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피 한 방울 안 흘리고 나라 망하게 하는 방법 ㄷㄷ / 💀 위조지폐가 무기로 쓰이는 이유는?

Sdílet
Vložit
  • čas přidán 3. 05. 2022
  • ☠ 궁금한 거? 구독과 좋아요만 눌러주면 우리가 알아서 약탈해줄게! 🦜
    화폐가 등장한 이래 ‘가짜 돈’을 만드는 사람들은 항상 있어 왔습니다.
    그러나 가짜 돈에도 진짜가 어느 정도 섞여 있어야 하는 법!
    재료값 때문에 위조화폐를 만드는 일은 쉽지 않았는데요.
    ‘지폐’가 등장한 이후 위조지폐는 아예 국가단위 전략무기가 되어버리게 되는데...
    #위조지폐 #베른하르트작전 #2차대전

Komentáře • 527

  • @대한민국정부_뇌피셜

    4:15 여기서 보시면, 숫자 2가 우리가 아는 모양이 아니죠? 여기에 대해 설명하자면
    고대에 중국은 위조지폐나 문서위조를 방지하기 위해서 한자를 새로 만들었습니다.
    옛날 중국인들이 장부 기록을 하다 가만보니까, 一,三,十,百,千, 이런 한자들이 너무 단순하게 생겼고 겹치는 부분이 많으니까 위조가 쉬워질 것 같은거에요.
    그래서 새로 더 복잡한 모양의 한자를 만들었는데, 이것을 갖은자라고 합니다. 이런 갖은자가 법제화된 것은 명나라 때의 일입니다. 다만 영상에서도 보이다시피 그 이전에도 갖은자는 계속 쓰여왔었습니다.
    보통 위에서 설명했듯 원래의 모습을 복잡하게 만든 것이 갖은자가 되지만, 간혹 萬과 零처럼 원래의 자가 갖은자의 역할을 하고, 새로 만든 속자나 약자, 간화자, 이체자가 일반자의 역할을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엄밀히 말해 이런 경우는 갖은자라고 말하지 않지만, 아래의 목록에는 그것이 정자라는 표기와 함께 갖은자로 적었습니다.
    아래는 각 숫자들의 일반자(왼쪽)와 갖은자(오른쪽)입니다.
    0 〇(속자) 零(정자)
    1 一 壹
    2 二 貳
    3 三 參
    4 四 肆
    5 五 伍
    6 六 陸
    7 七 漆
    8 八 捌
    9 九 玖
    10 十 拾
    100 百 佰
    1000 千 仟
    10000 万(속자) 萬(정자)

    • @user-yg3qs7fg2w
      @user-yg3qs7fg2w Před 2 lety +4

      나열해보니 뭔가 비스무르하게 생겼네요

    • @대한민국정부_뇌피셜
      @대한민국정부_뇌피셜 Před 2 lety +28

      @@user-yg3qs7fg2w 맞습니다. 잘 보면 모든 갖은자에는 일반자의 형태가 숨어들어가 있습니다.

    • @user-qm4fq9sw8o
      @user-qm4fq9sw8o Před 2 lety +12

      정보추

    • @unicord08
      @unicord08 Před 2 lety +9

      아직도 일본 엔에서 저 흔적을 찾아볼 수 있죠
      흔히 볼 수 있는 일만엔권은 壱万円, 간혹 가다 보이는 이천엔권은 弐千円이라 쓰여 있습니다

    • @benc4853
      @benc4853 Před 2 lety +8

      귀칼 상현 눈에 이게 있는건가?

  • @user-mg7gj5uu8y
    @user-mg7gj5uu8y Před 2 lety +1047

    Tmi: 우리나라의 경우 '77246'이라는 일련 번호가 붙은 5천원권 위폐가 대량으로 나돌아다닌 사건이 있었고, 이는 5천원권이 가장 먼저 신권으로 교체된 계기가 되었습니다.

    • @user-ih1hn8dg6l
      @user-ih1hn8dg6l Před 2 lety +259

      슈퍼 아주머니가 잡았던 그 사건

    • @chi2mj
      @chi2mj Před 2 lety +47

      알쓸범잡에서 본 그 사건

    • @ohme9492
      @ohme9492 Před 2 lety +182

      @@user-ih1hn8dg6l 슈퍼아주머니가 잡은것도 레전드임ㅋㅋ
      그만큼 그분외에 주의깊게 본사람이 없다는 사실이니까

    • @P0LICELEE
      @P0LICELEE Před 2 lety +56

      @Osurkra 그건 세계급으로 갔을 때 얘기고 일개 잡범이 동네에서 사기치고 다니기에는 한국돈 위조도 전혀 문제가 안되지. 달러가 더 중요하다는건 그만큼 감시망도 촘촘하다는 소리

    • @P0LICELEE
      @P0LICELEE Před 2 lety +48

      @Osurkra ㅋㅋ 미국돈 중요한거 알겠는데 그럼 뭐 한국 원 없어야 하나? 미국 달러가 그렇게 중요하면 다 달러 쓰면 되는데 왜 나라마다 화폐단위가 있고 EU는 유로 단위를 쓸까? 기승전 IMF하기전에 나라 기본틀을 유지하는건 그 나라 화폐단위임 나라가 부국해지면 그만큼 화폐의 가치도 올라가는거고 미국 달러만 찬양하기 전에 왜 국가마다 화폐단위가 있는지 생각해 보기를 바란다.

  • @JingerCho
    @JingerCho Před 2 lety +35

    위조지폐 뿌릴 때 다다다다다다 효과음 넘 웃겨요. 😂 중국은 ATM에서도 위조 지폐가 나온다고 하더라고요.

    • @꽃슈카
      @꽃슈카 Před 2 lety

      우리나라도 위조있을텐데 중국 ㅋㅋ
      그냥 어떻게든 까고 싶은게 목적이죠?

    • @hoorobong
      @hoorobong Před 2 lety +5

      위조지폐 때문에 qr코드 방식이 발데전 햇다는....

  • @user-on5ne9sj3o
    @user-on5ne9sj3o Před 2 lety +151

    송나라 시기 처음 만들어진 지폐는 처음에 송 정부에서 만들어 사용하던 것이 아니고 운하를 통해 전국적인 산업망이 갖추어진 상태에서 대상인들이 거대해진 상업조직을 각 지역에 거점을 두면서 장사를 하게 됩니다. 이들을 '행'이라고 칭하고 '행'은 현재 은행등의 단어에서도 찾아볼 수 있습니다. 물건을 운반할 때, 상인들이 직접 한 것이 아니라 사람들을 고용해서 맡기게 되었는데, 구리로 된 동전의 무게가 너무 무거우면 물건을 옮겨주고 나서 물건을 또 옮기는 셈이었기 때문에 너무 무거우니까 어음의 형식으로 증서를 주게되는 것이 시초였습니다.
    이것을 송정부가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했고, 상인들에게 물품을 국가에 납부하라고 한 뒤에 그 대금으로 지급하게 된 것이 '교자'이고 이것이 정부에서 공식적으로 발행한 첫 지폐입니다. 기존에는 그 문서에 받은이의 이름이 적혀있었지만 이것에는 적혀있지 않고, 국가에게 받은 교자를 공식적으로 교환하지 않고 다른 이에게 같은 값을 받고 넘기면, 그 사람은 국가에 가서 돈과 교환하면 되었습니다. 국가의 입장에서는 이름을 적어둔 것이 아니기에 누가 가져왔는지는 중요하지 않았고, 송의 경제력이 커질 수록 사례가 늘어나면서 지폐의 사용도 늘어나게 됩니다.

