓨터 스피커로 듣는데 차이를 느낀다? ㅋㅋㅋ 기분탓이죠
    그냥 직접 저 악기들을 연주하는 분들의 소감을 들어보는데 의의가 있지
    이 영상으로 시청자들도 그 차이를 직접 느껴보라는건 좀 무리가 있다고 봅니다.

  • @hithere911haha
    @hithere911haha Před 13 dny

    명기는 위대하다..

  • @1990skvn
    @1990skvn Před měsícem

    악기 비교하는 연주를 자기 폰스피커로 걸러듣는데 그 차이가 크게 느껴질까 직접 가서 들어야지

  • @blessingsong3372
    @blessingsong3372 Před 3 měsíci +9

    소리가
    다르게
    느껴지는 건?
    계속
    무언가 다르다
    비싸다
    좋다
    하니까----
    선입견 작동해서
    그런거에요

    • @user-nl8lv7pv9k
      @user-nl8lv7pv9k Před 3 měsíci

      님이 뭔데여..?

    • @Dogmanner
      @Dogmanner Před 3 měsíci

      ⁠@@user-nl8lv7pv9k방구석 심리분석가

    • @yb369
      @yb369 Před 3 měsíci

      근데 일반인 쉽게구분못함 ㅋㅋ클래식은 그들만의리그임

    • @kaiwrites4182
      @kaiwrites4182 Před 3 měsíci

      @@user-nl8lv7pv9k 맞는 얘기에요.
      일반인은 구분하기 힘듬.
      실제 실험한 것도 많아요.
      그리 말씀하시는거 보니 클래식쪽은 문외한 이신거 같은데, 유튜브에 직접 검색해 보세요.
      비싼것과 값싼 현악기를 비교하는 영상이 여럿 있으니깐.

  • @sukkim8445
    @sukkim8445 Před 3 měsíci +2

    50만원? 게다가 곡의 다른 부분? 미치겠다. 스브스가 스브스 했네 ㅋㅋㅋ

  • @Abienddo
    @Abienddo Před 3 měsíci +7

    악기를 다뤄본 사람이면 누구나 알수있음
    소리는 사실 손에서 다 나오는거임 그리고 그 브랜드의 이름값
    스트라디바리우스가 물론 비싼건 알겠지만 그게 좋은소리에는 개개인마다 다 다르겠지
    사실 듣는사람이야 잘 구분도 못함 ㅋㅋ 연주하는 사람 딱 본인만 느낄수있는 그런게 있음

  • @dkchoi7131
    @dkchoi7131 Před měsícem

    소리가 다른건 맞는데 왜 비교한답시고 박자자체가 다르지 ㅋㅋ 참 기자라는게

  • @appp7566
    @appp7566 Před měsícem

    듣기론 저런 바이올린이 비싼 이유가 비단 오래되었기 때문이 아니라 저당시가 소빙기여서 지금은 다시 오지 않을 기후이기 때문에 저당시 나무가 밀도가 촘촘하다고
    들은거 같습니다.

  • @bccent4626
    @bccent4626 Před 15 dny

    비슷하게 들림....스트라바리우스 연주하실때 좀더 연주자가 집중하는 느낌말고는..

  • @user-ei5ih3km3e
    @user-ei5ih3km3e Před 3 měsíci +4

    역시 뮤지션들은 귀도 다르구만
    난 그냥 낑낑대는 소리로만 들리는데

  • @soniceguyful
    @soniceguyful Před 3 měsíci +1

    확실히 틀리긴 한데...50만원짜리랑 비교하는건 좀 그랬다.

  • @outssa
    @outssa Před 3 měsíci +2

    예술은 어렵다

  • @user-bn8gw9vz6d
    @user-bn8gw9vz6d Před 3 měsíci +2

    비싸게 삿는데 현대꺼보다 못한것 같은데

  • @user-dg7ty8qu5g
    @user-dg7ty8qu5g Před 3 měsíci +1

    들어도 차이를 전혀 모르겠다. 클래식에 조예가 깊은 사람들만 알수있는거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