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at if a Boeing pilot has to fly Airbus...

Sdílet
Vložit
  • čas přidán 28. 03. 2024
  • All the pilots flying in FSC, since they have lots of different aircraft. It could be Boeing or could be Airbus. Having said that.. which one do you think is harder to get through? As a pilot who has been going back and forth between Boeing and Airbus, I'll let you know everything in detail in terms of transition training.
    #Boeing #Airbus #pilot #transition #sidestick #airpremia
    MD80
    BostonAirborne
    • Incredible Delta MD-80...
    A330 FMS
    leeaf7
    • A330 FMGS Preparation
    B737 FMS
    b737pilot
    • Boeing 737NG FMS Pre-f...
    A330 FCU
    Waypoints Aviation
    • Airbus A320 | Tutorial...
    B737 MCP
    Aviation Attract
    • Beautiful Female Pilot...
    A320 cockpit
    PAXTON_AIR
    • Airbus A320 Landing | ...
    A320 sidestick
    Echo Zulu
    • Airbus A321neo take of...
    B737 yoke
    PlanesWeekly
    • SMOOTH Landing! COCKPI...
  • Zábava

Komentáře • 145

  • @ericalee3251
    @ericalee3251 Před 2 měsíci +6

    오늘도 시간 순삭의 영상 감사합니다. 내용 정리도 명료하고 귀에 쏙쏙 들어오는 발음까지 👍재미있게 잘봤습니다 😁

    • @captainjksaviationlife248
      @captainjksaviationlife248  Před 2 měsíci

      영상 올리면서... 아.. 이번 영상은 좀 어려운 주제고 재미가 없어서 걱정을 많이 했습니다 ㅎㅎ
      '이번 영상은 조회수 보지 말자' 하고 말이죠^^
      예전부터 어디에도 소개된 적을 보지 못해서 한번쯤 만들어보고 싶었던 영상이라 하게 되었네요..
      순삭하셨다니... 제가 기쁨과 감사의 눈물이 ㅎㅎ 너무 고맙습니다, 좋은 주말 되세요~ 😉

  • @user-ce9oy5tu7f
    @user-ce9oy5tu7f Před 2 měsíci +4

    제가 제일 궁금 했던 사항들을 아주 콕~~~찝어서 방송을 해주셨네요......감사합니다.

    • @captainjksaviationlife248
      @captainjksaviationlife248  Před 2 měsíci +1

      일반분들에게는 이 영상이 다소 어렵고 재미없는 주제일텐데.. 역시 왕자님께는 도움이 ㅎㅎ
      오늘도 감사드리고... 해피 주말하십쇼~ 😄😉

  • @daveewen334
    @daveewen334 Před 20 dny +2

    Thank you Captain JK , a very interesting presentation

  • @volodymyrguzenko9661
    @volodymyrguzenko9661 Před 2 měsíci +8

    I agree that transition from boeing to airbus may be harder. A just had it, 200 flight hours ago). Few things which i dont like still are: autothrust (in windy weather manual control more precise), Vls indication during speedbrake operation and smaller screens) But totally airbus much comfortable during long flights.

    • @captainjksaviationlife248
      @captainjksaviationlife248  Před 2 měsíci

      Hello~!! Glad to see a pilot who has something in common with me 😊
      and... I agree with your opinion mentioning the down side of AutoThrust!
      Have a great weekend~!!

  • @rapterhan5509
    @rapterhan5509 Před 2 měsíci +5

    기종전환에 대해서 관심이 많았는데 영상감사합니다 기장님 영어 참 잘하세요

    • @captainjksaviationlife248
      @captainjksaviationlife248  Před 2 měsíci +1

      도움이 되셨다면 영상 만든 보람이 있습니다^^ 영어는 아직.. 😅
      그래도 말씀 감사드립니다!!~

  • @user-fu5fd6tf8h
    @user-fu5fd6tf8h Před 2 měsíci +5

    오늘도 비행기 매니아로서 유익하고 좋은 영상 잘봤습니다! 동남아쪽 해외출장이 매달 있어서 국내LCC 737이나 외항사 321을 수도없이 탓는데 승객입장에서는 321이 훨씬 편하더라구요... 소음도 더 적은것 같구요. 물론 국내 lcc 737의 경우 기령이 오래되서 더 불편하게 느꼈을수도 있겠네요ㅠ
    그나저나 기장님도 차를 좋아하시는분 같은데 기장님의 차량 변천사도 참 궁금합니다!!

    • @captainjksaviationlife248
      @captainjksaviationlife248  Před 2 měsíci +2

      안녕하세요^^ 보잉과 에어버스는 철학도 너무나 분명한 차이를 보이고..
      조종사에게나 승객에게 모두 차이를 보이죠..
      말씀 하신 대로 사실 승객의 입장에서는 최신의 비행기가 가장 편하실 겁니다.
      보잉이든 에어버스든 아무래도 첨단 기술이 녹아 든 기체에 여러가지
      승객의 편의를 위한 것들이 많으니까요.
      소음, 기압차, 습도 심지어 동일한 난기류에 흔들리는 정도까지도 차이가 나니까요..
      제가 차에 관심이 많다는 건 어떻게 아셨을까요? 😄 제가 얘기를 했었던가요? ㅎㅎ
      맞습니다.. 차를 무척 좋아하고, 사실 유튜브 처음 시작했을 때는 차 얘기도 많이
      할 계획이었는데.. 유튜브라는 게 참 좁은 주제를 가지고 해야 하더라구요.
      항공, 여행, 음식, 취미.. 이런 식으로 영상의 범위가 넓으면 채널 성장이 어렵다는 ㅠㅠ
      이 채널 말고, 재작년에 시작했다가 다양한 주제로 한 바람에 성장이 거의 멈춘 채널이
      있는데.. 조만간 새로 차를 출고하면 그 기념으로 차에 대한 얘기만 하는 채널로
      쉬엄쉬엄 한번 운영을 해 볼까 합니다 ㅎㅎ
      그때.. 구경와 주세요^^ 주말 마무리 잘 하시고, 새로운 한 주 기분 좋게 맞이하십쇼 😊

  • @kongchoong
    @kongchoong Před 2 měsíci +3

    오늘도 기장님 영상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

  • @user-tp2bf9fk3l
    @user-tp2bf9fk3l Před 2 měsíci +11

    안녕하세요~~~~ 울 멋진 기장님~~~ 오늘도 끝까지 잘 봤습니다^^ 저한테는 다소 어려운 내용인듯요~~~
    금보다 더 귀한 금요일입니다^^ 즐거운 주말 보내시기 바랍니다^^

    • @captainjksaviationlife248
      @captainjksaviationlife248  Před 2 měsíci

      ㅎㅎㅎㅎㅎ 너무 어렵죠.. 그래도 끝까지 보셨다니 감동입니다, 브라질커피님!! 👍🏻😉
      저도 영상 올리고 모처럼 지인들 만나고 이제 들어와 댓글 달고 있네요..
      멋진 주말!! 되시기 바래요~~ 🥰

    • @user-tp2bf9fk3l
      @user-tp2bf9fk3l Před 2 měsíci

      ​@@user-ki5dq1do5h 치즈버거님 무슨이유요? violin8905 네이버입니다.