    • @bitoh5056
      @bitoh5056 Před 2 lety +8

      좋은 정보 감사감사

    • @krk2688
      @krk2688 Před 2 lety

      고마워요 스피드웨건

    • @user-dv3dn9zj4w
      @user-dv3dn9zj4w Před 2 lety +15

      이런거 보면 중국은 민간에서 굉장히 합리적이고 창의적인 문화와 기술 시스템이 발생하는데 중앙에서 항상 아예 그런 것들을 싹다 통제하고 심지어는 모두 없애버리니까 발전이 없는거 같음. 문자의 옥, 청나라의 지배,분서갱유, 문화대혁명, 그리고 지금의 시진핑까지 자국의 경제와 문화,기술의 발전을 항상 중앙에서 조져놓음

    • @user-ms2go7is2k
      @user-ms2go7is2k Před 2 lety +2

      @@user-dv3dn9zj4w 조선족들이 이런소리 잘하든데 ㅋㅋ 니들은 합리고나발이고 원래 이렇게 될 민족인거야 ㅋㅋ

    • @user-dv3dn9zj4w
      @user-dv3dn9zj4w Před 2 lety

      @@user-ms2go7is2k 뭔 개소리여 ㅋㅋㅋㅋ 내가 조선족인데 마오쩌둥,시진핑을 까는 소리를 하겠냐? 학창시절 국어점수가 보이네 친구야 ㅋㅋㅋ 당,송시절 발전한 문화,기술을 지들 손으로 없애버린게 안타깝다 이 소리를 알아듣지를 못하네. 국어교육을 북한에서 배움?

  • @gjhkv2052
    @gjhkv2052 Před 2 lety +338

    베른하르트 크루거가 전쟁 후에 종이 회사에 취직한 게 개웃김ㅋㅋㅋㅋㅋ

  • @user-kt8yp5ho2y
    @user-kt8yp5ho2y Před 2 lety +16

    3:56 근데 이게 나중에 원나라와 그 건너편에 있던 식민지 였던 고려와 왜국에게 큰 타격을 주고 말죠. 특히 고려와 그 고려의 뒤를 잇는 조선이 사농공상에 빠지게 만드는 악영향을 끼치는데 그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징기스칸 사후 몽골은 유럽을 정벌하기 시작했고 정벌 과정에서 몽골군에 의해 유럽과 중동 지역에 퍼진 흑사병으로 인해 유럽국가들이 하나둘씩 무너졌고 이일로 몽골제국, 즉 원나라는 그렇게도 원했던 유럽과의 무역을 하지 못하는 동시에 유럽과 아시아를 이어주던 국제무역루트 이자 국제 커뮤니케이션 역할을 하던 실크로드를 영원히 잃고 마는데 수천년동안 유럽과 아시아를 이어주던 실크로드가 흑사병으로 파괴 되면서 유럽 & 중동과 실크로드를 통한 국제무역을 하던 원나라의 경제는 하루아침에 무너짐. 그리고 원나라 조정에서는 그 피해를 수습한다며 그 당시 달러급으로 위상이 높던 지폐인 교죠를 마치 독일 바이마르 공화국의 라이히마르크 & 짐바브웨의 짐비브웨 달러 처럼 찍어대다 결국 하이퍼 인플레이션이 오면서 당시 원나라 처럼 해상무역과 국제무역으로 먹고살던 고려와 일본에겐 크나큰 재앙과도 같았음. 당장 먹고 살아야하는데 무역로가 끊어진 동시에 국제화처럼 사용한 교죠가 휴짓조각이 되어 재정이 바닥나고, 이에 생계인 무역이 휘청 이는데 아무런 대책이 없음. 이해 못하면 지금 코로나 시국으로 무너진 경제와 휘청이는 기업 & 자영업자들을 보면 알죠.
    더군다나 고려는 옆나라 일본에서 잦은 내전과 무역로가 끊여서 바닷가 어민과 농민들이 뭉쳐저 생겼다가 그후로는 군대급 으로 커진 왜구와 원나라의 부마국 고려가 꼴같이 여긴 한족 중심 홍건적 같은 연쇄적인 외세의 침략으로 벽란도 같이 국내의 최대의 무역로 역할을 한 항구와 그 인근 도시들을 파괴하고, 최고의 제품을 만들고 팔던 상인들과 장인들이 죽거나, 외적에게 포로가 되거나, 본업을 버리고 유랑생활을 하는 등 공중분해 되는 총체적인 재앙으로 공업과 무역이 파괴되고 그동안 상업으로 국고를 채웠던 고려는 재정 파탄으로 붕괴 직전으로 갔음. 이때 당시 사태의 해결이 바로 농업공동체를 주장한 신진사대부들이 정계에 부상하게 되고 후일 이들이 이성계를 추축으로 조선을 건국하면서 과거 고려가 상업 중심의 경제 인프라가 양날의 검으로 돌아가 고려를 파탄난 것을 두 눈으로 본 성리학자들은 상업에 투자하는걸 꺼렸고 농업 위주의 자급자족적 정책을 내세웠고 결국 조선은 사농공상이 들어서게 되죠. 여담이지만 원나라가 무너지고 세워진 명나라도 조선과 똑같이 자급자족을 하는 사회로 돌아갔으며 왜구들 때문에 해금령을 내려 해상무역은 축소 할수밖에 없었음. 설사 조선의 성리학자들이 상업을 양성할 마인드가 있었다해도 해금령과 주변국의 쇄국정책 때문에 못했음.
    그리고 조선 조정에서는 흩어진 이들 장인들이 또 다시 흩어지는걸 사전에 막고 이들 가업을 잇기 위해 이들을 국가에서 보호하기 위해 관에서 이들 장인을 운영하는 관영수공업을 채택함. 물론 조선 중기에 성종 제위기에 가면 민간수공업이 되살아나지만요.

