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수를 위한 소수의 희생은 정당한가?’ 철학자 피터 싱어가 다양한 예로 쉽게 설명해주는 공리주의에 대한 진실┃위대한 수업┃뇌벨업

Sdílet
Vložit
  • čas přidán 26. 06. 2023
  • 『동물 해방』의 저자이자 효율적이타주의를 제창한 호주의 철학자 피터 싱어 코로나 팬데믹 상황에서 의사들의 윤리적 선택, 도스토옙스키와 어슐러 르 귄의 문학작품을 차용한 철학적 사고 실험 등 다양한 예와 함께 공리주의 윤리관에 대해 알아본다.
    📺방송정보
    📌프로그램명: 위대한 수업 - 피터 싱어 - 실천윤리학 1강 왜 공리주의인가?
    📌방송일자: 2021년 10월 12일
    #위대한수업 #뇌벨업 #피터싱어 #공리주의 #윤리 #도덕 #정의

Komentáře • 25

  • @user-jg6gu7vt4b
    @user-jg6gu7vt4b Před 3 měsíci +7

    ???살아 계셨군요 옛날 철학자들이랑 항상 같이 나오시다 보니까...이렇게 동시대에 있다는 점이 너무 신기하네요

  • @CZ2I28
    @CZ2I28 Před 6 měsíci +3

    논술 지문에 이 사람 윤리학 주장 나와있길래 이미 돌아가신 줄 알았는데 살아계셨네...

  • @user-zk5mi4je1i
    @user-zk5mi4je1i Před 5 měsíci +1

    0:01: ⚖ 공리주의와 윤리적 질문에 대한 설명
    0:01: 복리주의에 대한 윤리적 질문
    0:21: 국민주의와 공리주의의 차이
    1:30: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한 공리주의적 상황
    2:42: 의사의 중환자실 침대 선택
    4:08: 공리주의의 논란과 결과
    4:47: 🤔 공리주의에 대한 윤리 이론과 다른 이론에 대한 비교
    4:47: 도스토옙스키의 소설 카라마조프가의 형제들 예시
    7:03: 국리주의가 최선의 윤리 이론으로의 주장
    7:10: 우엘칸트의 도덕 이론에 대한 설명
    7:52: 사람을 수단으로 대하지 않아야 한다는 주장에 대한 의문
    8:08: 파피승의 예시를 통한 사람을 수단 혹은 목적으로 여기는 것에 대한 고찰
    9:49: 🤔 공리주의에 대한 심층적인 고찰과 윤리적 결정에 대한 고민
    9:49: 긴급한 상황에서의 규칙 따르기 어려움
    10:19: 공리주의의 현실적인 측면 강조
    10:39: 행복과 쾌락을 추구하는 욕구
    Recapped using Tammy AI

  • @whijaes
    @whijaes Před 11 měsíci +16

    다수가 악의를 품는다면 그것은 선일까 ...

    • @jjanggyuri
      @jjanggyuri Před 8 měsíci +2

      다수가 악의를 품더라도 결과적으로 사회에 좋은 영향을 미치면 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악의를 품은 집단 안의 개인 서로서로가 타인의 악의로 인해 피해를 받지 않는다면 그것은 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user-gn3hi8qb4p
      @user-gn3hi8qb4p Před 7 měsíci +7

      공리주의는 결과론적이라서 악의를 품든 선의를 품든 결과에 따라 선악이 달라집니다

    • @bleuuciel
      @bleuuciel Před 3 měsíci

      동기론적인 사고가 아닌 결과론적 사고를 중요시하고 정의라고 보는 공리주의의 입장에서는 다수의 선택이 선입니다 그것이 설령 범죄라고 하더라도요

    • @1arcaea
      @1arcaea Před 2 měsíci

      댓글 달려고 했는데 다들 잘 적으셨네요ㅎㅎ

    • @doyeon05
      @doyeon05 Před 2 měsíci

      다수의 동기도 선택도 아닌 쾌락이 선인거라 악의에 따른 행위나 범죄는 선이 되기 힘들듯 이런 행위는 필연적으로 타인의 고통을 야기하기 때문임 다수가 범죄를 의도해 쾌락을 얻더라도 그 행위들에 의해 증가하는 고통이 더 클듯

  • @x__10ve.u
    @x__10ve.u Před 12 dny

    8:05

  • @user-rn8kc3wl4v
    @user-rn8kc3wl4v Před 8 měsíci

    여기서 말하는 최대 다수는 가능한 많은
    다수지 가장 많은 다수로는 안보이는 편

  • @monbiotmiric284
    @monbiotmiric284 Před 3 měsíci

    한 아이를 고문해서 세상을 구할 수 있다고 치자!! 그런데 그런 세상이 존재할 가치가 있는가?? 이 사람의 논리 대로라면 90명을 살리기 위해 89명을 죽여도 정당하다고 주장해도 된다.

    • @user-pr1ep8oy5m
      @user-pr1ep8oy5m Před 2 měsíci

      정말 궁금해서 묻는건데, 그럼 89명을 위해 90명을 희생하는건 정당한가요?

    • @monbiotmiric284
      @monbiotmiric284 Před 2 měsíci

      의도적인 지 여부가 판단의 기준이 되겠지요@@user-pr1ep8oy5m

    • @1arcaea
      @1arcaea Před 2 měsíci

      ​@@user-pr1ep8oy5m90명이 사는 게 89명이 사는 것보다 중요하니까 아마도 그건 아닐 것 같네요.

  • @user-td9hi7jg6w
    @user-td9hi7jg6w Před 14 dny

    전세상에서 제일 나쁜게 어린애들 노동시키는거ㅡㅡ 죽이고싶음

  • @user-dl8sk7nu2u
    @user-dl8sk7nu2u Před 11 měsíci +1

    이 자 한국의 법치 체험하면 생각바뀔것 ㅋㅋㅋㅋ

  • @user-vx6wm9sd2r
    @user-vx6wm9sd2r Před 4 měsíci +2

    상당히 모순적인 철학자. 사실 이미 폐기처분 해야하지만 그래도 기여도가 있으니 나오는 철학자.
    동물 권리도 잘 보면 식물 생태계에게 모든 희생을 강요함.
    극단적 공리주의자라서 희생을 당연시함. 인간이 동물의 아픔을 느끼기 때문이 괴로우니 해치지말자는건데 오만함.