    • @user-tp2bf9fk3l
      @user-tp2bf9fk3l Před 2 měsíci +1

      ​@@captainjksaviationlife248 기장님 유트브가 이상한것 같아요. 댓글을 쓰면 삭제되요

    • @user-tp2bf9fk3l
      @user-tp2bf9fk3l Před 2 měsíci

      ​@@user-ki5dq1do5h 치즈버거님 무슨이유요? violin8905@naver.com 입니다.

    • @user-tp2bf9fk3l
      @user-tp2bf9fk3l Před 2 měsíci

      ​@@user-ki5dq1do5h 치즈버거님 무슨이유요? violin8905 네이버 입니다.

  • @user-pp8lu1uo6s
    @user-pp8lu1uo6s Před 2 měsíci +3

    항상 여행갈때 기장님들 보면 너무 멋져요 저 제복만 봐도😊
    가끔 기장님과 영어로 대화 했었는데.짧은 영어 실력이지만 너무 기쁘더라구요 멋집니다 😊

  • @user-tp2bf9fk3l
    @user-tp2bf9fk3l Před 2 měsíci +1

    기장님 !! 거리에 꽃들이 화사하게 폈어요~~~ 즐거운 주말 되세요 ~~~

    • @captainjksaviationlife248
      @captainjksaviationlife248  Před 2 měsíci

      그러게요 브라질 커피님 ㅎㅎㅎ 집 근처 벚꽃이 아주 난리 났습니다 😎🤪
      브커님도 일요일 마무리 잘 하시고.. 한 주 또 즐겁게 맞이하시길!!~

  • @lizlina
    @lizlina Před 2 měsíci +3

    Captain JK 기장님🍥
    영상 항상 재밌게 보고 있습니다👍🏻
    생신 축하드려요໒꒰ྀི ˃ ᵕ ˂ ꒱ྀི১🎂

  • @user-ne5pb6cm4v
    @user-ne5pb6cm4v Před 2 měsíci +4

    오우 썸네일이 ㅋㅋㅋ 😂 미리 구독자 3만 축하드려요

    • @captainjksaviationlife248
      @captainjksaviationlife248  Před 2 měsíci +2

      넘 과한..가요? 😅 미리 축하 ㅎㅎ 감사히 받겠습니닷^^ 존밤 되십쇼~!!

  • @forthebettertomorrow3177
    @forthebettertomorrow3177 Před 2 měsíci +3

    오오 흥미롭군요.
    얕은 상식으로 파일럿의 개입이 더 많다고 알고 있던 보잉에서
    좀더 컴퓨터가 많이 판단하는 에어버스로의 전환이 더 쉽잖을까 싶었는데 그렇지도 않군요.
    오늘도 근사한 주제였고, 늘 그렇지만 재밌었습니다.
    고맙습니다.~

    • @captainjksaviationlife248
      @captainjksaviationlife248  Před 2 měsíci

      날 것을 타고 온 조종사들이, 날 것에 컴퓨터가 조금 개입하는 "세미 날 것" ?? 에 적응하기 까지가 조금 시간이 필요해요..
      하지만 에어버스의 그것에 적응을 하게 되면 비교적 편한 비행을 할 수 있게 되죠~
      재미없을만한 영상인데... 재미있게 보셨다니.. 너무 감사합니다 ㅠㅠ 👍🏻😊

  • @christianbeiler1979
    @christianbeiler1979 Před 2 měsíci +12

    I‘m not a pilot, but an aviation enthusiastic electrical engineer. If I compare the cockpit design, Boeing looks old fashioned to Airbus. The A350 is the most progressive airplane in my opinion at the moment, Boeing can't keep up.

    • @FlatOutMatt
      @FlatOutMatt Před 2 měsíci +1

      So what you’re saying is that you have no valid technical basis to say which is actually better.
      Regarding the A350, you need to get educated about the 787, which is every bit as “advanced”…just as the 777 was to the A340.

    • @captainjksaviationlife248
      @captainjksaviationlife248  Před 2 měsíci +1

      Personally, I agree somewhat to your opinion but..
      It is the matter of stand point.. I mean..
      Still almost 50% of airline pilots prefer Boeing's cockpit design
      whereas the rest of the pilots might have the same idea as you do..

    • @afihaileywibowo1095
      @afihaileywibowo1095 Před 2 měsíci

      I'm not a pilot but wish to be😅. I like Airbus cockpit as it seems more comfortable, not cramped. Also the window and the view overall is wider. But I quite feel funny about Airbus control sticks compared to Boeing.

    • @MooseVR
      @MooseVR Před 21 dnem +1

      Wow, and A350 fan said that… who would have guessed (I swear every airbus fan has the same argument)
      Oh, And btw, the 787 exists

  • @iwishfly84
    @iwishfly84 Před 2 měsíci +3

    저도 학생때 꿈이 파일럿이여서, 캡틴jk님의 영상으로 못 가본길에 대해서 항상 새롭고 즐거운 경험을 배웁니다. 감사합니다.

  • @DO_CAVOK
    @DO_CAVOK Před 2 měsíci +4

    오늘도 영상 감사히 잘 보았습니다 기장님!
    영상 보며 궁금한 점이 한 가지 생겼습니다.
    B737과는 달리 A330은 FBW 시스템이 존재하여 사이드 스틱과 싸우지 말라는 말씀으로 이해를 하였는데, B787도 FBW 시스템이 적용된걸로 알고 있습니다.
    여기서 B737과 B787의 조종 특성도 차이가 있는지가 궁금합니다. 787도 요크와 싸우면 안되는 것인가 생각이 드네요😊

    • @captainjksaviationlife248
      @captainjksaviationlife248  Před 2 měsíci +3

      오늘도 감사를 먼저!!! 👍🏻😊
      FBW가 말씀하신대로 에어버스에도 있고 보잉도 있습니다. 제가 777은 타보질 않아서 모르겠는데,
      787의 FBW는 에어버스와는 확연히 다릅니다. FBW라고 하는 건 사실 어떤 보조나 protection 시스템은 아닙니다.
      기존의 철사 같은 와이어들이 조종실부터 각 조종면으로 풀리 등을 통해 이어져 있던 걸 싹 다 없애고 전기 신호로
      대체한 시스템을 말하는 것이죠. 그러니 장점은 현저한 무게 차이, 또 유지 보수에 유리하겠지요..
      또 하나.. 전기 신호로 제어를 하니, 조종사와 조종면 사이에 자연스럽게 컴퓨터가 개입을 할 수가 있게 되었습니다.
      에어버스는 이를 적극적으로 이용해서 일반적인 수동 비행 때에도 사이드 스틱이 중립이면 비행기의 자세가 유지되도록 하는
      일종의 보조를 해 주고 있습니다. 물론 바람이 심하고 그럴 때는 에어버스도 스틱을 뒤 흔들기도 합니다 ㅎㅎ
      암튼.. 이에 반해 787은 전기 신호로 전달을 하는 과정에 에어버스와 같은 보조를 많이 하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철 와이어로 이어진 737에 비해서는 안정적입니다.
      여기서 보잉과 에어버스의 철학에 차이가 극명히 드러나죠.. 보잉은 일부러 덜 개입을.. 에어버스는 적극적으로..
      말이 길어졌는데, 결과적으로 787은 수동 비행 때 느낌이 딱 에어버스와 737의 중간쯤 느낌이라고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

    • @DO_CAVOK
      @DO_CAVOK Před 2 měsíci +1

      @@captainjksaviationlife248 자그마한 단순 호기심에 자세한 설명 감사드립니다 기장님😀 단번에 이해가 되는 답변이 되었습니다.