  • @user-kp4sr2sg6s
    @user-kp4sr2sg6s Před 2 lety +46

    2:23 고대 금화에서도 갈려있는 부분을 최대한 막기 위해 테두리에 쩜무늬를 넣었긴 했죠. '이 이상 갈아버림 가만 안둬!' 라는 경계표시랄까...근데 그거로도 한계가 있어서 뉴튼의 그거 이전까지는 못막았는데 그 이유가...이전엔 주조 방법이 아니라 프레스 내지는 도안이 새겨진 망치로 금속을 때려(압력줘서) 만든 방법이라...테두리 쩜무늬가 그나마 최선이었던거죠.
    3:32 신용화폐의 초기적인 형태는 ... 사실 최초의 초기적인 형태의 신용 화폐는 야프섬의(미크로네시아에 있음) 돌 화폐를 치죠. 정확히 말하자면 돌 화폐중에서 '잃어버린 거대 돌'인데 야프섬은 원래 돌이 나지 않아서 다른 '돌이 있는 섬'에 가서 돌을 '야프 섬에서 인정하는 화폐 형태'로 가공해서 가지고 와야 하는데 그 운반 난이도가 높아지면(돌이 크면 클수록) 가치가 컸습니다. 그런데 야프섬에서 가장 큰 부자들은 돈(화폐로 인정받는 돌)을 안가지고 다녔습니다. 돈(돌)을 만든 사람의 마당에 그 돈(돌)을 놓고 소유권의 이전 형태로 거래를 했고, 이 과정에서 심지어는 이 섬의 가장 큰 부자는 집 마당에 돈(돌)이 없어서 그 섬의 화폐를 연구하는 미국 학자가 알아보니 돈(돌)을 만들어서 야프 섬으로 가져오다가 폭풍을 만나 그 돈(돌)이 바닷속에 가라앉았는데 워낙에 그 돈(돌)을 본 목격자가 많았기 때문에 ㅇㅇ 그 돈(돌) '실제로 있음' 으로 인정해서 '그 섬에는 존재하지도 않는 돈(돌)을 인정하는' 형태로 해서 실거래가 됩니다. 이게 최초의 초기적인 신용화폐 형태로 인정되고 있습니다만...이 영상에선 다뤄주지 않았네요. 미크로네시아라는 태평양의 잘 알려지지 않은 특정 섬의 예라서 소개를 안하신거 같습니다.(이거까지 소개하면 너무 길어지니까요)
    5:25 위조지폐 만들어서 뿌렸는데 안망하고 되려 중앙정부에서 돈 더 찍어내 버려서 스스로 인플레를 일으켜버린 나라가 있습니다. 중일전쟁때의 중국...일본이 40십억 위안의 위조지폐를 만들어서 뿌려댔는데 장개석정부가 일본이 뿌린 위조지폐양보다 더 법정화폐를 만들어서 뿌려버리는 방법을 써서(무려 1890억 위안을 뿌려댐...) 국가경재를 셀프 멸망으로 가버렸던 껀수가 있긴 합니다만...오죽하면 그 작전을 책임진 일본 정부관리가 질려버렸다고 하죠.
    베른하르트 작전의 경우는...영상에 소개한 것 외에도 영국의 화폐 제도 자체를 바꿔버리기까지 했습니다. 지금의 영국의 화폐 단위는 파운드와 펜스인데 2차대전때만 해도 중간에 '쉴링' 이라는 단위가 있었지요, '80일간의 세계일주'등 그 당시에 나온 소설들에서 나오는 단위요. 베른하르트 작전으로 나온 여파로 아예 화폐단위 자체를 손봐야 했던 '리셋'까지 했지요. 이 '리셋'을 1960년대에 했는데도 구권>신권 교환 문제로 인해 더 오랫동안 영국 경제를 괴롭힌 겁니다. 말이 1980년대까지지 실제로는 1990년대가 되서야 이 부분을 겨우 수습했다고 하니 원...
    특이한 사례로는 위조지폐가 진짜 지폐보다 품질이 좋아서 위조지폐가 더 잘 통용되는 사례도 있었습니다...이런 '실패' 상태를 만든건 프랑스 정보국...아 진짜 얘네들 2차대전때부터 제대로 이긴 전쟁이 없는게 여기서도 드러나는...

    • @qdlbp
      @qdlbp Před 2 lety +2

      와우 전문가...

    • @Kevin-ps9yf
      @Kevin-ps9yf Před 2 lety +1

      영국이 혐성질 당했네 ㅋㅋㅋㅋㅋㅋ

  • @Kimdohan_1972
    @Kimdohan_1972 Před 2 lety +48

    옛날이나 지금이나 위조지폐 만드는 놈들은 광기다 진짜 ㅋㅋㅋㅋㅋㅋㅋㅋ

  • @user-zt6kt4hj3t
    @user-zt6kt4hj3t Před 2 lety +207

    중일전쟁때 일본은 국내에서 약 13억 위안 정도가 통용되던 중국에 40억 위안의 위조지폐를 뿌리려 했으나 중국 국민당이 먼저 약 2000억 위안을 뿌려버린 탓에 계획을 철회했다한다...

    • @user-nb6fb4dc4z
      @user-nb6fb4dc4z Před 2 lety +62

      대륙의기상 ㅅㅂ ㅋㅋ

    • @user-kp4sr2sg6s
      @user-kp4sr2sg6s Před 2 lety +67

      실제로는 1890억 위안의 돈을 국민당에서 뿌려댔답니다...-ㅅ- 그 작전을 담당한 일본 담당자가 "중국은 참으로 두려운 나라다" 라고 질려버렸다나...

    • @user-kimjuhwan
      @user-kimjuhwan Před 2 lety +14

      그때 당시 소 3마리살돈을 성냥 한갑 살정도로 나락을 찍었죠

    • @user-pi3sw2rx8k
      @user-pi3sw2rx8k Před 2 lety +7

      어메이징 차이나;

    • @gailcha6466
      @gailcha6466 Před 2 lety

      국민당 절레절레

  • @Akong2023
    @Akong2023 Před 2 lety +7

    꿀잼 스토리🥰 위조지폐 넘 재밌게 봤어요ㅎㅎ!! 지식해적단 감사합니다!

  • @CRUISERLEE
    @CRUISERLEE Před 2 lety +176

    10:45 외국인: 아마도 중국에 돌아다니는 지폐의 절반은 위조지폐일 것이오.
    중국인: 말도 안 되오. [[[겨우 그만큼밖에 안 돌아다닌다고?]]]
    이런 유머가 있을 정도임

    • @user-min._.seo_6
      @user-min._.seo_6 Před 2 lety +18

      그래서 중국에서는 (유일하게) 어느정도 선진적인 온라인경제 방식이 발전했다군요
      QR코드로 결재한대요

    • @CRUISERLEE
      @CRUISERLEE Před 2 lety +18

      @@user-min._.seo_6 네,그래서 중국이 핀테크 발전한 이유인데 우리나라 정치인들은 그것도 모르고 중국은 핀테크가 어쩌고 저쩌고 그렇죠

    • @CRUISERLEE
      @CRUISERLEE Před 2 lety +2

      @ㅇㅇ 님말은 둘째치고 정치인들이 위조지페가 많아서는 생각도 안하고 그저 중국은 핀테크가 어쩌고 그러더만 그래서요

    • @user-nd3co5pm2u
      @user-nd3co5pm2u Před 2 lety +1

      @ㅇㅇ 그렇게치면 신용카드는 어떻게 사용하시는지요 어차피 전세계전으로 qr결제화가 될건데

    • @CRUISERLEE
      @CRUISERLEE Před 2 lety

      @참티즈는말지않긔 제가 말한 그대로입니다.
      중국은 저렇게 거지가 핀테크로 구걸할정도로 잘되어있는데 우리나라는 왜 저렇게 핀테크가 안되어 있냐 이거였죠.
      근데 중국은 위조지폐때문에 그런거란거는 안보인다 이거죠

  • @user-ed4hg6nm5o
    @user-ed4hg6nm5o Před 2 lety +295

    중국 전자상거래에서 가장 의문은 해커들이 공격하면 어떻게 되냐는거..

    • @justICE_ICE
      @justICE_ICE Před 2 lety +2

      터집니다

    • @_Orca_
      @_Orca_ Před 2 lety +3

      @@justICE_ICE 그대로 마비되는거에요 그럼?

    • @GarenScarlet
      @GarenScarlet Před 2 lety +95

      해커가 신비해짐

    • @rjf-mc4rf
      @rjf-mc4rf Před 2 lety +52

      해커가 잡혀서 공중분해됨

    • @user-vz5zx2qh9g
      @user-vz5zx2qh9g Před 2 lety +106

      그런 금융정보는 전 세계 곳곳에 서버를 여러개 두고 실시간으로 관리하기 때문에 유의미한 성과를 내려면 수많은 해커들이 동시에 여러 곳을 공격해서 성공시켜야 할 겁니다.
      사실상 불가능에 가깝겠죠... 미국같은 나라가 총대매서 경제제재하는게 의미 있을 겁니다

  • @user-wj3ud7lv5n
    @user-wj3ud7lv5n Před 2 lety +249

    지중해 유럽상인들이 썼던 차용증이 지금 현대적 지폐의 원류가 되었단 썰도 있던데, 이참에 동서양 지폐의 역사 자체도 다뤄보심이 어떨지요? 은행 금융 주식의 역사도 같이 다루면 더 좋을 것 같아요!

    • @Kane55
      @Kane55 Před 2 lety +6

      이래라저래라 하지말고 니가 직접해

    • @user-mp6jo2gq1o
      @user-mp6jo2gq1o Před 2 lety +71

      @@Kane55 애니프사

    • @MrEunjae
      @MrEunjae Před 2 lety +1

      @@Kane55 킹니갓사 ㄷㄷ

    • @ausfyausfy2455
      @ausfyausfy2455 Před 2 lety +11

      현대 금융의 주식은 모르겠지만, 유한책임, 즉 limited liability 의 개념은 네덜란드 동남아시아 무역 투자를 장려하기 위해서 태어난걸로 전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제가 막 검색해보니 이런 저널도 나오네요 "A new understanding of the history of limited liability: an invitation for theoretical reframing" (Harris, 2020)
      확실히 유한 책임에 대한 역사는 아직도 누가 먼저다 얘기하는거 보면 계속 역사적으로 발굴되는게 있는가 봅니다.

    • @skyeye8519
      @skyeye8519 Před 2 lety +13

      @@Kane55 저렇게 말하면 뭔가 권위있어보이고 막 쎄보이고 그렇다고 생각하는건가?

  • @qurious6922
    @qurious6922 Před 2 lety +63

    그래서 요즘 지폐들이 고액권을 잘 안 만들죠. 한국에서도 10만원권 나올법한데 왜 안나오냐면 위조지폐가 그 이유 중 하나죠
    본 영상에서도 설명했듯이 지폐의 액수가 낮으면 위조하는 비용이 만들어내는 지폐보다 비싸지니 수지타산이 안 맞게 되니까요.

    • @user-lt8vy8ty5h
      @user-lt8vy8ty5h Před 2 lety +22

      국내의 경우 고액권을 안만드는 이유로는 위폐로 인한 수지타산의 이유보다는 세금징수 및 암흑경제를 조장할 가능성이 많기 때문입니다. 지폐의 금액이 커질수록 현금 보관효율이 두배이상 높아지기 때문에 양은 적지만 금액은 커서, 시장에 풀리는 돈에 비해 회수율이 적어질 우려가 있습니다. 또, 금액이 크면 추적이 가능한 수표를 사용하지 않아도 됨으로 돈의 출처와 사용처를 밝히기가 더 어려워집니다. 큰 거래를 현금으로 할 가능성이 높아짐으로 국가에서 세금을 징수할 기회를 놓치게 됩니다. 한때, 한국은행에서 10만원권 발행을 계획했으나, 5만원 발행이후 위와 같은 문제가 너무나도 많이 발생하고(마늘밭 사건 등) 우려하여, 현재 발행계획을 미추진하고 있습니다.

    • @qurious6922
      @qurious6922 Před 2 lety

      @@user-lt8vy8ty5h 보충 설명 감사합니다!

    • @fockemejdod3054
      @fockemejdod3054 Před 2 lety +3

      @@user-lt8vy8ty5h 회수율 이외에도 경제규모와 이게 실용성이 있느냐 등의 문제도 있죠. 사실상 5만원조차 누구에게 돈을 주거나 받거나 할때나 쓰지 상점에 가서 쓰진 않으니까요.

    • @dsk3038
      @dsk3038 Před 2 lety +2

      우리나란 위조지폐보단 뇌물이나 검은돈때문을듯...
      만원권이 대한민국 최고액이던 시절 사과박스나 차때기사건만 봐도..
      지금은 작은박카스박스만 준비하면 되잖아요..

  • @user-qh8op5me8p
    @user-qh8op5me8p Před 2 lety +195

    7:27 나치 독일의 전전 영토를 정확하게 표기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요즘 방송국 보면 저기고 여기고 나치 독일 얘기할때 현재의 독일영토로만 표기하는거 보고 정말 기가 찼었는데 말이죠 얼마나 수준이 떨어지면 방송국에서 그 모양인지 참.. 역시 믿고 보는 지식해적단입니다.

    • @user-oi7ij1yy4o
      @user-oi7ij1yy4o Před 2 lety +32

      흑흑... ㅇㅈ합니다....
      2차 대전과 1차 대전에서 독일 영토는 왜 항상 현대 독일로 표기가 되는지...

    • @user-ce87erop
      @user-ce87erop Před 2 lety +2

      나대지마세요

    • @user-qh8op5me8p
      @user-qh8op5me8p Před 2 lety +36

      @@user-ce87erop 너나 나대지마 ㅋ

    • @user-qh8op5me8p
      @user-qh8op5me8p Před 2 lety

      @@user-ce87erop 깝치지 마라

    • @user-sv1oo7qo2j
      @user-sv1oo7qo2j Před 2 lety +1

      찐vs쿨찐 레전드노

  • @user-ou6kh2xy9z
    @user-ou6kh2xy9z Před 2 lety +9

    전쟁사에 대한 얘기를 하면 위조지폐에 대한 얘기가 자주 나오는데 진짜 치명적이네요
    저번 영상에서 소개해주신 아스테카 전시를 이번에 보러가기로 했어요!(와아)

  • @Hell_Dust-Buhnerman
    @Hell_Dust-Buhnerman Před 2 lety +20

    어유. 진짜 동전 무게. 이거 몇천원 정도 까지면 주머니에 넣고 다닐 수도 있겠지만,... 몇만원 어치쯤 되면 양도 양이고 묵직해서 웬만한 주머니에 넣었다간 찢어지는 게 이상하지도 않을 정도죠. 몇번 어른 남성 머리크기쯤 되는 양을 담을 수 있는 자루에 가득 담은 동전 들고 은행 가서 지폐로 바꾸려고 했을 때. 자루가 얼마나 묵직했던지. 이거 휘둘러서 사람 머리 맞으면 뼈 부숴지지 싶은 무게감을 느꼈습니다... 괜히 돈자루 휘둘러서 강도 퇴치 했다는 게 설득력이 없는 게 아니었어요.
    무게의 문제 때문에 등장할 수 밖에 없었던 지폐지만,... 사기는 진짜 참 더 많아졌었던 것 같습니다. 그리고 인류와 떨어질 수 없게 되었죠... 전자 화폐가 이 위치를 대신할 수 있을지도 모르지만, 부작용이 금새 드러난 이상. 이 방법도 뭔가 기술적으로 더 나아지기 전 까진 소용이 없겠죠.

    • @user-ot4ey4hp8n
      @user-ot4ey4hp8n Před 2 lety

      전 왜 성인남성머리 크기만큼 동전이 있는지가 가장궁금하네요

    • @Hell_Dust-Buhnerman
      @Hell_Dust-Buhnerman Před 2 lety +6

      @@user-ot4ey4hp8n 오락실에서 아르바이트 하다 쌓인 동전 교환 하러 가는 것 거들었죠.
      그나저나 아직도 기억 나네요. 500원 짜리 동전 주머니는 진짜 무거웠습니다.