  • @user-zi7vb2nm7h
    @user-zi7vb2nm7h Před 2 měsíci +5

    댓글 3등입니다😆
    아무래도 기종에 따라서
    기장실 구조에 대한 차이도
    있기 마련이겠죠?
    미주 항공기 보안을 여러대 하고 있지만, 기장실은 정비사님들 찾으러 갈때만 들어가봐서 잘 몰랐던 부분이 많았는데, 유용한 정보공유 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기장님🙂‍↕️
    소싯적 얘기 듣는것도 재밌었어요🙃
    저는 개인적으로 드림라이너 기종 참 좋아합니다😊
    오늘도 감사합니다✈️🫶

    • @captainjksaviationlife248
      @captainjksaviationlife248  Před 2 měsíci +1

      오늘도 감사^^ 조종실의 크기는 비슷하지만 구조는 아무래도 다르지요.. 787이 미끈하게 잘 생겼어요 🥰
      담주 화요일 LA갑니다.. 근무날이시면 그때 뵙겠습니다 ㅎㅎ
      불금, 즐주말 하세요!!~

    • @user-zi7vb2nm7h
      @user-zi7vb2nm7h Před 2 měsíci +1

      @@captainjksaviationlife248
      3월31일부터 하계로 스케줄 시간이 빨라지게되고, 근무 스케줄을 아직은 모르겠지만, 101 뱅기가고 싶네요🙃
      증편되는 하계시즌 화이팅하시고
      조만간 뵙겠습니다🫡✈️

    • @captainjksaviationlife248
      @captainjksaviationlife248  Před 2 měsíci +1

      @@user-zi7vb2nm7h 그렇군요^^ 근무 스케줄 잘 나오시길 바라고 ㅎㅎ 뱅기에서 뵐게요~

  • @Aviator._.
    @Aviator._. Před 2 měsíci +4

    기장님 오늘도 좋은영상 감사드립니다
    여러 기장님들께서 에어버스는 세단에 보잉은 지프차에 비교를 많이 해주시던데 제가 조종사는 아직 아니지만 에어버스가 더 기계적으로 편한 부분이 많지만 그래도 보잉같이 운전하는 맛이 있어야지 싶네요ㅎㅎ

    • @captainjksaviationlife248
      @captainjksaviationlife248  Před 2 měsíci +1

      좋고 나쁨보다는 각자의 개성으로 봐야 할 듯 싶어요..
      조종사들도 거의 반반에 가깝거든요.. 보잉과 에어버스를 선호하는 분들이 ㅎㅎ

    • @Aviator._.
      @Aviator._. Před 2 měsíci +2

      @@captainjksaviationlife248충분히 둘다 좋은 기체여서 저도 기장님 말씀에 동의하는 부분입니다 전 그냥 아직은 진짜로 비행기를 운항해 본적이 없어서 시뮬레이션을 타면 보잉이 조금 더 조작감이 있어 좋지 않나 하는 개인적인 의견이였습니다ㅎㅎ

  • @user-pw8fr1bw1h
    @user-pw8fr1bw1h Před 2 měsíci +3

    오랫만에 1등으로 댓글을 남기네요 잘보고 갑니다. 항덕으로써 많은 정보얻고 갑니다~

  • @fokim8455
    @fokim8455 Před 2 měsíci +7

    안녕하세요 기장님, 외항사 부기장입니다. 영상 잘 봤습니다. 저희 회사는 에어버스만 (320,321,330) 운용하고 있는데 내부적으로 보잉(737) 도입을 고려하고 있다고 하더라고요. 제 개인적인 입장은 저는 에어버스에 남고싶습니다. 오토메이션에 이미 너무 적응을 해버린거 같습니다.

    • @captainjksaviationlife248
      @captainjksaviationlife248  Před 2 měsíci +3

      오 반갑습니다!!~ 같은 계열을 유지할 수 있다면 그게 제일 좋을 것 같습니다.. 하지만,
      737로 전환을 한다고 너무 부담 갖지는 마세요^^ 초기 씸 탈때 약간 비행기가 난잡?해 보이겠지만 이내 적응하실겁니다.
      다만.. 아시겠지만.. 레이팅 문제로 시스템을 관장하는 오버헤드 패널이 수십년된 그대로라 뭔가 할 일이 좀 많습니다 ㅠㅠ
      그만큼, 이런 저런 프로텍션도 에어버스에 비해 빈약하구요..
      고려하고 있다면 아직 먼 얘기니 일단 지금 비행을 즐기시며, 안비즐비 하십쇼 😉👍🏻😎

    • @churu_addicted
      @churu_addicted Před 2 měsíci +2

      현재 말레이시아 거주중이고 그랩택시를 탔었을때 에어아시아 부기장이 기사여서 대화를 나눠볼 기회가 있었습니다. 이 기사가 말레이시아 공군 전투기 조종사였다가 전역후 에어아시아로 입사했는데 에어아시아/에어아시아엑스는 A320계열과 A333 만 굴리는 항공사다보니 너무 지루해서 잠올정도라고 반농담식으로 푸념하더군요😂😂
      차라리 보잉이었으면 덜 지루했을텐데 에어아시아는 보잉기 도입계획 자체가 없고 다른 말레이시아 항공사(말레이시아항공, 바틱에어)로 이직하더라도 B737 외에는 보잉기가 없고 심지어 말레이시아항공 카고는 화물기마저 에어버스로 굴리다보니 대형보잉기 조종하려면 다른나라로 갈수밖에 없다는 얘기를 들은게 기억나네요. 그나마 있는 대형 보잉기가 라야에어라는 소규모 화물항공사의 B767 4대가 전부인데 보잉대형기 조종해보겠다고 여기까지 가고싶진 않다고 했었구요.
      그나저나 말레이시아항공사들은 외국인을 조종사로 채용하지 않으니 에어아시아소속은 아니실거고 V항공사이신가 보네요.

    • @captainjksaviationlife248
      @captainjksaviationlife248  Před 2 měsíci +1

      @@churu_addicted 조종사들도 참 다양한 분들이 존재합니다^^

  • @user-xs4qv8in4j
    @user-xs4qv8in4j Před 2 měsíci +3

    기장님 항상 영상 잘 보고 있습니다....오래 전부터 궁금해 왔던 부분인데....
    같은 기종 안에도 세부 모델이 많을텐데 (예를 들어 A330 중에서도 A330-200과 A330-300)
    타 모델 간 이동이 아닌 세부 모델 간에서 이동이 필요한 경우에도 기종 전환 교육(?)이 이뤄져야하나요???

    • @captainjksaviationlife248
      @captainjksaviationlife248  Před 2 měsíci +2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대개 시리즈, 즉 330-200/300 이나 777-200/300 이런 것들은 동일한 한정 자격으로 봅니다.. 그래서
      우리나라는 오늘 200 탔다가 내일 300 타고 이런 식이예요.
      특이한 중동 지역은 시리즈뿐 아니라.. 계열까지도 같이 봐서, 320, 330, 340을 동시에 탈 수 있는 곳입니다.
      하지만 우리나라를 포함 대부분의 나라에선 330, 340, 350은 다른 한정 자격으로 분류합니다.