    • @PoDo_Developer
      @PoDo_Developer Před 2 lety +1

      @@Hell_Dust-Buhnerman 요즘은 카드결제가 되니 그나마 덜하겠네요

    • @Hell_Dust-Buhnerman
      @Hell_Dust-Buhnerman Před 2 lety

      @@PoDo_Developer 현금 쓰듯이 카드를 사용 가능하게 되었던 것도 그리 오래전 일이 아니지요.

  • @insho4849
    @insho4849 Před 2 lety +7

    1:43 지식해작딘 ㅋㅋㅋㄱㄱ

    • @user-bh5fv9xn5d
      @user-bh5fv9xn5d Před 2 lety +1

      유튜브 검색할 때 이것 때문에 매 번 불편했는데 영상에까지 등판했네ㅋㅋㅋㅋㅋㅋㅋㅋ

  • @user-xt1yc3jd4w
    @user-xt1yc3jd4w Před rokem

    좋은 영상 감사드립니다.
    고맙습니다.
    선생님.

  • @user-rw3ju2xi5b
    @user-rw3ju2xi5b Před 2 lety +1

    와우 살면서 이런 내용은 처음 접하네요. 오늘도 넘나 유익해!!

  • @user-wc8tl8xm5n
    @user-wc8tl8xm5n Před 2 lety +21

    2:24 이렇게 훼손되어있는게 지나온 세월동안 많은 역경을 겪어서 훼손된줄 알았는데

    • @user-dj5cn6pl8l
      @user-dj5cn6pl8l Před 2 lety

      겨우 몇 백년지난걸로 철이 그렇기 쉽게 풍화돼지눈 않져 홍홍

    • @user-ot4ey4hp8n
      @user-ot4ey4hp8n Před 2 lety +4

      @@user-dj5cn6pl8l 금아님?

    • @isuy7892
      @isuy7892 Před 2 lety

      단순히 생활 중 마모된 것이나 모종의 이유로 충격, 풍화, 부식 등을 겪으면서 훼손되는 점도 있긴 합니다. 다만 죄다 모양이 뭉툭해진건 갈아낸 탓이 크다고 하는거죠.

  • @jinu0613
    @jinu0613 Před 2 lety +63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항상 재밌게 보고 있는 어른이 입니다. 중학생인 아들하고 같이 봤는데 평소엔 이런 주제에 관심도 안 갖더니 이 영상은 아주 열심히 보더군요. 그러면서 도중에 인플레이션이 뭐냐고 물어보는데 제가 한마디로 설명을 해 주기가 힘들었습니다. 그래서 그러는데 인플레이션에 관한 영상 한번 부탁드려도 될지요.
    마침 전세계적으로 인플레이션 우려가 커지고 있는 상황인데 시의 적절한 영상이 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아울러서 우리 아들도 지식해적단 영상을 열심히 보고 있으니 공부도 될 것 같고요. ^^

    • @ausfyausfy2455
      @ausfyausfy2455 Před 2 lety +14

      님이 궁금해 하시는건 정확히는 인플레이션인 아닌 QE(Quantitative Easing) 인거 갔습니다.
      인플레이션은 우리가 알다 싶히 양이 많아져 가치가 떨어지는 현상을 인플레이션이라고 합니다. QE는 연준의장 앨랜 그린스펀이 제시한 해결책으로 2008년의 경제위기 여파를 타파하기 위해 태어난 정책입니다. (앨랜 그린스펀도 이 정책이 어떻게 미래에 반영될지 모르는건 안비밀.)
      QE란 간단히 말하면 경제 상황이 좋아질때 까지만 계속 돈을 뽑고 그 돈으로 회사들을 구제하자 라는 생각으로 시작한 거였지요. 그래서 맨처음에는 미 연준이 '내가 돈을 언제까진 뽑아야될지는 모르지만 물가상승률이 2.3%가 최적이니깐 그게 넘을 때 까지는 회사 부채들을 사야겠다' 라면서 회사 부실 채권들을 사기 시작했습니다.
      원래 미연준이 기대하고 있던건 '내가 이렇게 제내들이 실수를 만회해주면 그 돈으로 정신 차리고 다시 자신들의 회사들을 살리겠지? 그러면 투자를 할거고, 그러면 그 투자로 돈이 민간에 들어가니깐 이게 잘 먹히면 물가상승률에 반영이 되겠지?' 라고 생각했죠.
      하지만 왠걸? 돈을 쏟아부워도 인플레는 일어나지 않았습니다. 왜냐고요? 회사들은 자기네 주주들한테만 잘 보일려고 했고 (share holder value maximization theory에 영향이 큽니다.) 그래서 그 돈들을 자기 주식을 사서 자기네 주식 가격을 올리거나 아니면 다른 회사에 투자 혹은 회사 높으신 분들은 자기네들 주머니로 돌아가서 냠냠 하고 있었습니다.
      물론 이런 일들이 일어날걸 예상해서 이미 경제학자들은 "회사 그만 처 구제해주고 이 돈들은 시민들 한명 한명에데 돌아가야 경제가 산다. 일어다가는 나중에 주식시장/채권시장에 있는 돈들이 다 민간에게 풀어지게 되면 우리 모두다 죽어!" 라고 말했음에도 불구하고 10년동안 쌩 깠습니다. (물론 코로나 이전에 유럽은 잠시 QE를 멈춘적이 있지만... 코로나때 다시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오죽 돈을 쏟아 부웠으면 미국이 2차대전때 찍어버린 돈의 액수가 넘을 때 (정확히는 코로나의 경제적 여파을 막기위해 다시 QE를 꺼냈을때) 몇몇 경제학자들은 우린 지금 전시 경제체제에 있다고 했지요
      QE는 약 13년동안 지속이 되었는데요, 나머지 3년은 어떻게 되었을까요? 미정부가 (정확히는 트럼프 시절) 나서서 직접 민간에게 돈을 뿌리기로 결정했지요. 그리고 이 정책은 바이든 임기 초기 까지 갔습니다.
      그리고 일은 터졌지요.... 미국의 물가상승률은 8.5% (2021 3월부터 2022 3월까지) 이고 이건 미국 역사상 가장 큰 물가 상승률이 였지요. (항상 물가 상승률의 적정 상승률은 2% ~ 2.3%) 즉 경제학자들이 맞았습니다. 금융시장에 돈을 뿌리면 뿌릴수록 금융시장에 있는 사람들만 핵이득 이고, 그리고 그 돈들은 민간한테 직접 풀지 않는 이상 계속 주식시장, 채권시장, 부동산 시장에 돌아다닐거라는 학자들의 예측이 정확했던거지요.
      지금 사람들이 가장 무서워 하는 것은 주식시장/채권시장/부동산시장에 묶여 있는 돈이 민간경제로 풀어져서 더 큰 인플레이션을 만드는 겁니다.
      이 역사적으로 가장 큰 인플레이션에 대해 해결책이 있을까요? 화폐개혁이나 리도니메이션을 해야되는데 둘다 경제적 타격이 많이 큽니다. (그와중에 어떠한 이유로 시민들이 그 화폐를 쓰지 않는다면 ㄷㄷㄷㄷ) 그리고 이미 2019년에 부자들은 (뭐 정확히는 모건 스탠리 그리고 다른 투자 은행들) 이미 10% 이상 상당을 금이랑 은 현물로 바꾸어 놓아서 그들은 솔직히 걱정 없고요.
      하지만 사람들이 말하고 있지 않은 걱정스러운 사실이 있는데 바로 13년동안 정부의 QE짓으로 투자자들이 투기꾼 성향으로 많이 바뀌었습니다. 예전에는 회사의 fundamental (기반)을 보고 회사의 리더쉽, 그 회사의 브랜딩과 competitive edge 그리고 미래의 가치가 높아질수 있는 계획들을 보고 사람들이 투자 했는데.... 지금은 wall street bets 처럼 yolo하는 사람들이 많아졌습니다.
      즉 예전에는 어느정도 주식의 방향이 예측 되었지만, 거의 도박장으로 바뀐 주식시장은....... 즉 투자자들에게 더 큰 아노미를 불러왔지요.
      앨런그린 스펀은 지금 노후를 아주 편하게 보내고 있겠지만 자신이 저지른 일을 아주 잘 알고 있습니다 (자기 저사전에 그렇게 썼거든요). 한마디로 2008년의 경제 여파를 어떻게던 딜레이를 해서 미래에 해결방안이 마련될수 있도록 시간을 벌수 있게 한 정책이 QE입니다.
      2008년때 세계는 경제 여파를 그대로 받아드려야만 했습니다. 하지만 QE라는 진통제를 전세계 경제에 처방하여 모든게 괜찮다고 느껴지게 했지요 (솔직히 13년도 굉장히 길게 간겁니다). 하지만 때가 되면 우리는 2008년의 여파를 뒤집어 쓰게 될겁니다.
      아, 물론 그걸 해결할것은 밀레니얼세대랑 GEN Z 세대입니다. 그래서 전세계적으로 "나때는 말이야"를 비웃고 서양에서도 OKAY BOOMER (여기에서 부머는 베이비 부머 세대를 뜻합니다) 라고 무시하기도 하지요.
      왜냐하면 부머들은 자신들의 현제 경제 사정을 유지하기 위해 자신들이 저지른 경제 실수를 미래 세대로 떠밀었기 때문이지요.