  • @N.A665
    @N.A665 Před 2 měsíci +3

    F16, F22, F35, KF21, T50 록히드마틴계열 혹은 영향을 받은 전투기들은 전부 다 사이드 스틱 입니다. 아주 미세하게 움직인다고 합니다. 원래는 움직이기 않고 압력만으로 조종하게 했는데, 조종사들의 의견수렴하고 약간씩 움직이게 했다고 합니다. 전부다 FBW 입니다.
    F18, F15, F4, F5 등등부터 이전전투기들은 전부 다 센터스틱 입니다. 다리사이에 있고, 좀 많이 움직입니다. 대부분 FBW가 아닙니다.
    록히드마틴에서 여객기를 만들었다면 에어버스와 비슷했을거 같습니다. 보잉은 전부다 센터스틱이고 요즘 만든 F18도 센터입니다. 아무래도 여객기나 전투기나 같은 사상으로 만들다 보니 센터스틱으로 만든게 아닌가 합니다. 다만 이번에 제조중인 T7A 훈련기는 사이드스틱이라고 하더라구요. 훈련후 F16이나 F35등을 조종해야 해서 그렇답니다.
    F16 이나 F35조종사 출신이 민항기로 가면 에어버스가 적응하기 좀 쉽겠네요. 부기장부터 할테니 스틱을 오른손으로 조작하구요.
    기장이 되면 좀 어색할거 같습니다. 스틱을 왼손으로 조작해야 하니 말이지요.

    • @captainjksaviationlife248
      @captainjksaviationlife248  Před 2 měsíci

      제가 F-16 탔던 군출신 부기장님들께 들었던 "움직이지 않는 사이드스틱"
      역시나 그것도 변화가 있군요.
      오른손, 왼손.. 처음에는 어색하고 그렇지만 대부분 이내 적응들을 하십니다.
      흥미로운 정보,, 감사드립니다~

  • @user-be2du1up1u
    @user-be2du1up1u Před 2 měsíci +5

    구독했어요 재미 있어요

  • @churu_addicted
    @churu_addicted Před 2 měsíci +2

    기장님. 어이 없을수도 있지만 한가지 더 질문이 있습니다.
    물론 이런일은 거의 0%에 가깝겠지만 예를들어 에어버스 항공기 운항도중 담당 조종사들이 모두 쓰러지거나 사망하여서 조종실에 공백이 생겼을경우 만일 승객중에 보잉항공기만 조종해봤고 플심으로조차 에어버스 항공기 조작을 해보지 않은 조종사가 해당 에어버스항공기를 비상착륙 시도할경우 혹은 반대로 에어버스만 조종해본 조종사가 갑자기 보잉항공기 비상착륙 해야한다고 하면 매끄럽지는 못하더라도 성공확률이 얼마나 될까요?
    혹은 극단적인 예시를 들자면 이제 부기장 훈련 마치고 A320 투입된 조종사가 갑자기 4발엔진에 조종석이 높은 B747을 비상착륙시키거나 혹은 B737 조종사가 A380 을 비상착륙 해야하는 상황이라면 어떨까요?

    • @captainjksaviationlife248
      @captainjksaviationlife248  Před 2 měsíci +1

      ㅎㅎ 그런 경우라도.. 일단 수동으로 내리는 과정은 당연히 일반인하고는 비교가 안되겠죠?
      하지만, 또 당연히 매끄럽지 못할 것이고.. 착륙 과정에서 크게 잘못될 확률도 적지는 않을거라
      봅니다. 기종 전환 과정에서 6개월 간 지상 교육과 10여 회의 씨뮬레이터 훈련을 받고 비행 훈련에
      들어간 조종사들도 실제 랜딩에서 바로 쉽게 해내지는 못하는 경우가 꽤 있거든요..
      320 막 훈련 끝난 조종사가 갑자기 747을 비행하기란 더더욱이 어려워 보이네요..
      비상 착륙이면 글쎄요 ㅎㅎ 어쩌 어찌 활주로에 갖다 붙일 수 있을지는 모르나,
      조종실의 높이도 아주 많이 차이나고 착륙 플레어 감도 많이 달라서 제대로 내리지 못할 가능성이 큽니다~

    • @churu_addicted
      @churu_addicted Před 2 měsíci +1

      @@captainjksaviationlife248 우문현답 감사합니다!

  • @jasonpark9684
    @jasonpark9684 Před 2 měsíci +2

    늘 궁금했던 주제여서 실제 기장님들의 경험을 듣고 싶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보잉에서 에어버스로 갔을 경우가 더 적응하기 쉬울거라 생각했는데 반대였군요..
    BMW와 Mercedes가 차를 만드는 철학이 다르듯이 두 제작사도 마찬가지인가 봅니다.
    자동차 운전과 비행기 조종을 비교 할수는 없지만.. 기계적인 개입 부분에 있어서는 일맥 상통하는 점이 있군요
    보잉과 에어버스의 비교 컨텐츠에서 조금 더 심화된 버전을 살짝 기대해 봅니다.
    기장님의 연기력이 늘어 가시는 것을 보는 것도 재미납니다~! ^^

    • @captainjksaviationlife248
      @captainjksaviationlife248  Před 2 měsíci +1

      제 연기는 ㅠㅠ 😭 ㅎㅎ
      사실 반대로 느끼는 조종사들도 꽤 많아요. 저는 왔다갔다 해보니 그런거 같더라.. 라고 말씀드린거구요. 두 회사는 서로의 자존심도 강해서 다르게 할수 있는건 최대한 다르게 하려는 성향이 강합니다. 조종사나 정비하시는 분들이 피곤한거죠..

  • @limelase3328
    @limelase3328 Před 2 měsíci +2

    안녕하세요 기장님 현재 미국에서 비행중인 학생입니다. 제트 면장을 보잉으로 갈지 에어버스로 갈지 고민인데 기장님은 어떤 것을 더 추천하시나요? 한국의 LCC만 생각하면 보잉 737로 가는게 맞는 거 같은데 최근 보잉이 사건 사고도 많았고 에어버스를 도입하는 항공사가 늘고 있는 것 같아서 고민입니다.

    • @captainjksaviationlife248
      @captainjksaviationlife248  Před 2 měsíci

      안녕하세요.. jet rating이 아니라 type rating을 말씀하시는 거죠?
      글쎄요 ㅎㅎ 둘다 워낙 인기 좋은 레이팅인지라.. 그래도 국내 LCC를 타겟으로 하신다면
      아무래도 737이 낫지 않을까요?

  • @SmartMan0403
    @SmartMan0403 Před 2 měsíci +3

    에어버스의 사이드 스틱에서 힘을 빼고 조종하라는 말씀에서 교관님과의 예시를 든 대화를 꼽으셨는데, 사이드 스틱을 놓았을 때 비행기의 자세가 안정화된 것이 혹시 에어버스 기체의 사이드 스틱을 놓았을 때 기체가 자동으로 실속에서 탈출하려고 하는 소프트웨어하고도 어느정도 연관이 있을까요??

    • @captainjksaviationlife248
      @captainjksaviationlife248  Před 2 měsíci +1

      안녕하세요! 에어버스에 대해 많이 아시네요 😃
      음.. 그 부분은 근데 조금 다른 시스템입니다.
      말씀하신 실속 방지 시스템은 알파 플로어 기능이라고 해서
      조종사가 과도하게 항공기 기수를 들게 되어 실속에 들어 가려할 때 조종사가 계속 당겨도
      비행기가 기수를 낮추고, 풀 엔진 파워를 집어 넣는 시스템입니다.
      제가 영상에서 보여드린 부분은, 737 같은 완전 날 것 같은 조종성에 에어버스는
      약간의 보조를 해 준다고 할까요? 그래서 사이드 스틱이 요크보다 작은 이유도 있지만
      살짝 벗어날때만 내가 조금 만져 수정하는 느낌으로 수동 비행을 하게되죠..
      그러니.. 737 처럼 꽉 쥐고 이리저리 흔들면, 컴퓨터가 보조하는 부분과 상충이 되어
      자꾸만 오버 컨트롤을 하게 되는 것입니다..

    • @SmartMan0403
      @SmartMan0403 Před 2 měsíci +1

      ​@@captainjksaviationlife248 아하 완전 같다고는 볼 수 없군요.. 소프트웨어 적인 개념이라고 생각해서 그런 기능이라고 생각했는데 역시 비행기는 신기하네요 ㅋㅋ 기장님 항상 좋은 정보 감사드립니다!!

  • @scotchblue17
    @scotchblue17 Před 2 měsíci +1

    전문가가 아니라서 정확한건 아니겠지만 대형사고중에 에어버스에서 보잉으로 전환하는 케이스가 몇몇 있더라구요(저는 반대경우는 못봤어요)
    대표적으로 아시아나 사고처럼 오토 쓰러스트만 봐도 에어버스에서 비해 많이 복잡하니 배우는 입장도 어려울것이라고 생각됩니다
    뭔가 에어버스는 사람이 실수해도 컴퓨터가 막아주는 느낌이라면 보잉은 너무 사람에게 많은걸 의존하는 느낌이랄까 그래서 더 쉽다고 느껴지긴 할거 같네요

    • @captainjksaviationlife248
      @captainjksaviationlife248  Před 2 měsíci +1

      안녕하세요!
      에어버스와 보잉은 기본적인 제조 철학이 달라서.. 찾아보면 다른 부분이 더 많기도 합니다.
      전환 교육을 들어가면 초기 잠깐이긴 하지만 대부분 또 적응을 잘 해 나가게 되는 편인데..
      그 이전에 오랜 동안 탔던 기종의 습관이.. 혹은 어떤 내부의 로직을 착각해 실수하는 경우도 종종
      있습니다. 보통 때는 문제가 안되지만, 이게 약간 예상치 못했던 순간이나 갑작스런 상황이 닥쳤을 때
      일어나는 경우가 있어서.. 조심을 해야 하지요..

  • @ASIANRAVIN
    @ASIANRAVIN Před 2 měsíci +4

    I’ll just fly on the newer planes next trip 😂

  • @lllll3055
    @lllll3055 Před 2 měsíci +5

    그런데 기장석 기준으로 에어버스는 스틱을 왼손으로 잡고 조종하게되는데, 오른손잡이 기장님들이 특별히 불편함을 호소하신다거나 그러진않나요? 잘 안쓰는 손으로 조종한다는게 잘 상상이 안되네요

    • @captainjksaviationlife248
      @captainjksaviationlife248  Před 2 měsíci +2

      왼손, 오른손의 문제는 사실 적응의 문제입니다. 부기장을 오랜 동안 해온 사람이 기장 교육으로 자리를 옮기면
      에어버스나 보잉이나 똑같이 왼손으로 조종간을 잡아야 하기 때문에.. 적응의 시간이 필요하죠.
      왼손/오른손 잡이가 크게 의미는 없습니다^^
      반대로 오랜 동안 기장을 하다 교관을 하려고 교육을 받으면 부기장 자리에 앉아야 할 때가 많아서
      안 쓰던 오른손을 또 써야 하는데.. 그럼 또 몸이 꼬이는거죠 😂

    • @user-zv2wi9ln5q
      @user-zv2wi9ln5q Před 2 měsíci

      대개 오른손잡이지만 왼손으로 핸드폰 조작잘하는거랑 마찬가지일듯 싶은데

  • @sangkyupark9236
    @sangkyupark9236 Před 2 měsíci +3

    정비사로서 기종 전환을 할 때 가장 많이 체감하는 것이 메뉴얼입니다. 보잉은 계통 설명은 좋은데 너무 장황하고 분명하지 않습니다. 읽다보면 그래서 어쩌라고 할 경우가 많습니다. 에어버스는 군용기 경험만 있어서 비교하기 그렇지만 영어가 아닌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이 영어로 기록해서 그런지 비교적 쉽습니다. 계통설명은 자세하기는 하지만 불필요한 정보를 나열한 경우가 많았습니다. 록히드마틴이 가장 좋았던 것으로 기억됩니다. 세스나도 좋기는 한데 ATA 시스템을 사용하지 않아 찾기 난해했던 기억이 있고 시콜스키(지금은 록히드마틴에 넘어갔지만) 메뉴얼은 AMM에 IPC가 함께 있어 아주 편리했던 기억이 있습니다. 국산 항공기는 음…. 그냥 나쁘지 않을 정도로 기억되네요.
    항상 안전한 비행 하시기를 ㅎㅎ.

    • @captainjksaviationlife248
      @captainjksaviationlife248  Před 2 měsíci

      좋은 정보 공유해 주셔서 고맙습니다^^
      조종사의 매뉴얼 같은 경우에는 조금 결이 다른데요..
      일단 둘 다 점점 조종사에게 정보를 덜 주려는 경향으로 가는 느낌입니다.
      궁금해서 매뉴얼을 찾아봐도 워낙 깊이가 낮아서 궁금증이 풀리질 않고 결국
      정비사님께 추가로 물어보는 경우도 적지 않습니다.
      에어버스는 제가 부기장 초기 A330 전환할 때만 해도 영어가 보잉 매뉴얼보다도
      말을 어렵게 써놔서.. 다들 "아.. 프랑스 사람들이 영어를 써 놔서 덜 직관적인가보다"...
      라고 말을 하기도 했죠 ㅎㅎ 하지만 점점 이해하기 쉽게 바뀌어 가는 듯 합니다.
      보잉은 예전보다 매뉴얼이 너무 심플해서 아쉬움이 너무 많네요..
      때로는.. 말씀하신 것처럼, 대체 뭐라는 거야?? 라고 속으로 욕을 하기도 하구요^^
      물론 저의 영어 실력이 그만큼 되지 못해서인지는 모르겠지만, 암튼 그런 느낌입니다!! 😊
      좋은 주말 보내세요~ 😉

  • @Sky_starlight7
    @Sky_starlight7 Před 2 měsíci +1

    안녕하세요 기장님!
    플라이바이와이어를 사용하는 컨트롤과 유압시스템을 사용하는 컨트롤에서 조종특성이 다른걸로 알고 있습니다.
    이러한 부분에서 어떻게 했더니 적응하는데 좀 더 수월했다라는 기장님만의 비법(?)있으신지 궁금합니다..!

    • @captainjksaviationlife248
      @captainjksaviationlife248  Před 2 měsíci

      일단 영상에서 말씀드린 내용이 주된 조종 느낌 차이입니다.
      플라이바이와이어라고 또 다 같지는 않습니다. 보잉의 그것은 기존 조종성이 다소 안정적인 느낌을 넣은 듯한 정도지만, 에어버스는 꽤나 재래식 요크와 차이가 크죠. 사이드스틱의 중립을 유지한채 틀어지는 만큼만 살짝살짝 보정하고 다시 중립으로 둔다는 느낌으로 해야 합니다.