    • @bajirakcalcox9211
      @bajirakcalcox9211 Před 2 lety +1

      @@ausfyausfy2455 오..... 자세한 설명 감사합니다 평소에도 QE가 뭔지 애매모호했는데 명료하게 설명해주셨네요 ㅎㅎㅎ

  • @yareach
    @yareach Před 2 lety +9

    돈을 보면 가끔은 사람들의 약속이라고 하는게 생각보다 엄청난 힘을 가지고 있다는 생각이 들어요. 약속이 없으면 그냥 종이이고, 통장에 들어있는 동은 종이에 적힌 숫자일 뿐이고, 카드는 플라스틱덩어리일 뿐이잖아요. 그렇게 가끔 약속의 힘을 느낍니다.

  • @user-nr6me8hz3b
    @user-nr6me8hz3b Před 2 lety

    항상 꿀잼 ㅎㅎ

  • @madehand1561
    @madehand1561 Před 2 lety +2

    정말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mr.thirty60
    @mr.thirty60 Před 2 lety +55

    지식해적단도 금융치료가 필요할거 같은데... 과로에 특효는 금전이지! 더 많은 영상! 더 많은 조회수! (그리고 건강)

  • @777soon6
    @777soon6 Před 2 lety

    잘봤어요!!! 나중가면 전자로 다루어 지지 않을까 싶네요 화폐가~그리고...인도 공화국도 다뤄주시면 좋을 거 같아요~거기는 현재 궁금해서요~ㅎㅎㅎ

  • @user-bw4lw2of2r
    @user-bw4lw2of2r Před 2 lety +1

    6월 민주항쟁에 대해서 영상만들어주실수 있으실까요! 요즘 너무 재미있게보고있어서 6월민주항쟁에 대해서도 더 배우고 싶어서 한번 부탁드려봅니다!

  • @_Expected_Return
    @_Expected_Return Před 2 lety

    아 너무나 좋은 주제의 영상
    보기전에 좋아 요 먼저 누릅니다

  • @user-zg3pz1bt6y
    @user-zg3pz1bt6y Před 2 lety +1

    편집 퀄 미쳤습니다 와우

  • @user-qf8od9rb9q
    @user-qf8od9rb9q Před 2 lety

    재밌네요 잘 봤습니다

  • @user-lg2zp9xd4k
    @user-lg2zp9xd4k Před 2 lety +62

    수능 공부 때 영어 지문에서 국가에서 기업?들에게 금을 빌리고 그 차용증을 화폐로 사용하는 것으로 그 국가의 최초의 지폐가 만들어진 사례를 봤었는데 그 이야기가 생각나는 영상이네요!

    • @fockemejdod3054
      @fockemejdod3054 Před 2 lety +7

      달러도 그런 방식이었어요. 금 본위제 라고 하죠. 달러도 현대 신용체재로 바뀐지 얼마 안됐습니다

    • @foxinhanfox
      @foxinhanfox Před 2 lety

      @@fockemejdod3054 금 본위제 슈카님이 설명해주시는거 들은기억이 ,,

    • @user-yt7tw1pq2m
      @user-yt7tw1pq2m Před 2 lety

      @@foxinhanfox 아 금 본위제ㅅㅂ....걔 때문에 국어 망함...

  • @crocodile4472
    @crocodile4472 Před 2 lety

    키야 잘봤어요 감사합니다 키드님!

  • @user-lh5by6mu8e
    @user-lh5by6mu8e Před 2 lety +1

    이거보고 1비트코인은 무조건 사야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영상 감사합니다!

  • @user-ve4lo6mv2u
    @user-ve4lo6mv2u Před 2 lety +2

    선 좋아요 후 감상입니다 선장니임-

  • @user-lw2if9rr8p
    @user-lw2if9rr8p Před 2 lety +7

    ‘베른하르트 작전이야기’ mbc 서프라이즈에도 소개된 적이 있는데 이번에 또 보니 새롭네요. 그리고 미국달러 위조이야기를 보니 홍콩영화 ‘영웅본색’이 생각나네요. 영화 첫 장면에서 주윤발과 적룡이 비밀아지트에 가서 미국달러 위조지폐를 가져가는 장면이 나와요. 여기서 주윤발이 위조지폐로 담뱃불을 부치는 장면이 나와요.

    • @JL-fq1cn
      @JL-fq1cn Před 6 měsíci +1

      잼민이들 돈으로그런다고 간지난다하는데 위조지폐임. 그리고 결정적 장면또한아님

  • @seoulforest275
    @seoulforest275 Před 2 lety +15

    3:56 원나라가 교초를 과발행하여 인플레가 일어난 것도 원나라 멸망의 주원인... 이 교초를 같이 쓰던 고려에서도 난리나서 이후로도 조선에서 지폐의 불신이 완전 머리에 박혀서 저화 정책 실패의 원인중 하나가 됨

  • @Latetete
    @Latetete Před 2 lety

    재밌는영상 ㄳㄳ

  • @Sinuuk
    @Sinuuk Před 2 lety

    화폐의 역사만큼이나 위폐의 역사도 참 길고 재미있네요.ㅎㅎ

  • @D4rkSl
    @D4rkSl Před 2 lety +1

    ㅋㅋㅋㅋㅋㅋㅋㅋ
    오늘거 왜 이렇게 웃기지?
    시작부터 끝까지 계속 웃었넼ㅋㅋㅋㅋㅋㅋㅋㅋ

  • @Collaintp
    @Collaintp Před 4 měsíci +7

    핵폭탄 비슷한 위조지폐 1장 있으면 ㅋㅋ

  • @user-de2vb1yx1f
    @user-de2vb1yx1f Před 2 lety +14

    독일이 만든 위조지폐 진짜 다 뿌려졌으면 제 2차 세계대전 끝나고도 후유증이 꽤 있었을 듯 ;;

  • @B-grade-food
    @B-grade-food Před 2 lety +7

    오늘도 최고의 해적

  • @지식전당포
    @지식전당포 Před 2 lety +14

    게임의 재화도 이제 하나의 재산으로 인정받기 시작하는 시기에 중국 해커의 공격으로 자국민의 재산상 피해를 방관하는지 의문이 들기도 하네요

    • @ksm5457
      @ksm5457 Před 2 lety +1

      게임의재화는 없애야함

  • @homerjaysimpson9110
    @homerjaysimpson9110 Před 2 lety +5

    미국은 연준은 국가기관 아닙니다.
    미국의 은행들 협동조합 같은 곳.
    달러는 연준이 발행함.

    • @adger3307
      @adger3307 Před 2 lety

      대놓고 국가기관은 아닌데 그 이사회의 의장과 이사를 대통령이 임명하는 사실상 국가기관이죠..

    • @jisungpark8952
      @jisungpark8952 Před rokem

      @@adger3307 국가기관 인 척 하는 은행들의 동호회죠.

  • @JHS-gu4lw
    @JHS-gu4lw Před 2 lety +57

    사이버 공격이나 국가적인 해킹 사건에 대해서도 알려주세요

  • @dk7756
    @dk7756 Před 2 lety +2

    영상중간중간 해골바가지 모자 삐뚜러지는거부터 청량한 목소리까지 진짜 내 스탈임 ㅠ
    형 진짜 형한테 답글 받아보는게 소원이에요ㅠㅠㅠㅠㅠㅠㅠㅠ 영상 너무너무 감사해요

  • @user-hu4hi9lp4r
    @user-hu4hi9lp4r Před 2 lety +4

    가우스 전자인가 웹툰에서 누구도 구별 못할 정도로 너무 정교한 만원권이 장당 만오백원이었던 기억이나네요ㅋㅋ

  • @user-tn3so8bx4j
    @user-tn3so8bx4j Před 2 lety +5

    솔직히 돈 주고 배우고 싶은 편집 기술이다

  • @PilgrimScott
    @PilgrimScott Před 2 lety +2

    이번화는 키드님이 Thug Life 썬글라스를 쓰고 FLEX 하는 모습이 나온것 만으로도 이미 최고의 영상이 되어부렸다. 크으 마리화나 뽕맛이 취한다.

  • @tearsofryze
    @tearsofryze Před 2 lety

    재밋당~

  • @Returns_B
    @Returns_B Před 2 lety +5

    파병갔을때 싱가포르 달러 만져봤는데 일부분 투명하게 비치는 부분도있어서 되게 신기했음 ㅋㅋ

  • @user-nv8rp5et6b
    @user-nv8rp5et6b Před 2 lety +1

    6:50 ㅋㅋㅋ;;; 어지럽네

  • @user-qw7xs1tu3x
    @user-qw7xs1tu3x Před 2 lety

    미국 세무소 irs에 대해해서 다뤄주세요

  • @4dollarMoney
    @4dollarMoney Před 2 lety +9

    이 영상 보니까 중국에서 유학 생활할때 생각나네요 ~~ ㅋㅋㅋㅋㅋㅋ 중국어 배우는 학원 등록하고 , 처음에 니하오 부터 배울 때 원어민 선생님도 자기들 나라 위조 지폐 천국인거 아니까 학생들에게 위조지폐 감별법 가르쳐 줍니다. ㅋㅋㅋㅋㅋㅋㅋ

  • @hellionextreme7308
    @hellionextreme7308 Před 2 lety +1

    다음은 신용을 기반으로 한 실물 화폐를 넘어선 ? "화폐"가 주제가 될 가능성이 높겠군요?

  • @user-bi7zj3pe4r
    @user-bi7zj3pe4r Před 2 lety +2

    1:44 ㅋㅋㅋ 유튜브로 지식해적단 치려하면 대신 나오는거 ㅋㅋㅋ

  • @user-yn7lm7sg1v
    @user-yn7lm7sg1v Před 2 lety +2

    나중에는 전자화폐도 위조가 생길거 같네요 그냥 화폐 자체는 위조는 무조건 따라오는거 같습ㄴ니다

  • @er8061
    @er8061 Před 2 lety +6

    국가의 근간을 흔드는... 국가 신뢰를 송두리째 뽑아버리는 위조 지폐, 주가 조작 이런것들은 엄연한 중범죄죠

  • @hochjang
    @hochjang Před 2 lety

    12:43 ㅋㅋㅋㅋㅋ 갑자기박명수 ㅋㅋㅋㅋㅋㅋㅋ

  • @panzee_chim
    @panzee_chim Před 2 lety +2

    이 내용을 배경으로 나온 영화가 The Counterfeiter(2007) 입니다~ 베른하르트작전을 영화화한 작품입니다

  • @user-qz5pm4rv5y
    @user-qz5pm4rv5y Před 2 lety +3

    위조지폐가 없어져도 그와 비슷한 무언가가 나오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 @liamdukes8095
    @liamdukes8095 Před 2 lety +2

    1999년 루마니아를 시작으로 2003년 호주와 뉴질랜드가 지페를 만들때 종이나 면화'cotton'을 쓰지 않고 '폴리머'를 쓰고 있다고 합니다.

  • @i_mqudtls
    @i_mqudtls Před 2 lety

    혹시 될수있으면 키프로스 역사도 다루어주실수있나요?

  • @changyeol_lee
    @changyeol_lee Před 2 lety

    궁금한게 있는데요 화폐에 위조 방지 기술이 많아져서 이해타산이 맞지 않는다는 말은 국가가 화폐를 주조할 때 얻는 주조차익이 감소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내포한 것이기도 하나요?

  • @Koo_lia
    @Koo_lia Před 2 lety +1

    10:45 어쩐지 작년에 물건살때 잔돈도 없고 폰 베터리도 없어서 100위안 냈는데 돈 세는 기계에 넣더라,, 뭔가 했는데 이런 이유가..

  • @BlueKill0309
    @BlueKill0309 Před 2 lety

    오늘은 뭔가 경제학 수업 같은 느낌..

  • @chc304
    @chc304 Před 2 lety +2

    2천년대 초반, 국내의 모 은행사는 한국인 위조지폐 감별사가 수백장의 100달러 중에
    슈퍼노트가 숨어있는걸 찾아내는 광고로 홍보효과를 봤지요.
    실제로 그 분은 30년 넘게 위폐감별사 업무를 하면서,
    시각적인 감별은 물론이고 후각과 촉각까지 이용한 감별법을 터득해왔기 때문에 FBI와 시크릿 서비스에
    여러번 정보교류 요원으로 활동했지요. 이 활동들 중에 레전드는
    '미 연준이 위폐로 감정한 지폐가 사실은 진짜 지폐였다'는 것으로 이는 미 의회가 청문회를 따로 열어서
    그걸 어떻게 구분할 수 있는지를 물어봤을 정도였다 하네요. 근데? 청문회 열던 당시에
    그 분은 이미 은퇴하고 몇 안되는 후계자들이 활동하고 있었다네요.

  • @user-gc4iw7kr6d
    @user-gc4iw7kr6d Před 2 lety +5

    이차대전당시 독일등 추축국이 영국파운드화 위조지폐를 얼마나 뿌려댔는지 전세계 파운드화의 절반정도가 위폐였다고 추정하죠. 덕분에 전쟁에선 이겼지만 영국경제는 박살이 났구요.