    • @Sky_starlight7
      @Sky_starlight7 Před 2 měsíci +1

      @@captainjksaviationlife248 그렇군요..! 가르쳐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lv4uy9rs2w
    @user-lv4uy9rs2w Před 2 měsíci +4

    에어버스의 안정성이 부럽기 하지만, 날것 그자체 보잉의 느낌을 버릴순 없다

    • @captainjksaviationlife248
      @captainjksaviationlife248  Před 2 měsíci

      딱~!! 조종사들이 하는 얘기입니다 ㅎㅎ 물론 보잉을 선호하는 분들의 의견이죠~
      뭔가 아날로그의 감성을 참 버리기 아쉬운 우리 사람들입니다 😄

  • @DaengDaeng0128
    @DaengDaeng0128 Před 2 měsíci +1

    모르는 사람 입장에선 신기술에 대한 간단한 트레이닝만 거치면 두 회사가 비슷하다고 들었는데 그런게 절대 아니였군요... 최근 몇년 사이에 보잉 기종들이 말이 너무 많은데, 대중들은 에어버스가 더 안전한것 같다라고 말하기 시작하는 이 시점에서 요즘 일어나는 일들에 대해서도 의견이나 상황 대처 및 어떻게 준비하시고 비행을 플랜하시는지 궁금합니다. 항상 안전 운항 하시길 기도하겠습니다!

    • @captainjksaviationlife248
      @captainjksaviationlife248  Před měsícem +2

      안녕하세요~ 비슷해 보이는 두 회사지만 면면이 꽤 차이가 많은 두 경쟁사입니다.
      모두 대단한 회사이지만, 보잉은 경영 철학에 지극히 잘못된 행보로 인해 1위 자리를 내주며 심지어 위험한 제작사로 내 몰리고 있습니다.
      보잉을 타고 있는 입장이지만 특별히 준비를 달리하는 부분은 없습니다. 다만 하루 빨리 예전의 안전하고 튼튼한 보잉 마인드로 돌아가주길 바랄뿐입니다~

    • @captainjksaviationlife248
      @captainjksaviationlife248  Před 21 dnem

      @@DaengDaeng0128 늦었지만, 말씀 너무 감사드립니다!!~

  • @diva21q
    @diva21q Před 2 měsíci +2

    진짜 멋진데요? 재미도 있고 비행기 탈 때 새로운 눈으로 승무원들을 보게 될 것 같아요.

  • @user-xd3bu9nr5r
    @user-xd3bu9nr5r Před 2 měsíci +2

    기장님 영어 참 잘하시네요. 부럽기도 하고 반성도 많이 해봅니다.😭😭

    • @captainjksaviationlife248
      @captainjksaviationlife248  Před 2 měsíci

      에고 아닙니다^^; 늘 목표로, 꿈으로 삼고 있는 게 영어이긴 하지만.. 혼자서 한다는 게 참 힘드네요 😅

  • @user-uu6ww1ml4x
    @user-uu6ww1ml4x Před 2 měsíci +4

    난 기류에 심하게 흔들리지 않고 편하게 가는 비행기에 더 좋은 점수를..4월말 뉴욕JFK공항으로...에어프리미어 타고 가고 싶었는데...그 공항에는 노선이 없더라구요...담에 캡틴JK님 뱅기를 타고 말겁니다...

    • @captainjksaviationlife248
      @captainjksaviationlife248  Před 2 měsíci +1

      ㅎㅎ 난기류가 역시 이슈군요^^ 그러게요.. 저희는 Newark으로 들어가죠 ㅠㅠ
      언젠가.. 같은 비행기에 있게 되기를.. 저도 바래 봅니다~ 😉
      좋은 주말 되십쇼~^^

  • @koe_hosino
    @koe_hosino Před 2 měsíci +3

    선댓글 지금감상 😍
    위에독자님 처럼 저도 띠링! 하고 댓글 2등😊

    • @captainjksaviationlife248
      @captainjksaviationlife248  Před 2 měsíci +1

      하하.. 선댓글 후감상 ㅎㅎ
      이번 영상이 한번은 다루고 싶었던 주제인데.. 풀어 나가다보니 좀 어렵고.. 재미는 덜 하네요 ㅠㅠ
      불금되세요 🥰🤪

  • @JP-zm8wl
    @JP-zm8wl Před 2 měsíci +2

    궁금한점이 있는데 법적으로 한 조종사가 하나의 기체만 운항할수 있는건가요?

    • @captainjksaviationlife248
      @captainjksaviationlife248  Před 2 měsíci

      나라마다 조금씩 다르긴 하지만 대체적으로는 그렇습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같은 기종의 시리즈.. 즉, 330-200/300 또는 777-200/300은
      동일시 해서 함께 타고, 787과 777은 함께 타지 못합니다. 반면 중동에서는 가능하구요~

  • @jbs7946
    @jbs7946 Před 2 měsíci +2

    GPWS 경고음에도 차이가 있죠....
    보잉 : 경쾌한 소리
    에어버스 : 음침? 둔탁? ㅋㅋ

    • @captainjksaviationlife248
      @captainjksaviationlife248  Před 2 měsíci +1

      맞아요 ㅎㅎ 둘다 남자긴한데.. 에어버스가 훨씬 낮은톤의 목소리죠 😄

  • @jbs7946
    @jbs7946 Před 2 měsíci +2

    제가 들은 얘기인데.... DC-10 을 '개량'해서 MD-11 을 출시했는데....
    두 비행기의 조종 특성은 생각보다 많이 달랐다고 하더군요....
    특히, MD-11 꼬리날개가 DC-10 보다 작아져서 조종 '안정성' 이 약화되었고,
    그래서 DC-10 에서 하던 방식으로 MD-11을 조종하면, 뭔가 '큰일!' 이 날 수 있었다고 하더군요.... ㅎㄷㄷ

    • @captainjksaviationlife248
      @captainjksaviationlife248  Před 2 měsíci +1

      오오.. 그렇군요, 전 둘다 타보진 못했지만 DC-10이 MD-11의 전신이란 건 알고 있습니다.
      조종에 발을 들여 놓던 시절에 멋진 비주얼로 좋아했던 비행기였거든요.. MD-11..
      하지만 그걸 탔던 지인들은 혀를 내두릅니다. 조종성이 그리 좋은 편이 아니었고,
      어프로치 속도가 워낙 빨라서 랜딩 플레어가 꽤나 민감했었다구요...
      JBS님은 참 박식하세요, 즐주말 하십쇼! 👍🏻😉

    • @jbs7946
      @jbs7946 Před 2 měsíci +1

      @@captainjksaviationlife248 신지수 기장님 동료 한 분이 MD-11 조종했는데, 상하이 홍차우 공항에서 사고로 돌아가셨다고 하더군요.... ㅠㅠ. 실제로, 신기장님이 사고 조사에도 참여하셨고.... ㅠㅠ

    • @captainjksaviationlife248
      @captainjksaviationlife248  Před 2 měsíci +1

      @@jbs7946 잘 아시네요.. 신지수 기장님이 초기 기종으로 MD-11을 타셨었고, 사고 조사하는 사내 부서에서 일하시던 신기장님이
      직접 상하이까지 가셨었지요..

  • @koe_hosino
    @koe_hosino Před 2 měsíci +3

    뉴비직장인 축하해준다고 회식을 하다보니 😅
    기장님깨서 이번에 다뤄주신 내용은 정말흔치않은 내용이에요!
    재미없다니요!
    저도 나름 항덕이지만 기종전환이 보통 보잉 to 보잉 , 에어버스 to에어버스 잖아요 320시리즈만이 아니라 787도8,9,10 처럼 같은 계열로!!
    80-330-737-330-787
    기종전환을 항공기제조사별로 면장따신 조종사가 누가있을까요?
    저는 에어버스를 조금더 좋아하지만
    기체철학 차이이죠
    보잉은 조종사가 메인
    에어버스는 컴퓨터가 메인
    B사가 마초같다면
    A사는 여성적인 느낌이랄까요 😊

    • @captainjksaviationlife248
      @captainjksaviationlife248  Před 2 měsíci +1

      회사도 사실 같은 계열로 보내려고 노력은 하지만, 인원 수급이 맞지 않을 때는 피치 못하게 다른 계열을 타는 일이
      꽤나 많습니다. 반대로 운 좋게 같은 계열만 타신 기장님들도 있구요 ㅎㅎ
      말씀하신 B사, A사의 느낌은 저도 비슷하게 가지고 있어요 😉
      회식이군요^^ 한국으로 이직? 다시 축하 드리고.. 불금 활활~ 되세요 🤪😄

    • @koe_hosino
      @koe_hosino Před 2 měsíci +1

      @@captainjksaviationlife248 그래도 시동절차는 737을 좋아한답니다 😆
      파이널때 당기고쭈욱~ 올리는 기계적 메커니즘😍
      디지털과 아날로그는 공존해야한다고 생각해요 😁

    • @captainjksaviationlife248
      @captainjksaviationlife248  Před 2 měsíci +1

      @@koe_hosino 역시 ㅎㅎ 뭔가 좀 만지작 거려줘야 기계 다루는 맛이 나긴하죠^^
      존 의견!!!~ 👍🏻👍🏻😉😉

  • @aquarius8676
    @aquarius8676 Před 2 měsíci +3

    비심 게임에서의 이야기지만 보잉만 몰다가 에어버스특유의 조작방식(스틱이나 쓰로틀...)을 보면 여러모로 당혹스럽더랍니다ㅎㅎ

    • @captainjksaviationlife248
      @captainjksaviationlife248  Před 2 měsíci

      안녕하세요^^ 실 비행기는 느낌이 아주 많이 다릅니다.. 특히나 구식의 조종 체계를 가지고 있는 737과는 더 심하구요 ㅎㅎ

  • @lllll3055
    @lllll3055 Před 2 měsíci +3

    그러고보니 에어프레미아가 A350 도입을 검토 중이라는 이야기를 들은 기억이 나네요. 어쩌면 기장님이 다시 에어버스를 조종하시게 될지도??

    • @captainjksaviationlife248
      @captainjksaviationlife248  Před 2 měsíci +1

      도입이 확실하진 않지만 언급은 공식적으로 되었었죠..
      저의 운명을 본다면.. 들어오는 게 맞겠죠? 😂😂🤪
      완벽한 왔다리 갔다리 ㅎㅎㅎ

  • @user-or7ol1jz3l
    @user-or7ol1jz3l Před 2 měsíci +3

    연기력 무엇 학원 다니시나요 ㅎㅎ
    요즘은 비행기 타면 구석구석 기웃거리고 있는 저를 발견합니다 😅

    • @captainjksaviationlife248
      @captainjksaviationlife248  Před 2 měsíci

      ㅋㅋㅋ 놀리시는거지요...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니까 하게 되는데.. 진짜 발연기 너무 어렵습니다 ㅠㅠ ㅋㅋㅋ
      비행기 구석구석 기웃거리시면... 오해 받으십니다 😁
      즐주말 하세요^^

  • @user-wj7jv5wd7f
    @user-wj7jv5wd7f Před 2 měsíci +3

    안녕하세요 시청잘하고 있어요

  • @user-ki5dq1do5h
    @user-ki5dq1do5h Před 2 měsíci +3

    기장님 영어 저도 잘하고 싶습니다 공항에서 뵙게되면 인사드리겠습니다 정보 많이 얻고 있어요 항상 안전 비행하세요
    기장님 죄송하지만 조심스럽게 말씀드릴부분이 있어서요 브라질님메일좀 저가 그분한테 물어봐도 될까요?

    • @captainjksaviationlife248
      @captainjksaviationlife248  Před 2 měsíci

      안녕하세요.. 그 부분은 제가 된다 안된다 할 수 있는 부분은 아닌 것 같습니다.
      다만, 지난 댓글처럼 서로 불쾌해지는 일은 없었으면 합니다.

    • @user-tp2bf9fk3l
      @user-tp2bf9fk3l Před 2 měsíci

      치즈버거님 무슨이유요? violin8905 네이버입니다.

    • @user-tp2bf9fk3l
      @user-tp2bf9fk3l Před 2 měsíci

      치즈버거님 무슨이유요? violin8905 네이버입니다~~

    • @user-tp2bf9fk3l
      @user-tp2bf9fk3l Před 2 měsíci

      치즈버거님 무슨말씀인가요?

  • @2C2848
    @2C2848 Před 2 měsíci +2

    기장님 제 개인적으로는 214편 사고를 보았을때 적당히 알아서 개입해주는 에어버스를 타다 보잉으로 넘어가는것이 오히려 더 까다로워 보이는것 같습니다.

    • @captainjksaviationlife248
      @captainjksaviationlife248  Před 2 měsíci

      안녕하세요 😊
      oz214 편의 경우는 조금 이해가 다른 케이스입니다..
      교육 비행 중이던 조종사의 수동 비행에 문제가 있었던 건 아니고,
      두 조종사 모두 오토 파일럿 모드에 대한 이해 부족과 절차 miss..
      그리고 당황함에서 오는 실수 등 여러가지가 복합적으로 발생했던 아쉬운 사고였습니다.
      사실 제가 영상에서 말씀 드렸던 건 어디까지나 저의 경험에서 느낀 비교였습니다.
      말씀하신 대로 에어버스에서 보잉으로 갔을 때 더 어려움을 느끼는 조종사들도 많이 있습니다.
      더구나, 제가 언급했던 보잉의 MCP와 에어버스 FCU가 내부적인 로직에 차이가 좀 있다고
      말씀을 드렸던 부분이 214편 사고 때에도 일정 부분 기여를 한 게 사실입니다..
      다만.. 수동 비행의 조종성에 촛점을 맞춰 본다면..
      보잉.. 특히나 737의 경우에는 기초 비행 훈련 때 타왔던 비행기들과 수동 비행의 조종성에
      큰 차이가 없습니다. 하지만 에어버스를 처음 타는 조종사는 사이드 스틱에서 처음 느끼는
      이질감에 당황하게 되죠.
      반대로 그 부분에 적응한 에어버스 조종사가 보잉으로 갔을 때.. 아마 처음엔 에어버스의
      습관 때문에 바로 적응 못할 수도 있으나, 예전에 이미 다 경험해 봤던 클래식한 조종감에
      이내 적응을 할 것으로 생각합니다. 저도 그랬었구요..
      좋은 의견 감사드립니다!! 👍🏻