    • @Kevin-ps9yf
      @Kevin-ps9yf Před 2 lety +2

      그게 나비효과가 되어 영국이 식민지 유지비를 감당 못해서 영국의 식민지들이 줄줄이 독립했죠.

    • @hoorobong
      @hoorobong Před 2 lety

      그때 단위가 조단위로 알고 있네요

    • @Ycmjg37143
      @Ycmjg37143 Před 11 měsíci

      @@Kevin-ps9yf 그 대신에 영국의 황제가 주권을 가지고 있다는 걸 인정하되 자치를 보장하는 영연방제도가 시작된거라고 합니다.

  • @user-bz1gl3ou1n
    @user-bz1gl3ou1n Před 2 lety

    오!!

  • @wjdtn
    @wjdtn Před 2 lety +5

    5:51 역시 혐성국 수준은 달라

  • @user-oc1in4gx2d
    @user-oc1in4gx2d Před 2 lety

    형 너무 재밌어 사랑해

  • @user-wc9zg2xc7n
    @user-wc9zg2xc7n Před 2 lety +1

    도지 가즈아 ! 🔥 🙌 😎

  • @Madman_or_Greatman
    @Madman_or_Greatman Před 2 lety

    주은래(저우언라이) 다루는 영상 부탁합니다.

  • @user-zr5qm4lp2u
    @user-zr5qm4lp2u Před 2 lety +1

    비트코인도 비슷한 점이 있네요 다만 주체가 정부단위가 아니라 출저를 알 수 없는 개개인이라는 점이 다르네요

  • @user-gd3hq8qh6v
    @user-gd3hq8qh6v Před rokem

    신뢰 할수 잇는 기관에서 가치보증해도
    화폐엿을때보다 귀금속이엿을때 가치가 높은경우도 잇잖아요
    옛날 10원짜리 만드는데 원가 38원이엿나 그랫던거 처럼요

  • @user-tg7to6xw6m
    @user-tg7to6xw6m Před 2 lety

    2:10 이야 이런건 생각도 못했네

  • @user-rj8yh4rj1l
    @user-rj8yh4rj1l Před 2 lety

    인플레이션이라는 책을 읽고 이해하지 못한내용을 이렇게나쉽게 설명해주시다니..

  • @flourboom
    @flourboom Před 2 lety +1

    돈이 전쟁에 사용된다는게 신기하네요

    • @anonymous-yx6kf
      @anonymous-yx6kf Před rokem

      페미니즘도 전쟁에 사용되는데요 뭘..
      실제로 북한은 총 한 발 안 쏘고
      남한을 망하게 했으며,
      조만간 적화통일할 때까지 버티기만 하면 됩니다.

  • @wujingim297
    @wujingim297 Před 2 lety +1

    중국이야기 진짜인게 웬만한 식당에는 돈세는 기계 같은게 있더라고요. 그게 위조지폐 판별기인지는 모르겠네요.
    작은 식당에가면 빛네 비춰보고 받도라고요...

  • @iu-good
    @iu-good Před 2 lety

    가즈아

  • @user-hj1jo5pv6v
    @user-hj1jo5pv6v Před 2 lety +8

    이런 위조지폐 제작 및 살포 때문에 미군은 점령지에서 대용화폐로 쓸 허쉬 초콜릿을 대량으로 발주 및 납품받았었고 이것은 후에 "헬로 양키! 기브 미 쪼꼬레또!" 라는 생존영어회화문장을 만들었다고 하죠.

  • @napalm2579
    @napalm2579 Před 2 lety +1

    3:38 해골도 근손실이 오나요?

  • @WatermelonSaurus
    @WatermelonSaurus Před 2 lety +12

    중국은 전자결제시스템 보급을 위해 고의적으로 당국 주도로 100위안 고액권에 대한 위조지폐를 살포했던게 아닐까??? 상상해봅니다

    • @Kevin-ps9yf
      @Kevin-ps9yf Před 2 lety +2

      윈터솔져에서 히드라의 지배방식(인간이 자신의 안전 보장을 위해 자발적으로 자유를 포기하도록 유도) 생각하면 일리가 있네요.

  • @gjhkv2052
    @gjhkv2052 Před 2 lety +1

    6:25 난 한 번도 못 들어봤는데… ㅠㅠ

  • @bitoh5056
    @bitoh5056 Před 2 lety

    2:36 뉴턴 투잡이네

  • @whysoserious3469
    @whysoserious3469 Před rokem +1

    1:41 지식해적단 유튜브에서 검색하다가 간혹 '지식해작딘'이라고 오타가 나는데 요걸 쓰실줄은 ㅋㅋㅋ

  • @justICE_ICE
    @justICE_ICE Před 2 lety

    0:51 끼이익

  • @user-ln7nx1qx4n
    @user-ln7nx1qx4n Před 2 lety +1

    지폐만드는 기술 엄청난데다 예쁘기까지하네
    그낭 예술작품으로 만들 순 없나? 되게 예쁠 거 같은데

  • @nickn1991
    @nickn1991 Před 2 lety +20

    중정이랑 안기부가 공작 때 사용하며 제시했던 그 많은 돈들은 위조지폐였다는거네.

  • @TuftedCloud
    @TuftedCloud Před 2 lety

    ㄷㄷㄷ

  • @user-yt6gv6gj2v
    @user-yt6gv6gj2v Před 2 lety +1

    사기와 전쟁은 항상 인류역사와 연관되어있지

  • @clearx7506
    @clearx7506 Před rokem +1

    이래서 비트코인이 미래의 화폐라는 이유를 가지게되는것중 하나의 이유가되죠

  • @tuna572
    @tuna572 Před rokem +1

    조선도 주화가 주류였던 시기 위폐잘만들기로 소문이 났어요 어느정도냐면 조선산 위폐가 본국의 진폐보다 가치가 높을정도.....

  • @user-qm4fq9sw8o
    @user-qm4fq9sw8o Před 2 lety +7

    그래서 위조지폐 만드는 범죄는 어느 나라든 중범죄로 다루고 아예 조져버리던데.
    까딱하면 나라경제가 발할라로 가버리니...

    • @user-ln5tt8sk3h
      @user-ln5tt8sk3h Před 2 lety

      법 약하다는 우리나라도 위조지폐 관련해선 초범이라도 절대 안봐줌

  • @dsk3038
    @dsk3038 Před 2 lety +1

    그래서 비트코인을 참고로한 디지털 위엔화를 출범시키려하고있고 우리나라도 1단계까지는 검증이 끝난것으로 알고있습니다..
    미국도 슬슬 시동걸려하고있고 조만간 민간의 비트코인 금지수순으로 간다고 하더군요..

  • @sr4840
    @sr4840 Před 2 lety +2

    3:09 인류역사상 가장 먼저 자본주의 경제의 문턱까지 갔지만 마오쩌둥으로 인해 1000년을 후퇴했다고 한다

  • @csperrault6885
    @csperrault6885 Před 2 lety

    세상이 멸망하는 한이 있어도 절대로 사라지지 않을 아날로그 물건 중에는 현금이 들어가있다죠

  • @ofparasite
    @ofparasite Před 2 lety

    영상에서 언급되었듯이 위조를 국가 단위에서 일어나면 그 품질이 매우 올라가죠...나폴레옹이나 독일의 예만 봐도...

  • @user-kv7kb5nv5w
    @user-kv7kb5nv5w Před 2 lety +1

    드가자 드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