    • @2C2848
      @2C2848 Před 2 měsíci +1

      항공기가 스톨에 빠졌을때 에어버스사 항공기는 자동으로 추력을 낸다 알고 있고 보잉은 그렇지 않은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사고 보고서가 일반인들이 보기에 조금 어려워서 그렇지 그러한 내용도 있던걸로 기억합니다. 저는 최종적으로 기종전환 과정에서의 사고로 보여지거든요. (항상 항공 애호하는 사람으로서 기장님의 정성스런 댓글 감사하는 마음입니다)

    • @captainjksaviationlife248
      @captainjksaviationlife248  Před 2 měsíci

      @@2C2848 항상 감사드립니다!! 😊
      맞습니다.. 에어버스는 그런 기능이 있고, 보잉은 없습니다. 214편의 사고는 1차 적으로 훈련 기장이 접근을 계속적으로 높게 가지고 오다가 문제가 점점 커진 경우인데요..
      훈련 조종사분이 그 전에 뭘 탔는지는 모르겠지만, 만약 에어버스를 탔었다면 중간 과정에서 했던 실수들은 전환 과정에서의 미적응으로 볼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그런데 그런 중간 과정들을 차치하고 볼때..
      최종적으로 우측석에 있던 교관 조종사의 마지막 실수가 없었다면 사고는 나지 않았을거예요. 교관급 기장이면 해 기종의 시간이 꽤 되는 고경력 기장일텐데, 급하고 당황한 조종사가 평소 같았으면 했을 조작을 제대로 하지 못했습니다.
      기술적인 이야기라 더 말씀은 안 드리지만.. 학생 기장님이 마지막에 지시한 사항을 교관 조종사가 제대로 하지 못했고, 이 부분을 두 조종사가 다 인지하지 못한 상태로 엔진 추력은 계속 idle에 머물고 결국 실속 근처까지 가게 된 것이죠.

    • @2C2848
      @2C2848 Před 2 měsíci

      벌써 10년도 전 사고라 오랜만에 찾아보니 a320에서 777 기종전환이 맞았네요
      기장님과의 이런 대화가 너무 재미있고 감사합니다.

  • @hackerslav
    @hackerslav Před 2 měsíci +4

    두회사는 제발좀 서로 장점을인정하고 통일했으먄 해요 ㅠㅠ 시뮬레이터나 타는 방구석 파일렀이지만 겪었던 모든 과정이 영상에 압축되어 있네요 ㅎㅎ
    진짜 보잉기를 좋아해서 익숙해져 있을때 에어버스 풀
    시뮬레이터를 타봤을때 사이드 스틱은 정말 말씀하신 그대로였어요 ㅎㅎ 물론 모션까지 구현하는그게 문제가 아니라 조작방식이 너무 차인나더라고요 스로틀도 마찬가지 너무 크개 다가왔습니다
    보잉은 내가 조작하는 느깜이 강하고 파일럿의 권한이 큰데 반해 에어버스는 좀 이질적 이더라고요 ㅎㅎ

    • @captainjksaviationlife248
      @captainjksaviationlife248  Před 2 měsíci

      아마 자존심의 대결.. 뭐 이런 구도라.. 그럴 일은 없을 것 같아요 ㅠㅠ
      사람은 간사해서... 그 에어버스의 이질감에 적응되면, 참 편안해집니다^^
      시청, 댓글.. 감사드려요 👍🏻😊

  • @user-zv2wi9ln5q
    @user-zv2wi9ln5q Před 2 měsíci +3

    조작하는 방식이 마치 예전 대우버스 현대버스의 정반대 조작방식과 같네요
    일례로 사이드브레이크가 대우는 밀어넣는게 록 현대는 당기는게 록 갠적으론 대우방식이 더 안전하다 생각....당긴 브레이크는 본의아니게 건드려서 풀릴수가 있으니까요 ㅎ

    • @captainjksaviationlife248
      @captainjksaviationlife248  Před 2 měsíci

      그런 게 있었군요.. 암튼 뭐든 통일성 있는 게 사람에겐 실수를 덜 유발하게 하는 걸텐데 말이죠..^^

  • @shan1474
    @shan1474 Před 2 měsíci +1

    🌟🌟🌟🌟🌟

  • @churu_addicted
    @churu_addicted Před 2 měsíci +2

    에어버스->보잉
    밥상이 없음...
    보잉->에어버스
    착륙시 비행기가 머저리(Retard) 라고 욕함
    에어버스보잉 기종전환 생각해보면 요런 차이점도 생각나더군요😂
    물론 retard 가 다른뜻이 있는건 알긴 하지만 매번 에어버스 착륙하는 영상 볼때마다 '지금이야 X신아' 처럼 들려서 제가 에어버스 조종사라면 왠지 기분이 묘할것 같습니다 🤣

    • @captainjksaviationlife248
      @captainjksaviationlife248  Před 2 měsíci +1

      밥상~!! 너무나 소중합니다 ㅎㅎ Retard.. 가 욕으로 ㅋㅋㅋ 그렇긴 합니다.. 안 줄이고 머해 이눔아~ 뭐 이런 느낌 😁
      조종사마다, 랜딩 플레어 하는 시기, 정도가 조금씩 다 달라서.. 저는 다행이 IDLE을 다소 미리 하는 편이었어서 그 욕은
      많이 듣지는 않았었네요 ㅎㅎ
      오늘도 재미난 댓글 감사드리며.. 불금!! 아.. 벌써 토욜이 됬군요.. 즐주말 하세요~

  • @user-cq9oh7db4w
    @user-cq9oh7db4w Před 2 měsíci

    허구한 날은 맨날 이나요?

  • @B787_Dreamliner
    @B787_Dreamliner Před 2 měsíci

    친구들이 비행기는 신발 신고 타야 한다는데 항덕으로써 참을 수 없습니다, 기장님으로써 한 마디 해주십쇼

    • @captainjksaviationlife248
      @captainjksaviationlife248  Před 2 měsíci +1

      안녕하세요~ 신발을 신고 비행기를 타야 한다는 말씀이 어떤 뜻일까요?

    • @B787_Dreamliner
      @B787_Dreamliner Před 2 měsíci

      ​@@captainjksaviationlife248 유명한 드립입니다 항공기 안타본 사람들 낚으려고 하는 말인데 동참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notperson
    @notperson Před měsícem

    인도인 친구 영어 듣다가 이 영상 보는데 진짜 극락...

    • @captainjksaviationlife248
      @captainjksaviationlife248  Před měsícem

      안녕하세요.. 혹시 칭찬으로 하신 말씀으로 들어도 되는걸까요?^^;

    • @notperson
      @notperson Před měsícem

      @@captainjksaviationlife248 네 물론이죠! 인도 영어 너무 어려워요ㅠㅠ

  • @ksj2343
    @ksj2343 Před 2 měsíci

    아재요 뻘소리그만하고 아재가 조종하는 영상이나 보여주소

    • @rapterhan5509
      @rapterhan5509 Před 2 měsíci +1

      앙돼요 국내선 조종실영상 못하게끔 규제돼있어요

    • @jasonpark9684
      @jasonpark9684 Před 2 měsíci +1

      뭐이런 무례한 댓글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